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7510Y1 - 수처리장치의 협잡물 분리 제거기 - Google Patents

수처리장치의 협잡물 분리 제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7510Y1
KR200317510Y1 KR20-2003-0009789U KR20030009789U KR200317510Y1 KR 200317510 Y1 KR200317510 Y1 KR 200317510Y1 KR 20030009789 U KR20030009789 U KR 20030009789U KR 200317510 Y1 KR200317510 Y1 KR 20031751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at
water treatment
water
drum
treatment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97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석주
Original Assignee
거진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거진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거진산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3-00097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751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75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7510Y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Abstract

본 고안은 오·폐수를 정화처리하는 수처리장치에 있어 유입수와 함께 유입되는 부유물과 모래를 단일 수처리탱크를 이용하여 동시에 분리 제거할 수 있는 협잡물 분리 제거기에 관한 것으로, 일측으로 유입된 원수를 타측으로 배출시키는 수처리탱크와, 상기 수처리탱크의 내저부에 수평상으로 설치되어 침사물을 일측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침사물 이송스크류와, 상기 수처리탱크의 일측에서 하측에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게 경사상으로 설치되어 침사물을 외부로 반출시키는 침사물 반출스크류를 구비하고 있는 수처리장치에 있어서,
일측에는 중심부분에 원수유입관이 외부로 돌출되게 부착되고 타측은 개구된 상태로 형성된 유입측 원통과, 상기한 유입측 원통에 마주하게 설치된 채 양측이 개구되어 있는 배출측 원통과, 일단은 상기 유입측 원통에 연결되고 타단은 배출측 원통에 연결되게 설치되는 웨지와이어드럼으로 이루어진 드럼 스크린과;
상기 드럼 스크린의 웨지와이어드럼을 감싼 상태로 설치되어 드럼 스크린으로 유입된 원수를 밑으로 배출시키는 커버체와;
상기 드럼 스크린의 배출측 원통의 배출단을 감싼 상태로 설치되어 웨지와이어드럼을 통과하지 못하고 배출되는 부유물을 밑으로 배출시키는 부유물 슈트와;
상기 드럼 스크린의 상방에서 웨지와이어드럼을 향해 물을 분사시켜서 웨지와이어드럼에 부착되어지는 부유물을 탈락시켜주기 위하여 설치되는 물 분사관과;
상기 드럼 스크린을 회전시켜주기 위하여 설치되는 회전용 모터와;
상기 부유물 슈트의 저부측에 설치되어 상기의 슈트에서 배출되는 부유물을 이송 및 압착시켜주되, 압착시 발생된 물과 압착된 부유물은 서로 분리하여 배출시키는 부유물 수거장치;
로 구성된 부유물 여과장치를 상기 수처리탱크의 원수유입측이나 원수유출측 중 어느 일측에만 선택적으로 설치하는 것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안이다.

Description

수처리장치의 협잡물 분리 제거기{Sludge separating and removing apparatus}
본 고안은 오·폐수를 정화처리하는 수처리장치에 있어 유입수와 함께 유입되는 부유물과 모래를 단일 수처리탱크를 이용하여 동시에 분리 제거할 수 있는 협잡물 분리 제거기에 관한 것이다.
하수관로 및 폐수관로를 통해 수처리장치로 유입되는 오·폐수에는 여러 종류의 이물질이 혼합되어 있으며, 이러한 혼합물은 수중에 떠다니는 부유물과 흙이나 모래와 같이 수중에 가라앉는 침사물로 구분된다.
기존의 수처리장치에서는 오·폐수와 함께 유입되는 부유물과 침사물을 분리 제거하기 위해서는 부유물 제거조와 침사물 제거조를 따로따로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부유물 및 침사물 제거조를 각기 개별적으로 설치하는데 따른 설치비가 많이들고 또 설치면적이 커져 유지관리에 많은 비용이 소요된다는 것이 단점으로 지적되어 왔다.
최근에는 일체형의 탱크에서 부유물과 침사물을 동시 제거할 수 있는 수처리장치가 실용신안등록 제 170219 호로 제안된 바 있으나, 이는 오·폐수를 처리하는 도중에는 부유물을 수거하기 위한 부유물 분리스크린에 부착된 부유물을 제거할 수 없기 때문에 스크린의 막힘현상이 나타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처리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스크린으로 분리수거한 부유물을 탈수처리하지 않고 배출시키게 되므로서 배출되는 부유물에서 오염된 물이 흘러나오게 되어 작업환경을 오염시키는 등 비위생적이라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나타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여 제안된 것으로, 처리하고자 하는 오·폐수(이하 원수라 함)에 포함되어 있는 고형물질이나 슬러지 등의 부유물과 흙이나 모래 등의 침사물을 단일 수처리탱크에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으며, 부유물을 여과 제거하는 스크린장치는 여과성능이 우수하고 수처리 도중에도 세척작동이 가능하도록 하므로서 막힘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 수처리의 고효율화를 이룰 수 있도록 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으며,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스크린장치에서 걸러낸 부유물을 압축 탈수하여 배출시키도록 하므로서 작업현장에 오염원이 발생되지 않는 위생적인 작업환경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고안한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일측으로 유입된 원수를 타측으로 배출시키는 수처리탱크와, 상기 수처리탱크의 내저부에 수평상으로 설치되어 침사물을 일측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침사물 이송스크류와, 상기 수처리탱크의 일측에서 하측에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게 경사상으로 설치되어 침사물을 외부로 반출시키는 침사물 반출스크류를 구비하고 있는 수처리장치에 있어서,
일측에는 중심부분에 원수유입관이 외부로 돌출되게 부착되고 타측은 개구된 상태로 형성된 유입측 원통과, 상기한 유입측 원통에 마주하게 설치된 채 양측이 개구되어 있는 배출측 원통과, 일단은 상기 유입측 원통에 연결되고 타단은 배출측 원통에 연결되게 설치되는 웨지와이어드럼으로 이루어진 드럼 스크린과;
상기 드럼 스크린의 웨지와이어드럼을 감싼 상태로 설치되어 드럼 스크린으로 유입된 원수를 밑으로 배출시키는 커버체와;
상기 드럼 스크린의 배출측 원통의 배출단을 감싼 상태로 설치되어 웨지와이어드럼을 통과하지 못하고 배출되는 부유물을 밑으로 배출시키는 부유물 슈트와;
상기 드럼 스크린의 상방에서 웨지와이어드럼을 향해 물을 분사시켜서 웨지와이어드럼에 부착되어지는 부유물을 탈락시켜주기 위하여 설치되는 물 분사관과;
상기 드럼 스크린을 회전시켜주기 위하여 설치되는 회전용 모터와;
상기 부유물 슈트의 저부측에 설치되어 상기의 슈트에서 배출되는 부유물을 이송 및 압착시켜주되, 압착시 발생된 물과 압착된 부유물은 서로 분리하여 배출시키는 부유물 수거장치;
로 구성된 부유물 여과장치를 상기 수처리탱크의 원수유입측이나 원수유출측 중 어느 일측에만 선택적으로 설치하는 것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상기 부유물 여과장치의 원수유입관은 드럼 스크린의 유입측 원통에서 외부로 돌출된 부분은 단면이 원형인 관체로 형성되며, 드럼 스크린의 내부로 삽입된 부분은 상부가 개방된 상자형의 헤드박스를 연결시킨 구조로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며,
또한 상기 부유물 여과장치의 웨지와이어드럼은 스크린망이 물결모양이 연속적으로 형성되게 하는 웨이브형 금속선으로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며,
또한 상기 부유물 수거장치는 부유물 슈트에서 배출되는 부유물을 받아줄 수 있도록 상부는 개방되고 저부에는 다수의 배출공이 형성된 부유물 수거부와, 상기 부유물 수거부과 연통하도록 일측으로 연장되며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되는 부유물 압착부와, 상기 부유물 수거부와 부유물 압착부 전체에 길게 연장된 상태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부유물 압착스크류 및 상기 부유물 압착스크류를 회전시키는 압착용 모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일실시예의 전체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의 전체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의 좌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의 드럼스크린 설치상태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부유물 수거장치의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전체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수처리탱크 2 : 프레임 구조물
3 : 침사물 이송스크류 4 : 침사물 반출스크류
5 : 부유물 여과장치 6 : 부유물 수거장치
11a,11b : 유입구 및 유출구 12 : 탱크돌출부
13 : 원통부 14 : 원수드레인관
15 : 반출구 31 : 이송용 모터
42 : 반출용 모터 51 : 원수유입관
52a : 유입측 원통 52b : 유출측 원통
53 : 웨지와이어드럼 54 : 드럼스크린
55 : 커버체 56 : 부유물 슈트
57 : 회전용 모터 58 : 지지롤러
59 : 물분사관 61 : 부유물 수거부
62 : 부유물 압착부 63 : 배출공
64 : 배출구 65 : 압착스크류
66 : 압착용 모터 68 : 물회수관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일실시예의 전체 정면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의 전체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의 좌측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의 드럼스크린 설치상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부유물 수거장치의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전체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부호 1은 수처리탱크를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수처리탱크(1)는 바닥에서 일정 높이를 가지며 수평상으로 길게 설치된 프레임 구조물(2)에 고정 설치되며, 또한 상기 수처리탱크(1)는 상부는 넓은 폭을 가진 채 개방되어 있고, 하부는 밑을 내려갈수록 점차로 좁아지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수처리탱크(1)의 내저부에는 그 길이방향 전체에 걸쳐서 침사물 이송스크류(3)가 길게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침사물 이송스크류(3)은 그 일단이 수처리탱크(1)의 일측에 장착된 이송용 모터(31)로부터 회전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그 타단은 수처리탱크(1)의 타측에 베어링 하우징(32)에 의하여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수처리탱크(1)의 타측(원수배출측)에는 부유물과 침사물이 분리 제거된 원수를 배출시키는 유출구(11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처리탱크(1)의 일측에는 침사물 반출스크류(4)가 경사상으로 설치되는데, 상기 침사물 반출스크류(4)는 수처리탱크(1)의 일측으로서 원수가 유입되는 원수유입측과 공유하는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탱크돌출부(12)의 내저부에 설치된다.
상기한 탱크돌출부(12)는 도 3의 도시와 같이 수처리탱크(1)의 일측 측방에서 돌출된 구조로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도 1의 도시와 같이 원수유입측에서 반대측을 향해 상향으로 경사진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침사물 반출스크류(4)는 그 일단이 탱크돌출부(12)의 하단부에 베어링 하우징(41)에 의해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된 상태에서 수처리탱크(1)의 상방을 향해 경사상으로 돌출되어 있는데, 상기 수처리탱크(1)의 상방으로 돌출된 침사물 반출스크류(4)의 노출부분은 수처리탱크(1)의 상단에서 연장된 원형단면의 원통부(13)에 삽입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한 원통부(13)의 끝단에는 침사물 반출스크류를 회전작동시키는 반출용 모터(42)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탱크돌출부(12)의 하단측에는 수처리탱크(1)를 세척할 때 세척수를 배출시키기 위한 원수드레인관(14)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원통부(13)의 끝단측에는 침사물 반출스크류(4)에 의해 이송된 흙, 모래 등 침사물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반출구(15)가 형성되어 있다.
본 고안의 특징은, 원수에 포함되어 있는 각종 부유물을 흙, 모래 등의 침사물과 분리수거하여 제거처리하는 부유물 여과장치(5)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에 있다.
상기 부유물 여과장치(5)는 수처리탱크(1)의 원수유입측 또는 원수유출측 중 어느 일측을 선택하여 설치할 수 있는데, 먼저 도 1 내지 도 4의 도시와 같이 부유물 여과장치(5)를 원수유입측에 설치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실시예에서의 부유물 여과장치(5)는 수처리탱크(1)의 원수유입측 상방에 설치된다.
상기 부유물 여과장치(5)는 원수유입관(51)이 형성되어 있는 유입측 원통(52a)과 배출측 원통(52a) 및 이들 사이에 형성되는 웨지와이어드럼(53)으로 이루어진 드럼 스크린(54)과, 상기 드럼 스크린(54)의 웨지와이어드럼(53) 부분만을 감싼 상태로 설치되는 커버체(55)와, 상기 드럼 스크린(54)의 배출측 원통(52b)의 배출단을 감싼 상태로 설치되는 부유물 슈트(56) 및 상기한 드럼 스크린(54)을 회전시켜주는 회전용 모터(57)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에서 웨지와이어드럼(53)의 양단이 용접되는 구조로서 유입측 원통(52a)과 배출측 원통(52b)을 원통형으로 연결시키고 있으며, 또한 상기의 웨지와이어드럼(53)은 원수가 흐르는 방향을 향해 물결모양과 같은 웨이브가 연속적으로 형성된 금속선들이 흙이나 모래와 같이 작은 입자로 된 것은 통과시키고 그보다 큰 입자로 된 고형의 부유물은 걸러낼 수 있는 간격으로 배열된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에서의 회전용 모터(57)는 드럼 스크린(54)의 유입측 원통(52a) 저부의 양측을 지지하는 두개의 지지롤러(58) 중 어느 일측의 지지롤러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데, 그 회전력전달 구조는 회전용 모터(57)의 출력축과 지지롤러의 축 각각에 체인기어를 설치하고 체인으로 연결시키는 구조로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으며, 또는 기어를 맞물려주는 구조로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드럼 스크린(54)이 수평을 유지한 채 원활하게 회전작동할 수 있도록 배출측 원통(52b)의 저부에도 두개의 지지롤러(58)로 받쳐준다.
또한 상기 부유물 여과장치(5)에는 웨지와이어드럼(53)을 향해 물을 분사하는 물분사관(59)이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한 물분사관(59)은 드럼 스크린(54)의 일측 상방에서 커버체(55) 내측으로 인입 설치되며, 또 물분사관(59)에는 물의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밸브와 웨지와이어드럼(53)으로 믈을 분사하는 다수의 분사구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원수유입관(51)은 유입측원통(52a)에서 노출된 부분은 원통형으로 되어 있고 드럼 스크린(54)의 내측으로 삽입된 부분은 상방이 개구된 상자형의 헤드박스(511)를 연결시킨 구조로 되어 있는데, 이는 원수유입관(51)으로 유입되는원수가 헤드박스(55)의 개구된 벽을 월류하여 좌,우 양방향으로 흘러내리도록 하므로서 웨지와이어드럼의 부유물 여과작용이 원활하기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부유물 여과장치(5)로 유입된 원수는 웨지와이어드럼(53)을 통과하여 수처리탱크(1)로 떨어지는 한편, 웨지와이어드럼(53)에 의해 걸러지는 부유물은 배출측 원통(52b)을 통해 부유물 슈트(56)로 배출되는데, 상기 부유물 슈트(56)의 하방에는 부유물을 수거하여 이송 및 압착하면서 부유물에 함유되어 있는 물을 짜내어 물은 수처리탱크(1)로 떨어뜨리고 압착된 부유물을 따로 배출하는 부유물 수거장치(6)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부유물 수거장치(6)은 부유물 슈트(56)로 배출되는 부유물을 받아주는 부유물 수거부(61)와 이 부유물 수거부(61)의 일측에서 연장되어 수처리탱크(1)의 일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부유물 압착부(62)로 구성되어 있는데, 상기한 부유물 수거부(61)의 상단은 부유물 슈트(56)의 하단부를 감쌀 수 있도록 상방이 개구되어 있고, 또한 부유물 수거부(61)의 하단에는 물을 수처리탱크(1)로 배출시키기 위한 다수의 통공(6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한 부유물 압착부(62)는 단면이 원형인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또한 부유물 압착부(62)의 끝단측에는 부유물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구(64)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부유물 수거장치(6)에는 부유물 압착스크류(65)가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한 부유물 압착스크류(65)는 부유물 수거부(61)의 내저부와 부유물 압착부(62) 내부 전체에 수평상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한 부유물압착스크류(65)의 일단은 부유물 압착부(62)의 반대측으로서 부유물 수거부(61)의 타측에 설치된 압착용모터(66)에 의하여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설치되고 그 타단은 부유물 압착부(62)의 끝단에 베어링 하우징(67)에 의해 회전이 자유롭도록 지지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실시예로 원수에 포함되어 있는 부유물과 침사물(흙, 모래 따위)를 분리수거하여 제거하는데 따른 작용을 설명한다.
부유물 여과장치(5)의 원수유입관(51)으로 유입된 원수는 회전하고 있는 드럼스크린(54)의 내부로 삽입되어 있는 헤드박스(511)의 상단으로 흘러넘쳐 회전하는 웨지와이어드럼(53)으로 낙하하게 되는데, 웨지와이어드럼(53)의 간극보다 작은 흙, 모래는 물과 함께 웨지와이어드럼(53)을 통과하여 수처리탱크(1)로 낙하하게 되는 반면에 웨지와이어드럼의 간극보다 큰 고형의 부유물은 웨지와이어드럼(53)에 의해 여과되며, 또한 웨지와이어드럼(53) 자체는 물결모양의 웨이브가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또 드럼스크린(54)의 상방에 설치된 물분사관(59)에서 일정시간을 주기로 하여 분사되는 청정수가 웨지와이어드럼(53)에 부착되어 있는 부유물을 탈락시키게 되므로서 웨지와이어드럼(53)이 부유물에 의해 막히게 되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게 되며, 이에 따라 드럼스크린(54)은 부유물만 걸러내고 물과 흙, 모래는 통과시키는 작동을 지속적으로 수행하게 된다.
드럼스크린(54)의 웨지와이어드럼(53)에 여과된 부유물은 배출측 원통(52b)쪽으로 이동되어 부유물슈트(56)로 배출되어진다.
상기에서 드럼스크린(54)의 웨지와이어드럼(53)을 통과하여 수처리탱크(1)로유입된 원수와 그에 포함되어 있는 흙, 모래 등의 침사물은 원수배출측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수처리탱크(1)의 원수유입측으로 유입된 원수가 원수배출측으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물의 비중보다 무거운 침사물은 밑으로 가라앉게 되고 침사물 및 부유물이 제거된 물만 유출구(11b)로 배출된다.
상기 수처리탱크(1)의 저부로 가라앉은 침사물은 수처리탱크의 내저부에서 회전하고 있는 침사물 이송스크류(3)에 의해 원수유입측으로 이송되어 탱크돌출부(12)로 유입되며, 상기한 탱크돌출부(12)로 유입된 침사물은 침사물 반출스크류(4)에 의해 상향으로 이송되어 수처리탱크(1)의 상방으로 돌출된 원통부(13) 끝단의 반출구(15)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부유물 슈트(56)로 배출되는 부유물은 부유물 수거장치(6)의 부유물 수거부(61)로 유입됨과 동시 압착스크류(64)에 의해 부유물 압착부(62)쪽으로 이송되는데, 상기한 압착스크류(64)의 스크류 간격은 부유물 수거부(61)측은 넓고 부유물 압착부(62)측으로 갈수록 점차로 좁아지는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압착스크류(64)에 의해 이송되는 부유물은 부유물 압착부(62) 내측으로 이송되기 시작하여 배출구(64)측으로 이송되는 과정에서 압착되어 부유물에 배여있던 물은 통공(63)을 통해 수처리탱크(1)로 유입되고 물이 제거된 압착 부유물은 배출구(64)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수처리탱크(1)에 유입된 원수에 포함되어 있는 부유물을 부유물 여과장치(5)로 여과하여 부유물 수거장치(6)에서 압착하여 물이 제거된 상태로 외부로 배출시키는 작동과, 부유물이 제거된 상태에서 수처리탱크(1)로 유입된 원수에 포함되어 있는 침사물을 침사물 반출스크류(4)가 외부를 반출시키는 작동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므로 수처리탱크(1)의 원수배출측의 유출구(11b)를 통해서는 부유물과 침사물이 분리 제거된 물만 배출되는 것이다.
다음, 도 6의 도시와 같이 부유물 여과장치(5)를 원수배출측에 설치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실시예는 수처리탱크(1)의 원수배출측에서 물을 배출시키는 유출구(11)에 부유물 여과장치(5)의 원수유입관(51)을 연결시킨 구조로 되어 있으며, 커버체(55)의 저부에는 웨지와이어드럼(53)에서 여과된 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물배출구(551)를 구비하고 있으며, 또한 부유물 여과장치(5)의 부유물슈트(56)의 저부에 형성되는 부유물 수거장치(6)를 구성하는데, 상기 부유물 수거장치(6)의 부유물 수거부(61) 저부에는 부유물 압착시 발생되는 물을 수처리장치(1)의 원수유입측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물회수관(68)을 추가로 설치하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그외의 구성은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하면, 수처리탱크(1)의 원수유입측에 형성된 유입구(11a)를 통해 원수가 유입되며, 상기한 유입구(11a)로 유입된 원수는 수처리탱크(1)의 원수유입측에서 원수배출구측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흙, 모래 따위의 침사물은 밑으로 가라앉아 침사물 이송스크류(3)에 의해 원수유입측으로 이송되어 탱크돌출부(12)로 유입되어 침사물 반출스크류(4)에 의하여 원통부(13)쪽으로 상향 이송되어 반출구(15)로 배출되는 것이며, 한편 원수와 함께 수처리탱크로 유입되는 부유물은 수처리탱크(1)의 수면 및 수중에 부양된 상태로 원수배출구측으로 이동하여 배출구(11b)를 통해 부유물 여과장치(5)로 유입되는데, 이와 같이 원수와 함께 부유물 여과장치(5)로 유입된 부유물은 앞서 기술한 실시예(도 1 내지 도 4 참조)와 같이 여과된다. 즉, 드럼스크린(54)으로 유입되는 원수는 웨지와이어드럼(53)으로 통과하여 커버체(55) 하부에 형성된 물배출구(55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며, 한편 웨지와이어드럼(53)에 여과되는 부유물은 부유물슈트(56)를 통해 부유물 수거장치(6)로 유입된 후 압착스크류(65)에 의해 이송 및 압착되어 배출구(64)를 통해 배출되고, 압착스크류(65)가 부유물을 이송 및 압착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물은 부유물 수거부(61)의 저부에 연결되어 있는 물회수관(68)을 통해 배출되는데, 상기한 물회수관(68)은 수처리장치(1)의 원수유입측으로 원수를 공급하는 원수공급라인(도시 없음)으로 물을 배출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 실시예의 부유물 수거장치(6)에서 부유물 이송 및 압착시 발생되는 물은 수처리탱크(1)의 원수유입측으로 다시 유입되어 재처리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산업 공정수 및 오·폐수에 포함되어 있는 고형의 부유물과 흙, 모래 따위의 침사물을 분리 제거함에 있어 부유물 여과장치와 수처리탱크를 일체형구조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설치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으며, 특히 부유물 여과장치에는 드럼스크린이 부유물을 여과하는 과정에서 웨지와이어드럼에 부착되는 부유물을 탈락시키면서 여과작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부유물 여과시 웨지와이어드럼이 부유물에 의해 막히게 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원수의 여과작동이 항시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하는효과와 함께 웨지와이어드럼에 의하여 물과 분리 여과된 부유물에서 물은 제거하고 부유물만 압착시켜서 배출시킬 수 있으므로 부유물을 위생적으로 처리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본 고안은 수처리탱크가 설치되는 장소의 여건에 따라 부유물 여과장치를 수처리탱크의 원수유입측 또는 원수배출측 중 일측을 선택하여 설치할 수 있으므로서 수처리탱크의 설치비용를 절감시킬 수 있고 또 운전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게 하는 등의 이점을 제공하는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4)

  1. 일측으로 유입된 원수를 타측으로 배출시키는 수처리탱크와, 상기 수처리탱크의 내저부에 수평상으로 설치되어 침사물을 일측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침사물 이송스크류와, 상기 수처리탱크의 일측에서 하측에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게 경사상으로 설치되어 침사물을 외부로 반출시키는 침사물 반출스크류를 구비하고 있는 수처리장치에 있어서,
    일측에는 중심부분에 원수유입관이 외부로 돌출되게 부착되고 타측은 개구된 상태로 형성된 유입측 원통과, 상기한 유입측 원통에 마주하게 설치된 채 양측이 개구되어 있는 배출측 원통과, 일단은 상기 유입측 원통에 연결되고 타단은 배출측 원통에 연결되게 설치되는 웨지와이어드럼으로 이루어진 드럼 스크린과;
    상기 드럼 스크린의 웨지와이어드럼을 감싼 상태로 설치되어 드럼 스크린으로 유입된 원수를 밑으로 배출시키는 커버체와;
    상기 드럼 스크린의 배출측 원통의 배출단을 감싼 상태로 설치되어 웨지와이어드럼을 통과하지 못하고 배출되는 부유물을 밑으로 배출시키는 부유물 슈트와;
    상기 드럼 스크린의 상방에서 웨지와이어드럼을 향해 물을 분사시켜서 웨지와이어드럼에 부착되어지는 부유물을 탈락시켜주기 위하여 설치되는 물 분사관과;
    상기 드럼 스크린을 회전시켜주기 위하여 설치되는 회전용 모터와;
    상기 부유물 슈트의 저부측에 설치되어 상기의 슈트에서 배출되는 부유물을 이송 및 압착시켜주되, 압착시 발생된 물과 압착된 부유물은 서로 분리하여 배출시키는 부유물 수거장치;
    로 구성된 부유물 여과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부유물 여과장치를 상기 수처리탱크의 원수유입측이나 원수유출측 중 어느 일측에 선택적으로 설치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장치의 협잡물 분리 제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유물 여과장치의 원수유입관은 드럼 스크린의 유입측 원통에서 외부로 돌출된 부분은 단면이 원형인 관체로 형성되며, 드럼 스크린의 내부로 삽입된 부분은 상부가 개방된 상자형의 헤드박스를 연결시킨 구조로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장치의 협잡물 분리 제거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유물 여과장치의 웨지와이어드럼은 스크린망이 물결모양이 연속적으로 형성되게 하는 웨이브형 금속선으로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장치의 협잡물 분리 제거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유물 수거장치는 부유물 슈트에서 배출되는 부유물을 받아줄 수 있도록 상부는 개방되고 저부에는 물을 배출시킬 수 있도록 된 부유물 수거부와, 상기 부유물 수거부과 연통하도록 일측으로 연장되며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되는 부유물압착부와, 상기 부유물 수거부와 부유물 압착부 전체에 길게 연장된 상태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부유물 압착스크류 및 상기 부유물 압착스크류를 회전시키는 압착용 모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장치의 협잡물 분리 제거기.
KR20-2003-0009789U 2003-04-01 2003-04-01 수처리장치의 협잡물 분리 제거기 KR20031751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9789U KR200317510Y1 (ko) 2003-04-01 2003-04-01 수처리장치의 협잡물 분리 제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9789U KR200317510Y1 (ko) 2003-04-01 2003-04-01 수처리장치의 협잡물 분리 제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7510Y1 true KR200317510Y1 (ko) 2003-06-25

Family

ID=493351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9789U KR200317510Y1 (ko) 2003-04-01 2003-04-01 수처리장치의 협잡물 분리 제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7510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9738B1 (ko) 2006-09-01 2007-11-29 주식회사 한성환경기연 종합 협잡물 처리장치
KR100801295B1 (ko) 2007-01-29 2008-02-05 유한회사 세원산업 드럼 스크린을 이용한 슬러지 부유물 정제장치
KR100986634B1 (ko) * 2010-01-04 2010-10-08 김광태 오폐수 전처리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9738B1 (ko) 2006-09-01 2007-11-29 주식회사 한성환경기연 종합 협잡물 처리장치
KR100801295B1 (ko) 2007-01-29 2008-02-05 유한회사 세원산업 드럼 스크린을 이용한 슬러지 부유물 정제장치
KR100986634B1 (ko) * 2010-01-04 2010-10-08 김광태 오폐수 전처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4283B1 (ko) 협잡물 고도 처리장치
KR200417966Y1 (ko) 롤링 회전구조를 갖는 협잡물 제거용 드럼스크린
KR101656493B1 (ko) 이송펌프를 사용하지 않는 에너지 절감형 협잡물 처리기
KR101457922B1 (ko) 폐수와 슬러지분리장치
KR100518805B1 (ko) 분뇨 및 축산폐수용 협잡물 종합처리기
KR200317510Y1 (ko) 수처리장치의 협잡물 분리 제거기
KR100542338B1 (ko) 눈금판 필터 모듈이 구비된 유수분리장치
KR101095545B1 (ko) 드럼타공형 스크래퍼식 협잡물처리기를 포함한 종합 협잡물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KR20100122373A (ko) 초기우수 처리장치
CN101952015A (zh) 废水处理设备和处理废水的方法
KR100781315B1 (ko) 탈수 성능이 향상된 중력식 예비 탈수장치
KR101251568B1 (ko) 환경친화적인 준설슬러지 탈수처리공법 및 그 장치
KR200346465Y1 (ko) 하수내 침사및 협잡물 처리를 위한 일체형 스크린 장치
KR200343484Y1 (ko) 수처리장치의 협잡물 분리 제거장치
EP1335785B1 (en) Filtration apparatus
KR100303255B1 (ko) 협잡물 처리방법 및 그 장치
KR100840373B1 (ko) 협잡물 처리장치
KR100402759B1 (ko) 하수 및 오폐수 전처리방법 및 그 장치
KR200203076Y1 (ko) 협잡물 제거장치의 보조장치(2)
JP4088651B2 (ja) し渣洗浄脱水機
WO2008132288A1 (en) Screenings washer
KR100403796B1 (ko) 협잡물 종합처리이송방법
KR200414355Y1 (ko) 조목, 미세목 일체형 스크린 장치를 이용한 침사 협잡물종합처리기
KR0155031B1 (ko) 토사 및 협잡물 종합처리장치
KR101749521B1 (ko) 이송펌프를 사용하지 않는 에너지 절감형 협잡물 처리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11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