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6074B1 - 점핑운동용 트램펄린 시스템 - Google Patents

점핑운동용 트램펄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6074B1
KR102146074B1 KR1020190105779A KR20190105779A KR102146074B1 KR 102146074 B1 KR102146074 B1 KR 102146074B1 KR 1020190105779 A KR1020190105779 A KR 1020190105779A KR 20190105779 A KR20190105779 A KR 20190105779A KR 102146074 B1 KR102146074 B1 KR 1021460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umping
exercise
user
trampoline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57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경열
Original Assignee
박경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경열 filed Critical 박경열
Priority to KR10201901057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60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60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60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00Apparatus for jumping
    • A63B5/11Trampolin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75Means for generating exercise programs or schemes, e.g. computerized virtual trainer, e.g. using expert databas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69Score-keepers or score display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62Monitoring athletic performances, e.g. for determining the work of a user on an exercise apparatus, the completed jogging or cycling distance
    • A63B2024/0065Evaluating the fitness, e.g. fitness level or fitness index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50Force related parameters
    • A63B2220/56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62Time or time measurement used for time reference, time stamp, master time or clock signa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3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sensor
    • A63B2220/833Sensors arranged on the exercise apparatus or sports imple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30/00Measuring physiological parameters of the u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점핑운동용 트램펄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트램펄린(10)에서 점핑운동을 하는 사용자의 착지 위치 및 착지 시간을 감지하여 제어부(50)에 제공하는 감지수단(20); 점핑운동컨텐츠가 저장되는 메모리부(30); 트램펄린의 프레임(10a) 일측에 구비되어 메모리부(30)에 저장되는 점핑운동컨텐츠의 플레이 화상이 출력되는 출력부(40); 점핑운동컨텐츠의 화상 출력 및 감지수단(20)을 통해 제공되는 감지신호를 통해 점핑운동컨텐츠의 플레이를 제어하는 제어부(50); 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트램펄린을 이용해 점핑운동을 할 때, 점핑운동컨텐츠를 제공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점핑 위치, 점핑 시간을 감지하여 점핑운동컨텐츠를 플레이할 수 있게 됨으로써 점핑운동의 흥미와 재미를 높여 운동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점핑운동용 트램펄린 시스템{Trampoline System for Jump Fitness}
본 발명은 점핑운동용 트램펄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트램펄린을 이용해 점핑운동을 할 때, 점핑운동컨텐츠를 제공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점핑 위치, 점핑 시간을 감지하여 점핑운동컨텐츠를 플레이할 수 있게 함으로써 점핑운동의 흥미와 재미를 높여 운동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게 한 점핑운동용 트램펄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트램펄린(trampoline)이란, 스프링이 달린 사각형의 탄력 있는 매트 위에서 뛰어오르거나 공중회전 등의 동작을 펼치는 체조 경기 또는 그 경기에 사용되는 기구를 말한다. 1930년대에 지금의 경기 기구가 개발되었고, 2000년 시드니올림픽대회부터 올림픽 정식 종목으로 채택된 바 있다.
트램펄린을 이용하는 점핑운동은 탄력이 있는 매트 위에서 뛰어오르거나 공중회전 등의 동작을 펼치는 운동 특성상, 유산소 운동과 근력 운동이 동시에 이루어지기 때문에 단위시간을 기준으로 러닝머신이나 줄넘기, 수영, 자전거, 등산 등 일반적인 운동과 비교할 때, 칼로리 소모량이 매우 높은 특징이 있다.
따라서, 근래에는 다이어트나 몸매 관리를 위한 운동으로 크게 각광받고 있을 뿐만 아니라, 복근 강화, 평형성 강화, 혈액순환 개선, 성장기 청소년의 성장판 자극을 통한 키 성장에 도움 등 다양한 장점이 있기 때문에 점핑운동을 즐기는 인구가 크게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일반적인 트램펄린은 사용자가 점핑을 수행하는 점핑매트와 점핑매트를 지지하는 프레임 사이를 탄성부재로 연결함으로써 사용자가 점핑매트에서 뛰면 탄성부재의 탄성력이 점핑매트에 작용하도록 구성된다.
그런데 종래의 트램펄린은 사용자가 점핑매트 위에서 점프를 반복하는 단순한 점핑운동만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점핑운동에 대한 흥미와 재미가 쉽게 저감되어 점핑운동의 지속 시간이 짧아지고, 그에 따른 운동 효과도 저감되는 단점이 있다.
그리하여 근래에는 트램펄린을 이용해 점핑운동을 할 때, 흥미와 재미를 느낄 수 있도록 다양한 음악에 맞추어 트램펄린 위에서 점핑운동과 춤 동작을 함께 즐길 수 있도록 하는 전문 강습센터가 많이 개설되고 있으나, 전문 강습센터의 수강료가 비싸서 점핑운동을 즐기려는 사용자 입장에서는 경제적 부담이 적지 않은 단점도 있다.
따라서 트램펄린을 구입하여 개인이 집에서 점핑운동을 즐기는 경우도 많은데, 상술한 바와 같이 점핑운동은 칼로리 소모량이 매우 높을 정도로 운동 강도가 세기 때문에 집에서 트램펄린을 이용해 점핑운동을 즐기는 사용자가 과도한 운동으로 인해 건강에 이상을 초래하는 경우도 적지 않은 단점이 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47000호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트램펄린을 이용해 점핑운동을 할 때, 점핑운동컨텐츠를 제공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점핑 위치, 점핑 시간을 감지하여 점핑운동컨텐츠를 플레이할 수 있게 한 점핑운동용 트램펄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점핑운동을 하는 사용자의 생체신호를 검출하여 점핑운동을 하는 사용자의 신체 상태 및 운동량을 사용자가 직접 확인할 수 있게 한 점핑운동용 트램펄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의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의 점핑운동용 트램펄린 시스템은,
트램펄린에서 점핑운동을 하는 사용자의 착지 위치 및 착지 시간을 감지하여 제어부(50)에 제공하는 감지수단(20);
점핑운동컨텐츠가 저장되는 메모리부(30);
상기 트램펄린의 프레임(10a)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메모리부(30)에 저장되는 점핑운동컨텐츠의 플레이 화상이 출력되는 출력부(40);
상기 점핑운동컨텐츠의 화상 출력 및 감지수단(20)을 통해 제공되는 감지신호를 통해 점핑운동컨텐츠의 플레이를 제어하는 제어부(50); 를 포함한다.
상기 감지수단(20)은,
트램펄린을 구성하는 프레임(10a)에 다수가 설치되어 트램펄린을 구성하는 점핑매트(10b)와 프레임(10a) 간에 연결되는 특정 위치의 탄성부재(10c)에 가해지는 압력의 크기 및 압력이 작용하는 시간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감지수단(20)은,
트램펄린을 구성하는 점핑매트(10b)의 구획부(104) 별로 각각 설치되어 점핑매트(10b)의 구획부(104) 별로 작용하는 압력의 크기 및 압력이 작용하는 시간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메모리부(30)에 저장된 점핑운동컨텐츠의 화상신호를 처리하여 가상이미지 버튼이 상기 출력부(40)의 화면상에 표시되게 하는 화상처리모듈(501);
상기 감지수단(20)에서 제공되는 신호에 따라 트램펄린에서 점핑운동을 하는 사용자의 착지 위치 및 착지 시간을 산출하는 동작산출모듈(502);
상기 화상처리모듈(501)에서 처리된 데이터값과, 동작산출모듈(502)에서 처리된 데이터값을 통해 점핑운동컨텐츠의 플레이를 수행하고, 점핑운동컨텐츠의 플레이 과정에서 처리되는 데이터를 통해 점수 산정을 수행하여 상기 화면상에 표시되게 하는 컨텐츠플레이모듈(503);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생체신호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50)에 제공하는 생체신호감지수단(60);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생체신호감지수단(60)에서 제공되는 생체신호 감지값과, 사전 저장된 생체신호 기준값을 비교 분석하여 사용자의 신체 상태 및 운동량을 산출하고 그 데이터가 상기 출력부(40)에 표시되게 하는 생체신호처리모듈(504); 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트램펄린을 이용해 점핑운동을 할 때, 점핑운동컨텐츠를 제공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점핑 위치, 점핑 시간을 감지하여 점핑운동컨텐츠를 플레이할 수 있게 됨으로써 점핑운동의 흥미와 재미를 높여 운동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높은 운동 강도에 따른 높은 칼로리 소모량으로 인해 다이어트뿐만 아니라 다양한 운동 효과를 가진 점핑운동을 전문 강습센터를 찾지 않고 집에서도 사용자 혼자 재밌게 즐길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점핑운동을 즐기는 동안에 사용자의 생체신호를 검출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의 신체 상태 및 운동량을 사용자가 직접 확인할 수 있게 함으로써 운동 효과를 높여줄 뿐만 아니라, 과도한 운동으로 인한 사용자의 부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점핑운동용 트램펄린 시스템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점핑운동용 트램펄린 시스템의 한 실시 예에 따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점핑운동용 트램펄린 시스템의 한 실시 예에 따른 감지수단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점핑운동용 트램펄린 시스템의 한 실시 예에 따른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점핑운동용 트램펄린 시스템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사용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점핑운동용 트램펄린 시스템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생체신호감지수단을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점핑운동용 트램펄린 시스템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블록도.
도 8은 본 발명의 점핑운동용 트램펄린 시스템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블록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이나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는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점핑운동용 트램펄린 시스템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점핑운동용 트램펄린 시스템의 한 실시 예에 따른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점핑운동용 트램펄린 시스템의 한 실시 예에 따른 감지수단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점핑운동용 트램펄린 시스템의 한 실시 예에 따른 블록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점핑운동용 트램펄린 시스템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사용 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점핑운동용 트램펄린 시스템은 트램펄린에서 하는 점핑운동의 흥미와 재미를 높여 운동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게 하기 위하여 감지수단(20), 메모리부(30), 출력부(40), 제어부(50)를 포함한다.
상기 트램펄린(10)은 프레임(10a), 점핑매트(10b), 탄성부재(10c)를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10a)은 소정 직경을 가지는 금속 관체로 형성되되, 지지부(101), 다리부(102), 손잡이부(103)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101)는 평면상에서 볼 때, 정 8각형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님을 미리 밝혀둔다.
상기 다리부(102)는 지지부(101)가 지면에서 소정 높이를 유지하도록 지지부(101)의 저면에서 수직으로 다수가 분해 조립 가능케 결합된다.
다리부(102)의 분해 조립을 위하여 지지부(101)의 저면에는 하방으로 돌출되는 결합돌부(101a)가 소정 간격으로 다수 형성되고, 다리부(102)의 상단부에는 결합돌부(101a)가 결합되는 결합관체(102a)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결합관체(102a)의 일측에는 결합관체(102a) 내부에 삽입되는 결합돌부(101a)가 임의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고정볼트와 같은 고정수단을 더 구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손잡이부(103)는 트램펄린에서 점핑운동을 하는 사용자가 양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신축포스트(103a), 핸들바(103b)를 포함한다.
상기 신축포스트(103a)는 지지부(101) 일측에서 수직 상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되, 사용자의 키에 맞추어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높이조절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높이조절수단은 일 예로서 신축포스트(103a)를 텔레스코픽이 가능한 다단 관체로 형성하되, 하부관체의 상부 일측에는 상부관체를 고정하는 고정나사를 구비함으로써 하부관체에서 배출되는 상부관체의 위치 조절을 통해 신축포스트(103a)의 높이 조절이 가능케 된다.
상기 핸들바(103b)는 신축포스트(103a)의 상단부에서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되, 양손으로 균형감 있게 파지할 수 있도록 신축포스트(103a)의 상단부 양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점핑매트(10b)는 탄성을 가지는 합성섬유로 형성되되, 평면상 지지부(101)의 형상과 동일한 정 8각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점핑매트(10b)의 크기는 평면상 지지부(101)의 내면과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지지부(101)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점핑매트(10b)의 평면에는 다수의 공간으로 구획된 구획부(104)가 표시되게 재직 또는 인쇄 방식으로 형성되되, 각 구획부(104)에는 숫자, 문자, 방향, 방위 등을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점핑매트(10b)의 가장자리에는 탄성부재(10c)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공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부재(10c)는 프레임(10a)의 지지부(101)와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점핑매트(10b)를 지지함과 동시에 점핑매트(10b) 위에서 사용자가 점핑운동을 할 때, 점핑매트(10b)에 강한 탄성력을 부여하기 위하여 고탄성 로프 또는 고탄성 코일스프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감지수단(20)은 트램펄린에서 점핑운동을 하는 사용자의 착지 위치 및 착지 시간을 감지하여 제어부(50)에 제공한다.
일 예로서 감지수단(20)은 로드셀 방식으로서, 프레임(10a)의 지지부(101)에 다수가 설치되어 점핑매트(10b)와 프레임(10a)의 지지부(101) 간에 설치되는 탄성부재(10c)에 가해지는 압력의 크기 및 압력이 작용하는 시간을 감지하여 그 감지값을 제어부(50)에 제공한다.
즉, 감지수단(20)은 평면상에서 볼 때, 정 8각형 형태로 형성되는 지지부(101)의 각 변에 위치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감지수단(20)의 일측에는 고탄성 로프 또는 고탄성 코일스프링으로 된 탄성부재(10c)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요입홈부 또는 고리부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점핑매트(10b) 위에서 사용자가 점핑운동을 하는 과정에서 점핑매트(10b)의 특정 위치에 착지하면 사용자가 착지하는 위치에 따라 프레임(10a)에 설치된 다수의 감지수단(20)에 서로 다른 크기로 압력이 작용하게 된다.
즉, 사용자의 양발이 착지된 지점과 근접한 위치의 탄성부재(10c)에 더 큰 압력이 작용함에 따라 해당 탄성부재(10c)와 인접한 감지수단(20)에 더 큰 압력이 감지되고 그 감지값이 제어부(50)에 제공됨으로써 제어부(50)에서 사용자의 양발 착지 위치 및 착지 시간을 산출할 수 있게 된다.
또 다른 예로서 감지수단(20)은 압전소자 방식으로서, 점핑매트(10b)의 구획부(104) 별로 설치되어 점핑매트(10b) 위에서 점핑운동을 하는 사용자가 점핑매트(10b)의 특정 위치에 착지하면 사용자가 착지하는 위치에 따라 각 구획부(104) 별로 설치된 다수의 감지수단(20)에 의해 점핑매트(10b)에 가해지는 압력의 크기 및 압력이 작용하는 시간이 감지되고 그 감지값이 제어부(50)에 제공됨으로써 제어부(50)에서 사용자의 양발 착지 위치 및 착지 시간을 산출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메모리부(30)는 점핑운동컨텐츠가 저장된다.
상기 점핑운동컨텐츠는 사용자의 점핑운동에 필요한 컨텐츠 데이터 및 다양한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포함된다.
즉, 점핑운동컨텐츠는 트램펄린을 이용해 점핑운동을 하면서 컨텐츠 플레이를 즐길 수 있도록 점핑위치 및 점핑시간을 가상이미지버튼 및 다양한 화상, 음향 데이터와 조합하여 다양한 사용자 수준에 맞춰 즐길 수 있도록 난이도의 조절이 가능케 구성된다.
따라서 점핑운동컨텐츠는 다양한 게임 형태로 구성하여 재미와 흥미를 배가시킬 수도 있고, 점핑운동 전문강사가 진행하는 동영상강좌 형태로 구성하여 전문적인 동작의 코칭 및 트레이닝이 가능케 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상기 출력부(40)는 트램펄린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메모리부(30)에 저장되는 점핑운동컨텐츠의 플레이 화상이 출력된다.
출력부(40)는 통상의 액정모니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님을 미리 밝혀둔다.
또한 출력부(40)는 터치스크린 모니터를 사용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또한 출력부(40)는 프로젝션 맵핑(Projection Mapping) 기술을 이용하여, 트램펄린의 주변에 설치된 스크린 또는 벽면에 점핑운동컨텐츠의 화상을 출력하는 것도 가능함을 미리 밝혀두는 바이다.
또한, 상기 출력부(40)는 스피커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출력부(40)를 통해 점핑운동컨텐츠의 플레이 화상 뿐만 아니라, 점핑운동컨텐츠의 플레이 음향이 출력되게 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두는 바이다.
상기 제어부(50)는, 점핑운동컨텐츠의 플레이를 제어하기 위하여 화상처리모듈(501), 동작산출모듈(502), 컨텐츠플레이모듈(503)을 포함한다.
상기 화상처리모듈(501)은 메모리부(30)에 저장된 점핑운동컨텐츠의 화상신호를 처리하여 가상이미지버튼이 상기 출력부(40)의 화면상에 표시되게 한다.
즉, 점핑운동컨텐츠의 플레이 화상은 사용자가 착지해야 하는 위치와 착지 시간을 화상으로 표시함과 동시에, 실제로 사용자가 착지하는 위치와 착지 시간을 화상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해 사용자의 착지 위치 및 시간을 표시하는 소정의 화상은 다수의 가상이미지버튼이 표시화면상에 다수의 화면영역으로 구획되어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님을 미리 밝혀둔다.
상기 동작산출모듈(502)은 감지수단(20)에서 제공되는 신호에 따라 트램펄린에서 점핑운동을 하는 사용자의 착지 위치 및 착지 시간을 산출한다.
상기 컨텐츠플레이모듈(503)은 화상처리모듈(501)에서 처리된 데이터값과, 동작산출모듈(502)에서 처리된 데이터값을 통해 점핑운동컨텐츠의 플레이를 수행하고, 점핑운동컨텐츠의 플레이 과정에서 처리되는 데이터를 통해 점수 산정을 수행하여 화면상에 표시되게 한다.
일 예로서, 점핑운동컨텐츠의 화상신호에 따라 출력부(40)에는 점핑매트(10b)에 형성된 구획부(104)에 대응하는 다수의 가상이미지버튼이 표시됨과 동시에 특정의 가상이미지버튼이 소정 시간 동안 다른 색상 또는 다른 밝기로서 사용자가 즉각 인지할 수 있도록 표시된다.
이때 가상이미지버튼의 표시 위치 및 표시 시간은 점핑운동컨텐츠를 플레이하는 과정에서 사용자에 의해 사전 설정 가능한 난이도에 따라 다양하게 조절됨을 미리 밝혀둔다.
따라서, 점핑매트(10b) 위의 사용자가 점프를 하여 출력부(40)에 표시된 가상이미지버튼의 위치 상에 착지하면, 감지수단(20)에 의해 사용자의 착지 위치 및 착지 시간이 제어부(50)에 제공됨에 따라 제어부(50)는 출력부(40)에 사전 표시된 가상이미지버튼의 위치와, 사용자의 착지 위치에 해당하는 가상이미지버튼이 점등되게 한다.
또한, 제어부(50)는 앞서 사전 표시된 가상이미지버튼의 위치와, 사용자의 착지 위치에 해당하는 가상이미지버튼의 위치가 동일하면 점수 산정이 이루어지게 하고, 그 산정된 점수가 출력부(40)에 표시되게 한다.
또한, 제어부(50)는 앞서 사전 표시된 가상이미지버튼의 점등시간과, 사용자의 착지 시간을 비교하여 사용자의 착지 시간이 임계범위 이내에 해당되면 점수 산정이 이루어지게 하고, 그 산정된 점수가 출력부(40)에 표시되게 한다.
따라서, 점핑운동컨텐츠를 플레이하는 사용자는 더 높은 점수가 산정되도록 점핑 위치와 점핑 시간에 맞추어 점핑운동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점핑운동의 흥미와 재미가 배가됨으로써 점핑운동의 운동량 및 운동 효과가 향상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점핑운동용 트램펄린 시스템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생체신호감지수단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점핑운동용 트램펄린 시스템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블록도이다.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전술한 실시 예와 중복되는 구성 및 동일부호를 갖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점핑운동용 트램펄린 시스템은 사용자의 생체신호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50)에 제공하는 생체신호감지수단(60); 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생체신호감지수단(60)은 프레임(10a)의 손잡이부(103) 일측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님을 미리 밝혀둔다.
따라서 사용자가 손잡이부(103)를 잡고 점핑운동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생체신호를 감지하여 제어부(50)에 제공한다.
생체신호감지수단(60)을 통해 감지되는 생체신호는 심박수, 맥박, 체온, 산소포화도, 근육량, 체지방량 등 생체를 통해 감지 가능한 신호 중 어느 한 가지 이상이 포함된다.
한편, 생체신호감지수단(60)은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되어 사용자의 생체신호를 감지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사용할 수 있다.
생체신호감지수단(60)이 웨어러블 디바이스인 경우에 감지된 생체신호를 제어부(50)에 전달하기 위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제어부(50)는 동일한 통신프로토콜을 이용해 무선 통신이 가능케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생체신호감지수단(60)에서 제공되는 생체신호 감지값과, 사전 저장된 생체신호 기준값을 비교 분석하여 사용자의 신체 상태 및 운동량, 운동시간 등이 출력부(40)에 출력되게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50)는 생체신호처리모듈(504)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생체신호처리모듈(504)은 생체신호감지수단(60)에서 제공되는 생체신호 감지값과, 사전 저장된 생체신호 기준값을 비교 분석하여 사용자의 신체 상태 및 운동량을 산출하고 그 데이터가 상기 출력부(40)에 표시되게 한다.
즉, 생체신호처리모듈(504)은 생체신호감지수단(60)에서 제공되는 생체신호 감지값, 즉 근육량이나 체지방량 등을 통해 사용자의 신체데이터를 산출하고, 산출된 신체데이터를 토대로 점핑운동을 하는 사용자의 심박수 변화, 맥박 변화 및 운동 시간 산출 등을 통해 칼로리 소모량 등을 산출하고 그 산출된 데이터가 출력부(40)에 표시되게 할 수 있다.
이때, 보다 정확한 칼로리 소모량 등의 산출을 위하여 사용자는 점핑운동컨텐츠를 플레이하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연령, 성별, 키, 몸무게 등 신체 정보를 부가 입력할 수 있다.
그리하여 점핑운동을 통해 소모되는 칼로리 소모량을 사용자가 직접 눈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됨으로써 점핑운동에 대한 동기 부여를 통해 점핑운동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제어부(50)는 생체신호감지수단(60)에서 제공되는 생체신호 감지값, 일 예로서 심박수가 제어부(50)에 사전 저장된 임계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 출력부(40)를 통해 사용자의 과도한 운동 상태를 경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과도한 운동으로 인한 사용자의 부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점핑운동용 트램펄린 시스템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블록도이다.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전술한 실시 예와 중복되는 구성 및 동일부호를 갖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어부(50)는 통신모듈(505)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통신모듈(505)은, 와이파이나 Personal Area Network(PAN),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WB(Ultra WideBand) 등을 이용하거나,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이 가능케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동통신망일 경우 동기식 이동통신망일 수도 있고, 비동기식 이동통신망일 수도 있다. 비동기식 이동통신망의 일 실시 예로서,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의 통신망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동통신망은 RNC(Radio Network Controller), 및 비동기식 MSC을 포함할 수 있으며, WCDMA망을 일 예로 들었지만, 3G LTE망, 4G망, 5G망 등 차세대 이동통신망으로 변경될 수 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그리하여 제어부(50)는 통신모듈(505)을 통해 외부의 디지털디바이스(70)와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다. 이때, 외부의 디지털디바이스(70)는 제어부와 동일 종류의 통신모듈(505)의 사용이 가능해야 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제어부(50)는 점핑운동 전문가가 소유한 외부의 디지털디바이스(70)와의 데이터 통신을 통해 화상 데이터 및 음향 데이터의 전달 및 처리가 가능케 되고, 처리된 화상 데이터 및 음향 데이터는 출력부(40)를 통해 출력 가능케 됨으로써 점핑운동 전문가에 의한 원격 강습도 가능케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술한 장치 및/또는 운용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트램펄린 10a: 프레임
101: 지지부 102: 다리부
103: 손잡이부 10b: 점핑매트
104: 구획부 10c: 탄성부재
20: 감지수단 30: 메모리부
40: 출력부 50: 제어부
501: 화상처리모듈 502: 동작산출모듈
503: 컨텐츠플레이모듈 504: 생체신호처리모듈
505: 통신모듈 60: 생체신호감지수단
70: 디지털디바이스

Claims (5)

  1. 트램펄린(10)에서 점핑운동을 하는 사용자의 착지 위치 및 착지 시간을 감지하여 제어부(50)에 제공하는 감지수단(20);
    점핑운동컨텐츠가 저장되는 메모리부(30);
    상기 트램펄린의 프레임(10a)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메모리부(30)에 저장되는 점핑운동컨텐츠의 플레이 화상이 출력되는 출력부(40);
    상기 점핑운동컨텐츠의 화상 출력 및 감지수단(20)을 통해 제공되는 감지신호를 통해 점핑운동컨텐츠의 플레이를 제어하는 제어부(50); 를 포함하고,
    상기 트램펄린(10)은,
    소정 직경을 가지는 금속 관체로 형성된 프레임(10a);
    탄성을 가지는 합성섬유로 형성되되, 평면에는 다수의 공간으로 구획된 구획부(104)가 표시되게 재직 또는 인쇄 방식으로 형성되고, 각 구획부(104)에는 숫자, 문자, 방향, 방위 중 어느 하나 이상이 표시된 점핑매트(10b);
    프레임(10a)의 지지부(101)와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점핑매트(10b)를 지지함과 동시에 점핑매트(10b) 위에서 사용자가 점핑운동을 할 때, 점핑매트(10b)에 강한 탄성력을 부여하기 위하여 고탄성 로프로 된 탄성부재(10c); 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10a)는,
    상기 탄성부재(10c)가 설치되는 지지부(101);
    상기 지지부(101)가 지면에서 소정 높이를 유지하도록 지지부(101)의 저면에서 수직으로 다수가 분해 조립 가능케 결합된 다리부(102);
    점핑운동을 하는 사용자가 양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지지부(101) 일측에서 수직 상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손잡이부(103); 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부(101)의 저면에는 하방으로 돌출되는 결합돌부(101a)가 소정 간격으로 다수 형성되고,
    상기 다리부(102)의 상단부에는 결합돌부(101a)가 결합되는 결합관체(102a)가 일체로 형성되되, 결합관체(102a)의 일측에는 결합관체(102a) 내부에 삽입되는 결합돌부(101a)를 고정하는 고정수단이 더 구비되며,
    상기 손잡이부(103)는,
    지지부(101) 일측에서 수직 상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되, 사용자의 키에 맞추어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높이조절수단을 구비한 신축포스트(103a);
    상기 신축포스트(103a)의 상단부 양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양손으로 균형감 있게 파지할 수 있게 한 핸들바(103b); 이 더 구비되고,
    상기 감지수단(20)은,
    트램펄린을 구성하는 프레임(10a)에 다수가 설치되어 트램펄린을 구성하는 점핑매트(10b)와 프레임(10a) 간에 연결되는 특정 위치의 탄성부재(10c)에 가해지는 압력의 크기 및 압력이 작용하는 시간을 감지하되,
    감지수단(20)의 일측에는 고탄성 로프로 된 탄성부재(10c)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탄성부재(10c)가 끼워지는 요입홈부가 더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메모리부(30)에 저장된 점핑운동컨텐츠의 화상신호를 처리하여 가상이미지 버튼이 상기 출력부(40)의 화면상에 표시되게 하는 화상처리모듈(501);
    상기 감지수단(20)에서 제공되는 신호에 따라 트램펄린에서 점핑운동을 하는 사용자의 착지 위치 및 착지 시간을 산출하는 동작산출모듈(502);
    상기 화상처리모듈(501)에서 처리된 데이터값과, 동작산출모듈(502)에서 처리된 데이터값을 통해 점핑운동컨텐츠의 플레이를 수행하고, 점핑운동컨텐츠의 플레이 과정에서 처리되는 데이터를 통해 점수 산정을 수행하여 상기 화면상에 표시되게 하는 컨텐츠플레이모듈(503); 을 포함하며,
    사용자의 생체신호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50)에 제공하는 생체신호감지수단(60); 을 더 포함하되,
    상기 생체신호감지수단(60)은,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되어 사용자의 심박수, 맥박, 체온, 산소포화도, 근육량, 체지방량 중 어느 한 가지 이상의 생체신호를 감지하여 통신프로토콜을 이용해 제어부에 무선으로 제공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이며,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생체신호감지수단(60)에서 제공되는 생체신호 감지값과, 사전 저장된 생체신호 기준값을 비교 분석하여 사용자의 신체 상태 및 운동량을 산출하고 그 데이터가 상기 출력부(40)에 표시되게 하는 생체신호처리모듈(504); 을 더 구비하되,
    생체신호감지수단(60)에서 제공되는 생체신호 감지값이 제어부(50)에 사전 저장된 임계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 출력부(40)를 통해 사용자의 과도한 운동 상태를 경고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핑운동용 트램펄린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90105779A 2019-08-28 2019-08-28 점핑운동용 트램펄린 시스템 KR1021460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5779A KR102146074B1 (ko) 2019-08-28 2019-08-28 점핑운동용 트램펄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5779A KR102146074B1 (ko) 2019-08-28 2019-08-28 점핑운동용 트램펄린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6074B1 true KR102146074B1 (ko) 2020-08-19

Family

ID=722654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5779A KR102146074B1 (ko) 2019-08-28 2019-08-28 점핑운동용 트램펄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607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16576A (zh) * 2020-12-07 2021-03-19 泰州市朗嘉馨网络科技有限公司 阵列状态切换平台及方法
WO2023170321A1 (es) * 2022-03-11 2023-09-14 Peer Holgersson Zegarra Cama elástica para realidad virtual u otros entornos simulados similares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7000Y1 (ko) 2007-12-13 2009-12-17 이정연 손잡이가 형성되어 있는 트램펄린
KR101680972B1 (ko) * 2015-06-17 2016-11-29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상현실을 이용한 실내 운동 시스템
WO2017081614A1 (en) * 2015-11-09 2017-05-18 Dalley Edward Noel Trampoline for use as an input device for an electronic game
KR101974911B1 (ko) * 2018-10-29 2019-05-03 (주)앤트로스 트램펄린을 이용한 증강현실 기반 스포츠 게임 시스템
JP3221921U (ja) * 2019-04-15 2019-06-27 アイデス株式会社 トランポリン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7000Y1 (ko) 2007-12-13 2009-12-17 이정연 손잡이가 형성되어 있는 트램펄린
KR101680972B1 (ko) * 2015-06-17 2016-11-29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상현실을 이용한 실내 운동 시스템
WO2017081614A1 (en) * 2015-11-09 2017-05-18 Dalley Edward Noel Trampoline for use as an input device for an electronic game
KR101974911B1 (ko) * 2018-10-29 2019-05-03 (주)앤트로스 트램펄린을 이용한 증강현실 기반 스포츠 게임 시스템
JP3221921U (ja) * 2019-04-15 2019-06-27 アイデス株式会社 トランポリン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03221921 U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16576A (zh) * 2020-12-07 2021-03-19 泰州市朗嘉馨网络科技有限公司 阵列状态切换平台及方法
CN112516576B (zh) * 2020-12-07 2021-11-05 台州明创科技有限公司 阵列状态切换平台及方法
WO2023170321A1 (es) * 2022-03-11 2023-09-14 Peer Holgersson Zegarra Cama elástica para realidad virtual u otros entornos simulados similar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17932B2 (en) Biometric data gathering
US5462503A (en) Interactive exercise apparatus
US9440134B2 (en) Microsoft kinect
US7722501B2 (en) Interactive step-type gymnastics practice device
US2004007797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tion analysis and feedback
KR101974911B1 (ko) 트램펄린을 이용한 증강현실 기반 스포츠 게임 시스템
DK2276407T3 (en) Therapeutic training apparatus
US20090221338A1 (en) Physical exercise video game method and apparatus
US2007011185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using a video game to achieve an exercise objective
JPH10509058A (ja) ユーザー制御式ビデオゲーム併用運動システム
KR102146074B1 (ko) 점핑운동용 트램펄린 시스템
WO2015130177A1 (en) Balance board for use as a control device
US1008624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imulated golf
Hardy et al. Adaptable and personalized game-based training system for fall prevention
Karime et al. A modular mobile exergaming system with an adaptive behavior
US20200023239A1 (en) Gamification balance exercise system
US20230218967A1 (en) Camera equipped cycle and coordinated punch exercise device and methods
KR20210157779A (ko) 모션감지센서 내장 밸런스 운동기구 시스템
KR102347425B1 (ko) 교실에 설치가능한 스포테인먼트 운영 시스템
KR102212354B1 (ko) 점핑 운동 장치
Andrade Physical Exercise and Health, 4: The Health Care Professional and Patient’s Guide to Understanding What to Do, How, and Why—Part 2
JP3090045U (ja) 運動器材に設置される音声及び音楽提供装置
EP3327597A1 (en) Physical exercise apparatus and method for motivating a user to interact with an exercise facility
Shaw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n exercycle game using immersive technologies
CN219614840U (zh) 一种多功能智能握力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