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7836B1 - 신생아, 영아의 수유기구 - Google Patents

신생아, 영아의 수유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7836B1
KR100327836B1 KR1019990059438A KR19990059438A KR100327836B1 KR 100327836 B1 KR100327836 B1 KR 100327836B1 KR 1019990059438 A KR1019990059438 A KR 1019990059438A KR 19990059438 A KR19990059438 A KR 19990059438A KR 100327836 B1 KR100327836 B1 KR 1003278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e
milk
newborn
center
b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94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57240A (ko
Inventor
천형성
Original Assignee
천형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천형성 filed Critical 천형성
Priority to KR10199900594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7836B1/ko
Publication of KR200100572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72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78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783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9/00Feeding-bottles in general
    • A61J9/06Holders for bottles
    • A61J9/0653Holders for bottl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upport
    • A61J9/0684Holders for bottl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upport having a self-supporting ba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9/00Feeding-bottles in general
    • A61J9/06Holders for bottles
    • A61J9/063Holders for bottles having a particular supporting function
    • A61J9/0638Holders for bottles having a particular supporting function for supporting in a feeding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1/00Self-movable toy figu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생아, 영아의 수유기구에 대해 개시한다.
이 신생아, 영아의 수유기구는, 삼각뿔 형상을 이루도록 각각 구비되는 폴대(1)와, 폴대(1) 하단에 결합되는 중량체의 받침볼(2)과, 폴대(1)의 상단들이 결합되도록 저면에 다수의 결합홈(5)이 각각 형성되고 저면 중앙에 암나사부(6)가 형성되며 상단 중앙에 모빌홀더(7)가 결합된 마감고정볼(4)과, 중앙이 절개되어 인입구멍(25)이 형성되고 상단에 마감고정볼(4)의 암나사부(6)에 체결되도록 수나사부(24)가 형성되며 하부에 인입구멍(25)에 연결된 압착홈(26)이 형성된 걸고리(23)와, 폴대(1)의 중간에 각각 끼워지는 다수의 삼각고정볼(8)과, 폴대(1) 사이의 간격 및 각도가 유지되도록 양단이 삼각고정볼(8) 사이에 고정지지되는 다수의 삼각고정대(11)와, 우유병(17) 외주에 탄성밀착되고 일측에 고리(16)가 형성된 탄성밴드(15)와, 고정링(13)을 통과한 상태에서 일단이 탄성밴드(15)의 고리(16)에 묶이고 타단이 삼각고정대(11) 등에 묶이는 연결끈(18)과, 마감고정볼(4) 상부에 설치되는 모빌(19)로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신생아를 폴대(1) 가운데 눕히고 연결끈(18)의 길이를 적절히 조절하여 신생아에게 우유병(17)을 물리면 보호자의 도움없이 신생아가 우유를 먹을 수 있게 되고, 자유자재로 움직임이 가능한 연결끈(18)에 의해 신생아의 움직임에 따라 우유병(17)도 자연히 따라 움직이므로 물린 상태의 우유 젖꼭지가 빠지지 않게 되므로 우유를 흘리거나 다시 물려 주어야 하는 종래 문제가 해결되며,모빌(19)에 의해 신생아가 우유를 먹으면서 사물에 대한 형상과 움직임을 관찰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신생아, 영아의 수유기구{suckling device for infants}
본 발명은 신생아, 영아의 수유기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신생아에게 우유를 간단하게 먹일 수 있을 뿐 아니라 신생아의 미동에도 적절히 대처할 수 있는 신생아, 영아의 수유기구에 관한 것이다.
신생아는 일반적으로 병원에서 출산하게 되면 보통 3 내지 7일간 신생아실에 있게 된다.
아프거나 보호가 더 필요한 경우에는 신생아실에서 몇 달씩 있어야하는 경우도 있다. 신생아 또는 영아는 하루 십수차례 이상 자주 모유(분유)를 먹여야 된다.(이하 우유라 칭함.)
우유를 먹일때에는 처음부터 끝까지 보호자가 시종일관 입에 물려 주고 있어야만 된다.
아기가 우유를 먹는 시간은 보통 10 - 30분 가량인데, 병원의 신생아실이나 신생아 중환자실, 산후조리원의 신생아실 등에서는 많은 신생아가 있게 된다.
보통 10명에서 20명 가까이 되는 신생아를 돌보는 간호사는 2-3명에 불과하다. 손이 모자랄 뿐 아니라 많은 아이들을 개별적으로 안아서 처음부터 끝까지 먹이기는 어려운 일이다. 또한 힘들어 그렇게 할 수도 없다.
그러다 보니 우유병을 베개 등 기타 사물을 옆에 놓고 기대어 우유를 먹이는것이 현실이고, 이에 따라 우유병이 넘어지거나 입에서 빠져 얼굴이나 목에 흘러 내리게 되어 신생아는 우유 먹기가 중단되고 그만 울어버리고 만다.
간호사가 알아 차리고 와서야 다시 물려 줄 수 있게 되지만 또 다시 기대어 물려 주고 다른 용무를 감깐이라도 보다 보면 그 사이 다시 빠지게 되는 반복현상이 일어나게 되어 매우 만족스럽지 못한 상황이 연출되었다.
또한 가정에서도 아기 엄마가 출산 이후 몸이 가볍지 못한 상태여서 아이에게 많은 시달림이 있게 되는데 때로는 감깐의 용무도 보지 못하는 경우가 다반사다.
수유 중 화장실가기, 문 열어주기, 물마시기 등의 불가피한 일을 해야 할 때가 있는데 하지 못하거나 불편한 경우가 따르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보호자의 도움없이 신생아가 우유병을 물 수 있도록 한 젖병 홀더(실용신안등록출원 제96-11912호)가 개발되었는데, 이는 각도 조절이 원활하지 못하여 신생아의 움직임에 적절히 대처하지 못하였고, 이에 따라 물린 상태의 유유 젖꼭지가 신생아의 입에서 쉽게 빠지게 되었다.
한편 상술한 문제를 보완하기 위해, 신생아의 움직임에 따라 적절히 대처하도록 신생아용 신생아, 영아의 수유기구(공개실용신안 제95-10934호)가 개발되었는데, 이 또한 문제가 있었다.
즉, 신생아는 그다지 힘이 세지 못하므로 신생아가 움직일시 물린 상태의 우유병이 함께 움직이려면 유니버셜 조인트나 조인트의 결합이 매우 헐거워야 한다.
그런데 신생아의 움직임에 따라 유니버셜 조인트나 조인트가 헐겁게 결합되면 우유병의 무게와 자체 아암의 무게에 의해 세팅된 상태의 각도를 유지하지 못하고 아래 방향으로 처지게 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또한 우유병의 무게, 아암의 무게를 견디도록 유니버셜 조인트나 조인트를 결합시키면 미약한 신생아의 움직임에 따라 우유병이 따라서 움직이지 못하여 결국 신생아의 입에서 우유 젖꼭지가 빠지게 되었다.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보호자의 도움없이 우유병을 지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신생아의 움직임에도 적절히 대처할 수 있어 신생아의 입에서 우유 젖꼭지가 빠지지 않도록 한 신생아, 영아의 수유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신생아, 영아의 수유기구는, 신생아, 영아의 수유기구에 있어서, 삼각뿔 형상을 이루도록 각각 구비되는 폴대와, 폴대 하단에 결합되는 중량체의 받침볼과, 폴대의 상단들이 결합되도록 저면에 다수의 결합홈이 각각 형성되고 저면 중앙에 암나사부가 형성되며 상단 중앙에 모빌홀더가 결합된 마감고정볼과, 중앙이 절개되어 인입구멍이 형성되고 상단에 마감고정볼의 암나사부에 체결되도록 수나사부가 형성되며 하부에 인입구멍에 연결된 압착홈이 형성된 걸고리와, 폴대의 중간에 각각 끼워지는 다수의 삼각고정볼과, 폴대 사이의 간격 및 각도가 유지되도록 양단이 삼각고정볼 사이에 고정지지되는 다수의 삼각고정대와, 우유병 외주에 탄성밀착되고 일측에 고리가 형성된 탄성밴드와, 고정링을 통과한 상태에서 일단이 탄성밴드의 고리에 묶이고 타단이 삼각고정대 등에묶이는 연결끈과, 마감고정볼 상부에 설치되는 모빌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신생아를 폴대 가운데 눕히고 연결끈의 길이를 적절히 조절하여 신생아에게 우유병을 물리면 보호자의 도움없이 신생아가 우유를 먹을 수 있게 되고, 자유자재로 움직임이 가능한 연결끈에 의해 신생아의 움직임에 따라 우유병도 자연히 따라 움직이므로 물린 상태의 우유 젖꼭지가 빠지지 않게 되므로 우유를 흘리거나 다시 물려 주어야 하는 종래 문제가 해결되며, 모빌에 의해 신생아가 우유를 먹으면서 사물에 대한 형상과 움직임을 관찰할 수 있어 교육 효과를 부가적으로 얻을 수 있게 된다.
도1은 본 발명 신생아, 영아의 수유기구를 보이는 사시도
도2는 받침볼을 보이는 단면도
도3 및 도4는 마감고정볼을 보이는 단면도 및 저면도
도5 및 도6은 삼각고정볼을 보이는 사시도 및 단면도
도7은 삼각고정볼의 다른 실시예를 보이는 단면도
도8은 삼각고정대를 보이는 사시도
도9는 고정링을 보이는 사시도
도10 내지 도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걸고리를 보이는 사시도 및 사용상태 정면도들
도13은 탄성밴드를 보이는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폴대 2 ; 받침볼
4 ; 마감고정볼 8,27 ; 삼각고정볼
11 ; 삼각고정대 13 ; 고정링
15 ; 탄성밴드 17 ; 우유병
18 ; 연결끈 19 ; 모빌
23 ; 걸고리
본 발명의 구체적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설명으로 더욱 명확해 질 것이다.
도1에서, 본 발명 신생아, 영아의 수유기구는, 세 개의 폴대(1)가 구비되어 삼각뿔 형상으로 지지된다. 이 폴대(1)는 굵은 철사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중공형 금속 파이프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 폴대(1)의 상단들에는 이들을 고정지지하도록 마감고정볼(4)이 결합되어 있는바, 마감고정볼(4)은 도3 및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면에 세 개의 결합홈(5)이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저면 중앙에는 암나사부(6)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단 중앙에는 모빌홀더(7)가 결합되어 있다.
이 마감고정볼(4)의 암나사부(6)에는 걸고리(23)가 체결되어 있고, 폴대(1)의 중간에는 세 개의 삼각고정볼(8)이 각각 결합되어 있는바, 걸고리(23)는 도10 내지 도12와 같이 중앙이 절개되어 인입구멍(25)이 형성되고, 상단에 마감고정볼(4)의 암나사부(6)에 체결되도록 수나사부(24)가 형성되며, 하부에 인입구멍(25)에 연결된 압착홈(26)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걸고리(23) 대신에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나사부(14)를 가지는 고정링(13)이 체결될 수도 있다.
한편 삼각고정볼(8)은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에 관통구멍(9)이 형성되어 있고, 양측에 각각 지지홈(10)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지지홈(10)에는 폴대(1) 사이의 간격 및 각도가 유지되도록 삼각고정대(11)의 절곡단부(12)가 고정지지되어 있다.
여기서 삼각고정볼(8)의 중앙에 관통구멍(9)을 형성하는 대신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삼각고정볼(27)의 상하에 제1결합홈(28)과 제2결합홈(29)을 형성시킨 후 두개로 나누어진 폴대의 양단을 고정시킬 수도 있다.
한편 우유병(17) 외주에는 탄성밴드(15)가 밀착되어 있고, 이 탄성밴드(15)에는 고리(16)가 연결되어 있으며, 이 우유병(17)은 연결끈(18)에 의해 매달리게 된다.
즉, 연결끈(18)이, 고정링(13)을 통과한 상태에서 일단이 탄성밴드(15)의 고리(16)에 묶이고, 타단이 삼각고정대(11) 등에 묶여서 우유병(17)을 매달게 된다.
여기서 연결끈(18)은 섬유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나이론 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탄성을 가지는 고무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 신생아, 영아의 수유기구는, 신생아를 폴대(1) 사이에 눕히고 탄성밴드(15)에 우유병(17)을 매단 후 연결끈(18)의 길이를 조절하여서 우유 젖꼭지를 신생아의 입에 물린다.
이와 같이 하여 신생아가 우유를 먹는 동안 보호자는 신생아로부터 잠시 떨어져서 여러가지 일을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신생아가 우유를 먹다가 몸을 뒤척이게 되어 입의 위치가 변경되어도 우유병(17)이 연결끈(18)에 의해 자유롭게 매달려 있으므로 신생아가 움직임에 따라서 우유병이 자유자재로 움직이게 된다.
그러므로 신생아의 흡입력에 의해 우유 젖꼭지가 빠지지 않게 되므로 우유가 신생아의 얼굴, 목 등으로 흐르는 종래 문제가 해결된다.
또한 보호자는 신생아의 입에 우유 젖꼭지를 한번 물리면 신생아가 일부로 뱉을 때까지 입에서 우유 젖꼭지가 빠지지 않게 되므로 신생아가 우유를 제대로 먹는지 수시로 확인할 필요가 없으며, 빠진 우유 젖꼭지를 수시로 다시 물리던 종래 문제가 해결된다.
한편 도1 및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폴대(1) 하단에 중량체의 받침볼(2)을 결합시킬 수 있는데, 받침볼(2)의 고정홈(3)에 폴대(1)의 하단을 끼워서 결합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무거운 받침볼에 의해 신생아, 영아의 수유기구의 무게 중심이 바닥으로 이동되어 폴대(1)가 쉽게 넘어지지 않게 된다.
한편 도10 내지 도12와 같이 걸고리(23)의 수나사부(24)를 마감고정볼(4)의암나사부(6)에 체결시키고, 연결끈(18)의 일단을 삼각고정대(11)에 묶은 후 타단을 도11과 같이 인입구멍(25)에 통과시킨 다음 탄성밴드(15)의 고리(16)에 묶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걸고리(23) 양측의 연결끈(18)을 아래로 잡아 당기면 도12와 같이 연결끈(18)이 압착홈(26)에 끼워지면서 세팅된 연결끈(18)을 탄성지지하게 된다.
그러므로 걸고리(23)는 도9의 고정링(13)에 비해 적절히 조절된 연결끈(18)을 고정지지하는 부가적인 기능을 가진다.
또한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감고정볼(4) 상부에 모빌(19)을 더 설치할 수 있는바, 신생아에서 20여일 지나면 모빌(19)이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수유보조기구에 모빌(19)까지 탈착방식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면 기존의 모빌 개념에서 훨씬 편리한 모빌의 활용이 가능하게 되며, 신생아가 우유를 먹으면서 집중력을 키울 수 있는 유익함을 더해줄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모빌(19)은 다수의 조형물(21)이 매달릴 모빌날개(20) 중앙에 날개홀더(30)를 구비하고 이 날개홀더(30)에 모빌폴대(22)를 결합하고 이 모빌폴대(22)의 하단을 마감고정볼(4)의 모빌홀더(7)에 끼워서 모빌(19)을 신생아, 영아의 수유기구 상에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신생아는 모빌(19)의 조형물(21)을 바라보면서 사물의 형상이나 움직임에 대해 관찰하면서 학습할 수 있게 된다.
종래 모빌은 천정에 부착하게 되어 있어 어느 한 곳에만 고정되어 있게 된다. 그러므로 설치된 방에서만 모빌의 기능을 할 수 밖에 없는 단점이 있는 반면,본 발명 모빌(19)은 간단한 조립식이므로 이동과 사용이 편리하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신생아, 영아의 수유기구에 의하면, 신생아를 폴대(1) 가운데 눕히고 연결끈(18)의 길이를 적절히 조절하여 신생아에게 우유병(17)을 물리면 보호자의 도움없이 신생아가 우유를 먹을 수 있게 되고, 자유자재로 움직임이 가능한 연결끈(18)에 의해 신생아의 움직임에 따라 우유병(17)도 자연히 따라 움직이므로 물린 상태의 우유 젖꼭지가 빠지지 않게 되므로 우유를 흘리거나 다시 물려 주어야 하는 종래 문제가 해결되며, 모빌(19)에 의해 신생아에 대한 형상과 움직임을 관찰할 수 있어 교육 효과를 부가적으로 얻을 수 있게 된다.

Claims (1)

  1. 신생아, 영아의 수유기구에 있어서,
    삼각뿔 형상을 이루도록 각각 구비되는 폴대(1)와,
    상기 폴대(1) 하단에 결합되는 중량체의 받침볼(2)과,
    폴대(1)의 상단들이 결합되도록 저면에 다수의 결합홈(5)이 각각 형성되고 저면 중앙에 암나사부(6)가 형성되며 상단 중앙에 모빌홀더(7)가 결합된 마감고정볼(4)과,
    중앙이 절개되어 인입구멍(25)이 형성되고 상단에 상기 마감고정볼(4)의 암나사부(6)에 체결되도록 수나사부(24)가 형성되며 하부에 상기 인입구멍(25)에 연결된 압착홈(26)이 형성된 걸고리(23)와,
    폴대(1)의 중간에 각각 끼워지는 다수의 삼각고정볼(8)과,
    상기 폴대(1) 사이의 간격 및 각도가 유지되도록 양단이 상기 삼각고정볼(8) 사이에 고정지지되는 다수의 삼각고정대(11)와,
    우유병(17) 외주에 탄성밀착되고 일측에 고리(16)가 형성된 탄성밴드(15)와,
    고정링(13)을 통과한 상태에서 일단이 상기 탄성밴드(15)의 고리(16)에 묶이고 타단이 삼각고정대(11) 등에 묶이는 연결끈(18)과,
    상기 마감고정볼(4) 상부에 설치되는 모빌(19)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생아, 영아의 수유기구.
KR1019990059438A 1999-12-20 1999-12-20 신생아, 영아의 수유기구 KR1003278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9438A KR100327836B1 (ko) 1999-12-20 1999-12-20 신생아, 영아의 수유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9438A KR100327836B1 (ko) 1999-12-20 1999-12-20 신생아, 영아의 수유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7240A KR20010057240A (ko) 2001-07-04
KR100327836B1 true KR100327836B1 (ko) 2002-03-09

Family

ID=19627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9438A KR100327836B1 (ko) 1999-12-20 1999-12-20 신생아, 영아의 수유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2783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0275A (ko) * 2002-06-24 2004-01-03 방재원 유아용 분유기 혼자누어 먹는 도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PH12017000149A1 (en) * 2016-08-02 2018-07-23 Mace Corp Bottle holding system and configurations thereof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0275A (ko) * 2002-06-24 2004-01-03 방재원 유아용 분유기 혼자누어 먹는 도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7240A (ko) 2001-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27588A (en) Infant article suspension structure
US6739933B2 (en) Wearable drink holder
US5184796A (en) Baby bottle holder
US5217192A (en) Bottle holder for infant baby bottles
US5582335A (en) Baby bottle support
US20060102810A1 (en) Hands-free baby bottle holder
US20090166481A1 (en) Device for simulating breast-feeding
US20190269258A1 (en) Apparatus for supporting an infant
US5427259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nursing an infant
KR100327836B1 (ko) 신생아, 영아의 수유기구
US20110258748A1 (en) Pacifier-bearing-bib
AU2018200057A1 (en) Tether with flexible socket for pacifiers, teethers, toys and other implements babies use
CN219374242U (zh) 一种儿童安抚装置
CN204410293U (zh) 鸟巢式新生儿护围
US3954240A (en) Support for infant's nursing bottle
CN210448101U (zh) 一种益智健身婴儿玩具
CN214806904U (zh) 仿母乳哺乳器
CN216823975U (zh) 一种新生儿体位固定枕
US1426063A (en) Baby exerciser
KR200240822Y1 (ko) 키 성장 보조장치
KR200257948Y1 (ko) 수유기
CN202567984U (zh) 婴儿淋浴床
KR100623491B1 (ko) 수유장치
JP3066539U (ja) 哺乳瓶保持具
JP3111198U (ja) 飲食補助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