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4827B1 - 오폐수 처리용 레이크 장치 - Google Patents

오폐수 처리용 레이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4827B1
KR101264827B1 KR1020100027326A KR20100027326A KR101264827B1 KR 101264827 B1 KR101264827 B1 KR 101264827B1 KR 1020100027326 A KR1020100027326 A KR 1020100027326A KR 20100027326 A KR20100027326 A KR 20100027326A KR 101264827 B1 KR101264827 B1 KR 1012648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ke
screen
bar
blade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73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08047A (ko
Inventor
구제원
Original Assignee
구제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제원 filed Critical 구제원
Priority to KR10201000273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4827B1/ko
Publication of KR201101080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80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48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48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8Details, e.g. gates,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15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with rotary plane filtering surfaces
    • B01D33/17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with rotary plane filtering surfaces with rotary filtering tab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폐수 처리용 레이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오폐수 처리용 레이크 장치는, 오폐수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오폐수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본체, 오폐수에 포함된 협잡물을 거르기 위하여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호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웨지바를 포함하여 웨지바들 사이에 협잡물이 통과할 수 없는 크기의 틈새가 형성되는 스크린, 스크린의 내면을 따라 이동되는 레이크 바와, 웨지바들 사이에 형성된 각 틈새에 끼워진 상태로 레이크 바에 결합되며 레이크 바와 함께 이동됨으로써 웨지바들 사이에 놓여진 협잡물을 수거하는 복수의 레이크 날을 포함하는 레이크, 레이크에 의하여 수거된 협잡물을 분리하여 반출하기 위한 반출수단을 구비하며, 각 레이크 날은 레이크 바에 대하여 일정 범위 내에서 유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오폐수 처리용 레이크 장치{Apparatus for screening wastewater}
본 발명은 폐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생활하수, 축산폐수 등의 각종 폐수에 포함되어 있는 일정 크기 이상의 협잡물을 걸러 내기 위한 오폐수 처리용 레이크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각종 생활하수와 분뇨정화조에서 나오는 각종 오수, 산업폐수 및 축산폐수 등의 오폐수는 정수처리를 통해 법적으로 규정되어 있는 생물학적 산소요구량(BOD)을 만족한 상태로 배출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각종 오폐수를 배출하는 공장이나 대단위 아파트단지 등에는 오폐수 정화용 처리시설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오폐수 정화용 처리시설은 오폐수 속의 협잡물이나 불순물을 걸러주는 스크린조와, 화학적 또는 생물학적 처리를 위한 부패조, 산화조 및 분리배출을 위한 침전조 등 다수의 처리조로 구성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는 종래의 오폐수 정화용 처리시설 중 레이크 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레이크 장치의 개략적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레이크 장치의 주요 부분의 개략적 일부 분리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종래의 레이크 장치(9)는 전면과 양측면이 개구되어 있는 본체프레임(1)을 구비한다. 본체프레임(1)의 전면으로는 처리전의 오폐수가 유입되며, 양측면으로는 스크린(2)에 의하여 걸러진 처리수가 배출된다.
본체프레임(1)의 내부에는 전체적으로 타원 통 형상의 스크린(2)이 설치된다. 이 스크린(2)은 복수의 타원 형상의 바(bar)가 서로 이격된 상태로 나란하게 설치되어 이루어지는데, 타원 형상의 바(단면 형상은 쒜기형으로 형성)들 사이에는 일정한 틈새(3)가 형성되어 있어, 오폐수 중에 있는 일정 크기 이상의 협잡물은 이 바들 사이의 틈새(3)를 통과하지 못한다.
한편, 스크린(2)에 의하여 걸러진 협잡물을 제거하기 위해 레이크(4)가 설치된다. 이 레이크(4)는 스크린(2)의 내주면을 따라 이동되는 레이크 바(5)와 이 레이크 바(5)에 나란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레이크 날(6)로 이루어진다. 각 레이크 날(6)은 스크린(2)에 형성되어 있는 틈새(3)에 끼워져 레이크 바(5)의 이동시 함께 이동된다. 레이크 날(6)이 틈새(3)를 따라 이동하면서, 스크린(2)의 틈새를 통과하지 못하고 남아 있는 협잡물을 수거한다. 레이크 날(6)에 의하여 수거된 협잡물은 본체프레임(2)의 상부에 배치된 수거함(미도시)에 적재되며, 이 수거함(미도시)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반출스크류(7)에 의하여 본체프레임(2)의 외부로 반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레이크 장치(9)는 레이크 날(6)이 휘어지는 등 내구성에 있어 한계점을 노출하고 있어 잦은 유지보수가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크(4)의 레이크 날(6)은 스크린(2)에 형성된 매우 좁은 틈새(3)에 끼워진 상태로 레이크 바(5)와 함께 스크린(2)의 내주면을 따라 이동되는데, 레이크 날(6)이 레이크 바(5)에 완전히 고정되어 있어 약간의 충격에도 레이크 날(6)이 휘어지는 등 손상변형이 발생된다.
즉, 레이크 날(6)이 스크린(2)의 틈새(3)에 끼워진 협잡물(특히, 강도가 큰 협잡물)과 접촉된다거나 또는 레이크 장치(9)의 운용 중에 다양한 충격이 발생되는데, 레이크 날(6)이 레이크 바(5)에 대해서 전혀 유동되지 못하므로 이러한 충격은 완화되지 못하고 레이크 날(6)에 가해져 손상을 발생시킨다.
변형된 레이크 날(6)은 스크린(2)의 틈새에 정확하게 끼워지지 않고 마찰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협잡물의 수거능력도 저하되는 바, 레이크(4)를 교체해야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장기간 사용하여도 레이크의 레이크 날에 변형이 발생되지 않도록 내구성이 증진된 오폐수 처리용 레이크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오폐수 처리용 레이크 장치는, 오폐수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상기 오폐수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본체, 상기 오폐수에 포함된 협잡물을 거르기 위하여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호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웨지바를 포함하여 상기 웨지바들 사이에 상기 협잡물이 통과할 수 없는 크기의 틈새가 형성되는 스크린, 상기 스크린의 내면을 따라 순환되는 레이크 바와, 상기 웨지바들 사이에 형성된 각 틈새에 끼워진 상태로 상기 레이크 바에 결합되며 상기 레이크 바와 함께 이동됨으로써 상기 웨지바들 사이에 놓여진 협잡물을 수거하는 복수의 레이크 날을 포함하는 레이크, 상기 레이크에 의하여 수거된 상기 협잡물을 분리하여 반출하기 위한 반출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레이크 날은 상기 레이크 바에 대하여 일정 범위 내에서 유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웨지바는 환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스크린은 대략 환형의 곡면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웨지바는 직선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스크린은 대략 평면형으로 될 수 있다.
삭제
삭제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레이크 날이 각각 삽입될 수 있도록 다수의 슬롯이 형성되어 있는 거치대와, 상기 레이크 날이 끼워져 결합되며 상기 거치대에 고정되는 끼움봉을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본 발명에 따른 오폐수 처리용 레이크 장치는, 스크린의 틈새에 끼워진 레이크 날이 레이크 바에 대하여 유동가능하므로 레이크 날에 일정한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충격이 완화되어 레이크 날의 손상 및 변형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레이크 장치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레이크 장치의 주요 부분의 개략적 일부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오폐수 처리용 레이크 장치의 개략적 분리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오폐수 처리용 레이크 장치가 결합된 상태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레이크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3의 Ⅵ-Ⅵ선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3에 도시된 반출수단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3에 도시된 레이크와 다른 형태의 레이크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오폐수 처리용 레이크 장치 10 ... 본체
20 ... 스크린 21 ... 웨지바
22 ... 틈새 30 ... 레이크
31 ... 레이크 바 32 ... 레이크 날
33 ... 롤러 61 ... 구동모터
71 ... 수거판 73 ... 반출구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오폐수 처리용 레이크 장치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오폐수 처리용 레이크 장치의 개략적 분리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오폐수 처리용 레이크 장치가 결합된 상태의 개략적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레이크의 개략적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3의 Ⅵ-Ⅵ선 개략적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3에 도시된 반출수단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오폐수 처리용 레이크 장치(100)는 본체(10), 스크린(20), 레이크(30) 및 반출수단을 구비한다.
본체(10)는 오폐수가 처리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후술할 스크린(20), 레이크(30)가 설치된다. 본체(10)의 전면 하단에는 처리대상이 되는 오폐수가 유입되기 위한 유입구(11)가 형성되며, 본체(10)의 양측면 및 하면은 개구되어 있어 후술할 스크린(20)에 의하여 걸러진 오폐수가 배출되는 배출구(12)를 형성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본체(10)의 양측면 및 하면이 모두 개구되어 배출구로 작용하므로, 오폐수의 유입양이 많더라도 원활하게 오폐수를 처리할 수 있다.
한편, 본체(10)의 후면에는 연결구(13)가 형성되며, 이 연결구(13)에는 셔터(14)가 부착되어 연결구(13)를 선택적으로 개폐한다. 즉, 처리해야할 오폐수의 수량이 많은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오폐수 처리용 레이크 장치(100)를 일렬로 연속하여 배치시켜 사용하는데, 앞에 배치된 장치의 연결구(13)가 뒤에 배치되는 장치의 유입구(11)와 상호 연결되도록 한다. 즉, 오폐수 처리용 레이크 장치(100)를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 연결구(13)를 폐쇄한 상태로 사용하지만, 복수의 오폐수 처리용 레이크 장치(100)를 상호 연결하여 사용할 경우에는 연결구(13)를 개방하여 인접한 오폐수 처리용 레이크 장치(100)와 연결되도록 한다.
스크린(20)은 오폐수로부터 협잡물을 걸러 내기 위한 것으로서, 본체(10)의 내부에 고정되게 설치된다. 스크린(20)은 전체적으로 타원의 통 형상으로 전면과 후면이 각각 개방된 형태로 이루어지는데, 좀 더 상세하게는 타원의 바 형상(바의 단면 형상은 쐐기형임)의 웨지바(21)가 연속적으로 설치되어 전체적으로 타원의 통 형상을 형성하는 것이다. 웨지바(21)와 웨지바(21)의 사이에는 약간의 틈새(2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스크린(20)의 개방된 전면은 본체(10)의 유입구(11)와 대면하게 배치되고, 스크린(20)의 측면은 본체(10)의 양측 배출구(12)와 대면하게 설치된다. 이에 본체(10)의 유입구(11) 및 스크린(20)의 개방된 전면을 통해 스크린(20)의 내측으로 유입된다. 스크린(20)의 내측으로 유입된 오폐수는 스크린(20)의 웨지바(21)들 사이의 틈새(22)를 통해 배출되며, 이 틈새(22)보다 큰 협잡물은 스크린(20)을 통과하지 못하고 스크린(20)의 내측면에 잔존하게 된다.
이 틈새(22)는 좁을 수록 협잡물을 효과적으로 걸러낼 수 있는데, 종래의 장치들에서는 후술할 레이크(30)의 레이크 날(32)이 틈새를 이탈하였다가 다시 재진입하는 형태로 이루어져 있어, 틈새(22)가 2mm보다 작은 경우 재진입이 곤란해지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그러나, 뒤에서 후술하겠지만, 본 장치의 경우 레이크(30)의 레이크 날(32)이 스크린(20) 사이의 틈새(22)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무한괘도를 형성하기 때문에, 웨지바(21) 사이의 틈새(22)를 좁게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본 실시예에서는 웨지바(21) 사이의 틈새(22)를 0.5mm 또는 그 이하로 형성한다.
레이크(30)는 스크린(20)에 의하여 걸러진 협잡물을 스크린(20)으로부터 수거하기 위한 것으로서, 레이크 바(31)와 및 복수의 레이크 날(32)과 롤러(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레이크 바(31)는 바 형상이며, 그 길이는 스크린(20)의 전체 폭과 대응되게 형성되며, 후술할 구동수단에 의하여 스크린(20)의 내주면을 따라 순환이동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레이크 바(31)는 거치대(35)와 끼움봉(36)으로 구성되는데, 거치대(35)에는 후술할 레이크 날(32)이 삽입될 수 있도록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슬롯(37)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거치대(35)의 상면은 끼움봉(36)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끼움봉(36)은 거치대(35)의 상면에 얹어져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끼움봉(36)은 원형 또는 사각형 봉으로 형성되며, 거치대(35)의 상면은 원호형으로 형성되어 끼움봉(36)이 거치대(35)의 상면에 안착된 상태로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레이크 날(32)은 웨지바(21) 사이의 틈새(22)에 각각 끼워진 상태로 끼움봉(36)에 결합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 끼움봉(36)은 원형 또는 사각형 봉 형상이며, 레이크 날(32)도 원형 또는 사각형 고리 모양으로 형성되어 레이크 날(32)은 봉 형상의 끼움봉(36)에 끼워져 결합된다. 레이크 날(32)이 끼움봉(36)에 끼워진 상태로 끼움봉(36)이 거치대(35)에 결합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크 날(32)의 일부가 거치대(35)의 슬롯(37)에 삽입된다. 슬롯(37)의 폭(d)은 레이크 날(32)의 두께에 비하여 약간 크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웨지바(21) 사이의 틈새(22)가 0.5mm 정도로 형성되므로, 레이크 날(32)의 두께는 0.5mm 미만으로 형성된다. 또한, 레이크 날(32) 사이의 간격은 웨지바(21)의 폭과 대응되게 형성된다.
레이크 바(31)에 결합된 레이크 날(32)은 레이크 바(31)가 스크린(20)의 내주면을 따라 순환이동될 때, 웨지바(21)들 사이의 틈새(22)를 따라 순환이동되면서 스크린(20)에 잔존하는 협잡물을 수거한다.
한편, 종래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오폐수 처리용 정화장치(100)를 운용하게 되면 다양한 충격이 레이크 날(32)이나 스크린(20) 등에 전해질 수 있다. 즉, 돌이나 금속과 같은 협잡물이 스크린(20)의 틈새(22)에 견고하게 끼워져 있을 수도 있으며, 유속이 빠른 오폐수 속에 있던 협잡물이 스크린(20)에 충돌할 수도 있다. 또는 하나의 웨지바(21)를 제조하기 위해 여러 파트를 상호 연결하는데, 그 연결부가 매끄럽게 되어 있지 않아 레이크 날(32)과 충돌될 수도 있다.
즉, 오폐수 처리용 정화장치(100)를 장기간 작동시키는 동안 원치 않는 다양한 외력이 가해지는데, 종래의 장치에서는 레이크 날이 레이크 바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어 이러한 충격이 전혀 완화되지 못하고 모두 레이크 날에 전해짐으로써 레이크 날이 변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는 것은 상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즉 외부로부터 전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킴으로써 레이크 날(32)이 변형되지 않도록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레이크 날(32)이 레이크 바(31)에 대하여 유동될 수 있도록, 다시 말해서 레이크 날(32)이 레이크 바(31)에 대해서 일정 범위 내에서 상대이동될 수 있도록 하였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리형의 레이크 날(32)의 내경(r)이 원형의 끼움봉(36)의 외경(R)보다 크게 형성됨으로써, 각 레이크 날(32)이 끼움봉(36)에 고정되는 것이 아니라 끼움봉(36)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다만, 레이크 날(32)은 거치대(35)의 슬롯(37) 내에서만 유동될 뿐 슬롯(37)을 이탈할 수는 없다.
이렇게 레이크 날(32)이 레이크 바(31)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상대이동되어 유동가능함으로써, 원치 않는 충격이 레이크 날(32)에 전해지더라도 각 레이크 날(32)이 개별적으로 일정 범위에서 이동되어 충격을 완화할 수 있고, 따라서 레이크 날(32)의 변형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레이크 날(32)이 레이크 바(31)에 대하여 유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레이크 날(32)이 레이크 바(31)에 견고하게 결합되지 않고 상대이동될 수 있게 느슨하게 끼워져 있는 구성을 선택하였지만, 레이크 날(32)이 레이크 바(31)에 대하여 유동될 수 있는 구조는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레이크 날(32)이 끼움봉(36)에 결합되되 결합되는 부위를 고무 등 형상변형 가능한 부재를 사용할 수도 있다. 즉, 레이크 날(32)과 끼움봉(36)이 상대 유동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구성이 채용될 수 있음을 첨언한다.
롤러(33)는 레이크 바(31)의 양측 전방 및 후방에 각각 한 쌍 마련되며, 스크린(20)의 내주면에 접촉되게 배치된다. 롤러(33)는 레이크 바(31)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레이크 바(31)가 이동될 때 스크린(20)의 내주면과 구름 접촉된다.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레이크(30)는 1개만 설치될 수도 있지만, 협잡물을 수거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스크린(20)의 내주면을 따라 복수 개가 설치되어 순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레이크(30)를 스크린(20)의 내주면을 따라 순환이동시키기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구동모터(61)를 구비한다. 본 실시에에서 구동모터(61)는 본체(10)의 상부에 설치되며, 구동모터(61)의 회전축에는 구동풀리(62)가 설치된다. 이 구동풀리(62)는 구동벨트(66)에 의하여 종동풀리(63)와 연결됨으로써, 구동모터(61)의 힘을 종동풀리(63)에 전달한다. 종동풀리(63)에는 후술할 체인(65)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축(67)이 결합되어 종동풀리(63)와 함께 회전된다. 또한, 회전축(67)의 양측에는 체인(65)과 기어결합되어 체인(65)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스프로켓(64)이 결합된다.
체인(65)은 스크린(20)의 내부 양측에 설치되는데, 이 체인(65)은 스크린(20)의 내주면과 대응되게 타원형으로 배치된다. 이 체인(65)은 각각 구동스프로켓(64)과 기어결합됨으로써 구동스프로켓(64)의 회전시 체인(65)도 함께 회전한다.
한편, 레이크(30)의 일단은 스크린(20)의 일측에 배치된 체인(65)에 결합되며, 레이크(30)의 타단은 스크린(20)의 타측에 배치된 체인(65)에 결합되어, 체인(65)들이 회동함에 따라 레이크(30)는 무한괘도 형식으로 순환회전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레이크(30)가 스크린(20)의 내주면을 따라 회전하면 레이크(30)의 레이크 날(32)은 스크린(20)의 틈새(22)에 끼워진 상태로 회전함으로써, 스크린(20)에 놓여진 협잡물을 수거한다. 레이크(30)가 스크린(20)의 상단부로이동하게 되면, 도 7에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크 날(32)에 의하여 끌어 올려진 협잡물들은 하방으로 자유낙하하게 된다.
이렇게 자유낙하하는 협잡물을 수용하여 외부로 반출하도록 본 발명에서는 반출수단을 구비한다. 반출수단은 수거판(71)과 반출스크류(7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수거판(71)은 상기한 바와 같이 자유낙하하는 협잡물을 수용하기 위한 것으로서 스크린(20)의 내측 상부에 설치된다. 이 수거판(71)은 양측이 휘어져 올라가 있는 곡면을 형성하며, 그 내부에는 수거된 협잡물을 반출하기 위한 반출스크류(72)가 배치된다.
반출스크류(72)는 수거판(71) 내에서 회전함으로써, 본체(10)의 외측에 설치된 반출구(73)쪽으로 협잡물을 밀어낸다. 협잡물은 반출구(73)를 통해 본체(10)의 외부로 반출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반출스크류(72)를 회전시키기 위해서 별도의 구동수단이 마련되지는 않으며, 체인(65) 및 레이크(30)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모터(61)를 사용한다. 즉, 체인(65)과 연결된 회전축(67)에는 제1보조풀리(75)가 결합되며, 반출스크류(72)의 구동축에는 제2보조풀리(76)가 결합되고, 제1보조풀리(75)와 제2보조풀리(76)는 보조벨트(77)에 의하여 연결된다. 이에 따라, 구동모터(61)가 작동하여 회전축(67)이 회전되면, 이 회전력은 제1보조풀리(75), 보조벨트(77) 및 제2보조풀리(76)를 통해 반출스크류(72)에 전달됨으로써, 반출스크류(72)가 회전된다.
이하,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오폐수 처리용 정화장치(100)의 작동을 간략하게 설명한다. 오폐수 처리용 정화장치(100)에서는 오폐수가 유입구(11)를 통해 스크린(20)의 내측으로 유입되며, 일정 크기 이상의 협잡물들은 스크린(20)에 형성된 틈새(22)를 통과하지 못하고 스크린(20)의 내측에 잔존하며, 나머지 오폐수는 본체(10)의 개구된 부분인 본체 양측 및 하측의 배출구(12)를 통해 배출된다.
구동모터(61)의 작동에 의하여 체인(65) 및 레이크(30)가 스크린(20)의 내주면을 따라 이동되면, 레이크(30)의 레이크 날(32)이 이 협잡물들을 스크린(20)의 상측으로 끌어올린다.
레이크(30)에 의하여 끌어 올려진 협잡물들은 스크린(20)의 상측에서 자유낙하하여 수거판(71)에 모이게 되며, 구동모터(61)에 의하여 구동되는 반출스크류(72)가 회전함으로써 협잡물은 반출구(73)를 통해 본체(10)의 외부로 반출된다.
상기한 과정에서 레이크(30)의 레이크 날(32)은 스크린(20)의 틈새(22)에 끼워져서 순환이동되는데, 레이크 날(32)이 레이크 바(31)에 대하여 유동가능함으로써, 외부의 원치않는 충격 또는 스크린(20)에 돌이나 금속과 같은 협잡물과 충돌하는 경우에도 그 충격이 완화되어 레이크 날(32)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레이크(30)를 제조함에 있어서, 다수의 레이크 날(32)을 레이크 바(31)의 끼움봉(36)에 일렬로 끼운 후 각각의 레이크 날(32)을 거치대(35)의 슬롯(37)에 차례차례 삽입시키면서 끼움봉(36)과 거치대(35)를 상호 결합시켜야 하므로 경제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이 다수의 레이크 날(32)은 이 끼움봉(36)에 대해서 위치고정되어 있지 않고 움직일 수 있기 때문에, 각각의 레이크 날(32)의 위치를 잡아가면서 슬롯(37)에 삽입시켜야 하므로 매우 불편하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제조상의 불편함을 제거하기 위하여, 도 8에 도시된 형태로 레이크(30')를 제조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레이크(30')의 모든 부분은 위에서 설명한 레이크(30)와 동일하다.
다만, 끼움봉(36)에는 레이크 날(32)이 위치할 부분에 홈(g)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홈(g)들은 거치대(35)의 각 슬롯(37)의 위치와 대응되게 배치되어 있다. 레이크 날(32)은 홈(g)에 끼워지면 끼움봉(36) 내에서 위치이동이 제한되므로, 레이크(30')를 제조할 때 각각의 레이크 날(32)을 끼움봉(36)의 각 홈(g)에 끼워서 위치이동을 제한시킨 상태에서 끼움봉(36)을 거치대(35)에 결합시킴으로써, 레이크 날(32)들을 동시에 각 슬롯(37)에 삽입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레이크 날(32)을 하나씩 슬롯(37)에 끼우면서 끼움봉(36)과 거치대(35)를 결합하는 것이 아니라, 레이크 날(32)을 한꺼번에 슬롯(37)에 삽입시킬 수 있으므로, 제조가 매우 용이하며 간단하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지금까지 서로 이격되어 있는 복수의 웨지바가 환형으로 형성되는 바, 복수의 웨지바들로 이루어진 스크린은 타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 및 도시하였으나, 웨지바의 형태는 반드시 환형에 국한된 것은 아니다.
즉, 웨지바는 직선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예컨대, 웨지바가 직선형으로 형성되는 경우 스크린은 대략 평면형으로 형성된다. 레이크 바는 상기한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체인에 결합되어 순환(회전)이동된다. 즉, 웨지바들이 환형인 경우 레이크 바는 계속적으로 스크린의 내주면을 따라 순환하겠지만, 웨지바가 직선형인 경우 레이크 바는 회전괘도의 일부 영역에서 평면형의 스크린의 하측으로 진입된 후 스크린의 내면을 따라 직선이동된 후 스크린의 상측을 이탈하게 된다. 스크린을 이탈한 레이크 바는 회전하여 다시 스크린의 하부로 진입하는 방식으로 구동될 수 있다.
이렇게 평면형 스크린에서는 스크린의 전면으로는 오폐수가 유입되고 스크린을 거쳐 스크린의 후면쪽으로 처리수가 배출되는 구조이다. 또한 평면형 스크린에서도 레이크 바의 회전 괘도의 최 상측에 레이크 바로부터 자유낙하하는 협잡물을 수거하는 수거함과, 협잡물을 외부로 반출하는 반출스크류가 설치되는 점은 앞에서 설명한 실시예에서와 동일하며, 다른 구성들도 앞에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하거나 당업계에서 자명한 사항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7)

  1. 오폐수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상기 오폐수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본체;
    상기 오폐수에 포함된 협잡물을 거르기 위하여 상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호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웨지바를 포함하여 상기 웨지바들 사이에 상기 협잡물이 통과할 수 없는 크기의 틈새가 형성되는 스크린;
    상기 스크린의 내면을 따라 이동되는 레이크 바와, 상기 웨지바들 사이에 형성된 각 틈새에 끼워진 상태로 상기 레이크 바에 결합되며 상기 레이크 바와 함께 이동됨으로써 상기 웨지바들 사이에 놓여진 협잡물을 수거하는 복수의 레이크 날을 포함하는 레이크; 및
    상기 레이크에 의하여 수거된 상기 협잡물을 분리하여 반출하기 위한 반출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레이크 바는, 상기 복수의 레이크 날이 각각 삽입될 수 있도록 다수의 슬롯이 형성되어 있는 거치대와, 원형의 봉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거치대에 고정되는 끼움봉을 포함하며,
    상기 레이크 날은 원형의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끼움봉에는 상기 레이크 날이 끼워질 수 있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는 복수의 홈부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레이크 날이 상기 끼움봉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거치대의 각 슬롯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레이크 날과 상기 레이크 바가 결합되며,
    상기 각 레이크 날이 상기 끼움봉에 끼워진 상태에서 개별적으로 유동가능하도록 상기 레이크 날의 내경이 상기 끼움봉의 외경 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 처리용 레이크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00027326A 2010-03-26 2010-03-26 오폐수 처리용 레이크 장치 KR1012648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7326A KR101264827B1 (ko) 2010-03-26 2010-03-26 오폐수 처리용 레이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7326A KR101264827B1 (ko) 2010-03-26 2010-03-26 오폐수 처리용 레이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8047A KR20110108047A (ko) 2011-10-05
KR101264827B1 true KR101264827B1 (ko) 2013-05-15

Family

ID=450259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7326A KR101264827B1 (ko) 2010-03-26 2010-03-26 오폐수 처리용 레이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482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3166B1 (ko) * 2014-04-18 2014-12-22 최기억 수로 스크린 협잡물 처리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9337B1 (ko) * 2006-11-21 2007-04-20 (주)정봉 오폐수처리용 스크린의 레이크
KR100902816B1 (ko) * 2008-07-01 2009-06-12 구제원 오폐수 처리용 자동 바 스크린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9337B1 (ko) * 2006-11-21 2007-04-20 (주)정봉 오폐수처리용 스크린의 레이크
KR100902816B1 (ko) * 2008-07-01 2009-06-12 구제원 오폐수 처리용 자동 바 스크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8047A (ko) 2011-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0277B1 (ko) 파쇄장치
KR101282645B1 (ko) 판스크린이 구비된 하수 협잡물 연속처리장치
KR102147259B1 (ko) 회전 벨트방식의 이중 필터스크린 시스템
CN101547725A (zh) 污液处理装置
CN211384105U (zh) 市政污水处理及再生循环利用装置
CN113413680A (zh) 一种废水净化装置
JP5815417B2 (ja) 固液分離装置及び汚泥処理システム及び固液分離方法
WO2007032605A1 (en) Screw type solid-liquid separation appartus
JP6045877B2 (ja) 除塵設備
KR100709332B1 (ko) 오폐수처리시설용 스크린장치
KR100741992B1 (ko) 분뇨와 오폐수 및 축산폐수의 협잡물 처리용 디스크 스크린
KR101264827B1 (ko) 오폐수 처리용 레이크 장치
KR100868533B1 (ko) 협잡물 제거용 이중 드럼스크린장치
KR102038437B1 (ko) 클라이밍 밴드 스크린
KR101147784B1 (ko) 오폐수 처리용 레이크 스크린 장치
JP2007090167A (ja) 夾雑物処理装置
KR100902816B1 (ko) 오폐수 처리용 자동 바 스크린 장치
KR100826316B1 (ko) 각형 풀리식 협잡물 제거장치
KR100894725B1 (ko) 계단식 협잡물 종합 처리기
JP2019093386A (ja) 破砕装置
KR100783024B1 (ko) 원통형의 메쉬스크린과 헬리컬바를 이용한 고액분리장치
KR100565566B1 (ko) 레이크 미세 스크린
KR200453231Y1 (ko) 오수·분뇨 및 축산폐수의 협잡물 처리장치
KR102543741B1 (ko) 침사 및 협잡물 제거용 스크린
CN216191620U (zh) 水中重金属去除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3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