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7831B1 - 내식성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판의 용접금속부 - Google Patents

내식성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판의 용접금속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7831B1
KR101657831B1 KR1020140188799A KR20140188799A KR101657831B1 KR 101657831 B1 KR101657831 B1 KR 101657831B1 KR 1020140188799 A KR1020140188799 A KR 1020140188799A KR 20140188799 A KR20140188799 A KR 20140188799A KR 101657831 B1 KR101657831 B1 KR 1016578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ld metal
stainless steel
austenitic stainless
sigma
we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87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78727A (ko
Inventor
홍승갑
김성진
김극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401887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7831B1/ko
Publication of KR201600787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87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78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78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3/00Specially-profiled edge portions of workpieces for making soldering or welding connections; Filling the seams formed thereb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3/00Specially-profiled edge portions of workpieces for making soldering or welding connections; Filling the seams formed thereby
    • B23K33/002Crimping or bending the workpieces at the joining area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4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molybdenum or tungsten

Abstract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판의 용접금속부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크롬(Cr): 19중량% 이상, 몰리브덴(Mo): 6중량% 이상 및 니켈(Ni): 17중량% 이상을 포함하는 한쌍의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판을 맞대기 제살 용접하여 얻어진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판의 용접금속부에 있어서, 상기 용접금속부의 형상은 하기 식 1 및 2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판의 용접금속부를 제공한다.
[식 1]
Wbot>0
[식 2]
0.5*(Wtop+Wbot)/T≤1.5
(여기서, Wtop은 상면 비드 폭(mm), Wbot은 이면 비드 폭(mm), T는 강판의 두께(mm)를 의미함)

Description

내식성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판의 용접금속부{WELD METAL JOINT OF AUSTENITIC STAINLESS STEEL HAVING EXCELLENT CORROSION RESISTANCE}
본 발명은 내식성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판의 용접금속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테인리스 강판은 화학 성분이나 금속 조직에 따라 분류되며, 금속 조직에 따라 스테인리스 강판을 분류할 경우, 오스테나이트계, 페라이트계, 마르텐사이트계 등으로 분류된다.
이 중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판은 내식성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는데, 특히 크롬(Cr): 19중량% 이상, 몰리브덴(Mo): 6중량% 이상, 니켈(Ni): 17중량% 이상을 함유하는 슈퍼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S32050) 강판은 공식 저항지수가 매우 높아 내식성이 매우 우수하며, 이로 인해 발전소 복수기 튜브, 판형 열교환기 등의 소재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슈퍼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판의 용접에는 일반적으로, 별도의 용접 재료를 사용하지 않는 가스텅스텐아크용접(Gas Tungsten Arc Welding, GTAW), 레이저 용접(Laser Welding) 등의 제살용접과 용접 재료를 사용하는 가스메탈아크용접(Gas Metal Arc Welding, GMAW), 플럭스코어드아크용접(Flux Cored Arc Welding, FCAW), 서브머지드아크용접(Submerged Arc Welding, SAW) 등이 사용된다.
그런데, 이 중 제살용접에 의해 슈퍼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판을 용접할 경우, 용접에 의해 얻어진 용접금속부의 표면에 Cr 및 Mo의 금속간 화합물인 시그마(σ)상이 다량 형성되게 되며, 이로 인해 용접금속부는 용접 모재와 달리 내식성이 열위하게 나타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기존에는 제살 용접 후, 고온 및 장시간의 용접후 열처리를 통해 용접금속부의 표면에 형성된 시그마(σ)상 제거를 시도하였다. 그런데, 용접금속부의 표면에 형성된 시그마(σ)상의 분율이 지나치게 높을 경우 이러한 고온 및 장시간의 용접후 열처리에 의하더라도 시그마상의 오스테나이트 기지 내 재고용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으며, 시그마(σ)상의 분율이 크게 높지 않아 재고용이 가능하다고 하더라도, 제품 생산성 저하의 문제가 있을 뿐만 아니라, 용접후 열처리에 의해 오스테나이트 결정립이 조대화되어 용접금속부의 강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용접재료를 사용하는 GMAW, FCAW, SAW에 의해 용접을 할 경우, 용접 재료의 성분계를 제어하여 용접금속부의 표면에 형성되는 시그마상의 분율을 제어할 수 있으나, 이를 위해서는 고Ni계(약 60중량% 이상의 Ni 함유) 용접재료를 사용하여야 하는 바, 제조 단가가 높은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내식성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판의 용접금속부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크롬(Cr): 19중량% 이상, 몰리브덴(Mo): 6중량% 이상 및 니켈(Ni): 17중량% 이상을 포함하는 한쌍의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판을 맞대기 제살 용접하여 얻어진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판의 용접금속부에 있어서, 상기 용접금속부의 형상은 하기 식 1 및 2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판의 용접금속부를 제공한다.
[식 1]
Wbot>0
[식 2]
0.5*(Wtop+Wbot)/T≤1.5
(여기서, Wtop은 상면 비드 폭(mm), Wbot은 이면 비드 폭(mm), T는 강판의 두께(mm)를 의미함)
덧붙여, 상기한 과제의 해결 수단은, 본 발명의 특징을 모두 열거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다양한 특징과 그에 따른 장점 및 효과는 하기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판의 용접금속부는 내식성이 매우 우수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이미 부식이 발생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판 용접금속부의 표면을 관찰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용접금속부의 단면을 관찰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강판의 두께: 0.71mm)에 있어서, 평균 비드 폭에 따른 상면 비드 표면의 시그마(σ)상의 면적분율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강판의 두께: 0.71mm)에 있어서, 평균 비드 폭에 따른 무게 감소율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라 얻어진 용접금속부의 용접선을 기준으로 좌우 200㎛ 이내의 영역에서 상면 비드 표면을 관찰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2(강판의 두께: 1.2mm)에 있어서, 평균 비드 폭에 따른 상면 비드 표면의 시그마(σ)상의 면적분율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2(강판의 두께: 1.2mm)에 있어서, 평균 비드 폭에 따른 무게 감소율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은 이미 부식이 발생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판 용접금속부의 표면을 관찰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1에서 부식이 발생한 영역을 경계로, 섬 형상을 이루고 있는 영역은 Cr 및 Mo의 금속간 화합물인 시그마(σ)상에 해당하며, 그 이외의 영역은 오스테나이트 기지에 해당한다. 도 1을 참조할 때,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판의 용접금속부에서의 부식은, 시그마(σ)상과 오스테나이트 기지의 경계에서 발생함을 알 수 있으며, 이는 시그마(σ)상의 주변부는 Cr 농도가 낮아, 즉 Cr 결핍으로 인해 부식에 취약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판 용접금속부의 내식성 향상을 위해서는, 상기 용접금속부 표면에 형성된 시그마(σ)상의 분율을 최대한 저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용접금속부 표면에 형성된 시그마(σ)상의 분율을 저감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모재의 성분계를 변경하거나, 용접 조건을 변경하거나, 용접후 열처리를 실시하는 등 다양한 방법이 있겠으나, 본 발명자들은 용접금속부의 형상 제어를 통해 시그마(σ)상의 분율을 저감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측면인 내식성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판의 용접금속부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크롬(Cr): 19중량% 이상, 몰리브덴(Mo): 6중량% 이상 및 니켈(Ni): 17중량% 이상을 포함하는 한쌍의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판을 맞대기 제살 용접하여 얻어진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판의 용접금속부를 대상으로 한다. 다만, 상기 크롬, 몰리브덴 및 니켈의 함량이 상기의 함량보다 낮은 경우에도,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으며, 단지 상기 원소들은 시그마(σ)상의 형성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원소로써, 크롬, 몰리브덴 및 니켈의 함량이 상기와 같은 범위를 가질 경우, 용접금속부 표면에 과다한 시그마(σ)상의 형성에 의한 내식성 저하가 주로 문제가 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하한을 한정한 것 뿐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용접금속부의 단면을 관찰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2에서 비드의 폭이 넓은 부분을 상면 비드, 비드의 폭이 좁은 부분을 이면 비드로 정의한다. 또한, 상면 비드 폭(Wtop)이란, 용접금속부의 상면에서 용접금속부를 바라보았을 때, 용접금속부의 양 단부 간의 거리를 의미하며, 이면 비드 폭(Wbot)이란, 용접금속부의 이면에서 용접금속부를 바라보았을 때, 용접금속부의 양 단부 간의 거리를 의미한다. 즉, 용접금속부의 단차는 고려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용접금속부는, 그 형상이 하기 식 1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은 완전 용입이 일어난 용접금속부를 대상으로 하는 것이며, 만약, Wbot=0인 경우, 불완전 용입의 문제가 있다.
[식 1]
Wbot>0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용접금속부는, 그 형상이 하기 식 2를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자들은 모재의 성분계를 변경하거나, 별도의 용접후 열처리를 수행하지 않으면서도, 용접금속부 표면에 형성된 시그마(σ)상의 분율을 저감하기 위한 방안에 대해 깊이 연구하던 중, 용접금속부의 형상, 그 중에서도 강판의 두께(T)에 대한 용접금속부의 평균 비드 폭(0.5*(Wtop+Wbot))의 비를 1.5 이하로, 보다 바람직하게는 1.4 이하로,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3 이하로 제어할 경우, 용접금속부 표면의 시그마(σ)상의 분율을 현저히 저감할 수 있음을 알아내었다. 이는 용융금속의 부피 감소로 인해 용융금속의 응고시 편석이 감소하며, 냉각속도 증가로 인해 시그마상 형성되기 전 용융금속의 응고가 완료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식 2]
0.5*(Wtop+Wbot)/T≤1.5
한편, 상기와 같은 용접금속부의 형상은 다양한 방법에 의해 얻어질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그 방법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는다. 예컨대, 용접방법으로는 별도의 용접재료를 요하지 아니하는, 가스텅스텐아크용접(Gas Tungsten Arc Welding, GTAW), 레이저 용접(Laser Welding), 플라즈마 아크 용접(Plasma Arc Welding), 전자빔 용접(Electron Beam Welding, EBW)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으며, 만약 TIG 용접에 의해 용접금속부를 얻을 경우, 용접 전류, 용접 전압, 용접 전극과 시편 간의 거리, 용접 속도 등을 적절히 제어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형상을 가지는 용접금속부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조건들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용접금속부의 형상을 얻는 것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것으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용접금속부의 용접선을 기준으로 좌우 200㎛ 이내의 영역에서 상면 비드 표면의 시그마(σ)상의 면적분율이 2%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상면 비드 표면의 시그마(σ)상의 면적분율이 낮을수록 내식성 향상에 도움이 되므로, 그 하한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용접 모재로 사용하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판의 합금 성분 및 그 조성 범위에 대해서는 상기의 크롬 및 몰리브덴 함량의 하한 외에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다만 한가지 예를 든다면 상기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판은 중량%로, 탄소(C): 0.2% 이하(0% 제외), 실리콘(Si): 0.8% 이하(0% 제외), 망간(Mn): 1.0% 이하(0% 제외), 인(P): 0.03% 이하(0% 제외), 황(S): 0.003% 이하(0% 제외), 크롬(Cr): 19~27%, 니켈(Ni): 17~25%, 몰리브덴(No): 6.0~7.0%, 질소(N): 0.15~0.30%, 잔부 철(Fe) 및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는 것이 본 발명의 본지에 보다 부합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판의 용접금속부는 71℃의 10중량%의 FeCl3·6H2O 및 1중량%의 HCl을 함유하는 수용액에 24시간 동안 침지 후의 무게 감소량이 0.0016g/cm2 이하(0g/cm2 포함)로 내식성이 매우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러한 실시예의 기재는 본 발명의 실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이러한 실시예의 기재에 의하여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과 이로부터 합리적으로 유추되는 사항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 실시예 1)
중량%로, 23%의 Cr, 22%의 Ni 및 6%의 Mo를 포함하는 슈퍼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판(두께: 0.71mm)을 용접을 위한 용접 모재(총 14쌍)로 준비하였다. 이후, 상기의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판을 맞대기 제살 용접하여 총 14쌍의 시편을 얻었다. 이때, 모든 시편에 있어서 용접 방법은 GTAW로 동일하게 하였으며, 모든 시편은 식 1을 만족하였다. 다만, 용접 전류, 용접 전극과 시편 간의 거리, 용접 속도, 분위기 가스를 조절하여 평균 비드 폭을 서로 상이하게 제어하였다. 예를 들면, K=3.5인 시편은 용접 전류는 125A, 용접 전극과 시편 간의 거리는 1.5mm, 용접속도는 2mpm(meter per minute), 분위기가스는 3.5wt%N2+96.5wt%Ar의 조건으로 제어함으로써 확보할 수 있었다.
이후, 각각의 시편에 있어서, 용접금속부의 용접선을 기준으로 좌우 200㎛ 이내의 영역에서 상면 비드 표면의 시그마(σ)상의 면적분율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여기서, 시그마(σ)상의 면적분율은 SEM으로 촬영한 후, 이미지 분석 시스템(analysis)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도 3을 참조할 때, 식 2를 만족할 경우, 시그마(σ)상의 면적분율이 2% 이하로 억제됨을 확인할 수 있다.
이후, 내식성 평가를 위해, 각각의 시편을 길이 25mm, 폭 50mm, 두께 25mm의 크기로 절단하고(여기서, 길이는 용접선 방향을 의미함), 상기 절단된 시편을 71℃의 10중량%의 FeCl3·6H2O 및 1중량%의 HCl을 함유하는 수용액에 24시간 동안 침지 후의 무게 감소율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를 참조할 때, 식 2를 만족할 경우, 내식성이 매우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도 5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라 얻어진 용접금속부의 용접선을 기준으로 좌우 200㎛ 이내의 영역에서 상면 비드 표면을 관찰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5의 (a)는 식 2 값이 1.3인 경우이고, 도 5의 (b)는 식 2 값이 3.5인 경우에 해당한다.
( 실시예 2)
중량%로, 23%의 Cr, 22%의 Ni 및 6%의 Mo를 포함하는 슈퍼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판(두께: 1.2mm)을 용접을 위한 용접 모재(총 14쌍)로 준비하였다. 이후, 상기의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판을 맞대기 제살 용접하여 총 14쌍의 시편을 얻었다. 이때, 모든 시편에 있어서 용접 방법은 GTAW로 동일하게 하였으며, 모든 시편은 식 1을 만족하였다. 다만, 용접 전류, 용접 전극과 시편 간의 거리, 용접 속도, 분위기 가스를 조절하여 평균 비드 폭을 서로 상이하게 제어하였다.
이후, 각각의 시편에 있어서, 용접금속부의 용접선을 기준으로 좌우 200㎛ 이내의 영역에서 상면 비드 표면의 시그마(σ)상의 면적분율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6에 나타내었다. 여기서, 시그마(σ)상의 면적분율은 SEM으로 촬영한 후, 이미지 분석 시스템(analysis)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도 6을 참조할 때, 식 2를 만족할 경우, 시그마(σ)상의 면적분율이 2% 이하로 억제됨을 확인할 수 있다.
이후, 내식성 평가를 위해, 각각의 시편을 길이 25mm, 폭 50mm, 두께 25mm의 크기로 절단하고(여기서, 길이는 용접선 방향을 의미함), 상기 절단된 시편을 71℃의 10중량%의 FeCl3·6H2O 및 1중량%의 HCl을 함유하는 수용액에 24시간 동안 침지 후의 무게 감소량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7에 나타내었다. 도 7을 참조할 때, 식 2를 만족할 경우, 내식성이 매우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Claims (3)

  1. 크롬(Cr): 19~27중량%, 몰리브덴(Mo): 6~7중량%, 니켈(Ni): 17~25중량%, 잔부 철(Fe) 및 불가피한 불순물을 포함하는 한쌍의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판을 맞대기 제살 용접하여 얻어진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판의 용접금속부에 있어서,
    상기 용접금속부의 형상은 하기 식 1 및 2를 만족하고, 상기 용접금속부의 용접선을 기준으로 좌우 200㎛ 이내의 영역에서 상면 비드 표면의 시그마(σ)상의 면적분율이 2% 이하인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판의 용접금속부.
    [식 1]
    Wbot>0
    [식 2]
    0.5*(Wtop+Wbot)/T≤1.5
    (여기서, Wtop은 상면 비드 폭(mm), Wbot은 이면 비드 폭(mm), T는 강판의 두께(mm)를 의미함)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금속부는 71℃의 10중량%의 FeCl3·6H2O 및 1중량%의 HCl을 함유하는 수용액에 24시간 동안 침지 후의 무게 감소율이 0.0016g/cm2 이하(0g/cm2 포함)인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판의 용접금속부.
KR1020140188799A 2014-12-24 2014-12-24 내식성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판의 용접금속부 KR1016578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8799A KR101657831B1 (ko) 2014-12-24 2014-12-24 내식성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판의 용접금속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8799A KR101657831B1 (ko) 2014-12-24 2014-12-24 내식성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판의 용접금속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8727A KR20160078727A (ko) 2016-07-05
KR101657831B1 true KR101657831B1 (ko) 2016-09-20

Family

ID=565018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8799A KR101657831B1 (ko) 2014-12-24 2014-12-24 내식성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판의 용접금속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783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1647A (ko) 2019-02-20 2020-08-28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슈퍼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6108B1 (ko) * 2020-11-18 2021-11-16 주식회사 포스코 슈퍼 오스테나이트 스테인리스강의 용접이음부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55620A1 (ja) 2010-06-07 2011-12-15 新日本製鐵株式会社 超高強度溶接継手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2067337A (ja) 2010-09-21 2012-04-05 Nisshin Steel Co Ltd 核燃料保管ラック用ステンレス鋼角管およびその製造法並びにラック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54723B2 (ja) * 2012-04-25 2014-03-26 Jfeスチール株式会社 耐海水腐食性に優れたステンレスクラッド鋼板の合せ材及びそれを用いたステンレスクラッド鋼板並びに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55620A1 (ja) 2010-06-07 2011-12-15 新日本製鐵株式会社 超高強度溶接継手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2067337A (ja) 2010-09-21 2012-04-05 Nisshin Steel Co Ltd 核燃料保管ラック用ステンレス鋼角管およびその製造法並びにラック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Paulraj Sathiya 외 1명. Int. J. Adv. Manuf. Technol.(2011) 54:525-535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1647A (ko) 2019-02-20 2020-08-28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슈퍼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8727A (ko) 2016-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37205B1 (en) Wire for gas shield arc welding
KR20120024360A (ko) 플럭스 코어드 용접 와이어 및 이를 이용한 육성 용접의 아크 용접 방법
KR102272169B1 (ko) 간극부의 내염해성이 우수한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 강관, 관 단부 두께 증가 구조체, 용접 조인트, 및 용접 구조체
KR20180089310A (ko) 피복 아크 용접봉
KR20190134703A (ko) 아크 용접 방법 및 용접 와이어
JP4784239B2 (ja) ティグ溶接用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溶加棒
JP2006315080A (ja) 低温靱性と耐海水腐食性に優れた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製溶接構造物
KR101657831B1 (ko) 내식성이 우수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 강판의 용접금속부
JP6235402B2 (ja) 強度、靭性および耐sr割れ性に優れた溶接金属
CN113001057B (zh) 一种高强耐点蚀含氮奥氏体不锈钢药芯焊丝及制备方法
JP4584002B2 (ja) 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溶接用フラックス入りワイヤ
JP2017519638A (ja) メタルコアード溶接電極
EP2737972A1 (en) Welding material for weld cladding
WO2017154754A1 (ja) 溶接金属、および該溶接金属を含む溶接構造体
RU2595305C1 (ru) Сварочная проволока для сварки разнородных сталей
JP4696592B2 (ja) 鋼板のレーザ切断法
JP6065989B2 (ja) 鋼板の突合せ溶接方法および鋼板の突合せ溶接継手の製造方法
KR102499653B1 (ko) 용가재를 사용하여 용접함으로써 FeCrAl 합금을 FeNiCr 합금으로 접합시키는 방법
US20220402078A1 (en) Mig welding method
JP2007024609A (ja) 使用済燃料貯蔵ラックの製造方法
JP7403285B2 (ja) 二相ステンレス鋼の溶接継手及び二相ステンレス鋼の溶接方法
TWI703005B (zh) Tig焊接不鏽鋼鋼管的製造方法、tig焊接不鏽鋼鋼管及tig焊接不鏽鋼部件
KR102022448B1 (ko) 극저온 Ni 합금강용 Ni기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
US20240018635A1 (en) Use of a titanium-free nickel-chromium-iron-molybdenum alloy
JP2660708B2 (ja) ステンレス鋼ガスシールドアーク溶接用ワイ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