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5136B1 - 차량용 연료탱크 - Google Patents

차량용 연료탱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5136B1
KR101655136B1 KR1020100115242A KR20100115242A KR101655136B1 KR 101655136 B1 KR101655136 B1 KR 101655136B1 KR 1020100115242 A KR1020100115242 A KR 1020100115242A KR 20100115242 A KR20100115242 A KR 20100115242A KR 101655136 B1 KR101655136 B1 KR 1016551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vehicle body
fuel tank
round
rear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52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53890A (ko
Inventor
남종우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152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5136B1/ko
Publication of KR201200538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38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51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51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63Arrangement of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73Tank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to the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고속 주행 시에 다운포스를 증가시켜 차량의 하부로 흐르는 공기의 유속을 증가시킴에 따라, 벤츄리 효과에 의해 후륜에 부압을 형성하여 양력을 저감시키도록 형상을 개선하여 차체의 하부 양측에 장착함으로써, 차량의 후미 떨림 현상 발생을 방지하여 고속 조안성 및 후륜 가진 안정성을 향상시켜 상품성을 높이도록
차체의 후미 하부 양측에 각각 장착되어 연료가 저장되는 것으로, 차량의 고속 주행 시, 다운포스를 증가시켜 차체의 하부로 흐르는 공기의 흐름을 억제해 후륜에 부압을 형성하고, 동시에, 후륜의 양력을 저감시키도록 하면이 차체의 후미를 향해 갈수록 굴곡진 라운드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연료탱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연료탱크{FUEL TANK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연료탱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고속 주행 시에 다운포스를 증가시켜 하부로 흐르는 공기의 유속을 증가시키고, 벤츄리 효과에 의해 후륜에 부압을 형성하여 양력을 저감시키도록 하는 차량용 연료탱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행하는 자동차는 구 주행을 방해하는 힘의 작용을 받는데 이것을 주행저항이라 하며 구름저항, 공기저항, 가속저항 및 등판저항 등이 있다.
이 중, 공기저항은 자동차가 공기를 헤쳐가며 주행하므로 받게되는 저항을 말하며, 공기를 자동차의 전면에서 막아서 정지시키기 위하여 그 부분의 압력이 높아짐과 동시에 후면이나 모서리부 등에서 공기가 차체에 따라 흐르지 않게 되기 때문에 부압력에 의해 발생되는 것이며, 차체의 형상에 의해 기류의 박리가 발생되는 형상저항과 자동차가 받는 양력에 의해 발생되는 유도저항이 있다.
현재 생산되어 사용중인 차량은 차량의 고속 주행 시 상기와 같이 차체가 받는 여러 가지 주행저항 중, 공기저항을 축소하기 위하여 차량에 별도의 장치를 장착하는데 종래에는 차량의 측면을 공기의 저항을 덜 받는 형상으로 제작하거나 후방에 에어 스포일러와 같은 별도의 부속물으 장착함으로써, 많은 효과를 보았었다.
그러나, 종래의 방법은 차량의 외부 즉 측면과 상면에 흐르는 공기의 저항에 대해서만 대처할 수 있는 것이므로 차량의 하부를 흐르는 공기에 대한 별도의 대책이 없어 차량의 고속 주행 시, 차량의 하부를 흐르는 공기에 의해 차량의 프론트에 양력이 발생하여 차량의 내부로 소음이 침입하고 차체의 후미가 떨리는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차체의 후미 떨림 현상이 발생하면, 승차감이 저하되고, 차량의 선회 시, 코너링의 내측과 외측의 타이어에 필요한 다운포스가 낮아 고속 조안성 및 후륜 가진 안정성이 저하되는 문제점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차량의 고속 주행 시에 다운포스를 증가시켜 차량의 하부로 흐르는 공기의 유속을 증가시킴에 따라, 벤츄리 효과에 의해 후륜에 부압을 형성하여 양력을 저감시키도록 형상을 개선하여 차체의 하부 양측에 장착함으로써, 차량의 후미 떨림 현상 발생을 방지하여 고속 조안성 및 후륜 가진 안정성을 향상시켜 상품성을 높이도록 하는 차량용 연료탱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연료탱크는 차량의 고속 주행 시, 다운포스를 증가시켜 차체의 하부로 흐르는 공기의 흐름을 억제해 후륜에 부압을 형성하고, 동시에, 후륜의 양력을 저감시키도록 하면이 차체의 후미를 향해 갈수록 굴곡진 라운드부로 형성되고, 상기 라운드부의 시작지점에서 공기의 속도를 증가시키고, 상기 라운드부는 차량의 전방을 향하는 시작지점이 차량의 최저 지상고에 근접하고, 차체의 후미 측으로 갈수록 차량의 상부를 향하여 상향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상기 라운드부는 차체의 전방 하부와 일체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각 라운드부에는 지면을 향하여 수직으로 돌출된 다수개의 쿨링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쿨링핀은 상기 라운드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평행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연료탱크에 의하면, 차량의 고속 주행 시에 공기의 유속증가를 통해 다운포스를 증가시키고, 벤츄리 효과에 의해 후륜에 부압을 형성하여 양력을 저감시키도록 하면에 라운드부를 형성하여 차량의 하부 양측에 장착하고, 라운드부의 시작지점에서 공기 유속 증가로 인한 부압을 형성해 다운포스를 증대시킴으로써, 차량의 후미 떨림 현상 발생을 방지하여 고속 조안성 및 후륜 가진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차량의 고속 주행 시, 상기 연료탱크의 라운드부 시작지점에서 후륜에 부압 발생시켜 차량 후방의 양력을 저감시킴에 따라, 후륜과 지면의 접지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연료탱크에 라운드부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차량에 테일 스포일러와 같은 별도의 장비를 장착하지 않아도 차량 후방의 양력을 저감시킬 수 있어, 차량의 후방 시야를 확보하고, 수려한 미관을 제공하여 상품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연료탱크가 적용된 차량 후면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B-B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연료탱크가 적용된 차량 후면의 부분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B-B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연료탱크(100)는 차량의 고속 주행 시에 다운포스를 2증가시켜 차체(10)의 하부로 흐르는 공기의 유속을 증가시킴에 따라, 벤츄리 효과에 의해 후륜(13)에 부압을 형성하여 양력을 저감시키도록 형상을 개선하여 차체(10)의 하부 양측에 장착함으로써, 차량의 후미 떨림 현상 발생을 방지하여 고속 조안성 및 후륜 가진 안정성을 향상시켜 상품성을 높이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연료탱크(100)는, 도 1과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차체(10)의 후미 하부 양측에 각각 장착되어 연료가 저장되는 것으로, 차량의 고속 주행 시, 다운포스를 증가시켜 차체(10)의 하부로 흐르는 공기의 유속을 증가시키고, 벤츄리 효과에 의해 후륜(13)에 부압을 형성하여 양력을 저감시키도록 그 하면이 차체(10)의 후미를 향해 갈수록 굴곡진 라운드부(110)로 형성되고, 상기 라운드부(110)의 시작지점에서 공기의 속도를 증가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라운드부(110)는 차량의 전방을 향하는 시작지점이 차량의 최저 지상고에 근접하고, 차체(10)의 후미 측으로 갈수록 차량의 상부를 향하여 상향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라운드부(110)는 연료탱크(100)의 하면에 일체로 형성되며, 차체(10)의 전방 하부와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라운드부(110)에는,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지면을 향하여 수직으로 돌출된 쿨링핀(120)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쿨링핀(120)은 상기 라운드부(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평행하게 형성되며, 차량의 운행 시, 상기 각 쿨링핀(120)의 사이로 차량의 하부로 유입되는 공기가 자연스럽게 차량의 후방으로 흐르도록 유도시켜 공기저항의 발생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연료탱크(100)는 상기 라운드부(110)가 차체(10)의 후미 측으로 갈수록 상향 라운드지게 형성되고, 차량의 전방을 향해 배치되는 상기 연료탱크(100)의 라운드부(110) 시작지점이 차량의 최저 지상고와 근접함에 따라, 상기 라운드부(110)의 시작지점에서 공기의 속도 증가를 통해 차량의 고속 주행 시, 차량의 후륜(13)에 다운포스를 증가시킬 수 있다.
즉, 차량에 장착된 상기 연료탱크(100)의 시작 지점과 지면 사이의 높이(D1)는 차량의 후미 측으로 갈수록 상기 라운드부(110)에 의해 점점 높아져 상기 라운드부(110)의 끝단 부분과 지면 사이의 높이(D2)보다 짧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연료탱크(100)의 라운드부(110) 시작지점과 끝 지점에서 형성하는 단면적의 크기가 다르게 형성되며, 차량의 주행 시, 유입되는 공기는 단면적이 작은 연료탱크의(100) 라운드부(110) 시작지점에서 유속이 증가되고, 압력이 작아져 부압을 형성함으로써, 후륜(13)의 양력을 저감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은 벤츄리 효과에 의해 연료탱크(100)의 라운드부(110) 시작지점에서 부압이 형성되며, 이러한 부압은 차량의 후방 양력을 저감시키게 된다.
한편, 차량의 하부로 유입되는 공기는 상기 각 쿨링핀(120)의 사이로 유입되어 차량의 전방에서 후미를 향해 이동되며, 상기 각 쿨링핀(120)에 의해 공기저항 발생이 방지된 상태로 자연스럽게 유도될 수 있다.
따라서, 차량의 고속 주행 또는 고속 선회 시, 상기와 같이 공기 유속 증가에 의한 부압 형성을 통하여 다운포스를 증가시키고, 이 다운포스에 의해 차량 후방의 양력이 저감됨으로써, 상기 후륜(13)과 지면의 접지력이 향상되고, 차량의 직진 안정성과 고속 조안성 및 후륜 가진 안정성이 향상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연료탱크(100)를 적용하면, 차량의 고속 주행 시에 공기의 유속증가를 통해 다운포스를 증가시키고, 벤츄리 효과에 의해 후륜(13)에 부압을 형성하여 양력을 저감시키도록 하면에 라운드부(110)를 형성하여 차량의 하부 양측에 장착하고, 라운드부(110)의 시작지점에서 공기 유속 증가로 인한 부압을 형성해 다운포스를 증대시킴으로써, 차량의 후미 떨림 현상 발생을 방지하여 고속 조안성 및 후륜 가진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차량의 고속 주행 시, 상기 연료탱크(100)의 라운드부(110)의 시작지점에서 후륜(13)에 부압 발생을 유도하여 차량 후방의 양력을 저감시킴에 따라, 상기 후륜(13)과 지면의 접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차량의 연료탱크(100)에 라운드부(110)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차량에 테일 스포일러와 같은 별도의 장비를 장착하지 않아도 차량의 후륜(13)에 양력을 저감시킬 수 있어, 차량의 후방 시야를 확보하고, 수려한 미관을 제공하여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차량 13...후륜
100...연료탱크 110...라운드부
120...쿨링핀

Claims (5)

  1. 차체의 후미 하부 양측에 각각 장착되어 연료가 저장되는 것으로,
    차량의 고속 주행 시, 다운포스를 증가시켜 차체의 하부로 흐르는 공기의 흐름을 억제해 후륜에 부압을 형성하고, 동시에, 후륜의 양력을 저감시키도록 하면이 차체의 후미를 향해 갈수록 굴곡진 라운드부로 형성되고, 상기 라운드부의 시작지점에서 공기의 속도를 증가시키고,
    상기 라운드부는
    차량의 전방을 향하는 시작지점이 차량의 최저 지상고에 근접하고, 차체의 후미 측으로 갈수록 차량의 상부를 향하여 상향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연료탱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라운드부는
    차체의 전방 하부와 일체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연료탱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라운드부에는
    지면을 향하여 수직으로 돌출된 다수개의 쿨링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연료탱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쿨링핀은
    상기 라운드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평행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연료탱크.
KR1020100115242A 2010-11-18 2010-11-18 차량용 연료탱크 KR1016551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5242A KR101655136B1 (ko) 2010-11-18 2010-11-18 차량용 연료탱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5242A KR101655136B1 (ko) 2010-11-18 2010-11-18 차량용 연료탱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3890A KR20120053890A (ko) 2012-05-29
KR101655136B1 true KR101655136B1 (ko) 2016-09-07

Family

ID=46269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5242A KR101655136B1 (ko) 2010-11-18 2010-11-18 차량용 연료탱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5136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9268A (ko) * 2005-02-03 2006-08-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언더커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3890A (ko) 2012-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08489B2 (ja) 車両用整流装置
EP2476565B1 (en) Air deflecting cover for vehicle
JP5418767B2 (ja) 空気入りタイヤ
EP2969715B1 (en) Improvements in the fuel efficiency of road vehicles
US5692796A (en) Front-end spoiler arrangement for automotive vehicle
JPS62283075A (ja) 自動車特に乗用車
CN104395184B (zh) 具有抑制前轮前方的风流动的机轮减阻罩的车辆前部结构
EP2815952B1 (en) Structure for lower part of vehicle body of vehicle
US2955869A (en) Aerodynamic motorcar
JP4161201B2 (ja) 自動車の空気抵抗低減装置
JP5888434B2 (ja) 車両用整流装置
KR101655136B1 (ko) 차량용 연료탱크
CN206288092U (zh) 一种车轮挡风板
JP2002362429A (ja) 自動車の床下構造
JP5849922B2 (ja) 車両用整流構造
JP3685816B2 (ja) 高速列車を編成する先頭車両の先頭形状
WO2011114509A1 (ja) 車体下部構造
CN110294027B (zh) 底部通道涡流发生器
JP2012245823A (ja) 車両下部構造
CN208438996U (zh) 一种轮胎胎面花纹结构
CN208248319U (zh) 侧分流板和用于机动车辆的分流板组件
JP6537165B2 (ja) 車体下部整流構造
JP4103443B2 (ja) 車両前部の下部構造
JP3624609B2 (ja) 車体の空気抵抗低減構造
JP5569338B2 (ja) 車両用空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