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3674B1 - 에어버블을 이용한 해양생물 유입방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해양생물의 유입방지 및 제거 방법 - Google Patents

에어버블을 이용한 해양생물 유입방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해양생물의 유입방지 및 제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3674B1
KR101733674B1 KR1020160125789A KR20160125789A KR101733674B1 KR 101733674 B1 KR101733674 B1 KR 101733674B1 KR 1020160125789 A KR1020160125789 A KR 1020160125789A KR 20160125789 A KR20160125789 A KR 20160125789A KR 101733674 B1 KR101733674 B1 KR 1017336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marine
housing
underwater
marine organism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57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균
박종헌
김효근
양기석
김병규
Original Assignee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주식회사 한국항만기술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주식회사 한국항만기술단 filed Critical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257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36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36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36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00Equipment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general hydraulic engineering, e.g. protection of constructions against ice-strains
    • E02B1/006Arresting, diverting or chasing away fish in water-courses or water intake ducts, seas or lakes, e.g. fish barrages, deterrent devices ; Devices for cleaning fish barri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00Equipment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general hydraulic engineering, e.g. protection of constructions against ice-strains
    • E02B1/003Mechanically induced gas or liquid streams in seas, lakes or water-courses for forming weirs or breakwaters; making or keeping water surfaces free from ice, aerating or circulating water, e.g. screens of air-bubbles against sludge formation or salt water entry, pump-assisted water circ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9/00Water-power plants; Layout, construction or equipment, methods of, or apparatus for, making same
    • E02B9/02Water-ways
    • E02B9/04Free-flow canals or flumes; Intak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20Hydro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수로(1)에 설치되어 물은 통과시키되 해양생물은 차단하는 수중 차단부(100); 상기 수중 차단부(100)에 설치되어 전방을 향해 에어버블을 분사하는 에어버블 분사부(200); 및 상기 수중 차단부(100)에 의해 차단된 해양생물을 상기 수로(1) 외부로 석션하는 석션부(300);를 포함하되, 상기 수중 차단부(100)는 상기 수로(1)에 경사지게 설치되며, 상기 석션부(300)는 상기 수중 차단부(100)의 양 단부 중 물의 흐름방향을 따라 후방에 위치되는 단부측(a)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버블을 이용한 해양생물 유입방지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에어버블에 의해 차단된 해양생물을 특정 구역으로 유도함으로써 해양생물의 수거, 재활용 및 폐기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에어버블을 이용한 해양생물 유입방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해양생물의 유입방지 및 제거 방법{APPARATUS FOR PREVENTING THE INFLOW OF MARINE ORGANISOM INTO THE INTAKE OF POWER PLANT USEING A AIR BUBBLE}
본 발명은 해양 건설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발전소 취수구 수로에 설치되어 수로을 통해 유입될 수 있는 해양생물의 유입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위한 에어버블을 이용한 해양생물 유입방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해양생물의 유입방지 및 제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안에 건설된 원자력 발전소나 화력 발전소 등과 같은 산업 시설에서는 해수를 취수하여 냉각수로 사용한다.
다만 해수를 냉각수로 이용함에 있어서는 해수에 포함되어 있는 해파리, 멸치, 새우 또는 해조류 등의 해양생물과 쓰레기 협잡물과 같은 기타 이물질이 포함되지 않은 상태로 취수될 수 있어야 해수를 냉각수로 활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원자력 또는 화력 발전소의 취수구로 해수가 취수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인공적인 수로 또는 해양 수중에 설치된 취수구를 통해 해수를 유입하고, 별도의 스크린을 통해 해수에 포함된 해양생물과 협잡물을 필터링 한 후 발전소의 냉각장치로 해수를 유입시킨다.
그러나 근래에는 수온상승, 기후변화 등의 문제로 인하여 해양생물 중 특히 해파리가 국내 해역에 다량 서식하고 있다. 이러한 해파리 떼가 해수와 함께 취수구로 유입되어 스크린이나 취수구 입구에 부착되어 폐색됨으로서 필터링 기능을 마비시켜 발전소 전체의 가동이 중단되는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이러한 해파리 떼에 의한 원자력 발전소 취수구의 폐쇄현상은 초당 60-70톤 정도의 냉각수를 필요로 하는 원자력 발전소를 정지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른 경제적 손실은 수 백억원에 달한다.
이러한 문제의 해결을 위해 종래의 발전소 설비는 바 스크린(Bar Screen), 트래쉬 레이크(Trash Rake), 회전망 스크린(Travelling Water Screen, TWS) 및 드럼 스크린(Drum Screen) 등의 각종 차단 구조가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다량의 해파리, 새우 등이 유입되는 경우에는 차단구조를 통과하거나 스크린 자체를 폐색하는 문제로 인하여 발전소의 운전이 정지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의 해결을 위해 그물망이나 로봇 등에 관한 연구가 수행된바 있으나, 그물망의 교체에 필요한 비용의 문제 로봇의 적용 수심에 관한 문제 등이 존재하여 아직까지 효과적인 수중생물 유입방지 시스템이 제시되지 못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술된 종래의 해양생물 차단 및 제거 설비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에어버블을 이용한 해양생물을 효과적으로 차단함과 아울러 차단된 해양생물을 특정 구역으로 유도함으로써 해양생물의 수거, 재활용 및 폐기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에어버블을 이용한 해양생물 유입방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해양생물의 유입방지 및 제거 방법 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수로(1)에 설치되어 물은 통과시키되 해양생물은 차단하는 수중 차단부(100); 상기 수중 차단부(100)에 설치되어 전방을 향해 에어버블을 분사하는 에어버블 분사부(200); 및 상기 수중 차단부(100)에 의해 차단된 해양생물을 상기 수로(1) 외부로 석션하는 석션부(300);를 포함하되, 상기 수중 차단부(100)는 상기 수로(1)에 경사지게 설치되며, 상기 석션부(300)는 상기 수중 차단부(100)의 양 단부 중 물의 흐름방향을 따라 후방에 위치되는 단부측(a)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버블을 이용한 해양생물 유입방지 시스템이 제공된다.
이 경우 상기 석션부(300)는, 스크류(340)가 수납되는 하우징(310); 상기 하우징(310)을 관통하여 형성되며, 해양생물이 인입되는 인입부(320); 및 상기 인입부(320)를 통해 상기 하우징(310) 내부로 인입된 해양생물이 상기 하우징(310)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부(3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생물 유입방지 시스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크류(340)는 상기 하우징(310) 내부에서 중심축(341)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되며, 회전날개(342)의 회전에 따라 상기 하우징(310) 내부로 인입된 해양생물이 점진적으로 상기 배출부(330)를 향해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생물 유입방지 시스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심축(341)은 구동모터(350)까지 연장되며, 상기 인입부(320)의 형성 위치보다 상기 배출부(330)의 형성 위치가 더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생물 유입방지 시스템일 수 있다.
삭제
또한, 상기 배출부(330)를 통해 배출된 해양생물이 낙하되는 수거조(5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수거조(500)는 상기 배출부(330) 하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생물 유입방지 시스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수거조(500)는, 상기 배출부(300) 하부에 위치된 경사부(510); 및 상기 경사부(310)와 연결된 수거부(5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생물 유입방지 시스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심축(341)은 상기 하우징(310)과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구동모터(350)까지 연장되며, 상기 하우징(310)과 상기 구동모터(350) 사이에는 상기 배출부(330)를 통해 배출된 해양생물을 이송하는 이송부(40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생물 유입방지 시스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송부(400)는 상기 하우징(310)과 상기 구동모터(350) 사이 공간 하부에 위치된 컨베이어 벨트(4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생물 유입방지 시스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컨베이어 벨트(410)의 회송부(c)에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410)에 안착된 해양생물을 분리하는 분리부재(42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생물 유입방지 시스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중 차단부(100)는 상기 수로(1)의 폭방향을 따라 설치되며, 상기 수중 차단부(100)는, 힌지(120)로 연결되어 지그재그 형태로 하향 연장되는 복수의 차단판(110); 이웃하는 상기 차단판(110)의 간격을 유지하는 스토퍼(130); 상기 복수의 차단판(110)의 하부를 고정하는 수중 기초(140); 및 상기 복수의 차단판(110)의 상부와 연결되는 부유체(1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생물 유입방지 시스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어버블 분사부(200)는 상기 차단판(110)에 가로 방향으로 설치되는 강관(210); 상기 강관(210)의 중공부(211)와 외부를 연결하는 통공(220); 및 상기 중공부(211)에 압축공기를 제공하는 압축공기 제공부(2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생물 유입방지 시스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제8항의 해양생물 유입방지 시스템을 이용한 해양생물의 유입방지 및 제거 방법 에 있어서, 상기 에어버블 분사부(200)를 이용한 에어버블을 분사하여 상기 석션부(300)로 해양생물을 유도하는 해양생물 유도 단계(S100); 상기 인입부(320)를 통해 상기 하우징(310) 내부로 인입된 해양생물을 상기 스크류(340)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배출부(330) 쪽으로 이동시키는 해양생물 석션단계(S200); 및 상기 배출부(330)를 통해 배출된 해양생물을 상기 컨베이어 벨트(410)에 안착시킴과 아울러 소정의 장소로 이송시키는 해양생물 이송단계(S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생물의 유입방지 및 제거 방법 이 제공된다.
이 경우 상기 분리부재(420)를 이용한 상기 컨베이어 벨트(410)에 안착된 해양생물을 상기 컨베이어 벨트(410)에서 분리하는 해양생물 분리단계(S4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생물의 유입방지 및 제거 방법 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에어버블을 이용한 해양생물의 유입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에어버블에 의해 차단된 해양생물을 특정 구역으로 유도함으로써 해양생물의 수거, 재활용 및 폐기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 차단부의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실시예 1)에 따른 해양생물 유입방지 시스템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양생물 유입방지 시스템 중 석션부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양생물 유입방지 시스템 중 석션부의 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거조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실시예 2)에 따른 해양생물 유입방지 시스템의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실시예 3)에 따른 해양생물 유입방지 시스템의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석션부 및 이송부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석션부 및 이송부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류의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부재의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버블 분사구를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석션부 및 이송부의 평면도.
본 발명에 따른 에어버블을 이용한 해양생물 유입방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해양생물의 유입방지 및 제거 방법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다양한 적용 사례 중의 일부를 설명하는 것이므로 실시예의 구성에 본 발명의 사상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하 사용되는 제1, 제2 등과 같은 용어는 동일 또는 상응하는 구성 요소들을 구별하기 위한 식별 기호에 불과하며, 동일 또는 상응하는 구성 요소들이 제1, 제2 등의 용어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결합이라 함은, 각 구성 요소 간의 접촉 관계에 있어, 각 구성 요소 간에 물리적으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이 각 구성 요소 사이에 개재되어, 그 다른 구성에 구성 요소가 각각 접촉되어 있는 경우까지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발전소 등 해수를 냉각수로 활용하는 구조물에 설치되는 에어버블을 이용한 해양생물 유입방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해양생물의 유입방지 및 제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발전소 등의 해수 활용 구조물은 해수의 유입을 위해 수로를 형성하는데, 본 발명에 따른 해양생물 유입방지 시스템은 발전소 취수구의 수로(1)에 설치되어 해양생물이나 해양 쓰레기 등의 협잡물이 취수구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버블을 이용한 해양생물 유입방지 시스템은 수로(1)에 설치되어 물은 통과시키되 해양생물은 차단하는 수중 차단부(100), 수중 차단부(100)에 설치되어 전방을 향해 에어버블을 분사하는 에어버블 분사부(200) 및 수중 차단부(100)에 의해 차단된 해양생물을 수로(1) 외부로 석션하는 석션부(300)를 포함한다(도 2).
수중 차단부(100)는 평면으로 파악할 때 수로(1)에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전방을 향해 분사되는 에어버블의 흐름이, 해수의 흐름방향을 따라 판단할 때, 후방에 위치되는 수중 차단부(100)의 단부측(a)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단부측(a)에 석션부(300)를 설치하여, 에어버블의 흐름을 따라 부유되어 유동된 해양생물을 수로(1) 외부로 석션시킬 수 있다(도 2).
석션부(300)는 스크류(340)가 수납되는 하우징(310), 하우징(310)을 관통하여 형성되며 해양생물이 인입되는 인입부(320) 및 인입부(320)를 통해 하우징(310) 내부로 인입된 해양생물이 하우징(310)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부(330)를 포함한다(도 4).
스크류(340)는 하우징(310) 내부에서 중심축(341)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되며, 회전날개(342)의 회전에 따라 하우징(310) 내부로 인입된 해양생물이 점진적으로 배출부(330)를 향해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도 4). 구체적인 스크류의 형상은 [도 10]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인입부(320)는 하우징(310)을 관통하여 형성되며, 인입부(320)를 통해 해양생물이 하우징(310) 내부로 인입된다.
하우징(310) 내부로 인입된 해양생물은 스크류(340)의 회전 구동에 따라 점진적으로 배출부(330)로 이동될 수 있다.
인입부(320)의 형성 위치는 하우징(310)의 설치 방향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실시예 1) 및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실시예 2)와 같이 하우징(310)의 길이방향이 수로(1)에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경우에는 하우징(310)의 측부에 인입부(320)가 형성된다.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실시예 3)와 같이 하우징(310)의 두부가 수로(1)에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경우에는 하우징(310)의 두부에 인입부(320)가 형성된다.
하우징(310)의 설치 방향은 해양생물의 양과 종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다량의 해양생물의 석션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하우징(310)의 길이방향이 수로(1)에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넓은 면적의 인입부(320)를 형성시키는 것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중심축(341)은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350)까지 연장되어, 구동모터(350)로부터 회전력을 제공받는다.
하우징(310)은 지면과 소정의 각도를 갖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인입부(320)의 형성 위치보다 상기 배출부(330)의 형성 위치가 더 높게 형성된다(도 4). 이를 위해 하우징(310)의 일단이 하우징 지지부(60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도 4).
배출부(330)은 지면과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하우징(310)의 하면에 형성된다. 이에 따라, 배출부(330)에 위치된 해양생물은 배출부(330) 하부에 형성된 수거조(500)로 자유낙하된다.
수거조(500)는 배출부(330)를 통해 배출된 해양생물을 수거하기 위한 장소이다(도 3, 도 4, 도 5).
수거조(500)는 배출부(300) 하부에 위치된 경사부(510) 및 경사부(310)와 연결된 수거부(520)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경사부(510)로 낙하된 해양생물이 자연스럽게 수거부(520)로 모여지고, 수거부(520)로 모인 해양생물을 용이하게 외부로 반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 및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스크류(340)의 중심축(341)은 하우징(310)과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구동모터(350)까지 연장된다(도 8, 도 9).
이 경우 하우징(310)의 단부와 구도모터(350) 사이에 이격된 공간이 형성되는데, 이 공간에는 배출부(330)를 통해 배출된 해양생물을 이송하는 이송부(400)가 형성된다(도 8, 도 9).
일 예로서, 이송부(400)는 하우징(310)과 구동모터(350) 사이 공간 하부에 위치된 컨베이어 벨트(410)를 포함할 수 있다(도 8, 도 9).
또한, 컨베이어 벨트(410)의 회송부(c)에는 컨베이어 밸트(410)에 안착된 해양생물을 분리하는 분리부재(420)가 형성될 수 있다(도 8, 도 9, 도 11).
해파리와 같은 점액질의 해양생물은 컨베이어 밸트에 점착되어 분리가 어려우므로, 컨베이어 밸트의 회송부(c)에 분리부재(420)가 형성되지 않은 경우에는 점착된 해파리가 회송된 컨베이어 밸트에 그대로 부착되어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분리부재를 회송부(c)에 형성시킴으로서 상술된 문제를 예방할 수 있다.
수중 차단부(100)는 해수는 통과시키고 해양생물을 차단하는 어떠한 구조라도 무방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중 차단부(100)는 힌지(120)로 연결되어 지그재그 형태로 하향 연장되는 복수의 차단판(110), 이웃하는 차단판(110)의 간격을 유지하는 스토퍼(130), 복수의 차단판(110)의 하부를 고정하는 수중 기초(140) 및 복수의 차단판(110)의 상부와 연결되는 부유체(150)를 포함할 수 있다(도 1).
에어버블 분사부(200)는 차단판(110)에 가로 방향으로 설치되는 강관(210), 강관(210)의 중공부(211)와 외부를 연결하는 통공(220) 및 중공부(211)에 압축공기를 제공하는 압축공기 제공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도 12).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양생물 유입방지 시스템을 이용한 해양생물의 유입방지 및 제거 방법 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해양생물의 유입방지 및 제거 방법 은 에어버블 분사부(200)를 이용한 에어버블을 분사하여 석션부(300)로 해양생물을 유도하는 해양생물 유도 단계(A100), 인입부(320)를 통해 하우징(310) 내부로 인입된 해양생물을 스크류(340)를 회전시킴으로써 배출부(330) 쪽으로 이동시키는 해양생물 석션단계(A200), 배출부(330)를 통해 배출된 해양생물을 수거조(500)에 낙하시켜 포집하는 포집단계(A300) 및 수거조(500)의 수거부(520)에 모인 해양생물을 외부로 반출하는 해양생물 반출단계(A4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해양생물의 유입방지 및 제거 방법 은 에어버블 분사부(200)를 이용한 에어버블을 분사하여 석션부(300)로 해양생물을 유도하는 해양생물 유도 단계(S100), 인입부(320)를 통해 하우징(310) 내부로 인입된 해양생물을 스크류(340)를 회전시킴으로써 배출부(330) 쪽으로 이동시키는 해양생물 석션단계(S200), 배출부(330)를 통해 배출된 해양생물을 컨베이어 벨트(410)에 안착시킴과 아울러 소정의 장소로 이송시키는 해양생물 이송단계(S300) 및 분리부재(420)를 이용한 컨베이어 벨트(410)에 안착된 해양생물을 컨베이어 벨트(410)에서 분리하는 해양생물 분리단계(S4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 : 수로
100 : 수중 차단부
200 : 에어버블 분사부
400 : 이송부
500 : 수거조
600 : 하우징 지지부

Claims (11)

  1. 수로(1)에 설치되어 물은 통과시키되 해양생물은 차단하는 수중 차단부(100);
    상기 수중 차단부(100)에 설치되어 전방을 향해 에어버블을 분사하는 복수의 에어버블 분사부(200); 및
    상기 수중 차단부(100)에 의해 차단된 해양생물을 상기 수로(1) 외부로 석션하는 석션부(300);를 포함하되,
    상기 수중 차단부(100)는 상기 수로(1)에 경사지게 설치되며,
    상기 석션부(300)는 상기 수중 차단부(100)의 양 단부 중 물의 흐름방향을 따라 후방에 위치되는 단부측(a)에 설치되며,
    상기 석션부(300)는,
    스크류(340)가 수납되는 하우징(310);
    상기 하우징(310)을 관통하여 형성되며, 해양생물이 인입되는 인입부(320); 및
    상기 인입부(320)를 통해 상기 하우징(310) 내부로 인입된 해양생물이 상기 하우징(310)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부(330);를 포함하며,
    상기 수중 차단부(100)는 상기 수로(1)의 폭방향을 따라 설치되며,
    상기 수중 차단부(100)는,
    힌지(120)로 연결되어 지그재그 형태로 하향 연장되는 복수의 차단판(110);
    이웃하는 상기 차단판(110)의 간격을 유지하는 스토퍼(130);
    상기 복수의 차단판(110)의 하부를 고정하는 수중 기초(140); 및
    상기 복수의 차단판(110)의 상부와 연결되는 부유체(150);를 포함하되,
    상기 에어버블 분사부(200)는 상기 복수의 차단판(110)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생물 유입방지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340)는 상기 하우징(310) 내부에서 중심축(341)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되며,
    회전날개(342)의 회전에 따라 상기 하우징(310) 내부로 인입된 해양생물이 점진적으로 상기 배출부(330)를 향해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생물 유입방지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축(341)은 상기 하우징(310)과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구동모터(350)까지 연장되며,
    상기 하우징(310)과 상기 구동모터(350) 사이에는 상기 배출부(330)를 통해 배출된 해양생물을 이송하는 이송부(40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생물 유입방지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400)는 상기 하우징(310)과 상기 구동모터(350) 사이 공간 하부에 위치된 컨베이어 벨트(4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생물 유입방지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 벨트(410)의 회송부(c)에는 상기 컨베이어 벨트(410)에 안착된 해양생물을 분리하는 분리부재(42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생물 유입방지 시스템.
  8. 삭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버블 분사부(200)는
    상기 차단판(110)에 가로 방향으로 설치되는 강관(210);
    상기 강관(210)의 중공부(211)와 외부를 연결하는 통공(220); 및
    상기 중공부(211)에 압축공기를 제공하는 압축공기 제공부(2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생물 유입방지 시스템.
  10. 제9항의 해양생물 유입방지 시스템을 이용한 해양생물의 유입방지 및 제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에어버블 분사부(200)를 이용한 에어버블을 분사하여 상기 석션부(300)로 해양생물을 유도하는 해양생물 유도 단계(S100);
    상기 인입부(320)를 통해 상기 하우징(310) 내부로 인입된 해양생물을 상기 스크류(340)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배출부(330) 쪽으로 이동시키는 해양생물 석션단계(S200); 및
    상기 배출부(330)를 통해 배출된 해양생물을 상기 컨베이어 벨트(410)에 안착시킴과 아울러 소정의 장소로 이송시키는 해양생물 이송단계(S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생물의 유입방지 및 제거 방법 .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부재(420)를 이용한 상기 컨베이어 벨트(410)에 안착된 해양생물을 상기 컨베이어 벨트(410)에서 분리하는 해양생물 분리단계(S4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생물의 유입방지 및 제거 방법.

KR1020160125789A 2016-09-29 2016-09-29 에어버블을 이용한 해양생물 유입방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해양생물의 유입방지 및 제거 방법 KR1017336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5789A KR101733674B1 (ko) 2016-09-29 2016-09-29 에어버블을 이용한 해양생물 유입방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해양생물의 유입방지 및 제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5789A KR101733674B1 (ko) 2016-09-29 2016-09-29 에어버블을 이용한 해양생물 유입방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해양생물의 유입방지 및 제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3674B1 true KR101733674B1 (ko) 2017-05-08

Family

ID=601640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5789A KR101733674B1 (ko) 2016-09-29 2016-09-29 에어버블을 이용한 해양생물 유입방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해양생물의 유입방지 및 제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367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2247B1 (ko) * 2005-03-24 2005-12-09 진명건설(주) 수면 및 수중의 부유물 제거장치
KR101167014B1 (ko) * 2011-10-13 2012-07-31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정광 수분제거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2247B1 (ko) * 2005-03-24 2005-12-09 진명건설(주) 수면 및 수중의 부유물 제거장치
KR101167014B1 (ko) * 2011-10-13 2012-07-31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정광 수분제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54462B2 (ja) 沈砂池の集砂装置
US8092674B2 (en) Traveling band screen machine
KR101751424B1 (ko) 진공 흡입식 해양생물 포집장치
US4702847A (en) Process for removing solids from a filtering device for the separation of liquids and solids
KR101219286B1 (ko) 재활용 플라스틱용 절수형 세척장치
KR101207999B1 (ko) 세척수 재활용 장치를 구비한 벨트 크리너 세척 시스템
KR101733674B1 (ko) 에어버블을 이용한 해양생물 유입방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해양생물의 유입방지 및 제거 방법
KR101774866B1 (ko) 정수장 조류 유입 방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정수장 조류 유입 방지 방법
KR101147784B1 (ko) 오폐수 처리용 레이크 스크린 장치
KR101182753B1 (ko) 부유식 고속스크린 장치
KR20180132480A (ko) 이동식 선박 폐유수 처리 시스템
JP6718034B2 (ja) 夾雑物除去スクリーン装置
KR102285127B1 (ko) 스키머 세척장치를 포함하는 용존부상장치
JP2019214048A (ja) 固液分離システムおよび固液分離方法
CN214972401U (zh) 一种沉砂池的自动除渣结构
US20070012605A1 (en) Self-propelled Apparatus for Cleaning A Water Treatment Tank
JP4981734B2 (ja) 沈砂池
KR200480545Y1 (ko) 취수설비의 이물질 제거 시스템
CN114100237A (zh) 一种链板过滤式固液分离装置
KR100468008B1 (ko) 슬러지 제거장치
KR101172492B1 (ko) 수중생물 제거용 스크류 제진기
KR101653729B1 (ko) 부유물 제거장치
JP2001129426A (ja) 洗浄処理装置
KR20060028445A (ko) 워터젯 로봇을 이용하여 연속적 흡입과 폐수처리를동반하는 보수면 처리 공법
KR200159185Y1 (ko) 부유물의 거름을 위한 드럼필터의 성능 개선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