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9651A - 해양유출기름 회수장치용 유수분리팩 및 이를 이용한 유수분리장치 - Google Patents

해양유출기름 회수장치용 유수분리팩 및 이를 이용한 유수분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9651A
KR20160119651A KR1020150048657A KR20150048657A KR20160119651A KR 20160119651 A KR20160119651 A KR 20160119651A KR 1020150048657 A KR1020150048657 A KR 1020150048657A KR 20150048657 A KR20150048657 A KR 20150048657A KR 20160119651 A KR20160119651 A KR 201601196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oil
separation
space
sepa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86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84362B1 (ko
Inventor
김종인
Original Assignee
(주)거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거도 filed Critical (주)거도
Priority to KR10201500486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4362B1/ko
Priority to PCT/KR2015/004519 priority patent/WO2016163581A1/ko
Publication of KR201601196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96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43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43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7/00Separation of liquid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by thermal diffusion
    • B01D17/02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 B01D17/0208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17/0211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by sedimentation with baff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7/00Separation of liquid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by thermal diffusion
    • B01D17/02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Removal Of Floating Materi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양유출기름 회수장치용 유수분리팩 및 이를 이용한 유수분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해양유출기름 회수장치용 유수분리팩은 내부에 물과 유분이 혼합된 혼합수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마련되며, 상기 수용공간으로 상기 혼합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부에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면에는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상기 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배출구가 마련되는 분리용기와, 배출구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며, 상기 수용공간의 상부에 밀도차에 의해 상기 물로부터 분리된 상기 유분이 포집되는 포집공간이 마련될 수 있도록 상기 분리용기의 상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분리부재와, 분리용기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유입구를 통해 상기 수용공간으로 유입된 상기 혼합수를 상기 포집공간으로 안내하는 가이드부재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해양유출기름 회수장치용 유수분리팩 및 이를 이용한 유수분리장치는 유분과 물의 밀도 차이에 의해 혼합수로부터 유분을 분리하고, 분리된 유분을 상호 응집시켜 배출시킬 수 있기 때문에 구조가 간단하고, 제작비용이 저렴하며, 유분 분리효율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해양유출기름 회수장치용 유수분리팩 및 이를 이용한 유수분리장치{Oil seperator pack for sea split oil collect device and oil separator collect appartus}
본 발명은 해양유출기름 회수장치용 유수분리팩 및 이를 이용한 유수분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물과 유분의 밀도차이를 이용하여 물로부터 분리된 유분을 포집하는 해양유출기름 회수장치용 유수분리팩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산업 현장에서의 기름유출, 유조차나 유조선의 사고, 선박의 좌초 등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기름이 유출되는 사고가 발생하고 있으며, 이러한 기름 유출을 해결하기 위해서 다양한 방법들 즉, 예를 들어 약품 처리 방법, 기름 흡착포를 이용하는 방법 및 수작업에 의한 방법 등이 이용되고 있다.
그리고 최근에는 상기 방법들보다 기름 수거 효과가 우수한 웨어형 기름 분리 장치(weir type oil skimmer)가 이용되고 있다. 웨어형 기름 분리 장치는 크게 부력체에 의하여 지지된 상태로 수면 바로 아래에 위치하는 하우징, 유수 분리기 및 하우징 내로 유입된 물(기름이 섞여진 상태임)을 유수 분리기로 송출하기 위한 펌프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기름 분리 장치에서는 하우징 내에 기름이 혼합된 물(이하, 편의상 " 오염수" 라 칭한다.)이 유입되면 펌프의 작동에 의하여 오염수는 유수 분리기로 강제 송출된다. 유수 분리기 내에서 기름과 물의 분리 공정이 진행된 후, 물은 외부로 배출되며, 물과 분리된 기름은 저장 탱크로 유입된다.
이러한 웨어형 기름 분리 장치는 전술한 일반적인 방법보다는 기름 분리 성능 면에서는 우수하지만 기름은 물에 접촉하면 수면에 엷게 퍼져 버리는 특성이 있기 때문에 기름의 양에 비하여 지나치게 많은 양의 물(전체 오염수의 70% 내지 90%를 차지함)이 하우징 내에 유입된다. 펌프를 이용하여 이러한 오염수를 유수 분리기로 송출하는 과정에서, 펌프 내부의 임펠러의 회전에 의하여 기름 방울이 물과 혼합됨에 따라 물과 기름의 분리가 더욱 어렵게 되는 문제가 있다.
아울러 다양한 형태의 해양유출기름 회수장치용 유수분리팩가 개발되고는 있지만 유수의 분리 효과가 미비하기 때문에 바다의 경우에는 유조선이나 선박의 사고로 인해 다량의 기름이 유출되는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여전히 기름띠를 설치하고 부직포로 수면의 기름을 흡착하여 제거하는 방법이나 트롤과 같은 고가의 장비들이 주로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등록특허 제10-0417337호 : 자연순환식 유수분리 장치 등록특허 제10-1139933호 : 유수 분리기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물과 유분의 기름의 비중 차이에 의해 기름이 유출되어 오염된 오염수로부터 기름을 효과적으로 분리 및 응집할 수 있는 해양유출기름 회수장치용 유수분리팩 및 이를 이용한 유수분리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해양유출기름 회수장치용 유수분리팩는 내부에 물과 유분이 혼합된 혼합수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마련되며, 상기 수용공간으로 상기 혼합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부에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면에는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상기 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배출구가 마련되는 분리용기와, 상기 배출구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며, 상기 수용공간의 상부에 밀도차에 의해 상기 물로부터 분리된 상기 유분이 포집되는 포집공간이 마련될 수 있도록 상기 분리용기의 상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분리부재와, 상기 분리용기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유입구를 통해 상기 수용공간으로 유입된 상기 혼합수를 상기 포집공간으로 안내하는 가이드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유입구에 대해 상방으로 이격된 위치의 상기 분리용기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혼합수를 상기 포집공간으로 유도할 수 있도록 하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혼합수의 흐름을 간섭하여 상기 유분을 상호 응집시키고, 상기 혼합수의 유속을 감소시켜 상기 유분의 포집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외주면에 소정의 피치를 갖는 주름이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해양유출기름 회수장치용 유수분리팩은 상기 유입구에 인접된 위치의 상기 분리용기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상기 혼합수에 포함된 유분이 부착될 수 있도록 형성된 제1브러쉬부재를 더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해양유출기름 회수장치용 유수분리팩은 상기 가이드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부재를 따라 유도되는 상기 혼합수에 포함된 유분이 부착될 수 있도록 형성된 제2브러쉬부재를 더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해양유출기름 회수장치용 유수분리팩은 상기 가이드부재의 가장자리에 부착될 수 있도록 하면에 접착제가 도포된 접착층이 형성된 접착시트와, 상기 접착시트에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부재의 가장자리와 상기 분리용기의 내측면 사이를 통과하는 물에 포함된 유분이 부착될 수 있도록 상기 접착시트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 보조브러쉬부재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분리용기는 상기 혼합수의 흐름에 와류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천장면과 내측면의 접하는 부분이 만곡되게 형성되고, 상기 분리부재와 분리용기의 접하는 부분이 만곡되게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해양유출기름 회수장치용 유수분리팩은 상기 분리용기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혼합수에 포함된 상기 유분을 걸러낼 수 있도록 다수의 기공이 마련된 필터유닛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해양유출기름 회수장치용 유수분리팩은 상기 혼합수에 포함된 유분이 흡착되어 상기 포집공간으로 포집될 수 있도록 상기 수용공간으로 상기 분리용기의 유익구를 통해 미세공기를 주입하는 공기주입부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해양유출기름 회수장치용 유수분리팩을 이용한 유수분리장치는 내부에 물과 기름이 혼합된 유입수가 수용되는 분리공간이 마련되며, 상기 분리공간으로 상기 유입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일측에 유입수 유입부가 형성된 분리본체와, 상기 분리공간에 수용되어 밀도차에 의해 기름으로부터 분리된 상기 물이 상기 분리본체의 외부로 배출되기 위해 일단부가 상기 물의 수위보다 낮게 위치하도록 상기 분리본체에 연통되게 연결된 배수유닛과, 상기 배수유닛의 타단부에 연통되게 연결되며, 내부에 상기 배수유닛으로부터 배출된 상기 물을 수용하는 내부공간이 마련된 서브본체와, 상기 서브본체로 유입된 물에 포함된 유분을 분리하기 위해 상기 서브본체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내부에 물과 유분이 혼합된 혼합수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마련되며, 상기 수용공간으로 상기 혼합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부에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면에는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상기 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배출구가 마련되는 분리용기와, 상기 배출구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며, 상기 수용공간의 상부에 밀도차에 의해 상기 물로부터 분리된 상기 유분이 포집되는 포집공간이 마련될 수 있도록 상기 분리용기의 상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분리부재와, 상기 분리용기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유입구를 통해 상기 수용공간으로 유입된 상기 혼합수를 상기 포집공간으로 안내하는 가이드부재가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해양유출기름 회수장치용 유수분리팩을 구비한다.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유입구에 대해 상방으로 이격된 위치의 상기 분리용기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혼합수를 상기 포집공간으로 유도할 수 있도록 하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된다.
상기 배수유닛은 상기 분리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분리공간에 수용되어 밀도차에 의해 상기 기름으로부터 분리된 상기 물이 상기 분리본체의 외부로 배출되기 위해 상단부가 상기 유입수의 기설정된 수위보다 낮게 위치하도록 형성되며, 상부에 상기 기름으로부터 분리된 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유입구가 형성된 제1배수관과, 상기 유입구보다 하측의 상기 제1배수관에 연결되며, 상기 분리본체의 외부로 연장된 제2배수관과, 상기 제2배수관의 단부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되, 상단부에 상기 분리본체 내의 상기 유입수의 기설정된 수위에 인접되도록 연장된 제3배수관을 구비한다.
상기 배수유닛은 상기 제3배수관의 상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4배수관과, 일단부가 상기 제3배수관 내로 인입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4배수관에 연통되게 연결되되, 일단부가 상기 제3배수관의 상단보다 하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3배수관에 설치되고, 상기 제3배수관 내에 인입된 일단부에는 상기 제3배수관 내의 상기 물 중 일부가 상기 제4배수관으로 배출되도록 보조구가 형성된 보조관과, 상기 보조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보조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분리본체의 상기 유입수 수위가 기설정된 수위 미만일 경우, 상기 보조구를 폐쇄하고, 상기 분리본체의 상기 유입수 수위가 기설정된 수위 이상일 경우, 상기 보조구를 개방하는 보조구 개폐부를 더 구비한다.
상기 보조구 개폐부는 상기 보조관에 설치되며, 내부에 상기 보조구에 연통되게 보조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제3배수관 내부에 노출되는 외주면에 상기 보조공간으로 상기 제3배수관 내의 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인입구가 형성된 보조바디와, 상기 인입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보조바디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개폐부재와, 상기 제3배수관 내의 수면에 부유할 수 있도록 소정의 부력을 갖는 부구와, 상기 제3배수관 내의 수위가 상기 분리본체 내의 상기 유입수의 기설정된 수위 이상이 될 경우, 상승하는 부구에 의해 상기 개폐부재가 회동되어 상기 보조구를 개방할 수 있도록 상기 부구와 개폐부재를 연결하는 연결와이어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조구 개폐부는 상기 보조공간에 연통되게 상기 보조바디에 설치되며, 상기 보조공간으로 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분리본체 내의 상기 유입수의 기설정된 수위보다 상측에 보조유입구가 형성된 유출관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유수분리장치는 상기 분리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유입수의 수면에 부유하는 부유물을 상기 분리본체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부유물 배출유닛을 더 구비한다.
상기 부유물 배출유닛은 상기 분리본체의 상부에 형성된 부유물 배출구에 일단이 연통되게 연결되며, 내부에 상기 부유물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상기 부유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유입로가 형성되고, 타단부에 상기 유입로 내의 상기 부유물이 외부로 배출되기 위한 인출구가 형성된 배출본체와, 상기 배출본체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단부가 상기 부유물 배출구를 통해 상기 분리본체 내부로 인입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된 블레이드가 마련된 배출스크류와, 상기 분리본체 내의 상기 부유물을 상기 배출본체로 배출시키기 위해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스크류 구동부를 구비한다.
상기 부유물 배출유닛은 상기 분리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분리본체의 상부에 형성된 부유물 배출구에 인접되거나 이격되도록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압판과, 상기 가압판에 설치되어 상기 분리본체 내의 상기 부유물이 상기 가압판에 의해 상기 부유물 배출구로 강제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가압판을 왕복이동시키는 가압구동부를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부유물 배출유닛은 상기 분리본체의 상부에 형성된 부유물 배출구를 통해 상기 분리본체 내부에 인입되는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분리본체의 상측 내부에 설치되는 제1스프로킷과, 상기 분리본체의 외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제2스프로킷에 감겨 무한궤도를 따라 회전하는 이송벨트가 마련된 구동유닛과, 상기 이송벨트의 외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설치되며, 상기 이송벨트의 작동에 따라 상기 분리본체 내의 부유물을 상기 부유물 배출구로 강제이송시킬 수 있도록 상기 이송벨트의 외측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 다수의 간섭판을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수분리장치는 연통관에 의해 상기 서브본체에 연통되게 연결되며, 내부에 상기 연통관을 통해 유입되는 상기 물이 수용되는 유입공간이 마련되며, 상기 유입공간에 수용된 물이 배출되기 위한 배출관이 설치된 보조본체와, 상기 연통관과 배출관 사이의 상기 보조본체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배출관으로 배출되는 상기 물에 포함된 유분을 걸러내는 필터유닛을 더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해양유출기름 회수장치용 유수분리팩 및 이를 이용한 유수분리장치는 유분과 물의 밀도 차이에 의해 혼합수로부터 유분을 분리하고, 분리된 유분을 상호 응집시켜 배출시킬 수 있기 때문에 구조가 간단하고, 제작비용이 저렴하며, 유분 분리효율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해양유출기름 회수장치용 유수분리팩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해양유출기름 회수장치용 유수분리팩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해양유출기름 회수장치용 유수분리팩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해양유출기름 회수장치용 유수분리팩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해양유출기름 회수장치용 유수분리팩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해양유출기름 회수장치용 유수분리팩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해양유출기름 회수장치용 유수분리팩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해양유출기름 회수장치용 유수분리팩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해양유출기름 회수장치용 유수분리팩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해양유출기름 회수장치용 유수분리팩을 이용한 유수분리장치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유수분리장치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12는 도 10의 유수분리장치의 부유물 배출유닛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13은 도 10의 유수분리장치의 배수유닛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14는 도 10의 유수분리장치의 배수유닛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부유물 배출유닛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16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부유물 배출유닛에 대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해양유출기름 회수장치용 유수분리팩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해양유출기름 회수장치용 유수분리팩(100)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해양유출기름 회수장치용 유수분리팩(100)는 내부에 물과 유분이 혼합된 혼합수가 수용되는 수용공간(111)이 마련되며, 상기 수용공간(111)으로 상기 혼합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부에 유입구(112)가 형성되고, 상면에는 상기 수용공간(111)에 수용된 상기 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배출구(113)가 마련되는 분리용기(110)와, 상기 배출구(113)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며, 상기 수용공간(111)의 상부에 밀도차에 의해 상기 물로부터 분리된 상기 유분이 포집되는 포집공간(121)이 마련될 수 있도록 상기 분리용기(110)의 상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분리부재(120)와, 상기 분리용기(110)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유입구(112)를 통해 상기 수용공간(111)으로 유입된 상기 혼합수를 상기 포집공간(121)으로 안내하는 가이드부재(130)를 구비한다.
분리용기(110)는 내부에 수용공간(111)이 마련된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하면에 다수의 유입구(112)가 형성된다. 또한, 분리용기(110)는 상면 중앙부에 물이 배출되는 배출구(113)가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분리용기(110)는 수용공간(111)의 혼합수 흐름에 와류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천장면과 내측면이 접하는 부분이 만곡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분리용기(110)는 배출구(113)를 중심으로 환형의 상면은 상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되어 혼합수 내의 와류발생을 최소화한다.
또한, 분리용기(110)는 배출구(113)로부터 이격된 위치의 상면에 포집공간(121)에 포집된 유분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유분 유출구(114)가 형성되어 있다.
분리부재(120)는 배출구(113)의 가장자리를 따라 환형으로 형성되며, 분리용기(110)의 상면에 대해 하방으로 소정길이 연장된다. 분리부재(120)는 혼합수의 흐름에 와류발생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분리용기(110)의 천장면과 접하는 부분이 만곡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이드부재(130)는 분리부재(120)의 하단부에 대향되는 위치의 분리용기(110) 내부에 이격부재(미도시)에 지지된다. 이격부재는 일단이 분리부재(120)의 가장자리에 고정되고, 타단은 분리용기(110)의 내측면에 고정되며, 다수개가 가이드부재(130)에 방사상으로 설치된다.
가이드부재(130)는 유입구(112)에 대해 상방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며, 배출구(113)보다 더 큰 면적을 갖도록 형성된다. 가이드부재(130)는 유입구(112)를 통해 유입되는 혼합수를 포집공간(121)으로 유도할 수 있도록 하방으로 만곡되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해양유출기름 회수장치용 유수분리팩(100)의 작동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분리용기(110)의 유입구(112)를 통해 유입된 혼합수는 가이드부재(130)의 하면을 따라 분리용기(110)의 내측면으로 유도되고, 분리용기(110)의 내측면을 따라 포집공간(121)으로 유동된다. 포집공간(121)을 통과한 혼합수는 분리부재(120)를 따라 유동하며, 배출구(113)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혼합수가 분리용기(110) 내에서 유동하는 동안 혼합수에 포함된 유분은 밀도차에 의해 분리되어 포집공간(121)으로 포집되는데, 인접된 유분들은 상호 응집되고, 응집된 유분은 부피가 증가되므로 보다 용이하게 혼합수에 분리되어 포집공간(121)으로 부상한다.
이때, 가이드부재(130)는 혼합수의 흐름은 분리용기(110)의 내측면으로 유동하여 분리용기(110) 내부에서 혼합수의 유동경로를 확장하므로 유분이 상호 응집되는 시간을 증가시켜 유분의 분리효율을 향상시킨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해양유출기름 회수장치용 유수분리팩(100)는 유분과 물의 밀도 차이에 의해 혼합수로부터 유분을 분리하고, 분리된 유분을 상호 응집시켜 배출시킬 수 있기 때문에 구조가 간단하고, 제작비용이 저렴하며, 유분 분리효율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해양유출기름 회수장치용 유수분리팩(100)는 다수개가 상하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열되므로 혼합수 내의 유분을 다단을 분리하여 유분의 분리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도 4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가이드부재(140)가 도시되어 있다.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가이드부재(140)는 외주면에 소정의 피치를 갖는 주름(141)이 형성된다. 상기 주름(141)에 의해 가이드부재(140)의 표면에는 외부로 돌출되는 돌출부 및 내측으로 인입되는 인입부가 교호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부재(140)의 주름(141)은 가이드부재(140)의 표면을 따라 유동하는 혼합수의 흐름을 간섭하여 유분들이 상호 응집시키며, 혼합수의 유속을 감소시켜 유분의 포집시간을 증가시킨다.
한편 도 5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해양유출기름 회수장치용 유수분리팩(200)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해양유출기름 회수장치용 유수분리팩(200)는 상기 유입구(112)에 인접된 위치의 상기 분리용기(110) 하면에 설치되어 상기 유입구(112)를 통해 유입된 상기 혼합수에 포함된 유분이 부착될 수 있도록 형성된 다수의 제1브러쉬부재(201)를 구비한다.
상기 제1브러쉬부재(201)는 유입구(112)를 통해 유입된 혼합수의 흐름에 의해 유동할 수 있도록 스폰지, 나일론, 섬유 등과 같은 플렉시블한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입구(112)를 통해 유입된 혼합수는 제1브러쉬부재(201)를 통과하고, 혼합수에 포함된 유분은 제1브러쉬부재(201)에 부착되어 유분의 제거가 이루어진다.
한편, 도 6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해양유출기름 회수장치용 유수분리팩(300)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해양유출기름 회수장치용 유수분리팩(300)는 가이드부재(130)에 설치되는 다수의 제2브러쉬부재(301)와, 분리부재(120)의 외측면에 설치되는 다수의 제3브러쉬부재(302)를 더 구비한다.
제2브러쉬부재(301)는 유입구(112)에 대향되는 가이드부재(130)의 하면에 설치되며, 가이드부재(130)의 하면을 따라 유동하는 혼합수에 유분이 부착될 수 있도록 나일론, 섬유 등과 같은 플렉시블한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브러쉬부재(302)는 배출구(113)에 인접된 분리부재(120)의 외측면에 설치되며, 분리부재(120)의 외측면을 따라 외부로 배출되는 물 내부에 포함된 유분이 부착될 수 있도록 나일론, 섬유 등과 같은 플렉시블한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입구(112)를 통해 수용공간(111)으로 유입된 혼합수는 가이드부재(130)의 후면을 따라 유동하는 동안 제2브러쉬부재(301)에 의해 유분이 1차로 분리된다. 포집공간(121)을 통과하여 배출구(113)를 통해 배출되는 혼합수는 제3브러쉬부재(302)에 의해 내부에 포함된 유분이 재차 분리된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제1브러쉬부재(201) 및 제2브러쉬부재(301)에 의해 유분이 다단으로 분리되므로 유분의 제거효율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7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해양유출기름 회수장치용 유수분리팩(450)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해양유출기름 회수장치용 유수분리팩(450)은 상기 가이드부재(130)의 가장자리에 부착될 수 있도록 하면에 접착제가 도포된 접착층(미도시)이 형성된 접착시트(451)와, 상기 접착시트(451)에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부재(130)의 가장자리와 상기 분리용기(110)의 내측면 사이를 통과하는 물에 포함된 유분이 부착될 수 있도록 상기 접착시트(45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 다수의 보조브러쉬부재(452)를 구비한다.
상기 접착시트(451)는 중앙에 중공이 마련된 환형으로 형성되며, 가이드부재(130)의 외경에 대응되는 외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접착시트(451)의 하면에는 상기 접착층이 형성되어 있다.
보조브러쉬부재(452)는 접착시트(451)의 가장자리에 고정되며, 접착시트(451)의 반경방향으로 돌출형성된다. 보조브러쉬부재(452)는 접착시트(451)의 가장자리와 분리용기(110)의 내측면 사이를 통과하는 물에 포함된 유분이 부착될 수 있도록 나일론, 섬유 등과 같은 플렉시블한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조브러쉬부재(452)는 다수개가 접착시트(451)의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설치되어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보조브러쉬부재(452)는 하면에 접착층이 마련된 접착시트(451)에 의해 가이드부재(130)에 설치되므로 작업자가 용이하게 보조브러쉬부재(452)를 가이드부재(130)에 고정할 수 있어 제조시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한편, 도 8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해양유출기름 회수장치용 유수분리팩(500)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해양유출기름 회수장치용 유수분리팩(500)는 상기 분리용기(110)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혼합수에 포함된 상기 유분을 걸러낼 수 있도록 다수의 기공이 마련된 필터유닛(501)을 구비한다.
상기 필터유닛(501)은 혼합수과 통과될 수 있도록 수용공간(111)에 설치되며, 외주면에 다수의 기공이 마련될 수 있도록 제올라이트, 탄소필터 또는 활성탄으로 구성된다. 혼합수는 상기 필터유닛(501)을 통과시 필터유닛(501)의 외주면에 마련된 다수의 기공에 유분이 유입되어 혼합수로부터 분리된다. 또한, 필터유닛(501)은 기공에 의해 혼합수의 흐름을 간섭하여 유분들이 상호 응집시키며, 혼합수의 유속을 감소시켜 유분의 포집시간을 증가시킨다.
한편, 도 9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해양유출기름 회수장치용 유수분리팩(400)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해양유출기름 회수장치용 유수분리팩(400)는 상기 혼합수에 포함된 유분이 흡착되어 상기 포집공간(121)으로 포집될 수 있도록 분리용기(110)의 유입구(112)를 통해 상기 수용공간(111)으로 미세공기를 주입하는 공기주입부(410)를 더 구비한다.
상기 공기주입부(410)는 분리용기(110)의 유입구(112)에 대해 소정거리 이격되게 배치되는 분사관(411)과, 상기 분사관(411)에 연결되어 분사관(411)으로 고압의 공기를 분사하는 콤프레셔(412)를 구비한다.
상기 분사관(411)은 내부에 공기가 유동하는 유동로가 형성되며, 분리용기(110)의 유입구(112)에 대향되는 외주면에는 유동로를 통과한 공기가 수용공간(111)으로 분사되도록 유동로에 연통되는 다수의 미세공이 형성되어 있다.
콤프레셔(412)는 연결관에 의해 분사관(411)에 연통되게 연결되며, 분사관(411)으로 고압의 공기를 공급한다. 콤프레셔(412)를 통해 공급되는 공기는 분사관(411)의 미세공을 통해 수용공간(111)의 혼합수로 분사된다.
분사관(411)을 통해 분사된 미세공기 방울은 혼합수와 함께 유동하는 데, 혼합수 내에 포함된 다수의 유분은 미세공기 방울에 흡착되어 상호 응집된다. 미세공기에 흡착되어 응집된 유분은 부력에 의해 포집공간(121)으로 용이하게 포집되므로 유분의 제거효율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10 내지 도 14에는 본 발명의 해양유출기름 회수장치용 유수분리팩을 이용한 유수분리장치(610)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유수분리장치(610)는 내부에 물과 기름이 혼합된 유입수가 수용되는 분리공간(611)이 마련되며, 상기 분리공간(611)으로 상기 유입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일측에 유입수 유입부가 형성된 분리본체(610)와, 상기 분리공간(611)에 수용되어 밀도차에 의해 기름으로부터 분리된 상기 물이 상기 분리본체(610)의 외부로 배출되기 위해 일단부가 상기 물의 수위보다 낮게 위치하도록 상기 분리본체(610)에 연통되게 연결된 배수유닛(700)과, 상기 배수유닛(700)의 타단부에 연통되게 연결되며, 내부에 상기 배수유닛(700)으로부터 배출된 상기 물을 수용하는 내부공간이 마련된 서브본체(620)와, 상기 서브본체(620)로 유입된 물에 포함된 유분을 분리하기 위해 상기 서브본체(620) 내부에 설치되는 해양유출기름 회수장치용 유수분리팩과, 상기 분리본체(610)에 설치되며, 상기 유입수의 수면에 부유하는 부유물을 상기 분리본체(610)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부유물 배출유닛(660)과, 연통관(641)에 의해 상기 서브본체(620)에 연통되게 연결되며, 내부에 상기 연통관(641)을 통해 유입되는 상기 물이 수용되는 유입공간이 마련되며, 상기 유입공간에 수용된 물이 배출되기 위한 배출관(642)이 설치된 보조본체(640)와, 상기 연통관(641)과 배출관(642) 사이의 상기 보조본체(640)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배출관(642)으로 배출되는 상기 물에 포함된 유분을 걸러내는 필터유닛(651)을 구비한다.
분리본체(610)는 밀도차이에 의해 물과 기름이 상호 분리될 수 있는 분리공간(611)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사각통형의 부재로 형성된다. 분리본체(610)는 물과 기름이 혼합된 유입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일측 상부에 유입관이 설치되어 있고, 타측에는 배수유닛(700)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분리본체(610)는 분리공간(611)을 유입관에 연통되는 제1공간과, 배수유닛(700)에 연통되는 제2공간으로 구획하는 구획격벽(612)을 구비한다. 상기 구획격벽(612)은 하단부에 제1공간의 유입수가 제2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제1관통구(613)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제1공간의 부유물이 제2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제2관통구(61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분리본체(610)는 제2공간에 대응되는 측면에는 유입수 수면에 부유하는 부유물이 배출되기 위한 부유물 배출구(667)가 형성되어 있다. 유입관을 통해 물과 기름이 섞여 있는 유입수가 유입되면 분리본체(610)의 분리공간(611)에 혼합수가 충진되는 동안 물과 기름의 밀도차에 의해 기름이 물의 표면 위로 올라가면서 분리되므로 분리본체(610) 내에서는 물과 기름의 분리가 이루어진다.
배수유닛(700)은 분리본체(610) 내에서 기름이 분리된 물을 분리본체(610)의 외부로 배수하기 위한 것이다. 배수유닛(700)은 제2공간에 대응되는 분리리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분리공간(611)에 수용되어 밀도차에 의해 상기 기름으로부터 분리된 상기 물이 상기 분리본체(610)의 외부로 배출되기 위해 상단부가 상기 유입수의 기설정된 수위보다 낮게 위치하도록 형성되며, 상부에 상기 기름으로부터 분리된 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유입구가 형성된 제1배수관(701)과, 상기 유입구보다 하측의 상기 제1배수관(701)에 연결되며, 상기 분리본체(610)의 외부로 연장된 제2배수관(702)과, 상기 제2배수관(702)의 단부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되, 상단부에 상기 분리본체(610) 내의 상기 유입수의 기설정된 수위에 인접되도록 연장된 제3배수관(703)과, 상기 제3배수관(703)의 상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4배수관(704)과, 일단부가 상기 제3배수관(703) 내로 인입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4배수관(704)에 연통되게 연결되되, 일단부가 상기 제3배수관(703)의 상단보다 하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3배수관(703)에 설치되고, 상기 제3배수관(703) 내에 인입된 일단부에는 제3배수관(703) 내의 상기 물 중 일부가 상기 제4배수관(704)으로 배출되도록 보조구(706)가 형성된 보조관(705)과, 상기 보조구(706)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보조관(705)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분리본체(610)의 상기 유입수 수위가 기설정된 수위 미만일 경우, 상기 보조구(706)를 폐쇄하고, 상기 분리본체(610)의 상기 유입수 수위가 기설정된 수위 이상일 경우, 상기 보조구(706)를 개방하는 보조구 개폐부(710)를 구비한다.
제1배수관(701)과 제2배수관(702) 및 제3배수관(703)은 전체적으로 'U'자형을 이루며, 제1배수관(701)의 상단에 형성된 입구를 통해 물이 유입되어 제2배수관(702), 제3배수관(703) 및 제4배수관(704)을 순차적으로 통과해 배수가 이루어진다. 보조관(705)은 일단부 상측 외주면에 상기 보조구(706)가 형성되어 있다.
보조구 개폐부(710)는 상기 보조관(705)에 설치되며, 내부에 상기 보조구(706)에 연통되게 보조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제3배수관(703) 내부에 노출되는 외주면에 상기 보조공간으로 상기 제3배수관(703) 내의 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인입구(716)가 형성된 보조바디(711)와, 상기 인입구(716)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보조바디(711)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개폐부재(712)와, 상기 제3배수관(703) 내의 수면에 부유할 수 있도록 소정의 부력을 갖는 부구(713)와, 상기 제3배수관(703) 내의 수위가 상기 분리본체(610) 내의 상기 유입수의 기설정된 수위 이상이 될 경우, 상승하는 부구(713)에 의해 상기 개폐부재(712)가 회동되어 상기 보조구(706)를 개방할 수 있도록 상기 부구(713)와 개폐부재(712)를 연결하는 연결와이어(714)를 구비한다.
보조바디(711)는 상부에 상기 인입구(716)가 형성되며, 개폐부재(712)는 상기 인입구(716)를 개폐할 수 있도록 보조바디(711)의 상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개폐부재(712)는 인입구(716)를 폐쇄시 보조바디(711)와의 수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소정의 탄성을 갖는 고무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와이어는 보조바디(711)의 인입구(716)로부터 분리본체(610) 내의 상기 유입수의 기설정된 수위까지 거리에 대응되거나 짧은 길이로 연장되며, 부구(713) 및 개폐부재(712)에 각각 양단이 고정된다.
또한, 보조구 개폐부(710)는 상기 보조공간에 연통되게 상기 보조바디(711)에 설치되며, 상기 보조공간으로 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분리본체(610) 내의 상기 유입수의 기설정된 수위보다 상측에 보조유입구가 형성된 유출관(715)을 더 구비한다.
분리본체(610) 내의 유입수의 수위가 기설정된 수위를 초과할 경우, 부유하는 부구(713)에 의해 보조바디(711)의 인입구(716)가 개방되고, 인입구(716) 또는 유출관(715)을 통해 제3배수관(703)의 물이 유입되어 보조관(705)을 통해 제4배수관(704)으로 배출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분리본체(610) 내의 유입수의 수위가 기설정된 수위를 초과할 경우, 물이 제3배수관(703)을 넘어 제4배수관(704)으로 배출되는데, 제3배수관(703) 내의 물 중 일부는 보조관(705)을 통해 제4배수관(704)으로 배출되므로 보다 신속하게 제4배수관(704)으로의 배수가 이루어진다.
서브본체(620)는 분리본체(610)에 인접되게 설치되며, 내부에 배수유닛(700)의 제4배수관(704)이 인입되게 설치되어 있다. 서브본체(620)는 제4배수관(704)으로부터 배수된 물이 수용될 수 있도록 내부공간이 마련된 사각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서브본체(620)의 상부에는 내부공간의 물이 보조본체(640)로 배출되기 위한 연통관(641)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서브본체(620) 내부에는 다수의 해양유출기름 회수장치용 유수분리팩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해양유출기름 회수장치용 유수분리팩은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해양유출기름 회수장치용 유수분리팩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서브본체(620)로 유입된 물은 해양유출기름 회수장치용 유수분리팩을 통해 유분이 제거되어 연통관(641)을 통해 보조본체(640)로 배출된다.
보조본체(640)는 서브본체(620)에 인접되게 설치되며, 내부에 연통관(641)으로 통해 인입되는 물이 수용되는 유입공간이 마련된 사각통형으로 형성된다. 보조본체(640)는 상부에 연통관(641)이 설치되고, 하부에는 유입공간의 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관이 설치된다.
필터유닛(651)은 연통관(641)과 배출관 사이의 보조본체(640) 내부에 상하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필터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필터부재는 숯, 제올라이트 등으로 구성되며, 연통관(641)을 통해 보조본체(640)로 유입된 물 내부에 포함된 유분을 걸러낸다. 상기 필터유닛(651)에 의해 유분이 걸러진 물은 배출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부유물 배출유닛(660)은 상기 분리본체(610)의 상부에 형성된 부유물 배출구(613)에 일단이 연통되게 연결되며, 내부에 상기 부유물 배출구(613)를 통해 배출되는 상기 부유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유입로(664)가 형성되고, 타단부에 상기 유입로(664) 내의 상기 부유물이 외부로 배출되기 위한 인출구(665)가 형성된 배출본체(661)와, 상기 배출본체(661)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단부가 상기 부유물 배출구(613)를 통해 상기 분리본체(610) 내부로 인입된 회전축(667)과, 상기 회전축(667)의 외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된 블레이드(668)가 마련된 배출스크류(662)와, 상기 분리본체(610) 내의 상기 부유물을 상기 배출본체(661)로 배출시키기 위해 상기 회전축(667)을 회전시키는 스크류 구동부(663)를 구비한다.
배출본체(661)는 분리본체(6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타단부 하측 외주면에 상기 인출구(665)가 형성되어 있다. 배출본체(661)의 타단부에는 인출구(665)를 통해 배출되는 부유물을 수집하는 수집호퍼(666)가 설치되어 있다.
회전축(667)은 배출본체(661)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일단부는 배출본체(661)의 타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회전축(667)은 타단부가 부유물 배출구(613)를 통해 분리본체(610) 내로 인입되게 연장된다.
스크류 구동부(663)는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전기모터를 구비한다. 상기 전기모터는 회전축(667)의 타단부에 설치되어 회전축(667)을 회전시킨다. 스크류 구동부(663)의 작동에 의해 배출스크류(662)는 회전하며, 회전하는 배출스크류(662)에 의해 분리본체(610) 내의 유입수 수면에 부유하는 부유물은 배출본체(661) 내로 강제 인입된다. 이때, 상기 부유물은 배출본체(661)의 유입로(664)를 따라 이동되며, 인출구(665)를 통해 수집호퍼(666)로 배출된다.
상기 부유물 배출유닛(660)을 통해 유입수 수면의 부유물이 외부로 배출되므로 상기 부유물에 의해 배수유닛(700)이 막히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도 15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부유물 배출유닛(670)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부유물 배출유닛(670)은 상기 분리본체(610)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분리본체(610)의 상부에 형성된 부유물 배출구(613)에 인접되거나 이격되도록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압판(671)과, 상기 가압판(671)에 설치되어 상기 분리본체(610) 내의 상기 부유물이 상기 가압판(671)에 의해 상기 부유물 배출구(613)로 강제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가압판(671)을 왕복이동시키는 가압구동부(672)를 구비한다.
가압판(671)은 부유물 배출구(613)보다 더 큰 면적을 갖는 판형으로 형성되며, 복수의 가이드봉(673)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된다. 가이드봉(673)은 분리본체(610)의 폭방향을 따라 소정길이 연장되며, 부유물 배출구(613)를 기준으로 복수개가 상호 대향되는 위치에 각각 설치된다.
가압구동부(672)는 일단이 상기 가압판(671)에 설치되며, 상기 가압판(671)을 가이드봉(673)의 길이방향에 따라 왕복이동시킨다. 상기 가압구동부(672)는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유압에 의해 신축되는 유압실린더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가압구동부(672)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일단이 가압판(671)에 설치되며, 가이드관에 의해 가이드봉(673)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제1링크와, 제1링크의 단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링크와, 분리본체(6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회전중심선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상기 제2링크의 단부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판을 회전시키는 모터를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구성된 부유물 배출유닛(670)은 가압구동부(672)에 의해 가압판(671)이 부유물 배출구에 인접되거나 이격되도록 슬라이딩되므로 분리본체(610) 내부의 유입수 수면에 부유하는 부유물이 상기 가압판(671)에 의해 부유물 배출구로 강제배출된다.
한편, 도 16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부유물 배출유닛(680)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부유물 배출유닛(680)은 상기 분리본체(610)의 상부에 형성된 부유물 배출구(614)를 통해 상기 분리본체(610) 내부에 인입되는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분리본체(610)의 상측 내부에 설치되는 제1스프로킷(683)과, 상기 분리본체(610)의 외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제2스프로킷(684)에 감겨 무한궤도를 따라 회전하는 이송벨트(685)가 마련된 구동유닛(681)과, 상기 이송벨트(685)의 외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설치되며, 상기 이송벨트(685)의 작동에 따라 상기 분리본체(610) 내의 부유물을 상기 부유물 배출구(614)로 강제이송시킬 수 있도록 상기 이송벨트(685)의 외측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 다수의 간섭판(682)을 구비한다.
제1스프로킷(683)은 분리본체(610)의 내부에, 기설정된 수위보다 상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제2스프로킷(684)은 분리본체(610) 외부의 프레임(689)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제2스프로킷(684)은 제1스프로킷(683)에 대응되는 높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제1스프로킷(683) 또는 제2스프로킷(684) 중 어느 하나에는 구동모터가 연결되어 회전력을 제공한다.
이송벨트(685)는 제1스프로킷(683) 및 제2스프로킷(684)에 감겨 무한궤도를 따라 회전하는 것으로서, 분리본체(610)의 부유물 배출구(614)에 삽입된다.
간섭판(682)은 이송벨트(685)의 폭에 대응되는 폭을 갖고, 이송벨트(685)에 대해 멀어지는 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된다. 간섭판(682)은 분리본체(610) 내부에 부유하는 부유물을 용이하게 간섭할 수 있도록 소정의 강도를 갖고 성형성이 우수한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구성된 부유물 배출유닛(680)은 무한궤도상으로 회전하는 이송벨트(685)에 설치된 간섭판(682)에 의해 부유물이 간섭되어 부유물 배출구(614)로 강제 이송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해양유출기름 회수장치용 유수분리팩
110: 분리용기
120: 분리부재
130: 가이드부재
600: 유수분리장치
610: 분리본체
612: 구획격벽
700: 배수유닛
701: 제1배수관
702: 제2배수관
703: 제3배수관
704: 제4배수관
705: 보조관
710: 보조구 개폐부
620: 서브본체
640: 보조본체
650: 필터유닛
660: 부유물 배출유닛

Claims (24)

  1. 내부에 물과 유분이 혼합된 혼합수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마련되며, 상기 수용공간으로 상기 혼합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부에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면에는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상기 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배출구가 마련되는 분리용기와;
    상기 배출구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며, 상기 수용공간의 상부에 밀도차에 의해 상기 물로부터 분리된 상기 유분이 포집되는 포집공간이 마련될 수 있도록 상기 분리용기의 상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분리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유출기름 회수장치용 유수분리팩.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용기는 상기 포집공간에 포집된 상기 유분이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포집공간에 대응되는 위치에 유분 유출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유출기름 회수장치용 유수분리팩.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용기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유입구를 통해 상기 수용공간으로 유입된 상기 혼합수를 상기 포집공간으로 안내하는 가이드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유출기름 회수장치용 유수분리팩.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유입구에 대해 상방으로 이격된 위치의 상기 분리용기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혼합수를 상기 포집공간으로 유도할 수 있도록 하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유출기름 회수장치용 유수분리팩.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혼합수의 흐름을 간섭하여 상기 유분을 상호 응집시키고, 상기 혼합수의 유속을 감소시켜 상기 유분의 포집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외주면에 소정의 피치를 갖는 주름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유출기름 회수장치용 유수분리팩.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에 인접된 위치의 상기 분리용기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상기 혼합수에 포함된 유분이 부착될 수 있도록 형성된 제1브러쉬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유출기름 회수장치용 유수분리팩.
  7.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부재를 따라 유도되는 상기 혼합수에 포함된 유분이 부착될 수 있도록 형성된 제2브러쉬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유출기름 회수장치용 유수분리팩.
  8.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의 가장자리에 부착될 수 있도록 하면에 접착제가 도포된 접착층이 형성된 접착시트와;
    상기 접착시트에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부재의 가장자리와 상기 분리용기의 내측면 사이를 통과하는 물에 포함된 유분이 부착될 수 있도록 상기 접착시트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 보조브러쉬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유출기름 회수장치용 유수분리팩.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용기는 상기 혼합수의 흐름에 와류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천장면과 내측면의 접하는 부분이 만곡되게 형성되고, 상기 분리부재와 분리용기의 접하는 부분이 만곡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유출기름 회수장치용 유수분리팩.
  10.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용기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혼합수에 포함된 상기 유분을 걸러낼 수 있도록 다수의 기공이 마련된 필터유닛;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유출기름 회수장치용 유수분리팩.
  11.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수에 포함된 유분이 흡착되어 상기 포집공간으로 포집될 수 있도록 상기 분리용기의 유입구를 통해 상기 수용공간으로 미세공기를 주입하는 공기주입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유출기름 회수장치용 유수분리팩.
  12. 내부에 물과 기름이 혼합된 유입수가 수용되는 분리공간이 마련되며, 상기 분리공간으로 상기 유입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일측에 유입수 유입부가 형성된 분리본체와;
    상기 분리공간에 수용되어 밀도차에 의해 기름으로부터 분리된 상기 물이 상기 분리본체의 외부로 배출되기 위해 일단부가 상기 물의 수위보다 낮게 위치하도록 상기 분리본체에 연통되게 연결된 배수유닛과;
    상기 배수유닛의 타단부에 연통되게 연결되며, 내부에 상기 배수유닛으로부터 배출된 상기 물을 수용하는 내부공간이 마련된 서브본체와;
    상기 서브본체로 유입된 물에 포함된 유분을 분리하기 위해 상기 서브본체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내부에 물과 유분이 혼합된 혼합수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마련되며, 상기 수용공간으로 상기 혼합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부에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면에는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상기 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배출구가 마련되는 분리용기와, 상기 배출구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며, 상기 수용공간의 상부에 밀도차에 의해 상기 물로부터 분리된 상기 유분이 포집되는 포집공간이 마련될 수 있도록 상기 분리용기의 상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분리부재를 구비하되, 상기 분리용기는 상기 포집공간에 포집된 상기 유분이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포집공간에 대응되는 위치에 유분 유출구가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해양유출기름 회수장치용 유수분리팩;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분리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해양유출기름 회수장치용 유수분리팩은 상기 분리용기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유입구를 통해 상기 수용공간으로 유입된 상기 혼합수를 상기 포집공간으로 안내하는 가이드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분리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유입구에 대해 상방으로 이격된 위치의 상기 분리용기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혼합수를 상기 포집공간으로 유도할 수 있도록 하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분리장치.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용기는 상기 포집공간에 포집된 상기 유분이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포집공간에 대응되는 위치에 유분 유출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분리장치.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유닛은
    상기 분리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분리공간에 수용되어 밀도차에 의해 상기 기름으로부터 분리된 상기 물이 상기 분리본체의 외부로 배출되기 위해 상단부가 상기 유입수의 기설정된 수위보다 낮게 위치하도록 형성되며, 상부에 상기 기름으로부터 분리된 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유입구가 형성된 제1배수관과,
    상기 유입구보다 하측의 상기 제1배수관에 연결되며, 상기 분리본체의 외부로 연장된 제2배수관과,
    상기 제2배수관의 단부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되, 상단부에 상기 분리본체 내의 상기 유입수의 기설정된 수위에 인접되도록 연장된 제3배수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분리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유닛은
    상기 제3배수관의 상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4배수관과,
    일단부가 상기 제3배수관 내로 인입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4배수관에 연통되게 연결되되, 일단부가 상기 제3배수관의 상단보다 하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3배수관에 설치되고, 상기 제3배수관 내에 인입된 일단부에는 상기 제3배수관 내의 상기 물 중 일부가 상기 제4배수관으로 배출되도록 보조구가 형성된 보조관과;
    상기 보조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보조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분리본체의 상기 유입수 수위가 기설정된 수위 미만일 경우, 상기 보조구를 폐쇄하고, 상기 분리본체의 상기 유입수 수위가 기설정된 수위 이상일 경우, 상기 보조구를 개방하는 보조구 개폐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분리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구 개폐부는
    상기 보조관에 설치되며, 내부에 상기 보조구에 연통되게 보조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제3배수관 내부에 노출되는 외주면에 상기 보조공간으로 상기 제3배수관 내의 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인입구가 형성된 보조바디와,
    상기 인입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보조바디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개폐부재와,
    상기 제3배수관 내의 수면에 부유할 수 있도록 소정의 부력을 갖는 부구와,
    상기 제3배수관 내의 수위가 상기 분리본체 내의 상기 유입수의 기설정된 수위 이상이 될 경우, 상승하는 부구에 의해 상기 개폐부재가 회동되어 상기 보조구를 개방할 수 있도록 상기 부구와 개폐부재를 연결하는 연결와이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분리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구 개폐부는 상기 보조공간에 연통되게 상기 보조바디에 설치되며, 상기 보조공간으로 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분리본체 내의 상기 유입수의 기설정된 수위보다 상측에 보조유입구가 형성된 유출관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분리장치.
  20.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유입수의 수면에 부유하는 부유물을 상기 분리본체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부유물 배출유닛;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분리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부유물 배출유닛은
    상기 분리본체의 상부에 형성된 부유물 배출구에 일단이 연통되게 연결되며, 내부에 상기 부유물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상기 부유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유입로가 형성되고, 타단부에 상기 유입로 내의 상기 부유물이 외부로 배출되기 위한 인출구가 형성된 배출본체와,
    상기 배출본체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단부가 상기 부유물 배출구를 통해 상기 분리본체 내부로 인입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된 블레이드가 마련된 배출스크류와,
    상기 분리본체 내의 상기 부유물을 상기 배출본체로 배출시키기 위해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스크류 구동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분리장치.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부유물 배출유닛은
    상기 분리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분리본체의 상부에 형성된 부유물 배출구에 인접되거나 이격되도록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압판과,
    상기 가압판에 설치되어 상기 분리본체 내의 상기 부유물이 상기 가압판에 의해 상기 부유물 배출구로 강제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가압판을 왕복이동시키는 가압구동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분리장치.
  23.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부유물 배출유닛은
    상기 분리본체의 상부에 형성된 부유물 배출구를 통해 상기 분리본체 내부에 인입되는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분리본체의 상측 내부에 설치되는 제1스프로킷과, 상기 분리본체의 외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제2스프로킷에 감겨 무한궤도를 따라 회전하는 이송벨트가 마련된 구동유닛과,
    상기 이송벨트의 외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설치되며, 상기 이송벨트의 작동에 따라 상기 분리본체 내의 부유물을 상기 부유물 배출구로 강제이송시킬 수 있도록 상기 이송벨트의 외측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 다수의 간섭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분리장치.
  24. 제12항에 있어서,
    연통관에 의해 상기 서브본체에 연통되게 연결되며, 내부에 상기 연통관을 통해 유입되는 상기 물이 수용되는 유입공간이 마련되며, 상기 유입공간에 수용된 물이 배출되기 위한 배출관이 설치된 보조본체와;
    상기 연통관과 배출관 사이의 상기 보조본체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배출관으로 배출되는 상기 물에 포함된 유분을 걸러내는 필터유닛;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분리장치.




KR1020150048657A 2015-04-06 2015-04-06 해양유출기름 회수장치용 유수분리팩 및 이를 이용한 유수분리장치 KR1016843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8657A KR101684362B1 (ko) 2015-04-06 2015-04-06 해양유출기름 회수장치용 유수분리팩 및 이를 이용한 유수분리장치
PCT/KR2015/004519 WO2016163581A1 (ko) 2015-04-06 2015-05-07 해양유출기름 회수장치용 유수분리팩 및 이를 이용한 유수분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8657A KR101684362B1 (ko) 2015-04-06 2015-04-06 해양유출기름 회수장치용 유수분리팩 및 이를 이용한 유수분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9651A true KR20160119651A (ko) 2016-10-14
KR101684362B1 KR101684362B1 (ko) 2016-12-08

Family

ID=570719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8657A KR101684362B1 (ko) 2015-04-06 2015-04-06 해양유출기름 회수장치용 유수분리팩 및 이를 이용한 유수분리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84362B1 (ko)
WO (1) WO201616358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9158B1 (ko) * 2020-12-31 2023-05-08 (유)태진엔지니어링 선박용 유수분리기를 가진 배출 모니터링 시스템
CN112875967B (zh) * 2021-02-08 2023-05-23 嘉兴学院 一种用于地沟油预处理的油水分离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7337B1 (ko) 2000-08-31 2004-02-05 이귀주 자연순환식 유수분리 장치
WO2005061071A1 (en) * 2003-12-24 2005-07-07 Nuova Maip Macchine Agricole Industriali Pieralisi S.P.A. Gravity separator for oil with high functional versatility
KR101139933B1 (ko) 2011-12-30 2012-04-30 (주)이앤이시스템 유수 분리기
KR101431786B1 (ko) * 2014-01-20 2014-08-19 (주)거도 해양 유출 기름 분리 회수 장치
KR101446272B1 (ko) * 2014-02-17 2014-10-02 (주) 한길산업 유수분리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9753Y1 (ko) * 2008-12-10 2012-04-16 비손푸른엔지니어링 주식회사 비점오염원 저감장치
CN102417212B (zh) * 2011-10-17 2013-04-24 中国海洋石油总公司 含油污水处理用旋流气浮分离装置
KR101270222B1 (ko) * 2011-12-29 2013-06-04 주식회사대한송유관공사 유수분리장치
KR101435642B1 (ko) * 2012-09-04 2014-08-2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열교환 기능을 구비한 유수 분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원유 탈염 시스템
CN203476712U (zh) * 2013-08-16 2014-03-12 中磁科技股份有限公司 滑阀真空泵油雾阱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7337B1 (ko) 2000-08-31 2004-02-05 이귀주 자연순환식 유수분리 장치
WO2005061071A1 (en) * 2003-12-24 2005-07-07 Nuova Maip Macchine Agricole Industriali Pieralisi S.P.A. Gravity separator for oil with high functional versatility
KR101139933B1 (ko) 2011-12-30 2012-04-30 (주)이앤이시스템 유수 분리기
KR101431786B1 (ko) * 2014-01-20 2014-08-19 (주)거도 해양 유출 기름 분리 회수 장치
KR101446272B1 (ko) * 2014-02-17 2014-10-02 (주) 한길산업 유수분리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4362B1 (ko) 2016-12-08
WO2016163581A1 (ko) 2016-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99868B2 (en) Oil-water separation apparatus and drainage system
JP6309090B2 (ja) 加圧浮上装置
KR101431786B1 (ko) 해양 유출 기름 분리 회수 장치
KR101024970B1 (ko) 유수분리장치
WO2016017713A1 (ja) 油水分離装置、排水システム
CN1853753B (zh) 分离装置
CN1289166C (zh) 聚氨酯油破乳装置
CN101761060A (zh) 水域除污拦截吸附坝及其拼装组件
CN111825233B (zh) 一种离心式净水给水装置
KR101684362B1 (ko) 해양유출기름 회수장치용 유수분리팩 및 이를 이용한 유수분리장치
KR101789070B1 (ko) 해양 이물질 제거와 나노 메쉬를 구비한 유수 분리 모듈
KR101644866B1 (ko) 스크래퍼 타입의 피처리수 여과장치
JP2004195347A (ja) 油水分離装置並びに油水分離方法
KR20170098023A (ko) 해상 유출기름 제거용 선박
CN207493507U (zh) 除油过滤装置
KR100889661B1 (ko) 선박용 폐오일 흡입장치
CN113683158B (zh) 一种基于复合材料的油水分离装置
JP2003024705A (ja) 油水分離方法並びにその装置
CN110902760B (zh) 一种污油水分离装置的工作方法
CA117854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il-water separation by coalescence
CN212347807U (zh) 具有流量调整功能的油水分离装置
KR100939107B1 (ko) 오일회수장치
CN210710836U (zh) 一种气浮油水分离器
JP6022811B2 (ja) 油水分離装置
CN109689976A (zh) 撇除和分离装置-中心旋转流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