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8289B1 - 영유아 탑승이 가능한 다기능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영유아 탑승이 가능한 다기능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8289B1
KR102268289B1 KR1020190144894A KR20190144894A KR102268289B1 KR 102268289 B1 KR102268289 B1 KR 102268289B1 KR 1020190144894 A KR1020190144894 A KR 1020190144894A KR 20190144894 A KR20190144894 A KR 20190144894A KR 102268289 B1 KR102268289 B1 KR 1022682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arding
infants
exercise
user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48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58010A (ko
Inventor
이동훈
이민희
Original Assignee
이동훈
이민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훈, 이민희 filed Critical 이동훈
Priority to KR10201901448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8289B1/ko
Publication of KR202100580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80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82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82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1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upper limbs or related muscles, e.g. chest, upper back or shoulder musc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601Special physical structures of used masses
    • A63B21/0605Special physical structures of used masses with boxes, baskets or the like for stacking loose weights therei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33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 A63B21/4035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for operation by han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69Score-keepers or score display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9/00Swings
    • A63G9/02Swings with two suspensory ax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63B2071/0625Emitting sound, noise or music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8/00Characteristics or parameters related to the user or player
    • A63B2208/12Characteristics or parameters related to the user or player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50Force related parameters
    • A63B2220/51Force
    • A63B2220/52Weight, e.g. weight distribu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30/00Measuring physiological parameters of the user
    • A63B2230/01User's weigh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30/00Measuring physiological parameters of the user
    • A63B2230/75Measuring physiological parameters of the user calorie expendit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Multimedia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유아 탑승이 가능한 다기능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탑승부, 상기 탑승부의 탑승자 무게 및 파지한 사용자의 운동량을 측정하고 측정 정보를 표시하는 손잡이부, 및 상기 탑승부와 상기 손잡이부 사이에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영유아에게는 유희와 유대감을 제공하고 보호자에게는 운동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영유아 탑승이 가능한 다기능 운동기구{MULTIPLE FUNCTIONAL EXERCISE APPARATUS WHICH IS ABLE TO BOARDING INFANTS}
본 발명은 영유아 탑승이 가능한 다기능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보호자에게는 운동 효과를 제공하는 한편, 영유아에게는 유희와 유대감을 제공할 수 있는 영유아 탑승이 가능한 다기능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맞벌이 부부의 증가로 남성도 육아에 참여하는 경우가 크게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육아를 담당하는 보호자는 아이에게 항상 주의를 기울여야 하기 때문에 개인 시간을 거의 할애하지 못하고 아이를 돌보게 되는데, 아직 성장이 안된 영유아를 돌보는 것은 체력적으로 매우 어렵고 힘든 일이다.
이처럼 육아를 담당하는 보호자는 개인 시간을 할애하여 개인의 취미 및 건강관리를 위해 운동할 수 있는 시간을 낼 수가 없으며 이로 인하여 본인의 체력을 관리하는 것이 힘들어 지기 때문에 체력감퇴 및 비만 등의 증상을 가져올 수도 있는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이를 감수하고 아이를 방치한 채 운동기구를 이용하여 운동하는 경우, 잠시 한눈을 파는 사이 아이가 돌발적인 행동을 하여 사고가 나거나, 보호자의 시야에서 벗어날 수가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영유아를 데리고 야외의 공공장소에 설치된 운동기구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더욱 큰 문제가 될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은 상황을 겪지 않더라도, 아이는 보호자가 운동하는 동안 무료함을 호소하여 보호자가 운동을 지속할 수 없게 만든다. 또한, 아이를 위해 별도의 놀이기구를 제공할 경우에도, 아이는 혼자서만 놀게 되므로 결국 흥미를 잃게 되며, 또한 놀이기구에는 외부 전기 등 비용이 들어갈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영유아를 위한 전술한 놀이기구 등은 오직 유아 혼자 사용하는 구조로 어른인 사용자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구조를 전혀 고려하고 있지 않으므로 이에 대한 기구 등이 현재까지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도록 보호자는 안전하게 아이를 돌보면서 운동을 병행할 수 있는 장치 또는 기술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591243(2016.01.28)호는 다기능 유아돌보미에 관한 것으로, 지지높이가 크게 변경되는 지지구조부, 지지구조부의 하단에 조립되는 다수의 바퀴, 지지구조부의 상단과 유아탑승장치를 연결하는 줄구조부, 줄구조부의 말단에 탈부착 되는 유아탑승장치, 지지구조부에 설치되어 유아탑승장치에 탄성력을 가하며 가하는 탄성력의 조절 기능이 있는 탄성수단, 지지구조부에 탈부착 되는 공용탑승장치, 지지구조부의 하단에 설치되며 바퀴를 회전시키는 전동모터, 지지구조부에 설치되는 다수의 감지센서로 구성되는 감지부, 리모컨신호나 프로그램에 의해 모터를 작동시키는 모터콘트롤러, 전원공급장치, 지지구조부의 중단에 탈부착되며 스마트폰 기능이 있는 컴퓨터로 구성되어 누운 자세 엎드린 자세 등 다양한 자세의 유아를 높이 들어줄 때와 유아를 안을 때 힘이 거의 들지 않아 노약자도 장시간 스킨쉽이 가능하고 무리 없이 돌볼 수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47709(2013.05.08)호는 자유 스윙 놀이 기구에 관한 것으로, 건물의 천정, 놀이 기구를 구성하는 구조물 또는 다른 놀이 기구의 구조물로서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에는 스윙봉의 상단이 연결되어 스윙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조인트부와, 상기 스윙봉의 하단에 스윙봉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스윙봉과 역'T'자를 이루도록 고정 부착되는 수평봉과, 상기 수평봉의 타단에 자유 스윙 놀이 기구의 수평을 유지하기 위해 고정 배치되는 무게추와, 상기 수평봉과 무게추의 부분을 커버하며 놀이 기구 사용자의 탑승을 위한 하우징으로 구성되어, 전방의 시야를 고정적으로 제공하며 전후좌우 방향으로 자유롭게 스윙되고 아울러 스윙 동작을 위한 조인트 부를 놀이 기구의 상단에 구비함으로써 이용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591243(2016.01.28)호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47709(2013.05.08)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보호자에게는 운동 효과를 제공하는 한편, 영유아에게는 유희와 유대감을 제공할 수 있는 영유아 탑승이 가능한 다기능 운동기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무게 측정을 통해 탑승한 영유아의 몸무게 정보를 제공하고 영유아의 몸무게에 기초한 성장지표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하는 영유아 탑승이 가능한 다기능 운동기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운동량 측정을 통해 보호자의 운동량 정보를 제공하고 보호자의 꾸준한 운동을 유도할 수 있게 하는 영유아 탑승이 가능한 다기능 운동기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영유아 탑승이 가능한 다기능 운동기구는 탑승부, 상기 탑승부의 탑승자 무게 및 파지한 사용자의 운동량을 측정하고 측정 정보를 표시하는 손잡이부, 및 상기 탑승부와 상기 손잡이부 사이에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한다.
상기 탑승부는 판상의 바닥부재, 상기 바닥부재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탑승자의 승하차를 위해 일측이 개방되고 탑승자의 몸을 보호하는 보호부재, 및 상기 보호부재의 일측 개방 부분에 개폐 가능한 형태로 설치되고 상기 탑승자의 외부 이탈을 방지하는 안전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는 원형의 일정길이를 가지는 봉 모양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부의 연결 위치를 지정하는 연결홈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는 표시부재의 "온(ON)/오프(OFF)"를 위한 버튼, 사용자의 운동횟수를 초기화하는 버튼, 사운드 변경 버튼을 포함하는 다수의 조작버튼들을 구비하는 조작패널, 상기 탑승자의 무게를 측정하는 센서 및 상기 손잡이부를 양손으로 파지한 사용자의 상체 또는 하체를 이용한 승하강 동작 및 팔운동 반복 횟수를 측정하는 센서를 포함하고 측정된 무게와 운동 반복 횟수에 기초한 소모 칼로리를 산출하는 측정부재, 및 상기 측정된 탑승자의 무게 및 상기 사용자의 운동 반복 횟수와 소모 칼로리를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인지하도록 표시하는 표시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는 다수의 음원들을 저장하고 저장된 음원들을 랜덤하게 또는 상기 조작패널을 통해 사용자 조작에 의해 선택된 음원을 재생하여 외부로 사운드 출력하는 사운드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는 사용자 단말과 연동하여 상기 측정부재에 의해 측정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통신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끈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탑승부와 상기 손잡이부 사이에 십일(11)자 형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일단이 상기 탑승부와 일체로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손잡이부의 상기 연결홈부재에 삽입되는 형태로 연결될 수 있다.
개시된 기술은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유아 탑승이 가능한 다기능 운동기구는 보호자에게는 운동 효과를 제공하는 한편, 영유아에게는 유희와 유대감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유아 탑승이 가능한 다기능 운동기구는 탑승한 영유아의 몸무게를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고 측정된 영유아의 몸무게 정보를 제공하여 영유아의 몸무게에 기초한 성장지표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유아 탑승이 가능한 다기능 운동기구는 영유아를 탑승한 상태에서 보호자의 운동 반복 횟수 및 소비 칼로리를 포함하는 운동량을 측정할 수 있고 측정된 보호자의 운동량 정보를 제공하여 보호자가 목표 운동량을 달성하도록 보호자의 꾸준한 운동을 유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유아 탑승이 가능한 다기능 운동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유아 탑승이 가능한 다기능 운동기구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있는 손잡이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있는 손잡이부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유아 탑승이 가능한 다기능 운동기구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유아 탑승이 가능한 다기능 운동기구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유아 탑승이 가능한 다기능 운동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있는 다기능 운동기구의 손잡이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영유아 탑승이 가능한 다기능 운동기구(100)는 탑승부(110), 손잡이부(120) 및 연결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탑승부(110)는 영유아가 탑승할 수 있고 탑승한 영유아를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탑승부(110)는 영유아가 앉는 형태로 탑승할 수 있게 판상의 바닥부재(111)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바닥부재(111)는 영유아의 하체 즉, 엉덩이 부분을 지지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으로 스펀지와 같은 충격흡수패드가 삽입된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안정감을 갖도록 소정의 강도를 갖는 판상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탑승부(110)는 또한, 바닥부재(111)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탑승한 영유아의 몸을 감싸는 보호부재(11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보호부재(113)는 구김이 자유롭고 소정의 신축성과 강도를 갖으면서 세척 등이 용이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보호부재(113)는 네오프렌(theneoprene)과 같은 섬유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보호부재(113)의 소재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은 아니며 합성수지 등 다양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탑승부(110)는 또한, 보호부재(113)의 일측을 개방하여 영유아가 승하차할 수 있게 한다.
일 실시예에서, 탑승부(110)는 보호부재(113)의 일측 개방 부분에 탑승한 영유아의 외부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안전부재(115)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안전부재(115)는 보호부재(113)의 일측 개방 부분에 개폐 가능한 형태로 설치될 수 있고 일자형 또는 티(T)자형 또는 엑스(X)자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탑승부(110)는 보호부재(113)의 상부에 연결부(130)와의 연결을 위한 연결고리(117)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탑승부(110)는 연결부(130)와 연결고리(117)를 통해 탈착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연결부(130)와 일체로 연결되게 할 수도 있다.
탑승부(110)는 또한, 보호부재(113)의 하부에 탑승한 영유아가 다리를 외부로 내놓고 앉을 수 있는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 탑승부(110)는 도면에 도시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영유아가 안정하게 탑승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손잡이부(120)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고 탑승부(110)의 고정 위치를 제공하여 탑승부(110)에 영유아를 탑승시킨 상태에서 운동할 수 있는 운동도구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손잡이부(120)는 중앙에 다수의 버튼들을 구비하는 조작패널(121)과 표시부재(12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조작패널(121)에는 표시부재(123)를 "온(ON)/오프(OFF)"하기 위한 버튼, 운동 횟수를 초기화하는 버튼, 사운드 변경 버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재(123)는 탑승부(110)에 탑승한 영유아의 몸무게, 운동 반복횟수, 소비 칼로리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손잡이부(120)는 좌우 양측이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원형 봉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고 연결부(130)의 정위치 연결을 위해 연결 위치를 나타내는 요홈 형태의 연결홈부재(125)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연결홈부재(125)는 손잡이부(120)의 원형 봉 둘레를 따라 연결부(130)가 삽입되게 형성될 수 있다. 손잡이부(120)는 연결홈부재(125) 대신 좌우 양측 하단에 고리를 마련하여 연결부(130)와 고리 연결하게 형성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손잡이부(120)는 일측에 스피커(127)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손잡이부(120)는 내부에 각종 센서를 포함하여 탑승자의 몸무게를 측정할 수 있고 손잡이부(120)를 파지한 사용자의 운동 반복횟수를 카운트할 수 있고 소비 칼로리를 계산할 수 있다. 손잡이부(120)는 표시부재(123)에 측정된 탑승자의 몸무게, 카운트한 운동 반복횟수, 계산된 소비 칼로리 등을 화면 표시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과 연동하여 사용자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손잡이부(120)는 다수의 음원을 저장할 수 있고 랜덤하게 또는 사용자가 선택한 음원을 재생하여 스피커(127)를 통해 외부로 사운드 출력할 수 있다. 손잡이부(120)의 구성에 대해서는 도 4에서 보다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연결부(130)는 끈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아이의 신장에 따라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연결부(130)는 일단이 탑승부(110)에 연결되고 타단이 손잡이부(120)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에서, 연결부(130)는 탑승부(110)와 손잡이부(120) 사이에 십일(11)자 형태로 연결될 수 있고 탑승부(110)와 일체로 연결될 수 있고 손잡이부(120)의 좌우 양측에 형성된 연결홈부재(125)에 삽입되어 탑승부(110)를 손잡이부(120)에 대해 좌우 대칭되는 정위치에 연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연결부(130)는 탑승부(110)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연결부(130)의 일단에 아기 그네, 아기 띠 등의 아기 탑승용 기성품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도 4는 도 1에 있는 손잡이부(120)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손잡이부(120)는 조작패널(410), 측정부재(420), 표시부재(430), 사운드부재(440), 통신부재(450) 및 제어부재(460)를 포함할 수 있고, 이들 구성들을 하나의 모듈 형태로 내부에 탑재할 수 있다.
조작패널(410)은 다수의 조작 버튼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조작패널(410)은 손잡이부(120)의 중앙부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다. 여기에서, 조작패널(410)은 표시부재(430)의 "온(ON)/오프(OFF)"를 위한 버튼, 사용자의 운동 횟수를 초기화하는 버튼, 사운드 변경 버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측정부재(420)는 다수의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측정부재(420)는 사용자가 손잡이부(120)를 파지하고 들어 올렸을 때의 하중을 감지하여 탑승부(110)에 탑승한 영유아의 몸무게를 측정할 수 있다. 측정부재(420)는 또한, 손잡이부(120)를 파지한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운동 횟수를 측정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탑승부(110)에 영유아를 탑승시킨 상태에서 손잡이부(120)를 파지한 후 앉았다 일어났다를 반복하는 횟수를 카운트할 수 있다. 측정부재(420)는 또한, 측정된 탑승자 무게와 사용자 운동횟수에 기초하여 소비 칼로리를 계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측정부재(420)는 측정 정보를 저장할 수 있고 실시간으로 또는 주기적으로 또는 사용자 요청에 따라 저장된 측정 정보를 표시부재(430)에 제공할 수 있다. 측정부재(420)는 또한, 손잡이부(120)를 파지한 사용자의 움직임 속도나 탑승부(110)의 기울기 등의 감지하여 탑승부(110)에 탑승한 영유아의 위험 상태를 측정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 측정부재(420)는 가속도 센서, 로드셀 센서, 자이로 센서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표시부재(430)는 조작패널(410)의 조작 상태 및 측정부재(420)의 측정 결과를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게 시각적으로 화면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표시부재(430)는 LED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운드부재(440)는 영유아 관련 다수의 음원들을 저장할 수 있고 저장된 다수의 음원들을 랜덤하게 또는 조작패널(410)의 사운드 변경 버튼 조작에 따라 선택되는 음원을 재생하여 외부에 사운드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운드부재(440)는 측정부재(420)의 측정 결과에 따라 탑승부(110)에 탑승한 영유아가 위험 상태인 경우에 경고 알림을 발생시킬 수 있다.
통신부재(450)는 사용자 단말(미도시)과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에 측정부재(420)의 측정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통신부재(450)는 블루투스 등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는 측정 정보를 바탕으로 아이 몸무게의 성장 지표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고 본인의 운동량을 관리할 수도 있다.
제어부재(460)는 영유아에게 유희와 유대감을 제공하면서 보호자에게는 운동효과를 제공할 수 있도록 일 실시예에 따른 영유아 탑승이 가능한 다기능 운동기구(10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재(460)는 조작패널(410), 측정부재(420), 표시부재(430), 사운드부재(440) 및 통신부재(450) 간의 제어 및 정보 흐름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유아 탑승이 가능한 다기능 운동기구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5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영유아 탑승이 가능한 다기능 운동기구(100)는 탑승부(110)에 영유아가 탑승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손잡이부(120)의 좌우 양측을 파지한 후 데드리프트(deadlift), 스쿼트 등의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단계 S510).
데드리프트는 바벨을 들고 양발 사이에 발 하나가 들어갈 정도로 좁게 선 상태에서 어깨가 굽지 않도록 시선을 양쪽에 두고 가슴을 내밀어 준 다음, 등의 각도가 지면과 수평에 가까워질 때까지 상태를 숙이고 대퇴이두근의 힘을 이용하여 상체를 일으키는 근력운동이다.
스쿼트는 바벨을 어깨에 짊어지고 서서 깊이 웅그린 다음 일어서는 운동을 말한다. 무릎을 절반쯤 굽혀서 일어나면 하프 스쿼트, 또는 하프 니 벤트, 바벨을 가슴 위에 양 손으로 지탱한 모양으로 하면 프런트 스쿼트라 한다. 스쿼트는 덤벨을 양 손에 가진 형으로 할 수가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손잡이부(120)를 바벨로 사용하여 데드리프트 또는 스쿼트 운동을 할 수 있다. 사용자는 탑승부(110)에 영유아가 탑승한 상태에서 손잡이부(120)를 양손으로 파지하여 승하강 동작을 반복하는 것을 통해 해당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영유아 탑승이 가능한 다기능 운동기구(100)는 탑승부(110)에 탑승한 영유아의 무게 및 사용자의 운동량을 측정할 수 있다(단계 S520). 일 실시예에서, 손잡이부(120)의 내부에 구비된 측정부재(420)를 통해 탑승부(110)에 탑승한 영유아의 몸무게를 실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 예컨대, 측정부재(420)는 로드셀(load cell) 센서를 이용하여 탑승부(110)에 탑승한 영유아의 무게로 인한 하중을 측정하여 실시간으로 영유아의 몸무게를 측정할 수 있다. 측정부재(420)는 또한, 손잡이부(120)를 양손으로 파지하고 승하강 동작을 반복하는 사용자의 승하강 반복 횟수, 소모 칼로리 등을 포함하는 운동량을 측정할 수 있다. 예컨대, 측정부재(420)는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운동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영유아 탑승이 가능한 다기능 운동기구(100)는 측정한 영유아의 몸무게 및 사용자 운동량을 표시할 수 있다(단계 S530). 일 실시예에서, 손잡이부(120)의 표시부재(123)를 통해 영유아의 몸무게 및 사용자의 운동량을 LED로 수치 표시할 수 있고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영유아 탑승이 가능한 다기능 운동기구(100)는 사용자 단말에 측정 정보를 전송하여 사용자 단말에서 영유아의 몸무게 및 사용자의 운동량을 확인할 수 있다(단계 S540). 일 실시예에서, 손잡이부(120)의 내부에 구비된 통신부재(450)를 통해 사용자 단말과 연동하여 측정된 영유아의 몸무게 및 사용자 운동량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유아 탑승이 가능한 다기능 운동기구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먼저,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영유아가 탑승된 다기능 운동기구(100)의 손잡이부(120)를 양손으로 파지하되 손바닥이 상측을 향하도록 유지한다. 이때, 사용자는 정면을 주시하며 양팔의 각도를 유지한채로 상체를 수평으로 유지한다. 이어서, 하체를 이용하여 승하강 동작을 반복하며 하체 근력 강화를 수행한다. 이러한 동작으로 사용자는 상체 근력뿐만 아니라 복직근, 대퇴근 등의 하체 근력을 집중적으로 단련시킬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영유아가 탑승된 다기능 운동기구(100)의 손잡이부(120)를 양손으로 파지하되 손바닥이 하측을 향하도록 유지한다. 여기서, 사용자는 정면을 주시하며 양팔이 수평하게 유지되도록 하면서 허리를 이용하여 직립 자세를 유지한다. 즉, 사용자는 다기능 운동기구(100)를 양팔이 절곡되지 않은 상태로 수평을 이루도록 유지하면서 오로지 허리 및 하체 근육을 이용하여 상체를 승하강 시키며 반복 동작을 수행한다. 이러한 동작으로 사용자는 상체 근력뿐만 아니라 허리 및 복부 부위의 복직근, 대퇴근 등의 근력을 집중적으로 단련시킬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영유아가 탑승된 다기능 운동기구(100)의 손잡이부(120)를 목에 건 상태에서 양쪽 연결부(130)를 각각 손으로 파지한다. 여기서, 사용자는 정면을 주시하며 양팔이 절곡된 상태로 수평을 이루도록 유지하면서 전신 근육을 이용하여 승하강 동작을 반복하며 전체적으로 근력 강화를 수행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영유아가 탑승된 다기능 운동기구는 사용자의 체력 단련과 영유아의 놀이를 동시에 진행될 수 있으므로 유희와 유대감을 형성시킬 수 있고, 실시간으로 영유아 몸무게를 측정할 수 있으므로 몸무게 변동에 따른 성장지표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고, 사용자에게 운동 반복횟수 및 소비 칼로리 등의 실제 운동량을 보여줌으로써 꾸준한 운동을 유도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통상의 기술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영유아 탑승이 가능한 다기능 운동기구
110: 탑승부
111: 바닥부재 113: 보호부재
115: 안전부재 117: 연결고리
120: 손잡이부
121: 조작패널 123: 표시부재
125: 연결홈부재 127: 스피커
130: 연결부
410: 조작패널 420: 측정부재
430: 표시부재 440: 사운드부재
450: 통신부재 460: 제어부재

Claims (8)

  1. 영유아가 앉는 형태로 탑승이 가능한 탑승부;
    봉 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탑승부에 상기 영유아가 탑승한 상태에서 운동도구로 사용 가능하고 상기 탑승부에 탑승한 상기 영유아의 무게 및 파지한 사용자의 운동량을 측정하고 측정 정보를 표시하는 손잡이부; 및
    상기 탑승부와 상기 손잡이부 사이에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되,
    상기 탑승부는
    판상의 바닥부재; 상기 바닥부재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탑승자의 승하차를 위해 일측이 개방되고 탑승자의 몸을 보호하는 보호부재; 상기 보호부재의 일측 개방 부분에 개폐 가능한 형태로 설치되고 상기 탑승자의 외부 이탈을 방지하는 안전부재; 및 상기 보호부재의 상부에 상기 연결부와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고리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연결부의 연결 위치를 지정하는 연결홈부재; 조작패널; 상기 탑승부에 탑승한 상기 영유아의 무게를 측정하는 센서 및 파지한 사용자의 상체 또는 하체를 이용한 승하강 동작 및 팔운동 반복 횟수를 측정하는 센서를 포함하고 측정된 무게와 운동 반복 횟수에 기초한 소모 칼로리를 산출하는 측정부재; 상기 측정된 영유아의 무게 및 상기 사용자의 운동 반복 횟수와 소모 칼로리를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인지하도록 표시하는 표시부재; 다수의 음원들을 저장하고 저장된 음원들을 랜덤하게 또는 상기 조작패널을 통해 사용자 조작에 의해 선택된 음원을 재생하여 외부로 사운드 출력하는 사운드부재; 및 사용자 단말과 연동하여 상기 측정부재에 의해 측정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통신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유아 탑승이 가능한 다기능 운동기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끈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탑승부와 상기 손잡이부 사이에 십일(11)자 형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유아 탑승이 가능한 다기능 운동기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일단이 상기 탑승부의 상기 연결고리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손잡이부의 상기 연결홈부재에 삽입되는 형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유아 탑승이 가능한 다기능 운동기구.
KR1020190144894A 2019-11-13 2019-11-13 영유아 탑승이 가능한 다기능 운동기구 KR1022682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4894A KR102268289B1 (ko) 2019-11-13 2019-11-13 영유아 탑승이 가능한 다기능 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4894A KR102268289B1 (ko) 2019-11-13 2019-11-13 영유아 탑승이 가능한 다기능 운동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8010A KR20210058010A (ko) 2021-05-24
KR102268289B1 true KR102268289B1 (ko) 2021-06-25

Family

ID=761526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4894A KR102268289B1 (ko) 2019-11-13 2019-11-13 영유아 탑승이 가능한 다기능 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828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00206A (ja) * 2013-06-17 2015-01-05 ソフトバンクモバイル株式会社 運動器具
US20150265066A1 (en) * 2014-03-19 2015-09-24 Scott KRASS Multifunction baby carrier exercise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BO20100307A1 (it) * 2010-05-17 2011-11-18 Roberto Piga Macchina ginnica portatile
KR20130047709A (ko) 2013-03-26 2013-05-08 주식회사 라스카랜드 자유 스윙 놀이 기구
KR101591243B1 (ko) 2015-06-19 2016-02-03 박영식 다기능 유아돌보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00206A (ja) * 2013-06-17 2015-01-05 ソフトバンクモバイル株式会社 運動器具
US20150265066A1 (en) * 2014-03-19 2015-09-24 Scott KRASS Multifunction baby carrier exercise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8010A (ko) 2021-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3867B1 (ko) Vr을 이용한 개인용 피트니스 머신장치
US8105220B2 (en) Toy device for coordination and movement skill development
CA2274435C (en) Suspended training apparatus
CN103537070A (zh) 站立式平衡训练器及站立式平衡训练方法
KR100869067B1 (ko) 운동 부하 조절이 가능한 전자식 헬스기구
KR102268289B1 (ko) 영유아 탑승이 가능한 다기능 운동기구
WO2017198012A1 (zh) 一种折叠式多功能健身器材
CN107837487B (zh) 一种组合型智能健身器
CN105816987A (zh) 一种带有测试装置的立柱式体育健身器材
KR102168762B1 (ko) 실내 운동기구
Brisben et al. The cosmobot system: Evaluating its usability in therapy sessions with children diagnosed with cerebral palsy
WO2009079599A2 (en) Entertainment and exercise apparatus for children
CN212880924U (zh) 一种感觉统合训练室
CN103381290A (zh) 平衡能力及反应能力锻炼机
KR101347402B1 (ko) 공중걷기 운동기구
KR20210157779A (ko) 모션감지센서 내장 밸런스 운동기구 시스템
KR101797863B1 (ko) 탄성밴드를 이용한 휴대용 운동기구 작동방법
JP2009100992A (ja) ブランコ
CN217163102U (zh) 一种室外平衡训练器
KR102288015B1 (ko) 사용자 맞춤형 스포츠 인터랙션 시스템
JP7178686B2 (ja) トレーニング器具
KR101591243B1 (ko) 다기능 유아돌보미
CN203370227U (zh) 多功能婴幼儿健身器
CN209270743U (zh) 一种健美操力量训练器
CN219941690U (zh) 一种儿童平衡能力训练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