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7964B1 - 충격흡수 기능을 구비한 방음벽 - Google Patents

충격흡수 기능을 구비한 방음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7964B1
KR101667964B1 KR1020160083315A KR20160083315A KR101667964B1 KR 101667964 B1 KR101667964 B1 KR 101667964B1 KR 1020160083315 A KR1020160083315 A KR 1020160083315A KR 20160083315 A KR20160083315 A KR 20160083315A KR 101667964 B1 KR101667964 B1 KR 1016679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steel
steel plate
soundproofing member
impact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33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춘종
Original Assignee
박춘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춘종 filed Critical 박춘종
Priority to KR10201600833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79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79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79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01F8/0011Plank-like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01F8/0017Plate-like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01F8/0023Details, e.g. found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충격흡수 기능을 구비한 방음벽에 관한 것으로서, 방음부재; 상기 방음부재를 지지하는 지지기둥; 및 상기 지지기둥과 상기 방음부재 사이에 위치되는 스프링 강판클립을 포함하는 방음벽에 있어서, 상기 지지기둥에 형성된 삽입홀을 더 포함하며, 상기 스프링 강판클립은, 상기 방음부재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되, 단면이 다수의 직선으로 구성된 볼록형상인 충격흡수부; 상기 충격흡수부의 일단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기둥의 일측면에 체결되는 체결부; 및 상기 체결부(340) 상에 위치되어 상기 지지기둥 방향으로 돌출된 하나 이상의 돌출부(360)을 포함하며, 상기 체결부(340)는 상기 충격흡수부(320)의 일단에서 상기 충격흡수부의 볼록형상으로 형성된 내측 공간 방향으로 연장되며, 그리고 상기 삽입홀에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방음벽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충격흡수 기능을 구비한 방음벽{A soundproof wall having the function of shock absorption}
본 발명은 충격흡수 기능을 구비한 방음벽에 관한 것으로, 방음부재와 방음부재를 지지하는 지지기둥 사이에 방음부재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스프링 강판클립을 위치시킴에 있어서, 지지기둥에 스프링 강판클립을 체결시키는 수단을 달리함으로써 지지기둥과 지지기둥 사이에서 방음부재를 상하 이동시킬 때 스프링 강판클립의 체결수단에 걸리지 않도록 하며, 나아가 스프링 강판클립을 지지기둥에 용이하게 체결시키고 방음부재의 상하 이동에 따른 스프링 강판클립의 이탈을 방지하는 방음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음벽은 도로 혹은 철도를 따라 일렬로 설치되어 상기 도로와 철도에서 발생하는 소음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최대한 줄이는 장치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방음벽은 방음이 필요한 곳에 "H"빔 형상의 지지기둥을 설치하고 지지기둥 일측과 타측 사이에 대향된 개방된 공간에 방음부재의 끼워 넣을 수 있도록 구성되며 방음부재가 볼트 등 체결수단으로 체결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일반적인 방음벽 구조는 분해 및 조립이 복잡하며 방음부재 파손시 일일이 체결수단을 해체해야 바 작업 효율이 저하되고 유지관리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나아가, 외부로부터 방음부재에 충격이 가해질 때 이러한 충격의 힘이 그대로 방음부재에 전달되어 방음부재가 파손되거나 변형되는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종래의 기술로서 등록권자가 본 출원인인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10-0527005을 살펴본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술한 특허등록번호 10-0527005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음부재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기둥과 방음부재의 결합모습을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 강판클립을 사용하여 방음부재를 결합한 모습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도 4는 스프링 강판클립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수의 기둥날개(2)를 구비하고, 상기 기둥날개(2)의 종축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볼트구멍을 형성하며, 하단은 기둥지지부(3)에 체결되는 지지기둥(1)을 방음이 필요한 부위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한다.
하나 이상의 일정부위에 천공형상의 체결부(10)를 구비하며 상기 기둥날개(2)와 이격되도록 굽어져서 기둥날개(2)와의 사이에 탄력흡수공간을 구비하는 탄력날개(5)가 형성된 스프링 강판클립(4)을 상기 기둥날개(2)의 볼트구멍에 체결볼트(8)와 체결너트(8)로 체결하여 구성한다.
상기 일측 기둥날개(2)와 상기 스프링 강판클립(4) 사이에 생기는 공간에, 외측 단부에는 충격이나 스프링의 압축력에 의하여 변형되지 아니하는 보호부(6)가 형성되고 소음의 투과율을 낮추는 판상의 방음부재(7)의 양 끝단을 체결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지지기둥(1)은 도로 혹은 철도의 양쪽 가장자리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며, 최소한 2개의 기둥날개(2)를 구비하여 상기 지지기둥(1)에는 양쪽으로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방음부재(7)는 내측에는 소음 흡음을 위한 흡음재를 구비하고 외부면은 형태 유지와, 스프링 강판클립의 압력을 견딜 수 있도록 보호부(6)를 구비하는 공지의 구조로 되어있다.
도 4에 도시한 스프링 강판클립(4)은 상부 일단에 천공형상의 체결부(10)를 구비하고 중심부에 볼록 형상으로 굽어진 탄력날개(5)가 형성된다.
상술한 구조로 이루어진 종래의 기술에 따른 방음벽에 구비된 스프링 강판클립으로 방음부재에 가해지는 외부 충격으로 인한 파손을 방지하고, 조립 및 분해가 간단하도록 하여 시공비용을 줄이고자 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에 따라 발생되는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스프링 강판클립이 지지기둥에 체결된 상태에서 방음부재를 상하 이동시키는 경우(교체시 또는 수리시) 볼트 등의 체결수단에 방음부재가 걸리게 되어 방음부재에 손상이 가해질 수 있다. 즉, 방음부재를 상하로 이동시킬 경우 스프링 강판클립에 힘이 가해져 스프링 강판클립 중 볼록 형상 부분이 압축될 수 있고, 결국 상하 이동되는 방음부재와 볼트 등의 체결수단이 맞닿을 수 있어 방음부재에 손상을 가할 수 있다.
다른 문제점으로, 스프링 강판클립이 지지기둥에 볼트 등의 체결수단으로 체결되었다 하더라도 방음부재 상하 이동시 원래 위치로부터 이탈될 수 있고, 이탈됨에 따라 충격흡수의 기능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 다른 문제점으로, 스프링 강판클립을 지지기둥에 체결시키는 과정 중 볼트 등을 체결할 때 지지기둥에 형성된 홀과 체결부의 홀을 일일이 일치시켜야 하는 작업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있다.
또 다른 문제점으로, 스프링 강판클립을 지지기둥에 체결시키는 과정 중에 체결수단으로 반드시 볼트와 너트가 필요하는 바, 작업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1) KR10-0527005 B
상술한 종래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스프링 강판클립을 지지기둥에 체결하는 과정이 용이한 스프링 강판클립을 구비한 방음벽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방음부재 상하 이동시 스프링 강판클립이 압축되더라도 방음부재에 걸리지 않는 체결수단으로 구성된 스프링 강판클립을 구비한 방음벽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방음부재 상하 이동되더라도 원래의 위치로부터 이탈되지 않는 스프링 강판클립을 구비한 방음벽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스프링 강판클립을 지지기둥에 체결함에 있어서 작업 효율적인 체결수단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종래의 기술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에 따른 방음벽은. 방음부재(200); 상기 방음부재(200)를 지지하는 지지기둥(100); 및 상기 지지기둥(100)과 상기 방음부재(200) 사이에 위치되는 스프링 강판클립(300)을 포함하는 방음벽에 있어서, 상기 지지기둥(100)에 형성된 삽입홀(12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스프링 강판클립(300)은, 상기 방음부재(200)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되, 단면이 하나 이상의 각과 다수의 직선으로 형성된 볼록 형상인 충격흡수부(320); 상기 충격흡수부(320)의 일단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기둥(100)의 일측면에 체결되는 체결부(340); 및 상기 체결부(340) 상에 위치되어 상기 지지기둥(100) 방향으로 돌출된 하나 이상의 돌출부(360)을 포함하며, 상기 체결부(340)는 상기 충격흡수부(320)의 일단에서 상기 충격흡수부(320)의 볼록형상으로 형성된 내측 공간 방향으로 연장되며, 그리고 상기 삽입홀(120)에 상기 돌출부(360)가 삽입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충격흡수부(320)의 타단은 상기 지지기둥(100)의 일측면과 접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체결부(340)에서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360)의 내측으로 관통되는 관통홀(350)을 더 포함하며, 상기 관통홀(350)에는 나사선이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돌출부(360)는 2개이며, 상기 2개의 돌출부(360)는 상기 체결부(340) 상에서 서로 대각선 상에 위치된다.
바람직하게는, 볼트가 상기 삽입홀(120)을 관통하여 상기 2개의 돌출부(360) 중 어느 하나의 돌출부(360)의 내측에 형성된 관통홀(350)에만 삽입된다.
상술한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방음벽에서는 방음부재의 상하 이동에 의해 스프링 강판클립의 볼록형상 부분이 압축되더라도 체결수단이 볼록형상의 내측에 위치되기 때문에 방음부재에 걸리지 않는다.
또한, 다수의 돌출부가 지지기둥에 형성된 다수의 삽입홀에 삽입된 상태에서 스프링 강판클립과 지지기둥이 체결되는 바, 체결과정이 용이하고 방음부재의 잦은 상하 이동이 발생되더라도 스프링 강판클립이 원래 위치에서 이탈되지 않는다.
또한, 체결부에서 형성된 관통홀이 돌출부의 내측으로 관통되고, 관통홀의 내주면에는 나사선이 형성되어 있고, 지지기둥의 삽입홀을 관통하는 볼트가 관통홀을 관통되면서 나사선에 따라 체결되는 바, 별도의 너트가 필요없어 지지기둥의 삽입홀을 관통하는 하나의 볼트로써 스프링 강판클립을 지지기둥에 체결할 수 있어 작업 효율성이 증가된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방음부재가 지지기둥에 체결된 상태의 방음벽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지지기둥과 방음부재의 체결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지지기둥, 방음부재 및 스프링 강판클립의 체결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스프링 강판클립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기둥, 방음부재 및 스프링 강판클립이 체결된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기둥, 방음부재 및 스프링 강판클립의 체결을 분해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 강판클립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성을 위해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또는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5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음벽의 전체적인 구성요소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음벽은 지지기둥(100), 방음부재(200) 및 스프링 강판클립을 포함한다.
지지기둥(100)은 방음벽을 지지하는 기둥으로, 방음부재(200)가 지지기둥(100) 사이에 삽입된다. 즉, 방음이 필요한 곳에 일 열로 지지기둥(100)을 설치하고, 지지기둥(100)과 지지기둥(100) 사이에 방음부재(200)를 적층시킴으로써 방음벽을 구성한다.
지지기둥(100)은 방음벽을 지지하는 구조라면 어떠한 구조도 가능하나 바람직하게는 H빔 형상일 수 있다. 이에 따라, H빔과 H빔 사이에 서로 대향하는 공간으로 방음부재(200)가 삽입되어 적층되고, 지지기둥(100)의 일측면과 방음부재(200)가 접하게된다.
방음부재(200) 내측에는 소음 흡음을 위한 흡음재가 채워지고, 외부면에는 형태를 유지하고 스프링 강판클립의 압력을 견딜 수 있도록 보호부가 구비되어 있음이 바람직하다.
방음부재(200)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기 위해서 지지기둥(100)의 일측면과 방음부재(200) 사이에는 스프링 강판클립(300)이 위치된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스프링 강판클립(300)의 제 1 실시예를 설명한다.
스프링 강판클립(300)은 충격흡수부(320), 체결부(340) 및 관통홀(350)을 포함한다.
스프링 강판클립(300)이 방음부재(200)와 지지기둥(100) 사이에 위치된 상태에서, 충격흡수부는(320) 방음부재(200)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되, 단면이 하나 이상의 각과 다수의 직선으로 형성된 볼록형상의 구조이다. 블록형상의 구조 내측에 형성된 공간이 방음부재(200)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한다.
구체적으로, 충격흡수부(320)는 방음부재(200)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되, 단면이 하나 이상의 각과 다수의 직선으로 형성된 볼록형상의 구조인데, 단면이 곡선으로 형성된 볼록형상의 종래 기술의 충격흡수부와 달리, 볼록형상이 하나 이상의 각과 다수의 직선으로 형성되어 충격흡수부(320)에 가해지는 순간적인 충격에 대한 지지력이 종래의 기술보다 훨씬 증가된다.
충격흡수부(320)는 방음부재(200)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되어 있는 상태에서 방음부재(200)에 직접적으로 접하거나 또는 사이에 어떠한 구조물을 둔 상태에서 방음부재(200)에 가해진 충격의 힘이 방음부재(200)를 통해 충격흡수부(320)에 전달된다. 이후, 전달된 충격은 충격흡수부(320)가 충격흡수부(320)의 볼록형상의 형성된 내측 공간 방향으로 압축되면서 흡수된다.
전달받은 충격으로 압축된 충격흡수부(320)는 충격이 흡수된 이후 다시 볼록형상으로 되돌아간다. 이에 따라, 스프링 강판클립(300)의 재질은 탄성력이 뛰어난 강판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체결부(340)는 충격흡수부(320) 일단에 연결된 상태에서 지지기둥(100)의 일측면에 체결된다. 즉, 체결부(340)가 지지기둥(100)의 일측면에 체결된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방음부재(200)에 가해진 충격을 충격흡수부(320)가 흡수하는데, 충격흡수부(320)가 충격에 의해 압축될 때 지지기둥(100) 방향으로 압축되고 체결부(340)는 지지기둥(100)에 체결된 상태에서 충격흡수부(320)의 움직임을 지지한다.
이러한 체결부(340)는 충격흡수부(320)의 일단에서 시작하여 충격흡수부(320)의 볼록형상으로 형성된 내측 공간 방향과 반대인 충격흡수부(320)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된다.
체결부(340) 상에는 하나 이상의 관통홀(350)이 형성되어 있으며, 관통홀(350) 내주면에는 나사선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지지기둥(100)에 형성된 삽입홀(120)로 볼트(B)가 삽입되고, 삽입된 볼트(B)가 관통홀(350)의 나사선을 회전관통하면서 체결력을 증가시켜 체결부(340)와 지지기둥(100)이 체결된다.
관통홀(350) 내주면에 나사선이 형성되어 있어 볼트(B)로 체결시 별도의 너트가 필요없이 볼트(B)가 나사선을 회전관통하여 체결되는 바, 작업효율성이 증가된다.
관통홀(350)은 다수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2개일 수 있다. 관통홀(350)이 2개인 경우, 이러한 관통홀(350)은 서로 대각선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좌우 흔들림을 고정하여 스프링 강판클립(30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스프링 강판클립(300)의 제 2 실시예를 설명한다.
스프링 강판클립(300)은 충격흡수부(320), 체결부(340), 돌출부(360) 및 관통홀(350)을 포함한다.
충격흡수부(320)는 앞서 설명한 제 1 실시예의 설명에 갈음한다.
체결부(340)는 충격흡수부(320) 일단에 연결된 상태에서 지지기둥(100)의 일측면에 체결된다. 즉, 체결부(340)가 지지기둥(100)에 일측면에 체결된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방음부재(200)에 가해진 충격을 충격흡수부(320)가 흡수하는데, 충격흡수부(320)가 충격에 의해 압축될 때 체결부(340) 방향으로 압축되고 체결부(340)는 지지기둥(100)에 체결된 상태에서 충격흡수부(320)의 움직임을 지지한다.
이러한 체결부(340)는 충격흡수부(320)의 일단에서 시작하여 충격흡수부(320)의 볼록형상으로 형성된 내측 공간 방향으로 연장된다. 즉, 종래의 기술과 달리 체결부(340)를 충격흡수부(320)의 내측 방향으로 위치시킴으로써 방음부재(200)의 상하 이동에 따라 충격흡수부(320)가 압축되더라도 후술할 체결수단이 상하 이동되는 방음부재(200)에 접하지 않기 때문에 방음부재(200)가 손상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방음부재(200)를 적층하거나 교체 수리할 경우, 방음부재(200)의 상하 이동으로 충격흡수부(320)에 충격을 가할 수 있다. 충격에 의해 충격흡수부(320)가 압축되는 경우, 종래의 기술에 따르면 압축되는 깊이(지지기둥(100)과 충격흡수부(320)의 볼록 형상 부분 간의 거리)가 볼트(B)가 지지기둥(100)으로부터 돌출된 거리보다 짧을 수 있어 상하 이동되는 방음부재(200)에 볼트(B)가 닿아 방음부재(200)가 찢어질 수 있다.
반면, 본 발명에 따르면 아무리 충격흡수부(320)가 압축되더라도 체결부(340)에 체결되는 볼트(B)가 충격흡수부(320)의 내측 공간에 위치되기 때문에 방음부재(200)가 볼트(B)에 닿지 않고, 오직 방음부재(200)가 닿는 부분은 충격흡수부(200)의 볼록형상 부분이기 때문에 방음부재(200)가 상하 이동된다 하더라도 방음부재(200)가 손상되지 않는다.
체결부(340)가 지지기둥(100)의 일측면에 체결된 상태에서, 충격흡수부(320)의 타단은 지지기둥(100)의 일측면에 접하게 된다. 이에 따라, 충격흡수부(320)의 일단이 체결부(340)에 연결되어 고정된 상태에서 충격흡수부(320)의 타단이 지지기둥(100)의 일측면을 따라 미끄러지면서 충격흡수부(320)가 압축되고 충격을 흡수한다.
돌출부(360)는 체결부(340)에서 지지기둥(100)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고, 이러한 돌출부(360)는 지지기둥(100)에 형성된 삽입홀(120)에 삽입된다. 이에 따라, 스프링 강판클립(300)을 지지기둥(100)의 일측면에 체결하는 과정 중에서 체결부(340)에 형성된 홀과 지지기둥(100)을 관통하는 홀을 일치시킨 다음 볼트와 너트로 체결해야 하는 종래의 기술과 달리, 돌출부(360)를 지지기둥(100)에 삽입시키고 볼트로 체결함에 따라 체결과정이 마무리되는 바, 체결과정이 단순화된다.
돌출부(360)는 다수이다. 바람직하게는 2개일 수 있다. 2개의 돌출부(360)는 체결부(340) 상에서 서로 대각선 상에 위치될 수 있다.
하나의 돌출부(360)로만 구성된 상태에서 돌출부(360)가 지지기둥(100)의 삽입홀(120)에 삽입되는 경우 스프링 강판클립(300)이 방음부재(200)의 상하 이동에 따라 원래 자리에서 이탈될 수 있다. 즉, 스프링 강판클립에 가해지는 힘에 비해 지지기둥(100)에 체결된 스프링 강판클립(300)의 체결력이 약하기 때문에 쉽게 이탈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돌출부(360)는 2개일 수 있고, 2개의 돌출부(360)가 삽입홀(120)에 삽입됨에 따라 체결력이 더욱 강해질 수 있다.
방음부재(200)의 이동에 의해 상하 좌우로 가해지는 충격에 따른 스프링 강판클립(300)의 이탈을 방지하고자 2개의 돌출부(360)가 대각선 상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스프링 강판클립(300)과 지지기둥(100)의 체결력을 더욱 강화시키기 위함이다.
체결부(340)에는 관통홀(350)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관통홀(350)은 돌출부(360)의 내측으로 관통된다. 즉, 돌출부(360)가 체결부(340)에서 지지기둥(100) 방향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체결부(340)에 형성된 관통홀(350)이 돌출부(360)의 내측을 관통되기 때문에 결국 하나의 관통홀(350)이 체결부(340)와 돌출부(360)에 관통된다.
관통홀(350)의 내주면에는 나사선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지지기둥(100)의 삽입홀(120)을 통해 삽입된 볼트(B)가 나사선이 형성된 관통홀(350)에 관통되면서 체결부(340)가 지지기둥(100)에, 즉 스프링 강판클립(300)이 지지기둥(100)에 체결된다. 이에 따라, 삽입된 볼트를 고정하기 위한 너트가 필요한 종래의 기술과 달리, 이미 관통홀(350)에 형성된 나사선으로 볼트(B)가 회전 관통되면서 체결부(340)와 지지기둥(100) 사이의 체결력을 강화되기 때문에 별도의 너트가 필요하지 않다. 작업의 효율성이 증가된다.
서로 대각선 상에 위치되는 돌출부(360)가 2개인 경우, 마찬가지로 관통홀(350)도 2 개가 형성된다. 스프링 강판클립(300)을 지지기둥(100)에 체결하는 경우, 하나의 볼트(B)가 삽입홀(120)을 관통하고, 관통한 볼트(B)가 2개의 돌출부(360) 중 어느 하나의 돌출부(360)에 삽입된다. 즉, 체결부(340)와 지지기둥(100)의 체결력은 하나의 삽입홀(120)을 관통하여 어느 하나의 돌출부(360)에 삽입되는 하나의 볼트로 강화시키고, 또 다른 삽입홀(120)에 삽입된 나머지 하나의 돌출부(360)는 스프링 강판클립(300)이 좌우로 이탈되지 않도록 스프링 강판클립(300)을 유지시켜준다.
이에 따라, 2개의 돌출부(360)를 2개의 삽입홀(120)에 삽입시키되, 1개의 돌출부(360)에만 볼트가 사용되도록 하고, 나머지 다른 1개의 돌출부(360)는 좌우 이탈 방지용으로써 기능을 발휘하는 바, 저렴한 비용으로 작업 효율성을 증가시키고 체결력을 증가시키면서 스프링 강판클립(30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이점이 있다.
이상, 본 명세서에는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지지기둥
120: 삽입홀
200: 방음부재
300: 스프링 강판클립
320: 충격흡수부
340: 체결부
350: 관통홀
360: 돌출부

Claims (5)

  1. 방음부재(200); 상기 방음부재(200)를 지지하는 지지기둥(100); 및 상기 지지기둥(100)과 상기 방음부재(200) 사이에 위치되는 스프링 강판클립(300)을 포함하는 방음벽에 있어서,
    상기 지지기둥(100)에 형성된 삽입홀(12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스프링 강판클립(300)은,
    상기 방음부재(200)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볼록형상인 충격흡수부(320);
    상기 충격흡수부(320)의 일단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기둥(100)의 일측면에 체결되는 체결부(340); 및
    상기 체결부(340) 상에 위치되어 상기 지지기둥(100) 방향으로 돌출된 하나 이상의 돌출부(360)을 포함하며,
    상기 체결부(340)는 상기 충격흡수부(320)의 일단에서 상기 충격흡수부(320)의 볼록형상으로 형성된 내측 공간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삽입홀(120)에 상기 돌출부(360)가 삽입되며, 그리고
    상기 돌출부(360)는 2개이고, 상기 2개의 돌출부(360)는 상기 체결부(340) 상에서 서로 대각선 상에 위치되는 방음벽.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흡수부(320)의 타단은 상기 지지기둥(100)의 일측면과 접하는 방음벽.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340)에서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360)의 내측으로 관통되는 관통홀(350)을 더 포함하며,
    상기 관통홀(350)에는 나사선이 형성되어 있는 방음벽.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볼트가 상기 삽입홀(120)을 관통하여 상기 2개의 돌출부(360) 중 어느 하나의 돌출부(360)의 내측에 형성된 관통홀(350)에만 삽입되는 방음벽.
KR1020160083315A 2016-07-01 2016-07-01 충격흡수 기능을 구비한 방음벽 KR1016679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3315A KR101667964B1 (ko) 2016-07-01 2016-07-01 충격흡수 기능을 구비한 방음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3315A KR101667964B1 (ko) 2016-07-01 2016-07-01 충격흡수 기능을 구비한 방음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7964B1 true KR101667964B1 (ko) 2016-10-20

Family

ID=572512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3315A KR101667964B1 (ko) 2016-07-01 2016-07-01 충격흡수 기능을 구비한 방음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796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8186B1 (ko) * 2019-11-13 2021-05-03 강수근 방음벽 구조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55912A (ja) * 1999-06-17 2000-12-26 Sekisui Jushi Co Ltd 防音パネルの固定構造
JP2002054110A (ja) * 2000-08-10 2002-02-20 Daito Kinzoku Kk 外装板の取付金具
JP2007023662A (ja) * 2005-07-19 2007-02-01 Nippon Steel & Sumikin Coated Sheet Corp 気密型シェルター及びその施工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55912A (ja) * 1999-06-17 2000-12-26 Sekisui Jushi Co Ltd 防音パネルの固定構造
JP2002054110A (ja) * 2000-08-10 2002-02-20 Daito Kinzoku Kk 外装板の取付金具
JP2007023662A (ja) * 2005-07-19 2007-02-01 Nippon Steel & Sumikin Coated Sheet Corp 気密型シェルター及びその施工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8186B1 (ko) * 2019-11-13 2021-05-03 강수근 방음벽 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1868B1 (ko) 가드레일
KR101215335B1 (ko) 차량 방호울타리
KR102279079B1 (ko) 부분 탈부착이 가능한 유지관리형 투명방음패널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160023209A (ko) 방음패널 고정구
KR101667964B1 (ko) 충격흡수 기능을 구비한 방음벽
KR101612106B1 (ko) 소음 감쇄용 안전 방음시설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1307683B1 (ko) 충격 흡수 가능한 차량용 방호책
KR100981339B1 (ko) 완충장치를 갖는 차음벽
KR20130080175A (ko) 보강 기능을 갖는 가드레일 구조물
KR102250444B1 (ko) 내진형 다기능 방음벽
KR20190027870A (ko) 흡음 가드 레일 시스템
KR100507751B1 (ko) 방음판 고정장치
KR101655390B1 (ko) 보강완충구조를 갖는 가드레일장치
JP4105136B2 (ja) 前背面分離式遮音壁
KR101791997B1 (ko) 완충 구조를 겸비한 충격흡수가드레일
KR20150031868A (ko) 파단 기능의 지주를 갖는 가드레일의 충격흡수장치
KR101655362B1 (ko) 충격흡수구조가 강화된 가드레일 조립체
KR20220072598A (ko) 유지 보수형 투명방음판
KR100527005B1 (ko) 방음벽 지주용 빔
JP2015190154A (ja) 衝撃吸収柵
KR101875505B1 (ko) 도로용 충격 흡수 장치
KR101118078B1 (ko) 가드레일용 보강부재
KR101535235B1 (ko) 소성 변형과 탄성 변형을 통한 이중 충격흡수 고강도 빔 가드레일
KR20130115559A (ko) 교량 방호벽
JP7438846B2 (j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