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9954B1 - 보조 컨베이어 - Google Patents

보조 컨베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9954B1
KR102549954B1 KR1020220110079A KR20220110079A KR102549954B1 KR 102549954 B1 KR102549954 B1 KR 102549954B1 KR 1020220110079 A KR1020220110079 A KR 1020220110079A KR 20220110079 A KR20220110079 A KR 20220110079A KR 102549954 B1 KR102549954 B1 KR 1025499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or
fixed
auxiliary
fixed shaft
fre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00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수
노승민
엄우종
Original Assignee
한국공항공사
(주)우수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공항공사, (주)우수이엔지 filed Critical 한국공항공사
Priority to KR10202201100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99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99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99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3/00Roller-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9/00Rollers, e.g. drive rollers, or arrangements thereof incorporated in roller-ways or other types of mechanical conveyors 
    • B65G39/02Adaptations of individual rollers and supports therefor
    • B65G39/04Adaptations of individual rollers and supports therefor the rollers comprising a number of roller forming elements mounted on a single ax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9/00Rollers, e.g. drive rollers, or arrangements thereof incorporated in roller-ways or other types of mechanical conveyors 
    • B65G39/10Arrangements of rollers
    • B65G39/12Arrangements of rollers mounted on frame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llers For Roller Conveyors For Transf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애가 발생된 컨베이어 위에 설치되어 장애 복구시간 동안 컨베이어 라인 운영이 가능하도록 하는 보조 컨베이어에 관한 것으로, 연속 설치된 복수 개의 컨베이어 중 장애 컨베이어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보조 컨베이어로서, 장애 컨베이어의 상부에 안착되는 지지수단; 지지수단에 의해 지지되어 회전하는 프리롤러; 및 지지수단을 장애 컨베이어에 연결하는 연결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보조 컨베이어{Auxiliary conveyor}
본 발명은 보조 컨베이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장애가 발생된 컨베이어 위에 설치되어 컨베이어 라인의 중단 없이 화물 운송이 가능하도록 하는 보조 컨베이어에 관한 것이다.
컨베이어는 일정한 거리 사이에서 화물 등 다양한 물품을 연속 운반하는 기계장치로서, 산업현장 뿐만 아니라 건설현장, 화물 운송업체, 공항, 항만 등 다양한 영역에서 사용되고 있다. 컨베이어는 단순히 운반장치로만 사용되는 것이 아니고 작업원과 결합하여 움직이는 작업대로도 사용되며, 산업 현장 내에서 대량 생산방식의 기초를 형성하고 있다.
컨베이어의 종류로는, 고무/직물/철망/강판 등으로 만들어진 벨트를 순환시켜 그 위에 물건을 올려 놓고 연속적으로 운반하는 벨트 컨베이어, 체인을 이용해 운반하는 체인 컨베이어, 롤러를 길게 늘어 놓은 형태인 롤러 컨베이어 등 다양한 형태의 것들이 있다.
일반적으로 컨베이어는 하나로만 컨베이어 라인을 구성할 수도 있고, 일정한 길이의 것을 복수 개 구비하여 연속적으로 배치함으로써 운반거리를 연장하는 형태로 컨베이어 라인을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복수개의 컨베이어로 구성되는 컨베이어 라인에서 일부 컨베이어에 장애(구동모터의 고장 또는 벨트의 찢김 등)가 발생되는 경우, 종래에는 장애가 발생된 컨베이어의 수리가 진행되는 동안 컨베이어 라인 전체의 사용이 불가능했다.
따라서, 일부 컨베이어의 장애로 인해 생산 현장에서는 생산 차질을 빚을 수밖에 없었고, 공항이나 항만에서는 항공기나 선박의 운행에까지 지장을 받게 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였으며, 물류센터 등에서는 물류 배송에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전체 컨베이어 라인 중 일부 컨베이어에 장애가 발생하더라도 컨베이어 라인을 정상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하는 보조 컨베이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보조 컨베이어는, 연속 설치된 복수 개의 컨베이어 중 장애 컨베이어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장애 컨베이어의 상부에 안착되는 지지수단; 지지수단에 의해 지지되어 회전하는 프리롤러; 및 지지수단을 장애 컨베이어에 연결하는 연결수단;을 포함한다.
지지수단은, 프리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끼워진 상태로 장애 컨베이어의 상부에 횡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며, 복수 개가 평행하게 배열되는 고정축; 고정축에 고정된 상태로 장애 컨베이어의 상부면에 안착되어, 고정축을 지지하는 다리; 및 고정축들을 일정 간격으로 연결하는 연결구;를 포함한다.
연결구는, 고정축의 양단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 및 결합부로부터 연장되며 이웃하는 고정축의 양단에 걸어 고정할 수 있도록 걸고리 형태로 형성된 걸이부;를 포함한다.
고정축에 복수 개의 프리롤러가 끼워지는 경우, 프리롤러 사이에는 다리가 고정되며, 다리 양쪽으로는 고정축에 고정되어 프리롤러의 양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면서 프리롤러의 축 방향 이동을 제한하는 고정쇠를 각각 구비한다.
고정쇠는, 고정축의 외측에 끼워져 고정되고 일단부를 통해 프리롤러의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는 중공의 몸체; 및 몸체의 타단에 형성되되 프리롤러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프리롤러의 축 방향 이동을 제한하는 플랜지부;를 포함한다.
프리롤러는, 중공의 원형관 형태로 형성되어 고정축의 외측에 끼워지는 드럼; 및 드럼의 양단부 내측에 각각 삽입된 상태로 고정축에 끼워져 드럼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을 포함한다.
다리는 프리롤러 사이에 고정되며, 프리롤러 사이에는 프리롤러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스페이서가 구비된다.
스페이서는, 길게 형성되어 이웃하는 복수개의 고정축에 걸쳐서 구비되며, 프리롤러 사이에 위치되는 몸체; 및 몸체의 하부에 고정축 사이의 간격에 대응하여 이격 형성되며 다리의 상부를 감싸면서 고정되는 복수 개의 고정부;를 포함한다.
연결수단은, 복수 개의 고정축들 중 장애 컨베이어의 전단에 위치하는 고정축의 양단부에 각각 구비되어 장애 컨베이어의 전단에 걸도록 된 제1 컨베이어 걸이; 제1 컨베이어 걸이 사이에 위치되며 복수 개의 프리롤러 사이에서 고정축에 구비되어 장애 컨베이어의 전단에 걸도록 된 제2 컨베이어 걸이; 및 제2 컨베이어 걸이의 상부에 안착되어 이웃하는 정상 컨베이어의 화물이 프리롤러 위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연결판;을 포함한다.
복수 개의 컨베이어는 하향 경사식 컨베이어이다.
본 발명 보조 컨베이어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들을 기대할 수 있다.
첫째, 장애 컨베이어의 상부에 본 발명에 따른 보조 컨베이어를 설치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컨베이어 라인을 구성하는 일부 컨베이어에 장애가 발생하더라도 컨베이어 라인을 중단 없이 정상적으로 운영할 수 있다. 따라서, 생산 중단이나 물류 운송 중단 등의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보조 컨베이어를 구성하는 고정축들을 연결구를 통해 간편하게 연결/해제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장애 컨베이어의 길이에 맞게 보조 컨베이어의 길이를 자유롭게 연장 또는 축소할 수 있다. 또한,
셋째, 장애 컨베이어에 보조 컨베이어를 연결하는 연결수단을 장애 컨베이어의 전단부에 경사지게 구비함으로써, 이웃하는 정상 컨베이어로부터 이송되는 화물이 보조 컨베이어 위로 원활하게 이송될 수 있다.
넷째, 본 발명에 따른 보조 컨베이어는 하향 경사식 컨베이어 라인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보조 컨베이어가 적용된 하향 경사식 컨베이어 라인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보조 컨베이어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보조 컨베이어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제2 컨베이어 걸이 및 연결판이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고정축, 프리롤러, 다리 및 고정쇠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연결구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프리롤러의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프리롤러가 스페이서에 의해 간격이 유지되는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9는 스페이서가 다리의 상부를 감싸면서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측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보조 컨베이어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의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보조 컨베이어가 적용된 하향 경사식 컨베이어 라인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보조 컨베이어(100)는, 하향 경사지게 설치된 컨베이어 라인 중에서 정상 컨베이어(10) 옆에 위치된 장애 컨베이어(20)의 상부에 설치되어, 전체 컨베이어 라인을 중단시키지 않고도 화물을 원활하게 이송할 수 있도록 해준다.
본 발명에 따른 보조 컨베이어(100)는 하향 경사식 컨베이어 라인에서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즉, 하향 경사식 컨베이어 라인에서는 정상 컨베이어(10)의 회전력과 화물의 무게에 의해 정상 컨베이어(10)로부터 이송되는 화물이 보조 컨베이어(100) 위로 원활하게 진입할 수 있으며, 보조 컨베이어(100)로 진입한 화물은 후술할 프리롤러(120)에 올려진 상태로 경사면을 따라 원활하게 내려갈 수 있다.
도 1은 정상 컨베이어(10) 사이에 장애 컨베이어(20)가 위치될 때, 장애 컨베이어(20)의 상부에 설치된 보조 컨베이어(100)를 따라 화물이 정상적으로 이송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보조 컨베이어(100)를 설치하기 전, 장애 컨베이어(20)는 가동이 중지된다.
도 1에서와 같이 하향 경사지게 설치된 컨베이어 라인은, 도면상 컨베이어 벨트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장애 컨베이어(20)의 전방에 위치되는 정상 컨베이어(10)에 화물이 올려져 이송되다가 화물이 보조 컨베이어(100)에 닿게 되면 정상 컨베이어(10)를 구성하는 컨베이어 벨트(21)의 회전력과 화물의 무게에 의해 화물이 보조 컨베이어(100) 위로 올려지게 되고, 화물은 무게에 의해 경사진 보조 컨베이어(100) 위를 미끄러져 내려간 다음, 후방의 정상 컨베이어(10)를 통해 목적지까지 이송된다.
장애 컨베이어(20) 위에 보조 컨베이어(100)가 설치된 상태로 장애 컨베이어(20)의 수리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여의치 않을 경우 컨베이어 라인을 사용하지 않는 시간대를 이용해 장애 컨베이어(20)의 수리가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보조 컨베이어(100)를 수평형 컨베이어 라인 등에 적용하는 경우, 작업자의 도움을 받아 보조 컨베이어(100)를 운용할 수 있다.
첨부된 도면의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보조 컨베이어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보조 컨베이어(100)는, 지지수단(110), 프리롤러(120), 연결수단(130) 및 고정쇠(140)를 포함한다.
지지수단(110)은 프리롤러(120)를 장애 컨베이어(20)의 컨베이어 벨트(21) 상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으로, 고정축(111), 다리(112) 및 연결구(113)를 포함한다. 고정축(111)은 장애 컨베이어(20)의 컨베이어 벨트(21) 상면에 횡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며, 복수 개가 컨베이어 벨트(21)의 회전 방향 즉, 화물의 반송 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배열된다. 하나의 고정축(111)에 복수 개의 프리롤러(120)가 간격을 두고 회전 가능하게 끼워진다. 다리(112)의 상부는 프리롤러(120) 사이에서 고정축(111)에 고정되며 하부는 컨베이어 벨트(21)의 상면에 안착된다. 다리(112)는 프리롤러(120)를 컨베이어 벨트(21)로부터 이격시킬 정도의 길이로 형성된다. 연결구(113)는 이웃하는 두 고정축(111)의 단부를 서로 착탈 가능하게 연결한다.
프리롤러(120)는 중공관 형태로 형성되어 고정축(111)에 끼워진다. 프리롤러(120)의 내경은 고정축(111)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므로 프리롤러(120)는 고정축(111) 상에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연결수단(130)은 본 발명에 따른 보조 컨베이어(100)를 장애 컨베이어(20)의 전단부에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제1 컨베이어 걸이(131), 제2 컨베이어 걸이(132) 및 연결판(133)을 포함한다. 제1 컨베이어 걸이(131)는 복수 개의 고정축(111)들 중 장애 컨베이어(20)의 전단에 위치하는 고정축(111)의 양단부에 각각 구비되어 장애 컨베이어(20)의 전단 양쪽에 걸어 고정된다. 제2 컨베이어 걸이(132)는 제1 컨베이어 걸이(131) 사이에 위치되며 프리롤러(120) 사이에서 고정축(111)에 구비되어 장애 컨베이어(20)의 전단에 걸어 고정된다. 연결판(133)은 제2 컨베이어 걸이(132)의 상부에 안착되어, 장애 컨베이어(20)의 전단을 통해 진입하는 화물이 프리롤러(120) 위로 원활하게 올려질 수 있도록(진입할 수 있도록) 가이드한다.
고정쇠(140)는 고정축(111) 상에서 다리(112)의 양쪽에 고정되어 프리롤러(12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프리롤러(120)의 축 방향 이동을 제한한다. 즉, 고정쇠(140)는 프리롤러(120)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킨다.
첨부된 도면의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보조 컨베이어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제2 컨베이어 걸이 및 연결판이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지지수단(110)을 구성하는 다리(112)는 장애 컨베이어(20)의 컨베이어 벨트(21)의 상면에 안착되며 고정축(111)과 프리롤러(120)를 컨베이어 벨트(21)의 상면으로 이격된 상태로 지지한다.
연결수단(130)을 구성하는 제1 컨베이어 걸이(131)는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단은 복수 개의 고정축(111)들 중 장애 컨베이어(20)의 전단에 위치하는 고정축(111)의 양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연결수단(130)은 컨베이어 벨트(21)를 회전시키는 컨베이어 풀리(22)의 양단을 각각 감싸는 형태로 장애 컨베이어(20)에 연결된다.
연결수단(130)을 구성하는 제2 컨베이어 걸이(132) 또한 제1 컨베이어 걸이(131)와 마찬가지로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단은 프리롤러(120) 사이에서 고정축(11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2 컨베이어 걸이(132) 또한 컨베이어 벨트(21)로 덮여 있는 컨베이어 풀리(22)를 감싸는 형태로 장애 컨베이어(20)에 연결된다.
연결수단(130)을 구성하는 연결판(133)은 제2 컨베이어 걸이(132)의 상부에 안착되어 제2 컨베이어 걸이(132)의 지지를 받는다. 연결판(133)은 제2 컨베이어 걸이(132)보다는 짧게 형성된다.
장애 컨베이어(20)를 포함하는 전체 컨베이어 라인이 하향 경사진 형태로 설치된 경우에는 도면에서와 같이 보조 컨베이어(100)를 장애 컨베이어(20)의 전단에만 연결수단(130)으로 연결하면 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수단(130)은 설치시 하향 경사지게 설치됨으로써, 장애 컨베이어(20)의 전단으로 이송되는 화물이 장애 컨베이어(20) 위로 원활하게 올려질 수 있다.
첨부된 도면의 도 5는 고정축, 프리롤러, 다리 및 고정쇠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고정축(111)은 상술한 바와 같이 장애 컨베이어(20)의 상면에 횡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는 것으로, 대략 장애 컨베이어(20)의 횡방향 폭에 대응되는 길이를 갖는다. 고정축(111)의 양단부에는 연결구(113)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고정축(111)에는 복수 개의 프리롤러(120)가 일정 간격으로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며, 프리롤러(120) 사이에는 다리(112)가 고정된다. 다리(112)의 양쪽으로 고정쇠(140)가 각각 고정된다.
다리(112)의 상부에는 고정축(111)이 관통되는 축 관통홀(도면부호 미표시)이 형성되며, 다리(112)의 하부에는 양쪽으로 벌려진 상태로 장애 컨베이어의 컨베이어 벨트(21)에 안착되는 한 쌍의 다리부(도면부호 미표시)가 형성된다.
고정쇠(140)는, 고정축(111)의 외측에 끼워져 고정되고 일단부 외측을 통해 프리롤러(120)의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는 중공의 몸체(141), 및 몸체(141)의 타단에 연장 형성되되 프리롤러(120)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프리롤러(120)의 축 방향 이동을 제한하는 플랜지부(142)를 포함한다. 프리롤러(120)의 내경은 몸체(141)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므로 프리롤러(120)는 몸체(141)에 끼워진 상태로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다.
첨부된 도면의 도 6은 연결구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 (a)는 연결구를 평면에서 바라본 모습이고, (b)는 연결구를 측면에서 바라본 모습이다.
도 6의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연결구(113)는, 평행한 두 면과 두 면의 일단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면으로 구성되어 고정축(111)의 양단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113a), 결합부(113a)의 연결면 중심에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단부에 걸이홈(113c)이 형성되는 걸이부(113b)를 포함한다.
결합부(113a)를 구성하는 두 면에는 고정축(111)이 관통되는 관통홀(113d)이 형성된다. 관통홀(113d)의 내경은 고정축(111)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므로 결합부(113a)는 고정축(111)의 단부에서 원할하게 회전할 수 있다.
걸이부(113b)의 단부에 형성되는 걸이홈(113c)은 이웃하는 고정축(111)의 단부에 걸도록 형성된다. 이 때, 걸이부(113b)는 이웃하는 연결구(113)의 결합부(113a)를 구성하는 두 면 사이에서 고정축(111)에 걸리게 된다.
걸이부(113b)는 고정축(111)에 착탈 가능하게 걸리므로 본 발명에 따른 보조 컨베이어(100)에서 일부 고정축(111)을 분리하거나 추가하는 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장애 컨베이어(20)의 길이에 맞게 보조 컨베이어(100)의 길이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다.
첨부된 도면의 도 7은 프리롤러의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프리롤러(120)를 드럼(121)과 베어링(122)으로 구성할 수 있다.
드럼(121)은 중공의 원형관으로 고정축(111)의 외측에 끼워진다. 베어링(122)은 드럼(121)의 양단부 내측에 삽입 고정된 상태로 고정축(111)의 외측에 끼워져 고정축(111)에 대하여 드럼(121)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프리롤러(120) 사이에는 한 쌍의 고정링(150)이 고정축(111)의 외측에 이격되게 고정되어 베어링(122)의 축 방향 이동을 제한한다. 즉, 베어링(122)을 포함한 프리롤러(120) 전체의 축 방향 이동을 제한한다. 고정링(150) 사이에 다리(112)가 고정된다.
첨부된 도면의 도 8은 프리롤러가 스페이서에 의해 간격이 유지되는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9는 스페이서가 다리의 상부를 감싸면서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측 단면도이다.
프리롤러(120) 사이에는 다리(112)가 고정되는데, 다리(112)의 고정 위치에 일정 폭을 갖는 스페이서(160)를 배치시킴으로써 프리롤러(120)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프리롤러(120)는 다리(112)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된다.
스페이서(160)는, 길게 형성되어 이웃하는 복수개의 고정축(111)에 걸쳐서 배치되는 몸체(161), 몸체(161)의 하부에 고정축(111) 사이의 간격에 대응하여 이격 형성되며 다리(112)의 상부를 감싸면서 고정되는 복수 개의 고정부(162)를 포함한다.
몸체(161)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직선형 막대 형태로 형성되며, 고정부(162)는 하방으로 개방된 반원형 형태로 형성되어 다리(112)의 상부에 끼워진다. 이 때, 고정부(162)는 자체 탄성력을 가지므로 다리(112)의 상부에 끼워지면 외부 힘을 가하지 않는 한 고정상태를 견고히 유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보조 컨베이어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10 : 정상 컨베이어 20 : 장애 컨베이어
21 : 컨베이어 벨트 22 : 컨베이어 풀리
100 : 보조 컨베이어 110 : 지지수단
111 : 고정축 112 : 다리
113 : 연결구 120 : 프리롤러
121 : 드럼 122 : 베어링
130 : 연결수단 131 : 제1 컨베이어 걸이
132 : 제2 컨베이어 걸이 133 : 연결판
140 : 고정쇠 141 : 몸체
142 : 플랜지부 150 : 고정링
160 : 스페이서 161 : 몸체
162 : 고정부

Claims (10)

  1. 연속 설치된 복수 개의 컨베이어 중 장애 컨베이어의 상부에 설치되는 보조 컨베이어로서,
    상기 장애 컨베이어의 상부에 복수 개가 평행하게 배열되는 고정축, 및 상기 장애 컨베이어의 상부면에 상기 고정축을 안착 지지하는 다리를 포함하는 지지수단;
    상기 고정축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져 지지되는 프리롤러; 및
    상기 지지수단을 상기 장애 컨베이어에 연결하는 연결수단;을 포함하는,
    보조 컨베이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고정축들을 일정 간격으로 연결하는 연결구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고정축은 상기 프리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끼워진 상태로 상기 장애 컨베이어의 상부에 횡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되 복수 개가 평행하게 배열되고,
    상기 다리는 상기 고정축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보조 컨베이어의 상부면에 안착되어 상기 고정축을 지지하는,
    보조 컨베이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는,
    상기 고정축의 양단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로부터 연장되며 이웃하는 고정축의 양단에 걸어 고정할 수 있도록 걸고리 형태로 형성된 걸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컨베이어.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축에 복수 개의 프리롤러가 끼워지는 경우, 프리롤러 사이에는 상기 다리가 고정되며, 상기 다리 양쪽으로는 상기 고정축에 고정되어 프리롤러의 양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면서 프리롤러의 축 방향 이동을 제한하는 고정쇠를 각각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컨베이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쇠는,
    상기 고정축의 외측에 끼워져 고정되고 일단부를 통해 프리롤러의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는 중공의 몸체; 및
    상기 몸체의 타단에 형성되되 프리롤러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프리롤러의 축 방향 이동을 제한하는 플랜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컨베이어.
  6.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롤러는,
    중공의 원형관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축의 외측에 끼워지는 드럼; 및
    상기 드럼의 양단부 내측에 각각 삽입된 상태로 상기 고정축에 끼워져 상기 드럼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컨베이어.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는 상기 프리롤러 사이에 고정되며,
    상기 프리롤러 사이에는 프리롤러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스페이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컨베이어.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길게 형성되어 이웃하는 복수개의 고정축에 걸쳐서 구비되며, 프리롤러 사이에 위치되는 몸체; 및
    상기 몸체의 하부에 상기 고정축 사이의 간격에 대응하여 이격 형성되며 상기 다리의 상부를 감싸면서 고정되는 복수 개의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컨베이어.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복수 개의 고정축들 중 장애 컨베이어의 전단에 위치하는 고정축의 양단부에 각각 구비되어 장애 컨베이어의 전단에 걸도록 된 제1 컨베이어 걸이;
    상기 제1 컨베이어 걸이 사이에 위치되며 복수 개의 프리롤러 사이에서 상기 고정축에 구비되어 장애 컨베이어의 전단에 걸도록 된 제2 컨베이어 걸이; 및
    상기 제2 컨베이어 걸이의 상부에 안착되어 이웃하는 정상 컨베이어의 화물이 상기 프리롤러 위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연결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컨베이어.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컨베이어는 하향 경사식 컨베이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컨베이어.
KR1020220110079A 2022-08-31 2022-08-31 보조 컨베이어 KR1025499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0079A KR102549954B1 (ko) 2022-08-31 2022-08-31 보조 컨베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0079A KR102549954B1 (ko) 2022-08-31 2022-08-31 보조 컨베이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9954B1 true KR102549954B1 (ko) 2023-06-30

Family

ID=869595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0079A KR102549954B1 (ko) 2022-08-31 2022-08-31 보조 컨베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995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91704A (ko) * 2008-03-25 2008-10-14 오인규 탈부착 전동체 컨베이어 장치, 이를 탑재한 회전익 항공기및 화물 투하 방법
KR20080004567U (ko) * 2007-04-09 2008-10-14 오인규 롤러 컨베이어
KR20100092133A (ko) * 2009-02-12 2010-08-20 김태호 트럭의 컨베이어 적재장치
KR20160056182A (ko) * 2014-11-11 2016-05-19 홍성표 경사 이송용 일체형 컨베이어
KR20160129131A (ko) * 2015-04-29 2016-11-09 현대로템 주식회사 보조 컨베이어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4567U (ko) * 2007-04-09 2008-10-14 오인규 롤러 컨베이어
KR20080091704A (ko) * 2008-03-25 2008-10-14 오인규 탈부착 전동체 컨베이어 장치, 이를 탑재한 회전익 항공기및 화물 투하 방법
KR20100092133A (ko) * 2009-02-12 2010-08-20 김태호 트럭의 컨베이어 적재장치
KR20160056182A (ko) * 2014-11-11 2016-05-19 홍성표 경사 이송용 일체형 컨베이어
KR20160129131A (ko) * 2015-04-29 2016-11-09 현대로템 주식회사 보조 컨베이어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0164B1 (ko) 의류 행거의 트랙이송 장치
JP2008273744A (ja) コンベヤ
WO2021007917A1 (zh) 传送装置
JP2007269414A (ja) ストックコンベヤ
WO2021007918A1 (zh) 传送装置
JP2001080715A (ja) フリクション駆動式トロリーコンベヤ
KR102549954B1 (ko) 보조 컨베이어
KR101105270B1 (ko) 이송롤러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이송장치
KR20150004619U (ko) 배관 설치용 지그
JP2013124157A (ja) 昇降装置
KR102074300B1 (ko) 트롤리 컨베이어
KR101619062B1 (ko) 다관절 롤러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운송 장치
KR101030971B1 (ko) 가변형 아이들러 설치구조
US3219174A (en) Troughing idler assembly
JP2017149508A (ja) キャリアローラー交換用治具及びキャリアローラー交換方法
JP2005145704A (ja) 搬送設備
KR101592259B1 (ko) 와이어로프 슬립 방지 기능을 갖는 풀리가 구비된 이송 대차
JP7258338B2 (ja) 搬送装置
JP2003081416A (ja) ベルトコンベヤ装置
JP2009227185A (ja) 車両組立ラインにおけるドア搬送装置およびドア搬送方法
JP7437033B2 (ja) コンベヤ装置
JP2019077523A (ja) ローラー交換補助装置
ITMI932523A1 (it) Dispositivo per il trasporto di oggetti lungo un percorso chiuso a guida
JP5800965B1 (ja) 搬送装置
JP2017206217A (ja) 送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