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0368B1 - 트롤리 컨베이어 - Google Patents

트롤리 컨베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0368B1
KR101150368B1 KR1020110048618A KR20110048618A KR101150368B1 KR 101150368 B1 KR101150368 B1 KR 101150368B1 KR 1020110048618 A KR1020110048618 A KR 1020110048618A KR 20110048618 A KR20110048618 A KR 20110048618A KR 101150368 B1 KR101150368 B1 KR 1011503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flange
trolley conveyor
slot
troll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86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병호
Original Assignee
(주)삼성에스엠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삼성에스엠티 filed Critical (주)삼성에스엠티
Priority to KR10201100486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03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03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03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1/20Means incorporated in, or attached to, framework or housings for guiding load-carriers, traction elements or loads supported on moving surfaces
    • B65G21/22Rails or the like engaging sliding elements or rollers attached to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2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load-carriers suspended from overhead traction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5/00Mechanical convey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35/06Mechanical convey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prising a load-carrier moving along a path, e.g. a closed path, and adapted to be engaged by any one of a series of traction elements spaced along the pa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52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 B65G47/60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to or from conveyors of the suspended, e.g. trolley,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n Conve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롤리와 파이프 형상의 레일을 포함하는 트롤리 컨베이어에 관한 발명으로서, 상기 레일은 양쪽에 나사형상의 탭구조를 형성하고, 길이방향으로 슬롯이 형성되어 있고, 연결된 복수개의 상기 레일을 고정시키고, 내경 표면이 나사형상의 탭구조를 형성하고 있는 프랜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해서 설치가 용이한 트롤리 컨베이어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트롤리 컨베이어{Trolley conveyor}
본 발명은 트롤리 컨베이어에 관한 발명이다.
컨베이어는 물건을 연속적으로 이동, 운반하는 운반장치이다. 트롤리 컨베이어는 트롤리라고 불리는 레일 위를 움직이는 장치를 이용하여 물건을 운반한다. 트롤리 컨베이어는 천장에 레일을 고정한다. 이처럼 트롤리 컨베이어 설치작업은 비교적 높은 곳에서 진행된다. 특히 트롤리 컨베이어를 설치하는데 있어서 천장에 고정된 봉에 레일을 고정시키는 공정이 설치시간의 대부분을 차지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레일은 단위길이로 절단되어 있고, 레일을 이동경로에 맞도록 연결하여 트롤리 컨베이어를 설치한다. 이 때 레일과 레일 사이를 용접하여 연결하고, 연결부위를 도색한다. 레일의 양단을 용접을 통해서 연결하는 것은 설치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트롤리 컨베이어가 천장에 설치되는 경우 작업이 곤란하다. 이러한 문제점 때문에 최근에는 레일의 끝단에 프랜지를 설치하고, 프랜지에 형성되어 있는 볼트체결구를 통해서 레일을 연결한다.
그러나 이 또한 프랜지를 레일의 양 끝단에 설치할 때 용접을 해야 하고 프랜지를 고정시키는데 오차가 발생하여 레일이 맞닿는 부위가 정밀하게 연결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한다. 레일 연결부위의 오차는 트롤리 컨베이어 동작시에 소음의 발생원인이 되고, 트롤리의 수명에도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프랜지와 레일의 양 끝단을 손쉽게 연결하고, 레일의 위치가 정밀하게 연결되어, 고정되는 트롤리 컨베이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트롤리와 파이프 형상의 레일을 포함하는 트롤리 컨베이어에 있어서, 상기 레일은 양쪽에 나사형상의 탭구조를 형성하고, 길이방향으로 슬롯이 형성되어 있고, 연결된 복수개의 상기 레일을 고정시키고, 내경 표면이 나사형상의 탭구조를 형성하고 있는 프랜지를 포함한다.
실시예로서, 상기 프랜지는 복수개의 볼트체결공을 포함한다.
실시예로서, 상기 레일 및 상기 프랜지에 체결표시부가 포함된다.
실시예로서, 상기 체결표시부는 상기 레일에 형성된 슬롯과 대응되는 레일의 외면에 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트롤리 컨베이어를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다.
둘째, 트롤리 컨베이어의 레일을 보다 정밀하게 연결하고, 고정 시킬 수 있다.
셋째, 트롤리 컨베이어의 트롤리의 파손을 줄여 트롤리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인 트롤리 컨베이어의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인 프랜지의 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인 레일의 사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인 프랜지와 레일이 결합한 결합사시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인 프랜지와 레일에 체결표시부가 포함된 분리사시도이다.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들로 구체화될 수 있고, 여기에서 설명되는 양태들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다. 오히려, 상기 양태들은 실시예들을 더욱 철저하고 완전하게 되도록 해주며, 당업자에게 실시예들의 영역을 충분히 전달할 수 있도록 해준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트롤리 컨베이어는 트롤리라는 바퀴가 달린 장치를 레일에 설치한다. 트롤리들은 체인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각 체인은 컨베이어의 중간에 구비되어 있는 동력수단에 의해서 이동하면서 트롤리를 동작시키게 된다. 트롤리가 동작하면서 트롤리의 행거에 매달려 있는 기계부품 내지는 장치를 이동시킨다.
트롤리 컨베이어의 레일은 단면이 개구부를 갖는 원형모양을 하고 있으며, 외형은 긴 파이프 형상을 하고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인 트롤리 컨베이어의 사시도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롤리 컨베이어는 앞서 언급한 파이프 형상의 레일(100)을 천장에 매달려 있는 고정대에 부착시킨다. 중간에 동력원에 의해서 체인이 힘을 받으면 파이프 형상의 레일 내부에 구비되어 있는 트롤리(미도시)가 움직이게 되고 고리모양의 행거(300)가 레일(100)을 따라서 움직이게 된다.
이와 같은 트롤리 컨베이어는 주로 이동시키는 물체의 오염을 방지하고, 원활한 물체이동을 도모하기 위해서 사용되어지는 이동수단이다.
일반적인 컨베이어는 바퀴가 달린 이동수단이 레일을 따라서 이동하도록 설계된다. 이 때 이동수단을 서로 연결하고 있는 체인은 이동하는데 저항을 줄이기 위해서 미량의 윤활유를 이동 중간에 공급받게 된다. 윤활유가 체인에 쌓이고 레일에 묻은 윤활유와 결합된 먼지들이 쌓여 결국에는 행거에 매달린 물체에 떨어지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트롤리 컨베이어는 체인에 윤활유가 공급되더라도 윤활유가 행거에 매달린 이동하는 물체에 떨어지지 않아 컨베이어의 방식으로서 많이 사용된다.
트롤리 컨베이어의 설치는 천장에 고정대를 설치하고, 고정대의 각 부분에 파이프 형상의 레일을 취부한다. 다만 레일을 천장에 취부하기 전에 소정길이의 레일(100)을 서로 결합하게 되는데 레일간의 결합수단으로 용접을 하게 된다. 레일과 레일을 연결하는 설치단계는 트롤리 컨베이어의 설치 시간의 대부분을 차지할 만큼 오랜 시간이 소요된다.
레일과 레일간의 결합수단으로 용접을 통한 취부는 비교적 결합력이 뛰어나 작업의 난이도에도 불구하고 종래 자주 사용되는 취부방법이다.
레일(100)의 정확한 연결은 트롤리 컨베이어의 소음을 줄일 수 있으며, 물건에 가해지는 충격을 줄일 수 있게 되어 매우 중요한 설치요소이다.
그러나 용접을 통한 레일의 연결이 잘못된 경우에 이를 바로 잡기가 쉽지 않으며, 천장에 레일을 취부한 후에 이루어지는 레일간의 결합은 천장부근에서 용접이 이루어져야 하므로 작업이 곤란하다. 용접을 통한 레일의 연결을 대체하기 위해서 프랜지를 레일의 끝단에 각각 설치하여 프랜지를 볼트고정함으로서 레일을 연결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프랜지에 의한 고정 또한 프랜지를 레일에 고정할 때 용접을 해야 하고, 고정된 프랜지의 위치를 수정하기가 쉽지 않아 레일의 이격설치원인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프랜지(200)를 용접하지 않고, 프랜지(200)의 내측면과 레일(100)의 외측면에 탭핑구조를 형성하여 프랜지(200)와 레일(100)을 연결하고 레일(100)에 부착된 프랜지(200)간에 레일고정을 통해서 레일과 레일을 연결하게 된다.
도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인 프랜지의 사시도이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의 양 끝단에 연결되는 프랜지(200)는 원형형상일 수 있다. 레일의 외경크기가 프랜지(200)의 내경크기와 일치하고, 나사형상의 탭구조(220)가 프랜지의 내경 표면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프랜지(200)에는 볼트체결부(240)가 형성되어 있어 레일과 레일을 연결할 때 볼트와 너트가 체결되어 레일을 실질적으로 연결하고, 고정시키게 된다.
프랜지(200)는 레일의 지름 크기에 따라 다양한 사이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레일과 체결시에 트롤리의 행거가 외부로 돌출되어 이동될 수 있도록 슬롯이 형성되어 있다. 프랜지(200)의 내경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탭구조는 암나사 형상일 수 있으며, 숫나사 형상일 수 있다. 프랜지(200)의 내경표면 탭구조내경의 두께방향 전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프랜지(200)의 레일과 결합되었을 경우 레일의 단면과 프랜지(200)의 단면에 일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프랜지(200)의 외경 반지름은 내경반지름의 1.5 내지 2배일 수 있으며, 레일을 연결하기 위해서 프랜지와 다른 프랜지가 볼트체결될 때 프랜지 사이에 오링(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오링은 고무재질이나 실리콘재질로 될 수 있으며, 오링의 단면은 프랜지의 단면과 일치할 수 있다.
도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인 레일의 사시도이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100)은 양쪽에 나사형상의 탭구조(110)를 형성하고, 길이방향으로 슬롯(120)이 형성되어 있다. 탭구조의 두께는 프랜지의 두께와 일치할 수 있다. 탭구조는 암나사 또는 수나사일 수 있다. 트롤리의 행거가 부착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슬롯(120)이 형성되어 있으며 슬롯의 두께는 트롤리의 돌출부(미도시)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레일(100)은 프랜지와 같은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비교적 강한 강도를 갖는 합금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도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인 프랜지와 레일이 결합한 결합사시도이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랜지(200)와 레일(100)은 탭구조로 형성된 면을 일치시키고 회전시켜 고정하게 된다. 프랜지의 내경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산은 레일의 외경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산과 맞물려 있으며, 손쉽게 프랜지와 레일을 연결할 수 있다.
이처럼 프랜지와 레일을 연결하고 다른 일측에 부착되는 프랜지와 레일에서 프랜지의 볼트체결구를 일치시켜 볼트와 너트로 고정시킴으로서 레일의 연결을 완성된다. 연결된 레일은 천장에 부착된 고정대에 고정시킴으로서 트롤리 컨베이어의 설치가 완료된다.
도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인 프랜지와 레일에 체결표시부가 포함된 분리사시도이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랜지(200)와 레일(100)에는 체결표시부가 형성되어 있다. 프랜지의 체결표시부(260)는 양면에 모두 형성되어 있으며, 미세한 홈, 토출구 등의 형태일 수 있으며, 레일의 체결표시부(160)는 레일의 양측 끝 단면에 형성되어 있다. 프랜지의 체결표시부(260)와 레일의 체결표시부(160)를 일치시켜 프랜지와 레일의 결합시에 오차를 줄일 수 있게 된다.
체결표시부는 트롤리 콘베이어의 레일 일부분을 천장에 고정시키고 다른 레일을 연결하게 될 때 높은 곳에 형성되어 있는 슬롯부분을 일치시키는 것이 어려울 경우에 레일의 하단에 표시되어 있는 체결표시부와 프랜지의 체결표시부를 일치시켜 슬롯부분이 일치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00 레일 110 레일의 나사형상 탭구조
120 레일의 슬롯 160 레일의 체결표시부
200 프랜지 220 프랜지의 나사형상 탭구조
240 볼트체결부 260 프랜지의 체결표시부
300 행거

Claims (5)

  1. 파이프 형상의 레일 및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트롤리를 포함하는 트롤리 컨베이어에 있어서,
    단부의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단부에 제1체결표시부가 형성되고, 길이방향에 따라 슬롯이 형성되는 레일; 및
    상기 레일의 단부에 나사체결되도록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제2체결표시부가 형성되고, 슬롯이 형성되는 프랜지;를 포함하되,
    상기 제1체결표시부와 상기 제2체결표시부는, 서로 정합되는 경우에 상기 레일의 슬롯과 상기 프랜지의 슬롯이 서로 정합되도록 제공되는
    트롤리 컨베이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랜지는, 복수의 볼트체결공이 형성되는 트롤리 컨베이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체결표시부는, 상기 레일의 단부의 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2체결표시부는, 상기 프랜지의 측면에 형성되는 트롤리 컨베이어.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랜지는, 상기 레일의 양단부에 각각 체결되는 트롤리 컨베이어.
  5. 길이방향에 따라 제1슬롯이 형성되고, 단부의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단부에 제1체결표시부가 형성되는 레일 및 제2슬롯이 형성되고,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제1체결표시부와 정합되는 경우에 상기 제1슬롯과 상기 제2슬롯이 정합되도록 제2체결표시부가 형성되는 프랜지;를 포함하는 트롤리 컨베이어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레일의 단부에 상기 프랜지가 나사체결되는 단계;
    상기 제1체결표시부와 상기 제2체결표시부가 일치하도록 상기 프랜지를 회전시켜 상기 레일의 슬롯과 상기 프랜지의 슬롯을 정합하는 단계; 및
    상기 프랜지를 다른 프랜지와 연결하여 복수 개의 상기 레일을 연속적으로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트롤리 컨베이어의 제조방법.

KR1020110048618A 2011-05-23 2011-05-23 트롤리 컨베이어 KR1011503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8618A KR101150368B1 (ko) 2011-05-23 2011-05-23 트롤리 컨베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8618A KR101150368B1 (ko) 2011-05-23 2011-05-23 트롤리 컨베이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50368B1 true KR101150368B1 (ko) 2012-06-08

Family

ID=466884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8618A KR101150368B1 (ko) 2011-05-23 2011-05-23 트롤리 컨베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036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4300B1 (ko) 2018-09-12 2020-03-17 코리아휠 주식회사 트롤리 컨베이어
WO2020054958A1 (ko) 2018-09-12 2020-03-19 코리아휠 주식회사 트롤리 컨베이어 및 이를 이용한 식물재배시스템
US11299352B2 (en) 2018-09-12 2022-04-12 Korea Wheel Corporation Automatic cart transport system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4300B1 (ko) 2018-09-12 2020-03-17 코리아휠 주식회사 트롤리 컨베이어
WO2020054958A1 (ko) 2018-09-12 2020-03-19 코리아휠 주식회사 트롤리 컨베이어 및 이를 이용한 식물재배시스템
US11252877B2 (en) 2018-09-12 2022-02-22 Korea Wheel Corporation Trolley conveyor
US11299352B2 (en) 2018-09-12 2022-04-12 Korea Wheel Corporation Automatic cart transport system
US11678616B2 (en) 2018-09-12 2023-06-20 Korea Wheel Corporation Plant cultivation system using trolley convey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60748B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flange support and alignment
KR101150368B1 (ko) 트롤리 컨베이어
US9976728B2 (en) Connector assembly for mounting lighting fixture
US8763645B2 (en) Support system for process piping and method of installation
US20180231147A1 (en) Adjustable support
CN109563949A (zh) 紧固组件
WO2010068966A1 (en) A conveyor belt cleaning assembly
RU83117U1 (ru) Фланцевое соединение
CN204254033U (zh) 一种船用水管吊架结构
CN206321293U (zh) 流量计测试工装
CN209380188U (zh) 一种大口径管道管件组对装置
CN205187616U (zh) 一种扶梯转向固定装置
CN207364071U (zh) 用于紧固件的防脱落连接装置
KR101784824B1 (ko) 파이프 검사장치
JP5992083B1 (ja) 照明器具用脱落防止金具および脱落防止方法
CN103523651B (zh) 机车风缸吊装工装及吊装系统
EP2400198B1 (en) Improved fire resistant suspension system
KR20060021242A (ko) 밸브등을 신속히 교체하는 방법과 그 장치.
JP2016125523A (ja) 吊りボルト用固定具
CN215511025U (zh) 悬挂式一体合金机器人轨道
CN208946152U (zh) 一种管廊巡检机器人导轨系统
CN219159812U (zh) 一种装配式u型连接管
KR101631372B1 (ko) 대형 고압 수평형 밸브의 분해 조립 장치
KR102209236B1 (ko) 반도체 제조용 펌프 고정장치
CN208935606U (zh) 一种管线的连接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3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