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5680A - 이동 밴드 스크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밴드 스크린 및 그 제어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5680A
KR20190115680A KR1020180038671A KR20180038671A KR20190115680A KR 20190115680 A KR20190115680 A KR 20190115680A KR 1020180038671 A KR1020180038671 A KR 1020180038671A KR 20180038671 A KR20180038671 A KR 20180038671A KR 20190115680 A KR20190115680 A KR 201901156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er pipe
split header
pipe
washing water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86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43913B1 (ko
Inventor
변종윤
김영철
김기태
김광렬
임재곤
Original Assignee
효림산업주식회사
한국수자원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효림산업주식회사, 한국수자원공사 filed Critical 효림산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386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3913B1/ko
Publication of KR201901156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56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39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3913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8Details, e.g. gates, screens
    • E02B5/085Arresting devices for waterborne materials, e.g. gra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6Cleaning-out devices, e.g. for removing the cake from the filter casing or for evacuating the last remnants of liqui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이동 밴드 스크린 및 그 제어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밴드 스크린 및 그 제어방법은 취수유로 내에 설치되는 지지프레임, 이송체인, 및 이송체인 구동모터와; 이송체인에 결합된 다수의 스크린바스켓과; 스크린바스켓을 세척하기 위해 마련되는 유입 및 유출 세척수관과, 유입 세척수관 및 유출 세척수관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살수배관과, 스크린바스켓에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도록 노즐이 마련된 세척수살수장치;를 포함하고, 세척수살수장치는 노즐의 선택 개폐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전동밸브를 포함하고, 살수배관은 2 열로 마련되는 제1분할헤더관 및 제2분할헤더관과, 제1분할헤더관에 마련되는 제1노즐 및 제2분할헤더관에 마련되는 제2노즐을 포함하며, 제1노즐과 제2노즐은 스크린바스켓을 향해 분사된 세척수가 중첩되지 않도록 교차 배치되어, 제1분할헤더관 또는 제2분할헤더관에만 세척수를 공급하는 제1급수모드와, 제1분할헤더관과 제2분할헤더관에 세척수를 동시 공급하는 제2급수모드와, 차단모드를 전동밸브를 이용하여 선택하는 제어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 밴드 스크린 및 그 제어방법{Travelling Band Screen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이동 밴드 스크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운전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이동 밴드 스크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발전소, 담수설비, 정수장 등과 같은 각종 산업 플랜트는 대용량의 물을 취수하기 위한 취수설비를 구비한다. 이동 밴드 스크린과 같은 회전 스크린 장치는 취수설비의 하나로, 취수되는 물로부터 수중 생물이나 어패류, 쓰레기, 부유물 등의 협잡 이물질들을 걸러주는 장치이다.
한국 등록특허 제10-655469호(2006.12.11.) 상기 문헌에 개시된 회전 스크린 장치는 취수유로의 상측에 설치되는 구동스프라켓 및 구동스프라켓을 작동시키는 구동모터와, 취수유로 하부에 설치되는 종동스프라켓과, 구동스프라켓과 종동스프라켓을 연결하는 이송체인과, 이송체인에 결합된 다수의 스크린바스켓을 구비한다. 이러한 회전 스크린 장치는 구동모터가 동작하면 이송체인에 결합된 스크린바스켓이 회전하면서 이물질을 걸러내며, 취수되는 물은 취수유로 상의 스크린바스켓을 통과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스크린바스켓의 세척이 우수하며 운전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이동 밴드 스크린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취수유로 내에 설치되는 지지프레임과; 지지프레임의 상부프레임에 설치되는 구동스프라켓과, 지지프레임의 하부프레임에 설치되는 종동스프라켓과, 구동스프라켓과 종동스프라켓을 연결하는 이송체인과, 이송체인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모터와; 이송체인에 결합된 다수의 스크린바스켓과; 스크린바스켓을 세척하기 위해 상부프레임에 폭방향으로 마련되는 유입 세척수관 및 유출 세척수관과, 유입 세척수관 및 유출 세척수관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살수배관과, 스크린바스켓에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도록 노즐이 마련된 세척수살수장치;를 포함하고, 세척수살수장치는 노즐의 선택 개폐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전동밸브를 포함하고, 살수배관은 2 열로 마련되는 제1분할헤더관 및 제2분할헤더관과, 제1분할헤더관에 마련되는 제1노즐 및 제2분할헤더관에 마련되는 제2노즐을 포함하며, 제1노즐과 제2노즐은 스크린바스켓을 향해 분사된 세척수가 중첩되지 않도록 교차 배치되는 이동 밴드 스크린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동밸브는 3-way 밸브로 마련되어, 상기 제1분할헤더관 또는 제2분할헤더관에만 세척수를 공급하는 제1급수모드와, 상기 제1분할헤더관과 제2분할헤더관에 세척수를 동시 공급하는 제2급수모드와, 차단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동밸브는 4-way 밸브로 마련되어, 상기 제1분할헤더관에만 세척수를 공급하는 제1급수모드와, 상기 제1분할헤더관과 제2분할헤더관에 세척수를 동시 공급하는 제2급수모드와, 상기 제2분할헤더관에만 세척수를 공급하는 제3급수모드와, 차단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분할헤더관과 제2분할헤더관은 길이방향으로 장방형으로 마련되며, 상기 제1분할헤더관의 양단부는 랩조인트를 포함하여 상기 유입 세척수관 및 유출 세척수관에 회전 조절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2분할헤더관은 제1분할헤더관에 고정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분할헤더관에 마련되는 제1노즐과 제2분할헤더관에 마련되는 제2노즐은 폭방향으로 교호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분할헤더관에 마련되는 제1노즐과 제2분할헤더관에 마련되는 제2노즐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스크린바스켓을 향해 분사되는 세척수의 중첩 분사를 피하기 위해 수평 방향을 기준으로 일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스크린바스켓을 세척하기 위한 세척수를 분사하는 세척수살수장치를 포함하는 이동 밴드 스크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세척수살수장치는 2 열로 마련되는 제1분할헤더관 및 제2분할헤더관과, 제1분할헤더관에 마련되는 제1노즐 및 제2분할헤더관에 마련되는 제2노즐과, 상기 제1분할헤더관 및 제2분할헤더관에 세척수를 공급하기 위한 전동밸브를 포함하여, 상기 제1분할헤더관 또는 제2분할헤더관에만 세척수를 공급하는 제1급수모드와, 상기 제1분할헤더관과 제2분할헤더관에 세척수를 동시 공급하는 제2급수모드와, 차단모드를 상기 전동밸브를 이용하여 선택하는 이동 밴드 스크린의 제어 방법이 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크린바스켓이 제1속도로 운전될 때는 상기 제1분할헤더관과 제2분할헤더관 중 하나를 동작시키고, 상기 스크린바스켓이 제1속도보다 빠른 제2속도로 운전될 때는 상기 제1분할헤더관과 제2분할헤더관을 동시 동작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교 연산된 수위차가 제1기준수위 이하인 경우 스크린바스켓을 제1속도로 구동한 후 정지하고, 상기 비교 연산된 수위차가 제1기준수위 초과 제2기준수위 이하인 경우 제1속도로 구동하며, 상기 비교 연산된 수위차가 제2기준수위 초과인 경우 제2속도로 구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밴드 스크린 및 그 제어방법은 취수유로의 유입 측과 유출 측의 수위차를 이용하여 스크린바스켓의 운전 속도를 달리하며, 나아가 스크린바스켓의 운전 속도에 따라 스크린바스켓을 세척하기 위한 세척수살수장치의 세척수 분사량을 다양한 급수모드로 강약을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이동 밴드 스크린의 운전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밴드 스크린에 마련되는 세척수살수장치는 유입 및 유출 세척수관 사이에 마련되는 살수배관이 세척수관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위치 조정이 용이하며, 나아가 살수배관에 마련되는 복수의 노즐은 상호 상하 및 좌우로 소정 간격 이격 설치되는 한편 각 노즐은 대향하는 스크린바스켓의 폭방향에 대해 일정 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세척수살수장치의 상하 방향으로 운전되는 스크린바스켓에 대해 세척수가 미분사되는 영역이 발생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밴드 스크린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밴드 스크린의 세척수살수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밴드 스크린의 세척수살수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밴드 스크린의 세척수살수장치의 살수배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밴드 스크린의 세척수살수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밴드 스크린의 세척수살수장치로부터 스크린바스켓을 향해 분사되는 세척수를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밴드 스크린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밴드 스크린은 취수유로(1) 내에 설치되며 하부가 취수유로(1) 바닥 쪽의 콘크리트 구조물(2)에 고정된 지지프레임(10)과, 지지프레임(10)의 취수유로(1) 상부에 마련되는 구동스프라켓(11)과, 취수유로(1)의 바닥과 근접하는 지지프레임(10)의 하부에 설치되는 종동스프라켓(12)과, 구동스프라켓(11)과 종동스프라켓(12)을 연결하는 이송체인(13), 및 이송체인(13)에 결합된 다수의 스크린바스켓(30)을 구비한다.
또한, 이동 밴드 스크린은 구동스프라켓(11)을 회전시키기 위해 지지프레임(10) 상측에 설치된 구동모터(15), 이송체인(13)의 장력 유지를 위해 지지프레임(10) 상측에 설치된 텐션장치(16), 스크린바스켓(30)의 이물질을 세척하기 위한 세척수살수장치(20), 이들을 덮는 커버(18)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취수유로(1) 상부의 상측 콘크리트 구조물(3)에는 세척수살수장치(20)에 의해 세척된 이물질의 배출을 안내하는 배출수로(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이동 밴드 스크린은 구동모터(15)의 동작에 의해 상측의 구동스프라켓(11)이 회전하고, 구동스프라켓(11)의 동작에 의해 이송체인(13)이 회전하며, 이송체인(13)에 연결된 다수의 스크린바스켓(30)이 이송체인(13)과 함께 회전하면서 취수유로의 물에 존재하는 협잡 이물질들을 수거 및 제거한다.
취수유로(1) 내에 위치하는 스크린바스켓(30)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물이 유입되는 쪽이 상승하고 유출되는 반대편으로 하강한다. 취수유로의 물은 회전하는 스크린바스켓(30)을 통과하면서 이물질이 걸러지고 빠져나간다.
이동 밴드 스크린을 통과하면서 스크린바스켓(30)에 의해 걸러진 이물질은 스크린바스켓(30)과 함께 구동스프라켓(11) 쪽으로 상승 운반된 후 세척수살수장치(20)로부터 분사되는 고압의 세척수에 의해 배출되며, 이와 동시에 스크린바스켓(30)은 세척된다. 즉, 세척수살수장치(20)는 회전하는 스크린바스켓(30)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고압의 세척수를 분사함으로써 스크린바스켓(30)으로부터 이물질이 제거되도록 하며, 제거되는 이물질은 배출수로(4)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도 2는 본 실시 예에 따른 세척수살수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3은 그 측면 확대도이다.
도면들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세척수살수장치(20)는 스크린바스켓(30)을 양쪽에서 안내하는 한 쌍의 지지프레임(10)의 상부프레임에 폭방향으로 고정 마련되는 유입 세척수관(21) 및 유출 세척수관(22)과, 유입 및 유출 세척수관(21, 22) 사이에 마련되며 다수의 노즐(25)을 구비하는 살수배관(24)을 포함한다.
유입 세척수관(21)과 유출 세척수관(22)은 지지프레임(10)의 상부프레임에 일단이 각각 고정 마련되며, 타단은 그 사이에 살수배관(24)이 개재될 수 있도록 이격 마련된다.
세척수는 유입 세척수관(21)을 통해 관내로 유입되고, 살수배관(24)에 마련된 노즐(25)을 통해 스크린바스켓 표면을 향해 분사되며, 유출 세척수관(22)에 부착된 개폐밸브(22a)를 이용하여 세척수 유출을 방지하거나 통과시킨다. 유출 세척수관(22)에 부착된 개폐밸브(22a)는 외부 호스를 연결하여 스크린 주변 물청소 등의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유입 세척수관(21)에는 수동밸브(21a)와 전동밸브(23)가 마련될 수 있다. 수동밸브(21a)는 유입 세척수관(21)의 개폐를 수동으로 조절할 수 있으며, 전동밸브(23)는 살수배관(24)으로 공급되는 물의 경로를 다양하게 선택 개폐할 수 있도록 3way 또는 4way 밸브로 마련될 수 있다. 자세한 것은 후술한다.
살수배관(24)은 유입 및 유출 세척수관(21, 22)에 양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노즐(25)의 분사 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이를 위해, 유입 및 유출 세척수관(21, 22)에는 살수배관(24) 연결부 쪽에 링 형상의 랩조인트 플랜지(26)가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살수배관(24)에는 랩조인트 플랜지(26)와 체결할 수 있는 볼트 플랜지(27)가 마련된다. 랩조인트 플랜지(26)와 볼트 플랜지(27)는 원주 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볼트(B)로 체결된다. 자세히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볼트 플랜지(27)와 랩조인트 플랜지(26) 사이에는 스터드엔드, 가스켓 등이 삽입되어 세척수관(21, 22)의 연결 부위를 밀착하면서 씰링할 수 있으며, 이들 연결부위 부품들은 이하 랩조인트로 통칭한다.
살수배관(24)은 제1분할헤더관(24a)과 제2분할헤더관(24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분할헤더관(24a)과 제2분할헤더관(24b)은 유입 세척수관(21)의 전동밸브(23)에서 분기되어 스크린바스켓(30)을 향해 나란하게 배치된다. 전동밸브(23)는 제1분기연결관(23a)과 제2분기연결관(23b)을 포함하여, 제1분기연결관(23a)은 제1분할헤더관(24a)과 랩조인트를 이용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고 제2분기연결관(23b)은 플렉시블호스(23c)를 이용하여 제1분활헤더관(24a)을 따라 회전하는 제2분할헤더관(24b)과 연결된다.
제1분할헤더관(24a)에는 복수의 제1노즐(25a)이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고, 제2분할헤더관(24b)에는 복수의 제2노즐(25b)이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배치된다. 제1노즐(25a)과 제2노즐(25b)은 스크린바스켓(30)을 향해 분사된 세척수가 상하 및 좌우로 중첩되지 않도록 교차 배치된다.
도 3을 참조하여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제1분할헤더관(24a)과 제2분할헤더관(24b)은 각각 장방형인 사각 파이프로 마련될 수 있다. 랩조인트를 통해 유입 및 유출 세척수관(21, 22)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1분할헤더관(24a)과 제2분할헤더관(24b)은 장방 형태로 인해 상호 인접하여 면접촉할 수 있기 때문에 노즐(25)의 각도 조절이 용이하며, 또한 노즐(25) 사이의 간격이 좁아 세척수를 보다 조밀한 상하 간격으로 분사할 수 있다.
제1분할헤더관(24a)에 마련되는 복수의 제1노즐(25a)과, 제2분할헤더관(24b)에 마련되는 복수의 제2노즐(25b)은 각각 분할헤더관의 동일 면에서 도 2의 “A 간격(약 400mm)”으로 교호 설치될 수 있으며, 스크린바스켓(30)에 대해서는 도 3의“B 간격(약 550mm)”으로 이격되어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각 노즐은 수평방향에 대해 각도(α)가 약 6도 정도 상향 경사되어 회전하는 스크린바스켓(30)에 대해 정면으로 대향하여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한편, 스크린바스켓(30)은 이물질을 걸러주는 여과망(31)과, 여과망(31)을 지지하는 대략 사각틀 형태의 바스켓프레임(32)을 포함한다. 스크린바스켓(30)은 바스켓프레임(32)의 양측이 이송체인(13)에 볼트로 체결되어 이송체인(13)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바스켓프레임(32)의 내부에는 무게를 경감시키면서도 충분한 강성을 가질 수 있도록 발포폴리프로필렌 소재의 발포부재(33)가 채워질 수 있다. 발포부재(33)가 채워진 스크린바스켓(30)은 물에 침수되더라도 스크린바스켓 내부로 물이 침입하지 못하기 때문에 스크린바스켓(30)의 자체 무게가 줄어 이동 밴드 스크린의 구동 부하를 더욱 줄일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살수배관(24) 및 살수배관(24)에서 분출되는 세척수의 분사 범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들이다.
먼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분할헤더관(24a)에 마련되는 복수의 제1노즐(25a)과 제2분할헤더관(24b)에 마련되는 복수의 제2노즐(25b)은 각각 분할헤더관의 동일 방향 면에서 A 간격으로 교호 설치될 수 있으며, 스크린바스켓(30)에 대해서는 B 간격으로 이격되어 세척수를 분사한다.
또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노즐(25a)과 제2노즐(25b)에서 각각 분사되는 세척수는 정면을 향해 약 55도 정도의 각도(θ1)로 퍼져 나가도록 설정될 수 있다. 55도 간격은 스크린바스켓(30)의 폭방향에 대해 세척수가 일부 겹쳐서 분출되도록 한 것으로, 이를 통해 살수배관(24)의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스크린바스켓(30)의 폭방향에 대해서는 세척수가 도달하지 않는 사구역은 존재하지 않는다.
또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크린바스켓(30)을 향해 분사되는 제1노즐(25a)과 제2노즐(25b)은 θ2(약 1~2도) 각도로 수평방향에 대해 동일한 방향 및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만일 복수의 제1노즐(25a)(또는 복수의 제2노즐(25b))이 모두 동일한 수평방향으로 55도의 폭 각도로 세척수를 분사하면 일부 중첩되는 양측 구간에서는 이웃하는 세척수간의 간섭으로 인해 물살의 세기가 약해질 수 밖에 없다.
따라서, 복수의 노즐(25a, 25b)을 상술한 바와 같이 수평방향에 대해 동일한 방향으로 일정하게 경사지게 배치함으로써 세척수의 일부가 중첩되는 것을 피하면서 상하 이동하는 스크린바스켓(30)의 폭방향에 대해서는 세척수가 도달하지 않는 사구역이 존재하지 않게 된다.
그러면, 상기와 같이 마련되는 세척수살수장치(20)를 포함하는 이동 밴드 스크린의 동작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설명에 앞서, 본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밴드 스크린은 취수유로(1) 상부의 콘크리트 구조물(3)에 마련되는 제어장치(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장치(40)는 제어반 형태로 마련되며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41)와, 취수유로의 유입 및 유출 측 상부 콘크리트 구조물에 각각 설치되는 수위감지부(42,43)와 전동밸브(23)를 구동하기 위한 밸브제어부(44)를 포함한다. 수위감지부(42,43)로는 초음파 레벨센서가 채용 가능하며, 취수유로의 유입 측에 마련되는 제1수위감지부(42)와, 유출 측에 마련되는 제2수위감지부(43)를 포함한다.
제어부(41)는 수위감지부를 통해 검출된 취수유로의 유입 및 유출 측 수위차를 이용하여 밸브제어부(44)를 동작시켜 세척수살수장치(20)의 전동밸브(23)를 선택적으로 개폐 동작시킨다. 제어부(41)는 미리 설정 값들을 입력할 수 있도록 데이터 입출력 수단으로서 터치 스크린, 자동 운전을 위한 타이머, 인버터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상술한 제어장치(40)를 이용하여 이동 밴드 스크린의 스크린바스켓 운전 및 세척수를 분사하는 동작을 이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제어부(41)는 제1수위감지부(42)를 이용하여 취수유로의 유입 측 수위를 감지하고, 제2수위감지부(43)를 이용하여 취수유로의 유출 측 수위를 감지한다.
이어서, 제어부(41)는 제1수위감지부(42)와 제2수위감지부(43)에서 각각 감지된 수위를 이용하여 수위차를 연산하고, 연산된 수위차를 제1기준수위(100mm)와 비교한다.
비교된 수위차 값이 제1기준수위 이하인 경우, 제어부(41)는 타이머에 의해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스크린바스켓(30)을 동작 개시하여 저속인 제1속도(2.0m/min)로 구동하고, 이 저속의 제1속도(2.0m/min)는 기설정된 소정 시간 동안 유지된다. 소정 시간이 경과되면 스크린바스켓(30)은 동작을 정지하고, 소정 시간이 경과되지 않았다면 경과될 때까지 스크린바스켓(30)은 저속인 제1속도(2.0m/min)로 구동된다.
이때, 세척수살수장치(20)는 스크린바스켓(30)의 저속 운전에 대응하여 제1노즐(25a)에서만 세척수를 분사하는 제1급수모드 또는 제2노즐(25b)에서만 세척수를 분사하는 제3급수모드로 작동될 수 있다. 세척수를 소량 분사하는 제1,3급수모드와 세척수 분사를 정지하는 차단모드의 선택은 3-way 또는 4-way 전동밸브(23)의 제어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세척수살수장치(20)는 스크린바스켓(30)이 동작하면 같이 동작하고, 정지하면 같이 정지한다. 즉, 세척수살수장치(20)는 스크린바스켓(30)을 따라 설정된 소정 시간이 경과되면 동작을 정지하고, 소정 시간이 경과되지 않았다면 경과될 때까지 저속의 스크린바스켓(30)을 따라 제1 또는 제3급수모드로 구동된다.
한편, 비교 연산된 수위차 값이 제1기준수위 초과 제2기준수위(200mm) 이하인 경우, 제어부(41)는 스크린바스켓(30)을 저속인 제1속도(2.0m/min)로 구동하고, 저속인 제1속도(2.0m/min)로 구동하는 동안 수위차 값을 지속적으로 검출하여 수위차 값이 제1기준수위 이하가 되는 경우, 저속인 제1속도(2.0m/min)를 소정 시간 동안 유지하다가 소정 시간이 경과되면 스크린바스켓(30)을 동작 정지하고, 소정 시간이 경과되지 않았으면 경과될 때까지 스크린바스켓(30)을 저속인 제1속도(2.0m/min)로 구동한다.
이때, 저속 동작하는 스크린바스켓(30)에 낀 협잡물을 제거하기 위해 세척수살수장치(20)도 동작한다. 세척수살수장치(20)는 저속 운전되는 스크린바스켓(30)에 대응하여 소량 분사인 제1노즐(25a)에서만 세척수를 분사하는 제1급수모드 또는 제2노즐(25b)에서만 세척수를 분사하는 제3급수모드로 작동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1)는 스크린바스켓(30)과 마찬가지로 세척수살수장치(20)를 비교 연산된 수위차 값이 제1기준수위 초과 제2기준수위(200mm) 이하인 경우 제1급수모드 또는 제3급수모드로 작동시키고, 수위차 값을 지속적으로 검출하여 수위차 값이 제1기준수위 이하가 되는 경우, 제1급수모드 또는 제3급수모드를 소정 시간 동안 유지하다가 소정 시간이 경과되면 세척수살수장치(20)를 동작 정지하고, 소정 시간이 경과되지 않았으면 경과될 때까지 세척수살수장치(20)를 구동한다.
또 한편, 비교된 수위차 값이 제2기준수위(200mm) 초과인 경우 제어부(41)는 스크린바스켓(30)을 저속인 제1속도(2.0m/min)보다 빠른 고속인 제2속도(4.0m/min)로 구동하고, 고속인 제2속도(4.0m/min)로 구동하는 동안 수위차 값을 지속적으로 검출하여 수위차 값이 제1기준수위 초과 제2기준수위 이하인 경우, 스크린바스켓(30)을 저속인 제1속도(2.0m/min)로 구동하고, 저속인 제1속도(2.0m/min)로 구동하는 동안 수위차 값을 지속적으로 검출하여 수위차 값이 제1기준수위 이하가 되는 경우, 저속인 제1속도(2.0m/min)를 소정 시간 동안 유지하다가 소정 시간이 경과되면 스크린바스켓(30)을 동작 정지하고, 소정 시간이 경과되지 않았으면 경과될 때까지 스크린바스켓(30)을 저속인 제1속도(2.0m/min)로 구동한다.
이때, 고속 동작하는 스크린바스켓(30)에 낀 협잡물을 제거하기 위해 세척수살수장치(20)도 대응하여 제1노즐(25a)과 제2노즐(25b)에서 동시에 세척수를 대량 분사하는 제2급수모드로 작동된다. 제2급수모드와 차단모드의 선택은 3-way 또는 4-way 전동밸브(23)의 제어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제어부(41)는 스크린바스켓(30)과 마찬가지로 비교된 수위차 값이 제2기준수위(200mm) 초과인 경우 세척수살수장치(20)를 세척수 대량 분사인 제2급수모드로 구동하고, 제2급수모드로 구동하는 동안 수위차 값을 지속적으로 검출하여 수위차 값이 제1기준수위 초과 제2기준수위 이하인 경우, 세척수 소량 분사인 제1급수모드 또는 제3급수모드로 구동하고, 제1 또는 제3급수모드로 구동하는 동안 수위차 값을 지속적으로 검출하여 수위차 값이 제1기준수위 이하가 되는 경우, 제1,3급수모드로 세척수 소량 분사를 소정 시간 동안 유지하다가 소정 시간이 경과되면 동작 정지하고, 소정 시간이 경과되지 않았으면 경과될 때까지 제1급수모드 또는 제3급수모드로 세척수살수장치(20)를 구동한다.
이상 상기 설명에서는 제어부(41)가 취수유로의 유입 및 유출 측 수위차를 이용하여 스크린바스켓 및 세척수살수장치의 운전을 개별 제어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세척수살수장치는 스크린바스켓의 동작 유무에 따라 종동 운전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수위차 대신 구동스프라켓에 토크 센서를 마련하여 협잡물의 중량에 따라 달라지는 구동스크라켓의 하중에 기초하여 운전을 전환 제어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1..취수유로 10..지지프레임
13..이송체인 20..세척수살수장치
21,22..유입 및 유출 세척수관 21a..수동밸브
23..전동밸브 24..살수배관
24a..제1분할헤드관 24b..제2분할헤드관
25..노즐 26..랩조인트
30..스크린바스켓 31.여과망
40..제어장치 42..제1수위감지부
43..제2수위감지부

Claims (10)

  1. 취수유로 내에 설치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프레임에 설치되는 구동스프라켓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하부프레임에 설치되는 종동스프라켓과, 구동스프라켓과 종동스프라켓을 연결하는 이송체인과, 이송체인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모터와;
    상기 이송체인에 결합된 다수의 스크린바스켓과;
    상기 스크린바스켓을 세척하기 위해 상부프레임에 폭방향으로 마련되는 유입 세척수관 및 유출 세척수관과, 유입 세척수관 및 유출 세척수관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살수배관과, 스크린바스켓에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도록 노즐이 마련된 세척수살수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세척수살수장치는 상기 노즐의 선택 개폐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전동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살수배관은 2 열로 마련되는 제1분할헤더관 및 제2분할헤더관과, 제1분할헤더관에 마련되는 제1노즐 및 제2분할헤더관에 마련되는 제2노즐을 포함하며,
    상기 제1노즐과 제2노즐은 스크린바스켓을 향해 분사된 세척수가 중첩되지 않도록 교차 배치되는 이동 밴드 스크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밸브는 3-way 밸브로 마련되어,
    상기 제1분할헤더관 또는 제2분할헤더관에만 세척수를 공급하는 제1급수모드와, 상기 제1분할헤더관과 제2분할헤더관에 세척수를 동시 공급하는 제2급수모드와, 차단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이동 밴드 스크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밸브는 4-way 밸브로 마련되어,
    상기 제1분할헤더관에만 세척수를 공급하는 제1급수모드와, 상기 제1분할헤더관과 제2분할헤더관에 세척수를 동시 공급하는 제2급수모드와, 상기 제2분할헤더관에만 세척수를 공급하는 제3급수모드와, 차단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이동 밴드 스크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분할헤더관과 제2분할헤더관은 길이방향을 따라 장방형으로 마련되며,
    상기 제1분할헤더관의 양단부는 랩조인트를 포함하여 상기 유입 세척수관 및 유출 세척수관에 회전 조절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2분할헤더관은 제1분할헤더관에 고정 마련되는 이동 밴드 스크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분할헤더관에 마련되는 제1노즐과 제2분할헤더관에 마련되는 제2노즐은 폭방향으로 교호 배치되는 이동 밴드 스크린.
  6. 제 4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분할헤더관에 마련되는 제1노즐과 제2분할헤더관에 마련되는 제2노즐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스크린바스켓을 향해 분사되는 세척수의 중첩 분사를 피하기 위해 수평 방향을 기준으로 일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이동 밴드 스크린.
  7. 스크린바스켓을 세척하기 위한 세척수살수장치를 포함하는 이동 밴드 스크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세척수살수장치는 2 열로 마련되는 제1분할헤더관 및 제2분할헤더관과, 제1분할헤더관에 마련되는 제1노즐 및 제2분할헤더관에 마련되는 제2노즐과, 상기 제1분할헤더관 및 제2분할헤더관에 세척수를 공급하기 위한 전동밸브를 포함하여,
    상기 제1분할헤더관 또는 제2분할헤더관에만 세척수를 공급하는 제1급수모드와, 상기 제1분할헤더관과 제2분할헤더관에 세척수를 동시 공급하는 제2급수모드와, 차단모드를 상기 전동밸브를 이용하여 선택하는 이동 밴드 스크린의 제어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밴드 스크린은 취수유로의 유입 및 유출 수위를 감지하여 수위차를 연산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위차에 대응 동작하는 스크린바스켓의 회전 속도에 따라 상기 제1분할헤더관과 제2분할헤더관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키는 이동 밴드 스크린의 제어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크린바스켓이 제1속도로 운전될 때는 상기 제1분할헤더관과 제2분할헤더관 중 하나를 동작시키고,
    상기 스크린바스켓이 제1속도보다 빠른 제2속도로 운전될 때는 상기 제1분할헤더관과 제2분할헤더관을 동시 동작시키는 이동 밴드 스크린의 제어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교 연산된 수위차가 제1기준수위 이하인 경우 스크린바스켓을 제1속도로 구동한 후 정지하고,
    상기 비교 연산된 수위차가 제1기준수위 초과 제2기준수위 이하인 경우 제1속도로 구동하며,
    상기 비교 연산된 수위차가 제2기준수위 초과인 경우 제2속도로 구동하는 이동 밴드 스크린의 제어 방법.
KR1020180038671A 2018-04-03 2018-04-03 이동 밴드 스크린 및 그 제어방법 KR1021439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8671A KR102143913B1 (ko) 2018-04-03 2018-04-03 이동 밴드 스크린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8671A KR102143913B1 (ko) 2018-04-03 2018-04-03 이동 밴드 스크린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5680A true KR20190115680A (ko) 2019-10-14
KR102143913B1 KR102143913B1 (ko) 2020-08-13

Family

ID=68171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8671A KR102143913B1 (ko) 2018-04-03 2018-04-03 이동 밴드 스크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391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95039A (zh) * 2020-03-31 2020-08-07 浙江伟星净水科技有限公司 一种水力驱动自动换向喷洗机构
KR20230087767A (ko) * 2021-12-10 2023-06-19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회전 스크린 장치의 회전망 세척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4508A (ja) * 1990-05-08 1992-01-20 Ube Ind Ltd 除塵装置
KR100655469B1 (ko) 2006-01-16 2006-12-11 삼양정수공업 주식회사 유효면적을 증대시킨 회전바 스크린 필터장치
KR200465150Y1 (ko) * 2011-08-16 2013-02-05 강성선 하우스 방재장치
KR101325471B1 (ko) * 2013-04-04 2013-11-21 (주)하이텍산업개발 프레임 부착 롤러 타입의 회전망스크린 장치
KR101468396B1 (ko) * 2014-01-17 2014-12-04 효림산업주식회사 이동 밴드 스크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4508A (ja) * 1990-05-08 1992-01-20 Ube Ind Ltd 除塵装置
KR100655469B1 (ko) 2006-01-16 2006-12-11 삼양정수공업 주식회사 유효면적을 증대시킨 회전바 스크린 필터장치
KR200465150Y1 (ko) * 2011-08-16 2013-02-05 강성선 하우스 방재장치
KR101325471B1 (ko) * 2013-04-04 2013-11-21 (주)하이텍산업개발 프레임 부착 롤러 타입의 회전망스크린 장치
KR101468396B1 (ko) * 2014-01-17 2014-12-04 효림산업주식회사 이동 밴드 스크린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상기 문헌에 개시된 회전 스크린 장치는 취수유로의 상측에 설치되는 구동스프라켓 및 구동스프라켓을 작동시키는 구동모터와, 취수유로 하부에 설치되는 종동스프라켓과, 구동스프라켓과 종동스프라켓을 연결하는 이송체인과, 이송체인에 결합된 다수의 스크린바스켓을 구비한다. 이러한 회전 스크린 장치는 구동모터가 동작하면 이송체인에 결합된 스크린바스켓이 회전하면서 이물질을 걸러내며, 취수되는 물은 취수유로 상의 스크린바스켓을 통과한다.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95039A (zh) * 2020-03-31 2020-08-07 浙江伟星净水科技有限公司 一种水力驱动自动换向喷洗机构
CN111495039B (zh) * 2020-03-31 2021-08-10 浙江伟星净水科技有限公司 一种水力驱动自动换向喷洗机构
KR20230087767A (ko) * 2021-12-10 2023-06-19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회전 스크린 장치의 회전망 세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3913B1 (ko) 2020-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78284B2 (en) Tertiary filter
KR20100014513A (ko) 여과포를 세정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0985300B1 (ko) 가로봉 지지식 공극제어형 섬유여재 필터 및 가로봉 지지식 섬유여과장치
KR102143913B1 (ko) 이동 밴드 스크린 및 그 제어방법
KR100979214B1 (ko) 강변여과수 수직정 청소장치 및 청소방법
CN210251531U (zh) 一种污水过滤设备
KR101751212B1 (ko) 디스크형 섬유 필터의 다단 세척기능을 갖는 여과장치
CN214680271U (zh) 一种污水井杂物过滤设备
JP5768314B2 (ja) 走行式スクリーン装置
KR101468396B1 (ko) 이동 밴드 스크린
US3775950A (en) Process air automatic self-cleaning air filtration system
CN107114301A (zh) 水污分离装置和水污分离过滤装置
KR100926078B1 (ko) 오수정화장치
JPH09136013A (ja) フィルタメディアの自動再生機能を備える除塵装置
KR101745687B1 (ko) 상·하향류식 비점 오염 저감 장치
KR20190081454A (ko) 여재 세정형 다단 습지여상
AU2006282023A1 (en) Filter assembly
CN210933958U (zh) 一种采煤液压系统反冲洗过滤器
CN209161764U (zh) 一种环保水箱的过滤水中颗粒装置
CN110369422A (zh) 一种建筑水泥桶化学清洗装置
RU2379094C1 (ru) Рукавный фильтр
CN211886082U (zh) 一种工业废气处理设备
CN211486721U (zh) 自清洁过滤装置
CN218691976U (zh) 一种循环喷淋清洗装置
KR101641888B1 (ko) 여과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