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3729B1 - 부유물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부유물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3729B1
KR101653729B1 KR1020130164272A KR20130164272A KR101653729B1 KR 101653729 B1 KR101653729 B1 KR 101653729B1 KR 1020130164272 A KR1020130164272 A KR 1020130164272A KR 20130164272 A KR20130164272 A KR 20130164272A KR 101653729 B1 KR101653729 B1 KR 1016537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hip
contaminated water
inflow
pollut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42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75883A (ko
Inventor
성기정
Original Assignee
한국항공우주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항공우주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항공우주연구원
Priority to KR10201301642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3729B1/ko
Publication of KR201500758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58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37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37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32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llecting pollution from open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유물 제거장치는 선박의 외부에 설치되어 선박의 전진 시 오염수를 내측 중심부로 유도하여 내부로 유입하고, 상기 오염수의 유입 시 발생하는 압력을 통해 유입된 상기 오염수를 상기 선박의 내부로 이송시키는 수집부, 그리고 상기 선박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수집부를 통해 이송된 상기 오염수를 밀도 차를 이용하여 오염물질과 물로 분리한 후, 상기 물만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정화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선박의 이동만으로 오염수를 선박의 내부로 유입시켜 포집한 후, 밀도 차를 이용하여 자연적으로 오염물질과 물을 분리하여 오염물질만을 제거함으로써, 오염물질이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방제작업 시 소모되는 비용 및 시간을 절감할 수 있고, 수질의 2차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부유물 제거장치{Floating material removal device}
본 발명은 선박 또는 수상 구조물 등에 설치되어 부유물을 제거할 수 있는 부유물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천, 강 또는 바다와 같은 장소에 선박사고 및 환경적 요인에 의해 기름누출 또는 녹조 등과 같은 수질오염이 발생할 경우, 이를 신속히 해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방제작업이 이루어진다.
대표적인 방제작업으로는, 부직포 흡착방법 및 유화제 살포방법 등이 있다.
더 자세하게는, 부직포 흡착방법은 바다 또는 강의 오염지역을 파악한 후, 해당 지역에 흡착력이 좋은 부직포를 투척하여 오염물질을 부직포 표면에 흡착시켜 회수 후, 별도로 처리하는 방법이다.
또한, 유화제 살포방법은 오염지역에 유화제를 살포하여 오염물질을 응고시킨 후, 수면 아래로 침전시켜 응고된 오염물질을 자연 분해시키는 방법이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방제작업은 오염물질을 제거하는데 소요되는 시간과 작업을 위해 투입되는 인력의 소모가 많아 운영비용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부직포를 투척한 후 오염물질을 회수하는 작업에 의해 오염지역의 오염범위가 점차 넓어지거나, 유화제를 통해 응고되어 수면 밑으로 침전된 오염물질은 일정시간 동안 분해되지 않고, 물속에서 응고된 상태를 유지하여 수중생물에 의해 2차 오염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78094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강 또는 바다에 기름 또는 녹조 등과 같은 수질오염이 발생될 경우, 선박의 이동만으로 선박의 내부에 자체적으로 오염수를 포집하고, 포집된 오염수를 오염물질과 물 간의 밀도 차를 이용하여 자연적으로 분리시켜 오염물질만을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는 부유물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유물 제거장치는 선박의 외부에 설치되어 선박의 전진 시 오염수를 내측 중심부로 유도하여 내부로 유입하고, 상기 오염수의 유입 시 발생하는 압력을 통해 유입된 상기 오염수를 상기 선박의 내부로 이송시키는 수집부, 그리고 상기 선박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수집부를 통해 이송된 상기 오염수를 밀도 차를 이용하여 오염물질과 물로 분리한 후, 상기 물만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정화부를 포함한다.
상기 수집부는 일측에 형성된 유입구를 통해 상기 오염수가 유입되는 오염수 유입부, 그리고 상기 오염수 유입부와 상기 정화부를 연결하고, 상기 오염수 유입부로부터 유입된 상기 오염수를 상기 정화부 측으로 이송시키는 흡입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염수 유입부는 아치(arch)형상으로 형성된 부유체이고, 상기 유입구는 상기 일측의 중심부에 형성되어, 전방에 거름망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수집부는 상기 오염수 유입부에 설치되어 상기 유입구에 부착되거나, 상기 유입구의 전방에 표류되어 상기 오염수의 유입을 방해하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 제거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집부는 상기 선박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흡입관과 연결되고, 압력작용을 이용하여 상기 오염수 유입부로부터 유입된 상기 오염수를 상기 흡입관을 통해 상기 정화부 측으로 이송시키는 유입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집부는 상기 선박에 설치되어 상기 오염수 유입부와 연결되고, 상기 선박의 이동 시, 상기 오염수 유입부를 견인하는 견인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견인수단은 상기 선박의 외측에 회동 가능한 구조로 설치되어 회동을 통하여 상기 오염수 유입부를 고정 또는 해제시키는 회동 구조물, 그리고 상기 회동 구조물과 상기 오염수 유입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동 구조물은 상기 선박의 외측에 설치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부, 그리고 상기 고정부와 상기 회전부 사이에 설치되는 힌지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화부는 상측에 상기 오염물질이 흡입되어 이송되는 오염물질 이송관이 결합되고, 하측에 상기 물이 배출되는 배출관이 결합되는 정화탱크, 그리고 상기 오염물질 이송관에 연결되어 상기 정화탱크와 연통되고, 상기 오염물질 이송관을 통해 이송된 상기 오염물질이 저장되는 오염물질 수집탱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화탱크는 관형의 몸체, 그리고 상기 몸체 내부에 미리 설정된 높이로 설치되어 상기 몸체 내부를 구획하는 격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리 설정된 높이는 상기 정화탱크 내부로 유입된 상기 오염수가 상기 배출관을 통해 바로 배출되지 않고, 미리 설정된 용량만큼 충전되면서 밀도 차에 의해 자연적으로 상기 오염물질 및 상기 물로 분리될 수 있는 높이일 수 있다.
상기 격벽은 복수의 부재를 수직으로 순차적으로 적층하여 높이 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구조물일 수 있다.
상기 정화탱크는 상기 선박의 내부에 수평 또는 수직으로 복수개로 배치되고, 상기 정화탱크의 하측에는 분리된 상기 물이 이송되는 물 이송관이 설치되어 복수개로 배치된 상기 정화탱크를 서로 연결할 수 있다.
상기 물 이송관에는 유량조절 수단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격벽은 상기 몸체의 내부에 복수개로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선박의 이동만으로 오염수를 선박의 내부로 유입시켜 포집한 후, 밀도 차를 이용하여 자연적으로 오염물질과 물을 분리하여 오염물질만을 제거함으로써, 오염물질이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방제작업 시 소모되는 비용 및 시간을 절감할 수 있고, 수질의 2차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유물 제거장치가 선박에 적용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유물 제거장치가 선박에 적용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A"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2의 "B"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5는 정화부의 정화탱크가 복수형태로 배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정화부의 정화탱크가 단일형태로 배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높이 조절이 가능한 격벽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유물 제거장치가 선박에 적용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유물 제거장치가 선박에 적용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A"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또한, 도 4는 도 2의 "B"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고, 도 5는 정화부의 정화탱크가 복수형태로 배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6은 정화부의 정화탱크가 단일형태로 배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7은 높이 조절이 가능한 격벽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부유물 제거장치(100)(이하 '부유물 제거장치(100)'라 함)는 선박(200)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오염물질(300a)이 포함된 오염수(300)를 유입하는 수집부(10) 및 내부로 유입된 오염수(300)를 정화하는 정화부(30)를 포함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부유물 제거장치(100)는 선박(200)의 외부에 설치되어 선박(200)의 전진 시, 오염수(300)를 내측 중심부로 유도하여 내부로 유입하고, 오염수(300)의 유입 시, 발생하는 압력을 통해 유입된 오염수(300)를 선박(200)의 내부로 이송시키는 수집부(10), 그리고 선박(200)의 내부에 설치되어 수집부(10)를 통해 이송된 오염수(300)를 밀도 차를 이용하여 오염물질(300a)과 물(300b)로 분리한 후, 물(300b)만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정화부(30)를 포함한다.
먼저, 수집부(1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수집부(10)는 일측에 형성된 유입구(111)를 통해 오염수(300)가 유입되는 오염수 유입부(11)를 포함할 수 있다.
더 자세하게는, 오염수 유입부(11)는 아치형상으로 형성된 부유체로서, 일측의 중심부에는 상기한 유입구(111)가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2에서와 같이 오염수 유입부(11)는 선박(200)의 이동방향을 향하는 일측이 아치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중심부에는 선박(200)의 이동 시, 오염수(300)가 유입되는 유입구(111)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오염지역으로 선박(200)의 이동 시, 오염수(300)는 오염수 유입부(11)의 일측에 형성된 아치형상의 내면을 따라 오염수 유입부(11)의 중심부로 이동하게 되고, 오염수 유입부(11)의 중심부로 집중되는 오염수(300)는 자연스럽게 일측의 중심부에 형성된 유입구(111)로 유입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유입구(111)를 통해 오염수 유입부(11)의 내부로 유입된 오염수(300)는 후술하는 유입펌프(17)에 의해 흡입관(13)을 따라 정화부(30) 측으로 이송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유입구(111)는 오염수 유입부(11)의 일측 중앙에 단일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동일한 작용 및 효과를 구현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복수형태로도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유입구(111)의 전방에는 거름망(113)이 설치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유입구(111)의 전방에는 오염수(300) 이외에 수상에 표류된 이물질 또는 물고기 등과 같은 해양 생물들이 유입되지 않도록 일정 크기의 메시(mesh)를 갖는 거름망(113)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부유물 제거장치(100)의 수집부(10)는 이물질 제거수단(1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오염수 유입부(11)에는 유입구(111)에 부착되거나, 유입구(111)의 전방에 표류되어 오염수(300)의 유입을 방해하는 이물질(도시되지 않음) 등을 제거하는 이물질 제거수단(15)이 설치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선박(200)의 이동 시, 유입구(111)에는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유입구(111)를 막아 오염수(300)의 유입을 방해하는 이물질이 표류 또는 부착될 수 있다. 이를 제거하기 위하여, 오염수 유입부(11)의 어느 한 위치에는 제어를 통해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 제거수단(15)이 설치될 수 있다. 이물질 제거수단(15)은 간헐적으로 유입구(111)에 압축된 고압의 공기를 분사하여 유입구(111)에 부착된 점성이 강한 이물질과 유입구(111)의 전방에 표류된 이물질을 제거함으로써, 오염수(300)의 유입을 원활하게 한다. 이물질 제거수단(15)은 선박(200)의 제어시설(도시되지 않음)과 연결되어 작업자를 통해 선택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수집부(10)는 오염수 유입부(11)로부터 유입된 오염수(300)가 유동 가능한 흡입관(13)을 포함할 수 있다.
더 자세하게는, 수집부(10)는 오염수 유입부(11)와 정화부(30)를 연결하고, 오염수 유입부(11)로부터 유입된 오염수(300)를 정화부(30) 측으로 이송시키는 흡입관(13)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흡입관(13)은 오염수 유입부(11)로부터 연장되어 후술할 정화부(30)의 정화탱크(31)와 연결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높은 수압 또는 기압에 견딜 수 있게 제작된 플렉시블(flexible)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수집부(10)는 선박(200)의 내측에 배치되어 흡입관(13)과 연결되고, 압력작용을 이용하여 오염수 유입부(11)로부터 유입된 오염수(300)를 흡입관(13)을 통해 정화부(30) 측으로 이송시키는 유입펌프(17)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선택적으로 유입펌프(17)를 구동시켜, 오염수 유입부(11)로 유입되는 오염수(300)의 양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부유물 제거장치(100)의 수집부(10)는 오염수 유입부(11)와 결속되어 오염수 유입부(11)를 선박(200)으로부터 고정시킬 수 있는 견인수단(19)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수집부(10)는 선박(200)에 설치되어 오염수 유입부(11)와 연결되고, 선박(200)의 이동 시, 오염수 유입부(11)를 견인하는 견인수단(19)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더 자세하게는, 견인수단(19)은 선박(200)의 외측에 회동 가능한 구조로 설치되어 회동을 통하여 오염수 유입부(11)를 고정 또는 해제시키는 회동 구조물(191), 그리고 회동 구조물(191)과 오염수 유입부(11)를 연결하는 연결부재(193)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회동 구조물(191)은 선박(200)의 외측에 설치되는 고정부(1911), 고정부(1911)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부(1913), 그리고 고정부(1911)와 회전부(1913) 사이에 설치되는 힌지핀(1915)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연결부재(193)는 회전부(1913)의 단부와 오염수 유입부(11)의 양 단부를 연결하는 와이어 또는 체인일 수 있고, 별도의 가공을 통해 길이 조절이 가능한 구조로 체결될 수 있다.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 구조물(191)은 선박(200)의 상부 또는 측부에 설치되어, 공지의 구동수단(미도시)을 통해 회전부(1913)를 회동 시킴으로써 연결부재(193)를 선박(200)의 외측으로 당김으로써(이때, 도 2 기준으로 회전부(1913)는 벌어지게 됨), 오염수 유입부(11)를 선박(200) 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오염수 유입부(11)는 견인수단(19)을 통하여 선박(200)에 고정되어 빠른 유속에 의하여 급격히 흔들리거나, 전복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정화부(3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정화부(30)는 흡입관(13)과 연결되어 오염수(300)가 유입되는 정화탱크(31) 및 정화탱크(31)와 연결되어 정화과정을 통해 분리된 오염물질(300a)이 저장되는 오염물질 수집탱크(33)를 포함할 수 있다.
더 자세하게는, 정화부(30)는 상측에 오염물질(300a)이 흡입되어 이송되는 오염물질 이송관(351)이 결합되고, 하측에 물(300b)이 배출되는 배출관(353)이 결합되는 정화탱크(31), 그리고 오염물질 이송관(351)에 연결되어 정화탱크(31)와 연통되고, 오염물질 이송관(351)을 통해 이송된 오염물질(300a)이 저장되는 오염물질 수집탱크(33)를 포함할 수 있다.
정화탱크(31)는 관형의 몸체(311), 그리고 몸체(311) 내부에 미리 설정된 높이로 설치되어 몸체(311) 내부를 구획하는 격벽(313)을 포함할 수 있다.
더 자세하게는, 정화탱크(31)는 내부에 오염수 유입부(11)로부터 이송된 오염수(300)가 저장될 수 있도록, 일정 크기를 갖는 관형상으로 형성되어 상측 및 하측에 각각 오염물질 이송관(351) 및 배출관(353)이 결합되고, 내부에는 미리 설정된 높이로 형성되어 내부 공간을 구획하는 격벽(313)이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격벽(313)의 미리 설정된 높이는 정화탱크(31) 내부로 유입된 오염수(300)가 배출관(353)을 통해 바로 배출되지 않고, 미리 설정된 용량만큼 충전되면서 밀도 차에 의해 자연적으로 오염물질(300a) 및 물(300b)로 분리될 수 있는 높이일 수 있다.
즉, 정화탱크(31)의 일측 공간으로 유입된 오염수(300)는 배출관(353)을 통해 곧바로 배출되지 않고, 격벽(313)을 따라 일정 높이까지 충전됨으로써, 밀도 차에 의해 자연적으로 오염물질(300a) 및 물(300b)로 분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물(300b)보다 가벼운 오염물질(300a)은 정화탱크(31)의 상측에 결합된 오염물질 이송관(351)을 통해 흡입되어 오염물질 수집탱크(33)로 저장되고, 밀도 차에 의해 오염물질(300a)의 아래에 위치하는 물(300b)은 격벽(313)을 넘어 정화탱크(31)의 타측 공간으로 이동된 후, 배출관(353)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도 5를 참고하여 부연하면, 유입펌프(17)의 작용에 의하여 흡입관(13)으로부터 정화탱크(31) 쪽으로 대기압 이상의 압력이 가해지게 되고 이때 오염물질 수집탱크(33) 및 이에 연결된 오염물질 이송관(351)에는 대기압이 작용하고 있어, 정화탱크(31)의 상단에 수집되어 있는 오염물질(300a)의 대부분은 오염물질 이송관(351)을 따라 오염물질 수집탱크(33)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예컨대, 수도 호스에 구멍이 난 경우 물이 분출되는 것에 비유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상기한 미리 설정된 용량은 몸체(311)의 높이 및 흡입관(13)을 통해 정화탱크(31) 내로 유입되는 오염수(300)의 유입량에 따라 가변되어 적용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격벽(313)은 도 7과 같이, 복수의 부재를 수직으로 순차적으로 적층하여 높이 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구조물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정화탱크(31)의 내부에는 오염물질(300a)의 높이를 가늠할 수 있는 센서(도시되지 않음)가 추가로 설치되어, 정화탱크(31) 내에서 오염물질(300a)이 일정 높이에 다다를 경우, 이를 작업자에게 경고하여 오염물질 이송관(351)을 통해 오염물질(300a)을 흡입할 수 있다.
한편, 본 부유물 제거장치(100)는 오염수(300)를 다중으로 정화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더 자세하게는, 본 부유물 제거장치(100)의 정화탱크(31)는 선박(200)의 내부에 수평 또는 수직으로 복수개로 배치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정화탱크(31)는 선박(200) 내부에 수평으로 복수개 배치되고, 복수개로 배치된 각 정화탱크(31)의 하측에는 분리된 물(300b)이 이송되는 물 이송관(355)이 설치되어 복수개로 배치된 정화탱크(31)를 서로 연결할 수 있다.
즉, 오염수(300)에서 분리된 물(300b)은 복수의 정화탱크(31)를 연결하는 물 이송관(355)을 통해 다음 정화탱크(31)의 일측 공간으로 유입되고, 동일한 정화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때, 복수의 정화탱크(31)를 서로 연결하는 물 이송관(355)에는 개폐를 통하여 다음 정화탱크(31)로 유입되는 물(300b)의 유입을 제어하는 유량조절 수단(357)이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정화탱크(31)에는 배출관(353)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수질의 오염 정도에 따라 물 이송관(355)의 유량조절 수단(357)을 선택적으로 개폐하여 오염수(300)의 정화 수행단계를 조절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배출관(353)에는 미세필터(도시되지 않음)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도면상에서 도시되지 않았으나 정화탱크(31)가 수직으로 복수개 배치된 경우에도, 정화탱크(31)가 수평으로 복수개 배치된 상태와 동일한 과정으로 오염수(300)를 정화시킬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본 부유물 제거장치(100)의 정화탱크(31)는 선박(200)의 내부에 단일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정화탱크(31)는 선박(200) 내부에 단일형태로 배치되고, 내부에는 미리 설정된 높이의 격벽(313)이 복수개 설치될 수 있다.
즉, 단일형태로 배치된 정화탱크(31)의 내부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격벽(313)이 상하로 설치되어, 정화탱크(31) 내부를 다수로 구획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정화탱크(31)의 일측에서 유입되는 오염수(300)는 다수로 구획된 정화탱크(31) 내부를 순차적으로 지나 오염물질(300a) 및 물(300b)로 분리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 의하면, 선박(200)의 이동만으로 오염수(300)를 선박(200)의 내부로 유입시켜 포집한 후, 밀도 차를 이용하여 자연적으로 오염물질(300a)과 물(300b)을 분리하여 오염물질(300a)만을 제거함으로써, 오염물질(300a)이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방제작업 시 소모되는 비용 및 시간을 절감할 수 있고, 수질의 2차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한 것으로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 및 수정을 포함한다.
100. 부유물 제거장치
10. 수집부
11. 오염수 유입부
111. 유입구 113. 거름망
13. 흡입관 15. 이물질 제거수단
17. 유입펌프
19. 견인수단
191. 회동 구조물
1911. 고정부 1913. 회전부
1915. 힌지핀
193. 연결부재
30. 정화부
31. 정화탱크
311. 몸체 313. 격벽
33. 오염물질 수집탱크
351. 오염물질 이송관 353. 배출관
355. 물 이송관 357. 유량조절 수단
200. 선박
300. 오염수
300a. 오염물질 300b. 물

Claims (15)

  1. 선박의 후방에 연결되어 상기 선박의 전진 시 오염수를 내측 중심부로 유도하여 내부로 유입시키고, 유입펌프에 의하여 상기 오염수를 상기 선박의 내부로 이송시키는 수집부, 그리고
    상기 선박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수집부를 통해 이송된 상기 오염수를 밀도 차를 이용하여 오염물질과 물로 분리한 후, 상기 물만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정화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집부는
    일측에 형성된 유입구를 통해 상기 오염수가 유입되는 오염수 유입부,
    상기 오염수 유입부와 상기 정화부를 연결하고, 상기 오염수 유입부로부터 유입된 상기 오염수를 상기 정화부 측으로 이송시키는 흡입관, 그리고
    상기 선박에 설치되고 상기 오염수 유입부와 결속되어 상기 오염수 유입부를 상기 선박으로부터 고정시킬 수 있는 견인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견인수단은
    상기 선박의 외측에 설치되어 일 측 또는 타 측 방향으로 회동 가능한 회동 구조물 및 상기 회동 구조물과 상기 오염수 유입부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회동 구조물의 회동방향에 따라 상기 연결부재를 상기 선박의 외측으로 당겨 상기 오염수 유입부를 상기 선박 측으로 이동시키거나, 상기 선박의 외측으로 당겨진 상기 연결부재를 이완시켜 상기 오염수 유입부를 상기 선박으로부터 이격시키는 부유물 제거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유입펌프는 상기 선박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흡입관과 연결되고 상기 오염수 유입부로부터 유입된 상기 오염수를 상기 흡입관을 통해 상기 정화부 측으로 이송시키는 부유물 제거장치.
  3. 제1항에서,
    상기 오염수 유입부는
    아치(arch)형상으로 형성된 부유체이고,
    상기 유입구는
    상기 일측의 중심부에 형성되어, 전방에 거름망이 설치되는 부유물 제거장치.
  4. 제2항에서,
    상기 수집부는
    상기 오염수 유입부에 설치되어 상기 유입구에 부착되거나, 상기 유입구의 전방에 표류되어 상기 오염수의 유입을 방해하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 제거수단을 포함하는 부유물 제거장치.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서,
    상기 회동 구조물은
    상기 선박의 외측에 설치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부, 그리고
    상기 고정부와 상기 회전부 사이에 설치되는 힌지핀을 포함하는 부유물 제거장치.
  9. 제1항에서,
    상기 정화부는
    상측에 상기 오염물질이 흡입되어 이송되는 오염물질 이송관이 결합되고, 하측에 상기 물이 배출되는 배출관이 결합되는 정화탱크, 그리고
    상기 오염물질 이송관에 연결되어 상기 정화탱크와 연통되고, 상기 오염물질 이송관을 통해 이송된 상기 오염물질이 저장되는 오염물질 수집탱크를 포함하는 부유물 제거장치.
  10. 제9항에서,
    상기 정화탱크는
    관형의 몸체, 그리고
    상기 몸체 내부에 미리 설정된 높이로 설치되어 상기 몸체 내부를 구획하는 격벽을 포함하는 부유물 제거장치.
  11. 제10항에서,
    상기 미리 설정된 높이는
    상기 정화탱크 내부로 유입된 상기 오염수가 상기 배출관을 통해 바로 배출되지 않고, 미리 설정된 용량만큼 충전되면서 밀도 차에 의해 자연적으로 상기 오염물질 및 상기 물로 분리될 수 있는 높이인 부유물 제거장치.
  12. 제10항에서,
    상기 격벽은 복수의 부재를 수직으로 순차적으로 적층하여 높이 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구조물인 부유물 제거장치.
  13. 제9항에서,
    상기 정화탱크는 상기 선박의 내부에 수평 또는 수직으로 복수개로 배치되고,
    상기 정화탱크의 하측에는 분리된 상기 물이 이송되는 물 이송관이 설치되어 복수개로 배치된 상기 정화탱크를 서로 연결하는 부유물 제거장치.
  14. 제13항에서,
    상기 물 이송관에는 유량조절 수단이 설치되는 부유물 제거장치.
  15. 제10항에서,
    상기 격벽은 상기 몸체의 내부에 복수개로 설치되는 부유물 제거장치.
KR1020130164272A 2013-12-26 2013-12-26 부유물 제거장치 KR1016537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4272A KR101653729B1 (ko) 2013-12-26 2013-12-26 부유물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4272A KR101653729B1 (ko) 2013-12-26 2013-12-26 부유물 제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5883A KR20150075883A (ko) 2015-07-06
KR101653729B1 true KR101653729B1 (ko) 2016-09-02

Family

ID=537889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4272A KR101653729B1 (ko) 2013-12-26 2013-12-26 부유물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372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54647A (zh) * 2019-05-13 2019-09-20 嘉兴古辛达贸易有限公司 一种水质监测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9939B1 (ko) 1998-05-25 2001-03-02 김복중 기름 수거용 선박 및 수거 방법
KR101119492B1 (ko) 2010-07-02 2012-02-28 한경득 부유식 기름 회수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5114Y1 (ko) * 1993-10-29 1996-06-21 김동기 해상유출기름제거선
KR20090078094A (ko) 2008-01-14 2009-07-17 이여한 해양오염(적조,유류)방제정화장치 선박
KR20080014105A (ko) * 2008-01-21 2008-02-13 이선희 유류오염 제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9939B1 (ko) 1998-05-25 2001-03-02 김복중 기름 수거용 선박 및 수거 방법
KR101119492B1 (ko) 2010-07-02 2012-02-28 한경득 부유식 기름 회수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54647A (zh) * 2019-05-13 2019-09-20 嘉兴古辛达贸易有限公司 一种水质监测设备
CN110254647B (zh) * 2019-05-13 2021-06-22 黑龙江仙御饮品有限公司 一种水质除杂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5883A (ko) 2015-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40249B2 (ja) 閉鎖循環養殖装置
JP4632939B2 (ja) 水の浄化装置並びに水の浄化方法、排ガス処理装置用の浄化装置並びに排ガス処理装置用の浄化システム
KR102078452B1 (ko) 수중 오염물 제거장치
CA2070783C (en) Filter arrangement
HUE026311T2 (en) Painting cabinet equipped with cleaning equipment
JP2007130585A (ja) 活性炭吸着装置
JP2007307465A (ja) 管内異物除去装置
KR101005842B1 (ko) 하천환경정화기구
JPH107076A (ja) 海洋汚染防止用のオイル防災船
KR101653729B1 (ko) 부유물 제거장치
KR101511949B1 (ko) 해상 유출유류의 오염방지를 위한 유류 처리장치
KR100516809B1 (ko) 흡입식 해저 및 저수지 침전물 제거 장치
KR101832271B1 (ko) 다목적 해양 오염 방제선박
JP7361440B2 (ja) 濾過装置及び方法
KR100468008B1 (ko) 슬러지 제거장치
US6115954A (en) Collection assemblies and methods for use in harvesting brine shrimp eggs
KR20190061685A (ko) 자동화 유회수 유/무인 선박
KR101603743B1 (ko) 모래 여과재에 의한 수처리 여과장치
JP3144623B2 (ja) 貯水池のごみ収集装置
KR20160119651A (ko) 해양유출기름 회수장치용 유수분리팩 및 이를 이용한 유수분리장치
KR101733674B1 (ko) 에어버블을 이용한 해양생물 유입방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해양생물의 유입방지 및 제거 방법
JP7216922B2 (ja) 泥水処理システム及びそれを用いた泥水処理方法
JP2004329065A (ja) 食品洗浄装置における洗浄水濾過装置
JPH1015306A (ja) 沈殿物排出装置
KR20190015780A (ko) 선박을 이용한 유출 기름 제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