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9521B1 - 이송펌프를 사용하지 않는 에너지 절감형 협잡물 처리방법 - Google Patents

이송펌프를 사용하지 않는 에너지 절감형 협잡물 처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9521B1
KR101749521B1 KR1020160067156A KR20160067156A KR101749521B1 KR 101749521 B1 KR101749521 B1 KR 101749521B1 KR 1020160067156 A KR1020160067156 A KR 1020160067156A KR 20160067156 A KR20160067156 A KR 20160067156A KR 101749521 B1 KR101749521 B1 KR 1017495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minants
screen
treatment tank
water
trea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71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영남
정병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덕진엔지니어링
정영남
정병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덕진엔지니어링, 정영남, 정병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덕진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600671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95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95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95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9/00Multistage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001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11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bag, cage, hose, tube, sleeve or like filtering elements
    • B01D29/13Supported filter elements
    • B01D29/23Supported filter elements arranged for outward flow filtration
    • B01D29/25Supported filter elements arranged for outward flow filtration open-ended the arrival of the mixture to be filtered and the discharge of the concentrated mixture are situated on both opposite sides of the filtering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62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9/64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 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 B01D29/6407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 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brus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62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9/64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 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 B01D29/6438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 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nozz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Separation Of Solids By Using Liquids Or Pneumatic Pow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송펌프가 없는 에너지 절감형 협잡물 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격벽에 의해 분리된 제1처리조와 제2처리조를 갖는 하우징의 제1처리조에 폐수가 유입되게 하는 폐수유입단계; 상기 제1처리조로 유입된 폐수가 경유하면서 설정된 크기보다 큰 대형 협잡물과 모래 및 토사가 포함된 협잡물이 분리되게 하되 모래 및 토사가 포함된 협잡물은 조목스크린의 틈새를 통해 하부로 빠져나와 제1처리조의 수면부에 떨어지도록 하고, 상기 대형 협잡물은 분리되어 외부로 배출되게 하는 제1처리단계; 상기 제1처리단계에 의해 분리되어 낙하된 모래 및 토사가 포함된 협잡물 중 물보다 비중이 높은 협잡물은 판형스크린의 하부로 빠져나가 제1처리조의 바닥에 가라앉도록 하고, 물보다 비중이 낮은 협잡물은 제2처리조로 이동되게 하는 제2처리단계; 제2처리조에 위치되어 있고 물빠짐홀을 갖는 드럼형세목스크린의 내부로 제2처리단계를 경유한 폐수가 유입되게 하고, 드럼형세목스크린을 회전시켜 물보다 비중이 낮은 미세한 협잡물이 분리되면서 이동하여 배출되게 하는 제3처리단계;를 갖는다.
본 발명은 협잡물 처리과정에서 펌프와 원심분리기가 요구되지 않으며, 유지관리비가 저렴하고, 폐수처리 비용이 크게 절감되며, 효율이 우수한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이송펌프를 사용하지 않는 에너지 절감형 협잡물 처리방법{SEWAGE DISPOSAL METHOD}
본 발명은 생활하수, 축산폐수, 정화조폐수, 음폐수 등의 각종 폐수로부터 협잡물(대형협잡물, 모래 및 토사, 미세협잡물)을 분리해내는 협잡물 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폐수나 생활하수 또는 분뇨나 축산폐수 처리의 전처리 기본원리는 분리의 개념에서 시작된다
즉, 오염된 폐수속에 포함되어 있는 현탁물질 또는 용해되어 있는 오염물질을 분리 제거하여 가능한 깨끗한 물을 얻기 위한 것이다.
도시하수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생활하수를 살펴보면 주로 인간의 분뇨나 세탁. 목욕. 조리 등의 결과로 발생한다.
또, 축산농가의 대형화로 축산폐수와 함께 폐수 및 생활하수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폐수에 함유된 난분해성 협잡물이나 모래 에스에스(SS)섬유질을 제대로 분리하지 못하여 하천 및 연안해역의 오염이 심각해지고 있다.
이러한 환경 오염원과 정화조폐수 및 축산폐수, 생활하수 등에 포함되어 있는 각종 협잡물을 제거하여 부유물의 농도가 낮은 액상의 여액으로 만들고, 이 여액을 최종 정화시설로 보내어 처리하도록 하는 폐수처리의 기본 개념에서 협잡물을 분리m 배출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출원의 발명자에 의해 한국 특허출원 제10-2001-0054894호(축산폐수 및 정화조 폐수의 전처리방법 및 장치)가 안출된 바 있다.
상기 기술은 폐수가 총 5단계의 처리과정을 거치면서 순차적으로 협잡물, 모래, 미세씨앗 등이 분리되게 한 것이다.
또 다른 협잡물 처리기로서 한국 특허출원 제10-2014-0096801호(분뇨 및 축분뇨용 협잡물 종합처리장치) 및 한국 특허등록 제10-1495906호(협잡물 탈수성능을 향상시킨 협잡물 처리기) 등도 안출되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은 폐수를 단계적으로 후속공정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배관과 펌프를 가지고 있다.
또, 싸이클론이나 간이침전조와 원리분리기 등을 가지고 있는 구조이다.
따라서 에너지 소모량이 많아 유지관리비가 많이 소요되는 등 폐수처리 원가가 매우 높았으며, 시설이나 장치의 규모가 커서 설치면적이 크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정화조폐수나 축산폐수를 차량으로 수거해서 처리하는 방식에서 하수의 합류관을 통해 하수관로에 병합하여 유입하는 것으로 관련 법규가 변하고 있기 때문에 종래기술에서와 같이 원심분리기를 사용하는 방식은 일체형 팩케이지로 수용할 수 없는 문제점도 있었다.
한국 특허출원 제10-2001-0054894호 한국 특허출원 제10-2014-0096801호 한국 특허등록 제10-1495906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려는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협잡물 처리과정에서 폐수의 이송을 위한 펌프와 싸이크론이나 간이침전조와 원심분리기가 요구되지 않음으로써 유지관리비가 저렴한 이유 등으로 폐수처리 비용이 크게 절감되며, 장치의 규모가 소형화되고, 효율이 우수한 에너지 절감형 협잡물 처리방법을 제공하려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제1처리조로 유입된 폐수가 경유하면서 가벼운 설정된 크기 이상의 대형 협잡물과 무거운 모래 및 토사가 포함된 협잡물을 분리되게 하되 무거운 모래 및 토사가 포함된 협잡물은 조목스크린의 틈새를 통해 하부로 빠져나와 제1처리조의 수면부에 떨어지도록 하고, 가벼운 협잡물은 분리되어 외부로 배출되게 한다.(제1처리단계)
또, 제1처리단계에 의해 분리되어 낙하된 무거운 협잡물 중 물보다 비중이 높은 모래 및 토사가 포함된 협잡물은 판형스크린의 하부로 빠져나가 제1처리조의 바닥에 가라앉도록 하고, 비중이 낮은 미세한 협잡물은 제2처리조로 이동되게 한다.(제2처리단계)
또, 물빠짐홀을 갖는 드럼형세목스크린의 내부로 제2처리단계를 경유한 폐수가 유입되게 하고, 드럼형세목스크린을 회전시켜 비중이 낮은 미세한 협잡물이 분리되면서 이동하여 배출되게 한다.(제3처리단계)
상기와 같은 제1처리단계, 제2처리단계, 제3처리단계를 통해 폐수에 포함된대형 협잡물(설정된 크기보다 큰 협잡물), 모래 및 토사, 미세협잡물을 분리하여 처리함으로써 폐수처리 비용이 크게 절감되고, 장치의 규모가 소형화되며, 효율이 우수하도록 한다.
또, 제1처리단계에서 분리된 상기 대형 협잡물이 탈수되면서 이동되어 하우징의 외부로 배출되게 하고, 드럼형세목스크린을 경유하여 배출되는 미세한 협잡물이 탈수되면서 이동되어 하우징의 외부로 배출되게 한다.
또, 드럼형세목스크린(40)의 내벽에 스크류 날개 형태의 안내가이드를 갖도록 하여 회전시 물보다 비중이 낮은 협잡물이 이동되게 하고, 끝부분에서 정체되면서 압축되어 탈수되도록 한다.
또, 드럼형세목스크린의 외부에 접촉되어 드럼형세목스크린의 외부를 세척하는 세척브러쉬를 통해 세척이 이루어지게 하되 세척브러쉬를 통한 세척이 원활하도록 세척수를 분사하면서 세척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 상기 드럼형세목스크린의 내부에서 이송되는 협잡물에 물을 분사한다.
또, 제2처리단계에서 판형스크린이 회전되도록 하고 스크래퍼에 의해서 판형스크린의 회전시 물보다 비중이 높은 모래 및 토사 포함 협잡물이 홀을 통해 하부로 빠져나가도록 하면서 물보다 비중이 낮은 미세한 협잡물은 제2처리조로 유입되게 한다.
본 발명의 협잡물 처리방법은 제1처리조로 유입된 폐수가 조목스크린에 의해 대형 협잡물 과 무거운 모래 및 토사가 포함된 협잡물로 분리되고, 낙하된 무거운 무거운 모래 및 토사가 포함된 협잡물 중 비중이 높은 모래 및 토사는 판형스크린의 하부로 빠져나가 제1처리조의 바닥에 가라앉아 모래제거기를 통해 배출되며, 비중이 낮은 협잡물은 제2처리조의 드럼형 세목스크린으로 유입되게 하여 분리되고 배출되게 하므로 협잡물 처리과정에서 폐수의 이송을 위한 펌프와 싸이클론 강침전조 원심분리기 가 요구되지 않으며, 이로 인하여 유지관리비가 저렴하고, 폐수처리 비용이 크게 절감되며, 효율이 우수하고, 악취발생도 적은 특징이 있다.
또, 드럼형세목스크린은 내벽에 형성된 스크류 날개 형태의 안내가이드를 가짐으로써 회전됨에 따라 물보다 비중이 낮은 미세한 협잡물이 이동하게 되고 끝부분에서 정체되면서 압축되어 탈수된 후 제2스크류프레스로 보내지도록 하는 방법은 고장발생률이 낮고 효율이 우수한 특징이 있다.
또, 드럼형세목스크린의 외부에 접촉되어 드럼형세목스크린의 외부를 세척하는 세척브러쉬와 세척브러쉬를 통한 세척이 원활하도록 세척수를 분사하는 제1세척액분사노즐을 갖도록 하는 방법은 드럼형세목스크린을 통한 효율이 더욱 우수한 특징이 있다.
또, 드럼형세목스크린의 내부에 위치되어 이송되는 협잡물에 물을 분사하는 제2세척액분사노즐을 더 구비하는 방법은 드럼형세목스크린 내부의 미세 섬유질 포함 씨앗, 머리카락, 비닐류 등이 세척되도록 할 수 있어 고액분리가 병행되는 특징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협잡물 처리방법을 위한 협잡물 처리기의 정단면 개략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협잡물 처리기의 평단면 개략도
도 3은 도 1의 협잡물 처리기의 구성요소인 제2처리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4는 도 1의 협잡물 처리기의 구성요소인 모래분리기와 제2처리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5는 도 1의 협잡물 처리기의 구성요소인 드럼형세목스크린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하나의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폐수의 협잡물 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그런데 본 발명은 종래와 달리 협잡물 처리과정에서 폐수의 이송을 위한 펌프와 원심분리기가 요구되지 않음으로써 유지관리비가 저렴한 이유 등으로 폐수처리 비용이 크게 절감되며, 장치의 규모가 소형화되고, 효율이 우수한 에너지 절감형 협잡물 처리방법을 제공하려는 목적을 갖는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협잡물 처리방법은, 격벽에 의해 분리된 제1처리조(11)와 제2처리조(12)를 갖는 하우징(10)의 제1처리조(11)에 폐수가 유입되게 하는 폐수유입단계를 갖는다.
또, 제1처리조(11)로 유입된 폐수가 경유하면서 설정된 크기보다 큰 대형 협잡물과 모래 및 토사가 포함된 협잡물이 분리되게 하되 모래 및 토사가 포함된 협잡물은 조목스크린(21)의 틈새를 통해 하부로 빠져나와 제1처리조(11)의 수면부에 떨어지도록 하고, 상기 대형 협잡물은 분리되어 외부로 배출되게 하는 제1처리단계를 갖는다.
또, 제1처리단계에 의해 분리되어 낙하된 모래 및 토사가 포함된 협잡물 중 물보다 비중이 높은 협잡물은 판형스크린(31)의 하부로 빠져나가 제1처리조(11)의 바닥에 가라앉도록 하고, 물보다 비중이 낮은 협잡물은 제2처리조(12)로 이동되게 하는 제2처리단계를 갖는다.
또, 제2처리조(12)에 위치되어 있고 물빠짐홀을 갖는 드럼형세목스크린(40)의 내부로 제2처리단계를 경유한 폐수가 유입되게 하고, 드럼형세목스크린(40)을 회전시켜 물보다 비중이 낮은 미세한 협잡물이 분리되면서 이동하여 배출되게 하는 제3처리단계를 갖는다.
이러한 본 발명의 협잡물 처리방법을 위한 협잡물 처리기는, 격벽에 의해 분리된 제1처리조(11)와 제2처리조(12)를 갖는 하우징(10), 제1처리수단(20), 제2처리수단(30), 모래분리기(50), 드럼형세목스크린(40), 제2스크류프레스(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처리수단(20)은 제1처리조(11)에 위치되어 있고, 유입된 폐수가 경유하면서 설정된 크기보다 큰 대형 협잡물과 모래 및 토사를 포함하는 무거운 협잡물로 분리되게 하되 모래 및 토사를 포함하는 협잡물은 조목스크린(21)의 틈새를 통해 하부로 빠져나와 제1처리조(11)의 수면부에 떨어지도록 하고, 설정된 크기보다 큰 대형 협잡물은 분리되어 외부로 배출되게 한다.
즉, 조목스크린(21)의 틈새보다 큰 대형 협잡물은 분리되어 배출되고, 조목스크린의 틈새보다 작은 모래 및 토사포함 협잡물(무거운 협잡물)은 제1처리조(11)의 수면부에 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조목스크린(21)은 얇은 판이 간격을 두고 다수 개 위치되어 있는 형태로서 회전하면서 판 사이의 간격(틈새)보다 작은 협잡물은 얇은 판 사이의 간격으로 빠져나가고 간격(틈새)보다 큰 협잡물은 표면부를 타고 이동하여 배출되도록 하는 스크린으로서, 이러한 조목스크린(21)의 구조는 종래기술에서도 이미 제시되어 있다.
따라서 조목스크린(21)의 구조 및 이를 사용한 협잡물의 분리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조목스크린(21)의 판과 판 사이로 보조분리스크린(23)의 판이 삽입되어 판과 판 사이의 간격을 청소하면서 가벼운 협잡물이 더욱 원활하게 분리되도록 할 수도 있다.
제1처리수단(20)은 분리된 대형 협잡물을 탈수하면서 이동시켜 하우징(10)의 외부로 배출하는 제1스크류프레스(22)를 갖는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즉, 제1처리단계에서 분리된 상기 대형 협잡물이 탈수되면서 이동되어 하우징(10)의 외부로 배출되게 하고, 드럼형세목스크린(40)을 경유하여 배출되는 미세한 협잡물이 탈수되면서 이동되어 하우징(10)의 외부로 배출하는 것이다.
스크류프레스는 물체의 이송을 위한 스크류축을 갖는 것인데 물체의 배출지점에서 압축이 이루어지는 구조의 이송장치이다.(일반적으로 끝부분이 원뿔형으로 이루어져 유동공간이 좁아지면서 압축이 발생되며, 스크류축이 들어있는 케이스는 타공된 형태임)
가벼운 협잡물이 지속적으로 이송되어 배출되기 전 압축되면서 탈수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제2처리수단(30)은 제1처리조(11)의 수면 아래에 위치되어 제1처리수단(20)에 의해 분리되어 낙하된 작고 무거운 협잡물(모래 및 토사를 포함하는 협잡물) 중 물보다 비중이 높은 협잡물은 판형스크린(31)의 홀(31a)을 통해 하부로 빠져나가 제1처리조(11)의 바닥에 가라앉도록 하고, 비중이 낮은 협잡물(모래류)는 제2처리조(12)로 이동되게 한다.
제2처리수단(30)의 판형스크린(31)은 회전되도록 하는 것이 좋으며, 판형스크린(31)의 회전시 물보다 비중이 높은 협잡물이 홀(31a)을 통해 하부로 빠져나가도록 하면서 물보다 비중이 낮은 협잡물은 제2처리조(12)로 유입되게 하는 스크래퍼(32)를 갖는 형태로 구현되는 것이 좋다.
즉, 제2처리단계에서 판형스크린(31)이 회전되도록 하고 스크래퍼(32)에 의해서 판형스크린(31)의 회전시 물보다 비중이 높은 모래 및 토사 포함 협잡물이 홀(31a)을 통해 하부로 빠져나가도록 하면서 물보다 비중이 낮은 미세한 협잡물은 제2처리조(12)로 유입되게 하는 것이다.
모래분리기(50)는 하부가 제1처리조(11)의 바닥에 위치되고, 상부는 제1처리조(11)의 수면 위쪽으로 연장되어 있는 이송용 스크류축(51)을 가짐으로써 제1처리조(11)의 바닥에 위치된 협잡물을 제1처리조(11)의 외측으로 배출한다.
스크류축(51)의 회전시 제1처리조(11)의 바닥에 위치된 협잡물(대부분 토사)은 스크류축의 날개에 의해 상승하게 되어 배출되지만 물은 하부로 흘러 제1처리조(11)로 떨어진다.
드럼형세목스크린(40)은 물빠짐홀을 갖는 드럼형으로서 제2처리조(12)에 위치되어 있으며, 제1처리조(11)의 스크린을 경유한 폐수가 유입되는 것으로 폐수에 포함된 비중이 낮은 협잡물을 분리하는 구성요소이다.
드럼형세목스크린(40)은 내벽에 형성된 스크류 날개 형태의 안내가이드(41)를 가짐으로써 드럼형세목스크린(40)이 회전됨에 따라 물보다 비중이 낮은 미세한 협잡물이 내벽의 안내가이드(41)에 의해 출구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송되는 협잡물은 끝부분에서 정체되며 압축되어 탈수가 이루어진 후 후술하는 제2스크류프레스(60)로 보내지도록 하는 것이 좋다.
즉, 상기 드럼형세목스크린(40)의 내벽에 스크류 날개 형태의 안내가이드(41)를 갖도록 하여 회전시 물보다 비중이 낮은 협잡물이 이동되게 하고, 끝부분에서 정체되면서 압축되어 탈수되도록 하는 것이다.
첨부도면의 경우 유동면적이 좁아지면서 압축되며, 출구부근의 중심부에 위치된 장홈(42)을 통해 배출되어지는데 장홈(42)이 위치된 곳은 제2처리조(12) 내의 여액에 잠기지 않은 상태로 되어 있어 탈수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2스크류프레스(60)는 드럼형세목스크린(40)을 경유하여 배출되는 협잡물을 탈수하면서 이동시켜 하우징(10)의 외부로 배출하는 구성요소이다.
제2스크류프레스(60)도 제1스크류프레스(22)와 기본적인 구조는 같다.
본 발명에 있어서, 드럼형세목스크린(40)의 외부에 접촉되어 드럼형세목스크린(40)의 외부를 세척하는 세척브러쉬(71)를 통해 세척이 이루어지게 하되 상기 세척브러쉬(71)를 통한 세척이 원활하도록 세척수를 분사하면서 세척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협잡물 처리기에는 드럼형세목스크린(40)의 외부에 접촉되어 드럼형세목스크린(40)의 외부를 세척하는 세척브러쉬(71)를 더 구비한다.
또, 세척브러쉬(71)를 통한 세척이 원활하도록 세척수를 분사하는 제1세척액분사노즐(72)을 더 구비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드럼형세목스크린(40)을 통한 처리효과가 더욱 우수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드럼형세목스크린(40)의 내부에서 이송되는 협잡물에 물을 분사하여 미세한 협잡물(미세 섬유질이 포함된 씨앗, 머리카락, 비닐류 등)을 세척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한 협잡물 처리기는 드럼형세목스크린(40)의 내부에 위치되어 이송되는 협잡물에 물을 분사하는 제2세척액분사노즐(73)을 더 구비한다.
이러한 경우 드럼형세목스크린(40) 내부에 위치되어 이송되는 미세한 협잡물(미세 섬유질이 포함된 씨앗, 머리카락, 비닐류 등)을 세척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어 처리 효율이 더욱 우수하다.(고액분리를 병행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음)
본 발명에서의 대형 협잡물이란 설정된 크기보다 큰 협잡물을 의미하고, 미세한 협잡물이란 제2처리수단에 의해 분리되는 물보다 비중이 낮은 협잡물을 의미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장치가 작동되는 것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협잡물이 포함된 폐수가 제1처리조(11)로 유입되는데 제1처리조(11) 상부의 조목스크린(21)을 경유하게 되면서 설정된 크기보다 작은 협잡물(모래, 토사, 씨앗류 등)은 조목스크린(21) 하부에 위치된 제2처리수단(30)의 판형스크린(31)으로 낙하되고, 설정된 크기보다 큰 대형 협잡물은 분리되어 제1스크류프레스(22)로 유입된다.
제1스크류프레스(22)로 유입된 협잡물은 이동하면서 압축에 의한 탈수가 진행되고, 소각용 등으로 최종 배출된다.
제2처리수단(30)의 판형스크린(31)이 회전되면서 판형스크린(31) 상부의 협잡물 중 물보다 비중이 높은 것(토사-주로 모래류)은 홀(31a)을 통해 판형스크린(31)의 하부로 빠져나가 제1처리조(11)의 바닥에 가라앉는다.
물보다 비중이 낮아 판형스크린(31)을 통과하지 못한 미세한 협잡물은 드럼형세목스크린(40)으로 유입되게 되는데 판형스크린(31)의 회전과 스크래퍼(32)의 작용에 의해서 원활하게 유입된다.
드럼형세목스크린(40)으로 유입됨에 있어서 피드관(13) 끝부분의 장홈(13a)을 통해 유입됨으로써 드럼형세목스크린(40)의 한쪽 끝단부 즉, 유입부에 안정적으로 유입된다.(오버플로우 되면서 장홈(13a)으로 배출되어 드럼형세목스크린(40)으로 유입되는 형태)
드럼형세목스크린(40) 내부로 유입된 협잡물은 드럼형세목스크린(40)의 회전시 안내가이드(41)에 의해서 출구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드럼형세목스크린(40)에 형성된 물빠짐홀을 통해 물은 드럼형세목스크린(40) 외측으로 빠져나와 제2처리조(12) 하부에 모인다.
드럼형세목스크린(40)의 출구 부근에서는 협잡물의 정체가 이루어지면서 압축이 발생되어 탈수가 이루어지며, 이와 같이 탈수된 협잡물은 장홈(42)을 통해 배출되어 제2스크류프레스(60)로 유입된다.
제2스크류프레스(60)에 의해서 이동되는 협잡물은 추가적인 탈수가 이루어지면서 외부로 배출되어 유기물비료의 원료나 소각용으로 처리된다.
제1처리조(11)의 하부는 호퍼의 형태로 되어 있어 협잡물이 모래분리기(50)로 원활하게 유입되어 모래분리기(50)의 스크류축(51)을 따라 상승하여 배출된다.
모래분리기(50)의 스크류축(51)에 의해서 초기에는 협잡물과 물이 함께 상승되지만 물은 하부로 흐르게되고, 협잡물만 상승하여 배출되는 것이다.
제2처리조(12)의 하부에 모이는 여액은 추가적인 처리를 위해 외부로 공급되어지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1스크류프레스와 제2스크류프레스의 끝단부 를 점점 크게 하여 물빠짐 실린더(외통)와 의 간극의 단면적을 작게 하는 내부스크류가 더 구비된 형태로 구현할 수도 있다.
또, 하우징(10) 내에서 발생되는 악취가 탈취된 후 외부로 배출되게 하는 탈취기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10. 하우징
11. 제1처리조
12. 제2처리조
13. 피드관
13a. 장홈
20. 제1처리수단
21. 조목스크린
22. 제1스크류프레스
23. 보조분리스크린
30. 제2처리수단
31. 판형스크린
31a. 홀
32. 스크래퍼
40. 드럼형세목스크린
41. 안내가이드
42. 장홈
50. 모래분리기
51. 스크류축
60. 제2스크류프레스
71. 세척브러쉬
72. 제1세척액분사노즐
73. 제2세척액분사노즐

Claims (6)

  1. 폐수로부터 협잡물을 분리하는 협잡물 처리방법에 있어서,
    격벽에 의해 분리된 제1처리조(11)와 제2처리조(12)를 갖는 하우징(10)의 제1처리조(11)에 폐수가 유입되게 하는 폐수유입단계;
    상기 제1처리조(11)로 유입된 폐수가 경유하면서 설정된 크기보다 큰 대형 협잡물과 모래 및 토사가 포함된 협잡물이 분리되게 하되 모래 및 토사가 포함된 협잡물은 조목스크린(21)의 틈새를 통해 하부로 빠져나와 제1처리조(11)의 수면부에 떨어지도록 하고, 상기 대형 협잡물은 분리되어 외부로 배출되게 하는 제1처리단계;
    상기 제1처리단계에 의해 분리되어 낙하된 모래 및 토사가 포함된 협잡물 중 물보다 비중이 높은 협잡물은 판형스크린(31)의 하부로 빠져나가 제1처리조(11)의 바닥에 가라앉도록 하고, 물보다 비중이 낮은 협잡물은 제2처리조(12)로 이동되게 하는 제2처리단계;
    제2처리조(12)에 위치되어 있고 물빠짐홀을 갖는 드럼형세목스크린(40)의 내부로 제2처리단계를 경유한 폐수가 유입되게 하고, 드럼형세목스크린(40)을 회전시켜 물보다 비중이 낮은 미세한 협잡물이 분리되면서 이동하여 배출되게 하는 제3처리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이송펌프를 사용하지 않는 에너지 절감형 협잡물 처리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처리단계에서 분리된 상기 대형 협잡물이 탈수되면서 이동되어 하우징(10)의 외부로 배출되게 하고,
    상기 드럼형세목스크린(40)을 경유하여 배출되는 미세한 협잡물이 탈수되면서 이동되어 하우징(10)의 외부로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펌프를 사용하지 않는 에너지 절감형 협잡물 처리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형세목스크린(40)의 내벽에 스크류 날개 형태의 안내가이드(41)를 갖도록 하여 회전시 물보다 비중이 낮은 협잡물이 이동되게 하고, 끝부분에서 정체되면서 압축되어 탈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펌프를 사용하지 않는 에너지 절감형 협잡물 처리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형세목스크린(40)의 외부에 접촉되어 드럼형세목스크린(40)의 외부를 세척하는 세척브러쉬(71)를 통해 세척이 이루어지게 하되 상기 세척브러쉬(71)를 통한 세척이 원활하도록 세척수를 분사하면서 세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펌프를 사용하지 않는 에너지 절감형 협잡물 처리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형세목스크린(40)의 내부에서 이송되는 협잡물에 물을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펌프를 사용하지 않는 에너지 절감형 협잡물 처리방법.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처리단계에서 판형스크린(31)이 회전되도록 하고 스크래퍼(32)에 의해서 판형스크린(31)의 회전시 물보다 비중이 높은 모래 및 토사 포함 협잡물이 홀(31a)을 통해 하부로 빠져나가도록 하면서 물보다 비중이 낮은 미세한 협잡물은 제2처리조(12)로 유입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펌프를 사용하지 않는 에너지 절감형 협잡물 처리방법.
KR1020160067156A 2016-05-31 2016-05-31 이송펌프를 사용하지 않는 에너지 절감형 협잡물 처리방법 KR1017495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7156A KR101749521B1 (ko) 2016-05-31 2016-05-31 이송펌프를 사용하지 않는 에너지 절감형 협잡물 처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7156A KR101749521B1 (ko) 2016-05-31 2016-05-31 이송펌프를 사용하지 않는 에너지 절감형 협잡물 처리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9521B1 true KR101749521B1 (ko) 2017-06-21

Family

ID=592816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7156A KR101749521B1 (ko) 2016-05-31 2016-05-31 이송펌프를 사용하지 않는 에너지 절감형 협잡물 처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952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50961A (zh) * 2021-01-15 2021-05-28 福建省春天生态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乡村水塘富营养化处理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2298B1 (ko) 1997-06-13 1999-10-01 강동석 오폐수 정화처리장치
KR200337375Y1 (ko) 2003-09-26 2003-12-31 주식회사 덕진엔지니어링 탈취장치를 내장한 분뇨 및 축산폐수 전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2298B1 (ko) 1997-06-13 1999-10-01 강동석 오폐수 정화처리장치
KR200337375Y1 (ko) 2003-09-26 2003-12-31 주식회사 덕진엔지니어링 탈취장치를 내장한 분뇨 및 축산폐수 전처리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50961A (zh) * 2021-01-15 2021-05-28 福建省春天生态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乡村水塘富营养化处理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6493B1 (ko) 이송펌프를 사용하지 않는 에너지 절감형 협잡물 처리기
KR100903593B1 (ko) 오염토양정화를 위한 초음파 토양세척방법 및 장치
US20050263448A1 (en) Systems for the removal of solids from fluid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CN1962491A (zh) 一种多用途的环保型污水处理设备
KR100880270B1 (ko) 분뇨 및 축산폐수용 협잡물 종합처리기
JP2008168295A (ja) 湿地型水質浄化処理装置における汚泥の処理方法
KR100518805B1 (ko) 분뇨 및 축산폐수용 협잡물 종합처리기
KR101431161B1 (ko) 모래 및 협잡물 여과, 탈수 장치
KR101217795B1 (ko) 인을 제거하기 위한 폐수 처리장치
JP2011056487A (ja) 洗浄処理方法ならびに洗浄処理装置
KR100850162B1 (ko) 하수처리조의 부유물 처리장치
KR101749521B1 (ko) 이송펌프를 사용하지 않는 에너지 절감형 협잡물 처리방법
KR100874477B1 (ko) 수처리용 침전조
KR100485311B1 (ko) 오폐수 처리장치
CN207375919U (zh) 一种具有污泥干化池的一体化污水处理系统
KR101517285B1 (ko) 침전지용 슬러지 일괄처리시스템
KR200346465Y1 (ko) 하수내 침사및 협잡물 처리를 위한 일체형 스크린 장치
KR100998074B1 (ko) 슬러지, 유분, 협잡물 및 토사 종합처리장치
RU93297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чистки сточных вод от механических примесей
KR100986634B1 (ko) 오폐수 전처리장치
KR100303255B1 (ko) 협잡물 처리방법 및 그 장치
KR20200056158A (ko) 가압버블을 이용한 낙농업용 세정수 정화 장치
KR101799745B1 (ko) 원형 침사 유분 제거 시스템
KR101002418B1 (ko) 협잡물 처리장치
KR20100047032A (ko) 월류수 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