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1827B1 - 보조 컨베이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보조 컨베이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1827B1
KR101681827B1 KR1020150060318A KR20150060318A KR101681827B1 KR 101681827 B1 KR101681827 B1 KR 101681827B1 KR 1020150060318 A KR1020150060318 A KR 1020150060318A KR 20150060318 A KR20150060318 A KR 20150060318A KR 101681827 B1 KR101681827 B1 KR 1016818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n gear
rail
main chain
conveyor system
suppor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03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29131A (ko
Inventor
임정규
Original Assignee
현대로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로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로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603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1827B1/ko
Publication of KR201601291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91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18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18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2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load-carriers suspended from overhead traction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5/00Mechanical convey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35/06Mechanical convey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prising a load-carrier moving along a path, e.g. a closed path, and adapted to be engaged by any one of a series of traction elements spaced along the path

Abstract

본 발명은 보조 컨베이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부품이 하나의 라인을 통해 이송 및 공급되는 메인 컨베이어 시스템의 내리막 경사구간 일 측으로 설치되어 메인 컨베이어의 정지 또는 속도를 증가시키지 않고 원활한 부품 이송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보조 컨베이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구성은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축에 결합 되어 연동하는 제 1 체인기어(Sprocket)와 상기 제 1 체인기어와 간격을 두고 일 측으로 형성되는 회전축에 결합 되는 제 2 체인기어와 상기 제 2 체인기어와 동일한 축에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메인 체인기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구동부와, 상기 메인 체인기어에 대향 하는 컨베이어 라인의 하부에 위치하고 메인 체인기어의 동작에 연동하여 회전동작하도록 메인 체인을 통해 연결되며 회전축의 중간 부분에 위치하는 종동 체인기어와 상기 종동 체인기어의 회전축을 양쪽에서 수용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 프레임과 상기 각 지지 프레임의 일 측을 지지하는 장력조절대와 상기 장력조절대를 수용지지하는 받침 브래킷과 상기 장력조절대에 끼워(삽입)져 탄성 지지력을 형성하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종동부와, 상기 구동부와 종동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메인 체인의 이동을 지지하고 처짐을 방지하는 상부 레일과 상기 상부 레일의 하부에 위치하여 행거 이송 카의 이동을 지지하여 처짐을 방지하는 하부 레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 레일과 하부 레일은 미끄럼틀 형태를 이루도록 일단 부분은 상부에 위치하고 타 단인 하단 부분은 하부에 위치하며 중간 부분은 경사구간을 이루는 레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보조 컨베이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메인체인에는 간격을 두고 복수 개의 푸셔 도그가 형성되고, 상기 푸셔 도그는 레일의 내리막 경사구간에서 낮은 속도에서도 여러 대의 행거를 동시에 이송 가능하도록 피치가 짧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보조 컨베이어 시스템{A conveyer system of assist}
본 발명은 보조 컨베이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부품이 하나의 라인을 통해 이송 및 공급되는 메인 컨베이어 시스템의 내리막 경사구간 일 측으로 설치되어 메인 컨베이어의 정지 또는 속도를 증가시키지 않고 원활한 부품 이송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보조 컨베이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 현장에서는 제품을 제조하기 위해 여러 부품의 이송 및 공급을 위한 운반설비인 컨베이어 시스템이 설치된다.
이와 같은 컨베이어 시스템은 제품의 제조라인을 따라 형성되는 레일과, 상기 레일에 설치된 가이드레일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 되는 행거 견인용 도그를 형성한 체인과, 상기 도그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 되어 부품을 적재 이송하는 행거와, 상기 체인의 구동을 위한 구동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부품이 적재된 행거를 레일을 따라 각 조립 파트로 이동 및 정지를 반복하면서 이송, 공급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컨베이어 시스템은 컨베이어 시스템 전체가 한 개의 라인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사이클 타임(cycle time : 건설 기계가 작업할 때 반복 작업으로 시공할 경우, 1공정에 요하는 시간)을 만족시키기 위해 내리막 경사구간에 연속적으로 행거(hanger)의 투입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작업 또는 이재 공정으로 부품을 운반하는 행거의 진입이 어렵거나 불가할 경우, 전체 라인이 정지되어 지속적인 작업을 이룰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내리막 경사구간에서 연속적으로 투입되는 행거의 원활한 이동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전,후 행거의 충돌로 인해 파손과, 과부하 등으로 인한 구동부를 구성하는 모터가 소손되거나, 체인이 파단 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컨베이어 시스템이 정지되거나 고장이 발생하게 되면 수리나 교체로 인해 부품의 연속적인 공정 스테이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제품의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메인 컨베이어 시스템을 구성하는 라인 중 내리막 경사구간에 보조 컨베이어 시스템을 형성하여 2개의 라인이 구성되도록 함과 동시에, 푸셔 도그(pusher dog)의 피치(pitch)를 짧게 형성하여 여러 대의 행거를 동시에 이송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내리막 경사구간에서 발생할 수 있는 행거 간의 충돌 등을 방지하여 컨베이어 라인의 운행정지를 예방하고 작업성 향상을 이루도록 하는 보조 컨베이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축에 결합 되어 연동하는 제 1 체인기어(Sprocket)와 상기 제 1 체인기어와 간격을 두고 일 측으로 형성되는 회전축에 결합 되는 제 2 체인기어와 상기 제 2 체인기어와 동일한 축에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메인 체인기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구동부와, 상기 메인 체인기어에 대향 하는 컨베이어 라인의 하부에 위치하고 메인 체인기어의 동작에 연동하여 회전동작하도록 메인 체인을 통해 연결되며 회전축의 중간 부분에 위치하는 종동 체인기어와 상기 종동 체인기어의 회전축을 양쪽에서 수용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 프레임과 상기 각 지지 프레임의 일 측을 지지하는 장력조절대와 상기 장력조절대를 수용지지하는 받침 브래킷과 상기 장력조절대에 끼워(삽입)져 탄성 지지력을 형성하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종동부와, 상기 구동부와 종동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메인 체인의 이동을 지지하고 처짐을 방지하는 상부 레일과 상기 상부 레일의 하부에 위치하여 행거 이송 카의 이동을 지지하여 처짐을 방지하는 하부 레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 레일과 하부 레일은 미끄럼틀 형태를 이루도록 일단 부분은 상부에 위치하고 타 단인 하단 부분은 하부에 위치하며 중간 부분은 경사구간을 이루는 레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보조 컨베이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메인체인에는 간격을 두고 복수 개의 푸셔 도그가 형성되고, 상기 푸셔 도그는 레일의 내리막 경사구간에서 낮은 속도에서도 여러 대의 행거를 동시에 이송 가능하도록 피치가 짧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체인기어와 제 2 체인기어의 사이 하부에는 보조체인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한 제 3 체인기어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메인 컨베이어 시스템의 라인 중, 내리막 경사구간에서 발생하는 트러블을 해소하여 행거의 원활한 이송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메인 컨베이어 시스템 라인이 정지되는 것을 예방하고 생산성 향상을 이루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내리막 경사구간에서 지속적으로 이송되는 행거 간의 충돌을 방지함과 동시에 충분한 완충(buffer)으로 전체 라인의 운전속도를 낮출 수 있어 컨베이어 동작시 발생하는 소음을 최소화하는 등의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보조 컨베이어 시스템이 메인 컨베이어 시스템 라인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조 컨베이어 시스템이 설치된 메인 컨베이어 시스템의 요부 정면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보조 컨베이어 시스템의 평면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정면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보조 컨베이어 시스템의 구동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보조 컨베이어 시스템의 종동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보조 컨베이어 시스템의 레일에 제품을 탑재한 행거가 진입하여 이동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의 A-A선 요부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보조 컨베이어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여기서, 하기의 모든 도면에서 동일한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하며, 아울러,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것은 고유의 통용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함을 명시한다.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보조 컨베이어 시스템(100)은 구동부(110)와 종동부(120) 및 레일(130)로 대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구동부(110)는 컨베이어 시스템 라인의 상부 측에 위치하고 전기에너지를 기계에너지로 바꾸어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111)와, 상기 모터(111)의 축에 결합 되어 연동하는 제 1 체인기어(Sprocket)(112)와, 상기 제 1 체인기어(112)와 간격을 두고 일 측으로 형성되는 회전축(113)에 결합 되는 제 2 체인기어(114)와, 상기 제 2 체인기어(114)와 동일한 축에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메인 체인기어(11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 1 체인기어(112)와 제 2 체인기어(114)는 보조 체인(116)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상기 모터(111)의 회전동작에 연동한다.
이때, 상기 제 1 체인기어(112)와 제 2 체인기어(114)의 회전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메인 체인기어(115) 또한 회전동작한다.
또, 상기 모터(111)는 상기 제 1 체인기어(112)와 제 2 체인기어(114)가 항상 상호 일정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모터(111)의 일 측 또는 양측에는 시계방향과 반 시계방향으로의 회전동작에 의해 전,후로 길이가 조절되어 모터(111)의 좌,우이동이 방지되도록 위치를 고정하는 스토퍼(stopper)(117)가 형성된다.
상기 모터(111)는 바닥 측에 고정을 위한 체결구멍(111a)이 사방으로 형성되고, 상기 모터(111)가 설치되는 지지프레임(118)은 상기 각 체결구멍(111a)에 대응되는 위치에 슬롯(slot )(118a)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체결구멍(111a)과 슬롯(118a)을 일치시킨 후, 볼트 및 너트와 같은 체결수단(10)을 삽입하여 상기 제 1 체인기어(112)와 제 2 체인기어(114)의 간격을 조절한 후 견고하게 고정한다.
이후, 상기 스토퍼(117)를 전,후 길이가 조절되도록 시계방향 또는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모터(111)의 좌,우이동이 방지되도록 견고하게 밀착 지지한다.
또한, 상기 제 1 체인기어(112)와 제 2 체인기어(114)의 사이 하부에는 상기 보조체인(116)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한 제 3 체인기어(119)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모터(111)의 장기간 동작시 진동으로 인해 상기 체결수단(10)의 고정상태가 풀려 발생하는 모터(111)의 위치 변경과 상기 제 1 체인기어(112)와 제 2 체인기어(114)의 상호 간격이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하여 구동력 저하 및 소음발생을 최소화하거나 예방할 수 있다.
또, 상기 회전축(113)은 원활한 회전동작을 이루도록 베어링(113a)에 의해 지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종동부(120)는 상기 메인 체인기어(115)에 대향 하는 하부에 위치하고, 메인 체인기어(115)의 동작에 연동하여 회전동작하도록 메인 체인(140)을 통해 연결되며 회전축(121)의 중간 부분에 위치하는 종동 체인기어(122)와, 상기 종동 체인기어(122)의 회전축(121)을 양쪽에서 수용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 프레임(123)과, 상기 각 지지 프레임(123)의 일 측을 지지하도록 외면에 수나사(124a)가 형성된 장력조절대(124)와, 상기 장력조절대(124)를 수용지지하는 받침 브래킷(125)과, 상기 장력조절대(124)에 끼워(삽입)져 일단은 받침 브래킷(125)의 일 측면에 지지 되고 타 일단은 와셔(126)와 너트(127)에 의해 지지 되어 장력조절대(124)에 탄성 지지력을 형성하는 스프링(128)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장력조절대(124)는 상기 지지 프레임(123)에 지지 되는 종동 체인기어(122)와, 상기 메인 체인기어(115)와 종동 체인기어(122)를 통해 순환 회전하도록 설치되는 메인체인(140)의 느슨해짐을 방지하는 테이크 업(take up : 컨베이어 벨트나 체인의 장기사용에 의한 늘어남 등에 의한 느슨해짐을 바로 잡는 것)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의 상기 종동부(120)는 예컨대, 상기 종동 체인기어(122)와 메인 체인(140)을 팽팽한 긴장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장력조절대(124)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장력조절대(124)가 받침 브래킷(125)을 기준으로 전진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장력조절대(124)는 받침 브래킷(125)과 와셔(126) 및 너트(127)에 의해 지지 되는 스프링(128)에 의해 탄성 지지 되므로 메인체인(140)의 장력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종동 체인기어(122)와 메인체인(140)이 너무 팽팽하여 과도한 긴장 상태를 늦추기 위해서는 상기 장력조절대(124)를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장력조절대(124)가 받침 브래킷(125)을 기준으로 후진하도록 한다.
이때 역시, 상기 장력조절대(124)는 받침 브래킷(125)과 와셔(126) 및 너트(127)에 의해 지지 되는 스프링(128)에 의해 탄성 지지 되므로 메인체인(140)의 장력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지지하게 된다.
또, 상기 메인체인(140)에는 간격을 두고 푸셔 도그(pusher dog : 짐을 옮기기 위하여 체인에 부착한 미는 쇠고리를 가리킨다.)(141)가 2개∼200개 정도로 결합 형성될 수 있으나, 낮은 속도에서도 여러 대의 행거(210)를 동시에 이송가능하도록 각 푸셔 도그(141)의 피치는 짧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레일(130)의 내리막 경사구간에는 여러 대의 행거(210)가 푸셔 도그(141)에 견인되어 낮은 속도로 동시에 이송가능하게 되므로 내리막 경사구간에서 사이클 타임으로 인한 행거(210) 간의 충돌과 같은 트러블((Trouble)을 방지하고, 하부에 위치하는 작업자의 작업이 다소 지연되더라도 완충(buffer) 량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상기 푸셔 도그(141)는 메인 체인(140)의 설치 길이에 따라 가감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구동부(110)는 상기 레일(130)의 상부에 설치하고 종동부(120)는 하부에 설치하여 메인 컨베이어 시스템(200)에서 보조 컨베이어 시스템(100)으로 진입하는 행거(210)를 푸셔 도그(141)가 견인하여 저속으로 경사구간 하단부로 이송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각 장력조절대(124)의 일단, 즉 선단은 상기 스프링(128)의 탄성 지지력에 의해 지지 프레임(123)의 일 측면을 탄성 지지하여 종동 체인기어(122)와 메인 체인(140)의 느슨해짐을 흡수하여 항상 긴장된 장력 상태를 유지시켜 마모와 소음을 최소화하면서 원활한 구동을 이루게 된다.
상기 레일(130)은, 작업장소에 따라 다양한 형태와 길이로 설치되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구동부(110)와 종동부(12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메인 체인(140)의 이동을 지지하여 처짐을 방지하도록 개략 알파벳 “I”자형 또는 한글 “ㄷ”자형으로 이루어지는 상부 레일(131)과 상기 상부 레일(131)의 하부에 위치하여 행거(210)의 이송을 위한 행거 이송 카(220)의 이동을 지지하여 처짐을 방지하도록 개략 알파벳 “I”자형 또는 한글 “ㄷ”자형으로 이루어지는 하부 레일(132)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 레일(131)과 하부 레일(132)은 개략 미끄럼틀 형태를 이루도록 일단 부분은 상부에 위치하고 하단 부분은 하부에 위치하며 중간 부분은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상기 레일(130)은 메인 컨베이어 시스템(200)의 내리막 경사구간에 설치되는 보조 컨베이어 시스템(100) 라인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내리막 경사구간에서 행거(210)의 원활한 이송이 이루어지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메인 컨베이어 시스템(200)의 내리막 경사구간에 본 발명에 따른 보조 컨베이어 시스템(100)을 형성하여 메인 컨베이어 시스템(200)과 함께 행거(210)를 각각으로 이송토록 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메인 컨베이어 시스템(200)의 경사구간에서 행거(210)의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보조 컨베이어 시스템(100) 라인에서 제품이 이상이 있거나 작업자의 처리부하로 인해 보조 컨베이어 시스템(100)을 별도의 전기적인 신호로 정지시킬 경우에도 메인 컨베이어 시스템(200)은 지속적으로 운행되도록 한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메인 컨베이어 시스템(200)의 경사구간에서 행거(210)의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아도 라인 전체를 정지시키지 않고, 보조 컨베이어 시스템(100)만 정지시키고 상기 메인 컨베이어 시스템(200)은 계속 운행되도록 함으로써, 생산성 향상을 이룰 수 있고 내리막 경사구간에서 행거 간의 충돌을 방지함과 동시에 충분한 완충(buffer)으로 전체 라인의 운전속도를 낮출 수 있으며 컨베이어 동작시 발생하는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보조 컨베이어 시스템은 메인 컨베이어 시스템(200)의 컨베이어 라인 중, 내리막 경사구간에서 제품(부품)을 운반하는 행거(210)를 메인 컨베이어 시스템(200) 라인과 각각으로 처리하도록 상기 구동부(110)를 동작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모터(111)와 제 1 체인기어(112)가 회전동작하고 이에 연동하여 제 2 체인기어(114)와 보조체인(116)이 회전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제 2 체인기어(114)와 동일한 회전축(113)에 결합된 메인 체인기어(115)가 회전동작하면서 메인체인(140)과 종동부(120)의 종동 체인기어(122)를 회전시킨다.
그리고, 상기 메인체인(140)은 상부 레일(131)을 따라 상부에서 하부로 순환 동작하게 되고 메인체인(140)의 일 측에 결합 형성된 다수 개의 푸셔 도그(141)가 순환이동하면서 메인 컨베이어 시스템(200)의 라인 중 경사구간에 위치하는 보조 컨베이어 시스템(100)의 라인으로 진입하는 행거(210)를 견인하여 레일(130)의 상부에서 하부로 천천히 이송한다.
이때, 상기 메인 컨베이어 시스템(200)의 라인으로도 지속적으로 행거(210)가 순환이동하게 된다.
즉, 상기 메인 컨베이어 시스템(200)의 평탄 라인과 내리막 경사구간에 위치하는 보조 컨베이어 시스템(100)의 라인으로 행거(210)가 각각으로 순환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보조 컨베이어 시스템(100)의 하부와 연결되는 메인 컨베이어 시스템(200)의 라인에 행거(210)가 만량(full)일 경우, 보조 컨베이어 라인에서 복수 개의 행거(210)를 짧은 간격으로 동시에 수용하기 때문에 각 행거(210) 간의 충돌을 방지함과 동시에 충분한 완충(buffer)을 이루므로 메인 컨베이어 시스템(200)의 라인을 정지하지 않고 연속 구동이 가능하게 되므로 생산성 향상을 이룰 수 있다.
또, 상기 각 장력조절대(124)의 일단, 즉 선단은 상기 스프링(128)의 탄성 지지력에 의해 각 지지 프레임(123)의 일 측면을 탄성 지지하여 종동 체인기어(122)와 메인체인(140)의 느슨해짐을 흡수하여 항상 긴장된 장력 상태를 유지시키게 되므로 마모와 소음을 최소화하면서 원활한 구동을 이루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보조 컨베이어 시스템은 이와 같은 작용을 지속적으로 반복함으로써 내리막 경사구간에서 행거의 충돌과 라인의 정지를 예방하여 생산성 향상과 모터 또는 체인의 파단 등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치환,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로의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100 : 보조 컨베이어 시스템 110 : 구동부
111 : 모터 111a : 체결구멍
112 : 제 1 체인기어 113 : 회전축
114 : 제 2 체인기어 115 : 메인 체인기어
116 : 보조체인 117 : 스토퍼
118 : 지지 프레임 118a : 슬롯
119 : 제 3 체인기어 120 : 종동부
121 : 회전축 122 : 종동 체인기어
123 : 지지 프레임 124 : 장력조절대
124a : 수나사 125 : 받침 브래킷
126 : 와셔 127 : 너트
128 : 스프링 130 : 레일
131 : 상부레일 132 : 하부레일
200 : 메인 컨베이어 시스템 210 : 행거
220 : 행거 이송 카

Claims (5)

  1.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축에 결합 되어 연동하는 제 1 체인기어(Sprocket)와 상기 제 1 체인기어와 간격을 두고 일 측으로 형성되는 회전축에 결합 되는 제 2 체인기어와 상기 제 2 체인기어와 동일한 축에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메인 체인기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구동부와, 상기 메인 체인기어에 대향 하는 컨베이어 라인의 하부에 위치하고 메인 체인기어의 동작에 연동하여 회전동작하도록 메인 체인을 통해 연결되며 회전축의 중간 부분에 위치하는 종동 체인기어와 상기 종동 체인기어의 회전축을 양쪽에서 수용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 프레임과 상기 각 지지 프레임의 일 측을 지지하는 장력조절대와 상기 장력조절대를 수용지지하는 받침 브래킷과 상기 장력조절대에 끼워(삽입)져 탄성 지지력을 형성하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종동부와, 상기 구동부와 종동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메인 체인의 이동을 지지하고 처짐을 방지하는 상부 레일과 상기 상부 레일의 하부에 위치하여 행거 이송 카의 이동을 지지하여 처짐을 방지하는 하부 레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 레일과 하부 레일은 미끄럼틀 형태를 이루도록 일단 부분은 상부에 위치하고 타 단인 하단 부분은 하부에 위치하며 중간 부분은 경사구간을 이루는 레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보조 컨베이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메인체인에는 간격을 두고 복수 개의 푸셔 도그가 형성되고, 상기 푸셔 도그는 레일의 내리막 경사구간에서 낮은 속도에서도 여러 대의 행거를 동시에 이송 가능하도록 피치가 짧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컨베이어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체인기어와 제 2 체인기어의 사이 하부에는 보조체인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한 제 3 체인기어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컨베이어 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50060318A 2015-04-29 2015-04-29 보조 컨베이어 시스템 KR1016818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0318A KR101681827B1 (ko) 2015-04-29 2015-04-29 보조 컨베이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0318A KR101681827B1 (ko) 2015-04-29 2015-04-29 보조 컨베이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9131A KR20160129131A (ko) 2016-11-09
KR101681827B1 true KR101681827B1 (ko) 2016-12-02

Family

ID=575291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0318A KR101681827B1 (ko) 2015-04-29 2015-04-29 보조 컨베이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182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33207A (zh) * 2017-12-27 2018-05-15 东莞宇宙电路板设备有限公司 双动力输送机构及电镀装置
CN110284159A (zh) * 2018-03-19 2019-09-27 江苏丹源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电解槽用阴极板出板插板系统
KR102215518B1 (ko) * 2019-04-16 2021-02-15 이익재 일체형 측면판을 구비한 콘타입 아이스크림 제조장치
CN113401607B (zh) * 2021-07-07 2022-05-13 淮安华律智能设备有限公司 一种带有抓取装置的智能吊挂系统
KR102347280B1 (ko) * 2021-07-27 2022-01-04 김성왕 수직 체인컨베이어를 이용한 부품 간헐이송시스템
KR102549954B1 (ko) * 2022-08-31 2023-06-30 한국공항공사 보조 컨베이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50943A (ja) * 2005-08-16 2007-03-01 Ishida Co Ltd バケットコンベア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13606B2 (ja) * 1992-06-24 2003-06-03 東芝プラント建設株式会社 管研削装置
JP3104936B2 (ja) * 1992-09-10 2000-10-3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コンベアの駆動装置
JPH07237873A (ja) * 1994-02-25 1995-09-12 East Japan Railway Co 手荷物用搬送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50943A (ja) * 2005-08-16 2007-03-01 Ishida Co Ltd バケットコンベア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9131A (ko) 2016-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1827B1 (ko) 보조 컨베이어 시스템
CN112027518B (zh) 一种链板流水线
CN210260285U (zh) 一种全自动不间断上料和下料的联动式驱动装置
CN210450060U (zh) 一种轴承滚子清洗机
CN105947536A (zh) 一种木条自动循环送料装置
CN106743175A (zh) 新型双摇杆滑块送料机构
CN104928751B (zh) 同步自动开合夹具装置
KR101424427B1 (ko) 벨트컨베이어용 크리너장치
CN201891812U (zh) 一种精确定位的传动装置
JP2009545503A (ja) パネル製造及び/又は加工機械
CN107486802B (zh) 一种物料夹紧固定装置
CN109051638A (zh) 一种除铁屑输送装置
CN106956897B (zh) 一种多节悬臂式伸缩机
KR20090099331A (ko) 공작물 자동이송장치
CN210824043U (zh) 自动络筒机管纱输送装置
CN209291324U (zh) 滚带输送机的自动上料机构
CN209124676U (zh) 一种车门导轨自动冲切送料机构
CN113263223A (zh) 管材、型材切割用自动落料装置
JP2015214387A (ja) コンベヤ装置
CN219652088U (zh) 一种皮带输送机转向防堵包设备
CN208843197U (zh) 一种除铁屑输送装置
KR101289416B1 (ko) 벨트 컨베이어용 롤러 스탠드
CN114026276B (zh) 用于自动化地输送综框元件的方法、装置、小车和穿经机
CN220161554U (zh) 一种齿型刀板自动连续送料机
CN208499552U (zh) 一种驱动器生产线用输送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