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2338B1 - 목재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목재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2338B1
KR101672338B1 KR1020140194634A KR20140194634A KR101672338B1 KR 101672338 B1 KR101672338 B1 KR 101672338B1 KR 1020140194634 A KR1020140194634 A KR 1020140194634A KR 20140194634 A KR20140194634 A KR 20140194634A KR 101672338 B1 KR101672338 B1 KR 1016723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groove
fastening member
wood
fi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946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82133A (ko
Inventor
이재성
Original Assignee
이재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성 filed Critical 이재성
Priority to KR10201401946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2338B1/ko
Publication of KR201600821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21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23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23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04Non-loosenable joints for non-metal furniture parts, e.g. glu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1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 F16B12/12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for non-metal furniture parts, e.g. made of wood, of plast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목재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 목재부재인 제1부재(10)와 제2부재(10')의 일측면이 서로 맞닿게 체결하는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제1부재와 제2부재는 결합되는 일측면에서부터 내부를 향하여 체결홈(12)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홈(12)에 삽입되는 체결부재(20)는 양 일단이 수직으로 절곡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1부재 및 제2부재에 형성된 체결홈(12)에 충진재(30)가 투입되고, 체결부재(20)가 체결홈(12)에 삽입된 후 타격을 통하여 체결부재 삽입방향의 수직방향으로 체결부재(20)를 목재내부로 이동시킴으로 수직으로 절곡된 체결부재 양일단(24) 부분이 체결홈(12)로부터 이동하여 목재부재 내부에 안착되고 상기 충진재(30)가 굳어져 제1부재(10) 및 제2부재(10')가 일체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목재 결합구조{.}
본 발명은 목재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목재부재를 연결함에 있어, 충진재 및 체결부재를 사용함으로써 체결력 강화, 내구성 강화, 단순결합으로 작업시간 및 비용절감, 외관이 미려하게 조립될 수 있는 목재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의자, 책상, 목교, 목재데크, 가구, 건축물, 난간, 조경시설물 등의 목재 구조물 등은 사람들의 편의 및 안전과 쾌적한 외관 조성을 위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목재 구조물들을 결합시킴에 있어서, 못이나 나사 등의 고정구를 통해 결합하였으나, 이를 이용하게 되면, 목재의 외관에 못머리와 나사머리등이 노출되어 외관상 미려하지 못하였고, 야외설치시 수분침투에 따른 철물 등의 부식으로 결합력을 약화시키고 목재의 부패를 가속화하며, 직선결합이어서 인장강도가 약하여 목재간에 결합된 못이나 나사가 뽑힐 수 있는 단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10-1373145호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10-1200388호
본 발명에서는 목재부재인 제1부재와 제2부재를 결합하기 위해서 못이나 나사와 같은 직선형의 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대신에 별도의 체결부재 및 충진재를 사용하여, 연성의 충진재가 경화되면서 체결부재와 충진재가 일체화되는 과정을 이용하여, 외관이 미려하고 철물등의 부식문제가 없고, 수분침투가 없는 목재 결합구조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목재부재인 제1부재(10)와 제2부재(10')의 일측면이 서로 맞닿게 체결하는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제1부재와 제2부재는 결합되는 일측면에서부터 내부를 향하여 체결홈(12)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홈(12)에 삽입되는 체결부재(20)는 양 일단이 수직으로 절곡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1부재 및 제2부재에 형성된 체결홈(12)에 충진재(30)가 투입되고, 체결부재(20)가 체결홈(12)에 삽입된 후 타격을 통하여 체결부재 삽입방향의 수직방향으로 체결부재(20)를 목재내부로 이동시킴으로 수직으로 절곡된 체결부재 양일단(24) 부분이 체결홈(12)로부터 이동하여 목재부재 내부에 안착되고 상기 충진재(30)가 굳어져 제1부재(10) 및 제2부재(10')가 일체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결합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목재부재인 제1부재(10)와 제2부재(10')의 일측면이 서로 맞닿게 체결하는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제1부재와 제2부재는 결합되는 일측면에서부터 내부를 향하여 체결홈(12)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홈(12)에 삽입되는 체결부재(20)는 양 일단이 수직으로 절곡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1부재 및 제2부재에 형성된 체결홈(12)에 충진재(30)가 투입되고, 체결부재(20)가 체결홈(12)에 삽입된 후 체결부재 삽입방향의 수직방향으로 체결부재(20)를 목재내부로 이동시킴으로 수직으로 절곡된 체결부재의 양일단(24) 부분이 고정홈(14)에 안착되고 상기 충진재(30)가 굳어져 제1부재(10) 및 제2부재(10')가 일체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결합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충진재(30)는 점토, 세멘트, 플라스틱, 목재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결합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체결부재(20)는 봉, 판 중 어느 하나인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체결부재(20)는 철재, 스테인레스, 알루미늄, 플라스티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결합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체결부재(20)의 형태는 양측 일단이 수직으로 절곡되어 "ㄷ"자형, "
Figure 112014128316729-pat00001
"자형, "
Figure 112014128316729-pat00002
"형 중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결합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체결부재(20)의 형태는, 양측 일단이 수직으로 절곡되고 양끝이 뾰족한 "ㄷ"자형, 양측 일단이 수직으로 절곡되고 양끝이 뾰족한 "
Figure 112014128316729-pat00003
"자형, 양측 일단이 수직으로 절곡되고 양끝이 뾰족한"
Figure 112014128316729-pat00004
"형 중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결합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목재부재인 제1부재와 제2부재를 결합하기 위해서 못이나 나사와 같은 직선형의 부재를 사용하지 않아, 수직결합으로 말미암아 목재간에 뽑히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못이나 나사 대신에 대신에 별도의 체결부재(20) 및 충진재(30)를 이용하여, 체결부재(20)와 충진재(30)가 일체화되는 과정을 이용하기 때문에, 외관에 못 자국이나 나사자국이 남지 않아 외관이 미려한 효과가 있다.
또한, 외면에서 빗물이나 기타 이물질이 못이나 나사 틈사이로 침투할 염려가 적기 때문에, 철물 등의 부식문제가 없고, 수분접촉에 따른 목재 부식이 적은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1실시예에 따른 체결과정 단면도이다.
도2은, 본 발명의 1실시예에 따른 체결완성 단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2실시예에 따른 체결과정 사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2실시예에 따른 체결부재의 일단이 고정홈에 체결되는 과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체결부재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을, 도면을 기준으로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1, 도3,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체결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체결구조를 체결순서에 따라 개관하면, 준비된 목재부재(10)에는 체결홈(12)과 고정홈(14)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이 체결홈(12)을 통하여 고정홈(14)에 충진재(30)를 넣는다. 그 다음, 체결홈(12)에 체결부재(20)를 넣은 후, 충진재(30)가 경성화되어 체결부재와 충진재가 결착하면, 목재부재간이 결착이 완성된다. 이러한 체결이 완성된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 도2 로서 이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체결완성 단면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더욱 자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1실시예에 따른 체결과정 단면도로서, 본 발명에 따르면, 제1목재 부재(10)를 제2목재부재와 결착함에 있어서, 목재 부재(10, 10')에 체결홈(12)를 형성한다. 즉, 제1부재와 제2부재는 결합되는 일측면에서부터 내부를 향하여 체결홈(12)이 형성도록 하는 것이다. 이 체결홈(12)을 통해서 체결부재(20)가 진입할 수 있게 된다. 체결홈(12)은 직사각형 모양일 수 있다.
그리고 목재부재의 상기 체결홈(12)의 말미에 체결홈(12)외로 추가로 체결부재의 일단(24)이 들어갈 수 있는 고정홈(14)이 형성되도록 한다. 체결부재(20)가 수직방향으로 체결홈(12)에 진입한다고 할때, 체결부재의 일단(24)은 체결홈(12)에 이와 수직된 방향으로 진입할 수 있다. 도1과 도2에서 보듯, 고정홈(14)도 체결홈(12)에서 연장형성된 것으로 그 형태는 직사각형형태일 수 있다.
이 고정홈(14)의 크기는 체결부재의 일단(24)보다 큰 크기일 수 있으며, 체결부재의 일단(24)만한 크기일 수도 있고, 체결부재의 일단(24)이 들어가기에 빡빡하나 외부충격을 통해서 진입할 수 있는 크기일 수 있다.
한편, 또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고정홈(14)을 구비하지 않을 수 있다. 체결부재의 일단(24)의 끝이 뾰죡하여 외부충격을 통해서 체결홈(12)에서 목재내부로 안착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충격이라고 하는 것은 도4b에서 보듯이 체결부재(20)가 체결홈에 수직으로 진입한 후, 수직측면에서 가해지는 충격을 말하는 것으로 이 충격을 통해 체결부재의 일단(24)이 목재에 진입할 수 있다.
한편, 여기서 충진재(30)라고 하는 것은, 투입시에는 연성이지만, 시간이 지나면 경화되어 고체처럼 딱딱해지는 물질을 말한다. 이러한 충진재(30)는 고정홈(14)에 투입할 당시에는 연성이되나, 결착부재(20)을 고정홈(14)과 체결홈(12)에 결착하고 나면 체결홈(12)이나 고정홈(14)에 충진재(30)가 침투 내지 엮이며 단단하게 경화되어 고정부를 형성하게 한다. 고정홈(14)이 있는 경우, 충진재(30)는 연성으로 고정홈(14)과 체결홈(12)에 투입되어 경성화되어 고정부가 되고, 고정홈(14)이 없는 경우 체결홈(12)에 충진재(30)가 투입되어 경성화되어 목재부재(10,10')와 체결부재(20)간에 결합되어 고정되게 된다.
도1은, 본 발명의 1실시예로서, 결착부재(20)의 형태가 "ㄷ"자형태인 것이다. 체결부재의 일단(24)이 체결홈(12)의 말미에 형성된 고정홈(14)에 진입되고, 충진재(30)가 투여된 뒤 충진재(30)가 딱딱하게 경화되면서 고정부가 형성되어 도2에서처럼 체결이 완성될 수 있다. 체결부재(20)가 체결홈에 삽입된 후 타격을 통하여 체결부재 삽입방향의 수직방향으로 체결부재(20)를 이동시킴으로 수직으로 절곡된 체결부재 양일단(24) 부분이 체결홈(12)을 이탈하여 목재부재 내부에 안착됨과 동시에 체결부재의 중앙(22)이 체결홈(12) 일 끝단으로 이동되어 제1부재(10) 및 제2부재(10')가 일체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결합구조를 제공한다.
도1과 도2는, 도5a는 체결부재(20)의 형태가 "ㄷ"자형인 것이고, 도3과 도4, 도5b는 체결부재(20)의 형태가 "
Figure 112014128316729-pat00005
"형태인 것이다. 또 도5c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체결부재(20)의 형태가 "
Figure 112014128316729-pat00006
"형태 일 수도 있다. 이러한 체결부재(20)형태는 각각 그 체결부재의 일단(24) 끝이 뾰족하여 타격 등을 통해서 목재내로 체결부재의 일단(24)이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한편, 도3은, 본 발명의 2실시예로서, 체결부재(20)가 "
Figure 112014128316729-pat00007
"의 형태인 것으로서, 체결부재(20)가 체결홈(12)에 진입되고, 또 체결홈(12)에 충진재(30)가 충진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렇게 체결홈(12)에 체결부재의 중앙(22)과 체결부재의 일단(24)이 진입되고, 체결부재의 일단(24)은 고정홈(14)에 진입할 수 있다. 체결부재(20)가 먼저 진입한 후, 충진재(30)가 고정홈(14)이나 체결홈(12)에 충진될 수도 있고, 충진재(30)가 충진된 후 체결부재(30)가 진입할 수 있다.
결착부재(20)는 체결부재의 중앙(22)과 체결부재의 일단(24)으로 구성되어 있다. 체결부재의 일단(24)는 체결홈(12)에 삽입될 수 있고, 고정홈(14)에 안착되고 충진재(30)가 경성화되면서 고정부를 형성, 목재(10, 10')간에 서로 결착시키는 것이 특징이다. 이렇게 해서 체결이 완성된 단면도가 도2이다. 한편 앞에서 이야기하였듯이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고정홈(14)이 없을 수가 있다. 체결부재의 일단(24)은 그 끝이 뾰족할 수가 있다. 외부충격을 가하면 체결부재의 일단(24)의 뾰족한 끝은 목재 내부로 파고들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충진재(30)의 재료는, 점토, 세멘트, 플라스틱액상, 플라스틱 펠릿, 플라스틱 분말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처음에는 연성이나, 나중에 시간이 경과하면 경화되어 딱딱해질 수 있는 모든 물질이 가능하다. 경성화된 펠릿이나 분말은 삽입후 가열하여 연성화시켜서 사용할 수 있다.
특히, 플라스틱은 100℃~200℃ 내외의 가열로 연성화가 이루어진다. 반면 목재부재의 발화점은 400℃~600℃ 내외로, 100℃ 내외의 온도를 갖는 연성플라스틱이 목재에 삽입되어도 목재의 형상에는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한편, 체결부재(20)의 재료는 철재, 스테인레스, 알루미늄, 플라스틱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체결부재(20)는 봉, 판 중 어느 하나인 형태일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원형봉, 다각형봉, 원형관, 다각형관일 수도 있고, 타원형의 봉과 관도 가능하다.
또한, 체결부재의 일단(24)에는 단수 또는 복수의 중공이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이 중공에 연성의 충진재(30)가 스며들게 할 수 있고, 목재부재(10)와 결합부재(20)간의 결착력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부재(20)와 충진재(30)는 플라스틱일 수 있다. 이 때는 양자는 동일재질로서 충진재(30)의 뜨거운 연성이 체결부재(20)에 전이되어 체결부재(20)를 일정부분 용융시킨후 경성화해 충진재(30)와 체결부재(20)간의 강한 일체화를 구성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목재부재(10, 10')의 일면에는 이러한 체결홈(12)이 다수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부냐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그 때문에 전술한 실시예는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범위는 특허청구 범위에 의해서 나타나는 것으로, 명세서 본문에 의해서는 아무런 구속도 되지 않는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의 균등 범위에 속하는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 내의 것이다.
10, 10' : 목재부재로서 제1부재, 제2부재
12 : 체결홈 14 : 고정홈
20 : 체결부재 22 : 체결부재의 중앙
24 : 체결부재의 일단
30 : 충진재

Claims (7)

  1. 목재부재인 제1부재(10)와 제2부재(10')의 일측면이 서로 맞닿게 체결하는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제1부재와 제2부재는 결합되는 일측면에서부터 내부를 향하여 체결홈(12)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홈(12)에 삽입되는 체결부재(20)는 양 일단이 수직으로 절곡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1부재 및 제2부재에 형성된 체결홈(12)에 충진재(30)가 투입되고,
    체결부재(20)가 체결홈(12)에 삽입된 후
    타격을 통하여 체결부재 삽입방향의 수직방향으로 체결부재(20)를 목재내부로 이동시킴으로 수직으로 절곡된 체결부재 양일단(24) 부분이 목재부재 내부에 안착되고
    상기 충진재(30)가 굳어져 제1부재(10) 및 제2부재(10')가 일체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결합구조.
  2. 목재부재인 제1부재(10)와 제2부재(10')의 일측면이 서로 맞닿게 체결하는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제1부재와 제2부재는 결합되는 일측면에서부터 내부를 향하여 체결홈(12)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홈(12)에 삽입되는 체결부재(20)는 양 일단이 수직으로 절곡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1부재 및 제2부재에 형성된 체결홈(12)에 충진재(30)가 투입되고,
    체결부재(20)가 체결홈(12)에 삽입된 후
    체결부재 삽입방향의 수직방향으로 체결부재(20)를 목재내부로 이동시킴으로 수직으로 절곡된 체결부재의 양일단(24) 부분이 체결홈(12)의 말미에 형성된 고정홈(14)에 안착되고
    상기 충진재(30)가 굳어져 제1부재(10) 및 제2부재(10')가 일체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결합구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충진재(30)는 점토, 세멘트, 플라스틱, 목재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결합구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20)는 봉, 판 중 어느 하나인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결합구조.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20)는 철재, 스테인레스, 알루미늄, 플라스틱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결합구조.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20)의 형태는 양측 일단이 수직으로 절곡되어 "ㄷ"자형, "
    Figure 112014128316729-pat00008
    "형, "
    Figure 112014128316729-pat00009
    "형 중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결합구조.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20)의 형태는,
    양측 일단이 수직으로 절곡되고 양끝이 뾰족한 "ㄷ"자형,
    양측 일단이 수직으로 절곡되고 양끝이 뾰족한 "
    Figure 112014128316729-pat00010
    "형,
    양측 일단이 수직으로 절곡되고 양끝이 뾰족한"
    Figure 112014128316729-pat00011
    "형 중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결합구조.


















KR1020140194634A 2014-12-31 2014-12-31 목재 결합구조 KR1016723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4634A KR101672338B1 (ko) 2014-12-31 2014-12-31 목재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4634A KR101672338B1 (ko) 2014-12-31 2014-12-31 목재 결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2133A KR20160082133A (ko) 2016-07-08
KR101672338B1 true KR101672338B1 (ko) 2016-11-08

Family

ID=56504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4634A KR101672338B1 (ko) 2014-12-31 2014-12-31 목재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2338B1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813Y2 (ko) * 1980-05-15 1986-01-29
JPS63120911A (ja) * 1986-07-15 1988-05-25 古村 俊弘 くさび頭継手
JPH0620609U (ja) * 1992-04-21 1994-03-18 清一 高坂 木構造における部材接合装置
JPH09273228A (ja) * 1996-04-09 1997-10-21 Tatsumi:Kk 建築用木材の継合具
KR101200388B1 (ko) 2010-03-10 2012-11-12 (주)세진퍼랙스 목재 조립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목재 제품
KR101373145B1 (ko) 2012-09-17 2014-03-13 (주)토템 가구용 금속프레임의 연결구 조립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2133A (ko) 2016-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8535343A (ja) コンポーネントおよび製造法
KR101043613B1 (ko) 단열 패널 고정 방법
KR101672338B1 (ko) 목재 결합구조
CN101899868A (zh) 一种后植墙体拉结钢筋施工方法
JP6576026B2 (ja) コンクリート壁の補強工法
JP6921536B2 (ja) 既存の組積造に設けるアンカーの施工方法及びあと施工アンカー
KR101681605B1 (ko) 목재 결합구조
KR101683182B1 (ko) 목재 결합구조
JP2007146546A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補強構造及びコンクリート構造物補強方法
EP2108754A1 (en) Fastening clamps for fastening frames to brick walls, specific frame and form of assembly
JP6985717B2 (ja) ピンニング工法
KR102602215B1 (ko) 텐트 펙 및 이의 가공 방법
JP5409123B2 (ja) 繊維状浮きタイル繋止材及びタイル剥落防止工法
JP2010216227A (ja) ガラスブロック壁面構造、ガラスブロック壁の施工方法及びガラスブロック壁の補修方法
KR101263630B1 (ko) 평주형 전통 목조 건축 부재 접합 구조
CN110285122A (zh) 一种榫钉
JP5382963B2 (ja) コンクリート柱補強方法およびコンクリート柱補強構造
JP2004316137A (ja) 補強構造物
KR101843540B1 (ko) 나사결합과 고정부재를 이용한 목재 결합구조
KR101442635B1 (ko) Frp 다웰바 제조방법
KR200334975Y1 (ko) 구조물의 반턱맞춤구조
JP5305722B2 (ja) 既設木造建物における外壁の補強装置
JP7097560B2 (ja) 木構造物の接合部の補強構造
JP2022037397A (ja) プレキャスト部材の接合構造及びプレキャスト部材の接合方法
ATE486176T1 (de) Bewehrungsvorrichtung für eine verbindung zwischen zwei plattenförmigen wandelementen aus beton, insbesondere aus stahlbet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