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4451B1 - 전지 수명을 향상시키는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 Google Patents

전지 수명을 향상시키는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4451B1
KR101684451B1 KR1020140086599A KR20140086599A KR101684451B1 KR 101684451 B1 KR101684451 B1 KR 101684451B1 KR 1020140086599 A KR1020140086599 A KR 1020140086599A KR 20140086599 A KR20140086599 A KR 20140086599A KR 101684451 B1 KR101684451 B1 KR 1016844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active material
electrode active
material mixture
isocyanate comp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65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7977A (ko
Inventor
안경호
김민정
이정훈
정이진
양두경
이철행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JP2015542984A priority Critical patent/JP6150084B2/ja
Priority to EP14757819.9A priority patent/EP2999030B1/en
Priority to PCT/KR2014/006195 priority patent/WO2015005694A1/ko
Priority to TW103123793A priority patent/TWI518976B/zh
Priority to CN201480000945.1A priority patent/CN104508868B/zh
Priority to US14/482,006 priority patent/US9837664B2/en
Publication of KR201500079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79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44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44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30Low-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38Low-molecular-weight compounds having heteroatoms other than oxygen
    • C08G18/3802Low-molecular-weight compounds having heteroatoms other than oxygen having halogens
    • C08G18/3804Polyhydroxy compounds
    • C08G18/3812Polyhydroxy compounds having fluorine ato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2Selection of inactive substances as ingredients for active masses, e.g. binders, fill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2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only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62Polymers of compounds having carbon-to-carbon double bonds
    • C08G18/6275Polymers of halogen containing compounds having carbon-to-carbon double bonds; halogenated polymers of compounds having carbon-to-carbon double bonds
    • C08G18/6279Polymers of halogen containing compounds having carbon-to-carbon double bonds; halogenated polymers of compounds having carbon-to-carbon double bonds containing fluorine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74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 C08G18/76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 C08G18/7614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containing only one aromatic ring
    • C08G18/7621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containing only one aromatic ring being toluene diisocyanate including isomer mixtu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77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having heteroatoms in addition to th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nitrogen and oxygen or sulfur
    • C08G18/78Nitrogen
    • C08G18/79Nitrogen characterised by the polyisocyanates used, these having groups formed by oligomerisation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791Nitrogen characterised by the polyisocyanates used, these having groups formed by oligomerisation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containing isocyanurate groups
    • C08G18/792Nitrogen characterised by the polyisocyanates used, these having groups formed by oligomerisation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containing isocyanurate groups formed by oligomerisation of aliphatic and/or cycloaliphatic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80Masked polyisocyanates
    • C08G18/8003Masked polyisocyanates masked with compounds having at least two groups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8006Masked polyisocyanates masked with compounds having at least two groups containing active hydrogen with compounds of C08G18/32
    • C08G18/8009Masked polyisocyanates masked with compounds having at least two groups containing active hydrogen with compounds of C08G18/32 with compounds of C08G18/3203
    • C08G18/8022Masked polyisocyanates masked with compounds having at least two groups containing active hydrogen with compounds of C08G18/32 with compounds of C08G18/3203 with polyols having at least three hydroxy groups
    • C08G18/8025Masked aliphatic or cycloaliphatic polyisocya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04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 H01M4/0402Methods of deposition of the material
    • H01M4/0404Methods of deposition of the material by coating on electrode coll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04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 H01M4/0438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by electrochemical processing
    • H01M4/045Electrochemical coating; Electrochemical impregnation
    • H01M4/0452Electrochemical coating; Electrochemical impregnation from solu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04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 H01M4/0471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involving thermal treatment, e.g. firing, sintering, backing particulate active material, thermal decomposition, pyrolysi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1Electrodes based on mixed oxides or hydroxides, or on mixtures of oxides or hydroxides, e.g. LiCoOx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3Electrodes based on carbonaceous material, e.g. graphite-intercalation compounds or CFx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9Processes of manufa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9Processes of manufacture
    • H01M4/1391Processes of manufacture of electrodes based on mixed oxides or hydroxides, or on mixtures of oxides or hydroxides, e.g. LiCoOx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9Processes of manufacture
    • H01M4/1393Processes of manufacture of electrodes based on carbonaceous material, e.g. graphite-intercalation compounds or CFx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362Composites
    • H01M4/364Composites as mix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362Composites
    • H01M4/366Composites as layered produ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2Selection of inactive substances as ingredients for active masses, e.g. binders, fillers
    • H01M4/628Inhibitors, e.g. gassing inhibitors, corrosion inhibi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11Organic material
    • H01M50/414Synthetic resins, e.g. thermoplastics or thermosetting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03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lithium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62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89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cobal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93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nicke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4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 H01M4/52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nickel, cobalt or iron
    • H01M4/525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nickel, cobalt or iron of mixed oxides or hydroxides containing iron, cobalt or nickel for inserting or intercalating light metals, e.g. LiNiO2, LiCoO2 or LiCoOxF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5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compounds other than oxides or hydroxides, e.g. sulfides, selenides, tellurides, halogenides or LiCoFy; of polyanionic structures, e.g. phosphates, silicates or borates
    • H01M4/583Carbonaceous material, e.g. graphite-intercalation compounds or CFx
    • H01M4/587Carbonaceous material, e.g. graphite-intercalation compounds or CFx for inserting or intercalating light met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 Secondary Cell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극 집전체, 상기 전극 집전체의 한면 또는 양면에 형성된 전극 활물질 합제층; 및 상기 전극 활물질 합제층 상에 형성된 폴리우레탄계 코팅층을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지 수명을 향상시키는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Electrode with enhanced cycle life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표면상에 폴리우레탄계 코팅층을 포함함으로써 수명 특성이 향상된 이차전지용 전극과,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에 관한 것이다.
휴대폰, 캠코더 및 노트북 PC, 나아가서는 전기 자동차까지 에너지 저장 기술의 적용 분야가 확대되면서 전지의 연구와 개발에 대한 노력이 점점 구체화되고 있다. 전기 화학 소자는 이러한 측면에서 가장 주목받고 있는 분야이며, 그 중에서도 충방전이 가능한 이차전지의 개발은 관심의 초점이 되고 있다.
현재 적용되고 있는 이차전지 중에서 1990 년대 초에 개발된 리튬 이온 이차 전지는 수용액 전해액을 사용하는 Ni-MH, Ni-Cd, 황산-납 전지 등의 재래식 전지에 비해서 작동 전압이 및 에너지 밀도가 높다는 장점이 있다.
최근에는 용량 밀도와 성능 및 수명 특성이 보다 향상된 이차전지용 전극과 이를 포함하는 전지를 개발하려는 연구가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전극 표면에 폴리우레탄계 코팅층을 추가로 형성함으로써, 수명 특성이 향상된 이차전지용 전극과,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전극 제조 방법으로부터 제조된 이차전지용 전극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를 제공한다.
먼저, 본 발명에서는
전극 집전체, 상기 전극 집전체의 한면 또는 양면에 형성된 전극 활물질 합제층; 및 상기 전극 활물질 합제층 상에 형성된 폴리우레탄계 코팅층을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전극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전극 활물질 합제층은 적어도 하나의 히드록실기(-OH)기를 함유하는 산화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폴리우레탄계 코팅층은 상기 전극 활물질 합제 표면의 히드록실기(-OH)와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의 우레탄 결합 반응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을 비수계 유기 용매에 용해시켜 코팅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전극 집전체 상에 전극 슬러리 합제층을 도포하여 제1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코팅 용액에 상기 제1 전극을 침지하여 코팅 용액을 코팅한 후, 건조하여 폴리우레탄계 코팅층이 형성된 제2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전극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전극 활물질 및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전극 활물질 합제를 제조하는 단계; 전극 집전체 상에 상기 전극 활물질 합제를 도포하는 단계; 및 상기 전극 활물질 합제를 건조하여 폴리우레탄계 코팅층이 형성된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전극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이차전지용 전극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전극 표면에 폴리우레탄계 코팅층을 추가로 형성함으로써, 수명 특성이 향상된 이차전지를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의 사이클에 따른 용량유지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도면 및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 상술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전극 집전체,
상기 전극 집전체의 한면 또는 양면에 형성된 전극 활물질 합제층; 및
상기 전극 활물질 합제층 상에 형성된 폴리우레탄계 코팅층을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전극을 제공한다.
이때, 본 발명의 전극에 있어서, 상기 전극은 양극, 음극 또는 이들 양(兩) 전극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전극 집전체는 양극 집전체 또는 음극 집전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양극 집전체는 당해 전지에 화학적 변화를 유발하지 않으면서 높은 도전성을 가지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스테인리스 스틸, 알루미늄, 니켈, 티탄, 소성 탄소, 또는 알루미늄이나 스테인리스 스틸의 표면에 카본, 니켈, 티탄, 은 등으로 표면 처리한 것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양극 집전체는 양극 활물질과의 접착력을 높일 수도 있도록, 표면에 미세한 요철이 형성된 필름, 시트, 호일, 네트, 다공질체, 발포체, 부직포체 등 다양한 형태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극 집전체는 당해 전지에 화학적 변화를 유발하지 않으면서 도전성을 가진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구리, 스테인리스 스틸, 알루미늄, 니켈, 티탄, 소성 탄소, 구리나 스테인리스 스틸의 표면에 카본, 니켈, 티탄, 은 등으로 표면 처리한 것, 알루미늄-카드뮴 합금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극 집전체는 양극 집전체와 마찬가지로, 표면에 미세한 요철이 형성된 필름, 시트, 호일, 네트, 다공질체, 발포체, 부직포체 등 다양한 형태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극에 있어서, 상기 전극 활물질 합제층은 통상적인 이차전지용 양극 또는 음극 제조 시 사용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히드록실기(-OH)기를 함유하는 산화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극 활물질 합제가 양극 활물질 합제인 경우, 상기 산화물은 리튬 코발트계 산화물, 리튬 망간계 산화물, 리튬 구리 산화물, 바나듐 산화물, 리튬 니켈계 산화물 및 리튬 망간 복합 산화물, 리튬-니켈-망간-코발트계 산화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리튬 전이금속 산화물을 들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Li1 + xMn2 - xO4(여기서, x는 0 내지 0.33임), LiMnO3, LiMn2O3, LiMnO2 등의 리튬 망간 산화물; 리튬 구리 산화물 (Li2CuO2); LiV3O8, LiFe3O4, V2O5, Cu2V2O7 등의 바나듐 산화물; LiNi1 - xMxO2 (여기서, M=Co, Mn, Al, Cu, Fe, Mg, B 또는 Ga 이고, x=0.01 내지 0.3임)으로 표현되는 리튬 니켈 산화물; LiMn2 -xMxO2(여기서, M=Co, Ni, Fe, Cr, Zn 또는 Ta 이고, x=0.01 내지 0.1임) 또는 Li2Mn3MO8(여기서, M=Fe, Co, Ni, Cu 또는 Zn 임)으로 표현되는 리튬 망간 복합산화물, Li(NiaCobMnc)O2(여기에서, 0<a<1, 0<b<1, 0<c<1, a+b+c=1)으로 표현되는 리튬-니켈-망간-코발트계 산화물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만약, 상기 전극 활물질 합제가 음극 활물질 합제인 경우, 상기 산화물은 리튬 이온의 흡장 및 방출이 용이한 리튬 함유 티타늄 복합 산화물(LTO) 또는 Si, Sn, Li, Zn, Mg, Cd, Ce, Ni 및 F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금속(Me) 산화물(MeOx) 등을 들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LixFe2O3(0=x=1), LixWO2(0<x=1), SnxMe1 -xMe'yOz (Me: Mn, Fe, Pb, Ge; Me': Al, B, P, Si, 주기율표의 1족, 2족, 3족 원소, 할로겐; 0<x=1; 1=y=3; 1=z=8) 등의 금속 복합 산화물; SnO, SnO2, PbO, PbO2, Pb2O3, Pb3O4, Sb2O3, Sb2O4, Sb2O5, GeO, GeO2, Bi2O3, Bi2O4 및 Bi2O5 등의 산화물 등을 사용할 수 있고, 결정질 탄소, 비정질 탄소 또는 탄소 복합체와 같은 탄소계 음극 활물질이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이 혼용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탄소 분말이 이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극 활물질 합제는 바인더 수지, 도전재, 충진제 및 기타 첨가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인더 수지는 전극 활물질과 도전재의 결합과 집전체에 대한 결합에 조력하는 성분으로서, 통상적으로 전극 합제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50 중량%로 첨가된다. 이러한 바인더 수지의 예로는, 폴리비닐리덴플로라이드(PVDF), 폴리비닐알코올, 카르복시메틸셀룰로우즈(CMC), 전분,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우즈, 재생 셀룰로우즈, 폴리비닐피롤리돈,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렌-디엔 폴리머(EPDM), 술폰화-EPDM,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불소 고무, 이들의 다양한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도전재는 전극 활물질의 도전성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한 성분으로서, 전극 합제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20 중량%로 첨가될 수 있다. 이러한 도전재는 당해 전지에 화학적 변화를 유발하지 않으면서 도전성을 가진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천연 흑연이나 인조 흑연 등의 흑연; 카본블랙, 아세틸렌 블랙, 케첸 블랙, 채널 블랙, 퍼네이스 블랙, 램프 블랙, 서머 블랙 등의 카본블랙; 탄소 섬유나 금속 섬유 등의 도전성 섬유; 불화 카본, 알루미늄, 니켈 분말 등의 금속 분말; 산화아연, 티탄산 칼륨 등의 도전성 위스키; 산화티탄 등의 도전성 금속 산화물; 폴리페닐렌 유도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충진제는 전극의 팽창을 억제하는 성분으로서 선택적으로 사용되며, 당해 전지에 화학적 변화를 유발하지 않으면서 섬유상 재료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리핀계 중합체; 유리섬유, 탄소섬유 등의 섬유상 물질이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전극에 있어서, 상기 폴리우레탄계 코팅층은 상기 전극 활물질 합제층의 히드록실기(R'-OH)와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의 우레탄 결합 반응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하기 반응식 1 참조).
[반응식 1]
R'-NCO + HO-R'' → R'NH-COO-R''
구체적으로, 상기 폴리우레탄계 코팅층은 i)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이 용해된 코팅 용액에 전극 활물질 합제층이 도포된 전극을 침지하여 형성하거나, 또는 ii) 전극 집전체 상에 전극 활물질과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전극 활물질 합제를 직접 도포하여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우레탄계 코팅층은 전극 활물질 합제 표면 및 상기 전극 활물질 합제를 연결 및 고정하는 바인더 표면 상에 독립적인 상으로 존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은 박막 상태로 활물질 표면과 반응이 용이하며, 구조상 Li 이온을 잘 배위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화합물로서, 구체적으로 하기 화학식 1 내지 4로 표시되는 화합물 중 어느 하나를 들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14064873018-pat00001
[화학식 2]
Figure 112014064873018-pat00002
[화학식 3]
Figure 112014064873018-pat00003
[화학식 4]
Figure 112014064873018-pat00004
상기 화학식 1 내지 4에서,
R은 치환 또는 치환되지 않은 탄소수 1-10의 알킬기 또는 알킬렌기이고,
R1 내지 R6은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치환되지 않은 탄소수 1-10의 알킬기 또는 알킬렌기이며,
x 및 y는 각각 5 내지 1000의 정수이고, n은 1 내지 3의 정수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2a 내지 4a로 표시되는 어느 하나의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2a]
Figure 112014064873018-pat00005
[화학식 3a]
Figure 112014064873018-pat00006
[화학식 4a]
Figure 112014064873018-pat00007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을 비수계 유기 용매에 용해시켜 코팅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전극 집전체 상에 전극 슬러리 합제층을 도포하여 제1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코팅 용액에 상기 제1 전극을 침지하여 코팅 용액을 코팅한 후, 건조하여 폴리우레탄계 코팅층이 형성된 제2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전극 제조 방법(1)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은 코팅 용액 전체 100 중량 중에 0.5 내지 10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만약, 이소시아네이트 함량이 0.5중량% 미만인 경우, 폴리우레탄계 코팅층 형성 효과가 미비하여 수명 특성 향상 효과가 낮고, 1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코팅층 두께가 증가하거나, 전극 활물질 함량비가 상대적으로 감소하여 이차전지의 용량 저하를 가져온다.
또한,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비수계 유기 용매는 NMP, DMC 또는 EMC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건조 단계는 상온 건조 또는 열 건조 조건 하에서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전극 활물질 및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전극 활물질 합제를 제조하는 단계;
전극 집전체 상에 상기 전극 활물질 합제를 도포하는 단계; 및
상기 전극 활물질 합제를 건조하여 폴리우레탄계 코팅층이 형성된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전극 제조 방법(2)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은 전극 활물질 합제 전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0001-10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다. 만약, 이소시아네이트 함량이 0.0001 중량부 미만인 경우, 폴리우레탄계 코팅층 형성 효과가 미비하여 수명 특성 향상 효과가 낮고, 1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코팅층 두께가 증가하거나, 전극 활물질 함량비가 상대적으로 감소하여 이차전지의 용량 저하를 가져온다.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건조 단계는 상온 건조를 실시할 수도 있고, 폴리우레핀 코팅층 형성 효과를 높이기 위해 열 건조를 실시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전극 활물질 입자들 사이에 형성된 기공 구조는 유지하면서, 전극 표면상에 폴리우레탄계 코팅층을 더 포함하는 전극을 제공함으로써, 전극 계면의 안정화를 가져와 전지의 수명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전극은 전극 활물질 내에 1 내지 50%의 기공도를 포함하며, 상기 폴리우레탄계 코팅층은 이러한 기공도 값에 영향을 주지 않는 수준하에서 약 0.001-10㎛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양극, 음극, 양(兩) 전극 사이에 개재된 분리막 및 전해액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로서, 상기 양극, 음극 또는 양 전극은 본 발명의 전극인 리튬 이차전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전지를 구성하는 양극 활물질, 음극 활물질 및 분리막 등은 리튬 이차전지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들을 사용할 수 있다.
이 중, 상기 분리막은 종래에 분리막으로 사용된 통상적인 다공성 고분자 필름, 예를 들어 에틸렌 단독중합체,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에틸렌/부텐 공중합체, 에틸렌/헥센 공중합체 및 에틸렌/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등과 같은 폴리올레핀계 고분자로 제조한 다공성 고분자 필름을 단독으로 또는 이들을 적층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또는 통상적인 다공성 부직포, 예를 들어 고융점의 유리 섬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 등으로 된 부직포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리튬 이차전지의 외형은 특별한 제한이 없으나, 캔을 사용한 원통형, 각형, 파우치 (pouch)형 또는 코인 (coin)형 등이 될 수 있다.
실시예
실시예 1. (코팅 용액에 침지하여 전극 형성)
(양극 제조)
양극 활물질로 Li(Ni0 .6Co0 .2Mn0 .2)O2 94 중량%, 도전제로 카본 블랙 3 중량%, 결합제로 PVdF 3 중량%를 용매인 N-메틸-2 피롤리돈 (NMP)에 첨가하여 양극 혼합물 슬러리를 제조하였으며, 상기 양극 혼합물 슬러리를 두께가 20㎛인 양극 집전체인 알루미늄 (Al) 박막에 도포, 건조를 실시하여 기공을 포함하는 양극을 제조하였다.
그 다음으로, 상기 화학식 2a로 표기되는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1 중량%)를 카보네이트 용액에 약 30℃에서 1 시간 정도 용해시켜 코팅 용액을 제조하였다.
이어서, 상기 용액에 기제조된 양극을 딥 (dip) 코팅 방식으로 기공 안의 기포가 모두 나올 때까지 약 1 내지 3분간 함침시킨 후, 상온에서 진공으로 건조시켰다. 건조 후, 열풍 오븐에서 100?/10분의 조건으로 경화시켜, 최종적으로 전극 활물질 입자 표면에 폴리우레탄계 코팅층이 형성된 양극을 제조하였다.
(음극 제조)
음극 활물질로서 탄소분말 96 중량%, Super-P(도전제) 2 중량% 및 PVdF(결합제) 2 중량%를 NMP에 첨가하여 음극 혼합물 슬러리를 제조하였다. 이를 구리 호일의 일면에 코팅, 건조 및 압착하여 음극을 제조하였다.
그 다음으로, 상기 화학식 2a로 표기되는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1 중량%를 카보네이트 용액에 약 30℃에서 1 시간 정도 용해시켜 코팅 용액을 제조하였다.
이어서, 상기 코팅 용액에 기제조된 음극을 딥 (dip) 코팅 방식으로 기공 안의 기포가 모두 나올 때까지 약 1 내지 3분간 함침시킨 후, 상온에서 진공으로 건조시켰다. 건조 후, 열풍 오븐에서 100?/10분의 조건으로 경화시켜, 최종적으로 전극 활물질 입자 표면에 폴리우레탄계 코팅층이 형성된 음극을 제조하였다.
(전지 조립)
상기와 같이 제조된 양(兩) 전극 및 폴리프로필렌/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 (PP/PE/PP) 3층으로 이루어진 분리막을 스택킹 (stacking) 방식으로 조립한 후, 전해액 [에틸렌카보네이트 (EC)/에틸메틸카보네이트 (EMC) = 30/70 중량비, LiPF6 1몰]을 주입하여 최종적으로 전지를 완성하였다.
실시예 2. (코팅 용액에 침지하여 전극 형성)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로서, 상기 화학식 2a로 표시되는 화합물 대신 화학식 3a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수행하여 양극 및 음극을 제조하고, 이를 이용하여 전지를 조립하였다.
실시예 3. (코팅 용액에 침지하여 전극 형성)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로서, 상기 화학식 2a로 표시되는 화합물 대신 화학식 4a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수행하여 양극 및 음극을 제조하고, 이를 이용하여 전지를 조립하였다.
실시예 4. (슬러리 내에 혼합하여 전극 형성)
(양극 제조)
양극 활물질로 Li(Ni0 .6Co0 .2Mn0 .2)O2 94 중량%, 도전제로 카본 블랙 3 중량%, 결합제로 PVdF 3 중량% 및 상기 화학식 2a로 표기되는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1 중량%를 용매인 N-메틸-2 피롤리돈 (NMP)에 첨가하여 양극 혼합물 슬러리를 제조하였다. 두께가 20㎛인 양극 집전체인 알루미늄 (Al) 박막에 상기 양극 혼합물 슬러리를 도포 및 건조하여 양극을 제조하였다.
(음극 제조)
음극 활물질로 탄소 분말 96 중량%, 결합제로 PVdF 3 중량%, 도전제로 카본 블랙 1 중량% 및 상기 화학식 2a로 표기되는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0.5 중량%를 용매인 N-메틸-2 피롤리돈 (NMP)에 첨가하여 음극 혼합물 슬러리를 제조하였다. 두께가 10㎛인 음극 집전체인 구리 (Cu) 박막에 상기 음극 혼합물 슬러리를 도포 및 건조하여 음극을 제조하였다.
(전지 조립)
상기와 같이 제조된 양(兩) 전극 및 폴리프로필렌/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 (PP/PE/PP) 3층으로 이루어진 분리막을 스택킹 (stacking) 방식으로 조립한 후, 전해액 전해액 [에틸렌카보네이트 (EC)/에틸메틸카보네이트 (EMC) = 30/70 중량비, LiPF6 1몰]을 주입하여 최종적으로 전지를 완성하였다.
비교예 1.
(양극 제조)
양극 활물질로 Li(Ni0 .6Co0 .2Mn0 .2)O2 94 중량%, 도전제로 카본 블랙 3 중량%, 결합제로 PVdF 3 중량%를 용매인 N-메틸-2 피롤리돈 (NMP)에 첨가하여 양극 혼합물 슬러리를 제조하였으며, 상기 양극 혼합물 슬러리를 두께가 20㎛인 양극 집전체인 알루미늄 (Al) 박막에 도포, 건조를 실시하여 기공을 포함하는 양극을 제조하였다.
(음극 제조)
음극 활물질로서 탄소분말 96 중량%, Super-P(도전제) 2 중량% 및 PVdF(결합제) 2 중량%를 NMP에 첨가하여 음극 혼합물 슬러리를 제조하였다. 이를 구리 호일의 일면에 코팅, 건조 및 압착하여 음극을 제조하였다.
(전지 조립)
상기와 같이 제조된 양(兩) 전극 및 폴리프로필렌/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 (PP/PE/PP) 3층으로 이루어진 분리막을 스택킹 (stacking) 방식으로 조립한 후, 전해액 전해액 [에틸렌카보네이트 (EC)/에틸메틸카보네이트 (EMC) = 30/70 중량비, LiPF6 1몰]을 주입하여 최종적으로 전지를 완성하였다.
실험예 1. 전지 용량 변화 측정
상기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에서 15.5mAh 용량으로 제조된 이차전지를 상온에서 1일 동안 에이징(aging)한 다음, 상온에서 0.1 C rate로 240분 충전하였다. 이어서, 60℃에서 1일 동안 에이징한 후 degas/reseal을 수행하고, 실온에서 1C로 4.2V까지 정전류/정전압 조건으로 충전하고, 1C로 3.0V까지 정전류 조건으로 방전하였다. 이를 초기 충방전이라 한다. 이하 표 1에서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의 초기 방전용량을 나타내었다.
초기용량
(1C)
실시예 1 14.3mAh
실시예 2 13.9mAh
실시예 3 15.1mAh
실시예 4 14.6mAh
비교예 1 14.8mAh
상기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의 이차전지를 초기 충방전 후 45℃, 동일 전압 영역(1C rate)로 충방전을 400회 이상 실시하고 초기 방전용량 대비 용량 유지율을 확인하고 그 결과를 도 1로 나타내었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4의 이차 전지의 경우, 1C로 450회째 사이클후 용량 유지율은 78~87%이었다. 상대적으로 비교예 1의 경우, 이와 같이 1C로 충방전하는 경우 방전 용량이 450회 사이클 동안 비교적 안정하게 유지되었으며, 상대적으로 폴리우레탄계 코팅층이 형성되지 않은 비교예 1의 경우 실시예 1 내지 4 보다 450회째의 용량 유지율이 낮고(70%), 도 1에서 나타나듯이, 용량 유지율이 200회째 사이클부터는 급격히 낮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실험 결과를 통하여, 실시예 1 내지 4의 이차전지가 전극 활물질 입자들 사이에 형성된 기공 구조를 유지하면서 전극 표면상에 형성된 폴리 우레탄계 코팅층이 전극 계면의 안정화를 가져와서 전지의 수명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실시예 1~4의 이차 전지는 비교예에 비해 우수한 용량 유지율 및 사이클 수명 특성을 나타냄이 확인되었다.

Claims (13)

  1. 전극 집전체,
    상기 전극 집전체의 한면 또는 양면에 형성된 전극 활물질 합제층; 및
    상기 전극 활물질 합제층 상에 형성된 폴리우레탄계 코팅층을 포함하고,
    상기 폴리우레탄계 코팅층은 전극 활물질 합제층의 히드록실기(R'-OH)와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의 우레탄 결합 반응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1 내지 4로 표시되는 화합물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전극.
    [화학식 1]
    Figure 112015089664755-pat00016

    [화학식 2]
    Figure 112015089664755-pat00017

    [화학식 3]
    Figure 112015089664755-pat00018

    [화학식 4]
    Figure 112015089664755-pat00019

    상기 화학식 1 내지 4에서,
    R은 치환 또는 치환되지 않은 탄소수 1-10의 알킬기 또는 알킬렌기이고,
    R1 내지 R6은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치환되지 않은 탄소수 1-10의 알킬기 또는 알킬렌기이며,
    x 및 y는 각각 5 내지 1000의 정수이고, n은 1 내지 3의 정수이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극은 양극, 음극 또는 이들 양(兩) 전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전극.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2a 내지 4a로 표시되는 어느 하나의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전극.
    [화학식 2a]
    Figure 112016021914200-pat00012

    [화학식 3a]
    Figure 112016021914200-pat00020

    [화학식 4a]
    Figure 112016021914200-pat00014

  6.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을 비수계 유기 용매에 용해시켜 코팅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전극 집전체 상에 전극 슬러리 합제층을 도포하여 제1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코팅 용액에 상기 제1 전극을 침지하여 코팅 용액을 코팅한 후, 건조하여 폴리우레탄계 코팅층이 형성된 제2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1항에 따른 이차전지용 전극 제조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은 코팅 용액 전체 100 중량 중에 0.5 내지 10 중량%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전극 제조 방법.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비수계 유기 용매는 NMP, DMC 또는 EMC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전극 제조 방법.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건조 단계는 상온 건조 또는 열 건조 조건 하에서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전극 제조 방법.
  10. 전극 활물질 및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전극 활물질 합제를 제조하는 단계;
    전극 집전체 상에 상기 전극 활물질 합제를 도포하는 단계; 및
    상기 전극 활물질 합제를 건조하여 폴리우레탄계 코팅층이 형성된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1항에 따른 이차전지용 전극 제조 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은 전극 활물질 합제 전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0001-10 중량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전극 제조 방법.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건조 단계는 상온 건조 또는 열 건조 조건 하에서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전극 제조 방법.
  13. 양극, 음극, 양(兩) 전극 사이에 개재된 분리막 및 전해액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로서,
    상기 양극, 음극 또는 양 전극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청구항 1의 전극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KR1020140086599A 2013-07-10 2014-07-10 전지 수명을 향상시키는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KR1016844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542984A JP6150084B2 (ja) 2013-07-10 2014-07-10 ポリウレタンコーティング層を含む二次電池用電極及びこれを含むリチウム二次電池
EP14757819.9A EP2999030B1 (en) 2013-07-10 2014-07-10 Electrode improving battery lifespan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having same
PCT/KR2014/006195 WO2015005694A1 (ko) 2013-07-10 2014-07-10 전지 수명을 향상시키는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TW103123793A TWI518976B (zh) 2013-07-10 2014-07-10 循環壽命增強的電極及含有彼之鋰二次電池
CN201480000945.1A CN104508868B (zh) 2013-07-10 2014-07-10 具有提高的循环寿命的电极及包括其的锂二次电池
US14/482,006 US9837664B2 (en) 2013-07-10 2014-09-10 Electrode with enhanced cycle life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1006 2013-07-10
KR20130081006 2013-07-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7977A KR20150007977A (ko) 2015-01-21
KR101684451B1 true KR101684451B1 (ko) 2016-12-08

Family

ID=52570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6599A KR101684451B1 (ko) 2013-07-10 2014-07-10 전지 수명을 향상시키는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837664B2 (ko)
EP (1) EP2999030B1 (ko)
JP (1) JP6150084B2 (ko)
KR (1) KR101684451B1 (ko)
CN (1) CN104508868B (ko)
TW (1) TWI518976B (ko)
WO (1) WO201500569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4642B1 (ko) * 2015-04-17 2017-05-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리튬이온전지용 양극 및 이를 이용한 리튬이온전지
KR101802594B1 (ko) 2015-09-09 2017-12-29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리튬 황 전지, 및 그 제조 방법
KR102019312B1 (ko) * 2016-02-25 2019-09-06 주식회사 엘지화학 겔 폴리머 전해질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CN114149564B (zh) 2016-10-14 2023-07-25 旭化成株式会社 多异氰酸酯组合物、封端多异氰酸酯组合物、亲水性多异氰酸酯组合物、涂料组合物和涂膜
CA3076628C (en) * 2017-10-04 2022-07-05 Hercules Llc Elastic and stretchable gel polymer electrolyte
JP7098558B2 (ja) 2018-09-19 2022-07-11 株式会社東芝 電極、二次電池、電池パック、車両、及び、定置用電源
KR102296128B1 (ko) * 2018-10-23 2021-08-3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리튬이차전지
JP7342028B2 (ja) 2018-12-12 2023-09-11 三菱ケミカル株式会社 非水系電解液及び非水系電解液電池
CN110144033A (zh) * 2019-04-25 2019-08-20 合肥国轩高科动力能源有限公司 水性聚氨酯粘结剂的制备方法及包括该粘结剂的锂离子电池正极浆料
CN111647345B (zh) * 2020-04-21 2022-03-18 万向一二三股份公司 一种锂离子电池负极聚合物保护涂层及其制备方法、应用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59799A (ja) * 1991-12-03 1993-06-25 Hitachi Maxell Ltd 水素吸蔵合金電極およびそれを用いたアルカリ二次電池
KR100368752B1 (ko) * 1997-04-08 2003-04-07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포함하는 리튬이온 전지또는 리튬이온폴리머전지용 양극전극 코팅액, 이를 이용한 양극전극 및 이의 제조방법
EP1134758A4 (en) * 1999-03-23 2005-11-30 Nisshin Spinning ELECTROLYTE COMPOSITION FOR DOUBLE-LAYER ELECTRICAL CAPACITOR, SOLID POLYMER ELECTROLYTE, COMPOSITION FOR POLARIZABLE ELECTRODE, POLARIZABLE ELECTRODE, AND DOUBLE-LAYER ELECTRICAL CAPACITOR
KR100327488B1 (ko) * 2000-03-21 2002-03-13 김순택 리튬 고분자 이차전지 제조방법
JP5589984B2 (ja) * 2001-02-02 2014-09-17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電極表面被膜形成剤
JP2005044681A (ja) * 2003-07-24 2005-02-17 Nippon Synthetic Chem Ind Co Ltd:The リチウム二次電池電極用バインダー組成物、リチウム二次電池用電極、リチウム二次電池、及びリチウム二次電池の製造方法
JP2005259641A (ja) * 2004-03-15 2005-09-22 Mitsubishi Heavy Ind Ltd リチウム二次電池用の電解液、電極、リチウム二次電池およびそれらの製造方法
JP5148477B2 (ja) * 2005-04-19 2013-02-20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架橋高分子の導入によって安全性が向上した電極、及びそれを含む電気化学素子
KR100773247B1 (ko) * 2005-04-20 2007-11-05 주식회사 엘지화학 향상된 과충전 안전성의 리튬 이차전지
CN102152232B (zh) * 2007-01-15 2013-06-26 东洋橡胶工业株式会社 研磨垫及其制造方法
JP2011048987A (ja) * 2009-08-26 2011-03-10 Sony Corp 負極、非水電解質二次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US9287563B2 (en) * 2011-01-20 2016-03-15 Samsung Sdi Co., Ltd. Electrode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CN102610789B (zh) * 2011-01-20 2016-03-02 三星Sdi株式会社 用于锂可充电电池的电极和包括该电极的锂可充电电池
JP5962040B2 (ja) * 2011-02-10 2016-08-03 三菱化学株式会社 二次電池用非水系電解液及びそれを用いた非水系電解液二次電池
EP2675010B1 (en) 2011-02-10 2019-03-27 Mitsubishi Chemical Corporation Non-aqueous electrolyte solution for secondary battery, and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using same
KR101702191B1 (ko) * 2011-02-10 2017-02-03 미쓰비시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비수계 전해액 용액 및 그것을 적용한 비수계 전해액 이차 전지
JP5906915B2 (ja) * 2011-05-09 2016-04-20 三菱化学株式会社 二次電池用非水系電解液及びそれを用いた非水系電解液二次電池
WO2013062997A1 (en) * 2011-10-28 2013-05-02 Lubrizol Advanced Materials, Inc. Polyurethane-based electrode binder compositions and electrodes thereof for electrochemical cells
EP2771380B1 (en) 2011-10-28 2018-12-05 Lubrizol Advanced Materials, Inc. Polyurethane based membranes and/or separators for electrochemical cells
KR101799923B1 (ko) * 2014-09-16 2017-11-21 주식회사 엘지화학 분산제를 포함하는 리튬이차전지용 전극 활물질 슬러리 및 이를 이용한 리튬이차전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999030B1 (en) 2017-09-27
CN104508868A (zh) 2015-04-08
JP2015535139A (ja) 2015-12-07
EP2999030A4 (en) 2016-08-24
US20150017530A1 (en) 2015-01-15
WO2015005694A1 (ko) 2015-01-15
CN104508868B (zh) 2017-03-15
EP2999030A1 (en) 2016-03-23
JP6150084B2 (ja) 2017-06-21
TWI518976B (zh) 2016-01-21
KR20150007977A (ko) 2015-01-21
TW201526371A (zh) 2015-07-01
US9837664B2 (en) 2017-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4451B1 (ko) 전지 수명을 향상시키는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KR100786968B1 (ko) 전극활물질의 전처리 방법
KR101540618B1 (ko) 이차전지용 전극 및 그것의 제조 방법
KR101569056B1 (ko) 규소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이차전지
KR20180040268A (ko) 각 층의 바인더의 함량과 활물질 입경이 상이한 다층 음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KR20190064462A (ko) 이중층 구조의 활물질층을 구비한 양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이차전지
KR101737222B1 (ko)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액 첨가제, 상기 전해액 첨가제를 포함하는 비수성 전해액 및 리튬 이차 전지
US11876191B2 (en) Method for activating secondary battery
KR101764471B1 (ko) 리튬이차전지용 음극의 제조방법,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음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이차전지
KR20190033915A (ko)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KR20200096153A (ko)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이차전지
KR20150022264A (ko) 리튬 이차 전지의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리튬 이차 전지
US11183737B2 (en) Electrode assembly,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KR20190091220A (ko)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 및 상기 음극을 포함하는 리튬 이온 이차 전지
KR101604887B1 (ko) 이차전지용 음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KR102631899B1 (ko) Si계 음극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472848B1 (ko) 비가교-가교 고분자 혼성 바인더,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 활물질 조성물
KR20160079508A (ko) 리튬 이차전지
KR20220146362A (ko) 이차 전지의 제조 방법
KR102567400B1 (ko) 이차전지
KR101588252B1 (ko) 이차전지 셀
KR102663797B1 (ko) 리튬 금속 이차전지용 양극 첨가제, 이를 포함하는 양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금속 이차전지의 활성화 방법
KR101608635B1 (ko) 고용량의 이차전지용 음극
KR101604888B1 (ko) 이차전지용 음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EP4040534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node, anode manufactured thereby, and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