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5642B1 - 열교환 기능을 구비한 유수 분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원유 탈염 시스템 - Google Patents

열교환 기능을 구비한 유수 분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원유 탈염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5642B1
KR101435642B1 KR1020120097918A KR20120097918A KR101435642B1 KR 101435642 B1 KR101435642 B1 KR 101435642B1 KR 1020120097918 A KR1020120097918 A KR 1020120097918A KR 20120097918 A KR20120097918 A KR 20120097918A KR 101435642 B1 KR101435642 B1 KR 1014356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water
mixture
heating medium
sepa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79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31040A (ko
Inventor
김원모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979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5642B1/ko
Publication of KR201400310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10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56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56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7/00Separation of liquid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by thermal diffusion
    • B01D17/02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31/00Refining of hydrocarbon oils, in the absence of hydrogen, b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10G31/08Refining of hydrocarbon oils, in the absence of hydrogen, b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by treating with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33/00Dewatering or demulsification of hydrocarbon o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3/00Arrangements for modifying heat-transfer, e.g. increasing, decreasing
    • F28F13/06Arrangements for modifying heat-transfer, e.g. increasing, decreasing by affecting the pattern of flow of the heat-exchange media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 For Refining Petroleum (AREA)

Abstract

열교환 기능을 구비한 유수 분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원유 탈염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유수 분리 장치는 크루드 오일(crude oil)와 물(water)의 혼합물을 유입받는 혼합물 유입구와; 상기 혼합물을 오일과 물로 분리하는 필터부와; 열매체(heating medium)를 유입받는 열매체 유입구와; 상기 열매체가 배출되는 열매체 배출구를 포함하되, 상기 열매체가 상기 필터부를 도과하면서 상기 열매체로부터 상기 필터부로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열교환 기능을 구비한 유수 분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원유 탈염 시스템{Apparatus for separating oil and water with heat exchanger and desalting system of crude oil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열교환 기능을 구비한 유수 분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원유 탈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FPSO(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 TLP(Tension Leg Platform), Semi-submersible Platform 등 여러 가지 방식(부유식/고정식/반잠수식)의 원유 시추, 생산 및 저장을 위한 해양 구조 설비가 사용되고 있다.
해양에서 시추된 원유에는 염분(salt)이 함유되어 있으며, 전술한 원유 생산 설비에서 원유를 처리하는 과정 중에는 시추된 원유의 품질 조건(Crude oil specification)을 만족시키기 위해, 염분 함유량(salt content)을 줄이고, 탈염(desalting) 과정에서 발생하는 에멀젼(emulsion)을 제거해줘야 하는 공정이 포함된다.
종래에는,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조수기에서 생산된 물(fresh water)(2)을 원유(crude oil)(1)에 섞어 혼합물(mixture)(3)을 만들어 염분을 희석시킴으로써 염분 함유량을 줄이고, 탈염 탱크(desalting tank)(4)에서 혼합물로부터 원유와, 에멀젼과 물을 각각 층을 만들어 분리한다.
분리된 원유는 다시 연속식 침전 탱크(continuous settling tank)(5)로 옮겨져 추가로 에멀젼이 분리된 후, 원유 저장 탱크(crude oil storage tank)(6)에 저장된다.
분리된 물과 에멀젼은 오수 저장 탱크(dirty water storage tank)(7)에 저장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원유 탈염 공정은, 탱크 내에서 비중차를 이용하여 원유와 물을 분리하는 '비중 분리(gravity separation)'가 진행되어야 하므로 원유 처리에 있어서 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단점이 있다.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편, 대한민국 공개특허 특2003-0081620호에는 상부가 개구되어 있으며 유입 파이프와 배출 파이프가 설치되어 있는 본체와,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유입수의 흐름 방향에 대해 본체를 복수의 챔버로 구획하는 유분 조립화 필터와, 본체의 내부에 고정 설치되며 양 격자판 사이에 유분 조립화 필터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필터 지지구와, 본체의 하부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하부 드레인 파이프와, 개구부를 밀폐시키는 커버를 구비하는 유수 분리장치가 개시되어 있고, 미국공개특허 US2012/0103914에는 오일의 응고, 분리 및 제거를 위한 거친 여과기 탱크 퍼들러, 마이크로 보텍스에 의한 혼탁을 제거하기 위한 부상 구형 미로, 앙금의 제거를 위한 환형 공간, 및 여과 및 정화를 위한 월넛쉘 미디엄으로 구성되는 유수분리 필터를 사용한 폐유 및 산성유의 중앙처리 프로세스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 대한민국 공개특허 특2003-0081620 특허문헌 2 : 미국 공개특허 US2012/0103914
본 발명은 원유의 탈염 공정 시간을 단축하고 시스템의 구성을 단순화할 수 있는 열교환 기능을 구비한 유수 분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원유 탈염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이외의 목적들은 하기의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크루드 오일(crude oil)과 물(water)의 혼합물을 유입받는 혼합물 유입구와; 상기 혼합물을 오일과 물로 분리하는 필터부와; 열매체(heating medium)를 유입받는 열매체 유입구와; 상기 열매체가 배출되는 열매체 배출구를 포함하되, 상기 열매체가 상기 필터부를 도과하면서 상기 열매체로부터 상기 필터부로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열교환 기능을 구비한 유수 분리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필터부는 스토크 법칙(Stoke's law)을 이용하여 상기 혼합물로부터 오일과 물을 분리할 수 있다.
상기 필터부에서의 열교환으로 인하여 상기 혼합물의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오일과 물의 분리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염분(salt)이 함유된 크루드 오일(crude oil)에 물(water)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생성하는 믹싱부와; 상기 혼합물을 유입받아 오일과 물로 분리하여 각각 배출하는 유수 분리부를 포함하되, 상기 유수 분리부는 오일과 물의 분리 효율이 향상되도록 열교환 기능을 구비한 원유(crude oil) 탈염(desalting)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유수 분리부로부터 배출되는 오일을 수용하는 오일 저장부와, 상기 유수 분리부로부터 배출되는 물을 수용하는 물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일 저장부는, 상기 유수 분리부로부터 배출되는 오일을 유입받아 오일로부터 에멀젼(emulsion)을 분리하는 탈염 탱크(desalting tank)와, 상기 탈염 탱크로부터 오일을 유입받는 오일 저장 탱크(oil storage tank)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 저장부는, 상기 유수 분리부로부터 배출되는 물을 유입받고, 상기 탈염 탱크로부터 에멀젼을 유입받는 오수 저장 탱크(dirty water storage tank)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수 분리부는, 상기 혼합물을 유입받는 혼합물 유입구와; 상기 혼합물을 오일과 물로 분리하는 필터부와; 열매체(heating medium)를 유입받는 열매체 유입구와; 상기 열매체가 배출되는 열매체 배출구를 포함하되, 상기 열매체가 상기 필터부를 도과하면서 상기 열매체로부터 상기 필터부로 열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열매체는 상기 원유의 생산 과정에서 생성되는 열유(Thermal Oil), 온수(hot water) 및 스팀(steam)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원유 탈염 시스템에 사용되는 유수 분리 장치에서 열교환 기능이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유수 분리 기능이 향상되고, 탈염(desalting) 공정의 시간이 단축되며, 비중 분리 공정을 진행할 필요가 없어 연속식 침전 탱크(continuous settling tank) 및 관련 시스템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탈염 시스템이 전체적으로 단순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 기능을 구비한 유수 분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탈염 시스템은 탈염 공정이 진행되는 원유 생산 시스템(oil production system)에 모두 적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원유 탈염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a 내지 도 2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수 분리 장치의 필터부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수 분리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유 탈염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실시예의 구성 요소가 해당 실시예에만 제한적으로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유지되는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에 포함되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또한 별도의 설명이 생략될지라도 복수의 실시예가 통합된 하나의 실시예로 다시 구현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하거나 관련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a 내지 도 2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수 분리 장치의 필터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수 분리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a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유수 분리 장치(100), 혼합물 유입구(110), 필터부(120), 열매체 유입구(130), 열매체 배출구(140), 오일 배출구(150), 물 배출구(160)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는 원유 탈염 설비에 사용되는 유수 분리 장치에 열교환 기능을 추가로 구비시킨 장치로서, 열교환 기능이 구비된 유수 분리 장치 또는 유수 분리가 가능한 열교환기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유수 분리 장치(100)는 유수, 즉 크루드 오일(crude oil)와 물(water)이 혼합된 혼합물(mixture)을 유입받아 다시 오일과 물로 분리하는 장치로서, 기본적으로 유입구, 필터부(120), 배출구로 이루어진다.
유입구는 혼합물을 유입받는 배관이고, 배출구는 분리된 오일과 물을 각각 배출하는 배관이다.
따라서, 유수 혼합물을 유입받아 오일과 물로 분리하여 배출하는 유수 분리 장치(100)는 하나의 유입구(혼합물 유입구(110))와 2개의 배출구(오일 배출구(150), 물 배출구(160))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필터부(120)는 유입된 혼합물을 오일과 물로 분리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로서, 본 실시예에 따른 필터부(120)는 스토크 법칙(Stoke's law)을 이용하여 혼합물로부터 오일과 물을 분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스토크 법칙(Stoke's law)은 유체 속에서 구형의 입자가 침전하는 속도 및 저항에 관한 법칙으로서, 본 실시예에 따른 필터부(120)가 도 2a에 도시된 것과 같은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고 할 때, 필터 내를 통과하는 혼합물에는 아래 식 (1)이 적용된다.
Figure 112012071450217-pat00001
(1)
여기서,
VR : 상방 속도/입자의 침전 속도(upward velocity/settling velocity of the particles)(cm/s)
g : 중력 가속도(gravity constant)(980cm/s2)
ρ w : 물의 밀도 또는 비중(density or specific gravity of water)(g/cm3)
ρ o : 오일의 밀도 또는 비중(density or specific gravity of oil)(g/cm3)
Do : 입자나 유적의 직경(diameter of the particle or drop)(cm)
η : 물의 점도(viscosity of water)(poise)
본 실시예에 따른 필터부의 내부 구조를 도 2b 내지 도 2d와 같이 도식적으로 나타냈을 때, 스토크 법칙(Stoke's Law)이 성립하기 위한 2가지 조건, 즉 입자들은 등속으로 부상/침강 하고, 부상/침강하는 입자는 구형이라고 가정하면, 필터 내를 흐르는 유수 혼합물(Oily water)에 들어 있는 오일 입자(Oil Particle)는 'Weep Hole'(oil이 빠지는 구멍)을 통해 부상하게 된다.
여기서, 입자가 부상하는 힘은 아래 식 (2)와 같이 산출될 수 있다.
입자의 부상력 = 입자에 작용하는 부력 - 입자에 작용하는 중력 (2)
필터의 형상이 도 2a 내지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형성되어 있으므로, 입자에 작용하는 부력에 원심력이 추가되게 되고, 이에 따라 필터 내를 흐르는 유체의 상승 속도(Y 방향 속도)가 증가하게 되며, 이로 인해 오일 입자는 더 쉽게 'Weep hole'을 통해 빠지게 된다.
도 2c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유수가 혼합된 유체는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흐르면서 오일은 상부로 부상하게 되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도 2e에 도시된 것처럼, 유수가 혼합된 유체(좌측의 'Mixed Fluid' 참조)가 필터를 통과함에 따라 우측과 같이 2상으로(Oil/Water) 분리되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필터부(120)는 전술한 원리에 따라 유수 혼합물로부터 오일과 물을 분리한다.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른 필터부가 반드시 스토크 법칙을 이용하여 혼합물을 분리하는 구조로 구성되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오일과 물의 혼합물을 유입받아 다시 오일과 물로 분리할 수 있는 다양한 방식 및 구조의 필터가 사용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는 이러한 유수 분리 장치(100)에 열교환 기능을 추가로 구비한 것으로서, 열교환을 위해 열매체(heating medium)를 유입받는 열매체 유입구(130)와, 유입된 열매체를 배출하기 위한 열매체 배출구(140)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열매체는 고온의 물이나 증기 등으로서, 열매체 유입구(130)를 통해 장치 내로 들어온 열매체는 필터부(120)를 지나면서 필터부(120)의 온도를 상승시킨 후 열매체 배출구(140)를 통해 장치 밖으로 배출된다.
이 과정에서 열매체로부터 필터부(120)로 열교환이 이루어져 필터부(120)의 온도가 상승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유수 분리 장치(100)는 열교환 기능을 구비하게 된다.
이처럼 열매체에 의한 열교환으로 인하여 필터부(120)의 온도가 상승하게 되며, 이에 따라 필터부(120) 내를 통과하는 혼합물의 온도 또한 상승하게 된다.
혼합물의 온도가 상승하게 되면, 오일과 물의 분리 효율이 향상되는 결과를 가져 올 수 있다. 즉, 오일과 물이 더 빨리 분리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유 탈염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탈염 시스템(200), 믹싱부(210), 유수 분리부(220), 탈염 탱크(230), 오일 저장 탱크(240), 오수 저장 탱크(250)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는 전술한 열교환 기능을 구비한 유수 분리 장치(100)가 사용하여 원유 탈염(desalting) 시스템을 구성한 사례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탈염 시스템(200)은, 믹싱부(210)와 유수 분리부(22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유수 분리부(220)에는 전술한 유수 분리 장치(100)가 설치될 수 있다.
믹싱부(210)는 크루드 오일(crude oil)와 물(water)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생성하는 구성요소로서, 오일에 함유된 염분(salt)은 혼합물 생성 과정에서 물에 용해되며, 따라서 오일로부터 염분이 제거될 수 있다.
유수 분리부(220)는 오일과 물의 혼합물을 유입받아 다시 오일과 물로 분리한 후, 각각 배출하는 구성요소로서, 오일과 물의 분리 과정에서 오일에 함유된 염분이 물에 용해되어 오일로부터 제거되는 탈염 처리가 이루어지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유수 분리부(220)는 열교환 기능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유수 분리부(220) 내에서 열교환이 이루어짐에 따라 유수 분리부(220)의 온도가 상승하여 결과적으로 유수 분리부(220)를 통과하는 혼합물의 온도가 상승하게 되며, 이에 따라 오일과 물의 분리 효율이 향상되게 된다.
유수 분리부(220)가 열교환 기능을 구비할 수 있도록, 본 실시예에 따른 유수 분리부(220)는, 혼합물 유입구(110), 오일 배출구(150), 물 배출구(160)뿐만 아니라, 열매체 유입구(130)와 열매체 배출구(140)가 더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혼합물 유입구(110)는 오일과 물의 혼합물을 유입받는 배관이고, 오일 배출구(150)는 분리된 오일이 배출되는 배관이며, 물 배출구(160)는 분리된 물이 배출되는 배관일 수 있다.
유수 분리부(220) 내에는 유입된 혼합물을 오일과 물로 분리하는 필터부가 포함되어 있는데, 필터부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스토크 법칙을 이용하여 혼합물로부터 오일과 물을 분리하는 필터가 사용될 수 있다.
이 외에도, 본 실시예에 따른 필터부에 다양한 방식 및 구조의 필터가 사용될 수도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유수 분리부(220)에서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유수 분리부(220)에는 열매체를 유입받는 열매체 유입구(130)와, 열매체가 배출되는 열매체 배출구(14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이처럼, 유수 분리부(220)를 통해 열매체가 통과하도록 함으로써, 유수 분리부(220) 내로 유입된 열매체는 필터부를 도과하면서 필터부를 가열하게 되며, 따라서 열매체로부터 필터부로 열교환이 이루어지게 된다.
필터부가 가열되면 필터 내부를 통과하는 혼합물 또한 가열되며, 혼합물이 가열되면 오일과 물이 더 빨리 분리되어 오일과 물의 분리 효율이 향상될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유수 분리부(220)를 통과하는 열매체로는 전술한 것처럼 고온의 물이나 증기가 사용될 수 있는데, 이러한 열매체로는 크루드 오일의 생산 과정에서 생성되는 열유(Thermal Oil), 온수(hot water)나 스팀(steam)을 사용할 수 있다.
즉, 원유 생산 과정에서 생성되는 고온의 물이나 증기를 별도의 배관을 통해 유수 분리 장치로 보내, 유수 분리 장치 내에서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원유 탈염 시스템(200)은 탈염 공정 시간을 단축시킬 뿐만 아니라, 원유 생산 과정에서 발생하는 폐열을 재활용하는 장점도 가질 수 있다.
열교환을 통해 보다 신속하게 분리된 오일과 물은 각각 오일 배출구(150)와 물 배출구(160)를 통해 유수 분리부(220) 밖으로 배출된다.
유수 분리부(220)로부터 배출된 오일은 오일 저장부에 수용되며, 유수 분리부(220)로부터 배출된 물은 물 저장부에 수용될 수 있다.
오일 저장부는,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유수 분리부(220)로부터 배출된 오일로부터 에멀젼(emulsion)을 분리하는 탈염 탱크(desalting tank)(230)와, 탈염 탱크(230)로부터 오일을 유입받아 저장하는 오일 저장 탱크(oil storage tank)(240)로 구성될 수 있다.
물 저장부는,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유수 분리부(220)로부터 배출된 물과 탈염 탱크(230)로부터 배출된 에멀젼을 유입받아 저장하는 오수 저장 탱크(dirty water storage tank)(250)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탈염 시스템(도 1 참조)과 본 실시예에 따른 탈염 시스템(도 4 참조)을 비교해 보면, 시스템 내에 열교환 기능을 구비한 유수 분리 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연속식 침전 탱크(Continuous Settling Tank) 및 이에 관련된 시스템을 생략할 수 있어, 전체적인 시스템을 단순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유수 분리 장치에 열교환 기능을 추가시킴으로써, 유수 분리 기능이 향상되며, 이에 따라 원유 탈염(desalting) 공정의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탈염 시스템(200) 및 유수 분리 장치(열교환 기능 구비)는 FPSO(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 TLP(Tension Leg Platform), Semi-submersible Platform 등 다양한 원유 생산 시스템(Oil Production System)에 모두 적용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유수 분리 장치 110 : 혼합물 유입구
120 : 필터부 130 : 열매체 유입구
140 : 열매체 배출구 150 : 오일 배출구
160 : 물 배출구 200 : 탈염 시스템
210 : 믹싱부 220 : 유수 분리부
230 : 탈염 탱크 240 : 오일 저장 탱크
250 : 오수 저장 탱크

Claims (9)

  1. 크루드 오일(crude oil)과 물(water)의 혼합물을 유입받는 혼합물 유입구와;
    상기 혼합물을 오일과 물로 분리하는 필터부와;
    열매체(heating medium)를 유입받는 열매체 유입구와;
    상기 열매체가 배출되는 열매체 배출구를 포함하되,
    상기 열매체가 상기 필터부를 도과하면서 상기 열매체로부터 상기 필터부로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열교환 기능을 구비한 유수 분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스토크 법칙(Stoke's law)을 이용하여 상기 혼합물로부터 오일과 물을 분리하는 열교환 기능을 구비한 유수 분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에서의 열교환으로 인하여 상기 혼합물의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오일과 물의 분리 효율이 향상되는 열교환 기능을 구비한 유수 분리 장치.
  4. 염분(salt)이 함유된 크루드 오일(crude oil)에 물(water)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생성하는 믹싱부와;
    상기 혼합물을 유입받아 오일과 물로 분리하여 각각 배출하는 유수 분리부와;
    상기 유수 분리부로부터 배출되는 오일을 수용하는 오일 저장부와;
    상기 유수 분리부로부터 배출되는 물을 수용하는 물 저장부를 포함하되,
    상기 유수 분리부는 오일과 물의 분리 효율이 향상되도록 열교환 기능을 구비하고,
    상기 오일 저장부는, 상기 유수 분리부로부터 배출되는 오일을 유입받아 오일로부터 에멀젼(emulsion)을 분리하는 탈염 탱크(desalting tank)와, 상기 탈염 탱크로부터 오일을 유입받는 오일 저장 탱크(oil storage tank)를 포함하는, 원유(crude oil) 탈염(desalting) 시스템.
  5. 삭제
  6. 삭제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물 저장부는, 상기 유수 분리부로부터 배출되는 물을 유입받고, 상기 탈염 탱크로부터 에멀젼을 유입받는 오수 저장 탱크(dirty water storage tank)를 포함하는 원유 탈염 시스템.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수 분리부는,
    상기 혼합물을 유입받는 혼합물 유입구와;
    상기 혼합물을 오일과 물로 분리하는 필터부와;
    열매체(heating medium)를 유입받는 열매체 유입구와;
    상기 열매체가 배출되는 열매체 배출구를 포함하되,
    상기 열매체가 상기 필터부를 도과하면서 상기 열매체로부터 상기 필터부로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원유 탈염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열매체는 상기 원유의 생산 과정에서 생성되는 열유(Thermal Oil), 온수(hot water) 및 스팀(steam)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원유 탈염 시스템.
KR1020120097918A 2012-09-04 2012-09-04 열교환 기능을 구비한 유수 분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원유 탈염 시스템 KR1014356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7918A KR101435642B1 (ko) 2012-09-04 2012-09-04 열교환 기능을 구비한 유수 분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원유 탈염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7918A KR101435642B1 (ko) 2012-09-04 2012-09-04 열교환 기능을 구비한 유수 분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원유 탈염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1040A KR20140031040A (ko) 2014-03-12
KR101435642B1 true KR101435642B1 (ko) 2014-08-29

Family

ID=506433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7918A KR101435642B1 (ko) 2012-09-04 2012-09-04 열교환 기능을 구비한 유수 분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원유 탈염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564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8694B1 (ko) 2019-03-22 2020-09-22 정영훈 저급연료유를 저염소 청정 경질연료유로 변환시키는 탈염소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4362B1 (ko) * 2015-04-06 2016-12-08 (주)거도 해양유출기름 회수장치용 유수분리팩 및 이를 이용한 유수분리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96809A (ja) * 1995-01-23 1996-08-06 Idemitsu Eng Co Ltd タンク内貯蔵原油等の自動水切り装置
US20120103914A1 (en) 2010-06-24 2012-05-03 Gang Yuan Centralized Sump Oil and Acid Oil treatment process and Syste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96809A (ja) * 1995-01-23 1996-08-06 Idemitsu Eng Co Ltd タンク内貯蔵原油等の自動水切り装置
US20120103914A1 (en) 2010-06-24 2012-05-03 Gang Yuan Centralized Sump Oil and Acid Oil treatment process and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8694B1 (ko) 2019-03-22 2020-09-22 정영훈 저급연료유를 저염소 청정 경질연료유로 변환시키는 탈염소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1040A (ko) 2014-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otta et al. Oil Produced Water treatment for oil removal by an integration of coalescer bed and microfiltration membrane processes
US9914136B2 (en) Process for reducing soluble organic content in produced waters associated with the recovery of oil and gas
US9428404B2 (en) Water extraction using a directional solvent
Almarouf et al. Demulsification of stable emulsions from produced water using a phase separator with inclined parallel arc coalescing plates
KR101336169B1 (ko) 침전과 부상을 연계한 고도정수처리장치
BR112014027304B1 (pt) Aparelho e método para limpar água salgada
US20150034555A1 (en) Treatment of De-Oiled Oilfield Produced Water or De-Oiled Process Affected Water From Hydrocarbon Production
CN103408153B (zh) 含乳化油污水物理破乳处理装置及其处理方法
KR101435642B1 (ko) 열교환 기능을 구비한 유수 분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원유 탈염 시스템
BR102014010301A2 (pt) métodos e sistemas para o processamento de óleo bruto
JP5850443B2 (ja) クロスフロー濾過を用いて原油を処理するための方法及びシステム
Ibrahim et al. Advances in produced water treatment technologies: an in-depth exploration with an emphasis on membrane-based systems and future perspectives
CN204400653U (zh) 一种一体化气浮除油器
CN103754986B (zh) 一种油污混合物分离系统
Huang et al. Research of novel process route and scale-up based on oil-water separation flotation column
CN109650677A (zh) 一种油水分离装置
KR200471174Y1 (ko) 초고속 여과기능과 미세여재의 회수기능을 구비한 여과장치
CN208071382U (zh) 一种隔油池
CN207259310U (zh) 一种快速的汤油分离设备
KR101820602B1 (ko) 이동식 수처리 막여과 장치 및 이를 사용한 수처리 방법
KR101900022B1 (ko) 지천 수처리 방법
CN110510798A (zh) 一种用微气泡深度处理三元复合驱采出水的方法
RU2089261C1 (ru) Способ очистки воды от жидкхи нефтепродуктов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реализации (варианты)
CN105776424B (zh) 一种高效废水除油装置
CN215365280U (zh) 一种采油废水一体化处理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