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9062B1 - 다관절 롤러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운송 장치 - Google Patents

다관절 롤러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운송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9062B1
KR101619062B1 KR1020150031632A KR20150031632A KR101619062B1 KR 101619062 B1 KR101619062 B1 KR 101619062B1 KR 1020150031632 A KR1020150031632 A KR 1020150031632A KR 20150031632 A KR20150031632 A KR 20150031632A KR 101619062 B1 KR101619062 B1 KR 1016190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roller assembly
roller
conveyor belt
closed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16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덕
Original Assignee
김영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덕 filed Critical 김영덕
Priority to KR10201500316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90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90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90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60Arrangements for supporting or guiding belts, e.g. by fluid j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3/00Driving gear for endless conveyors; Belt- or chain-tensioning arrangements
    • B65G23/02Belt- or chain-engaging elements
    • B65G23/04Drums, rollers, or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7/00Combinations of mechanical conveyors of the same kind, or of different kind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or use in particular manufacturing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9/00Rollers, e.g. drive rollers, or arrangements thereof incorporated in roller-ways or other types of mechanical conveyors 
    • B65G39/02Adaptations of individual rollers and suppor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128Belt conveyors
    • B65G2812/02138Common features for belt convey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llers For Roller Conveyors For Transf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조립이 용이하도록 구조를 개선하고, 교체 등의 작업도 원활하게 할 수 있어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다관절 롤러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운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다관절 롤러 어셈블리는 컨베이어 벨트의 저면을 지지하여 이송시키는 롤러 어셈블리에 있어서, 중앙부에 위치되는 중앙롤러; 상기 중앙롤러의 양측면에 경사지게 연결되는 경사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경사롤러의 양측면에는 지지구조물에 결합되는 결합부가 구비된다.

Description

다관절 롤러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운송 장치 {MULTI JOINT ROLLER ASSEMBLY AND TRANSPORTING APPARATUS}
본 발명은 다관절 롤러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연료 또는 원료 등의 운송물의 운송시 컨베이어 벨트를 지지하는 구조를 개선하고, 밀폐관 내부에 설치되어 운송물 이송에 사용되도록 한 다관절 롤러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소, 발전소 등의 다양한 산업 설비에서는 연료 또는 원료 등의 운송물을 연속으로 운송하기 위한 운송장치가 구비된다.
일례로, 도 1과 도 2를 참고하면, 이러한 운송장치(1)는 운송물의 적재 또는 하역을 위해 컨베이어 벨트(10)를 연결하고, 이 컨베이어 벨트(10)의 하부에 롤러를 연속으로 설치하여 컨베이어 벨트(10)의 처짐을 방지하고 있다.
이때, 컨베이어 벨트(10)를 지지하는 롤러는 운송물의 편적이송을 방지하기 위해 하부로 오목하게 배열된 다관절 롤러 어셈블리(30)가 사용된다.
종래의 운송장치(1)는 운송물의 이송선상을 따라 마련되어 다관절 롤러 어셈블리(30)를 지지하는 프레임(20)을 포함하고, 이 프레임(20)에는 각각의 롤러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22)가 제공된다.
이때, 지지부(22)에 지지되는 롤러 중 가운데 부분에는 배치되는 중앙롤러(132)는 수평으로 배치되고, 이 중앙롤러(132)의 양측면에는 외측으로 갈수록 벌어지는 형태의 경사롤러(34)가 배치된다.
이러한 종래의 다관절 롤러 어셈블리(30)는 예컨대, 중앙부가 하부로 볼록한 형태로 컨베이어 벨트(10)를 지지하게 되며, 이에 따라 컨베이어 벨트(10)를 따라 운송되는 운송물이 중앙부로 모인 상태로 이동되어 운송물의 편적에 의한 사행 이동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프레임(20)의 하부에는 컨베이어 벨트(10)의 회수(리턴)을 위한 리턴롤러(40)가 연속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운송장치(1)는 프레임(20)의 설치 및 프레임(20)에 다관절 롤러 어셈블리(30)를 설치하는데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되고 있고, 프레임(20)으로 인해 전체적인 설비 하중이 증가하는 요인이 되고 있으며, 프레임(20)의 설치를 위한 작업공간 확보 등에도 어려움이 있다.
한편, 종래의 운송장치(1)는 운송물의 운송시, 환경적인 영향에 따라 운송물이 비산할 수 있고, 운송물의 일부가 낙하되어 운송물의 손실로 인한 경제적인 부담 및 주변 환경을 오염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또한, 종래에는 컨베이어 벨트(10)가 외부로 노출됨에 따라 비나 눈 등의 습기에 노출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운송물이 운송설비나 후속공정에 달라붙는 현상이 쉽게 발생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
이에 따라 종래의 운송장치(1)는 컨베이어 벨트(10)의 상부에 덮개를 설치하여 운송물의 노출을 방지하고 있으나, 덮개의 설치가 용이하지 않고, 덮개의 지지를 위해 프레임(20)의 구조가 복잡해지며, 이에 따른 작업시간도 증가하고 있고, 더불어 프레임(20) 자체의 하중이 증가되어 설비의 전체적인 하중이 증가되어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운송장치(1)가 설치되는 길이의 증가됨에 따라 시공성을 향상하기 위한 사용자의 요구가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며, 이에 따라 다관절 롤러 어셈블리(30)의 설치구조를 개선하고, 다관절 롤러 어셈블리(30)를 지지하는 구조를 전체적인 모듈화구조로 설계하여 시공성을 향상하고자 하는 노력이 지속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목적은 조립이 용이하도록 구조를 개선하고, 교체 등의 작업도 원활하게 할 수 있어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다관절 롤러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목적은 전술된 다관절 롤러 어셈블리를 쉽게 설치할 수 있으며, 운송물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전체적인 모듈 구조로 제공되어 시공성과 유지, 보수가 용이한 운송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다관절 롤러 어셈블리는 컨베이어 벨트의 저면을 지지하여 이송시키는 롤러 어셈블리에 있어서, 중앙부에 위치되는 중앙롤러; 상기 중앙롤러의 양측면에 경사지게 연결되는 경사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경사롤러의 양측면에는 지지구조물에 결합되는 결합부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경사롤러는 상기 컨베이어벨트에 접촉되도록 제공되고, 내부에 축방향 관통부를 갖는 튜브부재와, 상기 튜브부재에 삽입되어 상기 튜브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일단은 상기 중앙롤러와 연결되며 타단은 상기 결합부에 연결되는 경사 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경사 축부재는 상기 튜브부재를 탄성지지하기 위해 매개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경사 축부재를 따라 상, 하부에 위치되는 상, 하부 스프링 리테이너링과, 상기 상, 하부 스프링 리테이너링 사이에 매개되는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경사 축부재의 일측에 제공되어 상기 하부 스프링 리테이너링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링부재가 결합되는 링안착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튜브부재와 상기 경사 축부재 사이에 제공되는 마찰저감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구름부재를 매개로 연결되는 베어링유닛 또는 부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중앙롤러는 상기 컨베이어벨트에 접촉되도록 제공되고, 내부에 축방향 관통부를 갖는 중앙 튜브부재와, 상기 중앙튜브부재의 관통부에 삽입되며 양단부가 상기 경사롤러와 연결되는 중앙 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튜브부재와 상기 중앙 축부재 사이에 제공되는 마찰저감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찰저감부재는 구름부재를 매개로 연결되는 베어링유닛 또는 부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체결부재를 매개로 결합되는 체결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일측이 개방되어 상기 지지구조물에 걸리도록 제공되는 걸이부재(136)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운송장치는 연속적으로 연결가능토록 제공되며 내부에 컨베이어벨트의 이동공간을 제공하는 밀폐관; 및 상기 밀폐관 내측 상부 양측에 양단부가 결합되는 전술된 다수의 다관절 롤러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다관절 롤러 어셈블리에 제공되는 결합부는 상기 지지구조물에 걸리도록 제공되는 걸이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밀폐관은 내측 상부 양측에 결합되어 상기 밀폐관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다관절 롤러 어셈블리의 양단부에 제공된 걸이부재가 걸려 결합되는 지지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구조물은 상기 밀폐관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다수의 브래킷을 매개로 상기 밀폐관 내측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밀폐관은 컨베이어벨트의 이동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단면형상이 원형 또는 폐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다관절 롤러 어셈블리를 원하는 위치에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어 시공성을 향상할 수 있고, 프레임 구조를 간략화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다관절 롤러 어셈블리를 따라 이송하는 컨베이어 벨트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운송물이 비산이나 낙하를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른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전체적인 시공시 프레임 등의 구조가 필요하지 않고, 짧은 시간에 설치가 가능하여 시공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운송장치의 사시도.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운송장치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관절 롤러 어셈블리를 구비한 운송장치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관절 롤러 어셈블리를 구비한 운송장치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관절 롤러 어셈블리의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관절 롤러 어셈블리의 중앙롤러의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관절 롤러 어셈블리의 중앙롤러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관절 롤러 어셈블리의 경사롤러의 분해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관절 롤러 어셈블리의 경사롤러의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관절 롤러 어셈블리를 구비한 운송장치의 정면도.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의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으며, 도면상의 동일한 부호로 표시되는 요소는 동일한 요소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관절 롤러 어셈블리를 구비한 운송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관절 롤러 어셈블리를 구비한 운송장치의 측면도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관절 롤러 어셈블리의 정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의 운송장치(100)는 운송물을 밀폐한 상태로 운송하도록 제공된 장치로서, 밀폐관(120) 및 운송물이 적재되는 컨베이어 벨트(110)의 이동을 안내하는 다관절 롤러 어셈블리(130)를 포함할 수 있다.
밀폐관(120)은 운송물이 운송되는 라인 상에 제공되며, 소정의 길이로 제공되어 연속적으로 연결가능토록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밀폐관(120)은 컨베이어 벨트(110)가 이동하는 공간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내부가 빈 관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밀폐관(120)은 컨베이어 벨트(110)의 이동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단면형상이 정원형, 타원형을 포함하는 원형 또는 사각이나, 육각형 등의 폐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밀폐관(120)의 하부에는 컨베이어 벨트(110)의 회수(리턴)을 위한 리턴롤러(140)가 연속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밀폐관(120)의 양 단부에는 다른 밀폐관(120)과의 연결을 위한 플랜지(122)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밀폐관(120)의 외측에는 작업자가 밀폐관(12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이동공간을 제공하는 난간(127)이 제공될 수 있고, 밀폐관(120) 외부에서 내부 상황을 관측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관측창(128) 및 내부 출입을 위한 도어(129)가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밀폐관(120)에 제공되는 다관절 롤러 어셈블리(130)는 컨베이어 벨트(110)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제공되어, 컨베이어 벨트(110)를 이송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이러한 운송장치(100)는 밀폐관(120)이 모듈 단위로 제공될 수 있으며, 운송물이 운송되는 구간에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설치될 수 있다.
밀폐관(120)은 운송물이 운송되는 구간을 감싸도록 제공되며, 이에 따라 운송물을 외부와 밀폐할 수 있다.
또한, 밀폐관(120)의 내부에는 운송물의 이송방향을 따라 지지구조물(124)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밀폐관(120)의 지지구조물(124)에는 다관절 롤러 어셈블리(130)가 걸려 결합될 수 있으며, 또는 체결부재를 매개로 결합되어 컨베이어 벨트(110)를 지지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다관절 롤러 어셈블리(130)는 중앙롤러(132) 및 중앙롤러(132)의 양측면에 경사진 관절 형태로 연결되는 경사롤러(13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다관절 롤러 어셈블리(130)는 밀폐관(120)에 설치를 위해 양단부에 결합부가 제공될 수 있다.
일례로, 다관절 롤러 어셈블리(130)에 제공되는 결합부는 걸이부재(136)를 포함할 수 있다.
걸이부재(136)는 단부의 연장부가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굽은 형태로 제공된 것으로, 일측이 개방된 고리 형태로 제공되어 지지구조물(124)에 걸리기 용이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개방된 부분을 통해 지지구조물(124)에 끼워진 후 걸이부재(136)의 일측이 지지구조물(124)에 걸리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걸이부재(136)는 예컨대 전체적으로 후크(hook)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지지구조물(124)은 밀폐관(120)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예컨대 파이프, 원봉 등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구조물(124)은 브래킷(124a)을 매개로 밀폐관(120)의 내측에서 소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결합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제공된 지지구조물(124)에 다관절 롤러 어셈블리(130)의 걸이부재(136)가 적정한 간격으로 걸리며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다관절 롤러 어셈블리(130)는 컨베이어 벨트(110)의 하부를 지지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운송물을 안정적으로 운송할 수 있다.
한편, 다관절 롤러 어셈블리(130)는 양단부가 지지구조물(124)에 걸린 상태에서 중앙부는 하측으로 볼록하게 위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다관절 롤러 어셈블리(130)의 배열 형태에 따라 컨베이어 벨트(110)도 하측으로 볼록하게 굴곡된 상태로 이송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컨베이어 벨트(110)는 다관절 롤러 어셈블리(130)에 의해 하측으로 볼록하게 굴곡됨에 따라 운송물이 운송되는 과정에서 컨베이어 벨트(110)의 주변부로 낙하하거나 편적되어 이동하는 것을 방지토록 제공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다관절 롤러 어셈블리(130)는 컨베이어 벨트(110)의 중앙부를 지지토록 중앙부에 위치되는 중앙롤러(132)를 포함하고, 이 중앙롤러(132)의 양측면에 연결되어 컨베이어 벨트(110)의 나머지 양측면을 지지하기 위해 외측으로 갈수록 상측으로 올라가는 경사를 갖는 경사롤러(13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중앙롤러(132)와 경사롤러(134)의 연결부는 핀 부재 등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관절 롤러 어셈블리의 중앙롤러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관절 롤러 어셈블리의 중앙롤러의 단면도이다.
도 6과 도 7을 참고하면, 중앙롤러(132)는 컨베이어 벨트(110)와 실질적으로 접촉되는 중앙 튜브부재(1322)를 포함할 수 있고, 이 중앙 튜브부재(1322)의 중앙부에는 축방향으로 관통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중앙 튜브부재(1322)의 관통부에는 중앙 축부재(1324)가 삽입되어, 중앙 튜브부재(1322)를 회전가능토록 지지할 수 있다. 중앙 튜브부재(1322)의 양단부에는 핀 부재를 매개로 양측 경사롤러(134)가 회전 가능토록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중앙 튜브부재(1322)와 중앙 축부재(1324) 사이에는 중앙 튜브부재(1322)의 회전시 마찰을 저감하기 위한 마찰저감부재(1326)가 제공될 수 있으며, 이때 사용되는 마찰저감부재(1326)로는 구름부재를 매개로 연결되는 베어링유닛(1326a) 또는 부싱부재(1326b)가 사용될 수 있다.
부싱부재(1326b)는 나일론 또는 테프론 등과 같은 부재로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마찰저감부재(1326)는 베어링유닛(1326a)과 부싱부재(1326b)가 함께 사용될 수 있고, 베어링유닛(1326a)의 외측에 부싱부재(1326b)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베어링유닛(1326a) 또는 부싱부재(1326b) 사이에는 오일 등이 공급될 수 있으며, 오일이 주변의 이물질 등에 의해 오염되지 않도록 마찰저감부재(1326)의 외측에 커버(1328) 및 오일씰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경사롤러(134)의 양측면에는 지지구조물(124), 예컨대 밀폐관(120)에 결합되기 위한 결합부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일례로 본 실시예에서 결합부는 걸이부재(136)로 제공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관절 롤러 어셈블리의 경사롤러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관절 롤러 어셈블리의 경사롤러의 단면도이다.
도 8과 도 9를 참고하여 경사롤러(134)에 대해 설명하면, 경사롤러(134)는 컨베이어 벨트(110)에서 중앙롤러(132)에 지지되지 않는 나머지 양측 부분에 접촉되는 경사 튜브부재(134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경사 튜브부재(1342)는 내부에 축방향 관통부가 형성될 수 있고, 경사 튜브부재(1342)의 관통부에는 경사 튜브부재(1342)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경사 축부재(1344)가 삽입될 수 있다.
경사 축부재(1344)는 일단은 중앙롤러(132)와 연결되고, 타단은 결합부에 연결되어 경사 튜브부재(1342)를 지지할 수 있다.
경사 튜브부재(1342)는 경사 축부재(1344)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에 따라 컨베이어 벨트(110)의 하부를 지지하며 컨베이어 벨트(110)가 이동하도록 회전될 수 있다.
한편, 경사 튜브부재(1342)는 경사 축부재(1344)에 결합된 상태에서 컨베이어 벨트(110)에 적재되는 운송물의 하중 또는 운송물의 편적 등에 따라 경사 축부재(1344)를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경사 축부재(1344)에는 경사 튜브부재(1342)를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가 매개될 수 있으며, 이 탄성부재의 신축에 의해 경사 튜브부재(1342)가 탄성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탄성부재는 경사 축부재(1344)의 외경을 따라 권취된 형상을 갖는 코일 스프링(1345)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코일 스프링(1345)의 양단부는 경사 축부재(1344)에 삽입된 상, 하부 스프링 리테이너링(1346a, 1346b)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이때, 코일 스프링(1345)의 상부는 상부 스프링 리테이너링(1346a)에 의해 경사 튜브부재(1342)의 내측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코일 스프링(1345)의 하부는 하부 스프링 리테이너링(1346b)에 지지될 수 있다.
하부 스프링 리테이너링(1346b)은 경사 축부재(1344)의 일측에 형성된 링안착홈(1344a)에 결합된 링부재(1346c)에 지지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코일 스프링(1345)을 통해 전달되는 경사 튜브부재(1342)의 경사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한편, 경사 튜브부재(1342)는 경사 축부재(1344)에 대해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마찰저감부재(1348)를 매개로 연결될 수 있다.
일례로 본 실시예에서 마찰저감부재(1348)는 구름부재를 매개로 연결되는 베어링유닛(1348a) 또는 부싱부재(1348b)를 포함할 수 있다.
부싱부재(1348b)는 나일론 또는 테프론 등과 같은 부재로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마찰저감부재(1326)는 베어링유닛(1348a)과 부싱부재(1348b)가 함께 사용될 수 있고, 베어링유닛(1348a)의 외측에 부싱부재(1348b)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베어링유닛(1348a) 또는 부싱부재(1348b) 사이에는 오일 등이 공급될 수 있으며, 오일이 주변의 이물질 등에 의해 오염되지 않도록 마찰저감부재(1326)의 외측에 커버(1349) 및 오일씰이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마찰저감부재(1326)는 경사 튜브부재(1342)에 직접 설치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경사 튜브부재(1342)의 관통부 단부에는 관통부를 마감하며 마찰저감부재(1326)가 수용되는 커버부재(138)가 결합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이송장치 및 이 이송장치에 제공되는 다관절 롤러 어셈블리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이송장치(1)를 구성하는 밀폐관(120)이 운송물의 이송라인을 따라 설치될 수 있다. 밀폐관(120)의 내부 상측 양측에는 소정 간격으로 브래킷(124a)이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브래킷(124a)은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되거나, 용접에 의해 일체로 접합될 수 있다. 그리고, 브래킷(124a)에는 파이프 또는 원봉 형태의 지지구조물(124)이 결합될 수 있다.
밀폐관(120)은, 공장에서 제조시 브래킷(124a) 및 지지구조물(124)이 결합되고, 하부에 리턴롤러(140)가 설치된 상태의 모듈 단위로 공급될 수 있으며, 현장에서는 밀폐관(120)을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운송물의 이송라인에 밀폐관(120)이 설치되면, 다관절 롤러 어셈블리(130)를 밀폐관(120)에 설치한다. 이때, 다관절 롤러 어셈블리(130)의 걸이부재(136)를 밀폐관(120)의 지지구조물(124)에 거는 것만으로 모든 설치가 완료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이송장치(1)는 다수의 다관절 롤러 어셈블리(130)가 밀폐관(120)의 내부에 쉽게 결합될 수 있고, 다관절 롤러의 교환, 수리 등이 필요할 경우, 다관절 롤러의 걸이부재(136)를 밀폐관(120)의 지지구조물(124)에서 분리하여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이송장치(1)는 다관절 롤러 어셈블리(130)의 설치를 위한 별도의 프레임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설치가 용이하고, 밀폐관(120)에 의해 운송물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어, 원료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고, 원료의 비산으로 인한 환경문제 및 빗물 등의 습기가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다관절 롤러 어셈블리(130)에 제공되는 결합부는 걸이부재(136)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결합부는 걸이부재(136)외에도 체결부재(236)에 의해 고정되는 고정식으로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관절 롤러 어셈블리를 구비한 운송장치의 정면도이다.
예컨대, 도 10을 참고하면, 결합부는 체결부재를 매개로 밀폐관(120)의 내측면에 결합되는 체결블록(236)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체결블록(236)이 밀폐관(120) 내측면에 체결부재 또는 용접에 의해 결합된 상태에서, 핀 부재 등을 매개로 다관절 롤러 어셈블리(130)를 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100: 운송장치 110: 컨베이어 벨트
120: 밀폐관 124: 지지구조물
124a: 브래킷 130: 다관절 롤러 어셈블리
132: 중앙롤러 1322: 중앙 튜브부재
1324: 중앙 축부재 134: 경사롤러
1342: 경사 튜브부재 1344: 경사 축부재
1345: 코일 스프링 136: 걸이부재
138: 커버부재 140: 리턴롤러

Claims (15)

  1. 컨베이어 벨트의 저면을 지지하기 위하여, 중앙부에 위치되는 중앙롤러; 상기 중앙롤러의 양측면에 경사지게 연결되는 경사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경사롤러의 양측면에는 지지구조물에 결합되는 결합부가 구비되며, 상기 경사롤러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에 접촉되도록 제공되고, 내부에 축방향 관통부를 갖는 경사 튜브부재 및 상기 경사 튜브부재에 삽입되어 상기 경사 튜브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일단은 상기 중앙롤러와 연결되며 타단은 상기 결합부에 연결되는 경사 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경사 축부재는 상기 경사 튜브부재를 탄성지지하기 위해 매개되는 탄성부재가 설치되며,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경사 축부재를 따라 상, 하부에 위치되는 상, 하부 스프링 리테이너링과, 상기 상, 하부 스프링 리테이너링 사이에 매개되는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경사 축부재의 일측에 제공되어 상기 하부 스프링 리테이너링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링부재가 결합되는 링안착홈을 포함하며, 상기 경사 튜브부재와 상기 경사 축부재 사이에 제공되는 마찰저감부재를 포함하는 다관절 롤러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운송장치에 있어서,
    연속적으로 연결 가능토록 제공되며 내부에 컨베이어 벨트의 이동공간을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밀폐관;
    외부로부터 상기 밀폐관 내부를 관측하기 위하여 상기 밀폐관 외주면 둘레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는 관측창;
    외부로부터 상기 밀폐관 내부를 출입하기 하여 상기 밀폐관 외주면 둘레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는 도어;
    상기 밀폐관의 설치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밀폐관의 외측면부에 하나 이상으로 설치되는 난간을 더 포함하되,
    상기 밀폐관은,
    모듈 단위로 제공되는 중공형으로서 운송물이 운송되는 라인 상에 제공되며 단부에 플랜지가 형성되어 상호간에 연속적으로 연결 되며,
    상기 다관절 롤러 어셈블리는,
    상기 밀폐관의 길이방향에 대한 직교방향의 단면형상을 기준으로, 상기 밀폐관 내부의 중공을 호형상으로 구획하도록 양단부가 상기 밀폐관 내주면 상부 양측에 직접 결합되는 모듈형 운송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저감부재는,
    구름부재를 매개로 연결되는 베어링유닛 또는 부싱부재를 포함하는 모듈형 운송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롤러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에 접촉되도록 제공되고, 내부에 축방향 관통부를 갖는 중앙 튜브부재와,
    상기 중앙 튜브부재와 관통부에 삽입되며 양단부가 상기 경사롤러와 연결되는 중앙 축부재를 포함하는 모듈형 운송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튜브부재와 상기 중앙 축부재 사이에 제공되는 마찰저감부재를 더 포함하는 모듈형 운송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저감부재는,
    구름부재를 매개로 연결되는 베어링유닛 또는 부싱부재를 포함하는 모듈형 운송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체결부재를 매개로 결합되는 체결블록을 포함하는 모듈형 운송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일측이 개방되어 상기 지지구조물에 걸리도록 제공되는 걸이부재를 포함하는 모듈형 운송장치.
  12. 삭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관절 롤러 어셈블리에 제공되는 결합부는 상기 지지구조물에 걸리도록 제공되는 걸이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밀폐관은 내측 상부 양측에 결합되어 상기 밀폐관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다관절 롤러 어셈블리의 양단부에 제공된 걸이부재가 걸려 결합되는 지지구조물을 포함하는 모듈형 운송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구조물은 상기 밀폐관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다수의 브래킷을 매개로 상기 밀폐관 내측에 결합되는 모듈형 운송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관은 컨베이어 벨트의 이동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단면형상이 원형 또는 페다각형으로 형성되는 모듈형 운송장치.
KR1020150031632A 2015-03-06 2015-03-06 다관절 롤러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운송 장치 KR1016190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1632A KR101619062B1 (ko) 2015-03-06 2015-03-06 다관절 롤러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운송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1632A KR101619062B1 (ko) 2015-03-06 2015-03-06 다관절 롤러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운송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9062B1 true KR101619062B1 (ko) 2016-05-18

Family

ID=561135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1632A KR101619062B1 (ko) 2015-03-06 2015-03-06 다관절 롤러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운송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906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55071A (zh) * 2017-10-09 2018-01-09 李金平 一种循环压紧承托输送线
CN111874528A (zh) * 2020-08-06 2020-11-03 山东中煤工矿物资集团有限公司 一种新型输送机
CN117233000A (zh) * 2023-11-14 2023-12-15 河南国智工程管理有限公司 一种半自动冲击试验机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9971B1 (ko) * 2012-04-03 2012-11-12 주식회사 엠티에스코리아 벨트 컨베이어의 사행 조정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9971B1 (ko) * 2012-04-03 2012-11-12 주식회사 엠티에스코리아 벨트 컨베이어의 사행 조정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55071A (zh) * 2017-10-09 2018-01-09 李金平 一种循环压紧承托输送线
CN111874528A (zh) * 2020-08-06 2020-11-03 山东中煤工矿物资集团有限公司 一种新型输送机
CN111874528B (zh) * 2020-08-06 2021-11-19 山东中煤工矿物资集团有限公司 一种输送机
CN117233000A (zh) * 2023-11-14 2023-12-15 河南国智工程管理有限公司 一种半自动冲击试验机
CN117233000B (zh) * 2023-11-14 2024-03-08 河南国智工程管理有限公司 一种半自动冲击试验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9062B1 (ko) 다관절 롤러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운송 장치
CN100460297C (zh) 倾斜的壁
US7556141B2 (en) Cellular base structure for a reciprocating slat conveyor
CN102616528B (zh) 传动链和具有所述传动链的容器清洗机
US11252877B2 (en) Trolley conveyor
KR102074300B1 (ko) 트롤리 컨베이어
JP2008273744A (ja) コンベヤ
US10246265B2 (en) Belt conveyor system
US20160060040A1 (en) Tubular conveyor belt or pocket conveyor belt having a chevron profile arrangement on the carrying side thereof
US5027940A (en) Conveyor stub idler apparatus
AU2011302577B2 (en) Elevating conveyor
US8225926B1 (en) Troughing side idler for belt conveyors
US10773896B1 (en) Conveyor apparatus and system
KR200488598Y1 (ko) 배관 하역용 리프팅 장치
US9027742B2 (en) Conveyor system with different applications and isolation of the conveyed product in relation to the drive system
KR200488597Y1 (ko) 배관 하역용 리프팅 장치
KR102549954B1 (ko) 보조 컨베이어
US8733536B2 (en) Transfer station
US20210253360A1 (en) Return Roller Assemblies for Conveyor Systems
US4844241A (en) Conveyor stub idler roll apparatus
KR101657765B1 (ko) 코일리프터
KR200488596Y1 (ko) 배관 하역용 리프팅 장치
KR102074789B1 (ko) 컨베이어용 롤러의 만곡 형상 구조
CN2670291Y (zh) 一种改进的管式链板输送机
KR20150142491A (ko) 컨베이어 벨트 포설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