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4588B1 - 기능성 게임이 연동된 운동장치 및 이를 이용한 운동방법 - Google Patents

기능성 게임이 연동된 운동장치 및 이를 이용한 운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4588B1
KR101254588B1 KR1020100115887A KR20100115887A KR101254588B1 KR 101254588 B1 KR101254588 B1 KR 101254588B1 KR 1020100115887 A KR1020100115887 A KR 1020100115887A KR 20100115887 A KR20100115887 A KR 20100115887A KR 101254588 B1 KR101254588 B1 KR 1012545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me
exercise
user
exercise devic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58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54486A (ko
Inventor
김요섭
박명권
Original Assignee
(주)그룹한 어소시에이트
(주)디자인파크개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6270336&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254588(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그룹한 어소시에이트, (주)디자인파크개발 filed Critical (주)그룹한 어소시에이트
Priority to KR10201001158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4588B1/ko
Publication of KR201200544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44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45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45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87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groups A63B21/00 - A63B23/00, e.g. controlling loa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59Exercising apparatus with reward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87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groups A63B21/00 - A63B23/00, e.g. controlling load
    • A63B2024/0096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groups A63B21/00 - A63B23/00, e.g. controlling load using performance related parameters for controlling electronic or video games or avata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2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with means for remote communication, e.g. internet or the lik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기능성 게임이 연동된 운동장치는, 게임 소프트웨어가 내장되고, 사용자가 게임을 플레이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단말기 유닛 및 사용자의 운동에 의한 입력에 따라 게임이 진행되도록 상기 게임 소프트웨어와 연동된 운동기구 유닛을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기능성 게임이 연동된 운동장치를 이용한 운동방법은, 게임 소프트웨어가 내장되고, 사용자가 게임을 플레이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단말기 유닛 및 사용자의 운동에 의한 입력에 따라 게임이 진행되도록 상기 게임 소프트웨어와 연동된 운동기구 유닛을 포함하는 기능성 게임이 연동된 운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운동기구 유닛을 통하여 운동을 수행하며, 상기 운동에 따른 운동기구 유닛의 구동을 이용하여 게임을 진행하는 단계, 상기 운동기구 유닛을 통해 상기 사용자가 얻은 운동 효과가 상기 게임에 반영되어 저장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가 상기 단말기 유닛 또는 운동기구 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하여, 상기 운동 효과가 반영되어 저장된 게임을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기능성 게임이 연동된 운동장치 및 이를 이용한 운동방법{Exercising Apparatus Linking Functional Game and Exercis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사용자가 플레이하는 게임 소프트웨어의 진행을 위해 운동기구 유닛을 사용하도록 하는 기능성 게임이 연동된 운동장치 및 이를 이용한 운동방법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운동기구 유닛이 상기 게임 소프트웨어와 연동되어, 사용자의 운동에 의한 입력에 따라 게임이 진행되도록 상기 게임 소프트웨어와 연동된 운동기구 유닛을 포함하는 기능성 게임이 연동된 운동장치 및 이를 이용한 운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회의 변화에 따라, 신체 활동이 적어져 과거에 비해 체력이 현저히 떨어진 현대인들에게 운동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다양한 운동기구들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상기 운동기구를 개별적으로 구입하여 사용하기 어려운 사람들은, 피트니스 클럽 등을 이용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그 어떤 경우도 본인의 강력의 의지가 없이는 지속적으로 운동을 수행하기가 매우 힘든 경우가 많았으며, 특히 피트니스 클럽 등에 가입하여 입회비를 납부해 놓고도 이를 활용하지 않아 금전적인 낭비를 초래하는 결과를 가져오기도 하였다.
이와 같이, 운동기구는 사용자가 지속적으로 사용하지 않는 경우가 많아, 운동기구의 사용에 대한 흥미를 높이고, 동기를 유발시키기 위해, 종래에는 게임 기능을 결합한 운동기구들이 다수 고안되었다.
하지만, 이들은 단순히 일종의 아바타를 설정해 상기 아바타를 단순 육성하거나, 또는 운동기구를 이용한 간단한 경쟁 게임을 수행하는 등 기초적인 단계의 게임에 불과하여, 사용자가 초기에 잠시 흥미를 가질 수는 있으나 이 역시 지속적으로 운동기구를 사용하기에는 쉽게 흥미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할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게임 소프트웨어가 내장되고, 사용자가 게임을 플레이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단말기 유닛과 사용자의 운동에 의한 입력에 따라 게임이 진행되도록 상기 게임 소프트웨어와 연동된 운동기구 유닛을 포함하는 기능성 게임이 연동된 운동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그리고, 상기 게임 소프트웨어는 게임 진행 중 적어도 어느 일부분 이상을 진행하기 위해 상기 운동기구 유닛을 필수적으로 사용하도록 설정된 기능성 게임이 연동된 운동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이와 같은 기능성 게임이 연동된 운동장치를 이용하는 운동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과정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능성 게임이 연동된 운동장치는, 게임 소프트웨어가 내장되고, 사용자가 게임을 플레이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단말기 유닛 및 사용자의 운동에 의한 입력에 따라 게임이 진행되도록 상기 게임 소프트웨어와 연동된 운동기구 유닛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게임 소프트웨어는 게임 진행 중 적어도 어느 일부분 이상을 진행하기 위해 상기 운동기구 유닛을 필수적으로 사용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운동기구 유닛에는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되며, 상기 게임 소프트웨어는 온라인으로 제공되어 상기 단말기 유닛 및 상기 운동기구 유닛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사용자는 본인 식별 과정을 거쳐 상기 단말기 유닛 또는 상기 운동기구 유닛에 설치된 게임 소프트웨어에 접속하여 게임을 수행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게임 소프트웨어는 상기 단말기 유닛에 설치되는 주 소프트웨어와 상기 운동기구 유닛에 설치되는 보조 소프트웨어로 분리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기 유닛은 상기 운동기구 유닛에 유, 무선 연결 가능하도록 구비된 기능성 게임이 연동된 운동장치.
그리고, 상기 운동기구 유닛에는 상기 단말기 유닛을 장착할 수 있는 크래들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게임 소프트웨어는 온라인으로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게임 소프트웨어에는 사용자에게 할당된 캐릭터가 제공되며, 상기 사용자는 상기 운동기구 유닛을 통해 상기 캐릭터의 상태를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캐릭터에는 능력치가 설정되고, 상기 사용자가 사용하는 운동기구 유닛의 종류에 따라 얻을 수 있는 운동 효과를 상기 캐릭터의 능력치에 반영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게임 소프트웨어에는 사용자에게 할당된 캐릭터가 제공되며, 상기 사용자는 상기 운동기구 유닛을 통해 상기 캐릭터의 행동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게임 소프트웨어는, 상기 게임 소프트웨어에서 발생되는 다양한 특정 상황에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게임 소프트웨어에 의해 지정된 운동기구 유닛을 사용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게임 소프트웨어는 상기 사용자의 운동평가에 따라 운동기구 유닛을 지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게임 소프트웨어는 복수 종류의 운동기구 유닛을 조합하여 지정 가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단말기 유닛 및 상기 운동기구 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게임 소프트웨어와 연동되고, 사용자가 상기 운동기구 유닛으로 수행하는 운동에 대한 정보를 취합, 저장 및 가공하는 운동평가 소프트웨어가 내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운동평가 소프트웨어는, 상기 사용자의 특성에 따른 맞춤 수행맵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운동평가 소프트웨어의 운동평가에 따라 상기 게임에 대한 보상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게임 소프트웨어에는 사용자에게 할당된 캐릭터가 제공되며, 상기 운동평가 소프트웨어의 운동평가에 따라 상기 캐릭터의 상태를 변화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게임 소프트웨어는, 상기 게임 소프트웨어에서 발생되는 다양한 특정 상황에서 상기 사용자가 선택하여 사용한 운동기구 유닛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결과가 발생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게임 소프트웨어 및 상기 운동기구는 복수의 사용자가 각각 동시 사용하도록 제공되어, 상기 복수의 사용자의 협력에 의해 상기 게임이 진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운동기구 유닛을 소정 기간 사용하지 않거나, 상기 운동기구 유닛의 사용 빈도가 기준 빈도보다 적을 경우, 게임의 진행에 불이익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과정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능성 게임이 연동된 운동장치를 이용한 운동방법은, 게임 소프트웨어가 내장되고, 사용자가 게임을 플레이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단말기 유닛 및 사용자의 운동에 의한 입력에 따라 게임이 진행되도록 상기 게임 소프트웨어와 연동된 운동기구 유닛을 포함하는 기능성 게임이 연동된 운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운동기구 유닛을 통하여 운동을 수행하며, 상기 운동에 따른 운동기구 유닛의 구동을 이용하여 게임을 진행하는 단계, 상기 운동기구 유닛을 통해 상기 사용자가 얻은 운동 효과가 상기 게임에 반영되어 저장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가 상기 단말기 유닛 또는 운동기구 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하여, 상기 운동 효과가 반영되어 저장된 게임을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단말기 유닛 및 상기 운동기구 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게임 소프트웨어와 연동되고, 사용자가 상기 운동기구 유닛으로 수행하는 운동에 대한 정보를 취합, 저장 및 가공하는 운동평가 소프트웨어가 내장되고, 상기 운동기구 유닛의 구동을 이용하여 게임을 진행하는 단계 이전에는, 상기 운동평가 소프트웨어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특성에 따른 맞춤 수행맵이 제공되는 단계가 더 포함되며, 상기 운동기구 유닛의 구동을 이용하여 게임을 진행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수행맵에 따른 방법으로 상기 운동기구 유닛을 사용하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가 얻은 운동 효과가 상기 게임에 반영되어 저장되는 단계는, 상기 운동평가 소프트웨어의 운동평가에 따라 상기 게임에 대한 보상을 제공하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게임 소프트웨어에는 사용자에게 할당된 캐릭터가 제공되며, 상기 사용자가 얻은 운동 효과가 상기 게임에 반영되어 저장되는 단계는, 상기 운동평가 소프트웨어의 운동평가에 따라 상기 캐릭터의 상태를 변화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능성 게임이 연동된 운동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사용자가 상기 운동기구 유닛에 대한 흥미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둘째, 본 발명에 사용되는 게임 소프트웨어는 간단한 게임으로부터 고 퀄리티의 게임까지 다양한 게임일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쉽게 흥미를 잃지 않고 다양한 게임을 즐길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셋째, 상기 운동기구 유닛을 한정된 상황에서만 활용하는 것이 아니라, 게임의 어떤 요소와도 결합시켜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운동기구 유닛의 다양한 조작을 통해 신체를 단련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게임이 연동된 운동장치의 전체적인 개념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게임이 연동된 운동장치에 있어서, 운동기구 유닛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게임이 연동된 운동장치에 있어서, 사용자가 사용하는 운동기구 유닛과 게임 소프트웨어가 연동되어 할당된 캐릭터의 능력치가 변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게임이 연동된 운동장치에 있어서, 사용자가 사용하는 운동기구 유닛과 게임 소프트웨어가 연동되어 할당된 캐릭터의 행동이 변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게임이 연동된 운동장치의 전체적인 개념을 나타낸 도면;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게임이 연동된 운동장치의 전체적인 개념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은 전체적으로 단말기 유닛, 운동기구 유닛 및 이들을 사용하는 사용자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단말기 유닛에는 게임 소프트웨어가 내장되며, 이를 상기 사용자가 플레이할 수 있다. 즉, 상기 단말기 유닛에 내장된 게임 소프트웨어는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상기 단말기 유닛의 콘트롤러 등과 같은 조작부를 조작하여 게임을 즐길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운동기구 유닛은 상기 사용자가 운동을 수행할 수 있으며, 다양한 종류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운동기구 유닛은 상기 게임 소프트웨어와 연동되어, 상기 사용자가 운동을 수행할 경우, 이에 따른 입력에 따라 게임이 진행되도록 구비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사용자는 하나의 게임 소프트웨어를 단말기 유닛 및 운동기구 유닛 모두를 이용하여 플레이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르면, 동일한 게임을 전부 단말기 유닛만을 사용하여 진행하거나, 또는 운동기구 유닛만을 사용하여 진행할 수 있다. 또한, 게임의 전체적인 진행은 단말기 유닛 또는 운동기구 유닛 중 어느 하나로 수행하고, 사이사이의 보조적인 진행을 나머지 다른 하나로 수행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이는 게임 소프트웨어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단말기 유닛 및 상기 운동기구 유닛을 각각 자율적으로 선택하여 게임을 플레이할 수 있도록 할 것인지, 또는 상기 사용자의 의지와 관계없이 양자를 모두 필수적으로 사용하여야 게임의 전체 플레이가 가능하도록 할지 기획하여 프로그래밍할 수 있다. 이는 게임의 장르, 운동기구 유닛의 특성, 이용 대상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정해질 수 있다.
상기 게임 소프트웨어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게임 소프트웨어는 다양한 장르, 다양한 컨셉으로 제작될 수 있다. 현재는 게임 산업의 발전으로 인해 게임 소프트웨어가 고용량화, 고품질화되었으며, 사용자의 게임 이용 수준 역시 고급화되어, 사용자의 흥미를 유발하지 못하거나 품질이 저급한 게임은 쉽게 도태되는 상황이다.
여기서, 상기 배경기술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운동기구는 사용자가 지속적으로 사용하지 않게 되는 경우가 많아, 운동기구의 사용에 대한 흥미를 높이고, 동기를 유발시키기 위해 종래에는 게임 기능을 결합한 운동기구들이 다수 고안되었다.
하지만, 이들은 단순히 일종의 아바타를 설정해 상기 아바타를 단순 육성하거나, 또는 운동기구를 이용한 간단한 경쟁 게임을 수행하는 등 기초적인 단계의 게임에 불과하여, 사용자가 초기에 잠시 흥미를 가질 수는 있으나 이 역시 지속적으로 운동기구를 사용하기에는 쉽게 흥미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즉, 현재 취향이 고급화된 사용자에게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들은 게임의 품질이 저급하여 사용자가 외면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실질적으로 사장되는 현상이 나타나게 되었다.
반면, 본 발명의 경우, 운동기구 유닛만을 사용하여 게임을 수행하는 것이 아니며, 단말기 유닛으로 동시에 게임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단말기 유닛은 다양한 기기일 수 있다. 즉, 게임이 내장될 수 있는 콘솔(Console) 게임기, 퍼스널 컴퓨터(PC), 모바일폰 및 스마트폰 등 그 제한이 없다. 특히, 콘솔 게임기 또는 퍼스널 컴퓨터와 같은 경우, 사양에 따라 최고급 품질의 게임을 사용자에게 제공 가능하여, 이들과 상기 운동기구 유닛을 연동할 경우, 사용자는 흥미를 잃지 않고 운동기구 유닛을 통해 운동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운동기구 유닛을 이용한 게임 플레이 비중을 게임의 장르 및 사용자에 따라 적절히 조절하는 것이 유리하다. 운동기구 유닛의 사용 비중을 과도하게 높일 경우, 사용자에 따라 스트레스를 받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즉, 게임 소프트웨어는 전체적인 게임 진행에 관련된 주 소프트웨어를 상기 단말기 유닛에 설치하고, 상기 주 소프트웨어의 지시에 따라 상기 운동기구 유닛을 사용하게 되는 부분에 관련된 부 소프트웨어를 상기 운동기구 유닛에 설치하는 등의 방법을 생각해 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운동기구 유닛 역시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일반적으로 피트니스 클럽 등에 비치된 각종 웨이트용 운동기구, 유산소 운동기구일 수 있으며, 야외에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설치된 공용 운동기구일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가 휴대 가능한 간단한 운동기구일 수도 있는 등 그 제한이 없다.
한편, 단말기 유닛 및 운동기구 유닛은 서로 다양한 방식으로 연동될 수 있다. 즉, 상호 간에 유선 커넥터를 사용할 수도 있으며, 단말기 유닛을 직접 운동기구 유닛에 장착하는 방식을 사용하거나, 원거리, 근거리 통신 등의 무선 연결 방식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사항을 토대로 본 발명을 현실적으로 구체화한 각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1에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게임이 연동된 운동장치의 전체적인 모습이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단말기 유닛(100), 운동기구 유닛(200) 및 사용자(10)로 구성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 단말기 유닛(100)은 최근 널리 사용되는 스마트폰인 것으로 하였으며, 운동기구 유닛(200)은 사이클형 운동기구로, 단말기 유닛(100)을 장착할 수 있는 크래들(250)이 구비된 것으로 하였다.
이에 따라, 단말기 유닛(100)을 크래들(250)에 장착하는 것으로 단말기 유닛(100) 및 운동기구 유닛(200)이 서로 연동될 수 있다. 도 2에는, 단말기 유닛(100)을 크래들(250)에 장착한 모습이 도시된다.
그리고, 제1실시예에서는, 전체적인 게임 진행을 단말기 유닛(100)으로 진행하고, 운동기구 유닛(200)은 보조적인 게임 진행을 하도록 하는 것으로 설정하였으며, 게임 소프트웨어는 판타지 기반 롤플레잉(Role-Playing)인 것으로 하였다. 이를 토대로, 게임 소프트웨어 및 운동기구 유닛(200)의 다양한 활용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3를 참조하면, 게임 소프트웨어에는 사용자(10)에게 할당된 캐릭터(20)가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10)가 운동기구 유닛(200)을 통해 캐릭터(20)의 상태를 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캐릭터(20)의 상태 변화라 함은 다양한 경우가 있을 수 있으며, 그 중 하나로서 능력치의 증가를 생각해 볼 수 있다.
즉, 일반적으로 롤플레잉 게임에서는 캐릭터(20)에 능력치가 수치 등으로 설정되며, 종래의 경우 몬스터 등을 사냥하거나 주어진 퀘스트를 달성하여 레벨을 상승시켜 능력치를 증가시킬 수 있었다. 이를 응용하면, 단말기 유닛(100)으로는 게임의 스토리 진행을 담당하고, 운동기구 유닛(200)으로는 캐릭터(20)의 능력치 상승을 담당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게임의 밸런스를 적절히 조절하여, 단말기 유닛(100)만을 사용할 경우, 점차적으로 강한 몬스터가 등장함에 따라 게임 진행이 실질적으로 불가능하게 설정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10)는 게임의 진행을 위해서 운동기구 유닛(200)을 사용하여 캐릭터(20)의 능력치를 증가시킬 필요를 느끼게 되며, 자연스럽게 운동기구 유닛(200)을 활용하도록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게임에 애착을 보이는 사용자(10)는 반복 사냥 등 단순작업마저 불사하는 경우가 많으며, 자신의 캐릭터(20) 강화를 위해 이와 같은 운동기구 유닛(200)을 자연스럽게 사용할 것임을 예상해 볼 수 있다.
특히, 캐릭터(20)의 능력치는 여러 세부 능력치로 나뉘어지는 경우가 많으며, 각 세부 능력치는 사용자(10)가 사용하는 운동기구 유닛(200)의 종류에 따라 얻을 수 있는 운동 효과가 적용되도록 할 수 있다.
도 3을 통해 자세히 설명하면, 제1실시예의 운동기구 유닛(200)은 사이클형 운동기구로서, 이를 사용할 경우 사용자(10)는 심폐 기능 및 하체의 단련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효과를 자신의 캐릭터(20)의 대응되는 능력치에 적용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3에서는, 사용자(10)의 운동기구 유닛(200) 사용에 의해 캐릭터(20)의 체력 및 다리근력이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는 사이클형 운동기구의 사용에 의해, 직접 운동되는 부위에 해당하는 다리근력 외에도 간접적으로 운동 효과를 를 누릴 수 있는 심폐기능에 해당하는 체력이 증가하는 것으로 하였으나, 설정에 따라 직접 운동부위에 해당하는 다리근력만이 증가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결과적으로, 사용자(10)는 캐릭터(20)의 전체적인 능력치 상승을 위해서 다양한 부위를 단련하여야 할 필요가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10)의 신체는 전체적으로 고른 운동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사용자(10)가 운동기구 유닛(200)을 사용함으로써 캐릭터(20)의 상태가 변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능력치의 증가 외에도 다양한 상황에 응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캐릭터(20)의 외모, 체격, 게임 수행능력 등을 다양한 요소를 들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은 캐릭터(20)는 다른 형태로서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캐릭터(20)는 사람 형태뿐 아니라 사용자(10)가 플레이하도록 설정된 모든 개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간단한 슈팅 게임에 있어서, 사용자(10)는 탱크를 직접 조종하며 게임을 플레이하고, 상기 운동기구 유닛(200)의 사용에 의해 상기 탱크의 장갑, 무기 및 외관이 차차 변형되어 갈 수 있다. 이처럼, 캐릭터(20)는 단순히 사람 형태에 국한된 것이 아니다.
또 다른 활용예로서, 운동기구 유닛(200)을 통해 캐릭터(20)의 행동을 제어하는 것을 생각해 볼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10)가 운동기구 유닛(200)을 사용함에 따라, 캐릭터(20)가 전진하는 모습이 도시된다. 여기서, 운동기구 유닛(200)의 사용 속도를 높임으로써, 캐릭터(20)의 전진 속도를 달리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운동기구 유닛(200)은 캐릭터(20)의 행동을 제어하는 일종의 콘트롤러 역할을 할 수 있다. 하지만, 운동기구 유닛(200)을 통해 게임 전체에 걸친 조작을 수행할 경우, 쉽게 지루해질 수 있으므로, 본 게임 내에 존재하는 미니 게임 등 특정 상황에서만 캐릭터(20)의 행동을 제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특히, 이와 같이 운동기구 유닛(200)으로 캐릭터(20)의 행동을 제어하는 경우, 제1실시예와 같은 롤플레잉 게임 외에, 액션 게임 또는 스포츠 게임 등에 더욱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게임 소프트웨어가 낚시 게임일 경우, 낚싯대의 릴(Reel)을 사이클형 운동기구 유닛(200)으로 조작하는 것으로 프로그래밍하여, 캐릭터의 낚싯대에 물고기가 걸렸을 경우, 페달을 밟는 것으로 캐릭터가 릴을 감아 낚시에 성공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사실감을 구현하기 위해 단순히 페달을 돌리는 것 외에 페달의 회전 속도를 상황에 따라 변경시켜야 하는 등의 요소를 추가시킬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게임의 다양한 특정 상황에서 게임 소프트웨어에 의해 지정된 운동기구 유닛(200)을 사용하도록 하는 방법을 생각해 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롤플레잉 게임의 경우, 캐릭터(20)가 전투 도중 몬스터의 독에 피해를 입어 감염되었을 때, 이를 해제하기 위해서는 신속하게 운동기구 유닛(200)을 일정 횟수 사용하여야 하는 등의 예를 들 수 있다. 즉, 게임 내에서 벌어지는 다양한 상황을 창의적으로 응용하여 다양한 운동기구 유닛(200)을 다양한 방법으로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시로서, 스테이지(Stage) 개념이 있는 장르의 게임의 경우, 해당 스테이지를 클리어(Clear)하기 위해서는 사용자(10)가 게임으로부터 지시된 운동기구 유닛(200)의 특정 조작을 수행하여야 다음 스테이지로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경우를 생각해 볼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게임 소프트웨어를 프로그래밍하는 과정에서, 지시하는 운동기구 유닛(200)의 특정 조작을 해당 사용자(10)의 운동평가를 고려하여 지시할 수도 있다. 즉, 해당 사용자(10)의 신체 정보, 상태 정보 등을 미리 입력받아, 이에 적합한 운동평가를 설정하고, 이를 게임 중에 해당사용자에게 적용시킬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에 따라 차등화된 운동기구 유닛(200)의 조작 강도를 설정할 수 있어 게임 플레이 후 운동량이 부족하거나, 또는 과도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과정에서, 단일 운동기구 유닛(200)뿐 아니라 복수 종류의 운동기구 유닛을 지정하도록 할 수도 있다. 즉, 사용자(10)가 수행하여야 할 필요가 있는 다양한 운동기구 유닛을 동시에 수행하도록 지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이는 단순히 미션 형태로 특정 조작을 행하도록 지시할 수도 있으나, 퍼즐 게임 또는 던전 등에 퍼즐 요소가 결합된 경우, 사용자가 추리를 하여 다양한 운동기구 유닛의 조작 순서, 조작 방법 등을 유추하여 해당 퍼즐을 돌파할 수 있도록 하는 등 다양하게 응용될 수 있다.
그리고, 게임 소프트웨어에서 사용자(10)에게 특정 운동기구 유닛(200) 및 운동방법을 지시하는 방법 외에도, 사용자(10)가 게임의 특정 상황에서 자율적으로 다양한 종류의 운동기구 유닛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어드벤처 게임 등의 경우, 다음 단계로 게임을 진행하기 위해 사용자가 특정 운동기구 유닛을 선택하여 사용했을 경우, 상기 특정 운동기구 유닛의 종류 및 운동 수행방법에 따라 전혀 다른 결과가 발생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즉, 멀티 패스(Multi-Path)를 설정하여, 운동기구 유닛의 선택에 따른 분기를 생각해 볼 수 있다.
또 다른 활용 방법으로서, 운동기구 유닛(200) 사용 결과에 따라 게임에서 적용되는 아이템(Item)을 지급받는 방법을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아이템(Item)은 게임 진행에 있어 직, 간접적으로 도움을 주거나 특정 진행 부분에 필수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이를 획득하기 위해서는 운동기구 유닛(200)을 사용하여 특정 조건을 만족시키는 등의 다양한 방법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설명했던 낚시 게임의 경우, 본 게임 또는 본 게임에 삽입된 미니 게임 등을 통해, 게임 소프트웨어에서 지시하는 난이도 있는 조작을 행하거나, 운동기구 유닛(200)의 총 사용 시간을 일정 이상 돌파하는 등의 설정된 조건을 만족했을 경우를 생각해 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게임을 유리하게 진행할 수 있는 아이템으로서, 특별 미끼를 지급하거나, 보다 튼튼하고 사용이 편리한 상위 낚싯대를 지급하는 등의 다양한 보상을 사용자(10)에게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지금까지 설명한 요소 외의 다른 개념으로서, 사용자(10)가 운동기구 유닛(200)을 미리 설정된 소정 기간 동안 사용하지 않거나, 또는 운동기구 유닛(200)의 사용 빈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빈도보다 적을 경우, 게임의 진행에 불이익을 제공하는 방법을 추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운동기구 유닛(200)을 사용하지 않고 장기간 방치하면, 일정 시간이 지남에 따라 캐릭터(20)의 능력치가 감소하는 방법을 생각해 볼 수 있다. 또는, 이미 과거에 플레이하여 진행 가능하던 부분이 폐쇄되어 이후 게임 진행에 따라 다시 해당 부분으로 돌아올 필요가 있을 때 진행이 불가능하도록 하는 등의 방법 역시 가능하다. 상기 불이익은 이와 같이 다양한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단말기 유닛(100)에 내장된 게임 소프트웨어를 운동기구 유닛(200)에 연동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사용자(10)가 게임을 즐겁게 플레이하는 동시에, 운동 효과를 자연스럽게 얻을 수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게임 소프트웨어와 별도로, 운동평가 소프트웨어가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 운동평가 소프트웨어는 상기 단말기 유닛 및 상기 운동기구 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게임 소프트웨어와 연동되어 사용자가 상기 운동기구 유닛으로 수행하는 운동에 대한 정보를 취합, 저장 및 가공하는 역할을 한다.
즉, 단순히 게임 소프트웨어에서 상기 사용자에게 의미 없는 운동을 지시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운동평가 소프트웨어로 각 사용자의 운동 정보를 분석하고, 이에 따른 합리적인 운동 지시를 내릴 수 있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운동평가 소프트웨어는, 상기 사용자의 특성에 따른 맞춤 수행맵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상기 운동기구 유닛을 사용함에 따라 상기 운동평가 소프트웨어는 이를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의 특성에 맞는 일련의 운동 순서 및 운동 강도를 설정하여 수행맵을 작성하고, 이를 단계적으로 상기 게임 소프트웨어를 통해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과도하거나 부족한 운동강도 및 운동량이 아닌 자신의 체력 상태에 가장 적합한 운동을 수행하며 상기 게임을 진행할 수 있다. 즉, 남녀노소 누구라도 무리 없이 게임을 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운동평가 소프트웨어는 지속적으로 사용자의 운동 정보를 취합 및 분석하므로, 사용자가 상기 수행맵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점진적으로 체력이 증가될 경우, 이에 따른 수행맵을 실시간으로 재작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사용자의 운동 의욕을 고취시키기 위해, 상기 운동평가 소프트웨어의 운동평가에 따라 상기 게임 소프트웨어는 게임 진행에 대한 보상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게임 진행에 도움을 주는 지원도구로서 특정 아이템을 지급하거나, 숨겨진 요소를 개방하는 등 다양한 방법을 생각해 볼 수 있다.
마찬가지로, 사용자에게 할당된 캐릭터가 제공되는 경우, 상기 운동평가 소프트웨어의 운동평가에 따라 상기 캐릭터의 상태를 변화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캐릭터의 능력치 등에 대해 상기 설명한 바와 유사하나, 운동평가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시간으로 상기 캐릭터의 상태를 사용자에 대응시켜 변화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며,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가 도시되며, 이는 단말기 유닛(100), 운동기구 유닛(200`) 및 사용자(10) 외에 서버(300)가 더 포함되어 구성된다.
제1실시예에서 게임 소프트웨어가 오프라인에 의해 제공된 것과 달리, 제2실시예의 경우, 서버(300)에서 상기 게임 소프트웨어를 온라인으로 제공하는 방식을 사용하며, 운동기구 유닛(200`)에는 단말기 유닛(100)을 장착하는 별도의 장치가 구비되지 않고, 디스플레이부(260)가 구비된다. 즉, 제2실시예에 따르면, 게임 소프트웨어는 온라인 게임 방식으로 사용자(10)에게 제공되며, 이는 단말기 유닛(100) 및 운동기구 유닛(200`)에 각각 설치된다.
물론, 단말기 유닛(100) 및 운동기구 유닛(200`)에 동일한 게임 소프트웨어가 설치될 수도 있으나, 상기와 같이 단말기 유닛(100)에는 주 소프트웨어가, 운동기구 유닛(200`)에는 부 소프트웨어가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운동기구 유닛(200`)에 디스플레이부(260)가 구비되고, 게임 소프트웨어가 온라인으로 제공되는 경우, 사용자는 단말기 유닛(100) 및 운동기구 유닛(200`) 각각을 사용할 때 로그인 등의 본인 식별 과정을 거쳐 접속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단말기 유닛(100)이 없어도 운동기구 유닛(200`)을 사용하여 게임 소프트웨어의 해당 부분을 플레이할 수 있으며, 장소 및 시간에 구애되지 않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언급하지 않았으나, 제1실시예의 경우에도 온라인으로 상기 게임 소프트웨어가 제공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도 6에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가 도시되며, 이는 단말기 유닛(100), 운동기구 유닛(200`) 및 복수의 사용자(10, 15)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제3실시예의 경우, 한 명의 사용자(10)는 단말기 유닛(100)에 설치된 게임 소프트웨어를 수행하고, 다른 한 명의 사용자(15)는 운동기구 유닛(200`)에 설치된 게임 소프트웨어를 동시 수행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이 각 사용자(10, 15)의 협력 플레이 및 2인 플레이 등의 방법으로 확장하여 활용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어떤 장르의 게임 소프트웨어의 경우에도 운동기구 유닛(200)을 다양한 방법으로 제한 없이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결과적으로, 응용에 따라 사용자(10)는 게임 진행 중 다양한 상황에 상기 운동기구 유닛(200)을 다양한 방법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고, 인위적으로 운동기구 유닛(200)을 사용하게 된다는 느낌을 최대한 희석시키며 자연스럽게 게임의 한 부분으로 인식할 수 있어 장기적인 운동 효과를 꾀할 수 있다.
이상으로, 기능성 게임이 연동된 운동장치에 대한 사항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며, 이하에서는, 상기 기능성 게임이 연동된 운동장치를 이용한 운동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상기 사용자는 단말기 유닛 및 운동기구 유닛 중 어느 하나로 게임을 진행한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단말기 유닛만으로 게임을 진행할 수도 있으며, 운동기구 유닛만으로 게임을 진행하거나, 양쪽 모두를 이용하여 게임을 진행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게임을 진행하는 도중, 상기 사용자는 게임의 진행을 유리하게 진행하기 위한 목적으로, 또는 상기 게임 소프트웨어에 의해 특정 운동수행방법이 지시되는 등 다양한 이유로 운동기구 유닛을 통해 운동을 수행하며 상기 게임을 진행하게 된다. 즉, 상기 사용자가 상기 운동기구 유닛을 통하여 운동을 수행하며, 상기 운동에 따른 운동기구 유닛의 구동을 이용하여 게임을 진행하는 단계가 수행된다.
다음으로는, 이와 같이 운동기구 유닛을 통해 상기 사용자가 얻은 운동 효과가 상기 게임에 반영되어 저장되는 단계가 수행된다. 본 과정에서는, 상기 설명한 다양한 상황 및 다양한 방식으로 운동기구 유닛을 자연스럽게 사용하게 되며, 이에 따른 결과가 게임에 반영되고, 이와 같이 반영된 결과가 저장된다.
이후, 상기 사용자가 상기 단말기 유닛 또는 운동기구 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하여, 상기 운동 효과가 반영되어 저장된 게임을 진행하는 단계가 수행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일련의 단계들은 계속적으로 반복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단말기 유닛 및 상기 운동기구 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게임 소프트웨어와 연동되고, 사용자가 상기 운동기구 유닛으로 수행하는 운동에 대한 정보를 취합, 저장 및 가공하는 운동평가 소프트웨어가 내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운동평가 소프트웨어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특성에 따른 맞춤 수행맵이 제공되는 단계가 상기 운동기구 유닛의 구동을 이용하여 게임을 진행하는 단계 이전에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이에 따라 상기 운동기구 유닛의 구동을 이용하여 게임을 진행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수행맵에 따른 방법으로 상기 운동기구 유닛을 사용하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가 얻은 운동 효과가 상기 게임에 반영되어 저장되는 단계는, 상기 운동평가 소프트웨어의 운동평가에 따라 상기 게임에 대한 보상을 제공하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게임 소프트웨어에는 사용자에게 할당된 캐릭터가 제공될 경우, 상기 운동평가 소프트웨어의 운동평가에 따라 상기 캐릭터의 상태를 변화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즉, 사용자는 게임을 진행함에 따라, 운동기구 유닛을 자연스럽게 사용하게 되고, 이에 따른 결과가 게임에 반영되므로 사용자는 게임 플레이 및 운동기구 유닛 사용에 따른 운동 양쪽에서 모두 높은 만족감 및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 15: 사용자
20: 캐릭터
100: 단말기 유닛
200, 200`: 운동기구 유닛
250: 크래들
260: 디스플레이부

Claims (24)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게임 소프트웨어가 내장되고, 사용자가 게임을 플레이할 수 있는 조작부를 포함하는 단말기 유닛; 및
    사용자의 운동에 의한 입력에 따라 게임이 진행되도록 상기 게임 소프트웨어와 연동된 운동기구 유닛;
    을 포함하며,
    사용자는 상기 단말기 유닛 및 상기 운동기구 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게임을 플레이할 수 있고,
    상기 게임 소프트웨어에는 사용자에게 할당된 캐릭터가 제공되며, 상기 사용자는 상기 운동기구 유닛을 통해 상기 캐릭터의 상태를 변화시킬 수 있는 기능성 게임이 연동된 운동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캐릭터에는 능력치가 설정되고,
    상기 사용자가 사용하는 운동기구 유닛의 종류에 따라 얻을 수 있는 운동 효과를 상기 캐릭터의 능력치에 반영하는 기능성 게임이 연동된 운동장치.
  10. 게임 소프트웨어가 내장되고, 사용자가 게임을 플레이할 수 있는 조작부를 포함하는 단말기 유닛; 및
    사용자의 운동에 의한 입력에 따라 게임이 진행되도록 상기 게임 소프트웨어와 연동된 운동기구 유닛;
    을 포함하며,
    사용자는 상기 단말기 유닛 및 상기 운동기구 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게임을 플레이할 수 있고,
    상기 게임 소프트웨어에는 사용자에게 할당된 캐릭터가 제공되며, 상기 사용자는 상기 운동기구 유닛을 통해 상기 캐릭터의 행동을 제어할 수 있는 기능성 게임이 연동된 운동장치.
  11. 게임 소프트웨어가 내장되고, 사용자가 게임을 플레이할 수 있는 조작부를 포함하는 단말기 유닛; 및
    사용자의 운동에 의한 입력에 따라 게임이 진행되도록 상기 게임 소프트웨어와 연동된 운동기구 유닛;
    을 포함하며,
    사용자는 상기 단말기 유닛 및 상기 운동기구 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게임을 플레이할 수 있고,
    상기 게임 소프트웨어는, 상기 게임 소프트웨어에서 발생되는 다양한 특정 상황에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게임 소프트웨어에 의해 지정된 운동기구 유닛을 사용하도록 제공되는 기능성 게임이 연동된 운동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게임 소프트웨어는 상기 사용자의 운동평가에 따라 운동기구 유닛을 지정하는 기능성 게임이 연동된 운동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게임 소프트웨어는 복수 종류의 운동기구 유닛을 조합하여 지정 가능한 기능성 게임이 연동된 운동장치.
  14. 삭제
  15. 게임 소프트웨어가 내장되고, 사용자가 게임을 플레이할 수 있는 조작부를 포함하는 단말기 유닛; 및
    사용자의 운동에 의한 입력에 따라 게임이 진행되도록 상기 게임 소프트웨어와 연동된 운동기구 유닛;
    을 포함하며,
    사용자는 상기 단말기 유닛 및 상기 운동기구 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게임을 플레이할 수 있고,
    상기 단말기 유닛 및 상기 운동기구 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게임 소프트웨어와 연동되고, 사용자가 상기 운동기구 유닛으로 수행하는 운동에 대한 정보를 취합, 저장 및 가공하는 운동평가 소프트웨어가 내장되고,
    상기 운동평가 소프트웨어는, 상기 사용자의 특성에 따른 맞춤 수행맵을 제공하는 기능성 게임이 연동된 운동장치.
  16. 게임 소프트웨어가 내장되고, 사용자가 게임을 플레이할 수 있는 조작부를 포함하는 단말기 유닛; 및
    사용자의 운동에 의한 입력에 따라 게임이 진행되도록 상기 게임 소프트웨어와 연동된 운동기구 유닛;
    을 포함하며,
    사용자는 상기 단말기 유닛 및 상기 운동기구 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게임을 플레이할 수 있고,
    상기 단말기 유닛 및 상기 운동기구 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게임 소프트웨어와 연동되고, 사용자가 상기 운동기구 유닛으로 수행하는 운동에 대한 정보를 취합, 저장 및 가공하는 운동평가 소프트웨어가 내장되고,
    상기 운동평가 소프트웨어의 운동평가에 따라 상기 게임에 대한 보상을 제공하는 기능성 게임이 연동된 운동장치.
  17. 게임 소프트웨어가 내장되고, 사용자가 게임을 플레이할 수 있는 조작부를 포함하는 단말기 유닛; 및
    사용자의 운동에 의한 입력에 따라 게임이 진행되도록 상기 게임 소프트웨어와 연동된 운동기구 유닛;
    을 포함하며,
    사용자는 상기 단말기 유닛 및 상기 운동기구 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게임을 플레이할 수 있고,
    상기 단말기 유닛 및 상기 운동기구 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게임 소프트웨어와 연동되고, 사용자가 상기 운동기구 유닛으로 수행하는 운동에 대한 정보를 취합, 저장 및 가공하는 운동평가 소프트웨어가 내장되고,
    상기 게임 소프트웨어에는 사용자에게 할당된 캐릭터가 제공되며, 상기 운동평가 소프트웨어의 운동평가에 따라 상기 캐릭터의 상태를 변화시킬 수 있는 기능성 게임이 연동된 운동장치.
  18. 삭제
  19. 삭제
  20. 게임 소프트웨어가 내장되고, 사용자가 게임을 플레이할 수 있는 조작부를 포함하는 단말기 유닛; 및
    사용자의 운동에 의한 입력에 따라 게임이 진행되도록 상기 게임 소프트웨어와 연동된 운동기구 유닛;
    을 포함하며,
    사용자는 상기 단말기 유닛 및 상기 운동기구 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게임을 플레이할 수 있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운동기구 유닛을 소정 기간 사용하지 않거나, 상기 운동기구 유닛의 사용 빈도가 기준 빈도보다 적을 경우, 게임의 진행에 불이익을 제공하는 기능성 게임이 연동된 운동장치.
  21. 게임 소프트웨어가 내장되고, 사용자가 게임을 플레이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단말기 유닛 및 사용자의 운동에 의한 입력에 따라 게임이 진행되도록 상기 게임 소프트웨어와 연동된 운동기구 유닛을 포함하는 기능성 게임이 연동된 운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운동기구 유닛을 통하여 운동을 수행하며, 상기 운동에 따른 운동기구 유닛의 구동을 이용하여 게임을 진행하는 단계;
    상기 운동기구 유닛을 통해 상기 사용자가 얻은 운동 효과가 상기 게임에 반영되어 저장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가 상기 단말기 유닛 또는 운동기구 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하여, 상기 운동 효과가 반영되어 저장된 게임을 진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기능성 게임이 연동된 운동장치를 이용한 운동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유닛 및 상기 운동기구 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게임 소프트웨어와 연동되고, 사용자가 상기 운동기구 유닛으로 수행하는 운동에 대한 정보를 취합, 저장 및 가공하는 운동평가 소프트웨어가 내장되고,
    상기 운동기구 유닛의 구동을 이용하여 게임을 진행하는 단계 이전에는, 상기 운동평가 소프트웨어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특성에 따른 맞춤 수행맵이 제공되는 단계가 더 포함되며,
    상기 운동기구 유닛의 구동을 이용하여 게임을 진행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수행맵에 따른 방법으로 상기 운동기구 유닛을 사용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기능성 게임이 연동된 운동장치를 이용한 운동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얻은 운동 효과가 상기 게임에 반영되어 저장되는 단계는, 상기 운동평가 소프트웨어의 운동평가에 따라 상기 게임에 대한 보상을 제공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기능성 게임이 연동된 운동장치를 이용한 운동방법.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게임 소프트웨어에는 사용자에게 할당된 캐릭터가 제공되며,
    상기 사용자가 얻은 운동 효과가 상기 게임에 반영되어 저장되는 단계는, 상기 운동평가 소프트웨어의 운동평가에 따라 상기 캐릭터의 상태를 변화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기능성 게임이 연동된 운동장치를 이용한 운동방법.
KR1020100115887A 2010-11-19 2010-11-19 기능성 게임이 연동된 운동장치 및 이를 이용한 운동방법 KR1012545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5887A KR101254588B1 (ko) 2010-11-19 2010-11-19 기능성 게임이 연동된 운동장치 및 이를 이용한 운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5887A KR101254588B1 (ko) 2010-11-19 2010-11-19 기능성 게임이 연동된 운동장치 및 이를 이용한 운동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4486A KR20120054486A (ko) 2012-05-30
KR101254588B1 true KR101254588B1 (ko) 2013-04-15

Family

ID=46270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5887A KR101254588B1 (ko) 2010-11-19 2010-11-19 기능성 게임이 연동된 운동장치 및 이를 이용한 운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458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6503B1 (ko) 2018-07-20 2020-01-15 (주)건강한친구 게이미피케이션 밸런스 운동 시스템
KR20210157779A (ko) 2020-06-22 2021-12-29 (주)건강한친구 모션감지센서 내장 밸런스 운동기구 시스템
KR20210157789A (ko) 2020-06-22 2021-12-29 (주)건강한친구 밸런스 게임 기구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40960A (ko) 2012-05-22 2013-12-2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티브 리타더 역할을 하는 패널과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구비한 입체 영상 구현 시스템
KR101535994B1 (ko) * 2014-02-11 2015-07-10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활동성 게임을 제공하는 스텝퍼, 그리고 스텝퍼를 이용한 활동성 게임 제공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3857B1 (ko) 2002-02-28 2005-04-15 (주)누리텍 아이엔씨 온라인 건강진단기능을 갖는 트레드밀시스템
KR200382430Y1 (ko) 2005-02-03 2005-04-20 김직호 디스플레이장치를 구비한 재활치료 및 체력단련을 위한 운동기구
KR100507314B1 (ko) * 2003-07-03 2005-09-02 주식회사 싸이닉스 헬스기구에 부착되는 콘솔장치
KR20110130913A (ko) * 2010-05-28 2011-12-06 (주)이랜서 아바타를 이용한 운동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3857B1 (ko) 2002-02-28 2005-04-15 (주)누리텍 아이엔씨 온라인 건강진단기능을 갖는 트레드밀시스템
KR100507314B1 (ko) * 2003-07-03 2005-09-02 주식회사 싸이닉스 헬스기구에 부착되는 콘솔장치
KR200382430Y1 (ko) 2005-02-03 2005-04-20 김직호 디스플레이장치를 구비한 재활치료 및 체력단련을 위한 운동기구
KR20110130913A (ko) * 2010-05-28 2011-12-06 (주)이랜서 아바타를 이용한 운동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6503B1 (ko) 2018-07-20 2020-01-15 (주)건강한친구 게이미피케이션 밸런스 운동 시스템
US11007407B2 (en) 2018-07-20 2021-05-18 Strong Friend Inc. Gamification balance exercise system
KR20210157779A (ko) 2020-06-22 2021-12-29 (주)건강한친구 모션감지센서 내장 밸런스 운동기구 시스템
KR20210157789A (ko) 2020-06-22 2021-12-29 (주)건강한친구 밸런스 게임 기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4486A (ko) 2012-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1400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improving fitness equipment and exercise
US6679774B2 (en) Training-style video game device, character training control method and readable storage medium storing character training control program
Elias et al. Characteristics of games
Andrade et al. Extending reinforcement learning to provide dynamic game balancing
US11247128B2 (en) Method for adjusting the strength of turn-based game automatically
KR101254588B1 (ko) 기능성 게임이 연동된 운동장치 및 이를 이용한 운동방법
Andrade et al. Automatic computer game balancing: a reinforcement learning approach
KR101681274B1 (ko) 스크린 야구 통합 플랫폼 및 구현 방법
US20150174491A1 (en) Updating virtual trading card characteristics
US1182665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improving fitness equipment and exercise
Missura Dynamic difficulty adjustment
JP6643607B2 (ja) ゲームシステム、ゲーム制御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12506074A (ja) 収集重点型の教育ゲームシステム
US8337312B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increasing enjoyment and/or realism in video games by introducing one or more reality TV show features
JP7426087B2 (ja) プログラム、ゲーム制御方法、ゲーム制御装置及びゲームシステム
JP7045719B2 (ja) プログラム、ゲーム制御方法、ゲーム制御装置及びゲームシステム
JP6754146B1 (ja) プログラム、ゲーム制御方法、ゲーム制御装置及びゲームシステム
CN111389010B (zh) 虚拟机器人训练方法、装置、电子设备和介质
Mozgovoy et al. Team sports for Game AI benchmarking revisited
JP2020028785A (ja) ゲームシステム、ゲーム制御装置、及びプログラム
Ri et al. Analysis of jump & jump game and its possible enhancement
JP4044009B2 (ja) 麻雀ゲーム機及びゲーム機用制御プログラム
JP7316667B2 (ja) プログラム、ゲーム制御方法、ゲーム制御装置及びゲームシステム
JP3457285B2 (ja) 育成ゲーム進行制御プログラム、育成ゲーム装置及び育成ゲーム進行制御方法
Mozgovoy et al. Research Article Team Sports for Game AI Benchmarking Revisite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7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1100003027;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211013

Effective date: 202207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