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8396B1 - 이동 밴드 스크린 - Google Patents

이동 밴드 스크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8396B1
KR101468396B1 KR20140006071A KR20140006071A KR101468396B1 KR 101468396 B1 KR101468396 B1 KR 101468396B1 KR 20140006071 A KR20140006071 A KR 20140006071A KR 20140006071 A KR20140006071 A KR 20140006071A KR 101468396 B1 KR101468396 B1 KR 1014683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washing water
screen
pipe
bas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060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변종윤
황형일
김영철
유선우
Original Assignee
효림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효림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효림산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400060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83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83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83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6Water distributors either inside a treatment tank or directing the water to several treatment tanks; Water treatment plants incorporating these distributors, with or without chemical or biological tank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24Separation of coarse particles, e.g. by using sieves or scree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이동 밴드 스크린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밴드 스크린은 취수유로 내에 설치되는 지지프레임과; 지지프레임의 상부프레임에 설치되는 구동스프라켓과, 지지프레임의 하부프레임에 설치되는 종동스프라켓과, 구동스프라켓과 종동스프라켓을 연결하는 이송체인과, 이송체인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모터와; 이송체인에 결합된 다수의 스크린바스켓과; 스크린바스켓을 세척하기 위해 상부프레임에 폭방향으로 마련되는 유입 세척수관 및 유출 세척수관과, 유입 세척수관 및 유출 세척수관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살수배관과, 스크린바스켓에 물을 분사할 수 있도록 노즐이 마련된 세척수살수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동 밴드 스크린{Travelling Band Screen}
본 발명은 이동밴드 스크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 및 유지 보수가 용이한 이동 밴드 스크린에 관한 것이다.
발전소, 담수설비, 정수장 등과 같은 각종 산업플랜트는 대용량의 물을 취수하기 위한 취수설비를 구비한다. 이동 밴드 스크린과 같은 회전 스크린 장치는 취수설비의 하나로 취수되는 물로부터 수중생물이나 어패류, 쓰레기, 부유물 등의 이물질을 걸러주는 장치이다.
한국 등록특허 제10-655469호(2006.12.11.) 상기 문헌에 개시된 회전 스크린 장치는 취수유로의 상측에 설치되는 구동스프라켓 및 구동스프라켓을 구동하는 구동모터와, 취수유로 하부에 설치되는 종동스프라켓과, 구동스프라켓과 종동스프라켓을 연결하는 이송체인과, 이송체인에 결합된 다수의 스크린바스켓을 구비한다. 이러한 회전 스크린 장치는 구동모터가 동작하면 이송체인에 결합된 스크린바스켓이 회전하면서 이물질을 걸러내며, 취수되는 물은 취수유로 상의 스크린바스켓을 통과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성능 향상 및 유지 보수가 용이한 이동 밴드 스크린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취수유로 내에 설치되는 지지프레임과; 지지프레임의 상부프레임에 설치되는 구동스프라켓과, 지지프레임의 하부프레임에 설치되는 종동스프라켓과, 구동스프라켓과 종동스프라켓을 연결하는 이송체인과, 이송체인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모터와; 이송체인에 결합된 다수의 스크린바스켓과; 스크린바스켓을 세척하기 위해 상부프레임에 폭방향으로 마련되는 유입 세척수관 및 유출 세척수관과, 유입 세척수관 및 유출 세척수관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살수배관과, 스크린바스켓에 물을 분사할 수 있도록 노즐이 마련된 세척수살수장치;를 포함하는 이동 밴드 스크린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유입 세척수관 및 유출 세척수관은 살수배관 연결부 쪽에 링 형상의 스터드엔드가 부착되어 랩조인트 플랜지가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살수배관은 랩조인트 플랜지와 체결할 수 있는 볼트 플랜지를 포함하며, 상기 랩조인트 플랜지와 볼트 플랜지는 원주 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볼트, 와샤, 및 너트로 체결되어 체결 해제 시 살수배관이 유입 세척수관 및 유출 세척수관에 대해 회전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살수배관은 상부프레임에 마련되는 고정 브라켓에 U자형 링볼트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스크린바스켓은 이물질을 걸러주는 여과망과, 여과망을 지지하며 이송체인에 결합되는 바스켓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여과망은 바스켓프레임에 개폐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이송체인과 지지프레임에 마련되는 체인가이드 사이에는 슬라이드바가 더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밴드 스크린은 세척수살수장치의 노즐이 회전 가능하여 세척수 분사 각도를 자유로이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협잡물의 종류에 따라 최적화된 각도로 협잡물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밴드 스크린은 스크린바스켓의 스크린망에 경첩을 설치하여 개폐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체인 및 스크린바스켓의 해체 없이 이동 밴드 스크린 내부 시설의 유지 보수가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밴드 스크린은 이송체인과 지지프레임의 체인가이드 사이에 슬라이드부재가 마련됨으로써 유격으로 인한 운전 소음 및 협잡물 잼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밴드 스크린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밴드 스크린의 세척수살수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2의 부분 확대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밴드 스크린의 이송체인 및 스크린바스켓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밴드 스크린의 스크린망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밴드 스크린의 이송체인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밴드 스크린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밴드 스크린은 취수유로(1) 내에 설치되며 하부가 취수유로(1) 바닥 쪽의 콘크리트 구조물(2)에 고정된 지지프레임(10)과, 취수유로(1) 상부에 마련되는 지지프레임(10)의 상부프레임에 설치되는 구동스프라켓(11)과, 취수유로(1)의 바닥과 근접하는 지지프레임(10)의 하부프레임에 설치되는 종동스프라켓(12)과, 구동스프라켓(11)과 종동스프라켓(12)을 연결하는 이송체인(13), 그리고 이송체인(13)에 결합된 다수의 스크린바스켓(30)을 구비한다.
또한, 이동 밴드 스크린은 구동스프라켓(11)을 회전시키기 위해 지지프레임(10) 상측에 설치된 구동모터(15), 이송체인(13)의 장력 유지를 위해 지지프레임(10) 상측에 설치된 긴장장치(16), 스크린바스켓(30)의 이물질을 세척하기 위한 세척수살수장치(20), 이들을 덮는 커버(18)를 포함한다. 그리고 취수유로(1) 상부의 상측 콘크리트 구조물(3)에는 세척수살수장치(20)에 의해 세척된 이물질의 배출을 안내하는 배출수로(4)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이동 밴드 스크린은 구동모터(15)의 동작에 의해 상측의 구동스프라켓(11)이 회전하고, 구동스프라켓(11)의 동작에 의해 이송체인(13)이 회전하며, 이에 따라 다수의 스크린바스켓(30)이 이송체인(13)과 함께 회전한다.
취수유로(1) 내에 위치하는 스크린바스켓(30)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물이 유입되는 쪽이 상승하고 유출되는 반대편이 하강한다. 그리고 취수유로의 물은 회전하는 스크린바스켓(30)을 통과하면서 이물질이 걸러지고 빠져나간다.
스크린바스켓(30)에 의해 걸러진 이물질은 스크린바스켓(30)과 함께 구동스프라켓(11) 쪽으로 상승하며, 세척수살수장치(20)로부터 분사되는 고압의 세척수에 의해 스크린바스켓(30)이 세척된다. 세척수살수장치(20)는 스크린바스켓(30)의 배면 쪽에서 고압의 세척수를 분사함으로써 스크린바스켓(30)으로부터 이물질이 제거되도록 한다. 제거되는 이물질은 배출수로(4)를 통하여 배출된다.
도 2는 본 실시 예에 따른 세척수살수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 및 도 4는 도 2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면들을 참조하면, 세척수살수장치(20)는 스크린바스켓(30)을 양쪽에서 안내하는 한 쌍의 지지프레임(10)의 상부프레임에 폭방향으로 마련되는 유입 세척수관(21a) 및 유출 세척수관(21b)과, 유입 및 유출 세척수관(21a, 21b)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며 다수의 노즐(22)을 구비하는 살수배관(23)을 포함한다.
유입 세척수관(21a)과 유출 세척수관(21b)은 살수배관(23)을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이격 마련되며, 지지프레임(10)의 상부프레임에 각각 고정된다. 세척수는 유입 세척수관(21a)을 통해 유입되고, 살수배관(23)에 마련된 노즐(22)을 통해 스크린바스켓 표면에 분사하며, 유출 세척수관(21b)에 부착된 볼밸브를 이용하여 세척수 유출을 방지한다. 유출 세척수관(21b)에 부착된 볼밸브는 스크린바스켓 미가동 시스크린 주변 물청소용으로 연결 사용 가능하다.
살수배관(23)은 소정 간격으로 마련되는 다수의 노즐(22)을 포함한다. 또한, 살수배관(23)은 유입 및 유출 세척수관(21a, 21b)에 양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노즐(22)의 분사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마련되며, 각도 조절 후 견고하게 위치 고정될 수 있도록 지지프레이므이 상부프레임에 마련되는 고정 브라켓(10a)에 체결된다.
도 3 및 도 4는 도 2의 부분 확대도로서, 먼저 도 3은 유입 및 유출 세척수관(21a, 21b)과 살수배관(23)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유입 및 유출 세척수관(21a, 21b)은 살수배관(23) 연결부 쪽에 링 형상의 스터드엔드(21a)가 부착되어 랩조인트 플랜지(24)가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살수배관(23)은 랩조인트 플랜지(24)와 체결할 수 있는 볼트 플랜지(25)를 포함하며, 랩조인트 플랜지(24)와 볼트 플랜지(25)는 원주 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볼트, 와샤, 너트(26a)로 체결된다. 또한, 볼트 플랜지(25)와 랩조인트 플랜지(24) 사이에는 가스켓(27)이 삽입되어 유입 및 유출 세척수관(21a, 21b)의 스터드엔드(21a)와 밀착하면서 씰링된다.
도 4는 지지프레임(10)의 상부프레임에 마련되는 고정 브라켓(10a)에 U자형 링볼트(28)를 이용하여 살수배관(23)을 고정한 것이다. 살수배관(23)은 링볼트(28)에 체결되는 링너트(28a)를 풀면 1차 고정이 해제되며, 랩조인트 플랜지(24)와 볼트 플랜지(25)를 해제함으로써 2차 고정이 해제된다. 1차 고정이 해제된 살수배관(23)은 유입 및 유출 세척수관(21a, 21b)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준비되며, 2차 고정이 해제됨으로써 살수배관(23)의 볼트 플랜지(25)와 랩조인트 플랜지(24)는 유입 및 유출 세척수관(21a, 21b)에 대해 상대 회전하면서 세척수 분사 각도를 조절하게 된다. 미설명된 참조부호 29는 살수배관(23)을 회전하기 위한 손잡이이다.
도 5는 이송체인(13)과 스크린바스켓(30)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스크린바스켓(30)은 이물질을 걸러주는 여과망(31)과, 여과망(31)을 지지하는 대략 사각틀 형태의 바스켓프레임(32)을 포함한다. 스크린바스켓(30)은 바스켓프레임(32)의 양측이 양 사이드의 이송체인(13)에 체인볼트(13a)를 통해 결합됨으로써 이송체인(13)을 따라 이동한다.
여과망(31)은 스테인리스재질 또는 강성이 큰 수지재질로 이루어지며, 여과망(31)의 테두리를 결속하는 결속플레이트들(31a)도 스테인리스재질 또는 섬유강화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여과망(31)은 바스켓프레임(32)에 개폐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즉, 여과망(31)의 상측은 바스켓프레임(32)에 경첩(33)을 통해 연결되어 있으며, 하측은 망볼트(34)로 체결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이동 밴드 스크린의 내부 설비를 점검하고자 할 때 종래와 같이 이송체인(13)으로부터 스크린바스켓(30)을 해체하지 않고도 내부 부품, 예를 들어 상술한 세척수살수장치의 노즐 각도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바스켓프레임(32)의 상부 바스켓프레임(32a)과 하부 바스켓프레임(32b)은 내부가 빈 중공 형태로 마련되며, 이 중공에는 발포폴리프로필렌(35)이 채워질 수 있다. 이는 그 무게를 경감시키면서도 충분한 강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상부 및 하부 바스켓프레임(32a,32b)을 제조할 때 재료(섬유강화플라스틱 소재)의 사용을 줄여 제조원가를 줄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발포폴리프로필렌(35)이 채워진 스크린바스켓(30)은 물에 침수될 경우 스크린바스켓 내부(중공부)의 물의 침입을 방지하여 스크린바스켓(30)의 무게가 줄어들도록 함으로써 이동 밴드 스크린의 구동부하를 더욱 줄일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체인(13)과 지지프레임(10)에 마련되는 체인가이드 사이에는 유격이 있기 때문에, 이송체인 동작 시 소음이 발생하고 또한 그 사이에 협잡물이 끼는 현상이 종종 발생한다. 본 실시 예는 도 7에 확대 도시한 바와 같이 이송체인(13)과 지지프레임(10) 사이에 합성수지재의 슬라이드바(40)를 마련함으로써 소음 발생 및 협잡물의 잼 현상을 효과적으로 경감할 수 있다. 슬라이드바(40)는 롤러(42)로 대체될 수 있다.
1..취수유로 10..지지프레임
13..이송체인 20..세척수살수장치
21..세척수관 23..살수배관
23..랩조인트 플랜지 24..볼트 플랜지
30..스크린바스켓 31.여과망
32..바스켓프레임 33..경첩
40..슬라이드바

Claims (5)

  1. 취수유로 내에 설치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프레임에 설치되는 구동스프라켓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하부프레임에 설치되는 종동스프라켓과, 구동스프라켓과 종동스프라켓을 연결하는 이송체인과, 이송체인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모터와; 상기 이송체인에 결합된 다수의 스크린바스켓과; 상기 스크린바스켓을 세척하기 위해 상부프레임에 폭방향으로 마련되는 유입 세척수관 및 유출 세척수관과, 유입 세척수관 및 유출 세척수관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살수배관과, 스크린바스켓에 물을 분사할 수 있도록 노즐이 마련된 세척수살수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유입 세척수관 및 유출 세척수관은 살수배관 연결부 쪽에 링 형상의 스터드엔드가 부착되어 랩조인트 플랜지가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살수배관은 랩조인트 플랜지와 체결할 수 있는 볼트 플랜지를 포함하며, 상기 랩조인트 플랜지와 볼트 플랜지는 원주 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볼트, 와샤, 및 너트로 체결되어 체결 해제 시 살수배관이 유입 세척수관 및 유출 세척수관에 대해 회전 가능하고,
    상기 살수배관은 상부프레임에 마련되는 고정 브라켓에 U자형 링볼트로 고정되며,
    상기 스크린바스켓은 이물질을 걸러주는 여과망과, 여과망을 지지하며 이송체인에 결합되는 바스켓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여과망은 바스켓프레임에 개폐 가능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이송체인과 지지프레임에 마련되는 체인가이드 사이에는 슬라이드바가 마련되는 이동 밴드 스크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망의 상측은 바스켓프레임에 경첩을 통해 연결되어 있으며, 하측은 망볼트로 바스켓프레임에 체결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이동 밴드 스크린.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20140006071A 2014-01-17 2014-01-17 이동 밴드 스크린 KR1014683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06071A KR101468396B1 (ko) 2014-01-17 2014-01-17 이동 밴드 스크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06071A KR101468396B1 (ko) 2014-01-17 2014-01-17 이동 밴드 스크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8396B1 true KR101468396B1 (ko) 2014-12-04

Family

ID=526773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06071A KR101468396B1 (ko) 2014-01-17 2014-01-17 이동 밴드 스크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839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5680A (ko) * 2018-04-03 2019-10-14 효림산업주식회사 이동 밴드 스크린 및 그 제어방법
KR102038437B1 (ko) 2019-06-13 2019-10-30 주식회사 청우이엔이 클라이밍 밴드 스크린
KR102157987B1 (ko) 2020-04-20 2020-09-18 경기도 부천시 협잡물 제거가 용이한 수로 분리형 제진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88072A (ja) * 2003-12-25 2005-07-14 Mizota Corp 除塵装置
KR100941028B1 (ko) * 2008-02-28 2010-02-05 효림산업주식회사 회전스크린장치의 스크린바스켓
KR101325471B1 (ko) * 2013-04-04 2013-11-21 (주)하이텍산업개발 프레임 부착 롤러 타입의 회전망스크린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88072A (ja) * 2003-12-25 2005-07-14 Mizota Corp 除塵装置
KR100941028B1 (ko) * 2008-02-28 2010-02-05 효림산업주식회사 회전스크린장치의 스크린바스켓
KR101325471B1 (ko) * 2013-04-04 2013-11-21 (주)하이텍산업개발 프레임 부착 롤러 타입의 회전망스크린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5680A (ko) * 2018-04-03 2019-10-14 효림산업주식회사 이동 밴드 스크린 및 그 제어방법
KR102143913B1 (ko) * 2018-04-03 2020-08-13 효림산업주식회사 이동 밴드 스크린 및 그 제어방법
KR102038437B1 (ko) 2019-06-13 2019-10-30 주식회사 청우이엔이 클라이밍 밴드 스크린
KR102157987B1 (ko) 2020-04-20 2020-09-18 경기도 부천시 협잡물 제거가 용이한 수로 분리형 제진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8396B1 (ko) 이동 밴드 스크린
KR101666028B1 (ko) 로터리식 제진기
US9808747B2 (en) Machine for continuous microfiltration of process and waste water, for reuse thereof in agriculture and industry
KR100940936B1 (ko) 청과물 세척 및 냉각장치
US20160114268A1 (en) Continuous belt screen
KR20140057883A (ko) 물의 흐름에 영향을 주지 않는 제진기
KR20130063563A (ko) 자동 여과 장치
GB2516714A (en) A combined cleaning apparatus for cleaning vegetables or other items and an associated method
KR100893393B1 (ko) 하수 및 배수 처리용 제진기
KR102143913B1 (ko) 이동 밴드 스크린 및 그 제어방법
KR200321630Y1 (ko) 과일세척장치
KR20090059753A (ko) 정수처리장 여과조의 표면 세척장치
KR101644519B1 (ko) 연속식 여과장치
KR100941028B1 (ko) 회전스크린장치의 스크린바스켓
JP2007143502A (ja) 作物洗浄装置
CN207252741U (zh) 一种榨菜清洁机
CN214495775U (zh) 循环自清洁网状拦污栅
JPH04312610A (ja) 移動式水スクリーン用シールド装置
KR100872492B1 (ko) 양어장 용수 협잡물 제거장치
CN204742549U (zh) 马铃薯喷淋清洗机
CN208512118U (zh) 一种除尘装置
CN114100237A (zh) 一种链板过滤式固液分离装置
KR20160002789U (ko) 양ㆍ배수장의 길이가 긴 부유물을 커팅하는 커팅수단이 구비된 제진기
CN213378368U (zh) 一种清洗菜框的洗框设备
CN219228958U (zh) 一种清洗去杂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