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1243B1 - 다기능 유아돌보미 - Google Patents

다기능 유아돌보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1243B1
KR101591243B1 KR1020150087724A KR20150087724A KR101591243B1 KR 101591243 B1 KR101591243 B1 KR 101591243B1 KR 1020150087724 A KR1020150087724 A KR 1020150087724A KR 20150087724 A KR20150087724 A KR 20150087724A KR 101591243 B1 KR101591243 B1 KR 1015912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tructure
infant
string
support
detachably attac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77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식
박현덕
Original Assignee
박영식
박현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영식, 박현덕 filed Critical 박영식
Priority to KR10201500877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12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12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1243B1/ko
Priority to PCT/KR2016/003224 priority patent/WO201620438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10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10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 B62B9/12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parts that are adjustable, attachable or detach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22Devices for rocking or oscill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지높이가 크게 변경되는 지지구조부, 지지구조부의 하단에 조립되는 다수의 바퀴, 지지구조부의 상단과 유아탑승장치를 연결하는 줄구조부, 줄구조부의 말단에 탈부착 되는 유아탑승장치, 지지구조부에 설치되어 유아탑승장치에 탄성력을 가하며 가하는 탄성력의 조절 기능이 있는 탄성수단, 지지구조부에 탈부착 되는 공용탑승장치, 지지구조부의 하단에 설치되며 바퀴를 회전시키는 전동모터, 지지구조부에 설치되는 다수의 감지센서로 구성되는 감지부, 리모컨신호나 프로그램에 의해 모터를 작동시키는 모터콘트롤러, 전원공급장치, 지지구조부의 중단에 탈부착되며 스마트폰 기능이 있는 컴퓨터로 구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유아가 길 때부터 청소년이 될 때까지 필요한 여러 종류의 기구 구입과 처분에 따른 경제적 손실 방지 효과와 보관에 유익하고, 누운 자세 엎드린 자세 등 다양한 자세의 유아를 높이 들어줄 때와 유아를 안을 때 힘이 거의 들지 않아 노약자도 장시간 스킨쉽이 가능하고 무리 없이 돌볼 수 있으며, 기고 걷고 뛰고 점프하고 공중회전을 하는 것까지 난이도 조절이 가능하므로 성장 속도에 맞추어 효율적인 훈련이 가능하며 난이도가 적절해 재미가 있으며 이동 중에도 유희용 말 타기로 재미있게 운동을 하면서 이동 할 수 있고, 무인 기능을 작동 시키면 유아가 경계구역 안에서만 움직이게 하여 유아가 혼자 기거나 걸어 다니면서 물건을 훼손하고 다치는 사고를 방지 할 수 있으며, 멀리 떨어진 곳에서 일하면서 원격으로 노는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작동을 제어함으로써 장시간 유아를 돌보는데 따른 무리한 노동을 경감시킬 수 있고, 다양한 기능으로 유아가 실증을 적게 내어 유아를 돌보는 어려움이 줄어들고 자유시간을 갖게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다기능 유아돌보미{MULTI FUNCTIONAL INFANT CARING MACHINE}
본 발명은 유아용 전동유모차에 관한 것이다.
유모차, 보행기, 점프기, 세발자전거, 유아용전동차, 로봇, 스마트폰 및 컴퓨터와 관련기술이 배경 기술이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 10-0970610호 및 제 10-05152961호
본 발명은, 유모차의 기본기능에 유아가 길 때부터 청소년이 될 때 까지 유아와 어린이와 보호자에게 필요한 다양한 기능을 추가하는 것으로서, 누운 자세 엎드린 자세 등 다양한 자세의 유아를 노약자도 힘들이지 않고 두 팔로 높이 들어 줄 수 있게 하는 것이 주요 과제이다.
또한, 본 발명은, 유아를 안거나 업고 있을 때 힘이 들지 않아 노약자도 장시간 유아를 안거나 업고 이동할 수 있게 하는 것이 주요 과제이다.
또한, 본 발명은, 다자녀를 탑승 할 수 있게 하는 것이 주요 과제이다.
또한, 본 발명은, 기는 운동, 보행운동, 뛰는 운동, 점프운동, 공중회전운동을 할 수 있게 하고, 각 운동에 난이도 조절기능을 부여 하는 것이 주요 과제이다.
또한, 본 발명은, 요람, 그네, 거꾸리, 철봉, 유희용말타기, 세발자전거 기능을 부여 하는 것이 주요 과제이다.
또한, 본 발명은, 유.무인 전동유모차 기능을 부여하는 것이 주요 과제이다.
또한, 본 발명은, 유모차에서 스마트폰 기능이 내장된 컴퓨터를 이용한 다양한 기능을 사용 할 수 있게 하는 것이 주요 과제이다.
또한, 본 발명은, 실내와 실외에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이 주요 과제이다.
또한, 본 발명은, 분리기능으로 보관에 유리하고 승용차에 싣는 것이 가능하게 하는 것이 주요 과제이다.
지지높이가 변경되는 지지구조부, 지지구조부의 하단에 조립되는 다수의 바퀴, 지지구조부의 상단과 유아탑승장치를 연결하는 줄구조부, 줄구조부의 말단에 탈부착 되는 유아탑승장치, 지지구조부에 설치되어 유아탑승장치에 탄성력을 가하며 가하는 탄성력의 조절 기능이 있는 탄성수단, 지지구조부에 탈부착 되는 공용탑승장치, 지지구조부의 하단에 설치되며 바퀴를 회전시키는 전동모터, 지지구조부에 설치되는 다수의 감지센서로 구성되는 감지부, 리모컨신호나 프로그램에 의해 모터를 작동시키는 모터콘트롤러, 전원공급장치 및 지지구조부의 중단에 탈부착 되며 스마트폰 기능이 있는 컴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유아돌보미가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이다.
본 발명은 유아가 길 때부터 청소년이 될 때까지 필요한 여러 종류의 기구 구입과 처분에 따른 경제적 손실 방지 효과와 보관에 유익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누운 자세 엎드린 자세 등 다양한 자세의 유아를 높이 들어줄 때와 유아를 안을 때 힘이 거의 들지 않아 노약자도 장시간 스킨쉽이 가능하고 무리 없이 돌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기고 걷고 뛰고 점프하고 공중회전을 하는 것까지 난이도 조절이 가능하므로 성장 속도에 맞추어 효율적인 훈련이 가능하며 난이도가 적절해 재미가 있으며 이동 중에도 유희용 말 타기로 재미있게 운동을 하면서 이동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무인 기능을 작동시키고 유아가 경계구역 안에서만 움직이게 함으로써 유아가 혼자 기거나 걸어 다니면서 물건을 훼손하고 다치는 사고를 방지 할 수 있고, 멀리 떨어진 곳에서 일하면서 원격으로 노는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작동을 제어함으로써 장시간 유아를 돌보는데 따른 무리한 노동을 경감시키고, 다양한 기능으로 유아가 실증을 적게 내어 유아를 돌보는 어려움이 줄어들고 자유시간을 갖게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도면으로서,
도 1은 다기능 유아돌보미(이하 돌보미라 함)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2는 돌보미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3은 돌보미 상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돌보미 하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돌보미 탄성수단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돌보미 줄구조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의 (a)는 돌보미 유아탑승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7의 (b)는 돌보미 제2 유아탑승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돌보미 공용탑승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9는 돌보미 제어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돌보미에 의해 구현되는 기능 설명 개념도이다.
도 12의 (a)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정면도이다.
도 12의 (b)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측면도이다.
도 12의 (c)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줄구조부와 탄성수단의 확대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설명 순서는 전체구성을 설명한 후 구성부분별로 상세 구조를 설명하고 구성간 결합관계를 설명 한 후 마지막으로 작동기능을 기본 작동과 기능별 작동으로 설명한다.
전체구성은, 도 2에서 중앙에 다수의 파이프가 연결된 지지구조부(20)가 있고 지지구조부 하단에 전동모터유닛(40)과 앞뒤 바퀴(15,10) 감지부(50)와 밧데리(40) 및 세발자전거 형상의 공용탑승장치(90)가 있으며, 지지구조부 우측에는 유아탑승장치(80)에 탄성력을 가하되, 가해지는 탄성력의 조절이 가능한 탄성수단(30)과 컴퓨터(95)가 있고, 지지구조부 상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줄구조부(60), 줄구조부(60)의 말단에 탈부착 되는 유아탑승장치(80) 및 도 7의 (b)에 있는 제2 유아탑승장치(85)를 포함하면 전체가 구성된다.
다음으로, 상기의 구성부분을 순서별로 설명하면, 다수의 파이프가 연결되어 지지높이를 변경하는 지지구조부(20)는 좌우가 대칭구조이므로 우측의 분해사시도를 중심으로 설명하며 지지대 상단에서 항시 수평상태를 유지하는 파이프를 상부수평지지대(200)라 하고 상부수평지지대(200)와 힌지로 연결되어 회전이동하는 파이프를 상부이동지지대(220)라 하며 상부이동지지대(220)와 힌지로 연결되어 움직이지 않는 파이프를 상부고정지지대(250)라 하며 상부고정지지대(250)에 탈부착되는 하단의 파이프를 하부지지대(270)라 하여 설명한다.
상부수평지지대(200)는 도 3에서 상부와 하부가 라운드 되고 약간의 각이진 파이프(이하 각파이프로 표기)로 된 수평각파이프(201)의 중앙 홀에는 부싱(209)이 조립되고 상하로 수평각파이프(201)와 일체화된 한 쌍의 돌기(211)가 있으며 돌기(211)에 있는 홀(210)에는 줄(208)이 고정 되고 한 쌍의 줄(208,b)은 하부고정지지대의 줄(257,b)에 연결되어 수평각파이프(201)가 항시 수평상태를 유지하게 한다.
또한 수평각파이프(201) 내부에는 소형 도르래(203)가 축(202)에 끼워지고 축(202)은 홀(204)에 조립되며 좌우 말단의 캡(206) 측면에는 축 고정용 홀(205)이 있고 하부에는 줄이 통과하는 사각홀(207)이 있다.
또한, 수평각파이프(201) 내부의 중앙 하단에는 수평각파이프(201) 안으로 들어온 좌우의 줄이 수평각파이프(201) 밖으로 나갈 수 있는 사각홀(212)이 있다.
또한, 상부이동지지대(220)는 도 3에서 삽입된 각파이프가 인출되면서 길이가 변경되는 구조로, 중앙의 수평파이프(221)에는 스토퍼 링(222)이 용접되고 말단의 한편은 오른나사 다른 한편에는 왼나사가 가공된다.
또한, 상측면각파이프(225) 상부 말단에는 캡이 끼워지고 그 아래 홀에는 내부에 암나사가 가공된 연결캡(223)이 용접되고 여기에 수평파이프(221)가 조립된다. 또한, 윗면에는 V자 형상의 홈(224)이 다수 있으며, 하부 말단에는 각파이프가 원활하게 움직이는 기능의 가이드(226)가 작은볼트로 고정된다.
또한, 하측면각파이프(231) 상단 윗면에는 삽입된 파이프를 고정시키는 고정버튼(228)이 조립되는데 고정버튼(228)은 왼쪽으로 밀면 스프링 끝에 달린 철편이 V홈에서 위로 올라와 고정이 풀리고 오른쪽으로 원상회복하면 고정된다.
또한, 각파이프 내부에는 가이드(227)가 작은볼트로 고정되며, 하부 말단에는 구조보강용 캡(233)이 고정되고 내부에 부싱(232)이 조립된다.
또한, 중앙의 고정파이프(229)가 좌우 각파이프에 용접되어 구조를 견고하게 한다.
또한, 상부고정지지대(250)는 도 3에서 경사지게 서있는 고정측면각파이프(258), 상부 말단에 캡이 끼워지고 그 아래에 홀(254)이 있으며 우측에는 손잡이파이프(253)가 작은나사로 고정된다.
또한, 중앙의 축파이프(251) 말단에는 스토퍼 링(252)이 용접되고 나사가 가공되며 여기에 조립되는 연결캡(255)은 각파이프 홀에 용접된다.
또한, 연결캡 상하로 한 쌍의 작은 홀(256)이 있으며 이곳에 수평지지대용 줄(257)이 고정되고 말단에는 베이스플레이트(260)와 구조보강용 리브(261)가 용접되고 리브 후미에는 고정링(259)이 용접된다.
또한, 하부지지대(270)는 도 4에서 후단각파이프(272)의 측면에 외측면각파이프(275)가 직각으로 용접되고 윗면에는 고정링(276) 2개와 고정홈(274)이 돌출 상태로 용접되고, 후단각파이프(272)와 외측면각파이프(275)에 대각선 방향으로 내측면각파이프(273)가 용접되어 직각삼각형 형상을 이루며, 두 개의 내측면각파이프(273) 사이에는 뚜껑이 있는 상자형태의 밧데리케이스(271)가 작은나사로 고정된다.
또한, 내측면각파이프(273) 윗면에는 삽입된 파이프를 고정시키는 고정버튼(278)이 있고 파이프 내부에는 다수의 V자 홈(282)이 있는 전단측면각파이프(281)가 삽입되며 삽입된 전단측면각파이프(281)가 원활히 움직이도록 하는 가이드(279,280)가 각각의 전단측면각파이프(281)에 작은 볼트로 고정된다.
또한, 지지높이가 크게 변경되는 지지구조부(20)는 복수의 파이프가 서로에 대해 상대적 이동이 가능하도록, 힌지 방식으로 상호 연결되는 구조 및 큰 직경의 파이프 및 상기 큰 직경의 파이프에 삽입되는 작은 직경의 파이프를 포함하되, 큰 직경의 파이프에 대해 작은 직경의 파이프가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구조 중 하나 이상의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지지구조부(20)의 핵심기능 중 하나인 지지높이 변경 방식은 상기의 일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파이프가 힌지 방식으로 연결되어 움직이면서 지지높이를 변경 시키는 방식과 큰 직경의 파이프에 삽입된 작은 직경의 파이프가 인출되면서 지지높이를 변경 시키는 방식을 복합으로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두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만으로 지지높이를 변경할 수 있으며, 하나의 방식으로만 지지높이를 변경하여도 주요 기능은 동일하다.
또한, 청구항 1항에서 “지지높이를 크게 변경시키는 지지구조부”에서 크게 변경시킨다는 의미는 서 있는 유아의 키 높이에서 성인의 키 높이에 달할 정도로 변경 폭이 일반적인 유아용 기구의 상하 작동이나 변동 폭보다 훨씬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의 지지구조부(20)의 주요 구성 자재는 카본파이프, 알미늄합금파이프, 알미늄파이프, 스텐레스스틸파이프, 철재파이프, 합성수지파이프 등이 모두 가능하며 필요에 따라 적절히 혼합사용하여도 된다.
바퀴(10,15)는 도 4에서 뒷바퀴(10)가 있고 여기에 조립하는 실내용 바퀴캡(101)이 있는데 합성수지로 약간의 탄성이 있고 연결부위에는 한 쌍의 고정돌기(102)가 있으며 고정돌기는 밀어주면 끼워지고 분리 할 때에는 걸린 부분이 들어 지면 분리가 되는 구조로 실외에서 사용하다 더러워진 바퀴(10, 15)를 실내에서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방향조절이 되는 앞바퀴(15)가 있고 앞바퀴(15)에 조립되는 실내용 바퀴캡(151)은 크기만 약간 작고 구조와 기능은 뒷바퀴(10)와 같다.
감지센서(50)는 도 3에서 전단측면각파이프 전단에 작은나사로 고정되는 좌우센서(501)에는 자력센서 1개와 근접센서 1개가 내장되어 있어 제한하고자 하는 경계구역에 설치한 자력경계선에 접근하거나 또는 벽과 같은 장애물에 접근하는 것을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모터콘트롤러로 보내고, 후단각파이프에 고정되는 중앙센서(502)에는 자력센서 2개와 근접센서 1개가 내장되어 자력센서는 자력선을 따라 움직이는데 사용되며, 근접센서는 후진 장애물을 감지하는데 사용된다.
전동모터유닛(40)에는 전동모터와 감속기 및 모터콜트롤러가 내장되어 있는데 감속기로 인해 저속이나 토르크가 크다 모터콘트롤러는 리모컨이나 제어프로그램에 의해 작동되어 전동모터의 회전속도를 조절하게 되며 제어프로그램은 컴퓨터에서 작성해 케이블을 통해 모터콘트롤러로 다운해 사용 된다.
상기와 같이 리모컨이나 제어프로그램에 의해 작동되는 전동모터유닛은 종래의 다양한 기성제품에 사용되고 있는데, 예시적으로 전동스케이드보드, 로봇 등을 들 수 있다.
밧데리(70)는 충전용 밧데리로 전기.전자장치의 전원으로 사용되며 밧데리와 같은 직류전원을 공급하는 유선전원으로도 사용이 가능하다
공용탑승장치(90)는 도 8에서 유아나 어린이 또는 보호자가 공용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기존의 세발자전거에서 뒷바퀴 부분을 제거한 형태이며 프레임(908)에 좌석의 고정위치를 바꿀 수 있도록 다수의 좌석 연결구(907,911)가 있고 하단에는 연결용 링(909)과 핀(910)이 있다.
또한, 프레임 중간에는 유아용 발걸이(912)가 있고 상부에는 좌석(906)과 다수의 고정용 홀(905)과 핀(903)이 있으며 좌석 후미에는 등받이(904)와 안전벨트(902)가 있고 앞에는 크랭크와 페달이 있는 앞바퀴(913)가 있고 핸들고정구(914)로 높이가 조절되는 핸들(915)이 있으며 핸들(915) 끝에는 줄 고정용 링(916)이 있다.
또한, 탄성수단(30)은 도 5에서 손잡이가 달린 압축고정구(301)는 고정박스(304)에 핀(303)으로 조립되며 압축판(302)은 고정박스의 작은 홈에 끼워져 힌지 상태로 움직인다.
스프링(308) 좌측에는 링(307)이 형성되고 링에는 연결줄(305)이 끼워져 고정쇠(306)로 고정되고 연결줄(305)의 다른 한편은 압축고정구(301) 외부에 걸어놓는다.
또한, 스프링(308) 외부에는 보호용 파이프(315)가 끼워지고 우측 내부에는 너트(309)가 삽입 고정되고 너트에는 회전볼트(310)가 조립되며 회전볼트(310) 우측 말단에는 아이볼트(312)와 핸들(311)이 조립되며 핸들(311)은 세트볼트로 고정되고 아이볼트(312)는 부싱(313)이 조립된 채 고정측면각파이프의 홀을 관통한 후 너트(314)가 조립되는데, 조립된 부싱(313)이 고정측면각파이프 보다 길어 너트(314)가 고정측면각파이프에 접촉하지 않아 아이볼트(312)가 고정되지 않고 회전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의 일 실시예에 적용된 스프링(308)은 압축스프링이나 에어스프링 또는 고무줄과 같은 탄성부재로 대체되어도 기능과 작동은 동일하다.
컴퓨터(95)는 도 3에서 축파이프(251)에 고정밴드(951)로 고정되며 고정밴드(951)와 일체화된 프렉시블파이프(952) 끝에는 고정장치(953)가 있는 거치대(955)에 컴퓨터(954)가 조립되어 프렉시블파이프(952)의 방향을 틀어가며 보호자와 유아가 공용으로 사용가능하다.
또한, 컴퓨터에는 스마트폰기능이 있어 기존에 개발된 매우 다양한 앱을 사용할 수 있어 각종 소리, 그림, 동영상 등을 통하여 다양한 놀이기능과 교육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보호자가 갖고 있는 별도의 스마트폰을 이용하면 화상통화와 원격 모니터링이 되며, 스마트폰에 사용되는 로봇모션제어 앱이 개발 보급되어 스마트폰으로 전동모터의 원격조정이 가능하다.
한편, 줄구조부(60)는 도 6에서 줄(601)은 안전벨트(902)보다 폭이 좁고 두꺼운 편이며 줄 끝에는 입구(604)가 개폐 되는 연결용 링(603)이 있어 유아탑승장치(80, 85)를 신속하게 탈 부착할 수 있으며, 줄고정구는 고정파이프(229) 좌우에 각각 용접되어 있는데 구조는 베이스판(651)이 있고 베이스판(651) 앞과 뒤에 두 개의 줄이 각각 통과하도록 하는 가이드(654)가 있고 좌우로 2개의 지지판(653)에 손잡이가 달린 부채꼴형상의 압축판(652)이 조립되어 베이스판(651)과 압축판(652)사이에 위치한 2개의 줄(601)은 손잡이를 누르면 줄(601)이 압축 고정되고 손잡이를 위로 들면 줄(601)의 고정이 풀린다.
또한, 유아탑승장치(80,85)는 도 7의 (a)와 (b) 2종으로, 제1 유아탑승장치(80)는 상의(801)와 하의(803) 후면과 측면이 붙어 있고 전면의 밑받침띠(804)에는 길이조절 기능의 연결구(805)와 잠금장치(806)가 있어 상의 좌우측에 연결되며, 상의에는 줄 끝에 암수 한 쌍의 잠금장치가 달린 줄(808)이 다수 있으며 상하의 좌우측에 재봉된 띠(807) 위에는 고리를 거는 다수의 링(802)이 있다.
또한, 제2 유아탑승장치(85)는 일반적인 유아용카시트(851)에 다수의 링(852)이 부착된 것이다. 유아탑승장치(80, 85)로 2종을 설명했지만 요람 그물망 다양한 형상의 장난감 등 줄에 매달아 유아가 탑승가능하고 무게만 너무 무겁지 않으면 모두 유아탑승장치로 줄에 매달아 사용할 수 있다.
도 9는 전기.전자장치의 제어부분에 대한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로서 블록도의 전원부는 밧데리(50)가 되고, 프로그램 입력부는 컴퓨터(95)가 되며, 감지부는 다수의 감지센서로 구성되는 감지부(50)가 되고, 구동모터는 전동모터유닛(40)의 전동모터가 되며, 제어부와 리모컨수신부는 전동모터유닛(40)에 내장된 모터콘트롤러가 되고, 사용자는 프로그램을 선택하여 작동을 시작하며 작동 중간에 리모컨 신호나 감지센서에 의한 신호가 입력되면 프로그램에 의해 신호입력에 따른 작동을 하게 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원하는 대로 수정하여 모터콘트롤러로 다운하여 사용된다.
다음으로, 상기 구성간의 결합관계를 설명하면
도 2 내지 도 9에서 하부지지대(270)의 고정홈(274)에 상부고정지지대(250)의 베이스플레이트(260) 전면을 끼우고 고정링(276,259)에 핀(277)을 끼우면 하부지지대(270)위에 상부고정지지대(250)가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부고정지지대(250)의 축파이프(251)에 상부이동지지대(220)의 부싱(232)이 조립됨으로써 상부이동지지대(220)가 힌지 상태로 연결되고, 상부이동지지대(220)의 수평파이프(221)에 상부수평지지대(200)의 부싱(209)이 조립되어 상부수평지지대(200)가 힌지 상태로 연결되므로 4개 지지대가 결합된다.
앞바퀴(15)는 하부지지대(270)의 하단에 볼트로 고정되고 뒷바퀴(10)는 전동모터유닛(40)의 축에 조립된다.
감지부(50)의 감지센서는 하부지지대(270)의 전단과 후단에 볼트로 고정된다.
전동모터유닛(40)은 하부지지대(270)의 우측하단에 볼트로 고정된다.
밧데리(50)는 하부지지대(270)의 밧데리케이스(271)에 넣어 지고, 공용탑승장치(90)는 프레임(908)의 후단이 하부지지대(270)의 후단에 핀으로 고정되거나 또는 줄구조부(60)에 매달리게 된다.
탄성수단(30)은 좌측의 고정박스(304)가 상부이동지지대(220) 하단에 끼워져 압축고정구(301)로 고정되고 우측의 아이볼트(312)는 상부고정지지대(250)의 홀에 너트로 조립된다.
컴퓨터(95)는 축파이프(251)에 고정밴드(951)로 고정된다.
줄구조부(60)의 줄(601)은 유아탑승장치(80, 85)의 링에 고정된 후 수직으로 올라와 상부수평지지대(200)의 사각홀(207)을 통과하여 도르래(203)를 거처 사각홀(212)로 나와 줄고정구에 고정된다.
유아탑승장치(80)는 4개의 줄을 좌우 전후의 링에 연결한다.
제2 유아탑승장치(85)도 4개의 줄을 링에 연결하여 사용한다.
다음으로, 기본작동을 설명하면
도 4에서 하부지지대(270)는 고정버튼(278)을 왼쪽으로 밀고 삽입된 파이프를 당기거나 밀어 넣어 신축을 시킨 후 고정버튼(278)을 오른쪽으로 원상회복해 놓으면 고정이 되며 도 3의 상부이동지지대(220)도 상기와 동일하다.
줄구조부(60)의 줄(601)은 당기거나 놓아서 필요한 길이로 조절한 후 압축판(652)의 손잡이를 누르면 고정되고 손잡이를 들면 고정이 풀린다.
탄성수단(30)의 좌측은 스프링 탄성력을 크게 또한 신속하게 변경하는 장치로 압축고정구(301)의 손잡이를 밀면 회전이 되면서 압축이 해제되며 손잡이를 더 밀면 연결줄을 통해 스프링(308)이 크게 당겨지고 탄성력이 적절하다고 대략 느껴지면 밀던 손잡이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고정을 한다.
우측의 핸들(311)은 상기에서 대략 조절한 탄성력을 미세하게 조절하는 것으로 핸들(311)을 돌리면 회전볼트(310)에 의해 스프링(308)이 당겨지거나 이완되면서 탄성력이 조절된다.
유아에게 운동을 시키기 위해서는 유아탑승장치(80)를 유아에게 착용시킨 후 상부수평지지대(200)에서 내려온 4개의 줄을 유아탑승장치의 링(802)에 거는데, 어깨부위 좌우 전후의 링(802)에 걸면 안정적으로 매달리게 되고 무게중심 부근인 배와 가슴 사이의 좌우 전후의 링(802)에 걸면 보행이나 점프할 때 몸이 더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으며 어깨와 히프위치에 줄을 걸면 경사지게 누운 상태가 되고 어깨 후면과 히프부분에 줄을 걸면 유아가 엎드린 상태로 매달리게 되므로 용도에 따라 적절한 위치에 링(802)을 건다.
압축판(652)을 통과한 줄(601)을 잡아당겨 용도에 적절한 길이에서 줄(601)을 고정시킨 후, 상부이동지지대(220)를 한손으로 들어 원하는 높이까지 든 후 다른 한손으로 압축고정구(301)의 손잡이를 밀어 압축을 풀고 더 밀어서 스프링(908)의 탄성력과 유아의 무게가 평형을 이루는 근방에서 손잡이를 당겨 압축 고정하고, 우측의 핸들(311)을 돌려 탄성력을 미세 조정한다.
유아무게와 탄성력이 평형을 이룬 상태에서 스프링(908)을 당기는 쪽으로 핸들(311)을 돌리면 유아는 공중에 뜨게 되어 운동을 할 수 없게 되므로 다시 스프링(908)을 이완시키는 방향으로 돌리면
무중력상태와 비슷하게 되어 유아는 적은 팔 힘이나 다리 힘으로도 운동을 할 수 있게 되고 보호자가 유아를 드는데 거의 힘이 들지 않는다.
핸들(311)을 더 돌려 스프링(908)을 더 이완시키면 몸무게가 점차 증가 하는데 작용하중이 커지면 그만큼 운동하기가 어려워지므로 이러한 방법을 이용하여 난이도를 조절한다.
다음으로, 기능별 작동을 보면
1. 유모차, 2. 안거나 업기, 3. 두 팔로 높이 들어 주기, 4. 기는 운동, 5. 보행운동, 6. 뛰는 운동, 7. 점프운동, 8. 공중회전운동, 9. 요람, 10. 그네, 11. 거꾸리, 12. 철봉, 13. 유희용 말, 14. 세발자전거, 15. 유.무인 전동유모차, 16. 컴퓨터로 화상통화하며 원격으로 내장된 프로그램을 가동시켜 다양한 기능 작동, 17. 기타가 있다.
하나씩 세부 작동을 살펴 보면 이하와 같다.
1. 유모차; 제2 유아탑승장치(85)를 도 10의 (a)와 같이 줄구조부(60)의 줄(601)에 매달고 이동하면 일반 유모차 기능이 되며 줄(601)의 길이를 조절하면 제2 유아탑승자치(85)의 각도가 조절된다.
아래의 2 내지 11은 도우미에 유아탑승장치(80, 85)를 설치하고 내부에 공용탑승장치(90)가 조립되지 않은 상태에서 작동하는 것이다.
2. 안거나 업기; 유아를 키우는데 안거나 업어주는 스킨쉽은 대단히 중요하나 오래하기 힘들므로, 유아탑승장치(80)를 유아에게 착용하고 4개의 줄(601)을 짧게 연결하고 탄성력과 유아의 무게가 평형이 되게 한 후 유아를 안으면 보호자에게는 유아의 무게가 거의 전가되지 않아 오래도록 안을 수 있고 상하로 조금씩 움직여 주는 것이 탄성수단(30)에 의해 자연스럽게 되며 같은 방법으로 등으로 업어 주어도 안는 것과 유사하게 된다.
또한, 서서 안은 상태에서 도우미를 밀고 이동해도 되고, 도우미 안쪽에 공용탑승장치(90)가 조립 되어 있을 때는 앉아서 공용탑승장치(90)를 작동하여 이동 할 수 있다.
또한, 줄(601)에 오래 매달려 있어 자기무게의 반작용으로 히프근육에 압박감을 느끼게 되면 줄(601)의 고정위치를 바꾸어 경사진 자세가 되게 하거나 누운 자세 또는 엎드린 자세로 변경하면 근육의 압박감이 해소되고 지루함이 적어저서 오래 사용할 수 있게 된다.
3. 두 팔로 높이 들어주기; 유아를 두 팔로 높이 들어주면 높이 올라갈 때의 속도감과 높은 위치에서의 느낌으로 유아들이 매우 좋아 하지만 노약자들은 힘들어 하기 어려우나 상기 2번의 경우와 같이 하되 유아를 중간 높이에 매달린 상태에서 탄성력과 유아무게가 평형을 이루는 상태가 되게 하면 노약자도 아주 손쉽게 힘들이지 않고 두 팔로 유아를 번쩍 들어 올릴 수 있다. 또한 줄(601)의 고정위치를 바꾸어 누운 자세 등 여러 자세에서도 높이 들어 줄 수 있는데 누운 자세나 엎드린 자세에서 높이 들어주면 서있는 상태에서 높이 들어 준 것 보다 훨씬 큰 쾌감을 줄 것이며 누운 상태에서 빠른 속도로 상하로 움직여 주면 유아는 놀이공원의 놀이시설을 탄 것 같아 지루함이 없이 오래 사용할 수 있게 된다.
4. 기는 운동; 아직 팔 힘이 부족하여 스스로 기지 못하는 상태에서 바닥에 놓아두면 유아에게는 기는 것이 힘들어 길 생각을 하지 않게 되지만 이 장치를 이용 탄성력을 높여 바닥에 닿는 부분이 적게 하면 유아에게 작용하는 하중이 작게 되어 작은 힘으로도 길수 있게 되어 유아가 기고 싶은 대로 움직여지므로 유아는 계속해서 기어가게 되어 팔운동을 시킬 수 있다.
또한, 무인기능 사용 시는 사전에 마그네트 테이프로 표시해 놓은 경계선에 오면 센서에 의해 감지되고 프로그램에 의해 돌보미를 일정각도 회전시킨 후 다시 기어가기를 반복하게 하여 일정구역을 벗어나지 못하게 하므로 유아의 방치에 의한 사고를 방지 할 수 있다.
5. 보행운동; 유아의 몸무게에 가깝게 탄성력을 조정해 놓은 상태에서 탄성력을 조금만 낮추면 유아에게는 작은 무게가 작용되어 유아는 쉽게 보행을 할 수 있게 되고 자꾸 걷게 되면 운동이 된다.
한편, 무인기능을 사용할 때는 상기 4의 경우와 같다.
6. 뛰는 운동; 탄성력을 유아무게와 거의 같게 하고 걸으면 상하로 천천히 진동을 하며 걷게 되는데 이때 뒤에서 유모차를 밀어주면 상하 진동을 받으며 마치 우주인이 달에서 뛰는 것처럼 점프하며 뛰어 갈 수 있게 된다.
7. 점프운동; 탄성력을 몸무게에 가깝게 조절해 놓으면 점프가 매우 쉽게 되며 탄성주기에 맞추어 점프를 계속하면 진폭이 점점 커 유아의 키를 넘는 높은 점프도 할 수 있게 된다.
8. 공중회전운동; 4개의 줄(601)을 허리 무게중심 근처에 걸고 상하 진동주기에 맞추어 점프를 계속하다가 마지막에 구르며 뒤로나 앞으로 공중회전을 시도 하면 몸무게가 대부분 탄성력에 의해 상쇄되고 공중에서 머무는 시간이 길고 무게 중심 근처에 줄(601)이 걸려 약간의 회전력만 가해도 쉽게 공중회전을 할 수 있게 되고 착지 할 때도 충격이 없다.
9. 요람; 4개의 줄(601)의 길이를 조절하여 제2 유아탑승장치(85)가 수평이 되도록 한 후 여기에 유아를 누이고 조금씩 흔들어 주면 된다.
또한, 무인기능 사용 시는 프로그램에 의해 돌보미를 전후로 움직이게 하면 유아는 관성에 의해 요람을 흔들어 주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느끼게 된다.
10. 그네; 유아탑승장치(80)에 매달려 전후로 구르면 일반 그네와 동일하며
자세를 다양하게 바꾸어서 할 수도 있다.
11. 거꾸리; 4개의 줄(601) 또는 2개의 줄(601)을 허리 무게중심 근처에 걸고 물구나무서기를 하면서 팔을 아래로 늘어뜨리면 쉽게 거꾸로 서 오래도록 있을 수 있으며 일어 날 때는 반동을 이용하여 일어난다.
12. 철봉; 4개의 줄(601)을 최대한 당겨 고정한 후 상부이동지지대(220)의 수평파이프(221)를 어린이의 키에 맞춘 후 철봉운동을 하면 된다.
또한, 탄성력이 작용되게 하면 상하 진동기능이 추가되어 평범하지 않은 철봉이 된다.
13. 유희용 말; 도 10의 (d)와 같이 공용탑승장치(90)를 줄(601)에 매달고 이동할 때 탄성 강도를 매달린 무게 보다 약간만 강하게 하고 유아가 탑승하여 상하로 구르면 탄성수단(30)에 의해 상하로 진동을 하게 되며 동시에 보호자가 앞으로 밀고 가면 탑승자는 마치 말을 타고 앞으로 가는 것처럼 느끼게 된다.
14. 세발자전거; 도 11의 (e)와 같이 공용탑승장치(90)를 도우미 내부에 조립하고 지지구조부(20)를 최대한 접어 위로 들어 고정시키고 상부의 4개의 줄(601) 중 2개는 최대한 위로 당겨 놓고 2개의 줄(601)은 손잡이파이프를 돌아서 공용탑승장치(90)의 핸들(915)의 끝에 달린 링에 고정시키고 유아를 탑승시킨 후 유아에게 안전벨트(902)를 채우고 발걸이(912)에 발을 놓게 하고 뒤에서 보호자가 손잡이파이프(253)를 밀고 가면서 좌우 2개의 줄(601)로 공용탑승장치(90)의 핸들(915) 방향을 조절하여 가면 유아용세발자전거 기능이 된다.
15. 유.무인 전동유모차; 모터콘트롤러의 전원을 켜고 리모컨으로 작동시키면 유인 전동유모차가 되고, 프로그램으로 도우미를 작동시키면 무인 전동유모차가 되며, 스마트폰의 화상통화 기능을 이용하여 유아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거나 화상통화를 통해 보호자의 얼굴을 보게 하면 혼자 있는 유아에게 불안감을 덜어주고, 컴퓨터(95)의 원격조작 프로그램을 이용하면 보호자가 음악 등 다양한 기능을 원격으로 작동 할 수 있다.
16. 놀이 및 교육; 컴퓨터(95)의 터치스크린을 유아가 터치하게 하거나 또는 보호자가 원격 작동시키면 사전에 입력된 프로그램에 따라 놀이나 교육효과가 있는 음악이나 효과음 동영상 등이 작동된다.
일반장난감에서 나는 멜로디나 음악은 대부분 내용이 단순해 일정기간 지나면 싫증을 내어 사용하지 않게 되는 경우가 많지만 컴퓨터를 이용하면 방대한 양의 프로그램을 할용 하여 싫증이 잘나지 않으며 게임이나 동영상 등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유아에서 어린이 까지 놀이나 교육이 가능하다.
17 기타; 상부고정지지대(250)를 하부지지대(270)에서 분리하여 접으면 보관에 유리하고 승용차에 싣는 것이 가능하며 실외에서 사용하다 실내 사용 시는 더러워진 바퀴(10, 15)에 실내용 바퀴캡(101, 151)을 씌워 사용하므로 실내외 사용이 가능하다.
한편 도 12는 본 돌보미의 제2실시 예로서 (a)는 정면도 (b)는 측면도 (c)는 줄구조부와 탄성수단의 확대도로서, 구성요소와 기능은 동일하나 구성요소의 구체적인 구조가 약간 변형된 것으로 변형된 부분만 설명하자면 이하와 같다.
지지구조부(20)가 수직으로 인출되는 파이프에 의해서 만 지지높이가 변경된다. 또한, 줄구조부(60)의 줄이 2개의 줄만 사용한다. 또한, 바퀴(10)와 전동모터유닛(40)의 크기가 작아 진다. 또한, 탄성수단(30)의 스프링 구조와 탄성력의 조절방법이 달라진 것이다. 또한, 공용탑승장치(90)와 컴퓨터(95)는 미도시 하였으나 동일하게 탈부착 가능하다.
작동방법은 지지높이를 변경하기 위하여 수직으로 파이프를 인출하여 높이를 변경하고, 스프링의 탄성력을 변경하기 위해 고정핀을 스프링의 중간 중간에 있는 링 중 하나의 링에 끼워 파이프에 고정되게 하므로 작동하는 스프링의 길이가 변하여 탄성력이 조절되는 것이며, 줄구조부(60)는 고정식도르래와 스프링 상단에 달린 이동식 도르래를 거처 줄고정구를 통과한 줄을 당겨서 적절한 길이가 되면 고정하는 것으로 다른 내용은 제 일 실 예와 동일하다.
10: 뒷바퀴 15: 앞바퀴
30: 탄성수단 40: 전동모터유닛
50: 감지부 60: 줄구조부
70: 밧데리 80: 유아탑승장치
85: 제2 유아탑승장치 90: 공용탑승장치
95: 컴퓨터 101: 바퀴캡
102: 걸림돌기 151: 바퀴캡
152: 걸림돌기 182: 홈
200: 지지구조부의 상부수평지지대 201: 수평각파이프
202: 축 203: 도르래
204: 홀 206: 캡
207: 사각홀 208: 줄
209: 부싱 210: 돌기홀
211: 돌기 212: 사각홀
220: 지지구조부의 상부이동지지대 221: 수평파이프
222: 링 223: 연결캡
224: 홈 225: 상측면각파이프
226: 가이드 227: 가이드
228: 고정버튼 229: 고정파이프
230: 리브 231: 하측면각파이프
232: 부싱 233: 구조보강용캡
250: 지지구조부의 상부고정지지대 251: 축파이프
252: 링 253: 손잡이파이프
254: 홀 255: 연결캡
256: 홀 257: 줄
258: 고정측면각파이프 259: 고정링
260: 베이스플레이트 261: 리브
270: 지지구조부의 하부지지대 271: 밧데리케이스
272: 후단각파이프 273: 내측면각파이프
274: 고정홈 275: 외측면각파이프
276: 고정링 277: 고정핀
278: 고정버튼 279: 가이드
280: 가이드 281: 전단측면각파이프
301: 압축고정구 302: 압축판
303: 핀 304: 고정박스
305: 연결줄 306: 고정쇠
307: 링 308: 스프링
309: 너트 310: 회전볼트
311: 핸들 312: 아이볼트
313: 부싱 314: 너트
315: 파이프 501: 감지센서
502: 감지센서 601: 줄
602: 고정쇠 603: 연결용 링
604: 입구 651: 베이스판
652: 압축판 653: 지지판
654: 가이드 801: 상의
802: 링 803: 하의
804: 밑받침띠 805: 연결구
806: 잠금장치 807: 띠
808: 줄 851: 유아용카시트
852: 링 853: 잠금장치
854: 안전벨트 901: 잠금장치
902: 안전벨트 903: 핀
904: 등받이 905: 홀
906: 좌석 907: 연결구
908: 프레임 909: 링
910: 핀 912: 발걸이
913: 앞바퀴 914: 핸들고정구
915: 핸들 916: 링
951: 고정밴드 952: 플렉시블파이프
953: 고정장치 954: 컴퓨터
955: 거치대

Claims (9)

  1. 지지높이가 크게 변경되는 지지구조부;
    상기 지지구조부의 하단에 조립되는 다수의 바퀴 중 하나 이상의 바퀴가 방향전환이 되는 구조의 바퀴;
    줄의 한쪽 끝이 지지구조부의 상단에서 아래로 내려와 전 방향으로 자유롭게 움직이는 것이 가능하고 다른 한 끝은 줄고정장치에 연결되는 다수의 줄과, 줄의 고정 위치를 조절함으로서 아래로 내려오는 줄의 길이를 조절하는 줄고정장치로 이루어진 줄구조부;
    상기 줄구조부에서 아래로 내려오는 줄의 말단에 탈부착 되며, 줄에 탈부착되는 다수의 연결수단이 있어 줄이 연결되는 위치와 줄의 길이 조절에 따라 경사각도가 조절되는 구조의 유아탑승장치;
    상기 지지구조부에 설치되어 상기 유아탑승장치에 탄성력을 가하되, 가해지는 탄성력의 조절이 가능한 탄성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유아돌보미.
  2. 지지높이가 크게 변경되는 지지구조부;
    상기 지지구조부의 하단에 조립되는 다수의 바퀴;
    상기 지지구조부의 상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줄구조부;
    상기 줄구조부의 말단에 탈부착 되는 유아탑승장치;
    상기 지지구조부에 설치되어 상기 유아탑승장치에 탄성력을 가하되, 가해지는 탄성력의 조절이 가능한 탄성수단; 및
    상기 지지구조부에 탈부착 되는 공용탑승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유아돌보미.
  3. 지지높이가 크게 변경되는 지지구조부;
    상기 지지구조부의 하단에 조립되는 다수의 바퀴;
    상기 지지구조부의 상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줄구조부;
    상기 줄구조부의 말단에 탈부착 되는 유아탑승장치;
    상기 지지구조부에 설치되어 상기 유아탑승장치에 탄성력을 가하되, 가해지는 탄성력의 조절이 가능한 탄성수단;
    상기 지지구조부의 하단에 설치되며 상기 바퀴를 회전시키는 전동모터;
    상기 지지구조부에 설치되는 다수의 감지센서로 구성되는 감지부;
    리모컨신호나 프로그램에 의해 모터를 작동시키는 모터콘트롤러; 및
    전원공급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유아돌보미.
  4. 지지높이가 크게 변경되는 지지구조부;
    상기 지지구조부의 하단에 조립되는 다수의 바퀴;
    상기 지지구조부의 상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줄구조부;
    상기 줄구조부의 말단에 탈부착 되는 유아탑승장치;
    상기 지지구조부에 설치되어 상기 유아탑승장치에 탄성력을 가하되, 가해지는 탄성력의 조절이 가능한 탄성수단;
    상기 지지구조부의 하단에 설치되며 상기 바퀴를 회전시키는 전동모터;
    상기 지지구조부에 설치되는 다수의 감지센서로 구성되는 감지부;
    리모컨신호나 프로그램에 의해 모터를 작동시키는 모터콘트롤러;
    전원공급장치; 및
    상기 지지구조부의 중간에 탈부착되며 스마트폰 기능이 있는 컴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유아돌보미.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지지높이가 크게 변경되는 상기 지지구조부는,
    (a) 복수의 파이프가 서로에 대해 상대적 이동이 가능하도록, 힌지 방식으로 상호 연결되는 구조; 및
    (b) 큰 직경의 파이프 및 상기 큰 직경의 파이프에 삽입되는 작은 직경의 파이프를 포함하되, 상기 큰 직경의 파이프에 대해 상기 작은 직경의 파이프가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구조 중 하나 이상의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유아돌보미.
  6.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수단은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는 코일스프링, 에어스프링 및 고무줄 중 하나 이상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유아돌보미.
  7. 삭제
  8. 삭제
  9.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아탑승장치는,
    천과 띠로 구성되고, 상의의 전면이 분리되고, 팔부분과 목에 관통용 홀이 있고, 후면과 측면이 하의에 붙은 상의;
    상의 좌우에 붙어 분리된 상의 전면을 연결해 주는 다수의 잠금장치;
    천과 띠로 구성되고, 다리부분에 관통용 홀이 있는 하의;
    하의 하부에 띠의 한편이 고정되고, 띠의 다른 한편에 길이 조절기능의 연결구와 잠금장치가 있어 하의 전면을 상의에 연결해 주는 밑받침띠; 및
    상하의 상하 전후좌우에 구비된 다수의 연결수단인 링; 으로 구성되어 활동에 제약이 없는 구조이며, 줄이 연결수단에 연결되는 위치와 줄의 길이 조절에 따라 경사각도 조절이 360도 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유아돌보미.
KR1020150087724A 2015-06-19 2015-06-19 다기능 유아돌보미 KR1015912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7724A KR101591243B1 (ko) 2015-06-19 2015-06-19 다기능 유아돌보미
PCT/KR2016/003224 WO2016204388A1 (ko) 2015-06-19 2016-03-29 다기능 유아돌보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7724A KR101591243B1 (ko) 2015-06-19 2015-06-19 다기능 유아돌보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1243B1 true KR101591243B1 (ko) 2016-02-03

Family

ID=55355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7724A KR101591243B1 (ko) 2015-06-19 2015-06-19 다기능 유아돌보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591243B1 (ko)
WO (1) WO201620438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8010A (ko) 2019-11-13 2021-05-24 이동훈 영유아 탑승이 가능한 다기능 운동기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33133A1 (en) * 2007-03-13 2009-02-05 Traci Barron Child Swing and Jumper Apparatus and Methods of Operating the Same
KR100970610B1 (ko) 2009-11-24 2010-07-16 최승일 체중 측정 및 실시간 발달사항 체크 컴퓨팅 기능이 있는 유모차 및 그 작동방법
KR101220201B1 (ko) * 2012-02-17 2013-01-09 김인규 그네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3491B1 (ko) * 2003-02-06 2006-09-18 이재선 수유장치
JP5009731B2 (ja) * 2007-09-13 2012-08-22 近鉄スマイルサプライ株式会社 自力歩行訓練器
KR20150064271A (ko) * 2013-12-02 2015-06-11 김대수 다목적 전동식 유모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33133A1 (en) * 2007-03-13 2009-02-05 Traci Barron Child Swing and Jumper Apparatus and Methods of Operating the Same
KR100970610B1 (ko) 2009-11-24 2010-07-16 최승일 체중 측정 및 실시간 발달사항 체크 컴퓨팅 기능이 있는 유모차 및 그 작동방법
KR101220201B1 (ko) * 2012-02-17 2013-01-09 김인규 그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8010A (ko) 2019-11-13 2021-05-24 이동훈 영유아 탑승이 가능한 다기능 운동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204388A1 (ko) 2016-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268005B1 (en) Method and apparatus to exercise developmentally delayed or neurologically impaired persons
US4900011A (en) Exerciser and playpen structure having a trampoline like bottom
US20150342367A1 (en) Cradling bassinet
US6196949B1 (en) Apparatus for assisting and training a child to walk
US6244991B1 (en) Method and apparatus to exercise developmentally delayed persons
EP2501449B1 (en) Toy attachment systems and methods
CN102512028B (zh) 幼儿摇具和蹦具装置及其操作方法
US20160227939A1 (en) Gliding child support device
US9510990B2 (en) Gait training apparatuses, attachments for gait training and related methods
US7287768B2 (en) Multi-mode child entertaining apparatu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US6817864B1 (en) Infant motor skill developmental aid apparatus
CA2274435C (en) Suspended training apparatus
US8475342B2 (en) Infant crawler-walker motor development apparatus
WO2011058410A1 (en) Stroller liner with toy attachment system
KR20210084423A (ko) 어시스턴스용 장치
KR101591243B1 (ko) 다기능 유아돌보미
US3747956A (en) Spherical vehicle
JP2007307118A (ja) 歩行訓練装置
JP2017153667A (ja) 歩行訓練装置
JP4596589B2 (ja) ベッドにおける被介護者吊り移動装置
WO2018214926A1 (zh) 悬挂装置
CN211154784U (zh) 一种儿童学步车
US11445834B2 (en) Baby tram
GB2503453A (en) Baby rocking and multifunctional device
EP3085573A1 (en) Gliding child support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