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6809B1 - 흡입식 해저 및 저수지 침전물 제거 장치 - Google Patents

흡입식 해저 및 저수지 침전물 제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6809B1
KR100516809B1 KR1020050014301A KR20050014301A KR100516809B1 KR 100516809 B1 KR100516809 B1 KR 100516809B1 KR 1020050014301 A KR1020050014301 A KR 1020050014301A KR 20050014301 A KR20050014301 A KR 20050014301A KR 100516809 B1 KR100516809 B1 KR 1005168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diment
reservoir
sea
seabed
s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43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종규
이상현
장호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스코
Priority to KR10200500143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68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68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6809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8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acting by a sucking or forcing effect, e.g. suction dredgers
    • E02F3/8858Submerged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8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acting by a sucking or forcing effect, e.g. suction dredgers
    • E02F3/90Component parts, e.g. arrangement or adaptation of pump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8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acting by a sucking or forcing effect, e.g. suction dredgers
    • E02F3/90Component parts, e.g. arrangement or adaptation of pumps
    • E02F3/907Measuring or control devices, e.g. control units, detection means or sens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8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acting by a sucking or forcing effect, e.g. suction dredgers
    • E02F3/90Component parts, e.g. arrangement or adaptation of pumps
    • E02F3/92Digging elements, e.g. suction heads
    • E02F3/9293Component parts of suction heads, e.g. edges, strainers for preventing the entry of stone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상 양식장, 육상 양식장 및 기타 바다 또는 저수지 하부면에 존재하는 다양한 종류의 침전물을 흡입하고자 하는 지점을 완전히 밀폐한 상태에서 유압 또는 에어펌프로 흡입 처리하여 침전물의 흡입시 주위의 침전물의 부유를 최소화 하여 2차 오염을 방지하면서 선상으로 침전물을 인양하여 고체침전물과 액체침전물을 분리 처리하는 수단을 구비한 흡입식 해저 및 저수지 침전물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소정의 크기와 비중을 가지고 하부가 개방되어 바다 또는 저수지등의 바닥면에 위치할 경우에 밀폐된 공간을 형성하는 사방격자형의 구조물을 구비하고, 밀폐된 공간을 형성하는 구조물의 벽 내부에는 물을 고압으로 분사하여 침전물을 부유시키는 워터제트 장치가 설치되며, 구조물의 내부에는 워터제트에 의하여 부유된 침전물이 계속 부유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무동력의 임펠러가 설치되고, 구조물의 내부에 부유된 침전물을 흡입하는 흡입펌프는 해상 또는 선박 상에 위치하며, 펌프의 관을 통과할 수 없는 고체물체를 여과하는 1차 필터(그리드식)가 구조물 내부에 설치되고, 흡입펌프를 통과하여 나온 침전물을 여과하고 정화하는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바다 및 저수지 바닥에 침전되어 있는 침전물질의 흡입과정에서 발생하는 이차 부유물질의 발생 및 주변 해수의 오염을 최소화하면서 침전물을 제거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흡입식 해저 및 저수지 침전물 제거 장치{A removal system of sea-bottom and reservoir water area deposit of inhalation type}
본 발명은 해상 양식장, 육상 양식장 및 기타 바다 또는 저수지 하부면에 존재하는 다양한 종류의 침전물을 흡입하고자 하는 지점을 완전히 밀폐한 상태에서 유압 또는 에어펌프로 흡입 처리하여 침전물의 흡입시 주위의 침전물의 부유를 최소화 하여 2차 오염을 방지하면서 선상으로 침전물을 인양하여 고체침전물과 액체침전물을 분리 처리하는 수단을 구비한 흡입식 해저 및 저수지 침전물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가두리 양식장 주변 해양 및 호소지역의 환경은 양식사료, 양식대상어류의 배설물 및 사체에서 발생하는 질소 및 인으로 인한 부영양화가 심각하며 가두리 양식장 하단 저질층은 무산소층의 형성으로 침전물의 협기성 반응에 의한 황화수소등 유독가스가 발생할 뿐만 아니라 이러한 부영양화된 저질층 내에 서식하는 미생물들이 수중의 용존 산소를 고갈시키거나 매우 낮은 농도로 만들어 다른 저서동물의 산소섭취를 어렵게 함으로서 생태계를 파괴할 수 있으며, 또한 오염의 진행정도에는 차이가 있으나 육상으로부터 오염물질이 유입되는 항만, 수원지, 저수지, 조선소등의 해저 또는 저수지 바닥 면에도 오염의 정도가 심각한 수준에 있다. 이와 같이 오염된 침전물을 제거하는 수단으로 종래의 흡입방법에 의한 저질층의 침전물을 제거하는 준설장비가 있었으나, 흡입하는 과정에서 오염된 침전물이 부유하여 수질 내 2차 오염을 유발시켜 침전물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없으며, 단지 수질의 오염의 정도를 고려하지 않고 침전물의 일부를 흡입하여 처리함으로써 흡입에 의한 2차 오염으로 심각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침전물을 흡입 처리하는 과정에서는 장치에 형성된 침전물 흡입구가 비교적 좁게 형성되어 있어서 침전물에 존재하는 다양한 크기의 고체물체들이 흡입되면서 흡입구가 자주 막아 작업이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막힌 물체를 제거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의 낭비가 크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인식하고 안출된 것으로, 해저 또는 저수지의 바닥 면에 침전된 침전물을 유압 또는 에어펌프로 흡입하여 제거 처리함에 있어서, 소정의 크기와 비중을 가지고 하부가 개방되어 바다 또는 저수지등의 바닥에 위치할 경우에 밀폐된 공간을 형성하는 사방격자형의 구조물을 구비하고, 밀폐된 공간을 형성하는 구조물의 벽 내부에는 유압 또는 에어펌프로 물을 고압으로 분사하여 침전물을 부유시키는 워터제트 장치가 설치되며, 구조물의 내부에는 워터제트에 의하여 부유된 침전물이 부유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무동력의 임펠러가 설치되어 회전하는 구성을 가지며, 구조물의 내부에 부유된 침전물을 흡입하는 흡입펌프가 수상 또는 선박 상에 위치하며, 펌프의 흡입관을 통과할 수 없는 고체물체를 여과하는 1차 필터(그리드식)가 구조물 내부에 설치되고, 흡입펌프를 통과하여 나온 침전물을 여과하고 정화하는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흡입시 부유물에 의하여 발생하는 2차 오염을 최소화하면서 밀폐된 구조물 내부의 침전물을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흡입식 해저 및 저수지 침전물 처리장치를 구현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밀폐형 사방격자형으로 구조물에 워터제트 및 무동력 임펠라를 설치하여 바닥에 침전된 침전물을 최대한 신속하게 부유시키는 수단과, 워터제트와 임펠라에 의하여 침전물을 유동시킴과 동시에 1차 필터(그리드식)를 구조물 내부의 넓은 공간에 형성시켜 흡입구의 막힘 현상을 최소화하여 해저 및 저수지의 바닥면의 침전물을 깨끗하고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는 흡입식 해저 및 저수지 침전물 처리장치를 구현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침전물 흡입 또는 웨트제트를 위한 동력으로 유압 또는 에어펌프를 사용함으로써 수중에서 발생할 수 있는 전기적인 안전사고를 미리 방지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해상 양식장, 육상 양식장 및 기타 바다 또는 저수지 하부면에 존재하는 다양한 종류의 침전물을 흡입하고자 하는 지점을 완전히 밀폐한 상태에서 유압 또는 에어펌프로 흡입 처리하여 침전물의 흡입시 주위의 침전물의 부유를 최소화 하여 2차 오염을 방지하면서 선상으로 침전물을 인양하여 고체침전물과 액체침전물을 분리 처리하는 수단을 구비한 흡입식 해저 및 저수지 침전물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가두리 양식장 주변 해양 및 호소지역의 환경은 양식사료, 양식대상어류의 배설물 및 사체에서 발생하는 질소 및 인으로 인한 부영양화가 심각하며 가두리 양식장 하단 저질층은 무산소층 형성으로 침전물의 협기성 반응에 의한 황화수소등 유독가스가 발생할 뿐만 아니라 이러한 부영양화된 저질층 내에 서식하는 미생물들이 수중의 용존 산소를 고갈시키거나 매우 낮은 농도로 만들어 다른 저서동물의 산소섭취를 어렵게 함으로서 생태계를 파괴할 수 있으며, 또한 오염의 진행정도에는 차이가 있으나 육상으로부터 오염물질이 유입되는 항만, 수원지, 저수지, 조선소등의 해저 또는 저수지 바닥 면에도 오염의 정도가 심각한 수준에 있다. 이와 같이 오염된 침전물을 제거하는 수단으로 종래의 흡입방법에 의한 저질층의 침전물을 제거하는 준설장비가 있었으나, 흡입하는 과정에서 오염된 침전물이 부유하여 수질 내 2차 오염을 유발시켜 침전물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없었으며, 단지 수질의 오염의 정도를 고려하지 않고 침전물의 일부를 흡입하여 처리함으로써 흡입에 의한 2차 오염으로 심각한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종래의 흡입 처리하는 과정에서 침전물에 존재하는 다양한 크기의 물체 주에서 비교적 큰 물체에 의하여 흡입구가 자주 막혀서 작업이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막힌 물체를 제거하는데 소요되는 작업시간의 낭비가 크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이다. 본 발명을 보다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도면을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흡입식 해저 또는 저수지의 침전물 제거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따른 밀폐형 박스를 위에서 본 개략적인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구성수단들을 살펴본다. 본 발명은 해저 또는 저수지의 바닥 면에 침전된 침전물을 유압 또는 에어펌프로 흡입에 의하여 제거 처리함에 있어서, 소정의 크기와 비중을 가지고 하부가 개방되어 바다나 저수지등의 바닥에 위치할 경우에 밀폐된 공간을 형성하는 사방격자형의 구조물을 구비한다. 즉, 사방격자형으로 구조물은 저수지 또는 해저의 바닥면에 위치하여 무게에 의하여 밀착될 수 있는 비중을 가진 재질로 구성되며, 그 크기, 높이 및 형태는 용도 및 침전물의 침전상태에 따라 다양한 크기와 높이로 구성할 수 있고 그 형태는 정사각형, 직사각형 및 원형 등으로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다. 하나의 예로, 밀폐형 구조물의 재질은 비중이 적당하면서 바다 또는 민물에서도 녹이 발생하지 않는 스테인레스 스틸을 사용하여 제작할 수 있다. 상기 저수지 또는 해저면의 바닥에서 밀폐된 공간을 형성하는 구조물의 벽 내부 일측에는 물을 고압으로 분사하여 침전물을 부유시키는 워터제트(4) 장치가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며, 설치되는 워터제트(4)의 수는 사방격자형으로 형성되는 구조물의 크기 및 용도에 따라 다르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밀폐된 공간을 형성하는 구조물의 내부에는 워터제트(4)에 의하여 부유된 침전물들이 쉽게 다시 침전하지 않도록 무동력 임펠라가 설치되며, 무동력 임펠라(5)는 워터제트에 의하여 형성되는 소용돌이(인공와류)에 의하여 회전하면서 침전물을 부유 상태로 유지시켜 준다. 사방격자형으로 구조물 내부에 설치되는 임펠라(5)의 수, 크기 및 높이는 밀폐된 공간을 형성하는 구조물의 크기와 높이에 따라 다르게 구성할 수 있다. 밀폐된 공간을 형성하는 구조물의 일측에는 구조물을 인양하거나 설치 시에 참고할 수 있는 정보를 얻기 위하여 구조물이 위치한 해저 또는 저수지의 깊이를 감지할 수 있도록 수심 감지센서(15)가 위치한다. 밀폐된 공간을 형성하는 구조물의 내측에는 유압 또는 에어펌프의 흡입관을 통과할 수 없는 크기의 고체물체를 여과하는 1차 여과 필터(7, 와이어 메쉬를 그리드 형태로)가 구조물 내부에 설치된다. 침전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해저 또는 저수지의 바닥 면에 밀폐된 공간을 형성하는 구조물이 위치할 경우에 그 구조물 상단의 해상 또는 수상에는 침전물을 흡입하기 위한 보조 유압 및 에어펌프(1)가 설치된다. 보조 유압 및 에어펌프(1)는 침전물의 제거를 위한 장소에 선박의 접근이 어려울 경우에 1개 이상 여러 대로 연결하여 침전물의 흡입을 용이하도록 구성하는데 사용된다. 메인(주) 유압 및 에어펌프(10)는 침전물 수거용 선박 상에 위치한다. 상기 침전물의 흡입을 위한 메인 또는 보조 흡입펌프의 동력은 바다 또는 저수지의 특성상 전기적으로 비교적 안정한 유압 및 압축공기(2)를 사용하여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인(10) 및 보조(1) 유압 및 에어펌프는 사방격자형의 밀폐 공간(8)내의 침전물을 강한 압력으로 흡입호스(3)를 통하여 선상으로 인양하여 소정의 크기 이상의 고체물체를 여과하는 필터로 여과하여 여과된 고체물체는 고체저장고(11)로 이송되고, 액체침전물의 처리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특1999-0040949호 등에 개시된 공지의 정화처리수단을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해저 또는 저수지 바닥면의 침전물을 흡입에 따른 부유를 최소화하면서 유압 또는 에어 펌프를 사용하여 선상으로 인양할 수 있는 침전물 흡입제거장치로 한정한다. 밀폐된 공간을 형성하는 구조물의 외부 상측에는 구조물을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선박, 해상 또는 수상에 있는 리프트 및 수중 인양용 리프트 백과 연결하는 수단으로 구조물 인양용 연결 고리(6)를 구비한다. 상기 메인 및 보조 유압 및 에어 펌프와 상기 밀폐된 공간을 형성하는 구조물을 연결하는 흡입호스는 펌프의 용량에 따라 직경을 달리하여 구성되며, 운송 및 관리의 편리성을 위하여 소정의 길이로 형성하고 흡입호스의 양 끝단에는 호스와 호스를 상호 체결할 수 있는 흡입호스 연결부재(14)를 구비하여 필요한 길이만큼 연결 조립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 워터제트 및 침전물 흡입에 사용되는 동력은 해상 또는 수상에서의 전기적인 안전사고를 최대화하기 위하여 선박 또는 해상에 위치한 메인(10) 및 보조(1)로 구성된 유압 또는 에어펌프에 의하여 공급하는 구성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에는 일차 또는 이차 펌프를 통하여 흡입된 침전물은 1차 집수통(사이클론식)에 집수되어 소형 고체와 액체물질을 분리하고 고체물질은 고체침전물저장고에 저장되어 육상으로 운송하여 처리하고, 액체에 포함된 미세입자는 원심분리기를 사용하여 고체와 액체로 분리한 후 고체입자는 상기 고체물질 저장고로 이송되어 저장된다. 원심분리기를 통해서 나온 액체는 공지의 다양한 종류의 화학약품과 필터를 사용하여 정화공정을 거쳐서 정화 처리한 후에 배수 밸브를 통해서 배수하게 된다. 상기 고체물질 저장고에 저장된 고체침전물질은 침전물 운반선에 의하여 육상으로 운송되어 처리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화학약품처리공정과 고체물질저장고에 저장된 고체침전물의 처리 방법 또는 공정은 공지된 기술을 사용하여 이루어지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 예]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 예를 살펴본다. a) 도1에서, 밀폐된 공간을 형성하는 구조물(8)을 체결 고리(6)에 체결시켜 해저 또는 저수지의 바닥에 쌓인 침전물을 제거하기를 원하는 지점에 위치시키기 위하여 선박, 해상 또는 수상에 설치되어 있는 리프트 및 수중 인양용 리프트 백을 이용하여 해저 또는 저수지 바닥면에 위치시킨다. b) 수상, 해상 또는 선박에 설치된 메인(10) 및 보조(1) 유압 또는 에어펌프를 작동시켜 밀폐된 공간을 형성하는 구조물(8)의 하단부에 설치된 워터제트(4)로 고압으로 물을 분사하여 침전물을 부유시킨다. 웨터제트(4)에 의하여 부유된 침전물들이 계속 부유 상태를 유지하도록 무동력 임펠라가 워터제트에 의하여 분사되는 물에 의하여 발생한 침전물의 흐름으로 계속 회전하면서 침전물이 부유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c) 밀폐된 공간을 형성하는 구조물(8) 내부의 침전물들이 부유 상태를 이루면, 선박, 해상 또는 수상에 위치한 메인(10) 및 보조(1) 유압 또는 에어펌프를 사용하여 흡입호스를 통해서 부유된 침전물을 신속하게 흡입하여 침전물들을 인양하여 선상에 위치한 침전물 저장고(집수통)로 보내진다. 밀폐된 공간을 형성하는 구조물(8)의 내부에는 흡입호스로 유입이 불가능한 크기의 고체물질을 여과하는 필터(7, 그리드)가 바닥에서 소정의 높이에 설치된다. 밀폐된 공간을 형성하는 구조물(8)의 상측에는 상기 구조물(8)의 내부에 설치된 그리드(7)에 부착된 침전물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개폐가 가능한 소정크기의 문(9)이 형성되어 있다. 밀폐된 공간을 형성하는 구조물(8)의 크기와 형태는 정사각형, 직사각형 또는 원형 등 다양하게 설계 제작할 수 있으며, 정사각형의 경우를 예를 들면, 가로와 세로가 5m×5m이고, 높이가 1.5m 인 설계 제작한다. 밀폐된 공간을 형성하는 구조물(8)의 일측에 수심 측정용 센서(15)를 설치하여 구조물이 위치한 장소의 수심을 감지하여 침전물 제거를 위하여 필요로 하는 흡입호스의 길이를 용이하게 파악하고, 구조물을 상용의 리프트를 사용하여 다른 장소로 이동하거나 끌어올리는 작업을 할 경우에 유용한 정보로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일련의 작업을 위하여 필요로 하는 다양한 종류의 제어 버튼를 구비한 장치제어부는 운전자가 위치한 선박 상에 설치 구성한다. 유압 또는 에어펌프에 의하여 선상으로 인양한 침전물은 1차로 공지의 사이클론 방법으로 소형 고체침전물을 분리하여 고체물 저장고로 이송되고, 이차로 액체와 고체침전물을 분리하기 위하여 원심분리기를 사용하여 고체와 액체로 분리하여 분리된 고체침전물은 고체침전물 저장고로 이송된다. 고체물 저장고에 저장된 침전물은 운반선을 이용하여 육상으로 이동되어 처리된다. 일차와 이차를 통과하여 나온 액체침전물(12)은 삼차로 공지의 화학적 처리공정을 거쳐 정화한 후에 배수밸브를 통하여 바다 또는 저수지로 배수된다.
본 발명은 해저 또는 저수지의 바닥 면에 침전된 침전물을 유압 또는 에어펌프로 흡입에 의하여 제거 처리함에 있어서, 소정의 크기와 비중을 가지고 하부가 개방되어 바다나 저수지등의 바닥에 위치할 경우에 밀폐된 공간을 형성하는 사방격자형의 구조물을 구비하고, 밀폐된 공간을 형성하는 구조물의 벽 내부에는 일정간격으로 물을 고압으로 분사하여 침전물을 부유시키는 워터제트에 의하여 부유된 침전물이 부유 상태를 유지하여 흡입펌프로 구조물의 내부에 부유된 침전물을 흡입함으로써 흡입시 부유물에 의하여 발생하는 2차 오염을 최소화하는 작용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는 밀폐형 사방격자형의 구조물 내부에 워터제트 및 무동력 임펠라를 설치하여 바닥에 침전된 침전물을 최대한 신속하게 부유시키는 수단과, 워터제트와 임펠라에 의하여 침전물을 유동시킴과 동시에 1차 필터(그리드식)를 구조물 내부의 넓은 공간에 형성시켜 흡입구의 막힘 현상을 최소화하여 해저 및 저수지의 바닥면의 침전물을 깨끗하고 신속하게 제거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는 침전물 흡입 또는 웨트제트를 위한 동력을 위하여 유압 또는 에어펌프를 사용하여 이루어지므로 수중에서 발생할 수 있는 전기적인 안전사고를 예방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흡입식 해저 또는 저수지의 침전물 제거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따른 밀폐형 박스를 위에서 본 개략적인 구성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
1 ; 보조 펌프(유압 또는 압축공기식)
2 ; 동력선(유압 또는 압축공기)
3 ; 흡입호스 4 ; 워터제트 장치
5 ; 임펠러 6 ; 인양시 사용되는 연결고리
7 ; 1차 필터(그리드식) 8 ; 밀폐 공간을 형성하는 구조물
9 ; 밀폐장치 내부 확인 출입구
10 ; 유압 또는 에어를 이용한 침전물 흡입을 위한 주 흡입펌프
11 ; 고체침전물 저장고
12 ; 액체침전물 저장고
13 ; 침전물 인양용 선박
14 ; 호스연결부재
15 ; 수압감지센서

Claims (7)

  1. 해저 및 저수지에 침전되어 있는 침전물을 흡입하여 처리하는 침전물 제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침전물 흡입시 발생하는 부유에 의한 이차 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침전물의 제거가 필요한 해저 또는 저수지의 바닥 면에 위치하여 침전물을 흡입하기 위하여 밀폐된 공간을 형성하는 구조물과,
    상기 밀폐된 공간을 형성하는 구조물의 내부에 설치되어 침전물 흡입시 흡입호스의 막힘을 방지하기 위하여 소정크기 이상의 침전물을 여과하는 그리드와,
    상기 밀폐된 공간을 형성하는 구조물의 하단부에 위치하여 선상의 에어펌프 또는 유압펌프로 고압으로 물을 분사시켜 침전물을 부유시키는 워터제트와,
    상기 전기에 의한 안전사고를 줄이면서 워터제트에 의하여 부유된 침전물을 수상 또는 해상에 위치한 선박으로 흡입호스를 통하여 흡입하기 위하여 수상 또는 해상에 위치한 선박에 설치된 에어펌프 또는 유압펌프와,
    침전물을 수상 또는 해상에 위치한 선박으로 흡입하기 위하여 상기 밀폐된 공간을 형성하는 구조물과 상기 에어펌프 또는 유압펌프 사이를 연결하는 흡입호스를 구비한 해저 및 저수지의 침전물 제거 장치.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밀폐된 공간을 형성하는 구조물과 흡입펌프를 연결하는 흡입호스는 운반 및 보관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소정의 길이로 분리하고, 서로 체결할 수 있는 연결부재를 구비한 해저 및 저수지의 침전물 제거 장치.
  5. 청구항1 또는 청구항4에 있어서,
    상기 밀폐된 공간을 형성하는 구조물의 외측에는 구조물이 위치한 해저 또는 저수지의 수심을 감지하는 수심 감지센서를 더 구비한 해저 및 저수지의 침전물 제거 장치.
  6. 청구항1 또는 청구항4에 있어서,
    상기 밀폐된 공간을 형성하는 구조물의 외측에는 리프트와 체결되어 구조물을 용이하게 이동 또는 인양할 수 있도록 형성된 연결고리와, 상기 밀폐된 공간을 형성하는 구조물의 내부 일측에는 부유된 침전물을 부유 상태로 유지시켜주는 무동력 임펠라를 더 구비한 해저 및 저수지의 침전물 제거 장치.
  7. 청구항1 또는 청구항4에 있어서,
    상기 밀폐된 공간을 형성하는 구조물과 침전물 인양용 선박간의 거리가 멀 경우에 침전물의 흡입력을 보조하는 침전물 보조흡입펌프를 하나 이상 수상 또는 해상에 설치하여 연결되는 구성을 구비한 해저 및 저수지의 침전물 제거 장치.
KR1020050014301A 2005-02-22 2005-02-22 흡입식 해저 및 저수지 침전물 제거 장치 KR1005168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4301A KR100516809B1 (ko) 2005-02-22 2005-02-22 흡입식 해저 및 저수지 침전물 제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4301A KR100516809B1 (ko) 2005-02-22 2005-02-22 흡입식 해저 및 저수지 침전물 제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16809B1 true KR100516809B1 (ko) 2005-09-26

Family

ID=373049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4301A KR100516809B1 (ko) 2005-02-22 2005-02-22 흡입식 해저 및 저수지 침전물 제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680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8243B1 (ko) 2006-10-24 2008-02-29 박중민 준설 장치
KR100914950B1 (ko) * 2007-08-09 2009-09-01 김동희 바지선과 수중 로봇을 이용한 개펄 제거 장치
CN104314126A (zh) * 2014-11-10 2015-01-28 饶宾期 水体污泥抽取装置
CN104404993A (zh) * 2014-11-10 2015-03-11 饶宾期 移动式水体污水污泥抽取处理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8243B1 (ko) 2006-10-24 2008-02-29 박중민 준설 장치
KR100914950B1 (ko) * 2007-08-09 2009-09-01 김동희 바지선과 수중 로봇을 이용한 개펄 제거 장치
CN104314126A (zh) * 2014-11-10 2015-01-28 饶宾期 水体污泥抽取装置
CN104404993A (zh) * 2014-11-10 2015-03-11 饶宾期 移动式水体污水污泥抽取处理装置
CN104404993B (zh) * 2014-11-10 2017-12-19 中国计量大学 移动式水体污水污泥抽取处理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9143B1 (ko) 수중 오염원의 제거장치 및 제거방법
KR100728801B1 (ko) 호소 침전물 처리장치
JP4632939B2 (ja) 水の浄化装置並びに水の浄化方法、排ガス処理装置用の浄化装置並びに排ガス処理装置用の浄化システム
US10240312B2 (en) Aquatic contaminator elimination device
KR101751424B1 (ko) 진공 흡입식 해양생물 포집장치
JP4290221B2 (ja) 工作機械用クーラント液浄化装置
KR101189747B1 (ko) 수조식 양식장용 급배수 정화 시스템
KR200242302Y1 (ko) 워터제트를 이용한 퇴적물 수거장치
KR100516809B1 (ko) 흡입식 해저 및 저수지 침전물 제거 장치
KR20200093998A (ko) 수저 표층 퇴적물 친환경 준설장치
JP2008194628A (ja) 差圧による浮上対流を用いた水中浮遊物及び沈澱物除去装置
KR20120119501A (ko) 가두리 양식장 수질오염방지 이물질 분리수거 장치 및 방법
JP4041901B2 (ja) 湖沼水の浚渫方法及び浚渫システム
KR101030786B1 (ko) 사이펀원리를 이용한 슬러지처리장치
CN217895337U (zh) 一种溶气气浮排渣设备
JP3621859B2 (ja) 泡沫分離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水浄化システム
KR20200093902A (ko) 침투형 고압분사관을 구비한 수저 표층 퇴적물 친환경 준설장치
JP3281774B2 (ja) 水中堆積物の除去装置
KR100470648B1 (ko) 대용량 백을 이용한 침전물 탈수 및 건조장치
KR101263353B1 (ko) 빗물처리장치
KR101898396B1 (ko) 수중 저면 청소 시스템
KR101370423B1 (ko) 수족관
JPH09209395A (ja) 湖沼・河川の堆積泥土処理システム
JP2975933B1 (ja) 泡除去装置
JP2005282155A (ja) 水底有害物除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