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6347B1 - 타이어 - Google Patents

타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6347B1
KR101656347B1 KR1020150111085A KR20150111085A KR101656347B1 KR 101656347 B1 KR101656347 B1 KR 101656347B1 KR 1020150111085 A KR1020150111085 A KR 1020150111085A KR 20150111085 A KR20150111085 A KR 20150111085A KR 101656347 B1 KR101656347 B1 KR 1016563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block
tie bar
convex portion
described l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10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명국
박상욱
주원경
Original Assignee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110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63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63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63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13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the groove cross-section, e.g. for buttressing or preventing stone-trapping
    • B60C11/1369Tie bars for linking block elements and bridging the groo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13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the groove cross-section, e.g. for buttressing or preventing stone-trapping
    • B60C11/1307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the groove cross-section, e.g. for buttressing or preventing stone-trapping with special features of the groove 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타이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노면에 접지되는 트레드에 형성되는 그루브와, 상기 트레드에 형성되며 상기 그루브에 의해 분할되는 2개 이상의 블록과, 상기 블록에 설치되는 타이바를 포함하되, 상기 타이바는 탈부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타이어 {The Tires}
본 발명은 핸들링 성능 및 내 마모 성, 배수 성능을 향상시키는 타이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타이어의 트레드의 횡그루브는 차량의 배수성능 및 마모성능, 핸들링 성능에 큰 영향을 끼친다.
횡그루브의 깊이가 깊을수록 배수성능 및 마모성능은 향상되나, 핸들링 성능은 저하된다. 하지만 횡그루브의 깊이가 낮을수록 배수성능 및 마모성능은 저하되며, 핸들링 성능은 향상된다.
종래의 타이어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그루브(1)와, 상기 횡그루브(1)에 의해 분할되어 형성되는 블록(2,3)과, 상기 횡그루브(1)에 형성된 타이바(4)를 포함한다.
상기 타이바(4)는 일측은 높고 타측은 낮게 형성되며, 상기 타이바(4)는 상기 횡그루브(1) 내에서 이웃하는 타이바(4)끼리 높은 쪽과 낮은 쪽이 엇갈리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종래의 타이바는 부분적으로 핸들링 성능 및 배수 성능, 마모 성능의 절충안을 마련할 뿐, 모든 성능을 향상시키는데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 특허 제10-1069327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핸들링 성능 및 배수 성능, 마모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타이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타이어는, 노면에 접지되는 트레드에 형성되는 그루브와, 상기 트레드에 형성되며 상기 그루브에 의해 분할되는 2개 이상의 블록과, 상기 블록에 설치되는 타이바를 포함하되, 상기 타이바는 탈부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블록은 제1블록과 제2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제1블록에는 제1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블록에는 제2홈이 형성되며, 상기 타이바의 일측은 상기 제1홈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타이바의 타측은 상기 제2홈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타이바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양측에 형성된 볼록부를 포함하며, 상기 볼록부는 상기 몸체의 일측에 형성된 제1볼록부와, 상기 몸체의 타측에 형성된 제2볼록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볼록부는 상기 제1홈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2볼록부는 상기 제2홈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타이바는 고무 또는 플라스틱 또는 금속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타이어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노면에 접지되는 트레드에 형성된 그루브와, 상기 트레드에 형성되며 상기 그루브에 의해 분할되는 2개 이상의 블록과, 상기 블록에 설치되는 타이바를 포함하되, 상기 타이바는 탈부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여, 날씨가 변하는 등 환경 변화에도 타이어의 성능을 능동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상기 블록은 제1블록과 제2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제1블록에는 제1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블록에는 제2홈이 형성되며, 상기 타이바의 일측은 상기 제1홈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타이바의 타측은 상기 제2홈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맑은 날씨에는 타이바를 설치하여 블록의 강성을 높여 타이어의 핸들링 성능 및 내 마모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고, 비오는 날씨에는 타이바를 제거하여 배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성능 향상으로 인해 운전자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타이바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양측에 형성된 볼록부를 포함하며, 상기 볼록부는 상기 몸체의 일측에 형성된 제1볼록부와, 상기 몸체의 타측에 형성된 제2볼록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볼록부는 상기 제1홈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2볼록부는 상기 제2홈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상기 타이바는 고무 또는 플라스틱 또는 금속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여, 별도의 체결부재가 없어도 홈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구조이므로 타이어를 경량화할 수 있고, 타이바의 재질적 특성으로 인해 홈에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타이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타이바.
도 3은 도 1의 단면도.
도 4는 도 3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단면도.
도 5는 도 2의 타이바 설치도.
도 6은 종래의 타이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로,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타이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타이바이고, 도 3은 도 1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2의 타이바 설치도이다.
본 발명의 타이어(1)는, 노면에 접지되는 트레드에 형성되는 그루브(13)와, 상기 트레드에 형성되며 상기 그루브(13)에 의해 분할되는 2개 이상의 블록(11,12)과, 상기 블록(11,12) 사이에 설치되는 타이바(2)를 포함하되, 상기 타이바(2)는 탈부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트레드는 노면과 접촉하는 부분이다.
상기 트레드에는 그루브(13)가 형성되며, 상기 그루브(13)는 상기 트레드에 형성된 홈이다.
상기 그루브(13)는 양측면이 경사지도록 형성되며,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넓어지는 형태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그루브(13)는 횡그루브(13)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종그루브(13)에 적용할 수도 있다.
상기 트레드에는 2개 이상의 블록(11,12)이 형성된다.
상기 블록(11,12)은 제1블록(11)과 제2블록(12)을 포함한다.
상기 제1블록(11)과 상기 제2블록(12)은 상기 그루브(13)에 의해 분할된다. 즉, 상기 제1블록(11)과 상기 제2블록(12) 사이에는 상기 그루브(13)가 형성된 것이다.
상기 제1블록(11)에는 제1홈(3)이 형성된다.
상기 제1a홈(31)은 제1a홈(31)과 제1b홈(32)을 포함한다.
상기 제1a홈(31)은 상기 제1블록(11)의 측면에 형성된다. 더 정확하게는, 상기 제1a홈(31)은 상기 제1블록(11)의 우측면에서 내측으로 파인 형태이다.
상기 제1a홈(31)은 제1a-1홈(311)과 제1a-2홈(312)을 포함한다.
상기 제1a-1홈(311)은 양측이 개방된 직육면체 형태이며, 후술할 타이바(2)의 몸체(21)가 설치된다.
상기 제1a-1홈(311)은 상기 제1블록(11)의 우측면에서 내측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제1a-1홈(311)의 우측에는 상기 제1블록(11)의 우측면이 연결되고, 상기 제1a-1홈(311)의 좌측에는 후술할 제1a-2홈(312)이 일체로 형성된다.
이러한 제1a-1홈(311)의 좌측단은 후술할 제1b-1홈(321)의 좌측단과 동일 선상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제1a-1홈(311)의 길이와 후술할 제1b-1홈(321)의 길이는 그루브(13)의 경사면으로 인해 다르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러한 제1a-1홈(311)은 그루브(13)의 중심축에 대해 후술할 제2a-1홈(411)과 대칭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1a-1홈(311)과 후술할 제2a-1홈(411)은 동일한 것이다.
상기 제1a-1홈(311)에는 후술할 타이바(2)의 몸체(21)의 일측이 설치된다. 즉, 상기 제1a-1홈(311)에는 후술할 타이바(2)의 몸체(21)의 일부가 탈부착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이다.
이러한 제1a-1홈(311)의 높이는 후술할 타이바(2)의 몸체(21)의 높이보다 낮고, 제1a-1홈(311)의 너비는 후술할 타이바(2)의 몸체(21)의 너비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하여 후술할 타이바(2)의 몸체(21)는 제1a-1홈(311)에 안정적으로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제1a-2홈(312)은 상기 제1a-1홈(311)의 타측에 일체로 형성된다.
더 정확하게는, 상기 제1a-2홈(312)은 상기 제1a-1홈(311)의 좌측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제1a-2홈(312)은 구 형태이며, 후술할 타이바(2)의 제1볼록부(22)가 설치된다.
이러한 제1a-2홈(312)의 형태는 후술할 타이바(2)의 제1볼록부(22)의 형태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며, 제1a-2홈(312)의 크기는 후술할 타이바(2)의 제1볼록부(22)의 크기보다 크거나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1a-2홈(312)의 중심축은 후술할 제1b-2홈(322)의 중심축과 동일 선상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루브(13)의 중심축에 대해 후술할 제2a-2홈(412)과 대칭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1a-2홈(312)의 반경과 후술할 제1b-2홈(322)의 반경과 후술할 제2a-2홈(412)의 반경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a홈(31)의 하부에는 제1b홈(32)이 형성된다.
상기 제1b홈(32)은 상기 제1블록(11)의 측면에 형성된다. 더 정확하게는, 상기 제1b홈(32)은 상기 제1블록(11)의 우측면에서 내측으로 파인 형태이다.
상기 제1b홈(32)은 제1b-1홈(321)과 제1b-2홈(322)을 포함한다.
상기 제1b-1홈(321)은 양측이 개방된 직육면체 형태이며, 후술할 타이바(2)의 몸체(21)가 설치된다.
상기 제1b-1홈(321)은 상기 제1블록(11)의 우측면에서 내측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제1b-1홈(321)의 우측에는 상기 제1블록(11)의 우측면이 연결되고, 상기 제1b-1홈(321)의 좌측에는 후술할 제1b-2홈(322)이 일체로 형성된다.
이러한 제1b-1홈(321)의 좌측단은 제1a-1홈(311)의 좌측단과 동일 선상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제1b-1홈(321)의 길이와 제1a-1홈(311)의 길이는 그루브(13)의 경사면으로 인해 다르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러한 제1b-1홈(321)은 그루브(13)의 중심축에 대해 후술할 제2b-1홈(421)과 대칭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1b-1홈(321)과 후술할 제2b-1홈(421)은 동일한 것이다.
상기 제1b-1홈(321)에는 후술할 타이바(2)의 몸체(21)의 일측이 설치된다. 즉, 상기 제1b-1홈(321)에는 후술할 타이바(2)의 몸체(21)의 일부가 탈부착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이다.
이러한 제1b-1홈(321)의 높이는 후술할 타이바(2)의 몸체(21)의 높이보다 낮고, 제1a-1홈(311)의 너비는 후술할 타이바(2)의 몸체(21)의 너비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하여 후술할 타이바(2)의 몸체(21)는 제1b-1홈(321)에 안정적으로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제1b-2홈(322)은 상기 제1b-1홈(321)의 타측에 일체로 형성된다.
더 정확하게는, 상기 제1b-2홈(322)은 상기 제1b-1홈(321)의 좌측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제1b-2홈(322)은 구 형태이며, 후술할 타이바(2)의 제1볼록부(22)가 설치된다.
이러한 제1b-2홈(322)의 형태는 후술할 타이바(2)의 제1볼록부(22)의 형태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며, 제1b-2홈(322)의 크기는 후술할 타이바(2)의 제1볼록부(22)의 크기보다 크거나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1b-2홈(322)의 중심축은 제1a-2홈(312)의 중심축과 동일 선상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루브(13)의 중심축에 대해 후술할 제2b-2홈(422)과 대칭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1b-2홈(322)의 반경과 제1a-2홈(312)의 반경과 후술할 제2b-2홈(422)의 반경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제1블록(11)에 형성된 제1홈(3)은 2개가 형성된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사용자의 편의 또는 트레드의 높이에 따라 1개 또는 2개 이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블록(11)에 형성된 제1홈()의 개수는 후술할 제2블록(12)에 형성된 제2a홈(41)의 개수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블록(12)에는 제2홈(4)이 형성된다.
상기 제2홈(4)은 제2a홈(41)과 제2b홈(42)을 포함한다.
상기 제2a홈(41)은 상기 제2블록(12)의 측면에 형성된다. 더 정확하게는, 상기 제2a홈(41)은 상기 제2블록(12)의 좌측면에서 내측으로 파인 형태이다.
상기 제2a홈(41)은 제2a-1홈(411)과 제2a-2홈(412)을 포함한다.
상기 제2a-1홈(411)은 양측이 개방된 직육면체 형태이며, 후술할 타이바(2)의 몸체(21)가 설치된다.
상기 제2a-1홈(411)은 상기 제2블록(12)의 좌측면에서 내측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제2a-1홈(411)의 좌측에는 상기 제2블록(12)의 좌측면이 연결되고, 상기 제2a-1홈(411)의 우측에는 후술할 제2a-2홈(412)이 일체로 형성된다.
이러한 제2a-1홈(411)의 우측단은 후술할 제2b-1홈(421)의 우측단과 동일 선상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제2a-1홈(411)의 길이와 제2b-1홈(421)의 길이는 그루브(13)의 경사면으로 인해 다르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러한 제2a-1홈(411)은 그루브(13)의 중심축에 대해 제1a-1홈(311)과 대칭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2a-1홈(411)과 제1a-1홈(311)은 동일한 것이다.
상기 제2a-1홈(411)에는 후술할 타이바(2)의 몸체(21)의 타측이 설치된다. 즉, 상기 제2a-1홈(411)에는 후술할 타이바(2)의 몸체(21)의 일부가 탈부착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이다.
이러한 제2a-1홈(411)의 높이는 후술할 타이바(2)의 몸체(21)의 높이보다 낮고, 제2a-1홈(411)의 너비는 후술할 타이바(2)의 몸체(21)의 너비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하여 후술할 타이바(2)의 몸체(21)는 제2a-1홈(411)에 안정적으로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제2a-2홈(412)은 상기 제2a-1홈(411)의 타측에 일체로 형성된다.
더 정확하게는, 상기 제2a-2홈(412)은 상기 제2a-1홈(411)의 우측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제2a-2홈(412)은 구 형태이며, 후술할 타이바(2)의 제1볼록부(22)가 설치된다.
이러한 제2a-2홈(412)의 형태는 후술할 타이바(2)의 제1볼록부(22)의 형태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며, 제2a-2홈(412)의 크기는 후술할 타이바(2)의 제1볼록부(22)의 크기보다 크거나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2a-2홈(412)의 중심축은 제2b-2홈(422)의 중심축과 동일 선상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루브(13)의 중심축에 대해 제1a-2홈(312)과 대칭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2a-2홈(412)의 반경과 제2b-2홈(422)의 반경과 제1a-2홈(312)의 반경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a홈(41)의 하부에는 제2b홈(42)이 형성된다.
상기 제2b홈(42)은 상기 제2블록(12)의 측면에 형성된다. 더 정확하게는, 상기 제2b홈(42)은 상기 제2블록(12)의 좌측면에서 내측으로 파인 형태이다.
상기 제2b홈(42)은 제2b-1홈(421)과 제2b-2홈(422)을 포함한다.
상기 제2b-1홈(421)은 양측이 개방된 직육면체 형태이다.
상기 제2b-1홈(421)에는 후술할 타이바(2)의 몸체(21)의 타측이 설치된다. 즉, 상기 제2b-1홈(421)에는 후술할 타이바(2)의 몸체(21)의 일부가 탈부착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제2b-1홈(421)은 상기 제2블록(12)의 좌측면에서 내측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제2b-1홈(421)의 좌측에는 상기 제2블록(12)의 좌측면이 연결되고, 상기 제2b-1홈(421)의 우측에는 후술할 제2b-2홈(422)이 일체로 형성된다.
이러한 제2b-1홈(421)의 우측단은 제2a-1홈(411)의 우측단과 동일 선상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제2b-1홈(421)의 길이와 제2a-1홈(411)의 길이는 그루브(13)의 경사면으로 인해 다르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러한 제2b-1홈(421)은 그루브(13)의 중심축에 대해 제1a-1홈(311)과 대칭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2b-1홈(421)과 제1a-1홈(311)은 동일한 것이다.
상기 제2b-2홈(422)은 상기 제2b-1홈(421)의 타측에 일체로 형성된다.
더 정확하게는, 상기 제2b-2홈(422)은 상기 제2b-1홈(421)의 우측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제2b-2홈(422)은 구 형태이며, 후술할 타이바(2)의 제1볼록부(22)가 설치된다.
이러한 제2b-2홈(422)의 형태는 후술할 타이바(2)의 제1볼록부(22)의 형태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며, 제2b-2홈(422)의 크기는 후술할 타이바(2)의 제1볼록부(22)의 크기보다 크거나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2b-2홈(422)의 중심축은 제2a-2홈(412)의 중심축과 동일 선상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루브(13)의 중심축에 대해 제1a-2홈(312)과 대칭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2b-2홈(422)의 반경과 제2a-2홈(412)의 반경과 제1a-2홈(312)의 반경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제2블록(12)에 형성된 제2홈(4)은 2개가 형성된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사용자의 편의 또는 트레드의 높이에 따라 1개 또는 2개 이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블록(12)에 형성된 제2홈(4)의 개수는 제1블록(11)에 형성된 제1홈(3)의 개수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제1블록(11)과 제2블록(12)에는 타이바(2)가 설치된다.
더 정확하게는, 상기 제1블록(11)의 제1홈(3)과 상기 제2블록(12)의 제2홈(4)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타이바(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21)와, 상기 몸체(21)에 형성된 볼록부(22,23)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21)는 납작한 직육면체 형태이며, 판자 형태이다.
이러한 몸체(21)는 후술할 볼록부(22,23)가 제1a홈(31) 및 제2a홈(41)에 삽입된 후 타이어(1)에서 제거되지 않도록 플라스틱 또는 금속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몸체(21)의 두께는 제1a홈(31) 및 제2a홈(41)에 삽입 및 해제 가능하도록 1mm에서 10mm 사이인 것이 바람직하며, 몸체(21)의 높이는 1mm에서 5mm 사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몸체(21)의 양단에는 볼록부(22,23)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볼록부(22,23)는 제1볼록부(22)와 제2볼록부(23)를 포함한다.
상기 제1볼록부(22)는 상기 몸체(21)의 일측에 형성된다.
상기 제1볼록부(22)는 구 형태이며, 상기 제1a홈(31)에 삽입되어 탈부착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제1볼록부(22)는 상기 제1a-1홈(311)을 관통하여 상기 제1a-2홈(312)에 설치된다.
이러한 제1볼록부(22)는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고무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1볼록부(22)의 직경은 몸체(21)의 너비보다는 작고, 몸체(21)의 높이보다는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1볼록부(22)의 형태는 제1블록(11)의 제1a-2홈(312)의 형태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며, 제1볼록부(22)의 반경은 제1블록(11)의 제1a-2홈(312)의 반경보다 작거나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고, 제1블록(11)의 제1a-1홈(311)의 반경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1볼록부(22)는 제1b홈(32)에 삽입되어 탈부착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제2볼록부(23)는 상기 몸체(21)의 타측에 형성된다.
상기 제2볼록부(23)는 구 형태이며, 상기 제2a홈(41)에 삽입되어 탈부착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제2볼록부(23)는 상기 제2a-1홈(411)을 관통하여 상기 제2a-2홈(412)에 설치된다.
이러한 제2볼록부(23)는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고무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2볼록부(23)의 직경은 몸체(21)의 너비보다는 작고, 몸체(21)의 높이보다는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2볼록부(23)의 형태는 제2블록(12)의 제2a-2홈(412)의 형태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며, 제2볼록부(23)의 반경은 제2블록(12)의 제2a-2홈(412)의 반경보다 작거나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고, 제2블록(12)의 제2a-1홈(411)의 반경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2볼록부(23)는 제2b홈(42)에 삽입되어 탈부착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타이바(2)는 타이어의 원주 방향으로 8개 이상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하여 핸들링 성능 또는 마모 성능을 안정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이하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실시 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맑은 날인 경우, 핸들링 성능 및 내 마모 성능을 향상시키도록 타이바(2)를 블록(11,12)에 설치한다.
타이바(2)의 제1볼록부(22)를 제1홈(3)에 끼우고, 타이바(2)의 제2볼록부(23)를 제2홈(4)에 끼운다.
비가 오는 경우, 배수 성능을 향상시키도록 타이바(2)를 제거한다.
타이바(2)의 제1볼록부(22)를 제1홈(3)에서 빼내고, 타이바(2)의 제2볼록부(23)를 제2홈(4)에서 빼낸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는, 특히, 핸들링 및 내 마모성, 배수 성능을 모두 향상하기 위한 타이어에 적합하다.
1: 타이어 13: 그루브
11: 제1블록 3: 제1홈
31: 제1a홈 311: 제1a-1홈
312: 제1a-2홈 32: 제1b홈
321: 제1b-1홈 322: 제1b-2홈
12: 제2블록 4: 제2홈
41: 제2a홈 411: 제2a-1홈
412: 제2a-2홈 42: 제2b홈
421: 제2b-1홈 422: 제2b-2홈
2: 타이바 21: 몸체
22,23: 볼록부 22: 제1볼록부
23: 제2볼록부

Claims (4)

  1. 노면에 접지되는 트레드에 형성되는 그루브;
    상기 트레드에 형성되며 상기 그루브에 의해 분할되어 2개 이상으로 구성되되, 제1블록과 제2블록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블록에는 제1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블록에는 제2홈이 형성되며, 타이바의 일측은 상기 제1홈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타이바의 타측은 상기 제2홈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블록;
    상기 블록에 설치되는 타이바;를 포함하되,
    상기 타이바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양측에 형성된 볼록부를 포함하며, 상기 볼록부는 상기 몸체의 일측에 형성된 제1볼록부와, 상기 몸체의 타측에 형성된 제2볼록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볼록부는 상기 제1홈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2볼록부는 상기 제2홈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타이바는 고무 또는 플라스틱 또는 금속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KR1020150111085A 2015-08-06 2015-08-06 타이어 KR1016563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1085A KR101656347B1 (ko) 2015-08-06 2015-08-06 타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1085A KR101656347B1 (ko) 2015-08-06 2015-08-06 타이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6347B1 true KR101656347B1 (ko) 2016-09-23

Family

ID=570475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1085A KR101656347B1 (ko) 2015-08-06 2015-08-06 타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634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4373B1 (ko) 2017-09-13 2019-01-31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그루브에 서포터를 구비한 차량용 공기입 타이어
KR20210030076A (ko) * 2019-09-09 2021-03-17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타이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9327B1 (ko) 2008-11-12 2011-10-05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타이바를 개량한 자동차용 타이어
KR20150008551A (ko) * 2013-07-15 2015-01-23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공기입 래디얼 타이어
JP2015513497A (ja) * 2012-03-15 2015-05-14 コンパニー ゼネラール デ エタブリッスマン ミシュラン 土木工事用タイヤのための厚手トレッド
JP2015520068A (ja) * 2012-05-18 2015-07-16 コンパニー ゼネラール デ エタブリッスマン ミシュラン タイヤ用の騒音抑制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9327B1 (ko) 2008-11-12 2011-10-05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타이바를 개량한 자동차용 타이어
JP2015513497A (ja) * 2012-03-15 2015-05-14 コンパニー ゼネラール デ エタブリッスマン ミシュラン 土木工事用タイヤのための厚手トレッド
JP2015520068A (ja) * 2012-05-18 2015-07-16 コンパニー ゼネラール デ エタブリッスマン ミシュラン タイヤ用の騒音抑制装置
KR20150008551A (ko) * 2013-07-15 2015-01-23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공기입 래디얼 타이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4373B1 (ko) 2017-09-13 2019-01-31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그루브에 서포터를 구비한 차량용 공기입 타이어
KR20210030076A (ko) * 2019-09-09 2021-03-17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타이어
KR102232828B1 (ko) * 2019-09-09 2021-03-26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타이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7495B1 (ko) 공기 타이어
JP5098383B2 (ja) 空気入りスタッドタイヤ
CN107995896B (zh) 卡车轮胎胎面和卡车轮胎
RU2657616C2 (ru) Пневматическая шина
JP6359977B2 (ja) 車両用空気入りタイヤ
US20230322027A1 (en) Three-dimensional tire sipe
JP6152036B2 (ja) 非空気入りタイヤ
KR101619381B1 (ko) 스노 타이어의 트레드 커프
RU2006143107A (ru) Протектор для шин транспортных средств большой грузоподъемности
KR101656347B1 (ko) 타이어
US10576791B2 (en) Tire
US11554613B2 (en) Pneumatic tire, a tread band, and a tread block comprising a sipe, and a lamella plate for the manufacture thereof
US20140116589A1 (en) Pneumatic Tire
KR20180089294A (ko) 타이어
FI125427B (fi) Nastarenkaan nasta ja nastarengas
KR101520281B1 (ko) 차량용 공기입 타이어
KR101631758B1 (ko) 커프 구조 및 그를 포함하는 공기입 타이어
KR101668712B1 (ko) 올 시즌 타이어
CN101395015B (zh) 轮胎
JP6284821B2 (ja) 空気入りタイヤ
US20150306916A1 (en) Pneumatic vehicle tire for use in winter driving conditions
JP6294628B2 (ja) 空気入りタイヤ
JP2018069819A5 (ko)
KR20110056798A (ko) 커프를 개량한 자동차용 타이어
JP2017056781A (ja) 空気入りタイ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