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78094A - 해양오염(적조,유류)방제정화장치 선박 - Google Patents

해양오염(적조,유류)방제정화장치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78094A
KR20090078094A KR1020080003884A KR20080003884A KR20090078094A KR 20090078094 A KR20090078094 A KR 20090078094A KR 1020080003884 A KR1020080003884 A KR 1020080003884A KR 20080003884 A KR20080003884 A KR 20080003884A KR 20090078094 A KR20090078094 A KR 200900780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water
ship
oil
inlet
contamina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38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여한
Original Assignee
이여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여한 filed Critical 이여한
Priority to KR10200800038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78094A/ko
Publication of KR200900780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80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32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llecting pollution from open w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1/00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water; Means f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1/52Tools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underwat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02B15/046Collection of oil using vessels, i.e. boats, barg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02B15/10Devices for removing the material from the surface
    • E02B15/101Means floating loosely on the water absorbing the oi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02B15/10Devices for removing the material from the surface
    • E02B15/106Overflow skimmers with suction heads; suction hea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10/00Liquid purification or separation
    • Y10S210/918Miscellaneous specific techniques
    • Y10S210/922Oil spill cleanup, e.g. bacterial
    • Y10S210/923Oil spill cleanup, e.g. bacterial using mechanical means, e.g. skimmers, pum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Removal Of Floating Material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양오염(적조.유류)방제정화장치 선박에 관한 것이다.
선박전면에서 뒤쪽후미까지 선박전면하단해수면에 해수오염물이 통과할 수 있도록 해수및오염물 유입구와 해수배출구를 만들어 해수와 오염물이 선박하단해수면 유입구를 통과하면서 오염물은 유회수정화되고 해수만이 배출구를 통하여 배출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발명한 것이다.
본 발명은 선박전면하단 해수면에 해수및오염물 유입구(106)와 선박후면 유입구를 통과한 해수배출구(218)를 만들고 해수및오염물 유입구(106)안쪽 통과부에 회전망사체 흡입정화장치(212),에스컬레이터방식 망사체 흡입정화장치(213),회전식 흡착포 흡입정화장치(214)를 장착하여 해양오염물이 선박해단해수면에 설치된 해수및오염물 유입구(106)를 통과,정화되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발명한 것이다.
회전망사체 흡입정화장치, 에스컬레이터방식 망사체 흡입정화장치, 회전식 흡착포 흡입회수장치

Description

해양오염(적조,유류)방제정화장치 선박 {Marine pollution(red water,oil)control purifier ship}
본 발명은 해양오염(적조,유류)방제정화장치 선박에 관한 것이다.
선박전면에세 뒤쪽후미까지 선박전면하단해수면에 해수오염물이 통과할 수 있도록 해수및오염물 유입구와 선박하단을 통과한 선박후미하단해수면에 해수배출구를 만들어 해수와 오염물이 선박하단해수면 유입구를 통과하면서 오염물은 유회수정화되고 해수만이 배출구를 통하여 배출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발명한 정화장치를 설치한 선박에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양사고,해양오염이 발생되어 오염물수거방제작업시 종래 기술방제선은 유처리제 살포방식선박과 흡착포사용방식과 유류확산방지 오일붐장치와 유회수기계를 선상에 설치하여 해수면에서 선상으로 유회수처리 해왔다. 선상에 유회수기 설치선이 있으나 작업의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많이 발생되어 왔다.
종래 기술 방제선은 유처리제 살포방식과 오일붐을 설치하여 해양오염을 처 리했으나 유처리제 살포로 2차 해양오염과 해양오염방지의 문제점이 많이 발생되었다.
유회수기를 선박측면부와 선박앞상단면에 설치한 선박이 있으나 오일붐을 사용하여 정지상태에서 방제작업을 하거나 선박측면부에 날개를 달아 유류(기름)을 유회수기로 모이게 하여 방제작업을 하는 방식과 해수면에서 선상으로 끌어들이는 방법으로 효율성이 부족하여 2차 유처리제 살포로 2차 오염 문제로 발생될 수 있으며 신속처리하지 못하여오염물 확산을 막지 못하고 비효율적이었다.
본 발명은 해양오염(적조,유류)방제정화장치 선박에 관한 것으로 선박전면 하단부 해수면에 해수와 오염물이 통과할 수 있도록 해수와 오염물 유입구,배출구를 만들어 해수와오염물이 선박전면하단 해수면에 설치된 유입구를 통과하면서 오염물은 회수정화되고 해수만이 배출구를 통하여 배출되는 방식으로 발명한 것이다. 상세하게 해양오염방제정화장치 선박의 특징과 발명은 선박전면하단 해수면에 해수통과구를 만들어 해양오염물이 선박하단부를 통과하여 정화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발명한 선박이다.
본 발명은 선박전면하단부 해수면에 수문과 해수및오염물 유입구를 만들어 해수및오염물이 선박의 하단으로 통과할 수 있도록하고 유입구안쪽에 유회수 회전식흡입정화장치와 적조방지분사장치를 만들어 해수및오염물이 하단 해수면유입구를 통과하여 배출구까지 통과하는 과정에 해양오염물이 통과구 안쪽에 설치된 유회수 회전정화장치 과정을 통해 해양오 염물이 회수정화되어 해수만이 배출구를 통하여 배출되는 방식으로 발명 한 것이다.
유처리제를 사용하지 않아 2차 해양오염을 방지하고 해안에 오염물이 도달하기 전에 신속하게 해양에서 처리하여 3차 오염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유회수방식으로 친환경적이며 선박전면하단 해수면에 해수통과구를 만들어 선박이 운항하면서 유회수 정화처리하여 신속하게 대처하고 해양 오염 범위를 초기에 확산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해양오염(적조,유류)방제정화장치 선박에 관한 것으로 선박전면하단부 해수면에 해수와 오염물이 통과할 수 있도록 해수와 오염물 유입구(106)와 선박하단부를 통과한 배출구(218)를 만들어 해수와 오염물이 선박전면하단 해수면에 설치된 유입구(106)를 통과하면서 오염물은 회수정화되고 해수만이 배출구를 통하여 배출되는 방식으로 발명한 것이다.
상세하게 해양오염방제정화장치 선박의 특징과 발명은 선박전면하단 해수면에 해수통과구를 만들어 해양오염물이 선박하단부를 통과하여 정화되는 특징으로 발명한 선박이다.
본 발명은 선박전면하단부 해수면에 수문(104)과 해수및오염물 유입구(106)를 만들어 해수및오염물이 선박의하단으로 통과할 수 있도록 하고 유입구(106)안쪽에 1차 회전망사체 흡입장치(212)와 2차 에스컬레이터방방식망사체흡입장치(213),3 차 회전식흡착포흡입장치(214),적조방지분사장치(217)를 만들어 해수및오염물이 선박전면하단 해수면 유입구(106)를 통과하여 배출구(218)까지 통과하는 과정에 해양오염물이 통과구 안쪽에 설치된 회전망사체 흡입장치(212),에스컬레이터방식망사체흡입장치(213), 회전식 흡착포흡입장치(214)과정을 통해 해양오염물이 회수정화되어 해수만이 배출구(218)를 통하여 배출되는 방식으로 발명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해양오염(적조,유류)방제정화장치 선박은 운항중에 선박전면하단해수면에 해수및오염물이 통과할 수 있도록 하여 통과하는 과정에 정화 처리할 수 있도록 한 것이 특징이다.
해양유류(기름)유출사고시 본 발명 해양오염(적조,유류)방제정화장치 선박은 기름유출오염방향으로 운항하면서 선박수문(104)을 오염범위에 따라 오염물을 선박전면하단 해수면 유입구(106)로 흐르도록 수문(104)을 조정하도록 열어두어 선박이 운행한다.
해수와 유류는 유입구(106)로 유입되어 배출구(218)쪽으로 통과한다.
유입구(106)로 유입된 해수및오염물은 배출구(108)로 통과하는 과정에 유입구(106)안쪽에 설치된 회전망사체 흡입정화장치(212),에스컬레이터방식망사체흡입정화장치(213), 회전식흡착포흡입정화장치(214)를 통과하는 과정을 통하여 오염유류는 회수정화처리되어 해수만이 배출구(218)로 배출하게 하는 방식이다. 즉, 오염유류가 해수와 같이 유입구(106)로 유입되고 통과하는 과정에 1차적으로 회전망사체 흡입정화장치(212)에서 해수상단부에 있는 오염유류가 흡입되어 정화장치탱크(202)로 이동되어 해수와 기름을 분리하게 되고 분리된 해수는 유회수 회전식흡착 포정화장치(203)로 이동하여 잔오염물을 정화한다.
유회수 회전식 흡착포정화장치(203)를 통과한 해수는 흡착정화장치(204)를 통하여 바다로 배출된다. 정화장치탱크(202)에서 분리된 오염유류는 오염물저장탱크(206)로 이동되어 저장된다. 회전망사체흡입정화장치(212)를 통과한 해수와오염유류는 에스컬레이터방식 망사체흡입정화장치(213)를 통과하게 된다.
통과하는 과정에 오염유류는 에스컬레어터방식망사체흡입정화장치(213)에 걸러져 흡입장치(215)를 통하여 흡입정화탱크(205)로 보내져 해수와 오염 유류를 분리하여 오염유류는 오염물탱크(206)로 보내져 보관된다.
분리된 해수는 유회수 회전식 흡착포 장치(203)와 흡착정화장치(204)를 통해바다로 배출된다.
에스컬레이터방식 망사체흡입정화장치를 통과한 해수와 잔여오염유류는 회전식 흡착포흡입정화장치(214)를 통과하게 되는데 통과되는 과정에 잔여오염유류는 회전식 흡착포흡입장치(214)에 흡착되면 흡입장치(215)를 통하여 흡입정화탱크(205)로 이동되어 저장된다. 해수는 유회수 회전식 흡착포장치(203),흡착정화장치(204)를 통해 바다로 배출된다. 유회수 회전식흡착포장치(214)를 통과한 해수는 완전정화되어 해수배출구(218)를 통해 바다로 배출되는 방식의 특징으로 발명한 것이다.
선박전면하단 해수면 유입구(106)로 해수와 적조물이 유입되고 해수배출구(218)까지 통과하는 과정에 회전망사체 흡입정화장치(212)를 통과한다. 통과하는 과정에 해수상단부에 있는 적조물은 회전망사체 흡입정화장치(212)에 흡입되어 정 화장치탱크(202)로 보내져 해수와 적조물이 분리되어 분리된 적조물은 해양오염물저장탱크(206)로 이동되어 저장되고 분리된 해수는 다용도적재함(207)을 통해 황토나 적조현상방제제와 같이 적조방지분사장치(217)를 통해 바다로 배출된다.
회전망사체 흡입정화장치(212)를 통과한 해수와 적조물은 에스컬레이터방식망사체흡입정화장치(213)에서 잔해적조물이 회수되어 흡입장치(215)로 통해 흡입저장탱크(205)로 이동되어 해수와 적조물이 분리된다. 분리된 적조물은 오염물저장탱크(206)로 이동저장된다. 분리된 해수는 다용도적재함(207)을 통해 황토나 적조현상방제제와 같이 적조방지분사장치(207)를 통해 바다로 배출된다. 에스컬레이터방식 망사체흡입정화장치(213)를 통과한 해수는 해수배출구(218)를 통해 배출되는 방식의 특징으로 발명한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구성 전면도
도2는 본 발명의 구성 측면내부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해양오염(적조,유류)방제정화장치 선박
102: 선박앞면 상단부
103: 수문(일반운항시 닫힌모양)
104: 수문(해양오염 방제정화작업시 열린모양)
105: 수문 유압개폐장치
106: 해수및오염물유입구(선박전면하단해수면)
107: 해수흐름방향표시
108: 해수면
201: 조타실(항해실)
202: 정화장치탱크
203: 유회수 회전식흡착포 정화장치
204: 흡착정화장치
205: 흡입정화탱크
206: 오염물저장탱크
207: 다용도적재함(적조현상시 황토방제재적제)
208: 나사형샷프트(적조현상시 황토방제재분사)
209: 수문(해양오염물 방제정화시 열린모양)
210: 수문 유압개폐장치(수문각도조절기능)
211: 해수흐름방향표시
212: 회전망사체 흡입정화장치
213: 에스컬레이터방식 망사체흡입정화장치
214: 회전식 흡착포흡입정화장치
215: 흡입장치
216: 스팀송풍장치
217: 적조방지 분사장치
218: 해수배출구

Claims (1)

  1. 선박전면하단부 해수면에 수문(104)과 해수및오염물 유입구(106)를 만들어 해수및오염물이 선박의 전면하단에서 통과할 수 있도록 하고 유입구안쪽에 유회수 정화장치를 만들어 해수및오염물이 선박전면하단 해수면 유입구(106)를 통과하여 배출구(218)까지 통과하는 과정에 해양오염물이 정화배출되는방식으로 발명한 것이 특징이다.
    선박크기에 따라 선박전면하단 해수유입구(106)안쪽에 설치된 유회수 정화장치는 분리,축소,변형할 수 있으며 해수배출구(218)는 선박에 따라 측면부로 해수배출구(218)로 이동될 수 있으며 선박양측면부로 각각 해수배출구(218)를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은 선박전면하단 해수면에 해수유입구(106)를 만들어 해수오염물이 선박하단부를 통과하게 하여 선박후면해수배출구로 정화되어 배출되게 하는 선박이다.
KR1020080003884A 2008-01-14 2008-01-14 해양오염(적조,유류)방제정화장치 선박 KR2009007809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3884A KR20090078094A (ko) 2008-01-14 2008-01-14 해양오염(적조,유류)방제정화장치 선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3884A KR20090078094A (ko) 2008-01-14 2008-01-14 해양오염(적조,유류)방제정화장치 선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8094A true KR20090078094A (ko) 2009-07-17

Family

ID=413362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3884A KR20090078094A (ko) 2008-01-14 2008-01-14 해양오염(적조,유류)방제정화장치 선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78094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5692B1 (ko) * 2011-11-03 2013-11-0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정수 장치
KR20150075883A (ko) 2013-12-26 2015-07-06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부유물 제거장치
CN107792985A (zh) * 2017-12-13 2018-03-13 泰兴市汇辰过滤器制造有限公司 一种船舶远航用海水净化装置
CN113955025A (zh) * 2021-11-29 2022-01-21 青岛科技大学 一种滑翔式海洋垃圾回收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5692B1 (ko) * 2011-11-03 2013-11-0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정수 장치
KR20150075883A (ko) 2013-12-26 2015-07-06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부유물 제거장치
CN107792985A (zh) * 2017-12-13 2018-03-13 泰兴市汇辰过滤器制造有限公司 一种船舶远航用海水净化装置
CN113955025A (zh) * 2021-11-29 2022-01-21 青岛科技大学 一种滑翔式海洋垃圾回收装置
CN113955025B (zh) * 2021-11-29 2023-08-08 青岛科技大学 一种滑翔式海洋垃圾回收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60321B2 (en) Partitioned water treatment systems with vertical filtration units
KR100900714B1 (ko) 오염된 물을 정화시키는 장치
US3854291A (en) Self-cleaning filter for hydrological regeneration
JP2009508028A (ja) ダム用スラッジ処理システム
KR101003477B1 (ko) 초기우수 처리장치
US7824555B2 (en) System and method for water restoration
KR20110121743A (ko) 수면유류 및 부유물 제거장치
KR20090078094A (ko) 해양오염(적조,유류)방제정화장치 선박
KR20160117981A (ko) 해상 유출기름 회수장치
WO2015175428A1 (en) Permeable reactive weir
KR101729580B1 (ko) 초기 우수 처리장치
KR101511949B1 (ko) 해상 유출유류의 오염방지를 위한 유류 처리장치
KR102253591B1 (ko) 역세척 성능이 향상된 비점오염 저감시설
DE202011105186U1 (de) Konstruktion zur biologischen Reinigung, Filtrierung und Belebung von Fahrzeugwaschwasser nach AbwV Anhang 49
KR101713397B1 (ko) 자동 역세척이 가능한 초기우수 처리장치
JPH09117798A (ja) 液体分離装置およびその浄化フィルター
KR101652669B1 (ko) 비점오염 저감장치
JP2009061376A (ja) 流出油回収処理装置
KR101403882B1 (ko) 수처리조 및 수처리시스템
KR102123229B1 (ko) 와류 스크린형 비점오염 저감장치
US20060060517A1 (en) System for automatically filtering floating material from wastewater
KR101639072B1 (ko) 대전된 미세기포를 이용한 수중 오염물 제거장치
KR200372831Y1 (ko) 유수 분리기의 미세 오일 조합 유도 부상 메디아 장치
KR200406311Y1 (ko) 유체개폐장치 및 유체개폐장치가 설치된 오수정화처리장치
KR20080015036A (ko) 수면의 부유물을 모으는 물탱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