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6761B1 - 광학 필름용 점착제 조성물 및 표면 보호 필름 - Google Patents

광학 필름용 점착제 조성물 및 표면 보호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6761B1
KR101686761B1 KR1020157018415A KR20157018415A KR101686761B1 KR 101686761 B1 KR101686761 B1 KR 101686761B1 KR 1020157018415 A KR1020157018415 A KR 1020157018415A KR 20157018415 A KR20157018415 A KR 20157018415A KR 101686761 B1 KR101686761 B1 KR 1016867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h
sensitive adhesive
mass
acrylate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184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95798A (ko
Inventor
겐이치 나카니시
가즈히로 사사키
유타 다케우치
Original Assignee
쇼와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쇼와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쇼와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957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57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67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676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62Polymers of compounds having carbon-to-carbon double bonds
    • C08G18/6216Polymers of alpha-beta ethylenically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or of derivatives thereof
    • C08G18/622Polymers of esters of alpha-beta ethylenically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 C08G18/6225Polymers of esters of acrylic or methacrylic acid
    • C08G18/6229Polymers of hydroxy groups containing esters of acrylic or methacrylic acid with aliphatic polyalcoho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20/16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 C08F220/18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with acrylic or methacr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20/16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 C08F220/18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with acrylic or methacrylic acids
    • C08F220/1808C8-(meth)acrylate, e.g. isooctyl (meth)acrylate or 2-ethylhex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08Processes
    • C08G18/16Catalysts
    • C08G18/22Catalysts containing metal compounds
    • C08G18/24Catalysts containing metal compounds of ti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009Two or more macromolecular compounds not provided for in one single group of groups C08G18/42 - C08G18/64
    • C08G18/4063Mixtures of compounds of group C08G18/62 with other 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8Polyeth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32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bound to oxy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1/00Compositions of polyeth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1/02Polyalkylene 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J133/0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71/00Adhesives based on polyeth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71/02Polyalkylene 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75/00Adhesive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75/04Polyurethanes
    • C09J7/0239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25Crosslinking or vulcanising agents; including accelera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29Compounds containing one or more carbon-to-nitrogen double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56Organo-metallic compounds, i.e.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metal-to-carbon bond
    • C08K5/57Organo-tin compounds
    • C09J2205/102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4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essential components
    • C09J2301/408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essential components additives as essential feature of the adhesive lay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33/00Presence of (meth)acrylic polym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71/00Presence of polyeth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Adhesive Tape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광학 필름용 점착제 조성물은, (A)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 만 ∼ 60 만인 (메트)아크릴계 수지 65 ∼ 85 질량% 와, (B) 수 평균 분자량이 500 ∼ 1500 인 폴리옥시알킬렌폴리올 10 ∼ 30 질량% 와, (C) 폴리이소시아네이트 1.0 ∼ 5.0 질량% 와, (D) 이온성 화합물 0.2 ∼ 1.0 질량% 와, (E) 주석계 촉매 0.005 ∼ 0.1 질량% 를 함유한다. 본 발명의 광학 필름용 점착제 조성물은 대전 방지성 및 투명성이 우수하여, 피착체에 대한 오염성 및 부식성이 낮다는 이점을 갖는다.

Description

광학 필름용 점착제 조성물 및 표면 보호 필름{ADHESIVE COMPOSITION FOR OPTICAL FILM AND SURFACE-PROTECTIVE FILM}
본 발명은 광학 필름용 점착제 조성물 및 표면 보호 필름에 관한 것이다.
최근 광학 부품·전자 부품의 분야에서 표면 보호의 목적에서 폴리에틸렌,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등의 투명한 보호 시트 (투명 기재 시트) 와 점착제가 적층된 표면 보호 필름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 표면 보호 필름은 점착 시트로부터 이형 필름을 박리할 때 및 점착 시트를 피착체로부터 박리할 때, 정전기가 대전되어 버리면 주변의 먼지가 부착되어 광학 부품·전자 부품을 오염시켜 버리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대전 방지성을 부여한 점착제가 개발되어 있고,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및 2 에는 아크릴계 공중합체에 대전 방지제로서 폴리에테르폴리올을 첨가한 점착제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대전 방지제로서 폴리에테르폴리올을 첨가한 점착제는 투명성에 문제가 있어, 품질 보증의 관점에서 투명성이 요구되는 표면 보호 필름에 사용할 수 없다.
또, 특허문헌 3 에는, 폴리에테르폴리올을 아크릴폴리머에 그래프트시킴으로써 대전 방지성과 투명성을 양립시킨 점착제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 점착제는 산가가 높은 점에서 ITO 필름과 같은 부식을 기피하는 광학 부재에 사용하기 어렵다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6-128539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5-325255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0-6980호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이 갖는 문제를 감안하여, 대전 방지성 및 투명성이 우수하고, 피착체에 대한 오염성 및 부식성이 낮은 광학 필름용 점착제 조성물 및 표면 보호 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광학 필름용 점착제 조성물이 안고 있는 상기의 문제점을 배경으로 하여 예의 검토를 거듭한 결과, 특정 중량 평균 분자량의 (메트)아크릴계 수지, 특정 수 평균 분자량의 폴리옥시알킬렌폴리올,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이온성 화합물 및 주석계 촉매를 특정 중량 비율로 함유하는 광학 필름용 점착제 조성물이, 양호한 대전 방지성 및 투명성, 피착체에 대한 낮은 오염성 및 부식성을 나타내는 것을 알아내고, 이 지견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아래의 (1) ∼ (10) 으로 나타낸다.
(1) (A) (메트)아크릴계 수지 65 ∼ 85 질량% 와, (B) 폴리옥시알킬렌폴리올 10 ∼ 30 질량% 와, (C) 폴리이소시아네이트 1.0 ∼ 5.0 질량% 와, (D) 이온성 화합물 0.2 ∼ 1.0 질량% 와, (E) 주석계 촉매 0.005 ∼ 0.1 질량% 를 함유하는 광학 필름용 점착제 조성물로서, (A) (메트)아크릴계 수지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 만 ∼ 60 만이고, 또한 (B) 폴리옥시알킬렌폴리올의 수 평균 분자량이 500 ∼ 150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필름용 점착제 조성물.
(2) 상기 (A) (메트)아크릴계 수지가 공중합 성분으로서 수산기 함유 (메트)아크릴계 모노머를 0.5 ∼ 10 ㏖%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에 기재된 광학 필름용 점착제 조성물.
(3) 상기 수산기 함유 (메트)아크릴계 모노머가 2-하이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2) 에 기재된 광학 필름용 점착제 조성물.
(4) 상기 (A) (메트)아크릴계 수지가, 공중합 성분으로서 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를 15 ∼ 50 ㏖%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 (3) 중 어느 1 항에 기재된 광학 필름용 점착제 조성물.
(5) 산가가 0 ∼ 5 ㎎KOH/g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 (4) 중 어느 1 항에 기재된 광학 필름용 점착제 조성물.
(6) 상기 (D) 이온성 화합물이 알칼리 금속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 (5) 중 어느 1 항에 기재된 광학 필름용 점착제 조성물.
(7) 상기 (E) 주석계 촉매가 디옥틸주석디라우레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 (6) 중 어느 1 항에 기재된 광학 필름용 점착제 조성물.
(8) 투명 기재 상의 편면에, (1) ∼ (7) 중 어느 1 항에 기재된 광학 필름용 점착제 조성물을 경화시켜 얻어지는 점착제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보호 필름.
(9) 표면 고유 저항값이 1.0 × 1010 Ω/□ 이하이고, 또한 헤이즈가 1.2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8) 에 기재된 표면 보호 필름.
(10) 상기 투명 기재가 두께 5 ∼ 200 ㎛ 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폴리이미드,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염화비닐 또는 셀룰로오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8) 또는 (9) 에 기재된 표면 보호 필름.
본 발명에 의하면, 대전 방지성 및 투명성이 우수하여, 피착체에 대한 오염성 및 부식성이 낮은 광학 필름용 점착제 조성물 및 표면 보호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광학 필름용 점착제 조성물은, (A) (메트)아크릴계 수지와, (B) 폴리옥시알킬렌폴리올과, (C)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D) 이온성 화합물과, (E) 주석계 촉매를 함유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메트)아크릴계 수지란 아크릴계 수지 또는 메타크릴계 수지를 말하고, 또 (메트)아크릴레이트란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를 말한다. 또한, (메트)아크릴레이트계 수지는 전체 구성 모노머의 80 ㏖% 이상이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인 폴리머를 가리킨다.
(A) (메트)아크릴계 수지
본 발명에 있어서의 (A) (메트)아크릴계 수지의 중합에 사용되는 (메트)아크릴계 모노머로는 특별히 한정은 없지만, 카르복실기 (화학식 : -COOH) 를 함유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메트)아크릴계 모노머의 예로는, 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n-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n-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tert-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n-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메트)아크릴레이트, 라우릴(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스테아릴(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노르보르닐(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보르닐(메트)아크릴레이트, 노르보르나닐(메트)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테닐(메트)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테닐옥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타닐(메트)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타닐옥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시클로데칸디메틸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고리형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메톡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에톡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부톡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2-메톡시에톡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2-에톡시에톡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알콕시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메톡시디에틸렌글리콜(메트)아크릴레이트, 에톡시디에틸렌글리콜(메트)아크릴레이트, 메톡시디프로필렌글리콜(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알콕시(폴리)알킬렌글리콜(메트)아크릴레이트, 옥타플루오로펜틸(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불소화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N,N-디메틸아미노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N,N-디에틸아미노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디알킬아미노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메트)아크릴아미드, 다이아세톤(메트)아크릴아미드 등의 아미드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에폭시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실리콘 변성 (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프로필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다관능성 (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류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A) (메트)아크릴계 수지와 (B) 폴리옥시알킬렌폴리올의 상용성, 즉 광학 필름용 점착제 조성물을 경화시켜 얻어지는 점착제층의 투명성을 고려하면, (A) (메트)아크릴계 수지의 공중합 성분으로서 메틸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가 15 ∼ 50 ㏖%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25 ∼ 45 ㏖% 함유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의 (A) (메트)아크릴계 수지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개재하여 폴리옥시알킬렌폴리올과 반응시켜 일체화시킬 수 있다 (투명성이 향상된다) 는 관점에서, 공중합 성분으로서 수산기 함유 (메트)아크릴계 모노머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산기 함유 (메트)아크릴계 모노머의 예로는, 2-하이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4-하이드록시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1,3-부탄디올(메트)아크릴레이트, 1,4-부탄디올(메트)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메트)아크릴레이트, 3-메틸펜탄디올(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수산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공중합성 및 반응성면에서 2-하이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가 바람직하다. 수산기 함유 (메트)아크릴계 모노머는 (A) (메트)아크릴계 수지의 공중합 성분으로서 0.5 ∼ 10 ㏖%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0.6 ∼ 8.0 ㏖% 함유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의 (A) (메트)아크릴계 수지에는 중합성을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공중합 성분으로서 그 밖의 중합성 모노머를 사용할 수 있다. 그러한 중합성 모노머의 예로는,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스티렌, α-메틸스티렌, 아세트산비닐, 프로피온산비닐, 스테아르산비닐, 염화비닐, 염화비닐리덴, 알킬비닐에테르, 비닐톨루엔, 비닐피리딘, 비닐피롤리돈, 이타콘산디알킬에스테르, 푸마르산디알킬에스테르, 알릴알코올, 아크릴클로라이드, 메틸비닐케톤, N-아크릴아미드메틸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알릴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디메틸알릴비닐케톤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A) (메트)아크릴계 수지는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 만 ∼ 60 만일 필요가 있고, 바람직하게는 15 만 ∼ 50 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만 ∼ 40 만이다.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 만보다 작은 경우에는, 응집력이 작아짐으로써 점착제의 잔류를 일으킨다. 한편, 중량 평균 분자량이 60 만보다 큰 경우에는, (A) (메트)아크릴계 수지와 (B) 폴리옥시알킬렌폴리올의 상용성이 나빠져, 얻어지는 점착제층의 투명성이 나빠진다.
여기서 중량 평균 분자량은 겔·퍼미에이션·크로마토그래피 (쇼와 전공 주식회사 제조, 쇼덱스 (등록상표) GPC-101) 를 사용하여, 하기 조건에서 상온에서 측정하고, 폴리스티렌 환산에 의해서 산출되는 것이다.
칼럼 : 쇼와 전공 주식회사 제조, 쇼덱스 (등록상표) LF-804
칼럼 온도 : 40 ℃
시료 : 공중합체의 0.2 질량% 테트라하이드로푸란 용액
유량 : 1 ㎖/분
용리액 :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또, 본 발명에 있어서의 (A) (메트)아크릴계 수지의 유리 전이 온도 (Tg) 는 -80 ∼ 0 ℃ 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70 ∼ -10 ℃ 이다. Tg 가 0 ℃ 보다 높은 경우에는, 피착체에 대한 젖음성이 나빠져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Tg 가 -80 ℃ 보다 낮은 경우에는, 응집력이 작아짐으로써 점착제의 잔류를 발생시킬 가능성이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A) (메트)아크릴계 수지의 Tg 는 사용하는 모노머 성분이나 조성비를 적절히 변경함으로써 조정할 수 있다.
여기서, Tg 는 아래의 방법에서 구해진 것을 가리킨다. (A) (메트)아크릴계 수지로부터 10 ㎎ 의 시료를 채취하고, 시차 주사 열량계 (DSC) 를 사용하여, 10 ℃/분의 승온 속도로 -80 ℃ 에서부터 200 ℃ 까지 온도를 변화시켜 시차 주사 열량을 측정하고, 유리 전이에 의한 흡열 개시 온도를 Tg 로 한다. 또한, Tg 가 2 개 관찰된 경우에는, 2 개의 Tg 의 평균치를 취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A) (메트)아크릴계 수지의 중합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이 아니고, 용액 중합, 유화 중합, 괴상 중합, 현탁 중합, 교호 공중합 등의 공지된 방법에 의해서 중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용액 중합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 얻어지는 공중합체는 랜덤 공중합체, 블록 공중합체 등 어느 것이어도 된다.
(A) (메트)아크릴계 수지의 중합시에 사용되는 중합 개시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공지된 것 중에서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2,2'-아조비스(4-메톡시-2,4-디메틸발레로니트릴), 2,2'-아조비스(2,4-디메틸발레로니트릴), 2,2'-아조비스(2-메틸부티로니트릴), 1,1'-아조비스(시클로헥산-1-카르보니트릴), 2,2'-아조비스(2,4,4-트리메틸펜탄), 디메틸-2,2'-아조비스(2-메틸프로피오네이트) 등의 아조계 중합 개시제;벤조일퍼옥사이드, t-부틸하이드로퍼옥사이드, 디-t-부틸퍼옥사이드, t-부틸퍼옥시벤조에이트, 디쿠밀퍼옥사이드, 1,1-비스(t-부틸퍼옥시)-3,3,5-트리메틸시클로헥산, 1,1-비스(t-부틸퍼옥시)시클로도데칸 등의 과산화물계 중합 개시제 등의 유용성 (油溶性) 중합 개시제가 바람직하게 예시된다. 이들 중합 개시제는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중합 개시제의 사용량은 통상적인 사용량이면 되고, 예를 들어 모노머 100 질량부에 대해서 0.01 ∼ 5 질량부 정도의 범위에서 선택할 수 있고, 0.02 ∼ 4 질량부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며, 0.03 ∼ 3 질량부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용액 중합에서는 각종 일반적인 용제를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용제로는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n-프로필, 아세트산n-부틸 등의 에스테르류, 톨루엔, 벤젠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류, n-헥산, n-헵탄 등의 지방족 탄화수소류, 시클로헥산, 메틸시클로헥산 등의 지환식 탄화수소류,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등의 케톤류 등의 유기 용제를 들 수 있다. 이들 용제는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의 (A) (메트)아크릴계 수지의 배합량으로는 65 ∼ 85 질량% 일 필요가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70 ∼ 85 질량% 이다. 배합량이 65 질량% 보다 적은 경우에는 피착체를 오염시키고, 한편, 배합량이 85 질량% 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충분한 대전 특성이 얻어지지 않는다.
(B) 폴리옥시알킬렌폴리올
본 발명에 있어서의 (B) 폴리옥시알킬렌폴리올로는 에테르기를 갖는 폴리머폴리올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공지된 폴리머폴리올을 적절히 사용할 수 있다. (B) 폴리옥시알킬렌폴리올의 예로는,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폴리테트라메틸렌에테르글리콜 및 이들의 유도체 또는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메트)아크릴계 수지와의 상용성을 조정하기 쉽다는 이유에서 폴리프로필렌글리콜이 바람직하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B) 폴리옥시알킬렌폴리올은 수 평균 분자량이 500 ∼ 1500 일 필요가 있고, 바람직하게는 800 ∼ 1200 이다. 수 평균 분자량이 1500 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점착제층의 투명성이 나빠진다. 한편, 수 평균 분자량이 500 보다 작은 경우에는, 점착제의 잔류를 일으킬 가능성이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수 평균 분자량은 GPC (겔·퍼미에이션·크로마토그래피) 에 의해서 측정하여 얻어진 것을 말한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의 (B) 폴리옥시알킬렌폴리올의 배합량으로는 10 ∼ 30 질량% 일 필요가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 25 질량% 이다. 배합량이 10 질량% 보다 적은 경우에는 충분한 대전 특성이 얻어지지 않고, 한편, 배합량이 30 질량% 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피착체를 오염시킨다.
(C)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본 발명에 있어서의 (C) 폴리이소시아네이트로는 방향족계, 지방족계, 지환식계 등의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들 수 있다. (C)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예로는, 1,4-테트라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1,6-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HDI), 2-메틸-1,5-펜탄디이소시아네이트, 3-메틸-1,5-펜탄디이소시아네이트, 트리메틸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시클로헥실디이소시아네이트,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TDI), 수소 첨가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수소 첨가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폴리페닐메탄폴리이소시아네이트, 자일렌디이소시아네이트, 수소 첨가 자일렌디이소시아네이트, 테트라메틸자일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노르보르넨디이소시아네이트, 나프탈렌디이소시아네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삼량체 부가물, 트리메틸올프로판/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삼량체 부가물,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의 이소시아누레이트체 등의 이소시아네이트 부가물, 폴리에테르폴리이소시아네이트, 폴리에스테르폴리이소시아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의 (C)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배합량으로는 1.0 ∼ 5.0 질량% 일 필요가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 4.0 질량% 이다. 배합량이 1.0 질량% 보다 적은 경우에는 충분한 응집력이 얻어지지 않고, 한편, 배합량이 5.0 질량% 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점착층이 지나치게 경화되어 피착체에 대한 젖음성이 나빠진다.
(D) 이온성 화합물
본 발명에 사용되는 (D) 이온성 화합물로는 아니온과 카티온으로 이루어지는, 25 ℃ 에서 액체상 또는 고체상인 이온성 화합물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알칼리 금속염, 이온성 액체 (25 ℃ 에서 액체상), 계면 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피착체를 잘 오염시키지 않는다는 이유에서 알칼리 금속염이 바람직하다.
알칼리 금속염으로는 리튬, 나트륨, 칼륨 등의 알칼리 금속 카티온과, 아니온으로 이루어지는 화합물을 들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염화나트륨, 염화칼륨, 염화리튬, 과염소산리튬, 염소산칼륨, 질산칼륨, 질산나트륨, 탄산나트륨, 티오시안산나트륨, LiBr, LiI, LiBF4, LiPF6, LiSCN, 아세트산나트륨, 알긴산나트륨, 리그닌술폰산나트륨, 톨루엔술폰산나트륨, LiCF3SO3, Li(CF3SO2)2N, Li(C2F5SO2)2N, Li(CF3SO2)3C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알칼리 금속염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의 (D) 이온성 화합물의 배합량으로는 0.2 ∼ 1.0 질량% 일 필요가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3 ∼ 0.8 질량% 이다. 배합량이 0.2 질량% 보다 적은 경우에는 충분한 대전 특성이 얻어지지 않고, 한편, 배합량이 1.0 질량% 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피착체를 오염시킨다.
(E) 주석계 촉매
본 발명에 있어서의 (E) 주석계 촉매로는, 디부틸주석디라우레이트, 디부틸주석디에틸헥소에이트, 디옥틸주석디라우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C)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경화성이 양호하고 또한 안전성이 높다는 이유에서, 디옥틸주석디라우레이트가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의 (E) 주석계 촉매의 배합량으로는 0.005 ∼ 0.1 질량% 일 필요가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 0.05 질량% 이다. 배합량이 0.005 질량% 보다 적은 경우에는 충분한 응집력이 얻어지지 않고, 한편, 배합량이 0.1 질량% 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메트)아크릴계 수지의 안정성이 나빠져 포트 라이프가 짧아진다.
본 발명의 광학 필름용 점착제 조성물은 산가가 0 ∼ 5 ㎎KOH/g 인 것이 바람직하고, 0 ∼ 1 ㎎KOH/g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0 ∼ 0.3 ㎎KOH/g 인 것이 더욱 보다 바람직하고, 0 ∼ 0.1 ㎎KOH/g 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산가가 5 ㎎KOH/g 보다 높으면 ITO 필름 등의 부식을 기피하는 재료에 대해서 사용이 곤란해진다. 또한, 조성물의 산가는 JIS K 0070 에 준거하여 측정한 값이다. 예를 들어, 아래와 같이 측정한다.
정밀 천칭으로 100 ㎖ 삼각 플라스크에 시료 약 2 g 정도를 정밀 칭량하고, 이것에 에탄올/디에틸에테르 = 1/1 (질량비) 의 혼합 용매 10 ㎖ 를 첨가하여 용해시킨다. 또한, 이 용기에 지시약으로서 페놀프탈레인에탄올 용액을 1 ∼ 3 방울 첨가하고, 시료가 균일해질 때까지 충분히 교반한다. 이것을, 0.1 N 수산화칼륨-에탄올 용액으로 적정하고, 지시약의 엷은 홍색이 30 초간 계속되었을 때를 중화의 종점으로 한다. 그 결과로부터, 하기의 일반식 (1) 을 사용하여 얻은 값을 조성물의 산가로 한다.
[수학식 1]
산가 (㎎KOH/g) = [B × f × 5.611]/S (1)
상기 식 중, B 는 0.1N 수산화칼륨-에탄올 용액의 사용량 (㎖) 이고, f 는 0.1 N 수산화칼륨-에탄올 용액의 팩터이고, S 는 시료의 채취량 (g) 이다.
또, 본 발명의 광학 필름용 점착제 조성물에는 투명성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공지된 각종 첨가제를 필요에 따라서 첨가해도 된다. 첨가제로는 가소제, 표면 윤활제, 레벨링제, 연화제, 산화 방지제, 노화 방지제, 광 안정제, 자외선 흡수제, 중합 금지제, 벤조트리아졸계 등의 광 안정제, 인산에스테르계 및 그 밖의 난연제, 계면 활성제와 같은 대전 방지제 등을 들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광학 필름용 점착제 조성물은 도포시의 점도 조정을 목적으로 유기 용매를 사용하여 희석시켜도 된다. 사용할 수 있는 유기 용매로는, 예를 들어 메틸에틸케톤, 아세톤, 아세트산에틸,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디옥산, 시클로헥사논, n-헥산, 톨루엔, 자일렌, n-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아세트산n-프로필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유기 용매는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본 발명의 표면 보호 필름은, 투명 기재 상의 편면에 상기한 광학 필름용 점착제 조성물을 경화시켜 얻어지는 점착제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점착제층의 두께는 통상적으로 3 ∼ 100 ㎛ 이고, 바람직하게는 5 ∼ 50 ㎛ 이다.
투명 기재로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폴리이미드,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염화비닐, 셀룰로오스 등을 들 수 있다. 투명 기재의 두께는 통상적으로 5 ∼ 200 ㎛, 바람직하게는 10 ∼ 100 ㎛ 정도이다.
또한, 투명 기재의 편면에는 필요에 따라서 실리콘계, 불소계, 장사슬 알킬계 등의 이형제에 의한 이형 처리 및 방오 처리, 산 처리, 알칼리 처리, 프라이머 처리, 코로나 처리, 플라즈마 처리, 자외선 처리 등의 용이한 접착 처리를 행할 수도 있다.
또, 투명 기재로는 대전 방지 처리되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투명 기재에 행해지는 대전 방지 처리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투명 기재의 적어도 편면에 대전 방지층을 형성하는 방법, 또는 투명 기재에 대전 방지제를 반죽하여 이겨 넣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표면 보호 필름에 있어서의 점착제층의 형성에는 공지된 코팅법 (도포법) 을 사용할 수 있고, 관용의 코터, 예를 들어 그라비아 롤 코터, 리버스 롤 코터, 키스 롤 코터, 딥 롤 코터, 바 코터, 나이프 코터, 스프레이 코터, 콤마 코터, 다이렉트 코터 등을 사용하여 코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표면 보호 필름에는 필요에 따라서 점착면을 보호할 목적에서 점착제층 표면에 세퍼레이터를 첩합 (貼合) 할 수 있다. 세퍼레이터를 구성하는 기재로는 종이나 플라스틱 필름이 있는데, 표면 평활성이 우수한 점에서 플라스틱 필름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그 필름으로는 상기한 점착제층을 보호할 수 있는 필름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필름, 폴리프로필렌 필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폴리부텐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의 표면 보호 필름은, 점착면의 표면 고유 저항값이 1.0 × 1010 Ω/□ 이하이고, 또한 헤이즈가 1.2 이하이기 때문에 정전기가 발생되기 쉬운 플라스틱 제품 등에 사용된다. 그 중에서도, 액정 디스플레이 등에 사용되는 편광판, 파장판, 위상차판, 광학 보상 필름, 반사 시트, 휘도 향상 필름 등의 광학 부재 표면을 보호할 목적에서 사용되는 표면 보호 필름으로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에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해서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예에 의해서 전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메트)아크릴계 수지 (A-1) ∼ (A-3) 의 합성>
냉각관, 질소 도입관, 온도계 및 교반 장치를 구비한 반응 용기에, 아세트산n-프로필 500 질량부,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265 질량부 (0.53 ㏖), 이소보르닐아크릴레이트 41 질량부 (0.07 ㏖), 메틸메타크릴레이트 105 질량부 (0.39 ㏖), 2-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2 질량부 (0.007 ㏖) 및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0.4 질량부를 넣고, 질소 기류 중에서 95 ℃ 에서 8 시간 중합하고, 유리 전이 온도 -30 ℃, 중량 평균 분자량 25 만의 (메트)아크릴계 수지 (A-1) 을 얻었다. 또한, (메트)아크릴계 수지의 유리 전이 온도 및 중량 평균 분자량의 측정은 앞서 설명한 방법에 의해서 행하였다.
또, (메트)아크릴계 수지 (A-2) 및 (메트)아크릴계 수지 (A-3) 은, 사용하는 모노머를 표 1 과 같이 변경한 것 이외에는, (메트)아크릴계 수지 (A-1) 과 동일하게 하여 합성하였다. (메트)아크릴계 수지 (A-2) ∼ (A-3) 에 대해서도 유리 전이 온도 및 중량 평균 분자량을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실시예 1 ∼ 2 및 비교예 1 ∼ 7>
표 2 에 나타내는 조성에서 (메트)아크릴계 수지, 폴리옥시알킬렌폴리올,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이온성 화합물 및 주석계 촉매를 배합하고, 또한, 아세트산에틸로 고형분 농도를 50 질량% 로 조절하고, 실온 하에서 디스퍼저를 사용하여 혼합함으로써 광학 필름용 점착제 조성물 용액을 얻었다. 이 용액을, 두께 38 ㎛ 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ET) 필름의 편면에 박리 처리가 행해져 이루어지는 세퍼레이터의 박리 처리면 상에, 건조 후의 두께가 50 ㎛ 가 되도록 유연 도포하고, 50 ℃ 에서 5 분간 및 110 ℃ 에서 3 분간 가열 건조시키고, 그리고 두께 50 ㎛ 의 PET 필름을 첩합하여 점착 시트를 제작하였다.
<산가>
상기 방법으로 각 조성물의 산가를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표면 고유 저항값>
얻어진 점착 시트를 40 × 40 ㎜ 의 크기로 절단한 후, 이것을 온도 23 ℃ 및 상대 습도 65 % 의 환경 하에 3 시간 방치하고 습도를 조정한 후, 세퍼레이터를 벗겨내고, JIS K 6911 에 기재된 방법으로 점착면의 표면 고유 저항을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또한, 표면 고유 저항값이 작을수록 대전 방지 성능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
<투명성>
얻어진 점착 시트를 30 ㎜ × 30 ㎜ 의 크기에 잘라내고, 점착 시트의 세퍼레이터를 벗겨내어 유리판에 첩합한 것을 측정용 샘플로 하였다. 측정용 샘플에 대해서, 주식회사 무라카미 색채 기술 연구소 제조 「HR-100 형」을 사용하고, 헤이즈미터 NM-150 (주식회사 무라카미 색채 기술 연구소 제조) 을 사용하여 헤이즈를 측정하였다. 헤이즈 (%) 는 확산 투과율을 전광선 투과율로 나누고, 100 을 곱하여 산출하였다. 또한, n 수는 3 회로 하고, 그 평균치를 채용하였다. 전광선 투과율 (%) 을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또한, 헤이즈값은 값이 작을수록 투명성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
<점착 시트의 점착력 측정>
얻어진 점착 시트를 25 ㎜ × 100 ㎜ 의 크기에 잘라내고, 점착 시트의 세퍼레이터를 벗겨내어 점착면 (측정면) 을 시험판에 첩부하고, 2 ㎏ 의 고무 롤러 (폭 : 약 50 ㎜) 를 1 왕복시켜 측정용 샘플을 제작하였다. 시험판으로서 유리판을 사용하였다. 얻어진 측정용 샘플을 온도 23 ℃ 및 상대 습도 50 % 의 환경 하에 24 시간 방치한 후, JIS Z 0237 에 준하여 박리 속도 300 ㎜/분으로 180°방향의 인장 시험을 행하여 점착 시트의 유리판에 대한 점착력 (N/25 ㎜) 을 측정하였다. 얻어진 측정치를 점착력으로 하였다.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피착체로의 오염성>
위에서 얻어진 점착 시트를 50 ㎜ × 50 ㎜ 의 크기로 잘라내고, 세퍼레이터를 벗겨내어 유리판에 붙였다. 이 샘플을 70 ℃ 에서 5 일간 방치한 후, 점착 시트를 벗겨내어 유리 표면으로의 오염성을 육안으로 확인하고, 하기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 : 첩합 전의 유리 표면과 비교하여 변화 없음.
× : 유리 표면에 점착제의 잔류가 확인된다.
Figure 112015066500658-pct00001
Figure 112015066500658-pct00002

Claims (10)

  1. (A) (메트)아크릴계 수지 65 ∼ 85 질량% 와,
    (B) 폴리옥시알킬렌폴리올 10 ∼ 30 질량% 와,
    (C) 폴리이소시아네이트 1.0 ∼ 5.0 질량% 와,
    (D) 이온성 화합물 0.2 ∼ 1.0 질량% 와,
    (E) 주석계 촉매 0.005 ∼ 0.1 질량%
    를 함유하는 광학 필름용 점착제 조성물로서,
    (A) (메트)아크릴계 수지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 만 ∼ 60 만이고, 또한 (B) 폴리옥시알킬렌폴리올의 수 평균 분자량이 500 ∼ 150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필름용 점착제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 (메트)아크릴계 수지가 공중합 성분으로서 수산기 함유 (메트)아크릴계 모노머를 0.5 ∼ 10 ㏖%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필름용 점착제 조성물.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산기 함유 (메트)아크릴계 모노머가 2-하이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필름용 점착제 조성물.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A) (메트)아크릴계 수지가, 공중합 성분으로서 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를 15 ∼ 50 ㏖%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필름용 점착제 조성물.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산가가 0 ∼ 5 ㎎KOH/g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필름용 점착제 조성물.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D) 이온성 화합물이 알칼리 금속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필름용 점착제 조성물.
  7.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E) 주석계 촉매가 디옥틸주석디라우레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필름용 점착제 조성물.
  8. 투명 기재 상의 편면에,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광학 필름용 점착제 조성물을 경화시켜 얻어지는 점착제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보호 필름.
  9. 제 8 항에 있어서,
    표면 고유 저항값이 1.0 × 1010 Ω/□ 이하이고 또한 헤이즈가 1.2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보호 필름.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기재가 두께 5 ∼ 200 ㎛ 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폴리이미드,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염화비닐 또는 셀룰로오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보호 필름.
KR1020157018415A 2012-12-19 2013-10-10 광학 필름용 점착제 조성물 및 표면 보호 필름 KR1016867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276951 2012-12-19
JPJP-P-2012-276951 2012-12-19
PCT/JP2013/077644 WO2014097719A1 (ja) 2012-12-19 2013-10-10 光学フィルム用粘着剤組成物及び表面保護フィル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5798A KR20150095798A (ko) 2015-08-21
KR101686761B1 true KR101686761B1 (ko) 2016-12-14

Family

ID=509780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8415A KR101686761B1 (ko) 2012-12-19 2013-10-10 광학 필름용 점착제 조성물 및 표면 보호 필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251687B2 (ko)
KR (1) KR101686761B1 (ko)
CN (1) CN104870592B (ko)
TW (1) TWI510584B (ko)
WO (1) WO201409771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68403B2 (ja) * 2014-08-07 2017-01-25 藤森工業株式会社 透明導電性フィルム用表面保護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透明導電性フィルム
JP6899339B2 (ja) * 2018-01-24 2021-07-07 日東電工株式会社 表面保護フィルムおよび保護フィルム付き光学部材
WO2020066866A1 (ja) * 2018-09-26 2020-04-02 昭和電工株式会社 表面保護シート用粘着剤組成物及び表面保護シート
CN111534248B (zh) * 2020-05-25 2023-04-21 中国乐凯集团有限公司 压敏胶粘剂及其制备方法、表面保护膜和元件
CN113583282B (zh) * 2021-09-10 2023-01-17 中国科学技术大学先进技术研究院 抗静电光学膜及其制备方法、以及显示面板
WO2024080146A1 (ja) * 2022-10-14 2024-04-18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粘着シートおよび補強フィルム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90743B2 (ja) * 1992-10-14 2001-07-23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テープまたはシート
JP4562070B2 (ja) * 2004-05-14 2010-10-13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粘着シート類、および表面保護フィルム
KR100694445B1 (ko) * 2004-08-24 2007-03-12 주식회사 엘지화학 대전 방지 성능을 갖는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JP2010006980A (ja) 2008-06-27 2010-01-14 Sanyo Chem Ind Ltd 帯電防止性粘着剤
JP5210078B2 (ja) * 2008-07-31 2013-06-12 ビッグテクノス株式会社 電気剥離性粘着剤組成物、電気剥離性粘着製品及びその剥離方法
JP2010053192A (ja) * 2008-08-27 2010-03-11 Nitto Denko Corp 粘着テープ又はシート
JP5580069B2 (ja) * 2009-02-26 2014-08-27 日東電工株式会社 表面保護フィルム用粘着剤組成物とその利用
JP5623020B2 (ja) * 2009-02-27 2014-11-12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粘着剤層、及び、粘着シート
JP5774375B2 (ja) * 2011-05-23 2015-09-09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フィル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97719A1 (ja) 2014-06-26
JPWO2014097719A1 (ja) 2017-01-12
JP6251687B2 (ja) 2017-12-20
TWI510584B (zh) 2015-12-01
CN104870592A (zh) 2015-08-26
KR20150095798A (ko) 2015-08-21
CN104870592B (zh) 2016-10-12
TW201425507A (zh) 2014-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6761B1 (ko) 광학 필름용 점착제 조성물 및 표면 보호 필름
JP6031049B2 (ja) 光硬化性透明粘着シート用組成物、光学用粘着シート
KR101510470B1 (ko)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점착 제품, 디스플레이
KR101234849B1 (ko) 점착제 조성물 및 이것을 이용한 광학부재
JP6634621B2 (ja) 透明粘着シート用光硬化性組成物、透明粘着シート
TWI612119B (zh) 透明黏著薄片用光硬化性組成物,使用該組成物之黏著薄片及其用途
CN103102820A (zh) 压敏胶粘片
WO2019069746A1 (ja) 粘着剤組成物及び粘着シート
JP6630629B2 (ja) 粘着シート用硬化性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粘着シート
TWI689567B (zh) 光反應性透明黏著薄片用組成物、光反應性透明黏著薄片、觸控面板、影像顯示裝置
JP2016074899A (ja) 表面保護フィルム用粘着剤組成物及び表面保護フィルム
JP2017025126A (ja) 表面保護フィルム用粘着剤組成物および表面保護フィルム
KR101127105B1 (ko) 점착제 조성물 및 이것을 이용한 광학부재
JP6091990B2 (ja) 透明粘着シート用組成物
JP2016020442A (ja) 透明粘着シート用組成物及び透明粘着シート
JP5877099B2 (ja) 透明粘着シート用組成物
JP7380578B2 (ja) 表面保護シート用粘着剤組成物及び表面保護シート
JP7380577B2 (ja) 表面保護シート用粘着剤組成物及び表面保護シート
JP6991644B2 (ja) アクリル系粘着剤組成物、偏光板、およびディスプレイ装置
JP2017110108A (ja)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性粘着剤組成物、粘着シートおよび表面保護フィルム
JP2019172715A (ja) 粘着剤組成物および粘着剤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