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8597Y1 - 배관 하역용 리프팅 장치 - Google Patents

배관 하역용 리프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8597Y1
KR200488597Y1 KR2020180005846U KR20180005846U KR200488597Y1 KR 200488597 Y1 KR200488597 Y1 KR 200488597Y1 KR 2020180005846 U KR2020180005846 U KR 2020180005846U KR 20180005846 U KR20180005846 U KR 20180005846U KR 200488597 Y1 KR200488597 Y1 KR 20048859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vot
center shaft
turning
receiving portion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58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일
Original Assignee
김재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일 filed Critical 김재일
Priority to KR20201800058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859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85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859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7/00Loading or unloading vehicles
    • B65G67/02Loading or unloading land vehicles
    • B65G67/04Loading lan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9/00Cranes comprising trolleys or crabs running on fixed or movable bridges or gantries
    • B66C19/005Straddle carr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76Tubes and pi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배관 하역용 리프팅 장치는 수직방향의 일정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단으로부터 일정 깊이 중공형상의 제1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수용부의 내주면에 암나사가 형성되는 회동중심축부; 일 단부에 상기 제1 수용부에 형성된 암나사에 대응하는 수나사가 형성되고, 타 단부는 상기 제1 수용부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구비되는 회동축승강부; 상기 회동중심축부의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회동중심축부를 지지하는 회동중심 지지부; 상기 회동중심축부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수직방향의 길이를 갖도록 구비되는 회동부; 상기 회동부의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회동부를 지지하는 회동부 지지부; 일측 단부는 상기 회동축 승강부의 상단에 힌지결합하고, 타측 단부는 상기 회동부의 상단에 힌지결합하는 가로 프레임; 및 상기 가로 프레임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결합하고, 배관을 승하강 시키기 위한 도르레를 구비하는 배관 승강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동중심축부의 외주면에 상기 배관 승강부에 의하여 들어올려진 배관에 연결되어 상기 회동부 측으로의 이동을 제한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회동중심축부의 외주면에서 회전가능하도록 외삽되는 외삽링; 상기 외삽링의 외주면에 연결되는 탄성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의 단부에 구비되는 고정고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배관 하역용 리프팅 장치{Lifting apparatus for loading and unloading of plumbing}
본 고안은 배관 하역용 리프팅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배관의 하역과정에서 배관의 승강시켜 이송용 차량 등에 선적을 돕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 가스나 물, 기름(석유)과 같은 기체 및 액체의 물질을 이송하기 위해서는 내부가 비어 있는 배관파이프 등을 사용한다 이러한 배관파이프는 광범위한 지역으로의 이송뿐만 아니라 건물에도 많이 설치 사용하는데, 배관파이프의 사용용도에 따라 다양한 크기와 재질 등을 고려하여 생산, 운반, 보관, 사용 등의 행위를 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이러한 배관파이프들을 짧은 구간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하나의 구성이나 적은 수량의 배관파이프들로 결합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일반적으로는 많은 양의 배관파이프를 운반하고 상하차 등의 하역작업을 한뒤, 조립 내지 결합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이송 및 설치과정에서 적지 않는 영향을 받아 현장에서의 사용에 큰 어려움이 발생한다 즉, 대량의 배관파이프를 생산한 뒤, 차량에 적재하여 현장으로 운반하기 위해서는 인력 또는 지게차와 같은 기계장치를 이용하여 파이프를 운반한 후, 파이프를 연결 사용하고자 하는 위치에 일반 체인이나 파이프의 유동이 가능한 이송용 기계장치를 이용하여 운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장치의 일 예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93446호 "배관파이프 등의 운반과 하역에 유용한 이송 리프팅 장치기"를 들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은 리프트 장치는 배관등을 연결하여 리프팅한 상태에서는 이동이 상대적으로 어려울 뿐 아니라 리프팅 장치의 무게중심의 문제 등으로 이동과정이 배관등을 리프팅하지 않은 빈 상태에 비하여 사고의 위험성이 많이 존재한다.
(특허문헌 1) KR10-1693446 B1
본 고안은 배관을 리프팅한 상태에서 최소한의 거리를 이동하도록 하고, 배관이 거치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대적으로 많은 거리를 이동하도록 작업동선을 가능하도록 하는 배관파이프 하역용 리프팅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배관을 리프팅한 상태에서 이동하는 경우 보다 이동에 필요한 힘이 적게 소요될 수 있도록 하고, 역으로 배관을 내린 후 빈 상태에서도 원래의 위치로 용이하게 복귀할 수 있는 배관파이프 하역용 리프팅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배관을 실은 상태에서 이동 시 무게 중심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배관파이프 하역용 리프팅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배관을 실은 상태에서 이동 시 흔들림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배관파이프 하역용 리프팅 장치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 따른 배관 하역용 리프팅 장치는 수직방향의 일정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단으로부터 일정 깊이 중공형상의 제1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수용부의 내주면에 암나사가 형성되는 회동중심축부; 일 단부에 상기 제1 수용부에 형성된 암나사에 대응하는 수나사가 형성되고, 타 단부는 상기 제1 수용부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구비되는 회동축승강부; 상기 회동중심축부의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회동중심축부를 지지하는 회동중심 지지부; 상기 회동중심축부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수직방향의 길이를 갖도록 구비되는 회동부; 상기 회동부의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회동부를 지지하는 회동부 지지부; 일측 단부는 상기 회동축 승강부의 상단에 힌지결합하고, 타측 단부는 상기 회동부의 상단에 힌지결합하는 가로 프레임; 및 상기 가로 프레임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결합하고, 배관을 승하강 시키기 위한 도르레를 구비하는 배관 승강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동중심축부의 외주면에 상기 배관 승강부에 의하여 들어올려진 배관에 연결되어 상기 회동부 측으로의 이동을 제한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회동중심축부의 외주면에서 회전가능하도록 외삽되는 외삽링; 상기 외삽링의 외주면에 연결되는 탄성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의 단부에 구비되는 고정고리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는 적어도 일부가 스프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배관파이프 하역용 리프팅 장치는 배관을 리프팅한 상태에서 회전방식으로 이송차량을 향하여 배관을 이동시킴으로써 최소한의 거리를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고안 배관파이프 하역용 리프팅 장치는 배관을 리프팅한 상태에서 이동하는 경우 배관자체의 무게를 이용하여 리프팅 장치를 회동시킴으로써 이동에 필요한 힘이 적게 소요될 수 있도록 하고, 역으로 배관을 내린 후 빈 상태에서도 원복 스프링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원래의 위치로 용이하게 복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배관파이프 하역용 리프팅 장치는 배관을 실은 상태에서 이동 시 간단한 무게추 구조를 통하여 중심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배관파이프 하역용 리프팅 장치는 배관을 실은 상태에서 회동 시 홀드부가 배관파이프를 회전축에 인접한 지점에서 잡아줌으로써 배관 파이프의 흔들림을 최소화하고 리프팅 장치의 회동을 적은 힘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다른 배관 하역용 리프팅장치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하역용 리프팅 장치의 모습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따른 배관 하역용 리프팅 장치의 일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배관 하역용 리프팅 장치가 회동한 상태의 모습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관 하역용 리프팅장치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하역용 리프팅장치를 이용한 배관의 하역과정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하역용 리프팅장치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다른 배관 하역용 리프팅장치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하역용 리프팅 장치의 모습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또한 도 3은 도 2에 따른 배관 하역용 리프팅 장치의 일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배관 하역용 리프팅 장치가 회동한 상태의 모습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하역용 리프팅 장치(100)는 메인 프레임 구조로서 회동중심축부(110), 회동부(130) 및 가로 프레임(140)을 포함한다.
회동중심축부(110)는 바 형상으로 형성되며, 수직방향의 일정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회동중심 지지부(113)는 회동중심축부(110)의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회동중심축부를 지지한다. 회동중심 지지부(113)의 하단에는 이동을 위한 바퀴가 형성될 수 있으며, 바닥에 회동중심 지지부(113)를 고정시키기 위한 별도의 고정부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회동중심축부(110)의 상단에는 중심축 방향을 따라 홈 형상으로 형성된 제1 수용부가 형성되어 후술할 회동축승강부(111)를 수용한다.
이 때 회동중심축부(110)의 상단 중공구조의 내주면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나사(1101)가 형성되며, 회동축승강부(111)의 하단 외주면에는 이에 대응하는 수나사(1111)가 형성된다. 회동중심축부(110)의 수나사부(1111)가 암나사(1101)과 맞물려 있기 때문에 회동축승강부(111)가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경우 회동축승강부(111) 자체는 상승하거나 하강하게 된다. 이 때 회동축승강부(111)의 수나사(1111)의 반대측 단부는 회동중심축부(110)의 외측으로 노출된다.
회동중심축부(110)의 상단 중공구조인 제1 수용부의 저부에는 회동축승강부(111)를 지지하는 스프링부재(119)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프링부재(119)는 회동축승강부(111)를 지지하면서 탄성에 의하여 회동축승강부(111)를 상향 밀어올리는 작용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암나사와 수나사에 의한 나사체결방식은 두줄나사로 형성하거나 나사산의 각도를 크게 형성하는 방식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나사를 축둘레로 1회전 하였을 때 나사산의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거리가 일반적인 나사체결방식에 비하여 크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두줄나사는 리드가 피치의 두배와 같은 나사를 의미한다. 일반적인 경우와 같이 회전력을 중심축 방향으로의 직진방향으로의 큰 힘으로 전환하는 경우와 달리, 본 실시에에서의 나사체결방식은 리드를 크게 형성함으로써 적은 회전으로 큰 거리이득을 얻기 위한 구성부이다.
회동부(130)는 상술한 회동중심축부(110)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수직방향의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회동부(130)는 마찬가지로 바 형상으로 형성되며, 회동부 지지부(133)에 의하여 지지되며 하단에는 이동을 위한 바퀴(135)가 구비된다.
한편, 회동중심 지지부(113)와 회동부 지지부(133)에는 각각 회동중심축부(110)와 회동부(13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보조 프레임들을 추가적으로 더 형성할 수 있다.
가로 프레임(140)은 바 형상으로 형성되며, 양 단부가 각각 회동축승강부(111)의 상부와 회동부(130)의 상부에 힌지 결합된다. 본 고안에 따른 배관 하역용 리프팅 장치(100)가 바닥에 고정된 상태에서 회동부(130)의 힌지(137)는 바닥으로부터 일정한 높이로 유지되며, 이에 비하여 회동축승강부(111)의 힌지(117)는 회동축승강부(111)의 회전에 따라 회동축승강부(111)와 함께 상승하거나 하강하게 된다.
가로 프레임(140)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레일(141)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동체(147)가 레일(141)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한다. 배관승강부(145)는 이동체(147)와 도르레(149)를 구비한다. 도르레(149)는 배관 더미를 걸어 상향 리프팅하거나 하강시키는 기능을 하며, 이동체(147)는 레일(141)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도르레(149)의 가로방향 위치를 이동시키는 기능을 한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인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부(137)와 가로 프레임(140)이 회동중심축부(110)를 기준으로 회동하는 경우 회동축승강부(111)의 힌지(117)가 하강하게 된다.
한편, 회동중심축부(110)의 외주면에 배관 승강부(145)에 의하여 들어올려진 배관에 연결되어 회동부(130) 측으로의 이동을 제한하는 고정부(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120)는 외삽링(121), 탄성부재(123) 및 고정고리부(125)를 포함한다. 외삽링(121)은 회동중심축부(110)의 외주면에 일정한 수직 위치를 유지하면서 회전가능하도록 외삽된다. 탄성부재(123)는 외삽링(121)의 외주면에 연결되고, 타측 단부에는 고정고리부(125)가 구비된다. 고정고리부(125)는 배관 승강부(145)에 의하여 상승된 배관더미의 일부분에 걸리게 된다. 탄성부재(123)는 적어도 일부가 스프링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기타 탄성력을 구비하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5를 참조하여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관 하역용 리프팅 장치를 설명한다. 도 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관 하역용 리프팅장치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배관 하역용 리프팅 장치(100a)는 토크 상쇄부(150)를 더 포함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회동부(130)에는 회동중심축부(110)를 중심으로 회동하는 경우 또는 회동하다가 멈추어야 하는 경우 회동부(130)의 힌지(137)에는 회동 방향으로의 토크가 작용하게 된다. 토크 상쇄부(150)는 이러한 토크를 상쇄시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자 하는 구성부이다.
토크 상쇄부(150)는 회동부(130)의 회동경로의 법선방향 중 회동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술한 토크를 상쇄시킨다. 구체적으로 제1 연장암(151)은 회동부(130)의 상부로부터 하향 경사지도록 연장된다. 제2 연장암(152)은 회동부(130)의 중앙부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제1 연장암(151)과 연결된다. 제3 연장암(153)은 제1 연장암(151)과 제2 연장암(152)의 연결지점으로부터 하향 연장된다.가중부(155, 157, 159)는 제3 연장암(153)의 하단부 측에 연결된다.
가중부는 가중부 지지판(155), 삽입봉(157) 및 무게보정판(159)를 포함한다. 가중부 지지판(155)은 판형으로 형성되며, 제3 연장암(153)의 하단부에 연결된다. 삽입봉(157)은 가중부 지지판(155)의 중앙측에서 상향 연장되도록 형성되며, 무게보정판(159)의 중공부에 삽입되어 무게보정판(159)을 고정시킨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하역용 리프팅 장치를 이용한 배관의 하역과정을 설명한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하역용 리프팅장치를 이용한 배관의 하역과정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축승강부(111)의 힌지(117)가 상대적으로 상승되어 있는 상태에서 배관(PL)들이 적재되어 있는 일측으로부터 배관(PL) 더미를 배관 승강부(145)를 이용하여 상승시킨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120)를 이용하여 배관(PL) 더미들이 회동부(130) 측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제한한 상태에서 회동부(130) 및 가로 프레임(140)을 위에서 볼 때를 기준으로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동시킨다.
이는 회동축승강부(111)와 회동중심축부(110)의 체결방식을 왼나사로 구성한 경우이며, 오른나사 체결방식으로 구성한 경우에는 회동부(130) 및 가로 프레임(140)을 위에서 볼 때를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동시킨다.
이와 같은 회동을 한 상태에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용 차량 등을 가로 프레임(140)의 하부에 이동시키고 배관(PL)을 하강시킨다.
한편, 회동축승강부(111)와 회동중심축부(110)의 나사체결방식에 의하여 도 7의 상태에서 도 8의 상태로 회동하는 경우 배관(PL)의 무게가 회동을 보다 적은 힘으로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하게되며, 반대로 배관(PL)을 내려놓은 후 원위치로 회동하는 경우에는 회동중심축부(110)의 상부에 수용되어 있는 스프링부재(119)에 의하여 적은 힘으로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100, 100a: 배관 하역용 리프팅장치
110: 회동중심축부
111: 회동축승강부
113: 회동중심 지지부
119: 스프링부재
120: 고정부
121: 외삽링
123: 탄성부재
125: 고정고리부
130: 회동부
140: 가로 프레임
141: 레일
145: 본체
149: 도르레
150: 토크 상쇄부

Claims (2)

  1. 수직방향의 일정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단으로부터 일정 깊이 중공형상의 제1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수용부의 내주면에 암나사가 형성되는 회동중심축부;
    일 단부에 상기 제1 수용부에 형성된 암나사에 대응하는 수나사가 형성되고, 타 단부는 상기 제1 수용부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구비되는 회동축승강부;
    상기 회동중심축부의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회동중심축부를 지지하는 회동중심 지지부;
    상기 회동중심축부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수직방향의 길이를 갖도록 구비되는 회동부;
    상기 회동부의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회동부를 지지하는 회동부 지지부;
    일측 단부는 상기 회동축 승강부의 상단에 힌지결합하고, 타측 단부는 상기 회동부의 상단에 힌지결합하는 가로 프레임; 및
    상기 가로 프레임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결합하고, 배관을 승하강 시키기 위한 도르레를 구비하는 배관 승강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동중심축부의 외주면에 상기 배관 승강부에 의하여 들어올려진 배관에 연결되어 상기 회동부 측으로의 이동을 제한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회동중심축부의 외주면에서 회전가능하도록 외삽되는 외삽링;
    상기 외삽링의 외주면에 연결되는 탄성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의 단부에 구비되는 고정고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동부에는 상기 회동부의 회동경로의 법선방향 중 상기 회동부의 회동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어 회동 시 상기 배관에 의하여 상기 회동부에 작용하는 토크를 상쇄시키기 위한 토크 상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토크 상쇄부는,
    상기 회동부의 상부로부터 하향 경사지도록 연장되는 제1 연장암;
    상기 회동부의 중앙부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연장암과 연결되는 제2 연장암;
    상기 제1 연장암과 상기 제2 연장암의 연결지점으로부터 하향 연장되는 제3 연장암; 및
    상기 제3 연장암의 하단부 측에 연결되는 가중부;를 포함하는 배관 하역용 리프팅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적어도 일부가 스프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배관 하역용 리프팅 장치.

KR2020180005846U 2018-12-14 2018-12-14 배관 하역용 리프팅 장치 KR20048859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5846U KR200488597Y1 (ko) 2018-12-14 2018-12-14 배관 하역용 리프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5846U KR200488597Y1 (ko) 2018-12-14 2018-12-14 배관 하역용 리프팅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8597Y1 true KR200488597Y1 (ko) 2019-02-26

Family

ID=655155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5846U KR200488597Y1 (ko) 2018-12-14 2018-12-14 배관 하역용 리프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859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41933A (zh) * 2019-04-22 2019-06-28 平煤神马建工集团有限公司 一种用于厂房管道安装的提升架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41933A (zh) * 2019-04-22 2019-06-28 平煤神马建工集团有限公司 一种用于厂房管道安装的提升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15032B2 (en) Pipe roller assembly
US8113762B2 (en) Horizontal pipe storage and handling system
US9004509B2 (en) Transport cart with tilting load carrier
US20060045655A1 (en) Oilfield pipe-handling apparatus
KR101573184B1 (ko) Lng 탱크 컨테이너 로딩 및 언로딩 장치
KR200488597Y1 (ko) 배관 하역용 리프팅 장치
KR200488598Y1 (ko) 배관 하역용 리프팅 장치
US10336135B1 (en) Wheel adapter for a cargo container
JP2006232548A (ja) リフター
CN104210807A (zh) 物料提升装置
KR200488596Y1 (ko) 배관 하역용 리프팅 장치
US20120243967A1 (en) Movable conveyor for loading a container
KR101619062B1 (ko) 다관절 롤러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운송 장치
CN110944921A (zh) 用于浸漆的运输装置和方法
US20040265104A1 (en) Container transporting device
CN108137242A (zh) 具有枢转框架以及水平的导向和保持槽的支撑辊架
KR20120045778A (ko) 트럭용 캠핑박스 지지대
WO2012173567A1 (en) Support device, station and method for supporting a container
KR102262254B1 (ko) 화물운반 설비를 갖춘 다층 비계장치
CN204110777U (zh) 物料提升装置
KR102132034B1 (ko) 드럼 리프트
KR20220037905A (ko) 칸막이 판넬용 운반 대차
JP4852847B2 (ja) 鋼管の搬送設備
KR101775679B1 (ko) 지게차용 코일뎀핑장치
JP2007168866A (ja) 穀類搬送用コンテ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