KR102132202B1 - 그네와 시소로 사용 가능한 하이브리드 놀이기구 - Google Patents

그네와 시소로 사용 가능한 하이브리드 놀이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2202B1
KR102132202B1 KR1020200024126A KR20200024126A KR102132202B1 KR 102132202 B1 KR102132202 B1 KR 102132202B1 KR 1020200024126 A KR1020200024126 A KR 1020200024126A KR 20200024126 A KR20200024126 A KR 20200024126A KR 102132202 B1 KR102132202 B1 KR 1021322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ng
seesaw
hybrid
seating table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41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한섭
Original Assignee
(주)하늘이와 재영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하늘이와 재영이 filed Critical (주)하늘이와 재영이
Priority to KR10202000241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22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22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22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9/00Swings
    • A63G9/02Swings with two suspensory ax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11/00See-saws

Landscapes

  • Special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린아이들이 주로 사용하는 놀이기구에 대한 것으로서 특히 그네와 시소가 결합된 하이브리드 놀이기구에 관한 기술로서, 상단봉이 지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설치되는 프레임; 상기 상단봉에 매달려 하방으로 늘어지게 설치되는 한 쌍의 와이어; 상기 와이어의 하단에 좌우 양단이 연결되는 그네용 착석대; 상기 그네용 착석대의 전후면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며, 끝단 부근에 손잡이와 사용자가 앉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시소용 착석대; 상기 그네용 착석대의 하부면에 하방으로 펼쳐져 지면의 삽입공에 꽂힐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고정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그네와 시소로 사용 가능한 하이브리드 놀이기구{Hybrid amusement park rides using as a swing and a seesaw}
본 발명은 어린아이들이 주로 사용하는 놀이기구에 대한 것으로서 특히 그네와 시소가 결합된 하이브리드 놀이기구에 관한 기술이다.
어린이들을 위해 동네 놀이터 등에 기본적으로 설치되는 놀이기구로 그네, 시소 등이 대표적이다.
오래 전부터 사용되었던 그네나 시소는 거의 천편일률적인 구성을 갖추고 있고, 디자인적인 측면이나 소재의 개선을 통해 진화하고 있다. 즉, 그네나 시소의 기본적인 동작 특성은 큰 변화가 없었다.
익히 아는 바와 같이 그네는 프레임 위에 두 줄을 걸고 하단에 앉을 수 있는 좌대를 연결하여 진자 운동처럼 움직일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시소는 길다란 바아의 중심을 회동축으로 하여 좌우로 상하 운동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네나 시소를 이루는 주요한 소재는 목재나 철재가 대부분이며, 일부 합성수지나, 고무재가 사용되기도 하는데, 목재의 경우 거의 방부처리된 방부목을 사용하게 된다.
방부목은 유해한 방부액을 이용하여 수분에 강하도록 처리한 것인데, 환경적으로나 사람에게 그다지 좋은 소재라 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어린아이들도 항상 똑같은 놀이기구를 사용하다보니 쉽게 흥미를 잃게 되는바, 아이들이 보다 흥미를 느낄 수 있는 새로운 놀이기구가 요구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회전시소의 사시도이며, 도시와 같이 양측 끝단에 앉을 수 있는 시트부(102)와, 파지가능한 손잡이(104)가 구비되고, 수평 판 형태를 갖는 판몸체(100)와; 상기 판몸체(100) 하부 중앙 일단과 힌지 연결되는 힌지부(120)와; 상기 힌지부(120)의 하부가 내부에 수직으로 일부 삽입되어, 상기 힌지부(120)가 회동될 수 있도록 하는 수직관(152)이 상부에 구비된 원통 형태의 원통몸체(150)와; 상기 원통몸체(150)의 상면과 상기 판몸체(100) 하부에 수직 연결된 회동보조부(160);로 구성되고, 상기 판몸체(100)의 중앙 하부에는, 고정볼트(112)로 고정결합된 수평 판 형태의 연결판(110)이 더 형성되며,
상기 회동보조부(160)는, 상기 연결판(110)의 하부 양 끝단에 형성된 힌지편(162)에 힌지 연결되되, 수직 막대형태를 갖고 하부에 회동바퀴(164)가 구비된 회동암(165)과, 상기 회동암(165)의 회동바퀴(164)가 밀착된 채로 안내되도록 상기 원통몸체(150)의 상부에 음각으로 형성된 가이드로드(168)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원통몸체(150)의 하부에는, 상기 원통몸체(150)가 유동 및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바퀴부(170)가 형성되며, 상기 바퀴부(170)는, 상기 원통몸체(150) 하부에 사방으로 수평 연장된 막대 형태의 지지암(171)과, 상기 지지암(171)의 말단에 연결된 바퀴(172)와, 상기 바퀴(172)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바퀴(172)의 회동을 멈추도록 하는 브레이크(17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의 종래기술은 시소 자체에 회전 기능을 추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지만, 여전히 시소의 범주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45606호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가장 보편적인 놀이기구인 그네와 시소가 일체로 형성되어 그네로 사용하거나 시소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어린아이들에게 보다 큰 흥미를 제공할 수 있는 그네와 시소로 사용 가능한 하이브리드 놀이기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제시한 바와 같은 과제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그네와 시소로 사용 가능한 하이브리드 놀이기구는, 상단봉이 지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설치되는 프레임; 상기 상단봉에 매달려 하방으로 늘어지게 설치되는 한 쌍의 와이어; 상기 와이어의 하단에 좌우 양단이 연결되는 그네용 착석대; 상기 그네용 착석대의 전후면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며, 끝단 부근에 손잡이와 사용자가 앉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시소용 착석대; 상기 그네용 착석대의 하부면에 하방으로 펼쳐져 지면의 삽입공에 꽂힐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고정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고정봉은, 상기 그네용 착석대의 좌우 양단에 일단이 회동되게 연결되고, 타단은 걸림고리에 의해 구속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시소용 착석대는, 접철되어 다단으로 펼쳐질 수 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그네용 착석대는, 전후면에 전후방향으로 관통되는 설치구가 형성되며, 상기 설치구에 개구된 삽입코어가 장착되고, 상기 삽입코어에 상기 시송용 착석대의 일단이 끼워져 결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프레임은 통원목을 이용하여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그네와 시소로 사용 가능한 하이브리드 놀이기구는 하나의 놀이기구에 두 가지 기능이 구비됨으로써 사용자들에게 보다 큰 재미와 흥미를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경우에 따라서는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하여 그네로 사용하다가 간단한 조작을 통해 시소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그네와 시소로 사용 가능한 하이브리드 놀이기구는 프레임을 통원목을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친환경적이고 어린아이들에게 유해하지 않은 놀이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회전시소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그네와 시소로 사용 가능한 하이브리드 놀이기구에 대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그네와 시소로 사용 가능한 하이브리드 놀이기구의 측면도.
도 4는 그네용 착석대의 단축 단면도.
도 5는 그네용 착석대의 장축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그네와 시소로 사용 가능한 하이브리드 놀이기구에 대해 보다 상세한 설명을 하도록 하며,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는 것으로 한다. 단, 제시되는 도면 및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하나의 실시 가능한 예를 설명하는 것인 바,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그네와 시소로 사용 가능한 하이브리드 놀이기구에 대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그네와 시소로 사용 가능한 하이브리드 놀이기구의 측면도이며, 도 4는 그네용 착석대의 단축 단면도이고, 도 5는 그네용 착석대의 장축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그네와 시소로 사용 가능한 하이브리드 놀이기구는 주요한 구성요소로 프레임(100), 와이어(200), 그네용 착석대(300), 시소용 착석대(400), 고정봉(5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프레임(100)은 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로 이격되게 설치되며, 하단이 지면에 고정되어 상방으로 설치되는 높이 형성부재(110)와, 좌우 높이 형성부재(110)의 상단에 연결되어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상단봉(120)을 포함하게 된다.
바람직하게 프레임(100)은 통원목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친환경적이고 사용자들에게 친근감을 줄 수 있도록 한다. 특히 통원목은 천연 방부특성을 갖는 나무를 사용함으로써 방부처리를 하지 않더라도 충분한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천연 방부특성을 갖는 통원목으로는 로비나 우드(Robina wood)와 같은 것이 있다.
프레임(100)을 구성하는 상단봉(120)에 매달려 하방으로 늘어지게 한 쌍의 와이어(200)가 설치되며, 와이어(200)의 하단에 그네용 착석대(300)가 연결된다. 즉, 그네용 착석대(300)는 사용자가 엉덩이를 걸쳐 앉을 수 있는 것이되, 그네용 착석대(300)의 좌우 양단에 와이어(200)가 연결된다.
한편, 그네용 착석대(300)의 전후면으로부터 돌출되게 시소용 착석대(400)가 결합되는데, 시소용 착석대(400)의 각 끝단 부근에는 손잡이와 사용자가 앉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시소용 착석대(400)는 그네용 착석대(300)의 전면 및 후면에 연결되어 소정길이로 돌출되는데, 바람직하게 그네용 착석대(300)에 대해 시소용 착석대(400)를 탈부착 시킬 수 있도록 제공하도록 한다.
그네용 착석대(300)에 시소용 착석대(400)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고자, 그네용 착석대(300)의 전후면에 전후방향으로 관통되는 설치구(310)가 형성되며, 설치구(310)에 삽입코어(320)가 장착되게 한다. 바람직하게 삽입코어(320)는 사각 또는 원형의 중공 파이프로 하여 설치구(310)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삽입코어(320)에 시소용 착석대(400)의 일단을 끼워서 결합시키도록 하며, 각 시소용 착석대(400)는 접철되어 다단으로 펼쳐질 수 있도록 하여 필요에 따라 시소용 착석대(400)의 길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시소용 착석대(400)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길이가 최소가 되게 접어두도록 하며, 시소용 착석대(400)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길이를 최대가 되게 펼쳐지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그네와 시소로 사용 가능한 하이브리드 놀이기구는 필요에 따라 그네로 사용하거나 시소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시소로 사용하고자 할 때 그네용 착석대(300)가 회동 포인트 역할을 하도록 하기 위해 그네용 착석대(300)의 하부면에 하방으로 펼쳐져 지면의 삽입공(10)에 꽂힐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고정봉(500)이 구비되도록 한다.
고정봉(500)은 그네용 착석대(300)의 하면 좌우 양단에 일단이 회동되게 연결되고 타단은 걸림고리(510)에 의해 구속될 수 있도록 한다. 고정봉(500)을 접어두는 경우에 고정봉(500)의 타단을 걸림고리(510)에 걸어 구속시키도록 하며, 고정봉(500)을 펼쳐서 지면의 삽입공(10)에 꽂는 경우 걸리고리(510)에 구속된 고정봉(500)의 타단을 빼내어 고정봉(500)을 수직으로 세우도록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그네용 착석대(300)의 하면에 연결되는 고정봉(500)의 일단은 피봇 동작이 가능하도록 피봇 결합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시소용 착석대(400)를 이용해 시소로서 사용할 때 그네용 착석대(300)가 원활하게 회동 포인트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그네와 시소로 사용 가능한 하이브리드 놀이기구는 하나의 놀이기구에 그네와 시소 기능이 구비되므로서 사용자들은 그네나 시소로 선택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그네와 시소의 사용 전환은 간단한 조작으로 가능하고 그네로서 사용할 때에도 그네용 착석대의 전후방향으로 시소용 착석대가 돌출되어 있으므로 그네를 탈때 잘못하여 땅으로 추락되는 위험을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그네를 탈때에도 등을 시송용 착석대에 기대고서 누운 상태로도 그네를 즐길 수 있다는 등의 보다 폭넓은 활용이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그네와 시소로 사용 가능한 하이브리드 놀이기구는 놀이터 등에 설치될 수 있는 유용한 기술이다.
100 : 프레임
110 : 높이 형성부재
120 : 상단봉
200 : 와이어
300 : 그네용 착석대
310 : 설치구
320 : 삽입코어
400 : 시소용 착석대
500 : 고정봉
510 : 걸림고리
10 : 삽입공

Claims (5)

  1. 상단봉이 지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설치되는 프레임;
    상기 상단봉에 매달려 하방으로 늘어지게 설치되는 한 쌍의 와이어;
    상기 와이어의 하단에 좌우 양단이 연결되는 그네용 착석대;
    상기 그네용 착석대의 전후면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며, 끝단 부근에 손잡이와 사용자가 앉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시소용 착석대;
    상기 그네용 착석대의 하부면에 하방으로 펼쳐져 지면의 삽입공에 꽂힐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고정봉;을 포함하되,
    상기 고정봉은,
    상기 그네용 착석대의 좌우 양단에 일단이 회동되게 연결되고, 타단은 걸림고리에 의해 구속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네와 시소로 사용 가능한 하이브리드 놀이기구.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소용 착석대는,
    접철되어 다단으로 펼쳐질 수 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그네와 시소로 사용 가능한 하이브리드 놀이기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그네용 착석대는
    전후면에 전후방향으로 관통되는 설치구가 형성되며, 상기 설치구에 개구된 삽입코어가 장착되고,
    상기 삽입코어에 상기 시소용 착석대의 일단이 끼워져 결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네와 시소로 사용 가능한 하이브리드 놀이기구.
  5. 제 1 항, 제 3 항, 제 4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통원목을 이용하여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네와 시소로 사용 가능한 하이브리드 놀이기구.






KR1020200024126A 2020-02-27 2020-02-27 그네와 시소로 사용 가능한 하이브리드 놀이기구 KR1021322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4126A KR102132202B1 (ko) 2020-02-27 2020-02-27 그네와 시소로 사용 가능한 하이브리드 놀이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4126A KR102132202B1 (ko) 2020-02-27 2020-02-27 그네와 시소로 사용 가능한 하이브리드 놀이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2202B1 true KR102132202B1 (ko) 2020-07-09

Family

ID=716022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4126A KR102132202B1 (ko) 2020-02-27 2020-02-27 그네와 시소로 사용 가능한 하이브리드 놀이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220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67706A (en) * 1990-09-10 1991-11-26 Tsai Wen Guo Multiple-purpose assembled playing set
KR200281515Y1 (ko) * 2001-11-14 2002-07-12 정용연 놀이용 시소 블럭
KR20090007849U (ko) * 2009-07-07 2009-08-03 이종인 간이그네
KR200445606Y1 (ko) 2008-12-04 2009-08-17 윤주현 회전 시소
CN209596547U (zh) * 2019-01-21 2019-11-08 昆明理工大学 一种模块化游乐设施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67706A (en) * 1990-09-10 1991-11-26 Tsai Wen Guo Multiple-purpose assembled playing set
KR200281515Y1 (ko) * 2001-11-14 2002-07-12 정용연 놀이용 시소 블럭
KR200445606Y1 (ko) 2008-12-04 2009-08-17 윤주현 회전 시소
KR20090007849U (ko) * 2009-07-07 2009-08-03 이종인 간이그네
CN209596547U (zh) * 2019-01-21 2019-11-08 昆明理工大学 一种模块化游乐设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6089378A1 (en) Playground equipment
KR200445606Y1 (ko) 회전 시소
KR102132202B1 (ko) 그네와 시소로 사용 가능한 하이브리드 놀이기구
US1529467A (en) Gymnastic apparatus for children
CN210356000U (zh) 一种基于虚拟现实技术的飞行穿越体验设备
US8821302B1 (en) Rotatable amusement apparatus
JP3203714U (ja) 揺動遊戯具
US20140051319A1 (en) Portable pinata pole assembly
CN202146602U (zh) 一种组合式儿童玩乐装置
US7717799B2 (en) Glider teeter-totter
KR101873523B1 (ko) 그네
CN205815094U (zh) 一种可调式跷跷板
US3311373A (en) Seesaw including gear means for transmitting movement
US3674262A (en) Playground apparatus
US1847090A (en) Seesaw board
CN203244166U (zh) 一种可调节姿态的儿童摇椅
US4351522A (en) Adjustable toy spring horse
KR200392649Y1 (ko) 탄성 반발 수단과 그네 줄 길이 조절장치를 구비한 그네
US2241465A (en) Toy
US1480871A (en) Child's vehicle
CN200984444Y (zh) 座板可调节的跷跷板
US4944507A (en) Easy glide fun ride
CN211883047U (zh) 一种休闲娱乐用亲子秋千椅
CN215741767U (zh) 一种多功能组合摇摇马
CN208319978U (zh) 一种用于游乐场所的儿童骑行游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