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9255B1 - 덩굴 식물로 지붕을 이루는 도로 에코사운드 베리어 터널 및 이의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덩굴 식물로 지붕을 이루는 도로 에코사운드 베리어 터널 및 이의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9255B1
KR101669255B1 KR1020140109259A KR20140109259A KR101669255B1 KR 101669255 B1 KR101669255 B1 KR 101669255B1 KR 1020140109259 A KR1020140109259 A KR 1020140109259A KR 20140109259 A KR20140109259 A KR 20140109259A KR 101669255 B1 KR101669255 B1 KR 1016692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verse
sound barrier
road
support
regular interva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92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23245A (ko
Inventor
이현상
어기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산
Priority to KR10201401092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9255B1/ko
Publication of KR201600232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32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92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92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2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specially adapted for sustaining vegetation or for accommodating plants ; Embankment-type or crib-type noise barriers; Retaining walls specially adapted to absorb or reflect noise
    • E01F8/021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specially adapted for sustaining vegetation or for accommodating plants ; Embankment-type or crib-type noise barriers; Retaining walls specially adapted to absorb or reflect noise with integral support structure
    • E01F8/024Beam-type, e.g. square-set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01F8/0088Suspended, e.g. ropes or mesh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11/00Lining tunnels, galleries or other underground cavities, e.g. large underground chambers; Linings therefor; Making such linings in situ, e.g. by assembling
    • E21D11/38Waterproofing; Heat insulating; Soundproofing; Electric insul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 시공된 방음벽이나 방음벽을 신설할 때 덩굴 식물로 지붕을 이루도록 하여 그늘막의 제공과 함께 도로의 친환경적인 녹지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도로 에코사운드 베리어 터널 및 이의 시공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른 덩굴 식물로 지붕을 이루는 도로 에코사운드 베리어 터널은, 도로의 양측에 방음벽 지주와 방음판으로 시설되어 있는 방음벽과; 양쪽 방음벽에 일정 간격마다 설치되어 있는 방음벽 지주 중 일정 간격마다의 방음벽 지주를 선택하여 각 상단에서 접합되어 있는 횡 보강대와; 이웃한 횡 보강대의 사이에 횡 보강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정 개소마다 접합되어 있고, 상면에 일정 간격마다 케이블 고정용 고리가 설치되어 있는 크로스 보강대와; 이웃한 크로스 보강대의 사이에 양단이 이웃한 횡 보강대에 각기 접합되어 있는 식생박스와; 상기 식생박스내 토양에서 성장한 덩굴 식물이 뻗어 나가도록 하기 위해 상기 횡 보강대와 크로스 보강대에 지지되어 있는 덩굴식물 지지케이블을 포함하여 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덩굴 식물로 지붕을 이루는 도로 에코사운드 베리어 터널 및 이의 시공 방법{Eco sound barrior tunnel having creeper roof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도로 방음터널 및 이의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 시공된 방음벽이나 방음벽을 신설할 때 덩굴 식물로 지붕을 이루도록 하여 그늘막의 제공과 함께 도로의 친환경적인 녹지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도로 에코사운드 베리어 터널 및 이의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에서 발생되는 소음원을 차단 흡수하여 그 주변을 소음공해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방음벽이 시공된다. 소음을 반사시켜 방음벽의 외측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반사용 방음벽, 소음을 자체적으로 흡수하여 소멸시키는 흡음용 방음, 소음간의 간섭원리를 적용하여 그 원리를 통해 소음을 소멸시키는 소음간섭용 방음벽 등의 다양한 형태가 있다. 방음벽은 콘크리트, 금속재, 또는 플라스틱을 주재료로 하여 방음벽이 형성되기 때문에 미관을 해치게 되고 도시 녹화에 반하기 때문에 최근의 방음벽은 인공 또는 천연 목재와 같은 재료로 구성되거나 식물의 생장을 동시에 추구하는 구조로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한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0832464호(도로 및 단지의 녹화 방음벽 구조)로서, 외관을 형성하는 사다리꼴 기둥형태의 회절본체부와, 상기 회절본체부의 각 모서리면에 형성되어 상기 회절본체부로 전달되는 소음을 회절시키는 회절부와, 상기 회절본체부의 하부에 형성된 고정홈에 상부가 끼움되고 하측으로 연장된 레그를 갖는 ㄷ 자형 고정앵글과, 상기 본체부의 일측면에 결합되어 결합돌부를 갖는 결합패널과, 상기 본체부의 타측면에 형성되어 각 결합돌부가 삽입 고정되는 결합홈으로 이루어지는 회절지붕과; 상기 고정앵글의 레그가 상부에 끼움가능한 평행육면체 형상을 갖는 복수개의 식생프레임과; 상기 식생프레임 아래에 배치되어 상기 식생프레임을 수평하게 하는 받침대와; 상기 식생프레임을 양측에서 지지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에 의해 양측이 지지되는 방음판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배경기술로는 한국 공개특허 공개번호 제10-2013-0077231호(화분형 식생방음벽)이 있다. 이는 일정 간격을 두고 상호 대응되게 일렬로 배열되는 복수의 H형 빔과, 상호 대응된 복수의 H형 빔들의 일부가 덮이도록 결합되는 식생 방음벽으로서, 일측이 개방되어 식물이 식생되는 수용부와, 상기 일측에 상기 수용부를 둘러싸는 제 1 주변부를 구비하는 제 1 블록과, 상기 수용부의 일부를 덮는 제 2 블록을 포함하되, 상기 제 2 블록은 상기 제 1 블록의 상기 일측과 마주보는 측의 반대측이 개방된 중공부와, 상기 중공부 주변에 제 2 주변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 1 블록과, 상기 제 2 블록은 서로 지그재그 방식으로 상방향으로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들 배경기술에서는 환경친화적이고 유지보수가 용이한 도로 및 단지의 녹화 방음벽을 제안한다. 그러나 이들 배경기술은 도로의 지붕측이 개방되어 있어 그늘막을 제공하지 못하며, 지붕측에 녹지 환경을 만들 수 없는 문제가 있다.
한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0832464호(도록 및 단지의 녹화 방음벽 구조) 한국 공개특허 공개번호 제10-2013-0077231호(화분형 식생방음벽)
따라서 본 발명은 기 시공된 방음벽이나 방음벽을 신설할 때 덩굴 식물로 지붕을 이루도록 하여 그늘막의 제공과 함께 도로의 친환경적인 녹지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도로 에코사운드 베리어 터널 및 이의 시공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른 덩굴 식물로 지붕을 이루는 도로 에코사운드 베리어 터널은,
도로의 양측에 방음벽 지주와 방음판으로 시설되어 있는 방음벽과;
양쪽 방음벽에 일정 간격마다 설치되어 있는 방음벽 지주 중 일정 간격마다의 방음벽 지주를 선택하여 각 상단에서 접합되어 있는 횡 보강대와;
이웃한 횡 보강대의 사이에 횡 보강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정 개소마다 접합되어 있고, 상면에 일정 간격마다 케이블 고정용 고리가 설치되어 있는 크로스 보강대와;
이웃한 크로스 보강대의 사이에 양단이 이웃한 횡 보강대에 각기 접합되어 있는 식생박스와;
상기 식생박스내 토양에서 성장한 덩굴 식물이 뻗어 나가도록 하기 위해 상기 횡 보강대와 크로스 보강대에 지지되어 있는 덩굴식물 지지케이블을 포함하여 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식생박스는,
상방으로 개구된 토양 수납실을 갖는 박스 본체와;
박스 본체의 내부에 토양수납실을 분할하는 격벽과;
박스 본체의 상단에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마다 접합되어 있는 다수개의 케이블 연결고리와;
박스 본체의 양쪽 단부에 각기 접합되어 있는 상,하부 식생박스 접합판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도로의 중앙에 상기 횡 보강대를 지지하기 위해 H 단면을 갖고 입설되어 있는 중앙 지주와;
중앙 지주의 상부에 V자 형태로 접합되어 횡 보강대에 연결되어 있는 보조지지대가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식생박스는 중앙 지주의 배치 선상에 설치되고 나머지는 중앙 지주를 기준으로 대칭되게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른 덩굴 식물로 지붕을 이루는 도로 에코사운드 베리어 터널의 시공 방법은,
도로의 양측에 방음벽 지주를 콘크리트 기초에 입설한 후 방음판을 방음벽 지주에 조립하여 방음벽을 시공하는 단계와;
방음벽이 시공된 도로의 중앙에 일정 간격마다 중앙 지주를 설치하는 단계와;
방음벽이 설치된 구간에 일정 간격마다의 방음벽 지주를 선택하여 각 방음벽 지주의 상단에 일단부가 절곡되어 있는 단부 빔을 접합시킴과 동시에 중앙 지주에 중앙 빔을 지지시켜 놓고, 이들 단부 빔과 중앙 빔의 사이를 긴 장축 빔으로 연결 접합시켜서 횡 보강대를 시공하는 단계와;
이웃한 횡 보강대의 사이에 횡 보강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정 개소마다 상면에 일정 간격마다 케이블 고정용 고리가 설치되어 있는 크로스 보강대를 접합하여 설치하는 단계와;
이웃한 크로스 보강대의 사이에 식생박스를 다수개 배치시킨 후 각기 식생박스를 횡 보강대에 접합시켜 놓는 단계와;
상기 식생박스에서 성장한 덩굴 식물이 뻗어 나가도록 하기 위해 상기 횡 보강대와 크로스 보강대에 지지되도록 덩굴식물 지지케이블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덩굴식물 지지케이블은 크로스 보강대에 연결 지지되어 있는 종방향 지지케이블과, 양단이 방음벽 지주측 콘크리트 기초에 연결되어 크로스 보강대의 상면을 지나서 종방향 지지케이블과 십자로 교차하는 횡방향 지지케이블로 이루어져 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덩굴 식물로 지붕을 이루는 도로 에코사운드 베리어 터널 및 이의 시공 방법에 따르면, 식생박스에서 식생된 덩굴식물이 지붕측 덩굴식물 지지케이블을 따라 부착 성장하여 뻗어나가므로 양호한 식생으로 터널형 녹지 환경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그늘막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방음벽의 지붕측에 설치된 횡 보강대와 크로스 보강대가 도로의 양쪽 방음벽에 연결되어져 방음벽의 구조적 설치 강성이 향상되는 부가적인 이점을 갖게 된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덩굴 식물로 지붕을 이루는 도로 에코사운드 베리어 터널의 일부 시공 상태도.
도 2는 도 1에 설치된 중앙지주의 배치상태도.
도 3은 도 1의 일부 정면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덩굴 식물로 지붕을 이루는 도로 에코사운드 베리어 터널의 시공순서도.
도 7a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식생박스의 사시도.
도 7b는 도 7a에 도시된 식생박스의 접합부 설치상태도.
도 8a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크로스 보강대의 일부사시도.
도 8b는 도 8a의 일측면도.
도 8c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덩굴식물 지지케이블의 종방향 지지케이블의 고정단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덩굴식물 지지케이블의 설치상태를 평면에서 부분적으로 나타낸 예시도.
도 10은 도로에 기 설치된 양쪽 방음벽에 높이차가 있는 경우에 본 발명이 적용된 횡 보강대의 일측 단부의 설치상태도.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덩굴 식물로 지붕을 이루는 도로 에코사운드 베리어 터널은 도 1 및 도 2와 같이 도로의 양측에 방음벽 지주(12)와 방음판(40)으로 이루어진 방음벽(10)이 설치되어 있다. 방음벽 지주(12)는 콘크리트 기초(11)에 앵커볼트를 통해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방음벽 지주(12)는 H 단면의 강재빔으로 제작되어 있다. 방음판(40)은 소음의 흡음 및 회절 감쇄를 위해 설치되는 것으로, 타공형, 요철형, 투명형 등 특정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양쪽 방음벽(10)에 일정 간격마다 설치되어 있는 방음벽 지주 중 일정 간격마다의 방음벽 지주(12)를 선택하여 각 상단에서 접합된 횡 보강대(14)가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 예에서 횡 보강대(14)는 방음벽 지주(12)와 동일한 단면을 갖는 강재 빔들이 조립되어 구성된다. 즉, 하나의 횡 보강대(14)는 H단면을 갖는 강재 빔으로 제작된 2개의 단부 빔(141), 1개의 중앙 빔(142) 및 2개의 장축 빔(143)으로 구성된다. 이때 장축 빔(143)은 단부 빔(141)과 중앙 빔(142)의 사이에 연결된다.
단부 빔(141)은 일단이 하향 경사지게 절곡되어 방음벽 지주(12)의 상단에 체결수단인 볼트(15a)와 너트(15b)로 접합된다. 도 3 및 도 6과 같이 중앙 빔(142)은 중앙 지주(18)의 상단에 지지되어 위치하고, 장축 빔(143)은 그의 일단이 단부 빔(141)의 타단에 그의 타단이 중앙 빔(142)의 단부에 체결수단인 볼트와 너트를 통하여 연결 접합된다. 여기서, 접합부에는 H 빔의 웨브와 플랜지측에 접합판(13a,13b)을 설치하고 볼트(17a)와 너트(17b)를 체결함으로써 단부간의 상호 접합이 이루어진다.
중앙 지주(18)는 횡 보강대(14)의 중앙부를 하방에서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도로의 중앙에 설치된다. 도 4와 같이 중앙 지주(18)는 H 빔으로 하단에 연결 채널(181)이 접합되어져 중앙 방호벽(5)에 입설된다. 이때 중앙 방호벽(5)에 연결 채널(181)을 걸침시킨 후 장볼트(182)를 중앙 방호벽(5)과 연결 채널(181)을 관통시킨 후 너트로 체결하여 중앙 지주(18)가 설치되어 있다.
이때 중앙 지주(18)의 상부에 V자 형태로 보조지지대(19)를 접합시켜 횡 보강대(14)를 지지케 함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횡 보강대(14)의 중앙부는 지지점이 늘어나게 되어 중앙 지주(18)가 횡 보강대(14)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이웃한 횡 보강대(14와 14)의 사이에 크로스 보강대(16)가 복수개 이상으로 설치된다. 본 실시 예에서 크로스 보강대(16)는 횡 보강대(14)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H단면의 강재빔으로 제작되어 있으나 ㄷ자 형태의 채널이나 L형 앵글로 제작될 수도 있다. 크로스 보강대(16)에는 도 8a 및 8b와 같이 상면에 일정 간격마다 U자형의 케이블 고정용 고리(162)가 설치되어 있다.
이웃한 횡 보강대(14와 14)에 복수개 이상의 식생박스(20)가 지지되어져 설치되어 있다. 이때 식생박스(20)는 이웃한 크로스 보강대(16,16)의 사이마다 중앙에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식생박스(20)는 중앙 지주(18)의 배치 선상에 설치되고 나머지는 중앙 지주(18)를 기준으로 대칭되게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식생박스(20)의 균형적인 배치로 안정된 방음터널의 지붕 구조를 갖게 된다.
식생박스(20)는, 도 7a와 같이 토양을 저장하기 위해 상방으로 개구된 토양 수납실(201a)을 갖는 박스 본체(201)와, 박스 본체(201)의 내부에 토양 수납실(201a)을 분할하는 하나 이상의 격벽(202)과, 박스 본체(201)의 상단에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마다 접합되어 있는 다수개의 케이블 연결고리(203)와, 박스 본체(201)의 양쪽 단부에 각기 접합되어 있는 상,하부 식생박스 접합판(204a,204b)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식생박스(20)는 도 7b와 같이 상,하부 식생박스 접합판(204a,204b)이 횡 보강대(14)에 밀착되어 체결수단인 볼트와 너트로 접합되어 설치된다.
식생박스(20)는 박스 본체(201)내에 식생 식물 특히, 흡착 뿌리를 갖고 나무나 바위, 담벼락 등을 타고 올라가는 덩굴 식물이 식생된다.
식생박스(20)내 토양에서 성장한 덩굴 식물이 뻗어 나가도록 하기 위해 횡 보강대(14)와 크로스 보강대(16)에 덩굴식물 지지케이블(30)이 설치되어져 있다.
덩굴식물 지지케이블(30)은 본 실시예에서 강선을 꼬아서 제작된 것으로 도 9와 같이 그물망 형태를 갖기 위해 횡방향 지지케이블(31)과 종방향 지지케이블(32)로 구성하였으나 이러한 재질이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횡방향 지지케이블(31)은 도 8a와 같이 크로스 보강대(16)측 케이블 고정용 고리(162)에 삽입되어져 콘크리트 기초(11)에 단부가 연결되거나 횡 보강대(141)와 방음벽 지주(12)의 접합부측에 추가적으로 설치된 크로스 보강대에 연결될 수 있다. 종방향 지지케이블(32)은 횡 보강대(14)의 복부에 구멍을 형성시켜 삽입시킨 후 양단을 처음과 마지막 횡 보강대(14,14)에 설치된 도 8c의 고리형 볼트(144)에 연결시켜 설치될 수 있다.
이같이 덩굴식물 지지케이블(30)은 횡방향 지지케이블(31)과 종방향 지지케이블(32)에 의해 도 9와 같이 그물망 형태를 갖게 되므로 덩굴 식물의 성장을 지지하고 흡착뿌리의 피부착 대상을 제공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덩굴 식물로 지붕을 이루는 도로 에코사운드 베리어 터널 의 시공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도 1,2 및 도 4와 같이 도로(1)의 양측에 방음벽 지주(12)를 콘크리트 기초에 입설한 후 방음판(40)을 방음벽 지주(12)에 조립하여 방음벽(10)을 시공한다.
방음벽(10)의 시공 단계는 기 설치되어 있는 경우 본 발명의 시공 단계에서 생략될 수 있다.
다음, 방음벽(10)이 시공된 도로의 중앙에 도 2와 같이 일정 간격마다 중앙 지주(18)를 설치한다. 이때 중앙 지주(18)는 도 4와 같이 상부가 분할 접합되어 상태에서 보조지지대(19)가 추가될 수 있다.
그 다음, 방음벽(10)이 설치된 구간에 일정 간격마다의 방음벽 지주(12)를 선택하여 횡 보강대(14)를 시공한다. 횡 보강대(14)는 도 1 및 도 5와 같이 각 방음벽 지주(12)의 상단에 일단부가 절곡되어 있는 단부 빔(141)을 접합시킴과 동시에 중앙 지주(18)에 중앙 빔(142)을 지지시켜 놓고, 이들 단부 빔(141)과 중앙 빔(142)의 사이를 긴 장축 빔(143)으로 연결 접합시켜서 시공된다.
그 다음, 이웃한 횡 보강대(14와 14)의 사이에 횡 보강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정 개소마다 상면에 일정 간격마다 도 8과 같이 케이블 고정용 고리(162)가 설치되어 있는 크로스 보강대(16)를 접합하여 설치한다.
그 다음, 이웃한 크로스 보강대(16과 16)의 사이에 도 1 및 도 7과 같이 식생박스(20)를 다수개 배치시킨 후 각기 식생박스(20)를 횡 보강대(14)에 접합시켜 놓는다. 이때 식생박스(20)는 도 7b와 같이 상,하부 식생박스 접합판(204a,204b)이 횡 보강대(14)에 밀착되어 볼트와 너트로 접합되어 설치된다.
그 다음, 식생박스(20)에서 성장한 덩굴 식물이 뻗어 나가도록 하기 위해 상기 횡 보강대(14)와 크로스 보강대(16)에 지지되도록 덩굴식물 지지케이블(30)을 설치한다. 덩굴식물 지지케이블(30)의 설치는 횡 보강대(14)의 복부에 형성된 구멍에 종방향 지지케이블(32)을 삽입시킨 후 양단을 처음과 마지막 횡 보강대(14,14)에 설치된 도 8c의 고리형 볼트(144)에 연결시킨 후, 크로스 보강대(16)측 케이블 고정용 고리(162)에 횡방향 지지케이블(31)을 삽입시킨 후 단부를 콘크리트 기초(11)에 연결하거나 횡 보강대(14)와 방음벽 지주(12)의 접합부측에 추가적으로 설치된 크로스 보강대에 연결하여서 시공된다.
이와 같이 시공된 덩굴 식물로 지붕을 이루는 도로 에코사운드 베리어 터널 은 식생박스(20)의 박스 본체(201)내에 흡착 뿌리를 갖고 나무나 바위, 담벼락 등을 타고 올라가는 덩굴 식물이 식생된다. 예로, 담쟁이 덩굴, 댕댕이 덩굴, 환삼덩굴, 사위질빵, 머루, 다래, 칡 등등의 덩굴 식물이 식생된다. 이들 덩굴식물은 식생박스(20)내 토양에서 성장하여 횡 보강대(14)와 크로스 보강대(16)에 지지되어 있는 그물망 형태의 덩굴식물 지지케이블(30)을 통하여 뻗어나가 지붕을 이루게 되어 방음벽과 함께 터널을 이루게 된다.
따라서 덩굴 식물이 어느 정도 자라 덩굴식물 지지케이블(30)의 전체를 덮게 되면, 외관적으로 푸르름을 더하게 되고 계절적인 단풍 효과도 함께 주어 자연 친화적인 방음 터널을 만들게 되고, 나아가 햇빛을 가리는 도로의 그늘막 역할을 하게 되는 이점을 갖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덩굴식물 지지케이블(30)을 십자의 교차 형태로 구성하였으나 이러한 배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선 배치 등 다양하게 시공될 수 있다.
다른 한편, 본 발명은 도로에 기 설치된 양쪽 방음벽에 높이의 차가 있는 경우에 도 10과 같이 횡 보강대(14)의 일측 단부를 절곡시키지 않고 상대적으로 높은 방음벽 지주(12)에 수평적으로 접합시켜 설치될 수 있다. 이때 가새(141')를 사용하여 횡 보강대(14)의 단부를 방음벽 지주(12)에 지지시킬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10: 방음벽
14: 횡 보강대
16: 크로스 보강대
20: 식생박스
30: 덩굴식물 지지케이블

Claims (6)

  1. 도로의 양측에 방음벽 지주(12)와 방음판(40)으로 시설되어 있는 방음벽(10)과;
    양쪽 방음벽(10)에 일정 간격마다 설치되어 있는 방음벽 지주 중 일정 간격마다의 방음벽 지주(12)를 선택하여 각 상단에서 접합되어 있는 횡 보강대(14)와;
    이웃한 횡 보강대(14와 14)의 사이에 횡 보강대(14)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정 개소마다 접합되어 있고, 상면에 일정 간격마다 케이블 고정용 고리(162)가 설치되어 있는 크로스 보강대(16)와;
    이웃한 크로스 보강대(16와 16)의 사이에 양단이 이웃한 횡 보강대(14와 14)에 각기 접합되어 있되, 중앙 지주(18)의 배치 선상에 설치되고 나머지는 중앙 지주(18)를 기준으로 대칭되게 배치되어 있는 식생박스(20)와;
    상기 식생박스(20)내 토양에서 성장한 덩굴 식물이 뻗어 나가도록 하기 위해 상기 횡 보강대(14)와 크로스 보강대(16)에 지지되어 있는 덩굴식물 지지케이블(30)과;
    도로의 중앙에 상기 횡 보강대(14)를 지지하기 위해 H 단면을 갖고 입설되어 있는 중앙 지주(18)와;
    중앙 지주(18)의 상부에 V자 형태로 접합되어 횡 보강대(14)에 연결되어 있는 보조지지대(19)를 포함하되,
    상기 식생박스(20)는 상방으로 개구된 토양 수납실(201a)을 갖는 박스 본체(201)와; 박스 본체(201)의 내부에 토양수납실(201a)을 분할하는 격벽(202)과; 박스 본체(201)의 상단에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마다 접합되어 있는 다수개의 케이블 연결고리(203)와; 박스 본체(201)의 양쪽 단부에 각기 접합되어 있는 상,하부 식생박스 접합판(204a,204b)으로 구성되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덩굴 식물로 지붕을 이루는 도로 에코사운드 베리어 터널 .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도로의 양측에 방음벽 지주(12)를 콘크리트 기초에 입설한 후 방음판(40)을 방음벽 지주(12)에 조립하여 방음벽(10)을 시공하는 단계와;
    방음벽(10)이 시공된 도로의 중앙에 일정 간격마다 중앙 지주(18)를 설치하는 단계와;
    방음벽(10)이 설치된 구간에 일정 간격마다의 방음벽 지주(12)를 선택하여 각 방음벽 지주(12)의 상단에 일단부가 절곡되어 있는 단부 빔(141)을 접합시킴과 동시에 중앙 지주(18)에 중앙 빔(142)을 지지시켜 놓고, 이들 단부 빔(141)과 중앙 빔(142)의 사이를 긴 장축 빔(143)으로 연결 접합시켜서 횡 보강대(14)를 시공하는 단계와;
    이웃한 횡 보강대(14와 14)의 사이에 횡 보강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정 개소마다 상면에 일정 간격마다 케이블 고정용 고리(161)가 설치되어 있는 크로스 보강대(16)를 접합하여 설치하는 단계와;
    이웃한 크로스 보강대(16과 16)의 사이에 식생박스(20)를 다수개 배치시킨 후 각기 식생박스(20)를 횡 보강대(14)에 접합시켜 놓는 단계와;
    상기 식생박스(20)에서 성장한 덩굴 식물이 뻗어 나가도록 하기 위해 상기 횡보강대(14)와 크로스 보강대(16)에 지지되도록 덩굴식물 지지케이블(30)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시공되되;
    덩굴식물 지지케이블(30)은 크로스 보강대(16)에 연결 지지되어 있는 종방향 지지케이블(31)과, 양단이 방음벽 지주(12)측 콘크리트 기초에 연결되어 크로스 보강대(16)의 상면을 지나서 종방향 지지케이블(31)과 십자로 교차하는 횡방향 지지케이블(32)로 이루어져 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덩굴 식물로 지붕을 이루는 도로 에코사운드 베리어 터널의 시공 방법.
  6. 삭제
KR1020140109259A 2014-08-21 2014-08-21 덩굴 식물로 지붕을 이루는 도로 에코사운드 베리어 터널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16692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9259A KR101669255B1 (ko) 2014-08-21 2014-08-21 덩굴 식물로 지붕을 이루는 도로 에코사운드 베리어 터널 및 이의 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9259A KR101669255B1 (ko) 2014-08-21 2014-08-21 덩굴 식물로 지붕을 이루는 도로 에코사운드 베리어 터널 및 이의 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3245A KR20160023245A (ko) 2016-03-03
KR101669255B1 true KR101669255B1 (ko) 2016-10-26

Family

ID=555352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9259A KR101669255B1 (ko) 2014-08-21 2014-08-21 덩굴 식물로 지붕을 이루는 도로 에코사운드 베리어 터널 및 이의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925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4742B1 (ko) * 2018-04-16 2019-03-07 신영기술개발(주) 케이블 보강형 반 방음터널
KR101957155B1 (ko) * 2018-07-05 2019-03-13 메리츠테크놀로지 주식회사 합성구조체를 이용한 방음터널
CN111455884B (zh) * 2020-04-15 2021-07-13 成都伟腾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拱形全封闭式隔音屏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9937Y1 (ko) * 2004-08-19 2005-03-25 주식회사 지엘조경개발 법면이나 옹벽용 식생담
KR100876097B1 (ko) * 2008-06-16 2008-12-26 (주) 케이 이엔씨 방음벽용 식생 플랜터
KR101025329B1 (ko) * 2010-11-03 2011-03-29 태성이엔씨(주) 조경 방음 터널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2464B1 (ko) 2008-01-16 2008-05-29 (주) 경화엔지니어링 도로 및 단지의 녹화 방음벽 구조
KR101389111B1 (ko) * 2011-07-08 2014-04-28 주식회사 대흥미래기술 방음터널
KR20130077231A (ko) 2011-12-29 2013-07-09 홍남기 화분형 식생방음벽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9937Y1 (ko) * 2004-08-19 2005-03-25 주식회사 지엘조경개발 법면이나 옹벽용 식생담
KR100876097B1 (ko) * 2008-06-16 2008-12-26 (주) 케이 이엔씨 방음벽용 식생 플랜터
KR101025329B1 (ko) * 2010-11-03 2011-03-29 태성이엔씨(주) 조경 방음 터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3245A (ko) 2016-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9255B1 (ko) 덩굴 식물로 지붕을 이루는 도로 에코사운드 베리어 터널 및 이의 시공 방법
JP2008019683A (ja) フェンスの支柱
JP2008231904A (ja) 高床式建築物の基礎・基礎柱・土台の施工法
KR20140132914A (ko) 비닐하우스용 보강 구조물
KR102141237B1 (ko) 조립식 식생 수로
JP5623257B2 (ja) 折半屋根支持構造
KR101138556B1 (ko) 도로 단지 도시 입체조경을 위한 방음벽녹화 및 그 시공방법
KR101876139B1 (ko) 스프링 쿨러를 이용하는 녹화 지붕을 갖는 방음 터널 및 이의 시공 방법
US20050279573A1 (en) Greened sound-absorbing structure
KR100941783B1 (ko) 이동고정식 사계절녹화 방음벽
RU2672889C1 (ru) Забор
JP2005061144A (ja) 法面の緑化工法
JP4799579B2 (ja) 壁面緑化構造体および壁面緑化工法
JP2002138480A (ja) 植生構造体と植生方法
JP2009243200A (ja) 塀構造
JP2002138439A (ja) 布団篭と布団篭工法
KR20090033581A (ko) 녹생토 옹벽 구조물 및 식생 네일링 공법
JP2007085077A (ja) 屋上バルコニー付きカーポート
JP3152926U (ja) プランター
JPH10176311A (ja) 防音植栽フェンス
JP2009278924A (ja) 壁面緑化用の支柱及びこの支柱を用いた壁面緑化用ラック装置
JP2021139241A (ja) 建物
WO2015136825A1 (ja) 農業用ハウス
JP6876420B2 (ja) 緑化壁構造
JP3016704U (ja) 防音植樹壁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