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8437B1 - 클라이밍 밴드 스크린 - Google Patents

클라이밍 밴드 스크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8437B1
KR102038437B1 KR1020190069995A KR20190069995A KR102038437B1 KR 102038437 B1 KR102038437 B1 KR 102038437B1 KR 1020190069995 A KR1020190069995 A KR 1020190069995A KR 20190069995 A KR20190069995 A KR 20190069995A KR 102038437 B1 KR102038437 B1 KR 1020384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screen
screen
link plate
assembled
chain 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99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훈
정용호
양명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청우이엔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청우이엔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청우이엔이
Priority to KR10201900699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84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84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84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056Construction of filtering bands or supporting belts, e.g. devices for centering, mounting or sealing the filtering bands or the supporting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44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33/46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 B01D33/466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scra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80Accessories
    • B01D33/801Driving means, shaft packing systems or the lik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클라이밍 밴드 스크린에 관한 것으로서, 손상된 단위 스크린 부재를 손쉽게 교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걸러내고자 하는 협잡물의 크기를 간단하게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구동 샤프트(210) 및 종동 샤프트(220)와, 구동모터(270)와, 필터 스크린 조립체(2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필터 스크린 조립체(200)는 전체적으로 밀폐형의 밴드 형상으로서 상기 구동 샤프트(210)와 종동 샤프트(220)의 사이에서 무한궤도 방식으로 회전하고, 상기 필터 스크린 조립체는, 한 쌍의 체인 링크 플레이트(251)와, 체인 링크 플레이트(251)의 안쪽에서 일정 간격으로 구비되는 스파이크 링크 플레이트(255)와, 스파이크 링크 플레이트(255) 간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간격유지부재(254)와, 체인 링크 플레이트(251)의 단부, 간격유지부재(254) 및 스파이크 링크 플레이트(255)의 단부를 차례로 통과하여 조립되는 조립핀(256)과, 필터 스크린(25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필터 스크린(250)은, 판상의 다공판이 개별적으로 조립되는 구조로서, 체인 링크 플레이트(251)와 스파이크 링크 플레이트(255)의 중앙부분에 형성된 슬롯을 통해 옆으로 끼워져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클라이밍 밴드 스크린{CLIMBING BAND SCREEN}
본 발명은 클라이밍 밴드 스크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천 바닥에 퇴적된 준설물에서 협잡물을 분리하는 준설물 처리장치에 설치되거나, 하수, 폐수 및 오수처리장의 전처리(Pre-Treatment) 공정에 설치되는 스크린 장치에 있어서, 스크린의 상부에 협잡물 또는 슬러지가 쌓이는 것을 방지하고, 기계적 강도를 향상시켜 수명을 연장할 수 있으며, 가변적인 유입용량에 대해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고, 처리하고자 하는 협잡물의 크기를 간단한 조작으로 쉽게 변경할 수 있으며, 스크린을 모듈화하여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클라이밍 밴드 스크린에 관한 것이다.
하천이나 하수도 바닥에 퇴적된 준설물에서 협잡물을 분리하는 준설물(浚渫物) 처리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대 협잡물을 분리하기 위한 조목스크린(10) 및 상기 조목스크린(10)을 통과한 준설물이 일시적으로 저장되도록 하는 유입탱크(2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한 준설물 처리 시스템에서, 준설물 차량(1)에 적재되어 조목스크린(10) 위로 투하된 준설물은, 조목스크린(10)을 거치면서 조대 협잡물이 걸러진 후, 유입탱크(20)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 조목스크린(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자형 구조로 이루어지고, 각 격자는 조대 협잡물이 통과할 수 없을 정도의 크기로 제작된다.
상기 조목스크린(10)을 통과하면서 조대 협잡물이 제거된 미세 준설물은, 유입탱크(20)로 유입된 후 내부 저면에 설치된 스크류 컨베이어(30) 및 배관(32)을 통해 세정분리 드럼스크린(도시 생략)으로 이송된다.
상기 세정분리 드럼스크린(40)은, 회전 구동되면서, 수조에서 공급되는 세정수에 의해 준설물을 세정하여 모래와 물을 분리한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조목스크린(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자형의 판상구조로서 유입탱크(20)의 상부에 고정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준설물의 슬러지가 격자에 걸리는 협잡물과 함께 조목스크린(10)의 상부에 쌓이게 된다.
이렇게 협잡물과 슬러지가 조목스크린(10)의 상부에 쌓이게 되면, 처리장치의 가동을 중지하고 작업자가 고압세척기 등을 이용하여 수동으로 제거해야 한다.
이로써 준설물 처리시간이 지연되고, 처리용량이 감소하게 되며, 처리장치의 관리비용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하수, 폐수 및 오수처리장의 전처리 장치에는, 각종 협잡물을 분리하기 위한 협잡물 제거기가 설치된다.
상기 협잡물 제거기로는, 체인 인양식 레이크 스크린(Rake Screen), 계단식 스텝 스크린(Step Screen), 스크류를 이용한 스크류 스크린(Screw Screen) 등이 있다.
상기 체인 인양식 레이크 스크린의 경우, 일반 범용 체인을 협잡물 인양에 사용하므로, 일정 강도 이상을 보증하기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계단식 스텝 스크린은, 고정된 플레이트와 크랭크축을 이용하여 계단식으로 움직이는 플레이트가 일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배열되어 있다.
이에 따라 스크린의 강도를 결정하는 플레이트의 두께에 제한이 있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스크류를 이용한 스크린은, 스크린부와 접촉하는 스크류의 외경에 브러쉬를 조립하여, 상기 브러쉬가 스크린부를 닦으면서 걸러진 협잡물을 긁어 올리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브러쉬가 쉽게 마모되어 이를 자주 교체해 주어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한 체인 인양식 레이크 스크린, 계단식 스텝 스크린, 스크류를 이용한 스크류 스크린은, 모두 처리용량을 결정하는 스크린부의 단면적, 즉 물이 빠져나가는 개방부의 단면적이 일정하게 정해져 있다.
이에 따라 항상 동일한 처리용량 및 개공율을 갖게 되므로, 처리장의 처리용량을 변경하거나 걸러내고자 하는 협잡물 입자의 크기를 변경하고자 할 경우에는, 장비 자체를 교체하여야 한다는 문제가 있다.
한편, 상수도 취수장, 배수펌프장, 발전소, 담수설비 등에 띠 형상의 밴드 스크린을 설치하여 각종 협잡물을 제거하는 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밴드 스크린은, 내구성이 떨어지고, 조대 협잡물을 분리하기가 용이하지 않으며, 유지보수에 비용이 많이 든다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KR 10-2015-0144220 A KR 10-1468396 B1 KR 20-0118317 Y1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스크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기계적 강도를 향상시켜 스크린의 수명을 연장시키고, 손상된 스크린 부재만 손쉽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가변적인 유입용량에 대해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처리하고자 하는 협잡물의 크기를 운영자가 간단하게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스크린을 모듈화함으로써 비용을 절감하고, 용이하게 조립 및 유지보수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스크린의 상부에 협잡물이나 슬러지가 쌓이는 것을 방지하고, 협잡물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스크린의 청소를 위해 처리장치의 가동을 일시적으로 중단할 필요가 없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양한 물질의 스크리닝 작업에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수평방향으로 구비되는 구동 샤프트와, 상기 구동 샤프트와 일정 거리 이격되어 구비되는 종동 샤프트와, 상기 구동 샤프트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 샤프트와 종동 샤프트 사이에 구비되어 무한궤도 방식으로 회전하는 필터 스크린 조립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밴드 스크린에 있어서, 상기 구동 샤프트의 일단에는,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 스프라켓과 체인에 의해 연결되는 피동 스프라켓과, 한 쌍의 체인 링크 플레이트와 결합되는 제1 구동 스프라켓이 구비되고, 상기 구동 샤프트의 타단에는, 한 쌍의 체인 링크 플레이트와 결합되는 제2 구동 스프라켓이 구비되며, 상기 종동 샤프트의 양단에는, 연이어 조립된 한 쌍의 체인 링크 플레이트와 결합되는 제1 종동 스프라켓 및 제2 종동 스프라켓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필터 스크린 조립체의 일측이, 상기 구동 샤프트의 제1 구동 스프라켓과 종동 샤프트의 제1 종동 스프라켓에 조립되고, 상기 필터 스크린 조립체의 타측이, 상기 구동 샤프트의 제2 구동 스프라켓과 종동 샤프트의 제2 종동 스프라켓에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필터 스크린 조립체는, 각 링크 플레이트가 연이어 조립되어, 제1 구동 스프라켓과 제1 종동 스프라켓, 및 제2 구동 스프라켓과 제2 종동 스프라켓을 서로 연결하는 한 쌍의 체인 링크 플레이트와, 상기 체인 링크 플레이트의 안쪽에서 일정 간격으로 연이어 구비되는 스파이크 링크 플레이트와, 연이어 조립되는 스파이크 링크 플레이트 간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파이프 형상의 간격유지부재와, 상기 체인 링크 플레이트의 단부, 간격유지부재 및 스파이크 링크 플레이트의 단부를 차례로 통과하여 조립되는 조립핀과, 상기 간격유지부재 사이에 구비되는 판상의 단위 필터 스크린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각 단위 필터 스크린은, 기다란 판상의 다공판이 각각 개별적으로 조립되는 구조로서, 상기 체인 링크 플레이트와 스파이크 링크 플레이트의 중앙부분에 형성된 슬롯을 통과하면서 옆으로 끼워져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체인 링크 플레이트는, 각 링크 플레이트가 서로 겹쳐져 조립될 수 있도록, 양단에 서로 반대방향의 단차부가 형성되고, 상기 양단의 단차부에는 조립핀이 관통하기 위한 핀 관통공이 형성되며, 중앙 부위에는 상기 필터 스크린이 관통되도록 하기 위한 스크린 통과 슬롯이 형성되고, 한 쌍의 체인 링크 플레이트 사이에는 롤러가 끼워져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파이크 링크 플레이트는, 상부를 향해 돌출되는 스파이크와, 조립핀이 통과하도록 양단에 각각 형성되는 핀 관통공과, 필터 스크린이 관통하도록 중앙부위에 형성되는 스크린 통과 슬롯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크린장치의 상부에, 세척수를 분사하는 세척수 분사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필터 스크린 조립체의 양 측부에 가이드 레일이 구비되고, 상기 구동 샤프트측에, 구동 샤프트와 종동 샤프트 간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간격조정장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각 링크의 조립에 의해, 연속적이고 전체적으로 하나의 면을 갖는 스크리닝 밴드를 구성하게 된다.
즉 전면이 모두 스크린부를 형성하게 되므로, 동일 규격과 대비할 때 처리용량을 최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각각의 단일 스크린에 타공 플레이트(Boring Plate)나 메쉬 플레이트(Mesh Plate) 등 다양한 형상의 스크린을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체적으로는 하나의 면을 갖는 스크린 조립체이지만, 각 링크마다 조립된 하나의 필터 스크린을 개별적으로 조립 및 분리할 수가 있다.
이에 따라 파손된 단일 스크린만 손쉽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유지관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장치의 사용중에 협잡물 제거 입경의 크기를 손쉽게 변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협잡물 제거에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일반 체인에 비해 강도가 향상되므로 스크린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고, 대형 스크린장치도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의 협잡물 제거기와 같이 고정자(Stator)와 회전자(Rotor) 또는 운전자(Movable Part)가 구분되어 구동되지 않고, 하나의 밴드로서 회전하는 방식이다.
이에 따라 고정자와 운전자 사이의 끼임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고정자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필터 스크린에 협잡물과 슬러지가 쌓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주기적으로 협잡물과 슬러지를 제거할 필요가 없는 효과가 있다.
또한 협잡물과 슬러지의 제거를 위해 처리장치의 가동을 중단할 필요가 없으므로, 처리시간을 단축하고 처리용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스파이크 링크 플레이트의 상부에 구비된 스파이크에 의해, 대형 협잡물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준설물 처리장치에 사용되는 종래의 스크린장치를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조목스크린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클라이밍 밴드 스크린을 나타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클라이밍 밴드 스크린이 준설물 처리장치에 사용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밴드 스크린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밴드 스크린의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밴드 스크린의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밴드 스크린 조립체의 분해 조립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밴드 스크린 조립체의 부분 상세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클라이밍 밴드 스크린이 하수, 폐수 및 오수처리장의 전처리 장치에 사용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밴드 스크린 조립체의 실제 사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클라이밍 밴드 스크린(이하 간단히 '밴드 스크린'이라 한다)은 다양한 스크리닝 장치에 사용될 수 있지만, 본 명세서에서는 준설물 처리장치에 사용되는 경우를 예로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밴드 스크린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준설물 차량(1)으로부터 투입되는 준설물에서 조대 협잡물을 제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밴드 스크린의 하부에는 스크린을 통과한 준설물이 일시적으로 저장되도록 하는 유입탱크(20)가 구비되고, 상기 유입탱크(20)의 내부에는 준설물을 세정분리 드럼스크린(도시 생략)으로 이송시키는 스크류 컨베이어(30)가 구비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밴드 스크린은,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방향으로 구비되는 구동 샤프트(210)와, 상기 구동 샤프트와 일정 거리 이격되어 구비되는 종동 샤프트(220)와, 상기 구동 샤프트(210)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모터(270)와, 상기 구동 샤프트(210)와 종동 샤프트(220) 사이에 구비되는 필터 스크린 조립체(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구동 샤프트(210)의 일단에는, 상기 구동모터(270)의 구동 스프라켓(260)과 체인에 의해 연결되는 피동 스프라켓(280)과, 한 쌍의 체인 링크 플레이트(251)와 결합되는 제1 구동 스프라켓(210a)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 샤프트(210)의 타단에는, 한 쌍의 체인 링크 플레이트(251)와 결합되는 제2 구동 스프라켓(210b)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종동 샤프트(200)의 양단에는, 연이어 조립된 한 쌍의 체인 링크 플레이트(251)와 결합되는 제1 종동 스프라켓(220a) 및 제2 종동 스프라켓(220b)이 각각 구비된다.
그리고 필터 스크린 조립체(200)는,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밀폐형의 밴드 형상으로서, 일측이 상기 구동 샤프트(210)의 제1 구동 스프라켓(210a)과 종동 샤프트(220)의 제1 종동 스프라켓(220a)에 조립되고, 타측이 상기 구동 샤프트(210)의 제2 구동 스프라켓(210b)과 종동 샤프트(220)의 제2 종동 스프라켓(220b)에 조립된다.
상기한 구조에 의해 필터 스크린 조립체(200)는, 상기 구동 샤프트(210)와 종동 샤프트(220)의 사이에서 무한궤도 방식으로 회전하면서 협잡물을 걸러내게 된다.
또한 상기 필터 스크린 조립체(200)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링크 플레이트가 연이어 조립되어, 제1 구동 스프라켓(210a)과 제1 종동 스프라켓(220a), 및 제2 구동 스프라켓(210b)과 제2 종동 스프라켓(220b)을 서로 연결하는 한 쌍의 체인 링크 플레이트(251)와, 상기 체인 링크 플레이트(251)의 안쪽에서 일정 간격으로 연이어 구비되는 스파이크 링크 플레이트(255)와, 연이어 조립되는 스파이크 링크 플레이트(255) 간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파이프 형상의 간격유지부재(254)와, 상기 체인 링크 플레이트(251)의 단부, 간격유지부재(254) 및 스파이크 링크 플레이트(255)의 단부를 차례로 통과하여 조립되는 조립핀(256)과, 상기 간격유지부재(254) 사이에 구비되는 판상의 단위 필터 스크린(2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필터 스크린 조립체(200)는, 한 쌍의 체인 링크 플레이트(251)가 양쪽 단부에 구비되어 체인의 역할을 하고, 중앙부위에는 다수의 스파이크 링크 플레이트(255)들이 연이어 조립된다.
그리고 판상의 각 단위 필터 스크린(250)이, 연이어 조립된 체인 링크 플레이트(251)와 스파이크 링크 플레이트(255)를 가로질러 조립되어 전체적인 필터 스크린 조립체(200)를 구성한다.
즉 상기 각 단위 필터 스크린(250)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다란 판상의 다공판으로서, 상기 체인 링크 플레이트(251)와 스파이크 링크 플레이트(255)의 중앙부분에 형성된 슬롯을 통해 옆으로 끼워져 조립된다.
도면에는 상기 단위 필터 스크린(250)이 사각형 다공판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단위 필터 스크린(250)은 원형 타공판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메쉬 타입, 또는 웨지바 타입 스크린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간격유지부재(254)는, 연이어 조립되는 스파이크 링크 플레이트(255)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동시에, 각 단위 필터 스크린(250)의 간격을 채워주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체인 링크 플레이트(251)는, 구동 스프라켓과 종동 스프라켓에 감겨져 체인 역할을 하는 부재로서, 한 쌍으로 연이어 조립되어 필터 스크린 조립체(200)의 양쪽 측부를 형성한다.
상기 각 체인 링크 플레이트(251)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링크 플레이트가 서로 겹쳐져 조립될 수 있도록, 양단에 서로 반대방향의 단차부(251a)가 형성된다.
상기 단차부(251a)에 의해, 서로 연이어 조립되는 체인 링크 플레이트(251)의 폭이 일정하도록 조립할 수가 있다.
그리고 체인 링크 플레이트(251)의 양쪽 단차부(251a)에는 조립핀(256)이 관통하기 위한 핀 관통공(251b)이 형성되고, 중앙 부위에는 각 단위 필터 스크린(250)이 관통되도록 하기 위한 스크린 통과 슬롯(251c)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체인 링크 플레이트(251)의 사이에는 롤러(252)가 구비되고, 상기 체인 링크 플레이트(251)와 롤러(252)는 조립핀(256)에 의해 서로 조립된다.
상기 롤러(252)에 의해, 한 쌍의 체인 링크 플레이트(251)가 구동 스프라켓 및 종동 스프라켓의 기어 측면을 타고 용이하게 회전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체인 링크 플레이트(251)의 간격은, 구동 및 종동 스프라켓의 기어 크기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롤러와 롤러 사이에 2개의 스프라켓 기어가 삽입되도록 설계하였는데, 상기 체인 링크 플레이트(251)의 길이는 스크린장치의 크기 및 스프라켓 기어의 크기에 따라 적절히 변경될 수 있다.
또한 필터 스크린 조립체(200)의 양 측부에 구비되는 상기 체인 링크 플레이트(251)의 상부 및 하부에는, 가이드 레일(240)이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 레일(240)에 의해 협잡물이 체인 링크 플레이트(251) 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체인 링크 플레이트(251)가 스프라켓의 기어를 타고 원활하게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린장치에는 양 측부를 서로 연결하여 지지하는 복수의 수평 서포트(290)가 구비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파이크 링크 플레이트(255)는, 양 측부에 구비되는 체인 링크 플레이트(251) 사이에 구비되어 협잡물을 거르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각 스파이크 링크 플레이트(255)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를 향해 돌출되는 스파이크(255a)와, 조립핀(256)이 통과하도록 양단에 각각 형성되는 핀 관통공(255b)과, 필터 스크린(250)이 관통하도록 중앙부위에 형성되는 스크린 통과 슬롯(255c)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스파이크(255a)는, 협잡물을 용이하게 분리하는 역할을 하는 동시에, 조대 협잡물에 의해 필터 스크린(250)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도면에는 상기 스크린장치가 수평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될 수도 있고, 수직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린장치의 상부에 세척수를 분사하는 세척수 분사부(300)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세척수 분사부(300)로 고압의 세척수를 분사함으로써, 각 단위 필터 스크린(250)을 통과하지 못한 슬러지를 분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크린장치의 회전방향 단부측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협잡물 수거부(4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협잡물 수거부(400)에 낙하되는 협잡물은, 반출 컨베이어(400a)를 통해 협잡물 반출 컨테이너로 이송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 샤프트(210)측에는, 구동 샤프트(210)와 종동 샤프트(220) 간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간격조정장치(500)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크린장치의 상부 일측에, 준설물 차량(1)으로부터 투하되는 준설물을 일시적으로 저장한 후 스크린장치로 공급하기 위한 호퍼(1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호퍼(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가 개방되고 저면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사각통 형상의 호퍼 프레임(110)과, 상기 호퍼 프레임(110)의 내부에 구비되어 일정 각도 범위로 틸팅되는 버켓(120)과, 상기 버켓(120)을 들어올리기 위한 실린더와, 상기 버켓(120)이 호퍼 내부에서 틸팅되도록 하는 힌지부(140)와, 상기 호퍼의 하부 배출구측에 구비되어 준설물을 일정한 양으로 스크린장치로 배출하기 위한 로타리 레이크(150)와, 배출판(17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구조에 의해, 밴드 스크린으로 항상 일정한 양의 슬러지를 공급함으로서 후속 기계장치에 과부하가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클라이밍 밴드 스크린의 조립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필터 스크린 조립체(200)를 조립할 때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서 한 쌍의 체인 링크 플레이트(251) 사이에 롤러(252)를 위치시키고, 이어서 스파이크 링크 플레이트(255)와 간격유지부재(254)를 계속 연이어 배치한다.
도면에는 상기 스파이크 링크 플레이트(255)가 8열로 배치되어 있지만, 상기 스파이크 링크 플레이트(255)의 열은 적절히 가감될 수 있다.
스파이크 링크 플레이트(255)와 간격유지부재(254)의 배치가 완료되면, 다시 한 쌍의 체인 링크 플레이트(251)를 롤러(252)를 개재하여 배치한다.
이어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핀(256)으로, 외측 체인 링크 플레이트, 롤러(252), 내측 체인 링크 플레이트, 단부 간격유지부재(254a), 스파이크 링크 플레이트(255), 간격유지부재(254)를 조립한다.
상기 조립핀(256)이 복수의 스파이크 링크 플레이트(255)와 간격유지부재(254)를 계속 통과하여, 타측 단부의 외측 체인 링크 플레이트를 통과하면, 조립핀(256)의 단부를 너트 등의 고정수단으로 고정시킨다.
이러한 조립과정을 계속 반복해나가면 평판상의 필터 스크린 조립체(200) 틀이 완성된다.
여기서 상기 평판상 필터 스크린 조립체(200) 틀의 길이는, 구동 샤프트와 종동 샤프트간의 거리 및 구동 스프라켓 및 종동 스프라켓의 크기를 고려하여 결정한다.
이어서 상기 필터 스크린 조립체(200)의 틀에 판상의 각 단위 필터 스크린(250)을 조립한다.
이때 각 체인 링크 플레이트(251) 및 스파이크 링크 플레이트(255)의 중앙부분에 스크린 통과 슬롯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각 단위 필터 스크린(250)을 옆으로 끼워 조립할 수가 있다.
한편, 각 단위 필터 스크린(250)의 조립작업은, 각 링크 플레이트의 조립과 동시에 수행할 수도 있다.
필터 스크린 조립체(200)의 조립이 완료되면, 구동 스프라켓과 종동 스프라켓에 상기 체인 링크 플레이트를 조립하여, 필터 스크린 조립체(200)가 밴드 형상이 되도록 한다.
이때 간격조정장치(500)에 의해 구동축의 위치를 변경하면서 필터 스크린 조립체(200)의 장력을 조절하면, 밴드 스크린의 설치가 완료된다.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밴드 스크린의 작동과정을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편의상 스크린장치의 상부에 호퍼(100)가 구비된 경우를 예로서 설명한다.
먼저 준설물 차량(1)에 적재된 준설물을 호퍼(100)의 내부에 구비된 버켓(120)에 일시적으로 저장한다.
이어서 상기 버켓(120)의 일측을 들어올려 슬러지가 로타리 레이크(150) 쪽으로 유입되도록 하고, 로터리 레이크(150)를 회전시켜 일정량의 슬러지가 필터 스크린의 상부로 낙하하도록 한다.
그러면 필터 스크린 조립체(200)가 우측을 향해 이동하면서, 미세 슬러지와 물은 각 단위 필터 스크린(250)에 형성된 통공(250a)을 통해 아래로 낙하하여 유입탱크(20)로 유입되고, 협잡물은 필터 스크린 조립체(200)의 우측에 구비된 협잡물 수집부(400)로 낙하하게 된다.
이때 세척수 분사부(300)에서 고압의 세척수를 분사하여, 각 단위 필터 스크린(250)에 남아있는 슬러지를 파쇄시킨다.
상기 각 단위 필터 스크린(250)을 통과한 미세 슬러지는 유입탱크(20)를 거쳐 세정분리 드럼스크린(도시 생략)으로 공급되어 처리되고, 협잡물 수집부(400)에서 수거된 협잡물은 협잡물 반출 컨베이어(400a)를 거쳐 반출 컨테이너(도시 생략)로 이송된다.
종래의 준설물 처리장치에 사용되는 조목스크린(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자형상의 스크린이 유입탱크(20)의 상부에 고정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일시에 투하되는 슬러지와 협잡물이 조목스크린(10)의 상부에 쌓이게 되므로, 이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준설물 처리장치의 가동을 일시적으로 중단하여야만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클라이밍 밴드 스크린에 의하면, 스크린의 상부에 협잡물이나 슬러지가 쌓이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견고한 구조의 체인 링크 플레이트를 연이어 조립하여 체인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일반적인 체인에 비해 내구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가 있다.
또한 스파이크가 구비된 링크 플레이트에 의해 조대 협잡물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가 있고, 슬러지나 협잡물이 필터 스크린에 쌓이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이에 따라 필터 스크린에 쌓인 협잡물을 제거하기 위해 처리장치의 가동을 중단할 필요가 없으므로, 처리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판상의 각 단위 필터 스크린(250)이 개별적으로 조립되어 필러 스크린 조립체(200)를 구성하게 되므로, 조립 및 분리가 용이하고, 손상된 각 단위 필터 스크린(250)만 교체하여 사용할 수가 있다.
이로써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사용 수명을 연장시킬 수가 있다.
또한 각 단위 필터 스크린(250)을 교체하는 것에 의해 통공의 크기와 간격을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으므로, 여러 종류의 스크리닝 작업에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밴드 스크린은, 상기한 준설물 처리장치뿐만 아니라,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수, 폐수 및 오수처리장, 배수펌프장, 발전소, 담수설비 등의 전처리 장치에도 사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준설물 차량 10: 조목스크린(Screen)
20: 유입탱크 30: 스크류 컨베이어(Screw Conveyor)
100: 호퍼(Hopper) 110: 호퍼 프레임(Hopper Frame)
120: 버켓(Bucket) 140: 힌지부
150: 로타리 레이크(Rotary Rake) 170: 배출판
200: 필터 스크린 조립체
210: 구동 샤프트(Shaft) 210a: 제1 구동 스프라켓
210b: 제2 구동 스프라켓 220: 종동 샤프트
220a: 제1 종동 스프라켓 220b: 제2 종동 스프라켓
230: 사이드 프레임(Side Frame) 240: 가이드 레일(Guide Rail)
250: 단위 필터 스크린(Filter Screen)
251: 체인 링크 플레이트(Chain Link Plate)
251a: 단차부 251b: 핀 관통공
251c: 스크린 통과 슬롯(Slot) 252: 롤러(Roller)
254: 간격유지부재
255: 스파이크 링크 플레이트(Spike Link Plate)
255a: 스파이크(Spike) 255b: 핀 관통공
255c: 스크린 통과 슬롯 256: 조립핀
260: 구동 스프라켓 270: 구동모터
280: 종동 스프라켓 290: 수평 서포트(Support)
300: 세척수 분사부 400: 협잡물 수집부
500: 간격조정장치

Claims (6)

  1. 수평방향으로 구비되는 구동 샤프트(210)와, 상기 구동 샤프트와 일정 거리 이격되어 구비되는 종동 샤프트(220)와, 상기 구동 샤프트(210)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모터(270)와, 상기 구동 샤프트(210)와 종동 샤프트(220) 사이에 구비되어 무한궤도 방식으로 회전하는 필터 스크린 조립체(2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밴드 스크린에 있어서,
    상기 구동 샤프트(210)의 일단에는, 상기 구동모터(270)의 구동 스프라켓(260)과 체인에 의해 연결되는 피동 스프라켓(280)과, 한 쌍의 체인 링크 플레이트(251)와 결합되는 제1 구동 스프라켓(210a)이 구비되고,
    상기 구동 샤프트(210)의 타단에는, 한 쌍의 체인 링크 플레이트(251)와 결합되는 제2 구동 스프라켓(210b)이 구비되며,
    상기 종동 샤프트(220)의 양단에는, 연이어 조립된 한 쌍의 체인 링크 플레이트(251)와 결합되는 제1 종동 스프라켓(220a) 및 제2 종동 스프라켓(220b)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필터 스크린 조립체의 일측이, 상기 구동 샤프트(210)의 제1 구동 스프라켓(210a)과 종동 샤프트(220)의 제1 종동 스프라켓(220a)에 조립되고,
    상기 필터 스크린 조립체의 타측이, 상기 구동 샤프트(210)의 제2 구동 스프라켓(210b)과 종동 샤프트(220)의 제2 종동 스프라켓(220b)에 조립되며,
    상기 필터 스크린 조립체(200)는,
    각 링크 플레이트가 연이어 조립되어, 제1 구동 스프라켓(210a)과 제1 종동 스프라켓(220a), 및 제2 구동 스프라켓(210b)과 제2 종동 스프라켓(220b)을 서로 연결하는 한 쌍의 체인 링크 플레이트(251)와,
    상기 체인 링크 플레이트(251)의 안쪽에서 일정 간격으로 연이어 구비되는 스파이크 링크 플레이트(255)와,
    연이어 조립되는 스파이크 링크 플레이트(255) 간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파이프 형상의 간격유지부재(254)와,
    상기 체인 링크 플레이트(251)의 단부, 간격유지부재(254) 및 스파이크 링크 플레이트(255)의 단부를 차례로 통과하여 조립되는 조립핀(256)과,
    상기 간격유지부재(254) 사이에서 상기 체인 링크 플레이트(251)와 스파이크 링크 플레이트(255)에 조립되는 각 단위 필터 스크린(250)을 포함하고,
    상기 각 단위 필터 스크린(250)은, 판상의 다공판이 개별적으로 조립되는 구조로서,
    각 단위 필터 스크린(250)은, 체인 링크 플레이트(251)와 스파이크 링크 플레이트(255)의 중앙부분에 형성된 슬롯을 통해 옆으로 끼워져 밴드 형상의 필터 스크린 조립체(200)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이밍 밴드 스크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인 링크 플레이트(251)는,
    각 링크 플레이트가 서로 겹쳐져 조립될 수 있도록, 양단에 서로 반대방향의 단차부(251a)가 형성되고,
    상기 양단의 단차부(251a)에는 조립핀(256)이 관통하기 위한 핀 관통공(251b)이 형성되며,
    중앙 부위에는 상기 필터 스크린(250)이 관통되도록 하기 위한 스크린 통과 슬롯(251c)이 형성되고,
    양 측부에 각각 구비되는 한 쌍의 체인 링크 플레이트(251) 사이에는 롤러(252)가 끼워져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이밍 밴드 스크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파이크 링크 플레이트(255)는,
    상부를 향해 돌출되는 스파이크(255a)와,
    조립핀(256)이 통과하도록 양단에 각각 형성되는 핀 관통공(255b)과,
    각 단위 필터 스크린(250)이 관통할 수 있도록 중앙부위에 형성되는 스크린 통과 슬롯(255c)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이밍 밴드 스크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스크린 조립체(200)의 상부에, 세척수를 분사하는 세척수 분사부(30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이밍 밴드 스크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스크린 조립체(200)의 양 측부에 가이드 레일(240)이 구비되고,
    상기 구동 샤프트(210)측에, 구동 샤프트(210)와 종동 샤프트(220) 간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간격조정장치(50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이밍 밴드 스크린.
KR1020190069995A 2019-06-13 2019-06-13 클라이밍 밴드 스크린 KR1020384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9995A KR102038437B1 (ko) 2019-06-13 2019-06-13 클라이밍 밴드 스크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9995A KR102038437B1 (ko) 2019-06-13 2019-06-13 클라이밍 밴드 스크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8437B1 true KR102038437B1 (ko) 2019-10-30

Family

ID=684631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9995A KR102038437B1 (ko) 2019-06-13 2019-06-13 클라이밍 밴드 스크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843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8514A (ko) * 2021-06-16 2022-12-23 고영재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협잡물의 제거효율을 증대시킨 스크린
JP7381396B2 (ja) 2020-04-27 2023-11-15 株式会社クボタ 濾過装置
CN117797543A (zh) * 2024-02-28 2024-04-02 山西华凯伟业科技有限公司 一种混凝土减水剂制备杂质过滤设备
CN117797543B (zh) * 2024-02-28 2024-05-31 山西华凯伟业科技有限公司 一种混凝土减水剂制备杂质过滤设备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18317Y1 (ko) 1994-11-03 1998-04-23 장락순 트래블링 밴드 스크린 필터장치
KR200315957Y1 (ko) * 2003-03-11 2003-06-11 중앙종합기계 주식회사 로터리식 제진기
EP1502509A1 (en) * 2002-04-17 2005-02-02 Metalquimia, S.A. Stuffing/dosing machine comprising a tilting hopper
KR101468396B1 (ko) 2014-01-17 2014-12-04 효림산업주식회사 이동 밴드 스크린
KR20150144220A (ko) 2014-06-16 2015-12-24 황명회 수직밴드형 스크린용 협잡물 통과 방지구조
KR101728733B1 (ko) * 2016-05-31 2017-04-20 성우산업 주식회사 체인 걸림 방지형 회전식 제진기
KR101884783B1 (ko) * 2017-12-11 2018-08-02 (주)가나엔지니어링 엉킴 방지 및 협잡물 제거 효율이 증대된 일체형 무빙스크린
KR101942865B1 (ko) * 2017-04-12 2019-01-28 주식회사 링콘테크놀로지 준설토 투입 및 처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18317Y1 (ko) 1994-11-03 1998-04-23 장락순 트래블링 밴드 스크린 필터장치
EP1502509A1 (en) * 2002-04-17 2005-02-02 Metalquimia, S.A. Stuffing/dosing machine comprising a tilting hopper
KR200315957Y1 (ko) * 2003-03-11 2003-06-11 중앙종합기계 주식회사 로터리식 제진기
KR101468396B1 (ko) 2014-01-17 2014-12-04 효림산업주식회사 이동 밴드 스크린
KR20150144220A (ko) 2014-06-16 2015-12-24 황명회 수직밴드형 스크린용 협잡물 통과 방지구조
KR101728733B1 (ko) * 2016-05-31 2017-04-20 성우산업 주식회사 체인 걸림 방지형 회전식 제진기
KR101942865B1 (ko) * 2017-04-12 2019-01-28 주식회사 링콘테크놀로지 준설토 투입 및 처리 시스템
KR101884783B1 (ko) * 2017-12-11 2018-08-02 (주)가나엔지니어링 엉킴 방지 및 협잡물 제거 효율이 증대된 일체형 무빙스크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81396B2 (ja) 2020-04-27 2023-11-15 株式会社クボタ 濾過装置
KR20220168514A (ko) * 2021-06-16 2022-12-23 고영재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협잡물의 제거효율을 증대시킨 스크린
KR102554537B1 (ko) * 2021-06-16 2023-07-12 고영재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협잡물의 제거효율을 증대시킨 스크린
CN117797543A (zh) * 2024-02-28 2024-04-02 山西华凯伟业科技有限公司 一种混凝土减水剂制备杂质过滤设备
CN117797543B (zh) * 2024-02-28 2024-05-31 山西华凯伟业科技有限公司 一种混凝土减水剂制备杂质过滤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8938B1 (ko) 3방향 스크린 장치
KR101642238B1 (ko) 협잡물 이송을 위한 로타리식 제진기
RU2361043C2 (ru) Фильтровальное решето
JP6472095B2 (ja) 連続ベルトスクリーン
KR102038437B1 (ko) 클라이밍 밴드 스크린
US5618415A (en) Method for removing debris from a free flowing water system
KR101246050B1 (ko) 오수처리용 드럼스크린 장치
KR102038453B1 (ko) 클라이밍 밴드 스크린장치를 구비한 준설물 처리장치
JP4390486B2 (ja) 工作機械のクーラント処理装置
KR101703883B1 (ko) 협잡물제거용 자동 스크린
US6613238B2 (en) Fixed media filter screen, screen protector, and CSO screen
KR101117776B1 (ko) 협잡물 제거장치
KR102601272B1 (ko) 협잡물의 이송이 용이한 스크린 장치 및 스크린 장치의 이상동작 대응 방법
KR100826316B1 (ko) 각형 풀리식 협잡물 제거장치
KR101044248B1 (ko) 수 처리용 회전식 플레이트형 제진기
KR200260031Y1 (ko) 종합수처리장치
KR20110046428A (ko) 부피가 큰 통나무와 같은 협잡물을 용이하게 제거하도록 구성되는 특수 제진기의 구성방법과 여기에 적용되는 특수 제진기
US6994785B2 (en) Removable grid for filter element screens
KR200262880Y1 (ko) 협잡물 제거장치
KR200343484Y1 (ko) 수처리장치의 협잡물 분리 제거장치
JP4896185B2 (ja) 工作機械のクーラント処理装置
CN205461276U (zh) 一种带式机械格栅机
KR100816046B1 (ko) 외측구동형 이동식 스크린 장치
KR100366776B1 (ko) 무빙스크린장치
CN219671289U (zh) 一种水利工程用河道分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