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3998B1 - 레일 스위치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레일 스위치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3998B1
KR101653998B1 KR1020147025418A KR20147025418A KR101653998B1 KR 101653998 B1 KR101653998 B1 KR 101653998B1 KR 1020147025418 A KR1020147025418 A KR 1020147025418A KR 20147025418 A KR20147025418 A KR 20147025418A KR 101653998 B1 KR101653998 B1 KR 1016539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tting device
rail switch
coupling
setting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54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35738A (ko
Inventor
요제프 라이트너
하랄트 코필로비취
Original Assignee
푀스트알피네 하이트로닉스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푀스트알피네 하이트로닉스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푀스트알피네 하이트로닉스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401357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57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39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39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5/00Local operating mechanisms for points or track-mounted scotch-blocks; Visible or audible signals; Local operating mechanisms for visible or audible signals
    • B61L5/02Mechanical devices for operating points or scotch-blocks, e.g. local manual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15/00Indicators provided on the vehicle or train for signalling purposes
    • B61L15/0018Communication with or on the vehicle or train
    • B61L15/0027Radio-based, e.g. using GSM-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7/00Central railway traffic control systems; Trackside control;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1L27/10Operations, e.g. scheduling or time tables
    • B61L27/16Trackside optimisation of vehicle or train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205/00Communication or navigation systems for railway traffic
    • B61L2205/02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 railways [GSM-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ailway Tracks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 Measuring Volume Flow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두 개 스톡 레일(1, 2)들 및 스톡 레일(1, 2)들에 할당된 텅 레일(3, 4)들을 갖는 텅 장치를 포함하는 레일 스위치 제어 장치에 있어서, 여기서 복수의, 특히 세 개 이상의 제어 장치(9, 10)들은 레일 길이 방향으로 오프셋 형태로 배열되고, 여기서 제어 장치(9, 10)들은 동일방향적인 형식으로 구동되는 방식으로 커플링 로드(16)에 의해 서로에게 기계적으로 커플링되며, 커플링 로드는 각 두 개의 인접한 제어 장치(9, 10)들 사이에서 두 개의 평행한 커플링 바(19, 20)들로 구성되는 별도의 이중 로드를 포함하며, 이 커플링 바들은 바의 세로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안내되고, 상기 커플링 바들은 두 개의 인접한 제어 장치(9, 10)들을 서로 기계적으로 커플링하고 두 개의 스톡 레일(1, 2)들 사이로 이어진다.

Description

레일 스위치 제어 장치 {DEVICE FOR CONTROLLING A RAIL SWITCH}
본 발명은 두 개의 스톡 레일들 및 스톡 레일들에 할당된 텅 레일들을 갖는 텅 장치를 포함하는 레일 스위치 세팅 장치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복수의 세팅 장치들은 레일 길이 방향으로 오프셋 형태로(offset) 배열되고, 여기서 세팅 장치들은 동일한 방향으로 구동되는 방식으로 커플링 로드 어셈블리(coupling rod assembly)에 의해 서로 기계적으로 커플링된다.
게다가, 본 발명은 레일 스위치 세팅 장치뿐만 아니라 침목들 상에 장착되는 두 개의 스톡 레일들과 스톡 레일들에 할당된 텅 레일들을 갖춘 텅 장치(tongue device)도 포함하는 레일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텅 레일들을 위한 세팅 장치들은 일반적으로 종래 기술로부터 공지된다. 종래의 세팅 장치들에 있어서, 텅 레일은 전기 또는 유압식 스위치 구동기의 도움으로 기계적으로 바뀌며, 여기서 스위치 록(switch lock)에는 또한 스위치 구동기가 별도로 또는 내부에 통합되어 제공되며, 별도의 단부 위치 점검 장치(end position checking device)는 모든 경우에 제공된다. 스위치 록은 텅 레일을 그것의 각각의 단부 위치에 고정하는 것을 제공한다. 레일 길이 방향으로 오프셋 형태로 배열되며, 적용가능하다면 최신 높은-속도 스위치들로 교환하기 위해 요구되는 각각 통합된 록킹 장치(locking device)들을 포함하는 복수의 세팅 장치들은 여기서 단지 이러한 세팅 장치들의 첫 번째는 보통 드라이브 유닛(drive device)에 연결되며, 나머지 세팅 장치들은 동일한 방향으로 구동되는 방식으로 첫 번째 세팅 장치 및 서로에게 기계적으로 커플링된다. 세팅 또는 록킹 장치들이 텅 레일들 상에 결합하는 평면들은 각각 세팅 또는 록킹 평면들로서 지칭된다.
오스트리아 특허 500296 A1은 통합된 스위치 록을 각각 포함하는 두 개의 세팅 장치들이 레일 길이 방향으로 오프셋 형태로 배열되는 스위치 세팅 장치를 개시하며, 여기서 세팅 장치들을 연결하기 위한 커플링 로드 어셈블리(coupling rod assembly)는 침목들 외부의 측면으로 연장한다.
그러나, 트랙 외부에 커플링 로드 어셈블리의 배열은 포장 공정을 악화시키는 약점을 가진다. 레일 길이 방향으로 오프셋 형태로 배열되는 복수의 세팅 장치들을 서로에 커플링하는 커플링 로드 어셈블리들이 곡선 스위치들에 사용된다면 포장 공정들을 훨씬 더 복잡해진다. 곡률 반경에 따라, 커플링 로드 어셈블리의 상응하는 경사가 곡선 스위치들에서 발생하여 포장 공정에 이용가능한 공간이 현저하게 감소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설명한 단점들을 제거하는 것을 목적한다. 커플링 로드 어셈블리는 포장 공정을 가능한 적게 악화시켜야한다. 게다가 커플링 로드 어셈블리는 가장 간편한 디자인 가능성을 가지고 또한 어떠한 문제 발생 없이 곡선 스위치들로의 용도로 적합해야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처음에 설명한 타입의 세팅 장치는 필수적으로, 커플링 로드 어셈블리가 두 개의 인접한 세팅 장치들을 서로에게 기계적으로 커플링하고 두 개의 스톡 레일들 사이에서 연장되는 두 개의 평행한 커플링 로드들로 구성되는 별도의 이중 로드 어셈블리를 각각 두 개의 인접한 세팅 장치들 사이에서 포함하는 방식으로 개선된다. 포장 공정은 두 개의 평행한 커플링 로드들로 구성되는 별도의 이중의 로드 어셈블리가 두 개의 스톡 레일들 사이에서, 구체적으로 두 개의 스톡 레일들 사이의 대략 중심에서 연장된다는 사실로 인해 거의 손상되지 않는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곡선 스위치 내의 커플링 로드들의 경사조차 포장 공정에 대한 불리한 영향들을 거의 갖지 않아 본 발명의 세팅 장치는 곡선 스위치들에 쉽게 사용될 수 있다. 두 개의 평행한 커플링 로드들로 구성되는 별도의 이중의 로드 어셈블리는 두 개의 인접한 세팅 장치들 사이에 각각 배열되고, 곡선 스위치에서 커플링 로드 어셈블리는 스위치의 곡률에 매우 잘 적응될 수 있어 커플링 로드들의 경사 때문에 요구되는 추가적인 공간이 최소화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에 있어서, 특히 커플링 로드 어셈블리가 트랙 중심에 위치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또한 보장될 수 있다.
일직선의 스위치들에 있어서, 복수의 별도의 커플링 로드들을 갖춘 본 발명의 디자인은 또한 커플링 로드 어셈블리가 세팅 평면들의 수 및 스위치의 길이에 따라 모듈식으로 조립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많은 수의 특히 세팅 평면들이 이러한 방식으로 특히 서로에게 커플링될 수 있다. 세팅 장치가 교체되는 것이 필요하면, 전체의 커플링 로드 어셈블리를 제거하는 것이 필요하지 않는데 왜냐하면 커플링 로드 어셈블리가 개별의 세팅 장치들 위로 연속적으로 연장하지 않고, 오히려 두 개의 인접한 세팅 장치들을 서로 별도로 각각 연결하는 커플링 로드들을 포함하기 때문이다. 결국, 세팅 장치가 후에 쉽게 제거될 수 있도록 교체될 세팅 장치로부터 커플링 로드 어셈블리를 분리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이것은 개별의 커플링 로드들이 레일 길이 방향으로 지칭되는 세팅 장치로부터 일정한 거리를 둔다는 점에서 성취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커플링 로드가 단부들의 양쪽에 있는 각도 레버(angular lever)에 의해서 세팅 장치 상에 각각 결합하는 점에서 세팅 장치들의 측면 전환(switch-over) 운동으로 그들의 길이 방향으로의 커플링 로드 운동(coupling rod motion)의 전환은 바람직하게 구현된다. 이 각도 레버는 동시에 레일 길이 방향으로 커플링 로드들과 세팅 장치 사이에서 이전에 언급한 간격을 보장하며, 세팅 평면들 내에서 전환 행정(switch-over stroke)를 조절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디자인은 복수의 세팅 장치들을 서로에게 기계적으로 커플링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만약 세 개 이상의 세팅 장치들이 서로에게 커플링된다면, 본 발명의 배열은 세팅 장치들이 제 1 세팅 장치, 제 2 세팅 장치 및 제 3 세팅 장치를 포함하는 방식으로 구현되며, 여기서 제 2 세팅 장치는 제 1 세팅 장치와 제 3 세팅 장치 사이에 배열되며, 여기서 제 1 각도 레버 및 제 2 각도 레버는 제 2 세팅 장치 상에 결합되며, 여기서 제 1 각도 레버는 제 1 세팅 장치를 제 2 세팅 장치에 커플링하기 위해 커플링 로드에 연결되며, 여기서 제 2 각도 레버는 제 2 세팅 장치를 제 3 세팅 장치에 커플링하기 위해 연결 로드에 연결된다.
레일 스위치들이 전환될 때, 기본적으로 레일 길이 방향에 따른 다른 변위들을 고려하는 것이 요구된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요구되는 변위가 더 작을수록 텅 레일의 장착점(mounting point)에 배열되는 각각의 세팅 장치의 커플링점(coupling point)은 더 가까워진다. 게다가, 다른 전환(switch-over) 힘들을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며, 여기서 텅 레일의 장착점으로부터의 거리가 감소함에 따라 이러한 전환(switch-over) 힘들은 증가한다. 이것은 지렛대 원리 뿐만 아니라, 텅 레일의 횡단면이 장착점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영역에서보다 텅 레일의 장착점으로부터 더 멀게 위치되는 영역에서 더 작아진다는 사실에 의해 야기된다. 커플링 로드의 한 단부 상에 배열되는 각도 레버가 커플링 로드의 다른 단부 상에 배열되는 각도 레버보다 더 큰 지렛대 비율를 갖는다는 점에서 을 가지므로 각각 요구되는 변위는 바람직하게는 이전에 언급한 각도 레버들의 도움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 있어서, 용어 지렛대 비는 각도 레버의 두 개의 레버 아암들(arms)의 유효 길이들 사이의 비율을 지칭한다.
세팅 장치들이 두 개의 인접한 침목들 사이의 공간 내에 각각 배열된다는 점에서 특히 공간-절감(space-saving) 구조가 바람직하게는 달성된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이것은 침목들 상에 각도 레버들을 피벗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침목들은 결과적으로 각도 레버들에 대한 장착판들의 역할을 하여 별도의 장착판들이 요구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디자인으로 인해, 커플링 로드 어셈블리는 바람직하게는 침목들 초과하여 연장할 수 있다. 이것은 로드 어셈블리의 설치, 유지 및 잠재적인 교체를 단순화한다.
각도 레버 상의 전환(switch-over) 행정의 간단한 측정을 허용하기 위하여, 각도 레버들은 중간에 배열되고 피벗가능하게 커플링되는 펜듈럼 지지대에 의해 세팅 장치에 각각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레일 스위치가 전환될 때, 커플링 로드 어셈블리가 압축력(compressive force)들에 종속되고 따라서 잠재적으로 버클링(buckling)하거나 또는 벌징(bulging)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커플링 로드 어셈블리는 두 개의 인접한 세팅 장치들 사이에서 두 개의 평행한 커플링 로드들을 각각 포함하는 것은 바람직하며, 여기서 상기 커플링 로드들은 두 개의 인접한 세팅 장치들을 서로에게 기계적으로 커플링시키고 두 개의 스톡 레일들 사이에서 연장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이중의 로드 어셈블리가 제공된다. 작용되는 개별의 커플링 로드들가 단지 장력들에만 종속된다.
이중 로드 어셈블리에 대해 요구되는 공간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두 개의 커플링 로드들은 가능한 가까이 서로에게 배열될 필요가 있다. 바람직한 개선에 따르면, 요구되는 레버 아암들을 구현하기 위한 레버 아암들 상에 커플링 로드들의 편심 결합을 더욱 허용하기 위해 두 개의 평행한 커플링 로드들은 크랭크 단부 부분(cranked end section)들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크랭크 단부 부분은 커플링 로드들과 연결되는 별도의 단부 조각들의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세팅 장치들이 동일한 방향으로 구동되는 방식으로 세팅 장치들이 커플링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서, 바람직한 실시예는 두 개의 커플링 로드들중 한 단부 상에 제공되는 크랭크 단부 부분들이 서로 교차하고 두 개의 커플링 로드들중 다른 단부 상에 제공되는 크랭크 단부 부분들이 분기하는 유형으로 구현되는 것을 제안한다.
횡력들은 그들의 단부 부분들의 크랭크 디자인 때문에 커플링 로드들에게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횡력들을 흡수하기 위해 두 개의 평행한 커플링 로드들이 가이드 롤러(guide roller)들과 협동한다면, 유익하다.
본 발명은 도면들에 개략적으로 도시되는 전형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더 상세하게 아래에 설명된다. 이러한 도면들에 있어서, 도 1은 레일 스위치의 평면도를 도시하며, 도 2는 두 개의 세팅 평면들 사이의 이중 로드 어셈블리의 평면도를 도시하고, 도 3은 도 1 III의 상세도를 도시하고, 도 4는 도 1 IV의 상세도를 도시한다.
도 1은 개별의 스톡 레일들과 접촉되도록 할 수 있는 텅 레일(3, 4)들 뿐만 아니라, 두 개의 스톡 레일(1, 2)들을 포함하는 레일 스위치의 부분도 도시한다. 스톡 레일(1, 2)들은 통상적인 장착 장치들의 도움으로 침목(5)들 상에 장착된다. 세팅 장치들은 레일 스위치를 전환하기 위해 제공되며, 3 개의 세팅 평면(6, 7, 8)들 내에 배열된다. 제 1 세팅 장치(9)는 제 1 세팅 평면(6) 내에 배열되며, 제 2 세팅 장치(10)은 제 2 세팅 평면(7) 내에 배열되고, 제 3 세팅 장치(11)는 제 3 세팅 평면(8) 내에 배열된다. 세팅 장치(9, 10, 11)들은 레일 길이 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연장하고 두 개의 텅 레일(3, 4)들 상에 장착된다. 세팅 장치(9, 10, 11)들은 특히 AT 500 296 A1에서 설명되는 것과 같이 구현되고 통합된 스위치 록(switch lock)을 특징으로 하며, 이로 인해 텅 레일(3, 4)들은 개별의 단부 위치에서 록킹될 수 있다.
게다가 도 1은 레일 스위치의 현재 상태를 기계적으로 감지하는 역할 및 점검 신호를 발생시키는 역할을 하는 단부 위치 점검 장치(12, 13)들을 도시하며, 이를 기초로 하여 레일 스위치가 정확하게 전환되었는지 그리고 폐쇄된 및 개방된 텅 레일이 개별적으로 그들의 정확한 단부 위치에 있는지를 신뢰성 있게 결정될 수 있다.
레일 스위치를 전환하기 위해서, 제 1 세팅 장치(9)는 예를 들어 유압식 구동의 형태로 구현되는 작동 유닛(14)과 협동한다. 작동 유닛(14)는 세팅 장치(9)를 구동하여 양방향 화살표(15)의 방향으로 전환 행정을 수행한다. 제 1 세팅 장치(9)는 커플링 로드 어셈블리(16)의 도움으로 제 2 세팅 장치(10) 및 제 3 세팅 장치(11)에 기계적으로 커플링됨으로써 모두 세 개의 세팅 장치(9, 10, 11)들이 동일한 방향으로 전환 운동을 수행한다. 이러한 점에 있어서, 제 1 세팅 장치(9) 및 제 2 세팅 장치(10)는 이중 로드 어셈블리(17)의 도움으로 서로에게 커플링되고 제 2 세팅 장치(10) 및 제 3 세팅 장치(11)은 이중 로드 어셈블리(18)의 도움으로 서로에게 커플링된다. 이러한 경우에 이중 로드 어셈블리(17) 및 이중 로드 어셈블리(18)는 별도의 구성 요소들의 형태로 구현된다.
이중의 로드 어셈블리(17)는 확대된 유형으로 도 2에 도시된다. 이중 로드 어셈블리(17)는 서로에게 평행하게 배열되고 크랭크 단부 부분들을 특징으로 하는 두 개의 커플링 로드(19, 20)들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크랭크 단부 부분들은 별도의 커플링 로드(19, 20)들 상에 나사로 연결될 수 있는 별개의 구성 요소들의 형태로 구현된다. 이러한 방식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개별의 요구들에 따라 다른 크랭크(crank)들을 구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2에 따르면, 커플링 로드(19, 20)들은 도면의 우측 단부 상에서 바깥쪽으로 크랭크되는(cranked), 즉 분기하는 유형으로 연장되는 단부 부분(21)들, 및 도면의 좌측 단부 상에서 서로 교차하는 크랭크 단부 부분들(22)을 특징으로 한다. 단부 부분(21, 22)들은 개별적으로 관절식 연결 유형으로 각도 레버(23, 24)들에게 연결되며, 여기서 이러한 각도 레버들은 펜듈럼(pendulum) 지지대(25, 26)들에 의해 도 2에는 도시되지 않은 세팅 장치(9, 10)에 순차적이며 개별적으로 연결된다. 각도 레버(23, 24)들은 개별적으로 장착판(29, 30)들 상에 장착되어 그들이 개별적으로 피벗팅 축(27, 28)들을 중심으로 피벗팅(pivoted)될 수 있게 된다. 개별의 장착판(29, 30)들은 예를 들어 나사들의 도움으로 침목(5) 상에 장착된다. 커플링 로드(19, 20)들은 커플링 로드들 위로 연장하는 클램프(31)의 도움으로 중심에 장착되며, 여기서 클램프(31)들은 장착판(32)의 도움으로 다시 한번 침목(5) 상에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배열은 커플링 로드(19, 20)들 사이의 간격의 변화 뿐만 아니라 양방향 화살표(33)의 방향으로 커플링 로드(19, 20)들의 운동을 허락할 수 있어야 한다. 개별의 각도 레버(23 또는 24)의 피벗팅 운동(pivoting motion) 중 커플링 로드(19, 20)들 사이의 이러한 간격의 약간 변화가 발생한다.
도 3에 도시되는 상세도는 커플링 로드(19, 20)들이 각도 레버(23) 및 로드(25)의 도움으로 세팅 장치(9) 상에 결합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각도 레버(23)은 양방향 화살표(15)의 방향으로 세팅 장치(9)의 전환 운동을 양방향 화살표(33)의 방향으로 커플링 로드(19, 20)들의 축 운동으로 변환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각도 레버(23)는 장착판(29) 상에 배열되어 그것은 피벗팅 축(27)을 중심으로 피벗팅될 수 있다. 각도 레버(23)의 제 1 레버 아암은 커플링 로드(20)의 커플링 점(34)과 각도 레버(23)의 피벗팅 축(27) 사이에서 연장된다. 커플링 로드(19)에 대하여, 각도 레버(23)의 제 1 레버 아암은 각도 레버(23) 상의 커플링 로드(19)의 커플링 점(35)과 피벗팅 축(27) 사이에서 연장된다. 각도 레버(23)의 제 2 레버 아암(36)은 피벗팅 축(27)과 펜듈럼 지지대(25) 상의 각도 레버(23)의 커플링 점(37) 사이에서 연장된다. 커플링 점(38)상의 피벗팅가능한 배열뿐만 아니라 커플링 점(37) 상의 피벗팅가능한 배열도 구동기 유닛(14)에 의해서 양방향 화살표(15)의 방향으로 세팅 장치(9)의 전환 운동을 원호(39)를 따른 각도 레버(23)의 피벗팅 운동으로 변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각도 레버(23)는 피벗팅 운동을 양방향 화살표(33)에 따른 커플링 로드(19, 20)들의 축 운동으로 순차적으로 변환한다.
도 4는 커플링 로드(19, 20)들의 축 운동이 양방향 화살표(15) 방향으로 세팅 장치(10)의 전환 운동으로 변환되는 방법을 도시한다. 커플링 로드(19, 20)들은 각도 레버(24) 상에서 그들의 바깥쪽의 크랭크 단부 부분들(21)에 결합하며, 여기서 상기 각도 레버는 개별적으로 장착판(30) 상 및 침목(5) 상에 장착되어 축(28)을 중심으로 피벗팅될 수 있다. 각도 레버(24)는 펜듈럼 지지대(26)에 의해 순차적으로 세팅 장치(10) 상에 결합하며, 여기서 운동들의 변환은 도 3에서 참고한 이전의 설명과 유사하게 발생한다.
커플링 로드(19, 20)들은 각도 레버(23) 상의 내부 커플링 포인트(34)들에서 크랭크 부분들(22)과(도 3) 그리고 각도 레버(24) 상의 외부 커플링 포인트(40)들에서 크랭크 단부 부분(21)들과(도 4) 결합한다. 이것은 각도 레버(23)의 제 1 레버 아암의 유효 길이는 각도 레저(24)의 제 1 레버 아암의 유효 길이보다 더 짧음을 의미한다. 결론적으로, 각도 레버(23)의 지렛대 비는 각도 레버(24)의 지렛대 비보다 더 크다. 지렛대 비들 사이의 이러한 차이는 세팅 장치(10)의 전환 행정이 세팅 장치(9)의 전환 행정보다 더 짧은 것을 야기한다.
세팅 장치(11)의 구동은 커플링 로드(41, 42)들을 포함하는 이중 로드 어셈블리(18)의 도움으로 구현된다. 커플링 로드(41, 42)들은 각도 레버(45) 상의 내부 커플링 점들(44)에서 서로 교차되는 이것들의 크랭크 단부 부분들(43)과 결합함으로써 세팅 장치(11)의 전환 행정은 세팅 장치(10)의 전환 행정에 비하여 단축되고 동일한 방향으로 발생한다. 대안적으로, 교차하는 제어 케이블들(control cables)은 또한 커플링 로드들 대신에 사용될 수 있다. 각도 레버(45)는 중간에 배열된 펜듈럼 지지대(46)에 의해 세팅 장치(10) 상에 순차적으로 결합한다.
도 1은 두 개의 스톡 레일들(11) 사이에, 즉 트랙의 중심에서 커플링 로드 어셈블리(16)의 본 발명의 배열이 단지 매우 작은 공간만을 요구함을 도시한다. 커플링 로드 어셈블리(16)은 단부 위치 점검 장치(12, 13)들의 영역에서 이들 침목들(5) 위로 그리고 이러한 침목들을 통해 연장된다. 이러한 도면은 세팅 장치(9, 10, 11)들이 두 개의 인접한 침목(5)들 사이의 공간에서 개별적으로 배열됨을 추가로 도시한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개별적인 커플링 로드(19, 20 또는 41, 42)들은 각각의 세팅 평면들 위로 연속적으로 연장되지 않으며, 오히려 세팅 장치(9, 10, 11)들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개별의 침목(5)들까지 연장된다. 이러한 방식에 있어서, 세팅 장치(9, 10, 11)들은 커플링 로드(19, 20, 41, 42)들을 제거함이 없이 쉽게 교체될 수 있다. 실제로, 이 때에 세팅 장치들이 쉽게 제거될 수 있도록 단지 각각의 각도 레버들이 세팅 장치들로부터 분리되는 것만이 필요하다.

Claims (15)

  1. 레일 스위치 세팅 장치로서,
    두 개의 스톡(stock) 레일 및 상기 스톡 레일에 할당되는 텅(tongue) 레일을 갖춘 텅 장치를 포함하고, 레일 스위치를 전환(switch-over)시키기 위하여 복수의 세팅 장치가 제공되되 침목(5)에 대해 수직한 방향인 레일 길이 방향으로 오프셋 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세팅 장치는 동일한 방향으로 구동되는 방식으로 커플링 로드 어셈블리(coupling rod assembly)를 통해 서로에게 기계적으로 커플링되는,
    레일 스위치 세팅 장치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 로드 어셈블리(16)는 두 개의 인접한 세팅 장치(9, 10) 사이에 두 개의 평행하고 길이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커플링 로드(19, 20)로 이루어진 분리된 이중 로드 어셈블리를 각각 포함하며,
    상기 두 개의 평행하고 길이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커플링 로드(19, 20)는 상기 두 개의 인접한 세팅 장치(9, 10)를 서로에게 기계적으로 커플링시키고 상기 두 개의 스톡 레일(1, 2) 사이에서 연장하며,
    상기 두 개의 평행하고 길이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커플링 로드(19, 20)는 크랭크형(cranked) 단부 부분(21, 2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스위치 세팅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평행하고 길이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커플링 로드(19, 20)가 상기 두 개의 스톡 레일(1, 2) 사이의 중심에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스위치 세팅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평행하고 길이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커플링 로드(19, 20)는, 상기 커플링 로드의 두 개의 단부에 의해서 각도 레버(23, 24)를 통해 상기 세팅 장치(9, 10) 상에 각각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스위치 세팅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 로드(19, 20)의 하나의 단부 상에 배치된 각도 레버(23)가 상기 커플링 로드(19, 20)의 다른 단부 상에 배치된 각도 레버(24)보다 더 큰 지렛대 비(lever ratio)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스위치 세팅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팅 장치가 제 1 세팅 장치(9), 제 2 세팅 장치(10) 및 제 3 세팅 장치(11)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세팅 장치(10)는 상기 제 1 세팅 장치(9)와 상기 제 3 세팅 장치(11) 사이에 배치되고, 제 1 각도 레버(24)와 제 2 각도 레버(45)가 상기 제 2 세팅 장치(10) 상에 결합하고, 상기 제 1 각도 레버(24)는 상기 제 1 세팅 장치(9)를 상기 제 2 세팅 장치(10)에 커플링시키기 위해 커플링 로드(19)에 연결되고, 상기 제 2 각도 레버(45)는 상기 제 2 세팅 장치(10)를 상기 제 3 세팅 장치(11)에 커플링시키기 위해 커플링 로드(41)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스위치 세팅 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침목(5) 상에 각도 레버(23, 24, 45)가 피벗팅 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스위치 세팅 장치.
  7. 제 3 항에 있어서,
    중심에 배치되고 피벗팅 가능하게 커플링되는 펜듈럼 지지대(pendulum support)(26, 46)를 통해, 세팅 장치(10) 상에 각도 레버(23, 24, 45)가 각각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스위치 세팅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평행하고 길이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커플링 로드(19, 20)의 하나의 단부 상에 제공된 크랭크 단부 부분(22)들은 서로 교차하는 유형으로 구현되고, 상기 두 개의 평행하고 길이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커플링 로드(19, 20)의 다른 단부 상에 제공된 크랭크 단부 부분(21)들은 분기하는 유형으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스위치 세팅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평행하고 길이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커플링 로드(19, 20)가 가이드 롤러들과 협동(cooperate)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스위치 세팅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세팅 장치(9, 10, 11) 상에 구동기 유닛이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스위치 세팅 장치.
  11. 제 1 항에 따른 레일 스위치 세팅 장치와 함께, 침목(5) 상에 장착된 두 개의 스톡 레일(1, 2) 및 상기 스톡 레일에 할당되는 텅 레일(3, 4)을 갖는 텅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스위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침목(5) 위로 커플링 로드 어셈블리(16)가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스위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두 개의 인접한 침목(5) 사이의 공간 내에 또는 중공 침목 내에, 상기 세팅 장치가 각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스위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세팅 장치가 세 개 이상의 세팅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스위치 세팅 장치.
  1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 유닛이 유압식 구동기 유닛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스위치 세팅 장치.
KR1020147025418A 2012-02-09 2013-02-07 레일 스위치 제어 장치 KR1016539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TA171/2012 2012-02-09
ATA171/2012A AT512494A1 (de) 2012-02-09 2012-02-09 Einrichtung zum umstellen einer schienenweiche
PCT/AT2013/000021 WO2013116882A1 (de) 2012-02-09 2013-02-07 Einrichtung zum umstellen einer schienenweich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5738A KR20140135738A (ko) 2014-11-26
KR101653998B1 true KR101653998B1 (ko) 2016-09-05

Family

ID=47826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5418A KR101653998B1 (ko) 2012-02-09 2013-02-07 레일 스위치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EP (1) EP2812226B1 (ko)
KR (1) KR101653998B1 (ko)
CN (1) CN104379429B (ko)
AT (2) AT13174U3 (ko)
BR (1) BR112014019516B1 (ko)
HU (1) HUE027783T2 (ko)
PL (1) PL2812226T3 (ko)
WO (1) WO2013116882A1 (ko)
ZA (1) ZA201406284B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42370A1 (en) * 2001-08-31 2003-03-06 Gary Click Assist rod and basket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12019A (en) * 1941-05-27 1943-02-23 Union Switch & Signal Co Railway switch operating apparatus
FR1157525A (fr) * 1956-08-31 1958-05-30 Sncf Dispositif pour une immobilisation de position semi-dépendante et talonnable des lames d'aiguillages de voies ferrées
DE20117484U1 (de) * 2001-10-25 2003-03-06 Hanning & Kahl Gmbh & Co Umstelleinrichtung für Weichen
DE10330999A1 (de) * 2003-07-03 2005-02-03 Siemens Ag Einrichtung zum Umstellen von Weichen
AT500296B1 (de) * 2003-10-31 2006-12-15 Vae Gmbh Einrichtung zum verriegeln von endlagen von beweglichen weichenteilen, insbesondere weichenverschluss
DE102004046338A1 (de) * 2004-09-20 2006-04-06 Siemens Ag Vorrichtung zur Bewegungs- und Kraftübertragung
KR100866808B1 (ko) * 2006-12-29 2008-11-04 삼표이앤씨 주식회사 분기기용 연동장치 구조 및 연동방법
AT507216B1 (de) * 2008-09-11 2010-03-15 Vae Eisenbahnsysteme Gmbh Vorrichtung zum festlegen einer weichenstelleinrichtung an backenschienen einer schienenweiche
CN202320401U (zh) * 2011-11-16 2012-07-11 何家林 一种电动液压转辙机用间歇式启动板装置及其中的间歇式启动板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42370A1 (en) * 2001-08-31 2003-03-06 Gary Click Assist rod and basket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14019516B1 (pt) 2021-06-01
AT512494A1 (de) 2013-08-15
WO2013116882A1 (de) 2013-08-15
CN104379429A (zh) 2015-02-25
EP2812226A1 (de) 2014-12-17
AT13174U3 (de) 2014-04-15
BR112014019516A2 (ko) 2017-06-20
CN104379429B (zh) 2016-06-29
BR112014019516A8 (pt) 2017-07-11
AT13174U2 (de) 2013-07-15
PL2812226T3 (pl) 2016-10-31
ZA201406284B (en) 2016-02-24
KR20140135738A (ko) 2014-11-26
EP2812226B1 (de) 2016-04-13
HUE027783T2 (en) 2016-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31379B2 (en) High/low bed and leg assembly for raising and lowering the high/low bed
US7341226B2 (en) Movable point frog switching assembly
US7677177B2 (en) Device for the disassembly of rail anchors
KR20150139557A (ko) 전환 구조물 및 이러한 전환 구조물을 갖는 철도 브리지
KR101653998B1 (ko) 레일 스위치 제어 장치
CN105934549A (zh) 桥接装置
CN109312543A (zh) 用于形成轨道固定装置的系统和轨道固定装置
AU764345B2 (en) Rail switch lock for points tongues
EP1954881B1 (de) Biegeträger für eine magnetschwebebahn
DE102012108492A1 (de) Stromabnehmer
EP2455251B1 (de) Stromabnehmerwippe
KR20190036684A (ko) 선로전환시스템의 분기기용 쇄정장치
GB2435893A (en) Railway switch
US11203366B2 (en) Track switch
RU115786U1 (ru) Устройство перевода стрелочного
AU5676200A (en) System for securing and/or controlling the final position of a rail
US9114811B2 (en) Cable transportation system switch
CN85101809B (zh) 铁路道岔
KR101872569B1 (ko) 굴절형 분기기에 적용되는 제3 궤조 전차선로
EP4069907A1 (de) Weichenanordnung für ein spurgebundenes fahrzeug
JP6676187B2 (ja) 跨座型モノレール分岐器
CN106715232A (zh) 用于导轨转辙器的能够运动的部件的端部位置检查的装置
CN105658872A (zh) 具有可旋转安装的工作框架的捣固机器
US410560A (en) Charles partington
JPH04297602A (ja) 鉄道の分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