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2657B1 - 정보 출력 장치 - Google Patents

정보 출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2657B1
KR101662657B1 KR1020100009971A KR20100009971A KR101662657B1 KR 101662657 B1 KR101662657 B1 KR 101662657B1 KR 1020100009971 A KR1020100009971 A KR 1020100009971A KR 20100009971 A KR20100009971 A KR 20100009971A KR 101662657 B1 KR101662657 B1 KR 1016626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electric energy
main body
vehicl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99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94938A (ko
Inventor
타케시 노나카
Original Assignee
타케시 노나카
정원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케시 노나카, 정원기 filed Critical 타케시 노나카
Publication of KR201000949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49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26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26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4Arrangement of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Abstract

간단한 동시에 선재가 보이기 어려운 상태로, 간단히 장착 가능한 정보 출력 장치 또는 정보 출력 장치의 지지부를 제공한다.
정보 출력 장치(1)는 충전 가능한 제 1 전지(11)와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모니터, 17)를 갖는 본체부(10)를 포함한다. 차량에 고정되고, 본체부(10)를 착탈 가능한 상태로 지지하는 지지부(30)를 포함한다. 지지부(30)는 빛, 열, 바람 및 진동 중 적어도 하나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발전부(31)를 갖는다. 제 1 전지(11)의 충전은 차량의 배터리에 충전된 전기에너지를 사용하지 않고, 발전부(31)에서 변환된 전기에너지에 기초하여 실행된다. 본체부(30)는 차량의 배터리에 충전된 전기에너지를 사용하지 않고, 발전부(31)에서 변환된 전기에너지 또는 제 1 전지(11)에 충전된 전기에너지에 의해 구동된다.

Description

정보 출력 장치{Information Output Apparatus}
본 발명은 정보 출력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의 대시보드 상 등에 탑재된 정보 출력 장치의 배선 간소화에 관한 것이다.
자차 위치와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지도 상에 표시하는 내비게이션 시스템 등의 정보 출력 장치가 제안되고 있다. 내비게이션 시스템은 모니터를 포함하는 부분의 장착 위치에서 고려하면, 통상 카오디오가 장착된 대시보드 내에 설치하는 인 대시(In-dash) 장착 타입과 대시보드 상에 설치하는 온 대시(On-dash) 장착 타입이 존재한다. 어느 경우에도 내비게이션 시스템으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차량에 설치된 배터리에서 직접 배선된 상시 전원선과 엔진 키를 액세서리 위치에 맞춘(이를테면 엔진을 킨) 경우에 전력이 공급되는 액세서리 전원선의 적어도 한 쪽과 접지선을 배선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은 온 대시 장착 타입의 내비게이션 시스템을 개시한다.
특허문헌1:일본공개특허공보2007-69828호
특허문헌 1 등에서 표시되는 온 대시 장착 타입의 내비게이션 시스템에서는 전력 공급을 위한 선재를 대시보드 안과 엔진룸 등에서 가설하여 배선할 필요가 있어, 설치에 숙련이 필요해 진다. 시가라이터 소켓에서 이들 선재를 가설하는 형태도 고려되지만, 이 경우 센터 콘솔 부근에 선재가 보여 배선을 깔끔하게 정리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동시에 선재가 잘 보이지 않는 상태로, 간단히 장착할 수 있는 정보 출력 장치 또는 정보 출력 장치의 지지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정보 출력 장치는 충전 가능한 제 1 전지와,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갖는 본체부와, 차량에 고정되며 본체부를 착탈 가능한 상태로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한다. 지지부는 빛, 열, 바람 및 진동 중 적어도 하나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발전부를 가진다. 제 1 전지의 충전은 차량 배터리에 충전된 전기에너지를 사용하지 않고, 발전부에서 변환된 전기에너지에 기초하여 실행된다. 본체부는 차량 배터리에 충전된 전기에너지를 사용하지 않고, 발전부에서 변환된 전기에너지 또는 제 1 전지에 충전된 전기에너지에 의해 구동된다.
본체부는 발전부에서 변환된 전기에너지 또는 제 1 전지에 충전된 전기에너지에 기초하여 구동되므로, 차량 배터리에 충전된 전기에너지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이로 인해, 정보 출력 장치가 소비하는 전력이 차량의 전기 계통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을 낮출 수 있다. 또한, 차량 배터리에서 공급하는 전력선(백업 전원선과 액세서리 전원선) 등을 가설하여, 본체부 또는 지지부까지 배선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정보 출력 장치의 장착을 간소화 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출력 장치에 관련된 선재를 보기 어렵게 하고, 외관을 좋게 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또한, 차량 배터리의 전압을 고려하지 않고, 정보 출력 장치의 회로를 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차량 배터리의 전압 24 V 또는 12 V를 내비게이션 시스템(1)을 구동하는데 적당한 전압(3~5 V 정도)으로 변압하는 DC - DC 컨버터 등의 전자 부품을 생략하여, 본체부와 지지부의 구성을 간소화 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또한, 발전부가 본체부와 별개의 지지부에 배치되기 때문에, 발전부를 설치한 것에 의해 본체부가 커지지 않는다. 또한, 제 1 전지가 본체부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본체부를 지지부에서 분리하여도 본체부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발전부에서 전기에너지로 변환되는 동시에 차량에 고정된 지지부에서 얻어지는 에너지로는 빛, 열, 바람 및 진동이 고려된다. 빛과 열은 차량의 주행 상태에 관계없이 태양광에 기초하여 얻을 수 있다. 바람은 에어컨에서 불어 나오는 바람에 의해 얻을 수 있다. 진동은 차량 엔진의 운전에 기초하여 얻을 수 있다. 정보 출력 장치로는 내비게이션 시스템 이외에, TV 등의 영상을 출력하는 모니터, 음악 등의 음성을 출력하는 음악 플레이어, 레이더 탐지기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지지부를 설치한 차량의 액세서리 전원의 온오프 상태를 검지하는 제 1 검지부와, 제 1 검지부에 의한 검지 결과를 제 1 정보로서 발신하는 발신부를 더욱 포함하고, 지지부와 본체부의 적어도 한 쪽은 발신부로부터 제 1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가 있고, 본체부는 제 1 정보에 근거하여 본체부의 온오프 상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가진다.
차량 액세서리 전원의 온오프 상태에 대응하여 본체부의 온오프 상태를 제어함으로써, 엔진 정지 중에 본체부를 자동적으로 오프 상태로 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제 1 검지부는 차량에 설치된 시가라이터 소켓에 장착되어, 액세서리 전원의 온오프 상태에 따라 시가라이터 소켓으로의 전력 공급 상태를 검지한다.
시가라이터 소켓은 통상 차량의 액세서리 전원과 연동되어, 액세서리 전원이 오프 상태인 경우에는 시가라이터 소켓을 통한 전력 공급은 실행되지 않으며, 액세서리 전원이 온 상태인 경우에는 시가라이터 소켓을 통한 전력 공급이 행해진다. 이로 인해, 액세서리 전원의 온오프 상태로 시가라이터 소켓으로의 전력 공급 상태를 검지하는 것으로, 액세서리 전원의 온오프 상태에 연동한 본체부의 온오프 제어를 실행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제 1 검지부는 차량에 설치된 ECU에 접속되는 차속 신호를 검지하고, 발신부는 액세서리 전원의 온오프 상태에 관한 정보와 차속 신호에 관한 정보를 제 1 정보로서 발신한다.
액세서리 전원이 온 상태인 것을 나타내는 정보에 더하여 차속에 관한 정보가 얻어진다. 이러한 차속에 관한 정보는 자차 위치 특정에 사용할 수 있는 것 외에, 차량의 주행 속도(차속)에 대응하여 본체부의 조작을 제한하는 것도 가능해 진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지지부는 충전 가능한 제 2 전지를 가지고, 제 2 전지의 충전은 발전부에서 변환된 전기에너지에 기초하여 실행되며, 본체부는 발전부에서 변환된 전기에너지, 제 2 전지에 충전된 전기에너지 또는 제 1 전지에 충전된 전기에너지에 의해 구동된다.
차량을 운전하지 않는 미사용시에는 도난 방지의 관점에서, 본체부를 지지부에서 분리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이 경우, 발전부에서 얻어진 전기에너지를 본체부의 제 1 전지의 충전에 사용할 수 없지만, 지지부에 설치된 제 2 전지의 충전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체부의 경량화, 소형화의 관점에서는, 본체부에 탑재하는 제 1 전지는 가능한 한 경량인 동시에 소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제 1 전지의 축전용량이 작아지나 지지부에 설치된 제 2 전지도 본체부의 구동에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배터리 고갈이 일어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아울러, 제 2 전지는 차량에 고정된 지지부에 설치되어 들고 다닐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제 1 전지 보다도 축전용량이 큰 것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한층 더 바람직하게는, 발전부는 빛 및 열 중 적어도 하나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것이고, 지지부는 발전부에서 얻어진 전기에너지에 기초하여 구동되며 제 2 전지를 냉각하는 냉각부를 갖는다.
냉각부는 공랭 팬과 펠티에 소자 등의 냉각 장치로, 제 2 전지를 냉각한다. 지지부에서 분리하여 차량 밖으로 들고 나갈 수 있는 본체부의 제 1 전지와 달리, 차량의 대시보드 상 등의 태양광을 받는 위치에 고정된 지지부의 제 2 전지는, 태양광을 받아서 고온 하에 방치되는 것을 고려할 수 있으나, 냉각부에 의해 고온에 따른 제 2 전지의 열화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아울러, 냉각부의 구동에는 전력이 필요하나, 냉각부에 의한 냉각이 필요한 상황은 장시간 태양광을 받았을 때에 발생한다. 이 경우에는, 발전부에서 전기에너지가 충분히 얻어지기 때문에, 냉각부의 구동을 위해 제 2 전지에 충전된 전기에너지에 기초한 전력을 소비할 필요는 없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본체부와 지지부의 한 쪽은 오목부를 갖고 본체부와 지지부의 다른 쪽은 볼록부를 가져, 본체부가 지지부에 장착되었을 때에 오목부와 볼록부가 계합하고, 오목부와 볼록부를 통하여 지지부에서 본체부로 전력 공급이 실행되며, 오목부는 볼록부와 계합시에 볼록부의 삽입에 의해 열리고 비계합시에 닫히는 도어부를 갖는다.
비계합시에는, 오목부의 내측에 설치된 단자가 도어부에 의해 감춰지기 때문에, 접촉 불량의 원인이 되는 먼지 등의 진입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지지부는 본체부와 지지부의 접속 상태의 확인 수단을 갖고, 지지부에서 본체부로의 전력 공급은 확인 수단에 의한 접속 상태의 확인 후에 실행되는 동시에 자기 결합을 통하여 실행된다.
본체부와 지지부 사이에 전기적인 접속 단자가 불필요해 진다. 확인 수단으로서는 본체부가 지지부에 장착되었을 때에 온 상태가 되는 스위치 등이 고려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지지부와 본체부의 적어도 한 쪽은 지지부를 설치한 차량의 진동에 관한 정보를 검지하는 제 2 검지부를 갖고, 본체부는 진동에 관한 정보에 기하여 본체부의 온오프 상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갖는다.
본체부와 지지부는 차량 배터리에 충전된 전기에너지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엔진의 온오프 상태를 검지할 수 없다. 이로 인해, 엔진의 온오프 제어와는 별도로 사용자가 별도 수동으로 본체부의 온오프 제어를 실행할 필요가 있었지만, 차량의 진동 상태를 제 2 검지부(진동 검지부)에서 검지함으로써, 엔진의 온오프 상태를 파악하고 이에 대응하여 자동적으로 본체부의 온오프 제어를 실행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본 발명에 따른 정보 출력 장치의 지지부는 차량에 고정되고, 충전 가능한 제 1 전지와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갖는 정보 출력 장치의 본체부를 착탈 가능한 상태로 지지한다. 지지부는 빛, 열, 바람 및 진동 중 적어도 하나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발전부를 갖는다. 제 1 전지의 충전은 차량 배터리에 충전된 전기에너지를 사용하지 않고, 발전부에서 변환된 전기에너지에 기초하여 실행된다. 본체부는 차량 배터리에 충전된 전기에너지를 사용하지 않고, 발전부에서 변환된 전기에너지 또는 제 1 전지에 충전된 전기에너지에 의해 구동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간단한 동시에 선재가 보이기 어려운 상태이고, 간단히 장착할 수 있는 정보 출력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제 1 ~ 제 4 실시예에 따른 본체부와 지지부가 분리된 상태인 정보 출력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체부가 지지부에 장착된 상태인 정보 출력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정보 출력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4는 제 1 제어부의 전력 공급 제어의 동작 절차를 도시한 플로 차트이다.
도 5는 제 2 제어부의 전력 공급 제어의 동작 절차를 도시한 플로 차트이다.
도 6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정보 출력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7은 제 3 실시예에 따른 정보 출력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8은 제 4 실시예에 따른 정보 출력 장치의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제 1 실시예에 대해서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제 1 실시예에 따른 내비게이션 시스템(정보 출력 장치, 1)은 본체부(10) 및 지지부(30)를 포함한다(도 1 참조). 지지부(30)는 차량의 대시보드 상에 고정되어, 도시되지 않은 장착구를 통하여 본체부(10)를 탈착 가능한 상태로 지지한다(도 2 참조).
아울러, 지지부(30)의 장착 위치는 후술하는 발전부(31)가 앞유리를 통하여 태양광을 받을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면, 대시보드 상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앞유리, 선 바이저, 룸미러 및 에어컨 취출구에 장착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본체부(10)는 제 1 전지(11), 자차 위치 검지부(13), 모니터(17) 및 제 1 제어부(29)를 갖고, 지지부(30)는 제 2 전지(33), 발전부(31), 냉각부(35) 및 제 2 제어부(39)를 갖는다(도 3 참조).
본체부(10)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 1 전지(11)는 충전 가능한 축전지로, 제 1 전지(11)의 충전은 후술하는 발전부(31)에서 얻어진 전기에너지 또는 제 2 전지(33)에 충전된 전기에너지에 기초하여 실행된다. 제 1 전지(11)에 충전된 전기에너지는 본체부(10)가 지지부(30)에 장착되지 않은 경우 등에, 본체부(10)의 구동(모니터(17) 표시 등의 본체부(10)의 메인 동작을 포함한 내비게이션 시스템(1)의 전기적 동작)을 실행하기 위해 사용된다. 아울러, 제 1 전지(11)의 충전은 지지부(30)에서 분리한 상태에서, 도시하지 않은 AC 전원에서부터 실행되는 형태이어도 된다.
자차 위치 검지부(13)는 단독 휴대전화 기지국의 전파 정보에 근거하는 셀 베이스(cell-based) 측위, 복수의 휴대전화 기지국의 전파 정보에 근거하는 복수기지국 측위 및 GPS 측위 등으로 위도 · 경도 정보를 취득하는 장치이다. 모니터(17)는 자차 위치 검지부(13)의 위도 · 경도 정보에 근거하여 특정된 자차 위치와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지도 상에 표시한다.
제 1 제어부(29)는 CPU 등의 제어장치로, 본체부(10)를 구성하는 각 부를 제어한다. 특히, 제 1 제어부(29)는 지지부(30)로부터의 전력 공급 유무를 확인하고(도 4의 단계 S11 참조), 전력 공급이 되고 있는 경우에는 지지부(30)에서 공급되는 전력으로 각 부를 구동하고(도 4의 단계 S12 참조), 지지부(30)로부터의 전력 공급이 없는 경우에는 제 1 전지(11)에서 공급되는 전력으로 각 부를 구동한다(도 4의 단계 S13 참조). 또한, 지지부(30)에서 전력 공급이 되고 있는 경우에는, 제 1 제어부(29)는 제 1 전지(11)의 충전 상태를 확인하고, 충전이 필요한 경우에는 발전부(31)에서 변환된 전기에너지 또는 제 2 전지(33)에 충전된 전기에너지에 기초하여 제 1 전지(11)의 충전을 실행한다.
이어서, 지지부(30)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발전부(31)는 광 기전력 효과를 이용하여 빛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태양광 발전을 실행한다) 태양 전지로, 지지부(30)의 상면(도 1 참조) 또는 본체부(10)가 장착되는 측과 반대 측의 표면 상 등의 앞유리를 통하여 태양광을 받을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된다. 이로 인해, 발전부(31)는 주간 등의 태양광을 받는 동안은 받은 태양광에 기초하여 기전력을 발생시킨다(발전한다). 즉, 빛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한다.
본체부(10)가 지지부(30)에 장착되어 있는 경우, 발전부(31)에서 변환된 전기에너지는 본체부(10)의 제 1 전지(11)의 충전 및 본체부(10)의 구동을 위해 우선적으로 사용된다(도 5의 단계 S33 참조). 또한, 본체부(10)가 지지부(30)에 장착되어 있지 않은 경우, 발전부(31)에서 변환된 전기에너지는 제 2 전지(33)의 충전에 사용된다(도 5의 단계 S34 참조).
제 2 전지(33)는 충전 가능한 축전지로, 제 2 전지(33)의 충전은 후술하는 발전부(31)에서 얻어진 전기에너지에 기초하여 실행된다. 제 2 전지(33)에 충전된 전기에너지는 야간 등의 태양광을 받지 않아서 발전부(31)가 기전력을 발생시키지 않을 때에, 제 1 전지(11)의 충전 및 본체부(10)의 구동을 위해 사용된다.
차량을 운전하지 않는 미사용시에는 도난 방지의 관점에서, 본체부(10)를 지지부(30)에서 분리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이 경우, 발전부(31)에서 얻은 전기에너지를 본체부(10)의 제 1 전지(11)의 충전에 사용할 수 없지만, 지지부(30)에 설치된 제 2 전지(33)의 충전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체부(10)의 경량화, 소형화의 관점에서는, 본체부(10)에 탑재하는 제 1 전지(11)는 가능한 한 경량인 동시에 소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제 1 전지(11)의 축전용량이 작아지나 지지부(30)에 설치된 제 2 전지(33)도 본체부(10)의 구동에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배터리 고갈이 일어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아울러, 제 2 전지(33)는 대시보드 상에 고정된 지지부(30)에 설치되어 들고 다닐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제 1 전지(11) 보다도 축전용량이 큰 것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냉각부(35)는 공랭 팬과 펠티에 소자 등의 냉각장치로, 발전부(31)에서 변환된 전기에너지에 기초하여 구동되고 제 2 전지(33)를 냉각한다. 지지부(30)에서 분리하여 차량 외부로 들고 나올 수 있는 본체부(10)의 제 1 전지(11)와는 달리, 차량의 대시보드 상에 고정된 지지부(30)의 제 2 전지(33)는 태양광을 받아 고온 하에 방치되는 것을 고려할 수 있으나, 냉각부(35)에 의해 고온에 따른 제 2 전지(33)의 열화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아울러, 냉각부(35)의 구동에는 전력이 필요하나, 냉각부(35)에 의한 냉각이 필요한 상황은 장시간 태양광을 받은 때에 발생한다. 이 경우에는 발전부(31)에서 전기에너지가 충분히 얻어지기 때문에, 냉각부(35)의 구동을 위해 제 2 전지(33)에 충전된 전기에너지에 기초하는 전력을 소비할 필요는 없다.
제 2 제어부(39)는 CPU 등의 제어장치로, 지지부(30)를 구성하는 각 부를 제어한다. 특히, 제 2 제어부(39)는 본체부(10)가 지지부(30)에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 본체부(10)로의 전력 공급을 실행한다(도 5의 단계 S33, S38 참조). 또한, 제 2 제어부(39)는 제 2 전지(33)가 높은 온도 상태에 있는 경우에 냉각부(35)를 구동한다(도 5의 단계 S36 참조). 또한, 발전부(31)에 의한 발전이 실행되고 있는 경우에는, 제 2 제어부(39)는 제 2 전지(33)의 충전 상태를 확인하고, 충전이 필요한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발전부(31)에서 변환된 전기에너지에 기초하는 제 2 전지(33)의 충전을 실행한다(도 5의 단계 S34 참조).
이어서, 제 1 제어부(29)의 전력 공급 제어의 동작 절차에 대해서 도 4의 플로 차트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이 제어는 제 1 전지(11)와 제 2 전지(33)에 충전된 전기에너지 또는 발전부(31)에서 변환된 전기에너지에 기초하여 제 1 제어부(29)가 구동하는 동안, 일정시간(예를 들면 1 ms) 마다 실행된다. 단계 S11에서, 제 1 제어부(29)는 지지부(30)에서 본체부(10)로 전력 공급이 되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전력 공급이 되고 있는지 아닌지의 판단은 예를 들면, 본체부(10)와 지지부(30)를 접속하는 단자에 전류가 흐르고 있는지 아닌지의 판단에 근거하여 이뤄진다. 본체부(10)가 지지부(30)에 지지되어 있지 않은 경우와 지지부(30)의 발전부(31)가 발전하고 있지 않는 동시에 제 2 전지(33)가 충전되고 있지 않는 경우에는, 해당 접속 단자에 전류가 흐르고 있지 않다고 판단된다.
전력 공급이 되고 있는 경우는 단계 S12로 진행되고, 전력 공급이 되고 있지 않는 경우는 단계 S13으로 진행된다. 단계 S12에서 제 1 제어부(29)는 발전부(31)에서 변환된 전기에너지 또는 제 2 전지(33)에 충전된 전기에너지에 기초하여 본체부(10)의 각 부에 전력을 공급한다. 또한, 제 1 제어부(29)는 본체부(10)의 동작 상태와 제 1 전지(11)의 충전 상태에 대응하여 제 1 전지(11)의 충전을 실행한다. 단계 S13에서 제 1 제어부(29)는 제 1 전지(11)에 충전된 전기에너지에 기초하여 본체부(10)의 각 부에 전력을 공급한다.
지지부(30)에서 본체부(10)로의 전력 공급은 본체부(10)에 설치된 오목부(10a)의 단자 및 지지부(30)에 설치된 볼록부(30a)의 단자를 통하여 실행된다. 본체부(10)가 지지부(30)에 장착되었을 때에 오목부(10a)와 볼록부(30a)가 계합하여 단자들끼리 접촉함으로써, 오목부(10a)와 볼록부(30a)를 통하여 지지부(30)에서 본체부(10)로의 전력 공급이 가능해 진다. 오목부(10a)와 볼록부(30a)의 계합에 의해 본체부(10)가 지지부(30)에 장착되었을 때에 전기적 접촉이 확실히 실행되기 쉬워진다.
또한, 오목부(10a)에는 볼록부(30a)와의 계합시에 볼록부(30a)의 삽입에 의해 열리고 비계합시에 닫히는 도어부(10b)가 설치된다. 비계합시에는 오목부(10a)의 내측에 설치된 단자가 도어부(10b)에 의해 감춰지므로, 접촉 불량의 원인이 되는 먼지 등의 진입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이어서, 제 2 제어부(39)의 전력 공급 제어의 동작 절차에 대해서, 도 5의 플로 차트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이 제어는 제 2 전지(33)에 충전된 전기에너지 또는 발전부(31)에서 변환된 전기에너지에 기초하여 제 2 제어부(29)가 구동하는 동안, 일정시간(예를 들면 1 ms) 마다 실행된다. 단계 S31에서, 제 2 제어부(39)는 발전부(31)에 의한 발전이 실행되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발전이 실행되고 있는 경우는 단계 S32로 진행되고, 실행되고 있지 않는 경우는 단계 S37로 진행된다.
단계 S32에서, 제 2 제어부(39)는 본체부(10)가 지지부(30)에 장착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접속되어 있는지 아닌지의 판단은 예를 들면, 본체부(10)와 지지부(30)를 접속하는 단자에 전류가 흐르는 상태인지 아닌지의 판단에 근거하여 이뤄진다. 접속되어 있는 경우는 단계 S33으로 진행되고, 접속되어 있지 않는 경우는 단계 S34로 진행된다. 단계 S33에서, 제 2 제어부(39)는 발전부(31)에서 변환된 전기에너지에 기초하여 본체부(10)에 전력을 공급한다. 이 때, 본체부(10)의 동작 상태와 제 2 전지(33)의 충전 상태에 대응하여 제 2 전지(33)의 충전을 실행해도 된다.
단계 S34에서, 제 2 제어부(39)는 제 2 전지(33)의 충전 상태를 확인하고, 충전이 필요한 경우에는 발전부(31)에서 변환된 전기에너지에 기초하여 제 2 전지의 충전을 실행한다.
단계 S35에서, 제 2 제어부(39)는 도시되지 않은 온도 센서 등의 정보에 근거하여, 제 2 전지(33)가 고온 상태에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고온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단계 S36에서, 제 2 제어부(39)는 냉각부(35)를 구동하고 제 2 전지(33)를 냉각시킨다. 고온 상태에 있지 않는 경우는 절차를 종료한다.
단계 S37에서, 제 2 제어부(39)는 본체부(10)가 지지부(30)에 장착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접속되어 있는 경우는 단계 S38로 진행되고, 접속되어 있지 않는 경우는 절차를 종료한다. 단계 S38에서, 제 2 제어부(39)는 제 2 전지(33)에 충전된 전기에너지에 기초하여 본체부(10)에 전력을 공급한다.
제 1 실시예에서, 본체부(10)는 발전부(31)에서 변환된 전기에너지, 제 2 전지(33)에 충전된 전기에너지 또는 제 1 전지(11)에 충전된 전기에너지에 기초하여 구동되어, 차량 배터리에 충전된 전기에너지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이로 인해, 내비게이션 시스템(1)이 소비하는 전력이 차량의 전기 계통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을 낮출 수 있다. 또한, 차량 배터리에서 공급하는 전력선(백업 전원선과 액세서리 전원선) 등을 대시보드 상까지 가설하여 본체부(10) 또는 지지부(30)까지 배선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내비게이션 시스템(1)의 장착을 간소화 할 수 있다. 또한, 대시보드 상에 내비게이션 시스템(1)에 관련한 선재가 보이기 어렵게 하고, 외관을 깔끔하게 하는 것도 가능해 진다.
또한, 차량 배터리의 전압을 고려하지 않고 내비게이션 시스템(1)의 회로를 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차량 배터리의 전압 24 V 또는 12 V를, 내비게이션 시스템(1)을 구동하는데 적당한 전압(3~5 V 정도)으로 변압하는 DC - DC 컨버터 등의 전자 부품을 생략하여, 본체부(10)와 지지부(30)의 구성을 간소화 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또한, 발전부(31)가 본체부(10)와 별개인 지지부(30)에 배치되기 때문에, 발전부(31)를 설치함으로써 본체부(10)가 커지지 않는다. 또한, 제 1 전지(11)가 본체부(10)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본체부(10)를 지지부(30)에서 분리하여도 본체부(10)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따라서, 본체부(10)는 제 1 전지(11)를 갖고 접속시에는 지지부(30)에서 전력을 공급받아 정보를 출력하고, 비접속시에는 제 1 전지에 충전된 전기에너지에 기초하여 정보를 출력하는 형태이면 된다. 이로 인해,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한정되지 않고, 음악 등의 음성을 출력하는 휴대용 음악 플레이어, TV 등의 영상을 출력하는 모니터, 레이더 탐지기 등이어도 된다.
또한, 지지부(30)에서 본체부(10)로의 전력 공급은 쌍방에 설치된 트랜스(도시되지 않음)를 통한 자기 결합에 의해 실행되어도 된다. 이 경우, 본체부(10)가 지지부(30)에 장착된 때에 온 상태가 되는 스위치를 지지부(30)에 설치하고, 이러한 스위치가 온 상태일 때에 지지부(30)의 트랜스에 전력을 공급하는 등, 본체부(10)와 지지부(30)의 접속 상태를 확인하는 확인 수단 및 접속 상태를 확인한 후에 전력 공급을 개시하는 제어가 필요해지나, 본체부(10)와 지지부(30)의 사이에 전기적 접속 단자는 불필요해 진다.
이어서, 제 2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 2 실시예에서는 본체부(10)에 진동 검지부(제 2 검지부, 12)가 더욱 설치되어, 진동 검지부(12)의 출력신호에 근거하여 본체부(10)의 온오프 제어가 실행되는 점에서 제 1 실시예와 다르다. 이하, 제 1 실시예와 다른 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도 6 참조).
제 2 실시예에 따른 진동 검지부(12)는 가속도 센서로, 직교하는 2 방향 또는 3 방향의 중력가속도 성분을 검출한다. 제 1 제어부(29)는 진동 검지부(12)에서 출력되는 각 방향의 중력가속도 성분에 관한 정보에 근거하여 차량의 운전 상태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는, 엔진이 작동하고 있는 경우에는 이에 근거하여 차량이 진동하고 있기 때문에, 각 방향의 중력가속도 성분에 관한 정보의 출력 값이 시간과 함께 변동한다. 이로 인해, 제 1 제어부(29)는 각 방향의 중력가속도에 관한 출력 값의 단위시간당 변동 폭이 작은 경우에, 엔진이 정지하고 있다고 판단하여 모니터(17) 표시 등의 본체부(10) 메인 동작을 오프 상태로 하고, 적어도 한 방향의 중력가속도에 관한 출력 값의 단위시간당 변동 폭이 큰 경우에, 엔진이 작동하고 있다고 판단하여 본체부(10)의 메인 동작을 온 상태로 한다. 아울러, 시계 기능 및 도 4에 표시된 전력 공급 제어 등, 상시 실행되는 동작에 대해서는, 이러한 진동 검지부(12)의 출력에 관계없이 온 상태가 유지된다.
아울러, 본체부(10)를 사용자가 지지하고 있는 경우에는, 손 떨림에 의한 진동이 본체부(10)에 전달되어 중력가속도에 관한 출력 값의 단위시간당 변동 폭이 커지지만, 손 떨림에 의한 진동 패턴은 엔진 작동에 의한 차량의 진동 패턴과는 다르기 때문에, 미리 차량의 진동 패턴에 대응한 단위시간당 변동 폭을 기억해 두면, 제 1 제어부(29)에서 손 떨림 등의 다른 진동과 구별하여 엔진의 온오프 상태를 판단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제 1 실시예에서는, 본체부(10)와 지지부(30)는 차량 배터리에 충전된 전기에너지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엔진의 온오프 상태를 검지할 수 없다. 이로 인해, 엔진의 온오프 제어와는 별도로 사용자가 수동으로 본체부(10)의 온오프 제어를 실행할 필요가 있었지만, 제 2 실시예에서는 차량의 진동 상태를 진동 검지부(12)에서 검지함으로써 엔진의 온오프 상태를 파악하고, 이에 대응하여 자동적으로 본체부(10)의 메인 동작의 온오프 제어를 실행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아울러, 진동 검지부(12)는 가속도 센서에 한정되지 않고 엔진의 진동 상태를 검지할 수 있는 센서이면 된다. 예를 들면, 직교하는 2 방향 또는 3 방향의 축 주변의 각속도를 검출하는 각속도 센서 등을 고려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제어부(29)는 각속도에 관한 출력 값의 단위시간당 변동 폭에 근거하여 엔진의 온오프 상태를 파악한다.
아울러, 제 2 실시예에서는 진동 검지부(12)가 본체부(10)에 설치된 형태를 설명하였으나, 진동 검지부(12)가 지지부(30)에 설치되고, 제 2 제어부(39)가 제 1 제어부(29)로 진동 검지부(12)에서 얻은 중력가속도에 관한 정보를 송신하는 형태여도 된다. 이 경우, 본체부(10)와 지지부(30)를 접속하는 선은 전력 공급을 위한 전원선 뿐만 아니라, 중력가속도에 관한 정보를 제 2 제어부(39)에서 제 1 제어부(29)로 송신하기 위한 신호선도 설치된다.
이어서, 제 3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 3 실시예에서는, 본체부(10)에 설치된 진동 검지부(제 2 검지부, 12)를 대신하여 본체부(10)의 외부에 설치된 전류 검지부(제 1 검지부, 40)가 사용되는 점에서 제 2 실시예와 다르다. 이하, 제 2 실시예와 다른 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제 3 실시예에 따른 전류 검지부(40)는 차량의 시가라이터 소켓에 장착되어, 시가라이터 소켓에 흐르는 전류(시가라이터 소켓을 통한 전력 공급의 유무)를 검지한다. 전류 검지부(40)가 시가라이터 소켓에 흐르는 전류를 검지한 경우에는, 인접 설치된 발신부(41)가 본체부(10)에 설치된 수신부(16)를 향해서 일정 신호를 제 1 정보로서 송신한다. 발신부(41)에서 수신부(16)로의 통신 수단으로서 블루투스(Blue Tooth) 등이 고려될 수 있다. 전류를 검지하지 않는 경우, 발신부(41)는 신호 송신을 실행하지 않는다.
아울러, 전류 검지를 실행하는 전류 검지부(40) 및 제 1 정보 발신을 실행하는 발신부(41)는, 어느 경우에도 시가라이터 소켓을 통하여 공급된 전력에 기초하여 구동된다. 따라서, 시가라이터 소켓을 통하여 전력이 공급되지 않을 때에는, 전류 검지부(40) 및 발신부(41)는 어느 경우에도 전력을 소비하지 않는다.
제 1 제어부(29)는 수신부(16)가 제 1 정보를 수신하고 있지 않는 동안은 차량의 액세서리 전원이 오프 상태로 되어 있다고 판단하여, 모니터(17) 표시 등의 본체부(10)의 메인 동작을 오프 상태로 한다. 아울러, 제 1 정보의 수신, 시계 기능 및 도 4에 표시된 전력 공급 제어 등의 상시 실행되는 동작은, 이러한 전류 검지부(40)에 따른 검지 결과에 관계없이 온 상태가 된다.
시가라이터 소켓은 통상 차량의 액세서리 전원과 연동하고 있어, 액세서리 전원이 오프 상태인 경우에는 시가라이터 소켓을 통한 전력 공급은 실행되지 않고, 액세서리 전원이 온 상태인 경우에는 시가라이터 소켓을 통한 전력 공급이 실행된다. 이로 인해, 액세서리 전원의 온오프 상태에 따라 시가라이터 소켓으로의 전력 공급 상태를 검지함으로써, 액세서리 전원의 온오프 상태에 연동한 본체부(10)의 온오프 제어를 실행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아울러, 시가라이터 소켓을 통한 전력 공급은 액세서리 전원의 온오프 상태에 연동하지 않고 상시 실행되는 차량도 있어서, 이 경우에는 제 3 실시예의 효과는 얻을 수 없다.
이어서, 제 4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 4 실시예에서는 전류 검지부(제 1 검지부, 40)의 구성이 제 3 실시예와 다르다. 이하, 제 3 실시예와 다른 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제 4 실시예에 따른 전류 검지부(40)는 차량의 ECU 근처에 설치되고, ECU에 접속되는 액세서리 전원선과 접속되어 액세서리 전원에서 ECU로 흐르는 전류(액세서리 전원에서 ECU로의 전력공급 유무)를 검지한다. 또한, 전류 검지부(40)는 ECU에 접속되는 차속 신호선과 접속되어, 차속 신호 펄스를 검출한다. ECU에 흐르는 전류를 검지한 경우에는, 인접 설치된 발신부(41)에서 본체부(10)에 설치된 수신부(16)를 향해 차속 신호 펄스 정보를 포함한 신호를 제 1 정보로서 송신한다. 전류를 검지하지 않는 경우에는, 발신부(41)는 신호 송신을 실행하지 않는다.
아울러, 전류 검지를 실행하는 전류 검지부(40) 및 제 1 정보 발신을 실행하는 발신부(41)는, 어느 경우에도 액세서리 전원에서 ECU로 공급된 전력에 기초하여 구동된다. 따라서, 액세서리 전원이 오프 상태인 때에는 전류 검지부(40) 및 발신부(41)는 어느 경우에도 전력을 소비하지 않는다.
제 1 제어부(29)는 수신부(16)가 제 1 정보를 수신하고 있지 않는 동안은, 차량의 액세서리 전원이 오프 상태로 되어 있다고 판단하여 모니터(17) 표시 등의 본체부(10)의 메인 동작을 오프 상태로 한다. 아울러, 제 1 정보의 수신, 시계 기능 및 도 4에 표시된 전력 공급 제어 등의 상시 실행되는 동작은, 이러한 전류 검지부(40)에 따른 검지 결과에 관계없이 온 상태가 된다.
제 1 제어부(29)는 수신부(16)가 신호를 수신하고 있는 동안은, 액세서리 전원이 온 상태에 있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에 더해 차속 신호 펄스로부터 차속에 관한 정보가 얻어지므로, 이러한 차속에 관한 정보와 본체부(10)에 설치된 각속도 센서(14) 및 자차 위치 검지부(13)의 정보에 근거하여 자차 위치를 특정한다. 이것에 의해, 자차 위치 검지부(13)의 정보에만 근거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매우 정밀하게 자차 위치를 특정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또한, 차속에 관한 정보에 근거하여, 제 1 제어부(29)는 차량의 주행 속도(차속)가 역치 이상이라고 판단한 경우에 본체부(10)의 조작을 제한(금지)하는 제어를 설치해도 된다.
아울러, 제 3, 제 4 실시예에서는, 수신부(16)가 본체부(10)에 설치되는 형태를 설명하였으나, 지지부(30)에 설치되어 제 2 제어부(39)가 제 1 제어부(29)에 제 1 정보를 송신하는 형태이어도 된다. 이 경우, 본체부(10)와 지지부(30)를 접속하는 선은 전력 공급을 위한 전원선 뿐만 아니라, 제 1 정보를 제 2 제어부(39)에서 제 1 제어부(29)로 송신하기 위한 신호선도 설치된다.
또한, 제 1 ~ 제 4 실시예에서는 발전부(31)는 태양 전지로서 설명하였으나, 태양 전지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열, 바람, 진동 등의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장치여도 된다. 열에너지는 차량의 앞유리를 통하여 입사하는 태양광에서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주간이라면 차량 엔진의 운전 상태에 관계없이 전기에너지로 변환할 수 있다. 바람에너지는 대시보드에서 앞유리를 향해 부는 에어컨의 송풍(에어컨 취출구부터의 바람이어도 된다)에서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에어컨 운전 중에 전기에너지로 변환할 수 있다. 진동에너지는 엔진 운전에 의한 차량의 진동에서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압전 소자 등을 이용하여 엔진 운전 중에 전기에너지로 변환할 수 있다.
1 : 정보 출력 장치(내비게이션 시스템) 10: 본체부
10a : 오목부 10b : 도어부
11 : 제 1 전지 12 : 진동 검지부(제 2 검지부)
13 : 자차 위치 검지부 14 : 각속도 센서
16 : 수신부 17 : 모니터
29 : 제 1 제어부 30 : 지지부
30a : 볼록부 31 : 발전부
33 : 제 2 전지 35 : 냉각부
40 : 전류 검지부(제 1 검지부) 41 : 발신부

Claims (10)

  1. 충전 가능한 제 1 전지와,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갖는 본체부와;
    차량에 고정되며, 상기 본체부를 착탈 가능한 상태로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는 빛, 열, 바람 및 진동 중 적어도 하나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발전부를 가지고,
    상기 제 1 전지의 충전은 상기 차량의 배터리에 충전된 전기에너지를 사용하지 않고, 상기 발전부에서 변환된 전기에너지에 기초하여 실행되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차량의 배터리에 충전된 전기에너지를 사용하지 않고, 상기 발전부에서 변환된 전기에너지 또는 상기 제 1 전지에 충전된 전기에너지에 의해 구동되고,
    상기 지지부를 설치한 차량의 액세서리 전원의 온오프 상태를 검지하는 제 1 검지부와, 상기 제 1 검지부에 의한 검지 결과를 제 1 정보로서 발신하는 발신부를 더욱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와 상기 본체부의 적어도 한 쪽은, 상기 발신부로부터의 상기 제 1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가지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제 1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본체부의 온오프 상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가지며,
    상기 제 1 검지부는 상기 차량에 설치된 ECU에 접속되는 차속 신호를 검지하고,
    상기 발신부는 상기 액세서리 전원의 온오프 상태에 관한 정보와, 상기 차속 신호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제 1 정보로서 발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출력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와 상기 지지부의 한 쪽은 오목부를 가지고,
    상기 본체부와 상기 지지부의 다른 쪽은 볼록부를 가지고,
    상기 본체부가 상기 지지부에 장착된 때에 상기 오목부와 상기 볼록부가 계합하고,
    상기 오목부와 상기 볼록부를 통하여 상기 지지부에서 상기 본체부로의 전력 공급이 실행되고,
    상기 오목부는 상기 볼록부와의 계합시에 상기 볼록부의 삽입에 의해 열리고, 비계합시에 닫히는 도어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출력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검지부는 상기 차량에 설치된 시가라이터 소켓에 장착되고, 상기 액세서리 전원의 온오프 상태에 따라 상기 시가라이터 소켓으로의 전력 공급 상태를 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출력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본체부와 상기 지지부의 접속 상태의 확인 수단을 가지고,
    상기 지지부에서 상기 본체부로의 전력 공급은, 상기 확인 수단에 의한 상기 접속 상태의 확인 후에 실행되는 동시에 자기 결합을 통하여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출력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충전 가능한 제 2 전지를 가지고,
    상기 제 2 전지의 충전은 상기 발전부에서 변환된 전기에너지에 기초하여 실행되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발전부에서 변환된 전기에너지, 상기 제 2 전지에 충전된 전기에너지 또는 상기 제 1 전지에 충전된 전기에너지에 의해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출력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와 상기 본체부의 적어도 한 쪽은, 상기 지지부를 설치한 차량의 진동에 관한 정보를 검지하는 제 2 검지부를 가지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진동에 관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본체부의 온오프 상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출력 장치.
  7. 충전 가능한 제 1 전지와,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갖는 본체부와;
    차량에 고정되며, 상기 본체부를 착탈 가능한 상태로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는 빛 및 열 중 적어도 하나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발전부를 가지고,
    상기 제 1 전지의 충전은 상기 차량의 배터리에 충전된 전기에너지를 사용하지 않고, 상기 발전부에서 변환된 전기에너지에 기초하여 실행되고,
    상기 지지부는 충전 가능한 제 2 전지를 가지고,
    상기 제 2 전지의 충전은 상기 발전부에서 변환된 전기에너지에 기초하여 실행되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차량의 배터리에 충전된 전기에너지를 사용하지 않고, 상기 발전부에서 변환된 전기에너지, 상기 제 2 전지에 충전된 전기에너지 또는 상기 제 1 전지에 충전된 전기에너지에 의해 구동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발전부에서 얻어진 전기에너지에 기초하여 구동되고, 상기 제 2 전지를 냉각하는 냉각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출력 장치.
  8. 차량에 고정되며, 충전 가능한 제 1 전지와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갖는 정보 출력 장치의 본체부를, 착탈 가능한 상태로 지지하는 정보 출력 장치의 지지부로서,
    상기 지지부는 빛, 열, 바람 및 진동 중 적어도 하나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발전부를 가지고,
    상기 제 1 전지의 충전은 상기 차량의 배터리에 충전된 전기에너지를 사용하지 않고, 상기 발전부에서 변환된 전기에너지에 기초하여 실행되며,
    상기 본체부는 상기 차량의 배터리에 충전된 전기에너지를 사용하지 않고, 상기 발전부에서 변환된 전기에너지 또는 상기 제 1 전지에 충전된 전기에너지에 의해 구동되고,
    상기 정보 출력 장치는, 상기 지지부를 설치한 차량의 액세서리 전원의 온오프 상태를 검지하는 제 1 검지부와, 상기 제 1 검지부에 의한 검지 결과를 제 1 정보로서 발신하는 발신부를 더욱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와 상기 본체부의 적어도 한 쪽은, 상기 발신부로부터의 상기 제 1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가지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제 1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본체부의 온오프 상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가지며,
    상기 제 1 검지부는 상기 차량에 설치된 ECU에 접속되는 차속 신호를 검지하고,
    상기 발신부는 상기 액세서리 전원의 온오프 상태에 관한 정보와, 상기 차속 신호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제 1 정보로서 발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출력 장치의 지지부.
  9. 차량에 고정되며, 충전 가능한 제 1 전지와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갖는 정보 출력 장치의 본체부를, 착탈 가능한 상태로 지지하는 정보 출력 장치의 지지부로서,
    상기 지지부는 빛 및 열 중 적어도 하나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발전부를 가지고,
    상기 제 1 전지의 충전은 상기 차량의 배터리에 충전된 전기에너지를 사용하지 않고, 상기 발전부에서 변환된 전기에너지에 기초하여 실행되고,
    상기 지지부는 충전 가능한 제 2 전지를 가지고,
    상기 제 2 전지의 충전은 상기 발전부에서 변환된 전기에너지에 기초하여 실행되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차량의 배터리에 충전된 전기에너지를 사용하지 않고, 상기 발전부에서 변환된 전기에너지, 상기 제 2 전지에 충전된 전기 에너지 또는 상기 제 1 전지에 충전된 전기에너지에 의해 구동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발전부에서 얻어진 전기에너지에 기초하여 구동되고, 상기 제 2 전지를 냉각하는 냉각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출력 장치의 지지부.
  10. 삭제
KR1020100009971A 2009-02-19 2010-02-03 정보 출력 장치 KR1016626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037157 2009-02-19
JPJP-P-2009-037157 2009-02-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4938A KR20100094938A (ko) 2010-08-27
KR101662657B1 true KR101662657B1 (ko) 2016-10-07

Family

ID=426336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9971A KR101662657B1 (ko) 2009-02-19 2010-02-03 정보 출력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742716B2 (ko)
JP (1) JP5545679B2 (ko)
KR (1) KR101662657B1 (ko)
CN (1) CN102007018A (ko)
TW (1) TW201031890A (ko)
WO (1) WO201009537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40707B2 (ja) * 2010-09-24 2015-06-24 株式会社ユピテル 車載用電子機器のブラケット及び車載用電子機器
FR2995755B1 (fr) * 2012-09-18 2015-12-04 Parrot Equipement electronique audio/video, tel qu'un autoradio multimedia, apte a etre installe dans un vehicule automobile.
CN106291621A (zh) * 2016-10-04 2017-01-04 南京多萝西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低功耗集装箱定位装置及方法
CN107444302A (zh) * 2017-06-15 2017-12-08 芜湖宏景电子股份有限公司 汽车导航分体装配结构
TW201935429A (zh) * 2018-02-08 2019-09-01 和碩聯合科技股份有限公司 警示器及可移動載具組件
CN113541265B (zh) * 2021-07-29 2022-07-29 上海术理智能科技有限公司 用于机器人的自动充电系统及充电桩定位导航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43408A (ja) * 1999-08-03 2001-02-16 Sharp Corp 車載機及び車載装置
JP2004359127A (ja) * 2003-06-05 2004-12-24 Blitz:Kk 車両情報表示装置
JP2007336327A (ja) * 2006-06-16 2007-12-27 Clarion Co Ltd 車載データ再生システム、及び、車載データ再生システムの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75484A (en) * 1988-09-26 1992-12-29 Power Beat International, Ltd. Electrical power distribution
JPH0421324A (ja) * 1990-05-11 1992-01-24 Seiko Epson Corp 電源制御装置
JPH0524486A (ja) * 1991-07-23 1993-02-02 Toshiba Corp 車載用デイスプレイ装置の取付構造
JPH0579783U (ja) * 1992-03-31 1993-10-29 アルパイン株式会社 車載用機器
US5905356A (en) * 1996-11-18 1999-05-18 Wells; Gilbert Michael Solar powered charger for vehicular accessories and cordless tools
US6455186B1 (en) * 1998-03-05 2002-09-24 Black & Decker Inc. Battery cooling system
JPH11278176A (ja) * 1998-03-27 1999-10-12 Funai Electric Co Ltd 車載用機器の電源遮断装置
JP4584434B2 (ja) * 2000-10-03 2010-11-24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音声ガイダンス切替装置
CA2399823C (en) * 2002-08-26 2011-01-04 Terry Cassaday Chair with onboard electrical power source
US20040117442A1 (en) * 2002-12-10 2004-06-17 Thielen Kurt R. Handheld portable wireless digital content player
US7575265B2 (en) * 2005-06-16 2009-08-18 Vitito Christopher J Vehicle entertainment system with rotation control mechanism
KR100792311B1 (ko) * 2005-07-30 2008-01-07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충전전력 공급장치, 충전 장치, 배터리 장치, 무접점 충전 시스템 및 무접점 충전 방법
JP2007069828A (ja) 2005-09-08 2007-03-22 Toyoda Gosei Co Ltd 車両におけるガス圧式作動装置情報の表示制御装置
US7565968B2 (en) * 2006-03-13 2009-07-28 Lindley Michael B Portable survival kit
US20080279343A1 (en) * 2007-05-11 2008-11-13 Jon Bentley Telephone with emergency lighting feature
US20090115367A1 (en) * 2007-11-02 2009-05-07 Michael Kidakam Portable battery DC charger
CN101566302A (zh) * 2008-04-23 2009-10-28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发光二极管照明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43408A (ja) * 1999-08-03 2001-02-16 Sharp Corp 車載機及び車載装置
JP2004359127A (ja) * 2003-06-05 2004-12-24 Blitz:Kk 車両情報表示装置
JP2007336327A (ja) * 2006-06-16 2007-12-27 Clarion Co Ltd 車載データ再生システム、及び、車載データ再生システムの制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007018A (zh) 2011-04-06
KR20100094938A (ko) 2010-08-27
JP2012517924A (ja) 2012-08-09
US8742716B2 (en) 2014-06-03
US20110095721A1 (en) 2011-04-28
TW201031890A (en) 2010-09-01
WO2010095377A1 (en) 2010-08-26
JP5545679B2 (ja) 2014-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2657B1 (ko) 정보 출력 장치
KR101011624B1 (ko) 전기 자동차용 충전 표시기
US8410929B2 (en) Remote vehicle starting system providing an audible indication relating to remote starting and associated methods
US20140232180A1 (en) Vehicle, control method for vehicle, and power reception facilities
US20100207772A1 (en) Remote monitoring system for plug-in vehicle
US11292350B2 (en) Vehicle and charging system
CN103516034A (zh) 与内置电缆式充电控制装置附接的附加通信设备及其操作方法
EP2660949A1 (en) Recharging device for vehicle
JP2003011734A (ja) 車両用電気機器取付構造
CN109291829A (zh) 一种充电控制方法、一种电动汽车及其充电系统
KR101933653B1 (ko) 캠핑카의 전원 제어 시스템
CN104283254B (zh) 附着于电缆安装型充电控制设备的附加通信设备
US20110074575A1 (en) Remote vehicle starting system providing a tactile indication relating to remote starting and associated methods
US8313039B2 (en) Remote climate control system providing an indication relating to remote climate control operation and associated methods
JP3190271U (ja) 情報出力装置
JP2009120019A (ja) 車載電力供給システム
JP2012080637A (ja) 可搬型蓄電装置及び蓄電システム
KR101656809B1 (ko)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그를 가지는 차량 및 그의 제어 방법
CN209336514U (zh) 一种电动车无线充电站
JP5984077B2 (ja) 車載機器用制御システム、インターホン装置、充電制御装置及び車載機器
JP2001133539A (ja) レーダ探知システム
US20230219554A1 (en) Method and system for hybrid vehicle power generation
JP2007043261A (ja) 無線中継器
KR20110036458A (ko) 자동차의 배터리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CN111301321A (zh) 车载电源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