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2427B1 - 새로운 파이계 확장 아세단 유도체, 이의 생체 영상화 응용, 및 알츠하이머병 동물 모델에서의 아밀로이드-베타 플라크의 이광자 현미경 영상화에의 응용 - Google Patents

새로운 파이계 확장 아세단 유도체, 이의 생체 영상화 응용, 및 알츠하이머병 동물 모델에서의 아밀로이드-베타 플라크의 이광자 현미경 영상화에의 응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2427B1
KR101662427B1 KR1020150006973A KR20150006973A KR101662427B1 KR 101662427 B1 KR101662427 B1 KR 101662427B1 KR 1020150006973 A KR1020150006973 A KR 1020150006973A KR 20150006973 A KR20150006973 A KR 20150006973A KR 101662427 B1 KR101662427 B1 KR 1016624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und
dimethylamino
photon
chemical formula
fluoresc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69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87688A (ko
Inventor
안교한
문현수
김도경
김기현
류혜근
Original Assignee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069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2427B1/ko
Priority to US14/745,973 priority patent/US9658235B2/en
Publication of KR201600876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76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24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24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8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labelled substances
    • G01N33/582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labelled substances with fluorescent labe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9/00Preparations for testing in vivo
    • A61K49/001Preparation for luminescence or biological staining
    • A61K49/0013Luminescence
    • A61K49/0017Fluorescence in vivo
    • A61K49/0019Fluorescence in vivo characterised by the fluorescent group, e.g. oligomeric, polymeric or dendritic molecules
    • A61K49/0021Fluorescence in vivo characterised by the fluorescent group, e.g. oligomeric, polymeric or dendritic molecules the fluorescent group being a small organic molecu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9/00Preparations for testing in vivo
    • A61K49/06Nuclear magnetic resonance [NMR] contrast preparations;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contrast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9/00Preparations for testing in vivo
    • A61K49/06Nuclear magnetic resonance [NMR] contrast preparations;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contrast preparations
    • A61K49/08Nuclear magnetic resonance [NMR] contrast preparations;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contrast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arrier
    • A61K49/10Organic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31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hetero atom,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31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hetero atom, condensed with other rings ortho- or peri-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or ring systems
    • C07D311/78Ring systems having three or more relevant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31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hetero atom,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31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hetero atom, condensed with other rings ortho- or peri-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or ring systems
    • C07D311/78Ring systems having three or more relevant rings
    • C07D311/92Naphthopyrans; Hydrogenated naphthopyra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31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hetero atom,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31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hetero atom, condensed with other rings ortho- or peri-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or ring systems
    • C07D311/9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hetero atom, condensed with other rings ortho- or peri-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or ring systems condensed with rings other than six-membered or with ring systems containing such ring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62Systems in which the material investigated is excited whereby it emits light or causes a change in wavelength of the incident light
    • G01N21/63Systems in which the material investigated is excited whereby it emits light or causes a change in wavelength of the incident light optically excited
    • G01N21/64Fluorescence; Phosphorescence
    • G01N21/6428Measuring fluorescence of fluorescent products of reactions or of fluorochrome labelled reactive substances, e.g. measuring quenching effects, using measuring "optrod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68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proteins, peptides or amino acids
    • G01N33/6893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proteins, peptides or amino acids related to disea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N33/6896Neurological disorders, e.g. Alzheimer's diseas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62Systems in which the material investigated is excited whereby it emits light or causes a change in wavelength of the incident light
    • G01N21/63Systems in which the material investigated is excited whereby it emits light or causes a change in wavelength of the incident light optically excited
    • G01N21/64Fluorescence; Phosphorescence
    • G01N21/6428Measuring fluorescence of fluorescent products of reactions or of fluorochrome labelled reactive substances, e.g. measuring quenching effects, using measuring "optrodes"
    • G01N2021/6439Measuring fluorescence of fluorescent products of reactions or of fluorochrome labelled reactive substances, e.g. measuring quenching effects, using measuring "optrodes" with indicators, stains, dyes, tags, labels, mark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33/00Assays involving biological materials from specific organisms or of a specific nature
    • G01N2333/435Assays involving biological materials from specific organisms or of a specific nature from animals; from humans
    • G01N2333/46Assays involving biological materials from specific organisms or of a specific nature from animals; from humans from vertebrates
    • G01N2333/47Assays involving proteins of known structure or function as defined in the subgroups
    • G01N2333/4701Details
    • G01N2333/4709Amyloid plaque core protei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800/00Detection or diagnosis of diseases
    • G01N2800/28Neurological disorders
    • G01N2800/2814Dementia; Cognitive disorders
    • G01N2800/2821Alzheim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mmun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mat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ath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Neur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eurosurgery (AREA)
  • Plural Heterocyclic Compound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es Containing Antibodies Or Antigens For Use As Internal Diagnostic Ag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이-결합이 확장된 신규 아세단 유사체, 이를 제조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아밀로이드-베타 플라크(amyloid-beta plaque)의 이광자 전자현미경 영상화 방법 등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종래의 이광자 흡수 형광체인 아세단 및 아세단 유사체에 비해 더 긴 흡수 파장 및 방출 파장을 가진 새로운 이광자 흡수 형광체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세포 또는 조직을 영상화(imaging)함으로써 생체 내 영상화 연구에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고, 아밀로이드-베타 플라크를 영상화함으로써 알츠하이머병(Alzheimer's disease) 진단에도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새로운 파이계 확장 아세단 유도체, 이의 생체 영상화 응용, 및 알츠하이머병 동물 모델에서의 아밀로이드-베타 플라크의 이광자 현미경 영상화에의 응용{NOVEL Π-EXTENDED ACEDAN DERIVATIVES AND THEIR APPLICATION FOR TWO-PHOTON MICROSCOPY IMAGING OF AMYLOID-BETA PLAQUE IN AN ALZHEIMER'S DISEASE ANIMAL MODEL}
본 발명은 새로운 이광자 흡수 형광체 화합물인 파이-결합이 확장된 아세단 유사체, 이를 제조하는 방법, 이를 이용한 생체 영상화 응용, 및 알츠하이머병 동물 모델에서의 아밀로이드-베타 플라크의 이광자 전자현미경 영상화에의 응용 등에 관한 것이다.
형광(fluorescence)신호를 바탕으로 한 생체 영상화(bio-imaging) 기술은 세포 소기관(organelle)을 비롯하여 동물 모델에서의 조직(tissue) 등을 시각화할 수 있는 방법으로 널리 활용되고 있으며, 이 중 형광 프로브(fluorescent probe)의 개발은 생체 내 특정 물질 분석 및 영상화에 있어 그 활용범위를 확장시킨다[Nagano, T. et al. Curr. Opin. Chem. Biol. 2008, 12, 515; Kikuchi, K. Chem, Soc. Rev. 2010, 39, 2048; Chang, C. et al. Nat. Chem. 2012, 4, 973].
현재까지 보고된 대부분의 형광 프로브는 일광자 흡수(one-photon absorption) 형광체를 기반으로 하고, 일광자 전자현미경(one-photon microscopy, OPM)에 의한 영상화 과정을 거친다. 하지만, 일반적인 일광자 전자현미경의 사용은 조직(tissue) 영상화에 있어 강한 빛 산란(light scattering)으로 인한 영상 화질의 감소 및 100 μm이내의 얕은 조직 영상화 등의 단점을 가진다[Weissleder, R. et al. Curr. Opin. Chem. Biol. 2010, 14, 71; Nie, S. et al. Nat. Nanotechnol. 2009, 4, 710].
비선형 광학 전자현미경(nonlinear optical microscopy)은 이러한 빛 산란의 영향에 민감하지 않으면서, 보다 깊은 조직에서의 고해상도 영상화에 적합한 특성을 가진다. 이광자 전자현미경(two-photon microscopy, TPM)은 비선형 광학 전자현미경의 한 종류로서, 일광자 전자현미경(one-photon microscopy, OPM)에서 사용되는 광자(photon) 에너지의 절반에 해당하는 에너지를 가지는 두 개의 광자를 동시에 형광체(fluorophore)에 조사하여 줌으로써 형광체를 여기(excitation) 시키는 특징을 가진다. 따라서, 생체 영상화(bio-imaging) 응용에 있어 높은 조직 투과성, 향상된 광자 침투 깊이, 생체 조직에 대한 낮은 광-손상(photo-damage)과 낮은 광-퇴색(photobleaching) 등의 장점을 나타낸다. 또한, 생체 내 자가형광(auto-fluorescence) 물질에 의한 간섭 영향이 적으며, 초점 부위(focal point)만 형광체가 여기되기 때문에 고해상도 영상을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Zipfel, W. R. et al. Nat. Biotechnol. 2003, 21, 1369; Helmchen, F. et al. Nat. Methods, 2005, 2, 932; Willams, W. R. et al. Curr. Opin. Chem. Biol. 2001, 5, 603].
생체 영상화를 위해서 요구되는 특성을 가진 이광자 흡수(two-photon absorption, TPA) 형광체는 그 수가 한정되어 있다. 이광자 흡수 형광체의 대표적인 예로써, 하기 화학식 10으로 표현되는 아세단(Acedan, 1-(6-dimethylaminonaphthalen-2-yl) ethanone)은 방향족 고리(π-system)에 전자 공여체(D)와 전자 수용체(A)를 가지는 D-π-A 형태의 쌍극성 형광체(dipolar dye)이며, 높은 광-안정성(photo-stablity) 및 꽤 큰 이광자 흡수 단면 값을 가지기 때문에 살아있는 세포 및 조직에서의 이광자 전자현미경 영상화 연구에 활용되고 있다[Kim, H. M. et al. Angew. Chem. Int. Ed. 2007. 46, 3460; Kim, H. M. et al. Angew. Chem. Int. Ed. 2008, 47, 5167; Kim, H. M. et al. Angew. Chem. Int. Ed. 2007, 46, 7445].
[화학식 10]
Figure 112015003988783-pat00001
하지만 아세단은 최대 흡수 파장(<400 nm) 및 최대 방출 파장(<550 nm)이 다소 짧아 트립토판(tryptophan), 티로신(tyrosine), 페닐알라닌(phenylalanine), 레티놀(retinol), 리보플라빈(riboflavin), 니코틴아미드 아데닌 디뉴클레오티드(nicotinamide adenine dinucleotide)와 같은 생체 내 형광체의 자가형광에 의한 영향을 많이 받는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Zipefel, W. R. et al. Proc. Natl. Acad. Sci. USA, 2003, 100, 7075].
이에 더하여, 일반적인 아세단 유사체는 자가형광을 피하고 선명한 이광자 형광 전자현미경 영상을 얻기 위해 저출력(low-power) 레이저(laser)를 사용하거나, 신호처리과정을 거쳐 자가형광 신호를 제거해주는 과정을 거치는 문제점을 가진다. 따라서 자가형광을 피하면서 선명한 영상을 얻기 위해서는, 생물학적 광학 윈도우 (biological optical windows)에 적합하도록 900 nm 근처의 장파장에서 여기 시킬 수 있는 새로운 이광자 흡수 형광체가 확보되어야 한다.
아세단 유사체의 다른 예로는, 하기 화학식 2로 표현되는 GCTPOC은 하기 화학식 3으로 표현되는 녹색 형광 단백질 발색단(green fluorescent protein chromophore, GFP chromophore, p-HOBDI)을 기반으로 한 D-π-A 형태의 쌍극성 형광체가 있다[Yuan, L. et al. Angew. Chem. Int. Ed. 2013, 52, 10018]. 하지만, 이러한 형광체 역시 아세단과 같이 짧은 파장 영역(<400 nm)에서 최대 흡수 띠(maximum absorption band)를 나타내기 때문에 이광자 여기 조건(<800 nm)에서 생체 내 형광체의 의한 자가형광을 보인다는 문제점을 나타낸다.
[화학식 2]
Figure 112015003988783-pat00002

[화학식 3]
Figure 112015003988783-pat00003

이에 본 발명자들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900 nm 근처의 장파장에서 이광자 여기(two-photon excitation)를 할 수 있는 새로운 이광자 흡수 형광체를 개발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새로운 이광자 흡수 형광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상기 화합물을 이용한 세포 및 조직의 영상화 방법과 알츠하이머병(Alzheimer's disease, AD) 개체에서 아밀로이드-베타 플라크(amyloid-beta plaque, Aβ plaque)의 영상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아세단 유사체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5003988783-pat00004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및 R2는 수소(H), 메틸(Me), 알릴(allyl), 또는 C2-C12의 비치환된 알킬(alkyl)기일 수 있고;
R3
Figure 112015003988783-pat00005
,
Figure 112015003988783-pat00006
,
Figure 112015003988783-pat00007
, 또는 R4와 환(ring)으로 연결된 시클로알킬(cycloalkyl)기일 수 있고;
R4는 수소 또는 R3와 환(ring)으로 연결된 시클로알킬기일 수 있으며;
상기 환으로 연결된 시클로알킬기는
Figure 112015003988783-pat00008
또는
Figure 112015003988783-pat00009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아세단 유사체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하기 화학식 4 내지 8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일 수 있다.
[화학식 4]
Figure 112015003988783-pat00010

[화학식 5]
Figure 112015003988783-pat00011

[화학식 6]
Figure 112015003988783-pat00012

[화학식 7]
Figure 112015003988783-pat00013

[화학식 8]
Figure 112015003988783-pat00014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아세단 유사체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이광자 흡수 형광체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아세단 유사체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이용한 세포 또는 조직의 영상화(imaging)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영상화 방법은 세포 또는 조직에서 아밀로이드-베타 플라크(amyloid-beta plaque) 영상화 방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영상화 방법은 세포 또는 조직에 상기 아세단 유사체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처리한 후 형광 전자현미경으로 관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형광 전자현미경은 일광자 형광 전자현미경 또는 이광자 형광 전자현미경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아세단 유사체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포함하는 알츠하이머병(Alzheimer's disease) 진단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아세단 유사체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개체에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알츠하이머병 진단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세포 또는 조직에 상기 아세단 유사체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처리한 후 형광 전자현미경으로 관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은 6-(디메틸아미노)-3-히드록시-2-나프탈알데히드로부터 하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아세단 유사체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으로, 상기 방법은 2-시클로헥센-1-온과 1,4-디아자비시클로[2.2.2]옥탄을 첨가하여 8-(디메틸아미노)-2,3,4아-테트라히드로-1H-벤조[비]잔텐-1-온을 합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화학식 4]
Figure 112015003988783-pat00015

또한, 본 발명은 6-(디메틸아미노)-3-히드록시-2-나프탈알데히드로부터 하기 화학식 5로 표시되는 아세단 유사체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으로, 상기 방법은 2-시클로펜텐-1-온과 1,4-디아자비시클로[2.2.2]옥탄을 첨가하여 7-(디메틸아미노)-3,3아-디히드로벤조[지]시클로펜타[비]크로멘-1(2H)-온을 합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화학식 5]
Figure 112015003988783-pat00016
또한, 본 발명은 6-(디메틸아미노)-3-히드록시-2-나프탈알데히드로부터 하기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아세단 유사체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으로, 상기 방법은 3-부텐-2-온, 마그네슘 아이오다이드, 테트라메틸에틸렌디아민, 및 4-디메틸아미노피리딘을 첨가하여 1-(8-(디메틸아미노)-2H-벤조[지]크로멘-3-일)에탄온을 합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화학식 6]
Figure 112015003988783-pat00017
또한, 본 발명은 6-(디메틸아미노)-3-히드록시-2-나프탈알데히드로부터 하기 화학식 7로 표시되는 아세단 유사체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으로, 상기 방법은 프로파질 브로마이드와 포타슘 카보네이트를 첨가하여 6-(디메틸아미노)-3-(프로피닐-2-옥시)-2-나프탈알데히드를 합성한 후, 말로노나이트릴과 아이오딘화 구리를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화학식 7]
Figure 112015003988783-pat00018
또한, 본 발명은 6-(디메틸아미노)-3-(프로피닐-2-옥시)-2-나프탈알데히드로부터 하기 화학식 8로 표시되는 아세단 유사체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으로, 상기 방법은 말로노나이트릴, 아이오딘화 구리, 및 트리에틸아민을 첨가하여 2-((8-디메틸아미노)-2H-벤조[지]크로멘-3-일)메틸렌)말로노나이트릴을 합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화학식 8]
Figure 112015003988783-pat00019

본 발명의 이광자 흡수 형광체는 종래의 이광자 흡수 형광제인 아세단 및 아세단 유사체에 비해 더 긴 흡수 파장 및 방출 파장을 가지고 있어 자가형광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 할 수 있으며, 고해상도의 선명한 영상을 얻을 수 있으므로 영상화 연구에 유용하게 이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이광자 흡수 형광체를 이용하면 깊은 조직에서의 고해상도 영상화에 적합할 것으로 기대되며, 주변 환경에 민감한 형광 프로브로써 살아있는 알츠하이머병 동물 모델에서의 아밀로이드-베타 플라크의 영상화 등 생체 내 영상화 연구에 다양하게 응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도 1은 10 μM 농도의 아세단(◆), 화합물 4a(R1=R2=Me) (■), 화합물 5a(R1=R2=Me) (□), 화합물 6a(R1=R2=Me) (●), 및 화합물 7a(R1=R2=Me) (○)의 에탄올(ethanol, EtOH) 용액에서의 흡수 스펙트럼(a)과 정규화된(normalized) 형광 방출 스펙트럼(b)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1 μM 농도의 아세단(a)과 화합물 4a(R1=R2=Me) (b)의 디클로로메탄(■, dichlroromethane, CH2Cl2), 아세토니트릴(□, acetonitrile, CH3CN), 에탄올(●, ethanol, EtOH), PBS(○, phosphate buffer saline) 완충(buffer) 용액(10 mM, pH 7.4, 0.1% 디메틸 술폭시드(dimethyl sulfoxide, DMSO) 포함)에서의 형광 방출 스펙트럼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10 μM 농도의 아세단으로 처리된 쥐의 뇌, 간, 신장, 비장, 폐 조직을 780 nm에서 여기 시켰을 때의 이광자 형광 전자현미경 영상(a)과 10 μM 농도의 화합물 4a(R1=R2=Me)로 처리된 쥐의 뇌, 간, 신장, 비장, 폐 조직을 900 nm에서 여기 시켰을 때의 이광자 형광 전자현미경 영상(b)을 나타낸 것이고, 10 μM 농도의 아세단과 10 μM 농도의 화합물 4a의 전자현미경 영상에서 형광의 상대적인 세기(각각 c, d)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10 μM 농도의 화합물 8a(R1=R2=Me)의 PBS 완충 용액(10 mM, pH 7.4, 0.1% DMSO 포함) 또는 인공 뇌척수액(artificial cerebrospinal fluid, aCSF, 1% DMSO 포함)에서 아밀로이드-베타 42(Aβ42, 20 μM)와 소혈청알부민(bovine serum albumin, BSA, 20 μg/mL)의 존재 유무에 따른 형광 방출 스펙트럼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30 mg/kg의 화합물 8a(R1=R2=Me)를 알츠하이머병이 발현된 생후 13개월의 쥐(5XFAD mice)에 복강 주사 후, 1000 nm 파장의 빛으로 여기 시켰을 때 전두 피질에서의 이광자 형광 전자현미경 영상(a)과 60배 확대한 영상(b), 3차원(3-dimension, 3-D)으로 재구성된 이광자 형광 전자현미경 영상(c, d)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10 μM 농도의 아세단 및 화합물 4a-8a(R1=R2=Me)의 에탄올 용액에서의 최대 흡수 파장(maximum absorption wavelength, λabs), 몰 흡광 계수(molar extinction coefficient, ε), 최대 발광 파장(maximum emission wavelength, λem), 형광 양자 수율(fluorescence quantum yield, ΦF)을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10 μM 농도의 아세단(◆), 화합물 4a(R1=R2=Me) (■), 화합물 5a(R1=R2=Me) (□), 화합물 6a(R1=R2=Me) (●), 및 화합물 7a(R1=R2=Me) (○)의 에탄올 용액에서의 형광 방출 스펙트럼을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톨루엔(toluene), 디옥산(dioxane), 에틸 아세테이드(ethyl acetate), 디클로로메탄, 에탄올, 아세토니트릴, 디메틸포름아미드(dimethylformamide), DMSO, PBS 완충 용액, 90% 에탄올/PBS 완충용액에서 화합물 4a(R1=R2=Me), 5a(R1=R2=Me), 6a(R1=R2=Me), 7a(R1=R2=Me)의 형광 방출 스펙트럼(각각 a, b, c, d)을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톨루엔, 디옥산, 에틸 아세테이드, 디클로로메탄, 에탄올, 디메틸포름아미드, DMSO, PBS 완충 용액에서 10 μM 농도의 화합물 8a(R1=R2=Me)의 흡수 스펙트럼(a)과 형광 방출 스펙트럼(b)을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30 mg/kg의 화합물 8a(R1=R2=Me)를 알츠하이머병이 발현된 생후 13개월의 쥐(5XFAD mice)에 복강 주사 후, 1000 nm 파장의 빛으로 여기 시켰을 때 전두 피질에서의 이광자 형광 전자현미경 영상(a)과 10 mg/kg의 화합물 MeO-X04을 복강 주사 후, 780 nm 파장의 빛으로 여기 시켰을 때 전두 피질에서의 이광자 형광 전자현미경 영상(b), (a)와 (b)를 융합한 영상(c)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1, 2, 5, 10 μM 농도의 화합물 4a(R1=R2=Me), 화합물 5a(R1=R2=Me), 화합물 6a(R1=R2=Me), 화합물 7a(R1=R2=Me)의 PBS 완충 용액(10 mM, pH 7.4, 1% 미만의 DMSO 포함)에서의 흡수 스펙트럼(각각 a, b, c, d)을 나타낸 것이다.
도 12는 1, 5, 10, 15, 20 μM 농도의 화합물 8a(R1=R2=Me)의 PBS 완충 용액(10 mM, pH 7.4, 2% 미만의 DMSO 포함)에서의 흡수 스펙트럼을 나타낸 것이다.
도 13은 10 μM 농도의 아세단(a) 및 화합물 4a(R1=R2=Me)(b)의 디클로로메탄 (■), 아세토니트릴(□), 에탄올(●) 용액에서의 형광 방출 스펙트럼을 나타낸 것이다.
도 14는 10 μM 농도의 화합물 8a(R1=R2=Me)를 아밀로이드-베타 42(Aβ 42)의 농도에 따라(0-50 μM) 500 nm 파장의 빛으로 여기 시켰을 때, 최대 방출 파장에서의 형광 세기를 나타낸 것이다.
도 15는 10 μM 농도의 화합물 8a(R1=R2=Me)를 pH에 따라(pH 4-10) 500 nm 파장의 빛으로 여기 시켰을 때, 최대 방출 파장에서의 형광 세기를 나타낸 것이다.
도 16은 10 μM 농도의 화합물 4a(R1=R2=Me)의 톨루엔(■), 디메틸포름아미드(□), 에탄올(●)에서 150 mW(초점에서) 레이저 출력(laser power) 하에 이광자 작동 스펙트럼(two-photon action spectra)을 나타낸 것이다.
도 17은 10 μM 농도의 화합물 8a(R1=R2=Me)의 에탄올에서 150 mW(초점에서) 레이저 출력 하에 이광자 작동 스펙트럼을 나타낸 것이다.
도 18은 50 μm 깊이의 알츠하이머병 동물 모델 조직에서 이광자 광원 조사 전/후에 따른 화합물 8a(R1=R2=Me)와 아밀로이드-베타 플라크 착화합물에 대한 광-퇴색 과정 영상(a)과 전자현미경 영상에서 형광의 상대적인 세기(b)를 나타낸 것이다.
도 19는 1, 20, 50 μM 농도의 화합물 4a(R1=R2=Me)(a)와 화합물 8a(R1=R2=Me)(b)로 처리된 SHSY5Y 세포의 세포 생존 능력(cell viability)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새로운 이광자 흡수 형광체인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아세단 유사체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제공함에 그 특징이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15003988783-pat00020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및 R2는 수소(H), 메틸(Me), 알릴(allyl), 또는 C2-C12의 비치환된 알킬(alkyl)기일 수 있고;
R3
Figure 112015003988783-pat00021
,
Figure 112015003988783-pat00022
,
Figure 112015003988783-pat00023
, 또는 R4와 환(ring)으로 연결된 시클로알킬(cycloalkyl)기일 수 있고;
R4는 수소 또는 R3와 환(ring)으로 연결된 시클로알킬기일 수 있으며;
상기 환으로 연결된 시클로알킬기는
Figure 112015003988783-pat00024
또는
Figure 112015003988783-pat00025
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 상기 아세단 유사체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4a 내지 8a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일 수 있고, 하기 화합물 4a 내지 8a에서 R1 및 R2는 수소(H), 메틸(Me), 알릴(allyl), 또는 C2-C12의 비치환된 알킬기일 수 있다.
[화학식 4a]
Figure 112015003988783-pat00026

[화학식 5a]
Figure 112015003988783-pat00027

[화학식 6a]
Figure 112015003988783-pat00028

[화학식 7a]
Figure 112015003988783-pat00029

[화학식 8a]
Figure 112015003988783-pat00030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아세단 유사체 화합물은 R1 및 R2가 메틸기로 치환된 하기 화학식 4내지 8의 화합물일 수 있다.
[화학식 4]
Figure 112015003988783-pat00031

[화학식 5]
Figure 112015003988783-pat00032

[화학식 6]
Figure 112015003988783-pat00033

[화학식 7]
Figure 112015003988783-pat00034

[화학식 8]
Figure 112015003988783-pat00035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세포 또는 동물 모델의 조직에 본 발명의 아세단 유사체 화합물을 처리한 결과 종래 이광자 흡수 형광체에 비해 우수한 형광 영상을 제공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실시예 6 내지 10).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이용한 세포 또는 조직의 영상화(imaging) 방법과 알츠하이머병(Alzheimer's disease) 진단용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하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8-(디메틸아미노)-2,3,4아-테트라히드로-1H-벤조[비]잔텐-1-온(8-(dimethylamino)-2,3,4,4a-tetrahydro-1H-benzo[b]xanthen-1-one), 화합물 4a(R 1 =R 2 =Me)의 합성
화합물 4a(R1=R2=Me)의 일반적인 합성 경로는 하기 반응식 1에 나타내었다.
[반응식 1]
Figure 112015003988783-pat00036
본 발명자들은 화합물 4a(R1=R2=Me)인 8-(디메틸아미노)-2,3,4아-테트라히드로-1H-벤조[비]잔텐-1-온(8-(dimethylamino)-2,3,4,4a-tetrahydro-1H-benzo[b]xanthen-1-one)의 합성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알려진 합성 출발 물질인 화합물 9(Kim, I. Asian J. Org. Chem. 2012, 1, 60) (110 mg, 0.50 mmol), 2-시클로헥센-1-온(2-cyclohexen-1-one) (97 μL, 1.0 mmol), 및 1,4-디아자비시클로[2.2.2]옥탄(1,4-diazabicyclo[2.2.2]octane) (28 mg, 0.25 mmol)이 들어있는 밀폐 용기에 H2O/1,4-dioxane(3.0 mL, 1:2, v/v)을 넣고 용기를 막았다. 이 혼합물을 45-50℃에서 초음파처리 하에 48시간 교반하였다. 혼합물의 온도를 상온(25℃)으로 낮춘 후, 40 mbar의 감압조건에서 용매를 제거한 후, 실리카겔(Merk-silicagel 60, 230-400 mesh)을 통과하는 관 크로마토그래피(column chromatograph)로 정제하여(전개액은 10% EtOAc/hexane을 사용) 주황색의 고체 화합물 4a(R1=R2=Me)(56 mg, 38%; 40%의 화합물 9는 복구됨)를 얻었다.
1H NMR (CDCl3, 300 MHz, 297 K, δ): 7.61-7.54 (m, 3H), 6.99-6.95 (m, 2H), 6.69 (d, J = 2.1 Hz, 1H), 5.04-4.97 (m, 1H), 3.07 (s, 6H), 2.64-2.35 (m, 3H), 2.14-1.95 (m, 2H), 1.81-1.66 (m, 1H); 13C NMR (CDCl3, 75 MHz, 298 K, δ): 197.36, 153.22, 149.88, 137.86, 132.14, 130.69, 130.30, 129.59, 122.74, 119.19, 114.35, 109.11, 104.80, 74.84, 40.47 (2 carbons), 38.82, 29.86, 18.12; HRMS: m/z calcd for C19H19NO2, 293.3597; found, 293.1417.
7-(디메틸아미노)-3,3아-디히드로벤조[지]시클로펜타[비]크로멘-1(2H)-온(7-(dimethylamino)-3,3a-dihydrobenzo[g]cyclopenta[b]chromen-1(2H)-one), 화합물 5a(R 1 =R 2 =Me)의 합성
화합물 5a(R1=R2=Me)의 일반적인 합성 경로는 하기 반응식 2에 나타내었다.
[반응식 2]
Figure 112015003988783-pat00037
본 발명자들은 화합물 5a(R1=R2=Me)인 7-(디메틸아미노)-3,3아-디히드로벤조[지]시클로펜타[비]크로멘-1(2H)-온(7-(dimethylamino)-3,3a-dihydrobenzo[g]cyclopenta[b]chromen-1(2H)-one)의 합성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알려진 합성 출발 물질인 화합물 9 (20 mg, 0.093 mmol), 2-시클로펜텐-1-온(2-cyclopenten-1-one) (48 μL, 0.56 mmol) 및 1,4-디아자비시클로[2.2.2]옥탄(1,4-diazabicyclo[2.2.2]octane) (11 mg, 0.095 mmol)이 들어있는 밀폐 용기에 H2O/1,4-dioxane(1.8 mL, 1:1, v/v)을 넣고 용기를 막았다. 이 혼합물을 45-50℃에서 초음파처리 하에 48시간 교반하였다. 혼합물의 온도를 상온으로 낮춘 후, 40 mbar의 감압조건에서 용매를 제거한 후, 실리카겔(Merk-silicagel 60, 230-400 mesh)을 통과하는 관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전개액은 5% EtOAc/hexane을 사용) 노란색의 고체 화합물 5a(R1=R2=Me)(5.7 mg, 22%; 70%의 화합물 9는 복구됨)를 얻었다.
1H NMR (CDCl3, 300 MHz, 296 K, δ): 7.60 (d, J = 9.0 Hz, 1H), 7.57 (s, 1H), 7.37 (d, J = 2.1 Hz, 1H), 7.02 (s, 1H), 6.98 (dd, J = 9.02. 4 Hz, 1H), 6.69 (d, J = 2.4 Hz, 1H), 5.31-5.25 (m, 1H), 3.08 (s, 6H), 2.76-2.56 (m, 2H), 2.44-2.31 (m, 1H), 2.22-2.11 (m, 1H); 13C NMR (CDCl3, 75 MHz, 297 K δ): 201.35, 152.77, 150.02, 138.02, 131.93, 131.20, 129.56, 128.45, 122.72, 118.81, 114.46, 109.76, 104.82, 76.05, 40.45 (2 carbons), 37.12, 28.17; HRMS: m/z calcd. for C18H17NO2, 279.3331; found, 279.1260.
1-(8-(디메틸아미노)-2H-벤조[지]크로멘-3-일)에탄온(1-(8-(dimethylamino)-2H-benzo[g]chromen-3-yl)ethanone), 화합물 6a(R 1 =R 2 =Me)의 합성
화합물 6a(R1=R2=Me)의 일반적인 합성 경로는 하기 반응식 3에 나타내었다.
[반응식 3]
Figure 112015003988783-pat00038
본 발명자들은 화합물 6a(R1=R2=Me)인 1-(8-(디메틸아미노)-2H-벤조[지]크로멘-3-일)에탄온(1-(8-(dimethylamino)-2H-benzo[g]chromen-3-yl)ethanone)의 합성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알려진 합성 출발 물질인 화합물 9 (150 mg, 0.70 mmol)과 3-부텐-2-온(3-buten-2-one) (170 μL, 2.1 mmol)을 메탄올(MeOH, 1.0 mL)에 녹인 후 플라스크를 상온에서 아르곤(Argon) 기체로 충전해주었다. 마그네슘 아이오다이드(magnesium iodide, MgI) (20 mg, 0.0070 mmol)와 테트라메틸에틸렌디아민(tetramethylethylenediamine, TMEDA) (11 μL, 0.070 mmol)을 메탄올(MeOH, 1.0 mL)에 녹여 이 용액을 넣어주었다. 4-디메틸아미노피리딘(4-dimethylaminopyridine, DMAP) (8.6 mg, 0.070 mmol)을 메탄올(MeOH, 0.50 mL)에 녹여 이 용액을 넣어주었다. 이 혼합물을 상온에서 24시간 교반한 후, 포화 염화 암모늄(ammonium chloride, NH4Cl) 수용액(2.0 mL) 넣어주었다. 이 혼합물을 디클로로메탄(2 x 20 mL)으로 추출한 후, 유기층을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였다. 40 mbar 감압조건에서 용매를 제거한 후, 실리카겔(Merk-silicagel 60, 230-400 mesh)을 통과하는 관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전개액은 10% EtOAc/hexane을 사용) 노란색의 고체 화합물 6a(R1=R2=Me)(70 mg, 28%; 37%의 화합물 9 복구됨)을 얻었다.
1H NMR (CDCl3, 300 MHz, 297 K, δ): 7.59 (d, J = 9.0 Hz, 1H), 7.48 (s, 1H), 7.44 (s, 1H), 6.98-6.94 (m, 2H), 6.69 (d, J = 2.4 Hz, 1H), 5.02 (d, J = 1.2 Hz, 2H), 3.07 (s, 6H), 2.42 (s, 3H); 13C NMR (CDCl3, 75 MHz, 298 K, δ): 195.86, 152.79, 149.87, 138.21, 134.60, 130.95, 129.51, 129.48, 122.50, 117.87, 114.26, 109.24, 104.79, 64.53, 40.47 (2 carbons), 24.96; HRMS: m/z calcd for C17H17NO2, 267.3224; found, 267.1257.
화합물 7a(R 1 =R 2 =Me)의 합성
화합물 7a(R1=R2=Me)의 일반적인 합성 경로는 하기 반응식 4에 나타내었다.
[반응식 4]
Figure 112015003988783-pat00039
<4-1> 6-(디메틸아미노)-3-(프로피닐-2-옥시)-2-나프탈알데히드(6-(dimethylamino)-3-(prop-2-ynyloxy)-2-naphthaldehyde), 화합물 10의 합성
본 발명자들은 화합물 10인 6-(디메틸아미노)-3-(프로피닐-2-옥시)-2-나프탈알데히드(6-(dimethylamino)-3-(prop-2-ynyloxy)-2-naphthaldehyde)의 합성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알려진 합성 출발 물질인 화합물 9 (200 mg, 0.93 mmol)과 탄산 칼륨(potassium carbonate, K2CO3) (390 mg, 2.8 mmol)을 상온에서 디메틸포름아미드(dimethylformamide, DMF, 6.5 mL)에 녹인 후, 80% 프로파질 브로마이드(propargyl bromide, 0.20 mL, 1.4 mmol)를 넣어주었다. 이 혼합물을 상온에서 12시간 교반한 후, 에틸 아세테이트(2 x 10 mL)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물(10 mL), 포화 소금물(10 mL)로 씻고 무수황산나트륨으로 건조하였다. 40 mbar의 감압조건에서 용매를 제거한 후, 별도의 정제과정 없이 다음 단계를 진행하였다.
<4-2> 8-(디메틸아미노)-2H-벤조[지]크로메네-3-카발데히드(8-(dimethylamino)-2H-benzo[g]chromene-3-carbaldehyde), 화합물 7a(R 1 =R 2 =Me)의 합성
본 발명자들은 화합물 7a(R1=R2=Me)인 8-(디메틸아미노)-2H-벤조[지]크로메네-3-카발데히드(8-(dimethylamino)-2H-benzo[g]chromene-3-carbaldehyde)의 합성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시예 4-1을 통해 얻어진 화합물 10(37 mg, 0.15 mmol)과 아이오딘화 구리(copper iodide, CuI)를 아세토니트릴(acetonitrile, CH3CN, 3.7 mL)에 녹인 후, 이 혼합물을 실리콘 오일 용기를 이용하여 82 ℃에서 48시간 교반하였다. 혼합물의 온도를 상온으로 낮춘 후, 40 mbar의 감압조건에서 용매를 제거한 후, 실리카겔(Merck-silicagel 60, 230-400 mesh)을 통과하는 관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전개액은 5% EtOAc/Hexane을 사용) 주황색의 고체 화합물 7a(R1=R2=Me)(70mg, 71%)을 얻었다.
1H NMR (CDCl3, 300 MHz, 298 K, δ): 10.39 (s, 1H), 8.11 (s, 1H), 7.69 (d, J = 9.3 Hz, 1H), 7.05-6.98 (m, 2H), 6.78 (d, J = 2.1 Hz, 1H), 5.96-5.90 (m, 1H), 4.91 (dd, J = 3.9, 1.8 Hz, 2H), 3.13 (s, 6H); 13C NMR (CDCl3, 75 MHz, 298 K, δ): 189.47, 153.62, 150.81, 135.13, 132.14, 130.22, 121.18, 121.11, 120.63, 119.32, 114.32, 113.84, 98.92, 65.18, 40.36 (2 carbons); HRMS: m/z calcd for C16H15NO2, 253.2958; found, 253.1100.
2-((8-디메틸아미노)-2H-벤조[지]크로멘-3-일)메틸렌)말로노나이트릴(2-((8-dimethylamino)-2H-benzo[g]chromen-3-yl)methylene)malononitrile, 화합물 8a(R 1 =R 2 =Me)의 합성
화합물 8a(R1=R2=Me)의 일반적인 합성 경로는 하기 반응식 5에 나타내었다.
[반응식 5]
Figure 112015003988783-pat00040
본 발명자들은 화합물 8a(R1=R2=Me)인 2-((8-디메틸아미노)-2H-벤조[지]크로멘-3-일)메틸렌)말로노나이트릴(2-((8-dimethylamino)-2H-benzo[g]chromen-3-yl)methylene)malononitrile의 합성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시예 4-1을 통해 얻어진 화합물 10 (220 mg, 0.93 mmol), 말로노나이트릴(malononitrile, 62 mg, 0.93 mmol), 및 아이오딘화 구리(copper iodide, CuI, 53 mg, 0.28 mmol)를 아세토니트릴(acetonitrile, CH3CN, 6.0 mL)에 녹인 후, 트리에틸아민(triethylamine, Et3N, 0.10 mL, 0.090 mmol)을 넣어주었다. 이 혼합물을 실리콘 오일 용기를 이용하여 75 ℃에서 4시간 교반하였다. 혼합물의 온도를 상온으로 낮춘 후, 40 mbar의 감압조건에서 용매를 제거하고, 실리카겔(Merck-silicagel 60, 230-400 mesh)을 통과하는 관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전개액은 CH2Cl2을 사용) 붉은색의 고체 화합물 8a(R1=R2=Me)(200mg, 70%)를 었다.
1H NMR (CDCl3, 600 MHz, 293K, δ): 7.61 (d, J = 9.0 Hz, 1H), 7.51 (s, 1H), 7.27 (s, 1H), 7.23 (s, 1H), 6.99 (dd, J = 9.3, 2.7 Hz, 1H), 6.97 (s, 1H), 6.69 (d, J = 2.4 Hz, 1H), 5.39 (s, 2H), 3.14 (s, 6H); 13C NMR (CDCl3, 150 MHz, 293 K, δ): 155.49, 152.41, 150.66, 142.52, 139.46, 131.42, 130.37, 126.80, 122.67, 117.91, 114.88, 114.51, 113.72, 109.32, 104.52, 64.47, 40.31 (2 carbons). HRMS: m/z calcd for C19H15ON3, 301.1215; found, 301.1215.
이광자 흡수 형광체의 흡수 특성 확인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의 이광자 흡수 형광체인 화합물 4a-8a(R1=R2=Me)의 흡수 특성을 확인하고, 그 결과를 도 1(a), 도 6, 도 9(a),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내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자들은 이광자 흡수 형광체의 흡수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10 μM 농도의 화합물 4a-7a(R1=R2=Me)를 포함하는 에탄올 용액(1% DMSO 포함)을 1 cm 통과 길이의 석영 셀(114F-QS, Hellma Analytics)에 채워 흡수 스펙트럼을 측정하고, 파장(x축)에 따른 흡광도(y축)를 도 1(a)에 나타내었다. 도 1(a)를 보면, 화합물 4a-7a(R1=R2=Me)의 최대 흡수 파장(maximum absorption wavelength, λabc(nm))이 종래의 아세단(화합물 1)의 최대 흡수 파장보다 긴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이광자 흡수 형광체인 화합물 8a(R1=R2=Me)의 흡수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10 μM 농도의 화합물 8a(R1=R2=Me)를 포함하는 톨루엔(toluene), 디옥산(dioxane), 에틸 아세테이트(ethyl acetate), 디클로로메탄 (dichloromethane), 에탄올(ethanol), 디메틸포름아미드(dimethylforamide), 디메틸 술폭시드(dimethyl sulfoxide, DMSO), 및 PBS 완충 용액(1% DMSO 포함)을 1 cm 통과 길이의 석영 셀에 채워 흡수 스펙트럼을 측정하고, 파장(x축)에 따른 흡광도(y축)를 도 9(a)에 나타내었다. 흡수 스펙트럼은 HP 8453 UV/Vis 분광 광도계(spectrophotometer)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1, 2, 5, 10 μM 농도의 화합물 4a-7a(R1=R2=Me)를 포함하는 PBS 완충 용액(10 mM, pH 7.4, 1% 미만의 DMSO 포함)을 1 cm의 통과 길이의 석영 셀에 채워 흡수 스펙트럼을 측정하고, 파장(x축)에 따른 흡광도(y축)를 도 11(a, b, c, d)에 나타내었다. 도 11을 보면, 1, 2, 5 μM 농도의 화합물 4a-7a(R1=R2=Me)는 PBS 완충 용액에서 충분한 용해도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1, 5, 10, 15, 20 μM 농도의 화합물 8a(R1=R2=Me)를 포함하는 PBS 완충 용액(10 mM, pH 7.4, 1% 미만의 DMSO 포함)을 1 cm의 통과 길이의 석영 셀에 채워 흡수 스펙트럼을 측정하고, 파장(x축)에 따른 흡광도(y축)를 도 12에 나타내었다. 도 12를 보면, 1, 5, 10 μM 농도의 화합물 8a(R1=R2=Me)는 PBS 완충 용액에서 충분한 용해도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10 μM 농도의 화합물 4a-8a(R1=R2=Me)를 포함하는 에탄올 용액(1% DMSO 포함)에서의 최대 흡수 파장에서의 몰 흡광 계수(molar extinction coefficient, ε(Lmol-1cm-1))를 계산하고, 그 결과를 도 6에 나타내었다. 도 6을 통하여, 본 발명의 이광자 흡수 형광체(특히 화합물 4a-8a(R1=R2=Me))에서의 몰 흡광 계수(ε>11,500)가 종래의 이광자 흡수 형광체로 알려진 아세단(ε=10,700)과 비교하여 보다 뛰어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광자 흡수 형광체의 형광 특성 확인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의 이광자 흡수 형광체인 화합물 4a-8a(R1=R2=Me)의 형광 특성을 확인하고, 그 결과를 도 1(b), 도 2, 도 4, 도 6-8, 도 9(b), 및 도 13-15에 나타내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자들은 이광자 흡수 형광체의 형광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10 μM 농도의 화합물 4a-7a(R1=R2=Me)를 포함하는 에탄올 용액(1% DMSO 포함)과 에탄올 용액을 1 cm의 통과 길이의 석영 셀에 채워 형광 스펙트럼(형광 스펙트럼은 Photon Technical International Fluorescence System을 사용하여 측정됨)을 측정하고, 파장(x축)에 따른 정규화 된 형광 세기(y축)를 도 1(b)과 파장(x축)에 따른 형광 세기(y축)를 도 7에 나타내었다. 도 7을 통하여, 본 발명의 이광자 흡수 형광체인 화합물 4a-7a(R1=R2=Me)의 최대 방출 파장(maximum emission wavelength, λem(nm))이 종래의 이광자 흡수 형광체로 알려진 아세단(화합물 1)의 최대 방출 파장보다 긴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1 μM 농도의 화합물 4a(R1=R2=Me)와 아세단을 포함하는 디클로로메탄, 아세토니트릴, 에탄올(1% DMSO 포함), PBS 완충 용액(10 mM, pH 7.4, 0.1%의 DMSO 포함)을 1 cm의 통과 길이의 석영 셀에 채워 형광 스펙트럼을 측정하고, 파장(x축)에 따른 형광 세기(y축)를 도 2(b)와 도 13에 나타내었다. 도 2(b)와 도 13을 통하여, 본 발명의 이광자 흡수 형광체인 화합물 4a(R1=R2=Me)의 최대 방출 파장이 종래의 이광자 흡수 형광체로 알려진 아세단(화합물 1)의 최대 방출 파장보다 긴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10 μM 농도의 화합물 8a(R1=R2=Me)를 포함하는 PBS 완충 용액(10 mM, pH 7.4, 0.1% DMSO 포함) 또는 인공 뇌척수액(artificial cerebrospinal fluid-NaCl(124 mM), KCl(3 mM), NaH2PO4(1.25 mM), MgCl2(1 mM), NaHCO3(36 mM), D-gluocose (10 mM), CaCl2(2 mM), 95% O2, 5% CO2(by bubbler), aCSF, 1% DMSO 포함)에서 아밀로이드-베타 42(Aβ 42)와 소혈청알부민(BSA, 20 μg/mL)의 존재 유무에 따라 1 cm의 통과 길이의 석영 셀에 채워 형광 스펙트럼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를 보면, 아밀로이드-베타 플라크가 존재하지 않을 때에는 화합물 8a(R1=R2=Me)의 형광의 세기가 약하다가 아밀로이드-베타 플라크가 존재하면 화합물 8a(R1=R2=Me)의 형광의 세기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화합물 8a(R1=R2=Me)가 아밀로이드-베타 플라크를 선택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10 μM 농도의 화합물 4a-8a(R1=R2=Me)를 포함하는 에탄올 용액에서의 형광 양자 수율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도 6에 나타내었다. 비교 화합물로는 형광 프로브로 주로 쓰이는 아세단을 사용하였다(형광 양자 수율, ΦF = 0.52, 에탄올 용액에서 측정).
화합물 4a-7a(R1=R2=Me)의 형광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10 μM 농도의 화합물 4a-7a(R1=R2=Me)를 포함하는 톨루엔, 디옥산, 에틸 아세테이트, 디클로로메탄, 에탄올, 아세토니트릴, 디메틸포름아미드, DMSO, PBS 완충 용액, 및 90% 에탄올/PBS 완충 용액(1% DMSO 포함)을 1 cm의 통과 길이의 석영 셀에 채워 형광 스펙트럼을 측정하고, 파장(x축)에 따른 형광 세기(y축)를 도 8에 나타내었다. 또한 화합물 8a(R1=R2=Me)의 형광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10 μM 농도의 화합물 8a(R1=R2=Me)를 포함하는 톨루엔, 디옥산, 에틸 아세테이트, 디클로로메탄, 에탄올, 디메틸포름아미드, DMSO, PBS 완충 용액을 1 cm의 통과 길이의 석영 셀에 채워 형광 스펙트럼을 측정하고, 파장(x축)에 따른 형광 세기(y축)를 도 9에 나타내었다.
화합물 8a(R1=R2=Me)의 아밀로이드-베타 플라크의 농도(x축)에 따른 형광 세기(y축) 확인하기 위해, 10 μM 농도의 화합물 8a(R1=R2=Me)와 아밀로이드-베타 플라크(0-50 μM)를 포함하는 PBS 완충 용액(1% DMSO 포함)을 1 cm의 통과 길이의 석영 셀에 채워 형광 스펙트럼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도 14에 나타내었다.
화합물 8a(R1=R2=Me)의 pH(x축)에 따른 형광 세기(y축)를 확인하기 위해, 10 μM 농도의 화합물 8a(R1=R2=Me)와 pH 4-10의 수용액(1% DMSO 포함)을 1 cm의 통과 길이의 석영 셀에 채워 형광 스펙트럼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도 15에 나타내었다. 도 15를 보면, 수용액에서 pH에 관계없이 화합물 8a(R1=R2=Me)의 형광의 세기가 약하고, pH에 따른 화합물 8a(R1=R2=Me)의 형광 변화가 나타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화합물 4a(R 1 =R 2 =Me)와 화합물 8a(R 1 =R 2 =Me)의 이광자 흡수 특성 확인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의 이광자 흡수 형광체인 화합물 4a(R1=R2=Me)와 화합물 8a(R1=R2=Me)의 이광자 여기에 의한 이광자 흡수 특성을 확인하고, 그 결과를 도 16-17에 나타내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자들은 이광자 흡수 형광체인 화합물 4a(R1=R2=Me)의 이광자 흡수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10 μM 농도의 화합물 4a(R1=R2=Me)를 포함하는 톨루엔(■), 디메틸포름아미드(□), 에탄올 용액(1% DMSO 포함)(●)에서의 이광자 발광율(two-photon action cross section, Φδ)을 측정하고, 이광자 작동 스펙트럼을 도 16에 나타내었다. 또한, 화합물 8a(R1=R2=Me)의 이광자 흡수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10 μM 농도의 화합물 8a(R1=R2=Me)를 포함하는 에탄올 용액에서의 이광자 흡수 효율을 측정하고, 이 스펙트럼을 도 17에 나타내었다. 이광자 흡수 효율은 이광자 유발 형광(two-photon induced fluorescence) 방법에 의해 측정하였고[Fischer, A. et al. Applied Optics 1995, 34, 1989], 1 GM은 10-50 cm4 s photon-1 molecule-1를 의미한다. 도 16에서 화합물 4a(R1=R2=Me)의 장파장(>850 nm)에서의 이광자 흡수 효율 값과 도 17에서 화합물 8a(R1=R2=Me)의 장파장(>900 nm)에서의 이광자 흡수 효율 값은 종래의 아세단의 이광자 흡수 효율 값(~100 GM)보다 작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도 3과 도 5를 통해, 화합물 4a(R1=R2=Me)의 장파장(>850 nm)에서의 이광자 흡수 효율 값과 도 17에서 화합물 8a(R1=R2=Me)의 장파장(>900 nm)에서의 이광자 흡수 효율 값이 선명한 이광자 전자현미경 영상을 얻기에 적합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생체 내 형광체의 자가 형광에 의한 영향을 충분히 배제시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
화합물 4a(R 1 =R 2 =Me)와 화합물 8a(R 1 =R 2 =Me)을 처리한 쥐 조직의 이광자 형광 전자현미경 영상 관측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의 화합물 4a(R1=R2=Me)와 화합물 8a(R1=R2=Me)를 쥐 조직에 처리한 후 형광 변화를 이광자 전자현미경을 통해 관측하고, 그 결과를 도 3, 도 5, 도 10, 및 도 18에 나타내었다.
구체적으로, 화합물 4a(R1=R2=Me)를 처리한 쥐 조직의 이광자 형광 전자현미경 영상을 관측하기 위해 C57BL6 쥐(생후 5주, 수컷, SAMTAKO Co.)를 사용하였고, 빛으로 보호된 조건(암실)에서 실험을 진행하였다. 쥐의 뇌, 간, 신장, 비장, 폐 조직을 해부하고 PBS 완충 용액으로 씻어준 후, 각각의 장기들을 드라이아이스(dry-ice)로 5분간 얼렸다. 얼린 장기들을 망치로 부수고, 절단기(Cryostat machine, Leica, CM3000 model)를 이용하여 16 μm 두께로 조직 슬라이스 샘플(tissue slice sample)을 준비하였다. 절단기에 장기를 고정하기 위해서 OCT(optical cutting temperature compound, 10%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ohol), 25% 폴리에틸렌글리콜(polyethylene glycol), 85.5% inactive species)를 사용했다. 조직 슬라이스 샘플을 specimen block(Paul Marienfeld GMbH & Co.) 위에 두었고, specimen block을 4% 파라포름알데히드에 10분간 담근 후, PBS 완충 용액으로 씻어주고 Mount 용액(Gel Mount, BIOMEDA)을 사용하여 조직을 다시 고정하였다. 준비된 조직 슬라이스 샘플을 10 μM의 화합물 4a(R1=R2=Me)와 아세단를 포함하는 PBS 완충 용액에 10분간 담그고 PBS 완충 용액으로 3번 씻어준 후, 4% 파라포름알데히드에 고정하고 형광을 관측하였다. 이광자 전자현미경은 Upright microscope(BX51, Olympus)와 20배 및 40배 대물렌즈(XLUMPLEN, NA 1.0, Olympus)로 구성되어있으며, 타이타늄:사파이어 레이저(Ti:Sapphire laser; Chameleon Ultra II, Coherent)를 사용하였고, 10 mW의 레이저 출력과 780 nm(아세단), 900 nm(화합물 4a(R1=R2=Me))의 이광자 여기파장으로 관측되었다. 도 3을 보면, 적정한 생체 관찰(biological optical window) 영역(800-1000 nm)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 4a(R1=R2=Me)의 이광자 형광 전자현미경 영상이 종래의 아세단의 이광자 형광 전자현미경 영상과 비교하여 보다 선명한 고대비 영상을 제공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아세단을 이용하여 얻은 영상(도 3(a))과 달리 화합물 4a(R1=R2=Me)를 이용하여 얻은 영상(도 3(b))이 자가 형광에 의한 영향이 충분히 배제되었음을 알 수 있다.
화합물 8a(R1=R2=Me)를 처리한 살아있는 쥐 조직의 이광자 형광 전자현미경 영상을 관측하기 위해, 알츠하이머병이 발현된 5XFAD 쥐(생후 13개월, The Jackson Laboratory, Bar Harbor, ME, USA; stock no. 006554, Tg6799)를 사용하였다. 아밀로이드-베타 플라크는 알츠하이머병의 전형적인 특징으로 나타난다.
모든 동물 실험은 동물 실험 윤리 위원회로부터 승인 후 진행되었다. 두개골 개두술(open-skull craniotomy surgery)은 화합물 8a(R1=R2=Me)와 잘 알려진 아밀로이드-베타 플라크 형광체인 MeO-X04를 처리한 후 영상화가 진행되었다. 졸레틸 50(zoletil 50; virbac; 근육내 주사, 0.03 mL)을 마취제로 사용하여, 정위고정성의 전열면에 고정하였다(서울, 대한민국, 37℃). 두피(scalp)와 골막(periosteum)을 제거한 후 두개골의 브레그마(bregma)로부터 1 mm, 시상봉합(sagittal)으로부터 1 mm, 직경 3 mm의 구멍을 내고, 뼈를 제거한 다음, 3 mm 둥근 커버슬립을 록타이트 454로 접합했다. 두개골의 드러난 부위는 치과용의 아크릴(dentyl acryl)로 덮었고, 수술 전후에 소염제 덱사메타손 (dexamethasone, 0.2 mg/kg)과 카르프로펜 (carprofen, 5 mg/kg)을 처방했다.
이광자 전자현미경은 Carl Zeiss Microscopy GmbH(Oberkochen, Germany; model no. LSM 7 MP two-photon laser scanning microscope system)을 사용하였다. 아밀로이드-베타 플라크를 시각화하고 화합물 8a(R1=R2=Me)를 시험하기 위해, 화합물 8a(R1=R2=Me)(30 mg/kg; 저장액(50 mg/mL DMSO)의 10%, 45%의 프로필렌 글리콜 , 45%의 PBS)와 MeO-X04(10 mg/kg; 저장액(50 mg/mL DMSO)의 10%, 45%의 프로필렌 글리콜 , 45%의 PBS)를 영상화 24시간 전에 복강 주입하였다. 50 mW의 레이저 출력과 780 nm(MeO-X04) (도10(b)), 1000 nm(화합물 8a(R1=R2=Me))(도 10(a))의 이광자 여기파장으로 이광자 전자 현미경 영상이 관측되었다. 융합된 영상(도 10(c))을 통해, 아밀로이드-베타 플라크의 감지체로 알려진 MeO-X04로 처리한 영상 결과(도 10(b))와 화합물 8a(R1=R2=Me)로 처리한 영상 결과(도 10(a))의 일치도가 상당히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따라서 화합물 8a(R1=R2=Me)는 아밀로이드-베타 플라크를 선택적으로 시각화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3차원 영상을 얻기 위해, z축에 대해 1 μm 간격으로 300 μm 깊이까지의 영상 수집을 진행하였고, 영상 처리는 Volocity 소프트웨어(PerkinElmer Inc., MA, USA)로 진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5를 보면, 화합물 8a(R1=R2=Me)는 알츠하이머병 동물 모델에서의 아밀로이드-베타 플라크를 선택적으로 시각화할 수 있다는 것(도 5(a), 도 5(b))과 아밀로이드-베타 플라크를 3차원 영상으로 시각화할 수 있다는 것 (도 5(c), 도 5(d))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이광자 광원의 조사 전/후에 따른 화합물 8a(R1=R2=Me)과 아밀로이드-베타 플라크 착화합물에 대한 광퇴색 과정 영상과 전자현미경 영상에서 형광의 상대적인 세기를 도 18에 나타내었다. 도 18을 보면, 화합물 8a(R1=R2=Me)의 형광 세기가 이광자 광원을 35분 조사했을 때 40% 정도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화합물 8a(R1=R2=Me)는 알츠하이머병 동물 모델에서의 아밀로이드-베타 플라크를 장시간 동안 시각화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화합물 4a(R 1 =R 2 =Me)와 화합물 8a(R 1 =R 2 =Me)를 처리한 세포 독성 확인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의 화합물 4a(R1=R2=Me)와 화합물 8a(R1=R2=Me)를 SHSY5Y 세포에 처리하여 세포독성을 확인하였고, 그 결과를 도 19에 나타내었다.
화합물 4a(R1=R2=Me)와 화합물 8a(R1=R2=Me)로 처리된 세포독성을 확인하기 위해, SHSY5Y 세포의 포르마잔(formazan)의 3-(4,5-디메틸디아졸-2-일)-2,5-디페닐테트라졸리움 브로마이드(3-(4,5-dimethyld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MTT)를 대사 작용 시키는 능력을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 세포 (100 μL/well)는 96-웰 플레이트(96-well plate)에 웰 당 약 5 ㅧ 103 세포의 밀도로 준비하였다. 1, 20, 50 μM 농도의 화합물 4a(R1=R2=Me)와 화합물 8a(R1=R2=Me)를 세포에 각각 처리하고 1시간 배양 후, PBS 완충 용액으로 씻어주고 5 mg/mL의 MTT 용액 25 μL를 각 웰에 넣어주었다. 37℃에서 2시간 배양 후 미디어를 제거하고 포르마잔 결정은 DMSO에 의해 용해되며, 플레이트 판독기를 이용하여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도 19(a)를 보면, 화합물 4a(R1=R2=Me)는 20 μM의 농도까지 세포 독성이 낮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20% 세포 소멸). 도 19(b)를 보면, 화합물 8a(R1=R2=Me)는 50 μM의 농도까지 세포 독성이 낮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20% 세포 소멸). 이를 통해 화합물 4a(R1=R2=Me)와 화합물 8a(R1=R2=Me)의 세포 독성이 낮고, 조직 및 동물 모델에서 이광자 전자현미경 영상을 얻는데 적합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13)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아세단 유사체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화학식 1]
    Figure 112015003988783-pat00041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및 R2는 수소(H), 메틸(Me), 알릴(allyl), 또는 C2-C12의 비치환된 알킬(alkyl)기이고;
    R3
    Figure 112015003988783-pat00042
    ,
    Figure 112015003988783-pat00043
    ,
    Figure 112015003988783-pat00044
    , 또는 R4와 환(ring)으로 연결된 시클로알킬(cycloalkyl)기이고;
    R4는 수소 또는 R3와 환(ring)으로 연결된 시클로알킬기이며;
    상기 환으로 연결된 시클로알킬기는
    Figure 112015003988783-pat00045
    또는
    Figure 112015003988783-pat00046
    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세단 유사체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4 내지 8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화학식 4]
    Figure 112015003988783-pat00047


    [화학식 5]
    Figure 112015003988783-pat00048


    [화학식 6]
    Figure 112015003988783-pat00049


    [화학식 7]
    Figure 112015003988783-pat00050


    [화학식 8]
    Figure 112015003988783-pat00051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세단 유사체 화합물은 이광자 흡수 형광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4. 제1항의 아세단 유사체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이용하여 인간을 제외한 동물의 세포 또는 조직을 영상화(imaging)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조직에서 아밀로이드-베타 플라크(amyloid-beta plaque)의 영상화 방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화(imaging)하는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세포 또는 조직에 상기 아세단 유사체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처리한 후 형광 전자현미경으로 관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화(imaging)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형광 전자현미경은 일광자 형광 전자현미경 또는 이광자 형광 전자현미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화(imaging)하는 방법.
  8. 제1항의 아세단 유사체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포함하는 알츠하이머병(Alzheimer's disease) 진단용 조성물.
  9. 6-(디메틸아미노)-3-히드록시-2-나프탈알데히드로부터 하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아세단 유사체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으로, 상기 방법은 2-시클로헥센-1-온과 1,4-디아자비시클로[2.2.2]옥탄을 첨가하여 8-(디메틸아미노)-2,3,4아-테트라히드로-1H-벤조[비]잔텐-1-온을 합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화학식 4]
    Figure 112015003988783-pat00052

  10. 6-(디메틸아미노)-3-히드록시-2-나프탈알데히드로부터 하기 화학식 5로 표시되는 아세단 유사체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으로, 상기 방법은 2-시클로펜텐-1-온과 1,4-디아자비시클로[2.2.2]옥탄을 첨가하여 7-(디메틸아미노)-3,3아-디히드로벤조[지]시클로펜타[비]크로멘-1(2H)-온을 합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화학식 5]
    Figure 112015003988783-pat00053

  11. 6-(디메틸아미노)-3-히드록시-2-나프탈알데히드로부터 하기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아세단 유사체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으로, 상기 방법은 3-부텐-2-온, 마그네슘 아이오다이드, 테트라메틸에틸렌디아민, 및 4-디메틸아미노피리딘을 첨가하여 1-(8-(디메틸아미노)-2H-벤조[지]크로멘-3-일)에탄온을 합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화학식 6]
    Figure 112015003988783-pat00054

  12. 6-(디메틸아미노)-3-히드록시-2-나프탈알데히드로부터 하기 화학식 7로 표시되는 아세단 유사체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으로, 상기 방법은 프로파질 브로마이드와 포타슘 카보네이트를 첨가하여 6-(디메틸아미노)-3-(프로피닐-2-옥시)-2-나프탈알데히드를 합성한 후, 말로노나이트릴과 아이오딘화 구리를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화학식 7]
    Figure 112015003988783-pat00055

  13. 6-(디메틸아미노)-3-(프로피닐-2-옥시)-2-나프탈알데히드로부터 하기 화학식 8로 표시되는 아세단 유사체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으로, 상기 방법은 말로노나이트릴, 아이오딘화 구리, 및 트리에틸아민을 첨가하여 2-((8-디메틸아미노)-2H-벤조[지]크로멘-3-일)메틸렌)말로노나이트릴을 합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화학식 8]
    Figure 112015003988783-pat00056

KR1020150006973A 2015-01-14 2015-01-14 새로운 파이계 확장 아세단 유도체, 이의 생체 영상화 응용, 및 알츠하이머병 동물 모델에서의 아밀로이드-베타 플라크의 이광자 현미경 영상화에의 응용 KR1016624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6973A KR101662427B1 (ko) 2015-01-14 2015-01-14 새로운 파이계 확장 아세단 유도체, 이의 생체 영상화 응용, 및 알츠하이머병 동물 모델에서의 아밀로이드-베타 플라크의 이광자 현미경 영상화에의 응용
US14/745,973 US9658235B2 (en) 2015-01-14 2015-06-22 Pi-extended acedan derivatives, their application for two-photon microscopy imaging, and their application for two-photon microscopy imaging of amyloid-beta plaque in an alzheimer's disease animal mode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6973A KR101662427B1 (ko) 2015-01-14 2015-01-14 새로운 파이계 확장 아세단 유도체, 이의 생체 영상화 응용, 및 알츠하이머병 동물 모델에서의 아밀로이드-베타 플라크의 이광자 현미경 영상화에의 응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7688A KR20160087688A (ko) 2016-07-22
KR101662427B1 true KR101662427B1 (ko) 2016-10-05

Family

ID=563673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6973A KR101662427B1 (ko) 2015-01-14 2015-01-14 새로운 파이계 확장 아세단 유도체, 이의 생체 영상화 응용, 및 알츠하이머병 동물 모델에서의 아밀로이드-베타 플라크의 이광자 현미경 영상화에의 응용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658235B2 (ko)
KR (1) KR10166242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4829A (ko) 2017-08-31 2019-03-08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아미노-실라-파이로닌 화합물 기반 일광자 또는 이광자 흡수 형광체 및 이의 용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8609B1 (ko) * 2018-04-27 2020-01-21 울산과학기술원 광감각제, 광감각제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광역동 치료 방법
KR102294475B1 (ko) * 2020-01-23 2021-08-25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말로노나이트릴 검출용 형광 프로브 화합물 및 이의 용도
KR102344437B1 (ko) * 2020-02-26 2021-12-27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아밀로이드 베타 플라크에 선택적인 이광자 형광 프로브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아밀로이드 베타 플라크의 영상화 방법
CN111875574B (zh) * 2020-08-26 2022-07-05 河南理工大学 一种萘并吡喃醛衍生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3620979A (zh) * 2021-07-15 2021-11-09 淮阴工学院 一种-Se-Se-双硒键侨联β淀粉样蛋白抑制药物的荧光探针及其制备方法
CN113651840A (zh) * 2021-07-15 2021-11-16 淮阴工学院 一种-s-s-双硫键侨联抑制ad的小分子药物的荧光探针及其制备方法
CN113549096A (zh) * 2021-07-15 2021-10-26 淮阴工学院 一种烷烃链侨联Aβ抑制剂的荧光探针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5457B1 (ko) * 2012-05-17 2014-05-15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새로운 이광자 흡수 형광체 및 이를 이용한 기질 감지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Org. Biomol. Chem. 14 July 2014. Vol. 12, No. 26, pp. 4550-4566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4829A (ko) 2017-08-31 2019-03-08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아미노-실라-파이로닌 화합물 기반 일광자 또는 이광자 흡수 형광체 및 이의 용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7688A (ko) 2016-07-22
US20160202263A1 (en) 2016-07-14
US9658235B2 (en) 2017-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2427B1 (ko) 새로운 파이계 확장 아세단 유도체, 이의 생체 영상화 응용, 및 알츠하이머병 동물 모델에서의 아밀로이드-베타 플라크의 이광자 현미경 영상화에의 응용
JP4759200B2 (ja) 活性酸素測定用試薬
Heo et al. A quadrupolar two-photon fluorescent probe for in vivo imaging of amyloid-β plaques
EP2370111B1 (en) Probe for a biological specimen and labelling method and screening method using the probe
JP6275253B2 (ja) 蛍光プローブ、一重項酸素検出剤、又は一重項酸素検出方法
JP5997288B2 (ja) ナフタレンを基本骨格とする二光子蛍光プローブ、その製造方法及びその利用方法
Liu et al. Novel pyrimidine-based amphiphilic molecules: synthesis, spectroscopic properties and applications in two-photon fluorescence microscopic imaging
WO2022054755A1 (ja) 蛍光色素剤及び腫瘍細胞の検出方法
KR101822761B1 (ko) 베타 아밀로이드 플라그에 선택적인 신규한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및 이를 이용한 생체 내 베타 아밀로이드 플라그의 영상화 방법
KR101493935B1 (ko) 아밀로이드 베타 플라크에 특이적인 이광자 형광 프로브,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생체 내 아밀로이드 베타 플라크의 영상화 방법
CN113735839B (zh) 二氢呫吨/苯并[cd]吲哚杂合物荧光探针及其制备方法与应用
KR101662444B1 (ko) 새로운 이광자 흡수 형광체 및 이를 이용한 세포 영상화 방법
EP3943919B1 (en) Fluorescence imaging of lipid droplets in cell and tissue with 3-(benzo[d]thiazol-2-yl)-2h-benzo[g]chromen-2-one derivatives and the corresponding benzo[d]oxazole and 1h-benzo[d]imidazole derivatives
KR100956410B1 (ko) 생체 내 산성 소포체 영상용 이광자 염료 및 이를 이용한생체 내 산성 소포체의 영상화 방법
CN114835629B (zh) 一类咔唑苯并[cd]吲哚鎓盐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15028572B (zh) 一类咔唑苯并[e]吲哚杂合物及其制备方法与应用
JP6321634B2 (ja) 光第二高調波発生化合物、光第二高調波発生色素組成物及び細胞検査方法
Ren et al. Red-Shift (2-Hydroxyphenyl)-Benzothiazole Emission by Mimicking the Excited-State Intramolecular Proton Transfer Effect
CN115028625B (zh) 一类β-咔啉喹啉杂合物、制备方法与应用
EP4332094A1 (en) Compound, fluorochrome, kit, and cell detection method
KR102061193B1 (ko) 아미노-실라-파이로닌 화합물 기반 일광자 또는 이광자 흡수 형광체 및 이의 용도
CN114835681A (zh) 一类咔唑喹啉杂合物、制备方法与应用
KR101639027B1 (ko) 시스테아민 검출용 가변색 이광자 형광프로브,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생체 내 시스테아민의 정밀영상 방법
JP2023039287A (ja) 化合物、組成物、蛍光色素剤、キット、及び細胞、組織、又は器官の検出方法
CN113754642A (zh) pH响应的半花菁吲哚类化合物及其制备方法与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