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7108B1 - 차량용 방향 발생장치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방향 발생장치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7108B1
KR101657108B1 KR1020100056707A KR20100056707A KR101657108B1 KR 101657108 B1 KR101657108 B1 KR 101657108B1 KR 1020100056707 A KR1020100056707 A KR 1020100056707A KR 20100056707 A KR20100056707 A KR 20100056707A KR 101657108 B1 KR101657108 B1 KR 1016571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me
fragrance
seconds
vehicle
selection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67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36594A (ko
Inventor
이동석
김재호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567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7108B1/ko
Publication of KR201101365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65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71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71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2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by heating or combustion
    • A61L9/03Apparatus therefor
    • A61L9/032Apparatus therefor comprising a fa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2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 B60H1/04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from cooling liquid of the plant
    • B60H1/08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from cooling liquid of the plant from other radiator than main radiator
    • B60H1/1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from cooling liquid of the plant from other radiator than main radiator the other radiator being situated in a duct capable of being connected to atmosphere outside vehicle
    • B60H1/12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from cooling liquid of the plant from other radiator than main radiator the other radiator being situated in a duct capable of being connected to atmosphere outside vehicle using an air blow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007Adding substances other than water to the air, e.g. perfume, oxyg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007Adding substances other than water to the air, e.g. perfume, oxygen
    • B60H3/0035Adding substances other than water to the air, e.g. perfume, oxygen characterised by the control methods for adding the subst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007Adding substances other than water to the air, e.g. perfume, oxygen
    • B60H2003/0042Adding substances other than water to the air, e.g. perfume, oxygen with ventilating means for adding the substa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개시된 본 발명의 차량용 방향 발생장치의 제어 방법은, 방향제 선택신호에 따라 선택된 향을 배출하는 차량용 방향 발생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향제 선택신호가 수신되면, 제1주기에 따라 상기 방향제 선택신호에 의해 선택된 향을 배출하는 단계(S130); 및 상기 제1주기 후, 제2주기에 따라 상기 선택된 향을 주기적으로 배출하는 단계(140);를 포함하며, 상기 제1주기의 향 배출시간을 상기 제2주기의 향 배출시간보다 길게 제어한다.
여기서 제2주기는 탑승자의 피로도 향상과 탑승자가 느끼는 쾌적성을 고려하여 설정한 온타임과 오프타임 시간이다.

Description

차량용 방향 발생장치의 제어 방법{METHOD FOR CONTROLLING PERFUME GENERATOR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용 공조장치에 연계되는 차량용 방향 발생장치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공조장치는 송풍기에 의해 유입된 외기를 냉매가 흐르는 증발기 또는 엔진의 냉각수가 흐르는 히터코어와 선택적으로 열교환시킨 후, 차량 실내와 연통된 벤트(Vent)를 통하여 토출하여 차량 실내를 냉난방시키는 장치이다.
최근 차량 주행 시 차량 실내로 유입되는 유해물질이나 차량용 공조장치 에 서식하는 곰팡이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좋지 않은 냄새를 정화하기 위하여 차량에 사용될 수 있는 다양한 방향제들이 개발되고 있다.
종래 방향제는 별도로 구매되어 케이스 형태로 차량 실내에 부착되거나, 시거 라이트식(Cigar Light Type)으로 차량에 설치되거나, 벤트 그릴 토출부 양 옆단에 장착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 방향제는 외부에 항상 노출되어 있어 외부 온도에 따라 조기에 소진되는 문제가 있으며, 방향의 종류 및 방향의 시간을 조절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방향의 종류 및 방향의 시간을 조절할 수 있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차량용 방향 발생장치의 제어 방법은 방향제 선택신호에 따라 선택된 향을 배출하는 차량용 방향 발생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향제 선택신호가 수신되면, 제1주기에 따라 상기 방향제 선택신호에 의해 선택된 향을 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주기 후, 제2주기에 따라 상기 선택된 향을 주기적으로 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주기의 향 배출시간을 상기 제2주기의 향 배출시간보다 길게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주기는 상기 선택된 향을 배출하는 시간을 온타임(on time)으로 하고, 상기 선택된 향을 배출하지 않는 시간을 오프타임(off time)라고 할 때, 온타임이 60초 내지 180초 이고 오프타임은 30초 내지 60초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주기는 상기 선택된 향을 배출하는 시간을 온타임(on time)으로 하고, 상기 선택된 향을 배출하지 않는 시간을 오프타임(off time)라고 할 때, 온타임이 20초 내지 30초 이고 오프타임은 30초 내지 60초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향제 선택신호는 제1향 선택신호, 제2향 선택신호 및 제1향과 제2향을 교대로 배출하는 신호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차량용 공조장치의 제어 방법은, 방향의 종류 및 방향의 시간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차량 탑승자의 피로도와 차량 탑승자가 방향에 대하여 느끼는 쾌적성을 고려한 효과적인 차량 실내 방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방향 발생 장치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방향 모듈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방향 발생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절차 흐름도이다.
도 4는 표 1의 감성 평가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방향 발생 장치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방향 발생 장치는 방향모듈(200), 구동부(110) 및 제어부(100)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100)는 시동 온/오프(on/off) 신호, 방향제 온/오프(on/off) 신호, 및 방향제 선택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구동부(110)를 제어하여 상기 방향모듈(200)을 구동시킨다. 방향모듈(200)은 서로 다른 향기(香氣)를 배출하는 A향 카트리지(210) 및 B향 카트리지(220)를 포함한다. A향 및 B향은 탑승자의 피로를 풀어주고 탑승자를 쾌적하게 하는 향일 수 있다.
여기서, 시동 온/오프 신호는 탑승자가 차량의 시동을 걸거나 끌 때 발생되는 신호이고 , 방향제 온/오프 신호는 탑승자가 차량 실내를 방향 공조하기 위해 스위치 등을 조작하였을 때 발생되는 신호이다. 방향제 선택신호는 A향 선택신호, B향 선택신호 및 A향B향 교대 선택신호를 포함한다.
도 2는 도 1의 방향 모듈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방향 모듈(200)은 배출관(206)과 볼플런저(204)가 형성된 모듈몸체(202) 내부에 거치판(208)을 중심으로 A향 카트리지(210) 및 B향 카트리지(220)가 대향하여 설치된다. 거치판(208)은 거치판(208)을 회전시키는 구동부(미도시)에 결합된다. A향 카트리지(210)에는 A향이 배출되는 관통홀(212)이 형성되어 있고, B향 카트리지(220)에는 B향이 배출되는 관통홀(222)이 형성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A향 카트리지(210)의 관통홀(212)과 B향 카트리지(220)의 관통홀(222)이 볼플런저(204)에 각각 막혀 있는 경우는 차량용 방향 발생 장치가 구동되지 않는 경우로서 차량 실내가 방향 공조되지 않는 오프 상태이다.
오프 상태에서 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거치판(208)을 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시키면, A향 카트리지(210)의 관통홀(212)은 배출관(206)에 일치되는 위치에 있게되고, B향 카트리지(220)의 관통홀(222)이 볼플런저(204)에 의해 막히게 된다. 따라서, 방향 모듈(200)이 차량 실내에 A향을 배출할 수 있다.
오프 상태에서 오프 상태에서 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거치판(208)을 반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시키면, B향 카트리지(220)의 관통홀(222)은 배출관(206)에 일치되는 위치에 있게 되고, A향 카트리지(210)의 관통홀(212)은 볼플런저(204)에 의해 막히게 된다. 따라서, 방향 모듈(200)이 차량 실내에 B향을 배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방향 모듈은 서로 향이 다른 2개의 카트리지가 구동부에 의해 회전함으로써 향기가 배출되는 경우를 예시하였지만 방향 모듈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서로 향이 다른 2개 이상의 카트리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다른 구동 원리 예를 들면, 랙기어(rack gear)에 의해 방향 모듈의 배출도어를 구동하는 방향 모듈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방향 모듈(200)은 배출관(206)과 유입관(미도시)이 차량용 공조 장치의 증발기 전방 또는 후방 등에 연결되어 차량용 공조 장치와 연계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방향 발생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절차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차량용 방향 발생 장치의 제어 방법은 먼저 제어부(100)가 시동 온 신호, 방향제 온 신호 및 방향제 선택신호(A향)를 수신하면(S100, S110, S120), 방향제 선택신호에 따라 구동부(110)를 제어하여 방향제 선택신호에 해당하는 A향이 차량 실내로 배출되도록 방향모듈(200)을 구동시킨다.
다음으로 제어부(100)는 초기 제어 로직에 따라 선택된 향이 제1 주기로 차량 실내에 배출되도록 한다(S130). 방향모듈(200)이 향을 배출하는 시간을 온타임(on time)으로 하고, 방향모듈(200)이 향을 배출하지 않는 시간을 오프타임(off time)라고 하면 제1 주기는 온타임이 60초 내지 180초 일 때 오프타임은 30초 내지 60초인 것이 바람직하다. 초기 제어 로직은 차량 시동 시에 차량의 실내를 신속하게 정화시키기 위한 것으로 하기에서 설명할 감성 평가 로직보다 긴 온타임을 가진다.
다음으로 제어부(100)는 감성 평가 로직에 따라 선택된 향이 제2 주기로 차량 실내에 배출되도록 한다(S140). 여기서 감성 평가 로직은 탑승자의 피로도 향상과 탑승자가 느끼는 쾌적성을 고려하여 온타임과 오프타임의 주기를 설정한 로직을 말한다. 제2 주기는 온타임이 10초 내지 60초 일 때 오프타임은 30초 내지 60초인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온타임이 20초 내지 30초 일 때 오프타임은 30초 내지 60초이다.
마직막으로 제어부(100)는 방향제 오프 신호 또는 시동 오프 신호가 수신되면, 구동부(110) 제어를 통한 방향 모듈(200)의 구동을 종료한다(S150).
방향제 선택신호가 A향B향 교대 선택신호인 경우 감성 평가 로직 작동 단계(S140)에서 제어부(100)는 제2주기 단위로 A향과 B향이 교대 배출되도록 구동부(110)를 제어하여 방향모듈(200)을 구동한다. 방향제 선택신호가 B향 선택신호 및 A향B향 교대 선택신호인 경우의 다른 제어 방법은 방향제 선택신호가 A향 인 경우의 상기 설명으로부터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 시동 온 신호, 방향제 온 신호 및 방향제 선택신호는 별개로 제어부(100)에 수신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예를 들면 제어부(100)는 시동 온 신호 또는 방향제 온 신호가 수신되면 이를 방향제 선택신호로 인식하고 디폴트(default)로 설정된 방향 카트리지 향이 발생되도록 방향 모듈(200)을 구동시킬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00)는 시동 온 신호 수신 후 방향제 선택신호가 수신되면, 이를 방향제 온 신호로 인식하고 방향제 선택 신호에 따른 해당 방향 카트리지 향이 발생되도록 방향 모듈(200)을 구동시킬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3에서 설명한 감성 평가 로직을 좀 더 자세하게 설명한다.
표 1은 차량 탑승자를 대상으로 향 발생의 온타임/오프타임에 대한 감성평가를 수행한 결과이다. 차량 실내에 방향을 위한 토출 풍량을 2단(4.5V)으로 하였다.
향 배출 시간(초) 감성평가결과
온타임 오프타임 쾌적성 피로도
10 10 ×
20 ×
30
60
20 10
20
30
60
30 10 ×
20
30
60
60 10 × ×
20 ×
30
60
표 1에서 ○는 좋음, △는 보통, ×는 좋지 않음을 나타낸다. 표 1의 감성평가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내기 위하여 ○는 3점, △는 2점, ×는 1점으로 가중치를 주고 쾌적성과 피로도 가중치를 더하면 각 온타임/오프타임에 대한 감성평가결과가 수치화될 수 있다.
도 4는 표 1의 감성 평가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로서, x축은 온타임을 나타내고 y축은 오프타임을 표시한다. x축과 y축의 단위는 모두 초(sec)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온타임이 20초 내지 30초이고 오프타임이 30초 내지 60초일 때 쾌적성과 피로도 가중치의 합이 모두 좋음을 나타내는 6점의 제1영역이 형성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감성 평가 로직 작동 단계에서 제2 주기는 온타임이 20초 내지 30초이고 오프타임이 30초 내지 60초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온타임이 30초 내지 60초이고 오프타임이 30초 내지 60초일 때 쾌적성과 피로도 가중치의 합이 5 내지 6점인 제2영역이 형성됨을 알 수 있다. 제2영역에서 탑승자는 쾌적성 또는 피로도 회복 중 하나에 보통으로 느낄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100: 제어부 110: 구동부
200: 방향모듈 210: A향 카트리지
220: B향 카트리지

Claims (4)

  1. 방향제 선택신호에 따라 선택된 향을 배출하는 차량용 방향 발생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향제 선택신호가 수신되면, 제1주기에 따라 상기 방향제 선택신호에 의해 선택된 향을 배출하는 단계(S130); 및
    상기 제1주기 후, 제2주기에 따라 상기 선택된 향을 주기적으로 배출하는 단계(140);를 포함하며,
    상기 제1주기의 향 배출시간을 상기 제2주기의 향 배출시간보다 길게 제어하고,
    상기 방향제 선택신호는 제1향과 제2향을 교대로 배출하는 신호를 포함하며,
    상기 제1향과 제2향을 교대로 배출하는 신호가 선택될 경우,
    상기 제2주기 배출 단계(S140)에서 제1향과 제2향이 상기 제2주기 단위로 교대로 배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방향 발생장치의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주기는 상기 선택된 향을 배출하는 시간을 온타임(on time)으로 하고, 상기 선택된 향을 배출하지 않는 시간을 오프타임(off time)라고 할 때, 온타임이 60초 내지 180초 이고 오프타임은 30초 내지 60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방향 발생장치의 제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주기는 상기 선택된 향을 배출하는 시간을 온타임(on time)으로 하고, 상기 선택된 향을 배출하지 않는 시간을 오프타임(off time)라고 할 때, 온타임이 20초 내지 30초 이고 오프타임은 30초 내지 60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방향 발생장치의 제어 방법.
  4. 삭제
KR1020100056707A 2010-06-15 2010-06-15 차량용 방향 발생장치의 제어 방법 KR1016571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6707A KR101657108B1 (ko) 2010-06-15 2010-06-15 차량용 방향 발생장치의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6707A KR101657108B1 (ko) 2010-06-15 2010-06-15 차량용 방향 발생장치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6594A KR20110136594A (ko) 2011-12-21
KR101657108B1 true KR101657108B1 (ko) 2016-09-13

Family

ID=45503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6707A KR101657108B1 (ko) 2010-06-15 2010-06-15 차량용 방향 발생장치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710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0706B1 (ko) * 2012-03-06 2014-04-02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차량용 방향 공조장치
CN109050214A (zh) * 2018-08-09 2018-12-21 法雷奥汽车空调湖北有限公司 一种香味散发器及控制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59010A (ja) * 2000-03-23 2001-09-25 Sharp Corp 空気清浄機
JP2004216924A (ja) 2003-01-09 2004-08-05 Denso Corp 車室内芳香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08196A (ko) * 2008-04-11 2009-10-15 한라공조주식회사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423195B1 (ko) * 2008-10-14 2014-07-25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의 방향제 발생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59010A (ja) * 2000-03-23 2001-09-25 Sharp Corp 空気清浄機
JP2004216924A (ja) 2003-01-09 2004-08-05 Denso Corp 車室内芳香制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6594A (ko) 2011-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58490B2 (ja) 車両用空調装置
JP2003237354A (ja) 車両用シート空調装置
JP2009166627A (ja) 車両用静電霧化装置
JP2019048537A (ja) 車両用芳香供給装置
US20230415614A1 (en) Seat, seat cushion, seat system and car system
KR101657108B1 (ko) 차량용 방향 발생장치의 제어 방법
JP2007326407A (ja) 湿度制御装置
JP2013203354A (ja) アイドリングストップ機構付き車両の空調装置
JP2015136562A (ja) 脱臭装置
JP2001253235A (ja) 空気清浄装置
JP2006044389A (ja) 車室内快適化システム
JPH03200419A (ja) 自動車の空気調和装置
JP2013203358A (ja) アイドリングストップ機構付き車両の空調装置
JP2013203356A (ja) アイドリングストップ機構付き車両の空調装置
JP2018144655A (ja) 眠気抑制装置
KR102032252B1 (ko) 차량용 공조장치 및 이의 방향제 제어 방법
JP2000301939A (ja) 自動車用除菌消臭システム
JP2009073437A (ja) 車両用空調装置
JPH06255358A (ja) 居眠り運転防止装置
KR20110135744A (ko) 차량용 방향 발생장치 및 그것의 제어 방법
JP2019099020A (ja) 車両用芳香発生装置
KR20150006636A (ko) 공기 조화 장치 및 공기 조화 장치를 사용하는 차량
US20110033336A1 (en) Air purification system for vehicles and method thereof
JP2004216924A (ja) 車室内芳香制御方法
KR101380706B1 (ko) 차량용 방향 공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