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4259B1 - 고체 산화물 연료전지의 연료극 지지체 제조방법 및 고체 산화물 연료전지의 연료극 지지체 - Google Patents

고체 산화물 연료전지의 연료극 지지체 제조방법 및 고체 산화물 연료전지의 연료극 지지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4259B1
KR101674259B1 KR1020140129594A KR20140129594A KR101674259B1 KR 101674259 B1 KR101674259 B1 KR 101674259B1 KR 1020140129594 A KR1020140129594 A KR 1020140129594A KR 20140129594 A KR20140129594 A KR 20140129594A KR 101674259 B1 KR101674259 B1 KR 1016742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ode support
support
fuel cell
less
electroly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95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35457A (ko
Inventor
허연혁
최광욱
이종진
오탁근
손부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ublication of KR201500354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54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42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42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01M4/88Processes of manufacture
    • H01M4/8817Treatment of supports before application of the catalytic active composi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CABRASIVE OR RELATED BLASTING WITH PARTICULATE MATERIAL
    • B24C11/00Selection of abrasive materials or additives for abrasive blas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01M4/88Processes of manufa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01M4/88Processes of manufacture
    • H01M4/8878Treatment steps after deposition of the catalytic active composition or after shaping of the electrode being free-standing bod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2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operating at high temperature, e.g. with stabilised ZrO2 electroly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2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operating at high temperature, e.g. with stabilised ZrO2 electrolyte
    • H01M8/1213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operating at high temperature, e.g. with stabilised ZrO2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electrode/electrolyte combination or the supporting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2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operating at high temperature, e.g. with stabilised ZrO2 electrolyte
    • H01M8/1213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operating at high temperature, e.g. with stabilised ZrO2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electrode/electrolyte combination or the supporting material
    • H01M8/1226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operating at high temperature, e.g. with stabilised ZrO2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electrode/electrolyte combination or the suppor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upporting lay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01M2004/8678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characterised by the polarity
    • H01M2004/8684Negative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2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operating at high temperature, e.g. with stabilised ZrO2 electrolyte
    • H01M2008/1293Fuel cells with solid oxide electroly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04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04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 H01M4/043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involving compressing or compaction
    • H01M4/0435Rolling or calender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4Carriers or collectors
    • H01M4/70Carriers or collectors characterised by shape or form
    • H01M4/80Porous plates, e.g. sintered carriers
    • H01M4/801Sintered carriers
    • H01M4/803Sintered carriers of only powdered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01M4/88Processes of manufacture
    • H01M4/8875Methods for shaping the electrode into free-standing bodies, like sheets, films or grids, e.g. moulding, hot-pressing, casting without support, extrusion without suppor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Fuel Cell (AREA)
  • Inert Electrode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고체 산화물 연료전지의 연료극 지지체 제조방법 및 고체 산화물 연료전지의 연료극 지지체에 관한 것으로서, 연료극 지지체와 전해질 사이의 계면 특성을 향상시켜 연료전지의 성능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고체 산화물 연료전지의 연료극 지지체 제조방법 및 고체 산화물 연료전지의 연료극 지지체{METHOD FOR MANUFACTURING ANODE SUPPORT OF SOLID OXIDE FUEL CELL AND ANODE SUPPORT OF SOLID OXIDE FUEL CELL}
본 출원은 2013년 9월 27일에 한국특허청에 제출된 한국 특허 출원 제10-2013-0115512호의 출원일의 이익을 주장하며, 그 내용 전부는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본 출원은 고체 산화물 연료전지의 연료극 지지체 제조방법 및 고체 산화물 연료전지의 연료극 지지체에 관한 것이다.
연료전지란 연료와 공기의 화학 에너지를 전기 화학적 반응에 의해 전기 및 열로 직접 변환시키는 장치이다. 연료전지는 기존의 발전기술이 연료의 연소, 증기 발생, 터빈 구동, 발전기 구동 과정을 취하는 것과 달리 연소 과정이나 구동 장치가 없으므로 효율이 높을 뿐만 아니라 환경문제를 유발하지 않는 새로운 개념의 발전 기술이다. 이러한 연료전지는 SOx와 NOx 등의 대기오염물질을 거의 배출하지 않고 이산화탄소의 발생도 적어 무공해 발전이며, 저소음, 무진동 등의 장점이 있다.
연료전지는 인산형 연료전지(PAFC), 알칼리형 연료전지(AFC), 고분자전해질형 연료전지(PEMFC), 직접메탄올 연료전지(DMFC), 고체 산화물 연료전지(SOFC) 등 다양한 종류가 있는데, 이 중 고체 산화물 연료전지(SOFC)는 낮은 활성화 분극을 바탕으로 하여 과전압이 낮고, 비가역적 손실이 적으므로 발전효율이 높다. 또한, 수소뿐만 아니라 탄소 또는 하이드로 카본계의 연료로 사용할 수 있어 연료 선택 폭이 넓으며, 전극에서의 반응속도가 높기 때문에 전극 촉매로서 값비싼 귀금속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게다가, 발전에 부수하여 배출되는 열은 온도가 매우 높아 이용 가치가 높다. 고체 산화물 연료전지에서 발생한 열은 연료의 개질에 이용될 뿐만 아니라, 열병합 발전에서 산업용이나 냉방용 에너지원으로 이용할 수 있다.
고체 산화물 연료전지는 지지체의 상대적인 두께에 따라 연료극 지지체식, 공기극 지지체식, 전해질 지지체식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연료극 지지체식 SOFC는 연료극의 전기 전도도가 높음에 따라 두꺼운 지지체 형태가 되어도 전류 저항이 크지 않다는 이점을 갖고 있다.
그래서, 연료극 지지체식 고체 산화물 연료전지의 성능 및 연료전지 셀의 내구성 향상을 위해 기술 개발이 요구되었다.
한국 공개 특허 제10-2007-0037254호
본 출원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고체 산화물 연료전지의 연료극 지지체와 전해질 사이의 계면 특성을 향상시켜 연료극에서 수소 산화 반응이 일어나는 실질적인 면적을 넓힘으로써 연료전지의 성능을 향상시키고, 계면의 엽렬현상(delamination)을 방지하여 셀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연료극 지지체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출원이 해결하려는 다른 과제는, 상기 연료극 지지체를 포함하는 고체 산화물 연료전지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출원의 해결하려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출원의 하나의 실시상태는 금속 및 산소 이온전도성을 갖는 무기 산화물을 포함하는 연료극 지지체의 적어도 한 표면을 블라스트법을 사용하여 표면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고체 산화물 연료전지의 연료극 지지체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출원의 다른 실시상태는 상기 제조방법을 이용하여 연료극 지지체를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연료극 지지체의 표면 처리된 표면에 이온전도성을 갖는 무기 산화물을 도포하여 전해질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고체 산화물 연료전지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출원의 다른 실시상태는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고체 산화물 연료전지의 연료극 지지체를 제공한다.
본 출원의 다른 실시상태는 금속 및 산소 이온전도성을 갖는 무기 산화물을 포함하는 고체 산화물 연료전지의 연료극 지지체이고, 상기 연료극 지지체의 적어도 한 표면에 폭 0.5 마이크로미터 이상 10 마이크로미터 이하의 요철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요철의 최고점 및 최저점의 높이 차이는 연료극 지지체 전체 두께의 0.1% 이상 5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산화물 연료전지의 연료극 지지체를 제공한다.
본 출원의 다른 실시상태는 상기 연료극 지지체를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연료극 지지체의 표면 처리된 표면에 이온전도성을 갖는 무기 산화물을 도포하여 전해질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고체 산화물 연료전지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출원의 다른 실시상태는 상기 연료극 지지체; 상기 연료극 지지체와 대향하여 위치하는 공기극; 및 상기 연료극 지지체와 공기극 사이에 위치하는 전해질을 포함하는 고체 산화물 연료전지를 제공한다.
본 출원의 하나의 실시상태에 따른 고체 산화물 연료전지의 연료극 지지체는 전해질 사이의 계면 특성이 향상되어 연료전지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연료극 지지체와 전해질 사이 계면의 엽렬현상(delamination)을 방지하여 연료전지의 효율이 떨어지는 속도를 늦출 수 있고, 셀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실시예 1의 연료극 지지체에 전해질이 도포된 모습의 단면도를 전자현미경(SEM)으로 측정한 그래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비교예 1의 연료극 지지체에 전해질이 도포된 모습의 단면도를 전자현미경(SEM)으로 측정한 그래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실시예 1의 연료극 지지체의 표면 거칠기를 옵티컬 프로파일러(Optical Profiler)를 이용하여 측정한 데이터를 나타낸 것이다.
본 출원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상태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출원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상태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고, 단지 본 실시상태들은 본 출원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출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고, 본 출원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도면에서 표시된 구성요소의 크기 및 상대적인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과장된 것일 수 있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는 본 출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출원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출원의 하나의 실시상태는 금속 및 산소 이온전도성을 갖는 무기 산화물을 포함하는 연료극 지지체의 적어도 한 표면을 블라스트법을 사용하여 표면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고체 산화물 연료전지의 연료극 지지체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적어도 한 표면은 전해질과 접하는 표면을 의미하고, 표면의 일부 또는 전부일 수 있다.
상기 표면 처리된 표면은 전해질과 접하는 부분일 수 있다.
상기 연료극 지지체는 연료의 전기화학적 산화와 전자의 전달 역할을 한다.
상기 연료극 지지체의 제조방법은 금속 산화물 및 산소 이온 전도성을 갖는 무기 산화물이 포함된 연료극 지지체에서 금속 산화물을 금속으로 환원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금속 산화물의 환원은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적인 방법을 사용해도 무방하며, 구체적으로, 550℃ 이상 950℃ 이하의 온도에서 환원 가스, 구체적으로 수소 가스 분위기에서 진행될 수 있다.
상기 블라스트법은 모래 블라스트법 또는 세라믹 비드 블라스트법일 수 있다.
상기 모래 또는 세라믹 비드의 직경은 0.5 밀리미터 이상 10 밀리미터 이하일 수 있다. 0.5 밀리미터 이상이어야 연료극 지지체의 표면 처리가 가능할 수 있고, 10 밀리미터 이하이어야 직경이 클 경우 연료극 지지체의 강도를 현저하게 약화시킬 수도 있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세라믹 비드의 종류는 가돌리늄이 도핑된 세리아(GDC), 가돌리늄이 도핑된 지르코니아(GDZ), 사마륨이 도핑된 세리아(SDC), 사마륨이 도핑된 지르코니아(SDZ), 이트륨이 도핑된 세리아(YDC), 이트륨이 도핑된 지르코니아(YDZ), 이트리아 안정화 지르코니아(YSZ) 및 스칸디아 안정화 지르코니아(ScSZ)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일 수 있다. 세라믹 비드의 형상은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구형, 원통형, 원뿔형, 비정형일 수 있다.
상기 블라스트법에서 분사 속도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0.1m/sec 이상 41.6m/sec 이하의 범위일 수 있다. 0.1m/sec 이상이어야 연료극 지지체의 표면 처리가 가능할 수 있고, 41.6m/sec 이하이어야 블라스트 속도가 과도하게 클 경우 연료극 지지체의 강도를 현저하게 약화시킬 수도 있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블라스트법에서 분사 압력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0.5 bar 이상 5 bar 이하일 수 있다.
상기 금속은 Zr, Ce, Ti, Mg, Al, Si, Mn, Fe, Co, Ni, Cu, Zn, Mo, Y, Nb, Sn, La, Ta, V 및 Nd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Ni을 사용할 수 있다. Ni은 높은 전자 도전성을 갖는 동시에 수소와 탄화수소계 연료의 흡착이 일어나 높은 전극 촉매 활성을 발휘할 수 있다. 또 백금 등에 비하여 값이 저렴한 점에서도 전극용 재료로 장점을 갖는다.
상기 산소 이온전도성을 갖는 무기 산화물은 가돌리늄이 도핑된 세리아(GDC), 가돌리늄이 도핑된 지르코니아(GDZ), 사마륨이 도핑된 세리아(SDC), 사마륨이 도핑된 지르코니아 (SDZ), 이트륨이 도핑된 세리아(YDC), 이트륨이 도핑된 지르코니아(YDZ), 이트리아 안정화 지르코니아(YSZ) 및 스칸디아 안정화 지르코니아(ScSZ)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가돌리늄이 도핑된 세리아(GDC) 또는 이트리아 안정화 지르코니아(YSZ)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표면 처리된 표면은 폭 0.5 마이크로미터 이상 10 마이크로미터 이하의 요철을 포함하고, 상기 요철의 최고점 및 최저점의 높이 차이는 연료극 지지체 전체 두께의 0.1% 이상 50% 이하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 있을 때, 상기 표면 처리에 따른 표면적의 증가 효과를 나타낼 수 있고, 상기 연료극 지지체의 물리적 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요철의 폭은 블라스트법을 이용하여 분사되는 재료의 크기(예컨대, 구형인 경우 구의 지름)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분사되는 입자가 클수록 요철의 폭도 그만큼 커지는 경향이 있고, 분사되는 입자가 작을 수록 요철의 폭도 좁아지는 경향이 있다. 상기 요철의 폭 및 깊이는 옵티컬 프로파일러(optical profiler)로 측정할 수 있고, 더 정확하게는 단면을 전자현미경(SEM)으로 촬영하여 측정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폭은 요철의 단면에서 어느 하나의 요(凹)부의 최저점에서 인접한 요(凹)부의 최저점까지의 거리를 의미한다. 이때, 인접한 요(凹)부들이란 철(凸)부를 사이에 둔 두 요(凹)부를 의미한다. 즉, 상기 요철의 폭은 요철을 상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마루와 마루 사이 또는 골과 골 사이의 직선거리를 의미하고, 요철의 최고점과 최저점 상이의 높이 차이는 가장 깊은 마루를 포함하는 표면에서 최고점까지의 수직거리를 의미한다. 도 1을 참고하면, A는 요철의 폭을 의미하고, 연료극 지지체에 형성된 요철의 상면도에서 마루와 마루 사이의 직선거리로 측정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요철의 최고점 및 최저점의 높이 차이는 요철의 최저점을 포함하는 표면에서 요철의 최고점까지의 수직거리를 의미할 수 있다. 도 1을 참고하면, B가 나타내는 깊이는 도 1에서 측정된 위치에서의 어느 한 요철의 낮은 점을 포함하는 평면에서 가장 높은 점을 가지는 요철의 마루 사이의 수직거리를 나타낸다. 상기 연료극 지지체 전체에서 요철 중 가장 낮은 골을 가지는, 즉 요철의 최저점을 포함하는 면에서 요철 중 가장 높은 마루를 가지는, 즉 요철의 최고점까지의 수직거리가 상기 요철의 최고점 및 최저점의 높이 차이가 될 수 있다. 상기 요철의 최고점 및 최저점의 높이 차이는 표면 처리된 표면의 최저점과 최고점의 차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연료극 지지체 제조시에 블라스트 표면 처리를 한 경우는 하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지지체의 표면적이 1.5배 이상 10배 이하로 증가할 수 있다. 상기 표면 처리된 표면의 표면적은 표면 처리 전의 표면적보다 1.5배 이상 10배 이하로 증가할 수 있다. 표면적이 늘어남으로써 삼상계면(TPB: Triple Phase Boundary)이 늘어나게 되고, 연료전지 셀의 성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계면의 엽렬현상을 방지하는 효과도 있다.
상기 표면 처리된 표면의 거칠기는 150 나노미터 이상 900 나노미터 이하일 수 있다. 150 나노미터 이상이면 표면 처리 효과가 우수하고, 900 나노미터 이하이면 고온에서 작동 중에 연료극 지지체의 크랙에 의해 파괴될 수도 있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거칠기는 중심선 평균 거칠기(Ra: Arithmetical average roughness)를 의미한다. 중심선 평균 거칠기란 기준 길이 내에서 산과 골의 높이와 깊이를 중심선을 기준으로 평균하여 얻어지고, 중심선이 평균선으로부터 떨어진 거리를 의미한다. 중심선은 기준길이 내에서 평균 단면 곡선과 평행한 직선을 그었을 때 이 직선과 단면 곡선으로 둘러싸인 면적이 같게 되는 직선을 말한다.
상기 표면 거칠기는 당 분야에 알려진 방법이면 어떠한 방법으로든 측정 가능하며, 예를 들어, 옵티컬 프로파일러(Optical Profiler)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상기 표면 처리된 표면의 면적 고유 저항(ASR: area specific resistance)은 0.01 Ωcm2 이상 0.45 Ωcm2 이하일 수 있다. 이때 면적 고유 저항은 당 분야에 알려진 방법이면 어떠한 방법으로든 측정 가능하며, 예를 들어, 고온 임피던스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다. 상기 면적 고유 저항(ARS)는 전해질과 전극 계면의 교류 임피던스 특성이고, 이 값이 낮을 수록 전해질과 전극 사이 계면의 저항이 낮아 높은 연료 전지의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표면 처리에 의해 계면의 면적이 증가하여 반응할 수 있는 장소가 증가하게 되고, 이에 따라 면저항(면적고유저항)이 상기 범위 내로 낮아져 연료전지의 성능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연료극 지지체의 두께는 통상 0.5 밀리미터 이상 50 밀리미터 이하일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1 밀리미터 이상 10 밀리미터 이하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 있을 때, 물리적 강도를 유지하여 연료 전지의 안정성을 나타낼 수 있고, 낮은 전기 저항으로 인헤 높은 연료 전지 성능을 나타낼 수 있다.
상술한 연료극 지지체의 재료들은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고,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며, 연료극 지지체 단독으로 형성할 수도 있고, 연료극 지지체 상에 별도의 연료극을 더 형성할 수도 있으며, 서로 다른 연료극 재료를 이용하여 다층 구조의 연료극을 더 형성할 수도 있다. 또는 연료극 지지체는 소결 중에 연료극 지지체가 치밀화되는 것을 지연시키기 위해 출발물질인 금속 산화물과 산소 이온 전도성을 갖는 무기 산화물로 수 마이크로미터 이상의 조대 입자를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소결 후의 연료극 내부에서 가스반응이 일어나는 삼상계면(TPB: Triple Phase Boundary)이 충분히 형성되지 못할 수 있으므로, 연료극 지지체와 전해질 사이에 연료극 지지체와 동일한 조성을 가지면서 입자 크기가 미세한 기능성층(FL: Functional Layer)을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다.
본 출원의 하나의 실시상태는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고체 산화물 연료전지의 연료극 지지체를 제공한다.
본 출원의 하나의 실시상태는 상기 제조방법을 이용하여 연료극 지지체를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연료극 지지체의 표면 처리된 표면에 이온전도성을 갖는 무기 산화물을 도포하여 전해질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고체 산화물 연료전지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전해질에 포함되는 무기 산화물은 연료극 지지체에 포함되는 무기 산화물과 동일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전해질은 공기와 연료가 혼합되지 않도록 치밀해야 하고 산소이온 전도도가 높고 전자전도도가 낮아야 한다. 또한, 상기 전해질은 양쪽에 산소 분압차가 아주 큰 연료극과 공기극이 위치하므로 넓은 산소분압 영역에서 위의 물성을 유지할 필요가 있다.
상기 전해질에 포함되는 무기 산화물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가돌리늄, 이트륨, 사마륨, 스칸듐, 칼슘 및 마그네슘 중 적어도 하나로 도핑되거나 도핑되지 않은 지르코니아계; 가돌리늄, 사마륨, 란타늄, 이테르븀 및 네오디뮴 중 적어도 하나로 도핑되거나 도핑되지 않은 세리아계; 칼슘, 스트론튬, 바륨, 가돌리튬 및 이트륨 중 적어도 하나로 도핑되거나 도핑되지 않은 비스무스 산화물계; 및 스트론튬 및 마그네슘 중 적어도 하나로 도핑되거나 도핑되지 않은 란타늄 갈레이트(lanthanum gallate)계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가돌리늄이 도핑된 세리아(GDC), 가돌리늄이 도핑된 지르코니아(GDZ), 사마륨이 도핑된 세리아(SDC), 사마륨이 도핑된 지르코니아 (SDZ), 이트륨이 도핑된 세리아(YDC), 이트륨이 도핑된 지르코니아(YDZ), 이트리아 안정화 지르코니아(YSZ) 및 스칸디아 안정화 지르코니아(ScSZ)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전해질의 두께는 통상 10 나노미터 이상 100 마이크로미터 이하일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100 나노미터 이상 50 마이크로미터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연료극 지지체에 전해질을 형성하는 방법은 딥-코팅, 페인팅 등을 포함하는 전형적인 슬러리 코팅법, 테이프 캐스팅법, 스크린 인쇄법, 습식 스프레이법 또는 화학증착법, 물리증착법과 같은 진공증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전해질은 열처리하여 소결시킨 것일 수 있다. 열처리 온도는 800℃ 이상 1,500℃ 이하일 수 있다.
상기 고체 산화물 연료전지의 제조방법은 전해질에 공기극 조성물을 도포하여 공기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료전지 공기극은 연료전지에서 산소 환원 촉매에 의하여 전기화학적 반응이 일어나는 층을 의미한다. 산소가스를 산소이온으로 환원시키며, 공기극에 공기를 계속 흘려주어 일정한 산소 분압을 유지하도록 유지시켜 준다.
상기 산소 환원 촉매는 예를 들면 페로브스카이트 형의 결정 구조를 가지는 금속 산화물 입자를 사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란탄-스트론튬 망간 산화물 (LSM), 란탄-스트론튬 철 산화물 (LSF), 란탄-스트론튬 코발트 산화물 (LSC), 란탄-스트론튬 코발트 철 산화물 (LSCF), 사마리움-스트론튬 코발트 산화물 (SSC), 바륨-스트론튬 코발트 철 산화물 (BSCF) 및 비스무스-루테늄 산화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화합물일 수 있다.
상기 공기극층을 형성하는 재료로서는 백금, 루테늄, 팔라듐 등의 귀금속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술한 공기극 재료들은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고,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며, 단층 구조의 공기극, 또는 서로 다른 공기극 소재를 이용하여 다층 구조의 공기극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공기극 조성물은 산소 이온 전도성을 가지는 무기 산화물, 바인더 수지 및 용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인더 수지는 점착력을 부여할 수 있는 바인더 수지라면 이를 제한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에틸 셀룰로오즈일 수 있다.
상기 용매는 상기 바인더 수지를 용해할 수 있는 것이면 이를 제한하지 않으며, 부틸 카비톨, 터피네올 및 부틸 카비톨 아세테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종류의 것일 수 있다.
상기 공기극 조성물은 열처리하여 소결시킨 것일 수 있다. 열처리 온도는 800℃ 이상 1,200℃ 이하일 수 있다. 800℃ 이상에서는 산소환원 촉매가 무기 산화물과 함께 소결될 수 있으며 1,200℃ 이하에서는 산소환원 촉매가 전해질과 반응이 일어나지 않으면서 소결될 수 있다.
상기 공기극의 두께는 통상 1 마이크로미터 이상 100 마이크로미터 이하일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5 마이크로미터 이상 50 마이크로미터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전해질에 공기극을 형성하는 방법은 테이프 캐스팅법, 스크린 인쇄법, 또는 습식 스프레이법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공기극과 전해질 사이에는 필요에 따라 이들 사이의 반응을 보다 더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위하여 기능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층으로서 예를 들어, 가돌리늄이 도핑된 세리아(GDC), 사마륨이 도핑된 세리아(SDC) 및 이트륨이 도핑된 세리아(YDC)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능층은 두께가 1 마이크로미터 이상 50 마이크로미터 이하, 예를 들어 2 마이크로미터 이상 10 마이크로미터 이하의 범위일 수 있다.
본 출원의 하나의 실시상태는 금속 및 산소 이온전도성을 갖는 무기 산화물을 포함하는 고체 산화물 연료전지의 연료극 지지체이고, 상기 연료극 지지체의 적어도 한 표면에 폭 0.5 마이크로미터 이상 10 마이크로미터 이하의 요철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요철의 최고점 및 최저점의 높이 차이는 연료극 지지체 전체 두께의 0.1% 이상 50% 이하인 고체 산화물 연료전지의 연료극 지지체를 제공한다.
상기 요철이 구비된 연료극 지지체 표면의 거칠기는 150 나노미터 이상 900 나노미터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요철이 구비된 연료극 지지체 표면의 면적 고유 저항(ASR: area specific resistance)은 0.01 Ωcm2 이상 0.45 Ωcm2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요철이 구비된 연료극 지지체 표면이 전해질과 접하는 부분이다.
상기 금속, 무기 산화물, 요철, 거칠기, 면적 고유 저항에 관한 설명은 상술한 바와 같다.
본 출원의 하나의 실시상태는 상기 연료극 지지체를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연료극 지지체의 표면 처리된 표면에 이온전도성을 갖는 무기 산화물을 도포하여 전해질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고체 산화물 연료전지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출원의 하나의 실시상태는 연료극 지지체; 상기 연료극 지지체와 대향하여 위치하는 공기극; 및 상기 연료극 지지체와 공기극 사이에 위치하는 전해질을 포함하는 고체 산화물 연료전지를 제공한다.
상기 고체 산화물 연료전지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각종 문헌에 공지되어 있는 통상적인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체 산화물 연료전지는 원통형(tubular) 스택, 평관형(flat tubular) 스택, 평판형(planar type) 스택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될 수 있다.
이하, 본 출원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출원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출원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출원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 실시예 1>
연료극 지지체로서 GDC(10 mole% Gd doped Ceria)와 NiO를 50:50의 부피비 비율로 하여 두께 3 밀리미터의 연료극 지지체를 1-축 가압 방법으로 제조하고 1450℃의 온도에서 소결하였다. 그 후, 850℃의 온도에서 환원가스(H2)를 이용하여 NiO/GDC를 Ni/GDC로 30분 동안 환원시켰다.
Ni/GDC 연료극 지지체의 한 표면에 0.5 밀리미터 직경의 모래를 5bar의 압력에서40m/sec 속도로 10분 동안 블라스트법으로 처리하였다.
블라스트법으로 처리한 표면에 폭 1 마이크로미터의 요철이 형성되었고, 요철의 최고점 및 최저점의 높이 차이는 20 마이크로미터이었다. 이때, 그 표면의 거칠기는 옵티컬 프로파일러(Optical Profiler)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을 때 300 나노미터이었다. 표면의 면적 고유 저항은 교류 임피던스 방법으로 측정하였을 때 0.3 Ωcm2 이었다.
실시예 1의 연료극 지지체의 표면 거칠기를 옵티컬 프로파일러(Optical Profiler)를 이용하여 측정한 데이터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은 요철을 포함하는 연료극 지지체를 옵티컬 프로파일러로 측정한 상면도이다. 붉은색(red)을 나타낼 수록 요철의 골이 깊은 것을 확인할 수 있고, 푸른색(blue)을 나타낼 수록 요철의 마루가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0값에 가까운 푸른색을 나타내는 곳이 측정된 곳 중 가장 낮은 곳, 즉 요철의 최저점을 의미한다. 예컨대, 도 3에 표시된 a 부분은 푸른색으로 연료극 지지체 표면 중 낮은 위치임을 알 수 있고, c부분은 붉은색으로 연료극 지지체 표면 중 높은 위치임을 알 수 있으며, b부분은 연료극 지지체 표면 중 중간 위치임을 알 수 있다. 도 3에 나타난 색의 변화에 따라 요철이 있음을 확인 할 수 있고, 상기 요철의 폭이나 깊이를 대략적으로 측정할 수 있으며, 옵티컬 프로파일러에 의해 측정된 거칠기를 확인할 수 있다.
도 3에서 Ra는 중심선 평균 거칠기를 의미하고, Rq는 제곱평균거칠기를 의미하며 제곱평균 제곱근(Root mean square, rms)의 방법을 써서 구할 수 있다. 또한, Rt는 평균 길이 Lm(Evalution Length) 내에서 profile의 최고점과 최저점과의 거리(Distance between the highest and the lowest point) 를 의미한다. 그리고, Rz는 10점 평균 거칠기(Ten point median height)로서 단면 곡선에서 가장 높은 산 5개의 평균 높이와 가장 깊은 골의 평균 깊이의 차를 의미한다.
실시예 1의 연료극 지지체의 표면 처리된 표면 상에 전해질이 도포된 모습의 단면도를 전자현미경(SEM)으로 촬영하여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의 그래프에서 요철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고, 요철의 폭(A)이나 깊이(B)를 구체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요철의 폭은 요철을 상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마루와 마루 사이 또는 골과 골 사이의 직선거리를 의미하고, 요철의 최고점과 최저점 상이의 높이 차이는 가장 깊은 마루를 포함하는 표면에서 최고점까지의 수직거리를 의미한다. 도 1을 참고하면, A는 요철의 폭을 의미하고, 연료극 지지체에 형성된 요철의 상면도에서 마루와 마루 사이의 직선거리로 측정할 수 있다. 또한, B가 나타내는 깊이는 도 1에서 측정된 위치에서의 어느 한 요철의 낮은 점을 포함하는 평면에서 가장 높은 점을 가지는 요철의 마루 사이의 수직거리를 나타낸다.
<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 제조한 Ni/GDC 연료극 지지체의 한 표면에 1 밀리미터 직경의 세리아 비드를 5 bar의 압력에서 40m/sec 속도로 10분 동안 블라스트법으로 처리하였다.
블라스트법으로 처리한 표면에 폭 0.5 마이크로미터의 요철이 형성되었고, 요철의 최고점 및 최저점의 높이 차이는 20 마이크로미터였다. 이때, 그 표면의 거칠기는 옵티컬 프로파일러(Optical Profiler)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을 때 500 나노미터이었고, 표면의 면적 고유 저항은 교류 임피던스 방법으로 측정하였을 때 0.3 Ωcm2 이었다.
< 비교예 1>
실시예 1에서 제조한 Ni/GDC 연료극 지지체에 블라스트법을 사용한 표면처리를 하지 않은 경우, 표면에 요철이 존재하지 않았고, 표면 거칠기는 100 나노미터이었고, 면적 고유 저항은 0.5 Ωcm2 이었다.
비교예 1의 연료극 지지체 상에 전해질이 도포된 모습의 단면도를 전자현미경(SEM)으로 촬영하여 도 2에 나타내었다.
< 제조예 1>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연료극 지지체의 블라스트법으로 처리된 표면에 GDC를 딥 코팅 방법으로 10 마이크로미터 두께로 도포하고 1450℃의 온도에서 소결하여 전해질을 형성하였다. 전해질 위에 LSCF를 스크린 프린트 방법으로 30 마이크로미터 두께로 도포하여 1000℃의 온도에서 소결한 후 공기극 층을 형성하여 연료전지 셀을 제조하였다.
< 제조예 2>
실시예 2의 연료극 지지체를 제조예 1의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연료전지 셀을 제조하였다.
< 제조예 3>
비교예 1의 연료극 지지체를 제조예 1의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연료전지 셀을 제조하였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출원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출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출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21)

  1. 금속 및 산소 이온전도성을 갖는 무기 산화물을 포함하는 연료극 지지체의 적어도 한 표면을 블라스트법을 사용하여 표면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표면 처리된 표면의 거칠기는 150 나노미터 이상 900 나노미터 이하이며,
    상기 표면 처리된 표면의 표면적은 표면 처리 전의 표면적보다 1.5배 이상 10배 이하로 증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산화물 연료전지의 연료극 지지체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블라스트법은 모래 블라스트법 또는 세라믹 비드 블라스트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산화물 연료전지의 연료극 지지체 제조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모래 또는 세라믹 비드의 직경은 0.5 밀리미터 이상 10 밀리미터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산화물 연료전지의 연료극 지지체 제조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블라스트법에서 분사 속도는 0.1 m/sec 이상 41.6 m/sec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산화물 연료전지의 연료극 지지체 제조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블라스트법에서 분사 압력은 0.5 bar 이상 5 bar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산화물 연료전지의 연료극 지지체 제조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금속은 Zr, Ce, Ti, Mg, Al, Si, Mn, Fe, Co, Ni, Cu, Zn, Mo, Y, Nb, Sn, La, Ta, V 및 Nd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산화물 연료전지의 연료극 지지체 제조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산소 이온전도성을 갖는 무기 산화물은 가돌리늄이 도핑된 세리아(GDC), 가돌리늄이 도핑된 지르코니아(GDZ), 사마륨이 도핑된 세리아(SDC), 사마륨이 도핑된 지르코니아 (SDZ), 이트륨이 도핑된 세리아(YDC), 이트륨이 도핑된 지르코니아(YDZ), 이트리아 안정화 지르코니아(YSZ) 및 스칸디아 안정화 지르코니아(ScSZ)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산화물 연료전지의 연료극 지지체 제조방법.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표면 처리된 표면은 폭 0.5 마이크로미터 이상 10 마이크로미터 이하의 요철을 포함하고,
    상기 요철의 최고점 및 최저점의 높이 차이는 연료극 지지체 전체 두께의 0.1% 이상 5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산화물 연료전지의 연료극 지지체 제조방법.
  9. 삭제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표면 처리된 표면의 면적 고유 저항(ASR: area specific resistance)은 0.01 Ωcm2 이상 0.45 Ωcm2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산화물 연료전지의 연료극 지지체 제조방법.
  11. 삭제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표면 처리된 표면은 전해질과 접하는 부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산화물 연료전지의 연료극 지지체 제조방법.
  13. 청구항 1 내지 8, 10 및 12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이용하여 연료극 지지체를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연료극 지지체의 표면 처리된 표면에 이온전도성을 갖는 무기 산화물을 도포하여 전해질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고체 산화물 연료전지의 제조방법.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전해질에 포함되는 무기 산화물은 연료극 지지체에 포함되는 무기 산화물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산화물 연료전지의 제조방법.
  15. 청구항 1 내지 8, 10 및 12 중 어느 한 항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고체 산화물 연료전지의 연료극 지지체.
  16. 금속 및 산소 이온전도성을 갖는 무기 산화물을 포함하는 고체 산화물 연료전지의 연료극 지지체이고,
    상기 연료극 지지체의 적어도 한 표면에 폭 0.5 마이크로미터 이상 10 마이크로미터 이하의 요철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요철의 최고점 및 최저점의 높이 차이는 연료극 지지체 전체 두께의 1% 이상 50% 이하이며,
    상기 요철이 구비된 연료극 지지체 표면의 거칠기는 150 나노미터 이상 900 나노미터 이하인 것인 고체 산화물 연료전지의 연료극 지지체.
  17. 삭제
  18.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요철이 구비된 연료극 지지체 표면의 면적 고유 저항(ASR: area specific resistance)은 0.01 Ωcm2 이상 0.45 Ωcm2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산화물 연료전지의 연료극 지지체.
  19.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요철이 구비된 연료극 지지체 표면이 전해질과 접하는 부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 산화물 연료전지의 연료극 지지체.
  20. 청구항 16, 18 및 19 중 어느 한 항의 연료극 지지체;
    상기 연료극 지지체와 대향하여 위치하는 공기극; 및
    상기 연료극 지지체와 공기극 사이에 위치하는 전해질을 포함하는 고체 산화물 연료전지.
  21. 청구항 16, 18 및 19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연료극 지지체를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연료극 지지체의 표면 처리된 표면에 이온전도성을 갖는 무기 산화물을 도포하여 전해질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고체 산화물 연료전지의 제조방법.
KR1020140129594A 2013-09-27 2014-09-26 고체 산화물 연료전지의 연료극 지지체 제조방법 및 고체 산화물 연료전지의 연료극 지지체 KR1016742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5512 2013-09-27
KR20130115512 2013-09-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5457A KR20150035457A (ko) 2015-04-06
KR101674259B1 true KR101674259B1 (ko) 2016-11-08

Family

ID=527439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9594A KR101674259B1 (ko) 2013-09-27 2014-09-26 고체 산화물 연료전지의 연료극 지지체 제조방법 및 고체 산화물 연료전지의 연료극 지지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505198B2 (ko)
EP (1) EP3021396B1 (ko)
JP (1) JP6194423B2 (ko)
KR (1) KR101674259B1 (ko)
CN (1) CN105493328B (ko)
WO (1) WO201504697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4537B1 (ko) 2015-08-26 2019-12-10 주식회사 엘지화학 고체 산화물 연료전지의 제조방법, 고체 산화물 연료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
KR101670612B1 (ko) 2015-11-10 2016-11-10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평판형 고체 산화물 연료전지의 제조 방법
JP6910170B2 (ja) * 2017-03-22 2021-07-28 大阪瓦斯株式会社 金属支持型電気化学素子用の電極層付基板、電気化学素子、電気化学モジュール、電気化学装置、エネルギーシステム、固体酸化物形燃料電池、および製造方法
KR102142551B1 (ko) 2017-07-20 2020-08-07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용 전극 제조시스템 및 제조방법
DE102020202754A1 (de) * 2020-03-04 2021-09-09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ingetragener Verein Verfahren zur Oberflächenbehandlung von Metall-Substraten und Metalllegierungs-Substraten für eine negative Elektrode eines sekundären galvanischen Elements
CN114094123A (zh) * 2021-11-17 2022-02-25 合肥国轩高科动力能源有限公司 阳极/电解质半电池、阳极支撑型固体氧化物燃料电池及其制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87397A (ja) * 2006-04-13 2007-11-01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固体酸化物形燃料電池セル及びその作製方法
KR100972529B1 (ko) * 2008-04-24 2010-07-28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의 금속분리판 표면처리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74172A (en) * 1940-04-06 1942-02-24 Murray T Swisher Sand blasting machine
FR2717874B1 (fr) * 1994-03-25 1996-04-26 Gec Alsthom Transport Sa Disque multimatériaux pour freinage à haute énergie.
JPH09245810A (ja) * 1996-03-12 1997-09-19 Murata Mfg Co Ltd 固体電解質型燃料電池の製造方法
JPH11214450A (ja) * 1997-11-18 1999-08-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子部品実装体と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と電子部品実装体の製造方法
US6677070B2 (en) * 2001-04-19 2004-01-1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Hybrid thin film/thick film solid oxide fuel cel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3997874B2 (ja) * 2002-09-25 2007-10-24 日産自動車株式会社 固体酸化物形燃料電池用単セ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4476689B2 (ja) 2004-05-11 2010-06-09 東邦瓦斯株式会社 低温作動型固体酸化物形燃料電池単セル
US20060040168A1 (en) * 2004-08-20 2006-02-23 Ion America Corporation Nanostructured fuel cell electrode
KR100717130B1 (ko) 2005-09-30 2007-05-11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용 페이스트, 이를 이용한 연료극지지형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및 그 제조 방법
CA2627356A1 (en) * 2005-10-27 2007-05-03 The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Fabrication of electrode structures by thermal spraying
JP2007265920A (ja) * 2006-03-29 2007-10-11 Dainippon Printing Co Ltd 固体酸化物形燃料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CA2685475A1 (en) * 2007-04-30 2008-11-06 The Governors Of The University Of Alberta Anode catalyst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KR100904203B1 (ko) * 2007-07-04 2009-06-23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연료 전지용 전극-전해질 복합체 분말의 제조 방법
JP2010218759A (ja) 2009-03-13 2010-09-30 Tokyo Electric Power Co Inc:The 金属支持型固体酸化物形燃料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072137B1 (ko) 2009-06-15 2011-10-10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의 연료극 지지체형 전해질 및 그 제조방법
KR101109207B1 (ko) 2009-07-15 2012-01-30 삼성전기주식회사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US8808888B2 (en) * 2010-08-25 2014-08-19 Applied Materials, Inc. Flow battery systems
KR101228763B1 (ko) 2010-12-28 2013-01-31 주식회사 포스코 반응 면적이 증가된 평판형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20080375A (ko) * 2011-01-07 2012-07-17 삼성전자주식회사 연료전지용 양극 소재,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용 양극과 그 양극의 제조방법, 및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JP5932232B2 (ja) * 2011-03-25 2016-06-08 株式会社日本触媒 アノード支持型ハーフセル及びこれを用いたアノード支持型セル、並びにアノード支持型ハーフセルの製造方法
JP5819099B2 (ja) * 2011-05-11 2015-11-18 日本特殊陶業株式会社 固体酸化物形燃料電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87397A (ja) * 2006-04-13 2007-11-01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固体酸化物形燃料電池セル及びその作製方法
KR100972529B1 (ko) * 2008-04-24 2010-07-28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의 금속분리판 표면처리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5457A (ko) 2015-04-06
EP3021396A1 (en) 2016-05-18
CN105493328A (zh) 2016-04-13
EP3021396A4 (en) 2017-01-25
JP2016528693A (ja) 2016-09-15
US10505198B2 (en) 2019-12-10
CN105493328B (zh) 2018-02-06
JP6194423B2 (ja) 2017-09-06
WO2015046977A1 (ko) 2015-04-02
US20160197355A1 (en) 2016-07-07
EP3021396B1 (en) 2019-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4259B1 (ko) 고체 산화물 연료전지의 연료극 지지체 제조방법 및 고체 산화물 연료전지의 연료극 지지체
KR101768775B1 (ko)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의 제조방법
JP6437821B2 (ja) 機械的健全性および効率を向上させた固体酸化物型燃料電池用複合アノード
EP1791211B1 (en) Solid electrolyte fuel cell comprising a fired anode and a multi-layered porous cathode
JP6658754B2 (ja) 固体酸化物形燃料電池、および電解質層−アノード接合体の製造方法
US20150099061A1 (en) Formation of solid oxide fuel cells
KR20130123189A (ko)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용 음극 지지체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포함한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JP2007026975A (ja) 固体酸化膜型燃料電池の電解質膜/電極積層体
KR101644701B1 (ko) 고체 산화물 연료전지의 연료극 지지체 제조방법 및 고체 산화물 연료전지의 연료극 지지체
KR101124859B1 (ko)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용 lscf 파우더 제조방법 및 단위전지의 제조방법
KR101277885B1 (ko) 튜브형 연료전지 및 그 제조방법
KR101218980B1 (ko) 연료 전지용 전극 재료, 이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11859B1 (ko) 고체산화물 연료 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모듈
JP2010287441A (ja) 固体酸化物形燃料電池の製造方法
KR101686298B1 (ko) 고체 산화물 연료전지의 캐소드 기능층용 분말의 제조방법
KR101691699B1 (ko) 고체 산화물 연료전지의 애노드 기능층용 분말의 제조방법
US20120189944A1 (en) Solid electrolyte for solid oxide fuel cell, and solid oxide fuel cell including the solid electrolyte
KR20180036302A (ko) 평판형 고체 산화물 연료전지
JP2006147207A (ja) 固体電解質型燃料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60069819A (ko) 고체 산화물 연료 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30137799A (ko) 고체산화물 연료 전지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