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4282B1 - 다관절 로봇의 궤적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다관절 로봇의 궤적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4282B1
KR101674282B1 KR1020147033244A KR20147033244A KR101674282B1 KR 101674282 B1 KR101674282 B1 KR 101674282B1 KR 1020147033244 A KR1020147033244 A KR 1020147033244A KR 20147033244 A KR20147033244 A KR 20147033244A KR 101674282 B1 KR101674282 B1 KR 1016742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acteristic
joint angle
dynamic characteristic
control
command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332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6016A (ko
Inventor
요시하루 니시다
다카시 와다
요시히데 이노우에
슈이치 이나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Publication of KR201500060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60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42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42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28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the control loop
    • B25J9/163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the control loop learning, adaptive, model based, rule based expert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positioning means for manipulato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02Seam welding; Backing means; Inserts
    • B23K9/0216Seam profiling, e.g. weaving, multi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095Monitoring or automatic control of welding parame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12Automatic feeding or moving of electrodes or work for spot or seam welding or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16Arc welding or cutting making use of shielding gas
    • B23K9/173Arc welding or cutting making use of shielding gas and of a consumable electro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06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multi-articulated 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28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the control loop
    • B25J9/1633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the control loop compliant, force, torque control, e.g. combined with position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56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programming, planning systems for manipulators
    • B25J9/1664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programming, planning systems for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motion, path, trajectory planning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18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 G05B19/4093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characterised by part programming, e.g. entry of geometrical information as taken from a technical drawing, combining this with machining and material information to obtain control information, named part programme, for the NC machine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30Nc systems
    • G05B2219/41Servomotor, servo controller till figures
    • G05B2219/41124Nonlinear compensation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30Nc systems
    • G05B2219/41Servomotor, servo controller till figures
    • G05B2219/41166Adaptive filter frequency as function of oscillation, rigidity, inertia load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30Nc systems
    • G05B2219/41Servomotor, servo controller till figures
    • G05B2219/41426Feedforward of torque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30Nc systems
    • G05B2219/42Servomotor, servo controller kind till VSS
    • G05B2219/42065Feedforward combined with pid feedback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30Nc systems
    • G05B2219/45Nc applications
    • G05B2219/45104Lasrobot, welding robot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30Nc systems
    • G05B2219/49Nc machine tool, till multiple
    • G05B2219/49384Control of oscillatory movement like filling a weld, weav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901/00Robots
    • Y10S901/02Arm motion controller

Abstract

다관절 로봇의 궤적 제어 장치(10)에 있어서, 제1 동특성 연산부(300)는 로봇의 고유 진동 주파수보다도 낮은 컷오프 주파수를 갖는 고주파 차단 특성을 구비하여, 관절 각도 지령값(θc)을 필터링 처리하고, 처리 후의 관절 각도 목표값(θd)을 출력한다. 제2 동특성 연산부(400)는 제1 동특성 연산부(300)보다도 낮은 컷오프 주파수를 갖는 고주파 차단 특성을 구비하여, 간섭 토크 보상 지령값 계산부(200)로부터의 출력을 필터링 처리하고, 처리 후의 간섭 토크 보상값(cd)을 출력한다.

Description

다관절 로봇의 궤적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TRAJECTORY CONTROL DEVICE FOR ARTICULATED ROBOT, AND CONTROL METHOD}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아크 용접에 사용되는 다관절 로봇의 제어에 관한 것으로, 특히, 높은 궤적 정밀도로 위빙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다관절 로봇의 궤적 제어에 관한 것이다.
아크 용접에 의해 복수의 모재의 용접을 행할 때에는, 용접 전극을 용접 방향으로 진행시키면서, 용접선의 좌우 방향으로 정현파 위빙 동작을 시키면서 용접하는 위빙 용접이 채용된다. 이 위빙 용접은, 종래부터, 용접 토치 자체를 좌우로 요동시키거나, 또는 용접 토치 자체를 중심으로 하여 좌우로 틸팅시킴으로써 행해지고 있다. 이와 같은 위빙 용접을 다관절 로봇에 행하게 하는 경우, 높은 궤적 정밀도가 요구된다.
이와 같은 다관절 로봇에서는 각 축단위로 서보 제어가 행해진다. 그러나, 고유 진동수가 낮기 때문에, 진동 억제의 관점에서, 속도 피드 포워드 등은 거의 적용되지 않는다. 따라서, 목표값에 대해 실제의 피드백값의 위상 지연은 크고, 서보 제어부의 속도 제어부의 응답 특성이 축마다 달라, 궤적 오차로 연결되고 있었다. 또한, 서보 제어부의 위치ㆍ속도 제어 특성은 로봇의 자세 변화에 수반하는 관성 변화에 의해(특히, 위상 지연 특성이) 변화되므로, 각 축 사이 간섭 토크 등을 목표값으로부터 역산하여 보상하는 비선형 보상 제어도, 위상의 어긋남에 의해 거의 유효하게 기능하고 있지 않았다. 이와 같은 다관절 로봇의 궤적 제어에 대해, 이하와 같은 기술이 공지이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평10-217173호 공보(특허문헌 1)는 안정된 궤적 정밀도를 얻을 수 있는 다축 로봇의 비간섭화 제어 장치를 개시한다. 이 로봇의 비간섭화 제어 장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아암이 관절부를 통해, 시리얼로 결합된 구조를 갖는 로봇을 제어하는 다축 로봇 제어 장치에 있어서 설치된다. 이 로봇의 비간섭화 제어 장치는 각 아암의 각도와, 각 아암의 질량, 길이 등의 동역학 파라미터로부터 관성 행렬을 작성하는 관성 행렬 계산 기구와, 각 아암의 가속도를 포함하는 비간섭화용 상태 변수를 연산하는 연산 기구와, 이들 상태 변수에 승산하는 비간섭화 게인을 연산하는 연산 기구를 갖는다. 또한, 비간섭화 제어 장치는 상기 비간섭화용 상태 변수와 상기 비간섭화 게인을 승산 및 가산하는 승산부 및 가산부와, 그 계산의 결과 얻어지는 비간섭화 토크 지령으로부터 고조파 리플분을 제거하기 위한 필터 처리부를 갖는다.
또한, 일본 특허 공고 평8-7625호 공보(특허문헌 2)는 궤적 지령에 대한 시스템의 추종성을 높인 위치 제어 장치를 개시한다. 이 위치 제어 장치는 1축 또는 복수축을 갖고, 각 축이 위치 피드백 제어에 의해 제어된다. 여기서는, 위치 피드백 루프 외에, 위치 지령을 입력측으로 하고, 피드 포워드 게인을 갖는 미분 요소와 낭비 시간 요소를 직렬로 갖고, 상기 위치 피드백 루프의 위치 루프 게인의 후단에 속도 피드 포워드 보상 출력이 가산되는 피드 포워드 루프가 설치되어 있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평10-217173호 공보 일본 특허 공고 평8-7625호 공보(일본 특허 출원 공개 평3-40008호 공보)
상술한 특허문헌 1에서는, 각 축 사이의 간섭을 비간섭화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 방법에서는 아암 가속도의 1계 미분값, 2계 미분값이 필요하고, 노이즈에 매우 약하다. 또한 약간 급준한 동작이 있는 것만으로 아암 가속도의 2계 미분값이 천문학적인 값을 나타내는 등, 실현하는 데 있어서 매우 제약이 크다.
또한, 특허문헌 2에서는, 속도 피드 포워드에 필터 처리함으로써, 로봇의 고유 진동을 여기하지 않고 피드 포워드 게인을 업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 기술에 의한 피드 포워드 게인의 업은 미미한 것으로, 근본적인 해결에는 이르고 있지 않다. 또한, 각 축 사이의 제어 특성의 차이나 자세에 의한 제어 특성 변화에 대해서는, 이 방법은 대응하고 있지 않다. 또한, 목표 위치의 미분값과 필터 후의 속도 피드 포워드의 값은 위상이 다르므로, 원하는 제어 특성을 실현하는 것이 곤란하게 되어 있다.
즉, 종래 기술에서는, 이하와 같은 문제가 해결되어 있지 않다.
(1) 로봇의 고유 진동수가 낮은 상태에서, 각 축 사이를 비간섭화하는 비선형 보상 제어를 유효하게 작용시킬 수 없으므로, 각 축 간섭 토크의 영향을 보상할 수 없는 것이, 정밀도 열화로 이어지고 있다.
(2) 서보 제어부의 위상 지연이 있는 상태에 있어서, 각 축 사이를 비간섭화하는 비선형 보상 제어를 유효하게 작용시킬 수 없으므로, 각 축 간섭 토크의 영향을 보상할 수 없는 것이, 정밀도 열화로 이어지고 있다.
(3) 축마다 서보 제어 특성이 다르기 때문에, 각 축의 응답에 차가 발생하는 것이, 궤적 정밀도의 열화로 이어지고 있다.
(4) 로봇 자세에 따라서 서보 제어 특성이 변화되는 것이, 궤적 정밀도의 열화로 이어지고 있다.
(5) 용접 로봇의 위빙 동작에서는, 위빙 주기에서의 위상 지연 및 게인 특성을 각 축 정렬시키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각 축 사이의 간섭이나 자세에 의한 서보 특성 변화나 축마다에서의 특성의 차이에 의해, 위상ㆍ게인 특성을 고주파 위빙 동작으로 정렬시키는 것이 매우 곤란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복수축을 구비한 다관절 로봇에 있어서, 각 축의 간섭 토크의 영향을 보상하여 높은 궤적 정밀도로 위빙 등의 동작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다관절 로봇의 궤적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한 다관절 로봇의 궤적 제어 장치는 이하의 기술적 수단을 강구하고 있다.
즉, 본 발명에 관한 다관절 로봇의 궤적 제어 장치는 다관절 로봇에 설치된 모터에 의해 툴에 원하는 동작을 행하게 하도록 복수의 관절축을 구동시키는 다관절 로봇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 궤적 제어 장치는 원하는 툴 동작을 실현하기 위한 각 관절축의 관절 각도 지령값 θc를 산출하여 출력하는 관절 각도 지령값 계산부와, 상기 관절 각도 지령값 θc와 같이 동작했을 때에 발생하는 각 관절축 사이에서 서로 작용하는 간섭 토크를, 동역학 모델에 기초하여 관절 각도 지령값 θc로부터 산출하고, 간섭 토크 보상 지령값 cc를 출력하는 간섭 토크 보상 지령값 계산부와, 로봇의 고유 진동 주파수보다도 낮은 컷오프 주파수를 갖는 고주파 차단 특성을 구비하여, 상기 관절 각도 지령값 θc를 필터링 처리하고, 처리 후의 관절 각도 목표값 θd를 출력하는 제1 동특성 연산부와, 상기 관절 각도 목표값 θd가 상기 모터에 대한 목표값으로서 입력되는 관절 각도 제어부와, 상기 제1 동특성 연산부보다도 낮거나, 또는 동등한 컷오프 주파수를 갖는 고주파 차단 특성을 구비하여, 상기 간섭 토크 보상 지령값 계산부로의 입력 및 상기 간섭 토크 보상 지령값 계산부로부터의 출력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필터링 처리하고, 처리 후의 간섭 토크 보상값 cd를 출력하는 제2 동특성 연산부와, 상기 관절 각도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모터 토크 지령값에, 상기 간섭 토크 보상값 cd가 가산된 값이 목표값으로서 입력되는 모터 전류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궤적 제어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관절 각도 제어부의 응답이 느린 축의 제1 동특성 연산부의 위상 지연을, 상기 관절 각도 제어부의 응답이 빠른 축의 제1 동특성 연산부의 위상 지연보다도 짧게 부여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궤적 제어 장치는,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다관절 로봇의 자세에 따라서, 상기 제1 동특성 연산부의 특성을 변경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궤적 제어 장치는, 더욱 바람직하게는 각 축 사이의 간섭이 없는 상태에서의 관절 각도 목표값 θc로부터 실제의 관절 각도 θ까지의 피드백 제어 동특성을, 위치 피드백 게인 및 속도 피드백 게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산출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제2 동특성 연산부에 있어서의 컷오프 주파수를 상기 제1 동특성 연산부에 있어서의 컷오프 주파수보다도 낮게 함과 함께, 상기 제2 동특성 연산부에 있어서의 특성을 상기 피드백 제어 동특성으로 나눈 특성에 대응하도록, 상기 제1 동특성 연산부의 특성을 부여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궤적 제어 장치는,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모터 전류 제어부의 전류 제어 특성을 고려하는 경우, 상기 제2 동특성 연산부에 있어서의 특성을 상기 피드백 제어 동특성으로 나눔과 함께, 전류 제어 특성을 곱한 특성에 대응하도록, 상기 제1 동특성 연산부의 특성을 부여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관한 다관절 로봇의 궤적 제어 방법은 원하는 툴 동작을 실현하기 위한 각 관절축의 관절 각도 지령값 θc를 산출하여 출력하는 관절 각도 지령값 계산 스텝과, 상기 관절 각도 지령값 θc와 같이 동작했을 때에 발생하는 각 관절축 사이에서 서로 작용하는 간섭 토크를, 동역학 모델에 기초하여 관절 각도 지령값 θc로부터 산출하고, 간섭 토크 보상 지령값 cc를 출력하는 간섭 토크 보상 지령값 계산 스텝과, 로봇의 고유 진동 주파수보다도 낮은 컷오프 주파수를 갖는 고주파 차단 특성을 구비하여, 상기 관절 각도 지령값 θc를 필터링 처리하고, 처리 후의 관절 각도 목표값 θd를 출력하는 제1 동특성 연산 스텝과, 상기 관절 각도 목표값 θd가 상기 모터에 대한 목표값으로서 입력되는 관절 각도 제어 스텝과, 상기 제1 동특성 연산 스텝보다도 낮거나, 또는 동등한 컷오프 주파수를 갖는 고주파 차단 특성을 구비하여, 상기 간섭 토크 보상 지령값 계산 스텝으로의 입력 및 상기 간섭 토크 보상 지령값 계산 스텝으로부터의 출력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필터링 처리하고, 처리 후의 간섭 토크 보상값 cd를 출력하는 제2 동특성 연산 스텝과, 상기 관절 각도 제어 스텝으로부터 출력되는 모터 토크 지령값에, 상기 간섭 토크 보상값 cd가 가산된 값이 목표값으로서 입력되는 모터 전류 제어 스텝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궤적 제어 장치 또는 제어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복수축을 구비한 다관절 로봇에 있어서, 각 축의 간섭 토크의 영향을 보상하여 높은 궤적 정밀도로 위빙 등의 동작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궤적 제어 장치가 적용되는 다관절 로봇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궤적 제어 장치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하는 제어 블록도에 의해 제어된 다관절 로봇의 위빙 궤적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종래 기술에 관한 궤적 제어 장치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하는 제어 블록도에 의해 제어된 다관절 로봇의 위빙 궤적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종래 기술에 관한 다른 궤적 제어 장치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하는 제어 블록도에 의해 제어된 다관절 로봇의 위빙 궤적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궤적 제어 장치(도 2의 동특성과는 다른 특성)에 의해 제어된 다관절 로봇의 위빙 궤적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관한 궤적 제어 장치에 관한 제어 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궤적 제어 장치(도 2의 동특성과는 다른 특성)에 의해 제어된 다관절 로봇의 위빙 궤적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궤적 제어 장치(동특성을 축마다 변경)에 의해 제어된 다관절 로봇의 위빙 궤적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 관한 궤적 제어 장치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관한 궤적 제어 장치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6 실시 형태에 관한 궤적 제어 장치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6 실시 형태에 관한 궤적 제어 장치의 다른 제어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다관절 로봇의 궤적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을,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동일한 부품은 동일한 부호가 부여되고, 그들의 명칭 및 기능도 동일하다. 따라서, 그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반복하지 않는다. 또한, 이하에 있어서는, 제어 대상으로서 용접 토치를 틸팅 동작(위빙 동작)시키는 다관절 로봇을 설명하지만, 이는 일례에 지나지 않는다. 본 발명에 관한 궤적 제어 장치는 다관절 로봇에 설치된 툴에 원하는 동작을 행하게 하도록 복수의 관절축을 구동하기 위한 제어에, 널리 적용이 가능하다.
<제1 실시 형태>
[전체 구성]
우선,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궤적 제어 장치가 적용되는 수직 다관절 로봇(이하, 간단히 다관절 로봇으로 기재하는 경우가 있음)의 개요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용접 토치를 틸팅 동작(위빙 동작)시키는 로봇의 일례이며,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궤적 제어 장치가 적용되는 다관절 로봇(1)의 개요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 다관절 로봇(1)은 수직 다관절형이며 J1 내지 J6의 6개의 관절을 구비하여, J6의 축의 선단에 설치된 용접 토치로부터 송출되는 용접 와이어에 의해 아크 용접을 행한다. 이 다관절 로봇(1)은 미리 정해진 용접 개시점과 용접 종료점 사이를 용접 작업 구간으로서 설정하고, 용접 개시점과 용접 종료점을 연결하는 용접선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용접 와이어를 미리 정해진 진폭 및 주파수로 틸팅하는 동작(위빙 동작)을 행하도록 세트되어 있다.
이와 같은 다관절 로봇(1)은 도시한 다관절 로봇(1)의 본체 외에, 교시 펜던트를 갖고 각 축을 서보 제어하는 제어 장치(서보 제어부)와, 상위 컴퓨터(상위 CPU)를 포함한다. 이들 제어 장치 및 상위 컴퓨터에 의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궤적 제어 장치가 실현되어 있다.
제어 장치(서보 제어부)는 다관절 로봇(1)에 설치된 용접 토치를, 미리 교시한 프로그램에 따라서, 상술한 용접선을 따라서 위빙 동작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한다. 교시 프로그램은 제어 장치에 접속된 교시 펜던트를 사용하여 작성되는 경우나, 상위 컴퓨터를 이용한 오프라인 교시 시스템을 사용하여 작성되는 경우가 있다. 어떤 경우라도, 교시 프로그램은 실제의 동작 전에 미리 작성된다. 상위 컴퓨터에서는 용접 패스가 생성되거나, 그것에 기초하는 위빙 동작 지령이 생성된다.
[제어 블록]
도 2는 도 1의 다관절 로봇(1)을 제어하는 궤적 제어 장치(10)의 제어 블록도를 도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 궤적 제어 장치(10)는 상위 CPU에서 실현되는 부분과 서보 제어부에서 실현되는 부분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궤적 제어 장치(10)는 다관절 로봇(1)에 설치된 툴(여기서는 용접 토치)에 원하는 동작(여기서는 위빙 동작)을 행하게 하도록, 복수의 관절축을 구동한다.
이 궤적 제어 장치(10)는 상위 CPU에서 실현되는, 관절 각도 지령값 계산부(100) 및 간섭 토크 보상 지령값 계산부(「비선형 FF」로서 도시)(200)를 구비한다. 또한, 궤적 제어 장치(10)는 서보 제어부에서 실현되는, 제1 동특성 연산부(「동특성(1)」으로서 도시)(300)와, 제2 동특성 연산부(「동특성(2)」으로서 도시)(400)와, 피드백 제어부(「서보 제어 FB 특성」으로서 도시)(500)를 구비한다. 피드백 제어부(500)는 관절 각도 제어부(510)와, 모터 전류 제어부(「전류 제어」로서 도시)(52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하에 있어서, 제어 블록에 있어서의 요소의 특성은 동특성이라는 기재가 없는 경우라도, 모두 동특성이다. 또한, 기재 「FB」는 피드백을 의미하고, 기재 「FF」는 피드 포워드를 의미한다.
관절 각도 지령값 계산부(100)는 용접 토치의 위빙 동작을 실현하기 위한 각 관절축의 관절 각도 지령값 θc를 산출하여 출력한다.
간섭 토크 보상 지령값 계산부(200)는 관절 각도 지령값 계산부(100)로부터 출력된 관절 각도 지령값 θc와 같이 동작했을 때에 발생하는 각 관절축 사이에서 서로 작용하는 간섭 토크를, 동역학 모델에 기초하여 관절 각도 지령값 θc로부터 산출한다. 그리고, 간섭 토크 보상 지령값 계산부(200)는 간섭 토크 보상 지령값 cc를 출력한다.
제1 동특성 연산부(300)는 관절 각도 지령값 계산부(100)로부터 출력된 관절 각도 지령값 θc를 필터링 처리하고, 처리 후의 관절 각도 목표값 θd를 출력한다. 이 제1 동특성 연산부(300)는 다관절 로봇(1)의 고유 진동 주파수보다도 낮은 컷오프 주파수를 갖는 고주파 차단 특성(저역 통과 필터)을 구비한다.
제2 동특성 연산부(400)는 간섭 토크 보상 지령값 계산부(200)로의 입력 및 간섭 토크 보상 지령값 계산부(200)로부터의 출력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필터링 처리하고, 처리 후의 간섭 토크 보상값 cd를 출력한다. 또한, 도 2에 있어서, 제2 동특성 연산부(400)는 간섭 토크 보상 지령값 계산부(200)로부터의 출력을 필터링 처리하고 있다. 이 제2 동특성 연산부(400)는 제1 동특성 연산부(300)보다도 낮거나, 또는 동등한 컷오프 주파수를 갖는 고주파 차단 특성(저역 통과 필터)을 구비한다.
관절 각도 제어부(510)에는 모터에 대한 목표값으로서, 관절 각도 목표값 θd가 입력된다.
모터 전류 제어부(520)에는 관절 각도 제어부(510)로부터 출력되는 모터 토크 지령값에, 제2 동특성 연산부(400)로부터 출력된 간섭 토크 보상값 cd가 가산된 값이, 목표값으로서 입력된다.
도 2에 도시하는 블록도에서 나타나는 궤적 제어 장치(10)는 이하와 같은 특징을 구비한다.
비선형항인 간섭 토크 보상 지령값 계산부(200)의 전 및/또는 후(여기서는 후만)에, 제2 동특성 연산부(400)가 배치되어 있다. 이 제2 동특성 연산부(400)에 의해, 제1 동특성 연산부(300)의 고주파 차단 특성 이상의 고주파 대역을 차단하는 특성이 부여되어 있다. 여기서, 제2 동특성 연산부(400)의 컷오프 주파수는 제1 동특성 연산부(300)의 컷오프 주파수보다도 낮거나 동등하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제1 동특성 연산부(300)에 의해, 관절 각도 지령값 θc에 포함되는 고유 진동 성분을 포함하는 고주파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2 동특성 연산부(400)에 의해, 간섭 토크 보상 지령값 cc에 포함되는 고유 진동 성분을 포함하는 고주파를 억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다관절 로봇(1)에 발생하는 고주파 진동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다관절 로봇(1)에서는 XYZ 공간에서 저주파 동작을 시켜도 특이점 근방 등의 야코비안(Jacobian)이 급준하게 변화되는 곳에 있어서, 관절 각도로 변화되면 2배나 3배 성분의 고주파가 발생한다. 또한, 관절 각도 공간에서 저주파 동작을 시켜도, 비선형항은 속도의 2승항 등을 갖고 있으므로, 관절 각도의 2배나 3배 성분의 고주파가 발생한다. 이로 인해, 비선형항인 간섭 토크 보상 지령값 계산부(200)로부터의 출력인 간섭 토크 보상 지령값 cc를, 제1 동특성 연산부(300)의 고주파 차단 특성 이상의 고주파 차단 특성을 구비한 제2 동특성 연산부(400)에서 처리하여 간섭 토크 보상값 cd로 한다. 이에 의해, 다관절 로봇(1)에 발생하는 고주파 진동을 더욱 억제하고 있다.
[제어 특성(위빙 궤적)]
이상과 같은 구성을 구비한 궤적 제어 장치(10)를 사용하여 다관절 로봇(1)을 제어한 경우의 제어 특성(위빙 궤적)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제2 동특성 연산부(400)의 고주파 차단 특성으로서, 제1 동특성 연산부(300)와 동등한 고주파 차단 특성을 부여한 경우의 위빙 궤적을 도시한다.
이를 평가하는 데 있어서, 우선 종래 기술(제어 블록도 및 위빙 궤적)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가장 일반적인 다관절 로봇의 제어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제어 블록은 위치 제어부(Gp)와 속도 제어부(Gv)와 전류 제어부로 구성된다. 위치 제어부는 관절 각도를 피드백 제어하고, 각도 편차를 비례 제어(P 제어)하고, 속도 지령으로서 속도 제어부에 지령한다. 속도 제어부는 관절 각속도를 피드백 제어하고, 부여된 속도 지령과의 편차를 비례 적분 제어(PI 제어)하고, 전류 제어 지령으로서 전류 제어부에 지령한다.
전류 제어부는 부여된 전류 제어 지령에 기초하여 모터 전류를 제어한다.
또한, 다관절 로봇은 기계의 고유 진동수가 낮기 때문에, 목표값에 고유 진동을 여기하는 성분이 포함되지 않도록, 도 4에 도시하는 제1 동특성 연산부(동특성 1) 등에서의 필터 처리에 의해, 그들의 성분을 억제하고 있다.
단, 다관절 로봇에서는 각 축 사이에서 간섭 토크가, 중력항 등을 포함하고, 비선형항 c로서 작용한다. 특히 용접 로봇의 위빙 동작에서는, 상하로 흔들리지 않고(상하 방향의 움직임을 발생시키지 않고) 원하는 방향으로 원하는 진폭으로 용접 토치를 요동시키는 것이 필요하므로, 매우 고정밀도의 동적 제어가 필요해진다. 그로 인해, 이 비선형항 c의 영향은 막대하다.
도 5는 도 4의 제어 블록에서 도시되는 제어 장치로 다관절 로봇을 제어한 경우의 위빙 궤적을 도시한다. 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선형항 c가 작용하는 경우는, 상하 방향의 움직임이 발생해 버려, 위빙 동작으로서 적합하지 않는다. 이를 억제하기 위해서는, 목표값 베이스에서 비선형항을 산출하여, 피드 포워드 보상을 행하는 것이 생각된다.
도 6은 상기한 생각에 기초한 목표값 베이스의, 종래 기술에 관한 비선형 피드 포워드 보상을 실현하는 제어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7은 도 6의 제어 블록에서 도시되는 제어 장치로 다관절 로봇을 제어한 경우의 위빙 궤적을 도시한다. 이는 목표값 베이스의 피드 포워드 보상이므로, 위상 지연의 영향에 의해 피드 포워드 타이밍이 어긋나 버려, 오히려 상하 방향의 움직임을 악화시키는 결과로 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관한 제어에서는, 피드백 제어부(서보 제어 피드백 특성)에 있어서의 위상 특성이나 게인 특성이 각 축마다 다르고, 또한 로봇의 자세에 따라서 관성 행렬이 변화되므로, 동일축이라도 자세에 따라서 제어 피드백 특성이 변화된다. 이로 인해, 피드 포워드 제어 등의 위상을 맞추는 것이 곤란했다. 이로 인해, 상기와 같은 피드 포워드 제어는 전혀 실용화되어 있지 않고, 각 축 사이의 간섭의 영향을 억제하는 것은 곤란하게 되어 있었다.
또한, 도 6에서는, 상위 CPU가 비선형 피드 포워드 계산을 행하고 있다. 비선형항의 계산이 매우 복잡하고 계산량이 많아, 서보 제어부에서 계산하는 것이 어려우므로, 상위 CPU에 의해 목표값 베이스에서 행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관한 제어에 의한 결과(위빙 궤적)를 나타내는 도 5 및 도 7과 비교하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궤적 제어 장치(10)에 의한 결과(위빙 궤적)에서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 이동 성분은 발생하고 있지만 현저히 상하 이동 성분이 억제되어 있다. 또한, 도 3은 제2 동특성 연산부(400)에 있어서의 고주파 차단 특성을, 제1 동특성 연산부(300)에 있어서의 고주파 차단 특성과 동등한 것으로 한 경우의 결과이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궤적 제어 장치(10)에 있어서는, 제1 동특성 연산부(300)에 의해, 관절 각도 지령값 θc에 포함되는 고유 진동 성분을 포함하는 고주파가 억제된다. 또한, 제2 동특성 연산부(400)에 의해, 간섭 토크 보상 지령값 cc에 포함되는 고유 진동 성분을 포함하는 고주파가 억제된다. 이에 의해, 상술한 종래 기술에 있어서의 비선형항에 기인하는 진동이 억제된다.
이상과 같이 하여,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궤적 제어 장치는 다관절 로봇에 있어서, 각 축의 간섭 토크의 영향을 보상하여 높은 궤적 정밀도로 위빙 등의 동작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궤적 제어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궤적 제어 장치는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궤적 제어 장치(10)와, 제1 동특성 연산부(300)의 부여 방법에 있어서 다르다. 그 이외는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하므로, 상술한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여기서는 반복하지 않는다.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제1 동특성 연산부(300)와 동등 이상의 고주파 차단 특성이 제2 동특성 연산부(400)에 부여되어 있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제2 동특성 연산부(400)가, 제1 실시 형태와 같이 매우 강한 고주파 차단 특성을 구비하도록 부여된다. 또한, 제1 동특성 연산부(300)가, 제2 동특성 연산부(400)의 동특성에 각 축 서보 제어에 의해 상정되는 피드백 특성의 역특성을 곱한 것으로 하여 부여된다. 이는, 제2 동특성 연산부(400)에 있어서의 특성을 피드백 제어 동특성으로 나눈 특성에 대응하도록, 제1 동특성 연산부(300)의 특성을 부여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다.
도 2에 도시하는 제어 블록의 경우, 각 축 서보 피드백 제어의 동특성은 이하의 식 1로 부여된다. 또한, 이하에 나타내는 식에 있어서는, 「동특성 1」은 제1 동특성 연산부(300)에 있어서의 동적 특성을 나타내고, 「동특성 2」는 제2 동특성 연산부(400)에 있어서의 동적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식 1]
Figure 112014114521867-pct00001
따라서, 제1 동특성 연산부(300)는 이하의 식 2로 부여된다.
[식 2]
Figure 112014114521867-pct00002
단, 식 2가 프로퍼(proper)한 전달 함수(분자 다항식의 차수가 분모 다항식의 차수에 비해 동등하거나 또는 낮음)로 되도록, 제2 동특성 연산부(400)에는 강한 고주파 차단 특성을 부여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제1 동특성 연산부(300) 및 제2 동특성 연산부(400)를 부여한 경우의 위빙 궤적을 도 8에 도시한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궤적 제어 장치에 의한 위빙 궤적에서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위빙 궤적(도 3)보다도, 더욱 상하 방향의 진동이 억제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이 하여,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궤적 제어 장치는 다관절 로봇에 있어서, 각 축의 간섭 토크의 영향을 보상하여, 더욱 높은 궤적 정밀도로 위빙 등의 동작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의 변형예>
다음에, 제2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관한 궤적 제어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동특성 연산부(400)의 특성은 원하는 동특성(매우 강한 고주파 차단 특성으로 구비함)으로서 부여되어 있었다. 그러나, 모터 전류 제어부(520)의 전류 제어 특성을 무시할 수 없는 경우에는, 원하는 동특성을 전류 제어 특성으로 나눈 특성으로서, 제2 동특성 연산부(400)의 특성이 부여된다. 이는, 모터 전류 제어부(520)의 전류 제어 특성을 고려한 경우, 제2 동특성 연산부(400)에 있어서의 특성을 피드백 제어 동특성으로 나눔과 함께, 전류 제어 특성을 곱한 특성에 대응하도록, 제1 동특성 연산부(300)의 특성을 부여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다.
이 경우, 제2 동특성 연산부(400)의 특성은 이하의 식 3으로 부여된다.
[식 3]
Figure 112014114521867-pct00003
이로 인해, 상술한 식 2에서 나타난 제1 동특성 연산부(300)의 특성은 이하의 식 4로 부여된다.
[식 4]
Figure 112014114521867-pct00004
도 9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하여, 제1 동특성 연산부(300) 및 제2 동특성 연산부(2400)를 부여하는 경우의 제어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궤적 제어 장치(20)에 있어서, 제2 동특성 연산부(400) 대신에 설치되는 제2 동특성 연산부(2400)의 특성은, 원하는 동특성(2410)에 전류 제어 특성의 역특성(2420)을 곱한 것으로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하여, 본 변형예에 관한 궤적 제어 장치는 다관절 로봇에 있어서, 모터 전류 제어부(520)의 전류 제어 특성을 고려하여, 각 축의 간섭 토크의 영향을 보상하여, 더욱 높은 궤적 정밀도로 위빙 등의 동작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궤적 제어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궤적 제어 장치는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궤적 제어 장치(10)와, 제1 동특성 연산부(300)의 부여 방법에 있어서 다르다. 그 이외는,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하므로, 상술한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여기서는 반복하지 않는다.
전류 제어 특성은 매우 고속 응답이므로, 「게인=1」로 하여 근사해도 양호한 성능이 얻어지는 것을 고려하면, 식 1은 이하의 식 5로 변형된다.
[식 5]
Figure 112014114521867-pct00005
그리고, 제1 동특성 연산부(300)를 부여하는 식 2는 이하의 식 6으로 변형된다.
[식 6]
Figure 112014114521867-pct00006
이는, 제2 동특성 연산부(400)에 있어서의 컷오프 주파수를 제1 동특성 연산부(300)에 있어서의 컷오프 주파수보다도 낮게 함과 함께, 제2 동특성 연산부(400)에 있어서의 특성을 피드백 제어 동특성(서보 FB 제어 동특성)으로 나눈 특성에 대응하도록, 제1 동특성 연산부(300)의 특성을 부여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이 경우, 각 축 사이의 간섭이 없는 상태에서의 관절 각도 목표값 θc로부터 실제의 관절 각도 θ까지의 피드백 제어 동특성을, 위치 피드백 게인 및 속도 피드백 게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산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0은 이와 같이 하여, 제1 동특성 연산부(300) 및 제2 동특성 연산부(400)를 부여한 경우의 위빙 궤적을 도시한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궤적 제어 장치는 전류 제어 특성을 1에서 근사하고 있으므로, 당연히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위빙 궤적(도 8)의 성능에는 미치지 않는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비해 양호한, 실용에 충분히 견딜 수 있는 성능을 발휘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전류 제어 특성을 1에서 근사함으로써, 실용에 충분히 견딜 수 있는 성능을 만족하면서, 연산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제4 실시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궤적 제어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궤적 제어 장치는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궤적 제어 장치(10)와, 제1 동특성 연산부(300)의 부여 방법에 있어서 다르다. 그 이외는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하므로, 상술한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여기서는 반복하지 않는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궤적 제어 장치는 관절 각도 제어부(510)의 응답이 느린 축의 제1 동특성 연산부(300)의 위상 지연을, 관절 각도 제어부(510)의 응답이 빠른 축의 제1 동특성 연산부(300)의 위상 지연보다도 짧게 부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술한 제2 및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각 축마다 원하는 동특성이 부여되어 있었지만, 실제의 위빙 동작에서는 각 축의 동특성을 정렬시킬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전체 축에서 동일한(공통의) 원하는 동특성을 부여하면 된다. 상술한 제2 및 제3 실시 형태(도 8 및 도 10)에서는, 이미 전체 축에서 동일한 원하는 동특성이 부여되어 있다.
도 11은 원하는 동특성을 축마다 약간 변경했을 때의 위빙 궤적을 도시한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축마다 동특성을 변경시키면(각 축의 응답을 다르게 하면), 상하 이동이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상술한 제1 내지 제3 실시 형태(및 종래 기술)의 결과는 각 축의 응답을 정렬시킨 결과이고, 각 축의 응답을 정렬시키지 않은 경우, 위빙 정밀도는 악화된다.
또한, 제1 내지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원하는 동특성이 전체 축에 대해 동일하다. 식 1 및 식 2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서보 FB 제어 동특성의 역특성을 「동특성 1」에 곱하고 있으므로, 서보 FB 제어 동특성이 느린 축에서는, 빠른 축에 비해, 「동특성 1」의 응답이 빨라진다. 또한, 서보 FB 제어 동특성이 빠른 축에서는, 느린 축에 비해, 「동특성 1」의 응답이 느려진다.
식 1 및 식 2에 의해 「동특성 1」을 부여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지만, 관절 각도 지령값 θc로부터 관절 각도 θ까지의 위상 특성이나 게인 특성은 축마다 다르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궤적 제어 장치는 서보 FB 제어 동특성이 느린 축에 비해 빠른 축의 「동특성 1」을 느리게 함으로써, 도 11의 상태로부터, 전체 축에서 동일한 동특성을 「동특성 1」로서 부여한 도 3, 도 8 또는 도 9의 상태에 서서히 근접시킬 수 있다.
<제5 실시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 관한 궤적 제어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궤적 제어 장치는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궤적 제어 장치(10)가 구비하지 않았던 속도 피드 포워드 제어 및/또는 가속도 피드 포워드 제어가 추가되어 있는 점에서 다르다. 그 이외는,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하므로, 상술한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여기서는 반복하지 않는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궤적 제어 장치는 다관절 로봇(1)의 자세에 따라서, 제1 동특성 연산부(300)의 특성을 변경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실제로는, 식 1에 나타내는 J(θ)는 다관절 로봇(1)의 자세에 따라서 변화되므로, 서보 제어 특성이 변화된다. 따라서, J(θ)의 변화에 따라서, 이하의 식 7에 의해 「동특성 1」이 부여되면, 다관절 로봇(1)의 자세 변화에 대응한 피드 포워드 제어가 가능해진다.
[식 7]
Figure 112014114521867-pct00007
상술한 제1 내지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궤적 제어 장치는 속도 피드 포워드 제어 및/또는 가속도 피드 포워드 제어를 구비하고 있지 않았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궤적 제어 장치(30)는 속도 피드 포워드 제어 및 가속도 피드 포워드 제어를 구비한다.
도 12는 제5 실시 형태에 관한 궤적 제어 장치(30)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이 궤적 제어 장치(30)는 속도 피드 포워드 제어 및 가속도 피드 포워드 제어를 구비한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궤적 제어 장치(30)는 관절 각도 제어부(510) 대신에 관절 각도 제어부(3510)를 구비하고, 제2 동특성 연산부(400) 대신에 제2 동특성 연산부(3400)[동특성 연산부(3410) 및 동특성 연산부(3420)]를 구비한다.
이 도 12에 도시하는 궤적 제어 장치(30)에서는, 식 1은 이하의 식 8로 부여된다.
[식 8]
Figure 112014114521867-pct00008
이 식 8에 기초하여, 식 2, 식 4, 식 6 및 식 7을 사용함으로써, 「동특성 1」을 산출할 수 있다. 전류 제어 특성을 무시하고 1로 해도, 종래 기술보다도 양호한 성능이 얻어진다.
또한, 여기서, Gda 및 Gdv는 가속도 피드 포워드 및 속도 피드 포워드 게인이고, 0 내지 1의 값을 취한다. 또한, Jd는 J(θ)의 예측값이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전류 제어 특성도 전류 제어 게인 및 모터 파라미터(인덕턴스나 저항)로부터 산출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하여,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궤적 제어 장치는 다관절 로봇의 자세에 따라서, 각 축의 간섭 토크의 영향을 보상하여, 높은 궤적 정밀도로 위빙 등의 동작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제5 실시 형태의 변형예>
다음에, 제5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관한 궤적 제어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변형예에서는 비선형항인 간섭 토크 보상 지령값 계산부(200)의 전후에, 제2 동특성 연산부(4400)가 배치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간섭 토크 보상 지령값 계산부(200) 전에 동특성(21)(4410)이 배치되고, 간섭 토크 보상 지령값 계산부(200) 후에 동특성(22)(4420) 및 동특성(22)(4430)이 배치된다.
여기서, 동특성(21)×동특성(22)이 상술한 동특성(2)과 일치하도록 부여되면, 지금까지의 실시 형태와 동등한 효과가 얻어진다. 여기서, θe는 관절 각도 지령값 θc를 동특성(21)(4410)에 입력했을 때의 출력값이다. θe에 기초하여 간섭 토크 보상 지령값 계산부(200)에서 산출된 간섭 토크 보상 지령값 cc를 동특성(22)(4420)에 입력했을 때의 출력값이, 간섭 토크 보상값 cd이다. θe에 기초하여 간섭 토크 보상 지령값 계산부(200)에서 산출된 관성값 J(θe)를 동특성(22)(4430)에 입력했을 때의 출력값이, 관성 보상값 Jd이다.
이상과 같이 하여, 본 변형예에 관한 궤적 제어 장치는 다관절 로봇에 있어서, 각 축의 간섭 토크의 영향을 분할하여 배치된 제2 동특성 연산부에 의해 보상하여, 높은 궤적 정밀도로 위빙 등의 동작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제6 실시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6 실시 형태에 관한 궤적 제어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14 및 도 15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궤적 제어 장치의 제어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14에 도시하는 제어 블록과, 도 15에 도시하는 제어 블록은 역변환(역야코비) 요소의 수 및 위치에 있어서 다르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동특성 2」(또는 「원하는 동특성」)에 의해 목표값으로부터 실값으로의 동특성이 결정되므로, 부여된 「동특성 2」에 따라서, 위빙 동작 시의 주기에 있어서의 게인 특성 및 위상 특성을 역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특성에 따라서 위빙 지령을 보정함으로써, 원하는 위빙 동작을 실현할 수 있게 된다.
<각 실시 형태의 작용 효과>
상술한 제1 내지 제6 실시 형태와 같이, 즉 이하와 같이 구성한 궤적 제어 장치는 다관절 로봇에 있어서, 높은 궤적 정밀도로 위빙 등의 동작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1) 목표값으로부터 고유 진동 주기를 차단하는 저역 통과 필터 특성을 부여하여, 진동 성분을 목표 각도로부터 제거함과 함께, 비선형 보상 토크에 대해서도 저역 통과 필터 처리한다. 이에 의해, 목표값과 비선형 보상 토크의 위상을 정렬시켜, 진동 억제하면서 비간섭화 제어를 행한다.
(2) 서보 제어부의 위상 지연이 있는 상태에 있어서도, 비선형 보상에 관한 저역 통과 필터의 특성을 지연시킴으로써, 목표값과 비선형 보상 토크의 위상을 정렬시켜, 진동 억제하면서 비간섭화 제어를 행한다.
(3) 축마다의 서보 제어 특성의 차이를, 상기의 저역 통과 필터에 의해 흡수함으로써, 축마다의 특성차를 정렬시킨다.
(4) 로봇의 자세에 따라서 필터 특성을 변경함으로써, 로봇의 자세에 따라서 변화되는 서보 제어 특성을 흡수한다.
(5) 상술한 대응 후, 위빙 주기마다 위빙 진폭 보정을 행한다.
또한, 금회 개시된 실시 형태는 모든 점에서 예시이며 제한적인 것은 아니라고 생각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설명이 아닌 특허 청구 범위에 의해 나타나고,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이 포함되는 것이 의도된다. 본 출원은 2012년 5월 30일 출원의 일본 특허 출원(일본 특허 출원 제2012-123240)에 기초하는 것이고, 그 내용은 여기에 참조로서 도입된다.
1 : 다관절 로봇
10, 20, 30, 40 : 궤적 제어 장치
100 : 관절 각도 지령값 계산부
200 : 간섭 토크 보상 지령값 계산부(비선형 FF)
300 : 제1 동특성 연산부[동특성(1)]
400, 2400, 3400, 4400 : 제2 동특성 연산부[동특성(2)]
500 : 피드백 제어부(서보 제어 FB 특성)
510 : 관절 각도 제어부
520 : 모터 전류 제어부(전류 제어)

Claims (7)

  1. 다관절 로봇에 설치된 툴에 원하는 동작을 행하게 하도록 복수의 관절축을 모터에 의해 구동하는 다관절 로봇의 궤적 제어 장치이며,
    상기 툴의 원하는 동작을 실현하기 위한 각 관절축의 관절 각도 지령값 θc를 산출하여 출력하는 관절 각도 지령값 계산부와,
    상기 관절 각도 지령값 θc와 같이 동작했을 때에 발생하는 각 관절축 사이에서 서로 작용하는 간섭 토크를, 동역학 모델에 기초하여 관절 각도 지령값 θc로부터 산출하고, 간섭 토크 보상 지령값 cc를 출력하는 간섭 토크 보상 지령값 계산부와,
    상기 다관절 로봇의 고유 진동 주파수보다도 낮은 컷오프 주파수를 갖는 고주파 차단 특성을 구비하여, 상기 관절 각도 지령값 θc를 필터링 처리하고, 처리 후의 관절 각도 목표값 θd를 출력하는 제1 동특성 연산부와,
    상기 관절 각도 목표값 θd가 상기 모터에 대한 목표값으로서 입력되는 관절 각도 제어부와,
    상기 제1 동특성 연산부보다도 낮거나, 또는 동등한 컷오프 주파수를 갖는 고주파 차단 특성을 구비하여, 상기 간섭 토크 보상 지령값 계산부로의 입력 및 상기 간섭 토크 보상 지령값 계산부로부터의 출력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필터링 처리하고, 처리 후의 간섭 토크 보상값 cd를 출력하는 제2 동특성 연산부와,
    상기 관절 각도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모터 토크 지령값에, 상기 간섭 토크 보상값 cd가 가산된 값이 목표값으로서 입력되는 모터 전류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고,
    각 축 사이의 간섭이 없는 상태에서의 관절 각도 목표값 θc로부터 실제의 관절 각도 θ까지의 피드백 제어 동특성을, 위치 피드백 게인 및 속도 피드백 게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산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동특성 연산부에 있어서의 컷오프 주파수를 상기 제1 동특성 연산부에 있어서의 컷오프 주파수보다도 낮게 함과 함께, 상기 제2 동특성 연산부에 있어서의 특성을 상기 피드백 제어 동특성으로 나눈 특성에 대응하도록, 상기 제1 동특성 연산부의 특성을 부여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관절 로봇의 궤적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절 각도 제어부의 응답이 느린 축의 제1 동특성 연산부의 위상 지연을, 상기 관절 각도 제어부의 응답이 빠른 축의 제1 동특성 연산부의 위상 지연보다도 짧게 부여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관절 로봇의 궤적 제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관절 로봇의 자세에 따라서, 상기 제1 동특성 연산부의 특성을 변경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관절 로봇의 궤적 제어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관절 로봇의 자세에 따라서, 상기 제1 동특성 연산부의 특성을 변경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관절 로봇의 궤적 제어 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전류 제어부의 전류 제어 특성을 고려하는 경우, 상기 제2 동특성 연산부에 있어서의 특성을 상기 피드백 제어 동특성으로 나눔과 함께, 상기 전류 제어 특성을 곱한 특성에 대응하도록, 상기 제1 동특성 연산부의 특성을 부여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관절 로봇의 궤적 제어 장치.
  7. 다관절 로봇에 설치된 툴에 원하는 동작을 행하게 하도록 복수의 관절축을 모터에 의해 구동하는 다관절 로봇의 궤적 제어 방법이며,
    상기 툴의 원하는 동작을 실현하기 위한 각 관절축의 관절 각도 지령값 θc를 산출하여 출력하는 관절 각도 지령값 계산 스텝과,
    상기 관절 각도 지령값 θc와 같이 동작했을 때에 발생하는 각 관절축 사이에서 서로 작용하는 간섭 토크를, 동역학 모델에 기초하여 관절 각도 지령값 θc로부터 산출하고, 간섭 토크 보상 지령값 cc를 출력하는 간섭 토크 보상 지령값 계산 스텝과,
    상기 다관절 로봇의 고유 진동 주파수보다도 낮은 컷오프 주파수를 갖는 고주파 차단 특성을 구비하여, 상기 관절 각도 지령값 θc를 필터링 처리하고, 처리 후의 관절 각도 목표값 θd를 출력하는 제1 동특성 연산 스텝과,
    상기 관절 각도 목표값 θd가 상기 모터에 대한 목표값으로서 입력되는 관절 각도 제어 스텝과,
    상기 제1 동특성 연산 스텝보다도 낮거나, 또는 동등한 컷오프 주파수를 갖는 고주파 차단 특성을 구비하여, 상기 간섭 토크 보상 지령값 계산 스텝으로의 입력 및 상기 간섭 토크 보상 지령값 계산 스텝으로부터의 출력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필터링 처리하고, 처리 후의 간섭 토크 보상값 cd를 출력하는 제2 동특성 연산 스텝과,
    상기 관절 각도 제어 스텝으로부터 출력되는 모터 토크 지령값에, 상기 간섭 토크 보상값 cd가 가산된 값이 목표값으로서 입력되는 모터 전류 제어 스텝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고,
    각 축 사이의 간섭이 없는 상태에서의 관절 각도 목표값 θc로부터 실제의 관절 각도 θ까지의 피드백 제어 동특성을, 위치 피드백 게인 및 속도 피드백 게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산출하도록 하고,
    상기 제2 동특성 연산 스텝에 있어서의 컷오프 주파수를 상기 제1 동특성 연산 스텝에 있어서의 컷오프 주파수보다도 낮게 함과 함께, 상기 제2 동특성 연산 스텝에 있어서의 특성을 상기 피드백 제어 동특성으로 나눈 특성에 대응하도록, 상기 제1 동특성 연산 스텝의 특성을 부여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관절 로봇의 궤적 제어 방법.
KR1020147033244A 2012-05-30 2013-05-30 다관절 로봇의 궤적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KR1016742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123240 2012-05-30
JP2012123240A JP5409844B2 (ja) 2012-05-30 2012-05-30 多関節ロボットの軌跡制御装置および制御方法
PCT/JP2013/065054 WO2013180222A1 (ja) 2012-05-30 2013-05-30 多関節ロボットの軌跡制御装置および制御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6016A KR20150006016A (ko) 2015-01-15
KR101674282B1 true KR101674282B1 (ko) 2016-11-08

Family

ID=496734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33244A KR101674282B1 (ko) 2012-05-30 2013-05-30 다관절 로봇의 궤적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254569B2 (ko)
EP (1) EP2857152B1 (ko)
JP (1) JP5409844B2 (ko)
KR (1) KR101674282B1 (ko)
CN (1) CN104334323B (ko)
WO (1) WO201318022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74613B2 (ja) * 2012-05-30 2013-12-25 株式会社神戸製鋼所 多関節ロボットの弾性変形補償制御装置および制御方法
JP5409844B2 (ja) * 2012-05-30 2014-02-05 株式会社神戸製鋼所 多関節ロボットの軌跡制御装置および制御方法
JP5916583B2 (ja) * 2012-10-19 2016-05-11 株式会社神戸製鋼所 多関節ロボットのウィービング制御装置
JP6381268B2 (ja) * 2014-04-17 2018-08-29 キヤノン株式会社 ロボット制御システム及びロボットの制御方法
EP2954986B1 (de) * 2014-06-10 2020-05-06 Siemens Aktiengesellschaft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Steuern und Regeln eines Mehrkörpersystems
DE102015106227B3 (de) * 2015-04-22 2016-05-19 Deutsches Zentrum für Luft- und Raumfahrt e.V. Steuern und/oder Regeln von Motoren eines Roboters
CN105964820B (zh) * 2016-05-24 2017-08-04 衢州学院 高速重载冲压机械臂控制系统
CN107538494A (zh) * 2016-06-29 2018-01-05 沈阳新松机器人自动化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转矩传感器和编码器的机器人控制方法及系统
CN107662205A (zh) * 2016-07-29 2018-02-06 深圳光启合众科技有限公司 机器人及其关节运动控制方法和装置
JP6870433B2 (ja) * 2017-03-31 2021-05-1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制御装置、およびロボットシステム
WO2019012942A1 (ja) 2017-07-11 2019-01-1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ロボット制御装置
KR102436844B1 (ko) * 2018-02-02 2022-08-26 주식회사 만도 모터의 토크 보상 장치 및 방법
CN108638056A (zh) * 2018-04-13 2018-10-12 华南理工大学 基于柔体动力学模型的机器人关节振动分析与抑制方法
JP7183601B2 (ja) * 2018-07-20 2022-12-0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ロボットシステムおよびロボットシステムの制御方法
CN111958600B (zh) * 2020-08-19 2022-03-18 南京埃斯顿机器人工程有限公司 一种工业机器人停止过程段的振动抑制方法
CN112077846B (zh) * 2020-09-08 2022-02-18 西华大学 非线性机器人抗外源干扰控制器设计方法
CN112077847B (zh) * 2020-09-08 2022-02-22 西华大学 受非匹配干扰机器人的位置跟踪控制方法
CN112743541B (zh) * 2020-12-21 2022-03-04 南京埃斯顿自动化股份有限公司 一种无力/力矩传感器机械臂软浮动控制方法
US11845190B1 (en) * 2021-06-02 2023-12-19 Google Llc Injecting noise into robot simulation
CN114310917B (zh) * 2022-03-11 2022-06-14 山东高原油气装备有限公司 一种油管搬运机器人关节轨迹误差补偿方法
KR102607486B1 (ko) * 2023-03-24 2023-11-29 주식회사 아임토리 로봇팔의 진동 노이즈 제거 방법 및 장치
KR102607487B1 (ko) * 2023-03-29 2023-11-29 주식회사 아임토리 로봇팔의 노이즈 제거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37759A (en) * 1986-02-18 1990-06-26 Robotics Research Corporation Industrial robot with controller
US5155423A (en) * 1986-02-18 1992-10-13 Robotics Research Corporation Industrial robot with servo
US4975856A (en) * 1986-02-18 1990-12-04 Robotics Research Corporation Motion controller for redundant or nonredundant linkages
US4786847A (en) * 1986-11-20 1988-11-22 Unimation Inc. Digital control for multiaxis robots
JPH087625B2 (ja) * 1989-07-06 1996-01-29 株式会社安川電機 フィードフォワード補償を用いた位置制御装置
US4999553A (en) * 1989-12-28 1991-03-12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Administrator Of The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ation control of redundant robots
US5179514A (en) * 1990-08-08 1993-01-12 The Research Foundation Of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Method and apparatus for trajectory control of robot manipulators or the like
JPH04279901A (ja) * 1991-03-07 1992-10-06 Hitachi Ltd 産業用ロボットの制御装置
JPH06250723A (ja) * 1993-02-25 1994-09-09 Komatsu Ltd ロボットの振動低減装置
JP3436320B2 (ja) * 1994-04-18 2003-08-11 富士通株式会社 非線形システムの出力軌道と動特性の制御方法および装置
JPH087625A (ja) 1994-06-17 1996-01-12 Samutetsuku:Kk 水槽用装飾装置
JPH10217173A (ja) * 1997-02-07 1998-08-18 Yaskawa Electric Corp ロボットの非干渉化制御装置
JPH1173211A (ja) * 1997-08-29 1999-03-16 Canon Inc 剛物体経路制御装置
JPH11134012A (ja) * 1997-10-24 1999-05-21 Fanuc Ltd 軌跡誤差補正機能を有するロボット
JP3634238B2 (ja) * 2000-05-19 2005-03-3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脚式移動ロボットの床形状推定装置
US7684896B2 (en) * 2001-06-29 2010-03-23 Honda Motor Co., Ltd. System and method of estimating joint loads using an approach of closed form dynamics
US7212886B2 (en) * 2002-12-12 2007-05-01 Kabushiki Kaisha Yaskawa Denki Robot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CN100584547C (zh) * 2003-07-29 2010-01-27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控制机械手的方法
US7339339B2 (en) * 2004-02-25 2008-03-04 The Ritsumeikan Trust Control system of floating mobile body
JP4056080B2 (ja) * 2006-01-13 2008-03-0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ロボットアームの制御装置
US20100168919A1 (en) * 2006-03-24 2010-07-0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Control method and control system for manipulator
US8924021B2 (en) * 2006-04-27 2014-12-30 Honda Motor Co., Ltd. Control of robots from human motion descriptors
WO2007143859A1 (en) * 2006-06-14 2007-12-21 Macdonald Dettwiler & Associates Inc. Surgical manipulator with right-angle pulley drive mechanisms
US7986118B2 (en) * 2007-04-23 2011-07-26 Honda Motor Co., Ltd. Open-loop torque control on joint position-controlled robots
JP4836872B2 (ja) * 2007-05-31 2011-12-14 株式会社東芝 制御装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ロボット
US8444631B2 (en) * 2007-06-14 2013-05-21 Macdonald Dettwiler & Associates Inc Surgical manipulator
JP5854695B2 (ja) * 2010-09-22 2016-02-09 キヤノン株式会社 ロボット装置の制御方法及びロボット装置
JP5306313B2 (ja) * 2010-12-20 2013-10-02 株式会社東芝 ロボット制御装置
JP5778925B2 (ja) * 2010-12-24 2015-09-16 セミコンダクター・コンポーネンツ・インダストリーズ・リミテッド・ライアビリティ・カンパニー モータ駆動回路
JP5374613B2 (ja) * 2012-05-30 2013-12-25 株式会社神戸製鋼所 多関節ロボットの弾性変形補償制御装置および制御方法
JP5409844B2 (ja) * 2012-05-30 2014-02-05 株式会社神戸製鋼所 多関節ロボットの軌跡制御装置および制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112484A1 (en) 2015-04-23
EP2857152A1 (en) 2015-04-08
EP2857152B1 (en) 2017-08-02
CN104334323A (zh) 2015-02-04
JP5409844B2 (ja) 2014-02-05
KR20150006016A (ko) 2015-01-15
EP2857152A4 (en) 2016-07-13
JP2013248682A (ja) 2013-12-12
WO2013180222A1 (ja) 2013-12-05
CN104334323B (zh) 2016-05-11
US9254569B2 (en) 2016-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4282B1 (ko) 다관절 로봇의 궤적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KR101612218B1 (ko) 다관절 로봇의 탄성 변형 보상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JP5916583B2 (ja) 多関節ロボットのウィービング制御装置
JPH02310609A (ja) マニピユレータの位置と力の協調制御装置
JP6821041B2 (ja) サーボ制御装置
JP5642214B2 (ja) 多関節ロボットの弾性変形補償制御装置
JP5441944B2 (ja) モータ制御装置
JP4781000B2 (ja) サーボ制御装置
JP5868266B2 (ja) 多関節ロボットの弾性変形補償制御装置および制御方法
JP6814441B2 (ja) 駆動機械の学習制御装置及び学習制御方法
KR100342256B1 (ko) 로봇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