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7941B1 -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생산 설비 - Google Patents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생산 설비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77941B1 KR101677941B1 KR1020160012832A KR20160012832A KR101677941B1 KR 101677941 B1 KR101677941 B1 KR 101677941B1 KR 1020160012832 A KR1020160012832 A KR 1020160012832A KR 20160012832 A KR20160012832 A KR 20160012832A KR 101677941 B1 KR101677941 B1 KR 10167794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crete
- mold
- unit
- frame structure
- curing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11178 precast concret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7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1
- 239000004567 concre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0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5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7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07306 turnover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9969 flowabl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4064 recyc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1
- 238000001723 cu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9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3
- 238000005266 ca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6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9415 formwork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29910001294 Reinforcing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056 comp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096 rol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6096 absorb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139 buffer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34 dela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007 heat cu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900 installation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08 quality contro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303 tibia Anatomy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5/00—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in moulds or on moulding surfaces, carried or formed by, in or on conveyors irrespective of the manner of shaping
- B28B5/02—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in moulds or on moulding surfaces, carried or formed by, in or on conveyors irrespective of the manner of shaping on conveyors of the endless-belt or chain type
- B28B5/021—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in moulds or on moulding surfaces, carried or formed by, in or on conveyors irrespective of the manner of shaping on conveyors of the endless-belt or chain type the shaped articles being of definite length
- B28B5/025—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in moulds or on moulding surfaces, carried or formed by, in or on conveyors irrespective of the manner of shaping on conveyors of the endless-belt or chain type the shaped articles being of definite length the moulds or the moulding surfaces being divided by separating walls and being continuously fe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3/00—Feeding the unshaped material to moulds or apparatus for producing shaped articles; Discharging shaped articles from such moulds or apparatus
- B28B13/04—Discharging the shaped art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0002—Auxiliary parts or elements of the moul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14—Moulds with means incorporated therein, or carried thereby, for cutting the moulded article into par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1/00—Chutes
- B65G11/02—Chutes of straight form
- B65G11/026—Chutes of straight form for bulk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1/00—Chutes
- B65G11/20—Auxiliary devices, e.g. for deflecting, controlling speed of, or agitating articles or solids
- B65G11/206—Auxiliary devices, e.g. for deflecting, controlling speed of, or agitating articles or solids for bulk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7/00—Combinations of mechanical conveyors of the same kind, or of different kind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or use in particular manufacturing process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34—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 B65G47/44—Arrangements or applications of hoppers or chut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6—Articles and bulk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14—Combination of convey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vices For Post-Treatments, Processing, Supply, Discharge, And Other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제조를 위해 특정 규격의 몰드에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을 타설하는 과정에서부터 양생 처리하는 과정과 탈형 및 조적 처리하는 과정에 이르는 전 공정에서 설비의 작동을 자동화하여 수행할 수 있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생산 설비를 개시한다.
전술한 생산 설비는 몰드 내에 타설용 콘크리트를 제공하는 콘크리트 공급부(100), 콘크리트 공급부(100)를 통해 제공된 콘크리트를 몰드에 타설하는 콘크리트 타설부(200), 몰드에 타설된 콘크리트를 양생 처리하는 양생부(300), 양생부(300)에 몰드를 투입 또는 반출하는 3축방향 몰드 이송부(400), 3축방향 몰드 이송부(400)로부터 반출된 몰드로부터 양생 처리된 콘크리트 구조물을 탈형하는 1차 탈형부(500), 1차 탈형부(500)로부터 탈형된 콘크리트 구조물을 외부로 반출시켜 적재하는 2차 탈형 및 조적부(600), 및 콘크리트 공급부(100)로부터 콘크리트 타설부(200)에 이르기까지 콘크리트 공급부(100)의 이동을 안내하고, 콘크리트 타설부(200)와 3축방향 몰드 이송부(400), 양생부(300), 1차 탈형부(500), 2차 탈형 및 조적부(600)에 이르기까지 몰드를 탑재한 대차의 이동을 안내하는 이송라인을 구비한다.
전술한 생산 설비는 몰드 내에 타설용 콘크리트를 제공하는 콘크리트 공급부(100), 콘크리트 공급부(100)를 통해 제공된 콘크리트를 몰드에 타설하는 콘크리트 타설부(200), 몰드에 타설된 콘크리트를 양생 처리하는 양생부(300), 양생부(300)에 몰드를 투입 또는 반출하는 3축방향 몰드 이송부(400), 3축방향 몰드 이송부(400)로부터 반출된 몰드로부터 양생 처리된 콘크리트 구조물을 탈형하는 1차 탈형부(500), 1차 탈형부(500)로부터 탈형된 콘크리트 구조물을 외부로 반출시켜 적재하는 2차 탈형 및 조적부(600), 및 콘크리트 공급부(100)로부터 콘크리트 타설부(200)에 이르기까지 콘크리트 공급부(100)의 이동을 안내하고, 콘크리트 타설부(200)와 3축방향 몰드 이송부(400), 양생부(300), 1차 탈형부(500), 2차 탈형 및 조적부(600)에 이르기까지 몰드를 탑재한 대차의 이동을 안내하는 이송라인을 구비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생산 설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몰드를 이용하여 특정 규격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을 타설 처리의 과정에서부터 양생 처리의 과정과 탈형 및 조적과정에 이르는 전 공정에서 자동화하여 수행할 수 있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생산 설비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생산 설비에 적용되는 몰드 이송장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콘크리트가 타설된 몰드를 양생 설비의 내부로 투입하거나 양생 처리후 외부로 반출하는 투입 및 반출용 이송장비의 개선을 통해 양생 공정의 정확성과 효율성을 동시에 향상시킴과 더불어, 투입 및 반출용 이송장비를 양생 설비의 외부에서 가동되게 설정함으로써 장비의 내구 성능을 보장할 수 있게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생산 설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과 같은 토목 공사나 아파트와 빌딩 등의 건축물과 같은 건설 공사에 필요로 하는 콘크리트 슬래브(Slab)와 보(Beam) 및 거더(Girder)류의 콘크리트 구조물은 거푸집의 내부에 뼈대를 이루는 보강용 철골조를 설치한 다음 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이후 일정시간에 걸쳐 양생 처리를 함으로써 제작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 경우, 보강용 철골조는 거푸집 내에 철근이나 철골 등의 형강류를 이용하여 뼈대의 형태로 제작된 다음, 거푸집의 내부 공간으로 타설되는 콘크리트와 함께 경화되어 매립됨으로써 콘크리트 구조물에 대한 강성의 향상과 함께 구조적인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일례로, 교량의 경우에는 지면에 대한 기초공사 이후에 소정간격을 두고 다수의 교각을 세우게 되고, 이후 교각들 사이에 거더를 설치한 다음 바닥판용 거푸집과 보강용 철골조 프레임을 각각 설치한 상태에서 내부의 공간으로 콘크리트를 타설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현장 맞춤식 콘크리트 구조물의 설치 작업은 공사 기간을 지연시킬 뿐만 아니라 과도한 노동량의 소요와 함께 작업자의 숙련도 또는 현장의 품질관리 정도에 따라 시공 품질에 큰 차이를 보이게 되므로 이에 대한 개선의 요구가 대두되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기존의 철골조 콘크리트 구조물에 대한 제작을 개량하여 이른 바 모듈러(modular) 방식의 건축공법이 개발되었는 데, 이는 공사 현장이 아니라 특정한 설비 공장에서 건설에 필요한 각종 콘크리트 구조물을 유닛 형태로 제작한 다음 이를 현장으로 옮겨 조립하여 건축물을 완성하는 공법으로서, 건설 기간을 크게 단축시킬 뿐만 아니라 균일한 품질을 유지하는 데 지대한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널리 활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이 특정의 설비 공장에서 고정 시설을 매개로 기둥이나 보, 슬래브 등의 콘크리트 구조물을 철제 거푸집 내에서 양생시켜 기성 콘크리트 제품으로 제작한 것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Precast Concrete) 구조물이라 지칭된다.
종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제조는 등록특허 제10-1434913호(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슬래브 패널 제조방법)에 개시된 바와 같이,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1) 형상으로 내부면(11)이 형성되어 있는 몰드조(10); 상기 몰드조(10)의 내부면(11)에 다수의 철근(21a)이 조립되어 형성된 프레임(21)을 안착시키기 위한 프레임 이송조(20); 상기 몰드조(10)의 내부면(11)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해 콘크리트를 혼합 및 저장하기 위한 콘크리트 믹서 및 저장조(31)와 상기 콘크리트 믹서 및 저장조(31)에 연결되어 몰드조(10)의 내부면(11)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한 콘크리트 타설구(32)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타설조(30); 상기 콘크리트 타설조(30)에서 몰드조(10)의 내부면(11)에 타설한 콘크리트를 다짐 및 미장하기 위한 다짐장치(41) 및 미장장치(42)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성형조(40); 상기 콘크리트 성형조(40)에서 다짐 및 미장작업이 완료된 콘크리트를 증기양생 또는 열양생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양생 방법으로 양생하기 위한 콘크리트 양생조(50); 상기 콘크리트 양생조(50)에서 양생된 콘크리트를 탈형하기 위한 콘크리트 탈형조(60); 상기 콘크리트 탈형조(60)에서 탈형된 콘크리트를 반전시키기 위한 반전조(70); 및 상기 몰드조(10)를 이동시키기 위한 이송라인(8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제조 공정에서는 콘크리트 타설조(30)와 콘크리트 성형조(40)를 순차적으로 거친 다음 몰드조(10)가 콘크리트 양생조(50)에 투입되는 과정에서 이송라인으로부터 콘크리트 양생조(50)로 몰드조(10)의 이동에 많은 어려움이 있게 된다.
예컨대, 콘크리트 양생조(50)는 내부에 다층 구조로서 몰드조(10)의 적재를 위한 다수의 구획공간(미도시)을 가지게 되는 데, 이 경우 이송라인으로부터 콘크리트 양생조(50)의 각 구획공간으로 몰드조(10)를 정위치로 안내하는 과정에서 몰드조(10)의 수평 위치가 틀어질 수 있기 때문에 정해진 공간으로 몰드조(10)를 적재하는 데 많은 어려움이 있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은 몰드조(10)의 이송 문제는 콘크리트 양생조(50)에서 양생 처리가 완료된 몰드조(10)를 다시 외부에 위치한 콘크리트 탈형조(60)로 배출하는 과정에서도 동일하게 발생하게 된다.
무엇보다도, 콘크리트 양생조(50)는 외부로부터 격리되어 특정의 양생 온도와 습도를 적절하게 유지해야 하는 공간임에 따라, 그 내부에서 몰드조(10)를 적재공간으로 이송하고 배출하는 설비에서는 특정의 양생 온도와 습도에 의한 환경에서 지속적으로 노출될 수밖에 없으므로 내구 성능이 저하되는 치명적인 문제가 초래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제조를 위해 특정 규격의 몰드에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을 타설하는 과정에서부터 양생 처리하는 과정과 탈형 및 조적 처리하는 과정에 이르는 전 공정에서 설비의 작동을 자동화하여 수행할 수 있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생산 설비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생산 설비에 적용되는 몰드 이송장비로서, 콘크리트가 타설된 몰드를 양생 설비의 내부로 투입하거나 양생 처리후 외부로 반출하는 투입 및 반출용 이송장비의 개선을 통해 양생 공정의 정확성과 효율성을 동시에 향상시킴과 더불어, 투입 및 반출용 이송장비를 양생 설비의 외부에서 가동되게 설정함으로써 장비의 내구 성능을 보장할 수 있는 몰드 이송장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몰드 내에 타설용 콘크리트를 제공하는 서플라이 카와 턴오버 기구부를 갖춘 콘크리트 공급부;
상기 콘크리트 공급부를 통해 제공된 콘크리트를 몰드에 타설하도록 게이트 기구부를 갖춘 콘크리트 타설부;
상기 콘크리트 타설부에 의해 몰드 내에 타설된 콘크리트를 양생 처리하도록 온습도 조절부와 개폐도어 및 기밀 유지부를 갖춘 양생부;
상기 양생부에 콘크리트가 타설된 몰드를 투입하고, 상기 양생부로부터 양생 처리된 몰드를 외부로 반출시키도록 이동수단과 승강수단과 완충 구동부와 수평유지용 기구부를 갖춘 3축방향 몰드 이송부;
상기 3축방향 몰드 이송부로부터 반출된 몰드로부터 양생 처리된 콘크리트 구조물을 탈형하도록 교호적 승강 기구부를 갖춘 1차 탈형부;
상기 1차 탈형부로부터 탈형된 콘크리트 구조물을 외부로 반출시켜 적재하는 2차 탈형 및 조적부; 및
상기 콘크리트 공급부로부터 상기 콘크리트 타설부에 이르기까지 콘크리트 공급부의 이동을 안내하고, 상기 콘크리트 타설부와 상기 3축방향 몰드 이송부, 상기 양생부, 상기 1차 탈형부, 상기 2차 탈형 및 조적부에 이르기까지 몰드를 탑재한 대차의 이동을 안내하는 이송라인을 포함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생산 설비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이송라인은 상기 콘크리트 공급부의 이송을 위해 상기 콘크리트 타설부를 향해 설치되는 콘크리트 이송라인;
상기 콘크리트 타설부를 경유하여 상기 3축방향 몰드 이송부로 몰드의 이송을 위해 설치되는 타설용 몰드 이송라인;
상기 3축방향 몰드 이송부를 매개로 상기 양생부에서 양생 처리된 몰드를 상기 1차 탈형부를 지나 상기 2차 탈형 및 조적부로 이송하는 탈형용 몰드 이송라인;
상기 3축방향 몰드 이송부에서 상기 타설용 몰드 이송라인과 상기 탈형용 몰드 이송라인 사이를 연결하는 몰드 전이용 이송라인;
상기 2차 탈형 및 조적부에서 상기 타설용 몰드 이송라인과 상기 탈형용 몰드 이송라인 사이를 연결하는 몰드 회수용 반송라인; 및
상기 콘크리트 이송라인과 상기 타설용 몰드 이송라인 사이를 연결하는 크로스 라인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제조를 위해 몰드를 이용하여 특정 규격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을 타설하는 과정에서부터 양생 처리하는 과정과 탈형을 포함한 조적 처리하는 과정, 및 이들 전 공정에 걸쳐 몰드의 이송과 함께 관련 설비의 작동을 자동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할 수 있으므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생산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생산 설비에 적용되는 몰드 이송장비로서, 콘크리트가 타설된 몰드를 양생 설비의 내부로 투입하거나 양생 처리후 외부로 반출하는 투입 및 반출용 이송장비의 개선을 통해 양생 공정의 몰드의 투입과 양생 처리후 몰드의 반출 공정에서 각각 정확하면서도 효율적인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은 콘크리트의 양생 공정에서 양성 설비의 내부로 콘크리트가 타설된 몰드를 투입하고 양생 처리 후 몰드를 양생 설비의 외부로 반출하는 이송장비의 작동이 모두 양생 설비의 외부에서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장비의 내구 성능을 보장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생산 설비에 대한 전체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섹션부와 B-섹션부를 각각 도시한 것으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생산 설비에 대한 측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a) 내지 도 3(c)은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생산 설비에 있어, 콘크리트 공급부의 구성을 각각 도시한 정면도와 측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D-섹션부를 도시한 것으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생산 설비에 있어, 콘크리트 공급부와 콘크리트 타설부 사이의 배치관계에 대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a)와 도 5(b)는 도 4에 도시된 콘크리트 타설부의 구성을 각각 도시한 정면도와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생산 설비에 있어, 양생부의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와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가)부위를 확대한 것으로, 양생부의 권취 기구부와 기밀 유지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다)부위를 확대한 것으로, 양생부의 권취 기구부와 기밀 유지부에 대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6의 (나)부위를 확대한 것으로, 양생부의 기밀 유지부에 대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6에 도시된 양생부에 있어, 온습도 조절부에 대한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1(a) 내지 도 11(c)은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생산 설비에 있어, 3축방향 몰드 이송부의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와 측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3축방향 몰드 이송부에 있어, 승강 프레임 구조물의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와 측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13은 도 11(b)과 도 12에 각각 도시된 완충 구동부의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와 측면도이다.
도 14는 도 11에 도시된 3축방향 몰드 이송부에 있어, 무빙 프레임 구조물의 구성만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5는 도 11에 도시된 3축방향 몰드 이송부에 있어, 무빙 프레임 구조물과 탑재용 프레임 구조물 사이의 구성관계만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6은 도 11에 도시된 3축방향 몰드 이송부에 있어, 무빙 프레임 구조물과 탑재용 프레임 구조물 사이의 구성관계만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7(a) 내지 도 17(c)은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생산 설비에 있어, 1차 탈형부의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와 측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생산 설비에 있어, 2차 탈형부의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와 측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섹션부와 B-섹션부를 각각 도시한 것으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생산 설비에 대한 측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a) 내지 도 3(c)은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생산 설비에 있어, 콘크리트 공급부의 구성을 각각 도시한 정면도와 측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D-섹션부를 도시한 것으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생산 설비에 있어, 콘크리트 공급부와 콘크리트 타설부 사이의 배치관계에 대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a)와 도 5(b)는 도 4에 도시된 콘크리트 타설부의 구성을 각각 도시한 정면도와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생산 설비에 있어, 양생부의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와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가)부위를 확대한 것으로, 양생부의 권취 기구부와 기밀 유지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다)부위를 확대한 것으로, 양생부의 권취 기구부와 기밀 유지부에 대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6의 (나)부위를 확대한 것으로, 양생부의 기밀 유지부에 대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6에 도시된 양생부에 있어, 온습도 조절부에 대한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1(a) 내지 도 11(c)은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생산 설비에 있어, 3축방향 몰드 이송부의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와 측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3축방향 몰드 이송부에 있어, 승강 프레임 구조물의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와 측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13은 도 11(b)과 도 12에 각각 도시된 완충 구동부의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와 측면도이다.
도 14는 도 11에 도시된 3축방향 몰드 이송부에 있어, 무빙 프레임 구조물의 구성만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5는 도 11에 도시된 3축방향 몰드 이송부에 있어, 무빙 프레임 구조물과 탑재용 프레임 구조물 사이의 구성관계만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6은 도 11에 도시된 3축방향 몰드 이송부에 있어, 무빙 프레임 구조물과 탑재용 프레임 구조물 사이의 구성관계만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7(a) 내지 도 17(c)은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생산 설비에 있어, 1차 탈형부의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와 측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생산 설비에 있어, 2차 탈형부의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와 측면도 및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생산 설비에 대한 전체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섹션부와 B-섹션부를 각각 도시한 것으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생산 설비에 대한 측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은 몰드에 타설된 콘크리트를 적정 온도의 밀폐 환경에서 양생 처리하여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을 생산하는 설비로서, 콘크리트 공급부(100), 콘크리트 타설부(200), 양생부(300), 3축방향 몰드 이송부(400), 1차 탈형부(500), 2차 탈형 및 조적부(600), 및 다수의 이송라인(L-1 내지 L-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콘크리트 공급부(100)는 내부가 비어있는 몰드에 필요량의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해 소정 용량의 유동성 콘크리트를 제공하는 것으로, 이송라인을 따라 주행 가능한 서플라이 카를 비롯하여 상기 서플라이 카에 저장된 콘크리트를 상기 콘크리트 타설부(200)에 쏟아주는 턴오버 기구부 등의 여러 작동설비와 이들의 작동을 적절하게 조절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콘크리트 공급부(100)로 제공되는 몰드의 내부에는 철근이나 강선 등의 보강 구조물로 제작된 소정 형상의 프레임이 설치되는 바, 이 프레임은 향후 콘크리트의 타설과 양생 처리를 통해 제조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부 뼈대를 이루게 된다.
상기 콘크리트 타설부(200)는 상기 콘크리트 공급부(100)를 통해 제공된 콘크리트를 빈 몰드 내에 직접 주입하기 위한 것으로, 몰드의 내부로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주입량을 조절하는 게이트 기구부를 비롯하여 여러 작동설비와 이들의 작동을 적절하게 조절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양생부(300)는 상기 콘크리트 타설부(200)에 의해 몰드의 내부에 타설된 콘크리트를 최적의 환경에서 양생 처리하기 위한 것으로, 온습도 조절부와 개폐도어 및 기밀 유지부를 비롯하여 여러 작동설비와 이들의 작동을 적절하게 조절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3축방향 몰드 이송부(400)는 상기 양생부(300)에 콘크리트가 타설된 몰드를 투입하고, 상기 양생부(300)로부터 소정 시간에 걸쳐 최적의 상태로 양생 처리된 몰드를 다시 외부로 반출시키기 위한 것으로, 승강 및 운송 기구부와 수평유지용 기구부 및 완충 구동부를 비롯하여 여러 작동설비와 이들의 작동을 적절하게 조절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1차 탈형부(500)는 상기 3축방향 몰드 이송부(400)로부터 반출된 몰드로부터 양생 처리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을 탈형하기 위한 것으로, 교호적 승강 기구부를 비롯하여 여러 작동설비와 이들의 작동을 적절하게 조절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2차 탈형 및 조적부(600)는 상기 1차 탈형부(500)로부터 탈형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을 외부로 반출시켜 적재하기 위한 것으로, 조적 기구부와, 반출 기구부를 비롯하여 여러 작동설비와 이들의 작동을 적절하게 조절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이송라인은 상기 콘크리트 공급부(100)로부터 상기 콘크리트 타설부(200)에 이르기까지 상기 콘크리트 공급부(100)에 위치한 서플라이 카의 이동을 안내하고, 상기 콘크리트 타설부(200)와 상기 3축방향 몰드 이송부(400), 상기 양생부(300), 상기 1차 탈형부(500), 상기 2차 탈형 및 조적부(600)에 이르기까지 몰드를 탑재한 대차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이송라인은 상기 콘크리트 공급부(100)에서 상기 콘크리트 타설부(200)를 향한 서플라이 카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해 설치되는 콘크리트 이송라인(L-1), 상기 콘크리트 타설부(200)를 향해 콘크리트가 타설되지 않은 상태의 빈 몰드를 탑재한 대차의 이동을 안내하고 상기 콘크리트 타설부(200)를 지나 콘크리트가 타설된 몰드를 탑재한 대차를 상기 3축방향 몰드 이송부(400)로 이송하기 위해 설치되는 타설용 몰드 이송라인(L-2), 상기 3축방향 몰드 이송부(400)의 작동에 의해 상기 양생부(300)에서 양생 처리된 몰드를 탑재한 대차를 상기 양생부(300)의 외부로 반출한 상태에서 상기 1차 탈형부(500)를 지나 상기 2차 탈형 및 조적부(600)에 이르기까지 이송하기 위해 설치되는 탈형용 몰드 이송라인(L-3), 상기 3축방향 몰드 이송부(400)에서 상기 타설용 몰드 이송라인(L-2)과 상기 탈형용 몰드 이송라인(L-3) 사이에 걸쳐 이들을 횡단하여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3축방향 몰드 이송부(400)의 횡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몰드 전이용 이송라인(L-4), 상기 2차 탈형 및 조적부(600)에서 상기 타설용 몰드 이송라인(L-2)과 상기 탈형용 몰드 이송라인(L-3) 사이에 걸쳐 이들을 횡단하여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빈 몰드를 탑재한 대차의 이동을 안내하는 몰드 회수용 반송라인(L-5), 및 상기 콘크리트 이송라인(L-1)과 상기 타설용 몰드 이송라인(L-2) 사이에 걸쳐 이들을 횡단하여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콘크리트 타설부(200)의 이동을 안내하는 크로스 라인(L-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콘크리트 이송라인(L-1)은 상기 콘크리트 공급부(100)에서 주행 가능한 서플라이 카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해 상기 콘크리트 타설부(200)를 향해 설치되는 일종의 운반용 레일에 해당하는 것으로, 다수의 아이들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특히, 상기 콘크리트 이송라인(L-1)은 다른 이송라인에 비해 작업장의 노면으로부터 소정 높이의 상부에 위치한 공간으로 배치되어 상기 턴오버 기구부의 작동을 매개로 상기 서플라이 카에 적재된 콘크리트를 상기 콘크리트 타설부(200)를 향해 아래로 쏟아부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타설용 몰드 이송라인(L-2)은 상기 콘크리트 타설부(200)를 향해 콘크리트가 타설되지 않은 상태의 빈 몰드를 탑재한 대차의 이송을 안내함과 더불어 상기 콘크리트 타설부(200)에서 콘크리트가 타설된 몰드를 탑재한 대차를 다시 상기 3축방향 몰드 이송부(400)를 향해 이송하기 위해 설치되는 일종의 운반용 레일에 해당하는 것으로, 대차의 원활한 이동을 안내하기 위해 레일에 설치되는 다수의 아이들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탈형용 몰드 이송라인(L-3)은 상기 양생부(300)에서 양생 처리된 몰드를 탑재한 대차가 상기 3축방향 몰드 이송부(400)의 작동에 의해 상기 양생부(300)의 외부로 반출된 상태에서 상기 1차 탈형부(500)를 지나 상기 2차 탈형 및 조적부(600)에 이르기까지 이송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일종의 운반용 레일에 해당하는 것으로, 대차의 원활한 이동을 안내하기 위해 레일에 설치되는 다수의 아이들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탈형용 몰드 이송라인(L-3)은 작업장의 내부에서 공간의 효율적인 활용 측면에서 상기 타설용 몰드 이송라인(L-2)과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서 상호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몰드 전이용 이송라인(L-4)은 상기 3축방향 몰드 이송부(400)가 동작하는 위치에서 상기 타설용 몰드 이송라인(L-2)과 상기 탈형용 몰드 이송라인(L-3) 사이에 걸쳐 이들 사이를 횡단하여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3축방향 몰드 이송부(400)의 횡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일종의 운반용 레일에 해당하는 것으로, 상기 3축방향 몰드 이송부(400)의 원활한 이동을 안내하기 위해 레일에 설치되는 다수의 아이들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3축방향 몰드 이송부(400)에 자가 구동을 위한 구름 수단이 구비되는 경우에는 레일과 함께 다수의 아이들롤러에 대한 설치는 불필요할 것이다.
또한, 상기 몰드 회수용 반송라인(L-5)은 상기 2차 탈형 및 조적부(600)가 위치하는 부위에서 상기 탈형용 몰드 이송라인(L-3)과 상기 타설용 몰드 이송라인(L-2) 사이에 걸쳐 이들 사이를 횡단하여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2차 탈형 및 조적부(600)를 통해 외부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을 반출하여 빈 상태의 몰드를 탑재한 대차를 다시 상기 타설용 몰드 이송라인(L-2)으로 회수하는 일종의 운반용 레일에 해당하는 것으로, 대차의 원활한 이동을 안내하기 위해 레일에 설치되는 다수의 아이들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크로스 라인(L-6)은 상기 콘크리트 타설부(200)가 동작하는 위치에서 상기 콘크리트 이송라인(L-1)과 상기 타설용 몰드 이송라인(L-2) 사이에 걸쳐 이들 사이를 횡단하여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콘크리트 타설부(200)의 이동을 안내하는 일종의 운반용 레일에 해당하는 것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장의 노면을 기준으로 상기 콘크리트 이송라인(L-1) 보다 낮고 상기 타설용 몰드 이송라인(L-2) 보다 높은 위치의 공간으로 배치되어 상기 서플라이 카로부터 제공되는 유동성 콘크리트가 상기 타설용 몰드 이송라인(L-2)에 설치된 대차의 몰드로 원활하게 주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생산 설비에 있어, 각각의 개별 장비에 대한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a) 내지 도 3(c)은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생산 설비에 있어, 콘크리트 공급부의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와 측면도 및 평면도이다. 이 경우, 도 3(a)은 콘크리트 공급부의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3(b)은 콘크리트 공급부의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3(c)은 콘크리트 공급부의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로 하면, 상기 콘크리트 공급부(100)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제조를 위해 이송라인 중 상기 타설용 몰드 이송라인(L-2)을 따라 이동하는 서플라이 카에 해당하는 것으로, 좌/우 양측부위에 각각 주행을 위한 구동수단을 갖추고서 이송라인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지지몸체(102), 상기 한 쌍의 양측 지지몸체(102) 사이에서 중심축 부위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내부에 유동성 콘크리트를 저장하는 수용공간(104a)을 갖춘 버킷(104), 상기 한 쌍의 지지몸체(102)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위에서 상기 버킷(104)을 상하방향으로 반전되게 하는 턴오버 기구부(106), 및 구동수단과 턴오버 기구부(106)를 비롯하여 여러 작동설비와 이들의 작동을 적절하게 조절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구동수단은 전동식 주행용 모터(110)와 주행을 위한 롤러(112)를 비롯하여 축 지지를 위한 베어링(114)과 감속용 기어박스(미도시) 등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좌/우 양측의 지지몸체(102) 중 어느 하나에 한정하여 구비되거나, 좌/우 양측부위에 각각 개별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킷(104)은 내부에 유동성 콘크리트를 저장하기 위한 수용공간(104a)을 형성하는 용기(Vessel)로서 상측 입구에 몰드를 향해 콘크리트의 주입을 위한 개구부(104b)를 형성한다.
아울러, 상기 턴오버 기구부(106)는 상기 지지몸체(102)에 설치되는 전동식 턴오버용 모터(120), 상기 전동식 턴오버용 모터(120)의 회전축에 설치되는 구동기어(122), 및 상기 구동기어(122)에 치합되고 상기 버킷(104)의 중심축 부위에 동축상으로 설치되는 피동기어(1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4는 도 1의 D-섹션부를 도시한 것으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생산 설비에 있어, 콘크리트 공급부와 콘크리트 타설부 사이의 배치관계에 대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a)와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생산 설비에 있어, 콘크리트 타설부의 구성을 각각 도시한 정면도와 측면도이다. 이 경우, 도 5(a)는 도 4에 도시된 콘크리트 타설부의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로서, 타설용 몰드 이송라인을 향해 이동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5(b)는 도 4에 도시된 콘크리트 타설부의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과 도 2 및 도 4와 도 5를 참조로 하면, 상기 콘크리트 타설부(200)는 상기 콘크리트 이송라인(L-1)을 따라 이동하는 상기 콘크리트 공급부(100)의 버킷(104)을 통해 제공되는 콘크리트를 상기 타설용 몰드 이송라인(L-2)을 따라 이동해 온 대차(B)에 탑재되는 빈 몰드(M) 내에 직접 주입하기 위한 캐스팅 머신에 해당하는 것으로, 좌/우 양측부위에 각각 주행을 위한 구동수단을 갖추고서 이송라인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부에 콘크리트의 주입을 위한 호퍼(202a)를 가지는 수용몸체(202), 상기 수용몸체(202)의 하부에서 저장된 콘크리트의 외부 투입량을 조절하는 게이트 기구부(204), 상기 게이트 기구부(204)의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저장된 콘크리트의 외부 배출에 필요로 하는 가압력을 제공하는 리드 스크류(206), 상기 수용몸체(202)에 대한 상기 게이트 기구부(204)의 높낮이를 가변적으로 조절하여 하부에 위치한 몰드(M)의 높낮이 위치에 맞춰 상기 게이트 기구부(204)의 주입 높이를 최적의 상태로 가변적으로 조정하는 높이조절용 기구부(208), 및 구동수단과 게이트 기구부(204)와 높이조절용 기구부(208)를 비롯하여 여러 작동설비와 이들의 작동을 적절하게 조절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구동수단은 전동식 주행용 모터(210), 상기 전동식 주행용 모터(210)의 회전축에 설치되는 구동기어(212), 및 상기 구동기어(212)에 치합되고 주행용 롤러와 축 결합되는 피동기어(214)를 비롯하여 축 지지를 위한 베어링과 감속용 기어박스 등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게이트 기구부(204)는 상기 수용몸체(202)의 하부에 배치되고 몰드(M)의 내부로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주입량을 조절하는 것으로, 콘크리트의 타설량 조절을 위해 다수의 수량으로 구비된다.
또한, 상기 리드 스크류(206)는 상기 게이트 기구부(204)의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콘크리트의 외부 배출에 필요로 하는 가압력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상기 리드 스크류(206)의 회전축에는 회전용 구동모터(206a)가 설치된다.
아울러, 상기 높이조절용 기구부(208)는 상기 수용몸체(202)에 대한 상기 게이트 기구부(204)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것으로, 전동식 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고 상기 게이트 기구부(204)에 설치되는 피니언(220), 상기 피니언(220)에 치합되고 상기 수용몸체(202)에 고정되는 래크(2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결과, 상기 콘크리트 타설부(200)에서 이루어지는 몰드 내부의 콘크리트 주입은 상기 게이트 기구부(204)의 작동을 통해 보다 정량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되고, 특히 상기 높이조절용 기구부(208)의 작동을 매개로 상기 게이트 기구부(204)와 몰드(M) 사이의 높이를 적정 수준으로 맞출 수 있으므로, 콘크리트의 주입시 몰드의 외부로 콘크리트가 분출되어 작업장이 오염되는 문제를 더욱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생산 설비에 있어, 양생부의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와 측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가)부위를 확대한 것으로, 양생부의 권취 기구부와 기밀 유지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8은 도 7의 (다)부위를 확대한 것으로, 양생부의 권취 기구부와 기밀 유지부에 대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9는 도 6의 (나)부위를 확대한 것으로, 양생부의 기밀 유지부에 대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도 6에 도시된 양생부에 있어, 온습도 조절부에 대한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과 도 6 내지 도 10을 각각 참조로 하면, 상기 양생부(300)는 상기 콘크리트 타설부(200)에서 몰드에 타설된 콘크리트를 최적의 환경에서 양생 처리하기 위해 외부와 열적으로 차단된 밀폐 공간을 형성하고, 특히 밀폐된 공간의 온도와 습도를 조절하여 콘크리트의 양생을 최적화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밀폐 공간은 도어의 개폐 작동에 따라 외부와 선택적으로 교통 가능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양생부(300)는 콘크리트가 타설된 몰드를 내부에 층상으로 적재하여 다수의 몰드를 동시에 양생 처리할 수 있도록 입구를 제외한 나머지 부위가 밀폐되게 형성되는 커버(벽체와 지붕 등의 구조물)를 일체로 갖춘 격자형 프레임 구조물(310), 상기 격자형 프레임 구조물(310)의 입구에 대해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320), 상기 격자형 프레임 구조물(310)의 입구와 상기 도어(320) 사이를 긴밀하게 밀착시켜 내부 환경을 외부와 단절되게 하는 기밀 유지부(330), 및 상기 격자형 프레임 구조물(310)의 내부 공간에 대한 온도와 습도를 최적의 양생 환경으로 조성하기 위한 온습도 조절부(340)를 비롯하여 여러 작동설비와 이들의 작동을 적절하게 조절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격자형 프레임 구조물(310)은 다수로 분할되어 몰드의 양생 처리를 위한 공간을 형성하는 것으로, 내부의 양측에 몰드의 층상 적재를 위해 다수의 거치대(312)를 구비하고, 상기 각 거치대(312)에는 몰드의 적재 유무를 판단하기 위한 센서(미도시)를 갖추고 있다. 이 경우, 센서는 상기 3축방향 몰드 이송부(400)와의 통신을 매개로 다수의 거치대(312) 중에서 몰드가 적재되지 않은 공간에 한정하여 상기 3축방향 몰드 이송부(400)의 작동에 의한 몰드의 바람직한 적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도어(320)는 상기 격자형 프레임 구조물(310)의 입구에서 권취 기구부(350)를 매개로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유연성 소재로 이루어지는 바, 상기 권취 기구부(35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격자형 프레임 구조물(310)의 상부에 위치한 권취용 모터(352), 상기 권취용 모터(352)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활차(sheave; 354), 및 상기 활차(354)에 일단부가 고정되고 타단부가 상기 도어(320)의 최하단부에 고정되어 활차(354)의 외주면에 권취되는 와이어(35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권취용 모터(352)와 상기 활차(354) 사이의 동력 전달은 모터의 회전축에 장착된 피니언(358)과 한 쌍의 활차(354) 사이를 연결하는 회전축(355)에 설치된 종동활차(359)의 치합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이 결과, 상기 권취 기구부(350)의 작동시 상기 회전축(355)의 외주면에 상기 도어(320)가 권취되거나 풀리게 됨으로써 도어의 개폐가 조절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기밀 유지부(330)는 도 8과 도 9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격자형 프레임 구조물(310)의 상부에 위치한 전동식 모터(332), 상기 전동식 모터(332)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피니언(334), 상기 피니언(334)에 치합되어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는 섹터기어(336), 상기 섹터기어(336)의 회전축(337)에 일체로 결합되어 섹터기어(336)의 선회시 함께 연동하여 회전하는 링크아암(338), 및 상기 링크아암(338)의 자유단부에 결합되어 링크아암(338)의 선회시 함께 연동하여 선회함으로써 상기 격자형 프레임 구조물(310)에 대해 상기 도어(320)의 접촉면을 견고하게 밀착시키도록 가압하는 가압로드(33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회전축(337)은 상기 격자형 프레임 구조물(310)의 입구에서 상기 도어(320)의 좌/우 양측부위로 높이방향으로 각각 설치되고, 상기 가압로드(339)도 역시 상기 회전축(337)에 대해 상기 링크아암(338)을 사이에 두고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도어(320)의 좌/우 양측부위를 상기 격자형 프레임 구조물(310)의 해당 접촉부위에 대해 견고하게 밀착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 결과, 상기 양생부(300)의 내부 공간으로 콘크리트가 타설된 몰드를 적재할 경우, 상기 도어(320)는 상기 기밀 유지부(330)의 작동을 매개로 상기 격자형 프레임 구조물(310)의 입구에 대해 긴밀하게 밀착될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양생실의 내부에서 이루어지는 콘크리트의 양생 처리는 외부 환경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게 되므로 양생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임과 동시에 양생 품질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온습도 조절부(34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격자형 프레임 구조물(310)이 형성하는 양생실의 내부 공간에서 적정의 간격을 두고 스팀과 같이 콘크리트의 양생 처리에 필요로 하는 고온의 열원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온습도 조절부(340)는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고온의 스팀을 상기 격자형 프레임 구조물(310)의 내부로 공급하는 1차 배관부재(342), 상기 1차 배관부재(342)와 연결되면서 상기 격자형 프레임 구조물(310)의 내부 공간을 향해 다수로 분지되어 배설되는 2차 배관부재(344), 및 상기 2차 배관부재(344)의 전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스팀의 외부 배출을 위해 설치되는 분사노즐(34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1차 배관부재(342)에는 온도 조절을 위해 컨트롤 밸브(미도시)가 설치되고, 이 컨트롤 밸브의 개폐 조절은 제어부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 결과, 상기 양생부(300)의 내부 환경은 콘크리트의 양생 처리에 최적화될 수 있는 적정의 온도와 습도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1(a) 내지 도 11(c)은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생산 설비에 있어, 3축방향 몰드 이송부의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와 측면도 및 평면도이다. 이 경우, 도 11(a)은 3축방향 몰드 이송부의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11(b)은 3축방향 몰드 이송부의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11(c)은 3축방향 몰드 이송부의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과 도 11을 각각 참조로 하면, 상기 3축방향 몰드 이송부(400)는 상기 콘크리트 타설부(200)로부터 상기 타설용 몰드 이송라인(L-2)을 통해 제공되는 콘크리트가 타설된 몰드를 상기 양생부(300)의 내부로 투입하고, 상기 양생부(300)로부터 소정 시간에 걸쳐 최적의 상태로 양생 처리된 몰드를 다시 상기 탈형용 몰드 이송라인(L-3)을 통해 외부로 반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3축방향 몰드 이송부(400)는 상기 타설용 몰드 이송라인(L-2)과 상기 탈형용 몰드 이송라인(L-3) 사이에서 이동수단을 매개로 상기 몰드 전이용 이송라인(L-4)을 따라 횡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격자형의 메인 프레임 구조물(410), 상기 메인 프레임 구조물(410)에 대해 1차 승강수단을 매개로 높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 프레임 구조물(420), 상기 승강 프레임 구조물(420)에 대해 운송수단을 매개로 상기 메인 프레임 구조물(410)의 이동방향과 교차하는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무빙 프레임 구조물(430), 상기 무빙 프레임 구조물(430)에 대해 2차 승강수단을 매개로 높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부에 몰드를 탑재한 대차를 안착시켜 지지하며 상기 무빙 프레임 구조물(430)과의 사이에 설치되는 수평유지용 기구부를 매개로 몰드의 투입과 반출시 몰드를 수평상태로 유지하는 탑재용 프레임 구조물(440), 상기 승강 프레임 구조물(420)에 설치되어 몰드의 투입과 반출시 상기 탑재용 프레임 구조물(440)과의 접촉에 따라 발생하는 충격을 완화시키고 상기 승강 프레임 구조물(420)에 대한 상기 탑재용 프레임 구조물(440)의 길이방향 이동력을 제공하는 완충 구동부(450), 및 상기 이동수단과 상기 1차 승강수단과 상기 운송수단 및 상기 2차 승강수단을 비롯하여 여러 작동설비와 이들의 작동을 적절하게 조절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메인 프레임 구조물(410)은 격자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하부에 위치한 이동수단을 매개로 이송라인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이동수단은 전동식 주행용 모터(412)와 주행을 위한 다수의 롤러(414)를 비롯하여 축 지지를 위한 베어링과 감속용 기어박스(이상 미도시) 등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메인 프레임 구조물(410)의 하부에서 좌/우 양측의 부재 중 어느 하나에 한정하여 구비되거나, 좌/우 양측부위에 각각 개별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메인 프레임 구조물(410)은 이동수단의 작동을 매개로 상기 몰드 전이용 이송라인(L-4)을 따라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승강 프레임 구조물(420)은 도 11과 도 12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프레임(420a)과 중간 프레임(420b) 및 하부 프레임(420c)을 각각 구비하는 다층 구조물로 이루어지고, 상기 메인 프레임 구조물(410)의 내부에서 1차 승강수단을 매개로 상하방향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1차 승강수단은 상기 양생부(300)의 내부에 몰드를 탑재한 대차를 층상으로 적재하는 데 기여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 경우, 상기 1차 승강수단은 상기 메인 프레임 구조물(410)의 상부에 위치한 권취용 모터(422), 상기 권취용 모터(422)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고 권취용 드럼을 갖춘 권취용 활차(424), 상기 승강 프레임 구조물(420)의 상부에 설치되는 공회전 활차(426), 및 상기 권취용 활차(424)와 상기 공회전 활차(426) 사이에 걸쳐 감겨지고 상기 권취용 모터(422)의 작동시 상기 권취용 활차(424)의 외주면에 감겨져 길이의 조정이 이루어지는 와이어(42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특히, 상기 1차 승강수단은 상기 양생부(300)의 내부에서 층상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거치대(312)에 개별적으로 구비된 센서로부터 검출되는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권취용 모터(422)의 작동을 제어함으로써 몰드의 적재 위치에 맞춰 상기 승강 프레임 구조물(420)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 결과, 상기 1차 승강수단의 작동시 상기 권취용 활차(424)의 외주면에 감겨지는 와이어(428)의 길이에 따라 상기 메인 프레임 구조물(410)에 대한 상기 승강 프레임 구조물(420)의 높낮이는 자유롭게 조절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은 일련의 과정은 후술되는 2차 승강수단의 작동을 부가함으로써, 상기 양생부(300)의 내부에서 원하는 높이의 위치로 몰드를 탑재한 대차를 투입하거나 또는 반대로 외부를 향해 반출하는 일련의 작업이 보다 정확하면서도 용이하게 구현될 수 있게 하는 데 큰 도움을 주게 되고, 이를 통해 상기 양생부(300)의 내부에 원하는 위치로 몰드를 탑재한 대차를 적재시키거나 외부로 반출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승강 프레임 구조물(420)은 몰드의 투입과 반출시 상기 탑재용 프레임 구조물(440)과의 접촉에 따라 발생하는 충격을 완화시키면서 상기 승강 프레임 구조물(420)에 대한 상기 탑재용 프레임 구조물(440)의 길이방향 이동력을 제공하는 완충 구동부(4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바, 상기 완충 구동부(450)는 상기 승강 프레임 구조물(420)의 중간 프레임(420b)에서 상기 탑재용 프레임 구조물(440)의 하부를 향해 설치된다.
이 경우, 상기 완충 구동부(450)는 도 12와 도 13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강 프레임 구조물(420)의 중간 프레임(420b)의 길이방향 중앙부위에서 일단부가 힌지핀(452a)을 매개로 결합되고 타단부가 압축스프링(452b)을 매개로 탄력 지지되는 베이스판(452), 상기 베이스판(452)의 중앙에서 상부를 향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완충형 구동롤러(454), 상기 완충형 구동롤러(454)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456), 및 상기 베이스판(452)에 대해 완충형 구동롤러(454)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구동모터(456)를 장착하는 마운팅브래킷(458)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승강 프레임 구조물(420)의 중간 프레임(420b)은 상기 탑재용 프레임 구조물(440)의 저면을 향해 설치되어 보다 원활한 구름 접촉을 도모하기 위한 다수의 아이들롤러(421)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결과, 상기 승강 프레임 구조물(420)은 상기 메인 프레임 구조물(410)의 내부에서 1차 승강수단을 매개로 상하방향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상기 양생부(300)의 내부로 몰드를 탑재한 대차를 층상으로 적재할 때 많은 도움을 주게 된다. 특히, 상기 승강 프레임 구조물(420)은 상기 양생부(300)의 내부로 몰드를 투입하거나 상기 양생부(300)로부터 외부로 몰드를 반출할 때, 상기 완충 구동부(450)를 매개로 상기 탑재용 프레임 구조물(440)과의 접촉시 수반되는 충격을 효과적으로 완충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승강 프레임 구조물(420)은 상기 양생부(300)의 내부로 몰드를 투입하거나 상기 양생부(300)로부터 외부로 몰드를 반출할 때, 상기 완충 구동부(450)를 매개로 상기 탑재용 프레임 구조물(440)에 대해 길이방향 이동력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보다 용이한 몰드의 투입과 반출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무빙 프레임 구조물(430)은 도 11과 도 14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강 프레임 구조물(420)의 내부에서 운송수단을 매개로 상기 메인 프레임 구조물(410)의 이동방향과 교차하는 길이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운송수단은 상기 승강 프레임 구조물(420)의 하부 프레임(420c)에 대해 상기 무빙 프레임 구조물(430)의 길이방향 이동을 자유롭게 구현하기 위해 구성되는 것으로, 전동식 주행용 모터(432)와, 상기 모터(432)의 회전축에 장착된 구동롤러(434), 및 상기 구동롤러(434)와 함께 주행을 위해 설치되는 다수의 아이들롤러(436)를 비롯하여 축 지지를 위한 베어링과 감속용 기어박스(이상 미도시) 등을 포함한다. 특히, 상기 운송수단은 상기 무빙 프레임 구조물(430)의 좌/우 양측부위에서 전체 부위에 걸쳐 다수로 구비된다.
예컨대, 상기 전동식 주행용 모터(432)와 상기 구동롤러(434)는 상기 무빙 프레임 구조물(430)의 좌/우 양측의 부재 중 어느 하나에 한정하여 구비되거나, 좌/우 양측부위에 각각 개별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전동식 주행용 모터(432)와 이에 연결된 구동롤러(434)는 단일의 수량으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나, 상기 아이들롤러(436)는 상기 승강 프레임 구조물(420)과의 대응부위 전반에 걸쳐 구름접촉이 자유롭도록 다수의 수량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 결과, 상기 무빙 프레임 구조물(430)은 상기 운송수단의 전동식 주행용 모터(432)의 작동을 매개로 상기 승강 프레임 구조물(420)에 대해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므로, 상기 양생부(300)의 내부로 몰드를 탑재한 대차를 투입하거나 반대로 상기 양생부(300)의 내부로부터 몰드를 탑재한 대차를 외부로 반출하는 일련의 작업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운송수단에 의한 상기 무빙 프레임 구조물(430)의 길이방향 이동은, 상기 3축방향 몰드 이송부(400)의 승강 프레임 구조물(420)에서 상기 양생부(300)를 향한 상기 무빙 프레임 구조물(430)의 전진방향(양생 처리를 위한 몰드의 투입방향) 움직임과, 상기 양생부(300)로부터 외부를 향한 상기 무빙 프레임 구조물(430)의 후진방향(양생후 배출을 위한 몰드의 반출방향) 움직임을 각각 의미한다.
또한, 상기 탑재용 프레임 구조물(440)은 도 11과 도 15 및 도 16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몰드를 탑재한 대차를 안착시켜 지지하는 것으로, 상기 무빙 프레임 구조물(430)에 대해 2차 승강수단을 매개로 상하방향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2차 승강수단은 상기 무빙 프레임 구조물(430)과 상기 탑재용 프레임 구조물(440) 사이에 설치되는 유압식 액츄에이터(442), 및 상기 무빙 프레임 구조물(430)과 상기 탑재용 프레임 구조물(440) 사이에서 상기 유압식 액츄에이터(442)를 매개로 이루어지는 높낮이의 조절시 기계적으로 연동하는 수평유지용 기구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유압식 액츄에이터(442)는 상기 무빙 프레임 구조물(430)과 상기 탑재용 프레임 구조물(440) 사이의 각 모서리 부위에 개별적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유압식 액츄에이터(442)는 상기 무빙 프레임 구조물(430)에 일단부가 고정되고, 액츄에이터의 플런져(444)의 자유단부는 상기 탑재용 프레임 구조물(440)에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와 반대의 방향으로 상기 유압식 액츄에이터(442)가 설치되어도 무방할 것이다.
또한, 상기 수평유지용 기구부는 상기 탑재용 프레임 구조물(440)의 좌/우 양측부위에서 각각 서로 마주보는 위치로 단일의 지지축(445)을 공유하는 한 쌍의 피니언(446)과, 상기 한 쌍의 피니언(446)에 개별적으로 치합하면서 상기 무빙 프레임 구조물(430)의 좌/우 양측부위에서 수직한 방향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래크(448)로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수평유지용 기구부는 상기 탑재용 프레임 구조물(440)과 상기 무빙 프레임 구조물(430)의 폭방향의 좌/우 양측부위와 길이방향의 좌/우 양측부위에 대해 각각 개별적으로 설치되어 있어, 상기 2차 승강수단의 가동시 상기 무빙 프레임 구조물(430)에 대한 상기 탑재용 프레임 구조물(440)의 높이방향 변위는 수평유지용 기구부를 구성하는 피니언(446)과 래크(448) 사이의 치합에 따른 연동관계에 의해 동일하게 구현될 수 있으므로, 상기 탑재용 프레임 구조물(440)의 상부에 안착되는 몰드를 탑재한 대차는 상기 양생부(300)의 내부로 투입되거나 반대로 외부로 반출될 때 항상 수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 결과, 상기 2차 승강수단의 작동시 상기 유압식 액츄에이터(460)로 제공되는 압력의 크기에 따라 상기 무빙 프레임 구조물(430)에 대한 상기 탑재용 프레임 구조물(440)의 높낮이는 자유롭게 조절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수평유지용 기구부의 치합에 따른 연동관계를 매개로 항상 수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상기 양생부(300)의 내부에서 원하는 높이의 위치로 몰드를 탑재한 대차를 투입하거나 또는 반대로 외부를 향해 대차를 반출하는 일련의 작업이 보다 정확하면서도 용이하게 구현될 수 있게 된다.
도 17(a) 내지 도 17(c)은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생산 설비에 있어, 1차 탈형부의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와 측면도 및 평면도이다. 이 경우, 도 17(a)은 1차 탈형부의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17(b)은 1차 탈형부의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17(c)은 1차 탈형부의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과 도 17을 참조로 하면, 상기 1차 탈형부(500)는 상기 양생부(300)로부터 양생 처리가 완료된 다음 상기 3축방향 몰드 이송부(400)의 작동을 매개로 상기 탈형용 몰드 이송라인(L-3)으로 반출되는 몰드에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을 탈형하기 위한 것으로, 교호적 승강 기구부를 비롯하여 여러 작동설비와 이들의 작동을 적절하게 조절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를 위해 1차 탈형부(500)는 상기 탈형용 몰드 이송라인(L-3)으로부터 상부를 향해 이격되게 배치되는 격자형태의 거더 프레임(510), 상기 거더 프레임(510)의 하부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하부에서 콘크리트 구조물과 연결되는 승강 프레임(520), 및 상기 거더 프레임(510)에 대한 상기 승강 프레임(520)의 상하방향 높이를 좌/우 양측부위에서 각각 개별적으로 조절하는 한 쌍의 교호적 승강 기구부(5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좌/우 양측부위의 거더 프레임(510)은 도 1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단 부위에서 각각 바닥을 향해 직립하게 설치되는 포스트 프레임(512)에 의해 견고하게 지지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승강 프레임(520)은 상기 거더 프레임(510)으로부터 하방향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 레일(514)에 의해 승강시 안내받도록 지지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가이드 레일(514)의 하단부에는 나사 결합되는 스토퍼부재(516)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교호적 승강 기구부(530)는 도 1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거더 프레임(510)과 상기 승강 프레임(520) 사이에서 좌/우 양측부위에 각각 개별적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기구로 이루어지는 바, 상기 각각의 교호적 승강 기구부(530)는 도 1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거더 프레임(510)과 상기 승강 프레임(520) 사이의 좌/우 양측부위에서 전/후단 부위를 각각 개별적으로 연결하는 한 쌍의 와이어(540), 상기 한 쌍의와이어(540)에 인가되는 장력의 정도를 함께 조절하는 유압식 액츄에이터(550), 상기 유압식 액츄에이터(550)의 플런져(552)에 결합되고 상기 한 쌍의 와이어(540)를 양단부에 연결하는 이퀄라이져(560), 및 상기 이퀄라이져(560)로부터 상기 승강 프레임(520)의 좌/우 양측부위에서 전/후단 부위를 향해 상기 한 쌍의 와이어(540)의 배선을 안내하도록 설치되는 복수의 아이들롤러(570)를 구비한다.
따라서 상기 1차 탈형부(500)는 상기 승강 프레임(520)을 매개로 몰드 내에 양생 처리된 콘크리트 구조물과 연결한 다음, 상기 교호적 승강 기구부(530)를 작동시켜 몰드로부터 양생 처리가 완료된 콘크리트 구조물을 탈형시키게 되는 데, 이 과정에서 상기 승강 프레임 구조물(420)의 좌/우 양측부위에 각각 개별적으로 설치되는 상기 교호적 승강 기구부(530)에 대한 작동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면, 몰드로부터 양생 처리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이탈은 더욱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생산 설비에 있어, 2차 탈형부의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와 측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1과 도 18을 참조로 하면, 상기 2차 탈형 및 조적부(600)는 상기 1차 탈형부(500)에서 몰드로부터 탈형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을 외부로 반출시켜 적재하기 위한 것으로, 조적 기구부와, 반출 기구부를 비롯하여 여러 작동설비와 이들의 작동을 적절하게 조절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를 위해 2차 탈형 및 조적부(600)는 상기 탈형용 몰드 이송라인(L-3)으로부터 상부를 향해 이격되게 배치되고 하부에 가이드 레일(612)을 갖춘 격자형태의 거더 프레임(610), 상기 거더 프레임(610)의 전/후단 부위에서 각각 하부를 향해 직립하게 설치되는 포스트 프레임(620), 상기 가이드 레일(612)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조적기구(630), 및 상기 조적기구(630)의 작동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높이 조절이 이루어지고 하부에서 콘크리트 구조물과 연결되는 승강 프레임(640)을 구비한다.
따라서 상기 2차 탈형 및 조적부(600)는 상기 조적기구(630)의 작동에 따라 몰드로부터 양생 처리가 완료된 콘크리트 구조물을 완전하게 탈형시킨 다음, 상기 거더 프레임(610)의 가이드 레일(612)을 따라 이동하여 콘크리트 구조물만을 반출측에 별도로 구비된 이송설비에 층상으로 조적시킬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생산을 위한 일련의 과정이 종료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이하에서 기재되는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콘크리트 공급부 102-지지몸체
104-버킷 106-턴오버 기구부
110-주행용 모터 112-롤러
114-베어링 120-턴오버용 모터
122-구동기어 124-피동기어
200-콘크리트 타설부 202-수용몸체
204-게이트 기구부 206-리드 스크류
208-높이조절용 기구부 210-주행용 모터
212-구동기어 214-피동기어
220-피니언 222-래크
300-양생부 310-격자형 프레임 구조물
312-거치대 320-도어
330-기밀 유지부 332-전동식 모터
334-피니언 336-섹터기어
337-회전축 338-링크아암
339-가압로드 340-온습도 조절부
342-1차 배관부재 344-2차 배관부재
346-분사노즐 350-권취 기구부
352-권취용 모터 354-활차
356-와이어 358-피니언
400-3축방향 몰드 이송부 410-메인 프레임 구조물
412-주행용 모터 414-롤러
420-승강 프레임 구조물 421-아이들롤러
422-권취용 모터 424-권취용 활차
426-공회전 활차 428-와이어
430-무빙 프레임 구조물 432-주행용 모터
434-구동롤러 436-아이들롤러
440-탑재용 프레임 구조물 442-액츄에이터
444-플런져 445-지지축
446-피니언 448-래크
450-완충 구동부 452-베이스판
454-완충형 구동롤러 456-구동모터
458-마운팅브래킷
500-1차 탈형부 510-거더 프레임
512-포스트 프레임 514-가이드 레일
516-스토퍼부재 520-승강 프레임
530-교호적 승강 기구부 540-와이어
550-액츄에이터 560-이퀄라이져
570-아이들롤러
600-2차 탈형 및 조적부 610-거더 프레임
612-가이드 레일 620-포스트 프레임
630-조적기구 640-승강 프레임
104-버킷 106-턴오버 기구부
110-주행용 모터 112-롤러
114-베어링 120-턴오버용 모터
122-구동기어 124-피동기어
200-콘크리트 타설부 202-수용몸체
204-게이트 기구부 206-리드 스크류
208-높이조절용 기구부 210-주행용 모터
212-구동기어 214-피동기어
220-피니언 222-래크
300-양생부 310-격자형 프레임 구조물
312-거치대 320-도어
330-기밀 유지부 332-전동식 모터
334-피니언 336-섹터기어
337-회전축 338-링크아암
339-가압로드 340-온습도 조절부
342-1차 배관부재 344-2차 배관부재
346-분사노즐 350-권취 기구부
352-권취용 모터 354-활차
356-와이어 358-피니언
400-3축방향 몰드 이송부 410-메인 프레임 구조물
412-주행용 모터 414-롤러
420-승강 프레임 구조물 421-아이들롤러
422-권취용 모터 424-권취용 활차
426-공회전 활차 428-와이어
430-무빙 프레임 구조물 432-주행용 모터
434-구동롤러 436-아이들롤러
440-탑재용 프레임 구조물 442-액츄에이터
444-플런져 445-지지축
446-피니언 448-래크
450-완충 구동부 452-베이스판
454-완충형 구동롤러 456-구동모터
458-마운팅브래킷
500-1차 탈형부 510-거더 프레임
512-포스트 프레임 514-가이드 레일
516-스토퍼부재 520-승강 프레임
530-교호적 승강 기구부 540-와이어
550-액츄에이터 560-이퀄라이져
570-아이들롤러
600-2차 탈형 및 조적부 610-거더 프레임
612-가이드 레일 620-포스트 프레임
630-조적기구 640-승강 프레임
Claims (21)
- 몰드에 타설된 콘크리트를 적정 온도의 밀폐 환경에서 양생 처리하여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을 생산하는 설비로서,
몰드 내에 타설용 콘크리트를 제공하는 서플라이 카와 턴오버 기구부(106)를 갖춘 콘크리트 공급부(100);
상기 콘크리트 공급부(100)를 통해 제공된 콘크리트를 몰드에 타설하도록 게이트 기구부(204)를 갖춘 콘크리트 타설부(200);
상기 콘크리트 타설부(200)에 의해 몰드 내에 타설된 콘크리트를 양생 처리하도록 온습도 조절부(340)와 개폐용 도어(320) 및 기밀 유지부(330)를 갖춘 양생부(300);
상기 양생부(300)에 콘크리트가 타설된 몰드를 투입하고, 상기 양생부(300)로부터 양생 처리된 몰드를 외부로 반출시키도록 이동수단과 승강수단과 완충 구동부와 수평유지용 기구부를 갖춘 3축방향 몰드 이송부(400);
상기 3축방향 몰드 이송부(400)로부터 반출된 몰드로부터 양생 처리된 콘크리트 구조물을 탈형하도록 교호적 승강 기구부를 갖춘 1차 탈형부(500);
상기 1차 탈형부(500)로부터 탈형된 콘크리트 구조물을 외부로 반출시켜 적재하는 2차 탈형 및 조적부(600); 및
상기 콘크리트 공급부(100)로부터 상기 콘크리트 타설부(200)에 이르기까지 콘크리트 공급부(100)의 이동을 안내하고, 상기 콘크리트 타설부(200)와 상기 3축방향 몰드 이송부(400), 상기 양생부(300), 상기 1차 탈형부(500), 상기 2차 탈형 및 조적부(600)에 이르기까지 몰드를 탑재한 대차의 이동을 안내하는 이송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양생부(300)는 내부에 층상으로 몰드를 적재하고 입구를 제외한 나머지 부위가 밀폐되는 격자형 프레임 구조물(310)로 이루어지고, 상기 개폐용 도어(320)는 상기 격자형 프레임 구조물(310)의 입구에서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기밀 유지부(330)는 상기 격자형 프레임 구조물(310)의 입구와 상기 도어(320) 사이의 접촉부위를 밀착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온습도 조절부(340)는 상기 격자형 프레임 구조물(310)의 내부 공간에 대한 온도와 습도를 양생 환경에 적합하게 조성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3축방향 몰드 이송부(400)는,
이동수단을 매개로 이송라인에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메인 프레임 구조물(410);
상기 메인 프레임 구조물(410)에 대해 1차 승강수단을 매개로 높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 프레임 구조물(420);
상기 승강 프레임 구조물(420)에 대해 운송수단을 매개로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무빙 프레임 구조물(430);
상기 무빙 프레임 구조물(430)에 대해 2차 승강수단을 매개로 높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부에 몰드를 탑재한 대차를 안착시켜 지지하는 탑재용 프레임 구조물(440); 및
상기 승강 프레임 구조물(420)에 설치되어 몰드의 투입과 반출시 상기 탑재용 프레임 구조물(440)과의 접촉에 따라 발생하는 충격을 완화시키고 상기 승강 프레임 구조물(420)에 대한 상기 탑재용 프레임 구조물(440)의 길이방향 이동력을 제공하는 완충 구동부(450)를 구비하고,
상기 수평유지용 기구부는 상기 무빙 프레임 구조물(430)과 상기 탑재용 프레임 구조물(440) 사이에 설치되어 몰드의 투입과 반출시 몰드를 수평상태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생산 설비.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송라인은,
상기 콘크리트 공급부(100)의 이송을 위해 상기 콘크리트 타설부(200)를 향해 설치되는 콘크리트 이송라인(L-1);
상기 콘크리트 타설부(200)를 경유하여 상기 3축방향 몰드 이송부(400)로 몰드의 이송을 위해 설치되는 타설용 몰드 이송라인(L-2);
상기 3축방향 몰드 이송부(400)를 매개로 상기 양생부(300)에서 양생 처리된 몰드를 상기 1차 탈형부(500)를 지나 상기 2차 탈형 및 조적부(600)로 이송하는 탈형용 몰드 이송라인(L-3);
상기 3축방향 몰드 이송부(400)에서 상기 타설용 몰드 이송라인(L-2)과 상기 탈형용 몰드 이송라인(L-3) 사이를 연결하는 몰드 전이용 이송라인(L-4);
상기 2차 탈형 및 조적부(600)에서 상기 타설용 몰드 이송라인(L-2)과 상기 탈형용 몰드 이송라인(L-3) 사이를 연결하는 몰드 회수용 반송라인(L-5); 및
상기 콘크리트 이송라인(L-1)과 상기 타설용 몰드 이송라인(L-2) 사이를 연결하는 크로스 라인(L-6)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생산 설비.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공급부(100)는 주행을 위한 구동수단을 매개로 이송라인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지지몸체(102), 및 상기 한 쌍의 지지몸체(102) 사이에서 중심축 부위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내부에 유동성 콘크리트를 저장하는 수용공간(104a)을 갖춘 버킷(104)을 구비하고, 상기 턴오버 기구부(106)는 상기 한 쌍의 지지몸체(102)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위에 설치되어 상기 버킷(104)을 상하방향으로 반전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생산 설비.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턴오버 기구부(106)는 상기 지지몸체(102)에 설치되는 전동식 턴오버용 모터(120), 상기 전동식 턴오버용 모터(120)의 회전축에 설치되는 구동기어(122), 및 상기 구동기어(122)에 치합되고 상기 버킷(104)의 중심축 부위에 동축상으로 설치되는 피동기어(12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생산 설비.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타설부(200)는 주행을 위한 구동수단을 매개로 이송라인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콘크리트의 주입을 위한 호퍼(202a)를 갖춘 수용몸체(202), 및 상기 수용몸체(202)에 대한 상기 게이트 기구부(204)의 높낮이를 가변적으로 조절하는 높이조절용 기구부(208)를 구비하고, 상기 게이트 기구부(204)는 상기 수용몸체(202)의 하부에서 저장된 콘크리트의 외부 투입량을 조절하도록 설치되고 내부에 저장된 콘크리트의 외부 배출을 위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리드 스크류(206)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생산 설비.
-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용 기구부(208)는 상기 게이트 기구부(204)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피니언(220), 및 상기 피니언(220)에 치합되고 상기 수용몸체(202)에 고정되는 래크(22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생산 설비.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격자형 프레임 구조물(310)은 내부에 몰드의 층상 적재를 위한 다수의 거치대(312)를 구비하고, 상기 거치대(312)에는 몰드의 적재 유무를 판단하는 센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생산 설비.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어(320)는 유연성 소재로서 상기 격자형 프레임 구조물(310)의 입구에서 권취 기구부(350)를 매개로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권취 기구부(350)는 상기 격자형 프레임 구조물(310)에 설치되는 권취용 모터(352), 상기 권취용 모터(352)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활차(354), 및 상기 활차(354)에 일단부가 고정되고 타단부가 상기 도어(320)의 최하단부에 고정되는 와이어(356)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생산 설비.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밀 유지부(330)는 상기 격자형 프레임 구조물(310)에 설치되는 전동식 모터(332), 상기 전동식 모터(332)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피니언(334), 상기 피니언(334)에 치합되는 섹터기어(336), 상기 섹터기어(336)의 회전축(337)에 결합되는 링크아암(338), 및 상기 링크아암(338)에 결합되어 링크아암(338)과 함께 선회하여 상기 격자형 프레임 구조물(310)에 대해 상기 도어(320)의 접촉면을 밀착되게 하는 가압로드(339)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생산 설비.
-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337)은 상기 격자형 프레임 구조물(310)의 입구에서 상기 도어(320)의 좌/우 양측부위로 높이방향으로 각각 설치되고, 상기 가압로드(339)는 상기 회전축(337)에 대해 상기 링크아암(338)을 사이에 두고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도어(320)의 좌/우 양측부위를 향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생산 설비.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온습도 조절부(340)는 고온의 스팀을 상기 격자형 프레임 구조물(310)의 내부로 공급하는 1차 배관부재(342), 상기 1차 배관부재(342)와 연결되면서 상기 격자형 프레임 구조물(310)의 내부 공간을 향해 다수로 분지되어 배설되는 2차 배관부재(344), 및 상기 2차 배관부재(344)의 전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분사노즐(346)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생산 설비.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1차 승강수단은 상기 메인 프레임 구조물(410)에 설치되는 권취용 모터(422), 상기 권취용 모터(422)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권취용 활차(424), 상기 승강 프레임 구조물(420)에 설치되는 공회전 활차(426), 및 상기 권취용 활차(424)와 상기 공회전 활차(426) 사이에 걸쳐 감겨지고 상기 권취용 모터(422)의 작동시 상기 권취용 활차(424)의 외주면에 감겨져 길이의 조정이 이루어지는 와이어(428)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생산 설비.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완충 구동부(450)는 상기 승강 프레임 구조물(420)에 일단부가 힌지핀(452a)을 매개로 결합되고 타단부가 압축스프링(452b)을 매개로 설치되는 베이스판(452), 상기 베이스판(452)에서 상부를 향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완충형 구동롤러(454), 상기 완충형 구동롤러(454)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456), 및 상기 베이스판(452)에 대해 완충형 구동롤러(454)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상기 구동모터(456)를 장착하는 마운팅브래킷(458)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생산 설비.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운송수단은 상기 무빙 프레임 구조물(430)에 설치되는 주행용 모터(432), 상기 모터(432)의 회전축에 장착된 구동롤러(434), 및 상기 구동롤러(434)와 함께 주행을 위해 설치되는 다수의 아이들롤러(436)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생산 설비.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2차 승강수단은 상기 무빙 프레임 구조물(430)과 상기 탑재용 프레임 구조물(440) 사이에서 각 모서리 부위에 각각 설치되는 유압식 액츄에이터(442)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평유지용 기구부는 상기 무빙 프레임 구조물(430)과 상기 탑재용 프레임 구조물(440) 사이에서 상기 유압식 액츄에이터(442)를 매개로 이루어지는 높낮이의 조절시 기계적으로 연동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생산 설비.
-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수평유지용 기구부는 상기 탑재용 프레임 구조물(440)의 좌/우 양측부위에서 각각 서로 마주보는 위치로 단일의 지지축(445)을 공유하는 한 쌍의 피니언(446), 및 상기 한 쌍의 피니언(446)에 개별적으로 치합하면서 상기 무빙 프레임 구조물(430)의 좌/우 양측부위에서 수직한 방향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래크(448)로 이루어지되, 상기 수평유지용 기구부는 상기 탑재용 프레임 구조물(440)과 상기 무빙 프레임 구조물(430)의 폭방향의 좌/우 양측부위와 길이방향의 좌/우 양측부위에 대해 각각 개별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생산 설비.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1차 탈형부(500)는 이송라인의 상부에 배치되는 거더 프레임(510), 및 상기 거더 프레임(510)의 하부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하부에서 콘크리트 구조물과 연결되는 승강 프레임(520)을 구비하고, 상기 교호적 승강 기구부(530)는 상기 거더 프레임(510)에 대한 상기 승강 프레임(520)의 상하방향 높이를 좌/우 양측부위에서 각각 개별적으로 조절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생산 설비.
-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교호적 승강 기구부(530)는 상기 거더 프레임(510)과 상기 승강 프레임(520) 사이의 좌/우 양측부위에서 전/후단 부위를 각각 개별적으로 연결하는 한 쌍의 와이어(540), 상기 한 쌍의와이어(540)에 인가되는 장력의 정도를 함께 조절하는 유압식 액츄에이터(550), 상기 유압식 액츄에이터(550)의 플런져(552)에 결합되고 상기 한 쌍의 와이어(540)를 양단부에 연결하는 이퀄라이져(560), 및 상기 이퀄라이져(560)로부터 상기 승강 프레임(520)의 좌/우 양측부위에서 전/후단 부위를 향해 상기 한 쌍의 와이어(540)의 배선을 안내하도록 설치되는 복수의 아이들롤러(57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생산 설비.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2차 탈형 및 조적부(600)는 이송라인의 상부에 배치되고 하부에 가이드 레일(612)을 갖춘 거더 프레임(610), 상기 거더 프레임(610)의 전/후단 부위에서 각각 하부를 향해 설치되는 포스트 프레임(620), 상기 가이드 레일(612)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조적기구(630), 및 상기 조적기구(630)의 작동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높이 조절이 이루어지고 하부에서 콘크리트 구조물과 연결되는 승강 프레임(64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생산 설비.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12832A KR101677941B1 (ko) | 2016-02-02 | 2016-02-02 |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생산 설비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12832A KR101677941B1 (ko) | 2016-02-02 | 2016-02-02 |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생산 설비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77941B1 true KR101677941B1 (ko) | 2016-11-21 |
Family
ID=575380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12832A KR101677941B1 (ko) | 2016-02-02 | 2016-02-02 |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생산 설비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77941B1 (ko) |
Cited By (1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6966131A (zh) * | 2017-05-19 | 2017-07-21 | 中民筑友科技投资有限公司 | 一种构件生产线 |
CN107175759A (zh) * | 2017-07-14 | 2017-09-19 | 广东省建筑机械厂有限公司 | 建筑梁柱混凝土预制构件的生产线 |
CN108149845A (zh) * | 2018-02-26 | 2018-06-12 | 吉林建筑大学 | 混凝土柱和梁的挤压成型免拆模壳及其制备方法和应用 |
CN108189210A (zh) * | 2018-01-29 | 2018-06-22 | 郑州玛纳房屋装备有限公司 | 一种集约式pc大板生产线立体转运系统 |
CN109773952A (zh) * | 2019-01-29 | 2019-05-21 | 中交武汉港湾工程设计研究院有限公司 | 一种短线匹配节段梁循环流水生产线及其生产方法 |
CN109866319A (zh) * | 2019-04-15 | 2019-06-11 | 山东祀方机械有限公司 | 一种自保温砌块生产线 |
CN109968515A (zh) * | 2019-04-24 | 2019-07-05 | 湖北科宇智能装备有限公司 | 模块化移动式pc生产线 |
CN110202670A (zh) * | 2019-06-30 | 2019-09-06 | 重庆大业新型建材集团有限公司 | 一种任意模数预制混凝土梁成型装置 |
CN110587787A (zh) * | 2019-09-30 | 2019-12-20 | 马鞍山钢铁股份有限公司 | 用于石灰窑悬挂缸浇注料的施工模具及其浇注方法 |
CN111645181A (zh) * | 2020-06-16 | 2020-09-11 | 范满香 | 一种装配式桥梁预制桥墩拆模设备及预制桥墩拆模工艺 |
KR20210107562A (ko) | 2021-07-23 | 2021-09-01 | 김동용 |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생산 설비 |
KR102323834B1 (ko) * | 2021-07-19 | 2021-11-08 | 이정구 | 콘크리트 양생 시스템 |
CN114683391A (zh) * | 2022-03-03 | 2022-07-01 | 绿磐新型建材(嘉兴)有限公司 | 一种用于蒸压加气砌块的连续式自动成型模具及成型工艺 |
KR20230170413A (ko) | 2022-06-10 | 2023-12-19 | (주) 에스피시스템스 | 다양한 크기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 제조를 위한 자동화 시스템 |
CN117863336A (zh) * | 2024-01-25 | 2024-04-12 | 宁夏伊地地质工程有限公司 | 一种混凝土自动浇注装置 |
CN118046472A (zh) * | 2024-03-20 | 2024-05-17 | 南京晶磊兴建材有限公司 | 一种用于混凝土检测的恒温恒湿养护箱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102484A (ko) * | 2003-05-28 | 2004-12-08 | 브이.오.에프. 휴마보 콘크리트 머시너리 앤드 몰드 | 콘크리트 제품 자동 제조시스템 |
JP2005207103A (ja) * | 2004-01-22 | 2005-08-04 | Shimizu Corp |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部材の搬送装置および搬送方法 |
KR101434913B1 (ko) | 2014-07-04 | 2014-08-29 | 삼표이앤씨 주식회사 |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슬래브 패널 제조방법 |
-
2016
- 2016-02-02 KR KR1020160012832A patent/KR10167794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102484A (ko) * | 2003-05-28 | 2004-12-08 | 브이.오.에프. 휴마보 콘크리트 머시너리 앤드 몰드 | 콘크리트 제품 자동 제조시스템 |
JP2005207103A (ja) * | 2004-01-22 | 2005-08-04 | Shimizu Corp |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部材の搬送装置および搬送方法 |
KR101434913B1 (ko) | 2014-07-04 | 2014-08-29 | 삼표이앤씨 주식회사 |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슬래브 패널 제조방법 |
Cited By (2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6966131A (zh) * | 2017-05-19 | 2017-07-21 | 中民筑友科技投资有限公司 | 一种构件生产线 |
CN107175759A (zh) * | 2017-07-14 | 2017-09-19 | 广东省建筑机械厂有限公司 | 建筑梁柱混凝土预制构件的生产线 |
CN108189210A (zh) * | 2018-01-29 | 2018-06-22 | 郑州玛纳房屋装备有限公司 | 一种集约式pc大板生产线立体转运系统 |
CN108149845A (zh) * | 2018-02-26 | 2018-06-12 | 吉林建筑大学 | 混凝土柱和梁的挤压成型免拆模壳及其制备方法和应用 |
CN109773952B (zh) * | 2019-01-29 | 2023-09-15 | 中交武汉港湾工程设计研究院有限公司 | 一种短线匹配节段梁循环流水生产线及其生产方法 |
CN109773952A (zh) * | 2019-01-29 | 2019-05-21 | 中交武汉港湾工程设计研究院有限公司 | 一种短线匹配节段梁循环流水生产线及其生产方法 |
CN109866319A (zh) * | 2019-04-15 | 2019-06-11 | 山东祀方机械有限公司 | 一种自保温砌块生产线 |
CN109968515A (zh) * | 2019-04-24 | 2019-07-05 | 湖北科宇智能装备有限公司 | 模块化移动式pc生产线 |
CN110202670A (zh) * | 2019-06-30 | 2019-09-06 | 重庆大业新型建材集团有限公司 | 一种任意模数预制混凝土梁成型装置 |
CN110587787A (zh) * | 2019-09-30 | 2019-12-20 | 马鞍山钢铁股份有限公司 | 用于石灰窑悬挂缸浇注料的施工模具及其浇注方法 |
CN111645181A (zh) * | 2020-06-16 | 2020-09-11 | 范满香 | 一种装配式桥梁预制桥墩拆模设备及预制桥墩拆模工艺 |
KR102323834B1 (ko) * | 2021-07-19 | 2021-11-08 | 이정구 | 콘크리트 양생 시스템 |
KR20210107562A (ko) | 2021-07-23 | 2021-09-01 | 김동용 |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생산 설비 |
KR102353236B1 (ko) * | 2021-07-23 | 2022-01-19 | 김동용 |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생산 설비 |
CN114683391A (zh) * | 2022-03-03 | 2022-07-01 | 绿磐新型建材(嘉兴)有限公司 | 一种用于蒸压加气砌块的连续式自动成型模具及成型工艺 |
CN114683391B (zh) * | 2022-03-03 | 2023-12-15 | 绿磐新型建材(嘉兴)有限公司 | 一种用于蒸压加气砌块的连续式自动成型模具及成型工艺 |
KR20230170413A (ko) | 2022-06-10 | 2023-12-19 | (주) 에스피시스템스 | 다양한 크기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 제조를 위한 자동화 시스템 |
CN117863336A (zh) * | 2024-01-25 | 2024-04-12 | 宁夏伊地地质工程有限公司 | 一种混凝土自动浇注装置 |
CN117863336B (zh) * | 2024-01-25 | 2024-06-11 | 宁夏伊地地质工程有限公司 | 一种混凝土自动浇注装置 |
CN118046472A (zh) * | 2024-03-20 | 2024-05-17 | 南京晶磊兴建材有限公司 | 一种用于混凝土检测的恒温恒湿养护箱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77941B1 (ko) |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생산 설비 | |
US3523343A (en) | System for the production of cast concrete members | |
CN105773827A (zh) | 预制构件立体生产系统 | |
WO2010020089A1 (zh) | 板材生产线系统 | |
KR100543579B1 (ko) | 콘크리트 제품 자동 제조시스템 | |
KR102450934B1 (ko) | 철도의 사전제작식 콘크리트궤도 시공용 몰탈 배합타설장비 | |
WO2020232744A1 (zh) | 一种具有暂存功能的预制构件生产线 | |
CN112454643B (zh) | 模块化免拆墙体模板自动化生产系统 | |
CN109773952B (zh) | 一种短线匹配节段梁循环流水生产线及其生产方法 | |
CA2467250C (en) | Installation for producing reinforced concrete parts | |
CN111203972A (zh) | 一种桩板式结构桥面板自动化生产线 | |
CN212919859U (zh) | 一种混凝土预制构件的游牧式立体化生产系统 | |
CN114670322B (zh) | 一种养护装置及预制混凝土构件生产线 | |
KR101195442B1 (ko) | 박스거더 제작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박스거더 제작방법 | |
JP4233097B2 (ja) |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製品の製造システム | |
KR102353236B1 (ko) |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생산 설비 | |
EP1578574A1 (en) | Moulding of concrete articles | |
CN214266082U (zh) | 模块化免拆墙体模板自动化生产系统 | |
CN112356259B (zh) | 一种高强高性能混凝土管桩自动化生产线 | |
CN215511596U (zh) | 脱模工段及混凝土构件通用生产线 | |
CN110861206B (zh) | 一种预制构件自动化生产线 | |
CN211517930U (zh) | 一种预制构件自动化生产线 | |
CN113021609A (zh) | 混凝土预制构件的生产装置 | |
US3929173A (en) | Materials dispensing apparatus | |
CN212421717U (zh) | 移动式生产预制混凝土板的一体化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