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7490B1 - 배기 처리 유닛 및 작업 차량 - Google Patents

배기 처리 유닛 및 작업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7490B1
KR101677490B1 KR1020157014337A KR20157014337A KR101677490B1 KR 101677490 B1 KR101677490 B1 KR 101677490B1 KR 1020157014337 A KR1020157014337 A KR 1020157014337A KR 20157014337 A KR20157014337 A KR 20157014337A KR 101677490 B1 KR101677490 B1 KR 1016774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eatment device
exhaust treatment
exhaust
bracket
mou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143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79926A (ko
Inventor
다카시 사카이
다카유키 이리에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1500799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99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74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74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 F01N3/1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 F01N3/24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aspects of converting apparatus
    • F01N3/28Construction of catalytic rea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46Removing components of defined structure
    • B01D53/54Nitrogen compounds
    • B01D53/56Nitrogen ox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92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of engine exhaust gases
    • B01D53/9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of engine exhaust gases by catalytic processes
    • B01D53/9404Removing only nitrogen compounds
    • B01D53/9409Nitrogen oxides
    • B01D53/9431Processes characterised by a specific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3/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mbustion air intake or gas exhaust of propulsion units
    • B60K13/04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mbustion air intake or gas exhaust of propulsion units concerning exhaust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0858Arrangement of component parts installed on superstruc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 components, fenders, air-conditioning units
    • E02F9/0866Engine compartment, e.g. heat exchangers, exhaust filters, cooling devices, silencers, mufflers, position of hydraulic pumps in the engine compart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18Construction facilitating manufacture, assembly, or disassembly
    • F01N13/1805Fixing exhaust manifolds, exhaust pipes or pipe sections to each other, to engine or to vehicle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B60Y2200/412Excava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Exhaust Gas After Treatment (AREA)
  • Processes For Solid Components From Exhaust (AREA)
  • Toxicology (AREA)
  • Exhaust Gas Treatment By Means Of Catalyst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 Exhaust Silencers (AREA)

Abstract

소수의 부품에 의해, 디젤 미립자 포집 필터 장치와 선택 환원 촉매 장치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배기 처리 유닛 및 작업 차량을 제공한다. 배기 처리 유닛은, 작업 차량의 엔진으로부터의 배기를 처리하는 배기 처리 유닛으로서, 제1 배기 처리 장치와, 제2 배기 처리 장치와, 제1 브래킷을 구비한다. 제1 브래킷에는, 제1 배기 처리 장치와 제2 배기 처리 장치가 장착된다. 제1 브래킷은, 에지부와, 본체부를 가진다. 본체부는, 에지부로부터 아래쪽을 향해 팽창한 볼록 형상을 가진다. 본체부는, 제1 지지부와 제2 지지부를 포함한다. 제1 지지부는, 제1 배기 처리 장치를 직접 지지한다. 제2 지지부는, 제2 배기 처리 장치를 직접 지지한다.

Description

배기 처리 유닛 및 작업 차량{EXHAUST GAS TREATMENT UNIT AND WORKING VEHICLE}
본 발명은, 작업 차량의 엔진으로부터의 배기를 처리하는 배기 처리 유닛 및 배기 처리 유닛의 제조 방법, 및, 배기 처리 유닛을 구비한 작업 차량에 관한.
유압 셔블(hydraulic shovel) 등의 작업 차량에는, 배기 처리 장치가 탑재되어 있다. 배기 처리 장치는, 엔진으로부터의 배기를 처리하기 위해, 접속관을 통하여 엔진과 접속된다. 배기 처리 장치는, 디젤 미립자 포집 필터(Diesel Particulate Filter: DPF) 장치와 선택 환원 촉매(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SCR) 장치를 포함한다. 디젤 미립자 포집 필터 장치는, 배기 중의 입자형 물질을 저감시킨다. 선택 환원 촉매 장치는, 배기 중의 질소산화물(NOx)을 저감시킨다. 이들 2개의 배기 처리 장치는, 유지보수의 용이성을 실현하기 위해 1개의 유닛 중에 배치되고, 그 유닛이 작업 차량에 탑재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유닛을 배기 처리 유닛과 부른다.
배기 처리 유닛이 엔진에 의해 지지되도록, 배기 처리 유닛을 엔진에 장착하면, 엔진의 상부에 중량물이 배치되게 된다. 그러므로, 배기 처리 유닛을 엔진에 장착하기 위한 브래킷에의 부담이 커진다. 브래킷을 강화하기 위해 브래킷을 크게 하면, 브래킷의 중량이 증가해 버린다.
따라서, 배기 처리 유닛은 엔진 이외의 지지물에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에서는, 어퍼 프레임 상에 지지 다리를 통하여 테이블이 설치되어 있다. 이 테이블의 위쪽으로, 디젤 미립자 포집 필터 장치와 선택 환원 촉매 장치가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많은 구성 부품으로 이루어지는 지지 다리 위에, 테이블이 배치된다. 디젤 미립자 포집 필터 장치는, 테이블의 위에 직접 또는 테이블 위에 배치된 별개의 설치부의 위에 배치된다. 선택 환원 촉매 장치는, 테이블 위에 배치된 별개의 설치부의 위에 배치된다. 또는, 설치부 대신에, 테이블의 위쪽에 매다는 브래킷이 설치되고, 디젤 미립자 포집 필터 장치와 선택 환원 촉매 장치가 매다는 브래킷에 매달려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공개특허 제2012-097413호 공보
특허 문헌 1에 관한 발명에서는, 디젤 미립자 포집 필터 장치와 선택 환원 촉매 장치를 고정시키는 것에 있어서, 테이블과는 다른 설치부 또는 매다는 브래킷을 설치하고 있다. 따라서, 배기 처리 유닛의 부품 수가 증가하므로, 제조 비용의 증가 및 조립 작업에 시간을 요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소수의 부품에 의해, 디젤 미립자 포집 필터 장치와 선택 환원 촉매 장치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배기 처리 유닛 및 배기 처리 유닛의 제조 방법, 및, 작업 차량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제1 측면과 관계되는 배기 처리 유닛은, 작업 차량의 엔진으로부터의 배기를 처리하는 배기 처리 유닛으로서, 제1 배기 처리 장치와, 제2 배기 처리 장치와, 제1 브래킷을 구비한다. 제1 브래킷에는, 제1 배기 처리 장치와 제2 배기 처리 장치가 장착된다. 제1 브래킷은, 에지부와, 본체부를 가진다. 본체부는, 에지부로부터 아래쪽을 향해 팽창한 볼록 형상을 가진다. 본체부는, 제1 지지부와 제2 지지부를 포함한다. 제1 지지부는, 제1 배기 처리 장치를 직접 지지한다. 제2 지지부는, 제2 배기 처리 장치를 직접 지지한다.
본체부는, 본체부의 측면에 화물 승강 고리(hoist hook)를 장착 가능한 제1 장착부를 가져도 된다.
본체부는, 제1 팽출부와 제2 팽출부를 추가로 구비해도 된다. 제1 팽출부는, 제1 지지부를 제거하고, 제1 배기 처리 장치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장소에 두어, 제1 지지부보다 더 아래쪽으로 팽창한다. 제2 팽출부는, 제2 지지부를 제거하고, 상기 제2 배기 처리 장치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장소에 두어, 상기 제2 지지부 보다 더 아래쪽으로 팽창한다.
본체부는, 제1 팽출부와 제2 팽출부와의 사이에 위쪽으로 돌출하는 리브를 추가로 구비해도 된다.
제1 지지부는, 제2 지지부보다 아래쪽에 위치해도 된다.
전술한 배기 처리 유닛은, 제1 배기 처리 장치와 제2 배기 처리 장치를 접속하는 중계 접속관을 더 구비해도 된다. 중계 접속관은, 제1 배기 처리 장치 및 제2 배기 처리 장치의 위쪽에 배치되는 것이 좋다.
상기 제1 지지부 및 제2 지지부는, 제1 배기 처리 장치 및 제2 배기 처리 장치의 외주면에 대응한 접촉면을 가지는 것이 좋다.
상기 제1 배기 처리 장치 및 제2 배기 처리 장치는, 원통형의 형상을 가지는 것이 좋다. 그리고, 제1 지지부 및 제2 지지부의 단면(斷面)은, 호형(弧形)인 것이 좋다.
전술한 배기 처리 유닛은, 제1 배기 처리 장치를 고정시키는(locking) 제1 U자 볼트를 더 구비하는 것으로도 좋다. 그리고, 본체부는, 제1 배기 처리 장치의 중심축선과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의 제1 지지부의 양측에 제1 U자 볼트를 장착하는 제2 장착부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으로도 좋다.
전술한 배기 처리 유닛은, 제2 배기 처리 장치를 고정시키는 제2 U자 볼트를 더 구비하는 것으로도 좋다. 그리고, 본체부는, 제2 배기 처리 장치의 중심축선과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의 제1 지지부의 양측에 제2 U자 볼트를 장착하는 제3 장착부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으로도 좋다.
전술한 배기 처리 유닛은, 제1 보강판을 더 구비하는 것으로도 좋다. 제1 보강판은, 제1 배기 처리 장치 및 제2 배기 처리 장치를 지지하는 본체부의 면과 반대측의 면에 있어서, 제2 장착부와 접한다.
전술한 배기 처리 유닛은, 제2 보강판을 더 구비하는 것으로도 좋다. 제2 보강판은, 제1 배기 처리 장치 및 제2 배기 처리 장치를 지지하는 본체부의 면과 반대측의 면에 있어서, 제3 장착부와 접한다.
제1 배기 처리 장치는, 아래쪽을 향해 신장되는 관형(管形)의 접속구를 가지는 것이 좋다. 그리고, 본체부는, 접속구가 삽입 관통되는 제1 구멍부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으로도 좋다.
본체부는, 제1 팽출부와 제2 팽출부 중 적어도 한쪽의 팽출부에, 이물질 낙하용의 제2 구멍부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으로도 좋다.
평면에서 볼 때, 제1 배기 처리 장치의 길이 방향과 수직인 제1 방향에 있어서의 제1 팽출부의 최대 폭은, 제1 방향에 있어서의 제1 지지부의 폭보다 길어도 좋다.
본 발명의 제2 측면과 관련된 작업 차량은, 엔진과, 차체 프레임과, 제1 배기 처리 장치와, 제2 배기 처리 장치와, 제1 브래킷과, 제2 브래킷을 구비한다. 차체 프레임은, 복수의 기둥 부재와, 빔(beam) 부재를 가진다. 복수의 기둥 부재는, 엔진을 지지하는 선회 프레임 상에 세워 설치된다. 빔 부재는, 기둥 부재의 상단에 설치된다. 제1 배기 처리 장치는, 엔진으로부터의 배기를 처리한다. 제2 배기 처리 장치는, 엔진으로부터의 배기를 처리한다. 제1 브래킷에는, 제1 배기 처리 장치와 제2 배기 처리 장치가 장착된다. 제2 브래킷은, 제1 브래킷을 지지한다. 제1 브래킷은, 에지부와, 본체부를 가진다. 본체부는, 에지부로부터 아래쪽을 향해 팽창한 볼록 형상을 가진다. 본체부는, 제1 지지부와, 제2 지지부와, 제4 장착부를 가진다. 제1 지지부는, 제1 배기 처리 장치를 직접 지지한다. 제2 지지부는, 제2 배기 처리 장치를 직접 지지한다. 제4 장착부에는, 제2 브래킷이 장착된다. 제2 브래킷은, 제5 장착부와 제6 장착부를 가진다. 제5 장착부에는, 제1 브래킷이 장착된다. 제6 장착부는, 빔 부재에 장착된다.
제5 장착부는, 빔 부재보다 아래쪽에 위치하는 것으로도 좋다.
제6 장착부는, 제5 장착부보다 위쪽에 위치하는 것으로도 좋다.
본체부는, 본체부의 측면에 화물 승강 고리를 장착 가능한 제1 장착부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으로도 좋다. 그리고, 제1 장착부는, 제1 브래킷이 제2 브래킷에 장착된 상태로 빔 부재보다 위쪽에 위치하는 것으로도 좋다.
제1 장착부는, 제1 브래킷이 제2 브래킷에 장착된 상태로 제6 장착부보다 위쪽에 위치하는 것으로도 좋다.
전술한 작업 차량은, 제3 보강판을 더 구비하는 것으로도 좋다. 제3 보강판은, 제1 배기 처리 장치 및 제2 배기 처리 장치를 지지하는 본체부의 면과 반대측의 면에 있어서, 제4 장착부와 제5 장착부와의 사이에 설치된다.
전술한 작업 차량은, 엔진과 제1 배기 처리 장치를 접속하는 접속관을 더 구비하는 것으로도 좋다. 제1 배기 처리 장치 및 제2 배기 처리 장치는, 원통형이면 된다. 그리고, 제1 배기 처리 장치의 중심축선과 제2 배기 처리 장치의 중심축선을 포함하는 평면과 평행하게, 접속관이 신장되는 것으로도 좋다.
본 발명의 제3 측면에 관계되는 배기 처리 유닛은, 작업 차량의 엔진으로부터의 배기를 처리하는 배기 처리 유닛으로서, 제1 브래킷과, 제1 배기 처리 장치와, 제2 배기 처리 장치를 구비한다. 제1 브래킷은, 제1 공정과, 제2 공정에 의해 형성된다. 제1 공정에서는, 1개의 판재를 프레스(press)함으로써, 에지부와, 본체부를 가지는 브래킷 원형이 형성된다. 본체부는, 에지부로부터 아래쪽을 향해 팽창한 볼록 형상을 가지고, 제1 지지부 및 제2 지지부를 가진다. 제2 공정에서는, 브래킷 원형 중, 에지부 주변의 판재가 커팅(cutting)된다. 제1 배기 처리 장치는, 제1 지지부의 바로 위에 배치된다. 제2 배기 처리 장치는, 제2 지지부의 바로 위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제4 측면과 관계되는 배기 처리 유닛의 제조 방법은, 제1 공정과, 제2 공정과, 제3 공정과, 제4 공정을 포함한다. 제1 공정에서는, 1개의 판재를 프레스함으로써, 에지부와, 본체부를 가지는 브래킷 원형이 형성된다. 본체부는, 에지부로부터 아래쪽을 향해 팽창한 볼록 형상을 가지고, 제1 지지부 및 제2 지지부를 가진다. 제2 공정에서는, 브래킷 원형 중, 에지부의 주변의 판재가 커팅되어, 제1 브래킷이 형성된다. 제3 공정에서는, 제1 배기 처리 장치가 제1 지지부의 바로 위에 배치된다. 제4 공정에서는, 제2 배기 처리 장치가 제2 지지부의 바로 위에 배치된다.
본 발명에 관한 배기 처리 유닛 및 작업 차량에서는, 제1 지지부와 제2 지지부가, 제1 브래킷과 함께 일체로 성형된다. 따라서, 상기 배기 처리 유닛 및 상기 작업 차량은, 소수의 부품에 의해, 디젤 미립자 포집 필터 장치와 선택 환원 촉매 장치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작업 차량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작업 차량의 평면도이다.
도 3은, 엔진실의 내부 구조를 후방으로부터 본 도면이다.도 4는, 엔진실의 내부 구조의 일부를 위쪽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5는, 도 3의 배기 처리 유닛(24) 부근의 확대도이다.
도 6은, 제1 브래킷의 평면도이다.
도 7은, 제1 브래킷의 저면도이다.
도 8은, 제1 브래킷의 정면도이다.
도 9는, 제1 브래킷의 배면도이다.
도 10은, 도 6의 절단면 선 B-B로부터 본 제1 브래킷(43)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6의 절단면 선 C-C로부터 본 제1 브래킷(43)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빔 부재에 장착된 제2 브래킷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제2 브래킷에 장착된 제1 브래킷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배기 처리 유닛의 제조 방법의 플로 차트이다.
도 15는, 1회째의 프레스 공정에 의해 생성되는 판재의 개형이다.
도 16은, 2회째의 프레스 공정에 의해 생성되는 판재의 개형이다.
도 17은, 3회째의 프레스 공정에 의해 생성되는 판재의 개형이다.
[전체 구성]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작업 차량(100)을 도 1 및 도 2에 나타낸다. 도 1은, 작업 차량(100)의 측면도이다. 도 2는, 작업 차량(100)의 평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작업 차량으로서, 유압 셔블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작업 차량(100)은, 차량 본체(1)와 작업기(4)를 구비하고 있다.
차량 본체(1)는, 주행체(2)와 선회체(3)를 가지고 있다. 주행체(2)는, 한쌍의 주행 장치(2a, 2b)를 가진다. 각각의 주행 장치(2a, 2b)는, 크롤러 트랙(crawler track)(2d, 2e)을 가지고 있다. 주행 장치(2a, 2b)는, 후술하는 엔진(21)(도 3 참조)으로부터의 구동력에 의해 크롤러 트랙(2d, 2e)가 구동됨으로써, 작업 차량(100)을 주행시킨다. 그리고,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전후 방향이란, 차량 본체(1)의 전후 방향을 의미한다. 바꾸어 말하면, 전후 방향이란, 운전실(5)에 착석한 조작자로부터 본 전후 방향을 의미한다. 또, 좌우 방향, 또는, 측방이란, 차량 본체(1)의 차폭 방향을 의미한다. 바꾸어 말하면, 좌우 방향, 차폭 방향, 또는, 측방이란, 전술한 조작자로부터 본 좌우의 방향이다. 또한, 도면에 있어서는, 전후 방향을 X축, 좌우 방향을 Y축, 상하 방향을 Z축으로 나타내고 있다.
선회체(3)는, 주행체(2)상에 탑재되어 있다. 선회체(3)는, 주행체(2)에 대해서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선회체(3)에는 운전실(5)이 설치되어 있다. 선회체(3)는, 연료 탱크(14)와, 작동유 탱크(15)와, 엔진실(16)과, 카운터웨이트(counterweight)(18)를 가지고 있다. 연료 탱크(14)는, 후술하는 엔진(21)을 구동시키기 위한 연료를 저류(貯留)한다. 연료 탱크(14)는, 작동유 탱크(15)의 전방에 배치되어 있다. 작동유 탱크(15)는, 후술하는 유압 펌프(23)(도 3 참조)로부터 토출되는 작동유를 저류한다. 작동유 탱크(15)는, 연료 탱크(14)와 전후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엔진실(16)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엔진(21) 및 유압 펌프(23) 등의 기기를 수납한다. 엔진실(16)은, 운전실(5), 연료 탱크(14), 및 작동유 탱크(15)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다. 엔진실(16)의 위쪽은, 엔진 후드(17)에 의해 덮여 있다. 카운터웨이트(18)는, 엔진실(16)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다.
작업기(4)는, 선회체(3)의 앞 부분의 중앙 위치에 장착되어 있다. 작업기(4)는, 붐(boom)(7), 암(arm)(8), 버킷(bucket)(9), 붐 실린더(10), 암 실린더( 11) 및 버킷 실린더(12)를 가진다. 붐 7의 기단부(基端部)는, 선회체(3)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암(8)의 기단부는, 붐 7의 선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암(8)의 선단부에는, 버킷(9)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붐 실린더(10), 암 실린더(11) 및 버킷 실린더(12)는, 유압 실린더이며, 후술하는 유압 펌프(23)로부터 토출된 작동유에 의해 구동된다. 붐 실린더(10)는, 붐(7)을 동작시킨다. 암 실린더(11)는, 암(8)을 동작시킨다. 버킷 실린더(12)는, 버킷(9)을 동작시킨다. 이들의 실린더(10, 11, 12)가 구동되는 것에 의해 작업기(4)가 구동된다.
[엔진실의 구성]
도 3은, 엔진실(16)의 내부 구조를 후방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엔진실(16)에는, 엔진(21)과, 플라이휠 하우징(22)과, 유압 펌프(23)와, 배기 처리 유닛(24)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엔진실(16)에는, 라디에이터와 오일 쿨러를 포함하는 냉각 장치(25)가 배치되어 있다. 냉각 장치(25)와 엔진(21)과 플라이휠 하우징(22)과 유압 펌프(23)는, 차폭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작업 차량(100)은, 선회 프레임(26)과 차체 프레임(27)을 가지고 있다. 선회 프레임(26)은, 전후 방향으로 신장되는 한쌍의 센터 프레임(26a, 26b)을 포함한다. 선회 프레임(26)은, 고무 댐퍼(damper)를 통하여 엔진(21)을 지지하고 있다.
차체 프레임(27)은, 선회 프레임(26) 상에 세워 설치되어 있다. 차체 프레임(27)은, 엔진(21) 및 유압 펌프(23) 등의 기기의 주위에 배치되어 있다. 차체 프레임(27)에는, 외장 커버(28)가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도 3에서는, 외장 커버(28)의 일부만을 도시하고 있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엔진 후드(17)도, 차체 프레임(27)에 장착되어 있다.
도 4는, 엔진실(16)의 내부 구조의 일부를 위쪽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체 프레임(27)은, 복수의 기둥 부재(31-36)(기둥 부재(34)는, 도 12 및 도 13 참조)와 복수의 빔 부재(37, 38)를 포함한다. 기둥 부재(31-36)는, 선회 프레임(26)으로부터 위쪽으로 신장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빔부재(37, 38)는, 기둥 부재(31-36)의 상단에 설치되어 있다. 빔 부재(37, 38)는, 기둥 부재(31-36)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빔 부재(37, 38)는, 제1 빔 부재(37)와 제2 빔 부재(38)를 포함한다. 제1 빔 부재(37)와 제2 빔 부재(38)는, 서로 전후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다. 제1 빔 부재(37)는, 엔진(21)보다 전방에 배치되어 있다. 제2 빔 부재(38)는, 엔진(21)보다 후방에 배치되어 있다.
유압 펌프(23)는, 엔진(21)에 의해 구동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압 펌프(23)는, 엔진(21)의 측방에 배치되어 있다. 즉, 유압 펌프(23)는, 차폭 방향으로 엔진(21)과 함께 배치되어 있다. 유압 펌프(23)는, 엔진(21)의 상면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플라이휠 하우징(22)는, 엔진(21)과 유압 펌프(23)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플라이휠 하우징(22)은, 엔진(21)의 측면에 장착되어 있다. 또, 유압 펌프(23)는, 플라이휠 하우징(22)의 측면에 장착되어 있다.
[배기 처리 유닛의 구성]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기 처리 유닛(24)은, 유압 펌프(23)의 위쪽에 배치되어 있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기 처리 유닛(24)은, 제1 배기 처리 장치(41)와, 제2 배기 처리 장치(42)와, 제1 브래킷(43)과, 제2 접속관(52)을 가진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기 처리 유닛(24)은, 제1 빔 부재(37)와 제2 빔 부재(38)의 사이에 걸쳐 배치되어 있다. 배기 처리 유닛(24)은, 제2 브래킷(80, 85)에 지지되어 있다. 제2 브래킷(80, 85)은, 각각 빔 부재(37, 38)에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1 배기 처리 장치(41)와 제2 배기 처리 장치(42)는, 차체 프레임(27)에 지지되어 있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배기 처리 장치(41)와 제2 배기 처리 장치(42)는 차폭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배기 처리 장치(41)는, 예를 들면, 디젤 미립자 포집 필터 장치로서, 엔진(21)으로부터의 배기를 처리한다. 제1 배기 처리 장치(41)는, 배기 중에 포함되는 입자형 물질을 필터에 의해 포집한다. 제1 배기 처리 장치(41)는, 포집한 입자형 물질을 필터에 부설된 히터에 의해 소각한다.
제1 배기 처리 장치(41)는, 대략 원통형의 외형을 가진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배기 처리 장치(41)는, 그 중심축선(Ax1)이 전후 방향을 따르도록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제1 배기 처리 장치(41)는, 그 중심축선(Ax1)이 엔진(21)과 유압 펌프(23)가 정렬되어 있는 방향(이하, 이 방향을 제1 방향과 부른다)에 대해서 수직으로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제1 배기 처리 장치(41)는, 그 길이 방향이 제1 방향과 직교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2 배기 처리 장치(42)는, 예를 들면, 선택 환원 촉매 장치로서, 엔진(21)으로부터의 배기를 처리한다. 제2 배기 처리 장치(42)는, 요소수를 가수분해함으로써 얻어지는 암모니아를 사용하여 질소산화물(NOx)을 환원한다. 제2 배기 처리 장치(42)는, 대략 원통형의 외형을 가진다. 제2 배기 처리 장치(42)는, 그 중심축선(Ax2)가 전후 방향을 따르도록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제2 배기 처리 장치(42)는, 그 중심축선(Ax2)이 제1 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제2 배기 처리 장치(42)는, 그 길이 방향이 제1 방향과 직교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또는, 제2 배기 처리 장치(42)는, 그 중심축선(Ax2)이 제1 배기 처리 장치(41)의 중심축선(Ax1)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도 5는, 도 3의 배기 처리 유닛(24) 부근의 확대도이다. 그리고, 도 5는, 이해의 용이를 위해, 차체 프레임(27) 등의 일부의 구성이 표시되어 있지 않다. 또한, 설명의 편의상, 도 5는, 도 4의 절단면선 A-A로부터 본 단면도로 제1 브래킷(43)을 표시하고 있다. 또한, 도 5는, 기둥 부재(31)와 제2 빔 부재(38)를 2점 쇄선으로 표시하고 있다.
도 3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배기 처리 장치(41) 및 제2 배기 처리 장치(42)는, 유압 펌프(23)의 위쪽에 배치되는 것으로도 좋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배기 처리 장치(41)의 바닥부는, 빔 부재(37, 38)보다도 아래쪽에 위치하고 있다. 도 3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배기 처리 장치(41)는, 제1 접속구(44)를 가진다. 제1 접속구(44)는, 하방, 또한 엔진(21) 측을 향해 경사지게 배치된다.
도 3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작업 차량(100)은, 제1 접속관(51)을 구비한다. 제1 접속관(51)은, 엔진(21)과 제1 배기 처리 장치(41)를 연결하고 있다.
제1 접속관(51)은, 벨로즈(bellows)부(54), 제1 굴곡부(55a), 제2 굴곡부(55b), 및 제3 굴곡부(55c)를 가진다. 도 3 내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굴곡부(55a)는, 제2 굴곡부(55b)와 엔진(21)을 연결하고 있다. 즉, 제1 접속관(51)의 일단은, 과급기(supercharger)(29)를 통하여 엔진(21)의 배기 포트에 접속되어 있다. 제2 굴곡부(55b)는, 벨로즈부(54)와 제1 굴곡부(55a)를 연결하고 있다. 제3 굴곡부(55c)는, 벨로즈부(54)와 제1 접속구(44)를 연결하고 있다. 즉, 제1 접속관(51)의 타단은, 제1 배기 처리 장치(41)의 제1 접속구(44)에 접속되어 있다.
벨로즈부(54)는, 벨로즈 형으로 신축 가능하며, 복수의 벨로즈 형 신축관 조인트가 연결되어 구성되어 있다. 벨로즈부(54)는, 유압 펌프(23)의 위쪽에 배치되고 있다. 벨로즈부(54)의 일부는, 제2 배기 처리 장치(42)의 아래쪽에 위치하고 있다. 즉, 제1 접속관(51)은, 제2 배기 처리 장치(42)의 아래쪽을 통하고 있다. 벨로즈부(54)는, 과급기(29)로부터 제1 접속구(44)를 향해 경사지어 아래쪽으로 신장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벨로즈부(54)를 포함하는 제1 접속관(51)의 직선 부분은, 제1 배기 처리 장치(41)와 제2 배기 처리 장치(42)가 배열된 방향을 따라 경사져 있다. 즉,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배기 처리 장치(41)의 중심축선(Ax1)과 제2 배기 처리 장치(42)의 중심축선(Ax2)을 포함하는 평면(P)과 대략 평행하게, 제1 접속관(51)이 신장되어 있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배기 처리 장치(41)는, 제2 접속구(45)를 가진다. 제2 접속구(45)는, 위쪽, 또한 제2 배기 처리 장치(42) 측을 향해 경사지게 돌출되어 있다. 제2 배기 처리 장치(42)는, 제3 접속구(46)를 가진다. 제3 접속구(46)는, 위쪽, 또한 제1 배기 처리 장치(41) 측을 향해 경사지게 돌출되어 있다.
배기 처리 유닛(24)은, 제2 접속관(52)을 가진다. 제2 접속관(52)의 일단은, 제1 배기 처리 장치(41)의 제2 접속구(45)에 접속되어 있다. 제2 접속관(52)의 타단은, 제2 배기 처리 장치(42)의 제3 접속구(46)에 접속되어 있다. 즉, 제2 접속관(52)은, 제1 배기 처리 장치(41)와 제2 배기 처리 장치(42)를 접속하는 중계 접속관이다. 도 3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접속관(52)은, 제1 배기 처리 장치(41) 및 제2 배기 처리 장치(42)의 위쪽에 배치되고 있다. 또,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볼 때, 제2 접속관(52)은, 제1 배기 처리 장치(41)와 제2 배기 처리 장치(42)에 중첩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접속관(52)은, 직선부(57)와 제3 굴곡부(58)와 제4 굴곡부(59)를 가진다. 직선부(57)는, 제1 배기 처리 장치(41)의 위쪽으로 위치하고 있다. 제3 굴곡부(58)는, 직선부(57)와 제2 접속구(45)를 연결하고 있다. 제4 굴곡부(59)는, 직선부(57)와 제3 접속구(46)를 연결하고 있다. 제3 굴곡부(58)에는, 요소수 분사 장치(49)가 장착되어 있다. 요소수 분사 장치(49)는, 제2 접속관(52) 내에 요소수를 분사한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배기 처리 장치(42)는, 제4 접속구(47)를 가진다. 제4 접속구(47)는, 위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작업 차량(100)은, 배기관(53)을 구비하고 있다. 배기관(53)은, 제4 접속구(47)에 접속된다.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기관(53)의 상부는, 엔진 후드(17)로부터 위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엔진(21)과 제1 접속관(51)과 제1 배기 처리 장치(41)와 제2 접속관(52)과 제2 배기 처리 장치(42)와 배기관(53)는, 순차로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엔진(21)으로부터의 배기는, 제1 접속관(51)을 지나고, 제1 배기 처리 장치(41)에 보내진다. 제1 배기 처리 장치(41)에서는, 주로 입자형 물질이 배기 중으로부터 저감된다. 다음으로, 배기는, 제2 접속관(52)을 지나고, 제2 배기 처리 장치(42)에 보내진다. 제2 배기 처리 장치(42)에서는, 주로 NOx가 저감된다. 그 후, 청정화된 배기는 배기관(53)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제1 브래킷의 구성]
제1 브래킷(43)에는, 제1 배기 처리 장치(41)와 제2 배기 처리 장치(42)가 장착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배기 처리 장치(41)는, 제1 브래킷(43)과 제1 U자 볼트(95a, 95b) 에 의해 고정된다. 제2 배기 처리 장치(42)는, 제1 브래킷(43)과 제2 U자 볼트(96a, 96b) 에 의해 고정된다.
제1 브래킷(43)은, 1개의 부재를 프레스 성형하여 형성된 것이다. 도 6 내지 도 9는, 각각, 제1 브래킷(43)의 평면도, 저면도, 정면도, 배면도이다. 도 10은, 도 6의 절단면선 B-B로부터 본 제1 브래킷(43)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6의 절단면선 C-C로부터 본 제1 브래킷(43)의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7은, 제1 U자 볼트(95a, 95b), 제2 U자 볼트(96a, 96b)가 장착되는 때에 장착되는 보강판(73-77), 제1 브래킷(43)이 제2 브래킷(80, 85)에 장착되는 때에 장착되는 보강판(78,79)도 함께 도시하고 있다. 또, 도 7에서는, 보강판(73-79)과 제1 브래킷(43)의 바닥면을 볼트 및 너트에 의해 체결함으로써 맞닿는 면을 해칭(hatching)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6 내지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브래킷(43)은, 본체부(60)와 에지부(72)를 가진다. 도 6,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부(60)는, 제1 지지부(61a, 61b)와, 제2 지지부(62a, 62b)와, 제1 장착부(63a, 63b, 63c)와, 제2 장착부(64a, 64b, 64c, 64d)와, 제3 장착부(65a, 65b, 65c, 65d)와, 제4 장착부(66a, 66b, 66c, 66d, 66e, 66f)와, 제1 팽출부(67a, 67b)와, 제2 팽출부(67c)와, 리브(68)와, 제1 구멍부(69)와, 제2 구멍부(70a, 70b, 70c, 70d)와, 제3 구멍부(70e)와, 제4 구멍부(70f)와, 제5 구멍부(70g, 70h)를 포함한다. 본체부(60)와 에지부(72)는, 함께 절결부(切缺部)(71)를 포함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에지부(72)는, 평면에서 볼 때 제1 배기 처리 장치(41)와 제2 배기 처리 장치(42)의 주위에 배치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에지부(72)는, 평면에서 볼 때 제1 배기 처리 장치(41)와 제2 배기 처리 장치(42)의 전후좌우 중, 적어도 3방향을 에워싸도록 배치된다.
도 8 내지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부(60)는, 에지부(72)로부터 아래쪽을 향해 팽창한 볼록 형상을 가진다. 단,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부(60)는, 제1 접속관(51)보다 위쪽에 위치하고 있다. 그러므로, 제1 배기 처리 장치(41)를 분리할 때, 제1 접속관(51)이 간섭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도 6,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낸 제1 지지부(61a, 61b)는, 제1 배기 처리 장치(41)를 직접 지지한다. 즉, 제1 배기 처리 장치(41)는, 제1 지지부(61a, 61b)의 바로 위에 배치된다. 제1 지지부(61a, 61b)는, 제1 배기 처리 장치(41)의 외주면에 대응한, 아래쪽을 향해 팽창한 접촉면을 가진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 배기 처리 장치(41)는, 대략 원통형의 외형을 가지고 있으므로,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지지부(61a, 61b)의 단면은, 호형이다. 본체부(60)와 제1 지지부(61a, 61b)의 접촉면은, 함께 아래쪽을 향해 팽창한 볼록 형상을 가지고 있으므로, 본체부(60)의 프레스 성형과 제1 지지부(61a, 61b)의 프레스 성형을, 동시에 행할 수 있다.
도 6,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낸 제2 지지부(62a, 62b)는, 제2 배기 처리 장치(42)를 직접 지지한다. 즉, 제2 배기 처리 장치(42)는, 제2 지지부(62a, 62b)의 바로 위에 배치된다. 제2 지지부(62a, 62b)는, 제2 배기 처리 장치(42)의 외주면에 대응한, 아래쪽을 향해 팽창한 접촉면을 가진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2 배기 처리 장치(42)는, 대략 원통형의 외형을 가지고 있으므로,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지지부(62a, 62b)의 단면은, 호형이다. 본체부(60)과 제2 지지부(62a, 62b)의 접촉면은, 함께 아래쪽을 향해 팽창한 볼록형상을 가지고 있으므로, 본체부(60)의 프레스 성형과 제2 지지부(62a, 62b)의 프레스 성형을, 동시에 행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지지부(62a, 62b)는, 제1 지지부(61a, 61b)보다 위쪽에 위치한다. 바꾸어 말하면, 제1 지지부(61a, 61b)는, 제2 지지부(62a, 62b)보다 아래쪽에 위치한다.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내는 제1 장착부(63a, 63b, 63c)는, 배기 처리 유닛(24)의 차량에의 장착 및 분리에 이용된다. 구체적으로는, 제1 장착부(63a, 63b, 63c)에 화물 승강 고리를 장착하고, 배기 처리 유닛(24)을 매달아 올려, 배기 처리 유닛(24)의 장착 및 제거 작업을 행한다. 따라서, 제1 장착부(63a, 63b, 63c)는, 화물 승강 고리를 장착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장착부(63a, 63b, 63c)는, 본체부(60)의 측면에 설치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물 승강 고리를 장착하고 분리하는 것의 편의를 위해, 제1 장착부(63a, 63b)는, 배기 처리 유닛(24)이 차체 프레임(27)에 장착된 상태(즉, 제1 브래킷(43)이 제2 브래킷(80, 85)에 장착된 상태)로, 빔 부재(38)보다도 위쪽에 위치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제1 장착부(63c)도, 배기 처리 유닛(24)이 차체 프레임(27)에 장착된 상태(즉, 제1 브래킷(43)이 제2 브래킷(80, 85)에 장착된 상태)로, 빔 부재(37)보다 위쪽에 위치하고 있다(도 13 참조).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장착부(64a, 64b)는, 제1 배기 처리 장치(41)의 중심축선(Ax1)와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의 제1 지지부(61a)의 양측에 설치된다.바꾸어 말하면, 제2 장착부(64a, 64b)는, 제1 지지부(61a)가 형성하는 원호의 중심과 제1 지지부(61b)가 형성하는 원호의 중심을 연결하는 직선과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의 제1 지지부(61a)의 양측에 설치된다. 마찬가지로, 제2 장착부(64c, 64d)는, 제1 배기 처리 장치(41)의 중심축선(Ax1)과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의 제1 지지부(61b)의 양측에 설치된다. 바꾸어 말하면, 제2 장착부(64c, 64d)는, 제1 지지부(61a)가 형성하는 원호의 중심과 제1 지지부(61b)가 형성하는 원호의 중심을 연결하는 직선과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의 제1 지지부(61b)의 양측에 설치된다.
제2 장착부(64a-64d)는, 제1 배기 처리 장치(41)를 고정시키는 제1 U자 볼트(95a, 95b)(도 4 참조)를 삽입 통과시키는 구멍을 포함한다. 제1 U자 볼트(95a, 95b)는 그 양단에 나사 홈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면,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장착부(64a-64d)에서는, 제1 배기 처리 장치(41)가 지지되는 측과 반대 측의 제1 브래킷(43)의 바닥면에, 제1 보강판(73-75)(도 7 참조)을 통하여, 제1 U자 볼트(95a, 95b)가 너트로 고정된다. 제1 보강판(73-75)에는, 강재가 사용된다.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장착부(64a-64d)는, 본체부(60)의 최하면보다 위쪽에 위치하고 있다. 이로써, 제1 U자 볼트(95a, 95b)를 제2 장착부(64a-64d)에 삽입 통과하여도, 제1 U자 볼트(95a, 95b)의 선단은 본체부(60)의 최하면보다 아래쪽에 위치하지 않는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3 장착부(65a, 65b)는, 제2 배기 처리 장치(42)의 중심축선(Ax2)과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의 제2 지지부(62a)의 양측에 설치된다. 바꾸어 말하면, 제3 장착부(65a, 65b)는, 제2 지지부(62a)의 중앙의 가장 오목한 부분을 지나는 직선과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의 제2 지지부(62a)의 양측에 설치된다. 마찬가지로, 제3 장착부(65c, 65d)는, 제2 배기 처리 장치(42)의 중심축선(Ax2)과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의 제2 지지부(62b)의 양측에 설치된다. 바꾸어 말하면, 제3 장착부(65c, 65d)는, 제2 지지부(62b)의 중앙의 가장 오목한 부분을 지나는 직선과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의 제2 지지부(62b)의 양측에 설치된다.
제3 장착부(65a-65d)는, 제2 배기 처리 장치(42)를 고정시키는 제2 U자 볼트(96a, 96b)(도 4 참조)를 삽입 통과시키는 구멍을 포함한다. 제2 U자 볼트(96a, 96b)는 그 양단에 나사 홈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면,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3 장착부(65a-65d)에서는, 제2 배기 처리 장치(42)가 지지되는 측과 반대 측의 제1 브래킷(43)의 바닥면에, 제2 보강판(76, 77)(도 7 참조)을 통하여, 제2 U자 볼트(96a, 96b)가 너트로 고정된다. 제2 보강판(76, 77)에는, 강재가 사용된다.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3 장착부(65a-65d)는, 본체부(60)의 최하면 보다 위쪽에 위치하고 있다. 이로써, 제2 U자 볼트(96a, 96b)를 제3 장착부(65a-65d)에 삽입 통과하여도, 제2 U자 볼트(96a, 96b)의 선단은 본체부(60)의 최하면 보다 아래쪽에 위치하지 않는다.
도 6 내지 도 9에 나타낸 제4 장착부(66a-66f)에는, 제2 브래킷(80, 85)이 장착된다. 도 8 및 도 9에 있어서 2점 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제4 장착부(66a-66f)는, 동일 평면상에 위치한다. 제1 브래킷(43)과 제2 브래킷(80, 85)의 장착 방향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6 내지 도 11에 나타내는 제1 팽출부(67a, 67b)는, 도 8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배기 처리 장치(41)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장소에 두어, 제1 지지부(61a, 61b)보다 더 아래쪽에 팽창한다. 제1 팽출부(67a)는, 제1 지지부(61a)와 제1 지지부(61b)의 사이에 설치된다. 제1 팽출부(67b)는, 제1 배기 처리 장치(41)의 제1 접속구(44)가 설치되는 단부와 반대 측의 단부의 아래쪽에 설치된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팽출부(67a, 67b)는, 제1 지지부(61a, 61b)보다도 큰 폭으로 되어 있다. 즉, 평면에서 볼 때, 제1 배기 처리 장치(41)의 길이 방향과 수직인 제1 방향에 있어서의 제1 팽출부(67a, 67b)의 최대 폭(W1)은, 제1 방향에 있어서의 제1 지지부(61a, 61b)의 폭(W0)보다 길다. 이로써, 제1 배기 처리 장치(41)가 복수의 원통형의 부재를 클램프(clamp)에 의해 서로 결합하여 형성되는 것이라도, 클램프가 본체부(60)의 바닥면에 닿지 않게 된다.
도 6, 도 7 및 도 9에 나타내는 제2 팽출부(67c)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배기 처리 장치(42)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장소에 두어, 제2 지지부(62a, 62b)보다 더 아래쪽으로 팽창한다. 제2 팽출부(67c)는, 제2 지지부(62a)와 제2 지지부(62b)의 사이에 설치된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팽출부(67c)는, 제2 지지부(62a, 62b)보다 약간 큰 폭으로 되어 있다.
도 6, 도 7,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낸 리브(68)는, 제1 팽출부(67a)와 제2 팽출부(67c)의 사이에 설치된다.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브(68)는, 제3 장착부(65a, 65c)보다 위쪽으로 돌출하고, 제2 팽출부(67c)로부터 제1 팽출부(67a)를 향해 경사진다. 리브(68)에 의해, 제1 팽출부(67a)와 제2 팽출부(67c) 사이의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도 6, 도 7, 및 도 11에 나타내는 제1 구멍부(69)는, 제1 접속구(44)가 삽입 통과된다. 도 3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접속구(44)는 경사 아래쪽을 향해 신장되기 때문에, 제1 구멍부(69)는, 제2 장착부(64a 및 64b)의 중앙보다, 제2 장착부(64b) 쪽으로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제1 접속구(44)는 아래쪽을 향해 신장되고, 제1 구멍부(69)는, 제2 장착부(64a 및 64b)의 중앙에 위치해도 된다.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제2 구멍부(70a, 70b, 70c, 70d)는, 고엽 등의 이물질 낙하용 구멍이다. 제2 구멍부(70a, 70b, 70c, 70d)는, 제1 팽출부(67a, 67b)와 제2 팽출부(67c)에 설치된다. 즉, 제2 구멍부(70a, 70b, 70c, 70d)는, 제1 팽출부(67a, 67b)와 제2 팽출부(67c) 중 적어도 한쪽의 팽출부에 설치된다.
도 6 내지 도 8에 나타낸 제3 구멍부(70e)도, 고엽 등의 이물질 낙하 용무의 구멍이다. 제3 구멍부(70e)는, 본체부(60)의 측면 및 바닥면에 걸쳐 설치된다. 도 6, 도 7 및 도 11에 나타낸 제4 구멍부(70f)는, 제2 배기 처리 장치(42)의 하부에 접속된 관(도시하지 않음)을 통하는 구멍이다. 상기 관으로부터는, 제2 배기 처리 장치(42)에 고인 물이 배출된다. 도 6, 도 7 및 도 11에 나타내는 제5 구멍부(70g, 70h)는, 비 등에 의해 제1 브래킷(43)에 모이는 물을 배출하기 위한 구멍이다.
도 6, 도 7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부(60) 및 에지부(72)에는, 절결부(71)가 설치된다. 도 3 내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배기 처리 장치(42)를, 엔진(21)에 대해서 제1 배기 처리 장치(41)보다 가까이에 배치하는 경우, 제2 지지부(62a, 62b)의 가까이에 절결부(71)가 설치된다. 반대로, 제1 배기 처리 장치(41)를, 엔진(21)에 대해서 제2 배기 처리 장치(42)보다 가까이에 배치하는 경우, 제1 지지부(61a, 61b)의 가까이에 절결부(71)가 설치되는 것으로도 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절결부(71)는, 엔진(21)의 실린더 헤드(21a)의 위쪽에 위치한다. 따라서, 엔진(21)의 실린더 헤드(21a)는, 절결부(71)를 통해, 위쪽으로부터 접근 가능하다. 그러므로, 배기 처리 유닛(24)을 작업 차량(100)으로부터 떼어내지 않아도, 엔진(21)의 유지보수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제1 브래킷, 제2 브래킷의 장착]
다음으로, 제1 브래킷(43), 제2 브래킷(80, 85)의 차체 프레임(27)에의 장착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빔 부재(37, 38)에 장착된 제2 브래킷(80, 85)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제2 브래킷(80, 85)에 장착된 제1 브래킷(43)의 사시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제2 브래킷(80)은, 제1 상부(81)와 제1 하부(82)를 가진다. 제2 브래킷(85)은, 제2 상부(86)와 제2 하부(87)를 가진다. 제1 상부(81)는, 제1 하부(82)보다 위쪽에 위치한다. 제2 상부(86)는, 제2 하부(87)보다 위쪽에 위치한다. 제1 상부(81), 제1 하부(82), 제2 상부(86), 및, 제2 하부(87)는, 평면형의 판재이며, 제1 상부(81), 제1 하부(82), 제2 상부(86), 및, 제2 하부(87)에 의해 형성되는 면은 모두 수평이다. 또, 제1 상부(81)와 제2 상부(86)는 동일 평면상에 있고, 제1 하부(82)와 제2 하부(87)는 동일 평면상에 있다.
제1 상부(81)는, 볼트 및 너트에 의해 제1 빔 부재(37)에 고정된다. 마찬가지로, 제2 상부(86)는, 볼트 및 너트에 의해 제2 빔 부재(38)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하여, 제2 브래킷(80, 85)은, 각각 빔 부재(37, 38)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고정 방법은 전술한 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용접에 의해, 제1 상부(81)가 제1 빔 부재(37)에 고정되고, 제2 상부(86)가 제2 빔 부재(38)에 고정되어도 된다. 그리고, 이후의 설명에서는, 제1 상부(81), 제2 상부(86)를 제6 장착부라고도 한다.
제1 하부(82)는, 제5 장착부(83a, 83b, 83c)를 가진다.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5 장착부(83a, 83b, 83c)는, 제1 브래킷(43)의 제4 장착부(66 a-66c)의 위치에 대응하고 있다. 제2 하부(87)는, 제5 장착부(88a, 88b, 88c)를 가진다.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5 장착부(88a, 88b, 88c)는, 제1 브래킷(43)의 제4 장착부(66d-66f)의 위치와 대응하고 있다.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5 장착부(83a-83c, 88a-88c)에는, 제1 브래킷(43)이 장착된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볼트 및 너트를 이용하여, 제1 브래킷(43)이 제2 브래킷(80, 85)에 장착된다. 따라서, 제4 장착부(66a-66f) 및 제5 장착부(83 a-83c, 88a-88c)는 구멍을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괘지(掛止) 등의 다른 고정 수단을 채용하는 경우, 제4 장착부(66a-66f) 및 제5 장착부(83a-83c, 88a-88c)는, 다른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훅 등의 부재를 포함해도 된다.
제5 장착부(83a-83c, 88a-88c)의 바로 위에는, 평면 확보를 위한 플레이트(84a-84c, 89a-89c)가 배치된다. 플레이트(84a-84c, 89a-89c)에는, 예를 들면, 강재가 사용된다. 도 5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레이트(84a-84c, 89a-89c)의 바로 위에는, 제3 보강판(78, 79)이 배치된다. 제3 보강판(78, 79)에는, 강재가 사용된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3 보강판(78, 79)의 바로 위에는, 제4 장착부(66a-66f)가 배치된다. 플레이트(84a-84c, 89a-89c)와 제3 보강판(78, 79)은, 제4 장착부(66a-66f) 및 제5 장착부(83a-83c, 88a-88c)에 대응하는 구멍을 포함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플레이트(84a-84c, 89a-89c)와 제3 보강판(78, 79)가 제4 장착부(66a-66f)와 제5 장착부(83a-83c, 88a-88c)의 사이에 설치된다. 이로써, 제1 브래킷(43)과 제2 브래킷(80, 85) 사이의 장착부의 강도를 확보할 수 있음과 동시에, 배기 처리 장치의 위치의 불균일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1 브래킷(43)과 제2 브래킷(80, 85)의 사이가 착탈 가능하기 때문에, 배기 처리 유닛(24)은, 차체 프레임(27)에 대해서 착탈 가능하다.
도 3 및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브래킷(43)이 제2 브래킷(80, 85)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에지부(72)가 빔 부재(37, 38)보다 위쪽에 위치한다. 또한, 제1 장착부(63a-63c)도, 빔 부재(37, 38)보다 위쪽에 위치한다. 다르게 말하면, 에지부(72)는, 제1 상부(81)와 제2 상부(86)(제6 장착부)보다 위쪽에 위치한다. 또한, 제1 장착부(63a-63c)도, 제1 상부(81)와 제2 상부(86)(제6 장착부)보다 위쪽에 위치한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브래킷(43)이 제2 브래킷(80, 85)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제1 하부(82) 및 제2 하부(87)는, 빔 부재(37, 38)보다 아래쪽에 위치한다. 즉, 제5 장착부(83a-83c, 88a-88c)는, 빔 부재(37, 38)보다 아래쪽에 위치한다.
[배기 처리 유닛의 제조 방법]
다음에, 본 실시형태에 관한 배기 처리 유닛(24)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4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배기 처리 유닛(24)의 제조 방법의 플로차트이다.
단계 S1에 있어서, 1개의 판재를 프레스함으로써, 브래킷 원형을 형성한다. 브래킷 원형은, 3개의 프레스 공정에 의해 생성된다. 도 15는, 1회째의 프레스 공정에 의해 생성되는 판재의 개형(槪形)이다.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1회째의 프레스에서는, 본체부(60)로서 형성되는 판재(90a)가 압출된다. 도 16은, 2회째의 프레스 공정에 의해 생성되는 판재의 개형이다.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2회째의 프레스에서는, 제1 팽출부(67a, 67b)와 제2 팽출부(67c)의 일부가 형성된 판재(90b)가 생성된다. 도 17은, 3회째의 프레스 공정에 의해 생성되는 판재의 개형이다.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3회째의 프레스 공정에 의해 생성되는 브래킷 원형(90c)은, 제1 지지부(61a, 61b)와 제2 지지부(62a, 62b)와 제1 팽출부(67a, 67b)와 제2 팽출부(67c)와 리브(68)와 절결부(71)와 에지부(72)를 포함하고 있다. 즉, 브래킷 원형(90c)는, 에지부(72)와, 에지부(72)로부터 아래쪽을 향해 팽창한 볼록 형상을 가지고, 제1 지지부(61a, 61b) 및 제2 지지부(62a, 62b)를 가지는 본체부(60)를 포함한다.
단계 S2에 있어서, 브래킷 원형(90c) 중, 에지부(72) 주변의 판재를 커팅한다. 그리고, 구멍 뚫기 공정에 의해, 제1 장착부 내지 제4 장착부와, 제1 구멍부, 제2 구멍부를 형성한다. 이와 같이 하여, 제1 브래킷(43)이 형성된다.
단계 S3에 있어서, 제1 지지부(61a, 61b)의 바로 위에 제1 배기 처리 장치(41)를 배치한다. 이때, 제1 U자 볼트(95a, 95b)와 제1 보강판(73-75)이 장착되어도 된다.
단계 S4에 있어서, 제2 지지부(62a, 62b)의 바로 위에 제2 배기 처리 장치(42)를 배치한다. 이때, 제2 U자 볼트(96a, 96b)와 제2 보강판(76, 77)이 장착되어도 된다.
그리고, 이후의 처리로서, 제2 접속관(52)을 제1 배기 처리 장치(41)와 제2 배기 처리 장치(42)에 각각 접속하는 단계, 제1 브래킷(43)을 제2 브래킷(80, 85)에 장착하는 단계, 제1 접속관(51)을 제1 배기 처리 장치(41)에 접속하는 단계를 포함해도 된다.
[특징]
본 실시형태에 관한 배기 처리 유닛(24)은, 이하의 특징을 구비한다.
(1) 제1 배기 처리 장치(41)를 직접 지지하는 제1 지지부(61a, 61b), 및, 제2 배기 처리 장치(42)를 직접 지지하는 제2 지지부(62a, 62b)는, 제1 브래킷(43)과 함께 일체로 형성된다. 따라서, 배기 처리 유닛(24)은, 소수의 부품에 의해, 제1 배기 처리 장치(41)와 제2 배기 처리 장치(42)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2) 제1 브래킷(43)의 본체부(60)의 측면에는, 제1 장착부(63a~63c)가 설치된다. 따라서, 배기 처리 유닛(24) 전체를 화물 승강 고리에 의해 분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배기 처리 유닛(24)의 유지보수 작업이 효율적으로 된다.
(3) 제1 팽출부(67a, 67b)는, 제1 지지부(61a, 61b)보다 더 아래쪽으로 팽창하고, 제2 팽출부(67c)는, 제2 지지부(62a, 62b)보다 더 아래쪽으로 팽창한다. 따라서, 제1 배기 처리 장치(41), 제2 배기 처리 장치(42)의 주위에 부품을 장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4) 제1 팽출부(67a)와 제2 팽출부(67c) 사이에 리브(68)가 형성된다. 따라서, 제1 팽출부(67a)와 제2 팽출부(67c) 사이의 강도가 높아진다.
(5) 제1 지지부(61a, 61b)는, 제2 지지부(62a, 62b)보다 아래쪽에 위치한다. 그러므로, 제1 배기 처리 장치(41)의 바닥부가, 배기 처리 유닛(24)을 지지하는 빔 부재(37, 38)보다 아래쪽에 위치한다. 이로써, 배기 처리 유닛의 높이를 낮게 할 수 있고, 작업 차량의 대형화를 억제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엔진 후드의 높이를 억제할 수 있다.
(6) 제2 접속관(52)은, 제1 배기 처리 장치(41) 및 제2 배기 처리 장치(42)의 위쪽에 배치된다. 그 결과, 제2 접속관(52)을 매달아 올리는 것에 의해, 제2 접속관(52)을 배기 처리 유닛(24)로부터 분리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7) 제1 지지부(61a, 61b) 및 제2 지지부(62a, 62b)는, 각각, 제1 배기 처리 장치(41) 및 제2 배기 처리 장치(42)의 외주면에 대응한 접촉면을 가진다. 따라서, 제1 배기 처리 장치(41) 및 제2 배기 처리 장치(42)는, 각각, 제1 지지부(61a, 61b) 및 제2 지지부(62a, 62b)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8) 제1 배기 처리 장치(41) 및 제2 배기 처리 장치(42)는 원통형의 형상을 가지고, 제1 지지부(61a, 61b) 및 제2 지지부(62a, 62b)의 단면은 호형이다. 따라서, 제1 배기 처리 장치(41)의 중심축선(Ax1) 주위의 회전에 의한, 제1 배기 처리 장치(41)의 자세 변화와는 관계없이, 제1 배기 처리 장치(41)를 제1 지지부(61a, 61b)에 설치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배기 처리 장치(42)의 중심축선(Ax2) 주위의 회전에 의한, 제2 배기 처리 장치(42)의 자세 변화와는 관계없이, 제2 배기 처리 장치(42)를 제2 지지부(62a, 62b)에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배기 처리 장치(41) 및 제2 배기 처리 장치(42)의 설치 작업이 용이해진다.
(9) 제2 장착부(64a, 64b)는, 제1 배기 처리 장치(41)의 중심축선(Ax1)과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의 제1 지지부(61a)의 양측에 설치된다. 마찬가지로, 제2 장착부(64c, 64d)는, 제1 배기 처리 장치(41)의 중심축선(Ax1)과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의 제1 지지부(61b)의 양측에 설치된다. 그리고, 제2 장착부(64a-64d)에는, 제1 U자 볼트(95a, 95b)가 장착된다. 이로써, 제1 U자 볼트(95a, 95b)와 제1 배기 처리 장치(41)의 접촉 면적이 증가되므로, 제1 배기 처리 장치(41)가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10) 제3 장착부(65a, 65b)는, 제2 배기 처리 장치(42)의 중심축선(Ax2)과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의 제2 지지부(62a)의 양측에 설치된다. 마찬가지로, 제3 장착부(65c, 65d)는, 제2 배기 처리 장치(42)의 중심축선(Ax2)과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의 제2 지지부(62b)의 양측에 설치된다. 그리고, 제3 장착부(65a-65d)에는, 제2 U자 볼트(96a, 96b)가 장착된다. 이로써, 제2 U자 볼트(96a, 96b)와 제2 배기 처리 장치(42)의 접촉 면적이 증가되므로, 제2 배기 처리 장치(42)가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11) 제2 장착부(64a-64d)에는, 볼트 및 너트에 의한 체결에 의해 생기는 축력(軸力)을 받는 제1 보강판(73-75)이 장착된다. 이로써, 작업 차량(100)의 진동 또는 전술하는 축력에 의해, 제2 장착부(64a-64d)가 변형되는 것이 억제된다.
(12) 제3 장착부(65a-65d)에는, 볼트 및 너트에 의한 체결에 의해 생기는 축력을 받는 제2 보강판(76, 77)이 장착된다. 이로써, 작업 차량(100)의 진동 또는 전술하는 축력에 의해, 제3 장착부(65a-65d)가 변형되는 것이 억제된다.
(13) 제1 배기 처리 장치(41)는, 제1 접속구(44)를 가지고, 본체부(60)의 제1 구멍부(69)는, 제1 접속구(44)가 삽입 통과된다. 그러므로, 배기 처리 유닛(24)의 유지보수 시에 있어서는, 제1 배기 처리 장치(41)와 제1 접속관(51)의 접속 작업, 또는 분리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이로써, 제1 배기 처리 장치(41)의 유지보수성을 더욱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14) 제1 팽출부(67a, 67b)와 제2 팽출부(67c) 중 적어도 한쪽에, 제2 구멍부(70a, 70b, 70c, 70d)를 가진다. 따라서, 배기 처리 유닛(24)에 이물질이 낙하한 때에, 이물질을 배기 처리 유닛(24)으로부터 배출할 수 있다.
(15) 제1 배기 처리 장치(41)의 길이 방향과 수직인 제1 방향에 있어서의 제1 팽출부(67a, 67b)의 최대 폭(W1)은, 제1 방향에 있어서의 제1 지지부(61a, 61b)의 폭보다 길다. 이로써, 제1 배기 처리 장치(41)가 복수의 원통형의 부재로부터 형성되고, 클램프에 의해 서로 결합한 것이라도, 클램프가 본체부(60)의 바닥면에 닿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배기 처리 유닛(24)을 구비하는 작업 차량은, 이하의 특징을 구비한다.
(16) 배기 처리 유닛(24)는, 빔 부재(37, 38)에 장착된 제2 브래킷(80, 85)에 의해 지지된다. 이로써, 배기 처리 유닛(24)을, 빔 부재(37, 38)을 기준으로 한 임의의 높이에 배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유압 펌프(23)의 높이에 맞추어 최적인 높이에 배기 처리 유닛(24)를 배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17) 제2 브래킷(80, 85)의 제5 장착부(83a-83c, 88a-88c)는, 빔 부재(37, 38)보다 아래쪽에 위치한다. 그러므로, 제1 배기 처리 장치(41)의 바닥부가, 배기 처리 유닛(24)을 지지하는 빔 부재(37, 38)보다 아래쪽에 위치한다. 이로써, 배기 처리 유닛(24)의 높이를 낮게 할 수 있고, 작업 차량의 대형화를 억제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엔진 후드의 높이를 억제할 수 있다.
(18) 제2 브래킷(80, 85)의 제6 장착부(81, 86)는, 제5 장착부(83a-83c, 88a-88c)보다 위쪽에 위치한다. 다시 말하면, 제5 장착부(83a-83c, 88a-88c)는, 제6 장착부(81, 86)보다 아래쪽에 위치한다. 그러므로, 제1 브래킷(43)의 바닥부가, 제2 브래킷(80, 85)보다 아래쪽에 위치한다. 이로써, 배기 처리 유닛(24)의 높이를 낮게 할 수 있고, 작업 차량의 대형화를 억제할 수 있다. 즉, 엔진 후드의 높이를 억제할 수 있다.
(19) 제1 브래킷(43)이 제2 브래킷(80, 85)에 장착된 상태로, 제1 장착부(63a-63c)는, 빔 부재(37, 38)보다 위쪽에 위치한다. 또한, 제1 브래킷(43)이 제2 브래킷(80, 85)에 장착된 상태로, 제1 장착부(63a-63c)는, 제6 장착부(81, 86)보다도 위쪽에 위치한다. 이로써, 화물 승강 고리를 제1 장착부(63a-63c)에 장착할 때에, 빔 부재(37, 38) 및 제2 브래킷(80, 85)이 화물 승강 고리와 간섭하지 않는다. 따라서, 배기 처리 유닛(24)의 장착 및 제거 작업이 효율화된다.
(20) 제4 장착부(66a-66f)와 제5 장착부(83a-83c, 88a-88c)의 사이에는, 볼트 및 너트에 의한 체결에 의해 생기는 축력을 받는 제3 보강판(78, 79)이 설치된다. 이로써, 작업 차량(100)의 진동 또는 전술하는 축력에 의해, 제4 장착부(66a-66f)가 변형되는 것이 억제된다.
(21) 제1 접속관(51)은, 제1 배기 처리 장치(41)의 중심축선(Ax1)과 제2 배기 처리 장치(42)의 중심축선(Ax2)을 포함하는 평면(P)와 대략 평행하게 신장된다. 이로써, 제1 접속관(51)이 경사지게 배치되므로, 벨로즈부(54)의 길이를 크게 확보할 수 있다. 이로써, 엔진(21)과 디젤 미립자 포집 필터 장치(41)의 접속이 보다 용이해진다.
[변형예]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각종의 변경이 가능하다.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배기 처리 유닛(24)을 유압 셔블에 적용하는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불도저 등의 다른 작업 차량에 적용해도 된다.
제2 배기 처리 장치(42)는, 빔 부재(37, 38)보다 아래쪽에 배치되어도 된다. 단, 제2 배기 처리 장치(42)는, 제1 배기 처리 장치(41)보다 위쪽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배기 처리 장치(41) 및 제2 배기 처리 장치(42)는, 원통형 등에 한정되지 않고, 타원통형, 또는 직육면체형 등 다른 형상이라도 된다.
제1 방향은 차폭 방향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방향이라도 된다. 즉, 제1 배기 처리 장치(41) 및 제2 배기 처리 장치(42)는 차폭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제1 방향은 차량 전후 방향에서 있어도 된다. 즉, 제1 배기 처리 장치(41)와 제2 배기 처리 장치(42)는 차량 전후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도 된다.
제1 배기 처리 장치(41)는, 기둥 부재(31-36) 중 어느 하나로 지지되어도 된다. 제2 배기 처리 장치(42)는, 기둥 부재(31-36) 중 어느 하나로 지지되어도 된다. 제1 배기 처리 장치(41) 및 제2 배기 처리 장치(42)를 지지하는 차체 프레임(27)은, 외장 커버(28)를 지지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배기 처리 장치(41) 및 제2 배기 처리 장치(42)를 지지하기 위한 전용 차체 프레임이 설치되어도 된다.
제1 지지부(61a, 61b), 제2 지지부(62a, 62b), 제1 U자 볼트(95a, 95b), 제2 U자 볼트(96a, 96b)의 수는 각각 2개로 한정되지 않고, 1개 또는 3개 이상이라도 된다. 이에 대응하여, 제2 장착부(64a-64d), 제3 장착부(65a-65d)의 개수가 변경되어도 된다. 마찬가지로, 제1 장착부(63a-63c), 제4 장착부(66a-66f), 제5 장착부(83a-83c, 88a-88c)의 개수 등은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 또한, 제1 브래킷(43)은, 제1 팽출부(67a, 67b), 제2 팽출부(67c), 리브(68), 제1 구멍부(69), 제2 구멍부(70a, 70b, 70c, 70d), 및 절결부(71) 중 적어도 1개를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해도 된다.
제2 브래킷(80, 85)은, 2개의 상이한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설명하였으나, 일체로서 형성되어도 된다. 또한, 플레이트(84a-84c, 89a-89c), 및/또는 제1 보강판 내지 제3 보강판(73-79)이 사용되지 않아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소수의 부품에 의해, 디젤 미립자 포집 필터 장치와 선택 환원 촉매 장치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배기 처리 유닛 및 작업 차량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20)

  1. 작업 차량의 엔진으로부터의 배기를 처리하는 배기 처리 유닛으로서,
    제1 배기 처리 장치와,
    제2 배기 처리 장치와,
    상기 제1 배기 처리 장치와 상기 제2 배기 처리 장치가 장착되는 제1 브래킷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브래킷은,
    에지부와,
    상기 에지부로부터 아래쪽을 향해 팽창한 볼록 형상을 가지는 본체부
    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는,
    상기 제1 배기 처리 장치를 직접 지지하는 제1 지지부와,
    상기 제2 배기 처리 장치를 직접 지지하는 제2 지지부
    를 포함하는, 배기 처리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본체부의 측면에 화물 승강 고리를 장착 가능한 제1 장착부를 포함하는, 배기 처리 유닛.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제1 배기 처리 장치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장소에 배치하여, 상기 제1 지지부보다 더 아래쪽으로 팽창하는 제1 팽출부와,
    상기 제2 배기 처리 장치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장소에 배치하여, 상기 제2 지지부보다 더 아래쪽으로 팽창하는 제2 팽출부
    를 더 포함하는 배기 처리 유닛.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제1 팽출부와 상기 제2 팽출부의 사이에 위쪽으로 돌출하는 리브를 더 포함하는 배기 처리 유닛.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는, 상기 제2 지지부보다 아래쪽에 위치하는, 배기 처리 유닛.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기 처리 장치와 상기 제2 배기 처리 장치를 접속하는 중계 접속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중계 접속관은, 상기 제1 배기 처리 장치 및 상기 제2 배기 처리 장치의 위쪽에 배치되는, 배기 처리 유닛.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2 지지부는, 상기 제1 배기 처리 장치 및 상기 제2 배기 처리 장치의 외주면에 대응하는 접촉면을 가지는, 배기 처리 유닛.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기 처리 장치 및 상기 제2 배기 처리 장치는 원통형의 형상을 가지고,
    상기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2 지지부의 단면(斷面)은 호형(弧形)인, 배기 처리 유닛.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기 처리 장치를 고정시키는 제1 U자 볼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제1 배기 처리 장치의 중심축선과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1 지지부의 양측에 상기 제1 U자 볼트를 장착하는 제2 장착부를 더 포함하는배기 처리 유닛.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배기 처리 장치를 거는 고정시키는 제2 U자 볼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제2 배기 처리 장치의 중심축선과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2 지지부의 양측에 상기 제2 U자 볼트를 장착하는 제3 장착부를 더 포함하는 배기 처리 유닛.
  1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기 처리 장치는, 아래쪽을 향해 신장되는 관형의 접속구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접속구가 삽입 통과되는 제1 구멍부를 더 포함하는, 배기 처리 유닛.
  12.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제1 팽출부와 상기 제2 팽출부 중 적어도 한쪽의 팽출부에, 이물질 낙하용의 제2 구멍부를 더 포함하는 배기 처리 유닛.
  13.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평면에서 볼 때, 상기 제1 배기 처리 장치의 길이 방향과 수직인 제1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1 팽출부의 최대 폭은, 상기 제1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1 지지부의 폭보다 긴, 배기 처리 유닛.
  14. 엔진과,
    상기 엔진을 지지하는 선회 프레임 상에 세워 설치되는 복수의 기둥 부재와,
    상기 기둥 부재의 상단에 설치되는 빔 부재를 포함하는 차체 프레임과,
    상기 엔진으로부터의 배기를 처리하는 제1 배기 처리 장치와,
    상기 엔진으로부터의 배기를 처리하는 제2 배기 처리 장치와,
    상기 제1 배기 처리 장치와 상기 제2 배기 처리 장치가 장착되는 제1 브래킷과,
    상기 제1 브래킷을 지지하는 제2 브래킷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브래킷은,
    에지부와,
    상기 에지부로부터 아래쪽을 향해 팽창하는 볼록 형상을 가지는 본체부
    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제1 배기 처리 장치를 직접 지지하는 제1 지지부와,
    상기 제2 배기 처리 장치를 직접 지지하는 제2 지지부와,
    상기 제2 브래킷이 장착되는 제4 장착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브래킷은,
    상기 제1 브래킷이 장착되는 제5 장착부와,
    상기 빔 부재에 장착되는 제6 장착부
    를 가지는, 작업 차량.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5 장착부는, 상기 빔 부재보다 아래쪽에 위치하는, 작업 차량.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6 장착부는, 상기 제5 장착부보다 위쪽에 위치하는, 작업 차량.
  17. 제14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본체부의 측면에 화물 승강 고리를 장착 가능한 제1 장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장착부는, 상기 제1 브래킷이 상기 제2 브래킷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빔 부재보다 위쪽에 위치하는, 작업 차량.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장착부는, 상기 제1 브래킷이 상기 제2 브래킷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6 장착부보다 위쪽에 위치하는, 작업 차량.
  19. 제14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과 상기 제1 배기 처리 장치를 접속하는 접속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배기 처리 장치 및 상기 제2 배기 처리 장치는 원통형이며,
    상기 제1 배기 처리 장치의 중심축선과 상기 제2 배기 처리 장치의 중심축선을 포함하는 평면과 평행하게, 상기 접속관이 신장되는, 작업 차량.
  20. 작업 차량의 엔진으로부터의 배기를 처리하는 배기 처리 유닛으로서,
    1개의 판재를 프레스함으로써, 에지부와, 상기 에지부로부터 아래쪽을 향해 팽창하는 볼록 형상을 가지고, 제1 지지부 및 제2 지지부를 포함하는 본체부를 포함하는 브래킷 원형을 형성하는 제1 공정과,
    상기 브래킷 원형 중, 상기 에지부의 주변의 판재를 커팅하는 제2 공정
    에 의해 형성되는 제1 브래킷과,
    제1 지지부의 바로 위에 배치되는 제1 배기 처리 장치와,
    제2 지지부에 바로 위에 배치되는 제2 배기 처리 장치와,
    를 포함하는, 배기 처리 유닛.
KR1020157014337A 2013-02-15 2013-02-15 배기 처리 유닛 및 작업 차량 KR1016774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3/053721 WO2014125624A1 (ja) 2013-02-15 2013-02-15 排気処理ユニット及び排気処理ユニットの製造方法、並びに、作業車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9926A KR20150079926A (ko) 2015-07-08
KR101677490B1 true KR101677490B1 (ko) 2016-11-18

Family

ID=509419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4337A KR101677490B1 (ko) 2013-02-15 2013-02-15 배기 처리 유닛 및 작업 차량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033095B2 (ko)
JP (1) JP5507768B1 (ko)
KR (1) KR101677490B1 (ko)
CN (1) CN104105855B (ko)
DE (1) DE112013000171B4 (ko)
WO (1) WO201412562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42830B1 (ja) * 2012-10-16 2014-03-12 株式会社小松製作所 油圧ショベル
JP5405649B1 (ja) * 2012-12-07 2014-02-05 株式会社小松製作所 作業車両の旋回装置
GB2515450B (en) * 2013-03-18 2017-03-22 Alexander Dennis Ltd Passenger service vehicle
CN104520551B (zh) * 2013-08-09 2016-03-16 株式会社小松制作所 支撑机构、排气处理单元及轮式装载机
JP5962686B2 (ja) * 2014-01-30 2016-08-03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電装品冷却構造
WO2015190623A1 (ko) * 2014-06-09 2015-12-17 볼보 컨스트럭션 이큅먼트 에이비 건설차량
JP5723495B1 (ja) * 2014-08-08 2015-05-27 株式会社小松製作所 油圧ショベル
US9945099B2 (en) * 2014-11-21 2018-04-17 Kcm Corporation Industrial vehicle
CN105986591B (zh) * 2015-03-20 2021-07-27 住友建机株式会社 小回转型挖土机
KR101698288B1 (ko) * 2015-05-21 2017-01-19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유압 셔블
WO2016163300A1 (ja) * 2016-03-31 2016-10-13 株式会社小松製作所 ダンプトラック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42058A1 (ja) 2008-05-22 2009-11-26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JP2012002016A (ja) 2010-06-18 2012-01-05 Komatsu Ltd 作業車両
JP2012136845A (ja) 2010-12-24 2012-07-19 Komatsu Ltd 作業車両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00163B2 (ja) 2007-09-26 2012-03-21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US8191668B2 (en) * 2008-08-07 2012-06-05 Caterpillar Inc. Mounting assembly for emissions control system
JP5169766B2 (ja) * 2008-11-20 2013-03-27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マフラー取付装置
KR20120088764A (ko) * 2010-05-31 2012-08-08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작업 차량
JP5320348B2 (ja) * 2010-06-18 2013-10-23 株式会社小松製作所 作業車両
US20120017574A1 (en) * 2010-07-20 2012-01-26 Saad Hasan Strap for securing exhaust treatment device
JP5630216B2 (ja) * 2010-10-29 2014-11-26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JP2012215022A (ja) * 2011-03-31 2012-11-08 Komatsu Ltd エンジンユニット
JP2012219625A (ja) * 2011-04-04 2012-11-12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
JP5508351B2 (ja) * 2011-06-30 2014-05-28 日立建機株式会社 作業機械
US8875500B2 (en) * 2012-08-23 2014-11-04 Electro-Motive Diesel, Inc. Mounting foot for an after-treatment component
EP2743472B1 (en) * 2012-10-26 2017-03-01 Komatsu Ltd. Work vehicl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42058A1 (ja) 2008-05-22 2009-11-26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JP2012002016A (ja) 2010-06-18 2012-01-05 Komatsu Ltd 作業車両
JP2012136845A (ja) 2010-12-24 2012-07-19 Komatsu Ltd 作業車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9926A (ko) 2015-07-08
WO2014125624A1 (ja) 2014-08-21
DE112013000171T5 (de) 2014-10-23
DE112013000171B4 (de) 2023-10-19
US20150075893A1 (en) 2015-03-19
JPWO2014125624A1 (ja) 2017-02-02
JP5507768B1 (ja) 2014-05-28
US9033095B2 (en) 2015-05-19
CN104105855B (zh) 2015-09-09
CN104105855A (zh) 2014-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7490B1 (ko) 배기 처리 유닛 및 작업 차량
KR101495587B1 (ko) 배기 처리 유닛
US9010095B2 (en) Exhaust treatment unit and method of attaching and detaching exhaust treatment unit
KR101495588B1 (ko) 배기 처리 유닛
KR101554918B1 (ko) 유압 셔블
KR101554919B1 (ko) 배기 처리 유닛
US9238901B2 (en) Supporting mechanism, exhaust treatment unit, and wheel loader
KR20120088764A (ko) 작업 차량
KR20140067100A (ko) 유압 셔블
US20150075894A1 (en) Supporting mechanism, exhaust treatment unit, and wheel loader
KR20150013220A (ko) 유압 셔블
KR101581269B1 (ko) 유압 셔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