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44551A - 이동통신 단말기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44551A
KR20080044551A KR1020060113528A KR20060113528A KR20080044551A KR 20080044551 A KR20080044551 A KR 20080044551A KR 1020060113528 A KR1020060113528 A KR 1020060113528A KR 20060113528 A KR20060113528 A KR 20060113528A KR 20080044551 A KR20080044551 A KR 200800445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nd
circuit board
grounds
opening
clos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35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성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135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44551A/ko
Priority to US11/843,460 priority patent/US8000738B2/en
Priority to EP07016554.3A priority patent/EP2079223A3/en
Priority to CN2007101658973A priority patent/CN101183880B/zh
Publication of KR200800445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45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33Hand-held transceivers
    • H04B1/3838Arrangements for reducing RF exposure to the user, e.g. by changing the shape of the transceiver while in u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3Arrangements for mounting batteries or battery charg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제1 그라운드가 형성되는 회로기판; 상기 회로기판이 배치되는 내부 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내부 공간을 한정하는 내면에는 안테나가 접지되는 제2 그라운드가 형성된 도전성의 하우징; 및 상기 제1 및 제2 그라운드를 연결하도록 형성되어, 인가되는 전압/전류의 변화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제1 및 제2 그라운드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개폐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무선 통신 성능을 향상시키면서도 전류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제2 하우징의 내부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폐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요부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도전 부재의 양단부가 제1 및 제2 그라운드들을 연결하는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제1 하우징 130: 배터리
140: 충전단자 200: 제2 하우징
210: 상부 하우징 220: 하부 하우징
230: 회로 기판 240: 디스플레이 모듈
300: 그라운드 310,510: 제1 그라운드
320: 제2 그라운드 400,600: 개폐 유닛
410: 제1 도전판 420: 제2 도전판
610: 제1 축전기 620:제2 축전기
630: 도전 부재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무선 주파수를 송수신하여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단말기에는 무선 통신을 위한 통신 모듈과 디스플레이 모듈 등의 전자부품들이 구비되고, 그들은 제어부(인쇄회로기판)에 의해 전기적으로 제어된다. 일반적인 전자부품들의 전기적 제어를 위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에는 배터리 또는 충전기에 의해 직류의 전원이 공급된다.
통신 모듈을 구성하는 안테나에는 수신되는 전자기파가 교류 전류의 형태로 변환되어 흐르게 된다. 송신의 경우에는 반대의 변환이 일어난다. 교류 전류의 안정적인 흐름을 위하여, 안테나는 단말기의 외관을 구성하는 하우징의 내면에 형성된 그라운드 및 인쇄회로기판 등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최근에는 상기 하우징은 플라스틱 사출물에서 금속 등의 도전성 물질로 바뀌어 가고 있다. 따라서, 교류 전류의 안정적인 흐름을 위한 상기와 같은 그라운드 연결이 직류 전류의 흐름의 통로가 되어, 직류 전류가 금속 재질의 하우징을 통해 누설되기도 한다.
누설된 전류는 사용자의 일정 신체 부위, 특히 사용자의 안면에 전기적 자극을 주게 된다. 금속성 하우징 사용시에 하우징을 표면을 도색하는 등으로 누설 전 류를 차단하려고 하지만, 그러한 도색이 벗겨지는 등의 경우에는 위와 같은 문제를 피할 수 없게 된다.
또한, 충전기를 통하여 단말기에 장착된 배터리를 충전하면서 통화를 시도하는 경우에는 사용자는 누설 전류의 영향을 더 많이 받게 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무선 주파수 송수신을 원활히 하기 위해 필요한 그라운드를 충분히 확보하면서도 연결된 그라운드를 통해 전류가 누설되어 사용자에게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제1 그라운드가 형성되는 회로기판; 상기 회로기판이 배치되는 내부 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내부 공간을 한정하는 내면에는 안테나가 접지되는 제2 그라운드가 형성된 도전성의 하우징; 및 상기 제1 및 제2 그라운드를 연결하도록 형성되어, 인가되는 전압/전류의 변화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제1 및 제2 그라운드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개폐 유닛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무선 통신 기능을 기본으로 하여 제작된 단말기뿐만 아니라, 기본 기능(무선 통신과 직접 관련없는 기능)에 부가적으로 통신 기능을 부가시킨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등도 이동통신 단말기에 포함되는 것으로 본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도면에는 제1 하우징(100)과 제2 하우징(200)이 힌지부(160)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가 개시되어 있다. 제1 하우징(100)의 전면에는 입력 유닛이 배치되고, 제2 하우징(200)의 전면에는 출력유닛이 배치된다.
입력 유닛은 숫자나, 문자 등의 정보 및 소리를 단말기(인쇄회로기판)에 입력하기 위한 유닛이다. 구체적으로, 입력 유닛은 사용자가 손가락 등을 이용하여 조작 가능한 조작유닛(110)과, 사용자 등의 소리를 입력받는 마이크로폰(120)을 포함한다. 조작 유닛(11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키버튼(111)을 누름 조작 시 제1 하우징(100) 내부에 배치된 돔 스위치(미도시)가 눌려져서 인쇄회로기판(미도시)이 통전됨에 따라 신호가 발생 되는 방식 등으로 구현된다.
출력 유닛은 사용자의 조작이나 인쇄회로기판에 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해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일정한 정보를 출력시키기 위한 유닛이다. 출력유닛은, 구체적으로, 윈도우(211)을 통해 시각 정보를 출력시키는 디스플레이 모듈(240, 도 2)과, 청각 정보를 출력시키는 스피커(250)를 포함한다.
배터리(130)는 제1 하우징(100)의 배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인쇄회로기판과 디스플레이 모듈(240) 등의 전자부품들에 직류 전원을 공급한다. 충전 단자(140)는 충전기(미도시)에 의해 가정이나 사무실 등의 전원에 연결되어, 배터 리(130) 및 상기 전자부품들에 직류 전원이 공급되게 하는 통로가 된다.
안테나(150)는 제1 하우징(150)의 일 측에 돌출 형성되고, 인쇄회로기판(보다 구체적으로는 그에 장착된 통신 모듈)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안테나(150)에는 송수신되는 신호가 교류 전류의 형태로 흐르고, 그러한 신호는 대기 중에서 전자기파의 형태로 전환된다.
도 2는 도 1의 제2 하우징(200)의 내부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본 도면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2 하우징(200)은 상부 하우징(210)과 하부 하우징(220)이 결합된 형태를 취한다. 이들(210 및 220)에 의해 형성된 내부 공간에는 회로기판(230)이 배치된다. 회로기판(230)은 제1 하우징(100)에 내장된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회로기판(230)에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모듈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 모듈(240)이 장착되고, 그에서 출력되는 시각 정보는 윈도우(211)를 통해 외부에서 인지된다.
그라운드(300)는 회로기판(230)에 형성되는 제1 그라운드(310)와, 상부 하우징(210)에 형성되는 제2 그라운드(320)를 포함한다. 제2 그라운드(320)에는 안테나(150, 도 1)가 접지된다.
제1 및 제2 그라운드(310 및 320)의 연결은 개폐 유닛(400)에 의해 이루어진다.
개폐 유닛(400)은 제1 그라운드(310)에 결합되는 제1 도전판(410)과, 제2 그라운드(320)에 결합되는 제2 도전판(420), 그리고 이들 도전판들(410 및 420) 사이에 케이싱(440)에 의해 절연된 채로 배치되는 유전체(dielectric substance, 430) 를 포함한다. 이는 개폐 유닛(400)이 직류의 전류는 흐르지 않으나 교류의 전류는 흐르는 축전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게 됨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서, 개폐 유닛(400)은 인가되는 전압/전류의 변화에 따라(직류인지 교류인지에 따라) 선택적으로 제1 및 제2 그라운드들(310 및 320)을 통전하게 되는 것이다.
도전판들(410 및 420)은 도전성을 가지는 금속으로서,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됨이 회로기판(230) 등과의 결합을 위해 바람직하다. 또한, 도전판들(410 및 420)은 회로기판(230) 등에 본딩(bonding) 등에 의해 결합 된다.
이러한 개폐 유닛(400)을 구비함에 따라, 안테나(150)에 흐르는 교류 전류는 제1 그라운드(310)에서 개폐 유닛(400)을 거쳐 제2 그라운드(320)로 흐르게 된다. 개폐 유닛(400)의 유전체(430)가 분극되어 교류 전류를 통전시키기 때문이다.
이러한 통전은 안테나(150)의 접지가 제1 및 제2 그라운드(310 및 320)들 간의 전기적 연결에 의해 보다 강화됨을 의미한다. 그 결과로, 안테나(150)의 무선 주파수 송수신 특성은 제2 그라운드(320)에만 안테나(150)가 접지되는 경우보다 개선되게 된다.
제1 및 제2 그라운드(310 및 320)를 개폐 유닛(400)이 연결하나, 직류 전류에 대해서까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은 아니다. 그에 따라, 회로기판(230)에 흐르는 직류 전류는 제1 그라운드(310)를 따라 흐를 수는 있으나, 개폐 유닛(400)을 거쳐 제2 그라운드(320)로 흐를 수는 없다. 개폐 유닛(400)의 유전체(430)는 직류 전류에 대해서 지속적으로 분극되지 않아서, 직류 전류의 흐름을 차단하기 때문이다.
제2 그라운드(320)에 직류 전류가 인가되지 않음에 따라, 그러한 직류 전류는 상부 하우징(210)을 통해 누설될 염려가 없어진다. 그에 따라, 상부 하우징(210)이 금속인 경우에도 사용자가 상부 하우징(210)과의 신체적인 접촉 시 누설된 전류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게 된다.
충전 단자(140)에 충전기를 연결하여 배터리(130, 이상 도 1)를 충전함과 동시에 통화를 하는 경우에도, 충전되는 직류 전류가 인쇄회로기판을 거쳐 회로기판(230)에 전달되어도 제2 하우징(200)을 통해 누설되는 일이 없어진다. 그 결과로, 사용자는 충전 중에도 안전하게 제2 하우징(200)을 안면에 접촉하고서도 통화를 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폐 유닛(600)을 설명하기 위한 요부의 사시도이다. 본 도면에서는 도 2와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함과 동시에, 일부는 도시를 생략한다.
도 3(및 도 2)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모듈(240)이 실장되는 회로기판(230)의 가장 자리에는 제1 그라운드(510)가 형성된다. 제1 그라운드(510)는 상대적으로 큰 면적 및 길이를 가지는 메인 그라운드(511)와, 메인 그라운드(511)의 양단부 사이에 이격되게 배치되는 서브 그라운드(512)를 포함한다. 회로기판(230)의 메인 및 서브 그라운드(511 및 512)의 양단부에 대응하는 부분들에는 각각 장착홀(231, 232)들이 개구되어 형성된다.
장착홀(231,232)들에는 제1 및 제2 축전기(610 및 620)들이 각각 장착되고, 상기 제1 및 제2 축전기(610 및 620)들은 메인 그라운드(511)과 서브 그라운 드(512)의 인접한 단부들을 각각 연결한다. 제1 및 제2 축전기(610 및 620)와 함께 개폐 유닛(600)을 구성하는 도전 부재(630)는 서브 그라운드(512)와 제2 그라운드(320, 도 2)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도 4는 도 3의 도전 부재(630)의 양단부가 제1 및 제2 그라운드(510 및 320)를 연결하는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본 도면에서 상부 하우징(2100 및 회로기판(230)은 간단하게 플레이트 형태로 표현되어 있다.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도전 부재(630)는 양단부가 각각 서브 그라운드(511)와 제2 그라운드(320)에 접촉된다. 이때, 도전 부재(630)는 도전성과 함께 탄성력 또한 가지는 도전성 탄성체이다.
이러한 탄성력에 의해 상부 하우징(210)과 회로기판(230) 사이의 간격보다 긴 길이를 가지는 도전 부재(630)는 휘어진 상태로 그들 사이에 배치된다. 도전 부재(630)의 양단부는 이러한 배치에 의해, 각각 일 방향(R1 또는 R2)으로 회전하여 원래의 휘어지지 않은 상태로 복귀하려 한다.
이러한 복귀력은 도전 부재(630)의 양단부가 상부 하우징(210)과 회로기판(230)에 탄성적으로 지지되어 접촉되게 한다. 만약, 도전 부재(630)의 일 단부를 상부 하우징(210)과 회로기판(230) 중 하나에 본딩 등에 의해 결합한 경우라면, 도전 부재(630)를 본 도면과 같이 배치한 상태에서 제2 하우징(200)을 결합함에 따라 도전 부재(630)의 타 단부는 탄성적으로 이완되어 상부 하우징(210)과 회로기판(230) 중 다른 하나와 견고하게 접촉되게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 의 하면, 안테나(150, 도 1)는 제2 그라운드(320)에 접지된 상태에서 개폐 유닛(600)을 통해 제1 그라운드(310)에도 접지되어, 안정적인 접지에 의해 향상된 무선 주파수 송수신 성능을 발휘한다. 개폐 유닛(600)에 있어서, 도전 부재(630)를 통해 제1 그라운드(310)와 서브 그라운드(512)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서브 그라운드(512)는 제1 및 제2 축전기(610 및 620)에 의해 메인 그라운드(51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방식이다. 이는 제1 및 제2 축전기(610 및 620)가 안테나(150)에 흐르는 교류 전원에 의한 전류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기 때문이다.
배터리(130)나 충전단자(140, 이상 도 1)에 연결된 충전기에 의해 입력된 직류 전원은 인쇄회로기판을 거쳐서 회로기판(230)의 디스플레이 모듈(240)에 인가된다. 이러한 직류 전원은 디스플레이 모듈(240)이 접지된 메인 그라운드(511)을 따라 흐르나 제1 및 제2 축전기(610 및 620)에 의해 서브 그라운드(512)로 흘러가지 못한다. 이는 제1 및 제2 축전기(610 및 620)가 직류 전류를 차단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차단에 의하여, 직류 전원은 도전 부재(630)를 거쳐서 제2 그라운드(320)에도 흐르지 못하고, 결과적으로 상부 하우징(210)을 통해 외부로 누설되지도 않게 된다. 그에 따라, 제2 하우징(200)이 금속 재질로 형성되어도,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모듈(240)의 구동 등을 위해 사용되는 직류 전원의 누설 전류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앞선 실시예와 달리 도전 부재(630)를 더 포함하고, 축전기도 2 개{제1 및 제2 축전기(610 및 620)}를 사용하여 개폐 유닛(600)의 구성이 다소 복잡하게 된다.
그러나, 앞선 개폐 유닛(400)이 그 두께가 디스플레이 모듈(240)의 두께 등을 넘어서서 단말기의 전체적인 두께 증가를 유발하거나, 그 사이즈 때문에 다른 전자부품들과의 관계에서 실장이 용이하지 않은 경우라면, 제1 및 제2 축전기(610 및 620)를 소형으로 만들고 대신에 도전 부재(630)를 추가한 본 실시예의 개폐 유닛(600)이 구조적으로 더 바람직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 하우징(210)에 제2 그라운드(320)가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하부 하우징(220)의 내면에 제2 그라운드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나아가, 이상에서는 사용자의 안면에 직접 접촉되는 제2 하우징(200)의 누설 방지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러한 구성을 제1 하우징(100)에 채용하는 것 가능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일 예로서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플립형, 바형, 슬라이드형 등 단말기의 형태에 무관하게 적용 가능함은 당업자라면 충분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제1 및 제2 그라운드를 선택적으로 접속시키는 개폐 유닛을 구비함에 따라, 무선 주파수 송수 신 특성은 향상시키면서도 하우징 외부로의 전류의 누설은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앞선 실시예에 따른 개폐 유닛은 두 개의 이격된 그라운드를 바로 접촉시켜 그 구성이 간단하다. 그에 따라, 제작 및 조립도 용이해진다.
다음 실시예에 따른 개폐 유닛은 다른 전자부품 등과의 기구적인 간섭에도 비교적 최소한의 설치 공간을 차지한 채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개폐 유닛의 일부를 이루는 도전 부재는 탄성체로 형성됨에 따라, 휘어진 상태로 두 그라운드들 사이에서 배치하면 그들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되면서 접촉된다. 그에 따라, 접촉을 위한 공정이 간단해지는 이점이 있다.

Claims (6)

  1. 제1 그라운드가 형성되는 회로기판;
    상기 회로기판이 배치되는 내부 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내부 공간을 한정하는 내면에는 안테나가 접지되는 제2 그라운드가 형성된 도전성의 하우징; 및
    상기 제1 및 제2 그라운드를 연결하도록 형성되어, 인가되는 전압/전류의 변화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제1 및 제2 그라운드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개폐 유닛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유닛은,
    상기 제1 및 제2 그라운드들에 각각 결합 되는 제1 및 제2 도전판들; 및
    상기 제1 및 제2 도전판들 사이에 절연된 채로 배치되어, 교류 전원 인가시 분극되어 상기 제1 및 제2 도전판들을 통전시키는 유전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그라운드는,
    메인 그라운드; 및
    상기 메인 그라운드의 양단부 사이에 이격되게 배치되는 서브 그라운드를 포 함하고,
    상기 개폐 유닛은,
    상기 메인 및 서브 그라운드의 인접한 양단부들을 각각 연결하는 제1 및 제2 축전기; 및
    상기 서브 그라운드와 상기 제2 그라운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도전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및 서브 그라운드의 양단부들에는 상기 제1 및 제2 축전기가 각각 장착되는 장착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 부재는 탄성체로 형성되어, 상기 서브 및 제2 그라운드 중 적어도 하나에 탄성적으로 지지되게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채로 외부 전원에 연결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회로기판에 상기 외부 전원으로부터의 직류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단자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20060113528A 2006-11-16 2006-11-16 이동통신 단말기 KR20080044551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3528A KR20080044551A (ko) 2006-11-16 2006-11-16 이동통신 단말기
US11/843,460 US8000738B2 (en) 2006-11-16 2007-08-22 Mobile terminal with leakage current prevention
EP07016554.3A EP2079223A3 (en) 2006-11-16 2007-08-23 Mobile terminal
CN2007101658973A CN101183880B (zh) 2006-11-16 2007-11-07 移动终端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3528A KR20080044551A (ko) 2006-11-16 2006-11-16 이동통신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4551A true KR20080044551A (ko) 2008-05-21

Family

ID=394489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3528A KR20080044551A (ko) 2006-11-16 2006-11-16 이동통신 단말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80044551A (ko)
CN (1) CN101183880B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45318A (ko) * 2008-10-23 2010-05-03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US9703326B2 (en) 2014-11-20 2017-07-11 Amotech Co., Ltd. Electric shock protection device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US10175727B2 (en) 2014-11-20 2019-01-08 Amotech Co., Ltd. Electric shock protection device and mobile 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10188019B2 (en) 2015-07-01 2019-01-22 Amotech Co., Ltd. Electric shock protection contactor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US10222838B2 (en) 2014-11-20 2019-03-05 Amotech Co., Ltd. Electric shock device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87586A (zh) * 2010-12-01 2012-06-06 和硕联合科技股份有限公司 电子装置
WO2017074088A1 (ko) * 2015-10-28 2017-05-04 주식회사 아모텍 감전보호 장치
WO2017105074A1 (ko) * 2015-12-16 2017-06-22 주식회사 아모텍 전자기기의 컨택터 결합 구조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장치
CN105847648B (zh) * 2016-05-18 2017-10-03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后置摄像头装饰圈防护装置及终端设备
CN107071098A (zh) * 2017-03-06 2017-08-18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移动终端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89631B2 (ja) * 1995-07-10 2001-07-16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ミキサ
DE10204877A1 (de) * 2002-02-06 2003-08-14 Siemens Ag Funkkommunikationsgerät sowie Leiterplatine mit mindestens einem stromleitfähigen Korrekturelement
KR20040020218A (ko) * 2002-08-30 2004-03-09 주식회사 어필텔레콤 Sar이 개선된 휴대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45318A (ko) * 2008-10-23 2010-05-03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US9703326B2 (en) 2014-11-20 2017-07-11 Amotech Co., Ltd. Electric shock protection device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US10175727B2 (en) 2014-11-20 2019-01-08 Amotech Co., Ltd. Electric shock protection device and mobile 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10222838B2 (en) 2014-11-20 2019-03-05 Amotech Co., Ltd. Electric shock device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US10635138B2 (en) 2014-11-20 2020-04-28 Amotech Co., Ltd. Electric shock protection device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US10188019B2 (en) 2015-07-01 2019-01-22 Amotech Co., Ltd. Electric shock protection contactor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183880A (zh) 2008-05-21
CN101183880B (zh) 2012-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44551A (ko) 이동통신 단말기
EP1970792B1 (en) Portable terminal with a large display
KR100313144B1 (ko) 와치 타입 휴대용 무선단말기
EP1764861A1 (en) Antenna integrated speaker assembly,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having the same
CN101867628B (zh) 无线通信终端
KR101326653B1 (ko) 휴대 단말기
KR20080023554A (ko) 디스플레이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US20100279694A1 (en) Display panel structure,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and mobile information equipment
JP2005176291A (ja) 携帯通信端末
US8000738B2 (en) Mobile terminal with leakage current prevention
WO2007094334A1 (ja) 電力供給装置及び携帯電子機器
KR100700580B1 (ko) 분리형 접촉단자부를 갖는 휴대용 단말기의 내장형 안테나
RU2412544C2 (ru) Портативное электр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связи с металлической клавиатурой
KR101146052B1 (ko) 이동통신 단말기
CN208353413U (zh) 移动终端
KR100946531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사이드키 조립구조
KR100641136B1 (ko) 부품의 교체가 용이한 휴대용 단말기
KR100640458B1 (ko) 와치 타입 텔레폰의 배터리팩 접속장치
KR100359074B1 (ko) 휴대폰의 회전식 통전장치
JP4079810B2 (ja) 携帯電話機
KR100698448B1 (ko) 단말기의 버튼 동작구조
CN1190907C (zh) 装备有具有天线的集成无线电通信设备的便携式电子设备
KR100359075B1 (ko) 휴대 전화기의 통전장치
KR20050070223A (ko) 휴대용 단말기의 지압장치
KR101168933B1 (ko) 이동단말기의 외부 접속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