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0483B1 - 이미징 장치 - Google Patents

이미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0483B1
KR101680483B1 KR1020150116085A KR20150116085A KR101680483B1 KR 101680483 B1 KR101680483 B1 KR 101680483B1 KR 1020150116085 A KR1020150116085 A KR 1020150116085A KR 20150116085 A KR20150116085 A KR 20150116085A KR 101680483 B1 KR101680483 B1 KR 1016804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auxiliary
displayed
mode
shooting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60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22270A (ko
Inventor
고지 오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Publication of KR201600222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22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04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04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5Mix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11B27/034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on dis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1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image capture or setting capture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relating to control or operation of the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7Camera operation mode switching, e.g. between still and video, sport and normal or high- and low-resolution m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H04N5/772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the recording apparatus and the television camera being placed in the same enclos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04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 H04N9/804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involving data red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tudio Devices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개별적으로 촬영된 2개의 이미지를 하나의 이미지 파일로서 기록하는 이미징 장치는, 개별적으로 촬영된 2개의 이미지 중 하나를 갖는 하나의 이미지 파일을, 메인 이미지로서 개별적으로 촬영된 2개의 이미지 중 다른 하나의 보조 이미지로서 생성하는 클립 이미지 촬영 모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미징 장치{IMAGING APPARATUS}
본 발명은 이미지 데이터를 서로 연관시켜 관리하는 이미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미지 파일들을 관리하는 장치는,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보 제5141447호에 의해 공지되어 있다. 이 장치는, 메인 이미지 및 메인 이미지의 이미지 파일과 상이한 이미지 파일에 기록된 서브이미지(sub-image)의 두 이미지를 서로 연관시켜 기록하고, 서로 연관되어 있는 메인 이미지 및 서브이미지를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이 장치는 또한, 이미지 중의 하나가 업데이트될 때 이미지의 업데이트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메인 이미지 데이터의 이미지 파일에 보조(supplemental) 이미지 데이터를 추가함으로써 보조 이미지 데이터 및 메인 이미지 데이터의 2개의 상이한 이미지 데이터를 하나의 이미지 파일로서 관리할 수 있는 이미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개별적으로 촬영된 2개의 이미지를 하나의 이미지 파일로서 기록하는 이미징 장치는, 개별적으로 촬영된 2개의 이미지 중의 하나를 갖는 하나의 이미지 파일을, 메인 이미지로서 개별적으로 촬영된 2개의 이미지 중 다른 하나의 보조 이미지로서 생성하는 클립 이미지 촬영 모드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이미징 장치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스틸 카메라를 예시한 외관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예시된 디지털 스틸 카메라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에 예시된 이미지 프로세서의 메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a 내지 도 4d는 도 1에 예시된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모니터 스크린의 표시의 하나의 예를 각각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4a는 메인 이미지로서의 자동차가 메인 이미지 촬영 모드에서 모니터링을 위해 쓰루(through) 이미지로서 표시되는 것을 도시한다.
도 4b는 보조 이미지로서의 번호판이 보조 이미지 촬영 모드에서 모니터링을 위해 표시되는 것을 도시한다.
도 4c는 촬영된 보조 이미지의 존재를 나타내는 아이콘이, 메인 이미지로서의 자동차가 메인 이미지 촬영 모드에서 모니터링을 위해 쓰루 이미지로서 표시되는 모니터 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것을 도시한다.
도 4d는 보조 이미지가 촬영 모드로 촬영되었을 때 셀프타이머 키의 작동에 응답하여 보조 이미지로서의 번호판이 재생 및 표시되는 것을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데이터의 파일 구조의 하나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스틸 카메라를 사용하는 방법의 하나의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a 내지 도 7c는 도 1에 예시된 촬영 및 재생 전환 버튼에 의해 전환된 재생 모드에서 도 1에 예시된 표시 버튼에 의한 모니터 스크린 전환의 하나의 예를 각각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7a는 메인 이미지가 표시되는 모니터 스크린을 도시한다.
도 7b는 보조 이미지가 표시되는 모니터 스크린을 도시한다.
도 7c는 메인 이미지가 이미지 크기와 함께 표시되는 모니터 스크린을 도시한다.
이하, 이미징 장치로서 디지털 스틸 카메라(디지털 카메라)의 실시예가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될 것이다.
처음에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외관 구성이 간략하게 기재될 것이다. 도 1은 디지털 스틸 카메라의 배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디지털 스틸 카메라(1)는 배면 및 상면을 포함한다. 디지털 스틸 카메라(1)의 배면은, 디스플레이 스크린으로서의 모니터 스크린(2), 촬영 및 재생 전환 버튼(3), 재생부로서의 표시 버튼(4), 셀프타이머 키(5), 및 다양한 작동 부재들을 포함한다.
디지털 스틸 카메라(1)의 상면은, 전원 버튼(6), 모드 설정 다이얼(7), 셔터 버튼(8), 및 다양한 작동 부재들을 포함한다.
모니터 스크린(2), 촬영 및 재생 전환 버튼(3), 표시 버튼(4), 셀프타이머 키(5), 전원 버튼(6), 및 셔터 버튼(8)의 기능은 나중에 기재될 것이다. 다른 작동 부재들은 본 발명과 무관하므로, 이들의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전원 버튼(6)이 턴온(turn on)될 때, 디지털 스틸 카메라(1)는 나중에 기재되는 컴퓨터(CPU)에 의해 모니터 스트린(2) 상에 쓰루 이미지(through image)를 표시한다.
다음으로, 디지털 스틸 카메라(1)의 회로 블록도가 설명될 것이다.
디지털 스틸 카메라(1)는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은 고체 이미징 소자(CCD)(10)를 포함한다.
대상(subject)으로부터의 광은 도시되지 않은 렌즈를 통해 고체 이미징 소자(10)에 이미징된다. 고체 이미징 소자(10)는 대상 광을 화상 신호로 광전 변환하고, 화상 신호를 샘플링 및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CDS 및 A/D 컨버터)(11)로 출력한다.
샘플링 및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11)는 잡음 신호를 제거하도록 화상 신호를 상관적으로(correlatively) 이중 샘플링하고, 신호를 10비트 이미지 데이터로 변환하며, 이미지 데이터를 이미지 프로세서(DSP)(12)로 출력한다.
이미지 프로세서(12)는 샘플링 및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11)로부터 보내진 10비트 이미지 데이터에 화이트 밸런스(white balance) 프로세스, 애퍼처 강조(aperture emphasizing) 프로세스, 및 보간 프로세스와 같은 공지된 프로세스를 실행한다.
이미지 프로세서(12)는 샘플링 및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11)로부터 보내진 10비트 이미지 데이터를 휘도 신호(Y) 및 색차 신호(Cb 및 Cr)로 변환하고, 신호를 프레임 버퍼 메모리(13)에 일시적으로 저장 및 누적한다.
디지털 스틸 카메라(1)를 모니터링하는 동안, 즉 쓰루 이미지가 모니터 스크린(2) 상에 표시되는 동안, 이들 프로세스는 반복된다. 이미지 프로세서(12)는 비디오 인코더(14)를 포함한다.
프레임 버퍼 메모리(13)에 일시적으로 저장 및 누적된 이미지 데이터는 비디오 인코더(14)에 의해 순차적으로 판독되고, 비디오 신호로 변환되며, 외부 TV와 같은 디스플레이(15)로 출력한다.
고체 이미징 소자(10)는 타이밍 생성기(TG)(16)로부터 출력된 수평 구동 펄스(driving pulse), 수직 드라이버(VDr)(17)로부터 출력된 수직 구동 펄스, 및 전기 셔터 펄스에 의해 구동 및 스캐닝된다.
디지털 스틸 카메라(1)는 컴퓨터(CUP)(18)에 의해 일체형으로(integrally) 제어된다. 촬영 및 재생 전환 버튼(3), 표시 버튼(4), 셀프타이머 키(5), 기타 작동 부재, 기록 매체(19), 및 표시 제어 회로(20)는 컴퓨터(18)에 접속된다.
컴퓨터(18)는 전기 셔터 펄스에 기초하여 타이밍 생성기(16), 클록 생성기(21), 및 샘플링 및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11)를 제어한다.
타이밍 생성기(16)는 수직 드라이버(17)에 수직 구동 펄스를 그리고 샘플링 및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11)에 미리 결정된 클록을 출력한다.
클록 생성기(21)는 CCD를 구동하기 위해 수정 발진기(22)에 접속된다. 클록 생성기(21)는, 수정 발진기(22)의 발진 주파수의 클록을 분리하는, 도시되지 않은 주파수 분리 회로를 포함한다.
클록 생성기(21)는 타이밍 생성기(16)에 고체 이미징 소자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펄스를 출력한다.
타이밍 생성기(16)는 주파수 분리 회로(23)를 포함한다. 주파수 분리 회로(23)는 고체 이미징 소자를 하나 또는 둘로 구동하기 위한 펄스를 선택적으로 분리한다.
주파수 분리 회로(23)는 이미지 프로세서(12)로 주파수 분리된 클록을 출력한다. 이미지 프로세서(12)는 도시되지 않은 내부 카운터를 포함한다. 주파수 분리 회로(23)의 동작 및 효과는 본 발명과 무관하므로, 이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된다.
카운터에 의한 구동 펄스의 수가 미리 결정된 카운트 수에 도달하면, 이미지 프로세서(12)는 수평 리셋 신호 및 수직 리셋 신호를 타이밍 생성기(16)로 출력한다.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이미지 프로세서(12)는 색 분리기(25), 신호 보간기(26), 페디스털(pedestal) 조정기(27), 화이트 밸런스 조정기(28), 디지털 이득 조정기(29), 감마 변환기(30), 매트릭스부(31), 및 비디오 신호 프로세서(32)를 포함한다.
색 분리기(25)는 샘플링 및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11)로부터 출력된 10비트 이미지 데이터를 R, G, 및 B와 같은 각자의 색 성분으로 분리한다. 신호 보간기(26)는 R, G, 및 B의 각자의 이미지 데이터에 공지된 보간 프로세스를 실행한다.
페디스털 조정기(27)는, R, G, 및 B의 각자의 이미지 데이터의 블랙 레벨을 조정한다. 화이트 밸런스 조정기(28)는 R, G, 및 B의 각자의 이미지 데이터의 화이트 레벨을 조정한다. 디지털 이득 조정기(29)는 컴퓨터(18)에 의해 설정된 이득에 의해 R, G, 및 B의 각자의 이미지 데이터의 디지털 카운트 값을 조정한다.
감마 컨버터(30)는 R, G, 및 B의 γ 변환을 실행한다. 매트릭스부(31)는 R, G, 및 B의 각자의 이미지 데이터를 색차 신호(Cb 및 Cr) 및 휘도 신호(Y)로 분리한다. 비디오 신호 프로세서(32)는 색차 신호(Cb 및 Cr) 및 휘도 신호(Y)에 기초하여 비디오 신호를 생성하고, 신호를 비디오 인코더(14) 및 표시 제어 회로(20)로 출력한다.
이미지 프로세서(12)는 Y 계산기(33), 바이패스 필터(BFP)(34), AF 평가값 회로(35), AE 평가값 회로(36), Y 계산기(37), AWB 평가값 회로(38) 및 컴퓨터 인터페이스(CPU I/F)(39)를 더 포함한다.
Y 계산기(33)는 페디스털 조정기 후에 이미지 데이터의 휘도 데이터를 검출한다. 바이패스 필터(34)는 Y 계산기(33)에 의해 검출된 휘도 데이터에서 미리 결정된 주파수 컴포넌트의 휘도 데이터만 통과를 허용한다.
AF 평가값 회로(35)는 바이패스 필터(34)를 통과한 휘도 데이터의 적분 값을 AF 평가값으로서 컴퓨터(18)에 출력한다. Y 계산기(37)는 Y 계산기(33)에 의해 검출된 휘도 데이터에 따른 디지털 카운트 값을 AWB 평가 값으로서 컴퓨터(18)에 출력한다.
포커싱된 위치가 고체 이미징 소자(10)에 의해 검출된다. 컴퓨터(18)는 대상의 콘스라스트를 나타내는 포커스 평가값(AF 평가값)을 샘플링함으로써 힐 클라이밍 서보 방법(hill climbing servo method)을 이용해 AF 평가값의 피크 위치를 검출한다. 이들 자동 포커싱 프로세스 및 노출 평가 프로세스는 공지된 프로세스이므로, 이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의 세부사항이 설명될 것이다.
디지털 스틸 카메라(1)의 전원이 턴온되고 촬영 모드가 선택될 때, 컴퓨터(18)는 도 4a에 예시된 바와 같이 모니터링을 위해 모니터 스크린(2) 상에 쓰루 이미지를 표시하는 촬영 모드를 실행한다.
도 4a는 대상으로서의 자동차(2a)가 모니터링을 위해 모니터 스크린(2) 상에 표시되는 것을 도시한다.
디지털 스틸 카메라(1)는 메인 이미지로서 다른 촬영된 이미지의 보조 이미지로서 하나의 촬영된 이미지를 갖는 하나의 이미지 파일을 생성하는 클립 이미지 촬영 모드를 포함한다. 클립 이미지 촬영 모드는 촬영 모드로서, 보조 이미지 데이터로서 이미지를 이전에 촬영한 보조 이미지 촬영 모드 및 보조 이미지 데이터로서 이미지를 촬영한 후에 메인 이미지 데이터로서 이미지를 촬영하는 메인 이미지 촬영 모드를 포함한다.
보조 이미지 촬영 모드(클립 촬영 모드)는 모니터 스크린(2)의 초기 메뉴 설정 스크린 상에서 설정된다.
"Supplemental Image ON/OFF"가 다양한 항목들과 함께 초기 메뉴 설정 스크린 상에 표시된다. "Supplemental Image ON/OFF"에서 "ON"이 선택될 때, 컴퓨터(18)는 보조 이미지 촬영(클립 이미지 촬영)을 유효 모드로 설정한다.
이 실시예에서, 메인 이미지 촬영 모드 및 보조 이미지 촬영 모드는 셀프타이머 키(5)에 의해 전환된다. 즉, 셀프타이머 키(5)는 보조 이미지 촬영 모드와 메인 이미지 촬영 모드를 전환하는 전환 키로서 작동한다. 메인 이미지 촬영 모드에서는 미리 결정된 시간의 경과 후에 셔터를 누르는 셀프타이머 키(5)에 의해 촬영이 수행될 수 없다는 것을 유의하자.
보조 이미지 촬영 모드에서, 컴퓨터(18)는 도 4b에 예시된 보조 이미지를 매크로(macro) 촬영하는 매크로 촬영 모드로 촬영 모드를 설정한다. 즉, 컴퓨터(18)는 대상 이미지를 확대함으로써 대상 이미지를 촬영하는 모드로 설정된다. 도 4b는 보조 이미지로서의 자동차 번호판(2B)이 모니터링을 위해 쓰루 이미지로서 표시되는 것을 도시한다.
컴퓨터(18)는 보조 이미지 데이터의 유무를 결정하는 결정부를 포함한다. 메인 이미지 촬영 모드에서, 컴퓨터(18)는, 보조 이미지가 저장될 때, 도 4c에 예시된 쓰루 이미지로서 자동차(2A)와 함께 모니터 스크린(2) 상에 보조 이미지의 존재를 나타내는 아이콘(2C)을 표시한다.
메인 이미지를 촬영하기 전에 미리 결정된 조건 하에 셔터 버튼(8)이 눌릴 때, 보조 이미지 데이터는 프레임 버퍼 메모리(13)에 일시적으로 누적 및 저장된다.
컴퓨터(18)는, 도 4c에 예시된 아이콘(2C)이 모니터 스크린(2) 상에 표시되는 동안 셀프타이머 키(5)가 눌릴 때, 도 4d에 예시된 바와 같이 모니터 스크린(2) 상에 보조 이미지로서 번호판(2B)을 재생 및 표시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메인 이미지를 촬영하기 전에 메인 이미지에 추가될 보조 이미지의 품질을 체크할 수 있다.
표시 버튼(4)은 촬영 모드에서 취소 버튼으로서 사용된다. 도 4b에 예시된 번호판(2B)이 모니터링 이미지로서 모니터 스크린(2) 상에 표시되는 보조 이미지 촬영 모드에서, 표시 버튼(4)이 눌릴 때, 도 4a에 예시된 자동차(2A)가 쓰루 이미지(모니터링 이미지)로서 표시된다.
도 4d에 예시된 바와 같이 번호판(2B)이 모니터 스크린(2) 상에 재생 및 표시되는 동안 표시 버튼(4)이 눌릴 때, 촬영 모드는, 도 4c에 예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2A)가 쓰루 이미지로서 표시되는 메인 이미지 촬영 모드로 돌아간다.
도 4d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보조 이미지가 모니터 스크린(2) 상에 재생 및 표시되는 동안, 전환 키로서 셀프타이머 키(5)가 눌릴 때, 컴퓨터(18)는, 보조 이미지가 모니터 스크린(2) 상에 재생 및 표시되는 상태로부터 보조 이미지 촬영 모드로 촬영 모드를 변경한다.
즉, 도 4d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보조 이미지로서의 번호판(2B)이 모니터 스크린(2) 상에 표시되는 동안 셀프타이머 키(5)가 눌릴 때, 촬영 모드는, 도 4d에 예시된 바와 같이 번호판(2B)이 보조 이미지로서 재생 및 표시되는 상태로부터, 도 4b에 예시된 모니터링 이미지로서 보조 이미지가 표시되는 보조 이미지 촬영 모드로 변경된다.
이 경우에, 보조 이미지에 대한 대상이 번호판(2B)으로부터 자동차의 도어 미러로 변경될 때, 자동차의 도어 미러가 보조 이미지로서 획득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메인 이미지에 추가될 복수의 보조 이미지들이 획득될 수 있다.
컴퓨터(18)는 또한, 보조 이미지가 저장되지 않을 때 셀프타이머 키(5)의 작동에 응답하여 메인 이미지 촬영 모드로부터 보조 이미지 촬영 모드로 촬영 모드를 직접 변경한다.
컴퓨터(18)는 보조 이미지의 유무를 결정하고, 메인 이미지를 촬영할 때 압축 데이터의 파일 구조를 선택한다. 도 5는 압축 데이터의 파일 구조의 하나의 예를 도시한다.
압축 데이터의 파일 구조는 메인 이미지 데이터 및 보조 이미지 데이터를 포함한다. 메인 이미지 데이터는 SOI(압축 데이터 시작), APP1(애플리케이션 및 마커 세그먼트 1(Exif 첨부 정보)), DQT(양자화 테이블), SOF(프레임 헤더), DHT(허프만(Huffman) 테이블), SOS(스캔 헤더), 압축 데이터, 및 EOI(압축 데이터 끝)를 포함한다.
보조 이미지 데이터는 또한, SOI(압축 데이터 시작), APP1(애플리케이션 및 마커 세그먼트 1(Exif 첨부 정보)), DQT(양자화 테이블), SOF(프레임 헤더), DHT(허프만 테이블), SOS(스캔 헤더), 압축 데이터, 및 EOI(압축 데이터 끝)를 포함한다.
메인 이미지 데이터의 APP1의 구조는, APP1 Marker, APP1 Length, Exif 식별 코드, TIFF 헤더, 0th IFD, 0th IFD Value, 1st IFD, 1st IFD Value, 및 1st IFD 이미지 데이터를 포함한다.
보조 이미지 데이터의 APP1의 구조는, APP1 Marker, APP1 Length, Exif 식별 코드, TIFF 헤더, 0th IFD 및 0th IFD Value를 포함한다. 또한, 압축 데이터의 각자의 항목들은 공지되어 있으므로, 이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된다.
컴퓨터(18)는, 보조 이미지가 저장될 때 메인 이미지의 촬영이 완료된 후에 메인 이미지의 압축 데이터에 추가적으로 보조 이미지의 압축 데이터를 생성한다. 컴퓨터는, 보조 이미지가 저장되지 않을 때 메인 이미지의 촬영의 완료와 동시에 메인 이미지의 파일 구조에 따라 메인 이미지의 압축 데이터만 생성한다.
도 5는 하나의 보조 이미지가 하나의 메인 이미지에 추가되는 압축 데이터의 파일 구조를 도시한다. 그러나, 복수의 보조 이미지들이 하나의 메인 이미지에 추가되는 파일 구조가 사용되는 경우, 복수의 보조 이미지들은 하나의 이미지 파일에서 하나의 메인 이미지에 연결될 수 있다.
이하, 도 6에 예시된 흐름도를 참조하여 촬영 모드의 세부사항이 설명될 것이다.
전원 버튼(6)이 턴온되면, S1에서 디지털 스틸 카메라(1)는 도 4a에 예시된 바와 같이 쓰루 이미지가 모니터링을 위해 표시되는 메인 이미지 촬영 모드로 설정된다.
다음으로, S2에서 컴퓨터(18)는 셀프타이머 키(5)가 눌리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셀프타이머 키(5)가 눌리는 경우, 디지털 스틸 카메라(1)는 메인 이미지 촬영 모드로부터 보조 이미지 촬영 모드로 변경된다. S3에서, 컴퓨터(18)는 보조 이미지의 유무를 결정한다. 셀프 타이머 키(5)가 눌리지 않는 경우, S4에서 셔터 버튼(8)이 눌릴 때까지 S2 및 S4에서 메인 이미지 촬영 모드가 유지된다.
S3에서 메인 이미지를 촬영하기 전에 촬영된 보조 이미지가 저장될 때, 컴퓨터(18)는 도 4c에 예시된 바와 같이 메인 이미지가 모니터링을 위해 표시되는 모니터 스크린(2) 상에 아이콘(2C)을 표시한다.
아이콘(2C)이 표시되는 동안, S2 및 S3에서 셀프타이머 키(5)가 눌리는 경우, S5에서 도 4d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보조 이미지가 모니터 스크린(2) 상에 재생 및 표시된다. 따라서 메인 이미지를 촬영하기 전에 보조 이미지의 컨텐츠 및 촬영 품질이 재확인될 수 있다.
도 4d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보조 이미지가 모니터 스크린(2) 상에 재생 및 표시되는 동안, S6에서 셀프타이머 키(5)가 눌리는 경우, 모니터 스크린(2)은 도 4b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보조 이미지가 모니터링을 위해 표시되는 모니터 스크린(2)으로 돌아간다. 즉, 컴퓨터(18)는, 보조 이미지를 재생 및 표시하는 재생 표시 모드가 S7에서 보조 이미지를 촬영하는 보조 이미지 촬영 모드로 전환된 후에, S8에서 셔트 버튼(8)이 눌리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도 4d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보조 이미지가 모니터 스크린(2) 상에 재생 및 표시되는 동안, 표시 버튼(4)이 눌리는 경우, 모니터 스크린(2)은 도 4c에 예시된 바와 같이 메인 이미지를 모니터링하는 모니터 스크린(2)으로 돌아간다. 즉, 도 4d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보조 이미지가 재생 및 표시되는 동안, 표시 버튼(4)이 눌릴 때, 플로우는 S2로 진행하고, 컴퓨터(18)는 S2에서 셀프타이머 키(5)가 눌리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S3에서 보조 이미지가 저장되지 않을 경우, 플로우는 S8로 진행한다. S8은 셔터 버튼(8)이 눌릴 때까지 반복된다.
S8에서 셔터 버튼(8)이 눌릴 때, 컴퓨터(18)는 노출 프로세스를 실행하고, S9에서 노출 프로세스가 완료된 후에 이미지 데이터를 보조 이미지 데이터로서 획득하며, S10에서 프레임 버퍼 메모리(13)에 보조 이미지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누적 및 저장한다.
다음으로, 플로우는 S1로 돌아가고, 컴퓨터(18)는 S1에서 쓰루 이미지 표시 프로세스를 실행한다. 그 다음, 플로우는 S2로 이어지고, S2에서 컴퓨터(18)는 셀프타이머 키(5)가 눌리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S2에서 셀프타이머 키(5)가 눌리지 않을 경우, S4에서 컴퓨터(18)는 메인 이미지 촬영 모드로 변경된다. 보조 이미지가 획득되면, 도 4c에 예시된 바와 같이, 아이콘(2C)이 표시된다. 따라서, 보조 이미지가 신뢰성있게 획득될 수 있다.
S4에서 메인 이미지 촬영 모드에서, 컴퓨터(18)는 셔터 버튼(8)이 눌리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셔터 버튼(8)이 눌리지 않을 경우, 플로우는 셀프타이머 키(5)가 눌리는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S2로 돌아간다.
S4에서 셔터 버튼(8)이 눌릴 때, 컴퓨터(18)는 노출 프로세스를 실행하고, S11에서 노출 프로세스가 완료된 후에 이미지 데이터를 메인 이미지 데이터로서 획득한다. 다음으로, 컴퓨터(18)는 S12에서 보조 이미지 데이터의 유무를 결정한다.
보조 이미지 데이터가 저장되지 않을 경우, S13에서, 컴퓨터(18)는 메인 이미지 데이터를 압축하고, Exif 포맷의 이미지 파일을 생성하며, 기록 매체(19)에 파일을 기록한다.
보조 이미지 데이터가 저장되는 경우, S14에서 컴퓨터(18)는 메인 이미지 데이터를 압축하고, Exif 포맷의 이미지 파일을 생성하기 위해 메인 이미지 데이터에 보조 이미지 데이터를 추가함으로써 하나의 이미지 파일을 생성하며, 기록 매체(19)에 이미지 파일을 기록 및 저장한다.
촬영 후에, 기록 및 재생 전환 버튼(3)이 눌릴 때, 촬영 모드는 재생 모드로 전환된다. 컴퓨터(18)는 재생 모드에서 기록 매체(19)로부터 이미지 파일을 판독한다. 재생 모드에서는, 도 7a에 예시된 바와 같이, 메인 이미지가 모니터 스크린(2) 상에 재생 및 표시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자동차(2A)가 메인 이미지로서 표시된다.
모니터 스크린(2) 상에 메인 이미지가 재생 및 표시되고 카메라 메모가 ON인 동안, 재생기(reproducer)로서 표시 버튼(4)이 눌릴 때, 카메라 메모 및 메인 이미지가 모니터 스크린(2) 상에 재생 및 표시된다. 즉, 텍스트 정보가 메인 이미지가 추가된다.
카메라 메모 및 메인 이미지가 모니터 스크린(2) 상에 재생 및 표시되는 동안, 표시 버튼(4)이 다시 눌리면, 보조 이미지가 모니터 스크린(2) 상에 표시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보조 이미지 데이터가 저장될 때, 보조 이미지는 도 7b에 예시된 바와 같이 재생 및 표시되는 반면, 보조 이미지가 저장되지 않을 때에는 보조 이미지가 모니터 스크린(2) 상에 재생 및 표시되지 않는다. 이 실시예에서는, 도 7b에 예시된 바와 같이 번호판(2B)이 보조 이미지로서 표시된다.
보조 이미지가 모니터 스크린(2) 상에 표시되는 동안, 표시 버튼(4)이 다시 눌릴 때, 도 7c에 예시된 바와 같이 이미지 파일의 크기 정보(2D)가 메인 이미지와 함께 모니터 스크린(2) 상에 표시된다.
다음으로, 표시 버튼(4)이 눌리면, 히스토그램(histogram)이 추가되고, 메인 이미지가 모니터 스크린(2) 상에 표시될 수 있다. 이 경우에, 표시 버튼(4)이 눌릴 때, 모니터 스크린(2)은 도 7a에 예시된 바와 같이 초기 모니터 스크린(2)으로 돌아간다.
표시 버튼(4)의 누름 반복을 통해, 메인 이미지, 카메라 메모와 함께 메인 이미지, 보조 이미지, 이미지 크기 정보와 함께 메인 이미지, 및 히스토그램 정보와 함께 메인 이미지가 순서대로 모니터 스크린(2) 상에 토글된다. 또한, 모니터 스크린(2)에서 초기 메뉴 설정 스크린 상에 카메라 메모를 설정하는 방법은 공지된 방법이므로, 이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체 이미지와 세부 이미지 둘 다가 요구될 때, 복수의 보조 이미지들과 메인 이미지가, 이미지를 생성 및 재생하기 위한 하나의 파일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이미지가 쉽게 관리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스틸 카메라(1)는 경매에서 중고차를 판매하기 위해 자동차의 전체 이미지 및 세부 이미지를 생성하는 데 유용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이미지 및 메인 이미지가 신뢰성있게 연결될 수 있고, 보조 이미지는 메인 이미지를 재생할 때 재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가 상기에 기재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서 당해 기술 분야에서의 숙련자에 의해 기재된 실시예에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Claims (10)

  1. 개별적으로 촬영된 2개의 이미지를 하나의 이미지 파일로서 기록하는 이미징 장치에 있어서,
    개별적으로 촬영된 2개의 이미지 중 하나를 갖는 하나의 이미지 파일을, 메인 이미지로서 상기 개별적으로 촬영된 2개의 이미지 중 다른 하나의 보조 이미지로서 생성하는 클립 이미지 촬영 모드로서, 보조 이미지 데이터로서 이미지를 얻는 보조 이미지 촬영 모드 및 메인 이미지 데이터로서 이미지를 얻는 메인 이미지 촬영 모드를 포함하는 클립 이미지 촬영 모드와,
    상기 보조 이미지 데이터의 유무를 결정하는 결정부와,
    상기 보조 이미지 촬영 모드와 상기 메인 이미지 촬영 모드를 전환하는 전환 키
    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이미지 촬영 모드에서, 상기 보조 이미지가 저장될 때, 상기 보조 이미지의 존재를 나타내는 아이콘이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에 표시되며,
    상기 결정부는 상기 메인 이미지 촬영 모드에서 상기 아이콘이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동안 상기 전환 키의 작동에 응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에 상기 보조 이미지를 재생 및 표시하고,
    상기 메인 이미지 촬영 모드에서, 상기 보조 이미지 데이터가 상기 메인 이미지 데이터의 이미지 파일을 생성하기 위해 추가되고, 상기 이미지 파일이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것인 이미징 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조 이미지는 상기 보조 이미지 촬영 모드에서 매크로 촬영(macro shooting)함으로써 촬영되는 것인 이미징 장치.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정부는, 상기 보조 이미지가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에 재생 및 표시되는 동안 상기 전환 키의 작동에 응답하여 상기 보조 이미지가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에 재생 및 표시되는 상태로부터 상기 보조 이미지 촬영 모드로 촬영 모드를 변경하는 것인 이미징 장치.
  7. 청구항 1 또는 6에 있어서,
    상기 결정부는, 상기 보조 이미지가 저장되지 않을 때 상기 전환 키의 작동에 응답하여 상기 메인 이미지 촬영 모드로부터 상기 보조 이미지 촬영 모드로 촬영 모드를 변경하는 것인 이미징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파일은 복수의 보조 이미지들을 포함하는 것인 이미징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조 이미지 및 상기 메인 이미지를 순차적으로 재생하는 재생부를 더 포함하는 이미징 장치.
  10. 개별적으로 촬영된 2개의 이미지 중의 하나를 갖는 하나의 이미지 파일을, 메인 이미지로서 상기 개별적으로 촬영된 2개의 이미지 중의 다른 하나의 보조 이미지로서 생성하는 촬영 모드를 갖는 촬영 방법에 있어서,
    상기 촬영 모드는,
    보조 이미지 촬영 모드에서 보조 이미지 데이터로서 이미지를 얻는 단계; 및
    메인 이미지 촬영 모드에서 메인 이미지 데이터로서 이미지를 얻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촬영 방법은, 상기 보조 이미지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을 때, 상기 메인 이미지 촬영 모드에서 상기 보조 이미지의 존재를 나타내는 아이콘이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에 표시되고, 상기 아이콘이 상기 메인 이미지 촬영 모드에서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동안 보조 이미지 촬영 모드와 메인 이미지 촬영 모드를 전환하는 전환 키의 작동에 응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에 상기 보조 이미지가 재생 및 표시되며, 상기 메인 이미지 데이터의 이미지 파일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 보조 이미지 데이터를 추가하고, 상기 이미지 파일을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인 촬영 방법.
KR1020150116085A 2014-08-19 2015-08-18 이미징 장치 KR1016804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166495A JP6451141B2 (ja) 2014-08-19 2014-08-19 撮像装置
JPJP-P-2014-166495 2014-08-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2270A KR20160022270A (ko) 2016-02-29
KR101680483B1 true KR101680483B1 (ko) 2016-11-28

Family

ID=538364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6085A KR101680483B1 (ko) 2014-08-19 2015-08-18 이미징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122957B2 (ko)
EP (1) EP2988304B1 (ko)
JP (1) JP6451141B2 (ko)
KR (1) KR101680483B1 (ko)
RU (1) RU2604057C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34644A1 (en) 2008-11-28 2010-06-03 Casio Computer Co., Ltd. Image pick-up apparatus, method of producing file of obtained image, and recording medium
US20110234881A1 (en) 2010-03-25 2011-09-29 Fujifilm Corporation Display apparatus
US20110234853A1 (en) 2010-03-26 2011-09-29 Fujifilm Corporation Imaging apparatus and display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39804B2 (ja) 1993-01-28 2003-08-25 株式会社リコー テレライティング端末装置
JPH08298656A (ja) 1995-02-28 1996-11-12 Ricoh Co Ltd テレライティングシステム
JP2000029101A (ja) * 1998-07-10 2000-01-28 Casio Comput Co Ltd 撮影装置
JP4238053B2 (ja) 2002-03-22 2009-03-11 株式会社リコー 画像ファイル管理システム及び画像ファイル管理プログラム
JP4105010B2 (ja) 2002-09-11 2008-06-18 株式会社リコー デジタルカメラ及びデジタルカメラの画像データ送信方法並びに画像データ送受信システム
JP2005039465A (ja) 2003-07-18 2005-02-10 Ricoh Co Ltd デジタルカメラ
KR101058011B1 (ko) 2004-10-01 2011-08-19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디지털 카메라 조작 방법
JP3833238B1 (ja) 2005-03-03 2006-10-11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印刷制御装置及び画像印刷制御方法
JP4933156B2 (ja) 2005-07-29 2012-05-16 株式会社リコー 画像撮影装置
JP4694421B2 (ja) 2005-07-29 2011-06-08 株式会社リコー 画像転送システムおよび画像転送方法
JP2008147838A (ja) * 2006-12-07 2008-06-26 Sony Corp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WO2008087914A1 (ja) * 2007-01-15 2008-07-24 Panasonic Corporation 撮像装置
US8284270B2 (en) 2007-03-06 2012-10-09 Panasonic Corporation Imaging device, edition device, image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US7956904B2 (en) * 2007-10-23 2011-06-07 Panasonic Corporation Image file reproduction device and image file reproduction method
JP4861302B2 (ja) * 2007-12-26 2012-01-25 オリンパス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画像ファイル作成装置、画像ファイル作成方法
JP5239881B2 (ja) * 2008-03-31 2013-07-17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画像表示処理プログラム、及び、画像表示方法
JP5141447B2 (ja) 2008-08-28 2013-02-13 株式会社ニコン 画像表示装置、および画像表示プログラム
KR101610705B1 (ko) * 2008-12-10 2016-04-11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를 구비한 단말기 및 그 단말기에서 이미지 처리 방법
JP5299912B2 (ja) * 2009-04-20 2013-09-25 株式会社ザクティ 撮像装置及び画像ファイルのデータ構造
JP5418194B2 (ja) 2009-06-04 2014-02-19 株式会社リコー 撮像システム
JP2011045039A (ja) 2009-07-21 2011-03-03 Fujifilm Corp 複眼撮像装置
JP5415170B2 (ja) 2009-07-21 2014-02-12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複眼撮像装置
JP2011120205A (ja) 2009-11-09 2011-06-16 Ricoh Co Ltd カメラシステム
JP2011223248A (ja) 2010-04-08 2011-11-04 Sony Corp 情報処理装置、情報記録媒体、およ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2012065129A (ja) * 2010-09-16 2012-03-29 Panasonic Corp 撮像装置
WO2013047217A1 (ja) * 2011-09-30 2013-04-04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撮像装置、撮像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KR101969424B1 (ko) * 2012-11-26 2019-08-13 삼성전자주식회사 촬영된 이미지를 표시하는 촬영 장치 및 그 촬영 방법
KR102072509B1 (ko) * 2013-06-03 2020-02-04 삼성전자주식회사 그룹 리코딩 방법, 저장 매체 및 전자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34644A1 (en) 2008-11-28 2010-06-03 Casio Computer Co., Ltd. Image pick-up apparatus, method of producing file of obtained image, and recording medium
US20110234881A1 (en) 2010-03-25 2011-09-29 Fujifilm Corporation Display apparatus
US20110234853A1 (en) 2010-03-26 2011-09-29 Fujifilm Corporation Imaging apparatus and display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6042678A (ja) 2016-03-31
JP6451141B2 (ja) 2019-01-16
US20160057379A1 (en) 2016-02-25
KR20160022270A (ko) 2016-02-29
EP2988304B1 (en) 2020-05-06
RU2604057C1 (ru) 2016-12-10
US10122957B2 (en) 2018-11-06
EP2988304A1 (en) 2016-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17668B2 (en) Digital camera
JP5387949B2 (ja) 撮像装置、再生表示装置、撮像記録方法および再生表示方法
US8629921B2 (en) Image recording apparatus and image recording method
JP2004187124A (ja) 撮像装置
JP2009077026A (ja) 撮影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KR101737086B1 (ko)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429040B1 (ko) 화상 기록 장치 및 화상 기록 방법
JP2002305684A (ja) 撮像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US8538247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JP2007257465A (ja) 画像表示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3943470B2 (ja) デジタルカメラ
JP2005117369A (ja) 動画記録装置および動画再生装置並びにデジタルカメラ
KR101680483B1 (ko) 이미징 장치
JP2008205953A (ja) 撮像装置、及び画像再生装置
US11184551B2 (en) Imag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6593515B2 (ja) 撮像装置、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及び撮像方法
JP2003219325A (ja) 撮影装置
JP2005094133A (ja) 撮影装置
JP2004186866A (ja) 画像記録装置
JP2010087723A (ja) 撮影装置及び動画像編集方法
JP3913046B2 (ja) 撮像装置
JP2006094200A (ja) 撮像装置、合焦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916984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0627070B1 (ko) 화상 음성 기록 장치 및 재생 장치
JP2005117370A (ja) デジタルカメ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