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7779A - 모션감지센서 내장 밸런스 운동기구 시스템 - Google Patents
모션감지센서 내장 밸런스 운동기구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157779A KR20210157779A KR1020200076009A KR20200076009A KR20210157779A KR 20210157779 A KR20210157779 A KR 20210157779A KR 1020200076009 A KR1020200076009 A KR 1020200076009A KR 20200076009 A KR20200076009 A KR 20200076009A KR 20210157779 A KR20210157779 A KR 2021015777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d
- sensor
- exercise
- user
- balanc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18—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elements, i.e. platforms, having a circulating, nutating or rotating movement, generated by oscillating movement of the user, e.g. platforms wobbling on a centrally arranged spherical support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33—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 A63B21/4034—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for operation by feet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33—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 A63B21/4035—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for operation by hand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16—Platforms for rocking motion about a horizontal axis, e.g. axis through the middle of the platform; Balancing drums; Balancing boards or the like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87—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groups A63B21/00 - A63B23/00, e.g. controlling load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9/00—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50—Force related parameters
- A63B2220/51—Force
- A63B2220/52—Weight, e.g. weight distribution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03—Motion sensor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3—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sensor
- A63B2220/833—Sensors arranged on the exercise apparatus or sports implement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50—Wireless data transmission, e.g. by radio transmitters or telemetr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심축이 불안정하여 계속적으로 변화하도록 만든 밸런스보드(1) 내부에 모션감지센서(132)가 마련되어 사용자가 움직임을 통해 얻게 되는 x, y축 값의 변화를 통해 모바일 게임 상의 좌우, 전후 이동을 감지하고, 양손에 잡을 수 있는 손잡이가 더 마련되어 z축 값의 변화를 통해 상하 이동을 감지 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재미있는 밸런스트레이닝을 통한 운동기구이다.
본 발명에 따른 모션감지센서 내장 밸런스 운동기구 시스템은, 사용자의 발이 안착되는 형태에서 중심축이 계속적으로 변화하는 밸런스보드(1); 상기 밸런스보드(1)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전송하는 통신모듈(2); 운동컨텐츠(T)를 내장하여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제시하고, 라이브 스트리밍 콘텐츠 플랫폼에 접속하여 송수신되며, 상기 밸런스보드(1)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수신 및 분석하여 방향 데이터와 무게중심 데이터로 분류하는 운동어플리케이션(3); 및 상기 운동어플리케이션(3)과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상기 운동컨텐츠(T)가 디스플레이(4)되고, 사용자의 실제 무게 중심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4);로 구성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모션감지센서 내장 밸런스 운동기구 시스템은, 사용자의 발이 안착되는 형태에서 중심축이 계속적으로 변화하는 밸런스보드(1); 상기 밸런스보드(1)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전송하는 통신모듈(2); 운동컨텐츠(T)를 내장하여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제시하고, 라이브 스트리밍 콘텐츠 플랫폼에 접속하여 송수신되며, 상기 밸런스보드(1)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수신 및 분석하여 방향 데이터와 무게중심 데이터로 분류하는 운동어플리케이션(3); 및 상기 운동어플리케이션(3)과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상기 운동컨텐츠(T)가 디스플레이(4)되고, 사용자의 실제 무게 중심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4);로 구성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중심축이 불안정하여 계속적으로 변화하도록 만든 밸런스보드(1) 내부에 모션감지센서(132)가 마련되어 사용자가 움직임을 통해 얻게 되는 x, y축 값의 변화를 통해 모바일 게임 상의 좌우, 전후 이동을 감지하고, 양손에 잡을 수 있는 손잡이가 더 마련되어 z축 값의 변화를 통해 상하 이동을 감지 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재미있는 밸런스트레이닝을 통한 운동기구이다.
전 세계적으로 더 많이 먹고, 더 적게 움직임으로 인해 비만인 아이들로 인한 사회경제적인 문제가 늘어나고 있다.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1975년 1,100만 명이던 전세계 비만아동수는 2016년 1억2,400만 명으로 10배 이상 늘었다. 게다가, 청소년 비만의 68%가 성인 비만으로 이어지고 있으며 미국의 경우 매년 전체 의료비의 5~7%를 비만 관련 질환 치료비용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비만근로자 1인 채용 시 기업의 추가비용은 800$에 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한편, 영국 레스터 대학 연구팀이 약 20만 명 이상의 대규모 유전자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키가 6.3cm 커지면 심장질환의 위험이 13.5% 낮아지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이는 키가 152cm인 사람이 168cm인 사람에 비해 심장질환의 위험이 약 32% 높다고 볼 수 있는 결과이다.
그러나, 학업성과 중심의 교육과 PC, 모바일 게임의 증가로 신체활동이나 운동으로의 접근성이 낮으며 이로 인해 언제나 가깝게 즐길 수 있는 새로운 운동기구가 필요하다. 특히, covid-19와 같은 특수한 상황에서도 실내에서 개인이 올바른 운동 유도하고 근육의 고른 발달 및 비만방지, 건전한 사고의 함양 등 다양한 장점을 가진 실내용 밸런스운동 시스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선행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보다 재미있고 실내에서 운동을 가깝게 즐길 수 있도록 기능성 운동기구와 모바일 앱의 연동을 통해 즐기며 운동할 수 있는 밸런스 운동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밸런스 운동을 위해 최적으로 설계된 불안정성과 탄성이 제공되는 밸런스보드(1)를 포함하는 밸런스 운동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운동의욕을 흥미 있게 고취시킴으로써 신체기능 개선 뿐 아니라 키 성장, 재활 및 치료에도 사용할 수 있는 밸런스 운동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모션감지 센서를 용이하게 탈착 가능한 센서커버(110)가 마련된 밸런스 운동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체 근력 트레이닝이 가능하도록 손잡이가 마련되어 있는 밸런스 운동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모션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밸런스보드(1)의 무게중심을 감지하여 사용자의 x, y 및 z축 움직임을 확인할 수 있는 밸런스 운동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여기에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모션감지센서 내장 밸런스 운동기구 시스템은,
사용자의 발이 안착되는 형태에서 중심축이 계속적으로 변화하는 밸런스보드(1);
상기 밸런스보드(1)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전송하는 통신모듈(2);
운동컨텐츠(T)를 내장하여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제시하고, 라이브 스트리밍 콘텐츠 플랫폼에 접속하여 송수신되며, 상기 밸런스보드(1)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수신 및 분석하여 방향 데이터와 무게중심 데이터로 분류하는 운동어플리케이션(3); 및
상기 운동어플리케이션(3)과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상기 운동컨텐츠(T)가 디스플레이(4)되고, 사용자의 실제 무게 중심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4);로 구성되고,
상기 밸런스보드(1)는,
상부에서 밸런스 운동을 위해 사용자가 발로 딛고 올라설 수 있는 평면 형상으로 마련되어 사용자의 x 및 y축 움직임을 제공하는 상부패드(10);
상기 상부패드(10)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밸런스보드(1)의 불안정성을 증가하도록 반구 형태로 마련되며, 외부 자극에 의해 무게중심이 변형되어도 마찰력이 증가되도록 에틸렌초산비닐공중합체(EVA, 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로 구성되는 에어튜브(20);
상기 에어튜브(20)의 외주면에서 돌출된 걸림면을 통해 상기 에어튜브(20)가 안착되도록 도넛형태로 마련되고, 상기 상부패드(10)와 맞춤결합을 형성하는 하부패드(30);
상기 밸런스보드(1)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밸런스보드(1)의 기울기와 무게중심을 감지하는 모션감지센서(132);
양측에 대칭되어 사용자가 손에 잡고 들 수 있는 홀이 마련되어 사용자의 x, y 및 z축 움직임을 제공하는 손잡이;로 구성하되,
상기 손잡이는 상기 상부패드(10)와 하부패드(30)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상부패드(10)의 상단 평면은 미끄럼방지부(150)가 마련되어 사용자가 발로 딛고 올라설 때 마찰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일반인 뿐 아니라 어린이, 청소년, 노약자의 건강관리를 위한 밸런스운동을모바일기기에 설치되는 게임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하여 사용자가 쉽게 밸런스 운동방법을 숙지할 수 있고, 즐겁게 운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지의 무릎주변, 발목주변, 고관절 주변의 근육, 건, 인대를 활성화시키는 불안정한 중심축이 이동되는 밸런스보드(1)의 움직임을 활용하여, 키 성장에 영향을 많이 주고 관절에 건강한 자극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양손에 잡을 수 있는 손잡이가 마련되어 손의 흔들림과 미끄러짐을 방지하여 상체 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모션감지센서(132)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통해 몸에 대한 밸런스, BMI지수, 지방량 및 근육량 등의 정보를 실시간을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코어 기능을 향상시켜 운동선수들의 경기력 향상 및 부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션감지센서 내장 밸런스 운동기구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모션감지센서 내장 밸런스 운동기구 시스템의 밸런스보드(1)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모션감지센서 내장 밸런스 운동기구 시스템의 상부패드(10)의 상단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모션감지센서 내장 밸런스 운동기구 시스템의 상부패드(10)의 하단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모션감지센서 내장 밸런스 운동기구 시스템의 에어튜브(20)의 상단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모션감지센서 내장 밸런스 운동기구 시스템의 상부패드(10)와 에어튜브(20) 결합 형태를 확인하기 위해 하단면을 자세히 나타낸 것으로, (a)는 상기 상부패드(10)와 에어튜브(20)가 결합하기 전의 형태이고, (b)는 상기 상부패드(10)와 에어튜브(20)가 결합한 형태를 나타내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모션감지센서 내장 밸런스 운동기구 시스템의 에어튜브(20)의 족관절 운동에 최적의 각도를 제공하는 밸런스보드(1)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모션감지센서 내장 밸런스 운동기구 시스템의 하부패드(30) 상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모션감지센서 내장 밸런스 운동기구 시스템의 하부패드(30)와 에어튜브(20)가 결합된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모션감지센서 내장 밸런스 운동기구 시스템의 상부패드(10)를 보다 자세히 나타낸 사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모션감지센서 내장 밸런스 운동기구 시스템의 상부패드(10)를 보다 자세히 나타낸 또 다른 사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모션감지센서 내장 밸런스 운동기구 시스템에서 상부패드(10)의 센서커버(110)를 보다 자세히 나타낸 사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모션감지센서 내장 밸런스 운동기구 시스템에서 센서안착부(130)에 모션감지센서(132)가 결합된 형태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모션감지센서 내장 밸런스 운동기구 시스템에서 센서안착부(130)에 모션감지센서(132)가 결합된 형태(a)와 모션감지센서(132)의 일측에 마련된 충전부(b) 및 모션감지센서(132)의 일측에 마련된 온(on)/오프(off) 스위치(c)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모션감지센서 내장 밸런스 운동기구 시스템를 들고 상체 운동을 하는 사진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모션감지센서 내장 밸런스 운동기구 시스템에 올라가서 하체 운동을 하는 사진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모션감지센서 내장 밸런스 운동기구 시스템의 밸런스보드(1) 위에서 운동할 때, (a)는 운동어플리케이션(3)과 디스플레이(4)로 운동 방법을 확인하고 운동 자세에 따른 정확한 무게중심과 사용자의 현재 무게중심을 비교하여 나타낸 사진이다. 또한, (b)는 라이브 스트리밍 콘텐츠 플랫폼에 접속한 경우 디스플레이(4)에 나타낸 화면을 표시한 사진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모션감지센서 내장 밸런스 운동기구 시스템의 운동어플리케이션(3)을 통해 BMI지수, 지방량, 근육량 등의 정보를 실시간을 확인할 수 있고, 좌표값 및 무게중심을 나타낸 정보를 확인하는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모션감지센서 내장 밸런스 운동기구 시스템의 밸런스보드(1)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모션감지센서 내장 밸런스 운동기구 시스템의 상부패드(10)의 상단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모션감지센서 내장 밸런스 운동기구 시스템의 상부패드(10)의 하단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모션감지센서 내장 밸런스 운동기구 시스템의 에어튜브(20)의 상단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모션감지센서 내장 밸런스 운동기구 시스템의 상부패드(10)와 에어튜브(20) 결합 형태를 확인하기 위해 하단면을 자세히 나타낸 것으로, (a)는 상기 상부패드(10)와 에어튜브(20)가 결합하기 전의 형태이고, (b)는 상기 상부패드(10)와 에어튜브(20)가 결합한 형태를 나타내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모션감지센서 내장 밸런스 운동기구 시스템의 에어튜브(20)의 족관절 운동에 최적의 각도를 제공하는 밸런스보드(1)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모션감지센서 내장 밸런스 운동기구 시스템의 하부패드(30) 상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모션감지센서 내장 밸런스 운동기구 시스템의 하부패드(30)와 에어튜브(20)가 결합된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모션감지센서 내장 밸런스 운동기구 시스템의 상부패드(10)를 보다 자세히 나타낸 사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모션감지센서 내장 밸런스 운동기구 시스템의 상부패드(10)를 보다 자세히 나타낸 또 다른 사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모션감지센서 내장 밸런스 운동기구 시스템에서 상부패드(10)의 센서커버(110)를 보다 자세히 나타낸 사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모션감지센서 내장 밸런스 운동기구 시스템에서 센서안착부(130)에 모션감지센서(132)가 결합된 형태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모션감지센서 내장 밸런스 운동기구 시스템에서 센서안착부(130)에 모션감지센서(132)가 결합된 형태(a)와 모션감지센서(132)의 일측에 마련된 충전부(b) 및 모션감지센서(132)의 일측에 마련된 온(on)/오프(off) 스위치(c)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모션감지센서 내장 밸런스 운동기구 시스템를 들고 상체 운동을 하는 사진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모션감지센서 내장 밸런스 운동기구 시스템에 올라가서 하체 운동을 하는 사진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모션감지센서 내장 밸런스 운동기구 시스템의 밸런스보드(1) 위에서 운동할 때, (a)는 운동어플리케이션(3)과 디스플레이(4)로 운동 방법을 확인하고 운동 자세에 따른 정확한 무게중심과 사용자의 현재 무게중심을 비교하여 나타낸 사진이다. 또한, (b)는 라이브 스트리밍 콘텐츠 플랫폼에 접속한 경우 디스플레이(4)에 나타낸 화면을 표시한 사진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모션감지센서 내장 밸런스 운동기구 시스템의 운동어플리케이션(3)을 통해 BMI지수, 지방량, 근육량 등의 정보를 실시간을 확인할 수 있고, 좌표값 및 무게중심을 나타낸 정보를 확인하는 사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대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과제의 해결 수단, 발명의 효과를 포함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실시 예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모션감지센서 내장 밸런스 운동기구 시스템은 밸런스보드(1), 통신모듈(2), 운동어플리케이션(3) 및 디스플레이(4)로 구성된다.
먼저, 상기 벨런스보드는 사용자의 발이 안착되는 형태에서 중심축이 계속적으로 변화한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밸런스보드(1)는 크게 상부패드(10), 에어튜브(20) 및 하부패드(30)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벨런스보드 일측에는 모션감지센서(132)를 포함하고 있어 상기 밸런스보드(1)의 기울기와 무게중심을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기울기와 무게중심을 데이터를 상기 통신모듈(2)을 통해 전달하여 상기 운동어플리케이션(3) 및 디스플레이(4)에 표시하여 실내에서 운동을 용이하게 한다.
먼저, 상기 상부패드(10)는 상부에서 밸런스 운동을 위해 사용자가 발로 딛고 올라설 수 있는 평면 형상으로 마련되어 사용자의 x 및 y축 움직임을 제공한다. 또한,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상부패드(10)의 상단 평면은 미끄럼방지부(150)가 마련되어 사용자가 발로 딛고 올라설 때 마찰을 형성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상부패드(10)의 상단면은,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센서커버(110), 센서커버자석(111), 센서커버홈(112), 커버안착부(120), 커버안착자석(121), 센서안착부(130), 센서탈착홈(131), 모션감지센서(132) 및 상부손잡이부(140)로 마련된다.
먼저, 상기 상부손잡이부(140)는 양측에 대칭되어 사용자가 손에 잡고 들 수 있는 홀이 마련되고 상기 하부패드(30)와 결합한다. 상기 상부손잡이부(140)와 아래에서 설명할 상기 하부패드(30)의 하부손잡이부(310)와 결합하여 상기 손잡이부를 형성한다. 상기 형성된 손잡이부는 상기 밸런스보드(1)를 손으로 들 수 있도록 마련되어 사용자의 x, y 및 z축의 움직임을 제공한다.
상기 손잡이부의 그립부분은 높이 30mm, 폭20mm이고 인체공학적으로 곡면이 적용 되어있어서 종래 기술에 비해서 그립감이 좋고 자연스럽게 말아 쥐었을 때 더욱 안정감이 있어서 운동하기 편하다. 120mm 넓이로 상기 손잡이부를 만듦으로써 사용자들의 손 크기에 제약을 받지 않는 크기로 디자인하였다. 상체운동인 팔굽혀펴기를 할 때 상기 손잡이부가 없는 밸런스볼은 손이 미끄러질 가능성이 크지만 손잡이 홈이 파여 있는 경우 손의 흔들림을 잡아주고 미끄러짐을 방지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센서안착부(130)는 상기 모션감지센서(132)가 안착되도록 상기 상부패드(10)의 상단 중앙에 홀이 마련되어 있다. 도 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센서안착부(130)는 상기 모션감지센서(132)와 동일한 두께의 홈이 마련되고, 상기 센서안착부(130)에 안착된 상기 모션감지센서(132)의 탈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기 센서탈착홈(131)을 더 마련한다. 도 1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센서탈착홈(131)은 상기 센서안착부(130)에서 상기 모션감지센서(132)를 탈착할 수 있도록 상기 센서안착부(130)의 입구 측면에 양측에 대칭되도록 마련된다.
다음으로, 상기 센서커버(110)는 상기 모션감지센서(132)의 전원상태 및 충전을 위해 반복적으로 열거나 닫아야 한다. 따라서 상기 센서안착부(130)의 홀을 덮을 수 있도록 일정 두께의 원형 커버 형태로 마련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센서커버(110)는 센서커버자석(111) 및 센서커버홈(112)으로 구성된다. 상기 센서커버자석(111)은 상기 센서커버(110)의 저면 일측에 다수개의 대칭된 자석이 마련되어 있어 상기 커버안착부(120)에 마련된 상기 커버안착자석(121)과 결합하여 상기 센서안착부(130)를 용이하게 덮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센서커버홈(112)은 상기 센서커버(110)가 상기 커버안착부(120)에서 탈착될 때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기 센서커버(110) 측면 일측에 홈이 마련된다.
상기 센서커버(11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자주 여닫아야 하는 부분으로 파손이 쉽게 일어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의 경우와 같이 힌지방식, 드라이버를 이용해야만 풀 수 있는 나사결합방식 및 분리가 어렵고 번거로운 홈을 만들어 끼우는 스냅핏 방식을 사용하지 않고, 쉽게 사용가능하도록 사용자의 편리성을 위해 자석을 이용하여 여닫는 방식을 채택하였다. 본 발명과 같이 자석을 이용하면 상기 센서커버(110)의 이탈과 파손의 염려가 없다.
상기 센서커버(110)의 경우 플라스틱 재질로 제조되는데, 플라스틱 특성상 연성이 낮아 반복적으로 힘이 가해지면 취성이 생길 수 있는데, 본 발명과 같이 네오디움 자석으로 동일위치에 자석만 닿도록 하여 상기 센서커버(110)를 여닫기 때문에 깨지는 상황을 막을 수 있다.
상기 센서커버자석(111)과 커버안착자석(121)의 크기는 직경이 6mm에 3mm의 높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커버안착부(120)와 센서커버(110)에 각각 4개씩 8개를 이용하여 결합된다. 상기 자석을 이용하여 작은 크기에도 강한 자력을 갖고 있어 운동 중 센서커버(110)가 이탈되는 상황은 없다. 또한, 상기 센서커버(110)와 상기 센서커버(110)에 마련된 자석의 위치는 제품의 중심에 위치하여 디자인적인 부분으로 심미성을 높이고, 자성으로 인해 생길 수 있는 센서의 작동 방해 현상을 막을 수 있도록 상기 모션감지센서(132)와 닿지 않는 곳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센서커버(110)는 직경이 125mm의 원형으로 형성하되,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측면이 비스듬한 형태로 마련되어 있어 측면 자극에 의해 상기 커버안착부(120)에서 쉽게 빠지지 않도록 마련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센서커버(110)의 높이은 5mm의 두께를 형성하나, 측면에서 확인할 때 상기 센서커버(110)의 높이는 사다리꼴과 같은 형태를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센서커버(110)와 결합하는 센서안착부(130) 또한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측면이 비스듬한 형태로 마련된다. 상기 센서커버(110)의 크기는 직경 125mm와 높이 5mm의 사다리꼴 원기둥 형태로 디자인 하였으며, 일반적으로 한 손에 쉽게 잡히는 크기로 마련된다.
상기 센서커버홈(112)은 직경 20mm에 45°로 홈을 마련하여 상기 센서커버홈(112) 사이로 손가락을 넣어 상기 센서커버(110)를 여닫는 방식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커버안착부(120)는 상기 센서커버(110)가 상기 센서안착부(130)의 홀을 덮을 때 상기 상부패드(10)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도록 상기 센서커버(110) 두께와 동일한 두께의 홀이 형성된다. 도 1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커버안착부(120)에 마련된 센서커버자석(111)과 상기 센서커버(110)에 마련된 커버안착자석(121)의 자력에 의해 서로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센서커버자석(111)과 커버안착자석(121)은 직사각형 형태로 위치하고 있어 상기 센서커버(110)를 자연스럽게 알맞은 위치로 끌어당김으로써 삐뚤어지게 안착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센서커버(110)와 커버안착부(120)의 가장자리를 45°로 디자인함으로써 억지로 홈을 맞춰서 끼우지 않아도 자연스럽게 자석에 의해 미끄러지듯이 결합되기 때문에 불편함을 덜어준다. 열 때도 상기 센서커버(110)와 센서안착부(130)가 조립되어서 결합되는 것이 아니라, 자석에 의해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센서커버홈(112)를 잡고 천천히 밀어도 경사면에 의해 탈거가 용이하다. 즉, 상기 센서커버(110)와 커버안착부(120)가 어떠한 돌출된 형태로 결합된 구조가 아니므로 여러 운동에 의해 미세한 비틀림이나 충격에 의해서 마모되거나 손상될 위험이 없다.
다음으로, 상기 모션감지센서(132)는 상기 밸런스보드(1)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밸런스보드(1)의 기울기와 무게중심을 감지한다. 상기 모션감지센서(132)는 무게중심센서와 자이로센서의 기능을 포함하고 있어 무게중심 및 기울기를 확인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모션감지센서(132)는 한번 충전하여 최대 3일을 사용할 수 있고, 도 14(b)에 나타난 바와 같이 호환성이 높은 마이크로 5핀을 이용해서 충전한다. 수신가능 거리는 최대 10m로, 안드로이드와 IOS 기반의 스마트 기기에서 블루투스 연결을 통해 사용 가능하다.
도 1(a)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밸런스보드(1)를 바닥에서 사용하는 경우 상기 모션감지센서(132)에 의해 x, y축인 2축을 통해서 전체적인 밸런스, 코어 운동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도 1(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밸런스보드(1)를 손잡이를 잡고 상체 운동을 할 때는 x, y, z축인 3축을 통해서 신체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즉, 도 18에 나타난 바와 같이, 운동을 하고 있을 때 또는 운동을 하고 난 후에 상기 무게중심센서로부터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운동어플리케이션(3)을 통해서 자기 몸에 대한 밸런스를 확인할 수 있다.
추가로, 상기 운동어플리케이션(3)에서 설정창에서 사용자의 정보(생년월일, 나이, 키, 몸무게)를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해당 정보를 기반으로 BMI, 체지방률, 골격근량 및 기초대사량을 제공하여 실시간 피드백 효과가 있다.
상기 BMI의 경우 “키(cm) / 100”을 통해서 m 단위로 변환한 다음에 ( 몸무게(kg) / ( 키(m) x 키(m) ) )를 통해서 구한다. 보통 남성의 근육량은 여성보다 1.5배 많다. 이를 기준으로 해리스-배네딕트 계산법은 남녀를 나누어서 기초대사량을 파악한다. 남성의 경우 (66.47) + ( 13.75 x 체중(kg) ) + ( 5 x 키(cm) ) - ( 6.76 x 나이 ) 식에 대입해서 구하고 여성의 경우 여성은 (655.1) + ( 9.56 x 체중(kg) ) + ( 1.85 x 키(cm) ) - ( 4.68 x 나이 ) 식에 대입해서 구한다.
상기 체지방량의 경우 james lean body mass를 이용하여 계산한다. 남성의 경우 ( 1.10 x 체중(kg) ) - ( 128 x ( ( 체중(kg) x 체중(kg) ) / ( 키(cm) x 키(cm) ) ) ) 식을 통해서 구하고, 여성의 경우 ( 1.07 x 체중(kg) ) - ( 128 x ( ( 체중(kg) x 체중(kg) ) / ( 키(cm) x 키(cm) ) ) ) 를 통해서 제지방량을 구한다. 그리고 구한 수치를 기반으로 해서 체지방률은 "( 제지방량 x 100 ) / 몸무게(kg)" 를 해서 구한다. 체지방률은 (100 - 제지방률) 을 통해서 구하고, 골격근량은 구한 제지방량에서 0.577을 곱해서 구한다.
종래의 밸런스 운동기구는 본 발명과 같은 센서가 탑재되어 있지 않고, 스마트 디바이스를 밸런스 운동기구 제품 위에 올려놓고 고개를 하단으로 향하게 하여 운동의 집중도가 낮아지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기 모션감지센서(132)에 무게중심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하여 블루투스 연결을 통해 운동어플리케이션(3)이 설치된 스마트 디바이스는 고정된 장소에 위치하고 상기 밸런스보드(1)를 손에 들고 운동할 수 있게 되어 고개를 하단으로 내리지 않고 정면을 보며 바른 자세로 운동할 수 있게 마련된다. 또한, 전문강사의 영상 강좌를 통해 바른 운동자세를 배울 수 있고 상기 모션감지센서(132)를 통해 초보자도 COP의 중심점에 가깝게 유지할 수 있다. 운동어플리케이션(3) 내에서 상기 모션감지센서(132)의 감도 설정도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있어 상기 밸런스보드(1)를 처음 접하는 사용자도 감도조절로 쉽고 재밌게 운동 할 수 있다. 또한 운동을 재미있게 하면서 사용자의 신체기능 개선에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다. 그리고 서버에 저장되어있는 운동 데이터를 가공해 특정 사용자는 어디가 부족한지 정보를 알 수 있게 해주는 운동어플리케이션(3)의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션감지센서(132)는 자이로센서의 기능을 포함하고 있어 기울기를 확인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자이로센서는 6축 기울기를 측정할 수 있어 상기 밸런스보드(1)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자이로센서에서 블루투스로 연결된 운동어플리케이션(3)에 좌표값 x, y축 데이터를 발신하여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사용자의 위치를 표시한다. 또한, 손잡이를 통해 z 좌표값이 추가되어 상기 밸런스보드(1)를 들고 할 수 있는 운동콘텐츠도 적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상부패드(10)의 하단면은 상기 에어튜브(20)와 하부패드(30)와 맞춤결합 하도록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상부패드(10)의 하단면은 하부패드결합툴(160), 에어튜브상단결합면(170) 및 에어튜브내주면결합면(180)로 구성된다.
먼저, 상기 하부패드결합툴(160)은 상기 하부패드(30) 상단 일측에 마련된 결합홈에 끼움 결합되도록 상기 상부패드(10)의 하단면 일측에 다수개로 대칭되어 원기둥 형태로 마련된다. 상기 하부패드결합툴(160)은 아래에 설명할 상부패드결합홈(320)과 끼움 결합된다. 상기 하부패드결합툴(160)은 상기 손잡이부를 제외하고 상기 상부패드(10)에 고르게 분산되어 대칭되어 위치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부패드결합툴(160)은 상기 총 6개로 상기 손잡이부 좌측면에 하나씩 상기 상부패드(10)에 고르게 분산되어 대칭으로 위치한다.
다음으로, 상기 에어튜브상단결합면(170)은 상기 에어튜브(20) 상단면이 결합 후 상기 상부패드(10)와 에어튜브(20)의 중심축이 어긋나지 않도록 상기 상부패드(10) 하단면에 마련된 방사형 선에 단차가 마련된다.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에어튜브(20)는 하부패드걸림면(220)과 상부패드걸림면(240)이 단차가 마련되어 있어 상기 에어튜브(20)의 결합면을 맞추기 위해 상기 상부패드(10) 또한 동일한 높이의 단차가 마련되어야 한다. 상기 에어튜브상단결합면(170)의 단차에 의해 상기 상부패드(10)와 에어튜브(20)가 결합하였을 때 그 결합면이 외부 충격에 의해 무너지지 않고 중심축이 어긋나지 않도록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에어튜브상단결합면(170)의 단차는 상기 방사형 선에 동일한 높이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에어튜브내주면결합면(180)은 상기 에어튜브(20)의 내주면에 끼움결합된다. 상기 에어튜브(20)는 내부가 중공형으로 마련되어 있으므로 상기 에어튜브(20)의 내주면에 끼움결합 될 수 있도록 상기 상부패드(10)의 하단면은 상기 에어튜브(20)의 내주면과 동일한 직경의 원기둥 형태의 결합면이 마련된다.
상기 에어튜브내주면결합면(180)은 상기 에어튜브(20)가 사용자가 격한 운동을 했을 때 안쪽으로 접혀 들어감과 상기 에어튜브(20)의 이탈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다음으로, 상기 에어튜브(20)는 상기 상부패드(10)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밸런스보드(1)의 불안정성을 증가하도록 반구 형태로 마련되며, 외부 자극에 의해 무게중심이 변형되어도 마찰력이 증가되도록 에틸렌초산비닐공중합체(EVA, 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로 구성된다.
상기 에어튜브(20)는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중심변화부(210), 하부패드걸림면(220), 패드걸림돌출면(230) 및 상부패드걸림면(240)으로 구성된다.
먼저, 상기 중심변화부(210)는 반구형의 중공형으로 마련되고, 외주면에 미끄럼 방지용 대칭된 라인이 마련되며 상기 하부패드(30)의 내주면에 끼움결합된다.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중심변화부(210)는 위치 변화에도 미끄러지지 않도록 미끄럼 방지용 홈 또는 라인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하부패드걸림면(220)은 상기 중심변화부(210)의 반구형에서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상부패드(10)가 상기 에어패드에 안착되고 상기 하부패드(30)에 걸림을 용이하게 한다. 상기 하부패드걸림면(220)은 상기 에어튜브(20)의 외주면을 따라 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하부패드걸림면(220)의 하단부가 상기 하부패드(30)의 상단면에 걸림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상기 패드걸림돌출면(230)은 상기 하부패드걸림면(220)의 일측에 다수개의 대칭된 돌출면을 더 형성하여 상기 하부패드(30)의 상단면에 추가 걸림을 형성한다. 즉, 상기 패드걸림돌출면(230)은 하부패드걸림면(220)에서 일부 연장되어 상기 하부패드(30)에 상기 에어패드가 결합하였을 때 결합을 견고하게 한다.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하부패드걸림면(220)의 하단면은 전체적으로 상기 하부패드(30)에 걸림을 형성하게 되고, 상기 패드걸림돌출면(230)의 하단면은 상기 하부패드(30)의 에어튜브하단결합홈(330)과 결합하여 더욱 견고한 결합을 형성하고 상기 에어패드(20)가 내부에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
다음으로, 상부패드걸림면(240)은 상기 하부패드걸림면(220)의 상단에 수직 형성되어 상기 상부패드걸림면(240)과 단차가 마련되고 상기 상부패드(10)와 결합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상부패드걸림면(240)의 내주면은 상기 에어튜브내주면결합면(180)과 결합하게 되고, 상기 상부패드걸림면(240)과 상기 하부패드걸림면(220)의 단차는 상기 에어튜브상단결합면(170)과 결합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하부패드(30)는 상기 에어튜브(20)의 외주면에서 돌출된 걸림면을 통해 상기 에어튜브(20)가 안착되도록 도넛형태로 마련되고, 상기 상부패드(10)와 맞춤결합을 형성한다.
상기 하부패드(30)는,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하부손잡이부(310), 상부패드결합홈(320) 및 에어튜브하단결합홈(330)으로 구성된다.
먼저, 하부손잡이부(310)는 양측에 대칭되어 사용자가 손에 잡고 들 수 있는 홀이 마련되고 상기 상부패드(10)와 결합한다. 상기 상부패드(10)의 상부손잡이부(140)와 결합하여 손잡이부를 형성한다.
다음으로, 상기 상부패드결합홈(320)은 상기 상부패드(10)의 하단면 일측에 다수개로 대칭되어 원기둥 형태로 마련된 하부패드결합툴(160)이 끼움 결합하도록 결합홈이 마련된다. 상기 상부패드결합홈(320)은 상기 하부패드결합툴(160)의 형태와 동일하게 원기둥 형태로 마련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기 에어튜브하단결합홈(330)은 상기 에어튜브(20)와 상기 하부패드(30)와 결합된 후 상기 하부패드(30)와 에어튜브(20)의 중심축이 어긋나지 않도록 상기 하부패드(30)와 상기 에어튜브(20)가 결합되는 상기 하부패드(30)의 상단면 결합부에 마련된 방사형 선과 상기 방사형 선에 단차가 일부 마련된다.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에어튜브하단결합홈(330)은 상기 상부패드(10)의 하단면과 유사하게 방사형 선인 에어튜브상단결합면(170)과 유사하게 단차가 마련되어 있다. 다만, 상기 상부패드(10)의 에어튜브상단결합면(170) 단차는 방사형 선에서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나, 상기 에어튜브하단결합홈(330)의 방사형 단차는 상기 패드걸림돌출면(230)의 위치에 맞게 상기 패드걸림돌출면(230)이 결합하는 부분은 단차가 생기는 위치가 외부로 밀려서 형성된다.
다시 말해, 상기 에어튜브하단결합홈(330)은 도 8에서 붉은 동그라미 부분과 초록 동그라미 부분의 단차 형성 위치가 달리 마련되어 있어, 상기 붉은 동그라미 부분은 상기 패드걸림돌출면(230)이 결합하고 상기 초록 동그라미 부분은 상기 하부패드걸림면(220)이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항시 중심축이 변화하는 불안정한 구조의 운동기구는 충분한 준비운동을 하지 않을 때 족관절의 가동범위를 넘어 부상의 우려가 있을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에어튜브(20)가 결합하였을 때 상기 밸런스보드(1)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밸런스보드(1)의 크기, 즉 상기 상부패드(10)의 지름과 상기 밸런스보드(1)의 높이 간의 각도 조절을 통해 족관절 가동에 최적의 각도를 확보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밸런스보드(1)는 상기 상부패드(10)가 지면과의 최대 각도가 25° 내지 35°를 이루도록 구성된다.
상기 밸런스보드(1)는 상기 밸런스보드(1) 상에 서있는 사용자의 중심을 계속적으로 불안정하게 하는 구조이므로, 사용자는 계속해서 균형을 잡기 위해 근육 간의 협응이 있어야 한다. 이러한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해,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과 동일하게 움직이는 상기 밸런스보드(1)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상기 자이로센서를 상기 밸런스보드(1) 내에 설치하는 것이다. 여기서, 감지된 움직임은 상기 자이로센서의 기울기 신호값으로, 이를 상기 운동어플리케이션(3)으로 전송 후 분석하여 기울기 신호값을 방향과 가속도 데이터로 분류하고, 상기 분류된 방향과 가속도 데이터를 운동컨텐츠(T)에 반영함으로써 결국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운동컨텐츠(T)의 일부 구성이 동일하게 변화하게 하는 구조로써, 사용자의 흥미를 높이는 원리이다.
상기 통신모듈(2)은 상기 운동어플리케이션(3)에 기울기 신호값 및 무게중심 신호값을 전송하기 위한 것으로, 블루투스, 와이파이 등의 수단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운동어플리케이션(3)은 모바일 단말기에서 설치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으로, 종류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운동어플리케이션(3)이 설치되는 기기는 모바일 단말기 뿐 아니라 상기 통신모듈(2)을 통해 상기 자이로센서의 데이터가 전송될 수 있는 기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4)는 상기 운동어플리케이션(3)이 설치된 모바일 단말기, 혹은 상기 운동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모바일 단말기 이외에 운동컨텐츠(T)를 출력할 수 있는 수단이면 가능하다.
상기 운동어플리케이션(3)은 운동컨텐츠(T)를 내장하여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제시하고, 라이브 스트리밍 콘텐츠 플랫폼에 접속하여 송수신되며, 상기 밸런스보드(1)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수신 및 분석하여 방향 데이터와 무게중심 데이터로 분류한다.
상기 디스플레이(4)는 상기 운동어플리케이션(3)과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상기 운동컨텐츠(T)가 디스플레이(4)되고, 사용자의 실제 무게 중심을 표시한다. 사용 시에, 사용자가 상기 밸런스보드(1)로 밸런스운동을 하면, 상기 모션감지센서(132)에 의해 사용자의 무게중심과 동일한 위치를 표시하되, 기설정된 운동컨텐츠(T) 내에서 운동 자세에 따른 정확한 무게중심에 대비하여 사용자의 실제 무게 중심을 표시하여 사용자가 바른 운동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아래는 본 발명인 모션감지센서(132) 내장 벨런스 운동기구 시스템의 사용방법을 기술하였다.
(1) Google Play(Android), App Store(iOS)에서 FAVEFIT 검색 후 운동어플리케이션(3)을 다운 받는다.
(2) 처음 초기화면에서 회원가입 후 로그인한다.
(3) 최초 로그인시 자신의 정보입력 씬 로드하고, 정보 입력 후 저장버튼 클릭한다.
(4) 메인화면 진입 시 상단 오른쪽의 메뉴 버튼 클릭 시 자신의 정보, 신체, 블루투스 연결현황(연결되면 블루투스 이미지 밑에 배터리 잔량이 표시됨), 자신의 제품 확인 및 즐겨찾기한 운동리스트, 운동기록을 확인할 수 있다.
(5) 운동영상 재생 시 즐겨찾기 가능하다. 또한, 블루투스 연결 없이 운동어플리케이션(3)을 사용 가능하나 기록은 확인불가하다. 블루투스 연결 후 운동 시 Vo2max, 칼로리, 근활성도를 확인 할 수 있다.
(6) 운동영상 화면에서 REAL-TIME COP 탭을 클릭하면 동그라미원 안에 점 한 개가 보이는데 현재 무게중심 센서의 위치가 표시된다. 무게중심 점이 가운데에 있을수록 운동 효과가 좋다.
(7) 메인화면의 ALL 탭에는 모든 운동영상을 볼 수 있으며 FAVE350영상, FAVE450영상이 구분되어있다.
(8) 챌린지 모드탭은 실제 사용자와 실제로 겨룰 수 있는 모드이며 자신의 랭크와 상위 퍼센트를 알 수 있다. 챌린지 기록도 확인 가능하며 자신의 평균 등급 및 최대 등급을 확인할 수 있고 COP의 평균, 최대 길이 그리고 지난 운동과 비교도 가능하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일반인 뿐 아니라 어린이, 청소년, 노약자의 건강관리를 위한 밸런스운동을모바일기기에 설치되는 게임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하여 사용자가 쉽게 밸런스 운동방법을 숙지할 수 있고, 즐겁게 운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지의 무릎주변, 발목주변, 고관절 주변의 근육, 건, 인대를 활성화시키는 불안정한 중심축이 이동되는 밸런스보드(1)의 움직임을 활용하여, 키 성장에 영향을 많이 주고 관절에 건강한 자극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양손에 잡을 수 있는 손잡이가 마련되어 손의 흔들림과 미끄러짐을 방지하여 상체 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모션감지센서(132)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통해 몸에 대한 밸런스, BMI지수, 지방량 및 근육량 등의 정보를 실시간을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코어 기능을 향상시켜 운동선수들의 경기력 향상 및 부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밸런스보드
10. 상부패드
110. 센서커버
111. 센서커버자석
112. 센서커버홈
120. 커버안착부
121. 커버안착자석
130. 센서안착부
131. 센서탈착홈
132. 모션감지센서
140. 상부손잡이부
150. 미끄럼방지부
160. 하부패드결합툴
170. 에어튜브상단결합면
180. 에어튜브내주면결합면
20. 에어튜브
210. 중심변화부
220. 하부패드걸림면
230. 패드걸림돌출면
240. 상부패드걸림면
30. 하부패드
310. 하부손잡이부
320. 상부패드결합홈
330. 에어튜브하단결합홈
2. 통신모듈
3. 운동어플리케이션
4. 디스플레이
T. 운동컨텐츠
10. 상부패드
110. 센서커버
111. 센서커버자석
112. 센서커버홈
120. 커버안착부
121. 커버안착자석
130. 센서안착부
131. 센서탈착홈
132. 모션감지센서
140. 상부손잡이부
150. 미끄럼방지부
160. 하부패드결합툴
170. 에어튜브상단결합면
180. 에어튜브내주면결합면
20. 에어튜브
210. 중심변화부
220. 하부패드걸림면
230. 패드걸림돌출면
240. 상부패드걸림면
30. 하부패드
310. 하부손잡이부
320. 상부패드결합홈
330. 에어튜브하단결합홈
2. 통신모듈
3. 운동어플리케이션
4. 디스플레이
T. 운동컨텐츠
Claims (5)
- 사용자의 발이 안착되는 형태에서 중심축이 계속적으로 변화하는 밸런스보드(1);
상기 밸런스보드(1)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전송하는 통신모듈(2);
운동컨텐츠(T)를 내장하여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제시하고, 라이브 스트리밍 콘텐츠 플랫폼에 접속하여 송수신되며, 상기 밸런스보드(1)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수신 및 분석하여 방향 데이터와 무게중심 데이터로 분류하는 운동어플리케이션(3); 및
상기 운동어플리케이션(3)과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상기 운동컨텐츠(T)가 디스플레이(4)되고, 사용자의 실제 무게 중심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4);로 구성되고,
상기 밸런스보드(1)는,
상부에서 밸런스 운동을 위해 사용자가 발로 딛고 올라설 수 있는 평면 형상으로 마련되어 사용자의 x 및 y축 움직임을 제공하는 상부패드(10);
상기 상부패드(10)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밸런스보드(1)의 불안정성을 증가하도록 반구 형태로 마련되며, 외부 자극에 의해 무게중심이 변형되어도 마찰력이 증가되도록 에틸렌초산비닐공중합체(EVA, 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로 구성되는 에어튜브(20);
상기 에어튜브(20)의 외주면에서 돌출된 걸림면을 통해 상기 에어튜브(20)가 안착되도록 도넛형태로 마련되고, 상기 상부패드(10)와 맞춤결합을 형성하는 하부패드(30);
상기 밸런스보드(1)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밸런스보드(1)의 기울기와 무게중심을 감지하는 모션감지센서(132);
양측에 대칭되어 사용자가 손에 잡고 들 수 있는 홀이 마련되어 사용자의 x, y 및 z축 움직임을 제공하는 손잡이;로 구성하되,
상기 손잡이는 상기 상부패드(10)와 하부패드(30)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상부패드(10)의 상단 평면은 미끄럼방지부(150)가 마련되어 사용자가 발로 딛고 올라설 때 마찰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션감지센서 내장 밸런스 운동기구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패드(10)의 상단면은,
양측에 대칭되어 사용자가 손에 잡고 들 수 있는 홀이 마련되고 상기 하부패드(30)와 결합하는 상부손잡이부(140);
상기 모션감지센서(132)가 안착되도록 상기 상부패드(10)의 상단 중앙에 홀이 마련되어 있는 센서안착부(130);
상기 센서안착부(130)에서 상기 모션감지센서(132)를 탈착할 수 있도록 상기 센서안착부(130) 홀의 입구 측면에 양측에 대칭되도록 마련된 센서탈착홈(131);
상기 센서안착부(130)의 홀을 덮을 수 있도록 일정 두께의 원형 커버가 마련된 센서커버(110);
상기 센서커버(110)가 상기 센서안착부(130)의 홀을 덮을 때 상기 상부패드(10)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도록 상기 센서커버(110) 두께와 동일한 두께의 홀이 형성된 커버안착부(120);로 구성하되,
상기 센서커버(110)는,
상기 센서커버(110)의 저면 일측에 다수개의 자석이 마련된 센서커버자석(111); 및
상기 센서커버(110) 측면 일측에 상기 센서커버(110)를 탈착하는 센서커버홈(112);이 마련되고,
상기 커버안착부(120)는,
상기 센서커버자석(111)과 결합되도록 상기 센서커버자석(111)과 대칭되는 위치에 마련되는 커버안착자석(121);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션감지센서 내장 밸런스 운동기구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패드(10)의 하단면은 상기 에어튜브(20)와 하부패드(30)와 맞춤결합 하도록 구성하되,
상기 하부패드(30) 상단 일측에 마련된 결합홈에 끼움 결합되도록 상기 상부패드(10)의 하단면 일측에 다수개로 대칭되어 원기둥 형태로 마련된 하부패드결합툴(160);
상기 에어튜브(20) 상단면이 결합 후 상기 상부패드(10)와 에어튜브(20)의 중심축이 어긋나지 않도록 상기 상부패드(10) 하단면에 마련된 방사형 선에 단차가 마련된 에어튜브상단결합면(170); 및
상기 에어튜브(20)의 내주면에 끼움결합되는 에어튜브내주면결합면(18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션감지센서 내장 밸런스 운동기구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튜브(20)는,
반구형의 중공형으로 마련되고, 외주면에 미끄럼 방지용 대칭된 라인이 마련되며 상기 하부패드(30)의 내주면에 끼움결합되는 중심변화부(210);
상기 에어튜브(20)의 외주면을 따라 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하부패드(30)의 상단면에 걸림을 형성하는 하부패드걸림면(220);
상기 하부패드걸림면(220)의 일측에 다수개의 대칭된 돌출면을 더 형성하여 상기 하부패드(30)의 상단면에 추가 걸림을 형성하는 패드걸림돌출면(230); 및
상기 하부패드걸림면(220)의 상단에 수직 형성되어 상기 하부패드걸림면(220)과 단차가 마련되고 상기 상부패드(10)의 하단면 일부가 끼움결합되도록 내주면을 형성하는 상부패드걸림면(24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션감지센서 내장 밸런스 운동기구 시스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패드(30)는,
양측에 대칭되어 사용자가 손에 잡고 들 수 있는 홀이 마련되고 상기 상부패드(10)와 결합하는 하부손잡이부(310);
상기 상부패드(10)의 하단면 일측에 다수개로 대칭되어 원기둥 형태로 마련된 하부패드결합툴(160)이 끼움 결합하도록 결합홈이 마련된 상부패드결합홈(320); 및
상기 에어튜브(20)와 상기 하부패드(30)와 결합된 후 상기 하부패드(30)와 에어튜브(20)의 중심축이 어긋나지 않도록 상기 하부패드(30)와 상기 에어튜브(20)가 결합되는 상기 하부패드(30)의 상단면 결합부에 마련된 방사형 선에 단차가 일부 마련되는 에어튜브하단결합홈(33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션감지센서 내장 밸런스 운동기구 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76009A KR20210157779A (ko) | 2020-06-22 | 2020-06-22 | 모션감지센서 내장 밸런스 운동기구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76009A KR20210157779A (ko) | 2020-06-22 | 2020-06-22 | 모션감지센서 내장 밸런스 운동기구 시스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157779A true KR20210157779A (ko) | 2021-12-29 |
Family
ID=791768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76009A KR20210157779A (ko) | 2020-06-22 | 2020-06-22 | 모션감지센서 내장 밸런스 운동기구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10157779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112399A (ko) | 2022-01-20 | 2023-07-27 | 마루전자 주식회사 | 사용자 신체 불균형을 측정하는 밸런스 운동기기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54588B1 (ko) | 2010-11-19 | 2013-04-15 | (주)그룹한 어소시에이트 | 기능성 게임이 연동된 운동장치 및 이를 이용한 운동방법 |
-
2020
- 2020-06-22 KR KR1020200076009A patent/KR20210157779A/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54588B1 (ko) | 2010-11-19 | 2013-04-15 | (주)그룹한 어소시에이트 | 기능성 게임이 연동된 운동장치 및 이를 이용한 운동방법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112399A (ko) | 2022-01-20 | 2023-07-27 | 마루전자 주식회사 | 사용자 신체 불균형을 측정하는 밸런스 운동기기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704412B2 (en) | Biometric data gathering | |
US20220258002A1 (en) | Abdominal and core exerciser device | |
US11052286B2 (en) | Smart performance footwear and system | |
US9446288B1 (en) | Exercise and therapy device having SPNRED material | |
US10258823B2 (en) | Instrumented total body recumbent cross trainer system | |
ES2320373T3 (es) | Procedimiento y dispositivo para evaluar las capacidades musculares de los atletas mediante pruebas breves. | |
US9162106B1 (en) | Ankle and foot exercise apparatus | |
CA2934045A1 (en) | Exercise tracking and analysis systems and related methods of use | |
JP2016209627A (ja) | フィットネスモニタリング方法、システム並びにプログラム製品及びそのアプリケーション | |
US20180264321A1 (en) | Tilting surface application controller | |
JPWO2002051308A1 (ja) | 健康管理システム、健康管理装置、サーバ及び健康管理方法 | |
WO2017146498A1 (ko) | 회전방향 및 운동량 측정장치를 구비하는 훌라후프를 이용한 운동관리 장치 | |
CN104492040A (zh) | 一种提高乒乓球运动员的技战术的方法和乒乓球拍 | |
US11007407B2 (en) | Gamification balance exercise system | |
KR20210157779A (ko) | 모션감지센서 내장 밸런스 운동기구 시스템 | |
KR20210157789A (ko) | 밸런스 게임 기구 시스템 | |
KR102146074B1 (ko) | 점핑운동용 트램펄린 시스템 | |
US20170312577A1 (en) | System and Method for Sport Performance Monitoring, Analysis, and Coaching | |
TWI762369B (zh) | 混合實境式運動訓練系統 | |
KR101940032B1 (ko) | 운동량 측정이 가능한 맞춤형 스마트 헬스 케어 시스템 | |
KR101464291B1 (ko) | 오락게임용 헬스케어 운동기구 | |
KR101797863B1 (ko) | 탄성밴드를 이용한 휴대용 운동기구 작동방법 | |
Naternicola | Fitness: Steps to Success | |
KR101693413B1 (ko) | 짐볼을 이용한 운동기구 | |
Sharma et al. | Scope of Embedding Supervised learning Techniques on Sensors data in Sports Equipment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