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7189B1 - 감전보호소자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장치 - Google Patents

감전보호소자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7189B1
KR101657189B1 KR1020160002090A KR20160002090A KR101657189B1 KR 101657189 B1 KR101657189 B1 KR 101657189B1 KR 1020160002090 A KR1020160002090 A KR 1020160002090A KR 20160002090 A KR20160002090 A KR 20160002090A KR 101657189 B1 KR101657189 B1 KR 1016571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 shock
shock protection
capacitor
pair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20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60603A (ko
Inventor
김동기
유준서
박규환
선귀남
류재수
이승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모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5173500&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657189(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모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모텍
Publication of KR201600606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06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71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71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OR LIGHT-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002Details
    • H01G4/018Dielectrics
    • H01G4/06Solid dielectrics
    • H01G4/08Inorganic dielectrics
    • H01G4/12Ceramic dielectric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OR LIGHT-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2/00Details of capacitor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1G4/00-H01G11/00
    • H01G2/14Protection against electric or thermal overloa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OR LIGHT-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30Stacked capaci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OR LIGHT-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35Feed-through capacitors or anti-noise capaci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07Casings
    • H05K9/0015Gaskets or seals
    • H05K9/0016Gaskets or seals having a spring contac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 H01L27/0203Particular design considerations for integrated circuits
    • H01L27/0248Particular design considerations for integrated circuits for electrical or thermal protection, e.g. electrostatic discharge [ESD] protection
    • H01L27/0251Particular design considerations for integrated circuits for electrical or thermal protection, e.g. electrostatic discharge [ESD] protection for MOS devices
    • H01L27/0288Particular design considerations for integrated circuits for electrical or thermal protection, e.g. electrostatic discharge [ESD] protection for MOS devices using passive elements as protective elements, e.g. resistors, capacitors, inductors, spark-gap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9/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limiting excess current or voltage without disconnection
    • H02H9/04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limiting excess current or voltage without disconnection responsive to excess voltage
    • H02H9/045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limiting excess current or voltage without disconnection responsive to excess voltage adapted to a particular application an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H02H9/046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limiting excess current or voltage without disconnection responsive to excess voltage adapted to a particular application and not provided for elsewhere responsive to excess voltage appearing at terminals of integrated circu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13Electrical arrang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1/0254High voltage adaptations; Electrical insulation details; Overvoltage or electrostatic discharge protection ; Arrangements for regulating voltages or for using plural voltages
    • H05K1/0257Overvoltage protection
    • H05K1/0259Electrostatic discharge [ESD] protection

Abstract

감전보호소자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감전보호소자는 전자장치의 인체 접촉가능 전도체와 내장 회로부 사이에 배치되며, 복수의 시트층이 적층된 소체; 상기 소체의 내부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된 적어도 한 쌍의 내부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전도체로부터 정전기 유입시 절연파괴되지 않고 상기 정전기를 통과시키며, 상기 회로부의 접지로부터 유입되는 외부전원의 누설전류를 차단하는 감전보호부; 및 상기 감전보호부의 양단과 병렬 접속되고, 상기 전도체로부터 유입되는 통신 신호를 통과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커패시터층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감전보호소자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장치{Circuit protection device and mobile electronic device with the same}
본 발명은 감전보호소자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원에 의한 누설전류로부터 사용자를 보호하고, 외부의 정전기로부터 내부회로를 보호하며, 통신 신호의 감쇄를 최소화하여 전달할 수 있는 감전보호소자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용 전자장치는 심미성과 견고함을 향상시키기 위해 메탈 재질의 하우징의 채택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이러한 메탈 재질의 하우징은 재질의 특성상 전기전도도가 우수하기 때문에, 특정 소자를 통하여 또는 부위에 따라 외장 하우징과 내장 회로부 사이에 전기적 경로가 형성될 수 있다. 특히, 메탈 하우징과 회로부가 루프를 형성함에 따라, 외부의 노출면적이 큰 메탈 하우징과 같은 전도체를 통하여 순간적으로 높은 전압을 갖는 정전기가 유입되는 경우, IC 등의 회로부를 파손시킬 수 있기 때문에 이 대한 대책이 요구되고 있다.
한편, 이와 같은 휴대용 전자장치는 통상적으로 충전기를 사용하여 배터리를 충전한다. 이와 같은 충전기는 외부의 AC 전원을 DC 전원으로 정류한 후, 다시 트랜스포머를 통하여 휴대용 전자장치에 적합한 낮은 DC 전원으로 변환한다. 여기서, 트랜스포머의 전기적 절연성을 강화시키기 위해 트랜스포머 양단에 커패시터로 구성된 Y-CAP을 구비한다.
그러나, 비정품 충전기 등과 같이, Y-CAP이 정규 특성을 갖지 못하는 경우에는 Y-CAP에 의해 DC 전원이 충분히 차단되지 못할 수 있고, 더욱이, AC 전원에 의해 누설전류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누설전류는 회로의 접지부를 따라 전파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누설전류는 휴대용 전자장치의 외장 케이스와 같이 인체가 접촉가능한 전도체에도 전달될 수 있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사용자에게 찌릿찌릿한 느낌의 불쾌감을 줄 수 있고, 심한 경우, 사용자가 감전에 의한 치명상을 입을 우려가 있다.
따라서, 메탈 케이스를 채용한 휴대폰 등과 같은 휴대용 전자장치는 이와 같은 누설 전류로부터 사용자를 보호하기 위한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한편, 이와 같이 메탈 재질의 하우징을 구비한 휴대용 전자장치는 다기능화에 따라 기능별로 복수의 안테나를 구비하며 그 중 적어도 일부는 내장형 안테나로서, 휴대용 전자장치의 외장 하우징에 배치되거나, 메탈 하우징 자체를 안테나로 사용하는 추세이다.
이와 같은 경우, 안테나와 휴대용 전자장치의 내부 회로가 연결되어야 하는데, 이때, 통신 신호를 감쇄없이 내부회로로 원활하게 전달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통신 신호의 효과적인 전달을 위해 해당 소자의 커패시턴스를 증가시키는 경우, 외부의 정전기에 의해 절연파괴되고, 따라서 해당 소자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상술한 바와 같이 외부전원에 의한 누설전류를 차단하기 위한 높은 항복전압의 구현과 통신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고용량 커패시턴스의 구현은 서로 상반되는 효과 때문에 달성이 곤란하다. 따라서, 정전기로부터의 보호, 누설전류의 차단과 동시에 높은 커패시턴스를 구현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KR 0573364 B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정전기나 외부전원에 의한 누설전류로부터 내부 회로 및/또는 사용자를 보호하고 통신 신호의 감쇄를 최소화하여 전달할 수 있는 감전보호소자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자장치의 인체 접촉가능 전도체와 내장 회로부 사이에 배치되는 감전보호소자가 제공된다. 상기 감전보호소자는 복수의 시트층이 적층된 소체; 상기 소체의 내부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된 적어도 한 쌍의 내부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전도체로부터 정전기 유입시 절연파괴되지 않고 상기 정전기를 통과시키며, 상기 회로부의 접지로부터 유입되는 외부전원의 누설전류를 차단하는 감전보호부; 및 상기 감전보호부의 양단과 병렬 접속되고, 상기 전도체로부터 유입되는 통신 신호를 통과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커패시터층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감전보호부는 하기의 식을 만족할 수 있다 :
Vbr > Vin
여기서, Vbr은 상기 감전보호부의 항복전압,
Vin은 상기 전자장치의 외부전원의 정격전압.
또한, 상기 정격전압은 국가별 표준 정격전압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전보호부와 상기 커패시터층은 하기의 식을 만족할 수 있다 :
Vcp > Vbr이고,
여기서, Vbr은 상기 감전보호부의 항복전압,
Vcp는 상기 커패시터층의 절연파괴 전압.
또한, 상기 통신 신호는 무선 통신 주파수 대역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전보호부는 상기 한 쌍의 내부전극 사이에 형성된 공극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패시터층과 상기 감전보호부 사이의 간격은 상기 감전보호부의 상기 한 쌍의 내부전극 사이의 간격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상기 커패시터층과 상기 감전보호부 사이의 간격은 15~100㎛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커패시터층의 커패시터 전극의 두께는 2~10㎛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커패시터층의 커패시터 전극 사이의 간격은 15~100㎛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소체는 유전율을 갖는 절연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시트층 중 적어도 일부는 제1세라믹재료로 이루어지며, 나머지 시트층은 제2세라믹재료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세라믹재료 및 상기 제2세라믹재료는 이종의 세라믹재료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세라믹재료는 금속계 산화 화합물이며, 상기 금속계 산화 화합물은 Er2O3, Dy2O3, Ho2O3, V2O5, CoO, MoO3, SnO2, BaTiO3, Nd2O3 중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라믹재료는 저온동시소성세라믹(LTCC) 또는 고온동시소성세라믹(HTCC)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세라믹재료는 페라이트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내부전극은 동일 평면상에 배치되거나 수직한 방향으로 대향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극은 폭이 상기 한 쌍의 내부전극 사이의 간격보다 크거나 같고, 높이가 상기 한 쌍의 내부전극의 두께보다 크거나 같을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극은 상기 내부전극을 중심으로 수직 또는 수평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극은 상기 한 쌍의 내부전극 사이에서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극은 내벽에 높이방향을 따라 일정 두께로 도포되는 방전물질층이 구비되거나, 또는 상기 공극은 방전물질층으로 채워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전물질층은 금속입자를 포함하는 비전도성 물질 또는 반도체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전물질층은 상기 공극의 내벽을 따라 도포되는 제1부분과 상기 제1부분의 상단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2부분 및 상기 제1부분의 하단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3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2부분은 상기 한 쌍의 내부전극 중 하나와 접촉되고, 상기 제3부분은 상기 한 쌍의 내부전극 중 다른 하나와 접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부전극은 Ag, Au, Pt, Pd, Ni, Cu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부전극은 다각형, 원형, 타원형, 나선형 또는 이들이 조합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부전극의 간격은 10-100㎛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부전극의 두께는 2-10㎛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극의 체적은 상기 감전보호소자의 총 체적 대비 1-15%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부전극의 정전기에 의한 방전 개시 전압은 1~15㎸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하면, 감전보호소자는, 복수의 시트층이 적층된 소체; 상기 소체의 내부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된 적어도 한 쌍의 내부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전도체로부터 정전기 유입시 절연파괴되지 않고 상기 정전기를 통과시키며, 상기 회로부의 접지로부터 유입되는 외부전원의 누설전류를 차단하는 감전보호부; 및 상기 전도체로부터 유입되는 통신 신호를 통과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커패시터층;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커패시터층과 상기 감전보호부 사이의 간격은 상기 감전보호부의 상기 한 쌍의 내부전극 사이의 간격 또는 상기 커패시터층의 커패시터 전극 사이의 간격보다 크고, 상기 한 쌍의 내부전극이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고, 상기 한 쌍의 내부전극의 대향하여 중첩되는 폭이 상기 커패시터 전극의 중첩되는 폭보다 작으며, 상기 한 쌍의 내부전극의 두께는 상기 커패시터 전극의 두께보다 작고, 상기 소체는 Ti, Zn, Ce, Nd, Bi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커패시터층은 상기 감전보호부의 상,하부 중 어느 한 쪽에 형성되거나 상,하부 모두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인체 접촉가능 전도체; 회로부; 및 상기 전도체와 상기 회로부 사이에 배치되는 상술한 바와 같은 감전보호소자를 포함하는 감전보호기능을 갖는 휴대용 전자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전도체는 상기 전자장치와 외부기기의 통신을 위한 안테나, 메탈 케이스, 및 도전성 장신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탈 케이스는 상기 전자장치의 하우징의 측부를 부분적으로 둘러싸거나 전체적으로 둘러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탈 케이스는 상기 전자장치의 하우징의 전면 또는 후면에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비되는 카메라를 둘러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전보호소자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장치에 의하면, 메탈 케이스와 같은 전도체가 외부로 노출되는 휴대용 전자장치에서 전도체와 회로부를 연결하는 감전보호소자를 구비함으로써, 외부전원에 의한 누설전류 및 정전기로부터 사용자 및 내부 회로를 보호하고 높은 커패시턴스를 구현하여 통신 신호의 감쇄를 최소화하여 전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전보호소자를 나타낸 전체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복수의 시트층의 적층관계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종단면도이다.
도 4a 내지 도 4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전보호소자의 적용예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전보호소자의 (a)누설전류 및 (b)정전기(ESD), 및 (c)통신 신호에 대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 등가회로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커패시턴스에 따른 통과 주파수 대역에 대한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태는 그래프이다.
도 7a 내지 도 7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전보호소자에서 내부전극의 다양한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a 내지 도 8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전보호소자에서 감전보호부와 커패시터층의 다양한 배치관계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9a 내지 도 9g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전보호소자에서 제1세라믹재료 및 제2세라믹재료의 다양한 배치관계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전보호소자에서 감전보호부의 다른 예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11a 내지 11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전보호소자에서 공극의 다양한 형태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12a 내지 도 12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전보호소자의 다른 예에서 감전보호부와 커패시터층의 다양한 배치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a 내지 도 13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전보호소자의 다른 예에서 내부전극의 다양한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전보호소자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15a 내지 도 1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전보호소자의 또 다른 예에서 공극의 다양한 형태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전보호소자(10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체, 감전보호부(110), 및 커패시터층(120a,120b)을 포함하며, 상기 감전보호부(110)는 써프레서일 수 있다.
상기 감전보호소자(100)는 전자장치의 인체 접촉가능 전도체와 내장 회로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전도체로부터 정전기 유입시 절연파괴되지 않고 상기 정전기를 통과시키며, 상기 회로부의 접지로부터 유입되는 외부전원의 누설전류를 차단하며, 상기 전도체로부터 유입되는 통신 신호를 통과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를 위해 하기의 조건을 만족할 수 있다 :
Vbr > Vin, Vcp > Vbr
여기서, Vbr은 상기 감전보호소자의 항복전압,
Vin은 상기 전자장치의 외부전원의 정격전압,
Vcp는 상기 커패시터층의 절연파괴 전압.
여기서, 상기 정격전압은 국가별 표준 정격전압일 수 있으며, 예를 들면, 240V, 110V, 220V, 120V, 110V, 및 100V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소체는 감전보호부(110) 및 커패시터층(120a,120b)을 구성할 수 있도록 일면에 전극(111a,112a,121a,122a,123a,115a,125a,126a,127a,128a)이 구비된 복수의 시트층(111,112,113,121,122,123,124,125,126,127,128)이 순차적으로 적층되고, 각각의 일면에 구비된 복수의 전극들이 서로 대향되도록 배치된 후 소성 또는 경화 공정을 통해 일체로 형성된다.
이러한 소체는 유전율을 갖는 절연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절연체는 세라믹재료, 저온 소결 세라믹(LTCC), 고온 소결 세라믹(HTCC) 및 자성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세라믹재료는 금속계 산화 화합물이며, 금속계 산화 화합물은 Er2O3, Dy2O3, Ho2O3, V2O5, CoO, MoO3, SnO2, BaTiO3, Nd2O3 중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내부전극(111a,112a)은 상기 소체의 내부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며, 적어도 한 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내부전극(111a) 및 제2내부전극(112a)은 소체의 양단에 구비되는 외부전극(131,132)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내부전극(111a,112a)은 Ag, Au, Pt, Pd, Ni, Cu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성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외부전극(131,132)은 Ag, Ni, Sn 성분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이러한 내부전극(111a,112a) 사이의 간격 및 서로 대향하는 면적 또는 서로 중첩되는 길이는 감전보호소자(100)의 항복전압(또는 트리거전압)(Vbr)을 만족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내부전극(111a,112a) 사이의 간격은 10~100㎛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내부전극(111a,112a) 사이의 간격은 25㎛일 수 있다.
여기서, 제1내부전극(111a)과 제2내부전극(112a) 사이의 간격이 10㎛ 미만이면, 정전기에 대한 내성이 취약해질 수 있다. 또한, 제1내부전극(111a)과 제2내부전극(112a) 사이의 간격이 100㎛를 초과하면, 방전 개시 전압(동작 전압)이 증가하여 정전기에 의한 원활한 방전이 이루어지지 않아 정전기에 대한 보호기능이 상실될 수 있다.
이때, 제1내부전극(111a)과 제2내부전극(112a)의 두께는 2-10㎛일 수 있다. 여기서, 제1내부전극(111a)과 제2내부전극(112a)의 두께가 2㎛미만이면, 내부전극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없고, 10㎛를 초과하면, 내부전극 사이의 거리 확보가 제한되고, 감전보호소자(100)의 부피가 증가하여 소형화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상기 내부전극(111a,112a)의 정전기에 의한 방전 개시 전압(동작 전압)은 1~15㎸일 수 있다. 여기서, 감전보호소자(100)의 방전 개시 전압이 1㎸이하이면, 정전기에 대한 내성의 확보가 곤란하고, 15㎸이상이면, 정전기를 통과시킬 수 없고, 따라서, 감전보호소자(100) 자체가 정전기에 의해 손상될 수 있다.
한편, 서로 대응되는 한 쌍의 전극(111a,112a) 사이에는 정전기를 방호하고 과전압으로부터 회로 보호 소자 및 주변 회로들을 보호하기 위한 방호시트층(113)이 배치된다.
이러한 방호시트층(113)은 상기 한 쌍의 내부전극(111a,112a) 사이에 중공형으로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의 공극형성부재(115)가 구비된다. 이를 위해, 방호시트층(113)은 공극형성부재(115)가 구비되는 위치에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소체는 상부면에 제1내부전극(111a)이 구비되는 제1시트층(111)과, 하부면에 제2내부전극(112a)이 구비되는 제2시트층(112)이 서로 적층되며, 상기 제1시트층(111) 및 제2시트층(112)의 사이에는 방호시트층(113)이 배치된다.
즉, 상기 제1내부전극(111a) 및 제2내부전극(112a)이 서로 마주할 수 있도록 제1시트층(111), 방호시트층(113) 및 제2시트층(112)을 순차적으로 적층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내부전극(111a) 및 제2내부전극(112a)은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된 후 상기 방호시트층(113)에 의해 서로 일정간격 이격배치되며, 상기 제1내부전극(111a) 및 제2내부전극(112a)은 일측이 상기 공극형성부재(115)와 각각 접촉된 상태로 배치된다.
한편, 상기 제1시트층(111)과 제2시트층(112)의 사이에 배치되는 방호시트층(113)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이 관통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관통홀은 상기 방호시트층(113)을 기준으로 상,하부에 각각 배치되는 제1내부전극(111a) 및 제2내부전극(112a)이 서로 겹쳐지는 영역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관통홀에는 공극형성부재(115)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공극형성부재(115)는 내부전극(111a,112a) 사이에 배치되며, 내벽에 높이방향을 따라 일정 두께로 도포되는 방전물질층(115a,115b,115c)을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공극형성부재(115)를 별도로 구비하지 않은 경우, 상기 관통홀의 내벽에는 높이방향을 따라 방전물질층이 일정두께로 도포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공극형성부재(115) 또는 그에 도포된 방전물질층은 상부단이 상기 제2내부전극(112a)과 접하고 하부단이 상기 제1내부전극(111a)과 각각 접하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공극형성부재(115)에 의해 한 쌍의 내부전극(111a,112a) 사이에 공극(126)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공극(126)에 의해 외부로부터 유입된 정전기는 내부전극(111a,112a) 사이에서 방전될 수 있다. 이때, 내부전극(111a,112a) 사이의 전기적 저항이 낮아지고, 감전보호소자(100) 양단의 전압차를 일정 값 이하로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감전보호소자(100)는 내부 파손 없이 정전기를 통과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방전물질층(115a,115b,115c)을 구성하는 방전물질층은 유전율이 낮고 전도도가 없으며, 과전압 인가시 쇼트(short)가 없어야 한다.
이를 위해, 상기 방전물질층은 적어도 한 종의 금속입자를 포함하는 비전도성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SiC 또는 실리콘 계열의 성분을 포함하는 반도체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더불어, 상기 방전물질층은 SiC, 카본, 그라파이트 및 ZnO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재료와, Ag, Pd, Pt, Au, Cu, Ni, W, Mo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재료를 소정의 비율로 혼합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일례로, 상기 제1내부전극(111a) 및 제2내부전극(112a)이 Ag 성분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방전물질층은 SiC-ZnO계의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SiC(Silicon carbide) 성분은 열적 안정성이 우수하고, 산화 분위기에서 안정성이 우수하며, 일정한 도전성과 도열성을 가지고 있으며, 낮은 유전율을 갖는다.
그리고, ZnO 성분은 우수한 비선형 저항특성 및 방전특성이 있다.
SiC와 ZnO는 각각 별도로 사용시 둘 다 전도성이 있으나, 서로 혼합 후 소성 진행하면 SiC 입자 표면에 ZnO가 결합됨으로써 절연층을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은 절연층은 SiC가 완전히 반응하여 SiC 입자 표면에 SiC-ZnO 반응층을 형성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절연층은 Ag 패스를 차단하여 방전물질에 한층 더 높은 절연성을 부여하고, 정전기에 대한 내성을 향상시켜 감전보호소자(100)를 전자부품에 장착시 DC 쇼트 현상을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방전물질의 일례로써 SiC-ZnO계의 성분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방전물질층은 상기 제1내부전극(111a) 및 제2내부전극(112a)을 구성하는 성분에 맞는 반도체 물질 또는 금속입자를 포함하는 비전도성 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공극형성부재(115)의 내벽에 도포되는 상기 방전물질층(115a,115b,115c)은 공극형성부재(115)의 내벽을 따라 도포되는 제1부분(115a)과 상기 제1부분(115a)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방호시트층(113)의 상부면을 따라 제1내부전극(111a)과 대향하여 접촉하도록 연장되는 제2부분(115b) 및 상기 제1부분(115a)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방호시트층(113)의 하부면을 따라 제2내부전극(112a)과 대향하여 접촉하도록 연장되는 제3부분(115c)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방전물질층(115a,115b,115c)은 상기 공극형성부재(115)의 내벽뿐만 아니라 상기 공극형성부재(115)의 상부단과 하부단으로부터 상기 제2부분(115c) 및 제3부분(115c)이 각각 연장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1내부전극(111a) 및 제2내부전극(112a)과의 접촉면적을 넓힐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방전물질층(115a,115b,115c)을 구성하는 성분의 일부가 정전기 스파크에 의해 기화됨에 따라 방전물질층(115a,115b,115c)의 일부가 손상되더라도 상기 방전물질층(115a,115b,115c)이 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정전기에 대한 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방호시트층(113)은 복수의 공극형성부재(115)가 구비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공극형성부재(115)의 개수가 증가되면, 정전기의 방전 경로가 증가됨으로써, 정전기에 대한 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1시트층(111) 및 제2시트층(112) 사이에 배치되는 방호시트층(113)은 상기 제1시트층(111) 및 제2시트층(112)과 동일한 면적을 갖도록 구비될 수도 있지만, 서로 대응되는 제1내부전극(111a) 및 제2내부전극(112a)이 겹쳐지는 면적을 포함하고 상기 제1시트층(111) 및 제2시트층(112)보다 좁은 면적을 갖도록 구비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상기 커패시터층(120a,120b)은 안테나와 같은 전도체(12)로부터 유입되는 통신 신호를 감쇄없이 통과시키기 위한 것으로, 감전보호부(110)와 전기적으로 병렬 접속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커패시터층(120a,120b)은 감전보호부(110)의 상부 및 하부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상부 및 하부 모두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커패시터층(120a,120b) 각각은 복수의 시트층이 적층된 것일 수 있다. 이때, 커패시터층(120a,120b)을 구성하는 복수개의 시트층은 유전율을 갖는 절연체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세라믹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세라믹 재료는 Er2O3, Dy2O3, Ho2O3, V2O5, CoO, MoO3, SnO2, BaTiO3, Nd2O3 중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금속계 산화 화합물로 이루어지거나, 페라이트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저온동시소성세라믹(LTCC) 또는 고온동시소성세라믹(HTCC)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세라믹 재료는 ZnO 계열의 바리스터 재료, 또는 Pr 및 Bi 계 재료 등이 사용될 수도 있으며, 금속계 산화 화합물로 언급한 Er2O3, Dy2O3, Ho2O3, V2O5, CoO, MoO3, SnO2, BaTiO3, Nd2O3은 일례로서 이해되어야 할 것이며 언급하지 않은 다른 종류의 금속계 산화 화합물 역시 사용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한편, 상기 커패시터층(120,120a)의 커패시터 전극은 Ag, Au, Pt, Pd, Ni, Cu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커패시터층(120a,120b)을 구성하는 복수의 커패시터 전극들은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커패시터 전극 사이의 간격(d1)이 15~100㎛의 범위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20㎛의 간격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도 11 참조).
여기서, 상기 커패시터 전극 사이의 간격이 15㎛ 미만이면, 무선 통신대역의 통신 신호를 감쇄없이 통과시키기에 충분한 커패시턴스를 확보하기 곤란하고, 100㎛를 초과하면, 커패시터 전극 사이의 거리확보가 제한되어 커패시터 전극을 포함하는 시트층의 적층 수가 제한되므로 고용량의 커패시터를 구현하는데 어려움이 따르기 때문이다.
이때, 상기 커패시터층(120a,120b)을 구성하는 각각의 커패시터 전극들의 두께는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커패시터 전극 사이의 간격보다 1/10 ~ 1/2의 크기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커패시터 전극 간의 간격이 20㎛인 경우, 상기 커패시터 전극의 두께는 2~10㎛의 범위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커패시터 전극의 두께가 2㎛이하이면, 전극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없고, 10㎛를 초과하면 커패시터 전극의 두께가 두꺼워져 정해진 크기에서 커패시터층을 구성하기 위한 커패시터 전극 사이의 거리확보가 제한되어 커패시터 전극을 포함하는 시트층의 적층 수가 제한되므로 고용량의 커패시터를 구현하는데 어려움이 따르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커패시터 전극들의 양단부 중 외부전극과 연결되지 않는 자유단부와 상기 외부전극(131,132)과의 최단거리(d2)가 적어도 15㎛의 거리를 갖도록 구비되며, 15~100㎛의 범위의 거리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도 11참조).
이와 같이, 감전보호소자(100)는 커패시터층(120a,120b)을 구비함으로써, 정전기를 통과시키고, 외부전원의 누설전류를 차단하는 기능과 아울러, 사용하고자 하는 목적에 따른 통신 대역에 적합한 커패시턴스를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다. 즉, 이와 같은 커패시터층(115a,115b)에 의해, 정전기에 대하여 내부 회로를 보호하기 위한 써프레서, 바리스터 또는 제너 다이오드와 함께 RF 수신감도를 높이기 위한 별도의 부품을 같이 사용하던 종래와는 달리, 하나의 감전보호소자(100)를 통해 정전기에 대한 보호는 물론 RF 수신감도를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은 감전보호소자(100)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전자장치(10)에서, 외장 메탈 케이스와 같은 전도체(12)와 회로부(14)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휴대용 전자장치(10)는 휴대가 가능하고 운반이 용이한 휴대용 전자기기의 형태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휴대용 전자장치는 스마트폰, 셀룰러폰 등과 같은 휴대단말기일 수 있으며, 스마트 워치, 디지털 카메라, DMB, 전자책, 넷북, 태블릿 PC, 휴대용 컴퓨터 등일 수 있다. 이러한 전자장치들은 외부기기와의 통신을 위한 안테나 구조들을 포함하는 임의의 적절한 전자 컴포넌트들을 구비할 수 있다. 더불어, 와이파이 및 블루투스와 같은 근거리 네트워크 통신을 사용하는 기기일 수 있다.
이와 같은 휴대용 전자장치(10)는 금속(알루미늄, 스테인리스 스틸 등)과 같은 도전성 재료들, 또는 탄소-섬유 합성 재료 또는 기타 섬유 계열 합성물들, 유리, 세라믹, 플라스틱 및 이들을 조합한 재료로 이루어진 외부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휴대용 전자장치(10)의 하우징은 금속으로 이루어지고 외부로 노출되는 전도체(1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도체(12)는 상기 전자장치와 외부기기의 통신을 위한 안테나, 메탈 케이스, 및 도전성 장신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메탈 케이스는 상기 휴대용 전자장치(10)의 하우징의 측부를 부분적으로 둘러싸거나 전체적으로 둘러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탈 케이스는 상기 전자장치의 하우징의 전면 또는 후면에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비되는 카메라를 둘러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감전보호소자(100)는 누설전류 및 정전기로부터 내부의 회로를 보호하기 위해 휴대용 전자장치(10)의 인체 접촉가능한 전도체(12)와 회로부(14)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감전방지소자(100)는 상기 휴대용 전자장치(10)의 하우징에 구비되는 메탈 케이스의 개수에 맞춰 적절하게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상기 메탈 케이스가 복수개로 구비되는 경우 각각의 메탈 케이스(12a,12b,12c,12d)는 모두 감전방지소자(100)가 개별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휴대용 전자장치(10)의 하우징에 내장될 수 있다.
즉,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휴대용 전자장치(10)의 하우징의 측부를 둘러싸는 메탈 케이스와 같은 전도체(12)가 세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각각의 전도체(12a,12b,12c,12d)는 모두 감전방지소자(100)와 연결됨으로써 누설전류 및 정전기로부터 상기 휴대용 전자장치(10) 내부의 회로를 보호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감전방지소자(100)는 복수의 메탈 케이스(12a,12b,12c,12d)가 구비되는 경우 상기 메탈 케이스(12a,12b,12c,12d)의 해당 역할에 맞게 다양한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휴대용 전자장치(10)의 하우징에 외부로 노출되는 카메라가 구비되는 경우 상기 카메라를 둘러싸는 전도체(12d)에 상기 감전방지소자(100)가 적용되는 경우, 상기 감전방지소자(100)는 누설전류를 차단하고 정전기로부터 내부회로를 방호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탈 케이스(12b)가 그라운드 역할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감전방지소자(100)는 상기 메탈 케이스(12b)와 연결되어 누설전류를 차단하고 정전기로부터 내부회로를 보호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전보호소자(100)는 메탈 케이스(12')와 회로기판(14')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감전보호소자(100)는 정전기를 자체 파손 없이 통과시키기 위한 것이기 때문에, 회로기판(14')은 정전기를 접지로 바이패스하기 위한 별도의 보호소자(16)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보호소자(16)는 써프레서 또는 바리스터일 수 있다.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전보호소자(100)는 메탈 케이스(12')와 FFM(front End Module)(14a) 사이에서 정합회로(예를 들면, R 및 L 성분)를 통하여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메탈 케이스(12')는 안테나일 수 있다. 이때, 감전보호소자(100)는 통신 신호를 감쇄없이 통과시키는 동시에 메탈 케이스(12')로부터의 정전기를 통과시키고, 정합회로를 통하여 접지로부터 유입되는 누설전류를 차단시키기 위한 것이다.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전보호소자(100)는 안테나가 구비된 메탈 케이스(12')와 해당 안테나를 통한 통신 기능을 구현하는 IC(14c)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해당 통신 기능은 NFC 통신일 수 있다. 이때, 감전보호소자(100)는 정전기를 자체 파손 없이 통과시키기 위한 것이기 때문에, 정전기를 접지로 바이패스하기 위한 별도의 보호소자(16)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보호소자(16)는 써프레서 또는 바리스터일 수 있다.
도 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전보호소자(100)는 PIFA(Planar Inverted F Antenna) 안테나(20)의 쇼트 핀(short pin)(22)과 매칭회로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감전보호소자(100)는 통신 신호를 감쇄없이 통과시키는 동시에 메탈 케이스(12')로부터의 정전기를 통과시키고, 정합회로를 통하여 접지로부터 유입되는 누설전류를 차단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감전보호소자(100)는, 도 5a 내지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전원에 의한 누설전류, 및 전도체(12)로부터 유입되는 정전기에 따라 상이한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즉,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로부(14)의 회로기판, 예를 들면, 접지를 통하여 외부전원의 누설전류가 전도체(12)로 유입되는 경우, 감전보호소자(100)는 그 항복전압(Vbr)이 누설전류에 의한 과전압에 비하여 크기 때문에, 오픈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즉, 감전보호소자(100)는 그의 항복전압(Vbr)이 휴대용 전자장치의 외부전원의 정격전압보다 크기 때문에, 전기적으로 도통되지 않고 오픈 상태를 유지하여 메탈 케이스 등과 같은 인체접촉 가능한 전도체(12)로 누설전류가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이때, 감전보호소자(100) 내에 구비된 커패시터층(120a,120b)은 누설전류에 포함된 DC 성분을 차단할 수 있고, 누설 전류가 무선통신 대역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주파수를 갖기 때문에, 해당 주파수에 대하여 큰 임피던스로 작용함으로써 누설전류를 차단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감전보호소자(100)는 회로부(14)의 접지로부터 유입되는 외부전원에 누설전류를 차단하여 사용자를 감전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도체(12)를 통하여 외부로부터 정전기가 유입되면, 감전보호소자(100)는 써프레서와 같은 정전기 보호 소자로서 기능한다. 즉, 감전보호소자(100)는 정전기 방전을 위한 써프레서의 동작 전압(방전 개시 전압)이 정전기의 순간 전압보다 작기 때문에, 순간 방전에 의해 정전기를 통과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 감전보호소자(100)는 전도체(12)로부터 정전기 유입시 전기적 저항이 낮아져 자체가 절연파괴되지 않고 정전기를 통과시킬 수 있다.
이때, 감전보호소자(100) 내에 구비된 커패시터층(120a,120b)은 그 절연파괴 전압(Vcp)이 감전보호부(110)의 항복전압(Vbr)보다 크기 때문에, 정전기는 커패시터층(120a,120b)으로 유입되지 않고, 감전보호부(110)로만 통과될 수 있다.
여기서, 회로부(14)는 정전기를 접지로 바이패스하기 위한 별도의 보호소자를 구비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감전보호소자(100)는 전도체(12)로부터 유입되는 정전기에 의해 절연파괴되지 않고 정전기를 통과시켜, 후단의 내부 회로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도체(12)를 통하여 통신 신호가 유입되는 경우, 감전보호소자(100)는 커패시터로서 기능한다. 즉, 감전보호소자(100)는 감전보호부(110)가 오픈 상태로 유지되어 전도체(12)와 회로부(14)를 차단하지만, 내부의 커패시터층(120a,120b)이 유입된 통신 신호를 통과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감전보호소자(100)의 커패시터층(120a,120b)은 통신 신호의 유입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커패시터층(120a,120b)의 커패시턴스는 주요 무선 통신 대역의 통신 신호를 감쇄없이 통과시킬 수 있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패시턴스에 따른 통과 주파수 대역을 시뮬레이션한 결과에 따르면, 5㎊ 이상의 커패시턴스에 대하여 모바일 무선 통신 주파수 대역(700㎒ 내지 2.6㎓)에서 실질적으로 거의 손실 없이 전달되어 전기적으로 쇼트 현상을 나타낸다.
그러나,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세한 영향을 살펴보면, 대략 30㎊ 이상의 커패시턴스에서 통신시 수신감도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음을 알 수 있고, 따라서, 상기 커패시터층의 커패시턴스는 모바일 무선 통신 주파수 대역에서는 30㎊ 이상의 높은 커패시턴스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과적으로, 감전보호소자(100)는 상기 커패시터층(120a,120b)의 높은 커패시턴스에 의해 전도체(12)로부터 유입되는 통신 신호를 감쇄없이 통과시킬 수 있다.
이하, 도 7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감전보호소자의 다양한 구현예를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감전보호소자(100)는 상기 소체에서 내부전극을 구성하는 상기 제1내부전극(111a) 및 제2내부전극(112a)은 다양한 형상 및 패턴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1내부전극(111a)과 제2내부전극(112a)은 동일한 패턴으로 구비될 수도 있고 서로 다른 패턴을 갖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일례로,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길이를 갖는 바형상의 제1내부전극(111a)의 양단부 측에 한 쌍의 제2내부전극(112a)의 단부가 서로 겹쳐지도록 구비되고, 내벽에 방전물질층이 도포된 공극형성부재(115)가 겹쳐지는 영역에 한 개가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내부전극(111a) 및 제2내부전극(112a)이 대략 'Y'자 형상으로 구비되어 2부분이 서로 겹쳐지도록 구비되고 서로 겹쳐지는 부분에 내벽에 방전물질층이 도포된 공극형성부재(115)가 하나씩 겹쳐지는 영역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더불어,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내부전극(111a)은 일정길이를 갖는 바형상으로 2개로 구비되고 제2내부전극(112a)은 대략 'Y'자 형상으로 2개로 구비되어 4부분이 서로 겹쳐지도록 배치되며, 내벽에 방전물질층이 도포된 공극형성부재(115)가 서로 겹쳐지는 4부분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내부전극(111a) 및 제2내부전극(112a)은 각각 일정길이를 갖는 바형상으로 구비되고 서로 겹쳐지는 영역에 내벽에 방전물질층이 도포된 두 개의 공극형성부재(115)가 일정간격 이격배치될 수도 있다.
더불어, 도 7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내부전극(111a)은 일정길이를 갖는 하나의 바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2내부전극(112a)은 일정길이를 갖는 두 개의 바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1내부전극(111a)의 양 단부측에 일부가 겹쳐지도록 배치되고, 상기 겹쳐지는 영역에 두 개씩의 방전물질층이 도포된 공극형성부재(115)가 배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1내부전극(111a) 및 제2내부전극(112a)이 다양한 형상과 패턴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적층시 상기 제1내부전극(111a)과 제2내부전극(112a)의 일부가 서로 겹쳐지도록 배치되면 무방함을 밝혀둔다.
다른 실시예로서, 도 8a 내지 도 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전보호소자(100)는 상기 감전보호소자(100) 및 상기 커패시터층(120a,120b)이 다양한 방식으로 적층될 수 있다.
즉,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패시터층(120a)은 감전보호부(110)의 상부측에만 적층될 수 있으며,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전보호부(110)의 하부측에만 적층될 수도 있다.
더불어, 상기 감전보호부(110)는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의 감전보호부(110) 사이에 각각의 커패시터층(120a,120b)이 배치될 수도 있으며, 도 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커패시터층(120a,120b)이 감전보호부(110)를 기준으로 대칭적으로 배열되고, 상기 감전보호부(110)에 복수의 공극형성부재(115)가 구비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감전보호소자(100)는 복수의 커패시터층이 상기 감전보호부(110)를 기준으로 대칭적으로 구비될 수도 있고, 비대칭적으로 구비될 수도 있으며, 복수의 커패시터층 사이에 복수의 감전보호부(110)가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이와 같이, 상기 감전보호소자(100)를 구성하기 위한 커패시터층(120a,120b) 및 감전보호부(110)의 개수는 제한되지 않으며 원하는 정전용량에 따라 다양한 개수로 구비될 수 있으며, 감전보호부(110) 및 커패시터층(120a,120b)의 적층관계 역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다른 실시예로서, 도 9a 내지 도 9g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전보호소자(100')는 상기 소체를 이루는 복수의 시트층이 이종의 세라믹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커패시터층(120a,120b)을 구성하는 복수의 시트층 중 적어도 하나의 시트층은 제1세라믹재료(A)를 사용하고, 나머지 시트층은 제2세라믹재료(B)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제1세라믹재료 및 제2세라믹재료는 이종의 세라믹재료일 수 있다. 여기서, '이종'의 의미는 화학식이 서로 상이하거나 화학식이 서로 동일하더라도 물성이 서로 상의함을 의미한다.
즉, 제1세라믹재료 및 제2세라믹재료는 Er2O3, Dy2O3, Ho2O3, V2O5, CoO, MoO3, SnO2, BaTiO3, Nd2O3 중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금속계 산화 화합물로 이루어지거나, 페라이트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저온동시소성세라믹(LTCC), 고온동시소성세라믹(HTCC)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더불어, 제1세라믹재료는 Er2O3, Dy2O3, Ho2O3, V2O5, CoO, MoO3, SnO2, BaTiO3, Nd2O3 중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금속계 산화 화합물로 이루어지고, 제2세라믹재료는 페라이트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제1세라믹재료는 저온동시소성세라믹(LTCC)으로 이루어지고 제2세라믹재료는 고온동시소성세라믹(HTCC)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제1세라믹재료 및 제2세라믹재료는 Er2O3, Dy2O3, Ho2O3, V2O5, CoO, MoO3, SnO2, BaTiO3, Nd2O3 중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금속계 산화 화합물 중 각각 택일된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페라이트 중 각각 선택된 하나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즉, 제1세라믹재료 및 제2세라믹재료는 금속계 산화 화합물, 페라이트, 저온동시소성세라믹(LTCC) 및 고온동시소성세라믹(HTCC) 중에서 상호 조합된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이종의 세라믹 재료는 소성 또는 경화를 통해 상호 접합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감전보호소자(100')에서 이종의 세라믹재료로 이루어지는 커패시터층(120a,120b)은 이종의 제1세라믹재료 및 제2세라믹재료가 감전보호부(110)를 기준으로 다양한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전보호부(110)의 상/하에 접합되는 커패시터층(120a,120b)은 제1세라믹재료(A)로 이루어지고, 감전보호소자(100')의 최상층 및 최하층에 위치한 커패시터층(120a,120b)은 제2세라믹재료(B)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의 편의상 제2세라믹재료가 이종의 재료인 것으로 정의하기로 한다.
도 9a 내지 도 9g에 제1세라믹재료와 제2세라믹재료의 다양한 배치 관계가 도시되어 있다. 빗금치지 않은 부분(A)은 시트가 제1세라믹재료로 이루어진 것을 의미하며, 도면에서 빗금친 부분(B)은 시트가 제2세라믹재료로 이루어진 것을 의미한다. 즉, 9a 내지 도 9g에서 도면부호 A 및 B는 시트의 재료를 지칭함을 밝혀둔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커패시터층(120a,120b)을 구성하는 복수개의 시트층 전체가 제1세라믹재료(A) 또는 제2세라믹재료(B) 중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커패시터층(120a,120b)을 구성하는 복수의 시트층 중 일부 시트층은 제1세라믹 재료(A)로 이루어지고, 커패시터층(120a,120b)을 구성하는 복수의 시트층 중 나머지 시트층은 이종의 제2세라믹재료(B)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감전보호부(110) 및 커패시터층(120a,120b)의 사이에는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중간시트층(141,142)이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중간시트층(141,142)은 상기 커패시터층(120a,120b)과 동일한 제2세라믹재료(B)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중간시트층(141,142)은 별도의 시트층으로 구비될 수도 있지만, 상기 커패시터층(120a,120b)의 최하층 또는 최상층에 배치되는 시트층의 두께가 다른 시트층보다 상대적으로 더 큰 두께를 갖도록 구비되는 형태일 수도 있다.
또한,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패시터층(120a,120b)은 이종의 세라믹 재료인 제1세라믹재료(A)로 이루어지고, 상기 방호시트층(119)은 제2세라믹재료(B)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감전보호부(110) 및 커패시터층(120a,120b)의 사이에는 도 9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중간시트층(141,142)이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중간시트층(141,142)은 상기 방호시트층(119)과 동일한 제2세라믹재료(B)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중간시트층(141,142)은 별도의 시트로 구비될 수도 있지만, 상기 커패시터층(120a,120b)의 최하층 또는 최상층에 배치되는 시트의 두께가 다른 시트보다 상대적으로 더 큰 두께를 갖도록 구비되는 형태일 수도 있다.
도 9e 및 도 9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패시터층(120a,120b)을 구성하는 복수의 시트층 중 일부 시트층은 이종의 재료인 제1세라믹재료(A)로 이루어지고, 상기 커패시터층(120a,120b)을 구성하는 복수의 시트층 중 나머지 시트층과 방호시트층(119)은 제2세라믹재료(B)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더불어, 도 9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감전보호부(110) 및 커패시터층(120a,120b)은 제2세라믹 재료(B)로 이루어지고, 상기 감전보호부(110) 및 커패시터층(120a,120b)의 사이에는 이종의 재료인 제1세라믹 재료(A)로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의 중간시트층(141,142)이 배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전보호소자(100')는 제1세라믹재료(A)와 제2세라믹재료(B)를 각각 선택하고 이종의 세라믹 재료인 제1세라믹재료(A)를 적절한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고유전율의 재료로 커패시터층(120a, 120b)을 구성하여 원하는 특성을 구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요구되는 특성에 맞게 특성변화를 자유롭게 구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9c 내지 도 9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소체를 구성하는 방호시트층(119)은 제2세라믹 재료로 이루어지고, 나머지 부분 중 일부 또는 전부가 이종의 세라믹 재료인 제1세라믹 재료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제1세라믹 재료는 상기 방호시트층(119)을 기준으로 상,하 방향으로 대칭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이종재료인 제1세라믹 재료와 제2세라믹 재료의 접합에 따른 각 재료들의 매칭성을 고려하여, 균일한 수축률 및 구조적인 안정성을 도모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구조적인 안정성을 통해 감전보호소자의 신뢰성을 개선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면에는 이종의 재료인 제1세라믹 재료가 상기 방호시트층(119)을 기준으로 대칭적으로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방호시트층(119)을 기준으로 비대칭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더불어, 이종의 재료인 제1세라믹 재료가 상기 커패시터층(120a,120b)에 부분적으로 사용되는 경우 바리스터 원료 등과 같은 내성을 위주로 하는 제품 및 용량의 세분화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이종의 재료인 상기 제1세라믹 재료는 요구되는 특성 및 용량에 따라 상기 소체의 전체 두께 대비 적절한 두께로 사용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다른 실시예로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감전보호소자는 별도의 공극형성부재를 이용하지 않고, 내부전극(111a,111b) 사이에 방전물질층(145)이 배치될 수 있다.
즉, 이러한 감전보호부(110)는 방호시트층(112)의 상,하부에 한 쌍의 내부전극(111a,111b) 중 적어도 일부가 서로 중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한 쌍의 내부전극(111a,111b) 사이에 방전물질층(145)이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내부전극(111a,111b)은 상기 방호시트층(112)의 상,하부면에 직접 구비될 수도 있지만, 상기 방호시트층(112)의 상,하부에 적층되는 시트에 구비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예를 들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내부전극(111a,111b)은 일부가 서로 중첩되도록 배치되며, 제1내부전극(111a)과 제2내부전극(111b)의 중첩되는 공극 사이에 내부가 채워진 방전물질층(145)이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제1내부전극(111a)과 제2내부전극(111b)은 상기 방호시트층(112)을 통해 상,하로 일정간격 이격되고 제1내부전극(111a)과 제2내부전극(111b)의 일부가 서로 간격을 가지고 중첩되게 배치된 형상이며, 상기 제1내부전극(111a) 및 제2내부전극(111b)이 서로 중첩된 영역에 방전물질층(155)이 배치된다.
다른 실시예로서, 도 11a 내지 도 1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전보호소자(100")는 별도의 공극형성부재를 이용하지 않고, 내부전극(111a,112a) 사이에 공극(154)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공극(154)의 측벽은 방전물질층(155)을 구비할 수 있다.
즉, 감전보호소자(100")는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내부전극(111a,112a) 사이에 방호시트층(113)이 배치되고, 상기 방호시트층(113)을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154)을 갖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관통홀(154)은 상기 방호시트층(113)을 기준으로 상,하부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내부전극(111a)(112a)이 서로 겹쳐지는 영역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감전보호소자(100")는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면에 제1내부전극(111a)이 구비되는 제1시트층(111)과, 상부면에 제2내부전극(112a)이 구비되는 제2시트층(112)이 서로 적층되며, 상기 제1시트층(111) 및 제2시트층(112)의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154)을 갖는 방호시트층(113)이 배치된다.
상기 제1내부전극(111a) 및 제2내부전극(112a)이 서로 마주할 수 있도록 제1시트층(111), 방호시트층(113) 및 제2시트층(112)을 순차적으로 적층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내부전극(111a) 및 제2내부전극(112a)은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된 후 상기 방호시트층(113)에 의해 서로 일정간격 이격배치되며, 서로 대향하는 중첩영역에 상기 관통홀(154)이 배치된다.
이때, 상기 제1내부전극(111a) 및 제2내부전극(112a)의 중첩영역에 배치되는 관통홀(154)은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한 쌍의 외부전극(131,132)이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소체의 상부면과 하부면을 일부 덮도록 상부단과 하부단으로부터 수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대략 'ㄷ'자 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구비되는 경우 복수의 시트층 중 최상층 및 최하층에 구비되는 내부전극과 외부전극 중 수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과의 간격(d3)은 적어도 15㎛의 거리를 갖도록 구비되며, 15~100㎛의 범위의 거리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감전보호소자(100")는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전보호부(110)와 커패시터층(120a,120b)이 서로 다른 전극 간격 및 전극 폭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서로 대향하여 배치된 한 쌍의 내부전극(111a,112a) 사이의 간격(d4)은 커패시터 전극(121a,122a,123a,124a,125a,126a,127a,128a) 사이의 간격(d1)과 동일할 수 있다.
이때, 감전보호부(110)와 커패시터층(120a,120b) 사이의 간격(d5)은 한 쌍의 내부전극(111a,112a) 사이의 간격(d4)보다 클 수 있다.
즉, 상기 한 쌍의 내부전극(111a,112a)을 따라 흐르는 정전기 또는 누설전류가 인접한 커패시터 전극으로 누설되지 않도록 내부전극(111a,112a)과 충분한 간격을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커패시터층(120a,120b)과 상기 감전보호부(110) 사이의 거리는 15~100㎛일 수 있으며, 상기 한 쌍의 내부전극(111a,112a) 사이의 간격보다 2배이상 큰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상기 한 쌍의 내부전극(111a,112a) 사이의 간격이 10㎛인 경우, 상기 커패시터층(120a,120b)과 상기 감전보호부(110) 사이의 거리는 20㎛ 이상일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내부전극(111a,112a)이 서로 중첩되는 폭(w1)은 커패시터 전극이 서로 중첩되는 폭(w2)보다 작다. 여기서, 한 쌍의 내부전극(111a,112a)의 두께는 커패시터 전극의 두께(t)보다 작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소체는 Ti, Zn, Ce, Nd, Bi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한 쌍의 내부전극(111a,112a) 사이에 형성된 공극에 방전물질층이 도포되는 경우, 상기 방전물질층은 Ti, Ni, Zn, Co, Tc, Zr, La, Nd, P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감전보호부(110)는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홀(154)의 내벽에 높이방향을 따라 일정 두께로 도포되는 방전물질층(155)이 구비될 수도 있으며, 도 1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진재(156)가 채워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감전보호소자(100")는 상기 커패시터층(120a,120b)이 상기 감전보호부(110)를 중심으로 다양한 방식으로 적층될 수 있다.
즉, 상기 커패시터층(120a,120b)은 복수의 시트층(121,122,123,124,125,126)이 적층되어 구성되고,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감전보호부(110)의 상부측에만 적층될 수 있으며,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감전보호부(110)의 하부측에만 적층될 수도 있다.
더불어, 도 1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감전보호부(110)가 서로 다른 층에 복수개로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감전보호부(110) 사이에 각각의 커패시터층(120a,120b)이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도 1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전보호부(110)가 동일한 시트층에 복수의 관통홀(154)을 갖는 형태로 구비되고, 단층의 시트로 이루어진 커패시터층(121,125)이 감전보호부(110)의 상,하부에 대칭적으로 배열될 수도 있다.
상기 감전보호소자(100")는 상기 소체에서 내부전극을 구성하는 상기 제1내부전극(111a) 및 제2내부전극(112a)은 다양한 형상 및 패턴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1내부전극(111a)과 제2내부전극(112a)은 동일한 패턴으로 구비될 수도 있고 서로 다른 패턴을 갖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일례로,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길이를 갖는 바형상의 제2내부전극(112a)의 상부 측에 한 쌍의 제1내부전극(111a)의 단부가 서로 겹쳐지도록 구비되고, 상기 관통홀(154)이 겹쳐지는 영역에 한 개가 배치될 수도 있고,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내부전극(111a) 및 제2내부전극(112a)이 대략 'Y'자 형상으로 구비되어 2부분이 서로 겹쳐지도록 구비되고, 서로 겹쳐지는 부분에 상기 관통홀(154)이 하나씩 겹쳐지는 영역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더불어, 도 1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내부전극(112a)은 일정길이를 갖는 바형상으로 2개로 구비되고, 제1내부전극(111a)은 대략 'Y'자 형상으로 2개로 구비되어 4부분이 서로 겹쳐지도록 배치되며, 상기 관통홀(154)이 서로 겹쳐지는 4부분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도 1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내부전극(111a) 및 제2내부전극(112a)은 각각 일정길이를 갖는 바형상으로 구비되고 서로 겹쳐지는 영역에 관통홀(154)이 일정간격 이격배치될 수도 있다.
더불어, 도 13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내부전극(112a)은 일정길이를 갖는 하나의 바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1내부전극(111a)은 일정길이를 갖는 두 개의 바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2내부전극(112a)의 양 단부측에 일부가 겹쳐지도록 배치되고, 상기 겹쳐지는 영역에 두 개씩의 관통홀(154)이 배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1내부전극(111a) 및 제2내부전극(112a)은 다양한 형상과 패턴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적층시 상기 제1내부전극(111a)과 제2내부전극(112a)의 일부가 서로 겹쳐지도록 배치되면 무방함을 밝혀둔다.
다른 실시예로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전보호소자(200)는 일정 간격 이격되어 수평으로 배치된 한 쌍의 내부전극(114a,114b)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적어도 한 쌍의 시트층(111,112)의 내부에는 내부전극(114a,114b)이 공극을 형성하도록 서로 이격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한 쌍의 내부전극(114a,114b)은 동일 평면상에서 평행한 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배치된다.
여기서, 한 쌍의 내부전극(114a,114b) 사이에는 공극(164)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공극(164)은 한 쌍의 내부전극(114a,114b)의 높이보다 큰 높이로 형성될 수 있고, 한 쌍의 내부전극(114a,114b)의 간격보다 큰 너비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공극(164)의 체적이 확장되면, 정전기에 의한 방전시 내부전극(114a,114b)으로부터 미세한 파티클이 발생하더라도 내부전극(114a,114b) 사이의 공간이 넓기 때문에 파티클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결함의 발생률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공극은 정전기 유입시 한 쌍의 내부전극(114a,114b)에 의해 방전이 개시되는 공간으로서, 상기 공극의 체적은 정전기에 대한 내성을 만족하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상기 공극의 체적은 상기 감전보호소자(100)의 총 체적 대비 1-15% 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공극의 체적이 감전보호소자(200)의 총 체적 대비 1%미만이면, 한 쌍의 내부전극(214a,214b) 사이의 쇼트가 발생할 수 있고, 정전기에 대한 내성이 악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극의 체적이 감전보호소자(200)의 총 체적 대비 15%를 초과하면, 감전보호소자(200)의 전체 부피가 증가하고, 기계적 강도가 낮아지며, 소성시 변형에 의해 뒤틀림이나 함몰이 발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한 쌍의 내부전극(114a,114b)은 상기 제1시트층(111)의 상부면에 간극을 형성하도록 상호 이격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내부전극(114a,114b) 사이의 간극은 10~100㎛일 수 있다. 이와 같은 한 쌍의 내부전극(114a,114b)은 상기 제1시트층(111)의 상부면에 패턴인쇄된다.
이때, 서로 대응되는 한 쌍의 내부전극(114a,114b) 사이에는 정전기를 방호하고 과전압으로부터 회로 보호 소자 및 주변 회로들을 보호하고 누설전류를 차단하기 위한 공극(164)이 구비된다.
이러한 공극(164)은 동일 평면상에 서로 평행하게 배열되는 상기 한 쌍의 내부전극(114a,114b) 사이에 배치되며 공기가 채워질 수 있도록 중공형으로 구비되며, 상기 공극(164)의 개방된 상부측에 상기 제2시트층(112)이 적층된다.
이와 같은 공극(164)은 복수개로 구비되어 상기 내부전극(114a,114b)의 폭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공극(164)의 개수가 증가되면, 정전기의 방전 경로가 증가됨으로써, 정전기에 대한 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공극(164)은 상기 제1시트층(111)의 상부면으로부터 상기 내부전극(114a,114b)의 상부단까지의 높이를 초과하는 높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극(164)은 내부전극(114a,114b)의 전체높이보다 초과하는 높이를 갖도록 구비됨으로써 전체적인 공극(164)의 체적이 확대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정전기의 방전시 상기 내부전극(114a,114b)으로부터 미세한 파티클이 발생하더라도 넓은 공간을 갖는 공극(164)을 통해 파티클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결함의 발생률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공극(164)은 서로 이격배치되는 한 쌍의 내부전극(114a,114b)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 상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공극(164)은 한 쌍의 내부전극(114a,114b)의 폭과 동일한 폭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공극(164)은 한 쌍의 내부전극(114a,114b)의 두께보다 크게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공극(164)은 상기 한 쌍의 내부전극(114a,114b) 사이에 공극재가 패턴인쇄된 후 소결과정에서 가해지는 열에 의해 상기 공극재가 제거됨으로써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공극재는 제1시트층(111) 및 제2시트층(112)을 적층한 후 소체를 형성하기 위하여 압착하는 과정에서 상기 공극(164)이 압력에 의해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이를 위해, 상기 공극재는 고온의 열에 의해 분해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짐으로써 복수의 시트층을 적층한 후 소성하는 과정에서 제거될 수 있도록 한다. 일례로, 상기 공극재는 200~2000℃ 사이의 온도범위에서 분해되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한 쌍의 내부전극(114a,114b)은 다양한 형상 및 패턴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서로 동일한 패턴으로 구비될 수도 있고, 서로 다른 패턴을 갖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서로 대향 배치되는 내부전극(114a,114b)은 다각형, 원형, 타원형, 나선형 및 이들이 조합된 다양한 형상 및 패턴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서로 대향되는 내부전극들은 서로 동일한 패턴 및 형상으로 구비될 수도 있고, 다른 패턴 및 형상을 갖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한 쌍의 내부전극(114a,114b)은 직사각형의 단면을 갖는 바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고, 단부가 사각단면의 모서리를 갖는 대략 'Y'자 형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내부전극(114a,114b)은 단부가 호의 형상을 갖는 바형상으로 구비될 수도 있으며, 단부가 호의 형상을 갖는 대략 'Y'자 형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 전극의 단면을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술한 4개의 형태가 상호 조합된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으며, 서로 마주하는 단부가 원형, 다각형, 파형 및 이들을 조합한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한편, 상기 한 쌍의 내부전극(114a,114b)이 서로 마주하는 단부 사이에는 일정간격 이격되는 간극이 형성되고, 상기 간극의 중심으로 그 부근에 상기 공극(164)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공극(164)의 내벽에는 상기 내부전극(114a,114b)의 높이방향을 따라 일정 두께로 도포되는 방전물질층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방전물질층은 상기 공극(164)의 내벽에만 구비될 수도 있지만, 상기 공극(164)의 개방된 상부를 덮도록 도포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즉, 상기 방전물질층은 상기 공극(164)의 내벽뿐만 아니라 상기 공극(164)의 개방된 상부단을 연결하여 연장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소체를 구성하는 제1시트층(111) 및 제2시트층(112)은 제1시트층(111)의 상부에 제2시트층(112)이 직접 적층될 수도 있지만, 상기 제1시트층(111)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한 쌍의 내부전극(114a,114b) 및 공극(164)의 높이에 해당하는 별도의 버퍼층이 적층될 수도 있다. 이러한 버퍼층은 내부전극(114a,114b)의 높이 및 공극(164)의 높이에 해당하는 높이편차를 없애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도 15a 내지 도 1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감전보호소자(200',200",200"')는 상기 방호시트층(211)의 동일면 상에 한 쌍의 내부전극(211a,211b)이 간극을 형성하도록 서로 이격 배치되며, 상기 한 쌍의 내부전극 사이에 형성되는 공극에 관통홀(164)을 갖는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즉, 상기 관통홀(164)은 동일 평면상에 서로 평행하게 배열되는 한 쌍의 내부전극(211a,211b) 사이에 배치되며 공기가 채워질 수 있도록 중공형으로 구비된다.
한편, 상기 감전보호부(210)를 구성하는 제1내부전극(211a) 및 제2내부전극(211b)이 방호시트층(211)의 동일면상에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경우, 상기 제1내부전극(211a) 및 제2내부전극(211b) 역시 다양한 형상과 패턴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즉, 감전보호소자(200")는 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감전보호부(210)가 관통홀(164)의 내벽에 높이방향을 따라 일정 두께로 도포되는 방전물질층(165)이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감전보호소자(200'")는 1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감전보호부(210)의 관통홀(164)에 충진재(166)가 채워질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감전보호소자는 사용하고자 하는 목적에 대응하는 무선 통신 대역의 통신 신호에 적합한 커패시턴스를 다양하게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 : 휴대용 전자장치 12a,12b,12c,12d : 전도체
14 : 회로부
100,100',100", 200,200',200",200'" : 감전보호소자
111,112,121,122,123,124,125,126,127,128: 시트층
111a,112a,114a,114b : 내부전극 131,132 : 외부전극
115 : 공극형성부재 115a,115b,115c,155,165 : 방전물질층
116,164 : 공극 154,164 : 관통홀

Claims (35)

  1. 전자장치의 인체 접촉가능 전도체와 내장회로부 사이에 배치되는 감전보호소자로서,
    복수의 시트층이 적층된 소체;
    상기 소체의 내부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된 적어도 한 쌍의 내부전극을 포함하며, 일단은 상기 인체 접촉 가능 전도체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내장회로부와 연결되어, 상기 전도체로부터 정전기 유입시 절연파괴되지 않고 상기 정전기를 통과시키며, 상기 내장회로부의 접지로부터 유입되는 외부전원의 누설전류를 차단하는 감전보호부; 및
    상기 감전보호부와 병렬 접속되고, 상기 전도체로부터 유입되는 통신신호를 통과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커패시터층을 포함하는 감전보호소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전보호부는 하기의 식을 만족하는 감전보호소자.
    Vbr > Vin
    여기서, Vbr은 상기 감전보호부의 항복전압,
    Vin은 상기 전자장치의 외부전원의 정격전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전보호부와 상기 커패시터층은 하기의 식을 만족하는 감전보호소자.
    Vcp > Vbr 이고,
    여기서, Vbr은 상기 감전보호부의 항복전압,
    Vcp는 상기 커패시터층의 절연파괴 전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감전보호부와 상기 커패시터층은 하기의 식을 만족하는 감전보호소자.
    Vcp > Vbr이고,
    여기서, Vbr은 상기 감전보호부의 항복전압,
    Vcp는 상기 커패시터층의 절연파괴 전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전보호부는 상기 한 쌍의 내부전극 사이에 형성된 공극을 더 포함하는 감전보호소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패시터층과 상기 감전보호부 사이의 간격은 상기 감전보호부의 상기 한 쌍의 내부전극 사이의 간격보다 큰 감전보호소자.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패시터층과 상기 감전보호부 사이의 간격은 15~100㎛인 감전보호소자.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패시터층의 커패시터 전극의 두께는 2~10㎛인 감전보호소자.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패시터층의 커패시터 전극 사이의 간격은 15~100㎛인 감전보호소자.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시트층 중 적어도 일부는 제1세라믹재료로 이루어지며, 나머지 시트층은 제2세라믹재료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세라믹재료 및 상기 제2세라믹재료는 이종의 세라믹재료이며,
    상기 세라믹재료는 Er2O3, Dy2O3, Ho2O3, V2O5, CoO, MoO3, SnO2, BaTiO3, Nd2O3 중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금속계 산화 화합물이거나,
    저온동시소성세라믹(LTCC) 또는 고온동시소성세라믹(HTCC) 또는 페라이트인 감전보호소자.
  1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공극은 폭이 상기 한 쌍의 내부전극 사이의 간격보다 크거나 같고, 높이가 상기 한 쌍의 내부전극의 두께보다 크거나 같은 감전보호소자.
  12.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공극은 내벽에 일정 두께로 도포되는 방전물질층이 구비되거나, 또는 상기 공극은 방전물질층으로 채워지는 감전보호소자.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전극은 Ag, Au, Pt, Pd, Ni, Cu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성분을 포함하는 감전보호소자.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전극의 간격은 10-100㎛인 감전보호소자.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전극의 두께는 2-10㎛인 감전보호소자.
  1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공극의 체적은 상기 감전보호소자의 총 체적 대비 1-15%인 감전보호소자.
  17. 전자장치의 인체 접촉가능 전도체와 내장회로부 사이에 배치되는 감전보호소자로서,
    소체의 내부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된 적어도 한 쌍의 내부전극과, 상기 한 쌍의 상기 내부전극의 사이에 배치되는 방전물질층을 포함하여, 일단은 상기 인체 접촉 가능 전도체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내장회로부와 연결되며, 상기 전도체로부터 정전기 유입시 절연파괴되지 않고 상기 정전기를 통과시키며, 상기 내장회로부의 접지로부터 유입되는 외부전원의 누설전류를 차단하는 감전보호부; 및
    소체의 내부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 개의 커패시터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감전보호부의 양단에 병렬 접속되고, 상기 전도체로부터 유입되는 통신 신호를 통과시키는 한 쌍의 커패시터층을 포함하며,
    상기 감전보호부는 상기 한 쌍의 커패시터층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커패시터층과 상기 감전보호부 사이의 간격인, 가장 인접한 상기 내부전극과 상기 커패시터 전극 사이의 간격은 15~100㎛이고,
    상기 한 쌍의 내부전극 사이의 간격은 10~100㎛이고,
    상기 내부전극의 두께는 2~10㎛이고,
    상기 커패시터 전극의 두께는 2~10㎛인 감전보호소자.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물질층은 상기 한 쌍의 내부전극 사이에 마련되는 공극에 배치되는 감전보호소자.
  19. 인체 접촉가능 전도체;
    회로부; 및
    상기 전도체와 상기 회로부 사이에 배치되는 청구항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감전보호소자를 포함하는 감전보호기능을 갖는 휴대용 전자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체는 상기 전자장치와 외부기기의 통신을 위한 안테나, 메탈 케이스 및 도전성 장신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감전보호기능을 갖는 휴대용 전자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메탈 케이스는 상기 전자장치의 하우징의 측부를 부분적으로 둘러싸거나 전체적으로 둘러싸도록 구비되는 감전보호기능을 갖는 휴대용 전자장치.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메탈 케이스는 상기 전자장치의 하우징의 전면 또는 후면에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비되는 카메라를 둘러싸도록 구비되는 감전보호기능을 갖는 휴대용 전자장치.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KR1020160002090A 2014-11-20 2016-01-07 감전보호소자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장치 KR1016571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62858 2014-11-20
KR1020140162858 2014-11-20
KR1020150069286 2015-05-18
KR20150069286 2015-05-18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4273A Division KR101585619B1 (ko) 2014-11-20 2015-07-01 감전보호소자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4186A Division KR20160108282A (ko) 2014-11-20 2016-09-06 감전보호소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0603A KR20160060603A (ko) 2016-05-30
KR101657189B1 true KR101657189B1 (ko) 2016-09-19

Family

ID=55173500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4273A KR101585619B1 (ko) 2014-11-20 2015-07-01 감전보호소자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장치
KR1020160002090A KR101657189B1 (ko) 2014-11-20 2016-01-07 감전보호소자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장치
KR1020160114186A KR20160108282A (ko) 2014-11-20 2016-09-06 감전보호소자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4273A KR101585619B1 (ko) 2014-11-20 2015-07-01 감전보호소자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4186A KR20160108282A (ko) 2014-11-20 2016-09-06 감전보호소자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9703326B2 (ko)
KR (3) KR101585619B1 (ko)
CN (1) CN105375458B (ko)
WO (1) WO201608062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8794B1 (ko) * 2015-05-07 2018-01-18 주식회사 모다이노칩 적층체 소자
KR101808796B1 (ko) * 2016-02-05 2017-12-13 주식회사 모다이노칩 적층형 소자
KR20170135146A (ko) * 2016-05-30 2017-12-08 주식회사 모다이노칩 감전 방지 컨택터
KR20170139373A (ko) * 2016-06-09 2017-12-19 조인셋 주식회사 평판형 소자 및 이를 구비한 복합 기능 소자
KR101760877B1 (ko) * 2016-07-27 2017-07-24 주식회사 모다이노칩 복합 소자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KR101789243B1 (ko) * 2016-10-07 2017-11-20 주식회사 모다이노칩 복합 보호 소자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US10999916B2 (en) * 2016-11-04 2021-05-04 Amotech Co., Ltd. Functional contactor for an electronic device
KR101828991B1 (ko) * 2016-12-06 2018-03-29 주식회사 모다이노칩 복합 보호 소자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US10504655B2 (en) * 2016-12-22 2019-12-10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Composite electronic component and board having the same
WO2018124492A1 (ko) * 2016-12-29 2018-07-05 주식회사 모다이노칩 복합 소자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KR102073726B1 (ko) * 2016-12-29 2020-02-05 주식회사 모다이노칩 복합 소자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KR101872633B1 (ko) 2017-01-09 2018-06-28 삼성전기주식회사 공통 모드 필터
CZ307422B6 (cs) * 2017-03-15 2018-08-08 Saltek S.R.O. Omezovač napětí s přepěťovou ochranou
CN110520951B (zh) * 2017-03-29 2022-01-25 阿莫技术有限公司 触电保护元件、其制造方法及具备其的便携式电子装置
MX2020008622A (es) 2018-03-05 2021-01-15 Kyocera Avx Components Corp Varistor en cascada con mejores capacidades de manejo de energia.
KR102501186B1 (ko) * 2018-04-03 2023-02-20 엘에스일렉트릭(주) 무효전력보상장치, 방전시스템 및 방전시스템의 방전 동작 방법
CN110189878A (zh) * 2018-04-11 2019-08-30 谭乔文 一种电涌保护器mov芯片及其制备方法
KR102053356B1 (ko) * 2018-06-08 2019-12-06 주식회사 모다이노칩 복합 소자의 제조 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복합 소자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CN108925024A (zh) * 2018-06-15 2018-11-30 上海思致汽车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陶瓷基印刷电路板的静电防护器件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57781A (ja) * 2002-03-05 2003-09-12 Murata Mfg Co Ltd 放電機能付き積層セラミックコンデンサ
JP2010146779A (ja) * 2008-12-17 2010-07-01 Panasonic Corp 過電圧保護部品
KR101012965B1 (ko) * 2008-10-20 2011-02-08 주식회사 아모텍 복합소자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62035A (en) * 1994-10-07 1999-01-19 Maxwell Energy Products, Inc. Multi-electrode double layer capacitor having single electrolyte seal and aluminum-impregnated carbon cloth electrodes
WO2003030386A1 (de) 2001-09-28 2003-04-10 Epcos Ag Schaltungsanordnung, schaltmodul mit der schaltungsanordnung und verwendung des schaltmoduls
KR100630187B1 (ko) 2005-05-27 2006-10-02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감전 보호 장치
KR100573364B1 (ko) 2005-06-11 2006-04-26 주식회사 이노칩테크놀로지 칩형 써지 어레스터 및 이의 제조 방법
CN1942042A (zh) * 2005-09-26 2007-04-04 佳邦科技股份有限公司 电子电路的保护元件
KR100813195B1 (ko) * 2006-04-20 2008-03-13 주식회사 이노칩테크놀로지 정전기 보호 소자
KR20080044551A (ko) 2006-11-16 2008-05-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KR101326653B1 (ko) 2007-01-17 2013-11-08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US8069083B2 (en) * 2007-08-08 2011-11-29 Yahoo! Inc. Pay-per-action system for selling advertisements
TW200952301A (en) * 2008-06-02 2009-12-16 Inpaq Technology Co Ltd Electro-static discharge protection device with low temperature co-fire ceramic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WO2011112867A1 (en) * 2010-03-10 2011-09-15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Dep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The use of fenoterol and fenoterol analogues in the treatment of glioblastomas and astrocytomas
CN106384667B (zh) * 2010-08-18 2018-09-28 太阳诱电株式会社 叠层型陶瓷电子零件
EP2626961B1 (en) * 2010-09-30 2019-12-18 TDK Corporation Static-electricity countermeasure element
CN103270656B (zh) * 2010-12-27 2015-04-01 株式会社村田制作所 Esd保护装置及其制造方法
US8724284B2 (en) * 2011-05-25 2014-05-13 Tdk Corporation Electrostatic protection componen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57781A (ja) * 2002-03-05 2003-09-12 Murata Mfg Co Ltd 放電機能付き積層セラミックコンデンサ
KR101012965B1 (ko) * 2008-10-20 2011-02-08 주식회사 아모텍 복합소자
JP2010146779A (ja) * 2008-12-17 2010-07-01 Panasonic Corp 過電圧保護部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703326B2 (en) 2017-07-11
US20160149397A1 (en) 2016-05-26
CN105375458B (zh) 2018-07-31
WO2016080625A1 (ko) 2016-05-26
CN105375458A (zh) 2016-03-02
KR20160108282A (ko) 2016-09-19
KR101585619B1 (ko) 2016-01-15
US10635138B2 (en) 2020-04-28
US20170262024A1 (en) 2017-09-14
KR20160060603A (ko) 2016-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7189B1 (ko) 감전보호소자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장치
KR101927142B1 (ko) 감전보호소자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장치
CN108598755B (zh) 触电保护用电流接触器及具有其的便携式电子装置
KR102108900B1 (ko) 감전보호소자
KR101578544B1 (ko) 감전보호소자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장치
KR20170060846A (ko) 감전 보호용 컨택터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 장치
KR101969020B1 (ko) 감전보호소자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장치
KR101608224B1 (ko) 감전보호소자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장치
KR101727079B1 (ko) 감전보호소자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장치
KR101808021B1 (ko) 감전보호소자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장치
KR20170047718A (ko) 감전보호소자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장치
KR102119512B1 (ko) 감전보호소자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용 전자장치
KR20170046488A (ko) 감전보호소자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장치
KR20170063199A (ko) 감전보호소자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장치
KR20170069036A (ko) 감전보호용 컨택터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 장치
KR20170047730A (ko) 감전보호소자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장치
KR20170055873A (ko) 감전보호소자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장치
KR20170047726A (ko) 감전보호소자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장치
KR20170046480A (ko) 감전보호소자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장치
KR20170046485A (ko) 감전보호소자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장치
KR20170055874A (ko) 감전보호소자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장치
KR20170060848A (ko) 감전 보호용 컨택터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 장치
KR20170060878A (ko) 감전 보호용 컨택터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 장치
KR20170063178A (ko) 감전보호소자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장치
KR20170051084A (ko) 감전보호소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