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9040B1 - 화상 기록 장치 및 화상 기록 방법 - Google Patents

화상 기록 장치 및 화상 기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9040B1
KR101429040B1 KR1020097013666A KR20097013666A KR101429040B1 KR 101429040 B1 KR101429040 B1 KR 101429040B1 KR 1020097013666 A KR1020097013666 A KR 1020097013666A KR 20097013666 A KR20097013666 A KR 20097013666A KR 101429040 B1 KR101429040 B1 KR 1014290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e
image
image data
basic
basic f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136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04010A (ko
Inventor
사토시 나카무라
미키오 와타나베
Original Assignee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1040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40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90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90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H04N5/772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the recording apparatus and the television camera being placed in the same enclos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6Colour picture communication systems
    • H04N1/48Picture signal genera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7921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for more than one processing m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04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 H04N9/8205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involving the multiplexing of an additional signal and the colour video sig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 Editing Of Facsimile Originals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화상 기록 장치 및 화상 기록 방법에 의하면, 복수의 화상 데이터를 격납한 확장 화상 파일로부터 복수의 화상 데이터를 판독하여 재생 또는 편집하는 기능을 갖지 않은 화상 처리 장치도 확장 화상 파일내의 대표 화상 데이터를 판독할 수 있는 방식으로 화상이 기록될 수 있다. 또한, 기본 파일이 삭제 또는 개변되면 확장 화상 파일내의 대표 화상 데이터를 사용하여 기본 파일이 복구될 수 있기 때문에 개변 전에는 항상 다른 화상 처리 장치에 대표 화상 데이터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화상 기록 장치, 화상 기록 방법

Description

화상 기록 장치 및 화상 기록 방법{IMAGE RECORDING DEVICE AND IMAGE RECORDING METHOD}
본 발명은 화상 기록 장치 및 화상 기록 방법에 관한 것이고, 특히 복수의 화상 데이터를 1개의 화상 파일에 격납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에는 연속한 복수매의 정지 화상을 기록하는 경우에 1회의 기록 동작에 의해 생성되는 연속 정지 화상의 압축 데이터를 각각 독립된 정지 화상의 압축 데이터의 결합체가 되게 하는 화상 데이터 기록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2에는 복수 시점의 각 화상에 있어서의 파일 헤더와 화상 정보가 독립적으로 기존 형식의 파일을 형성 하는 복수 시점의 화상으로부터 화상 데이터를 작성하는 화상 데이터 작성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3에는 입체 화상 데이터를 보존할 때에 신규 폴더를 작성해서 입체 화상 데이터, 우안 화상 데이터, 좌안 화상 데이터를 함께 보존하는 화상 기록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평11-266420호 공보(도 4)
[특허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2004-274091호 공보(도 9)
[특허문헌 3] 일본 특허 공개 2005-229291호 공보(단락 [0125], 도 7)
화상 처리 장치 중에는 복수의 화상 데이터가 격납된 화상 파일로부터 복수의 화상 데이터를 판독하여 재생 처리 등을 행하는 기능을 갖지 않은 것이 존재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화상 처리 장치에서는 복수의 화상 데이터가 격납된 화상 파일을 판독했을 경우 해당 화상 파일중의 화상 데이터 중 최초의 1매만을 판독할 수 있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화상 처리 장치에서는 1매째의 화상 데이터만 판독할 수 있기 때문에 판독한 화상 데이터를 편집한 후에 보존했을 경우 원래의 화상 파일의 2매째 이후의 화상 데이터가 새로운 화상 파일에는 보존되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오버라이팅(overwriting)을 수행한 경우에는 원래의 화상 파일의 2매째 이후의 화상 데이터가 소거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특허문헌 1 및 2는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 아니었다. 또한, 특허문헌 3에서는 우안 화상 데이터, 좌안 화상 데이터를 입체 화상 데이터와 함께 보존하는 것이지만, 우안 화상 데이터, 좌안 화상 데이터 중 어느쪽인가에 편집이 수행된 경우 개변(alteration)의 유무를 검출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복수의 화상 데이터가 격납된 1개의 화상 파일을 생성, 기록하기 위한 화상 기록 장치 및 화상 기록 방법으로서, 해당 화상 파일로부터 복수의 화상 데이터를 판독하는 기능을 갖지 않은 화상 처리 장치에 있어서도 이용 가능한 형식으로 화상 파일을 기록할 수 있는 화상 기록 장치 및 화상 기록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화상 기록 장치는 복수의 화상 데이터를 격납한 확장 화상 파일과 상기 확장 화상 파일에 격납된 복수의 화상 데이터 중에서 선택된 1매의 대표 화상 데이터를 격납한 기본 파일을 관련지어 기록하는 화상 기록 수단과, 상기 기본 파일이 삭제 또는 개변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 수단과, 상기 기본 파일이 삭제 또는 개변되어 있다고 판정되었을 경우에 상기 확장 화상 파일로부터 상기 기본 파일을 복원하는 기본 파일 복원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의하면, 확장 화상 파일로부터 복수의 화상 데이터를 판독하여 재생 또는 편집하는 기능을 갖지 않은 화상 처리 장치에 있어서도, 확장 화상 파일중의 대표 화상 데이터를 판독 가능한 형식으로 화상을 기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의하면, 기본 파일이 삭제 또는 개변되었을 경우에 확장 화상 파일중의 대표 화상 데이터를 이용해서 기본 파일을 복원할 수 있으므로 항상 개변전의 대표 화상 데이터를 다른 화상 처리 장치에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화상 기록 장치에 있어서, 상기 화상 기록 수단은 상기 복수의 화상 데이터를 서로 연결시켜서 1개의 화상 데이터로서 상기 확장 화상 파일에 격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 또는 제 2 실시형태에 의한 화상 기록 장치에 있어서, 상기 화상 기록 수단은 상기 기본 파일과 상기 확장 화상 파일의 파일명의 확장자를 제외한 부분을 동일하게 해서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의한 화상 기록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본 파일이 개변되어 있다고 판정되었을 경우에 상기 기본 파일의 파일명을 변경하는 파일명 변경 수단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의한 화상 기록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본 파일이 개변되어 있다고 판정되었을 경우에 상기 확장 화상 파일의 파일명을 변경하는 파일명 변경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기본 파일 복원 수단은 상기 복원한 기본 파일의 파일명의 확장자를 제외한 부분을 상기 파일명 변경 수단에 의해 파일명이 변경된 확장 화상 파일의 파일명의 확장자를 제외한 부분과 동일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 또는 제 5 실시형태에 의하면, 개변된 기본 파일과, 개변전의 대표 화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기본 파일을 개별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6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제 1 내지 제 5 실시형태에 의한 화상 기록 장치에 있어서, 상기 화상 기록 수단은 상기 확장 화상 파일중에 상기 기본 파일의 타임 스탬프 정보, 상기 기본 파일중의 소정 영역의 해쉬값(hash value) 및 상기 기본 파일중의 소정 영역의 데이터 사이즈 중 적어도 1개를 기록하고 있고, 상기 판정 수단은 상기 기본 파일의 타임 스탬프 정보, 상기 기본 파일중의 소정 영역의 해쉬값 및 상기 기본 파일중의 소정 영역의 데이터 사이즈 중 적어도 1개에 의거하여 상기 기본 파일이 개변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6 실시형태에 의하면, 기본 파일의 타임 스탬프 정보, 기본 파일중의 소정 영역의 해쉬값 또는 데이터 사이즈에 의거하여 기본 파일의 개변의 유무를 판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7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형태에 의한 화상 기록 장치에 있어서, 상기 소정 영역은 상기 기본 파일중의 대표 화상 데이터의 격납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8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제 1 내지 제 7 실시형태에 의한 화상 기록 장치에 있어서, 1 또는 복수의 촬영 수단을 이용해서 동일한 피사체가 다시점으로부터 촬영된 복수의 화상 데이터를 취득하는 화상 데이터 취득 수단과, 상기 복수의 화상 데이터를 격납한 확장 화상 파일을 생성하는 확장 화상 파일 생성 수단과, 상기 복수의 화상 데이터 중에서 대표 화상 데이터를 선택해서 기본 파일을 생성하는 기본 파일 생성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9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제 8 실시형태에 의한 화상 기록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본 파일 생성 수단은 상기 피사체를 촬영할 때의 다시점 중 중간 근방의 시점으로부터 촬영된 화상 데이터를 대표 화상 데이터로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0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제 1 내지 제 8 실시형태에 의한 화상 기록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본 파일 생성 수단은 상기 확장 화상 파일중의 상기 복수의 화상 데이터가 격납된 영역의 중간 근방에 위치하는 화상 데이터를 대표 화상 데이터로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1 실시형태에 의한 화상 기록 방법은 복수의 화상 데이터를 격납한 확장 화상 파일과 상기 확장 화상 파일에 격납된 복수의 화상 데이터 중에서 선택된 1매의 대표 화상 데이터를 격납한 기본 파일을 관련지어 기록하는 화상 기록 공정과, 상기 기본 파일이 삭제 또는 개변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 공정과, 상기 기본 파일이 삭제 또는 개변되어 있다고 판정되었을 경우에 상기 확장 화상 파일로부터 상기 기본 파일을 복원하는 기본 파일 복원 공정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2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제 11 실시형태에 의한 화상 기록 방법에 있어서, 상기 화상 기록 공정에서는 상기 기본 파일과 상기 확장 화상 파일의 파일명의 확장자를 제외한 부분을 동일하게 해서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3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제 12 실시형태에 의한 화상 기록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본 파일이 개변되어 있다고 판정되었을 경우에 상기 기본 파일의 파일명을 변경하는 파일명 변경 공정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4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제 12 실시형태에 의한 화상 기록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본 파일이 개변되어 있다고 판정되었을 경우에 상기 확장 화상 파일의 파일명을 변경하는 파일명 변경 공정과, 상기 복원한 기본 파일의 파일명의 확장자를 제외한 부분을 상기 파일명이 변경된 확장 화상 파일의 파일명의 확장자를 제외한 부분과 동일하게 하는 공정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5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제 11 내지 제 14 실시형태에 의한 화상 기록 방법에 있어서, 상기 확장 화상 파일중에 상기 기본 파일 타임 스탬프 정보, 상기 기본 파일중의 소정 영역의 해쉬값 또는 상기 기본 파일중의 소정 영역의 데이터 사이즈 중 적어도 1개를 기록하는 공정을 더 구비하고, 상기 판정 공정에서는 상기 기본 파일의 타임 스탬프 정보, 상기 기본 파일중의 소정 영역의 해쉬값 또는 상기 기본 파일중의 소정 영역의 데이터 사이즈 중 적어도 1개에 의거하여 상기 기본 파일이 개변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6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제 15 실시형태에 의한 화상 기록 방법에 있어서, 상기 소정 영역은 상기 기본 파일중의 대표 화상 데이터의 격납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7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제 11 내지 제 16 실시형태에 의한 화상 기록 방법에 있어서, 1 또는 복수의 촬영 수단을 이용해서 동일한 피사체가 다시점으로부터 촬영된 복수의 화상 데이터를 취득하는 화상 데이터 취득 공정과, 상기 복수의 화상 데이터를 격납한 확장 화상 파일을 생성하는 확장 화상 파일 생성 공정과, 상기 복수의 화상 데이터 중에서 대표 화상 데이터를 선택해서 기본 파일을 생성하는 기본 파일 생성 공정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8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제 17 실시형태에 의한 화상 기록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본 파일 생성 공정에서는 상기 피사체를 촬영할 때의 다시점 중 중간 근방의 시점으로부터 촬영된 화상 데이터를 대표 화상 데이터로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9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제 11 내지 제 17 실시형태에 의한 화상 기록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본 파일 생성 공정에서는 상기 확장 화상 파일중의 상기 복수의 화상 데이터가 격납된 영역의 중간 근방에 위치하는 화상 데이터를 대표 화상 데이터로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화상 기록 장치 및 화상 기록 방법에 의하면, 복수의 화상 데이터가 격납된 확장 화상 파일로부터 복수의 화상 데이터를 판독하여 재생, 편집하는 기능을 갖지 않은 화상 처리 장치에 있어서도 확장 화상 파일중의 대표 화상 데이터를 판독 가능한 형식으로 화상을 기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상 기록 장치 및 화상 기록 방법에 의하면, 기본 파일이 삭제 또는 개변되었을 경우에 확장 화상 파일중의 대표 화상 데이터를 이용해서 기본 파일을 복원할 수 있으므로 항상 개변전의 대표 화상 데이터를 다른 화상 처리 장치에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기본 파일(F10)의 복원 처리를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화상 기록 장치를 구비한 촬영 장치의 주요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기본 파일(F10)의 데이터 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확장 화상 파일(F100)의 데이터 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메모리 카드(70)에 기본 파일 및 확장 화상 파일을 격납할 때의 폴더의 트리 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확장 화상 파일(F100)의 데이터 구조의 다른 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파일명 변경 처리 규칙(1)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파일명 변경 처리 규칙(2)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의한 화상 기록 장치(PC)의 주요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부호의 설명]
1 : 촬영 장치 10 : 촬영부
12 : 메인 CPU 14 : 조작부
16 : 전원 제어부 18 : 배터리
20 : 버스 22 : ROM
24 : 플래시 ROM 26 : SDRAM
28 : VRAM 30 : 모니터
32 : 표시 제어부 34 : 2D/3D 모드 스위칭 플래그
36 : 플래시 발광부 38 : 플래시 제어부
40 : 촬영 렌즈 42 : 줌렌즈
44 : 포커스 렌즈 46 : 조리개
42C : 줌렌즈 제어부(Z 렌즈 제어부)
44C : 포커스 렌즈 제어부(F 렌즈 제어부)
46C : 조리개 제어부 48 : 촬상 소자
50 : 타이밍 제너레이터(TG) 52 : 아날로그 신호 처리부
54 : A/D 변환기 56 : 화상 입력 컨트롤러
58 : 디지털 신호 처리부 60 : AF 검출부
62 : AE/AWB 검출부 64 : 압축/신장 처리부
66 : 화상 파일 생성부 68 : 미디어 제어부
70 : 메모리 카드
72 : 외부 접속 인터페이스부(외부 접속 I/F)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화상 기록 장치 및 화상 기록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화상 기록 장치를 구비한 촬영 장치의 주요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영 장치(1)는 복수의 촬영부[10-1, 10-2, …, 10-N (N≥2)]를 구비하고 있고, 동일한 피사체를 다시점으로부터 촬영한 시차 화상을 취득하고, 소정 형식의 기록용 화상 파일로서 기록하는 장치이다.
메인 CPU(12)[이하, CPU(12)라고 기재함]는 조작부(14)로부터의 입력에 의거하여 소정의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서 촬영 장치(1) 전체의 동작을 통괄 제어하는 제어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전원 제어부(16)는 배터리(18)로부터의 전력을 제어하여 촬영 장치(1)의 각 부에 동작 전력을 공급한다.
CPU(12)에는 버스(20)를 통해 ROM(22), 플래시 ROM(24), SDRAM(26) 및 VRAM(28)이 접속되어 있다. ROM(22)에는 CPU(12)에 의해 실행되는 제어 프로그램 및 제어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 등이 격납되어 있다. 플래시 ROM(24)에는 유저 설정 정보등의 촬영 장치(1)의 동작에 관한 각종 설정 정보 등이 격납되어 있다.
SDRAM(26)은 CPU(12)의 연산 작업용 영역 및 화상 데이터의 일시 기억 영역(워크 메모리)을 포함하고 있다. VRAM(28)은 표시용의 화상 데이터 전용의 일시 기억 영역을 포함하고 있다.
모니터(30)는 예를 들면, 컬러 액정 패널 등의 표시 장치에 의해 구성되고, 촬영된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화상 표시부로서 사용됨과 아울러 각종 설정시에 GUI로서 사용된다. 또한, 모니터(30)는 촬영 모드시에 화각을 확인하기 위한 전자 파인더로서 이용된다. 모니터(30)의 표면에는 호그백(hog-back) 형상의 렌즈군을 갖는 소위 렌티큘라 렌즈(lenticular lens)가 배치되어 있고, 3차원 화상(3D 화상)의 표시시에 유저는 입체시가 가능하게 된다. 표시 제어부(32)는 촬상 소자(48) 또는 메모리 카드(70)로부터 판독된 화상 데이터를 표시용의 화상 신호(예를 들면, NTSC 신호, PAL 신호 또는 SCAM 신호)로 변환해서 모니터(30)에 출력함과 아울러 소정의 문자, 도형 정보(예를 들면, 온-스크린 표시용의 데이터)를 모니터(30)에 출력한다. 또한, 표시 제어부(32)는 소정의 인터페이스(예를 들면, USB, IEEE1394 또는 LAN)를 통해 접속된 외부 표시 장치에 화상을 출력할 수 있다.
조작부(14)는 셧터 버튼, 전원/모드 스위치, 모드 다이얼, 십자 버튼, 줌 버튼, MENU/OK 버튼, DISP 버튼 및 BACK 버튼 등의 조작 입력 수단을 포함하고 있다.
전원/모드 스위치는 촬영 장치(1)의 전원의 온/오프 스위칭, 및 촬영 장치(1)의 동작 모드(재생 모드 및 촬영 모드)의 스위칭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모드 다이얼은 촬영 장치(1)의 촬영 모드를 스위칭하기 위한 조작 수단이며, 모드 다이얼의 설정 위치에 따라 2차원의 정지 화상을 촬영하는 2D 정지 화상 촬영 모드, 2차원의 동화상을 촬영하는 2D 동화상 촬영 모드, 3차원의 정지 화상을 촬영하는 3D 정지 화상 촬영 모드 및 3차원의 동화상을 촬영하는 3D 동화상 촬영 모드의 사이에서 촬영 모드가 스위칭된다. 촬영 모드가 2D 정지 화상 촬영 모드 또는 2D 동화상 촬영 모드로 설정되면 2D/3D 모드 스위칭 플래그(34)에 2차원 화상을 촬영하기 위한 2D 모드인 것을 나타내는 플래그가 설정된다. 또한, 촬영 모드가 3D 정지 화상 촬영 모드 또는 3D 동화상 촬영 모드로 설정되면 2D/3D 모드 스위칭 플래그(34)에 3차원 화상을 촬영하기 위한 3D 모드인 것을 나타내는 플래그가 설정된다. CPU(12)는 2D/3D 모드 스위칭 플래그(34)를 참조하여 2D 모드와 3D 모드 중 어느 것인지를 판별한다.
셧터 버튼은 소위 "반압(half press)"과 "전압(full press)"으로 이루어지는 2단계 스트로크식의 스위치로 구성되어 있다. 정지 화상 촬영 모드시에는 셧터 버튼이 반압되면 촬영 준비 처리[즉, AE(Automatic Exposure), AF(Auto Focusing), AWB(Automatic White Balancing)]가 행하여지고, 셧터 버튼이 전압되면 화상의 촬영ㆍ기록 처리가 행하여진다. 또한, 동화상 촬영 모드시에는 셧터 버튼이 전압되면 동화상의 촬영이 개시되고, 다시 전압되면 촬영이 종료된다. 설정에 의해 셧터 버튼이 전압되어 있는 사이 동화상의 촬영이 행하여지고, 전압이 해제되면 촬영을 종료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정지 화상 촬영용의 셧터 버튼 및 동화상 촬영용의 셧터 버튼을 개별적으로 설치해도 좋다.
십자 버튼은 상하 좌우 4방향으로 가압 조작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각 방향의 버튼에는 촬영 장치(1)의 동작 모드 등에 따른 기능이 할당되어 있다. 예를 들면, 촬영 모드시에는 좌 버튼에 매크로 기능의 온/오프를 스위칭하는 기능이 할당되고, 우 버튼에 플래시 모드를 스위칭하는 기능이 할당된다. 또한, 촬영 모드시에는 상 버튼에 모니터(30)의 밝기를 변경하는 기능이 할당되고, 하 버튼에 셀프-타이머의 온/오프를 스위칭하는 기능이 할당된다. 재생 모드시에는 좌 버튼에 프레임 어드밴스 기능(frame advance function)이 할당되고, 우 버튼에 프레임 리턴 기능(frame return function)이 할당된다. 또한, 재생 모드시에는 상 버튼에 모니터(30)의 밝기를 변경하는 기능이 할당되고, 하 버튼에 재생중인 화상을 삭제하는 기능이 할당된다. 또한, 각종 설정시에는 모니터(30)에 표시된 커서를 각 버튼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기능이 할당된다.
줌 버튼은 촬영부(10-1, 10-2, …, 10-N)의 주밍 조작을 행하기 위한 조작 수단이며, 망원측으로의 줌을 지시하는 줌-텔레 버튼(zoom-tele button)과, 광각측으로의 줌을 지시하는 줌 와이드 앵글 버튼(zoom wide angle button)을 구비하고 있다.
MENU/OK 버튼은 메뉴 화면의 호출(MENU 기능)에 사용됨과 아울러 선택 내용의 확정, 처리의 실행 지시 등(OK 기능)에 사용되고, 촬영 장치(1)의 설정 상태에 따라서 할당된 기능이 스위칭된다. 메뉴 화면에서 MENU/OK 버튼은 예를 들면, 노출값, 색조, 촬영 감도, 기록 화소수 등의 화질 조정이나, 셀프-타이머의 설정, 측광 방식의 스위칭, 디지털 줌을 사용할 것인지의 여부 등, 촬영 장치(1)가 갖는 모든 조정 항목의 설정을 수행한다. 촬영 장치(1)는 이 메뉴 화면에서 설정된 조건에 따라서 동작한다.
DISP 버튼은 모니터(30)의 표시 내용의 스위칭 지시 등의 입력에 사용되고, BACK 버튼은 입력 조작의 캔슬 등의 지시의 입력에 사용된다.
플래시 발광부(36)는 예를 들면, 방전관(제논관)에 의해 구성되고, 어두운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나 역광시 등에 필요에 따라 발광된다. 플래시 제어부(38)는 플래시 발광부(방전관)(36)를 발광시키기 위한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메인 콘덴서를 포함하고 있고, CPU(12)로부터의 플래시 발광 지령을 따라서 메인 콘덴서의 배터리 충전 제어, 플래시 발광부(36)의 방전(발광)의 타이밍 및 방전 시간의 제어 등을 행한다. 또한, 플래시 발광부(36)로서 LED 등의 다른 발광 수단을 이용해도 좋다.
이어서, 촬영 장치(1)의 촬영 기능에 대해서 설명한다. 촬영부(10)는 촬영 렌즈(40)[줌렌즈(42), 포커스 렌즈(44) 및 조리개(46)], 줌렌즈 제어부(Z 렌즈 제어부)(42C), 포커스 렌즈 제어부(F 렌즈 제어부)(44C), 조리개 제어부(46C), 촬상 소자(48), 타이밍 제너레이터(TG)(50), 아날로그 신호 처리부(52), A/D 변환기(54), 화상 입력 컨트롤러(56) 및 디지털 신호 처리부(58)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도 2에서는 촬영부(10-1, 10-2, …, 10-N)내의 각 부에 각각 부호 1, 2, …, N을 붙여서 구별하고 있지만, 각 부의 기능은 거의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이하의 설명에서는 부호 1, 2, …, N을 생략해서 설명한다.
줌렌즈(42)는 도시되지 않은 줌 액추에이터에 의해 구동되어서 광축을 따라 전후로 이동한다. CPU(12)는 줌렌즈 제어부(42C)를 통해 줌 액추에이터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줌렌즈(42)의 위치를 제어해서 주밍을 행한다.
포커스 렌즈(44)는 도시되지 않은 포커스 액추에이터에 의해 구동되어서 광축을 따라 전후로 이동한다. CPU(12)는 포커스 렌즈 제어부(44C)를 통해 포커스 액추에이터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포커스 렌즈(44)의 위치를 제어해서 포커싱을 행한다.
조리개(46)는 예를 들면, 아이리스 조리개(iris diaphragm)로 구성되어 있고, 도시되지 않은 조리개 액추에이터에 의해 구동되어서 동작한다. CPU(12)는 조리개 제어부(46C)를 통해 조리개 액추에이터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조리개(46)의 개구량(조리개 값)을 제어하여 촬상 소자(48)로의 입사 광량을 제어한다.
CPU(12)는 각 촬영부의 촬영 렌즈(40-1, 40-2, …, 40-N)를 동기시켜서 구동한다. 즉, 촬영 렌즈(40-1, 40-2, …, 40-N)는 항상 같은 초점 거리(줌 배율)로 설정되고, 항상 같은 피사체에 포커싱되도록 초점 조절이 행하여진다. 또한, 항상 같은 입사 광량(조리개 값)이 되도록 조리개가 조정된다.
촬상 소자(48)는 예를 들면, 컬러 CCD 고체 촬상 소자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촬상 소자(CCD)(48)의 수광면에는 다수의 포토다이오드가 2차원적으로 배열되어 있고, 각 포토다이오드에는 소정의 배열로 컬러 필터가 배치되어 있다. 촬영 렌즈(40)를 통해 CCD의 수광면상에 결상된 피사체의 광학상은 이 포토다이오드에 의해 입사 광량에 따른 신호 전하로 변환된다. 각 포토다이오드에 축적된 신호 전하는 CPU(12)로부터의 지령을 따라서 TG(50)에 의해 주어지는 구동 펄스에 의거해서 신호 전하에 따른 전압 신호(화상 신호)로서 촬상 소자(48)로부터 순차적으로 판독된다. 촬상 소자(48)는 전자 셔터 기능을 가지고 있고, 포토다이오드로의 전하 축 적 시간을 제어함으로써 노광 시간(셔터 속도)이 제어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촬상 소자(48)로서 CCD를 사용하고 있지만, CMOS 센서 등의 다른 구성의 촬상 소자를 사용할 수도 있다.
아날로그 신호 처리부(52)는 촬상 소자(48)로부터 출력된 화상 신호에 포함되는 리셋 노이즈(저주파)를 제거하기 위한 상관 2중 샘플링 회로(CDS), 화상 신호를 증폭해서 일정 레벨의 크기로 컨트롤하기 위한 AGS 회로를 포함하고, 촬상 소자(48)로부터 출력되는 화상 신호를 상관 2중 샘플링 처리함과 아울러 증폭한다.
A/D 변환기(54)는 아날로그 신호 처리부(52)로부터 출력된 아날로그의 화상 신호를 디지털의 화상 신호로 변환한다.
화상 입력 컨트롤러(56)는 A/D 변환기(54)로부터 출력된 화상 신호를 로딩하여 SDRAM(26)에 격납한다.
디지털 신호 처리부(58)는 동시화 회로(단판 CCD의 컬러 필터 배열에 따른 컬러 신호의 공간적인 엇갈림을 보간해서 컬러 신호를 동시식으로 변환하는 처리 회로), 화이트 발란스 조정 회로, 계조 변환 처리 회로(예를 들면, 감마 보정 회로), 윤곽보정 회로, 휘도ㆍ색차 신호 생성 회로 등을 포함하는 화상 처리 수단으로서 기능하고, SDRAM(26)에 격납된 R, G, B의 화상 신호에 대하여 소정의 신호 처리를 행한다. 즉, R, G, B의 화상 신호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58)에 있어서 휘도 신호(Y 신호) 및 색차 신호(Cr, Cb 신호)로 이루어진 YUV 신호로 변환됨과 아울러 계조 변환 처리(예를 들면, 감마 보정) 등의 소정의 처리가 신호상에 실시된다. 디지털 신호 처리부(58)에 의해 처리된 화상 데이터는 VRAM(28)에 격납되어 있다.
촬영 화상을 모니터(30)에 출력하는 경우 VRAM(28)으로부터 화상 데이터가 판독되어 버스(20)를 통해 표시 제어부(32)로 전송된다. 표시 제어부(32)는 입력된 화상 데이터를 표시용의 소정 방식의 비디오 신호로 변환해서 모니터(30)에 출력한다.
AF 검출부(60)는 화상 입력 컨트롤러(56-1, 56-2, …, 56-N) 중 어느 하나로부터 로딩된 R, G, B의 각 컬러의 신호를 로딩하여 AF 제어에 필요한 초점 평가값을 산출한다. AF 검출부(60)는 G 신호의 고주파 성분만을 통과시키는 하이-패스 필터, 절대치화 처리부, 화면에 설정된 소정의 포커스 영역내의 신호를 클리핑(clipping)하는 포커스 영역 추출부, 및 포커스 영역내의 절대치 데이터를 적산하는 적산부를 포함하고, 이 적산부에 의해 적산된 포커스 영역내의 절대치 데이터를 초점 평가값으로서 CPU(12)에 출력한다.
CPU(12)는 AF 제어시에는 AF 검출부(60)로부터 출력되는 초점 평가값이 극대가 되는 위치를 탐색하고, 그 위치에 포커스 렌즈(42)를 이동시킴으로써 주요 피사체로의 초점 맞춤을 행한다. 즉, CPU(12)는 AF 제어시에는 우선, 포커스 렌즈(42)를 지근으로부터 무한원까지 이동시키고, 그 이동 과정에서 AF 검출부(60)로부터 초점 평가값을 축차 취득하고, 그 초점 평가값이 극대가 되는 위치를 검출한다. 그리고, 검출된 초점 평가값이 극대인 위치를 포커싱 위치로서 판정하고, 그 위치에 포커스 렌즈(42)를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포커스 영역에 위치하는 피사체(주요 피사체)에 포커싱된다.
AE/AWB 검출부(62)는 화상 입력 컨트롤러(56-1, 56-2, …, 56-N) 중 어느 하 나로부터 로딩된 R, G, B의 각 컬러의 화상 신호를 로딩하여 AE 제어 및 AWB 제어에 필요한 적산값을 산출한다. 즉, AE/AWB 검출부(62)는 1화면을 복수의 영역(예를 들면, 8×8 = 64 영역)으로 분할하고, 분할된 영역마다 R, G, B 신호의 적산값을 산출한다.
CPU(12)는 AE 제어시에는 AE/AWB 검출부(62)에 있어서 산출된 영역마다 R, G, B 신호의 적산값을 취득하고, 피사체의 밝기(측광값)를 구하고, 적정한 노광량을 얻기 위한 노출 설정을 행한다. 즉, 촬영 감도, 조리개 값, 셔터 속도, 스트로브 발광이 필요한지의 여부를 설정한다.
또한, CPU(12)는 AWB 제어시에 AE/AWB 검출부(62)에 의해 산출된 영역마다 R, G, B 신호의 적산값을 디지털 신호 처리부(58)에 입력한다. 디지털 신호 처리부(58)는 AE/AWB 검출부(62)에 의해 산출된 적산값에 의거해서 화이트 발란스 조정용의 게인값을 산출한다. 또한, 디지털 신호 처리부(58)는 AE/AWB 검출부(62)에 의해 산출된 적산값에 의거해서 광원종(light source type)을 검출한다.
압축/신장 처리부(64)는 CPU(12)로부터의 지령에 따라 입력된 화상 데이터에 압축 처리를 실시하고, 소정 형식의 압축 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예를 들면, 정지 화상에 대하여는 JPEG 규격에 준거한 압축 처리가 시행되고, 동화상에 대하여는 MPEG2, MPEG4 또는 H.264 규격에 준거한 압축 처리가 시행된다. 또한, 압축/신장 처리부(64)는 CPU(12)로부터의 지령에 따라 입력된 압축 화상 데이터에 신장 처리를 실시하고, 비압축의 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화상 파일 생성부(66)는 상기 압축/신장 처리부(64)에 의해 생성된 JPEG 형 식의 정지 화상 데이터를 복수 격납한 확장 화상 파일(F100)을 생성함과 아울러 확장 화상 파일(F100)에 대응하는 기본 파일(F10)을 생성한다.
미디어 제어부(68)는 CPU(12)로부터의 지령에 따라 메모리 카드(70)에 대한 데이터의 판독/기록을 제어한다.
외부 접속 인터페이스부(외부 접속 I/F)(72)는 외부의 화상 처리 장치(예를 들면, 퍼스널 컴퓨터, 휴대 정보 단말 및 화상 스토리지 장치)와의 사이에서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기 위한 장치이다. 외부의 화상 처리 장치와의 사이의 통신 방식은 예를 들면, USB, IEEE1394, LAN, 적외선 통신(IrDA) 등을 포함한다.
[기록용 화상 데이터의 구성]
이어서,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기록용 화상 데이터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은 기본 파일(F10)의 데이터 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확장 화상 파일(F100)의 데이터 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도 5는 메모리 카드(70)에 기본 파일 및 확장 화상 파일을 격납할 때의 폴더의 트리 구조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 파일(F10)과 확장 화상 파일(F100)은 메모리 카드(70)내의 동일한 폴더에 격납되어 있다. 기본 파일(F10)과 확장 화상 파일(F100)의 확장자는 각각 JPG, F3D이다. 기본 파일(F10)은 JPEG 형식의 파일로서 재생 및 편집이 가능하다. 또한, 기본 파일(F10)과 확장 화상 파일(F100)의 파일명은 동일하게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기본 파일(F10) 및 확장 화상 파일(F100)의 파일명은 DCF(Design rule for Camera File system)를 따라서 결정된 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한 확장 화상 파일(F100)은 확장 화상 파일(F100)의 데이터의 선두를 나타내는 SOI 마커(Start of Image marker)의 격납 영역(A100), 태그 정보 격납 영역(A102), 화상 데이터 격납 영역(A104), 데이터의 종료를 나타내는 EOI 마커(End of Image marker)의 격납 영역(A106)을 포함하고 있다.
태그 정보 격납 영역(A102)에는 확장 화상 파일(F100)의 3D 헤더 정보가 격납되어 있다. 여기서, 3D 헤더 정보는 화상 데이터 격납 영역(A104)에 격납된 다시점의 화상 데이터 중에서 2개 이상을 조합시켜서 입체시용의 표시를 행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정보이며, 예를 들면, 입체시용의 표시를 행할 때에 사용하는 화상 데이터의 수를 나타내는 시점수, 입체시용의 표시를 행할 때에 사용하는 화상 데이터를 지정하기 위한 정보, 확장 화상 파일(F100)에 있어서의 각 화상 데이터의 판독 개시 위치를 지정하는 포인터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태그 정보 격납 영역(A102)에는 대응하는 기본 파일(F10)을 특정하기 위한 정보가 격납되어 있고, 확장 화상 파일(F100)의 재생시에 기본 파일(F10)을 참조 가능하게 되어 있다.
화상 데이터 격납 영역(A104)에는 상기 촬영부(10-1, 10-2, …, 10-N)에 의해 촬영된 화상을 JPEG 형식으로 압축해서 얻어진 압축 화상 데이터[각각 P(1), P(2), …, P(N)]가 격납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한 기본 파일(F10)은 기본 파 일(F10)의 데이터의 선두를 나타내는 SOI 마커(Start of Image marker)의 격납 영역(A10), 태그 정보 격납 영역(A12), 화상 데이터 격납 영역(A14), 데이터의 종료를 나타내는 EOI 마커(End of Image marker)의 격납 영역(A16)을 포함하고 있다.
화상 데이터 격납 영역(A14)에는 확장 화상 파일(F100)내의 압축 화상 데이터[P(1), P(2), …, P(N)] 중 대표 화상 데이터[P(d)]가 격납되어 있다. 화상 파일 생성부(66)는 예를 들면, 시점 위치가 중간 또는 중간 근방의 화상(즉, 시차 화상의 촬영시에 다시점의 중간 근방에 배치된 촬영부(10-d)에 의해 촬영된 화상)을 대표 화상 데이터[P(d)]로서 선택한다. 즉, 대표 화상 데이터[P(d)]는 시점수(N)가 홀수인 경우에는 중간 시점의 화상, 시점수(N)가 짝수인 경우에는 중간 근방의 화상이 된다. 예를 들면, 시점수(N)=5인 경우에는 대표 화상 데이터는 촬영부(10-3)에 의해 촬영된 화상 데이터[P(3)]가 되고, 시점수(N)=8인 경우에는 대표 화상 데이터는 촬영부(10-4 또는 10-5)에 의해 촬영된 화상 데이터[P(4)또는 P(5)]가 된다. 또한, 화상 데이터 격납 영역(A14)의 중간 근방에 위치하는 화상 데이터가 대표 화상 데이터[P(d)]로서 선택되도록 해도 좋다. 또한, 대표 화상 데이터의 선택 방법은 상기 내용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유저가 수동으로 선택할 수 있게 해도 좋다.
태그 정보 격납 영역(APP1 Area)(A12)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Exif 식별 정보, TIFF 헤더, IFD0 영역(IFD0 Area), IFD1 영역이 형성되어 있다. IFD0 영역에는 3D 태그(3D IFD)가 격납되어 있고, 3D 태그에는 확장 화상 파일(F100)과의 관련성에 관한 정보가 격납되어 있고, 기본 파일(F10)의 재생시에 확장 화상 파 일(F100)을 참조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예에서는 확장 화상 파일(F100)의 화상 데이터 격납 영역(A104)에는 다시점의 화상에 대응하는 압축 화상 데이터가 복수 격납되도록 했지만, 예를 들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시점의 화상을 서로 연결시켜서 1매의 압축 화상 데이터(통합 화상)로서 격납되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 태그 정보 격납 영역(A102)에는 다시점의 화상 데이터[P(1), P(2), …, P(N)]의 판독 개시 위치를 나타내는 포인터가 격납되어 있다. 또한, 기본 파일(F10)내의 대표 화상 데이터[P(d)] 화상 사이즈는 통합 화상중의 화상 데이터[P(d)]와 마찬가지가 된다. 또한, 이 경우 대표 화상 데이터[P(d)]로서, 예를 들면, 화상 데이터 격납 영역(A14)에 격납된 통합 화상의 중간 근방 및 중앙 근방[도 6에 도시된 예에서는 P(2) 또는 P(3)]에 위치하는 화상 데이터가 선택되도록 해도 좋다.
[기본 파일의 작성 처리]
화상 파일 생성부(66)는 기본 파일(F10)이 폴더로부터 삭제 또는 개변(편집)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그리고, 기본 파일(F10)이 폴더로부터 삭제 또는 개변(편집)되어 있을 경우 화상 파일 생성부(66)는 확장 화상 파일(F100)로부터 대표 화상 데이터를 추출해서 기본 파일(F10)을 작성(복원)한다. 기본 파일(F10)이 개변되어 있을 경우에는 개변된 기본 파일은 복원된 기본 파일과는 별도로 보존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개변된 기본 파일을 특정하기 위한 정보를 확장 화상 파일(F100) 또는 복원된 기본 파일에 격납하고, 확장 화상 파일(F100)의 재생시 에 개변된 기본 파일을 참조 가능하게 해도 좋다. 또한, 개변된 기본 파일에 확장 화상 파일(F100) 또는 복원된 기본 파일을 격납하고 개변된 기본 파일의 재생시에 복원된 기본 파일 또는 확장 화상 파일(F100)을 참조 가능하게 해도 좋다.
여기서, 기본 파일(F10)이 해당 폴더내에서 삭제되어 있을 경우에는 복원된 기본 파일(F10)의 파일명(확장자를 제외한 부분)은 확장 화상 파일(F100)과 동일하게 된다. 한편, 기본 파일(F10)이 개변되어 있을 경우에는 화상 파일 생성부(66)는 하기에 나타낸 파일명 변경 처리 규칙[(1) 또는 (2)]에 따라서 기본 파일(F10) 및 확장 화상 파일(F100)의 파일명을 결정한다.
도 7은 파일명 변경 처리 규칙(1)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저가 개변한 기본 파일의 파일명이 "ABCD0001.JPG"이고, 기본 파일 "ABCD0001.JPG"에 대응하는 확장 화상 파일의 파일명이 "ABCD0001.F3D"인 경우 개변된 기본 파일의 파일명이 DCF에 따라서 변경된다. 여기서, 파일 생성부(66)에 의해 복원되는 기본 파일의 파일명은 확장자를 제외한 확장 화상 파일과 같은 "ABCD0001.JPG"가 된다.
도 8은 파일명 변경 처리 규칙(2)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예에서는 개변된 기본 파일의 파일명은 변경되지 않고, 확장 화상 파일의 파일명이 DCF에 따라서 변경되어 기본 파일이 복원된다. 여기서, 복원된 기본 파일의 파일명은 확장자를 제외하고 확장 화상 파일과 같다.
또한, 상기 (1) 및 (2) 이외의 파일명 변경 처리 규칙을 이용해도 좋다.
이어서, 기본 파일(F10)의 개변의 유무를 판정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화상 파일 생성부(66)는 화상을 촬영, 기록할 때에 기본 파일(F10) 또는 대표 화상 데이터[P(d)]의 데이터 사이즈 또는 해쉬값, 또는 기본 파일(F10)의 타임 스탬프 정보를 확장 화상 파일(F100)의 헤더 정보로서 기록한다. 그리고, 화상 파일 생성부(66)는 상기 기본 파일(F10) 또는 대표 화상 데이터[P(d)]의 파일 사이즈 또는 해쉬값, 또는 기본 파일(F10)의 타임 스탬프 정보를 기본 파일(F10)로부터 취득해서 확장 화상 파일(F100)의 태그 정보와 비교하고, 양자가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 기본 파일(F10)이 개변되어 있다고 판정한다.
또한, 기본 파일(F10)의 삭제 또는 개변의 유무의 판정은 예를 들면, 촬영 장치(1)의 전원 온시 또는 동작 모드의 스위칭시(예를 들면, 촬영 모드로부터 재생 모드로의 스위칭시)에 메모리 카드(70)의 폴더내의 확장 화상 파일을 자동적으로 스캔함으로써 모든 확장 화상 파일(F100)에 대하여 기본 파일(F10)의 삭제 또는 개변의 유무를 판정하도록 해도 좋고, 촬영 장치(1)에 있어서, 확장 화상 파일(F100)의 재생 또는 프리뷰의 조작이 행하여질 때마다 해당 확장 화상 파일(F100)에 대하여 기본 파일(F10)의 삭제 또는 개변의 유무를 판정하도록 해도 좋다.
도 1은 기본 파일(F10)의 복원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우선, 확장 화상 파일(F100)이 선택되고(스텝 S10), 해당 확장 화상 파일(F100)에 대응하는 기본 파일(F10)이 존재하는지의 여부가 판정된다(스텝 S12). 스텝 S12에 있어서, 상기 확장 화상 파일(F100)에 대응하는 기본 파일(F10)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는 확장 화상 파일(F100)로부터 대표 화상 데이터[P(d)]의 압축 화상 데이터가 판독되어 기본 파일(F10)이 작성된다(스텝 S14).
한편, 스텝 S12에 있어서, 상기 확장 화상 파일(F100)에 대응하는 기본 파일(F10)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기본 파일(F10)이 개변되었는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스텝 S16). 그리고, 기본 파일(F10)이 개변되어 있다고 판정되었을 경우에는(스텝 S18의 예), 상기 파일명 변경 규칙에 따라 개변되어 있는 기본 파일(F10)의 파일명 또는 확장 화상 파일(F100)의 파일명 중 어느 한쪽이 변경되고(스텝 S20), 확장 화상 파일(F100)로부터 대표 화상 데이터[P(d)]의 압축 화상 데이터가 판독되어 기본 파일(F10)이 작성된다(스텝 S14).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예를 들면, 확장 화상 파일(F100)이 격납되어 있는 폴더내로부터 기본 파일(F10)이 삭제 또는 개변되어서 오버라이팅되었을 경우나, 촬영 장치(1)와는 다른 화상 처리 장치에 있어서 확장 화상 파일(F100)이 격납되어 있는 폴더내에서 기본 파일(F10)이 삭제 또는 개변되어서 오버라이팅된 후 확장 화상 파일(F100)이 촬영 장치(1)에 기록되어 반환된 경우에 기본 파일(F10)을 복원할 수 있으므로 항상 개변전의 대표 화상 데이터를 다른 화상 처리 장치에 제공할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이어서,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의한 화상 기록 장치의 주요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화상 기록 장치(100)는 예를 들면, 퍼스널 컴퓨터(PC)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촬영 장치 또는 메모리 카드(70)로부터의 기록용 화상 데이터의 판독, 기록용 화상 데이터의 보존, 편집 등을 행하기 위한 장치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처리 장치(CPU)(102)는 버스(104)를 통해 화상 기록 장치(100)내의 각 블록에 접속되어 각 블록의 동작을 제어한다. 메인 메모리(106)는 제어 프로그램이 격납되는 기억 영역 및 프로그램 실행시의 작업 영역을 포함하고 있다. 하드 디스크 유닛(108)에는 화상 기록 장치(100)의 오퍼레이팅 시스템(OS), 각종의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 및 촬영 장치(1) 또는 메모리 카드(70)로부터 판독된 기록용 화상 데이터[기본 파일(F10) 및 확장 화상 파일(F100)] 등이 격납되어 있다. CD-ROM 유닛(110)은 도시되지 않은 CD-ROM으로부터의 데이터의 판독을 행한다. 카드 인터페이스부(카드I/F)(112)는 메모리 카드(70)로부터 화상 데이터를 판독한다. 표시 메모리(116)는 표시용 데이터를 일시 기억한다. 모니터(118)는 예를 들면, CRT(Cathode Ray Tube) 모니터나 액정 모니터가 되고, 이 표시 메모리(116)로부터 출력되는 화상 데이터, 문자 데이터 등에 의거해서 화상이나 문자 등을 표시한다. 키보드(120) 및 마우스(122)는 조작자로부터의 조작 입력을 접수하고, 조작 입력에 따른 입력 신호를 CPU(102)에 입력한다. 또한, 포인팅 디바이스로서는 마우스(122) 이외에 터치 패널이나 터치 패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마우스 컨트롤러(124)는 마우스(122)의 상태를 검출해서 모니터(118)상의 마우스 포인터의 위치나 마우스(122)의 상태 등의 신호를 CPU(102)에 출력한다. 오디오 입출력 회로(126)에는 마이크로폰(128) 및 라우드스피커(130)가 접속되어 각종의 음성 신호가 입력됨과 아울러 키보드(120) 등으로부터의 조작 입력에 따라서 각종 동작 소리가 재생 출력된다. 통신 인터페이스부(통신I/F)(132)는 네트워크(NW)와의 통신을 행한다. 카메라 접속 인터페이스부(카메라 접속 I/F)(134)는 촬영 장치(전자 카메라 또는 디지 털 카메라)(1)와의 사이에서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CPU(102)는 예를 들면, 전원 투입시 및 확장 화상 파일(F100)의 참조시 확장 화상 파일(F100)의 격납 폴더의 참조, 메모리 카드(70)가 장착될 때, 하드 디스크 유닛(108)내의 화상 파일의 격납 폴더가 갱신되었을 때 등에 상기 도 1의 처리를 실행한다. 이에 따라, 본 실시형태에 의한 화상 기록 장치(100)에 있어서도, 기본 파일(F10)을 복원할 수 있으므로 항상 개변전의 대표 화상 데이터를 다른 화상 처리 장치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예를 들면, 메모리 카드(70) 또는 하드 디스크 유닛(108) 등의 화상 기록 수단의 빈 용량이 적을 때에 해당 화상 기록 수단에의 데이터의 격납 지시가 입력되었을 경우에 기본 파일(F10)을 삭제해서 빈 용량을 증가시키고, 그 후, 화상 기록 수단의 빈 용량이 증가했을 경우에 기본 파일(F10)을 자동적으로 복원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촬영 장치나 퍼스널 컴퓨터, 휴대 정보 단말기, 화상 스토리지 장치와 같은 화상 기록 장치에 적용하는 프로그램으로서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19)

  1. 복수의 화상 데이터를 격납한 확장 화상 파일과 상기 확장 화상 파일에 격납된 복수의 화상 데이터 중에서 선택된 1매의 대표 화상 데이터를 격납한 기본 파일을 관련지어 기록하는 화상 기록 수단과,
    상기 기본 파일이 삭제 또는 개변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 수단과,
    상기 기본 파일이 삭제 또는 개변되어 있다고 판정되었을 경우에 상기 확장 화상 파일로부터 상기 기본 파일을 복원하는 기본 파일 복원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기록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기록 수단은 상기 복수의 화상 데이터를 서로 연결시켜서 1개의 화상 데이터로서 상기 확장 화상 파일에 격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기록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기록 수단은 상기 기본 파일과 상기 확장 화상 파일의 파일명의 확장자를 제외한 부분을 동일하게 해서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기록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 파일이 개변되어 있다고 판정되었을 경우에 상기 기본 파일의 파일명을 변경하는 파일명 변경 수단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기록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 파일이 개변되어 있다고 판정되었을 경우에 상기 확장 화상 파일의 파일명을 변경하는 파일명 변경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기본 파일 복원 수단은 상기 복원한 기본 파일의 파일명의 확장자를 제외한 부분을 상기 파일명 변경 수단에 의해 파일명이 변경된 확장 화상 파일의 파일명의 확장자를 제외한 부분과 동일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기록 장치.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기록 수단은 상기 확장 화상 파일중에 상기 기본 파일 타임 스탬프 정보, 상기 기본 파일중의 소정 영역의 해쉬값 및 상기 기본 파일중의 소정 영역의 데이터 사이즈 중 적어도 1개를 기록하고 있고,
    상기 판정 수단은 상기 기본 파일의 타임 스탬프 정보, 상기 기본 파일중의 소정 영역의 해쉬값 및 상기 기본 파일중의 소정 영역의 데이터 사이즈 중 적어도 1개에 의거하여 상기 기본 파일이 개변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기록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영역은 상기 기본 파일중의 대표 화상 데이터의 격납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기록 장치.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1 또는 복수의 촬영 수단을 이용해서 동일한 피사체가 다시점으로부터 촬영된 복수의 화상 데이터를 취득하는 화상 데이터 취득 수단과,
    상기 복수의 화상 데이터를 격납한 확장 화상 파일을 생성하는 확장 화상 파일 생성 수단과,
    상기 복수의 화상 데이터 중에서 대표 화상 데이터를 선택해서 기본 파일을 생성하는 기본 파일 생성 수단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기록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 파일 생성 수단은,
    상기 피사체를 촬영할 때의 시점의 개수를 N이라 할 때, 상기 N이 홀수인 경우에는 (N+1)/2 번째 시점에서 촬영된 화상 데이터를, 그리고 상기 N이 짝수인 경우에는 N/2 또는 (N/2)+1 번째 시점에서 촬영된 화상 데이터를 대표 화상 데이터로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기록 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 파일 생성 수단은,
    상기 확장 화상 파일에 격납된 복수의 화상 데이터의 개수를 N이라 할 때, 상기 N이 홀수인 경우에는 (N+1)/2 번째 화상 데이터를, 그리고 상기 N이 짝수인 경우에는 N/2 또는 (N/2)+1 번째 화상 데이터를 대표 화상 데이터로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기록 장치.
  11. 복수의 화상 데이터를 격납한 확장 화상 파일과 상기 확장 화상 파일에 격납된 복수의 화상 데이터 중에서 선택된 1매의 대표 화상 데이터를 격납한 기본 파일을 관련지어 기록하는 화상 기록 공정과,
    상기 기본 파일이 삭제 또는 개변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 공정과,
    상기 기본 파일이 삭제 또는 개변되어 있다고 판정되었을 경우에 상기 확장 화상 파일로부터 상기 기본 파일을 복원하는 기본 파일 복원 공정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기록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기록 공정에서는 상기 기본 파일과 상기 확장 화상 파일의 파일명의 확장자를 제외한 부분을 동일하게 해서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기록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 파일이 개변되어 있다고 판정되었을 경우에 상기 기본 파일의 파일명을 변경하는 파일명 변경 공정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기록 방 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 파일이 개변되어 있다고 판정되었을 경우에 상기 확장 화상 파일의 파일명을 변경하는 파일명 변경 공정과,
    상기 복원한 기본 파일의 파일명의 확장자를 제외한 부분을 상기 파일명이 변경된 확장 화상 파일의 파일명의 확장자를 제외한 부분과 동일하게 하는 공정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기록 방법.
  15. 제 1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한에 있어서,
    상기 확장 화상 파일중에 상기 기본 파일의 타임 스탬프 정보, 상기 기본 파일중의 소정 영역의 해쉬값 및 상기 기본 파일중의 소정 영역의 데이터 사이즈 중 적어도 1개를 기록하는 공정을 더 구비하고,
    상기 판정 공정에서는 상기 기본 파일의 타임 스탬프 정보, 상기 기본 파일중의 소정 영역의 해쉬값 및 상기 기본 파일중의 소정 영역의 데이터 사이즈 중 적어도 1개에 의거하여 상기 기본 파일이 개변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기록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영역은 상기 기본 파일중의 대표 화상 데이터의 격납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기록 방법.
  17. 제 1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1 또는 복수의 촬영 수단을 이용해서 동일한 피사체가 다시점으로부터 촬영된 복수의 화상 데이터를 취득하는 화상 데이터 취득 공정과,
    상기 복수의 화상 데이터를 격납한 확장 화상 파일을 생성하는 확장 화상 파일 생성 공정과,
    상기 복수의 화상 데이터 중에서 대표 화상 데이터를 선택해서 기본 파일을 생성하는 기본 파일 생성 공정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기록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 파일 생성 공정에서는,
    상기 피사체를 촬영할 때의 시점의 개수를 N이라 할 때, 상기 N이 홀수인 경우에는 (N+1)/2 번째 시점에서 촬영된 화상 데이터를, 그리고 상기 N이 짝수인 경우에는 N/2 또는 (N/2)+1 번째 시점에서 촬영된 화상 데이터를 대표 화상 데이터로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기록 방법.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 파일 생성 공정에서는,
    상기 확장 화상 파일에 격납된 복수의 화상 데이터의 개수를 N이라 할 때, 상기 N이 홀수인 경우에는 (N+1)/2 번째 화상 데이터를, 그리고 상기 N이 짝수인 경우에는 N/2 또는 (N/2)+1 번째 화상 데이터를 대표 화상 데이터로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기록 방법.
KR1020097013666A 2007-01-30 2008-01-22 화상 기록 장치 및 화상 기록 방법 KR1014290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019962 2007-01-30
JP2007019962A JP4671053B2 (ja) 2007-01-30 2007-01-30 画像記録装置及び画像記録方法
PCT/JP2008/051459 WO2008093758A1 (en) 2007-01-30 2008-01-22 Image recording device and image recording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4010A KR20090104010A (ko) 2009-10-05
KR101429040B1 true KR101429040B1 (ko) 2014-08-11

Family

ID=396740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3666A KR101429040B1 (ko) 2007-01-30 2008-01-22 화상 기록 장치 및 화상 기록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493470B2 (ko)
JP (1) JP4671053B2 (ko)
KR (1) KR101429040B1 (ko)
CN (1) CN101601067B (ko)
WO (1) WO200809375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80031B2 (ja) * 2007-05-14 2011-09-28 ソニー株式会社 記録装置、記録方法、編集装置および編集方法
US8300962B2 (en) 2009-01-30 2012-10-30 Sony Corporation Recording device, recording method, recording medium, reproducing device, reproducing method, editing device, and editing method
RU2521288C2 (ru) * 2009-02-04 2014-06-27 Панасоник Корпорэйшн Носитель записи, устройство воспроизведения и интегральная схема
JP2011066507A (ja) * 2009-09-15 2011-03-31 Toshiba Corp 画像処理装置
JP5663934B2 (ja) * 2010-04-09 2015-02-04 ソニー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撮像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4997327B2 (ja) * 2010-10-01 2012-08-08 株式会社東芝 多視差画像受信装置
JP5906062B2 (ja) 2010-12-17 2016-04-20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CN104462191A (zh) * 2014-10-27 2015-03-25 广州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一种文件名修改方法及电子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7980A (ko) * 2002-04-05 2004-11-18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기록매체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66420A (ja) 1998-03-17 1999-09-28 Hitachi Ltd 画像データ記録方法及び画像データ記録装置
KR100563670B1 (ko) * 2002-01-28 2006-03-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재기록 가능 고밀도 기록매체의 정지영상 기록방법
US20030214670A1 (en) * 2002-05-14 2003-11-20 Nikon Corporation Image manager and digital camera
JP2004274091A (ja) 2003-01-15 2004-09-30 Sharp Corp 画像データ作成装置、画像データ再生装置、画像データ記録方式および画像データ記録媒体
JP4679804B2 (ja) 2003-04-17 2011-05-11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ファイル作成装置
JP2005164832A (ja) * 2003-12-01 2005-06-23 Fuji Photo Film Co Ltd 立体視画像生成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2005229291A (ja) 2004-02-12 2005-08-25 Fuji Photo Film Co Ltd 画像記録装置及び撮像装置並びに画像ファイル保存方法
JP4589651B2 (ja) * 2004-04-26 2010-12-01 オリンパス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加工・編集装置、画像ファイル再生装置、画像処理方法、画像加工・編集方法及び画像ファイル再生方法
JPWO2005114664A1 (ja) 2004-05-20 2008-03-27 コニカミノルタ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画像データ管理方法及び管理プログラム
JP2006311268A (ja) 2005-04-28 2006-11-09 Toshiba Corp 電子カメラ装置、画像記録装置及び画像記録用アプリケーションソフトウェア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7980A (ko) * 2002-04-05 2004-11-18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기록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8093758A1 (en) 2008-08-07
US8493470B2 (en) 2013-07-23
US20100039501A1 (en) 2010-02-18
CN101601067B (zh) 2012-09-19
JP2008186287A (ja) 2008-08-14
JP4671053B2 (ja) 2011-04-13
KR20090104010A (ko) 2009-10-05
CN101601067A (zh) 2009-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00524B2 (en) Image management method
JP4809294B2 (ja) 画像記録装置及び画像記録方法
US7889985B2 (en) Imaging apparatus
JP5101101B2 (ja) 画像記録装置及び画像記録方法
US7668451B2 (en) System for and method of taking image
KR101429040B1 (ko) 화상 기록 장치 및 화상 기록 방법
JP4697606B2 (ja) 撮影装置及び合焦制御方法
JP4815470B2 (ja) 画像表示装置及び画像表示方法
JP2008182485A (ja) 撮影装置及び撮影方法
JP5068690B2 (ja) 画像記録装置及び方法
JP2008310187A (ja)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JP4759775B2 (ja) 画像記録方法及び装置
JP4809295B2 (ja) 画像記録装置及び画像記録方法
JP4874923B2 (ja) 画像記録装置及び画像記録方法
JP5054209B2 (ja) 撮影装置及び合焦制御方法
JP5400942B2 (ja) 画像記録装置及び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