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4229B1 - 화상형성장치, 화상형성장치의 제어 방법, 기록 매체, 및 화상형성 시스템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 화상형성장치의 제어 방법, 기록 매체, 및 화상형성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4229B1
KR101684229B1 KR1020130072796A KR20130072796A KR101684229B1 KR 101684229 B1 KR101684229 B1 KR 101684229B1 KR 1020130072796 A KR1020130072796 A KR 1020130072796A KR 20130072796 A KR20130072796 A KR 20130072796A KR 101684229 B1 KR101684229 B1 KR 1016842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forming
unit
power
forming apparatus
pow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27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1137A (ko
Inventor
아쓰시 히키치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011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11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42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42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5Power saving in peripheral device
    • G06F1/3284Power saving in prin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02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1218Reducing or saving of used resources, e.g. avoiding waste of consumables or improving usage of hardware resources
    • G06F3/1221Reducing or saving of used resources, e.g. avoiding waste of consumables or improving usage of hardware resources with regard to power consump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885Power supply means, e.g.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power supply to the apparatus or components thereof
    • H04N1/00888Control thereof
    • H04N1/00891Switching on or off, e.g. for saving power when not in u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885Power supply means, e.g.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power supply to the apparatus or components thereof
    • H04N1/00901Using different supplies or connection to an external supp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885Power supply means, e.g.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power supply to the apparatus or components thereof
    • H04N1/00904Arrangements for supplying power to different circuits or for supplying power at different lev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912Arrangements for controlling a still picture apparatus or component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4N1/00928Initialisation or control of normal start-up or shut-down, i.e. non failure or error relat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94Multifunctional device, i.e. a device capable of all of reading, reproducing, copying, facsimile transception, file transcep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Abstract

후 처리장치와 통신가능한 화상형성장치. 화상형성장치는, 상기 화상형성장치를 전력 절약상태로 이행시키기 위한 이행 처리를 실행하는 실행부; 상기 후 처리장치에의 전력공급 정지의 지시를 상기 후 처리장치에 통지하는 통지부; 및 상기 실행부 및 상기 통지부에의 전력공급을 제어하는 전력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실행부가 상기 이행 처리를 실행하는 경우에, 상기 통지부에의 전력공급이 정지되어 있으면, 상기 전력제어부는, 상기 통지부에의 전력공급을 행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전력제어부에 의해 전력공급이 행해진 상기 통지부는 상기 후 처리장치에 상기 지시를 통지한다.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 화상형성장치의 제어 방법, 기록 매체, 및 화상형성 시스템{IMAGE FORMING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RECORDING MEDIUM, AND IMAGE FORMING SYSTEM}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 화상형성장치의 제어 방법, 기록 매체, 및 화상형성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기기의 전력 절약의 요구가 증가함에 따라, 화상형성장치의 전력상태를 유연하게 오프 상태로 하기 위한 셧다운 기능이 제안되어 있다. 이 셧다운 기능의 예로서, 오토 셧다운 기능, 위클리(weekly) 셧다운 기능 및 리모트 셧다운 기능을 들 수 있다.
오토 셧다운 기능은, 화상형성장치가 슬리프(sleep)상태가 되면 타이머를 시작하고, 그 슬리프 상태를 유지하는 기능이다. 그 타이머는, 소정시간이 경과하여 화상형성장치를 자동적으로 오프 상태로 할 때 정지된다.
위클리 셧다운 기능은, 1주일의 요일을 미리 설정하는 기능이고, 화상형성장치는 화상형성장치의 타이머에 의해 계시된 시각이 상기 설정 시각이 되었을 때에 자동적으로 오프 상태로 된다.
또한, 리모트 셧다운 기능에 의해, 단순 메일 전송 프로토콜(SMTP)의 관리 정보 베이스(MIB)나 독자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I)를 사용하여, 외부장치에서 원격으로 화상형성장치를 오프 상태로 한다.
상기 셧다운 기능에 의해 화상형성장치를 오프 상태로 함으로써 화상형성장치의 전력 절약을 할 수 있다. 한편, 화상형성장치가 오프 상태가 아닌 경우에도, 화상형성장치의 전력 절약에 대한 요구가 있다. 화상형성장치가 오프 상태가 아닌 경우에, 디바이스를 사용할 때에만 상기 디바이스에 전력을 공급함으로써 화상형성장치의 전력을 절약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평 5-162421호 및 8-238822호 참조). 이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평 5-162421호 및 8-238822호에는, 프린트 기능을 사용할 때에만 해당 프린터에 통전하고(전력 공급되고), 프린트 기능을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해당 프린터에 통전하지 않는(전력 공급되지 않는) 화상형성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화상형성장치에는, 화상형성장치로부터 출력된 용지에 대하여, 배지, 소트, 스테이플, 펀치 및 재단의 가공을 행하는 후 처리장치가 접속될 수 있다. 화상형성장치와 상기 후 처리장치는, 서로 다른 그들 각각의 전원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화상형성장치에 탑재된 콘트롤러 유닛(이하, 본체 콘트롤러라고 부른다), 스캐너부, 프린터부, FAX부, 각종 보드나 칩, 및 해당 화상형성장치를 셧다운 하는 스위치는, 피니셔(finisher)장치에 탑재된 콘트롤러 유닛(이하, 피니셔 콘트롤러라고 부른다)과 해당 피니셔장치를 셧다운 하기 위한 스위치와는 다른 전원을 사용한다. 따라서, 상기 셧다운 기능에 의해, 화상형성장치 및 피니셔장치의 양쪽을 셧다운 하기 위해서는, 화상형성장치의 스위치 및 피니셔장치의 스위치의 양쪽을 오프 상태로 할 필요가 있다. 화상형성장치와 해당 화상형성장치에 접속된 피니셔장치를 구비한 인쇄 시스템에 있어서, 피니셔장치는, 화상형성장치의 프린터부에 의해 인쇄된 용지를 핸들링 하기 위해서, 프린터부와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이 때문에, 화상형성장치는, 피니셔장치와 해당 프린터부를 거쳐서 통신한다. 따라서, 상기 셧다운 기능을 실행할 경우, 화상형성장치의 본체 콘트롤러는, 프린터부를 경유하여, 피니셔 콘트롤러에 동작 종료를 통지한다.
그렇지만,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평 5-162421호 및 8-238822호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본체 콘트롤러와 피니셔 콘트롤러 사이에서 종료를 통지하는 프린터부는, 항상 전력이 공급되지 않는다. 프린터부에의 전력공급이 정지되어 있는 경우, 화상형성장치는, 종료 통지를 피니셔장치에 보낼 수 없다. 그 결과, 해당 종료 통지를 수신한 것에 따라 피니셔장치를 오프 상태로 하는 피니셔 콘트롤러는, 프린터부에의 전력공급이 정지되어 있기 때문에, 해당 종료 통지를 수신할 수 없으므로, 피니셔장치를 오프 상태로 할 수 없다.
상기 프린터부뿐만 아니라, 본체 콘트롤러와 피니셔 콘트롤러의 사이에 있는 경로 디바이스에도 전력공급이 정지되는 경우에도, 화상형성장치는, 후 처리장치에 종료 통지를 보낼 수 없다. 그 결과, 피니셔장치는, 셧다운 기능을 실행할 수 없으므로, 피니셔장치를 오프 상태로 할 수 없다.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가 종료 처리를 후 처리장치에 통지하는 경우에, 해당 종료 통지의 경로가 되는 경로 디바이스에의 전력공급을 행하여서, 후 처리장치에 종료 통지를 보내는 화상형성장치를 대상으로 삼는다.
본 발명의 일 국면에 의하면, 후 처리장치와 통신가능한 화상형성장치는, 상기 화상형성장치를 전력 절약상태로 이행시키기 위한 이행 처리를 실행하는 실행부; 상기 후 처리장치에의 전력공급 정지의 지시를 상기 후 처리장치에 통지하는 통지부; 및 상기 실행부 및 상기 통지부에의 전력공급을 제어하는 전력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실행부가 상기 이행 처리를 실행하는 경우에, 상기 통지부에의 전력공급이 정지되어 있으면, 상기 전력제어부는, 상기 통지부에의 전력공급을 행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전력제어부에 의해 전력공급이 행해진 상기 통지부는 상기 후 처리장치에 상기 지시를 통지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들 및 국면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의 예시적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 포함되고 그 일부를 구성하는 첨부도면들은,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들, 특징들 및 국면들을 예시하고, 이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는 역할을 한다.
도 1은 화상형성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다.
도 2는 화상형성장치의 본체 콘트롤러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다.
도 3은 화상형성장치의 슬리프상태에서 본체 콘트롤러의 전력상태를 나타낸 블록도다.
도 4는 화상형성 시스템의 전원구성을 나타낸 블록도다.
도 5는 화상형성장치의 전원구성을 나타낸 블록도다.
도 6은 화상형성장치의 전원부 및 그 전원부의 주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다.
도 7은 화상형성장치의 각 상태에 있어서, 본체 콘트롤러, 스캐너부 및 프린터부의 전력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화상형성장치로 실행된 종료 처리의 흐름도다.
도 9는 피니셔 장치로 실행된 종료 처리의 흐름도다.
이하, 본 발명의 각종 예시적 실시예, 특징 및 국면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화상형성 시스템의 전체구성]
도 1은, 화상형성 시스템의 전체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다.
화상형성 시스템(100)은, 화상형성장치(1)와, 해당 화상형성장치(1)에 접속되는 피니셔장치(후 처리장치)(700)를 구비하고 있다. 화상형성장치(1)는, 용지에 화상을 형성한다. 이 화상형성장치(1)에 의해 화상이 형성된 용지는, 피니셔장치(700)가 받는다. 피니셔장치(700)는, 화상형성장치(1)로부터 받은 용지에 후처리(스테이플, 펀치등)를 행한다. 이 화상형성 시스템(100)의 화상형성장치(1)에는, 근거리 통신망(LAN)(8)을 통해 퍼스널 컴퓨터(PC)(9)가 접속된다. 화상형성장치(1)와 피니셔장치(700)는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화상형성장치(1)는, 스캐너부(2), 프린터부(4), 조작부(5), 하드 디스크(6), 팩시밀리(FAX)부(7), 및 본체 콘트롤러(3)를 구비한다.
스캐너부(2)는, 원고를 판독해서 화상 데이터를 출력한다. 스캐너부(2)는, 원고급지 유닛(21) 및 스캐너 유닛(22)을 구비한다. 원고급지 유닛(21)은, 원고를 반송한다. 스캐너 유닛(22)은, 반송된 원고를 광학적으로 판독해서 전기신호로서의 화상 데이터로 변환한다.
프린터부(4)는, 화상 데이터에 의거하여 용지에 인쇄를 행한다. 프린터부(4)는, 급지 유닛(42), 마킹 유닛(41), 및 배지 유닛(43)을 구비한다. 급지 유닛(42)은, 기록 용지를 수용하는 복수단의 급지 카세트를 구비한다. 마킹 유닛(41)은, 화상 데이터를 기록 용지에 전사하여 정착한다. 배지 유닛(43)은, 인쇄된 기록 용지를 피니셔장치(700)에 출력한다. 프린터부(4)에 의해 인쇄된 용지를 피니셔장치(700)에 송신하기 위해서는, 프린터부(4)에 의한 용지의 반송과, 피니셔장치(700)에 의한 용지반송을, 동기시키지 않으면 안된다. 이 때문에, 화상형성장치(1)의 프린터부(4)와 피니셔장치(700)가 접속되어 있다.
조작부(5)는, 각종 키와 패널을 구비한다. 조작부(5)는, 각종 키에 의해 유저로부터 각종 지시를 접수한다. 조작부(5)는, 그 패널을 거쳐서 각종 정보를 표시한다.
하드 디스크(6)는, 제어프로그램과 화상 데이터를 기억한다.
FAX부(7)는, 전화 회선을 거쳐서 입력/출력 처리를 행한다.
본체 콘트롤러(3)는, 상기 스캐너부(2), 프린터부(4), 조작부(5), 하드 디스크(6), 및 FAX부(7) 등의 각 구성 블록에 접속되어, 각 구성 블록을 제어한다.
피니셔장치(700)는, 프린터부(4)의 배지 유닛(43)으로부터 출력된 기록 용지에 대하여, 배지, 소트, 스테이플, 펀치, 및 재단등의 처리를 실행한다.
본 예시적 실시예의 화상형성장치(1)는, 스캐너부(2), 프린터부(4) 및 FAX부(7)에 의해 복수의 기능을 실행가능한 복합기다. 이 화상형성장치(1)로 실행가능한 기능을 아래에 예시한다.
·카피 기능: 스캐너부(2)에 의해 판독된 원고의 화상 데이터를 하드 디스크(6)에 기억함과 아울러, 해당 화상 데이터에 의거하여 프린터부(4)가 용지에 인쇄한다.
·SEND기능: 스캐너부(2)에 의해 판독된 원고의 화상 데이터를, LAN(8)을 통해 PC(9)에 송신한다.
·BOX기능: 스캐너부(2)에 의해 판독된 원고의 화상 데이터를 하드 디스크(6)에 기억한다. PC(9)로부터 송신된 화상 데이터를 하드 디스크(6)에 기억한다.
·프린트 기능: PC(9)로부터 송신된 페이지 기술언어(PDL)데이터를 프린터부(4)가 해석해서 인쇄한다.
[본체 콘트롤러(3)의 구성]
도 2는, 본체 콘트롤러(3)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다.
본체 콘트롤러(3)는, 일반적인 정보처리를 행하는 메인 보드(200)와, 화상형성 처리를 행하는 서브 보드(220)를 구비하고 있다. 메인 보드(200)와 서브 보드(220)는, 하나의 보드로서 구성해도 좋다.
메인 보드(200)는, 중앙처리장치(CPU)(201), 부트 ROM(202), 메모리(203), 버스 콘트롤러(204), 불휘발성메모리(205), 디스크 콘트롤러(206), 플래시 디스크(207), 범용 직렬버스(USB)콘트롤러(208), 인터럽트 콘트롤러(210), 네트워크 콘트롤러(211), 및 실시간 클록(이하, RTC이라고 부른다)(212)을 구비한다. 부트 ROM(202)은, 비휘발성의 기억 메모리이며, 기동 프로그램을 격납한다. CPU(201)는, 기동 프로그램, 운영체계(OS), 및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메모리(203)는, CPU(201)의 워크 메모리로서 사용된다. 버스 콘트롤러(204)는, 서브 보드(220)와의 브리지 기능을 갖고, 해당 서브 보드(220)와 데이터를 통신하기를 제어한다. 디스크 콘트롤러(206)는, 하드 디스크(6) 및 플래시 디스크(207)를 제어한다. 플래시 디스크(207)는, 반도체 디바이스로 구성된 비교적 소용량의 스토리지 장치(예를 들면, 솔리드 스테이트 디스크(SSD))다. USB콘트롤러(208)는, USB메모리(209)를 제어한다. 인터럽트 콘트롤러(210)는, 조작부(5)의 키 조작 및 FAX부(7)에 의한 팩시밀리의 수신에 따라, 인터럽트 처리를 행한다. 네트워크 콘트롤러(211)는, PC(9)와의 통신을 제어한다. RTC(212)는, 전지로부터 전력이 공급되고, 현재 시각을 계시한다. 이 메인 보드(200)에는, USB메모리(209), 조작부(5), 및 하드 디스크(6)가 접속되어 있다.
서브 보드(220)는, CPU(221), 메모리(223), 버스 콘트롤러(224), 불휘발성메모리(225), 화상처리 프로세서(227), 디바이스 콘트롤러228 및 디바이스 콘트롤러229를 구비한다. CPU(221)는, 기동 프로그램, OS 및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메모리(223)는, CPU(221)의 워크 메모리로서 사용된다. 버스 콘트롤러(224)는, 메인 보드(200)와의 브리지(bridge) 기능을 갖고, 해당 메인 보드(200)와 데이터의 송수신을 제어한다. 화상처리 프로세서(227)는,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여러 가지 화상처리를 실행한다. 이 화상처리 프로세서(227)는, 실시간 디지털 화상처리를 행한다. 이 화상처리 프로세서(227)는, 디바이스 콘트롤러(228)를 통하여, 프린터부(4)와 디지털 화상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화상처리 프로세서(227)는, 디바이스 콘트롤러229를 통하고, 스캐너부와 디지털 화상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한다. FAX부(7)는, FAX부(7)를 제어하는 CPU(221)에 접속된다. 피니셔장치(700)는, 프린터부(4)로부터 출력된 인쇄용지에 후처리를 행한다.
도 2의 블록도는 간략화된 도면이다. 실제로, 그러나, CPU201 및 221은, 칩세트, 버스 브리지, 및 클록 발생기 등의 CPU주변에 다수의 하드웨어 부품을 구비한다.
이하에서는, 도 2의 블록들을 참조하여 상기 카피 기능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유저가 조작부(5)에 의해 카피를 지시하면, CPU201은, CPU221을 거쳐, 스캐너부(2)에 세트된 원고의 판독 명령을 송신한다. 그 판독 명령을 수신하는 스캐너부(2)는, 세트된 원고를 광학 스캔하여, 그 스캔된 데이터를 디지털 화상 데이터로 변환한다. 이 디지털 화상 데이터는, 디바이스 콘트롤러(229)를 통해 화상처리 프로세서(227)에 입력된다. 화상처리 프로세서(227)는, CPU(221)를 통해 메모리(223)에 직접 메모리 액세스(DMA) 전송을 행하여, 디지털 화상 데이터를 메모리(223)에 일시적으로 보존한다. CPU201은 디지털 화상 데이터가 메모리(223)에 일정량 또는 모두 입력된 것을 확인하면, CPU201은, CPU221을 통해 프린터부(4)에 화상출력 명령을 송신한다. CPU(221)는, 화상처리 프로세서(227)에 메모리(223)의 디지털 화상 데이터의 위치를 통지한다. 메모리(223)에 있는 디지털 화상 데이터는, 프린터부(4)로부터의 동기신호에 따라, 화상처리 프로세서(227) 및 디바이스 콘트롤러(228)를 거쳐, 프린터부(4)에 송신된다. 디지털 화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프린터부(4)는, 용지에 해당 디지털 화상 데이터에 의거하여 화상을 인쇄한다. 복수의 인쇄를 행하는 경우, CPU(201)는 메모리(223)의 디지털 화상 데이터를 하드 디스크(6)에 기억해두고, 하드 디스크(6)에 기억된 디지털 화상 데이터를 프린터부(4)에 송신하여, 2번째 이후의 인쇄를 행한다.
[슬리프 상태에서의 본체 콘트롤러의 전력상태]
도 3은, 화상형성장치(1)의 슬리프상태에서의 본체 콘트롤러(3)의 전력상태를 나타낸 블록도다. 도 3의 음영 블록에 전력공급은, 후술하는 슬리프상태에서 정지된다. 화상형성장치(1)의 전력상태는, 카피 기능과 SEND기능을 즉시 실행가능한 IDLE상태, 해당 IDLE상태보다 소비전력이 적은 슬리프상태, 및 화상형성장치(1)의 각 블록에의 전력공급이 차단된 오프 상태(전력 절약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를 취한다. 화상형성장치(1)의 전력상태는, 상기 IDLE상태, 슬리프상태 및 오프 상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IDLE상태"란, 화상형성장치(1)의 각 부에 전력이 공급되는 상태이며, 상기 각종의 기능(카피 기능, SEND기능, BOX기능, 및 프린트 기능등)을 즉시 실행 가능하다.
"슬리프상태"란, IDLE상태에 있어서의 화상형성장치(1)가 소비 전력보다 적은 소비 전력으로 동작하는 상태다. 슬리프상태로부터 IDLE상태에 이행하는데 필요한 화상형성장치(1)의 기동 시간은, 오프 상태로부터 IDLE상태에 이행하는데 필요한 화상형성장치(1)의 기동 시간보다 짧다. 화상형성장치(1)가 IDLE상태에서, PC(9)로부터 인쇄 데이터를 일정시간 수신하지 않은 경우, 또는 유저가 조작부(5)를 일정시간 조작하지 않은 경우에, 화상형성장치(1)는 IDLE상태로부터 슬리프상태로 이행한다. 화상형성장치(1)가 슬리프상태에 이행하는 조건은, 상기 조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조작부(5)에 설치된 슬리프 이행 키를 유저가 조작 함으로써, 화상형성장치(1)는 IDLE상태로부터 슬리프상태에 이행해도 된다.
도 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화상형성장치(1)가 슬리프상태에 있는 경우, 본체 콘트롤러(3)의 필요한 장소에만 전력이 공급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슬리프상태에 있어서, 본체 콘트롤러(3)의 메인 보드(200)의 메모리(203), USB콘트롤러(208), 네트워크 콘트롤러(211), 및 인터럽트 콘트롤러(210)에 전력이 공급된다. 또한, 슬리프상태에 있어서, 조작부(5) 및 FAX부(7)에 전력이 공급된다. 또한, RTC(212)는, 교류(AC)전원(304)과는 다른 전원인 전지에 의해 백업된다.
인터럽트 콘트롤러(210)는, 슬리프상태에서, 네트워크로부터의 착신에 의한 네트워크 콘트롤러(211)로부터의 인터럽트, RTC(212)의 타임아웃에 의한 RTC로부터의 인터럽트, 팩시밀리의 수신에 의한 FAX부(7)로부터의 인터럽트, 조작부(5)의 키 조작에 의한 조작부(5)로부터의 인터럽트, 및 USB디바이스의 착탈이나 통신에 의한 USB콘트롤러(208)로부터의 인터럽트를 수신한다. 이 인터럽트 콘트롤러(210)는, 상기 인터럽트를 수신하면, 후술하는 전원부(500)에 CPU(201)의 기동을 요구한다. 전원부(500)로부터 전력이 공급된 CPU(201)는, 소프트웨어의 상태를 IDLE상태로 되돌리는 처리를 행한다.
[화상형성 시스템의 전원구성]
도 4는, 화상형성 시스템(100)의 전원구성을 나타낸 블록도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화상형성 시스템(100)의 전원구성에 관하여 설명한다.
화상형성장치(1)의 전원부(500)는, AC전원(304)으로부터 공급된 AC전원을 직류(DC)전원으로 변환한다. 이 전원부(500)의 상세한 구성은, 후술한다. 전원부(500)는, 스캐너부(2), 본체 콘트롤러(3), 프린터부(4), 및 유저의 조작에 따라 온 상태/오프 상태가 되는 기계적 시소(seesaw) 스위치(301)를 오프 상태로 하는 솔레노이드(311)에 DC전원을 공급한다. 시소 스위치(301)는, 토글(toggle) 스위치이며, 온 상태 또는 오프 상태의 어느 한쪽의 상태를 기계적으로 유지가능하다. 전원부(500)는, 솔레노이드(311)에 전력을 공급하여, 솔레노이드(311)를 구동한다. 이에 따라, 시소 스위치(301)는, 솔레노이드(311)에 의해 당겨져 시소 스위치(301)를 오프 상태로 한다. 이에 따라 화상형성장치(1)가 오프 상태가 된다.
상기 프린터부(4)의 프린터 콘트롤러(750)는, 도면에 나타나 있지 않은 CPU, 메모리, 불휘발 메모리등의 일반적인 CPU시스템이다.
피니셔장치(700)의 전원부(720)는, 화상형성장치(1)의 AC전원 304와는 다른 AC전원 740으로부터 공급된 AC전원을 DC전원으로 변환한다. 전원부(720)는, 유저의 조작에 따라 온 상태/오프 상태가 되는 기계적 시소 스위치(730)를 오프 상태로 하는 솔레노이드(731), 및 피니셔 콘트롤러(710)에 DC전원을 공급한다. 시소 스위치(730)는, 토글형 스위치이며, 온 상태 또는 오프 상태의 어느 한쪽의 상태를 기계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전원부(720)는, 피니셔장치(700)를 오프 상태로 할 때, 상기 솔레노이드(731)에 전력을 공급하여, 솔레노이드(731)를 구동한다. 이에 따라, 시소 스위치(730)는, 솔레노이드(731)에 의해 당겨져, 시소 스위치(730)를 오프 상태로 한다. 이에 따라 피니셔장치(700)가 오프 상태가 된다. 상기 피니셔 콘트롤러(710)는, 도면에 나타나 있지 않은 CPU, 메모리 및 불휘발 메모리등의 일반적인 CPU시스템이다. 화상형성장치(1)와 피니셔장치(700)의 통신은, 프린터 콘트롤러(750)와 피니셔 콘트롤러(710)를 거쳐 행해진다.
[화상형성장치의 전원의 상세한 구성]
도 5는, 화상형성장치(1)의 전원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화상형성장치(1)의 전원의 상세한 구성에 관해서 설명한다.
화상형성장치(1)는, AC전원(304)의 AC전원을 DC전원으로 변환하고, 해당 DC전원을 각 부에 공급하는 전원부(500)를 구비하고 있다. 전원부(500)는, 전원케이블(309)을 통해 솔레노이드(311)에 접속되어 있다. 전원부(500)는, 전원케이블(309)을 통해 솔레노이드(311)에 전력을 공급하여 해당 솔레노이드(311)를 구동한다. 솔레노이드(311)에 전력이 공급되면, 솔레노이드(311)가 구동하고, 시소 스위치(301)가 오프 상태가 된다.
전원부(500)는, 전원케이블(310)을 통해 스캐너부(2)에 전력을 공급한다. 전원부(500)는, 전원케이블(305)을 통해 프린터부(4)에 전력을 공급한다. 전원부(500)는, 전원케이블(306)을 통해 본체 콘트롤러(3)에 전력을 공급한다.
시소 스위치(301)와 인터럽트 콘트롤러(210)와의 사이에는, 시소 스위치(301)의 상태(온 상태 또는 오프 상태)를 인터럽트 콘트롤러(210)에 통지하기 위한 라인(307)이 설치된다. CPU(201)와 전원부(500)의 사이에는, CPU(201)에 포함된 범용 입/출력(GPIO)으로부터 전원 리모트 신호가 송신되는 신호 선(308)이 설치된다. 이 전원 리모트 신호는, 전원부(500)의 출력을 소프트 제어하는데 사용된다. CPU(201)에의 전력공급이 정지되는 상태이어도, 인터럽트 콘트롤러(210)로부터 송신된 시소 스위치(301)의 상태는, 상기 GPIO를 거쳐서 전원부(500)에 통지가능하다.
유저는, 시소 스위치(301)를 조작하여서 화상형성장치(1)를 오프 상태로 할 수 있다. 유저가 시소 스위치(301)를 조작하여 화상형성장치(1)를 오프 상태로 할 때, 해당 시소 스위치(301)의 상태가, 인터럽트 콘트롤러(210)로부터 CPU(201)의 GPIO를 거쳐서 전원부(500)에 통지된다. 이 시점에서, CPU(201)에의 전력공급이 정지되어 있는 경우, 전원부(500)는 CPU(201)에 전력을 공급한다. 전력공급된 CPU(201)에 의해, 종료 처리(제1 이행 처리)가 실행된다. 이 종료 처리가 완료하면, 신호 선(308)을 통해 전원부(500)에 전원 리모트 신호가 송신된다. 이에 따라, 해당 전원 리모트 신호를 수신한 전원부(500)가, 본체 콘트롤러(3)에의 전력공급을 정지한다. 이에 따라 화상형성장치(1)가 오프 상태가 된다. 후술하는 셧다운 기능은, 유저에 의한 시소 스위치(301)의 조작 없이, 해당 화상형성장치(1)를 오프 상태로 할 수 있다. 셧다운 기능을 실행하는 요인이 발생하면, CPU(201)는, 화상형성장치(1)의 종료 처리를 실행한다. 이 종료 처리가 완료하면, CPU(201)는, 신호 선(308)을 통해 전원부(500)에 전원 리모트 신호를 송신한다. 전원 리모트 신호를 수신한 전원부(500)는, 본체 콘트롤러(3)에의 전력공급을 정지한다. 또한, 전원 리모트 신호를 수신한 전원부(500)는, 전원케이블(309)을 통하여, 솔레노이드(311)에 전력을 공급한다. 그 결과, 그 솔레노이드가 구동해서 시소 스위치(301)가 오프 상태가 된다.
[셧다운 기능]
이하, 본 예시적 실시예의 화상형성 시스템(100)으로 실행된 셧다운 기능에 관하여 설명한다.
이 화상형성 시스템(100)은, 오토 셧다운 기능, 위클리 셧다운 기능, 및 리모트 셧다운 기능을 실행한다.
오토 셧다운 기능은, 화상형성 시스템(100)이 소정시간 계속해서 조작되지 않은 경우(이행 요인)에, 종료 처리(제1 이행 처리)를 실행한다. CPU(201)는, 화상형성 시스템(100)의 동작이 종료할 때에, RTC(212)에 셧다운 이행 시간(예를 들면, 3시간)을 설정한다. 해당 셧다운 이행 시간이 RTC(212)에 의해 계시되면, 종료 처리를 실행한다.
위클리 셧다운 기능은, 미리 설정한 지정 시간이 되었을 때에, 종료 처리(제1 이행 처리)를 실행한다. CPU(201)는, RTC(212)에 위클리 셧다운 시간(예를 들면, 월요일 17:00, 화요일 17:00, 수요일 17:00, 목요일 17:00, 금요일 17:00)을 설정한다. 해당 RTC(212)에서 계시된 시간이 위클리 셧다운 시간이 되면, CPU(201)는 종료 처리를 실행한다.
리모트 셧다운 기능은, PC(9)등의 외부장치가 단순 망관리 프로토콜(SNMP)의 관리정보 베이스(MIB)나, 독자 프로토콜에 의해 통지를 행할 때에, 종료 처리(제1 이행 처리)를 실행한다.
상기 종료 처리가 완료되면, 전원부(500)는, 전원케이블(309)을 통해 솔레노이드(311)에 전력을 공급한다. 이에 따라, 솔레노이드(311)가 구동해서 시소 스위치(301)가 당겨져, 시소 스위치(301)가 오프 상태가 된다. 본 예시적 실시예에서는, 화상형성장치(1)가 종료 처리를 실행하기 전에, CPU(201)는, 프린터 콘트롤러(750)를 통하여, 피니셔 콘트롤러(710)에 종료 처리를 통지한다. 화상형성장치(1)로부터 피니셔장치(700)에 통지된 종료 처리는, 피니셔 콘트롤러(710)를 통하여, 전원부(720)에 통지된다. 그 통지를 수신한 전원부(720)는, 피니셔장치(700)의 솔레노이드(731)에 전력을 공급한다. 이에 따라, 솔레노이드(731)가 구동해서 시소 스위치(730)가 당겨져서, 시소 스위치(730)가 오프 상태가 된다.
[전원부(500)]
도 6은, 화상형성장치(1)의 전원부(500) 및 전원부(500)의 주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화상형성장치(1)의 전원부(500) 및 그 주변의 구성에 관하여 설명한다.
화상형성장치(1)는, AC전원(304)에 접속되고, 그 AC전원(304)과 본체 콘트롤러(3)의 사이에는, 시소 스위치(301)가 접속되어 있다. AC전원(304)에는, 전원부(500)가 접속되어 있다. AC전원(304)에는, 전원부(500)를 통하여, 본체 콘트롤러(3), 프린터부(4) 및 스캐너부(2)가 접속되어 있다. 이 전원부(500)는, 전원제어부(501), 제1전원공급부(502), 제2전원공급부(503), 제3전원공급부(504), 릴레이(505, 506) 및 전계효과 트랜지스터(FET)(507)를 구비한다. AC전원(304)과 본체 콘트롤러(3)의 사이에 설치된 제1전원공급부(502)는, AC전원(304)에서 공급된 AC전원을 DC전원으로 변환하여, 본체 콘트롤러(3)에 공급한다. 제1전원공급부(502)와 본체 콘트롤러(3)의 사이에는, FET(507)가 설치된다. 이 FET(507)의 온 및 오프는, 상기 전원제어부(501)에 의해 제어된다. AC전원(304)과, 프린터부(4)의 사이에는, 제2전원공급부(503)와 릴레이(505)가 설치된다. AC전원(304)과 스캐너부(2)의 사이에는, 제3전원공급부(504)와 릴레이(506)가 설치된다. 제2전원공급부(503)는, AC전원(304)에서 공급된 AC전원을 DC전원으로 변환하여, 프린터부(4)에 공급한다. 제3전원공급부(504)는, AC전원(304)에서 공급된 AC전원을 DC전원으로 변환하여, 스캐너부(2)에 공급한다. 전원제어부(501)는, 전원부(500) 주변의 디바이스들의 각 종의 전력제어를 행한다. 상기 릴레이(505, 506)의 온 및 오프는, 상기 전원제어부(501)에 의해 제어된다. 전원제어부(501)는, 프린터부(4)를 사용할 때만 릴레이(505)를 온 해서 프린터부(4)에 전력을 공급한다. 그 이외일 때에는, 전원제어부(501)는, 릴레이(505)를 오프해서 프린터부(4)에의 전력공급을 정지한다. 전원제어부(501)는, 스캐너부(2)를 사용할 때만 릴레이(506)를 온 해서 스캐너부(2)에 전력을 공급한다. 그 이외일 때에는, 전원제어부(501)는, 릴레이(506)를 오프해서 스캐너부(2)에의 전력공급을 정지한다. 이 전원제어부(501)는, 제1전원공급부(502)에 의해 시소 스위치(301)의 솔레노이드(311)에 전력을 공급시킨다. 이에 따라 솔레노이드(311)에 의해 시소 스위치(301)를 당겨서, 시소 스위치(301)가 오프 상태가 된다. 전원제어부(501)는, 본체 콘트롤러(3)의 (도면에 나타나 있지 않은) 스위치류를 제어하여, 본체 콘트롤러(3)의 전력상태를 제어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IDLE상태에서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전원제어부(501)는, 본체 콘트롤러(3)의 전력상태가 도 3에 도시된 상태가 되도록, (도면에 나타나 있지 않은) 스위치류를 제어한다.
[화상형성 시스템의 전력제어]
도 7은, 화상형성장치(1)의 각 상태에 있어서, 본체 콘트롤러(3), 스캐너부(2) 및 프린터부(4)의 전력상태를 나타낸다. 도 7에 있어서, 가로축은 시간이다. 도 7의 블록내의 문자는, 이하에 설명된 상태(1)∼(9)에 각각 대응한다. 이하에 도 7을 참조하여, 화상형성장치(1)의 전력제어에 관하여 설명한다.
(1) 화상형성장치(1)의 상태: 오프 상태
화상형성장치(1)가 오프 상태일 경우, 본체 콘트롤러(3), 스캐너부(2) 및 프린터부(4)의 전력이 차단되어 있다.
(2) 화상형성장치(1)의 상태: 기동 처리
화상형성장치(1)의 시소 스위치(301)가 유저의 조작에 의해 온 상태가 되면, 화상형성장치(1)가 기동한다. 이하에, 본체 콘트롤러(3)에 의한 기동 처리에 관하여 설명한다. 시소 스위치(301)의 상태가 인터럽트 콘트롤러(210)에 의해 검지되면, 해당 인터럽트 콘트롤러(210)는, CPU(201)의 GIPO를 거쳐서, 시소 스위치(301)가 온 상태로 된 것을 전원부(500)에 통지한다. 전원부(500)는, 본체 콘트롤러(3)에 전력을 공급한다. 전력이 공급된 CPU(201)는, 하드웨어 디바이스를 초기화한다. 하드웨어 디바이스의 초기화는, 레지스터 초기화, 인터럽트 초기화, 커널 기동시의 디바이스 드라이버의 등록, 및 조작부(5)의 초기화를 말한다. 다음에, CPU(201)는, 소프트웨어를 초기화한다. 소프트웨어 초기화는, 각 라이브러리의 초기화 루틴의 호출, 프로세스와 쓰레드(thread)의 기동, 프린터부(4)와 스캐너부(2)와의 통신을 행하는 소프트웨어 서비스의 기동, 및 조작부(5)의 묘화를 말한다. 이 기동 처리의 과정에서, 프린터부(4)와 스캐너부(2)에는, 일시적으로 전력이 공급된다. 상기 초기화가 완료하면, 화상형성장치(1)는, IDLE상태가 된다.
본체 콘트롤러(3)는, 상기 기동 처리에서 피니셔장치(700)의 구성을 확립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체 콘트롤러(3)는, 기동 처리에서 일시적으로 전력이 공급된 프린터부(4)를 통하여, 피니셔장치(700)와 협상하여서, 해당 피니셔장치(700)의 디바이스 구성을 확립한다.
(3) 화상형성장치(1)의 상태: IDLE상태
상기 기동 처리가 완료하면, 화상형성장치(1)는, IDLE상태가 된다. 이 IDLE상태에서, 프린터부(4) 및 스캐너부(2)에의 전력공급이 정지되어 있지만, 본체 콘트롤러(3)에는 전력이 공급된다(도 2 참조).
(4) 화상형성장치(1)의 상태: 슬리프상태
화상형성장치(1)가 IDLE상태에 있으면서 일정시간 경과하면, 화상형성장치(1)는, 슬리프상태가 된다. 화상형성장치(1)가 IDLE상태에 있으면서 일정시간 경과하면, CPU(201)는, 전원부(500)에, 화상형성장치(1)가 슬리프상태가 되는 것을 통지한다. 통지받은 전원부(500)는, 본체 콘트롤러(3)의 일부에의 전력공급을 차단하고, 본체 콘트롤러(3)의 전력상태를 도 2로부터 도 3으로 변화시킨다.
(5) 화상형성장치(1)의 상태: 프린트 상태
이하, 화상형성장치(1)가 슬리프상태로부터 복귀할 때의 복귀 처리에 관하여 설명한다. CPU(201)가 슬리프상태에서, 그 슬리프상태로부터의 복귀 요인인 PDL의 인쇄 잡을 네트워크를 거쳐서 수신하면, CPU(201)는, 전원부(500)에 인쇄 잡의 수신을 통지한다. 그 통지받은 전원부(500)는, 각각 전원케이블(306 및 305)을 통하여, 본체 콘트롤러(3) 및 프린터부(4)에 전력을 공급한다. 전력이 공급된 프린터부(4)는, 네트워크를 거쳐서 수신한 인쇄 잡을 실행한다.
(6) 화상형성장치(1)의 상태: 카피 상태
상기 인쇄 잡의 실행중에, 유저에 의한 조작부(5)의 조작에 의해, 카피 잡이 생성되었을 경우에 대해서 검토한다. 카피 잡이 생성되면, CPU(201)는, 전원부(500)에, 카피 잡이 생성된 것을 통지한다. 그 통지받은 전원부(500)는, 각각 전원케이블 306, 305 및 310을 통하여, 본체 콘트롤러(3), 프린터부(4) 및 스캐너부(2)에 전력을 공급한다. 전력이 공급된 스캐너부(2)는, 세트된 원고를 판독해서 화상 데이터를 생성함과 아울러, 프린터부(4)는, 해당 화상 데이터에 의거하여 용지에 화상을 인쇄한다.
(7) 화상형성장치(1)의 상태: 슬리프상태
상기 카피 잡의 실행후, 일정시간 경과하면, 화상형성장치(1)는, 슬리프상태가 된다. 화상형성장치(1)가 슬리프상태가 되면, CPU(201)는, 전원부(500)에, 화상형성장치(1)가 슬리프상태가 되는 것을 통지한다. 그 통지받은 전원부(500)는, 본체 콘트롤러(3)의 일부에의 전력공급을 정지하고, 본체 콘트롤러(3)의 전력상태를 도 2로부터 도 3으로 변화시킨다.
(8) 화상형성장치(1)의 상태: 종료 처리(제1 이행 처리)
화상형성장치(1)가 슬리프상태에 있으면서 소정시간 경과하면, 화상형성장치(1)는, 슬리프상태로부터 오프 상태에 이행한다. 이 단계에서, 화상형성장치(1)는 종료 처리를 실행한다. 이 종료 처리에 대해서 후술한다.
(9) 화상형성장치(1)의 상태: 오프 상태
상기 종료 처리가 실행되면, 화상형성장치(1)는, 오프 상태가 된다. 이 오프 상태에서는, 전원부(500)는, 프린터부(4), 스캐너부(2) 및 본체 콘트롤러(3)에의 전력공급을 정지한다.
[화상형성장치의 종료 처리]
도 8은, 화상형성장치(1)에서 실행된 종료 처리(제1 이행 처리)의 흐름도다. 도 7을 참조하여, 상기 종료 처리(8)에 대해서 설명한다.
종료 처리를 행하기 전의 슬리프상태에서는, 도 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프린터부(4)에의 전력공급이 정지되어 있으므로, 화상형성장치(1)는, 피니셔장치(700)에 해당 종료 처리의 실행을 통지할 수 없다. 따라서, 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에서는, 화상형성장치(1)가 피니셔장치(700)에 종료 처리의 실행을 통지하도록 일단 프린터부(4)에 전력이 공급된다. 이하, 그 종료 처리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8에 나타낸 흐름도는, 상기 셧다운 기능이 실행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시소 스위치(301)가 유저의 조작에 의해 오프 상태로 되었을 경우에, CPU(201)에 의해, 실행된다. 슬리프상태가 그대로이면서 소정시간 경과하면, 이하의 처리가 실행된다. 그렇지만, 슬리프상태에서는, CPU(201)에의 전력공급이 정지되고 있다. 이 때문에, 본 예시적 실시예에서는, 이하의 처리를 실행하기 전에, 제1전원공급부(502)로부터 CPU(201)에 전력을 공급한다. 그 전력이 공급된 CPU(201)는 이하의 처리를 실행한다.
단계S101에서, CPU(201)는, 조작부(5)의 화면에 화상형성 시스템(100)의 종료 처리가 실행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표시시키도록 조작부(5)를 제어한다. 시소 스위치(301)의 조작이나 상기 리모트 셧다운 기능에 의해 실행된 종료 처리와는 다르게 상기 위클리 셧다운 기능이나 상기 오토 셧다운 기능에 의해 실행된 종료 처리의 경우에는, 상기 표시는 필수적이지 않다. 이것은, 화상형성 시스템(100)이, 조작부(5)의 화면이 표시되지 않고 있는 슬리프상태로부터 종료 처리를 실행하기 때문이다.
단계S102에서, CPU(201)는, CPU(201)로부터 피니셔장치(700)까지의 경로 디바이스에 전력이 공급되어 있는 것인가 아닌가를 확인한다. CPU(201)가 상기 경로 디바이스의 전원이 오프 상태라고 판단했을 경우(단계S102에서 YES), 단계S103에서, CPU(201)는 신호 선(308)을 통하여, 전원부(500)에, 경로 디바이스에의 전원 온을 지시한다. 경로 디바이스는, 프린터부(4)(프린터 콘트롤러750), 서브 보드(220)(디바이스 콘트롤러228, 이미지 프로세서227, CPU221, 버스 콘트롤러224), 및 메인 보드(200)의 버스 콘트롤러(204)의 칩들이다.
본 예시적 실시예에서는, 프린트 기능을 사용하지 않을 때 프린터부(4)에의 전력공급을 정지한다. 프린트 기능을 사용하지 않고 있는 경우, CPU(201)는, 신호 선(308)을 통하여, 전원부(500)에 프린터부(4)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지시한다. 서브 보드(220)의 전력을 유연하게 제어하기 위해서, 경로 디바이스로서 프린터부(4) 및 서브 보드(220)에의 전력공급이 정지될 경우, CPU(201)는, 신호 선(308)을 통하여, 전원부(500)에 프린터부(4)와 서브 보드(220)에의 전력을 공급하도록 지시한다. 서브 보드(220)에의 전력공급의 정지에 따라 버스 콘트롤러(204)에의 전력공급이 정지될 경우, CPU(201)는, 신호 선(308)을 통하여, 전원부(500)에 프린터부(4), 서브 보드(220) 및 버스 콘트롤러(204)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지시한다.
상기 경로 디바이스는, 기기마다 다르다. 즉, 상기 경로 디바이스와는 다른 디바이스가 경로 디바이스가 될 수 있다. 본 예시적 실시예에서는, CPU(201)와 피니셔장치(700) 사이의 경로 디바이스의 예들로서, 프린터부(4), 서브 보드(220)(디바이스 콘트롤러228, 이미지 프로세서227, CPU221, 버스 콘트롤러224), 및 버스 콘트롤러(204)를 예시했다. 그렇지만, 본 발명의 경로 디바이스는, 상기 경로 디바이스에 한정되지 않는다. 피니셔장치(700)와 화상형성장치(1)의 사이에 별도의 피니셔장치가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별도의 피니셔장치가 경로 디바이스가 될 수 있다.
단계S103에서, 경로 디바이스에 전력을 공급한다. 단계S104에서, 전력이 공급된 경로 디바이스를 거쳐서, CPU(201)는, 피니셔장치(700)의 피니셔 콘트롤러(710)에 종료 처리를 통지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CPU(201)는, 메인 보드(200)의 버스 콘트롤러(204), 서브 보드(220)의 버스 콘트롤러(224), 서브 보드(220)의 CPU(221), 화상처리 프로세서(227), 디바이스 콘트롤러(228), 및 프린터부(4)의 프린터 콘트롤러(750)를 통하여, 피니셔 콘트롤러(710)에 종료 처리를 통지한다. 피니셔 콘트롤러(710)는, 이 종료 처리의 수신에 따라 피니셔장치(700)의 종료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단계S106에서, CPU(201)는, 피니셔장치(700)로부터 종료 처리의 통지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였는가 아닌가를 판단한다. CPU(201)가 그 응답을 수신했다고 판단했을 경우에는(단계S106에서 YES), 단계S107에서, CPU(201)는, 신호 선(308)을 통하여, 전원부(500)에 경로 디바이스에의 전력공급을 정지하도록 지시한다. 해당 지시를 수신한 전원부(500)는, 경로 디바이스에의 전력공급을 정지한다. 단계S108에서, CPU(201)는, 경로 디바이스의 종료 처리가 완료한 것인가 아닌가를 확인한다. CPU(201)는, 항상, (단계S107에서) 경로 디바이스에의 전력 공급을 정지하고, (단계S108에서) 경로 디바이스의 종료 처리가 완료한 것인가 아닌가를 확인한 후, (후술하는 단계S109에서) 화상형성장치(1)의 종료 처리를 행할 필요가 없다. CPU(201)는, 경로 디바이스에의 전력공급의 정지(단계S107) 및 경로 디바이스의 종료 처리가 완료한 것인가 아닌가의 확인(단계S108)을, 화상형성장치(1)의 종료 처리(후술하는 단계S109)나 시소 스위치(301)의 오프 조작(후술하는 단계S110)과 같은 타이밍에서 실행해도 된다.
단계S109에서는, 화상형성장치(1)가 종료 처리를 실행한다. 이 화상형성장치(1)는, 수개의 종료 처리단계들을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CPU(201)는, 화상형성장치(1)를 제어하는 프로세스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의 종료 처리를 행한다. CPU(201)는, 메모리(203)상에 캐쉬된 스토리지 버퍼를, 하드 디스크(6)나 플래시 디스크(207)등의 스토리지에 동기시키는 처리를 행한다. 한층 더, CPU(201)는, 상기 OS를 셧다운하는 처리를 행한다. 상기 종료 처리를 실행한 CPU(201)는, 전원부(500)에, 시소 스위치(301)의 솔레노이드(311)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지시한다. 이에 따라, 단계S110에서, 전원부(500)로부터 솔레노이드(311)에 전력이 공급되어서 시소 스위치(301)가 오프 상태가 된다. 끝으로, 전원제어부(501)가 FET(507)를 오프로 하여, 본체 콘트롤러(3)에의 전력의 공급이 정지되어서, 화상형성장치(1)가 오프 상태가 된다.
본 예시적 실시예에서는, 오토 셧다운 기능, 위클리 셧다운 기능 및 리모트 셧다운 기능에 의해, 종료 처리를 실행하고, 시소 스위치(301)를 오프 상태로 한다. 그 결과, 화상형성장치(1)가 오프 상태(전력 절약상태)가 된다. 그렇지만, 본 예시적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전력 절약상태는, 상기 오프 상태뿐만아니라, 서스펜션(suspension) 상태 또는 하이버네이션(hibernation)상태이어도 된다. 서스펜션 상태란, 시소 스위치(301)가 오프 상태에서도 CPU(201)가 관리하는 GPIO(복합 프로그래머블 논리소자(CPLD))와 메모리(203)의 일부에 전력을 공급하고, 다음번의 기동의 고속화를 꾀하는 방법의 하나다. 그 GPIO(CPLD)는, 다음번 기동에서 특수한 오프 상태를 판별하기 위한 플래그로서 사용된다. 하이버네이션 상태란, 시소 스위치(301)가 오프 상태가 되어 있는 상태이며, 화상형성 시스템(100)의 전원을 차단하기 직전이라고 가정한 상태로 복귀가능한 상태다. 화상형성 시스템(100)의 전원을 차단하기 전의 상태가, 하드 디스크(6)에 기억된다. 시소 스위치(301)가 온 상태로 되었을 때에, 하드 디스크(6)에 기억된 상태에 의거하여 화상형성 시스템(100)을, 전원을 차단하기 직전의 상태로 한다.
[피니셔장치의 종료 처리]
도 9는, 피니셔장치(700)로 실행된 종료 처리(제2 이행 처리)의 흐름도다. 이하, 도 9를 참조하여, 피니셔장치(700)로 실행된 종료 처리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계S201에서, 피니셔 콘트롤러(710)는, 화상형성장치(1)의 본체 콘트롤러(3)로부터 종료 통지(이행 통지)를 수신한 것인가 아닌가를 판단한다. 이 종료 통지는, 상술한 단계S104에 있어서, 화상형성장치(1)의 CPU(201)로부터 피니셔장치(700)의 피니셔 콘트롤러(710)에 보내진다. 피니셔 콘트롤러(710)는, 본체 콘트롤러(3)로부터 종료 통지를 수신했다고 판단하면(단계S201에서 YES), 단계S202에서, 전원부(720)에, 시소 스위치(730)의 솔레노이드(731)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지시한다. 이에 따라, 단계S203에서, 솔레노이드(731)가 구동하여, 시소 스위치(730)가 오프 상태가 된다. 단계S204에서, 피니셔 콘트롤러(710)는, 시소 스위치(730)로부터 인터럽트를 수신한 것인가 아닌가를 판단한다. 상기 인터럽트는, 시소 스위치(730)가 오프 상태가 되었을 때에 발행된다. 피니셔 콘트롤러(710)가 인터럽트를 수신하면(단계S204에서 YES), 단계S205에서, 피니셔 콘트롤러(710)는, 프린터 콘트롤러(750) 및 서브 보드(220)를 통하여, 메인 보드(200)에 상기 종료 처리에 대한 응답을 송신한다.
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피니셔장치(700)는, 도 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시소 스위치(730)가 오프 상태로 되는 경우도, 피니셔 콘트롤러(710)에의 전력공급이 바로 정지하지 않는다. 이것은, 시소 스위치(730)를 오프상태로 한 경우에도, 전원부(720)로부터 전력이 공급되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피니셔 콘트롤러(710)는, 화상형성장치(1)에 종료 통지에 대한 응답을 되돌릴 수 있다. 한편, 피니셔장치(700)의 시소 스위치(730)를 오프 상태로 하면, 피니셔장치(700)의 각 부에의 전력공급이 정지되는 경우도 있다. 이 경우, 피니셔 콘트롤러(710)에의 전력공급도 정지되어, 피니셔 콘트롤러(710)는, 화상형성장치(1)에 종료 통지에 대한 응답을 되돌릴 수 없다. 이에 따라서, 피니셔장치(700)의 각 부에의 전력공급이 정지되는 시스템에서는, 피니셔 콘트롤러(710)는, 종료 통지를 수신한 직후로부터 시소 스위치(730)가 오프 상태가 될 때까지의 기간에, CPU(201)에 종료 통지에 대한 응답을 되돌려도 된다.
[본 예시적 실시예의 효과]
본 예시적 실시예에서는, 화상형성 시스템(100)의 종료 처리를 행하는 경우에, 화상형성장치(1)의 CPU(201)와 피니셔장치(700)와의 사이의 경로 디바이스에 전력을 공급함으로써, CPU(201)로부터 피니셔장치(700)에 대하여 종료 처리를 통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피니셔장치(700)는, 종료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변형 예]
본 예시적 실시예에서는, 일례로서, 유저의 조작에 따라 온 상태 및 오프 상태가 유지되는 기계적 시소 스위치(301)를 사용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는 이 기계적 시소 스위치(301)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상기 시소 스위치(301) 대신에, 온 상태 및 오프 상태를 유지하지 않는 택트(tact) 스위치를 사용해도 된다. 이 택트 스위치를 사용하는 경우, 화상형성장치(1)는, 이하의 패턴으로 동작한다. 그러나, 이하의 패턴은 예시일뿐이다.
1. 화상형성장치(1)의 전원이 온인 상태에서는, 해당 택트 스위치가 눌려 화상형성장치(1)가 오프 상태 또는 슬리프상태로 된다.
2. 화상형성장치(1)의 전원이 온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해당 택트 스위치가 눌려 화상형성장치(1)가 온 상태로 된다.
3. 화상형성장치(1)의 전원이 온인 상태에서는, 해당 택트 스위치가 눌려 화상형성장치(1)가 강제적으로 오프 상태로 된다.
상기 본 예시적 실시예에서는, 프린터부(4) 및 스캐너부(2)의 전력제어로서, 전력공급의 제어에 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예시적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대신에, 프린터부(4) 및 스캐너부(2)에의 클록 공급을 제어해도 된다.
도 8의 흐름도를 1개의 CPU로 실행한 예에 관하여 설명했지만, 그 흐름도는 복수의 CPU에서 분산되어서 실행되어도 된다.
복수의 피니셔장치가 접속되었을 경우에, 프린터부(4)는, 화상형성장치(1)에 인접한 1대의 피니셔장치에 종료 통지를 송신한다. 그 프린터부(4)는, 화상형성장치(1)에 접속된 상기 복수의 피니셔장치의 모두로부터 해당 종료 통지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고나서, 메인 보드(200)에 종료 처리에 대한 응답을 송신한다.
상기 종료 통지에 대한 응답이 피니셔장치(700)로부터 수신할 수 없을 경우, 메인 보드(200)는, 소정시간 경과할 때까지, 프린터부(4)로부터의 응답을 기다린다. 상기 소정시간은, 예를 들면 50초이다. 종료 통지를 송신하고나서 50초간 피니셔장치(700)로부터 응답이 없는 경우, CPU(201)는, 종료 처리를 시작한다. 본 발명의 화상형성장치(1)의 소프트웨어가 멈추었을 때(hang up), 소정시간 경과한 후에, 전원차단 처리를 실행한다.
<기타 실시예>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기억매체(예를 들면,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매체)에 레코딩된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판독하고 실행하여 본 발명의 상술한 실시예(들)의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시스템 또는 장치를 갖는 컴퓨터에 의해 실현되고, 또 예를 들면 상기 기억매체로부터 상기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판독하고 실행하여 상기 실시예(들)의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여서 상기 시스템 또는 상기 장치를 갖는 상기 컴퓨터에 의해 행해진 방법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는, 중앙처리장치(CPU), 마이크로처리장치(MPU) 또는 기타 회로 중 하나 이상을 구비하여도 되고, 별개의 컴퓨터나 별개의 컴퓨터 프로세서의 네트워크를 구비하여도 된다. 상기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예를 들면 네트워크나 상기 기억매체로부터 상기 컴퓨터에 제공하여도 된다. 상기 기억매체는, 예를 들면, 하드 디스크, 랜덤액세스 메모리(RAM), 판독전용 메모리(ROM), 분산형 컴퓨팅 시스템의 스토리지, 광디스(콤팩트 디스크(CD),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VD) 또는 블루레이 디스크(BD)TM), 플래시 메모리 소자, 메모리 카드 등 중 하나 이상을 구비하여도 된다.
본 발명을 예시적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기재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개시된 예시적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 것이다. 아래의 청구항의 범위는, 모든 변형예와 동등한 구조 및 기능을 포함하도록 폭 넓게 해석해야 한다.

Claims (17)

  1. 후 처리장치와 통신가능한 화상형성장치로서,
    상기 화상형성장치를 전력 절약상태로 이행시키기 위한 이행 처리를 실행하는 실행부;
    상기 후 처리장치에의 전력공급 정지의 지시를 상기 후 처리장치에 통지하는 통지부; 및
    상기 실행부 및 상기 통지부에의 전력공급을 제어하는 전력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실행부가 상기 이행 처리를 실행하는 경우에, 상기 통지부에의 전력공급이 정지되어 있으면, 상기 전력제어부는, 상기 통지부에의 전력공급을 행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전력제어부에 의해 전력공급이 행해진 상기 통지부는 상기 후 처리장치에 상기 지시를 통지하는, 화상형성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부는, 수신한 화상 데이터에 의거하여 용지에 화상을 형성하고, 해당 화상이 형성된 용지를 상기 후 처리장치에 출력하는 화상형성부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부는, 입력된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화상처리를 행하고, 상기 화상형성부에 해당 화상처리가 행해진 화상 데이터를 송신하는 화상처리부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부에 전력이 공급되어 있는 것인가 아닌가를 판단하는 판단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실행부가 상기 이행 처리를 실행하는 경우에, 상기 판단부에 의해 상기 통지부에의 전력공급이 정지되어 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전력제어부는, 상기 통지부에의 전력공급을 행하게 제어하도록 구성된, 화상형성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전력상태를 기억하는 기억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판단부는, 상기 기억부에 기억된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전력상태에 의거하여 상기 통지부에 전력이 공급되어 있는 것인가 아닌가를 판단하는, 화상형성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부로부터 상기 후 처리장치에 송신된 통지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는 수신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실행부는, 상기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상기 응답에 따라 상기 이행 처리를 실행하는, 화상형성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유저의 조작에 의해 온 상태 또는 오프 상태로 전환가능한 스위치를 더 구비하고, 상기 실행부는, 상기 유저에 의해 상기 스위치가 상기 오프 상태로 전환되었을 경우에, 상기 이행 처리를 실행하는, 화상형성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상기 화상형성장치에의 전력공급이 가능한 온 상태, 및 상기 화상형성장치에의 전력공급이 불가능한 오프 상태를 유지가능한 토글 스위치인, 화상형성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부는,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소정시간 계속해서 조작되지 않았을 경우에, 상기 이행 처리를 실행하는, 화상형성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절약상태는, 상기 화상형성장치에의 전력공급이 차단된 오프 상태, 하이버네이션 상태, 또는 서스펜션 상태 중 어느 하나인, 화상형성장치.
  11. 후 처리장치와 통신가능한 화상형성장치의 제어 방법으로서,
    실행부에 의해 상기 화상형성장치를 전력 절약상태에 이행시키기 위한 이행 처리를 실행하는 단계;
    통지부에 의해 상기 후 처리장치에의 전력공급 정지의 지시를 상기 후 처리장치에 통지하는 단계; 및
    전력제어부에 의해 상기 실행부 및 상기 통지부에의 전력공급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실행하는 단계에서 상기 실행부에 의해 상기 이행 처리를 실행하는 경우에, 상기 통지부에의 전력공급이 정지되어 있으면, 상기 제어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전력제어부에 의해 상기 통지부에의 전력공급을 행하고, 상기 통지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전력제어부에 의해 전력공급이 행해진 상기 통지부에 의해 상기 후 처리장치에 상기 지시를 통지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제어 방법.
  12. 컴퓨터에게, 후 처리장치와 통신가능한 화상형성장치의 제어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억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매체로서, 상기 방법은,
    실행부에 의해 상기 화상형성장치를 전력 절약상태에 이행시키기 위한 이행 처리를 실행하는 단계;
    통지부에 의해 상기 후 처리장치에의 전력공급 정지의 지시를 상기 후 처리장치에 통지하는 단계; 및
    전력제어부에 의해 상기 실행부 및 상기 통지부에의 전력공급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실행하는 단계에서 상기 실행부에 의해 상기 이행 처리를 실행하는 경우에, 상기 통지부에의 전력공급이 정지되어 있으면, 상기 제어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전력제어부에 의해 상기 통지부에의 전력공급을 행하고, 상기 통지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전력제어부에 의해 전력공급이 행해진 상기 통지부에 의해 상기 후 처리장치에 상기 지시를 통지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
  13. 화상형성장치와, 상기 화상형성장치로부터 출력된 용지에 후처리를 행하는 후 처리장치를 구비한, 화상형성 시스템으로서,
    상기 화상형성장치를 전력 절약상태에 이행시키기 위한 제1 이행 처리를 실행하는 제1실행부;
    상기 후 처리장치를 전력 절약상태에 이행시키기 위한 제2 이행 처리를 실행하는 제2실행부 ;
    상기 후 처리장치를 상기 전력 절약상태에 이행시키는 지시를 상기 후 처리장치에 통지하는 통지부; 및
    상기 제1실행부 및 상기 통지부에의 전력공급을 제어하는 전력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실행부가 상기 제1 이행 처리를 실행하는 경우에, 상기 통지부에의 전력공급이 정지되어 있으면, 상기 전력제어부는, 상기 통지부에의 전력공급을 행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전력제어부에 의해 전력공급이 행해진 상기 통지부는, 상기 후 처리장치에 상기 지시를 통지하는, 화상형성 시스템.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부는, 수신한 화상 데이터에 의거하여 용지에 화상을 형성하고, 해당 화상이 형성된 용지를 상기 후 처리장치에 출력하는 화상형성부를 구비한, 화상형성 시스템.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후 처리장치는 상기 통지부로부터 상기 후 처리장치에 통지된 상기 지시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2실행부는, 상기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상기 지시에 따라, 상기 제2이행 처리를 실행하는, 화상형성 시스템.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장치는 제1 교류(AC)전원으로부터 전력이 공급되고, 상기 후 처리장치는 상기 제1 AC전원과는 다른 제2 AC전원으로부터 전력이 공급되고, 상기 제1실행부는 상기 제1이행 처리를 실행하여 상기 제1 AC전원으로부터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공급된 전원을 차단하고, 상기 제2실행부는 상기 제2이행 처리를 실행하여 상기 제2 AC전원으로부터 상기 후 처리장치에 공급된 전원을 차단하는, 화상형성 시스템.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후 처리장치는, 상기 화상형성장치로부터 받은 용지에 대하여, 배지, 소트, 스테이플, 펀치, 또는 재단을 행하는, 화상형성 시스템.
KR1020130072796A 2012-06-26 2013-06-25 화상형성장치, 화상형성장치의 제어 방법, 기록 매체, 및 화상형성 시스템 KR1016842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143140A JP5932518B2 (ja) 2012-06-26 2012-06-26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画像形成システム
JPJP-P-2012-143140 2012-06-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1137A KR20140001137A (ko) 2014-01-06
KR101684229B1 true KR101684229B1 (ko) 2016-12-08

Family

ID=487462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2796A KR101684229B1 (ko) 2012-06-26 2013-06-25 화상형성장치, 화상형성장치의 제어 방법, 기록 매체, 및 화상형성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654659B2 (ko)
EP (1) EP2680561B1 (ko)
JP (1) JP5932518B2 (ko)
KR (1) KR101684229B1 (ko)
CN (1) CN10351701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81275B2 (ja) 2014-05-07 2018-08-29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その制御方法とプログラム
JP6425490B2 (ja) * 2014-10-09 2018-11-21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647257B2 (ja) * 2017-09-06 2020-02-14 キヤノン株式会社 印刷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022602B2 (ja) * 2018-01-24 2022-02-1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282533B2 (ja) * 2019-01-24 2023-05-29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
JP2024007685A (ja) * 2022-07-06 2024-01-19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65209A (ja) * 2005-08-30 2007-03-15 Canon Inc 画像形成システムおよび節電制御方法
JP2007090527A (ja) 2005-09-26 2007-04-12 Fuji Xerox Co Ltd 後処理装置の節電制御方法、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JP2010113201A (ja) 2008-11-07 2010-05-20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画像形成システム及び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62421A (ja) 1991-12-16 1993-06-29 Nec Corp プリンタ
JPH08238822A (ja) 1995-03-07 1996-09-17 Toshiba Corp プリンタ装置の電源制御回路
JPH0990820A (ja) * 1995-09-22 1997-04-04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およびオプション機器
JP4409104B2 (ja) 2000-06-08 2010-02-03 株式会社リコー データ通信装置,画像形成装置管理システム,およびその給電制御方法
JP3503605B2 (ja) * 2001-03-26 2004-03-08 ミノルタ株式会社 印刷システム
JP4298256B2 (ja) * 2002-10-08 2009-07-1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4371840B2 (ja) * 2004-02-06 2009-11-25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6116742A (ja) * 2004-10-19 2006-05-11 Canon Inc 画像形成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4255476B2 (ja) 2006-02-03 2009-04-15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
JP2008162053A (ja) * 2006-12-27 2008-07-17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画像形成システム
JP2008176012A (ja) * 2007-01-18 2008-07-31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画像形成装置
JP5277197B2 (ja) * 2010-03-29 2013-08-28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8432571B2 (en) * 2010-08-23 2013-04-30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postprocessing apparatus, option apparatus, image forming system, and controller
JP2012078955A (ja) 2010-09-30 2012-04-19 Canon Inc 情報処理装置、その電源制御方法、及び電源制御プログラム
KR101755225B1 (ko) 2010-11-23 2017-07-07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전원제어방법
JP2012118228A (ja) * 2010-11-30 2012-06-21 Kyocera Document Solutions Inc 画像形成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65209A (ja) * 2005-08-30 2007-03-15 Canon Inc 画像形成システムおよび節電制御方法
JP2007090527A (ja) 2005-09-26 2007-04-12 Fuji Xerox Co Ltd 後処理装置の節電制御方法、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JP2010113201A (ja) 2008-11-07 2010-05-20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画像形成システム及び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517010B (zh) 2018-08-07
EP2680561B1 (en) 2019-11-13
US20130342863A1 (en) 2013-12-26
EP2680561A1 (en) 2014-01-01
US9654659B2 (en) 2017-05-16
JP2014004789A (ja) 2014-01-16
KR20140001137A (ko) 2014-01-06
CN103517010A (zh) 2014-01-15
JP5932518B2 (ja) 2016-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66752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that offers chance of eliminating hang-up state, control method therefor, and storage medium
KR101684229B1 (ko) 화상형성장치, 화상형성장치의 제어 방법, 기록 매체, 및 화상형성 시스템
US10484563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image forming apparatus
CN104486523B (zh) 能够控制电源的数据处理装置及其控制方法
CN102673125B (zh) 图像形成装置及图像形成装置的控制方法
US8934126B1 (en) Image processing controller for performing image processing in cooperation with image forming apparatus, image forming system including image processing controller, method of controlling image forming system, and storage medium
KR101496537B1 (ko) 화상 형성 장치,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저장 매체
US8938632B2 (en) Setting power saving modes based on ambient light and user set time periods
JP6253277B2 (ja) 画像形成装置
JP2013258474A (ja)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CN102883087A (zh) 信息处理设备及其启动控制方法
US9291983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program
US10732702B2 (en) Data processing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data processing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US9268290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image forming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CN110445946B (zh) 能够降低功耗的通信系统、图像形成设备及其控制方法
JP2014104654A (ja)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
US20240015256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image forming apparatus
JP5808136B2 (ja) 画像形成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70187902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that controls display of display unit, and control method therefor and storage medium
US20140341604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control method for image form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US20220404893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for, and storage medium
JP2015002434A (ja)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2009990A (ja) 画像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