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5358B1 - 접착공정을 단축시킬 수 있는 아웃솔과 미드솔의 접착방법 - Google Patents

접착공정을 단축시킬 수 있는 아웃솔과 미드솔의 접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5358B1
KR101675358B1 KR1020160045016A KR20160045016A KR101675358B1 KR 101675358 B1 KR101675358 B1 KR 101675358B1 KR 1020160045016 A KR1020160045016 A KR 1020160045016A KR 20160045016 A KR20160045016 A KR 20160045016A KR 101675358 B1 KR101675358 B1 KR 1016753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sole
midsole
mold
adhesion
h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50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창
김용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학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학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학산
Priority to KR10201600450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53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53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53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DMACHINES, TOOLS, EQUIPMENT OR METHODS FOR MANUFACTURING OR REPAIRING FOOTWEAR
    • A43D25/00Devices for gluing shoe parts
    • A43D25/20Arrangements for activating or for accelerating setting of adhesives, e.g. by using heat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43B17/003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7/006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ultilayered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DMACHINES, TOOLS, EQUIPMENT OR METHODS FOR MANUFACTURING OR REPAIRING FOOTWEAR
    • A43D25/00Devices for gluing shoe parts
    • A43D25/06Devices for gluing soles on shoe bottom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착공정을 단축시킬 수 있는 아웃솔과 미드솔의 접착방법에 관한 것으로, 핫멜트 필름을 매개로 아웃솔과 미드솔을 접착함으로써, 종래 버핑공정, 극성용제를 사용한 세척공정, 프라이머 처리 공정 등을 배제시킬 수 있도록 하고, 이로 인해 아웃솔과 미드솔의 접착공정을 단순화시켜 생산성과 작업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작업환경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하며, 보다 구체적으로 생지 상태의 아웃솔 재료를 금형에 삽입하고 그 표면에 핫멜트 필름을 적층한 상태에서 아웃솔을 성형함으로써, 표면에 고체 상태의 핫멜트층이 형성된 아웃솔을 제조하고, 여기에 수성접착제를 도포한 후 이를 미드솔과 접착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생산성, 작업성 및 작업환경을 더욱 효율적으로 개선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상기 금형의 상판에 미세요철부를 형성시키고 이를 이용하여 아웃솔을 성형하여, 아웃솔의 접착면에 미세요철부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버핑공정을 배제시키면서도 버핑공정을 수행한 것과 같은 효과(접착면의 표면적 증가)를 구현하여 그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상기 금형에 테프론 코팅 또는 우레탄계 이형제를 사용하여 아웃솔을 성형함으로써, 성형된 아웃솔이 금형으로부터 용이하게 탈형될 수 있도록 하는, 접착공정을 단축시킬 수 있는 아웃솔과 미드솔의 접착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접착공정을 단축시킬 수 있는 아웃솔과 미드솔의 접착방법{ADHESION METHOD OF OUTSOLE AND MIDSOLE WITH SHORTER ADHENSIVE PROCESS}
본 발명은 아웃솔과 미드솔의 접착공정을 단순화시켜 생산성과 작업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작업환경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하는, 아웃솔과 미드솔의 접착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발은 신발창 제조, 갑피 제조 및 상기 신발창과 갑피의 조립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신발창은 통상 고무로 이루어지는 아웃솔(outsole)과 EVA(ethylene vinyl acetate) 등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미드솔(midsole)의 접착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통상적인 아웃솔과 미드솔의 접착공정을 살펴보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웃솔의 제조(A100) 후, 아웃솔의 표면을 버핑(buffing)하여 표면개질하고(A200), 이를 방향족계 등의 극성용제를 사용하여 세척(A300)한 후, 건조(A400)하고, 다시 통상의 프라이머를 처리(A500)한 후, 접착제를 도포(A600)하여 전처리하고, 이를 미드솔과 접착(A700)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 접착공정은 아웃솔에 대한 전처리 공정이 대단히 복잡함에 따라 생산성 및 작업성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또한 버핑처리에 의해 발생되는 분진과 고상폐기물, 그리고 극성용제 등에 의해 작업자의 인체에 악영향을 주는 등 작업환경을 악화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특허문헌 1에서는 접착시 유기용제 및 유기 프라이머를 사용하지 않고 밑창에 직접 접착할 수 있도록 플라즈마(plasma) 처리된 아웃솔을 제안하였고, 특허문헌 2에서는 마이크로웨이브(microwave) 플라즈마로 아웃솔을 개질시키는 방법을 제안하였으며, 특허문헌 3에서는 플라즈마 표면처리에 의한 신발창의 접착 방법에 대한 기술을 제안하였다.
하지만 상기 특허문헌 1 내지 3과 같은 종래기술은 극성용제 등의 사용을 배제시켜 작업환경을 일부 개선시키는 효과는 있으나, 여전히 버핑공정이 수반되어야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또한 여전히 도 1과 같은 공정을 필수적으로 거쳐야 함에 따라 접착공정의 단순화는 구현하지 못하였을 뿐만 아니라 접착력 또한 신뢰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1-0106606호 "신발창의 표면처리 방법" 특허문헌 2 :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3-0020344호 "신발창의 개질방법" 특허문헌 3 :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328700호 "플라즈마 표면처리에 의한 신발창의 접착방법"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핫멜트 필름을 매개로 아웃솔과 미드솔을 접착함으로써, 종래 버핑공정, 극성용제를 사용한 세척공정, 프라이머 처리 공정 등을 배제시킬 수 있도록 하고, 이로 인해 아웃솔과 미드솔의 접착공정을 단순화시켜 생산성과 작업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작업환경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함을 과제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생지 상태의 아웃솔 재료를 금형에 삽입하고 그 표면에 핫멜트 필름을 적층한 상태에서 아웃솔을 성형함으로써, 표면에 고체 상태의 핫멜트층이 형성된 아웃솔을 제조하고, 여기에 수성접착제를 도포한 후 이를 미드솔과 접착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생산성, 작업성 및 작업환경을 더욱 효율적으로 개선할 수 있도록 함을 과제로 한다.
또한, 상기 금형의 상판(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웃솔 중에서 미드솔과 접착하는 면을 가압하는 상판)에 미세요철부를 형성시키고 이를 이용하여 핫멜트층이 형성된 아웃솔을 성형하여, 아웃솔 중 핫멜트층이 형성된 접착면에 미세요철부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버핑공정을 배제시키면서도 버핑공정을 수행한 것과 같은 효과(접착면의 표면적 증가)를 구현하여 그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을 다른 과제로 한다.
아울러, 상기 금형에 테프론 코팅 또는 우레탄계 이형제를 사용하여 아웃솔을 성형함으로써, 성형된 아웃솔이 금형으로부터 용이하게 탈형(demolding)될 수 있도록 함을 또 다른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아웃솔과 미드솔의 접착방법에 있어서, 미드솔과 접착하는 면에 고체 상태의 핫멜트층이 형성된 아웃솔을 제조하는 단계(S100); 상기 아웃솔의 핫멜트층 표면에 수성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S200); 및 상기 S200 단계를 거친 아웃솔과, 미드솔을 접착하는 단계(S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공정을 단축시킬 수 있는 아웃솔과 미드솔의 접착방법을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 한다.
여기서, 표면에 고체 상태의 핫멜트층이 형성된 아웃솔을 제조하는 단계(S100)는, 생지 상태의 아웃솔 재료를 금형에 삽입하는 단계(S11); 상기 금형에 삽입된 아웃솔 재료 중 미드솔과 접착하는 면에 핫멜트 필름을 적층하는 단계(S12); 및 상기 핫멜트 필름이 적층된 아웃솔 재료를 성형하는 단계(S1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금형은, 아웃솔 중에서 미드솔과 접착하는 면을 가압하는 상판에 미세요철부가 형성됨으로써, 아웃솔의 성형 후, 아웃솔 중 핫멜트층이 형성된 접착면에 미세요철부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금형은, 테프론 코팅 또는 우레탄계 이형제가 도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종래 버핑공정, 극성용제를 사용한 세척공정, 프라이머 처리 공정 등을 배제시킬 수 있도록 하고, 이로 인해 아웃솔과 미드솔의 접착공정을 단순화시켜 생산성과 작업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작업환경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지며, 또한 버핑공정을 배제시키면서도 버핑공정을 수행한 것과 같은 효과(접착면의 표면적 증가)를 구현하여 그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아울러 성형된 아웃솔이 금형으로부터 용이하게 탈형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아웃솔과 미드솔의 접착공정을 나타낸 공정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아웃솔과 미드솔의 접착공정을 나타낸 공정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아웃솔의 제조공정을 나타낸 공정흐름도 및 실물사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미세요철부가 형성된 금형 상판의 실물사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아웃솔과 미드솔의 접착공정을 나타낸 실물사진
도 6은 신발창의 접착성 평가 부위를 나타낸 도면
상기의 효과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접착공정을 단축시킬 수 있는 아웃솔과 미드솔의 접착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접착공정을 단축시킬 수 있는 아웃솔과 미드솔의 접착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접착방법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드솔과 접착하는 면에 고체 상태의 핫멜트층이 형성된 아웃솔을 제조하는 단계(S100)와, 상기 아웃솔의 핫멜트층 표면에 수성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S200) 및 상기 S200 단계를 거친 아웃솔과, 미드솔을 접착하는 단계(S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도 1에 도시된 종래 기술에 비하여 접착공정을 현저히 단순화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S100 단계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지 상태의 아웃솔 재료를 금형에 삽입(S11)하고, 상기 금형에 삽입된 아웃솔 재료 중 미드솔과 접착하는 면에 핫멜트 필름을 적층(S12)한 후, 상기 핫멜트 필름이 적층된 아웃솔 재료를 성형(S13)하여, 표면에 고체 상태의 핫멜트층이 형성된 아웃솔을 제조한다.
상기 S11 단계에서 사용되는 아웃솔 재료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NR(natural rubber)이나 SBR(styrene butadiene rubber) 등의 고무 소재가 바람직하지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일반적으로 공지된 모든 종류의 아웃솔 재료를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아웃솔 재료가 삽입되는 금형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웃솔 중에서 미드솔과 접착하는 면을 가압하는 상판에 미세요철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로 인해 이는 아웃솔의 성형 후, 아웃솔 중 핫멜트층이 형성된 접착면에 미세요철부가 형성되도록 하고, 이로 인해 버핑공정을 배제시키면서도 버핑공정을 수행한 것과 같은 효과(접착면의 표면적 증가)를 구현하여 그 접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아울러, 상기 금형에는 성형된 아웃솔이 금형으로부터 용이하게 탈형될 수 있도록 테프론 코팅 또는 우레탄계 이형제를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미세요철부는 통상의 샌딩(sandin) 방식, 스프레이(spray) 방식 및 부식(rough) 방식 등 다양한 방식을 적용하여 형성시킬 수 있으며, 코팅이나 이형제의 경우에도 상기 종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미 공지된 다양한 코팅제 또는 이형제를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S12 단계에서 사용되는 핫멜트 필름의 경우 TPU(thermoplastic polyurethane) 또는 EVA 등의 수지로 이루어진 두께 40 ~ 150㎛의 필름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아웃솔 재료의 종류나 신발의 종류 또는 신발의 사용환경 등을 고려하여, 핫멜트 기능을 할 수 있는 이미 공지된 다양한 수지의 필름을 다양한 두께로 적용가능하다.
또한, 상기 S13 단계에서의 아웃솔 성형조건은 금형온도 140 ~ 180℃에서 350 ~ 450초간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 역시 상기 조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아웃솔의 재료나 핫멜트 필름의 종류, 신발의 종류 또는 신발의 사용환경 등을 고려하여 이미 공지된 다양한 성형조건을 적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S200 단계는, S100 단계를 거쳐 제조된 아웃솔의 핫멜트층에 수성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로써, 이미 공지된 다양한 종류의 수성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특정 제품이나 종류의 수성접착제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그리고, S300 단계는, 상기 S200 단계를 거친 아웃솔과, 통상의 공정으로 제조되는 미드솔을 접착하는 단계로써, 아웃솔과 미드솔을 5 ~ 20kgf의 하중으로 압착하여 접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아웃솔과 미드솔의 종류 등을 고려하여 다양한 조건으로 접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겠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 아웃솔의 제조
(제조예 1)
미세요철부가 형성된 금형에 테프론을 코팅 한 후, 생지 상태의 아웃솔 재료(NR)를 삽입(S11)하고, 상기 금형에 삽입된 아웃솔 재료의 표면에 핫멜트 필름(TPU, 두께 100㎛)을 적층(S12)한 후, 상기 핫멜트 필름이 적층된 아웃솔 재료를 170℃에서 400초간 성형(S13)하여, 표면에 고체 상태의 핫멜트층이 형성된 아웃솔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2)
미세요철부가 형성된 금형에 우레탄계 이형제를 도포한 후, 생지 상태의 아웃솔 재료(SBR)를 삽입(S11)하고, 상기 금형에 삽입된 아웃솔 재료의 표면에 핫멜트 필름(TPU 두께 150㎛)을 적층(S12)한 후, 상기 핫멜트 필름이 적층된 아웃솔 재료를 170℃에서 400초간 성형(S13)하여, 표면에 고체 상태의 핫멜트층이 형성된 아웃솔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3)
미세요철부가 형성된 금형에 테프론을 코팅 한 후, 생지 상태의 아웃솔 재료(NR)를 삽입(S11)하고, 상기 금형에 삽입된 아웃솔 재료의 표면에 핫멜트 필름(TPU, 두께 100㎛)을 적층(S12)한 후, 상기 핫멜트 필름이 적층된 아웃솔 재료를 170℃에서 400초간 성형(S13)하여, 표면에 고체 상태의 핫멜트층이 형성된 아웃솔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4)
미세요철부가 형성된 금형에 우레탄계 이형제를 도포한 후, 생지 상태의 아웃솔 재료(SBR)를 삽입(S11)하고, 상기 금형에 삽입된 아웃솔 재료의 표면에 핫멜트 필름(TPU, 두께 150㎛)을 적층(S12)한 후, 상기 핫멜트 필름이 적층된 아웃솔 재료를 170℃에서 400초간 성형(S13)하여, 표면에 고체 상태의 핫멜트층이 형성된 아웃솔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5)
미세요철부가 형성된 금형에 테프론을 코팅 한 후, 생지 상태의 아웃솔 재료(NR)를 삽입(S11)하고, 상기 금형에 삽입된 아웃솔 재료의 표면에 핫멜트 필름(EVA, 두께 40㎛)을 적층(S12)한 후, 상기 핫멜트 필름이 적층된 아웃솔 재료를 170℃에서 400초간 성형(S13)하여, 표면에 고체 상태의 핫멜트층이 형성된 아웃솔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6)
미세요철부가 형성된 금형에 우레탄계 이형제를 도포한 후, 생지 상태의 아웃솔 재료(SBR)를 삽입(S11)하고, 상기 금형에 삽입된 아웃솔 재료의 표면에 핫멜트 필름(EVA 두께 80㎛)을 적층(S12)한 후, 상기 핫멜트 필름이 적층된 아웃솔 재료를 170℃에서 400초간 성형(S13)하여, 표면에 고체 상태의 핫멜트층이 형성된 아웃솔을 제조하였다.
2. 미드솔의 제조 및 전처리
(제조예 7)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산화아연 3 중량부, 스테아린산 1 중량부, 산화티탄 4 중량부, 가교제(dicumyl peroxide)는 0.7 중량부, 가교조제(triallyl cyanurate) 0.5 중량부, 발포제(azodicarbonamide) 3 중량부로 이루어진 컴파운드를 파이론 금형으로 성형하여 통상의 EVA 파이론(phylon)을 제조하였다.
그리고, 상기 EVA 파이론(phylon)으로 이루어진 미드솔을 버핑하고 메틸에틸케톤(methyl ethyl ketone)으로 세척한 후 UV형 프라이머(제품명 : P-6-2, 제조사 : 헨켈)를 도포하고, 55℃에서 3분간 열처리하여 건조시킨 다음, 0.52 J/㎠의 광량으로 UV를 조사하여 경화시키고, 선처리제(제품명 : PR-730TF, 제조사 : (주)화승)를 도포한 다음 55℃에서 3분간 열처리하여 건조시킨 후, 용제형 접착제(제품명 : A-610TF, 제조사 : (주)화승)에 용제형 경화제(제품명 : Desmodur RFE, 제조사 : 바이엘) 5 중량부를 첨가하여 도포하고 55℃에서 3분간 열처리하여 건조하였다.
3. 아웃솔과 미드솔의 접착
(실시예 1)
상기 제조예 1에 따라 아웃솔을 제조(S100)하고, 상기 아웃솔의 핫멜트층 표면에 수성접착제(제품명 : W-50, 제조사 : 동성 NSC(주))를 도포(S200)한 후, 상기 아웃솔과, 제조예 7에 따라 제조된 미드솔을 도 5와 같은 압착기를 이용하여 접착(S300)하였다.
(실시예 2)
상기 제조예 2에 따라 아웃솔을 제조(S100)하고, 상기 아웃솔의 핫멜트층 표면에 수성접착제(제품명 : W-50, 제조사 : 동성 NSC(주))를 도포(S200)한 후, 상기 아웃솔과, 제조예 7에 따라 제조된 미드솔을 도 5와 같은 압착기를 이용하여 접착(S300)하였다.
(실시예 3)
상기 제조예 3에 따라 아웃솔을 제조(S100)하고, 상기 아웃솔의 핫멜트층 표면에 수성접착제(제품명 : W-50, 제조사 : 동성 NSC(주))를 도포(S200)한 후, 상기 아웃솔과, 제조예 7에 따라 제조된 미드솔을 도 5와 같은 압착기를 이용하여 접착(S300)하였다.
(실시예 4)
상기 제조예 4에 따라 아웃솔을 제조(S100)하고, 상기 아웃솔의 핫멜트층 표면에 수성접착제(제품명 : W-50, 제조사 : 동성 NSC(주))를 도포(S200)한 후, 상기 아웃솔과, 제조예 7에 따라 제조된 미드솔을 도 5와 같은 압착기를 이용하여 접착(S300)하였다.
(실시예 5)
상기 제조예 5에 따라 아웃솔을 제조(S100)하고, 상기 아웃솔의 핫멜트층 표면에 수성접착제(제품명 : W-50, 제조사 : 동성 NSC(주))를 도포(S200)한 후, 상기 아웃솔과, 제조예 7에 따라 제조된 미드솔을 도 5와 같은 압착기를 이용하여 접착(S300)하였다.
(실시예 6)
상기 제조예 6에 따라 아웃솔을 제조(S100)하고, 상기 아웃솔의 핫멜트층 표면에 수성접착제(제품명 : W-50, 제조사 : 동성 NSC(주))를 도포(S200)한 후, 상기 아웃솔과, 제조예 7에 따라 제조된 미드솔을 도 5와 같은 압착기를 이용하여 접착(S300)하였다.
2. 평가
(1) 탈형성
상기 제조예 1 내지 6에서 아웃솔의 성형 후, 아웃솔이 금형으로부터 탈리되는 시간을 측정(3회 반복)하여 탈형성을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는 아래 [표 1]과 같다.
(단위 : 초)
구분 1회 측정 2회 측정 3회 측정 평균
제조예 1 18.1 17.5 17.3 17.63
제조예 2 17.4 17.3 19.2 17.97
제조예 3 16.1 16.8 17.5 16.80
제조예 4 17.6 16.5 17.4 17.17
제조예 5 19.5 17.5 18.3 18.43
제조예 6 18.7 18.9 19.5 19.03
상기 [표 1]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제조예 1 내지 3에 따른 아웃솔은 금형으로부터의 탈리 시간이 모두 20초 이하로 매우 우수함을 알 수 있다.
(2) 접착성
상기 실시예 1 내지 6에 따라 접착된 신발창에서 도 6과 같은 14가지 부위중 ①, ⑧ 및 ⑨ 부위를 제외한 11개 부위(①과, ⑧,⑨ 부위의 경우, 각각 신발의 토캡(toe cap)과 힐(heel) 부위를 보강하기 위해 돌출되는 부분으로 실제 미드솔과 접촉되는 면적이 미비하므로 제외함)에 대해 만능인장시험기를 사용하여 100/min의 속도로 박리하여 접착강도를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는 아래 [표 2]와 같다.
(단위 : kgf/cm)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4.1 4.6 4.2 4.0 3.8 3.9
4.0 4.4 4.3 4.1 3.9 3.9
4.0 4.5 4.2 4.0 3.9 3.9
4.2 4.4 4.3 4.5 4.0 3.8
4.5 4.2 4.2 4.3 4.1 4.0
4.3 4.7 4.8 4.4 4.0 3.9
4.4 4.9 4.6 4.5 4.2 4.2
4.2 4.0 4.3 4.1 4.2 4.1
4.1 4.1 4.2 4.2 4.0 4.0
3.9 4.3 4.1 4.3 3.9 3.9
4.0 4.2 4.2 4.0 3.9 3.8
평균 4.1 4.4 4.3 4.2 3.9 3.9
상기 [표 2]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6에 따라 접착된 신발창은 아웃솔에 대한 버핑공정, 극성용제를 사용한 세척공정, 프라이머 처리 공정 등을 배제시키면서도 우수한 접착력을 나타냄을 알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접착공정을 단축시킬 수 있는 아웃솔과 미드솔의 접착방법은 상기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통해 설명하고, 그 우수성을 확인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4)

  1. 아웃솔과 미드솔의 접착방법에 있어서,
    미드솔과 접착하는 면에 고체 상태의 핫멜트층이 형성된 아웃솔을 제조하는 단계(S100);
    상기 아웃솔의 핫멜트층 표면에 수성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S200); 및
    상기 S200 단계를 거친 아웃솔과, 미드솔을 접착하는 단계(S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S100 단계는, 생지 상태의 아웃솔 재료를 금형에 삽입하는 단계(S11); 상기 금형에 삽입된 아웃솔 재료 중 미드솔과 접착하는 면에 핫멜트 필름을 적층하는 단계(S12); 및 상기 핫멜트 필름이 적층된 아웃솔 재료를 성형하는 단계(S13);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금형은, 아웃솔 중에서 미드솔과 접착하는 면을 가압하는 상판에 미세요철부가 형성됨으로써, 아웃솔의 성형 후, 아웃솔 중 핫멜트층이 형성된 접착면에 미세요철부가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금형은, 테프론 코팅 또는 우레탄계 이형제가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공정을 단축시킬 수 있는 아웃솔과 미드솔의 접착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60045016A 2016-04-12 2016-04-12 접착공정을 단축시킬 수 있는 아웃솔과 미드솔의 접착방법 KR1016753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5016A KR101675358B1 (ko) 2016-04-12 2016-04-12 접착공정을 단축시킬 수 있는 아웃솔과 미드솔의 접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5016A KR101675358B1 (ko) 2016-04-12 2016-04-12 접착공정을 단축시킬 수 있는 아웃솔과 미드솔의 접착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5358B1 true KR101675358B1 (ko) 2016-11-11

Family

ID=575278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5016A KR101675358B1 (ko) 2016-04-12 2016-04-12 접착공정을 단축시킬 수 있는 아웃솔과 미드솔의 접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535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1100A (ko) 2019-06-26 2021-01-07 이준영 신발창용 무용매 접착시트를 이용한 신발의 제조방법
KR102486906B1 (ko) * 2022-04-29 2023-01-11 케이투코리아 주식회사 신발 밑창 및 그 제작방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9180A (ko) * 2000-07-20 2000-10-05 박차철 겉창과 중창의 동시 성형 및 접착으로 이루어진 신발용밑창 및 그 제조방법
KR20010084070A (ko) 2000-02-23 2001-09-06 손명호 플라즈마 표면처리에 의한 신발창의 접착방법
KR20010106606A (ko) 2000-05-22 2001-12-07 박차철 신발용 중창의 표면처리 방법
KR20030020344A (ko) 2003-02-07 2003-03-08 주식회사고려자동화 신발창의 개질방법
KR20130075629A (ko) * 2012-06-13 2013-07-05 박희대 접착용 필름의 조성물
KR20160051406A (ko) * 2014-11-03 2016-05-11 강인권 아웃솔과 미드솔이 일체 성형되는 신발용 밑창의 제조방법
KR20160098772A (ko) * 2015-02-11 2016-08-19 이영경 신발밑창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4070A (ko) 2000-02-23 2001-09-06 손명호 플라즈마 표면처리에 의한 신발창의 접착방법
KR20010106606A (ko) 2000-05-22 2001-12-07 박차철 신발용 중창의 표면처리 방법
KR20000059180A (ko) * 2000-07-20 2000-10-05 박차철 겉창과 중창의 동시 성형 및 접착으로 이루어진 신발용밑창 및 그 제조방법
KR20030020344A (ko) 2003-02-07 2003-03-08 주식회사고려자동화 신발창의 개질방법
KR20130075629A (ko) * 2012-06-13 2013-07-05 박희대 접착용 필름의 조성물
KR20160051406A (ko) * 2014-11-03 2016-05-11 강인권 아웃솔과 미드솔이 일체 성형되는 신발용 밑창의 제조방법
KR20160098772A (ko) * 2015-02-11 2016-08-19 이영경 신발밑창의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1100A (ko) 2019-06-26 2021-01-07 이준영 신발창용 무용매 접착시트를 이용한 신발의 제조방법
KR102486906B1 (ko) * 2022-04-29 2023-01-11 케이투코리아 주식회사 신발 밑창 및 그 제작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69770B2 (en) Molded article covered with film
KR101726428B1 (ko) 신발 제조방법
JP6402439B2 (ja) 加飾シート及び加飾樹脂成形品
KR101675358B1 (ko) 접착공정을 단축시킬 수 있는 아웃솔과 미드솔의 접착방법
WO2014157232A1 (ja) 加飾シート及び加飾樹脂成形品
JP6481720B2 (ja) 加飾シート及び加飾樹脂成形品
KR20180095838A (ko) 신발 고무 밑창의 제조 및 결합 방법
JP6572526B2 (ja) 加飾シート及び加飾樹脂成形品
EP2467251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shoe using multi-functional primer
JPS6032644B2 (ja) 軟質pvcを基材とする成形体とポリオレフインを基材とする成形体とを結合する方法
US4882002A (en) Process of manufacturing a composite panel for shock absorption
JP3953804B2 (ja) 加飾シートの製造方法及び加飾成形品の製造方法
KR101854475B1 (ko) 다기능 프라이머 및 이를 이용한 신발의 제조 방법
KR101500807B1 (ko) 접착용 필름의 조성물
KR100793379B1 (ko) 멜라민 수지 함침층을 갖는 판재 표면에 고광택 유브이고팅층을 형성하는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판재
JP2002051808A (ja) 履物及び履物の製造法
JP2022167967A (ja) シリコーンゴム複合体及びそれを使用した成形体の製造方法
KR0170433B1 (ko) 성형품 표면의 인쇄방법
US20170297287A1 (en) Production method of glueless pasted integrally modeling shoe sole
KR101998314B1 (ko) 신발창의 제조 방법
JP2018058333A (ja) 加飾シート及び加飾樹脂成形品
KR200425829Y1 (ko) 멜라민 수지 함침층을 갖는 판재 표면에 고광택 유브이고팅층을 형성하여 된 판재
KR20070092528A (ko) 바닥시트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되는 바닥시트
KR100577078B1 (ko) 폴리우레탄 접착물
JP2004175863A (ja) 接着剤転写シートおよび積層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