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7784B1 - 오폐수 처리용 레이크 스크린 장치 - Google Patents

오폐수 처리용 레이크 스크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7784B1
KR101147784B1 KR1020100053321A KR20100053321A KR101147784B1 KR 101147784 B1 KR101147784 B1 KR 101147784B1 KR 1020100053321 A KR1020100053321 A KR 1020100053321A KR 20100053321 A KR20100053321 A KR 20100053321A KR 101147784 B1 KR101147784 B1 KR 1011477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ke
screen
contaminants
bar
bl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33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33749A (ko
Inventor
구제원
Original Assignee
구제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제원 filed Critical 구제원
Priority to KR10201000533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7784B1/ko
Publication of KR201101337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37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77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77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8Details, e.g. gates, screens
    • E02B5/085Arresting devices for waterborne materials, e.g. gra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6Cleaning-out devices, e.g. for removing the cake from the filter casing or for evacuating the last remnants of liquid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폐수 처리용 레이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오폐수 처리용 레이크 장치는 오폐수가 유입되는 유입포트와, 유입포트의 하부에 오폐수가 유출되는 유출포트가 형성되어 있는 본체, 오폐수에 포함된 협잡물을 거르기 위하여 유입포트와 유출포트 사이의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호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치되는 원호형의 복수의 웨지바로 이루어져 웨지바들 사이에 협잡물이 통과할 수 없는 크기의 틈새가 형성되는 스크린, 스크린의 내면을 따라 정역방향으로 왕복이동되는 레이크 바와, 웨지바들 사이에 형성된 각 틈새에 끼워진 상태로 레이크 바에 결합되며 레이크 바와 함께 이동됨으로써 웨지바들 사이에 놓여진 협잡물을 수거하는 복수의 레이크 날을 포함하는 레이크 및 레이크에 의하여 수거된 협잡물을 분리하여 반출하기 위한 반출수단을 구비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오폐수 처리용 레이크 스크린 장치{Apparatus for screening wastewater}
본 발명은 폐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생활하수, 축산폐수 등의 각종 폐수에 포함되어 있는 일정 크기 이상의 협잡물을 걸러 내기 위한 오폐수 처리용 레이크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각종 생활하수와 분뇨정화조에서 나오는 각종 오수, 산업폐수 및 축산폐수 등의 오폐수는 정수처리를 통해 법적으로 규정되어 있는 생물학적 산소요구량(BOD)을 만족한 상태로 배출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각종 오폐수를 배출하는 공장이나 대단위 아파트단지 등에는 오폐수 정화용 처리시설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오폐수 정화용 처리시설은 오폐수 속의 협잡물이나 불순물을 걸러주는 스크린조와, 화학적 또는 생물학적 처리를 위한 부패조, 산화조 및 분리배출을 위한 침전조 등 다수의 처리조로 구성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는 종래의 오폐수 정화용 처리시설 중 레이크 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레이크 장치의 개략적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레이크 장치의 주요 부분의 개략적 일부 분리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종래의 레이크 장치(9)는 전면과 양측면이 개구되어 있는 본체프레임(1)을 구비한다. 본체프레임(1)의 전면으로는 처리전의 오폐수가 유입되며, 양측면으로는 스크린(2)에 의하여 걸러진 처리수가 배출된다.
본체프레임(1)의 내부에는 전체적으로 타원 통 형상의 스크린(2)이 설치된다. 이 스크린(2)은 복수의 타원 형상의 바(bar)가 서로 이격된 상태로 나란하게 설치되어 이루어지는데, 타원 형상의 바(단면 형상은 쒜기형으로 형성)들 사이에는 일정한 틈새(3)가 형성되어 있어, 오폐수 중에 있는 일정 크기 이상의 협잡물은 이 바들 사이의 틈새(3)를 통과하지 못한다.
한편, 스크린(2)에 의하여 걸러진 협잡물을 제거하기 위해 레이크(4)가 설치된다. 이 레이크(4)는 스크린(2)의 내주면을 따라 이동되는 레이크 바(5)와 이 레이크 바(5)에 나란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레이크 날(6)로 이루어진다. 각 레이크 날(6)은 스크린(2)에 형성되어 있는 틈새(3)에 끼워져 레이크 바(5)의 이동시 함께 이동된다. 레이크 날(6)이 틈새(3)를 따라 이동하면서, 스크린(2)의 틈새를 통과하지 못하고 남아 있는 협잡물을 수거한다. 레이크 날(6)에 의하여 수거된 협잡물은 본체프레임(2)의 상부에 배치된 수거함(미도시)에 적재되며, 이 수거함(미도시)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반출스크류(7)에 의하여 본체프레임(2)의 외부로 반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종래의 레이크 장치(9)에서 실제 협잡물이 걸러지는 구간은 스크린(2)의 하부와 양측부이다. 즉, 레이크 장치(9)로 유입된 오폐수에 포함되어 있는 협잡물들은 스크린(2)의 하부와 양측부에 걸리고, 레이크(4)가 이 협잡물들을 스크린(2)의 상측으로 끌고 올라가서 반축스크류(7)로 낙하시키는 것이다. 실제 협잡물이 걸러지는 구간이 스크린의 하부와 측부임에도 불구하고 종래의 장치에서는 스크린을 타원형으로 제조하고, 레이크(4)가 타원형 스크린(2)을 계속적으로 순환하게 함으로써 제조와 운용의 측면에서 모두 비경제적이라는 문제가 있었다.
종래의 장치에서 스크린(2)을 타원형의 폐곡면으로 제조한 이유는 레이크 날이 스크린(2)을 일단 이탈하게 되면 다시 제 위치로 유입되기가 용이하지 않기 때문에 레이크 날이 스크린(2)에 끼워져 있는 상태를 계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해서였다. 스크린을 타원형의 폐곡면으로 제조하고 레이크가 스크린을 순화하게 함으로써 스크린만 커지는 것이 아니라 레이크를 회전시키기 위한 체인, 구동수단 등도 모두 규모가 커지므로 비효율적이었다.
한편 상기한 종래의 레이크 장치(9)는 레이크 날(6)이 휘어지는 등 내구성에 있어 한계점을 노출하고 있어 잦은 유지보수가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크(4)의 레이크 날(6)은 스크린(2)에 형성된 매우 좁은 틈새(3)에 끼워진 상태로 레이크 바(5)와 함께 스크린(2)의 내주면을 따라 이동되는데, 레이크 날(6)이 레이크 바(5)에 완전히 고정되어 있어 약간의 충격에도 레이크 날(6)이 휘어지는 등 손상변형이 발생된다.
즉, 레이크 날(6)이 스크린(2)의 틈새(3)에 끼워진 협잡물(특히, 강도가 큰 협잡물)과 접촉된다거나 또는 레이크 장치(9)의 운용 중에 다양한 충격이 발생되는데, 레이크 날(6)이 레이크 바(5)에 대해서 전혀 유동되지 못하므로 이러한 충격은 완화되지 못하고 레이크 날(6)에 가해져 손상을 발생시킨다.
변형된 레이크 날(6)은 스크린(2)의 틈새에 정확하게 끼워지지 않고 마찰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협잡물의 수거능력도 저하되는 바, 레이크(4)를 교체해야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협잡물 제거를 위해 최적화된 환경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협잡물 제거의 효율성과 경제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오폐수 처리용 레이크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오폐수 처리용 레이크 장치는 오폐수가 유입되는 유입포트와, 상기 유입포트의 하부에 상기 오폐수가 유출되는 유출포트가 형성되어 있는 본체, 상기 오폐수에 포함된 협잡물을 거르기 위하여 상기 유입포트와 유출포트 사이의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호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치되는 원호형의 복수의 웨지바로 이루어져 상기 웨지바들 사이에 상기 협잡물이 통과할 수 없는 크기의 틈새가 형성되는 스크린, 상기 스크린의 내면을 따라 정역방향으로 왕복이동되는 레이크 바와, 상기 웨지바들 사이에 형성된 각 틈새에 끼워진 상태로 상기 레이크 바에 결합되며 상기 레이크 바와 함께 이동됨으로써 상기 웨지바들 사이에 놓여진 협잡물을 수거하는 복수의 레이크 날을 포함하는 레이크 및 상기 레이크에 의하여 수거된 상기 협잡물을 분리하여 반출하기 위한 반출수단을 구비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본체에는 상기 협잡물이 반출되는 반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유입포트로 유입된 오폐수가 상기 스크린을 통과 후 상기 유출포트를 통해 유출되는 경로와, 상기 협잡물이 레이크로부터 제거되어 상기 반출구로 반출되는 경로가 상기 본체의 내부에서 상호 격리되도록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격벽부를 더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반출수단은, 상기 레이크가 상기 원호형의 스크린의 양측 상단에 위치되었을 때, 상기 복수의 레이크 날을 향해 세정수를 분사하여 상기 격벽부와 상기 본체의 내벽 사이를 통해 상기 협잡물을 상기 반출구 측으로 이동시키는 복수의 노즐을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레이크 바는, 상기 복수의 레이크 날이 각각 삽입될 수 있도록 다수의 슬롯이 형성되어 있는 거치대와, 상기 레이크 날이 끼워져 결합되며 상기 거치대에 고정되는 끼움봉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레이크 날에서 상기 웨지바 사이의 틈새로 끼워져 들어가는 수거부는 하측이 길고 상측으로 갈수록 좁아지게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오폐수 처리용 스크린이 원호형으로 형성되어 그 제조와 운용에 있어 경제적일 뿐만 아니라, 종래의 타원형 스크린에 비하여 오폐수 처리율이 향상된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레이크 날을 마름모꼴로 형성하여 협잡물 수거율이 향상된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레이크 장치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레이크 장치의 주요 부분의 개략적 일부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폐수 처리용 레이크 장치의 개략적 분리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오폐수 처리용 레이크 장치가 결합된 상태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도 4의 Ⅴ-Ⅴ선 개략적 단면도로서, 도 5a는 레이크가 스크린의 하부에 배치된 상태이며 도 5b는 레이크가 스크린의 상단부에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6은 도 4의 Ⅵ-Ⅵ선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3에 도시된 레이크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Ⅷ-Ⅷ선 개략적 단면도이다. .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폐수 처리용 레이크 장치(100)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폐수 처리용 레이크 장치의 개략적 분리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오폐수 처리용 레이크 장치가 결합된 상태의 개략적 사시도이고, 도 5a 및 도 5b는 도 4의 Ⅴ-Ⅴ선 개략적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4의 Ⅵ-Ⅵ선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폐수 처리용 레이크 장치(100)는 본체(10), 스크린(20), 레이크(30) 및 반출수단을 구비한다.
본체(10)는 함체부(11)를 구비한다. 함체부(11)의 일측면 상부에는 오폐수가 유입되는 유입포트(12)가 형성되어 있으며, 유입포트(12)의 하부에는 처리된 오폐수가 유출되는 유출포트(1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오폐수의 유입량이 너무 많은 경우 오폐수를 다시 반송시키기 위한 반송포트(14)가 유출포트(13)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다. 위 유입,유출,반송포트(12,13,14)는 플랜지 관이음에 의하여 오폐수 이송을 위한 파이프 라인과 연결된다. 또한 함체부(11)의 바닥에는 오폐수로부터 걸러진 협잡물이 배출되는 반출구(15)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함체부(11)의 상부에는 함체부(11)의 내측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함체부(11)를 개폐하는 덮개(16)가 마련된다. 또한 함체부(11)를 지지하기 위하여 수직프레임(17)이 마련되며, 수직프레임(17)의 하부에는 함체부(11)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도록 바퀴(18)가 부착된다.
한편 함체부(11)의 내부에는 격벽부(19)가 형성된다. 격벽부(19)는 함체부(11)의 내측 공간을 2개의 공간으로 상호 격리시켜 오폐수와 오폐수로부터 걸러진 협잡물을 상호 분리하기 위한 것이다. 즉, 격벽부(19)에 의하여 함체부(11)의 중앙부에는 처리공간(a)이 형성되어, 오폐수 유입포트(12)와 유출포트(13)는 모두 처리공간(a)과 연통된다.
유입포트(12)를 통해 함체부(11)로 유입된 오폐수는 후술할 스크린(20)과 레이크(30)에 의하여 처리공간(a)에서 협잡물이 걸러진 후 유출포트(13)를 통해 유출되며, 협잡물은 레이크(30)에 의하여 걸러진 후 후술할 반출수단에 의하여 처리공간(a)의 외부로 이동된 후 반출구(15)를 통해 반출된다. 즉, 처리공간(a)에서 레이크(30)에 의하여 협잡물이 오폐수로부터 분리된 후에는 처리된 오폐수와 걸러진 협잡물은 상호 이송되는 경로가 완전히 분리되므로, 협잡물이 다시 오폐수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스크린(20)은 오폐수로부터 협잡물을 걸러 내기 위한 것으로서 본체(10)의 내부에 고정되게 설치되며, 유입포트(12)와 유출포트(13) 사이에 배치된다. 스크린(20)은 전체적으로 원호 형상의 곡면으로 이루어지는데, 좀 더 상세하게는 원호형상으로 굽어진 웨지바(21, 바의 종단면 형상은 쐐기형임)가 연속적으로 설치되어 전체적으로 원호형 곡면을 형성하는 것이다. 웨지바(21)와 웨지바(21)의 사이에는 약간의 틈새(2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유입포트(12)는 스크린(20)의 상부쪽으로 연결되고, 유출포트(13)는 스크린(20)의 하부쪽으로 연결된다. 이에 스크린(20)의 상부로 유입된 오폐수는 스크린(20)의 웨지바(21)들 사이의 틈새(22)를 통해 하부로 빠져나가서 유출포트(13)를 통해 유출된다. 그리고 스크린(20)의 틈새(22)보다 큰 협잡물은 스크린(20)을 통과하지 못하고 스크린(20)의 내측면에 잔존하게 된다.
이 틈새(22)는 좁을수록 협잡물을 효과적으로 걸러낼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웨지바(21) 사이의 틈새(22)를 0.5mm 또는 그 이하로 형성한다.
레이크(30)는 스크린(20)에 의하여 걸러진 협잡물을 스크린(20)으로부터 수거하기 위한 것으로서, 레이크 바(31)와 및 복수의 레이크 날(3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레이크 바(31)는 바 형상으로 길이는 스크린(20)의 전체 폭과 대응되게 형성되며, 후술할 구동수단에 의하여 스크린(20)의 내주면을 따라 왕복이동된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레이크 바(31)는 거치대(35)와 끼움봉(36)으로 구성되는데, 거치대(35)에는 후술할 레이크 날(32)이 삽입될 수 있도록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슬롯(37)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거치대(35)의 상면은 끼움봉(36)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끼움봉(36)은 거치대(35)의 상면에 얹어져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끼움봉(36)은 사각형 봉으로 형성되며, 거치대(35)의 상면은 사각형의 끼움봉(36)과 대응되게 형성되어 끼움봉(36)이 거치대(35)의 상면에 안착된 상태로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레이크 날(32)은 웨지바(21) 사이의 틈새(22)에 각각 끼워진 상태로 끼움봉(36)에 결합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 끼움봉(36)은 원형 또는 사각형 봉 형상이며,
레이크 날(32)은 고리부(33)와 수거부(34)로 이루어진다. 고리부(33)는 끼움봉(36)에 끼워져 들어가는 부분으로서 고리형으로 형성되며, 수거부(34)는 스크린(20) 사이의 틈새(22)에 삽입되는 부분이다. 수거부(34)는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 수록 점차 좁아지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역으로 말하면 고리부(33)로부터 연장형성되는 수거부(34)는 고리부(33)로부터 연장되어 하측으로 갈수록 점차 넓게 형성되어 대략 넓은 마름모꼴을 이룬다. 본 실시예와 같은 마름모꼴의 수거부(34)는 기존의 원형 고리형태의 레이크 날에 비하여 협잡물의 수거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종래의 원형 고리형태의 레이크 날과 스크린 면 사이는 예각으로 형성되어 레이크날이 스크린(20)을 따라 이동하면서 틈새(22)에 걸린 협잡물을 걸러낼 때, 협잡물이 레이크 날과 스크린 사이에 끼워지므로 일부의 협잡물은 레이크 날의 가압에 의해서 형태가 변형되면서 틈새(22)로 빠져나가는 경우가 발생하였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레이크 날(32)과 스크린(20)이 둔각을 형성하면서 레이크 날(32)이 틈새(22)에 끼워진 협잡물을 들어 올리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므로 협잡물이 틈새(22) 사이로 빠져 나가는 문제점은 해결된다.
레이크 날(32)이 끼움봉(36)에 끼워진 상태로 끼움봉(36)이 거치대(35)에 결합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크 날(32)의 일부가 거치대(35)의 슬롯(37)에 삽입된다. 슬롯(37)의 폭(d)은 레이크 날(32)의 두께에 비하여 약간 크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웨지바(21) 사이의 틈새(22)가 0.5mm 정도로 형성되므로, 레이크 날(32)의 두께는 0.5mm 미만으로 형성된다. 또한, 레이크 날(32) 사이의 간격은 웨지바(21)의 폭과 대응되게 형성된다.
레이크 바(31)에 결합된 레이크 날(32)은 레이크 바(31)가 스크린(20)의 내주면을 따라 순환이동될 때, 웨지바(21)들 사이의 틈새(22)를 따라 순환이동되면서 스크린(20)에 잔존하는 협잡물을 수거한다.
한편, 종래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오폐수 처리용 정화장치(100)를 운용하게 되면 다양한 충격이 레이크 날(32)이나 스크린(20) 등에 전해질 수 있다. 즉, 돌이나 금속과 같은 협잡물이 스크린(20)의 틈새(22)에 견고하게 끼워져 있을 수도 있으며, 유속이 빠른 오폐수 속에 있떤 협잡물이 스크린(20)에 충돌할 수도 있다. 또는 하나의 웨지바(21)를 제조하기 위해 여러 파트를 상호 연결하는데, 그 연결부가 매끄럽게 되어 있지 않아 레이크 날(32)과 충돌될 수도 있다.
즉, 오폐수 처리용 정화장치(100)를 장기간 작동시키는 동안 원치 않는 다양한 외력이 가해지는데, 종래의 장치에서는 레이크 날이 레이크 바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어 이러한 충격이 전혀 완화되지 못하고 모두 레이크 날에 전해짐으로써 레이크 날이 변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는 것은 상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즉 외부로부터 전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킴으로써 레이크 날(32)이 변형되지 않도록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레이크 날(32)이 레이크 바(31)에 대하여 유동될 수 있도록, 다시 말해서 레이크 날(32)이 레이크 바(31)에 대해서 일정 범위 내에서 상대이동될 수 있도록 하였다.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크 날(32)의 고리부(33)의 내경(r)이 원형의 끼움봉(36)의 외경(R)보다 크게 형성됨으로써, 레이크 날(32)이 끼움봉(36)에 고정되는 것이 아니라 끼움봉(36)에 대하여 유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다만, 레이크 날(32)은 거치대(35)의 슬롯(37) 내에서만 유동될 뿐 슬롯(37)을 이탈할 수는 없다.
이렇게 레이크 날(32)이 레이크 바(31)에 대하여 상대이동되어 유동가능함으로써, 원치 않는 충격이 레이크 날(32)에 전해지더라도 레이크 날(32)이 일정 범위에서 이동되어 충격을 완화할 수 있고, 레이크 날(32)의 변형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레이크 날(32)이 레이크 바(31)에 대하여 유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레이크 날(32)이 레이크 바(31)에 견고하게 결합되지 않고 상대이동될 수 있게 느슨하게 끼워져 있는 구성을 선택하였지만, 레이크 날(32)이 레이크 바(31)에 대하여 유동될 수 있는 구조는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레이크 날(32)이 끼움봉(36)에 결합되되 결합되는 부위를 고무 등 형상변형 가능한 부재를 사용할 수도 있다. 즉, 레이크 날(32)과 끼움봉(36)이 상대 유동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구성이 채용될 수 있음을 첨언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채용된 레이크(3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대(35)를 감싸는 커버(38)가 결합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거치대(35)에는 다수의 슬롯(37)이 형성되어 있는데, 레이크를 작동시키다 보면 슬롯(37)의 상면과 레이크 날의 상면 사이에 머리카락 등의 협잡물이 끼워져 들어가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실시예에서는 거치대(35)의 슬롯(37)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커버(38)에 의하여 덮어짐으로써 종래와 같이 레이크 날(32)과 슬롯(37) 상면 사이에 이물질이 끼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레이크(30)를 스크린(20)의 내면을 따라 왕복이동하기 위한 구동수단이 마련된다. 이 구동수단은 모터(61)를 구비한다. 모터(61)는 본체(10)의 외부에 설치되며 정역회전 가능하다. 모터(61)의 축에는 구동스프로켓(62)이 결합되며, 구동스프로켓(62)은 체인(64)에 의하여 종동스프로켓(63)과 연결된다.
종동스프로켓(63)에는 회전봉(65)이 연결된다. 회전봉(65)은 본체(10)의 외부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어 수평하게 배치되며, 회전봉(65)은 원호 형상의 스크린(20)의 원호 중심점에 위치한다. 즉, 도 5를 참조하면, 회전봉(65)의 중심점으로부터 스크린의 모든 지점까지 거리가 동일하다.
또한 회전봉(65)은 복수의 연결부재(66)에 의하여 레이크(30)와 연결되므로, 회전봉(65)이 정역방향으로 회전되면 레이크(30)가 스크린(20)의 내면을 따라 왕복이동한다. 즉, 스크린(20)을 따라 일방향으로 진행하던 레이크(30)가 스크린(20)의 상단부에 위치하면 센서(미도시)가 이를 감지하여 모터(61)를 역회전시킴으로써 레이크(30)는 다시 역방향으로 진행하며 레이크(30)가 다시 스크린의 타측 상단부에 위치하면 센서가 이를 감지하여 모터(61)를 정방향으로 회전되게 한다. 물론 센서를 사용하지 않고 모터(61)의 회전각을 미리 설정해 놓을 수도 있다.
레이크(30)가 스크린(20)의 양측 상단부에 위치되면 레이크 날(22)에 의하여 수거된 협잡물을 본체(10)의 하부에 마련된 반출구(15)로 이동시키도록 반출수단이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반출수단은 복수의 노즐(71)이 채택된다. 즉 회전봉(65)의 하측에는 회전봉(65)과 나란하게 세정수 공급대(72)가 결합되며, 세정수 공급대(72)의 양측에는 서로 이격되어 3개씩의 노즐(71)이 구비된다. 복수의 노즐(71)은 레이크 날(32)을 향해 세정수를 분사하여 레이크 날(32)에 걸린 협잡물을 격벽부(19)와 함체부(11)의 내벽 사이로 밀어내고, 협잡물은 격벽부(19)와 함체부(11) 내벽 사이로 낙하하여 통해 본체(10)의 하부에 형성된 반출구(15)쪽으로 이동된다.
즉,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크(30)가 스크린(20)의 양측 상단부에 위치할 때 노즐(71)에서는 부채꼴 형태로 세정수를 분사하여 레이크 날(32) 전체에 세정수가 분사되게 한다. 레이크(30)가 스크린(20)의 일측 상단에 위치한 경우에는 세정수 공급대(72)의 일측에 배치된 3개의 노즐(71)에 의하여 협잡물이 제거되며, 스크린(20)의 타측 상단에 레이크(30)가 위치하면 세정수 공급대(72)의 타측에 배치된 3개의 노즐(71)에 의하여 협잡물이 제거된다. 세정수 공급대(72)의 일측에 3개의 노즐들은 레이크(30)의 일측면과 평행하게 세정수를 분사하며, 세정수 공급대(72)의 타측에 3개의 노즐들은 레이크(30)의 타측면과 평행하게 세정수를 분사하는 구조이다. 세정수의 분사는 스크린의 양쪽 상단에서 타이머 등에 의해 조절되어 일정 시간만 분사된다.
함체부(11)의 하측에는 이송관(73)이 경사지게 설치된다. 이송관(73)의 일측은 반출구(15)와 연통되며, 이송관(73)의 타측에는 협잡물이 최종적으로 배출될 수 있는 배출구(74)가 마련된다. 이송관(73)의 내부에는 반출스크류(75)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어 반출구(15)를 통해 이송관(73)으로 유입된 협잡물을 배출구(74)쪽으로 이송시킨다. 이송관(73)의 외측에는 반출스크류(75)를 회전시키기 위한 별도의 구동모터(76)가 설치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노즐(71)의 세정수는 오폐수를 활용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유출포트(13)를 통해 세정수가 유출되기 전에 격벽부(19)의 하측에 일시적으로 수용되는데, 오폐수가 수용된 영역과 세정수 공급대(72)를 파이프(미도시)로 연결하고 펌프(미도시)를 설치하여 오폐수를 세정수 공급대(72)로 끌어 올려서 각 노즐(71)에 공급한다. 또한 위 파이프를 이송관(73)과도 연결하여 반출스크류(75)를 세척하거나 이송관(73)의 내부를 세척하는데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오폐수 처리용 레이크 장치(100)의 동작예에 대하여 간단하게 설명한다. 오폐수가 본체(10)의 유입포트(12)를 통해 스크린(20) 위로 유입된다. 오폐수에 포함되어 있는 협잡물 중 아주 미세한 것들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이 스크린(20)의 틈새(22)를 통과하지 못하고 스크린(20)의 상면에 남아 있는다.
모터(61)의 구동에 의하여 레이크(30)는 레이크 날(32)이 스크린(20)의 틈새(22)에 끼워진 상태로 원호형의 스크린(20)을 따라 왕복이동된다. 협잡물은 레이크(30)가 왕복이동되는 과정에서 레이크 날(32)에 걸려서 레이크(30)와 함께 이동된다. 레이크(30)가 스크린(20)의 상단에 위치하면 노즐(71)에서 세정수를 분사하여 협잡물을 함체부(11)의 내벽과 격벽부(19) 사이로 밀어 내며, 협잡물은 하부로 자유낙하하여 반출구(15)를 통해 이송관(73)으로 유입된다. 이송관(73)에서는 반출스크류(75)가 회전하여 협잡물을 배출구(74)로 이송시키며, 최종적으로 협잡물은 배출구(74)를 통해 배출된다.
한편 스크린(20)의 틈새(22)를 통과한 오폐수는 처리가 완료되어 유출포트(13)를 통해 후처리가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는 스크린(20)이 원호면으로 형성되어 제조가 용이하고 경제적일 뿐만 아니라 오폐수 처리속도도 향상된다. 즉, 기존의 타원형 스크린에서는 레이크가 스크린을 일회전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원호형을 왕복이동하므로 단위 시간당 협잡물 처리율이 훨씬 향상된다. 또한 레이크의 이동량이 적으므로 그 운용면에서도 경제적이라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오폐수 처리용 레이크 장치 10 ... 본체
12 ... 유입포트 13 ... 유출포트
20 ... 스크린 21 ... 웨지바
22 ... 틈새 30 ... 레이크
31 ... 레이크바 32 ... 레이크 날
61 ... 모터 65 ... 회전봉
66 ... 연결부재 71 ... 노즐
72 ... 세정수 공급대 73 ... 이송관
75 ... 반출스크류

Claims (7)

  1. 오폐수가 유입되는 유입포트와, 상기 유입포트의 하부에 상기 오폐수가 유출되는 유출포트가 형성되어 있는 본체;
    상기 오폐수에 포함된 협잡물을 거르기 위하여 상기 유입포트와 유출포트 사이의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호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치되는 원호형의 복수의 웨지바로 이루어져 상기 웨지바들 사이에 상기 협잡물이 통과할 수 없는 크기의 틈새가 형성되는 스크린;
    상기 스크린의 내면을 따라 정역방향으로 왕복이동되는 레이크 바와, 상기 웨지바들 사이에 형성된 각 틈새에 끼워진 상태로 상기 레이크 바에 결합되며 상기 레이크 바와 함께 이동됨으로써 상기 웨지바들 사이에 놓여진 협잡물을 수거하는 복수의 레이크 날을 포함하는 레이크;
    상기 레이크에 의하여 수거된 상기 협잡물을 분리하여 반출하기 위한 반출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 처리용 레이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을 형성하는 웨지바는 반원호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 처리용 레이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상기 협잡물이 반출되는 반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유입포트로 유입된 오폐수가 상기 스크린을 통과 후 상기 유출포트를 통해 유출되는 경로와, 상기 협잡물이 레이크로부터 제거되어 상기 반출구로 반출되는 경로가 상기 본체의 내부에서 상호 격리되도록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격벽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 처리용 레이크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반출수단은,
    상기 레이크가 상기 원호형의 스크린의 양측 상단에 위치되었을 때, 상기 복수의 레이크 날을 향해 세정수를 분사하여 상기 격벽부와 상기 본체의 내벽 사이를 통해 상기 협잡물을 상기 반출구 측으로 이동시키는 복수의 노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 처리용 레이크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원호형 스크린의 원호 중심점에 배치되어 정역회전되는 회전봉과,
    상기 회전봉을 정역회전시키는 모터와,
    상기 회전봉과 상기 레이크를 연결시키는 연결부재와,
    상기 회전봉의 양측에 마련되며 상기 회전봉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 설치되어 상기 레이크 날을 향해 세정수를 분사하는 노즐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 처리용 레이크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크 바는, 상기 복수의 레이크 날이 각각 삽입될 수 있도록 다수의 슬롯이 형성되어 있는 거치대와, 상기 레이크 날이 끼워져 결합되며 상기 거치대에 고정되는 끼움봉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레이크 날에서 상기 웨지바 사이의 틈새로 끼워져 들어가는 수거부는 하측이 길고 상측으로 갈수록 좁아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 처리용 레이크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크 날이 상기 레이크 바에 끼워진 상태로 일정범위 내에서 유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 처리용 레이크 장치.
KR1020100053321A 2010-06-07 2010-06-07 오폐수 처리용 레이크 스크린 장치 KR1011477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3321A KR101147784B1 (ko) 2010-06-07 2010-06-07 오폐수 처리용 레이크 스크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3321A KR101147784B1 (ko) 2010-06-07 2010-06-07 오폐수 처리용 레이크 스크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3749A KR20110133749A (ko) 2011-12-14
KR101147784B1 true KR101147784B1 (ko) 2012-05-18

Family

ID=455012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3321A KR101147784B1 (ko) 2010-06-07 2010-06-07 오폐수 처리용 레이크 스크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778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4128B1 (ko) * 2013-06-26 2013-09-05 구제원 무동력 빗물 처리장치
KR101671667B1 (ko) 2016-03-18 2016-11-01 진홍국 레이크 스크린을 이용한 오수 처리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5704B1 (ko) * 2012-11-12 2014-09-29 주식회사 포스코 원료 처리 장치 및 그 처리 방법
KR102153081B1 (ko) * 2020-01-15 2020-09-07 이문석 메쉬스크린 및 이를 이용한 건설오니 탈수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62722A (ja) * 1993-08-27 1995-03-07 Shinagawa Tetsukoujiyou:Kk 自動除塵機におけるスクリ−ン・フレ−ムの製造方法
JPH07268947A (ja) * 1994-03-17 1995-10-17 Envirex Inc 微細スクリーン複合バーラックを有するバースクリーン
JPH11324102A (ja) 1998-05-12 1999-11-26 Shinagawa Tekkojo:Kk 自動除塵機におけるスクリ−ン・フレ−ム
KR20080112592A (ko) * 2007-06-21 2008-12-26 주식회사 블루웨일스크린 폐수처리용 스크린장치의 스크린바 고정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62722A (ja) * 1993-08-27 1995-03-07 Shinagawa Tetsukoujiyou:Kk 自動除塵機におけるスクリ−ン・フレ−ムの製造方法
JPH07268947A (ja) * 1994-03-17 1995-10-17 Envirex Inc 微細スクリーン複合バーラックを有するバースクリーン
JPH11324102A (ja) 1998-05-12 1999-11-26 Shinagawa Tekkojo:Kk 自動除塵機におけるスクリ−ン・フレ−ム
KR20080112592A (ko) * 2007-06-21 2008-12-26 주식회사 블루웨일스크린 폐수처리용 스크린장치의 스크린바 고정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4128B1 (ko) * 2013-06-26 2013-09-05 구제원 무동력 빗물 처리장치
KR101671667B1 (ko) 2016-03-18 2016-11-01 진홍국 레이크 스크린을 이용한 오수 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3749A (ko) 2011-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28260B1 (ko) 여과장치 및 여과시스템
EP2835182B1 (en) Paint booth equipped with purification device
ES2906590T3 (es) Separador líquido-sólido
CN100531853C (zh) 自清洁式过滤设备
CN102421535B (zh) 具有净化装置的喷涂间
US8092674B2 (en) Traveling band screen machine
CA2851122C (en) Filtration tank with serially connected horizontal screening drums
KR101147784B1 (ko) 오폐수 처리용 레이크 스크린 장치
EP2921458B1 (en) A device for separating solids from waste water
KR101884783B1 (ko) 엉킴 방지 및 협잡물 제거 효율이 증대된 일체형 무빙스크린
JPH0710440B2 (ja) 固液分離装置
EA001012B1 (ru) Фильтр с очисткой встречным течением
KR200432736Y1 (ko) 드럼 스크린 장치의 여과 스크린 구조
CN111450601B (zh) 一种防堵塞污水过滤装置
KR100902816B1 (ko) 오폐수 처리용 자동 바 스크린 장치
KR20160004499A (ko) 수질 정화용 드럼스크린장치
KR100894725B1 (ko) 계단식 협잡물 종합 처리기
JP2019214048A (ja) 固液分離システムおよび固液分離方法
KR100783024B1 (ko) 원통형의 메쉬스크린과 헬리컬바를 이용한 고액분리장치
CN211357972U (zh) 水幕除尘设备的多级式清洁系统
KR101997478B1 (ko) 폐수 처리장치
KR101264827B1 (ko) 오폐수 처리용 레이크 장치
KR101286013B1 (ko) 연삭유 여과를 위한 백필터탱크 및 연삭유 재활용시스템
CN220513539U (zh) 一种皮革污水处理装置
KR200342805Y1 (ko) 하수여과용 협작물 처리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3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