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1267B1 - 점착제 박리 장치 - Google Patents

점착제 박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1267B1
KR101681267B1 KR1020150061474A KR20150061474A KR101681267B1 KR 101681267 B1 KR101681267 B1 KR 101681267B1 KR 1020150061474 A KR1020150061474 A KR 1020150061474A KR 20150061474 A KR20150061474 A KR 20150061474A KR 101681267 B1 KR101681267 B1 KR 1016812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eling
tank
solution
air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14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29392A (ko
Inventor
윤진호
박재량
변준형
김율주
Original Assignee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filed Critical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Priority to KR10201500614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1267B1/ko
Publication of KR201601293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93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12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12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점착제 박리 장치가 개시된다. 일실시예에 따른 점착제 박리 장치는,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제공되며, 박리용액이 수용되는 박리조; 상기 박리조 내부에 제공되며, 터치스크린모듈의 강화유리가 적재되는 트레이; 및 상기 트레이 하부에 제공되며, 상기 박리용액 내에서 기포가 발생되도록 하는 기포발생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강화유리의 적어도 일면에 존재하는 점착제는 상기 박리용액에 의해 박리될 수 있다.

Description

점착제 박리 장치{APPARATUS FOR PEELING ADHESIVES}
이하의 설명은 점착제 박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모바일 기술이 고도화됨에 따라 입력의 편리성과 직관적인 인터페이스(UI)의 제공을 위하여 터치스크린모듈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터치스크린모듈은 주로 휴대폰, PDA, PMP, 태블릿 PC, 노트북, 컴퓨터, 디지털 카메라 등의 장치에서 터치 입력 기능을 갖는 표시장치로 사용되고 있다.
현재 대부분의 모바일 기기에서는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스크린모듈이 사용되고 있다. 터치스크린모듈은 강화유리, ITO 필름, control IC, FPCB, 디스플레이 패널 등의 부품을 포함할 수 있고, 각 부품 간의 접착을 위해 점착제(예를 들어, OCA 점착제)가 사용된다.
한편, 터치스크린모듈의 생산 과정 중 불량이 발생하면 재사용이 어려워 전량 폐기되고 있다. 상술한 부품들의 높은 원가는 생산비용의 증가 및 수익률의 감소의 원인이 되고 있다. 특히, 중대형(7~29인치) 터치스크린의 경우 원가 상승에 많은 영향을 끼친다. 따라서 불량으로 판정된 터치스크린모듈의 부품을 재활용하는 것이 요구된다.
여기서, 점착제에 의해 전면이 접착되어 있는 강화유리와 ITO 필름은 기계적인 방법으로 탈거 및 분리가 가능한데, 강화유리에는 점착제가 전이되어 있기 때문에 강화유리를 분리한다고 해도 재사용이 어렵다.
등록특허공보 제10-1135362호에 개시된 기술은 윈도우글라스와 센서글라스의 점착 필름 잔여물을 제거 막대를 이용하여 제거하고 있으나, 이러한 방법에 의하면 글라스의 표면에 스크래치 등의 손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따라서, 터치스크린모듈에서 강화유리를 분리한 후, 강화유리의 손상 없이 강화유리에 잔존하고 있는 점착제를 제거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된다.
등록특허공보 제10-1135362호
여기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터치스크린모듈의 강화유리에서 점착제를 박리시킴으로써 상기 강화유리의 재활용을 가능하게 하는 점착제 박리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일실시예에 따른 점착제 박리 장치는,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제공되며, 박리용액이 수용되는 박리조; 상기 박리조 내부에 제공되며, 터치스크린모듈의 강화유리가 적재되는 트레이; 및 상기 트레이 하부에 제공되며, 상기 박리용액 내에서 기포가 발생되도록 하는 기포발생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강화유리의 적어도 일면에 존재하는 점착제는 상기 박리용액에 의해 박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포발생장치는, 상기 본체 외부에 제공되는 공기펌프; 상기 공기펌프로부터 상기 박리조 내부로 연장되며, 상기 공기펌프에 의해 주입된 공기가 상기 박리조 내부로 이동하도록 하는 공기주입관; 및 상기 박리조 내부에 제공되며, 상기 공기주입관으로부터 상기 공기를 받아 상기 박리조 내부에 상기 공기를 분산시키는 분산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산판은, 서로 이격된 채 각각 제 1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공기주입관으로부터 상기 공기를 받으며, 서로 마주보는 측면에 제 1 홀이 형성되는 한 쌍의 제 1 배관; 및 서로 이격된 채 각각 상기 한 쌍의 제 1 배관 사이에서 상기 제 1 방향과 수직인 제 2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 1 배관으로부터 상기 공기를 받으며, 상면에 복수의 제 2 홀이 형성되는 제 2 배관을 포함하고, 상기 공기는 상기 제 1 배관을 유동하다가 상기 제 1 홀을 통해 상기 제 2 배관으로 공급된 후 상기 제 2 홀을 통해 상기 박리용액으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박리조 내부에 제공되는 히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박리용액의 재사용을 위한 박리용액 순환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박리용액 순환장치는, 일단은 상기 박리조의 하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박리조의 일측에 연결되는 순환배관; 및 상기 박리용액이 상기 순환배관의 일단을 통해 상기 박리조로부터 배출되도록 하고, 상기 배출된 박리용액이 상기 순환배관의 타단을 통해 다시 상기 박리조로 유입되도록 하는 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강화유리로부터 박리된 상기 점착제도 상기 박리용액과 함께 상기 박리조로부터 배출되어 상기 순환배관으로 유입되고, 상기 박리용액 및 상기 점착제 중 상기 점착제를 걸러내는 여과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여과장치는, 여과조; 상기 여과조의 입구측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유입구; 상기 여과조 내부에 제공되는 칸막이; 상기 칸막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거름구; 및 상기 여과조의 출구측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배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름구의 개수는 상기 배출구의 개수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상기 거름구의 크기는 상기 배출구의 크기보다 작을 수 있다.
여기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따르면, 터치스크린모듈의 강화유리에서 점착제를 박리시킴으로써 상기 강화유리의 재활용을 가능하게 하는 점착제 박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점착제 박리 장치의 개략적인 모습을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도 1의 점착제 박리 장치의 분산판의 평면도.
도 3은 도 2의 A 부분을 확대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1의 점착제 박리 장치의 여과장치의 사시도.
이하에서는 본 기술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들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울러,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기술 사상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점착제 박리 장치의 개략적인 모습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점착제 박리 장치(100)는 본체(110), 박리조(120), 트레이(130), 고정기구(140), 기포발생장치(150), 박리용액 순환장치(160, P), 여과장치(17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110)는 점착제 박리 장치(100)의 외형을 구획할 수 있고, 그 내부에는 빈 공간이 형성되어 박리조(120)가 상기 본체(110)의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체(110)에는 다수의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어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공기펌프(152), 순환배관(160), 여과장치(170) 등이 본체(110)에 연결될 수 있다.
박리조(120)는 점착제의 박리가 일어나는 곳으로, 본체(110)의 상당 부분을 차지할 수 있고, 박리용액을 수용할 수 있다. 박리용액은 계면활성체 등의 성분을 포함하여 점착제와 인쇄물질을 강화유리로부터 박리시키는 구성으로, 이 분야에서 널리 알려져 있는 것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트레이(130)는 박리조(120) 내부에 배치될 수 있고, 고정기구(140)에 의해 박리조(120) 내부에서 그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트레이(130)에는 불량으로 판정된 터치스크린모듈(10)이 적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불량으로 판정된 터치스크린모듈(10)에서 점착제에 의해 접착되어 있는 강화유리 및 ITO 필름이 트레이(130)에 적재될 수 있다.
트레이(130)는 박리조(120) 내에서 박리용액에 잠길 수 있고, 박리용액은 화학적 작용에 의해 강화유리와 ITO 필름을 분리하고, 더 나아가 점착제 및 인쇄물질을 강화유리로부터 박리할 수 있다.
사용된 박리용액과, 박리된 점착제 및 인쇄물질 등은 박리조(120)의 하부로 배출될 수 있고, 이어서 본체(110)의 하부로 배출될 수 있다.
박리용액의 원활한 박리 작용을 위하여 박리용액은 가열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박리용액의 온도는 섭씨 20 내지 90도로 설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점착제 박리 장치(100)는 히터(1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히터(140)는 복수 개 마련될 수 있고, 박리조(12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종래에는 히터가 박리조의 외부에 배치되었으나, 본 실시예의 경우 히터(140)가 박리조(120) 내부에 배치되기 ‹š문에 열 효율 및 박리 능력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박리 능력의 개선을 위하여, 점착제 박리 장치(100)는 기포발생장치(150)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기포발생장치(150)는 박리조(120) 내에서 트레이(13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고, 공기 기포를 발생시킬 수 있다. 발생된 기포는 박리용액 내에서 상승하여 강화유리 표면에 잔존하는 점착제와 인쇄물질의 표면 및 가장자리를 물리적으로 자극함으로써, 박리용액이 강화유리 표면과 점착제 및 인쇄물질 사이의 경계면으로 용이하게 침투할 수 있도록 하며, 점착제 및 인쇄물질에 물리적인 힘까지 가하여 이들이 강화유리로부터 잘 박리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기포발생장치(150)는 공기펌프(151), 공기주입관(152) 및 분산판(153)을 포함할 수 있다. 공기펌프(151)는 본체 외부에 제공될 수 있고, 공기주입관(152)은 공기펌프(151)로부터 박리조(120) 내부로 연장될 수 있다. 분산판(153)은 박리조(120)의 하부에 제공될 수 있고, 공기주입관(152)과 연결될 수 있다. 공기는 공기펌프(151)의 작동에 의해 공기주입관(152)을 따라 본체(110) 및 박리조(120) 내부로 이동되며, 분산판(153)을 통과하면서 박리조(120)에 전체적으로 분산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박리용액은 박리된 점착제 및 인쇄물질과 함께 박리조(120) 및 본체(110) 외부(여기에서는 하부)로 배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점착제 박리 장치(100)는 박리용액 순환장치(이하, 순환장치)를 포함하여 박리용액이 재사용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순환장치는 순환배관(160)과 펌프(P)를 포함할 수 있다. 순환배관(160)은 전체적으로 본체(110)의 외부에 배치되되 그 일단은 박리조(120)의 하부에 연결될 수 있고 타단은 다시 박리조(120)의 일측에 연결될 수 있다. 펌프(P)는 순환배관(16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펌프(P)의 작동에 의해, 박리용액은 박리조(120)로부터 배출되어 순환배관(160)으로 유입될 수 있고, 순환배관(160)을 유동하다가 다시 박리조(120)의 일측으로 유입될 수 있다. 이로써 박리용액의 재사용이 가능하다.
다만,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박리된 점착제 및 인쇄물질 역시 박리용액과 함께 박리조(120)로부터 배출되어 순환배관(160)으로 유입될 수 있다. 이들 점착제 및 인쇄물질이 박리용액과 함께 다시 박리조(120)로 공급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점착제 박리 장치(100)는 여과장치(17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과장치(170)는 박리용액과, 점착제 및 인쇄물질 중 점착제 및 인쇄물질을 걸러내고 박리용액만을 통과시켜, 박리조(120) 내에는 순수한 박리용액만이 수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점착제 박리 장치의 분산판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A 부분을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기포발생장치(150)에 대해 추가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기포발생장치(150)는 공기펌프(152), 공기주입관(152) 및 분산판(153)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분산판(153)은 한 쌍의 제 1 배관(154, 155)과 복수의 제 2 배관(156)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제 1 배관(154, 155)은 서로 이격된 채 제 1 방향(도 2 기준으로 세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배관(154, 155)은 공기주입관(152)과 연결되어 공기주입관(152)으로부터 직접 공기를 공급 받을 수 있다.
복수의 제 2 배관(156)은 서로 이격된 채 제 2 방향(도 2 기준으로 가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 2 배관(156)은 제 1 배관(154, 155)으로부터 공기를 공급 받을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을 계속하면, 공기주입관(152)을 유동하던 공기는 제 1 배관(154, 155)으로 공급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배관(154, 155)을 유동하던 공기는 제 1 배관(154, 155)에 형성된 제 1 홀(154a)을 통해 제 2 배관(156)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후, 공기는 제 2 배관(156)을 유동하다가 제 2 배관(156)의 상면에 형성된 제 2 홀(156a)을 통해 상방 배출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배관(156)은 복수이고, 제 2 홀(156a)은 각 제 2 배관(156)에 다수 개 형성되기 때문에 공기는 박리조(120) 내에 전체적으로 분산되어 공급될 수 있고, 이에 따른 기포는 상승하여 트레이(130) 곳곳으로 전달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점착제 박리 장치의 여과장치의 사시도이다. 여과장치는 여과조(170), 유입구(171), 칸막이(172), 거름구(173), 배출구(174)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1 및 도 4를 함께 참조하여 여과장치를 설명하기로 한다.
여과장치(170)는 도 1에서와 같이 순환배관(160)의 타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박리용액과 분리된 점착제 및 인쇄물질은 박리조(120)에서 배출되어 순환배관(160)을 따라 유동하다가 순환배관(160)의 타단부에서 여과장치(170)로 유입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4를 참조하면, 박리용액과 분리된 점착제 및 인쇄물질은 여과조(170)의 입구측에 형성되는 유입구(171)를 통해 여과조(170)로 유입될 수 있다. 유입구(171)는 여러 개일 수 있고, 여기에서는 유입구(171)가 하나인 것으로 예시한다. 여과조(170)로 유입된 박리용액과 분리된 점착제 및 인쇄물질은 여과조(170) 내부에 제공된 칸막이(172)에 맞닥뜨릴 수 있다. 칸막이(172)에는 복수의 거름구(173)가 형성되어 있어 점착제 및 인쇄물질은 칸막이(172)를 통과하지 못하고 박리용액만이 칸막이(172)를 통과할 수 있다. 이후, 박리용액은 여과조(170)의 출구측에 형성된 배출구(174)를 통해 여과조(170)로부터 배출되어 다시 박리조(120)로 유입될 수 있다. 배출구(174)는 여러 개일 수 있고, 여기에서는 배출구(174)가 두 개인 것으로 예시한다. 박리용액이 배출되는 과정에서, 칸막이(172) 통과 시 미처 걸러지지 않았던 점착제 및 인쇄물질은 2차적으로 걸러질 수 있다.
한편, 도시된 바와 같이 거름구(173)와 배출구(174)의 크기는 다를 수 있고, 그 개수 역시 다를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거름구(173)는 배출구(174)보다 작고, 그 개수는 거름구(173)가 배출구(174)보다 많은 것으로 예시한다. 또한, 거름구(173)와 배출구(174)는 유입구(171)보다는 작을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여 점착제 박리 장치(100)의 작동 모습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박리조(120)에 박리용액을 채워 넣은 후 히터(140)를 작동시켜 박리용액이 섭씨 20 내지 90도의 온도를 가지도록 할 수 있다. 이후, 불량 판정된 터치스크린모듈에서 분리된 강화유리 및 ITO 필름(10)을 트레이(130)에 적재시키고 박리조(120)에 넣은 후 고정기구(140)를 이용해 그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참고로, 트레이(130)의 투입과 박리용액의 투입의 순서는 서로 바뀔 수 있다.
박리용액은 화학적 작용에 의해 강화유리와 ITO 필름을 분리하며, 더 나아가 강화유리에 잔존하는 점착제 및 인쇄물질을 박리할 수 있다. 이 때, 기포발생장치(150)가 작동하여 트레이(130)의 하부로부터 기포가 상승할 수 있다. 기포는 강화유리 표면에 잔존하는 점착제와 인쇄물질의 표면 및 가장자리를 물리적으로 자극함으로써, 박리용액이 강화유리 표면과 점착제 및 인쇄물질 사이의 경계면으로 용이하게 침투할 수 있도록 하며, 점착제 및 인쇄물질에 물리적인 힘까지 가하여 이들이 강화유리로부터 잘 박리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박리된 점착제 및 인쇄물질은 박리조(120)의 하부로 가라 앉게 되고, 펌프(P)가 작동되어 박리용액, 분리된 점착제 및 인쇄물질은 박리조(120)로부터 배출되고 순환배관(160)을 따라 유동할 수 있다. 이 때 여과장치(170)에 의해 점착제 및 인쇄물질은 걸러지고, 순수한 박리용액만이 다시 박리조(12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박리 작업이 종료되면(작업의 시작으로부터 대략 10 내지 80분 후) 트레이(130)를 꺼내어 강화유리를 수거할 수 있다. 수거된 강화유리는 터치스크린모듈을 생산하는데 재활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는 본 기술 사상의 일부 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기술 사상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본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의 다양한 변경, 변형 또는 치환이 가능할 것이고, 그와 같은 실시는 모두 본 기술 사상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00: 점착제 박리 장치 110: 본체
120: 박리조 130: 트레이
140: 고정기구 150: 기포발생장치
160: 순환배관 170: 여과장치

Claims (9)

  1.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제공되며, 박리용액이 수용되는 박리조;
    상기 박리조 내부에 제공되며, 터치스크린모듈의 강화유리가 적재되는 트레이;
    상기 트레이 하부에 제공되며, 상기 박리용액 내에서 기포가 발생되도록 하는 기포발생장치; 및
    상기 박리용액의 재사용을 위한 박리용액 순환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박리용액 순환장치는,
    일단은 상기 박리조의 하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박리조의 일측에 연결되는 순환배관; 및
    상기 박리용액이 상기 순환배관의 일단을 통해 상기 박리조로부터 배출되도록 하고, 상기 배출된 박리용액이 상기 순환배관의 타단을 통해 다시 상기 박리조로 유입되도록 하는 펌프;를 포함하며,
    상기 강화유리의 적어도 일면에 존재하는 점착제는 상기 박리용액에 의해 박리되는 점착제 박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포발생장치는,
    상기 본체 외부에 제공되는 공기펌프;
    상기 공기펌프로부터 상기 박리조 내부로 연장되며, 상기 공기펌프에 의해 주입된 공기가 상기 박리조 내부로 이동하도록 하는 공기주입관; 및
    상기 박리조 내부에 제공되며, 상기 공기주입관으로부터 상기 공기를 받아 상기 박리조 내부에 상기 공기를 분산시키는 분산판을 포함하는 점착제 박리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판은,
    서로 이격된 채 각각 제 1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공기주입관으로부터 상기 공기를 받으며, 서로 마주보는 측면에 제 1 홀이 형성되는 한 쌍의 제 1 배관; 및
    서로 이격된 채 각각 상기 한 쌍의 제 1 배관 사이에서 상기 제 1 방향과 수직인 제 2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 1 배관으로부터 상기 공기를 받으며, 상면에 복수의 제 2 홀이 형성되는 제 2 배관을 포함하고,
    상기 공기는 상기 제 1 배관을 유동하다가 상기 제 1 홀을 통해 상기 제 2 배관으로 공급된 후 상기 제 2 홀을 통해 상기 박리용액으로 배출되는 점착제 박리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박리조 내부에 제공되는 히터를 더 포함하는 점착제 박리 장치.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강화유리로부터 박리된 상기 점착제도 상기 박리용액과 함께 상기 박리조로부터 배출되어 상기 순환배관으로 유입되고,
    상기 박리용액 및 상기 점착제 중 상기 점착제를 걸러내는 여과장치를 더 포함하는 점착제 박리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장치는,
    여과조;
    상기 여과조의 입구측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유입구;
    상기 여과조 내부에 제공되는 칸막이;
    상기 칸막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거름구; 및
    상기 여과조의 출구측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배출구를 포함하는 점착제 박리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거름구의 개수는 상기 배출구의 개수보다 큰 점착제 박리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거름구의 크기는 상기 배출구의 크기보다 작은 점착제 박리 장치.
KR1020150061474A 2015-04-30 2015-04-30 점착제 박리 장치 KR1016812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1474A KR101681267B1 (ko) 2015-04-30 2015-04-30 점착제 박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1474A KR101681267B1 (ko) 2015-04-30 2015-04-30 점착제 박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9392A KR20160129392A (ko) 2016-11-09
KR101681267B1 true KR101681267B1 (ko) 2016-12-02

Family

ID=575294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1474A KR101681267B1 (ko) 2015-04-30 2015-04-30 점착제 박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126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6824B1 (ko) * 2020-05-25 2023-11-01 (주)피엔피 불림을 이용한 초박형 유리블록의 박리 방법
KR102596826B1 (ko) * 2020-05-25 2023-11-01 (주)피엔피 초박형 유리블록의 불림 수조
KR102608792B1 (ko) * 2020-05-25 2023-12-01 (주)피엔피 초박형 유리블록의 박리 방법
KR102608793B1 (ko) * 2020-05-25 2023-12-01 (주)피엔피 초박형 유리블록의 박리 수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11315A (ja) * 2012-03-30 2013-10-10 Mitsubishi Chemicals Corp 窒化物半導体基板の製造方法および窒化物半導体基板
KR101494867B1 (ko) * 2014-01-27 2015-02-23 주식회사 퓨어엔비텍 막 세정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5362B1 (ko) 2011-01-28 2012-04-17 주식회사 오에스아이 실리콘광학 투명점착성 필름을 이용한 일체형 글라스의 재활용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11315A (ja) * 2012-03-30 2013-10-10 Mitsubishi Chemicals Corp 窒化物半導体基板の製造方法および窒化物半導体基板
KR101494867B1 (ko) * 2014-01-27 2015-02-23 주식회사 퓨어엔비텍 막 세정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9392A (ko) 2016-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1267B1 (ko) 점착제 박리 장치
CN203816979U (zh) 玻璃基板清洗装置
CN110328216A (zh) 一种光伏组件回收方法
CN102029280B (zh) 一种电容式触摸屏的回收处理方法
CN102738078A (zh) 柔性显示基板的制作方法
CN104299518B (zh) 将第一面板与第二面板相贴合的方法和显示装置
KR101342616B1 (ko) 수직형 기판 박리 시스템
US7371023B2 (en) Apparatus for processing substrates and method therefor
TW201630647A (zh) 脫氣裝置、塗布裝置以及脫氣方法
CN102626695A (zh) 基板清洗系统
KR20150075616A (ko) 보호필름 박리장치
EP1629903B1 (en) Apparatus for extracting liquid crystal by heating under reduced pressure and method thereof
EP1843208A3 (en) Photoresist stripping apparatus, method of recycling photoresist stripp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in film transistor array panel using the photoresist stripping apparatus
CN105630236A (zh) 一种p+g ctp与tft框贴模组的加工方法
JP2019135180A (ja) 剥離方法及び剥離装置
CN104465332B (zh) 一种基板清洗装置
CN106095175A (zh) 一种触摸外挂式框贴模组的加工方法
CN203862503U (zh) 一种led直管灯涂料装置
CN209741157U (zh) 便携式微珠洗涤与回收装置及单细胞测序样品处理系统
KR101576145B1 (ko) 반도체 기판 세정용 약액 재사용장치
KR101041861B1 (ko) 현상액 도포장치
WO2015184666A1 (zh) 水洗腔室的排液方法及装置
CN207931261U (zh) 一种撕膜辅助装置
CN203736919U (zh) 一种压滤机
CN201349366Y (zh) 基板水平湿制程的除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