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3491B1 - 수유장치 - Google Patents

수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3491B1
KR100623491B1 KR1020030007595A KR20030007595A KR100623491B1 KR 100623491 B1 KR100623491 B1 KR 100623491B1 KR 1020030007595 A KR1020030007595 A KR 1020030007595A KR 20030007595 A KR20030007595 A KR 20030007595A KR 100623491 B1 KR100623491 B1 KR 1006234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eding
infant
support
support means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75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71028A (ko
Inventor
이재선
이지현
Original Assignee
이재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선 filed Critical 이재선
Priority to KR10200300075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3491B1/ko
Publication of KR200400710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10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34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34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9/00Feeding-bottles in general
    • A61J9/06Holders for bottles
    • A61J9/0653Holders for bottl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upport
    • A61J9/0684Holders for bottl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upport having a self-supporting ba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9/00Feeding-bottles in general
    • A61J9/06Holders for bottles
    • A61J9/063Holders for bottles having a particular supporting function
    • A61J9/0638Holders for bottles having a particular supporting function for supporting in a feeding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2200/00General characteristics or adaptations
    • A61J2200/70Device provided with specific sensor or indicating means
    • A61J2200/74Device provided with specific sensor or indicating means for weigh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Feeding And Watering For Cattle Raising And Animal Husbandry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유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유모의 보살핌 없이 자동으로 유아에게 수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수유장치에 의하면, 유아를 눕힐 수 있는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에 고정되고, 자유로운 탈착이 가능한 지지수단과, 상기 지지수단에 설치되고, 유아에 수유를 제공하는 수유수단로 되어 있다. 따라서, 수유장치를 사용하므로써 유아를 돌보는 유아방 등에서 유모의 인력난을 해소 할 수 있고, 여러명의 유아를 동시에 수유할 수 있어 잔여시간을 활용할 수 있는 잇점이 있으며, 가정에서도 우유를 먹이는 시간을 활용하여 재택근무 또는 가사를 돌볼 수 있다. 또한, 받침대와 지지대를 분리할 수 있어 서로 다른 쓰임새로 사용할 수 있고, 특히 민감한 유아는 본 발명에 일체로 장착된 반짝이는 불빛 신호장치 또는 멜로디기와 자동으로 작동하는 센서에 의한 수유 후 곧바로 잠이 들어 유아의 정서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작용효과가 있다.
수유장치, 받침대, 지지수단, 수유수단, 우유병

Description

수유장치{feeding system}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유장치가 결합된 상태를 보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유장치의 분해된 상태를 보인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유장치의 사용상태를 보인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받침대 20: 지지수단
30: 수유수단 40: 우유병
본 발명은 젖먹이 지지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효율적인 유아관리를 위한 수유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사회의 발달과 더불어 가정주부의 사회참여가 확대됨에 따라 유아들은 대부분 유치원, 유아방, 놀이방, 어린이집 등에서 고용된 보육교사 또는 유모에 의해서 보살펴지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보육교사 또는 유모 1인당 유치원이 10-20명, 놀이방과 어린이집 등은 5-7명의 유아를 돌보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보육교사 또는 유아들은 통상적으로 위 유치원, 유아방, 놀이방, 어린이집에서 하루중 10-12시간을 보내게 되는데, 이 중 3-4시간은 우유를 수유 받아야 하는 시간으로 유아들은 제 시간에 수유를 받아야 정상적인 신체발육 및 정서적인 안정을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젖먹이 유아들을 수유하는 경우에 유모는 유아를 일일이 안고 수유하여야 하는데, 현실적으로 발생하게 되는 보육교사 또는 유모의 적정 보수지급이 어려워 유아 인력대비 유모 등의 인력을 고용할 수 없어 수유가 제시간에 이루어지지 않은 문제점이 발생되어 유아의 성장과 정서에 적지않은 피해가 발생되는 것이 현실이다.
또한, 일반 가정에서는 유아의 수유가 끝난 후 곧바로 잠자리에 눕힐 경우 신경이 예민해진 유아는 잠을 자지 않거나 보채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으로 인하여 유아가 혼자서도 수유할 수 있는 장치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유아가 혼자서도 수유할 수 있는 수유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 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수유지지대는, 전술한 문제를 모두 해소하고, 신개념에 의한 수유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수유장치에 있어서는, 받침대 또는 지지대를 분리하여 쉽게 이동이 가능하고, 다양한 장치를 장착하여 유아의 정서에 도움을 주게하며, 자유롭게 분리되는 지지대로 침대등 다양한 공간에서 수유가 가능하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유아를 관리하는 유아방 등에서 유모의 수에 비하여 많은 유아의 수유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수유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일반 가정에서도 수유를 할 수 있는 시간을 활용하여 가사 또는 재택근무를 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 및 효과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하게 될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유아를 눕힐 수 있는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에 고정되고, 자유로운 탈착이 가능한 지지수단과, 상기 지지수단에 설치되고, 유아에 수유를 제공하는 수유수단으로 구성되므로서 달성된다.
또한, 상기 받침대의 양측에는 상기 지지수단이 결합되도록 가이드레일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받침대의 가이드레일에 삽입되어 이동하는 가이드휠과, 상기 가이드휠과 일체로 형성된 지지대와 지지대가 상측으로 연장되어 꺽인 고정바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유수단은 상기 지지대의 고정바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폭조절봉과, 상기 폭조절봉에 삽입되어 좌우로 이동이 가능한 폭이동뭉치와, 상기 폭이동뭉치의 일단에 수직으로 장착되고, 반짝이는 불빛신호장치 또는 멜로디기와 타이머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하며, 그 하단에는 본체의 움직임과 상관없이 움직일 수 있도록 주름판이 형성된 수유제어부와, 상기 수유수단의 주름판에 설치되어 우유병을 물어주는 우유병조임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을 간략히 설명하면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유장치가 결합된 상태를 보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유장치의 분해된 상태를 보인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유장치의 사용상태를 보인 것이다.
먼저, 도 1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수유장치는 유아를 눕힐 수 있는 받침대(10)와, 상기 받침대(10)에 고정되고, 자유로운 탈착이 가능한 지지수단(20)과, 상기 지지수단(20)에 설치되고, 유아에 수유를 제공하는 수유수단(30)을 포함한다.
받침대(10)는 원형 바람직하게는 장방형의 매트리스 형상으로 유아가 눕거나 놀 수 있도록 하는 역할로 그 표면을 부드러운 스폰지 또는 천연섬유로 형성시킨다.
또한, 그 양측의 외면에는 내부로 홈이 파여진 암레일의 형상으로 가이드레일(12)이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레일(12)은 그 명칭에서도 알 수 있듯이 다른 수단에 대응하여 상호 작용하도록 하는 역할로 본 발명에서는 후술하는 가이드휠(22)과 맞물려 가이드휠(22)이 이동하면 이동하는 방향으로 안내하여 준다.
한편, 본 발명에 적용된 가이드레일(12)의 특징으로는 가이드휠(22)이 이동하고 난 후 외부로 탈락이 되지 않도록 하는 고정구(14)가 구비된다.
고정구(14)는 먼저 가이드레일(12)이 삽입되어 이동한 가이드휠(22) 다음에 삽입하는 것으로 이것 역시 가이드레일(12)과 맞물리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다음에는 가이드레일(12)을 따라 이동하게 되는 지지수단(20)의 구성을 설명한다.
지지수단(20)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가이드레일(12)을 통하여 움직이는 것으로 역시 후술하는 수유수단(30)이 장착되고,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지지수단(20)은 그 하단에 일체로 형성된 가이드휠(12)을 포함하고 있는 지지대(22)와 지지대(22) 상측으로 연장되어 꺽인 고정바(24)로 이루어져 있다.
고정바(24)에는 다수개로 배치되어 뚫린 조임홈(미도시)이 형성되어 있고, 조임홈을 통하여 작동하는 조임나사(26)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조임나사(26)에 의하여 고정되는 상대물은 고정바(24)를 통하여 삽입된다. 이것은 지지수단(20)의 폭을 넓히거나 좁일 수 있도록 하는 역할로 본 발명에서는 폭조절봉(32)으로 칭하고, 수유수단(30)의 일 구성요소로 이루어져 있다.
폭조절봉(32)에는 그 외면으로 다수개의 홈이 원주형으로 파여 있는데, 이것은 고정바(24)의 조임홈을 통하여 들어온 조임나사(26)에 의하여 고정시 그 조임을 확실하게 하는 역할이다.
한편, 수유수단(30)은 상술한 폭조절봉(32)을 포함하고, 폭조절봉(32)이 다시 삽입되는 폭이동뭉치(34)와 그 일단에 수직으로 장착되며, 반짝이는 불빛신호장치 또는 멜로디기와 타이머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하고, 그 하단에는 본체의 움직임과 상관없이 움직일 수 있도록 주름판(36)이 형성된 수유제어부(38)와, 상기 수유수단(30)의 주름판(36)에 설치되어 우유병(40)을 물어주는 우유병조임구(38a)를 포함한다.
폭이동뭉치(34)는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T"형으로 형성되어 상측의 수평부가 폭조절봉(32)을 따라 좌우로 이동되도록 형성된다.
한편, 수직부에는 수유제어부(38)가 수직으로 장착되는데, 그 고정되는 형식은 나사형태의 조임장치(35)가 적용된다.
수유제어부(38)는 그 내부에 멜로디를 발생시키는 멜로디기(37)가 설치되어 있어 버튼을 누루게 되면 멜로디가 흐르도록 하고, 타이머(39) 역시 일체로 설치하여 수유시간에 따른 경고음 및 반짝이는 불빛신호를 발생시키고, 각종 센서와 연결되어 수유의 최적화에 기여한다.
주름판(36)은 그 특성상 그 내부에 설치된 기구, 예를 들면 다각도로 꺽이는 다관절장치(미도시)에 의하여 다양한 각도로 꺽인다.
이러한 주름판(36)에는 다시 우유병조임구(38a)가 수직으로 설치되는데 이것 은 우유병(40)을 물어주는 역할로 통상 2개 이상의 집게걸이로 구성되고, 그 내부에는 천연섬유가 접착되어 우유병(40)이 밀리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하며, 또한 타이머(39)와 각종 센서의 제어를 받는다.
한편, 가이드휠(22)의 뭉치가 지지수단(20)과 분리되어 받침대(10)가 없어도 방바닥이나 침대등 어느 장소에서나 지지수단(20) 만을 이용하여 유아가 있는 곳으로 쉽게 이동하여 수유를 할 수 있도록 폭이동뭉치(34)의 조임나사(35a)를 이용하여 높낮이를 조절하여 수유위치가 되도록 한다.
다음에는 이러한 수유지지대의 작동 및 이에 따른 효과를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작동은 먼저 유아가 받침대(10)에 눕혀지면서 작동을 한다.
유아가 받침대(10)에 뉘어지면 유모 등의 수유자는 유아의 위치에 맞도록 지지수단(20)을 이동시킨다. 지지수단(20)의 이동은 위 구성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받침대(10)의 가이드레일(12)에 지지수단(20)의 가이드휠(22)을 삽입시켜 이동시킨 후 고정구(14)를 끼워 지지수단(20)의 이탈을 방지한다.
유아의 수유 위치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유아의 턱 밑 부분까지 이동시킨 지지수단(20)은 다시 폭조절봉(32)이 삽입된 폭이동뭉치(34)에 의해서 더욱 정확한 수유 위치를 조절한다.
즉, 도시된 유아의 위치에서 보면 지지수단(20)은 수직으로 이동을 하게 하고, 폭이동뭉치(34)는 좌우로 이동시켜 더욱 정교한 수유위치가 되도록 한다.
또한, 수유위치가 정하여 지면 조임나사(35a)로 지지수단(20)을 더욱 단단하게 고정시켜 유아의 움직임에도 지지수단(20)은 흔들리지 않게 된다.
이러한 지지수단(20)과 폭이동뭉치(34)에 의하여 설정된 수유위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우유병조임구(38a)에 우유병(40)을 삽입시켜 조임장치(35)로 고정시킨 후 우유병(40)을 유아의 입에 물리게 되면 수유준비는 종료하게 되나, 여기에서 사용되는 우유병(40)은 바람직하게는 중간부분이 오목하게 들어간 우유병(40)을 사용한다.
유아가 수유를 시작하면 수유제어부(38)에 장착된 멜로디기(37)의 버튼을 눌려 멜로디가 흘러나오게 하여 유아의 정서와 수유의 흥미를 돋구게 한다.
또한, 유아가 최대 2분 정도 우유를 빨지 않거나 우유를 다 마신 경우에는 타이머(39)와 연동되는 압력감지센서(미도시)에 의해 반짝이는 불빛신호 또는 경고음을 발생하게 하여 우유병(40)을 유아의 입으로부터 분리하도록 한다.
또한, 반짝이는 불빛신호 또는 경고음이 발생함과 동시에 수유제어부(38)는 유아가 놀라지 않도록 경미한 각도로 우유병(40)을 좌우로 5-8번 정도 흔들어 준 다음, 우유병(40)이 후퇴하면서 상측으로 들어 올리도록 제어하여 자연스럽게 유아와 우유병(40)이 떨어지게 만들어 수유준비에서부터 수유완료까지 자동으로 수유를 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즉, 전기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지듯이, 이 발명은 수유장치를 제공하여 유아원, 어린이집 등에서 부족한 유모의 인력을 대신하며, 수유에 따른 부족한 시간을 유아의 정서적 지원활동에 정성을 다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그 정신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일탈하는 일없이, 다른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전술한 실시예는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서 나타내는 것으로써, 명세서 본문에 의해서는 아무런 구속도 되지 않는다. 다시, 특허청구범위의 균등 범위에 속하는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 내의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유장치에 의하면, 수유장치를 사용하므로써 유아를 돌보는 유아방 등에서 유모의 인력난을 해소 할 수 있고, 여러명의 유아를 동시에 수유할 수 있어 잔여시간을 활용할 수 있는 잇점이 있으며, 가정에서도 우유를 먹이는 시간을 활용하여 재택근무 또는 가사를 돌볼 수 있다. 또한, 받침대와 지지대를 분리할 수 있어 서로 다른 쓰임새로 사용할 수 있고, 특히 민감한 유아는 본 발명에 일체로 장착된 멜로디기와 자동으로 작동하는 센서에 의한 수유 후 곧바로 잠이 들어 유아의 정서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작용효과가 있다.

Claims (5)

  1. 유아를 눕힐 수 있는 받침대(10);와 그 받침대에 고정되어 자유로운 탈착이 가능한 지지수단(20);과 지지수단(20)에 설치되어 유아에 수유를 제공하는 수유수단(30)으로 구성되며, 상기 지지수단(20)은 지지대의 고정바(24)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폭조절봉(32)과 폭조절봉(32)에 삽입되어 좌우로 이동이 가능한 폭이동뭉치(34)와 폭이동뭉치(34)의 일단에 수직으로 장착되는 수유제어부(38)로 이루어진 것에 있어서,
    상기 수유제어부(38)는 그 내부에 멜로디를 발생시키는 멜로디기(37)와 타이머(39)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그 하단에는 본체의 움직임과 상관없이 움직일 수 있도록 우유병조임구(38a)가 끝단에 설치된 주름판(36)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유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030007595A 2003-02-06 2003-02-06 수유장치 KR1006234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7595A KR100623491B1 (ko) 2003-02-06 2003-02-06 수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7595A KR100623491B1 (ko) 2003-02-06 2003-02-06 수유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1028A KR20040071028A (ko) 2004-08-11
KR100623491B1 true KR100623491B1 (ko) 2006-09-18

Family

ID=373592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7595A KR100623491B1 (ko) 2003-02-06 2003-02-06 수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349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204388A1 (ko) * 2015-06-19 2016-12-22 박영식 다기능 유아돌보미
JP2018020118A (ja) * 2016-08-02 2018-02-08 メイス・コーポレイションMaceCorporation ボトル保持システム及びその構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204388A1 (ko) * 2015-06-19 2016-12-22 박영식 다기능 유아돌보미
JP2018020118A (ja) * 2016-08-02 2018-02-08 メイス・コーポレイションMaceCorporation ボトル保持システム及びその構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1028A (ko) 2004-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61227B2 (en) Crib rocker assembly
US20140059762A1 (en) Baby Safe Enclosure
US20090030455A1 (en) Toy For Retaining Multiple Size Pacifiers
US20020127943A1 (en) Pacifier Toy
KR100623491B1 (ko) 수유장치
US20160360899A1 (en) Crib mountable noise suppressor
Pelayo et al. Bed sharing with unimpaired parents is not an important risk for sudden infant death syndrome: to the editor
KR101747839B1 (ko) 유아용 요람
CN212213145U (zh) 一种可抽拉式母婴躺椅
TW586959B (en) Play unit
US2359452A (en) Infant feeding bottle holder
CN207590353U (zh) 一种父母儿童共用床垫
GB2451832A (en) Cot with transparent sides
CN206062699U (zh) 可拼接摇床
CN105455504A (zh) 一种新型基于智能控制装置的多功能婴儿床
CN211933421U (zh) 一种婴儿床
JP3066539U (ja) 哺乳瓶保持具
KR100327836B1 (ko) 신생아, 영아의 수유기구
CN213155060U (zh) 婴儿喂奶床
CN209405156U (zh) 新生儿暖箱及胃管喂养奶液容器固定装置
KR950008658Y1 (ko) 수유병 받침대
Miller Caring for the little ones
JPS64143Y2 (ko)
CN205715133U (zh) 连接机构及具有此连接机构的幼儿承载装置
KR200213558Y1 (ko) 수유용 젓병 지지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