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4300B1 - 트롤리 컨베이어 - Google Patents

트롤리 컨베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4300B1
KR102074300B1 KR1020180109014A KR20180109014A KR102074300B1 KR 102074300 B1 KR102074300 B1 KR 102074300B1 KR 1020180109014 A KR1020180109014 A KR 1020180109014A KR 20180109014 A KR20180109014 A KR 20180109014A KR 102074300 B1 KR102074300 B1 KR 1020743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track
trolley
hanger
roller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90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윤
Original Assignee
코리아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리아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리아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090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4300B1/ko
Priority to EP19859886.4A priority patent/EP3850941A4/en
Priority to PCT/KR2019/008581 priority patent/WO2020054958A1/ko
Priority to JP2021514625A priority patent/JP7185113B2/ja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43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4300B1/ko
Priority to US17/105,487 priority patent/US11252877B2/en
Priority to US17/105,280 priority patent/US20210127597A1/en
Priority to US17/105,227 priority patent/US11678616B2/en
Priority to US17/149,131 priority patent/US11299352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2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load-carriers suspended from overhead traction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30Details; Auxiliary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9/00Rollers, e.g. drive rollers, or arrangements thereof incorporated in roller-ways or other types of mechanical conveyors 
    • B65G39/10Arrangements of rollers
    • B65G39/20Arrangements of rollers attached to moving belts or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32Noise prevention fea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n Conveyers (AREA)

Abstract

관형의 레일트랙(10)과, 상기 레일트랙(10) 내부에서 이동하도록 설치된 트롤리 체인(20), 상기 트롤리 체인(20)의 롤러 중심축(21)에 하단이 연결된 연결수단(40)의 상단에 결합되어 이송물을 하단부에 매달도록 된 행거(50,60)를 구비하며, 상기 트롤리 체인(20)은 한쌍의 롤러(22)들이 이격 배치된 두개의 지지부재(23)들의 양측에서 회전가능하게 제공되고 레일트랙(10)의 내측 바닥면에 접촉되게 수직으로 배치된 수직롤러(24)와, 상기 수직롤러(24)들과 같은 구조로 레일트랙(10)의 내측의 양측면에 대하여 수평으로 접촉되게 배치된 수평롤러(25)가 교번적으로 서로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트롤리 컨베이어에 있어서,
상기 레일트랙(10)은 각파이프 형상의 관형으로 형성되고, 상면에 레일트랙의 길이방향을 따라 개구부(1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수단(40)은 수직롤러(24)의 지지부재(23)들 각각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방으로 돌출되어서 레일트랙(10) 상면에 형성된 개구부(11)를 관통하여 연장되어 형성된 연결부(4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됨으로써, 트롤리체인(20)이 이동하는 동안 상기 연결부(40)의 부분(45)가 상기 개구부(11)의 모서리들과 접촉되지 않게 되어 소음과 이물질의 발생이 방지되고, 종래 도금작업 또는 도장작업시 트롤리 컨베이어에서 발생된 이물질에 의한 이송물의 오염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트롤리 컨베이어{A Trolley Conveyer}
본 발명은 트롤리 컨베이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송시에 트롤리로 부터 이송물에 오염물질이 떨어지지 않고 소음 발생이 저감되도록 개선된 구조의 트롤리 컨베이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트롤러 컨베이어는 소형 부품의 도금이나 분체도장, 가죽제품 코팅과 같은 처리작업, 도계장에서의 닭의 털뽑기 작업, 세정의 작업과 같은 순차적인 작업들을 위하여 이송물을 행거에 매달아 이송시키는데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트롤리 컨베이어는 천장이나 지주에 설치되는 레일트랙을 따라 이동하는 트롤리 체인에 행거가 장착되어 있으며, 행거에 이송물을 매달아 이송하는 동안에 레일트랙에서 트롤리 체인이 이동하는 동안 마찰에 의해 발생되는 금속가루나 윤활유와 같은 오염물질이 이송물로 낙하되어 이송물을 오염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대한 개선책으로, 종래에는 도 1에 단면도로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 파이프 형상으로 된 레일트랙(1) 속에서 구름운동하여 이동하도록 트롤리 체인(2)이 배치되고, 상기 레일트랙(1)의 길이를 따라 상측에 개방된 개구부(6)가 형성되고, 트롤리 체인의 롤러(3)의 회전축(4) 일측이 상기 개구부(6)를 통해 연결부재(5)의 하단과 연결되고 연결부재의 상단은 반원형의 행거(7)에 연결되고, 상기 행거(7)의 반원형 하단에 이송물을 고정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하측이 폐쇄되고 상측에서 행거와의 연결을 위해 개구부(6)가 형성되어 개방된 구조로 레일트랙(1) 속에 배치된 트롤리 체인(2)이 이동하면서 발생되는 오염물질이 레일트랙(1)의 바닥으로 떨어지도록 하여 이송물이 낙하되는 오염물질에 의해 오염되지 않도록 하였다.
이러한 구조의 트롤리 컨베이어의 예로서 한국 등록특허 제10-1150368호(등록일자 2012년05월21일)에는 단부의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단부에 제1체결표시부가 형성되고, 길이방향에 따라 슬롯이 형성되는 레일, 및 상기 레일의 단부에 나사체결되도록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제2체결표시부가 형성되고, 슬롯이 형성되는 프랜지를 포함하되, 상기 제1체결표시부와 상기 제2체결표시부는, 서로 정합되는 경우에 상기 레일의 슬롯과 상기 프랜지의 슬롯이 서로 정합되도록 제공되는 트롤리 컨베이어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기술의 트롤리 컨베이어들에서 행거가 관형의 레일트랙에 대해 편심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행거가 도 1에서 이점쇄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측방으로 유동될 수 있어서, 트롤리 체인과 행거를 연결하는 연결부재가 레일트랙의 개구부의 모서리와 접촉되면서 이동함에 따라 소음이 발생될 뿐만 아니라 미세 금속가루가 발생되어 레일트랙 외측면에서 이송물 위로 낙하될 수 있어서 오염물질에 의한 이송물의 오염에 대한 문제가 완전히 해소되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150368호(등록일자 2012년05월21일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트롤리 컨베이어에서 발생되는 소음과 이물질이 이송물에 묻게 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레일트랙을 하부가 폐쇄되고 상면에 개방된 슬로트가 형성되게 구성한 각파이프 형태로 구성하고, 상기 레일트랙에서 이동하도록 배치된 트롤리 체인과 행거를 연결하는 연결부재가 레일트랙의 슬로트의 모서리와 접촉되지 않도록 하여 소음과 이물질 발생을 방지하도록 개선된 구조의 트롤리 컨베이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트롤리 컨베이어는, 관형의 레일트랙과, 상기 레일트랙 내부에서 이동하도록 설치된 트롤리 체인, 상기 트롤리 체인의 롤러 중심축에 하단이 연결된 연결수단의 상단에 결합되어 이송물을 하단부에 매달도록 된 행거를 구비하며,
상기 트롤리 체인은 한쌍의 롤러들이 이격 배치된 두개의 지지부재들의 양측에서 회전가능하게 제공되고 레일트랙의 내측 바닥면에 접촉되게 수직으로 배치된 수직롤러와, 상기 수직롤러들과 같은 구조로 레일트랙의 내측의 양측면에 대하여 수평으로 접촉되게 배치된 수평롤러가 교번적으로 서로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트롤리 컨베이어에 있어서,
상기 레일트랙은 각파이프 형상의 관형으로 형성되고, 상면에 레일트랙의 길이방향을 따라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수단은 수직롤러의 지지부재들 각각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방으로 돌출되어서 레일트랙 상면에 형성된 개구부를 관통하여 연장되어 형성된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된다.
상기 연결부는 레일트랙의 상면에 형성된 개구부을 관통하는 부분은 트롤리 체인이 이동하는 동안 상기 개구부의 모서리들과 접촉되지 않게 서로를 향해 경사지게 절곡된 다음 서로 접촉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각 연결부의 상단부에 수평으로 외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플랜지들이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들은 행거의 일단부에 형성된 수평연결부와 결합된다.
변형적으로, 상기 행거는 두개의 반원형의 행거부재들이 레일트랙에 대하여 외측으로 좌우 대칭구조로 배치되어 트롤리체인의 연결부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행거부재들 각각은 상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된 다음 외측으로 절곡되어 플랜지가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들은 트롤리체인의 연결부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플랜지와 결합되고, 행거의 하단부도 수직으로 연장된 부분에서 결합된다.
본 발명에 의한 트롤리 컨베이어는, 사각 파이프 형상의 레일트랙(10)에서 이동하는 트롤리체인(20)과 행거(50,60)를 연결하는 연결수단(40)의 연결부(41)가 레일트랙(10)의 상면에 형성된 개구부(11)을 관통하는 부분(45)이 서로를 향해 경사지게 절곡된 다음 접촉되게 구성됨으로써, 트롤리체인(20)이 이동하는 동안 상기 연결부(40)의 부분(45)가 상기 개구부(11)의 모서리들과 접촉되지 않게 되어 소음과 이물질의 발생이 방지되고, 종래 도금작업 또는 도장작업시 트롤리 컨베이어에서 발생된 이물질에 의한 이송물의 오염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트롤리 컨베이어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트롤리 컨베이어에서 레일트랙에 설치된 트롤리체인 및 행거의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3은 도 2의 트롤리 체인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트롤리 체인의 연결구조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2의 레일트랙에서 트롤리 체인의 연결부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6은 도 2의 변형예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
도 7은 도 3에서 트롤리 체인에서 수평롤러의 변형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8은 도 7의 수평롤러가 레일트랙에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트롤리 컨베이어의 실시예를 도시한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와 3에 있어서, 본 발명에 의한 트롤리 컨베이어는 관형의 레일트랙(10)과, 상기 레일트랙(10) 내부에서 이동하도록 설치된 트롤리 체인(20), 상기 트롤리 체인(20)의 롤러 중심축(21)에 하단이 연결된 연결수단(40), 상기 연결수단(40)의 상단에 결합된 반원형의 행거(5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라 상기 레일트랙(10)은 각파이프 형상의 관형으로 형성되고, 상면에 레일트랙의 길이방향을 따라 개구부(1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레일트랙(10) 속에서 이동하도록 배치된 트롤리 체인(20)은 도 3과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격 배치된 두개의 지지부재(23)들의 양측에서 한쌍의 롤러(22)들이 회전가능하게 제공되고 레일트랙(10)의 내측 바닥면에 접촉되게 수직으로 배치되어 수직하중을 지지하도록 된 다수의 수직롤러(24)들과, 상기 수직롤러(24)들과 같은 구조로 레일트랙(10)의 내측의 양측면에 대하여 수평으로 접촉되어 측방향의 힘을 지지하는 수평롤러(25)들을 포함한다.
상기 수직롤러(24)와 수평롤러(25)들은 서로 교번적으로 배치되는 구조로 힌지로 연결되어 있으며, 도 2에는 상기 수직롤러(24)가 레일트랙(10)의 내측 바닥에 배치된 상태가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상기 수평롤러(25)가 레일트랙(10) 내측의 양측면에 대하여 접촉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수직롤러(24)의 지지부재(23)들의 양단부에는 지지부재(23)들 사이에 연결블럭(27)이 힌지핀(28)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인접한 수평롤러(25)의 지지부재(23)의 단부는 힌지핀(29)으로 상기 연결블럭(27)에 수평으로 연결되어 트롤리 체인(20)의 수직롤러와 수평롤러들이 서로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서 트롤리 체인은 굴곡진 상태로 이동할 수 있으며, 이때 수직롤러와 수평롤러의 롤러들에 의해 레일트랙(10)의 내측 바닥면과 양측면에 대하여 수직하중과 수평하중을 지지하게 된다.
상기 수직롤러(24)들 각각의 한쌍의 롤러(22)이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회전축(30)이 상기한 두개의 이격된 지지부재(23)의 폭방향으로 관통하여 설치된다.
상기 연결수단(40)은 수직롤러(24)의 지지부재(23)들 각각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방으로 돌출되어서 레일트랙(10) 상면에 형성된 개구부(11)를 관통하여 연장되어 형성된 연결부(41)와, 상기 각 연결부(41)의 상단부가 수평으로 외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플랜지(43)들로 구성된다. 상기 플랜지(43)들은 행거(50)의 일단부에 형성된 수평연결부(51)와 볼트와 같은 체결수단으로 결합된다.
상기 연결부(41)의 하단은 지지부재(23)들의 상면에서 일체로 형성되어 상방으로 돌출된 다음 레일트랙(10)의 상면에 형성된 개구부(11)을 관통하는 부분(45)은 서로를 향해 경사지게 절곡되어 접촉된 상태로 형성된 다음, 서로 접촉되게 배치되어 형성되고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볼트와 같은 체결수단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행거(50)는 수평연결부(51)의 중심부 상면에서 상방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반원형으로 만곡되어 형성되며, 타단부로서의 하단은 수직으로 형성되고 홀(54)이 형성되어, 예를들어 이송물을 고리로 걸어서 매달려 지지되게 할 수 있다.
이로써, 비록, 상기 행거(50)가 레일트랙(10)에 대하여 편심되어 있음에도, 상기 개구부(11)의 폭을 좁게 형성하면서도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지지부재(23) 상면에서 일체로 돌출형성된 연결부(41)들이 개구부(11)를 관통하는 부분(45)에서 서로 접촉 또는 결합된 형태로 되어서, 트롤리체인(20)이 이동하는 동안 상기 트롤리체인(20)의 행거(50)와의 연결부(41)는 편심하중에도 불구하고 레일트랙(10)의 상면에 형성된 개구부(11)의 모서리와 접촉되지 않게 된다.
이송물을 행거(50) 하단에 매달은 상태로 트롤리 체인(20)이 사각파이프 형상의 레일트랙(10)에서 이동하는 동안 롤러와 레일트랙 사이에서 발생될 수 있는 이물질은 레일트랙 내부 바닥에 쌓이게 되고 외부로 누출되지 않으며, 또한 트롤리 체인에 형성된 행거와의 연결부(41)는 행거가 편심된 상태에서 이동하는 동안 레일트랙(10) 상면에 형성된 개구부(11)의 모서리와 전혀 접촉되지 않으므로 소음과 이물질의 발생이 방지되므로, 종래 도금작업 또는 도장작업시 트롤리 컨베이어에서 발생된 이물질에 의한 이송물의 오염이 방지된다.
도 6에는 도 2의 트롤리 컨베이어에서 행거(50)가 반원형으로 구성되어 행거 하단에 이송물을 매달면 레일트랙 내부에서 이동하는 트롤리체인(20)에 편심하중이 가해져서 레일트랙에 비틀림 모멘트가 발생되어 장기간 무거운 이송물의 이송에 사용되는 경우에 레일트랙의 변형이 발생되어 내구성의 저하 또는 롤러의 편마모로 인한 고장 발생을 방지하도록, 행거부재들을 레일트랙에 대하여 좌우 대칭되게 배치한 구조로 형성한 변형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의 변형예에서, 상기 행거(60)는 두개의 반원형의 행거부재(61)로 구성되며, 상기 행거부재들 각각은 상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된 다음 외측으로 절곡되어 플랜지(62)가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62)들은 트롤리체인(20)의 연결부(41)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플랜지(43)와 볼트로 체결되고, 행거(60)의 하단부도 수직으로 연장된 부분에서 볼트로 체결하여 결합됨으로써, 행거부재(61)들이 레일트랙(10)에 대하여 외측에서 좌우 대칭으로 배치되므로 종래 하나의 반원형의 레일트랙(10)의 사용시 발생되는 편심하중으로 인한 레일트랙(10)의 비틀림 변형의 문제가 전혀 발생되지 않게 된다.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의 트롤리 체인에서 수평롤러(25)가 한 쌍의 롤러(22)로 구성되어 있으나, 도 7에 변형예에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롤러(25)는 수평으로 배치된 하나의 롤러(22)가 상하 이격된 지지부재(23)들 사이에서 힌지핀(29)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지지부재(23)들의 양단부에서는 지지부재(23)들 사이에 연결블럭(27)이 배치되어 인접한 수직롤러들에 대하여 각도변위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으로 배치된 하나의 롤러(22)는 레일트랙(10) 내부에 배치되어 레일트랙(10)의 양측의 내측면들에 접촉되어 구름운동하도록 배치된다. 부호(11)는 레일트랙(10) 상면에 형성된 개구부(11)이다.
본 발명은 천장이나 지주에 설치되는 레일트랙에서 이동되는 트롤리체인에 행거가 연결되어 행거에 이송물을 운반하면서 이송물의 처리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트롤리 컨베이어에 이용될 수 있다.
10 : 레일트랙 11 : 개부부
20 : 트롤리 체인 21 : (롤러) 중심축
22 : 롤러 23 : 지지부재
24 : 수직롤러 25 : 수평롤러
40 : 연결수단 27 : 연결블럭
28,29 : 힌지핀 40 : 연결수단
41 : 연결부 43 : 플랜지
50, 60 : 행거 51 : 수평연결부
61 : 행거부재 62 : 플랜지

Claims (5)

  1. 관형의 레일트랙(10), 상기 레일트랙(10) 내부에서 이동하도록 설치된 트롤리 체인(20), 상기 트롤리 체인(20)의 롤러 중심축(21)에 하단이 연결된 연결수단(40) 및 상기 연결수단(40)의 상단에 결합되어 이송물을 하단부에 매달도록 된 행거(60)를 구비하며, 상기 레일트랙(10)은 각 파이프 형상의 관형으로 형성되고, 상면에 레일트랙의 길이방향을 따라 개구부(1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트롤리 체인(20)은 한 쌍의 롤러(22)들이 배치된 두 개의 지지부재(23)들의 양측에서 회전가능하게 제공되고 레일트랙(10)의 내측 바닥면에 접촉되게 수직으로 배치된 수직롤러(24)와, 상기 수직롤러(24)들과 같은 구조로 레일트랙(10)의 내측의 양측면에 대하여 수평으로 접촉되게 배치된 수평롤러(25)가 교번적으로 서로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수직롤러(24)의 지지부재(23)들의 양단부에는 지지부재(23)들 사이에 연결블럭(27)이 힌지핀(28)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인접한 수평롤러(25)의 지지부재(23)의 단부는 힌지핀(29)으로 상기 연결블럭(27)에 수평으로 연결되어 수직롤러(24)와 수평롤러(25)가 서로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트롤리 컨베이어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40)은 수직롤러(24)의 지지부재(23)들 각각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방으로 돌출되어서 레일트랙(10) 상면에 형성된 개구부(11)를 관통하여 연장되어 형성된 연결부(41)와 상기 각 연결부(41)의 상단부에 수평으로 외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어 상기 행거(60)와 결합하는 플랜지(43)들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41)에서 레일트랙(10)의 상면에 형성된 개구부(11)을 관통하는 부분(45)은 트롤리체인(20)이 이동하는 동안 상기 개구부(11)의 모서리들과 접촉되지 않게 서로를 향해 경사지게 절곡된 다음 서로 접촉되게 형성되어
    Figure 112020500521829-pat00009
    자 형상을 갖고,
    상기 행거(60)는 두개의 반원형의 행거부재(61)들이 레일트랙(10)에 대하여 외측으로 좌우 대칭구조로 배치되어 트롤리체인(20)의 연결부(41)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롤리 컨베이어.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행거부재(61)들 각각은 상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된 다음 외측으로 절곡되어 플랜지(62)가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62)들은 트롤리체인(20)의 연결부(41)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플랜지(43)와 결합되고, 행거(60)의 하단부도 수직으로 연장된 부분에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롤리 컨베이어.
KR1020180109014A 2018-09-12 2018-09-12 트롤리 컨베이어 KR1020743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9014A KR102074300B1 (ko) 2018-09-12 2018-09-12 트롤리 컨베이어
EP19859886.4A EP3850941A4 (en) 2018-09-12 2019-07-11 SINGLE-WAY OVERHEAD CONVEYOR AND PLANT GROWING SYSTEM USING THE SAME
PCT/KR2019/008581 WO2020054958A1 (ko) 2018-09-12 2019-07-11 트롤리 컨베이어 및 이를 이용한 식물재배시스템
JP2021514625A JP7185113B2 (ja) 2018-09-12 2019-07-11 トロリーコンベヤ及びそれを用いた植物栽培システム
US17/105,487 US11252877B2 (en) 2018-09-12 2020-11-25 Trolley conveyor
US17/105,280 US20210127597A1 (en) 2018-09-12 2020-11-25 Work room system for plant factory
US17/105,227 US11678616B2 (en) 2018-09-12 2020-11-25 Plant cultivation system using trolley conveyor
US17/149,131 US11299352B2 (en) 2018-09-12 2021-01-14 Automatic cart transport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9014A KR102074300B1 (ko) 2018-09-12 2018-09-12 트롤리 컨베이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4300B1 true KR102074300B1 (ko) 2020-03-17

Family

ID=700037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9014A KR102074300B1 (ko) 2018-09-12 2018-09-12 트롤리 컨베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430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52877B2 (en) 2018-09-12 2022-02-22 Korea Wheel Corporation Trolley conveyor
US11299352B2 (en) 2018-09-12 2022-04-12 Korea Wheel Corporation Automatic cart transport system
CN115264311A (zh) * 2022-09-30 2022-11-01 江苏科腾环境科技有限公司 一种库房用具有可实时多方位监测功能的监控系统
CN116174764A (zh) * 2023-03-01 2023-05-30 国网山东省电力公司滨州市滨城区供电公司 一种供电线缆走线槽安装打孔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27411A (ja) * 1994-10-28 1996-05-21 Osame Kogyo:Kk トロリー・コンベアー・レール接続体
JPH08208016A (ja) * 1995-02-03 1996-08-13 Honda Motor Co Ltd トロリコンベアのチェーンレール
JPH08277012A (ja) * 1995-04-07 1996-10-22 Tsubakimoto Chain Co オーバーヘッドコンベヤのトロリ走行レール支持装置
KR101150368B1 (ko) 2011-05-23 2012-06-08 (주)삼성에스엠티 트롤리 컨베이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27411A (ja) * 1994-10-28 1996-05-21 Osame Kogyo:Kk トロリー・コンベアー・レール接続体
JPH08208016A (ja) * 1995-02-03 1996-08-13 Honda Motor Co Ltd トロリコンベアのチェーンレール
JPH08277012A (ja) * 1995-04-07 1996-10-22 Tsubakimoto Chain Co オーバーヘッドコンベヤのトロリ走行レール支持装置
KR101150368B1 (ko) 2011-05-23 2012-06-08 (주)삼성에스엠티 트롤리 컨베이어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52877B2 (en) 2018-09-12 2022-02-22 Korea Wheel Corporation Trolley conveyor
US11299352B2 (en) 2018-09-12 2022-04-12 Korea Wheel Corporation Automatic cart transport system
US11678616B2 (en) 2018-09-12 2023-06-20 Korea Wheel Corporation Plant cultivation system using trolley conveyor
CN115264311A (zh) * 2022-09-30 2022-11-01 江苏科腾环境科技有限公司 一种库房用具有可实时多方位监测功能的监控系统
CN115264311B (zh) * 2022-09-30 2023-01-10 江苏科腾环境科技有限公司 一种库房用具有可实时多方位监测功能的监控系统
CN116174764A (zh) * 2023-03-01 2023-05-30 国网山东省电力公司滨州市滨城区供电公司 一种供电线缆走线槽安装打孔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4300B1 (ko) 트롤리 컨베이어
US11252877B2 (en) Trolley conveyor
US4215776A (en) Belt conveyor idler
US7757839B2 (en) Slides for endless belt conveyors
US7762387B2 (en) Conveyor idler assembly
CN100460297C (zh) 倾斜的壁
US6758325B2 (en) Trolley-type monorail conveyor system
US3580183A (en) Trolley and hanger apparatus
KR101490164B1 (ko) 의류 행거의 트랙이송 장치
US10246265B2 (en) Belt conveyor system
US20200039752A1 (en) Conveyor track assembly for a mechanical chain
US9856090B1 (en) Conveyor track assembly for a mechanical chain
US1662093A (en) Conveyer-bar construction
RU2524273C1 (ru) Наклонный ленточный конвейер
US20210009358A1 (en) Roller assembly for a conveyor belt
US1922970A (en) Self-loading and unloading trolley conveyer
KR102549954B1 (ko) 보조 컨베이어
CN216944701U (zh) 一种输送平台用防滑滚筒
US2922513A (en) Pan conveyor
US3002606A (en) Means for swinging freely suspended roller assemblies
KR20230093803A (ko) 의류 행거의 트랙이송 장치
JP2020045190A (ja) 吊り下げ支持装置
GB2261202A (en) A conveyor trolley
CA2517766A1 (en) Slide for conveyor assembly
US591235A (en) Door-hang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